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Ver. 250111250111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대지도론
- 마하승기율
- 방광반야경
- 정법화경
- 증일아함경
- 유마힐소설경
- 수능엄경
- 대반열반경
- 대방광불화엄경
- 가섭결경
- 종경록
- 백유경
- 아미타불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마명
- 반야심경
- 장아함경
- 원각경
- 유가사지론
- 대승기신론
- 묘법연화경
- 유마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중아함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무량의경
- 금강삼매경론
- Japan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잡아함경
Archives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Tags
- #진나dignaga #陳那 #동수(童授) #대역룡(大域龍) #역룡(域龍) #디그나가 #마하디그나가 #dignāga #diṅnāga #phyogs #(kyi) #glang #(po) #dignaga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장중론(掌中論) #관소연연론(觀所
- .
- 1. 성취존자설불공신주공덕분(成就尊者說不空神呪功德分)
- 1. 십선업도품(十善業道品) ①
- 10. 법사품(法師品)
- 10. 조명품(照明品)
- 108번뇌
- 10발취十發趣
- 10법주十法住
- 10선업 6 바라밀수행과 네가지 영락장엄
- 10심주十心住
- 10전
- 10지주十地住
- 10해十解
- 10현연기
- 10현연기무애법문
- 11. 견보탑품(見寶塔品)
- 11. 불가계품(不可計品)
- 119 탤리안 포인트 로드
- 12 인연과 3 해탈문
- 12 인연과 3고(행고
- 12 인연과 3세양중인과
- 12 인연과 공
- 12 인연과 번뇌-업-고
- 12 인연과 제일의제
- 12 인연의 2 종 작(作)
- 12. 비유품(譬喩品)
- 1200명의 학생과 왕을 가르치는 선생님
- 12연기
- 12인연과 마음
- 12인연과 번뇌-업-고
- 13. 분별품(分別品)
- 13. 항마품(降魔品)
- 14. 본무품(本無品)
- 14. 전법륜품(轉法輪品) ①
- 18공
- 1분설 이분가(二分家)ㆍ자체분(自體分)
- 1석5조 산책운동과 키워드의 중요성
- 2. 성취수지공양신주법분(成就受持供養神呪法分)
- 20. 불퇴상품(不退相品) ①
- 2017 티스토리 결산
- 2557 년 이전 페이지
- 25번째선지식
- 2분설
- 2선二禪
- 3 가지 의업
- 3 귀의 부처님보시간의 가치우열비교
- 3 승이 배워야할 반야바라밀
- 3 취정계-요익일체유정계
- 3 해탈문
- 3. 성취친견성관자재보살법분(成就親見聖觀自在菩薩法分)
- 31) 연화왕(蓮華王)이 몸을 버려 붉은 물고기[赤魚] 로 된 인연
- 32) 범예왕(梵豫王)이 바라문에게 양곡(糧穀)을 보시한 인연
- 33) 시비왕(尸毘王)이 자기 눈을 도려내어 수리[鷲] 에게 보시한 인연
- 34) 선면왕(善面王)이 법을 구한 인연
- 35) 범마왕(梵摩王)의 태자가 법을 구한 인연
- 36) 바라문이 부처님에게 빚을 받게 된 인연
- 37) 부처님께서 반열반에 드실 무렵에 5백 역사(力士)들을 제도하신 인연
- 38) 토끼가 선인(仙人)에게 공양하기 위해 그 몸을 불사른 인연
- 39) 법호왕자(法護王子)가 그 어머니에게 살해당한 인연
- 3가지 신업
- 3계6도의 생사고통에서 구제하는 방편
- 3계허망 단시심작(三界虛妄,但是心作)
- 3루漏
- 3박縛
- 3분설
- 3선三禪
- 3세양중인과
- 3악도
- 3유
- 3유三有
- 3지작법(支作法)
- 3현위
- 3혹惑
- 4 가지 구업
- 4 여의족과 방편의 선악무기성
- 4. 성취화상탱법분(成就畵像幀法分)
- 4. 출생보살품(出生菩薩品)
- 40) 도둑 루타(樓陀)의 인연
- 46. 취지품 ③
- 47.진여품(眞如品) ①
- 4념처(念處)
- 4대왕천 수명 지옥
- 4류流
- 4분설(四分說)
- 4불괴정(不壞淨)
- 4불성과(四不成過)
- 4사문과(沙門果)
- 4상위과(四相違過)
- 4선四禪
- 4성종(聖種)
- 4액軛
- 4연
- 4종 만다라
- 4취取
- 4통(通)
- 5 온이 공함
- 5. 성취사자능변사법분(成就使者能辨事法分)
- 500 사슴(수발타)을 구한 사슴왕과 범마달다왕
- 55善知識
- 5근
- 5둔사鈍使
- 5리사利使
- 5백 아라한의 참회 및 중생제도 성불 서원보살 및 아라한의 법화경 수지 설법 홍포
- 5백현성五百賢聖
- 5상분결上分結
- 5온
- 5온과 무아
- 5위100법
- 5정심관
- 5하분결下分結
- 6 바라밀다가 제거하는 번뇌
- 6 바라밀다와 6 근 통제
- 6 사외도의 입장과 불교의 입장의 차이
- 6. 현전지(現前地)
- 60권본
- 6리합석(離合釋)
- 6부정과(六不定過)
- 6자신주경
- 7. 아식경계품(我識境界品)
- 7. 원행지(遠行地)
- 7일간의 진실한 법락의 사유
- 8. 아뢰야즉밀엄품(阿賴耶卽密嚴品)환희 봉행
- 8. 오백제자수기품(五百弟子授記品)
- 80권본
- 8만4천번뇌
- 8전纒
- 9. 수학무학인기품(授學無學人記品)야수다라 비구니 구족천만광상 여래 성불수기
- 9결結
- 9구인(九句因)
- ;tathagata matrix
- <br /> 『불설대승관상만나라정제악취경』<br /> K1221<br /> T0939<br /> <br /> 하권<br /> <br /> <a class="con_link" href="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er?dataId=ABC_IT_K1221_T_002&iskor=1" target="_blank"> ● 한글대장
- <br /> 『불설정생왕인연경』<br /> K1469<br /> T0165<br /> <br /> 제2권<br /> <br /> <a class="con_link" href="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er?dataId=ABC_IT_K1469_T_002&iskor=1" target="_blank">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 adbhutadharma
- affliction
- Aldinga
- Alexander Park
- Ǎn Má Ní Bā Mī Hōng
- Án ma ni bát mê hồng
- anutpattika-dharma-kṣānti.
- Armenia--Yerevan
- asaṃkhya
- asaṃkhyeya
- āśraya-parāvṛtti
- aṭṭha-puggalādakkhiṇeyyā
- Australia
- avadāna
- avaivartika
- avici
- avinivartanīya
- Avis
- Balabolka
- bhagavant
- bhagavat
- British Columbia Canada
- buddha-nature
- buddhatā;buddhatva;buddha-dhātu
- Cadalso de los Vidrios
- Campus Pont de Bois
- Carn (Fowler)
- cattāro āhārā
- cattāro-iddhi-pādā
- catur-apramāṇa
- catvā āhārāḥ
- catvāra-ṛddhipādā
- changing-the-basis
- Château de Lalinde
- Château de Saint-Germain
- China
- choszagpadangbcasparnmas
- Choteč (Village Jičín) Czech_Republic
- Chùa Ngũ Xã
- conditioned existence
- County Mayo<br />AuthorComhar<br /><a h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Greystone011-6may08_004.JPG" target="_blank">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a><br />● [pt op tr] fr<br />_M#]<br /> <br /> <br />♡지선사<br />○ [pt op tr]
- Court GANESH Arcade Chiang Mai
- Czech
- Daianji
- daśa-bala
- Dawson Creek
- de bzhin gshegs pa'i stobs bcu
- debzin'shegspa'isnyingpo
- Denmark Aarhus
- dgeba'irtsaba
- dhāranī
- dignāga
- diṅnāga
- direct perception
- dkyil ’khor
- Donetsk Art Museum
- Dunster Castle the United Kingdom
- dus byas
- dus byas kyi chos
- Erris
- four accesses and four accomplishments
- four good roots
- four super natural powers
- France
- gang zag
- gangpo
- gāthā
- geya
- gnasgyurpa
- gzugskyikhams
- hainan
- Hanoi
- hatfield
- havingoutflow
- hetu-vijjā hetu-vidyā gtan tshigs kyi rig pa indian logics
- Higher Institute of Police Sciences and Internal Security
- homa
- HTM 태그
- identity view
- if 만일--라면의 논의의 의미
- if만일-라면식 논의
- Ireland
- itivṛttaka
- Japan
- jātaka
- Jetavana
- Jetavana sravasti
- jigstshogslaltaba
- Jordan Zarqa
- Kagyu Samyé Ling Monastery and Tibetan Centre
- karuṇā
- kavlī-kārāhāra
- Kek Lok Si
- Kilcommon
- kilesa
- kleśa
- KosovoPrizren
- kuśalamūla
- li t'ung-hsüan
- Lighthouse Rd_호주
- Mahāvaipulya Buddhāvataṃsaka Sūtra
- maitrī-apramāṇa-citta
- Malta Valletta
- man da ra ba
- Mandala
- maṇḍala 또는 만다라(滿茶羅)
- māndāra ; mandārava
- mayo
- mò gāo kū
- Moldova
- muditā
- mūla-kleśa
- Nagadeepa Purana Viharaya
- nalakūvara
- netherlands
- New Jersey State House Museum
- Ngũ Xã
- nidāna
- non-backsliding
- not-backsliding
- nyonmongspa
- Oṃ Maṇi-Padme Hūṃ
- OnManiHatsuMeiUn
- Ostrov nad Oslavou
- Pāpiman【팔】Pāpimant
- pāpīya
- papiya;demonking
- Pavurallakonda India
- phirmildogpa
- phyogs (kyi) glang (po)
- Pitaka_K0570V15P1141c.
