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4▲ 年老耂耒吏 ■ 년로로뢰리 54 ( 해 년( 연), / 아첨할 녕( 영) )( 늙을 로 / 노 )( 늙을로엄 로 / 노)(가래 뢰 /뇌 )( 벼슬아치 리 / 이, 관리 리. 이 )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 만자 만 )( 쌀 미 )(일백 백/ 힘쓸 맥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실 사 / 가는 실 멱, )
재춘법한자
[fra-eng]
immergent $ 불어 immerse [chn_eng_soothil]
普光 Universal light, to shine everywher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어째서 그러냐 하면, 온갖 현인(賢人)이나 성인(聖人)들이 모두가 무위(無 爲)의 법에서 여러 가지 차별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玄奘] 何以故? 以諸賢聖補特伽羅皆是無為之所顯故. [義淨] 何以故? 以諸聖者皆是無為所顯現故. 07-05 तत्कस्य हेतोः ? असंस्कृतप्रभाविता ह्यार्यपुद्गलाः॥७॥ tatkasya hetoḥ | asaṁskṛtaprabhāvitā hyāryapudgalāḥ ||7||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참으로 고귀한 이들은 無爲로써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② hetu(ƾ. cause, reason, motive; source, origin; a means or instrument) ▼▷[asaṁskṛtaprabhāvitā] ① asaṁskṛta+prabhāvitāḥ(njp.→ƾ.nom.pl.) → [다듬어지지 않은 채 드러납니다 → 無爲로써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② asaṁskṛta(nj. unpolished, not refined or cleansed) < saṁskṛta(nj. polished, refined or cleansed; decorated or adorned) < saṁ(ƺ. with) +|s|+ kṛ(8.dž. to do, to make) ② prabhāvita(nj.) < pra(ƺ. higher, forward) + bhāvita(p.p. created, produced, obtained; manifested, displayed; cherished, fostered) ▼[hyāryapudgalāḥ] ① hi(ƺ.) + ārya+pudgalāḥ(ƾ.nom.pl.) → [참으로 고귀한 이들은.] ② ārya(nj. Āryan; worthy of an Ārya; worthy, venerable, respectable, noble) ② pudgala(ƾ. atom; the body matter; the soul; the ego or individual; 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