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95_T142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039▲ 末皿矛母目 ■ 말명모모목 39 ( 끝 말 )(그릇 명 )( 창 모 )(어머니 모 / 없을 무 )(눈 목 )
052▲ 兄乎禾各艮 ■ 형호화각간 52 ( 형 형 / 두려워할 황 ) ( 어조사 호 / ~느냐? ~랴! ) ( 벼 화 / 말 이빨의 수효 수 )( 각각 각 )( 괘 이름 간 / 그칠 간, 은 은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Buddha Jayanti Park [san-chn]
durbala-kula 不信家 [san-eng]
sambhavati $ 범어 occur, arise [pali-chn]
satthar 大師, 師 [pal-eng]
diipa $ 팔리어 m.1. a lamp; 2. an island; 3. help; support. [Eng-Ch-Eng]
十堅心 Equivalent to 十回向. [Muller-jpn-Eng]
徧參 ヘンザン travel around to various teachers to engage with them on questions of enlightenment [Glossary_of_Buddhism-Eng]
HEAVEN OF THE FOUR KINGS☞ See also: Four Heavenly Kings. “The heaven of the guardian kings of the four directions surrounding Mount Sumeru.” Inag: 403 #0703
[fra-eng]
premier plan $ 불어 foreground [chn_eng_soothil]
西藏 Tibet.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若菩薩心住於法, 而行布施, 如人入闇, 卽無所見; 수보리야,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 두고 보시하는 것은 마치 어두 운 곳에 있는 사람이 아무 것도 보지 못하는 것 같고, [玄奘] 善現, 譬如士夫入於闇室, 都無所見. 當知菩薩若墮於事, 謂墮於事而行布施, 亦復如是. [義淨] 妙生, 若菩薩心住於事而行布施, 如人入闇則無所見; 14-20 तद्यथापि नाम सुभूते पुरुषोऽन्धकारप्रविष्टो न किंचिदपि पश्येत्, एवं वस्तुपतितो बोधिसत्त्वो द्रष्टव्यो यो वस्तुपतितो दानं परित्यजति। tadyathāpi nāma subhūte puruṣo'ndhakārapraviṣṭo na kiṁcidapi paśyet | evaṁ vastupatito bodhisattvo draṣṭavyo yo vastupatito dānaṁ parityajati | 그것은 또한 마치, 수보리여! 어둠속에 들어간 사람이 어떤 것도 볼 수 없는 것과 같이, 그렇게 경계에 떨어져 깨달음갖춘이는 경계에 떨어져 베풂을 깡그리 행한다고 보여져야 한다. ▼▷[tadyathāpi] ① tat(pn.ƿ.nom.) + yathā(ƺ.) + api(ƺ.) → [그것은、 마치、 또한] ② yathā(ƺ. in which manner or way, according as, as it is or was; as, as like) ▼[nāma] ① nāma(ƺ.) → [실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puruṣo'ndhakārapraviṣṭo] ① puruṣaḥ(ƾ.nom.) + andhakāra+praviṣṭaḥ(nj.→ƾ.nom.) → ▼[사람이、 어둠에 들어간] ② puruṣa(ƾ. a male being, man; mankind; the soul; the supreme being: [ā]Ʒ. a woman) ② andhakāra(nj.) < * + ra(possessive) < andhakā(Ʒ. night; a kind of game; a woman of a particular character) ② praviṣṭa(p.p. gone or entered into; to enter upon, commence; to appear) ▼[na] ① na(ƺ.) ▼[kiṁcidapi] ① kiṁcit(ƺ.) + api(ƺ.) → [어떤 것도] ② kiṁ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paśyet] ① paśyet(pot.Ⅲ.sg.) → [볼 수 없다. → 볼 수 없는 것과 같이,] ② paś(4.dž. to see, look at, observe) ▼▷[evaṁ] ① evaṁ(ƺ.) → [그렇게] ② evaṁ(ƺ. thus, in this way, in a such manner) ▼[vastupatito] ① vastu+patitaḥ(nj.→ƾ.nom.) → [경계에 떨어진] ② vastu(ƿ. a real existing, the real; a thing in general, an object; wealth) ② patita(p.p. fallen, descended, alighted; dropped; abandoned) < pat(1.ǁ. to fall; to fly) ▼[bodhisattvo] ① bodhisattvaḥ(ƾ.nom.) → [깨달음갖춘이는] ▼[draṣṭavyo] ① draṣṭavyaḥ(njp.→ƾ.nom.) → [보여져야 한다] ② draṣṭavya(pot.pass.p. should ~) < * + tavya(pot.pass.p.) < dṛś(1.ǁ. to see, look at, observe, view; to look upon, regard; to visit, wait or call upon) ▼[yo] ① yaḥ(pn.ƾ.nom.) → [(어떠한) 그는] ▼[vastupatito] ① vastu+patitaḥ(njp.→ƾ.nom.) → [경계에 떨어져] ▼[dānaṁ] ① dānaṁ(ƿ.acc.) → [베풂을] ② dāna(ƿ. giving, granting, teaching; delivering, handing over; a gift, donation) ▼[parityajati] ① parityajati(pres.Ⅲ.sg.) → [깡그리 행한다(고).] ② parityaj(1.ǁ. to leave, quit, abandon; to resign, give up, discard) [dānaparityāgaḥ] ① dāna+parityāgaḥ(ƾ.nom.) → [깡그리 베풂이] ② parityāga(ƾ. abandonment; giving up) < pari(ƺ. round, about) + tyāga(ƾ. leaving; giving up) < tyaj(1.ǁ. abando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아난아, 이 선남자가 이 주문을 지닐 때에는, 가령 주문을 수지하기 전에 금계(禁戒)를 범했을지라도, 주문을 지닌 뒤에는 온갖 파계 죄는 가볍고 무거움을 가리지 않고 일시에 소멸하며, 비록 술을 마시고 오신채(五辛菜) 등 가지가지 부정(不淨)한 음식을 먹고 지냈을지라도, 일체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과 하늘과 신선과 귀신(鬼神)들은 그것을 잘못으로 여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