- Portugal
- Prajñā)
- pratyakṣa-pramāṇa
- protection
- pudgala
- puṇṇa
- PuṇṇaMantānīputta
- PURNA
- rdzu'phrulgyirkangpabzhi
- rjessudpagpa
- root kleshas
- rūpa-dhātu
- Rybné (Village - Jihlava)
- Saint Helena
- sakkāya-diṭṭhi
- saṁskṛta-dharma
- sangsrgyaspanyid
- Sankasia
- Sankasya_India
- Sankissa
- Sasrava
- sāsrava-dharma
- satkāya-dṛṣṭi
- sbyinsreg
- self view
- Shangfeng
- siddhi
- Spain
- Spain Barcelona
- Sudatta
- sukhāvatī 수가마제(須呵摩提)
- sumati
- susiddhi
- sūtra
- t2s 앱
- TanzaniaDar es Salaam
- tārā-bodhisattva
- tathagata as the womb
- tathāgata-garbha
- Tathāgatagarbha
- Tauragės 리투아니아
- ten propensities
- Thailand
- the maked things
- the sacrifice with fire;the fire ritual
- the six points of reverent harmony
- the subject of an individual ; the personal entity
- the truth having outflow
- the United Kingdom
- the view of attachment to self
- the_United_Kingdom
- Tiraspol
- Trintelen
- Trúc Bạch
- TTS
- TTS한글
- udāna
- Úm ma ni bát ni hồng
- Um maani badmi khum
- Université de Lille
- University of Aberdeen
- University of Hertfordshire
- upadeśa
- upekṣā
- vaipulya
- Vajrayana
- Vasumitra 화수밀(和須蜜)
- vasuvandhu
- vidyā-ṣaḍakṣarī OmMaNiPeMeHum
- Vierhuizen - Delfzijl
- view of individuality
- viṃśatiśūnyatāḥ
- Vinayavastu
- vyākaraṇa
- Wat Phra Kaew
- Wat Rachathiwat
- Wat Si Khom Kham
- Wat Suwannaram วัดสุวรรณาราม
- Wat Yan Nawa
- Westbury Court Garden
- WHALE 브라우저를 통한 TTS
- Xalapa Enríquez
- zagpadangbcaspa
- zas bzhi
- ZONGJINGLU
- [영어]the four kinds of food
- ]三性說
- _South_Australia
- _부처가_될_가능성유무가_논의_주제인_경우
- ·6수면
- Ум маани бадми хум
- अविनिवर्तनीयः
- ॐ मणि पद्मे हूँ
- ․ 多羅尊
- ․ 다라존
- ○불퇴전보살의 무의혹과 그 사유
- ○불퇴전보살의 성품 특성-자비희사와 번뇌제거
- ●있고 없음의 일반적 판단문제
- ♡Vietnam
- ♥ESIEE Paris - École Supérieure d'Ingénieurs en Électrotechnique et Électronique
- ♥단상♥안 하다 하는 운동의 부작용
- 《60권 화엄》
- 《80권 화엄》
- 《구화엄(舊華嚴)》
- 《당경(唐經)》
- 《당본(唐本)》
-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 《보현행원품》
- 《신화엄(新華嚴)》
- 《십지경(十地經)》(산스크리트어: Daśabhūmika Sūtra)
-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 《정원경(貞元經)》
- 《진경(晉經)》
- 《진본(晉本)》
- 『40화엄경』
- 『구사론』에서는 혜(慧)라는 심소를 대지법(大地法)의 하나로 하여 모든 심식(心識)에 따라서 일어난다 하고
- 『구역화엄경(舊譯華嚴經)』
- 『당경화엄경(唐經華嚴經)』
- 『당경화엄경』
- 『당본화엄경(唐本華嚴經)』
- 『당본화엄경』
- 『백자론』과 가정적항변
- 『변론술기』규기
- 『변중변론소』현범
- 『분별중변론소』원효
- 『신역화엄경(新譯華嚴經)』
- 『신역화엄경』
- 『실상반야바라밀경』
- 『십문현의배과석략』
- 『십팔공론』
- 『유식론』에서는 100으로 분류하며
- 『유식종』에서는 어리석고 우매한 마음에는 이 심소가 없다 하며
- 『육십화엄(六十華嚴)』
-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 『진경화엄경(晋經華嚴經)』
- 『진본화엄경(晋本華嚴經)』
- 『팔십화엄(八十華嚴)』
- 『팔십화엄』
- 『화엄회석(華嚴會釋)』
- 『회쟁론』
- 『회쟁론』의 구체적 고찰
- 【범】(Buddha)avataṃsakasūtra
- 【범】Madhyāntavibhāṅgabhāṣya
- ㅏ
- 一切道種智
- 七法財
- 七種眞如
- 三聚淨戒 삼종계장(三種戒藏)
- 上封寺
- 不退
- 世尊寺跡_일본
- 九地
- 九有情居
- 二種轉依等
- 佛光寺(ぶっこうじ)(京都市下京区)
- 佛駄跋陀羅)
- 俱胝
- 傳燈錄
- 六地蔵塔 (南さつま市)
- 分別瑜伽品
- 加被
- 十住
- 十信
- 十力
- 十重大戒 the ten heavy great precepts
- 十重戒
- 十重禁戒
- 吉崎御坊
- 呼麽
- 唵嘛呢叭咪吽
- 唵麼抳鉢訥銘吽
- 善現天梵Sudṛśa
- 善見天梵Sudarśana
- 四十八輕戒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십
- 四向四果
- 四善根
- 四無所畏
- 四禪
- 四種道
- 四食
- 因明
- 地婆訶羅)
- 多利尊
- 多利菩薩
- 多口利菩薩
- 多唎菩薩
- 多羅尊觀音
- 多羅菩薩
- 多羅觀世音
- 大安寺(だいあんじ)(奈良県奈良市)
- 大梵天梵Mahā-brahman
- 如來藏
- 妙目精
- 婆伽婆
- 婆須蜜
- 宗鏡錄
- 富婁那
- 富山県立大学Toyama_Prefectural_University
- 富樓那
- 少光天梵Parīttābha
- 少淨天梵Parītta-śubha
- 居士
- 巴 mano sañcetanākārāhāra)
- 巴 phassākārāhāra)
- 巴 viññāṇākārāhāra)
- 廣果天梵Bṛhat-phala
- 悉地
- 愧
- 支提
- 救度
- 景德傳燈錄
- 曼茶羅
- 曼陀羅
- 有漏
- 有漏法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
- 梵衆天梵Brahma-pāriṣadya
- 梵語 catvāra āhārāḥ 或 āhāra-catuṣka
- 梵輔天梵Brahma-purohita
- 極光淨天梵Ābhāsvara
- 極度
- 極樂
- 永仙院 (古河市)
- 永保寺(えいほうじ)(岐阜県多治見市)
- 波旬
- 滿茶邏
- 火祭祀法․火供養法․火供養․火供․火法․火食
- 無上正眞道意․ 無上菩提心․ 無上道心․ 無上道意․ 無上心․ 道心․ 道意․ 道念․ 覺意.
- 無煩天梵Avṛha
- 無熱天梵Atapa
- 無生法忍
- 無量光天梵Apramāṇābhā
- 無量淨天梵Apramāṇa-śubha
- 無間地獄
- 無雲天梵Anabhraka
- 煩惱
- 現量
- 眼
- 瞳子
- 福生天梵Puṇya-prasava
- 聖多羅菩薩
- 能破
- 自恣
- 色界
- 色究竟天梵Akaniṣṭha
- 荐福观音寺
- 莫高窟
- 蔓陀囉
- 薩婆若․薩云然.
- 補特伽羅
- 西光寺 (西脇市) - 兵庫県西脇市
- 護摩
- 護魔
- 轉依
- 辯中邊論
- 迦濕彌羅國
- 遍淨天梵Śubha-kṛtsna
- 那吒
- 阿鞞跋致
- 阿鼻地獄
- 阿鼻旨
- 阿鼻至
- 陳那
- 險難國寶莊嚴城
- 須摩提
- 鶴岡二十五坊
- 가(加).
- 가加
- 가난한 이가 빚을 얻어 보시함
- 가니색가왕迦膩色迦王
- 가다연나(大迦多衍那)
- 가다연니자
- 가득 상사과류(可得相似過類)
- 가란나가 죽림정사의 배경
- 가비(加備)
- 가비加備
- 가섭 마등의 신이
- 가섭결경
- 가섭마등 축법란 백마사 사십이장경의 전래(67)
- 가섭마등의 금광명경 강의와 전쟁 예방의 신이
- 가섭부불반열반경
- 가섭형제중 오로미라가 늦게 교화된 사정-보시의 망설임
- 가우(加祐)
- 가우加祐
- 가위(加威)
- 가위加威
- 가이아나
- 가저야야나(迦底耶夜那)
- 가정적 논의 방식으로 논서를 살피기
- 가정적 논의의 기본문제
- 가정적 항변 방식에 의한 유무문제 논의의 문제점
- 가정적 항변의 배경사정과 가정적 항변방식
- 가지
- 가치나(迦郗那)ㆍ갈치나(羯恥那)
- 가타(
- 가타(伽陀)
- 가피
- 가해와 피해의 중첩관계
- 가호(加護)
- 가호加護
- 각(覺)
- 각기 다른 취지에 맞는 각기 다른 논의
- 각성覺性
- 각의 - 법신 - 본각- 이념(離念)
- 각천
- 갈리계왕의 서원
- 갈마
- 갈마부羯磨部
- 갈치나
- 감각현실 및 관념사이의 유무 판단의 혼동 문제
- 감각현실 측면의 유무
- 감각현실과 관념 및 각 영역 사이의 혼동
- 감각현실과 실재의 관계
- 감각현실을 실답지 않다고 보는 사정
- 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
- 갑사
- 강거
- 강맹상
- 강승회
- 같은 삼매의 맛
- 같은 일의 무한 반복 -한파 동파
- 개蓋
- 거금도
- 거래품
- 거사
- 거죄교참계(舉罪教懺戒)
- 거짓말
- 거짓말의 과보
- 거짓말의 인연
- 건치범찬
- 건타국왕경
- 건타라국
- 겁화
- 게송의 정확한 기억필요성
- 견(見)화경
- 견분(見分)
- 견처(見處)
- 견처見處
- 결結
- 결의(決疑)
- 결의무외(決疑無畏)
- 경률논 3 장의 공통성- 지혜
- 경률이상
- 경멸
- 경문 스님
- 경부(經部).
- 경사존장계(敬事尊長戒)
- 경심설법계(敬心說法戒)
- 경애법敬愛法vaśīkaraṇa
- 경율이상
- 경의 공덕-백법명문의 증득
- 경의 부촉과 경명 -금강삼매본성청정불괴불멸경
- 경전 핵심 키워드 정리와 암기
- 경전에서 시설하는 언어방편에 대한 혼동
- 경전의 공덕과 신수 봉행
- 경전의 생사현실에 대한 입장
- 경전의 설처 - 타화자재천
- 경전의 왕 법화경
- 계(戒)화경
- 계繫
- 계경
- 계경 등을 비추어 주기 위함
- 계경(契經)
- 계금취견(戒禁取見)
- 계단(戒斷)
- 계룡산
- 계심(戒心)
- 계와 장부 4 대의 성품이 나타남
- 계율 근거
- 계율을 지키지 않음을 감출 수 없음
- 고(苦)
- 고苦
- 고고
- 고금역경도기
- 고기송(孤起頌)
- 고독단시(孤獨團施)
- 고란사
- 고란사_부여
- 고승법현전
- 고승전
- 고인명(古因明)
- 고진감래 감진고래와 수행방안
- 고통의 소멸
- 고현(高顯)
- 곡성
- 곤명지
- 공(空)과 공하지 않음
- 공공
- 공공空空
- 공과 반야바라밀의 방편
- 공과 수행목표
- 공과 집착
- 공과 희론과 배움
- 공덕화취보살십행품
- 공무변처
- 공부정과(共不定過)
- 공비량共比量
- 공사청법계(供師請法戒)
- 공산사
- 공삼매
- 공삼매문의 종류
- 공상공共相空
- 공양경전계(供養經典戒)
- 공의 성품
- 공정(空定)
- 공정(空定)의 종류
- 공중으로 솟은 칠보탑안의 음성
- 공통성- 지혜
- 공통성과_차별성_및_성품의_다양한_측면
- 공한 실재와 5온 12처 18계 12 연기 4 성제 지 소득 무소득의 관계
- 공함의 이치
- 공해탈문
- 과거 보살행을 닦은 부루나
- 관거래품
- 관념 영역에서 관념의 유무 문제
- 관념분별의 측면의 유무
- 관보현보살행법경
- 관상불모반야바라밀다보살경
- 관세음보살
- 관소연연론
- 관인연품
- 관정주灌頂住
- 관찰함[觀] - 정진
- 관허공장보살경
- 광과천廣果天
- 광대무변한 서원
- 광대발원송
- 광대한 전법륜에 들어감과 실상반야바라밀 - 람
- 광명
- 광명진언
- 광목천왕
- 광박엄정불퇴전륜경
- 광석보리심론
- 광연품
- 광찬경
- 광홍명집
- 광흥사
- 괴고)
- 괴신견(壞身見) 이전신견(移轉身見)
- 괴신견壞身見
- 교진여와 500 아라한 보명여래 성불 수기12. 권지품(勸持品)
- 구(口)화경
- 구垢
- 구경각 - 무념과 무시무명
- 구경각과 비구경각
- 구경일승보성론
- 구경전의究竟轉依
- 구글의 번역 tts
- 구덕작사계(具德作師戒)
- 구도
- 구리(俱梨).
