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22_T0310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012▲ 宀凡士巳三 ■ 면범사사삼 12ㅡ 집에서 평범한 선비가 머물면 뱀과 같은 지혜가 3개나 생겨난다. ( 집 면 [사방이 지붕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집] 갓머리( 부수( 部首)의 하나) )( 무릇 범 )( 선비 사 )( 뱀 사 )( 석 삼 )
025▲ 少殳水氵氺 ■ 소수수수수 25 ( 적을 소/ 젊을 소 )( 몽둥이 수 )( 물 수 ) (삼수변 수) ( 물 수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Ganden Tripa [san-chn]
pacyante 煎煮 [san-eng]
nāśāya $ 범어 for destruction [pali-chn]
guyha 祕密 [pal-eng]
sankula $ 팔리어 adj.full of; crowded. [Eng-Ch-Eng]
和伽羅那 A transcription of the Sanskrit vya^karan!a, which means the prediction of future buddhahood, given by the Buddha toward one of his disciples; most commonly translated as 授記 and 受記. One of the twelve traditional genr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十二部經. [Muller-jpn-Eng]
質多羅 シッタラ Citrā [Glossary_of_Buddhism-Eng]
PRAJAPATI☞ See: Maha-prajapati.
[fra-eng]
fugitif $ 불어 ephemeral, fleeting, sketchily [chn_eng_soothil]
四隅四行薩埵 The four female attendants on Vairocana in the Vajradhātu 金, 寳, 法, and 業, q. v.; also 四波.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所說法不?」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법을 말한 것이 있느냐?” [玄奘] 佛告善現: 「於汝意云何, 頗有少法如來可說不?」 [義淨] 「 妙生, 於汝意云何, 頗有少法是如來所說不?」 13-03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अपि नु अस्ति स कश्चिद्धर्मो यस्तथागतेन भाषितः ? tatkiṁ manyase subhūte | api nu asti sa kaściddharmo yastathāgatena bhāṣitaḥ |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보리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말해진 어떤 법이 또한 있느냐?” ▼▷[tatkiṁ] ① tat(pn.ƿ.acc.) + kiṁ(ƺ.) → [그것을、 어떻게] ▼[manyase] ① manyase(pres.Ⅱ.sg.) → [(그대는) 생각하는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pi] ① api(ƺ.) → [또한] ▼[nu] ① nu(ƺ.) → [반드시] ▼[asti] ① asti(pres.Ⅲ.sg.) → [있는가?] ▼[sa] ① saḥ(ƾ.nom.) → [그]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이]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yastathāgatena] ① yaḥ(pn.ƾ.nom.) + tathāgatena(ƾ.ins.) → [(어떠한) 그、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hāṣitaḥ] ① bhāṣitaḥ(nj.→ƾ.nom.) → [말해진.]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그대의 부모께서는 살아 계시는가?” “계십니다.” “연세가 몇이신가?” “80세이십니다.” “어떤 이의 아버지는 나이가 80세가 아닌 이도 있다는데, 그대는 알고 있는가?” “그렇게 연세 들어 오신 이가 바로 그가 아니겠습니까?” “이는 아직 어린 아기니라.” 이에 동산洞山이 말했다. “설사 아니라고 해도 역시 아기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