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20_T0735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20건도의 하나. 파화합승에 대한 일을 밝힌 편장. 『사분율』 제46권에 있음.
답 후보
● 파승건도(破僧犍度)
팔대용왕(八大龍王)
팔미(八味)
팔상(八相)
팔엽원(八葉院)
팔종별해탈계(八種別解脫戒)
편유(偏有)
◀접기
■ 음악
Serge Gainsbourg - Les Femmes C'est Du Chinois
Louis Chedid - Le blues du dimanche soir
Edith Piaf - Tatave
Jean-Louis Murat - Saint-Amant
Marc Lavoine - Tu Ne Peux Pas Savoir
Jean-Louis Murat - Hombre
Amelie-Les-Crayons - Petit Caillou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68▲ 走辰車车豸 ■ 주진차차치 68 ( 달릴 주 )( 별 진/ 때 신 )(수레 차 / 수레 거 ) ( 수레 차 / 수레 거)( 벌레 치 / 해태 채, 해태 태 ) CF 笏 홀 홀
003▲ 丂 丩九几乃 ■ 교구구궤내 3 ( 공교할 교 / 숨 내쉴 고 )( 얽힐 구 / 얽힐 교 )( 아홉 구 / 모을 규 )( 안석 궤 / 책상 궤 )( 이에 내 / 노 젓는 소리 애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utrantaka
[san-chn]
ārya 大姊
[san-eng]
pramāṇa $ 범어
authority, an ideal
[pali-chn]
cattāri siddhânta 四悉檀
[pal-eng]
kayavikkaya $ 팔리어 m.trade; buying and selling.
[Eng-Ch-Eng]
four kinds of clinging 四取
[Muller-jpn-Eng]
五部秘藏 ゴブヒゾウ five part secret store
[Glossary_of_Buddhism-Eng]
FLOWER GARLAND SCRIPTURE☞
See: Avatamsaka Sutra.
[fra-eng]
votant $ 불어 dialer
[chn_eng_soothil]
法化生身 The nirmāṇakāya, or corporeal manifestation of the spiritual Buddh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阿那含名爲不來, 而實無不來,
是故名阿那含.」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
면, 아나함은 불래(不來)라 하지만 실로는 다시 오지 아니함이 없으므로 이
름을 아나함이라 하기 때문입니다.”
[玄奘] 善現答言: 「不也, 世尊! 諸不還者不作是念 ࡔ我能證得不還之果ࡕ! 何以故?
世尊! 以無少法證不還性, 故名不還. 」
[義淨] 妙生言: 「不爾, 世尊! 何以故? 由彼無有少法證不還性, 故名不還.」
09-07 सुभूतिराह-नो हीदं भगवन्।
न अनागामिन एवं भवति-मया अनागामिफलं प्राप्तमिति।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हि स भगवन् कश्चिद्धर्मो योऽनागामित्वमापन्नः।
तेनोच्यते अनागामीति॥ **
subhūtirāha | no hīdaṁ bhagavan | na anāgāmina evaṁ bhavati mayā
anāgāmiphalaṁ prāptamiti | tatkasya hetoḥ | na hi sa bhagavan
kaściddharmo yo'nāgāmitvamāpannaḥ | tenocyate'nāgāmīti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것은 참으로 아닙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다신돌아오지않는자에 의해 ‘나에 의해 다신돌아오지않는결과가 얻어졌다’라는 그러한
(산냐가) 생겨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다신돌아오지않는상태를
가졌다’라는 그 어떤 법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다신돌아오지않는자’라고.”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no] ① no(ƺ.) → [아닙니다]
▼[hīdaṁ] ① hi(ƺ.) + idaṁ(pn.ƿ.nom.) → [참으로、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na] ① na(ƺ.)
▼[anāgāmina] ① anāgāmina(ƾ.ins.) → [다신돌아오지않는자에 의해]
▼[evaṁ] ① evaṁ(ƺ.) → [그러한]
▼[bhavati] ① bhavati(pres.Ⅲ.sg.) → [(산냐가) 생겨나지 않습니다]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anāgāmiphalaṁ] ① anāgāmi+phalaṁ(ƿ.nom.) → [다신돌아오지않는결과가]
▼[prāptamiti] ① prāptam(njp.→ƿ.nom.) + iti(ƺ.) → [얻어졌다、 라는.]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na] ① na(ƺ.)
▼[hi] ① hi(ƺ.) → [참으로]
▼[sa] ① saḥ(ƾ.nom.) → [그]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이 없습니다 →
~ 없기 때문입니다]
▼[yo'nāgāmitvamāpannaḥ] ① yaḥ(pn.ƾ.nom.) + anāgāmitvam(ƾ.acc.) +
āpannaḥ(njp.→ƾ.nom.) → [(어떠한) 그것은、 다신돌아오지않는상태를、 가졌다(라는).]