- 구마라집
- 구무실(口無失)
- 구분 부정과(俱分不定過)
- 구분전의具分轉依
- 구불견과(俱不遣過)
- 구불극성과(俱不極成過)
- 구불성과(俱不成過)
- 구사론
- 구소법鉤召法
- 구속위고계(救贖危苦戒)
- 구시나성
- 구식九食
- 구유정거
- 구자화경(口慈和敬)
- 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
- 구지
- 구치(俱致)
- 구품일분전부정과(俱品 一分轉 不定過)
- 국왕
- 국왕불리선니십몽경
- 국왕의 덕
- 권전
- 귀천과 마음
- 균여
- 극광정천極光淨天
- 극도
- 극락
- 극락(極樂)
- 극락국토
- 극락정토
- 극수상영왕여래
- 근본번뇌(根本煩惱)
- 근본설일체유부니다나
- 근본설일체유부백일갈마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송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피혁사
-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 근본을 버리고 지말적인 것만 취함
- 근본혹(根本惑)
- 근상하지력
- 금감삼매야와 불지
- 금강-의미-법-일체의 평등함과 정각의 성취와 실상반야바라밀- 옴
- 금강경
- 금강경_범어본_데와나가리본
- 금강계 만다라
- 금강반야론
- 금강반야바라밀
- 금강반야바라밀경
- 금강반야바라밀경(진제역)
- 금강반야바라밀경-공부
- 금강반야바라밀경론
- 금강반야바라밀경파취착불괴가명론
- 금강부金剛部
- 금강비밀선문다라니주경
- 금강삼매경
- 금강삼매경론
- 금강삼매와 무상정등정각
- 금강삼매의 출발점[관]과 종착점[지]
- 금강삼매의 특성-부주불생~불괴불멸
- 금강삼매의 효능 - 번뇌를 없애지 않고 번뇌를 말림
- 금강삼매의 효능 - 생사를 끊지 않고 3 독을 제거함
- 금강상적멸부동
- 금강수광명관정경최승입인성무동존대위노왕염송의궤법품
- 금강수보살
- 금강승
- 금강의 신구의 및 지인과 실상반야바라밀 - 아
- 금강장다라니경
- 금강장보살과 일체불법여실견보살
- 금강장보살에 대한 찬탄
- 금강장보살의 대지혜광명삼매
- 금강장보살의 삼마지 경계에 대한 질문
- 금강정경
- 금강정경관자재왕여래수행법
- 금강정경유가문수사리보살공양의궤
- 금강정경유가문수사리보살법일품
- 금강정경유가수습비로자나삼마지법
- 금강침론
- 금강침론(金剛針論)
- 금륜왕불정요약염송법
- 금색동자인연경
- 급고(給孤). 수달다
- 급고독
- 급고독장자- 수달다(sudatta)
- 급고독장자의 귀의
- 급고독장자의 보시- 견고하지 못함을 견고한 것으로 바꿈
- 기본 경전 사십이장경의 전래 배경
- 기본적인 계의 수행덕목을 제시하는 사정
- 기본적인 전도망상의 발생이유
- 기봉사
- 기세경
- 기수급고독원[c]祇樹給孤獨園
- 기야(祇夜)
- 기원전 년도계산
- 기원정사
- 기제(棄除)
- 기존 상태의 사라짐으로 인한 고통과 두려움
- 기타태자의 보시
- 길상吉祥
- 길상사
- 깨달음 등력 무외 대비
- 깨달음과 도와 불법의 증득의 관계
- 깨달음과 도의 관계
- 깨달음의 뜻을 열기 위함
- 꿈과 달리 실다운 진짜를 찾게 되는 사정
- 꿈이 실답지 않음과 진짜의 존부문제
- 나라쿠바라
- 나란다대학
- 나를 헤아라지 않게 하기 위함
- 나무법
- 나무불
- 나무승 <a href="https://m.map.daum.net/actions/detailMapView/?panoId=1069681493&pan=262.6&tilt=15.8&zoom=0&map_type=TYPE_MAP&map_attribute=ROADVIEW&q=%EB%B6%80%EC%82%B0+%EB%82%A8%EA%B5%AC+%EB%8C%80%EC%97%B05%EB%8F%99+281-6&u
- 나무승 <a href="https://map.daum.net/?map_type=TYPE_SKYVIEW&map_hybrid=true&q=%EC%A0%84%EB%B6%81+%EC%A0%84%EC%A3%BC%EC%8B%9C+%EC%99%84%EC%82%B0%EA%B5%AC+%ED%8F%89%ED%99%94%EB%8F%99+%EC%82%B041+%EC%A7%80%EC%84%A0%EC%82%AC&urlX=531377&url
- 나무승 <br /> <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c/Greystone011-6may08_004.JPG" style="max-width: 100%;" /><br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 나무승 <br /> <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e/Ssangbongsa_11-05146.JPG" style="max-width: 100%;" /><br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 나무승 Claude-Monet-water-lilies-1899<br />[#M_▶더보기|◀접기|<br />Artist: Claude-Monet<br />https://en.wikipedia.org/wiki/Claude_Monet<br />Title : water-lilies-1899<br /><a href="https://www.wikiart.org/en/claude-monet/water-lilies-1899" tar
- 나무승 Greystone011-6may08_004<br />[#M_▶더보기|◀접기|<br />English: An unclassified megalithic tomb situated on the north slopes of Faulagh mountain
- 나무승 pablo-picasso-man-with-guitar-1912<br />[#M_▶더보기|◀접기|<br />Artist: pablo-picasso<br />https://en.wikipedia.org/wiki/Pablo_Picasso<br />Title : man-with-guitar-1912<br /><a href="https://www.wikiart.org/en/pablo-picasso/man-with-gui
- 나무승 Ssangbongsa_11-05146<br /> <br /> <br />♡금련선원<br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 나박나설구료소아질병경
- 나반존자
- 나쁜 말의 과보
- 나쁜말
- 나타
- 나타태자
- 나형외도(裸形外道)
- 낙무량(樂無量)
- 낙식樂食
- 낙유(樂有) 극락세계
- 난문공덕품
- 난위煖位
- 난타
- 남녀상 분별을 떠남
- 남명전화상송증도가사실
- 남방 12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내공
- 내공內空
- 내녀 아들 기역의 부처님 방문과 목욕 공양
- 내보여래
- 내부적으로 6 바라밀을 닦는 방안 -數隨止觀還淨
- 내소사
- 내외공
- 내외공內外空
- 내호마
- 네 가지 은혜
- 념무실(念無失
- 념불퇴念不退
- 노차경
- 노탑(露塔)
- 노행외도(露行外道)
- 녹야원
- 논서를_살피는_과정에서_공통주의점
- 논을 지은이 - 세존
- 논의 배경사정과 혼동문제
- 논의 취지와 배경 맥락에 따른 의미 파악
- 논의(論議)
- 논의상 언어표현 의미혼동문제
- 논의의 방식 - 가정적 방식
- 논의의 초점과 목표 및 취지
- 뇌야연기(賴耶緣起)
- 누漏
- 누영진무외(漏永盡無畏)
- 누진(漏盡)
- 누진무소외
- 누진지력
- 누漏
-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의정)
- 능량能量
- 능립불견과(能立不遣過)
- 능립불성과(能立不成過)
- 능별불극성과(能別不極成過)
- 능생(能生)
- 능엄주
- 능전도能轉道
- 능지(能持)
- 능지외(能持無畏)
- 능차(能遮).
- 능파
- 능파能破
- 능현의지주식能顯依止住食
- 니건란도자(尼犍爛徒子)
- 니건자
- 니건타(尼乾陀)
- 니건타불달라(尼乾陀弗怛羅)
- 니건타야제자(尼乾陀若提子)
- 니구타범지와 부처님의 만남
- 니구타범지와 불교수행의 차이 -세간의 집착의 유무
- 니구타의 수행-세간을 벗어난 깨끗함
- 니다나(尼陀那)
- 니타나(尼陀那)
- 다구리보살
- 다라관세음
- 다라관음(多羅觀音)
- 다라나(陀羅那)
- 다라니
- 다라니경
- 다라니잡집
- 다라존관음
- 다른 이들의 이익을 위하여
- 다리보살
- 다리존
- 다린니(陀鄰尼)
- 다문불이품
- 다문천왕
- 다보여래의 분신불의 모임과 다보여래 친견
- 다양한 개성과 서원
- 다재석(多財釋)
- 단(壇)
- 단(斷)
- 단멸관과 무량한 생사문제
- 단산사
- 단식(段食)
- 단식(段食) 촉식(觸食) 사식(思食)․ 식식(識食)․ 선열식(禪悅食)․ 법희식(法喜食) 원식(願食)․ 념식(念食) 해탈식(解脫食)
- 단식段食(梵 kavaḍiṃkārāhāra
- 단엄端嚴
- 단여(團與)
- 담무덕부사분율산보수기갈마
- 담무덕율부잡갈마
- 담무참
- 담양백양사
- 답보(答報)
- 답보무외(答報無畏)
- 당호법사문법림별전
- 대가다연나
- 대가를 바라지 않고 일체중생을 위한 보시 수행공덕
- 대가전연
- 대공
- 대공大空
- 대광요여래
- 대길상다라니
- 대길상다라니의 공덕
- 대논사들이 기울거나 동요하지 않음을 드러내기 위함
- 대림정사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제318권
- 대반야바라밀다경-연구
- 대반야바라밀다경의 구문 반복문제
- 대반열반경
- 대방광불화엄경
- 대방광불화엄경40권본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방광불화엄경80권본
- 대방광불화엄경80권본_18명법품
-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
-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
- 대방광선교방편경
- 대방광총지보광명경(大方廣惣指寶光明經)
- 대방등다라니경
- 대방등대집경
- 대방등대집경_4불순보살품
- 대범천(大梵天)
- 대범천大梵天
- 대법거다라니경
- 대보적경
- 대보적경大寶積經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대비
- 대비(大悲)
- 대비경
-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 대비바사론
- 대비심주
- 대비주
- 대살차니건(大薩遮尼乾)
- 대살차니건자(大薩遮尼乾子).
- 대선견왕
- 대성 관음사
- 대수긴나라
- 대승 백자진언의 공덕
- 대승 보은법
- 대승광백론석론
- 대승광오온론
- 대승기신론
- 대승기신론소기회본
- 대승밀엄경
- 대승밀엄경 하권
- 대승방광총지경
- 대승법계무차별론
- 대승보살장정법경
- 대승본생심지관경
- 대승비분다리경
- 대승사
-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
- 대승장진론
- 대역룡(大域龍)
- 대웅여래
- 대원
- 대자
- 대자심 요익중생 이제분별 심무상의 공덕과 계행
- 대장일람집
- 대지도론
- 대집비유왕경
- 대한림성난라다라니경(大寒林聖難拏陀羅尼經)
- 대해여래
- 대흥사
- 덕숭산
- 덕행
- 덕행품
- 도과의 성취와 보살대중의 청정한 음성
- 도교 오악도사 저선신의 실패와 남악도사의 죽음
- 도둑 루타와 비구의 보시
- 도둑질
- 도둑질을 즐겨 행함
- 도둑질의 과보
- 도량(道場)보리도량(菩提道場)
- 도리과(倒離過)
- 도리천
- 도리천 수명 지옥
- 도림사_곡성
- 도상지道相智
- 도솔천.지족천(知足天)
- 도솔타천 수명 지옥- 토라발저법
- 도심(道心).
- 도의 내용
- 도장(道場)
- 도종혜道種慧
- 도지道智
- 도토품
- 도파(兜婆)ㆍ솔도파(窣都婆)ㆍ수두파(藪斗婆)ㆍ사투파(私偸簸)ㆍ소투파(蘇偸婆)라고도 음역. 방분(方墳)ㆍ원총(圓塚)ㆍ귀종(歸宗)ㆍ고현(高顯)ㆍ취상(聚相)이라 번역. 탑파(塔婆)
- 도합과(倒合過)
- 도행반야경
- 독고선(獨孤善)
- 독충난(毒蟲難)
- 돌아옴[還] - 정려
- 동견화경(同見和敬)
- 동계화경(同戒和敬)
- 동남방 10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동방 12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동방최승등왕여래경
- 동법 상사과류(同法相似過類)
- 동북방 10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동분이전부정과(同分異全不定過)
- 동수(童授)
- 동요없는 불퇴전 보살
- 동요없는 불퇴전보살
- 동유5과(同喩五遇)
- 동자
- 동자보살(瞳子菩薩)
- 동진주童眞住
- 동품비유이품비유(同品非有異品非有)
- 동품비유이품유(同品非有異品有)
- 동품비유이품유비유(同品非有異品有非有)
- 동품유비유이품비유(同品有非有異品非有)
- 동품유비유이품유(同品有非有異品有)
- 동품유비유이품유비유(同品有非有異品有非有)
- 동품유이품비유(同品有異品非有)
- 동품유이품유(同品有異品有)
- 동품유이품유비유(同品有異品有非有)
- 동품일분전이품편전 부정과(同品一分轉異品遍轉不定過)
- 동품정유성(同品定有性)
- 동학사승가대학
- 동행화경(同行和敬)
- 두간(抖揀)
- 두다(杜多)
- 두도(杜荼)
- 두수(抖擻)ㆍ수치(修治)ㆍ세완(洗浣)ㆍ기제(棄除)ㆍ도태(淘汰).
