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불교진리와실천

불기2569-02-10_아비담비바사론-k0951-023 본문

카테고리 없음

불기2569-02-10_아비담비바사론-k0951-023

선현 2025. 2. 12. 18:25



®


『아비담비바사론』
K0951
T1546

아비담비바사론 제23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아비담비바사론』 ♣0951-023♧




아비담비바사론 제23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6_121456_can_ab41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본문 ◎[개별논의]

★%★
『아비담비바사론』 ♣0951-023♧






◎◎[개별논의] ❋본문









★1★





◆vqsj1346

◈Lab value 불기2569/02/10


○ 2018_0419_140744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venus-and-jupiter.jpg!HD



○ 2020_0606_191154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2019_1004_180607_nik_ab41



♥몰운대초등학교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Naver 지도


Jean-Louis Murat - L'aneantissement D'un Coeur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10-k0951-023.html#1346
sfed--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txt ☞아비담비바사론 제23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qsj1346
불기2569-02-10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인도의 하리발마가 지은 『성실론』을 근본 성전으로 삼는 종지(宗旨). 

4세기경 하리발마가 『성실론』을 지은 데서 시작. 412년(후진 홍시 14) 구마라집이 번역. 

승예가 강의를 계속하여 

도고ㆍ승역ㆍ법운ㆍ지장ㆍ혜민 등이 전력을 기우려 선전하여 매우 융성. 

수나라 당나라 때 와서는 점점 쇠운에 빠지다. 

우리나라에는 고구려 혜관(慧灌)이 수나라에 가서 가상사 길장에게 삼론종과 성실종의 깊은 뜻을 배워오고, 

신라의 원광은 진(陳)나라에 가서 이 종을 전해오고, 

원효도 『성실론소』 10권을 지었다. 

624년(일본 추고왕 32) 혜관이 이종을 일본에 전하다. 

이 종의 교의(敎義)는 소승 비담(毘曇)의 1파로부터 다시 한걸음 나아가 아공(我空)밖에 법공(法空)을 말하였으므로, 

그 실천문에서는 2공관(空觀)을 철저히 하고, 

3종심(種心)을 멸하는 동시에 

3계(界)를 여읜다고 하며, 

향상수행(向上修行)의 과정을 27위(位)로 나눔.

답 후보
● 성실종(成實宗)
세속제(世俗諦)
소겁(小劫)
소마(蘇摩)
소승(小僧)

소연연(所緣緣)
소천세계(小千世界)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 2019_1004_150213_can_ct29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아비담비바사론_K0951_T154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