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사념주 [한문]四念住
사념처와 같음.
사념처
[한문]四念處
신역(新譯)은 사념주(四念住).
소승의 수행자가 3현위(賢位)에서 5정심관(停心觀) 다음에 닦는 관(觀).
신념처(身念處)ㆍ수념처(受念處)ㆍ심념처(心念處)ㆍ법념처(法念處).
(1) 신념처.
부모에게 받은 육신이 부정하다고 관하는 것.
(2) 수념처.
우리의 마음에 낙이라고 하는 음행ㆍ자녀ㆍ재물 등을 보고,
낙이라 하는 것은 참 낙이 아니고,
모두 고통이라고 관하는 것.
(3) 심념처.
우리의 마음은 항상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고,
늘 변화 생멸하는 무상한 것이라고 관하는 것.
(4) 법념처.
위의 셋을 제하고,
다른 만유에 대하여 실로 자아(自我)인 실체(實體)가 없으며,
또 나에게 속한 모든 물건을 나의 소유물이라고 하는데 대해서도,
모두 일정한 소유자(所有者)가 없다고,
무아관(無我觀)을 하는 것.
이 사념처관을 신(身)ㆍ수(受)ㆍ심(心)ㆍ법(法)의 순서로 따로따로 관하는 것을 별상념처관(別相念處觀),
총합하여 관하는 것을 총상념처관(總相念處觀)이라 함.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사념처는 불교의 37도품 수행법 중 하나이다.
네가지 사띠 수행을 의미한다.
목차
1 설명
2 사띠
3 종류
3.1 신념처
3.2 수념처
3.3 심념처
3.4 법념처
4 각주
설명:
사념처는 팔정도의 정념(right mindfulness)에 해당하는 수행법이다.
간접적으로는 정정(right concentration)을 닦는 수행이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드실 무렵 아난존자가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에는 무엇에 의지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을 때
석가모니는 "사념처에 의지하라"고 대답했다.
사념처 명상은
관하는 위파사나(혜)와
고요한 사마타(정)의 두 가지가 모두 포함되는 수행법이다.
사념처는 테라와다(남방 상좌부)불교의 대표적 수행법이며,
대승불교의 조동종에서도 수행한다.[1]
사띠:
사념처의 념(念)은 남방불교,
팔리어에서는 사티 (불교),
영어에선 마음챙김(mindfulness)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관(觀)한다고 할 때 관이 바로 념(念)이다.
한국에서는 마음챙김 또는 알아차림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지만,
깨어있음,
주의깊음,
마음집중,
마음지킴,
수동적 주의집중 등으로도 번역된다.
종류:
사념처는
신념처(身念處),
수념처(受念處),
심념처(心念處),
법념처(法念處)의 네 가지를 말한다.
■ 신념처:
몸의 성질과 모습이 허공과 같다고 관하는 것이니,
이것이 이름 하여 신념처(身念處, mindfulness of the body)라고 한다.
몸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이다.
참선 중에 호흡의 수를 세는 수식관이 신념처에 해당한다.
수식관은 석가모니가 평생 수행하고,
제자들에게 가르쳤던 참선법이다.
■ 수념처:
몸에 어떤 느낌이 있을 때 이 느낌이
몸이나 몸 바깥에 있지도 않고,
중간에 머물지도 않음을 관하는 것이니,
이것을 이름 하여 수념처(受念處, mindfulness of feelings or sensations)라고 한다.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이다.
■ 심념처:
마음에 일어나는 생각은 단지 고정된 개념으로 명자라는 사실을 관하는 것이니,
이 명자의 성품에서 벗어나는 것을 이름 하여 심념처(心念處,
mindfulness of mind or consciousness)라고 한다.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이다.
■ 법념처:
중생의 마음에 일어나는 일체 법은 좋은 법도 좋지 않는 법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관하는 것이니,
이것을 이름 하여 법념처(法念處, mindfulness of dhammās)라고 한다.
