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385_T0656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불기2569-03-05_보살영락경_001
인명학(因明學)에서 종(宗)ㆍ인(因)ㆍ유(喩)의 3지작법(支作法) 중, 종중(宗中)의 전명사(前名辭). 예를 들면 “소리는 무상하다” 할 때에 소리를 전진(前陳), 무상을 후진(後陳)이라 하고, 소리인 전명사가 이미 무상한 뜻을 가졌으므로 무상을 법이라 함에 대하여, 소리를 유법이라 함.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Buddhism in the Middle East [san-chn]
bahutara~ ... bahutara~ 甚倍 [san-eng]
sparśanaṃ $ 범어 touc [pali-chn]
cattāro vaṇṇā 四姓 [pal-eng]
bhatta-vissagga-kara.natthaaya $ 팔리어 for taking meals. [Eng-Ch-Eng]
deluded view 見惑 [Muller-jpn-Eng]
二報 ニホウ two karmic rewards [Glossary_of_Buddhism-Eng]
BALDHEADED THIEF☞ See also: Fault-Finding; Sangha. A monk or nun who does not cultivate while receiving offerings from the laity has betrayed the latter’s trust and, in effect, stolen the offerings. He has, therefore, incurred immense suffering for the future. The Buddha referred to such monks or nuns as “bald-headed thieves.” Editor / Van Hien: 204 #1669
[fra-eng]
baptême $ 불어 baptism [chn_eng_soothil]
摩訶曼陀羅華 mahāmandārava, a large white lotus; cf. 曼.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缺譯) [玄奘] 世尊, 若預流者作如是念 ࡔ我能證得預流之果ࡕ, 即為執我、有情、命者、士夫、補特伽羅等. [義淨] 世尊, 若預流者作是念 ࡔ我得預流果ࡕ者, 則有我執、有情、壽者、更求趣執. 09-03 सचेद्भगवन् स्रोतआपन्नस्यैवं भवेत्- मया स्रोतआपत्तिफलं प्राप्तमिति, स एव तस्यात्मग्राहो भवेत्, सत्त्वग्राहो जीवग्राहः पुद्गलग्राहो भवेदिति॥ sacedbhagavan srotāpannasyaivaṁ bhavet mayā srotāpattiphalaṁ prāptam iti | sa eva tasyātmagrāho bhavet | sattvagrāho jīvagrāhaḥ pudgalagrāho bhavediti | 만일, 복덕갖춘분이시여! 흐름에 든 자의 경우에 ‘나에 의해 흐름에 든 결과가 얻어졌다’라는 그러한 (산냐가) 생겨난다면, 그는 참으로 그의 자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이며 중생에 대한 집착이、 영혼에 대한 집착이、 개체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입니다.” ▼▷[sacedbhagavan] ① sacet(ƺ.) + bhagavan(ƾ.voc.) → [만일、 복덕갖춘분이시여!] ② sacet(ƺ.È 만약, ~이라면) ▼[srotāpannasyaivaṁ] ① srota+āpannasya([nj.→]ƾ.gen.) + evaṁ(ƺ.) → [흐름에 든 자의、 그러한] ▼[bhavet] ① bhavet(pot.Ⅲ.sg.) → [(+산냐가) 생겨난다면]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srotāpattiphalaṁ] ① srota+āpatti+phalaṁ(ƿ.nom.) → [흐름에 든 결과가] ▼[prāptam] ① prāptam(njp.→ƿ.nom.) → [얻어졌다] ▼[iti] ① iti(ƺ.) → [라는,] ▼▷[sa] ① saḥ(ƾ.nom.) → [그는] ▼[eva] ① eva(ƺ.) → [참으로] ▼[tasyātmagrāho] ① tasya(pn.ƾ.gen.) + ātma+grāhaḥ(ƾ.nom.) → [그의、 자아에 대한 집착이] ② ātman(ƾ. the soul; oneself;; the understanding; thinking faculty) ② grāha(ƾ. seizing, grasping; a crocodile, shark; a prisoner; a disease; any large fish) ▼[bhavet] ① bhavet(pot.Ⅲ.sg.) → [될 것이며,] ▼▷[sattvagrāho] ① sattva+grāhaḥ(ƾ.nom.) → [중생에 대한 집착이]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jīvagrāhaḥ] ① jīva+grāhaḥ(ƾ.nom.) → [영혼에 대한 집착이] ② jiva(nj. living, existing: ƾ. the principle of life, the vital breath, life, soul; the individual or personal soul enshrined in the human body and imparting to it life) ▼[pudgalagrāho] ① pudgala+grāhaḥ(ƾ.nom.) → [개체아에 대한 집착이] ② pudgala(nj. beautiful, lovely, handsome: ƾ. atom; the body matter; the soul; the ego or individual; man) ▼[bhavediti] ① bhavet(pot.Ⅲ.sg.) + iti(ƺ.) → [될 것입니다、 라고.]
‘나는 매우 깊고 미묘한 법을 얻어서, 보기 어려운 것을 능히 보고 알기 어려운 것을 능히 알았다. 그래서 이것은 생각할 수도 없고 생각하기도 어렵다. 그 뜻은 미묘하여 오직 지혜로운 자만이 이 법을 알 수 있다. 만약 남을 위하여 이 법을 말해 주었을 때 그가 능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나는 법을 헛되이 주는 것이 되어 공연히 내 자신만 피곤하고 근심과 번뇌만 더 얻게 될 터이니, 나는 이제 고요한 곳에 홀로 앉아 내가 본 그 법을 사유하면서 안락한 경계에 머물러 있어야만 하겠다.’
그때 세존께서는 이렇게 생각하고 마음을 굳혀서 설법할 생각을 갖지 않았다. 그때 사바세계의 주인인 범천왕은 부처님의 생각을 알아차리고 곧 스스로 생각하였다. ‘이 세간은 변하고 파괴되는 것, 모든 중생들은 이런 괴로운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제 여래ㆍ응공ㆍ정변지께서 세간에 출현하신 것은 만나기 어려운 오담발라(烏曇鉢羅:우담발화)를 만나는 것과 같은 일이다. 이제 세상에 나오신 부처님 스스로 적정(寂靜)을 즐기시고 설법할 생각을 하지 않으시니, 마땅히 우리가 가서 청을 드려야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 나서, 힘센 장사가 팔을 굽혔다가 펼 짧은 시간에 범천에서 사라져 세존 앞에 이르렀다. 부처님 발에 절하고 한쪽에 서서 즉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통쾌하여라. 지금 마갈타국엔 일찍이 없던 정묘한 법[淨妙法]이 나타났네. 모든 법을 깨달은 이시여 부디 감로의 문을 열어 주소서.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내가 얻은 법은 매우 만나기 어려운 것 능히 바다와 같은 생사의 세계를 뛰어넘으니 지혜가 모자라고 어리석은 사람은 항상 흐름을 거슬러 욕망의 밧줄에 결박되어 표류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