- 두파(兜婆)
- 둔황 석굴
- 둘없음
- 둘없음[불이 무이]의 의미. 무이
- 득음정
- 등류의 차별
- 등목보살소문삼매경
- 디그나가
- 따름[隨] - 지계
- 뜻을 뜻대로 성취하는 방안 - 4여의족
- 라후라의 도칠보화여래 성불수기
- 로봇
- 마(阿浮陀達摩)
- 마곡사
- 마군대중을 위한 신통과 야차의 발보리심 천자의 무생법인
- 마군의 고통
- 마명
- 마명보살
- 마왕과 생사해탈 문제
- 마음
- 마음 현상의 이해
- 마음에 4 대의 성품이 나타나는 사정에 대한 질문
- 마음의 관찰
- 마음의 모양이 청정함
- 마음의 유무와 유무문제
- 마음의 정체 파악
- 마음의 정체를 살필때 유무의 문제
- 마음이란 언어표현[시설]으로서 문제삼는 또 다른 측면의 유무
- 마이산
- 마지막공양
- 마천(魔天)
- 마파순魔波旬
- 마하가섭
- 마하가전연(摩訶迦旃延)
- 마하디그나가
- 마하반야바라밀경
- 마하반야바라밀대명주경
- 마하반야바라밀연여공등품
- 마하살달다반달라무상신주
- 마하살달다반달라무상신주(摩訶薩怛多般怛羅無上神呪)
- 마하승기율
- 마한반야바라밀경
- 막고굴
- 만견자
- 만나(曼拏)
- 만나라(曼拏羅)
- 만나라(曼那羅)
- 만다(曼茶)
- 만다라
- 만다라바
- 만다라범(曼陀羅梵)
- 만다륵(曼陀勒)
- 만덕장엄(萬德莊嚴)
- 만엄식녀자
- 만원자滿願子
- 만자자滿慈子
- 만족의 사라짐과 새로운 갈증
- 만족자
- 만축자滿祝子
- 만타라(曼陀羅)
- 만호사
- 많은 희생과 적은 수확
- 말나식(末那識)
- 맑음[淨] - 반야
- 망견에 의한 생사고통
- 망상분별 집착현상과 유무 판단
- 망월사
- 망집과 생사윤회의 사정
- 망집에 바탕한 무량겁 생사윤회와 3 해탈삼매 및 반야바라밀다
- 망집에 바탕한 생사과정은 왜 무량겁에 걸쳐 이어지는가.
- 망집에 바탕한 집착을 제거함
- 망집을 벗어남
- 망집을 이해하는 5 가지 방안들의 기본골격
- 망집을 일으킨 재료와 망집의 혼동 문제
- 맹농음아(盲聾瘖瘂)
- 맹목적_활동과_위험한_수익
- 머뭄과 얻을바 없음을 방편으로 함
- 멈춤[止] - 인욕
- 멸도한 다보여래의 말씀과 분반좌(分半座)
- 멸악취왕여래 다라니
- 멸악취왕여래 다라니 수지 공덕
- 명(命)
- 명(明)
- 명과 상(相)과 제일의제
- 명도(明度)
- 명도무극(明度無極). 혜(慧)바라밀
- 명득정(明得定)
- 명증정(明增定)
- 명칭名稱
- 모가오
- 모가오쿠
- 모든 법과 행과 형상과 모습이 없음을 관찰함
- 모래 만다라
- 목건련
- 목련
- 목욕 공양의 공덕
- 목욕 도구
- 목욕으로 제거하는 병
- 목우자
- 목적과 수단을 뒤바꿈
- 목적유경
-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는 방편
- 묘락(妙樂)
- 묘목정
- 묘목정보살(妙目精菩薩)
- 묘법성염처경(妙法聖念處經)
- 묘법연화경
- 묘법연화경_화성유품_제7
- 묘비보살소문경(妙臂菩薩所問經)
- 묘색왕인연경
- 묘성취(妙成就)
- 묘음
- 묘의(妙意)
- 묘지(밀엄)에 의해 생사윤회를 벗어남
- 무가치하고 실없고 공허한 즐거움
- 무간無間
- 무간정(無間定)
- 무간지옥
- 무결(無結)
- 무구진여래
- 무능승대명다라니경(無能勝大明陀羅尼經)
- 무능승대명심다라니경(無能勝大明心陀羅尼經)
- 무도설법계(無倒說法戒)
- 무득과품無得果品
- 무량겁의 흐름과 생멸이 없음의 관계
-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 무량광불
- 무량광천無量光天
- 무량수경
- 무량수경종요
-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 무량수여래관행공양의궤
- 무량의
- 무량의 수행
- 무량의-1법무상-실상의 관계
- 무량의경
- 무량의경덕행품
- 무량의경의 공덕
- 무량정천無量靜天
-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 무량한 if 문제의 해결방안
- 무량한 if 와 삶의 문제
- 무량한 망상분별과 가정적 항변논의의 어려움
- 무량한 서원
- 무량한 중생의 소원과 유모의 관계
- 무량한 현상의 기원
- 무루無漏
- 무루법
- 무루지無漏智견도見道에이르기전
- 무류법
- 무명(無明 각성의 관계- 바다와 바람과 물
- 무명의 어두움을 깨뜨리기 위함
- 무문자설(無問自說)
- 무번천無煩天
- 무법공無法空
- 무법유법공無法有法空
- 무변광불
- 무변이공無變異空
- 무봉탑(無縫塔)
- 무부정심(無不定心)
- 무부지사심(無不知捨心)
- 무부지이사(無不知已捨)
- 무상
- 무상(無常)과 불생불멸(不生不滅)
- 무상고무아
- 무상과 고
- 무상과 수행목표
- 무상도심(無上道心)
- 무상도의(無上道意)
- 무상삼매
- 무상삼매해탈과 생사현실 즉 열반임을 관함
- 무상정
- 무상정등정각과 중간에 머물지 않음
- 무상정등정각의 신속한 증득방안
- 무상정등정각의 증득의 어려움과 쉬움
- 무상해탈 열반을 깨달은 급고독장자
- 무상해탈문
- 무생 상사과류(無生相似過類)
- 무생법인
- 무생법인의 증득
- 무생인
- 무생인(無生忍).
- 무설 상사과류(無說相似過類)
- 무성공無性空
- 무성자성공無性自性空
- 무소득 방편으로 한 머묾과 방편선교
- 무소득방편으로 차별상과 진여에 대해 분별하지 않음
- 무소유
- 무소유처
- 무심무사정
- 무심의 모양
- 무아 공 제시배경과 『회쟁론』의 논의 초점
- 무아 무상인 가운데 세간이 나타남
- 무아 무자성과 실재의 공함의 관계
- 무아의 형상을 드러내기 위함
- 무앙수(無央數)
- 무애광불
- 무열천無熱天
- 무운천無雲天
- 무원삼매
- 무원정
- 무위공無爲空
- 무위진인(無位眞人)
- 무의단시(無依團施)
- 무이
- 무이 상사과류(無異相似過類)
- 무이상(無異想)
- 무인 상사과류(無因相似過類)
- 무자성
- 무자성상
- 무작삼매
- 무작해탈문
- 무전후공無前後空
- 무제공無際空
- 무진의보살경
- 무참(無慚)
- 무체량無體量abhāva
- 무퇴無退
- 무한카드
- 무한카드를 통한 향유 이익
- 무합과(無合過)
- 문경
- 문답장問答章
- 문수보살
- 문수보살오자진언
- 문수보살육자진언
- 문수사리
- 문수사리보살
- 문수사리보살의 용궁 법화경 설법 교화
- 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
- 문수사리소설불사의불경계경
- 문식(文飾)
- 미간 백호상 광명-경조제마(警照諸魔)
- 미라마장자의 광대한보시와 보시공덕의 우열의 사정
- 미래 10 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미륵보살소문경론
- 미륵상생경
- 미륵상생경종요
- 미린다팡하
- 미발시(微鉢尸)
- 미증유법(未曾有法)
- 미호단(微護斷)
- 민미사라왕[왕사성-빔비사라왕
- 밀린다경
- 밀린다왕문경
- 밀린다팡하
- 밀봉암
- 밀엄국(密嚴國)
- 밀엄정토(密嚴淨土)
- 바가바
- 바가반婆伽伴
- 바가범婆伽梵
- 바딘 Hanoi
- 바라밀
- 바바시불
- 바사사대론사
- 바수미트라 천우(天友)
- 바수밀다
- 바수밀다(婆須蜜多)
- 바수밀다라(婆須蜜多羅)
- 바수반두(婆藪般豆 * 婆修般豆) * 벌소반도(伐蘇畔度) * 화수반두(和修槃頭) * 천친(天親).
- 바아부저婆誐嚩底
- 바아부제婆誐嚩帝
- 바이샬리
- 박縛
- 박가발제薄伽跋帝
- 박가범薄伽梵
- 박아범薄阿梵
- 반니원경
- 반달라주
- 반라야바라밀(般羅若波羅蜜)
- 반야(般若
- 반야경
- 반야경목차
- 반야바라밀
- 반야바라밀 수행의 목적
- 반야바라밀 수행정진 관찰
- 반야바라밀경
- 반야바라밀과 수행 증과 및 자세
- 반야바라밀다
- 반야바라밀다를 닦고 배우기
- 반야바라밀다심경
- 반야바라밀다의 효용-무집착 무장애 무공포 무전도 니르바나증득 무상정등정각의 깨달음 성불
- 반야바라밀다의 효용-무집착 무장애 무공포 무전도망상 니르바나증득 무상정등정각의 깨달음 성불
- 반야바라밀수행과 무집착
- 반야바라밀수행의 목적
- 반야바라밀의 수행방안 - 선지식
- 반야바라밀의 크기와 양
- 반야바라밀이 밝히는 내용-세상과 중생심과 그 수단-오음
- 반야바라밀이 밝히는 내용과 수단
- 반야심경
- 반야심경-공부
- 반야심경-해설
- 반야심경듣기
- 반야행상품
- 반주삼매
- 반주삼매경
- 발림말
- 발림말의 과보
- 발보리심 중생제도 및 불공양과 실상반야바라밀 - 오옴
- 발심주發心住
- 발원희구계(發願希求戒)
- 발자저제야참모파타(鉢刺底帝夜參牟播陀)
- 발지론을 지은 이유
- 방광(方廣)
- 방광반야경
- 방광반야바라밀경
- 방구보은계(放救報恩戒)
- 방구식(方口食)
- 방등(方等)
- 방분(方墳)
- 방불경
- 방정(方正)
- 방편과 반야바라밀
- 방편력
- 방편에 대한 의심
- 방편으로 성문을 나타낸 전생의 보살수행자 아난
- 방편으로 행하지 않음-정상에서 떨어짐
- 방편품
- 배경사정 이해 없이 논의를 살피는 문제점
- 배경사정 이해와 구체적 의미 확정
- 백가지 삼매의 공덕
- 백가지삼매문- 성공왕삼매 - 수법왕인삼매
- 백구비유경
- 백구비유집경
- 백련암
- 백삼매의 근원- 도종지 10 바라밀
- 백삼매의 도달처 - 금강삼매
- 백삼매해불괴불멸
- 백유경
- 백유집
- 백의금당이바라문연기경
- 백일갈마
- 백자론
- 백중
- 번뇌
- 번뇌 관찰없이 - 4 대종 애착 무상을 없앰
- 번뇌가 늘어나게 되는 수행 -수행의 공업을 내세우고 공경공양을 기대함
- 번뇌가 늘어나게 되는 수행 -자만
- 번뇌가 늘어나는 현실 수행
- 번뇌와 생사고통을 제도하는 반야바라밀다의 주문
- 벌소밀달라(筏蘇蜜呾羅)
- 범마왕 태자 구법이 불에 몸을 던져 법을 구함
- 범망경
- 범망경(梵網經)
- 범보천(梵補天)
- 범보천梵輔天
- 범신천(梵身天)
- 범어사
- 범예왕이 가뭄에 곡식보시
- 범중천梵衆天
- 범천품
- 법계도기총수록
- 법계연기(法界緣起)
- 법공지(法空智
- 법구
- 법구경
- 법구비유경
- 법념처(法念處)
- 법명여래 선정국토의 법희식 선열식
- 법명여래의 보명겁 선정불국토
- 법보
- 법본(法本)
- 법비량法比量
- 법사의 방[대자비심] 옷[안인] 자리[법공]
- 법안종法眼宗
- 법온족론
- 법왕자주法王子住
- 법원주림
- 법을 듣기 위한 천년의 공양과 제바달다
- 법을 어기거나 따름을 모두 여읨
- 법의 선택
- 법이 나지 않음과 깨달음의 도
- 법인
- 법자상상위인과(法自相相違因過)
- 법장(法藏) 비구
- 법장비구
- 법차별상위인과(法羞別相違因過)
- 법칭
- 법해경
- 법호왕자가 어머니(제바달다)에게 살해당함
- 법화경
- 법화경 독송 방해죄의 무거움
- 법화경 독송과 여래의 장엄
- 법화경 불가분포 망수여인[妄授與人]의 사정
- 법화경 수지 요해와 무상정등정각의 관계
- 법화경 수지 일념 수희자에 대한 수기
- 법화경 수지독송 해설서사 공양공경자의 전생 서원과 방편 생사
- 법화경 수지자를 찬탄함의 공덕
- 법화경 수지자의 서원과 이에 대한 공양
- 법화경 재경처 칠보탑과 여래의 전신
- 법화경을 설하는 법사의 방과 옷과 자리
- 법화경의 부촉
- 베라크루스 주 멕시코
- 베트남
- 벽암록
-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 변대승품
- 변덕왕자 공주와 거북도사 그리고 아귀
- 변무상승품辯無上乘品
- 변상도(變相圖)
- 변상품辯相品
- 변수대치품辯修對治品
- 변수분위품辯修分位品
- 변시종법성(遍是宗法性)
- 변장품辯障品
- 변재
- 변정천遍靜天
- 변주變住
- 변중변론
- 변지(邊地)
- 변취행지력
- 별상념처관(別相念處觀)
- 별역잡아함경
- 병난(病難)
- 보가라(補伽羅)
- 보랄나매달리니불달라補剌拏梅呾利尼弗呾羅
- 보리력
- 보리류지
- 보리류지(菩提流志)
- 보리심
- 보리심관석(菩堤心觀釋)
- 보림사_정릉
- 보문사
- 보부寶部
- 보살계본
- 보살도의 성취방안 - 평등
- 보살들의 밀엄에 대한 청
- 보살마하살의 거친 업과 청정
- 보살마하살의 수행과 회향 원만
- 보살마하할의 행함의 유무
- 보살선계경
- 보살영락경
- 보살영락본업경
- 보살의 생사유전과 해탈에 대한 질문
- 보살의 수행 성불과 아뢰야식
- 보살의 수행과 회향과 서원
- 보살의 아승기겁 수행
- 보살의 지위에 듦
- 보살의 퇴전을 불퇴전이라하는 사유
- 보살장경
- 보살지지경
- 보살품
- 보살행의 정행(淨行)과 초월
- 보성론
- 보시대상에 따른 공덕의 우열
- 보왕삼매론
- 보월지엄광음자재왕여래
- 보은과 선업과 중생제도
- 보정(寶淨)국토 다보여래의 서원
- 보조대사
- 보조진심직설
- 보특가라
- 보행왕정론
- 보현보살
- 보현사
- 보현암
- 복가라(福伽羅)
- 복개정행소집경
- 복덕 지혜 선근 수희
- 복사해붙이기
- 복생천福生天
- 복인
- 복혜섭인계(福慧攝人戒)
- 본 바탕인 실재 영역과 관련한 유무 문제
- 본각 - 시각과 불각의 상대적관계
- 본각과 지정상과 부사의업상의 관계
- 본각스님
- 본번뇌(本煩惱)
- 본불생
- 본사(
- 본사경
- 본생(本生)
- 본성공本性空
- 본혹(本惑).