법 (불교)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 이다.
석가모니가 설법에 사용했던 언어인 팔리어로는 담마(dhammā)에 대한 사띠(sati) 수행을 말한다.
법념처에서 법은
오개, 오온, 육처, 칠각지, 사성제를 의미한다.
법은 알아차릴 대상이면서 그 자체가 진리이다.
오개(五蓋)란 다섯가지 장애로서,
탐욕,
성냄,
나태와 졸음,
동요와 걱정 및 의혹을 말한다.
오온(五蘊)이란 다섯가지 쌓임이라는 뜻으로,
색수상행식을 말한다.
육처(六處)란 여섯가지 안팎의 기관 (六處) 현상을 말한다.
각 기관인 안이비설신의와 그 기관의 대상인 색성향미촉법,
각 기관과 기관의 대상에 의해 생겨나는 번뇌를 말한다.
칠각지(七覺支)란 일곱가지 깨달음의 요소라는 뜻으로,
염각지(念覺支),
택법각지(擇法覺支),
정진각지(精進覺支),
희각지(喜覺支),
경안각지(輕安覺支),
정각지(定覺支),
평등각지(平等覺支)를 말한다.
사성제(四聖諦)는 네가지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으로 고집멸도를 말한다.
사성제는 특히 불교에서 가르치는 주요한 진리 (현상의 이치)로서
궁극적으로 사념처 명상에서 체험적으로 깨달아야 할 대상이다.
각주:
For an example of a Zen master's explicit use of this type of meditation, see Nhat Hanh (2005).
● From 대만불광사전
사념주 【四念住】 p1708-中≫ 梵語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巴利語 cattāro sati-paṭṭhānāni. 爲三十七道品中之一科. 指集中心念於一點, 防止雜念妄想生起, 以得眞理之四種方法. 乃原始經典中所說之修行法門. 又作 四念處․ 四意止․ 四止念․ 四念․ 身受心法. 卽以自相․ 共相, 觀身不淨․ 受是苦․ 心無常․ 法無我, 以次第對治淨․ 樂․ 常․ 我等四顚倒之觀法. 念, 含有慧觀之義 ; 住, 卽於身․ 受․ 心․ 法四境, 生起不淨․ 苦等觀慧時, 其念能止住於其處. 據俱舍論卷二十三載, 修習四念住之法, 係以自相․ 共相, 依次觀照身․ 受․ 心․ 法四境. 自相, 乃四境各別之自性 ; 如身之自性, 爲四大種所造之色. 共相, 則爲諸法共通之性, 卽一切法皆具有非常․ 苦․ 空․ 非我等之性. 四念住卽 : (一)身念住(梵 kāya-smṛty-upasthāna, 巴 ka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又作 身念處. 卽觀身之自相爲不淨, 同時觀身之非常․ 苦․ 空․ 非我等共相, 以對治淨顚倒. (二)受念住(梵 vedanā-smṛty-upasthāna, 巴 vedanāsu vedan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又作 受念處. 卽觀於欣求樂受中反生苦之原由, 竝觀苦․ 空等共相, 以對治樂顚倒. (三)心念住(梵 citta-smṛty-upasthāna, 巴 cittecitt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又作 心念處. 卽觀能求心之生滅無常, 竝觀其共相, 以對治常顚倒. (四)法念住(梵 dharma-smṛty-upasthāna, 巴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又作 法念處. 卽觀一切法皆依因緣而生, 無有自性, 竝觀其共相, 以對治我顚倒. 四念住之體皆各有三種, 稱爲三念住. 卽 : (一)自性念住, 又作 性念處. 以能觀察身․ 受․ 心․ 法之聞․ 思․ 修等三慧爲體. (二)相雜念住, 又作 共念處. 以與慧同時存在之心․ 心所(精神作用)等爲體. (三)所緣念住, 又作 緣念處. 以慧所緣之對象, 卽身․ 受․ 心․ 法等四境爲體. 四念住之觀法, 可分爲別相․ 總相二種. 卽 : (一)別相念住, 爲四念住之各別觀法. (二)總相念住, 爲總合四念住之觀法. 