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불교진리와실천

kabc_통합대장경 안내 본문

기본-공지

kabc_통합대장경 안내

진리와 가치를 고루고루 2020. 6. 4. 11:40



®

통합대장경 안내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사이트]

●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https://kabc.dongguk.edu/

* 모바일환경 https://kabc.dongguk.edu/m/

● 개별 경전 권별 주소

현재 본 사이트내 기존 경전 및 일일단상 페이지에
개별 경전 권별 링크가 붙여져 있습니다.

이 링크는 원 사이트 주소 체계 변경에 따라
연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이퍼링크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는 
직접 사이트를 방문해 
경전 제목 및 권번호를 통해 찾아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링크부분은 해당 페이지 내용 정리 및 업데이트시
순차적으로 변경된 주소로 변경 적용됩니다.


■ 페이지에 새로 변경해 붙이는 경전 링크는 호환성을 위해
모바일 주소로 통일하여 기재하기로 합니다. [ 불기2564-06-04 ]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후원] 안내페이지
불교학술원_기금 기금소개 기금후원방법 






○ 2020_1017_153241_can_ct22 삼각산_화계사


○ 2019_1105_175711_can_CT27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20_0904_143758_can_BW25 원주_구룡사


○ 2019_1106_153152_nik_AR35_s12 화순_운주사_쌍봉사_풍광


○ 2020_0910_134142_can_Ab31 속리산_법주사


○ 2020_0908_142912_can_BW17 합천_해인사


○ 2020_0908_163223_nik_bw3 합천_해인사


○ 2020_0909_155600_can_ori_rs 무주_백련사


○ 2019_1201_161641_nik_bw0_s12 원주_구룡사_풍광


○ 2019_1105_163344_can_ar38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19_1105_121201_can_Ar26_s12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20_0907_135400_nik_ar47 양산_통도사


○ 2020_0907_124343_nik_BW27 양산_영축사


○ 2020_0908_173548_can_ori_rs 합천_길상암


○ 2020_0907_141239_can_AB7 양산_통도사


○ 2020_0910_112903_can_BW17 속리산_법주사


○ 2020_0905_111541_can_ct18 오대산_월정사


○ 2020_1017_173416_can_BW21_s12 삼각산_화계사


○ 2019_1105_115308_can_bw0_s12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20_0907_160916_can_ar45 양산_통도사


○ 2019_1105_115717_can_ct20_s12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스크랩 원문보관> 


○ [pt op tr]


● [pt op tr] fr
출처 





●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안내


통합대장경은 다양한 계통과 언어 및 판본으로 전승되어 온 대장경을
동시에 열람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한 디지털 대장경이다.
즉 현존하는 한역대장경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고려대장경과
이를 우리말로 번역한 한글대장경을
동시에 열람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한 대장경이다.

...



○ kabc00.jpg


from -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사이트 페이지 -  
● 통합대장경 사이트 https://kabc.dongguk.edu/


○ 통합대장경과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에 대한 안내 

대장경은 경(經)ㆍ율(律)ㆍ논(論) 삼장뿐 아니라
고승들의 저술 등 불교연구에 관한 기록을 모아 만든 총서이다. 
고려대장경은 그 경판이 가장 오래되면서
정각(精刻)의 원형을 가장 완벽하게 유지하고 있다. 
몽고의 침입으로 현종 때의 초조대장경판이 불타버려
다시 새긴 것이 지금의 재조대장경판 또는 팔만대장경판이다.
유네스코는 2007년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의 가치를 인정하여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하였다. 


(사)고려대장경연구소에서는 1996년 전산화를 수행해
2006~2008년에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동국역경원은 역경사업을 위하여 1964년 설립되어
1965년 장아함경을 시작으로 
고려대장경을 한글로 번역하기 시작하여
2001년 318권으로 한글대장경을 완간하였다.

우리시대 우리말과 글로 된 한글대장경을 인터넷이란 매체를 통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한글대장경 개역 전산화 사업’을 수행하였다. 

동국역경원은 우리시대 말과 글로 개역하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든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전산화하여 서비스하였다.


불교학술원에서는 ‘한글대장경 개역 전산화사업’과 
(사)고려대장경연구소의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구축 사업’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통합대장경을 구축하고자 
동국대학교와 고려대장경연구소가 상호 협력하여 추진한 것이다.


통합대장경은 대장경이 지니는
불교기록유산의 원전적 가치를 확립하고, 
대장경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불교 지식 생산의 원동력을 심화하며, 
대장경에 담겨진 다양한 가치를 아카이브 서비스라는 소통으로
문화창조의 미래를 열어가는 의미를 지닌다.
...







>>>>>>>>>>>>>>>>><<<<<<<>>>



기타 관련 사이트 
● 한글대장경 [대장경-한글번역본], <동국역경원, The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재 컨텐츠 연구소, 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s> <EBTC>



● 한글 찬술 불전,<동국역경원> https://www.tripitaka.or.kr/



●  일부경전은 원문이나 번역본이 아직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일부 있을 수 있다. 
한문본 경전이나
영문, 티벳본, 산스크리트본, 팔리어본, 다른 외국 불교 판본들을 참조하려면 
다음 페이지를 참조 
불교 대장경 원문 검색 다운로드 사이트
https://buddhism007.tistory.com/232


● 불교사전 참조 
불교 경전과 논서는 낯선 불교 전문 용어가 많이 들어 있다. 
불교사전의 참조가 필요한 경우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면 다양한 한글 한문 불교사전을 이용할 수 있다.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tistory.com/5710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통합대장경을 바탕으로 한 경전연구방안
https://buddhism007.tistory.com/5762



[참고] 
페이지에 붙이는 링크 방식 [불기2564-06-01] 

『대반야바라밀다경』 제 1권 열람시
● 해제          https://kabc.dongguk.edu/content/pop_heje?dataId=ABC_IT_K0001
         
[ 데스크탑 모니터 환경 ]
● 경권 페이지 https://kabc.dongguk.edu/content/view?dataId=ABC_IT_K0001_T_001
● 뷰어          https://kabc.dongguk.edu/viewer/view?dataId=ABC_IT_K0001_T_001
● 메인          https://kabc.dongguk.edu/

[ 모바일 모니터 환경 ]
● 경권 페이지 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dataId=ABC_IT_K0001_T_001
● 뷰어          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er?dataId=ABC_IT_K0001_T_001
● 메인          https://kabc.dongguk.edu/m/
=>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abc.html













○ [pt op tr]
● 통합대장경_안내 [문서정보] 페이지 키워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