- 봉국사
- 봉림사
- 봉신연의
- 부가라
- 부가라(富伽羅)
- 부나만타불다라富那曼陀弗多羅
- 부도(浮圖)
- 부동여래 다라니 수지 공덕
- 부동여래-발제고난 다라니
- 부라나매저려야부다라富羅拏梅低黎夜富多羅
- 부루나
- 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
- 부루나미다라니자의 법명여래 성불 수기
- 부루나의 과거90억불 과거7불 -설법제일
- 부모님의 은혜
- 부분만 보고 전체를 보지 못함
- 부사의업상(不思議業相)
- 부에 대한 소극적 자세와 적극적 자세 및 가치의 4 칙 연산
- 부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와 4칙연산
- 부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와 4칙연산
- 부작사명계(不作邪命戒)
- 부작사업계(不作邪業戒)
- 부전이학계(不專異學戒)
- 부정관
- 부정의지주식不淨依止住食․부청정의지주식不淸淨依止住食
- 부처가_될_가능성으로서_불성_유무
- 부처님 공양과 선근
- 부처님 공양과 선근공덕
- 부처님께 전법륜 권청
- 부처님명호 수지독송 공덕
- 부처님예경
- 부처님의 위신력과 호념
- 부처의_공통적_성품
- 부처의_성품과_망상분별
- 부처의_성품과_망집_신견
- 부처의_차별적_성품들
- 부특가라(富特伽羅)
- 부특가야(富特伽耶)
- 북방 10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북본대반열반경
- 분노
- 분노의 과보
- 분별 - 변계소집상과 유무 분별망집의 사정
- 분별 상사과류(分別相似過類)
- 분별공덕품
- 분별교分別巧
- 분별사식(分別事識)
- 분별성
- 분별유가품
- 분소焚燒
- 분위의 차별
- 불가득
- 불가득공不可得空
- 불가득공不可得空
- 불가득임에도 세상을 나타내 보이는 사정
- 불가라(弗伽羅)
- 불가이전신견不家移轉身見
- 불각(不覺)
- 불고훼범계(不故毀犯戒)
- 불공
-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 불공부정과(不共不定過)
- 불교 경전과 논서가 없던 번뇌를 새로 일으키는 현상
-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 불교사전
- 불국토 여행방안
- 불국토[정토]를 이루기 위한 수행
- 불국토의 장엄하는 공덕의 모양
- 불국토장엄
- 불기2557-01-07_범마유경_001
- 불기2562 년 연구과제 불기2562 년 연구과제
- 불기2563-12-18_잡아함경_001
- 불념여승계(不念餘乘戒)
- 불립악제계(不立惡制戒)
- 불명 수지암송과 불퇴전
- 불모반니원경
- 불모반야바라밀다
-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석론
- 불반니원경
- 불배대승계(不背大乘戒)
- 불법의 원만과 여래의 의미
- 불벽교수계(不僻教授戒)
- 불별청승계(不別請僧戒)
- 불본행집경
- 불부佛部
- 불사리공不捨離空
- 불사작사계(不詐作師戒)
- 불설계소재경
- 불설관무량수불경
-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
- 불설관정경
- 불설관정소5방용왕섭역독신주상품경
- 불설금강삼매본성청정불괴불멸경
- 불설금강수보살항복일체부다대교왕경(佛說金剛手菩薩降伏一切部多大敎王經)
- 불설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 불설니구타범지경
- 불설대가섭본경
- 불설대길상다라니경
- 불설대삼마야경(佛說大三摩惹經)
- 불설대승성길상지세다라니경(佛說大乘聖吉祥持世陀羅尼經)
- 불설대승성무량수결정광명왕여래다라니경(佛說大乘聖無量壽決定光明王如來陁羅尼經)
- 불설대승일자왕소문경(佛說大乘日子王所問經)
- 불설대승팔대만나라경
- 불설대호명대다라니경(佛說大護明大陀羅尼經)
- 불설목련소문경(佛說目連所問經)
- 불설목련소문경(佛說目連所問經)
- 불설묘색왕인연경
- 불설무능승대명왕다라니경(佛說無能勝大明王陀羅尼經)
- 불설무외수소문대승경
-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佛說文殊師利一百八名梵讚)
- 불설미증유정법경(佛說未曾有正法經)
- 불설반주삼매경
- 불설법인경(佛說法印經)
- 불설보살수행경
- 불설보장신대명만나라의궤경(佛說寶藏神大明曼拏羅儀軌經)
- 불설보현보살다라니경
- 불설보현보살다라니경(佛說普賢菩薩陀羅尼經)
- 불설분별보시경
- 불설분별연생경(佛說分別緣生經)
- 불설불명경
- 불설비사문천왕경(佛說毘沙門天王經)
- 불설성대총지왕경
- 불설성보장신의궤경(佛說聖寶藏神儀軌經)
- 불설성불모반야바라밀다경
- 불설성불모반야바라밀다경(佛說聖佛母般若波羅蜜多經)
- 불설성요모다라니경(佛說聖曜母陀羅尼經)
-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신주경
- 불설수진천자경
- 불설시가라월육방예경
- 불설시법비법경
- 불설식시획오복보경
- 불설십길상경
- 불설십력경
- 불설아난문사불길흉경
- 불설아미타경
- 불설아사세왕경
- 불설아유월치차경
- 불설여래부사의비밀대승경
- 불설여래불사의비밀대승경
- 불설여의보총지왕경
- 불설오대시경
- 불설오왕경
- 불설온실세욕중승경
- 불설우바새오계상경
- 불설원생수경
- 불설유리왕경
- 불설육도가타경(佛說六道伽陀經)
- 불설이구시녀경
- 불설일체법고왕경
- 불설일체여래오슬니사최승총지경(佛說一切如來烏瑟膩沙最勝總持經)
- 불설장아함경
- 불설장자녀암제차사자후요의경
- 불설장자시보경(佛說長者施報經)
- 불설장자오뇌삼처경
- 불설장자자육과출가경
- 불설적지과경
- 불설정생왕인연경
- 불설제법본경
- 불설제법본무경
- 불설제행유위경(佛說諸行有爲經)
- 불설중허마하제경
- 불설진학경
- 불설차말낭법천자수삼귀의획면악도경(佛說嗟襪曩法天子受三歸依獲免惡道經)
- 불설처처경
-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 불설천왕태자벽라경
- 불설초분설경
-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 불설칠불경
- 불설칠불경(佛說七佛經)
- 불설필추가시가십법경(佛說苾芻迦尸迦十法經)
- 불설필추오법경(佛說苾芻五法經)
- 불설해우경(佛說解憂經)
- 불설호국경
- 불설흥기행경
- 불성佛性
- 불성공佛性空
- 불성론
- 불성유무의_논의효용
- 불성의_의미_-_부처의_성품이_주제인_경우
- 불소행찬
- 불수반열반약설교계경
- 불수별청계(不受別請戒)
- 불순보살품
- 불식신계(不食辛戒)
- 불식육계(不食肉戒)
- 불악판매계(不惡販賣戒)
- 불어 비불어-말을 떠난 부처님의 설법의 의미
- 불위연소비구설정사경
- 불음주계(不飲酒戒)
- 불이
- 불이과(不離過)
-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 불일보조국사
- 불입열반밀적금강력사애련경
- 불전불후(佛前佛後). 재지옥난(在地獄難)
- 불전불후난(佛前佛後難). 병(病)
- 불정방무구광명입보문관찰일체여래심다라니경
- 불종성佛種性
- 불찬탄게송 -3계의 재앙제거
- 불첩방화계(不輒放火戒)
- 불축살구계(不畜殺具戒)
- 불축손해계(不畜損害戒)
- 불타발타라(Buddhabhadra
- 불타야사
- 불택감수계(不擇堪受戒)
- 불통국사계(不通國使戒)
- 불퇴
- 불퇴(不退)ㆍ무퇴(無退)ㆍ불퇴전(不退轉)ㆍ불퇴위(不退位)
- 불퇴심(不退心)
- 불퇴위不退位
- 불퇴전 보살의 평등한 자비심
- 불퇴전 보살이 구르는 바
- 불퇴전不退轉
- 불퇴전법륜경
- 불퇴전보살 - 도를 장애하는 법을 배움
- 불퇴전보살- 바라밀다 수행으로 무상정등정각을 증득할 수 있음
- 불퇴전보살의 10 선업
- 불퇴전보살의 12두타와 수행정진
- 불퇴전보살의 계율
- 불퇴전보살의 법보시 회향
- 불퇴전보살의 선근 공덕 [주거와 심신]
- 불퇴전보살의 수생
- 불퇴전보살의 신중한 설법
- 불퇴전보살의 요익중생 무소득 바라밀수행
- 불퇴전보살의 청정한 신구의업
- 불퇴전보살의 행(行)과 형상[狀] 과 모습[相]
- 불퇴전지에 이른 장자법지 부인의 남성 변화
- 불퇴주不退住
- 불투양두계(不鬪兩頭戒)
- 불파육제
- 불행사일계(不行邪逸戒)
- 불환不還아나함
- 불환과
- 불환향
- 불횡걸구계(不橫乞求戒)
- 불훼양선계(不毀良善戒)
- 붙퇴전보살의 퇴전과 불퇴전
- 블라디미르
- 블라디미르스카야 오블래스트
- 비(悲)
- 비구잡갈마
- 비구지보살일백팔명경(毗俱胝菩薩一百八名經)
- 비나야
- 비나야파승사
- 비닐마술과 현실의 관계
- 비량比量
- 비량比量anumāna-pramāṇa
- 비량非量
- 비량상위과(比量相違過)
- 비론법(比論法)
- 비무량심(悲無量心)
- 비밀대승경
- 비바사(毘婆沙)
- 비바시(鞞婆尸)
- 비바시불경
- 비바시불경(毗婆尸佛經)
- 비발시(毘鉢尸)
- 비불략(毘佛略)
- 비사문천
- 비사문천왕毗沙門天王
- 비상비비상처
- 비식(鼻識)
- 비심창도계(悲心唱導戒)
- 비유(譬喩)
- 비유경
- 비유량譬喩量 upamāna
- 비인난(非人難)
- 비청정의지주식非淸淨依止住食
- 빈누
- 빈누문타니자(邠耨文陀尼子)
- 빈두로
- 빚을 받을 사람에게 대항하거나
- 사(捨)
- 사使
- 사가행위
- 사갈라 용왕의 딸의 신속한 성불
- 사견
- 사견의 과보
- 사과향四果向
- 사구식四口食
- 사념주(四念住)
- 사념처
- 사념처(四念處)
-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 사능파(似能破)
- 사다가(闍多伽)
- 사단
- 사등(四等)
- 사띠
- 사량식(思量識). 제7말나식(末那識)
- 사리불아비담론
- 사마타
- 사명당대사
- 사무량
- 사무량(四無量)
- 사무량(四無量).