又四念住中之前三境爲雜緣, 第四法念住則通於雜緣與不雜緣. 唯觀法念住者, 稱爲不雜緣 ; 於身․ 受․ 心․ 法等, 或觀二境․ 三境之合緣, 或總觀四境之合緣, 則稱爲雜緣. 若修習雜緣法念住, 可入四善根位. 此外, 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十, 擧出四念住依次趣入四諦之說, 卽由身念住趣入苦諦, 由受念住趣入集諦, 由心念住趣入滅諦, 由法念住趣入道諦. [中阿含卷二十四念處經․ 長阿含卷十「三聚經」․ 增一阿念經卷十一․ 坐禪三昧經卷下․ 大智度論卷十九․ 瑜伽師地論卷二十九․ 卷三十․ 四念處(智顗)卷一․ 卷三․ 大乘義章卷十六末․ 俱舍論光記卷二十三](參閱「三念住」562)
사념주 【四念珠】 p1709-下≫ 念珠, 爲以線貫串一定數目之珠粒, 於稱名念佛或持咒時用以記數之隨身法具. 四念珠, 卽謂四種具有不同功德之念珠. 佛告衆生, 欲斷滅煩惱, 當持念珠常隨其身, 專心繫念諸佛名號. 據金剛頂瑜伽念珠經之金剛薩埵菩薩偈所擧, 念珠之功德可分爲上品․ 最勝․ 中品․ 下品四種, 卽 : (一)一千零八十珠爲上品, 以其數多, 故爲上品. 若持此珠念佛名號, 則功德利益極爲上品. 據準校量數珠功德經載, 此珠若爲木槵所製, 함數一遍, 可得福千倍 ; 若爲蓮子者, 得福萬倍 ; 若爲水晶者, 得福千億倍 ; 若爲菩提子者, 得福無量. (二)一百零八珠爲最勝, 以其數次於上品, 故爲最勝. 若持以念佛名號, 則功德利益爲最勝. 若爲木槵․ 蓮子․ 水晶․ 菩提子者, 其持念所得之福亦如前. (三)五十四珠爲中品, 以其數又次於前, 故爲中品. 若持以念佛名號, 則功德利益爲中品. 若爲木槵․ 蓮子․ 水晶․ 菩提子者, 其持念所得之福亦如前. (四)二十七珠爲下品, 以其數又次於前, 故爲下品. 若持以念佛名號, 則功德利益爲下品. 若爲木槵․ 蓮子․ 水晶․ 菩提子者, 其持念所得之福亦如前. 雖以珠數多寡而分四品之別, 若能專心持念, 則功德平等而無差異. (參閱「念珠」3215)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사념주 【四念住】又名四念處. 見四念處條. →1674
● From 法相辭典
四念住 ★如瑜伽二十八卷十六頁至二十四頁廣釋, 繁不備錄。
★二解 顯揚二卷十頁雲: 四念住者, 一、 身念住, 謂或緣于身, 或復緣身增上教法, 或緣彼教授為境界已, 由聞思修之所生慧, 或唯影像, 或事成就, 于身境處善安住念, 為令于身得離系故。 如于身念住, 如是于受心法念住應知亦爾。 此中差別者, 謂各于自境如其所應, 乃至為令于法得離系故。 又一切處應說, 與念相應心及心法。 如是發起觀察心時, 所緣之境有四種事: 一、 心所執事, 二、 心領納事, 三、 心了別事, 四、 心染淨事。
★三解 辯中邊論中卷十一頁雲: 此中先應說修念住。 頌曰: 以粗重愛因, 我事無迷故, 為入四聖諦, 修念住應知。 論曰: 粗重由身而得顯了, 故觀察此, 入苦聖諦。 身以有粗重諸行為相故, 以諸粗重, 即行苦性, 由此聖觀, 有漏皆苦, 諸有漏受, 說為愛因, 故觀察此, 入集聖諦。 心是我執所依緣事, 故觀察此, 入滅聖諦。 怖我斷滅, 由斯離故, 觀察法故, 于染淨法遠離愚迷, 入道聖諦。 是故為入四聖諦理, 最初說修四念住觀。
★四解 集論六卷七頁雲: 四念住所緣者, 謂身受心法。 復有四事, 謂我所依事、 我受用事、 我自體事、 我染淨事。 自體者, 謂慧及念。 助伴者, 謂彼相應心心所等。 修習者, 謂于內身等修, 循身等觀。 如于內、 于外、 于內外亦爾。 內身者, 謂于此身中所有內色處。 外身者, 謂外所有外色處。 內外身者, 謂內處相應所有、 外處根所依止, 又他身中所有內色處。 雲何于身修循身觀?謂以分別影像身與本質身, 平等循觀。 內受者, 謂因內身所生受。 外受者, 謂因外身所生受。 內外受者, 謂因內外身所生受。 如受、 心法亦爾。 如于身修循身觀, 如是于受等修循受等觀, 如其所應。 又修習者, 謂欲、 勤、 策、 勵、 勇猛、 不息、 正念、 正知及不放逸修習差別故。 欲修習者, 謂為對治不作意隨煩惱。 勤修習者, 謂為對治懈怠隨煩惱。 策修習者, 謂為對治幹頡□艟偎娣襯鍘@修習者, 謂為對治心下劣性隨煩惱。 勇猛修習者, 謂為對治疏漏、 疲倦隨煩惱。 不息修習者, 謂為對治得少善法生知足喜隨煩惱。 正念修習者, 謂為對治忘失尊教隨煩惱。 正知修習者, 謂為對治毀犯、 追悔隨煩惱。 不放逸修習者, 謂為對治舍諸善軛隨煩惱。 修果者, 謂斷四顛倒, 趣入四諦, 身等離系。
