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several-capitals-and-a-bas-relief-farnese-gardens-villa-barberini-etc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several-capitals-and-a-bas-relief-farnese-gardens-villa-barberini-etc Info
068▲ 走辰車车豸 ■ 주진차차치 68 ( 달릴 주 )( 별 진/ 때 신 )(수레 차 / 수레 거 ) ( 수레 차 / 수레 거)( 벌레 치 / 해태 채, 해태 태 ) CF 笏 홀 홀 029▲ 牛牜尤友云 ■ 우우우우운 29 ( 소 우 ) ( 소우 우) ( 더욱 우 )( 벗 우 )( 이를 운/ 구름 운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Ayutthaya [san-chn] jarā-duḥkha 老苦 [san-eng] eteṣāṃ $ 범어 of the Pandavas [pali-chn] paṭivedha 達, 達 [pal-eng] sa.mvaasaka $ 팔리어 adj.living together; co-resident. [Eng-Ch-Eng] four desires: 四欲 [Muller-jpn-Eng] 增上緣依 ゾウジョウエンネ support in the form of a dominant condition [Glossary_of_Buddhism-Eng] CAUSES AND CONDITIONS☞ See also: Cause and Effect. “Also referred to as primary causes and secondary causes or main causes and subsidiary causes. The seed out of which the plant grows is an illustration of the main cause, whereas other elements like labor, the quality of soil, humidity and so on, are considered as subsidiary causes (or conditions).” NV Hoa: Na 【book-page-134 135】
[fra-eng] exportai $ 불어 exported [chn_eng_soothil] 始覺 The initial functioning of mind or intelligence as a process of 'becoming', arising from 本覺 which is Mind or Intelligence, self-contained, unsullied, and considered as universal, the source of all enlightenment. The 'initial intelligence' or enlightenment arises from the inner influence 薰 of the Mind and from external teaching. In the 'original intelligence' are the four values adopted and made transcendent by the Nirvāṇa-sūtra, viz. 常, 樂, 我, 淨 Perpetuity, joy, personality, and purity; these are acquired through the 始覺 process of enlightenment. Cf. 起信論 Awakening of Faith.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缺譯) [玄奘] 世尊, 若預流者作如是念 ࡔ我能證得預流之果ࡕ, 即為執我、有情、命者、士夫、補特伽羅等. [義淨] 世尊, 若預流者作是念 ࡔ我得預流果ࡕ者, 則有我執、有情、壽者、更求趣執. 09-03 सचेद्भगवन् स्रोतआपन्नस्यैवं भवेत्- मया स्रोतआपत्तिफलं प्राप्तमिति, स एव तस्यात्मग्राहो भवेत्, सत्त्वग्राहो जीवग्राहः पुद्गलग्राहो भवेदिति॥ sacedbhagavan srotāpannasyaivaṁ bhavet mayā srotāpattiphalaṁ prāptam iti | sa eva tasyātmagrāho bhavet | sattvagrāho jīvagrāhaḥ pudgalagrāho bhavediti | 만일, 복덕갖춘분이시여! 흐름에 든 자의 경우에 ‘나에 의해 흐름에 든 결과가 얻어졌다’라는 그러한 (산냐가) 생겨난다면, 그는 참으로 그의 자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이며 중생에 대한 집착이、 영혼에 대한 집착이、 개체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입니다.” ▼▷[sacedbhagavan] ① sacet(ƺ.) + bhagavan(ƾ.voc.) → [만일、 복덕갖춘분이시여!] ② sacet(ƺ.È 만약, ~이라면) ▼[srotāpannasyaivaṁ] ① srota+āpannasya([nj.→]ƾ.gen.) + evaṁ(ƺ.) → [흐름에 든 자의、 그러한] ▼[bhavet] ① bhavet(pot.Ⅲ.sg.) → [(+산냐가) 생겨난다면]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srotāpattiphalaṁ] ① srota+āpatti+phalaṁ(ƿ.nom.) → [흐름에 든 결과가] ▼[prāptam] ① prāptam(njp.→ƿ.nom.) → [얻어졌다] ▼[iti] ① iti(ƺ.) → [라는,] ▼▷[sa] ① saḥ(ƾ.nom.) → [그는] ▼[eva] ① eva(ƺ.) → [참으로] ▼[tasyātmagrāho] ① tasya(pn.ƾ.gen.) + ātma+grāhaḥ(ƾ.nom.) → [그의、 자아에 대한 집착이] ② ātman(ƾ. the soul; oneself;; the understanding; thinking faculty) ② grāha(ƾ. seizing, grasping; a crocodile, shark; a prisoner; a disease; any large fish) ▼[bhavet] ① bhavet(pot.Ⅲ.sg.) → [될 것이며,] ▼▷[sattvagrāho] ① sattva+grāhaḥ(ƾ.nom.) → [중생에 대한 집착이]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jīvagrāhaḥ] ① jīva+grāhaḥ(ƾ.nom.) → [영혼에 대한 집착이] ② jiva(nj. living, existing: ƾ. the principle of life, the vital breath, life, soul; the individual or personal soul enshrined in the human body and imparting to it life) ▼[pudgalagrāho] ① pudgala+grāhaḥ(ƾ.nom.) → [개체아에 대한 집착이] ② pudgala(nj. beautiful, lovely, handsome: ƾ. atom; the body matter; the soul; the ego or individual; man) ▼[bhavediti] ① bhavet(pot.Ⅲ.sg.) + iti(ƺ.) → [될 것입니다、 라고.]