- 사무량심(四無量心)
- 사무량심(捨無量心)
- 사무색정
- 사무소외
- 사무소외(四無所畏)
- 사무애(四無礙)
- 사무애지(四無礙智)
- 사무애해(四無礙解)
- 사미니계
- 사미니계 개괄
- 사미니계경
- 사범행(四梵行)
- 사변(四辯).
- 사부정식四不淨食
- 사분율
- 사사四邪
- 사사명식四邪命食
- 사사식四邪食
- 사생지력
- 사선
- 사선근
- 사선근위四善根位
- 사선정
- 사선정(四禪定)
- 사선천(四禪天)
- 사수정(四修定)
- 사식
- 사식(思食)
- 사식思食(梵 manaḥ-saṃcetanākārāhāra
- 사신족
- 사신족념四神足念
- 사십이장경
- 사십팔대원
- 사쌍팔배四雙八輩
- 사여의四如意사신족四神足
- 사여의분四如意分
- 사여의족四如意足
- 사왕(四王)
- 사위성 급고독장자와 기원정사의 배
- 사유10과
- 사유10과(似喩十過)
- 사음
- 사음을 즐겨 행함
- 사음의 과보
- 사인14과(似因十四遇)
- 사인14과(似因十四過)
- 사자후경
- 사정단
- 사정려
- 사정취(邪定聚)
- 사제(四諦)
- 사종9과(似宗九過)
- 사종도四種道
- 사천왕
- 사천왕천
- 사타가(闍陀伽)
- 사향도(四向道)
- 사향사과
- 사향사득四向四得
- 사호마事護摩
- 삭취취
- 산공散空
- 산카샤
- 산카시
- 산카시아
- 산키사
- 산해혜 자재통왕여래의 상립승번 국토 묘음편만겁
- 살가야견薩迦耶見
- 살가야달리슬치(薩迦耶達利瑟致)
- 살가야달리슬치薩迦耶達利瑟致
- 살담분다리경
- 살바다부薩婆多部
- 살생
- 살생을 즐겨 행함
- 살생의 과보
- 살자殺者
- 삼각산 화계사 화광여래
- 삼계
- 삼계三界
- 삼념주(三念住)
- 삼마갈(三摩竭) 선무독(善無毒)
- 삼마발제
- 삼마제
- 삼마지
- 삼마지 수행
- 삼마파티
- 삼마희다
- 삼매
- 삼매문의 공덕 - 보화여래와 현겁천불의 인연
- 삼매와 수행방안
- 삼무성
- 삼무성론
- 삼법도론
- 삼법륜(三法輪).
- 삼보(불보
- 삼삼매
- 삼성설
- 삼유(有)
- 삼유有
- 삼자성(三自性)
- 삼전(三轉)
- 삼전법륜(三轉法輪)
- 삼전십이행(三轉十二行)
- 삼전십이행상
- 삼종전의三種轉依
- 삼중탑(三重塔)
- 삼취(三聚)
- 삼취계(三聚戒). 섭율의계(攝律儀戒)
- 삼취정계
- 삼품실지(三品悉地)
- 삼해탈과 실상반야바라밀 - 아아
- 삼혜경
- 삽가사견(薩迦邪見)
- 삽가사견薩迦邪見
- 삽가야견(颯迦耶見
- 삽가야견颯迦耶見
- 상(相)
- 상(相)과 명칭- 성품과 모습을 얻지 못함
- 상相
- 상대주장비판과 자신주장의 모순문제
- 상락아정
- 상륜탑(相輪塔)
- 상무자성(相無自性)
- 상방 8 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상부극성과(相符極成果)
- 상분(相分)
- 상비량相比量
- 상사각
- 상상당십개왕여래
- 상속부(相續部)
- 상위결정부정과(相違決定不定過)
- 상정량想定量 pratibhā
- 상주 상사과류(常住相似過類)
- 상호 충돌과 가해 피해 관계의 형성
-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물건이나 일의 가치평가
- 새로운 공양목록-아름다운 풍광
- 색 등이 곧 일체지지임과 그 사유-하나의 진여-둘이 없음-차별없음
- 색계정(色界定)
- 색구경천色究竟天
- 색이 곧 일체지지요+일체지지가 곧 색임과 그 사유- 하나의 진여-둘이 없음-차별없음-다함없음
- 생(生)과 머묾[留]과 생멸심
- 생계해결과 생사를 벗어나는 수행의 문제
- 생과 상사과류(生過相似過類)
- 생귀주生貴住
- 생멸상 관찰
- 생멸상의 12 인연 순관
- 생무자성(生無自性)
- 생무자성(生無自性).
- 생사고통 해결에서 무아 무자성 공의 이해의 가치
- 생사고통 해결의 원칙적방안과 공의 이해
- 생사고통 해결의 전제로서 무아무자성 공의 이해
- 생사고통과 세계여행
- 생사문제 해결의 어려움
- 생사에 묶이는 업의 장애를 제거함과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으로서 적극적인 부와 복덕의 구족 방안
- 생사유전현실과 보살의 생사현실내 수행 및 중생제도
- 생사윤회안에서의 수행
- 생사윤회와 유심(唯心)
- 생사의 강을 건너게 하기 위함
-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남
- 생사현실 즉 해탈 열반
- 생사현실에 임하게 된 공중 3회전의 망집 중첩현상
- 생사현실에서 망집을 일으키게 되는 사정
- 생사현실의 생멸과 해탈 출입문의 성격
- 생생한 꿈을 실답지 않다고 보는 사정
- 생인(生因)
- 생주이멸 4상과 선악법
- 서고사
- 서광사
- 서남방 10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서로 충돌하는 희망의 추구
- 서방 12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서북방 12불 및 무량무변부처님
- 서울관악구 봉천동
- 서울대
- 서원의 성취와 불국토 장엄
- 서유기
- 석마하연론
- 석종사
- 석종사불교대학
- 석지수(釋智首)
- 석화엄교분기원통초
- 석화엄지귀장원통초
- 선
- 선(善) 등의 모든 법을 관찰하기 위함
- 선견천善見天
- 선면왕이 법을 구해 자식(아난) 부인(야수다라) 및 자신을 희생함
- 선법경
- 선법요해
- 선생(善生)태자가 빚을 수달장자 대신 짐
- 선승(扇繩).[abr] 약}가전(迦旃).
- 선시(善施)
- 선어중물계(善御眾物戒)
- 선온(善溫)
- 선재동자
- 선정
- 선지식과 악지식
- 선현(善賢)
- 선현천善現天
- 설경부(說經部)
- 설계간인계(說戒簡人戒)
- 설도부(說度部)
- 설무구칭경
- 설법제일
- 설식(舌識)
- 설장도(說障道)
- 설장법무외(說障法無畏)
- 설전부(說轉部)
- 설진고도(說盡道)
- 설출도무외(說出道無畏)
- 섭마등
- 섭선법계
- 섭선법계(攝善法戒)
- 섭수할 수 없는 사유
- 섭율의계
- 섭일체선법계
- 섭일체율의계
- 섭중생계
- 섭중생계(攝衆生戒)
- 성가니분노금강동자보살성취의궤경
- 성교량聖敎量āgama或śabda
- 성교량聖教量
- 성다라보살
- 성다라보살일백팔명다라니경(聖多羅菩薩一百八名陀羅尼經)
- 성무능승금강화다라니경(聖無能勝金剛火陀羅尼經)
- 성불모반야바라밀다구송정의론
- 성왕의 10가지 덕
- 성유경
- 성유식론
- 성유식보생론
- 성자미륵보살문품
- 성취(成就) 권지(權智).
- 성취의 부작용
- 성취하기 힘든 희망에 대한 집착
- 성판품
- 성허공장보살다라니경(聖虛空藏菩薩陀羅尼經)
- 세간(世間)
- 세간世間
- 세간과 명칭이 머무는 사정
- 세간상위과(世間相違過)
- 세간식世間食
- 세간에서 분별을 떠난 바탕의 수행의 공덕
- 세계를 창조한 주체의 문제
- 세계성취품
- 세계여행과 칠각지역
- 세기경
- 세로(世路)
- 세로世路
- 세우(世友)
- 세우世友
- 세자재왕여래
- 세제(世諦)
- 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
- 세존世尊
- 세존의 멸의삼매 ~ 대공열반상산매와 광명
- 세지변총(世智辯聰)
- 세친
- 세활식細滑食
- 소燒
- 소가부제(蘇珂嚩帝)
- 소공小空
- 소광천少光天
- 소극적으로 발생할 손실을 제거하고 줄이는 측면의 소득
- 소달다(蘇達多)
- 소량所量
- 소리는 어떻게 듣는가에 대한 망상분별
- 소립불견과 (所立不遣過)
- 소립불성과(所立不成過)
- 소별불극성과(所別不極成過)
- 소서노
- 소설의 차별
- 소실지蘇悉地
- 소욕치환경
- 소위의 차별
- 소의불성과(所依不成過)
- 소의이전所依已轉
- 소작 상사과류(所作相似過類)
- 소전득所轉得
- 소전사所轉捨
- 소전의所轉依
- 소정천少靜天
- 소탐대실
- 소품반야바라밀경
- 소하박제(蘇訶嚩帝)
- 소해燒害
- 소현의 차별
- 속제(俗諦).
- 솔도파(窣都婆)
- 송광암
- 수(修)
- 수(水)
- 수기(授記)
- 수난(水難)
- 수념처(受念處)
- 수능엄경
- 수능엄주
- 수다라(修多羅)
- 수다라론(修多羅論)
- 수단(修斷)
- 수달 장자 딸 수마가디(Sumagadhi). 수마제(修摩提)
- 수달(須達)
- 수닷타
- 수닷타장자의 집터
- 수덕사
- 수도의 순환 및 동파문제와 신체내 순환과 사회내 순환
- 수두파(籔斗婆)
- 수마제
- 수마제(須摩提)
- 수마제녀경
- 수마제녀경[별본]
- 수많은 욕구에 이끌려 방향을 잃음
- 수면隨眠
- 수발타라
- 수분각
- 수생량隨生量 saṃbhava
- 수승한 수능엄삼매와 광명에 대한 문의
- 수시두타계(隨時頭陀戒)
- 수식관
- 수유경
- 수의(隨意)
- 수익보다 비용이 큼
- 수일불성과(隨一不成過)
- 수지독송 서사 공양- 념 법신 - 불국토왕생 삼매 자재유희
- 수취취
- 수취취(數取趣)
- 수투로구(修妬路句)
- 수하제(須訶提)
- 수하좌(樹下座)
- 수학무학인기품
- 수행과 불국토중생
- 수행방안
- 수행방편
- 수행법 가운데 조금을 얻은것뿐임
- 수행에 장애가 없음
- 수행자의 생사현실
- 수행자의 서원과 4 여의족의 관계
- 수행자의 선교 방편 [복팡?]
