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방광반야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증일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유마경
- 종경록
- 장아함경
- 금강삼매경론
- 유마힐소설경
- 수능엄경
- 대반열반경
- 정법화경
- 마하승기율
- 무량의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중아함경
- 아미타불
- 유가사지론
- 마명
- 대방광불화엄경
- 묘법연화경
- 백유경
- 잡아함경
- 대지도론
- 원각경
- 반야심경
- 가섭결경
- Japan
- 대승기신론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불기2555-05-01_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_001 본문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
K1338
T1076
준제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_K1338_T1076 핵심요약
♣1338-001♧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
준제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원문번역문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
(七俱胝佛母所說准提陁羅尼經)
당(唐) 천축삼장 불공(不空) 한역
김영덕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박가범(薄伽梵)께서는
큰 성의 서다림급고독원(逝多林給孤獨園)이라 이름하는 데서
큰 필추 대중들과 모든 보살들과 온갖 천룡8부(天龍八部)1)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계시며,
미래의 복 없고 악업지은 중생들을 불쌍히 여기셔서
■ 준제삼마지(准提三摩地)에 드시어
과거 7구지(俱胝) 부처님들께서 말씀하신 다라니를 송하셨다.
■ 나막사다남 삼먁삼몯다 구 치남 다냐- 타 옴 자례주례준니 사바하2)
娜莫䬃多南引三藐三沒馱引俱引胝南引怛你也二合他引唵者禮主禮准泥娑嚩二合引賀引
■ 만약 진언의 행을 닦는 출가ㆍ재가의 보살이
이 다라니를 송하여 90만 번을 채우면
한량없는 겁 동안 지은 10악(惡)과 4중(重)죄와 5무간죄(無間罪)가 모두 다 사라지고,
태어나는 곳마다 항상 여러 부처님과 보살님을 뵈옵고,
재보가 풍요하고 언제나 출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재가의 보살이라면 계행을 닦아 지니고 견고하여 물러서지 않고,
이 다라니를 송하면 언제나 천계에 태어난다.
만약 인간세계면 언제나 국왕이 되고,
악취에 떨어지지 않고 현성(賢聖)3)을 친근하게 되며,
모든 천들이 애경하며 옹호하고 가지할 것이다.
만약 세간의 일에 힘쓰면 온갖 재난이 없고 위의와 용모가 단정하며,
하는 말이 위엄스럽고 정중하며,
마음에 근심이 없다.
만약 출가한 보살이 온갖 금계를 갖추고 세 때[三時]에 염송하며 가르침대로 수행하면,
현재의 생애에서 구하는 출세간의 실지(悉地)와 정혜(定慧)가 현전하고
지바라밀(地波羅蜜)을 증득하며 위없이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을 원만히 하고 속히 증득하게 될 것이다.
만약 1만 번을 송하여 채우면
곧 꿈속에서 불보살을 뵈옵고 곧 검은 물건[黑物]을 토해낼 것이다.
그 사람이 만약 죄가 심히 무겁거든
2만 번을 송하면 곧 꿈속에서
온갖 천상의 집과 절을 보거나,
혹은 높은 산에 오르거나,
혹은 나무에 올라 보거나,
혹은 큰 연못에서 목욕하거나,
혹은 하늘을 나는 것을 보거나,
혹은 여러 천녀와 함께 노는 것을 보거나,
혹은 설법하는 것을 보거나,
혹은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을 보게 되며,
혹은 낙(酪)을 먹고 흰 감로를 마시거나,
혹은 큰 바다와 강과 하천을 건너거나,
혹은 사자좌에 오르거나,
혹은 보리수(菩提樹)를 보거나,
혹은 배에 올라타거나,
혹은 사문을 보거나,
혹은 흰 옷이나 누런 옷을 입고 머리를 덮은 거사를 보거나,
혹은 해와 달을 보거나,
혹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보거나,
혹은 젖빛 나는 과일나무 위에 오르거나,
혹은 검은 장부가 입에서 불을 내뿜는 것을 보고 그와 싸워서 이기거나,
혹은 거친 말과 물소가 오려고 서로 부딪히는 것을 보고 지송자가 혹은 때리거나 혹은 꾸짖으면 두려워 도망치거나,
혹은 우유죽과 낙(酪)을 먹거나,
혹은 소마나화(蘇摩那花)4)를 보거나,
혹은 국왕을 보게 된다.
만약 이와 같은 경계를 보지 못하는 이는
전세에 5무간죄를 지었음을 알아야 하며,
곧 70만 번을 송하여 채우면
위와 같이 경계를 보나니
죄가 사라짐을 알고 곧 먼저의 수행을 성취하리라.
그 다음에 법에 의거하여 본 상(像)을 그리는데
혹은 세 때나 혹은 네 때나 혹은 여섯 때에 법에 의거하여
공양 올리고
세간과 출세간의 실지와 위없는 깨달음을 구하면 모두 다 획득할 것이다.
만약 이 다라니를 닦아 지니면
미래에 성취할 처소(處所)와 어려움이 있거나 어려움이 없거나
실지(悉地)가 늦고 빠른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반드시 깨끗한 방에서
구마이(瞿摩夷)로 하나의 작은 단(壇)을 바르고 능력껏 공양올린다.
결계진언(結界眞言)으로써 시방의 경계를 결하고 하나의 향수병을 단 가운데에 둔다.