그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에 계시면서 이양을 싫어하고 근심하셨다. 한 깊은 숲이 있었는데, 이름이 탐장엄(貪莊嚴)이었다. 부처님께서는 이양을 피하여 그 숲으로 가셨다. 숲에는 절이 있고 나익가(那弋迦)라는 아라한이 그 절 주지였다.
부처님께서는 그 숲으로 가셨다. 한낮이 되자 가사를 가지고 공양하는 사람이 숲 속에 가득 찼다. 그들은 ‘우리는 이양을 바라지 않는데, 이양은 항상 우리 뒤를 따른다’고 하였다. 다시 1만 2천 비구도 거기 왔다. 부처님께서는 그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양이란 큰 재해로서 장애가 된다. 나아가서는 아라한까지도 이양의 장애를 받느니라.” 비구들은 아뢰었다. “어떤 장애가 됩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이양의 해는 가죽을 찢고 살을 찢으며, 뼈를 부수고 골수를 부순다. 어떤 것을 찢고 부수는가? 계율을 가지는 이의 가죽을 찢고 선정 닦는 이의 살을 찢으며, 지혜로운 이의 뼈와 미묘하고 착한 마음의 골수를 부수느니라.” 1만 2천 비구들은 모두 세 가지 옷과 여섯 가지 물건만 가지고 아련야의 생활을 하면서 다른 물건은 받지 않았다. 부처님께서는 찬탄하셨다. “착하고 착하다. 너희들은 아련야의 법을 잘 지키는구나. 그것은 욕심이 적은 법이요, 욕심이 많은 법이 아니다. 그것은 만족할 줄 아는 법이요, 만족할 줄 모르는 법이 아니다. 그것은 한적한 것을 즐겨 하는 법이요, 시끄러움을 즐겨 하는 법이 아니다. 그것은 노력하는 법이요, 게으른 법이 아니다. 그것은 바르게 생각하는 법이요, 삿되게 생각하는 법이 아니다. 그것은 안정한 마음의 법이요, 산란한 마음의 법이 아니다. 그것은 지혜의 법이요, 어리석음의 법이 아니니라.” 비구들은 이 말씀을 듣고 모두 아라한이 되었다. 비구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참으로 드문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그것은 오늘만이 아니라 과거에도 그러하였느니라. 옛날 가시국에 야차라는 재상이 있었고, 야차의 아들은 이름이 야아달다(夜兒達多)였다. 그는 세상의 덧없음을 깊이 깨닫고 집을 떠나 신선을 배웠다. 그런데 여러 신선들은 욕심이 많아 모두 과실과 풀을 가지고 서로 다투었다. 그는 그들에게 욕심이 적은 것을 가르치기 위해 부드러운 풀을 버리고 거친 풀을 가지며, 맛난 과실을 버리고 쓴 과실을 가지며, 새로운 과실을 버리고 묵은 과실을 취하였다. 이렇게 과실을 버리고 가지고 한 뒤에는 곧 5신통을 얻었다.
1만 2천 선인은 그가 그렇게 하는 것을 보고 욕심이 적은 것을 배워 다시는 많이 구하지 않고, 또 5신통을 얻었다. 그리하여 야아달다는 차츰 방편을 써서 여러 선인들을 교화하다가 목숨을 마친 뒤에는 불용처(不用處)에 났느니라. 그 때의 야아달다는 바로 내 몸이요, 1만 2천 선인들은 바로 지금의 1만 2천의 비구들이었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