★五解 俱舍論二十三卷一頁雲: 依已修成滿勝奢摩他,為毗缽舍那修四念住。 如何修習四念住耶?謂以自共相觀身受心法。 身、 受、 心、 法各別自性,名為自相。 一切有為皆非常性,一切有漏皆是苦性,及一切法空非我性,名為共相。 身自性者,大種造色。 受、 心自性, 如自名顯。 法自性者: 除三餘法。 傳說: 在定以極微剎那, 各別觀身, 名身念住滿。 餘三滿相, 如應當知。 何等名為四念住體?此四念住體各有三, 自性、 相雜、 所緣別故。 自性念住, 以慧為體;此慧有三種, 謂聞等所成, 即此亦名三種念住。 相雜念住, 以慧所餘俱有為體。 所緣念住, 以慧所緣諸法為體, 寧知自性是慧非餘。 經說: 于身住循身觀, 名身念住;餘三亦然。 諸循觀名, 唯自慧體;非慧無有循觀用故。 何緣于慧立念住名?毗婆沙師說: 此品念增故, 是念力持慧得轉義。 如斧破木, 由楔力持。 理實應言慧令念住, 是故于慧立念住名。 隨慧所觀, 能明記故, 由此無滅, 作如是言: 若有能于身住循身觀, 緣身念得住, 乃至廣說。 世尊亦說: 若有于身住循身觀者, 念便住不謬。 然有經言: 此四念住由何故集?由何故滅?食觸名色作意集故, 如次令身、 受、 心、 法集。 食觸、 名色作意滅故, 如次令身受心法滅。 應知彼說所緣念住, 以念于彼得安住故。 又念住別名隨所緣, 緣自他俱相續異故。 一一念住, 各有三種。 此四念住, 說次隨生。 生復何緣, 次第如是?隨境粗者, 應先觀故。 或諸欲貪, 于身處轉。 故四念住, 觀身在初。 然貪于身, 由欣樂受。 欣樂于受, 由心不調。 心之不調, 由惑未斷。 故觀受等如是次第。 此四念住, 如次治彼淨樂常我四種顛倒。 故唯有四, 不增不減。 四中三種, 唯不雜緣。 第四所緣, 通雜不雜。 若唯觀法, 名不雜緣。 若于身等, 二三或四。 總而觀察, 名為雜緣。
★六解 法蘊足論四卷八頁雲: 爾時世尊告芻眾: 吾當為汝略說修習四念住法。 謂有芻, 于此內身, 住循身觀;若具正勤、 正知、 正念, 除世貪憂。 于彼外身, 住循身觀;若具正勤、 正知、 正念, 除世貪憂。 于內外身, 住循身觀, 若具正勤、 正知、 正念, 除世貪憂。 于內外俱受、 心、 法三, 廣說亦爾。 是現修習四念住法。 過去、 未來芻修習四念住法, 應知亦爾。 如彼四卷八頁至五卷四頁廣釋。
★七解 集異門論六卷十頁雲: 四念住者, 一身念住, 二受念住, 三心念住, 四法念住。 身念住雲何?答: 十有色處及法處所攝色, 是名身念住。 受念住雲何?答: 六受身, 謂眼觸所生受, 乃至意觸所生受, 是名受念住。 心念住雲何?答: 六識身, 謂眼識乃至意識, 是名心念住。 法念住雲何?答: 受蘊所不攝無色法處, 是名法念住。 復次, 身增上所生諸善有漏及無漏道, 是名身念住。 受增上所生諸善有漏及無漏道, 是名受念住。 心增上所生諸善有漏及無漏道, 是名心念住。 法增上所生諸善有漏及無漏道, 是名法念住。 復次, 緣身慧名身念住, 緣受慧名受念住, 緣心慧名心念住, 緣法慧名法念住
★八解 大毗婆沙論一百四十一卷一頁雲: 四念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四念住 【術語】 與四念處同。 【參見:四念處】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사념처
【四念處】又名四念住,
卽身念處․
受念處․
心念處․
法念處.
身念處是觀身不淨; 受念處是觀受是苦; 心念處是觀心無常; 法念處是觀法無我.
此四念處的四種觀法都是以智慧爲體,
以慧觀的力量,
把心安住在道法上,
使之正而不邪.
→1675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四念住 idem 四念處.
● From BUDDHDIC
四念住 シネンジュウ
