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금강삼매경론
- 방광반야경
- 마하승기율
- 대반열반경
- 묘법연화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잡아함경
- 수능엄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대지도론
- 장아함경
- 원각경
- 아미타불
- 반야심경
- 유마힐소설경
- 유가사지론
- 백유경
- 유마경
- 무량의경
- 대방광불화엄경
- 종경록
- 정법화경
- 마명
- 가섭결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중아함경
- Japan
- 대승기신론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증일아함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다라니[한문]陀羅尼 [범어]dhāraṇī [티벳]gsang sngags [영어]a mystic verse ; true words ; incantation 【범】dhāranī 총지(摠持)ㆍ능지(能持)ㆍ능차(能遮)라 번역. 무량 무변한 뜻을 지니고 있어, 모든 악한 법을 버리고 한량없이 좋은 법을 가지는 것. 보통으로 다라니라 하는 것에 두 가지가 있다. (1) 지혜 혹은 삼매를 말한다. 이것은 말을 잊지 않고 뜻을 분별하며, 우주의 실상에 계합하여 수많은 법문을 보존하여 가지기 때문이다. (2) 진언(眞言). 범문(梵分)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 이를 번역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의 전체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과, 밀어(密語)라 하여 다른 이에게 비밀히 하는 뜻이 있다...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낙바라밀 [한문]樂波羅蜜 4바라밀의 하나. 낙(樂)은 안락하다는 뜻, 상락아정(常樂我淨)인 열반 4덕(德)의 하나. 바라밀은 도피안(到彼岸)이라 번역. 보살의 수행은 낙덕(樂德)을 얻는 요긴한 길이므로 낙바라밀이라 함. [한문]樂波羅蜜 ○ [pt op tr] hbfl--02_Na_0208.TIF ● From naver-지식백과 ■ '낙바라밀'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100.daum.net/search/entry?q=낙바라밀 네이버백과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낙바라밀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낙바라밀 네이버한자 http://hanja.naver.com/s..
급고독원 [범어] Jetavanānāthapiṇḍadasyārāma, [팔리어] Jetavanānāthapiṇḍikārāma. [한문]給孤獨園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급고독원 [한문]給孤獨園 급고독 장자 즉 수달 장자가 헌납한 승원을 가리킴. 기수급고독원의 줄임말. ⇒ [원][k] 기수급고독원[c]祇樹給孤獨園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급고독원 [한문]給孤獨園 기수급고독원의 준말. ● From 대만불광사전 급고독원 【給孤獨園】 p5194-中≫ 梵名 Jetavanānāthapiṇḍadasyārāma, 巴利名 Jetavanānāthapiṇḍikārāma. 位於中印度憍薩羅國舍衛城之南, 相當於今尼泊爾南境, 近於拉波提河(Rapti)南岸之塞赫特馬赫特(Sahet-mah..
급고독 [한문]給孤獨 [팔리]anāthapiṇḍada [범어]anāthapiṇḍika ; anāthapiṇḍada [영어]anathapindika 급고독 장자(長者). 가난한 자에게 먹을 것을 베푼 자라는 뜻으로, 수달다(須達多) 장자의 별명. [동]단여(團與) , 고독단시(孤獨團施) , 독고선(獨孤善) , 무의단시(無依團施) , 아나빈저(阿那邠邸) , 아나타빈다타(阿那陀擯茶駄) , 아나타빈다(阿那陀擯茶) , 아난빈저(阿難邠抵) , 아난빈제(阿難賓提) , 아난빈지(阿難邠坻).[abr]약}급고(給孤). ⇒ [원][k]수달다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수달다[Kor]수달다[Chn]須達多[Pali]sudatta[San]sudatta[Eng]sudatta[mean]수닷타의 음역. 사람 이름. 석가모니..
근본혹 [한문]根本惑 근본번뇌(根本煩惱), 산스크리트어: mūla-kleśa, 영어: root kleshas)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되는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을 말함 ○ [pt op tr]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근본혹 [한문]根本惑 근본번뇌의 같은말.[abr]약}본혹(本惑).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근본혹[한문]根本惑 근본번뇌와 같음. 시공 불교사전근본번뇌[ 根本煩惱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되는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을 말함.[네이버 지식백과] 근본번뇌 [根本煩惱]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곽철환)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근본번뇌(根本煩惱..
근본번뇌 [한문]根本煩惱 [영어]the primary afflictions 다른 번뇌를 일으키는 근본이 되는 번뇌. 탐(貪),진(瞋),치(癡)라는 3독에 만(慢), 의(疑), 악견(惡見)을 추가한 6번뇌. 악견을 5견으로 분류하면 10번뇌가 된다. 구사론에서는 6수면(隨眠), 유식학에서는 6대혹(大惑)이라고 한다. [opp]반}수번뇌(隨煩惱) , 지말혹(枝末惑).[abr]약}근본혹(根本惑) , 본혹(本惑).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또는 본번뇌(本煩惱)ㆍ근본혹(根本惑)ㆍ본혹(本惑). 모든 번뇌 가운데서 그 근본이고 자체인 6종의 번뇌. 탐(貪)ㆍ진(瞋)ㆍ치(痴)ㆍ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을 말한다. 이 가운데서 악견을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