▼▷[tenocyate'nāgāmīti]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anāgāmī(ƾ.nom.) +
iti(ƺ.) → [그래서、 말해집니다、 다신돌아오지않는자、 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68일째]
청정신심불가설 $ 068▲翳羅翳羅為 一 ● 薜羅, ○□□□□,最,增,恭,修
□□□□□□□, 最勝悟解不可說,
增上志樂不可說, 恭敬諸佛不可說,
□□□□□□□, 최승오해불가설,
증상지락불가설, 공경제불불가설,
清淨信心不可說,
청정한 믿는 마음 말할 수 없고
가장 나은 깨달음도 말할 수 없고
늘어가는 즐거운 뜻 말할 수 없고
부처님께 공경함을 말할 수 없네.
[67째]
청정중보불가설 $ 067▲尸婆麼怛羅尸婆麼怛羅為 一 ● 翳羅, ○□□□□,上,最,供,清
□□□□□□□, 上妙蓮華不可說,
最勝香鬘不可說, 供養如來不可說,
□□□□□□□, 상묘련화불가설,
최승향만불가설, 공양여래불가설,
清淨眾寶不可說,
깨끗한 여러 보배 말할 수 없고
가장 묘한 연꽃도 말할 수 없고
가장 좋은 향과 화만 말할 수 없고
여래께 공양함을 말할 수 없어
●K0778_T0784.txt★ ∴≪A불설사십이장경≫_≪K0778≫_≪T0784≫
●K0820_T0735.txt★ ∴≪A불설사원경≫_≪K0820≫_≪T0735≫
●K0735_T0147.txt★ ∴≪A불설사위국왕십몽경≫_≪K0735≫_≪T0147≫
■ 암산퀴즈
64* 637
2958 / 87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68 번째는?
03 불법을 지키려는 뜻을 잊지 않도록 증장시키며,
참참포, 讖讖蒱<三>
ksud ksam bhu,
대지를 흔드는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30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chindayāmi kilayāmi//
231 다드바가 ◐怛怛嚩伽<上>嚕茶<金翅鳥王二百三十一>◑Tat vā garuḍa
232 가리참미댜 ◐訖哩耽微地也<二百三十二>◑kritāṃ vidyāṃ
233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三>◑chindayāmi kilayāmi//
234 마하가라 ◐摩訶迦囉<大黑天神二百三十四>◑Mahāㆍkāla
235 마다라가나가리 탐미댜 ◐摩怛囉伽拏訖哩<離枳><反上>耽微地也<二百三十五>◑mātriㆍgaṇaㆍkritāṃ vidyāṃ
236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六>◑chindayāmi kilayāmi//
237 가바리가 ◐迦波哩迦<髑髏外道二百三十七>◑Kāpālika
238 가리탐미댜 ◐訖哩耽微地也<二百三十八>◑kritāṃ vidyāṃ
239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九>◑chindayāmi kilayāmi//
●금강보살장왕(金剛菩薩藏王)들이 정교한 마음으로 가만히 빠르게
저 결정한 사람의 신비한 식[神識]을 일깨우면,
이 사람은 즉시 마음에 팔만사천항하사겁(八萬四千恒河沙劫)의 일을 기억하여
두루 분명히 알고 아무 의혹이 없게 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68
선서(善逝)의덕(德)을 성취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善逝德成就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0768
34
법수_암기방안
23 엄지 (THUMB)
68 요골 ~ 노뼈
67 주관절(肘關節) 팔꿈치
3 밥통 【위】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아래를 향한 개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7-수
Sihanoukville ព្រះសីហនុ Preah Sihanouk Province Cambodia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Wat IntNhean Called Wat Krom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Wat IntNhean Called Wat Krom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현지음악]
[위키 그림 감상]
https://www.wikiart.org 위키피디아: en.wikipedia.org/wiki/John_Henry_Twachtman
○2016_1008_130501_nikon
○2016_1008_150457_canon
○2018_0419_123946_canon
○2018_0419_130121_canon
○2018_0419_134729_canon
○2018_0419_141705_nikon
○2018_0419_143652_canon
○2020_0525_162740_nikon
○2020_0525_181122_canon
○2020_0606_141547_canon
○2020_0606_181012_canon
○2020_0606_184515_canon
○2020_0606_192453_canon
○2022_1116_162502_nikon_exc
○2022_1109_134525_canon_exc
● [pt op tr] fr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