(term) four stations (or bases) of mindfulness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四念住 The 'four stations (or bases) of mindfulness'; also; the fourfold contemplation to be practiced after one has completed the exercise of tranquilizing one's mind: (1) shennianzhu 身念住, contemplating one's body as defiled; (2) shounianzhu 受念住, contemplating one's feelings as painful: even though there are agreeable sensations, they are deceptive, and there is no true pleasure in the world; (3) xinnianzhu 心念住, contemplating one's mind as constantly changing and (4) fanianzhu 法念住, contemplating things in general as devoid of inherent existence. The four bases of mindfulness are included in the thirty-seven elements of enlightenment (三十七道品). Also written 四念處. ------------- ■ 동음이의어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한문]四念珠 염주의 네 가지. 1,080개인 것을 상품 염주. 108개인 것을 최승 염주, 54개인 것을 중품 염주, 27개인 것을 하품 염주. ②-1708■불광사전 hbfl--07_Sa_0642.TIF
■ '사념주'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100.daum.net/search/entry?q=사념주
네이버백과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사념주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사념주
네이버한자 http://hanja.naver.com/search?query=사념주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사념주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사념주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사념주
네이버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사념주
다음 http://search.daum.net/search?w=tot&q=사념주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사념처'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100.daum.net/search/entry?q=사념처
네이버백과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사념처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사념처
네이버한자 http://hanja.naver.com/search?query=사념처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사념처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사념처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사념처
네이버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사념처
다음 http://search.daum.net/search?w=tot&q=사념처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