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의 한 종파. 개조(開祖): 대법안선사 청량문익(淸凉文益). 건강의 청량사에 있으면서 당나라 말기로부터 송나라의 초기에까지 문풍(門風)을 크게 떨치다. 문하(門下)에 천태 덕소ㆍ영은 청용ㆍ귀종 의유 등 43인의 훌륭한 제자가 배출, 또 덕소의 문하에 영명 연수가 나서 명주(明州)의 설두산에 있다가, 뒤에 오월왕(吳越王)의 청으로 영은산의 신사(新寺)에서 『종경록』 백 권을 지었다. 이 때에 고려왕이 그의 학덕을 매우 사모하여 학승(學僧) 36명을 보내어 공부하게 하다. 이래서 중국에는 법안종이 점점 쇠퇴하였으나, 고려 때는 크게 융성하였음.
弗 ■ ( 아닐 불/ 근심할 불 )
042▲ 北弗比匕氷 ■ 북불비비빙 42 ( 북녘 북 / 달아날 배 )( 아닐 불/ 근심할 불 )( 견줄 비 )( 비수 비 )( 얼음 빙 / 엉길 응 )
043▲ 冫乍四罒罒 ■ 빙사사망망 43 얼음 빙 )(잠깐 사 / 일어날 작 )(넉 사 )( 넉사 / 그물망)网,㓁罓𦉪,𦉫] ( 그물망머리)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Buddhism in Reunion [san-chn]
pāramitā-carya 波羅蜜多行 [san-eng]
suraṅgika $ 범어 (f) a small tunnel [pali-chn]
diṭṭhivisuddhi 見淨 [pal-eng]
nikkodha $ 팔리어 adj.free from anger. [Eng-Ch-Eng]
光 (kirana). (1) Light, brightness, splendor. (2) Sunlight. (3) Manifestation, appearance (a^bha^sa). (4) The opposite of dullness; wisdom. (5) Halo, aura. [Muller-jpn-Eng]
敷演 フエン To lay out; to set forth [Glossary_of_Buddhism-Eng]
DHARMA WHEEL☞ Syn: Dharmacakra. “Symbolizes the preaching of a Buddha. Dharma wheel is likened to a wheel because it crushes all illusions.” Yoko: 187 #0815
42 그리고 보살은 곧 다음 주문을 외웠다. 미례, 弭㘑<四十二> mile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2 중생 세계가 탁하여 바른 법이 멸할 때에 음욕의 불은 치성하여 마음이 미혹되고 뒤바뀌어 본처를 버리고 바람피우며 탐욕에 물들고 밤낮 삿되게 생각하되 조금도 쉬지 않을 때 만약 능히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면 음욕의 불은 없어지고 삿된 마음은 사라지리라. ● 호로혜리 呼嚧醯唎<四十二> hu ru hu ru hri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