- 수행자의 선교 방편과 현실에서 루팡의 방편
- 수행자의 자비와 중생제도와 깨달음의 서원
- 수행주修行住
- 수현기
- 수희공덕 - 5 백만억 아승기겁 생사죄 초월
- 수희공덕품
- 수희회향품
- 숙주수념지력
- 숙주지력
- 순인
- 순인(順忍)의 성취
- 순정리론
- 순타
- 쉽게 성취되는 희망에 대한 무시
- 스리랑카
- 스탠포드 대학
- 승가나찰소집경
- 승가란제가(僧伽蘭提迦).[
- 승기(僧祇)
- 승력
- 승만경
-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
- 승보)의 공덕
- 승의공勝義空
- 승의무자성(勝義無自性)
- 승천왕반야바라밀경
- 시(施)화경
- 시기
- 시기 상황에 맞는 수행
- 시기범왕의 권청
- 시비왕의 수리에 대한 눈 보시-시바(尸婆)의 바늘에 실을 꿰줌
- 시전
- 시호
- 식무변처
- 식식(識食)
- 식식識食(梵 vijñānākārāhāra
- 식재법息災法śāntika
- 신(身)화경
- 신견(身見)
- 신견身見
- 신견결(身見結)
- 신견결身見結
- 신념처(身念處)
- 신모희수경
- 신묘장구대다라니
- 신무실(身無失)
- 신변력
- 신불퇴信不退
- 신사결(身邪結)
- 신사결身邪結
- 신식(身識)
- 신심(信心)
- 신인
- 신인명(新因明)
- 신자화경(身慈和敬)
- 신즉무주
- 신진량身振量ceṣṭā
- 신통
- 신행
- 신화엄경론
-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 실답지 않은 생사현실과 수행의 필요성의 혼동 문제
- 실답지 않음과 내용의 존부문제
- 실답지 않음의 의미 혼동
- 실답지않음과 망상분별의 관계
- 실재 측면의 마음
- 실지悉地
- 실차난타
- 실차난타(實叉難陀)
- 실체없음과 공함을 제시하는 배경사정
- 실체적_성품의_존부문제
- 실행력(實行力)과 지혜에 의한 원행지 보살의 2 승 초월
- 심-의-식과 생사현실
- 심감록心鑑錄
- 심경록心境錄
- 심념처(心念處)
- 심밀해탈
- 심밀해탈경
- 심생멸
- 심신
- 심신광명선설정법삼마지
- 심심
- 심심력
- 심의식
- 심일경성
- 심일경성을 통한 칠각지여행 방식
- 심진여(心眞如)
- 심해탈
- 십계
- 십력
- 십력(十力)
- 십력현여래
- 십발취十發趣
- 십송율
- 십육행상
- 십이행상(十二行相)
- 십주
- 십주경
- 십주비바사론
- 십주품
- 십중계
- 십중금계
- 십중대계
- 십지- 보살마하살의 지혜의 자리
- 십지보살과 수릉엄삼매
- 십지품(十地品)
- 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
- 십현문
- 십현연기
- 쌍계사
- 쌍봉사
- 아견과 근본정신 주체의 문제
- 아견과 수행
- 아귀
- 아귀들간의 다툼
- 아귀의 희망 추구관계
- 아나빈저(阿那邠邸)
- 아나타빈다(阿那陀擯茶)
- 아나타빈다타(阿那陀擯茶駄)
- 아난
- 아난다
- 아난빈저(阿難邠抵)
- 아난빈제(阿難賓提)
- 아난빈지(阿難邠坻)
- 아난의 산해혜 자재통왕 여래 성불수기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성취 법문-무량의
-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수순
- 아누다라삼막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 아라나비여래
- 아라한
- 아라한과
- 아라한구덕경
- 아라한의 반열반과 무량행문
- 아라한향
- 아뢰야식(阿賴耶識)
- 아뢰야식과 세간 범부의 아와 아소상
- 아뢰야식과 제 7식과 제 6 식과 전 5 식
- 아뢰야식의 변현과 세간
- 아뢰야식의 불상부단
- 아뢰야식존재증명
- 아리야식
- 아리야식의 두가지 이치 - 각의-불각의
- 아마라식(阿摩羅識
- 아미타경
- 아미타불
- 아바이바르티카
- 아부달마(阿浮達摩)
- 아부타달마(阿浮陀達摩)
- 아비니바르타니야
- 아비달마
- 아비달마 의미
- 아비달마구사론
- 아비달마구사론본송
- 아비달마구사석론
- 아비달마대비바사론
- 아비달마발지대비바사론서(阿毘達磨發智大毘婆娑論序)
- 아비달마법온족론
- 아비달마순정리론
- 아비달마장현종론
- 아비달마집이문족론
- 아비달마품류족론
- 아비담팔건도론
- 아비발치
- 아비지阿毘旨
- 아비지阿鼻旨
- 아비지옥
- 아사세왕
- 아상의 집착
- 아승기阿僧祇
- 아승기겁(阿僧祇劫)
- 아승기야(阿僧祇耶)
- 아승지
- 아약교진여의 보명여래 성불용녀의 신속한 변화 성불
- 아우렐 스타인
- 아유안阿惟顔
- 아유월치
- 아유월치阿惟越致
- 아집과 생사고통
- 아집의 의지처 식
- 아차말보살경
- 아촉불국품
- 아파다나(阿波陀那)
- 아파타나(阿波陀那)
- 악마 파순과 수행자의 관계
- 악마- 많은 퇴전한 수행자를 듦
- 악마- 생사해탈을 권함
- 악마- 장구한 수행으로 이익없음을 듦
- 악마-바라밀다 수행을 불설이 아니라 비방함
- 악마-수행자의 고통을 듦
- 악마를 믿지 않는 사유 - 믿고 행할바를 얻지 못함
- 악마와 나쁨과 경계를 깨달아 수행에서 물러나지 않음
- 악마의 권유와 불퇴전보살
- 악마의 수행방해
- 악물惡物
- 악애惡愛
- 악자惡者
- 악취공견과 무아 공 제시취지의 오해문제
- 악취공견과 수행의 필요성
- 안
- 안(眼)
- 안락(安樂)
- 안락국(安樂國)
- 안락한 금강의 법성과 실상반야바라밀 - 사하
- 안락행품
- 안반수의경
- 안세고
- 안식(眼識)
- 안양
- 안양(安養)
- 안양사
- 안양암
- 안온(安穩)
- 안청
- 안탑(雁塔)
- 안현
- 안혜
- 암라수원
- 암라파리
- 암마라식(菴摩羅識).
- 암제차 여인의 과거생과 사자후요의경
- 암제차(菴提遮) 여인이 부처님을 만나는 인연
- 암제차와 색신을 떠난 부처님
- 앙구식(仰口食)
- 앙굴마라경
- 애호심
- 애호정법계(愛護正法戒)
- 액軛
- 야마천 수명 지옥 -바일제법
- 야제자(若提子)
- 약사경
- 약사여래다라니
- 약사유리광여래
-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
- 약천사
- 약천사문경
- 양과量果
- 양구불성과(兩俱不成過)
- 어머니의 덕
- 어제비장전
- 언설을 떠난 대상에 대해 언어시설을 통해 행하는 설법
- 언어 영역에서 언어의 유무 문제
- 언어 측면의 유무
- 언어방편 시설을 통해 설법하는 배경사정과 취지- 욕계의 망집
- 언어표현 [시설]을 통해 문제삼는 또 다른 측면들의 유무
- 언어표현에 의존한 의미확정 곤란성
- 언어표현이 지시가능한 의미들
- 언의(言依)
- 언의言依
- 얻을 것이 없음의 방편의 의미
- 엄불조
- 업
- 업감연기(業感緣起)
- 업과 과보
- 업과 법 인연화합과 해탈 열반
- 업로드
- 업비량業比量
- 업식業食
- 업의 과보
- 업이숙지력
- 업장과 참회와 공관
- 여래10호
- 여래비밀대승경
- 여래사자후경
- 여래성如來性
- 여래수량품
- 여래의 가르침의 모양과 성불
- 여래의 깨달음과 여래
- 여래장
- 여래장과 아뢰야식
- 여래장엄지혜광명입일체불경계경
- 여래정
- 여래태如來胎
- 여불위
- 여실공
- 여실불공
- 여인의 5장애와 성불
- 여인의 번뇌
- 역대삼보기
- 역룡(域龍)
- 역순의 12 인연관찰
- 역장엄삼매경
- 연기
- 연기(緣起)
- 연기진여(眞如緣起)
- 연기품
- 연생(緣生)
- 연수延壽
- 연수법延壽法
- 연역법(演譯法)
- 연화부蓮華部
- 연화왕이 몸을 버려 약이 되어 중생들을 구함
-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 열반경종요
- 열반과 죽음의 혼동문제
- 열반적정
- 열의(悅意)
- 염染
- 염리경
- 염마천炎摩天
- 염무감(念無減)
- 염무멸(念無滅)
- 염부제주품
- 염심(念心)
- 염착과 법애
- 영국
- 영어ten abidings
- 영어tenunderstandings
- 예경
- 예류預流또는수다원
- 예류과
- 예류향
- 예천
- 오고장구경
- 오관정
- 오근 오력
- 오기해탈법
- 오륜탑(五輪塔)
- 오복
- 오성사
- 오온(五蘊)
- 오온五蘊
- 오왕경
- 오위
- 오음비유경
- 오자다라니경
- 오자선다라니와 무생무멸
- 오정심관
- 오종호마五種護摩
- 오출리계
- 오하(五下)
- 오하결(五下結).
- 오해탈처
- 옥탑(屋塔)
- 온실세욕공양의 공덕
- 옴 마니 파드메 훔 육자대명주六字大明呪
- 옴마니반메훔
- 옴마니반메훔 オンマニハツメイウン
- 옴마니파드메훔
- 옷속 보배구슬의 비유 [의주유-계주유繫珠喩]마하파사파제 비구니 일체중생희견 여래 성불수기
- 완세(浣洗).
- 왕(王)
- 왕난(王難)
- 왕상응품
- 왕의 덕화의 과보
- 왕이 되는 인연-계의 공덕
- 외공
- 외공外空
- 외도문성대승법무아의경(外道問聖大乘法無我義經)
- 외도와 십선업의 문제
- 외호마
- 요익유정계
- 요익유정계(饒益有情戒).
- 욕계 색계 천자의 공양
- 욕계 현실에서 아귀다툼의 발생과 가해 피해관계의 발생
- 욕계에서 소원의 성취로 지옥의 고통이 발생하는 사정
- 욕계제6천
- 욕락과 진실한 행과 선악과보 [선유복행 악유앙앙 善有福行 惡有殃殃]
- 욕무감(欲無減)
- 욕무멸(欲無滅)
- 욕탐(欲貪)
- 용덕사
- 용수
- 용수보살
- 용인
- 용주사
- 우다나(優陀那)
- 우란분
- 우란분경
- 우란분절
- 우란분회
- 우바새(優婆塞)의 5계(戒)
- 우바새오계위의경
- 우바제사(優波提舍)
- 우안거(雨安居)
- 우타나(優陀那)
- 우파마나
- 우파제사(優婆提舍)
- 원각경
- 원력
- 원성실성
- 원심(願心).
- 원인
- 원행지 보살이 들어가는 무량함
- 원행지보살과 타화자재천왕
- 원행지보살의 10바라밀
- 원행지보살의 조보리법(助菩提法; 보리를 돕는 법) 구족
- 원효
- 월등삼매경
- 위불퇴位不退
- 위선을 잠시 행함
- 위신견(偽身見)
- 위신견偽身見
- 윈도우 sapi
- 유가사지론
- 유가사지론 제01권-공부
- 유가사지론 제51권
- 유구식(維口食)
- 유덕有德
- 유동전의有動轉依
- 유루
- 유루법
- 유루선과무루선
- 유루와 무루
- 유루지와무루지
- 유류법
- 유류와 무류
- 유리(有離)
- 유리有離
- 유마경
- 유마힐소설경
- 유명성有名聲
- 유모가 아이를 기르듯 제도함
- 유무를 떠남
- 유법공有法空
- 유법자상상위인과(有法自相相違因過)
- 유법차별상위인과(有法差別相違因過)
- 유사(有事)
- 유사有事 유위有爲saṁskṛta
- 유식무경
- 유식삼십론송
- 유식이십론
- 유신견(有身見)
- 유신견有身見
- 유염(有染)
- 유염有染
- 유염오(有染汚).
- 유염오有染汚
- 유예 상사과류(猶豫相似過類)
- 유예불성과(猶豫不成過)
- 유용전의有用轉依
- 유위(惟衛)
- 유위공有爲空
- 유위법有爲法
- 유쟁(有諍)
- 유쟁有諍
- 유정(有情)
- 유학 무학 2000 인의 보상(寶相) 여래 성불수기
- 유학인 무학인 2000인의 수기오탁악세 비구의 비방과 보살의 안인 및 법화경 홍포
- 유행경
- 육각지
- 육공
- 육념
- 육명분법
- 육상원융(相圓融)
- 육성취-대림정사
- 육열인법
- 육자대명왕다라니(六字大明王陀羅尼)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 육합석
- 육화(六和)
- 육화경
- 육화경법(六和敬法)
- 육화념법(六和念法)
- 육화합(六和合)
- 윤원구족(輪圓具足)
- 율이십이명료론
- 응송(應頌)
- 의(意)화경
- 의결(疑結
- 의념식意念食
- 의무실(意無失)
- 의발(衣鉢)
- 의식(意識)
- 의자화경(意慈和敬)
- 의정
- 의정義淨
- 의준 상사과류(義准相似過類)
- 의준량義准量arthāpatti
- 의지
- 의지식意志食
- 의처의 차별
- 의타기성(依他起性)
- 의타성
- 이(利)화경
- 이간질하는 말
- 이계(離繫)
- 이름의 차별
- 이법 상사과류(異法相似過類)
- 이부종륜론
- 이분
- 이분동전 부정과(異分同全不定過)
- 이상사회
-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 이식(耳識)
- 이십공二十空
- 이유5과(異喩五過)
- 이인혜
- 이자삼점
- 이작법
- 이전신견移轉身見
- 이제목다(伊帝目多)
- 이제왈다가(伊帝曰多伽)
- 이종전의二種轉依.
- 이통현
- 이품일분전동품편전부정과(異品一分轉同品遍轉不定過)
- 이품편무성(異品遍無性)
- 이호마理護摩
- 이화원
-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 인(人)
- 인과비량因果比量
- 인난(人難)
- 인도논리학
- 인명
- 인명14과류(因明十四過類)
- 인명33과(因明三十三過)
- 인명因明
- 인명정리문론
- 인법 2무아의 통달과 대비심에 바탕해 실제에 머물지 않음
- 인수위범계(忍受違犯戒)
- 인순정(印順定)
- 인연
- 인연(因緣)
- 인연법(因緣法)
- 인연생(因緣生)
- 인왕경
- 인위忍位
- 인증장引證章
- 인항고등학교
- 일래一來사다함
- 일래과
- 일래향
- 일미관행
- 일반적 입장과 수행의 필요성
- 일반적 입장에서의 유무 문제
- 일분전의一分轉依
- 일불승
- 일체 무소유 불가득 무집착
- 일체 중생의 의지처와 실상반야바라밀 - 디리
- 일체구업수지혜행(一切口業隨智慧行)
- 일체는 실체가 없고 명칭뿐임
- 일체도종지
- 일체락(一切樂)
- 일체법 무변 멸진 평등과 실상반야바라밀 - 표
- 일체법 평등 제일의 법 업용의 성품과 실상반야바라밀- 힐리
- 일체법 평등과 실상 반야바라밀 - 감
- 일체법공一切法空
- 일체법공一切法空
- 일체법의 실상
- 일체법의 청정함과 실상반야바라밀 - 함
- 일체법의 평등 청정함 자재관찰 지인(智印)과 실상반야바밀 - 기리
- 일체부처님 지혜장 및 재 법보시와 실상 반야바라밀- 다람
- 일체신업수지혜행(一切身業隨智慧行)
- 일체의업수지혜행(一切意業隨智慧行)
- 일체종지와 무명제거
- 일체중생 조복 섭수 비밀지장과 실상반야바라밀 - 하
- 일체지 증득과 결과
- 일체지(一切智)
- 일체지무소외
- 일체지지-배우지 않아도 될 법이 없음
- 입능가경
- 입량파(立量破)
- 입량파立量破
- 입법계
- 입법계품
- 입장 조화를 위한 취사장 사단장의 방안
- 있고 없음의 판단에서 각 영역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형식
- 자(慈)
- 자(慈)ㆍ비(悲)ㆍ희(喜)ㆍ사(捨)
- 자교상위과(自敎相違過)
- 자무량심(慈無量心)
- 자비
- 자비도량참법
- 자비량自比量
- 자비량自比量svārtha-anumāna
- 자비희사(慈悲喜捨)
- 자상공自相空
- 자상과 공상
- 자성공 자성즉비자성 불가득 불응관A 상락아정무상고무아부정
- 자성공自性空
- 자성이 공함=> 자성이 자성이 아님=> 불가득=>상락아정무상고무아부정을 보지 않아야 함
- 자성청정장自性淸淨藏
- 자씨보살소설대승연생도간유경
- 자어상위과(自語相違過)
- 자연과 남이 만든 것과 자신이 만든 것
- 자재自在
- 자재왕여래
- 자증분(自證分)
- 작서자요계(作誓自要戒)
- 작자(作者)와 작사(作事; 일)
- 잠시간의 수행의 어려움을 참지 못함
- 잠시간의 수희 - 3 악도를 면함
- 잡보장경
- 잡비유경
- 잡색(雜色)
- 잡아비담심론
- 잡아함경
- 잡아함경이 설해지는 배경
- 장경동
- 장곡사
- 장곡사_칠갑산
- 장수천(長壽天)
- 장식 즉 밀엄
- 장식의 무인연 무화합 상주의 사정
- 장식의 생사유전
- 장아함경
- 장애가 없는 사유- 섭수[攝受]하지 않음
- 장자법지 부인의 무구왕 여래 성불 수기
- 장자법지의 부인의 참회
- 재(財)
- 재아귀난(在餓鬼難) 재장수천난(在長壽天難)
- 재울단월난(在鬱單越難) 농맹음아난(聾盲瘖瘂難)
- 재축생난(在畜生難)
- 쟁론
- 적극적인 수익을 얻는 투자 방안
- 적난(賊難)
- 적멸에 들어감과 증득하지 않음
- 적멸위락
- 적멸인
- 적의(適意)
- 적집(積集)
- 전箭
- 전纒
- 전轉
- 전도된 판단 - 상을 놓고 거꾸로 판단함
- 전도망상을 이해하는 실익
- 전등록
- 전법륜력
- 전법륜품
- 전사轉捨
- 전승량傳承量 aitihya
- 전식득지轉識得智
- 전식성지轉識成智
- 전의
- 전의와 정각
- 전의의 묘한길 -자각성지의 경계
- 전진(前陳)전설(前說)소의(所依)자성(自性)유법(有法)소별(所別)
- 점비일체지덕경
- 점찰경
- 점찰선악업보경
- 접은글
- 정
- 정등각외(正等覺無畏)
- 정등각의 사자후
- 정려
- 정려로 무아 무상을 깨달음
- 정려와 무아
- 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
- 정려해탈등지지력
- 정리파(正理派)
- 정법념처의 법문과 십선업
- 정법염처경
- 정법화경
- 정부정의지주식淨不淨依止住食
- 정사
-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 정성스런 보시
- 정심(定心)
- 정심주正心住
- 정위頂位
- 정진무감(精進無減)
- 정진무멸(精進無滅)
- 정진심(精進心)
- 정토 만다라
- 정혜사
- 정혜사_정읍
- 제 2 선과 제 3 선 사이
- 제 3 선
- 제 4 선
- 제 4 선의 중간
- 제 7 원행지에 드는 10묘행
- 제 8 장식의 변현과 전5식 제6식 제7식의 불상부단
- 제7식
- 제각각 망견을 고집해 다툼
- 제도할 중생의 제도
- 제목수정
- 제바달다의 천왕(天王) 여래 성불
- 제법집요
- 제불심다라니경
- 제불심인다라니경(諸佛心印陀羅尼經)
- 제불여래의 가피
- 제불통호諸佛通號
- 제사선(第四禪)
- 제일의(第一義)
- 제일의공
- 제일의제(第一義諦)
- 제자의 본원을 아시는 부처님
- 제자품
- 조계사
- 조림稠林
- 조백대사(棗栢大師)
- 존귀尊貴
- 존비차제계(尊卑次第戒)
- 종(宗)인(因)유(喩)합(合)결(結)의 5분작법(分作法)
- 종감록宗鑑錄
- 종경록
- 종종계지력
- 종종낙욕승해찰별지력
- 종종승해지력
- 좌랍(坐臘).
- 좌하(坐夏)
- 주객동리계(主客同利戒)
- 주도수경
- 주올株杌
- 주탑(柱塔)
- 죽림정사와 기원정사가 세워진 배경
- 죽음[死]과 죽지 않음[不死]
- 중간존경(中間存境).
- 중경찬잡비유경
- 중국 화산
- 중국내 도교 세력과의 갈등
- 중론
- 중변론
- 중변분별론
- 중본기경
- 중사분아비담론
- 중색왕의 수승한 유가에 대한 질문
- 중생
- 중생(衆生)
- 중생국토 즉 보살불국토
- 중생마다 불국토를 달리 대함
- 중생심
- 중생심 상태
- 중생의 덕
- 중생의 번뇌-업-고통의 생사현실
- 중생제도
- 중생제도 방편으로 성문연각을 나타내는 보살
- 중생제도 성불을 위한 수행과 1234등의 미묘한 차이점
- 중생제도와 방편선교
- 중송(重頌)
- 중아함경
- 중앙승가대
- 중우衆祐
- 증(證)
- 증도
- 증불퇴證不退
- 증상심심력
- 증승설의 차별
- 증익법增益法pāuṣṭika
- 증일아함경
- 증자증분(證自證分) 호법
- 증장천왕
- 증전
- 증혜다라니경
- 지(持)
- 지(智)
- 지(知)
- 지국천왕
- 지근(知根)
- 지근무외(知根無畏)
- 지눌보조국사
- 지도(智度)
- 지도무극(智度無極)
- 지력
- 지루가참
- 지바하라(Divākara
- 지불지 상사과류(至不至相似過類)
- 지엄
- 지연단(知緣斷)
- 지옥
- 지요
- 지장보살
- 지장사
- 지적보살과 문수보살의 만남
- 지정상(智淨相)
- 지제
- 지혜(智慧)바라밀
- 지혜를 늘리고 깨달믐의 뜻을 열고 나를 헤아리지 않게 하기 위함
- 지혜를 더욱 늘려 주기 위함
- 지혜지견과거세무애무장(智慧知見過去世無礙無障)
- 지혜지견미래세무애무장(智慧知見未來世無礙無障)
- 지혜지견현재세무애무장(智慧知見現在世無礙無障). 염무실(念無失)
- 지혜지과거세무애(智慧知過去世無礙)
- 지혜지미래세무애(智慧知未來世無礙)
- 지혜지현재세무애(智慧知現在世無礙)
- 직분에 따라 화합해 도움
- 진나
- 진나dignaga
- 진능파(眞能破)
- 진능파眞能破
- 진도
- 진실공眞實空
- 진실성
- 진실유(眞實有).[opp]반}세속제(世俗諦)
- 진언
- 진언(眞言)
- 진에(瞋恚)
- 진여의 두가지 이치[義] - 여실공
- 진여품
- 진제(眞諦)
- 진제역
- 진짜라고 할 영원불변하고 고정된 실체로서의 마음
- 진취의 차별
- 진학경
- 진현량眞現量
- 집(集)
- 집集
- 집고금불도논형
- 집사문불응배속등사
- 집이문족론
- 집착
- 집착없음과 배우기
- 짓는자와 받는자.
- 차별없이 공함과 수행 필요성
- 찬집백연경
- 찰나 생멸과 중생의 무량한 성품-욕심-설법-뜻
- 참괴
- 참회
- 참회진언
- 처비처지력
- 천묘(天妙)
- 천불동
- 천수경
- 천왕 태자 벽라의 전생의 덕화
- 천인의 제각각 관찰
- 천자의 공양찬탄과 사천왕의 발우공양
- 천황사
- 천황사_밀양
- 첨급병인계(瞻給病人戒)
- 첨품묘법연화경
- 청문 - 도솔천 왕생
- 청법자수계(聽法諮受戒)
- 청불품
- 청빈두로법
- 청용사
- 청용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