한 번 염송할 때마다 그 병이 움직이면 하고자 하거나 구하는 일이 성취되는 줄 알라.
만약 움직이지 않으면 일이 성취되지 않은 것이다.
또 법이 있는데,
하나의 질그릇을 취하여 향을 바르고 단 가운데에 둔다.
전심으로 염송하여 그릇이 움직이면 일이 성취된 것이고 만약 움직이지 않으면 성취되지 않은 것이다.
또 법이 있다.
미래의 일을 알고자 하면 먼저 하나의 작은 단에 바르고
한 명의 복덕의 상호를 갖춘 동자로 하여금 목욕하여 청결히 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혀서 7구지진언으로써 동자의 손을 가지하여 향수를 바르고,
또 꽃에 일곱 번을 가지하여 동자의 손에 쥐어주고
동자로 하여금 단 가운데에서 얼굴을 가리게 한다.
또 다른 꽃을 가져다가 진언을 송하되 가지하고 한 번 송하고
동자의 손등을 한 번 쳐서 21줄기가 되었을 때
곧 동자에게 좋고 나쁜 일을 물으면 동자가 모두 말할 것이다.
또 법이 있다.
하나의 밝은 거울을 취하여 단 가운데에 놓고 먼저 진언을 송하여 꽃에 108번을 가지하고 난 다음에 또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송하면서 하나를 거울에 던지면 거울에 곧 문자가 나타나서 좋고 나쁜 일을 알려 준다.
또 법이 있다.
일에서 좋고 나쁜 것과 성취되는지 안 되는지를 알려면 소마나화(蘇摩那花)의 향유(香油)를 가져다가 진언을 송하어 108번을 가지하고 오른손 엄지손톱에 바르고 진언의 소리가 끊어지지 않게 송하며,
동자를 시켜서 손톱 위를 보게 하면 모든 부처님과 보살의 형상이 나타나거나 혹은 문자가 나타나 좋고 나쁜 것을 자세히 말해 준다.
또 법이 있다.
어떤 사람이 귀신에게 홀린 병이 들었으면 버드나무 가지나 혹은 띠풀을 가져다가 진언을 송하고 환자의 몸을 쓸어주면 곧 병이 낫는다.
또 법이 있다.
만약 중병에 걸린 자가 있으면 진언을 108번을 송하며 그 사람의 이름을 부르고 우유로 호마(護摩)5)하면 곧 낫는다.
또 법이 있다.
어린 아이가 밤에 울면 동녀를 시켜서 오른손으로 실을 자르게 하고 진언을 송하여 가지하며,
스물한 번을 묶어서 목에 매어주면 어린 아이가 곧 밤에 울지 않는다.
또 법이 있다.
먼저 흰 겨자를 108번 가지하고 난 다음에 겨자를 가져다가 진언을 한 번 송하면서 한 개씩 저 귀신들린 자에게 던져 스물한 번을 채우면 그 귀신이 달아나고 병자는 낫는다.
또 법이 있다.
만약 귀신에 들린 병이 있거든 구마이를 하나의 작은 단에 바르고 밀기울의 재로 땅에 귀신의 형상을 그린다.
진언을 송하며 석류 등으로 이것에 매질하면 저 귀신이 울며 도망가 버린다.
또 법이 있다.
만약 사람이 귀신에 홀렸거나,
혹 병자로서 몸이 먼 거리에 있어서 스스로 올 수 없거나,
혹은 염하는 사람이 그에게 갈 수 없으면 버드나무 가지나 혹은 복숭아나무 가지나 혹은 꽃을 취하여 108번을 가지하고 사람을 시켜서 병든 사람이 있는 곳에 가게 해서 가지로써 병든 사람을 쓸어내리거나 혹은 꽃을 병든 사람이 냄새 맡게 하거나 혹은 꽃으로 병든 사람을 때리면 귀신이 달아나서 병든 자가 곧 낫는다.
또 법이 있다.
만약 뱀에게 물렸거나 혹은 나길녀귀(拏吉女鬼)6)에게 씌었을 때 병든 사람의 주위를 돌면서 진언을 송하면 그 병이 곧 낫는다.
또 법이 있다.
만약 사람이 악창이나 종기 등을 앓거나 온갖 독충에게 물렸을 때에는 단향(檀香)의 즙을 취하여 흙과 섞어 진흙을 만들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하며 상처에 바르면 곧 낫는다.
또 법이 있다.
만약 길거리를 가는 중에 이 진언을 송하면 도적이 겁탈하거나 상처를 입히거나 해를 끼치지 못하며 또한 모든 못된 짐승들의 재앙도 없다.
또 법이 있다.
만약 투쟁하고 송사하거나 논리와 담론에서 이기기를 바라거든 이 진언을 송하면 강해져서 이긴다.
또 법이 있다.
만약 강이나 하천을 건너는데 이 진언을 송하면 표류하거나 물속의 못된 용과 마갈(摩竭)이나 자라나 악어 등이 해를 입히지 못한다.
또 법이 있다.
만약 갇혀서 묶였을 때 이 다라니를 송하면 빨리 벗어난다.
또 법이 있다.
나라 안에 전염병이 있을 때 이레 밤 동안 유마와 갱미를 소(酥)와 꿀에 섞어서 호마를 하면 곧 재난이 없어져서 국토가 안녕하게 된다.
또 법이 있다.
만약 재보가 풍요해지기를 바라거든 매일 갖가지 음식으로 호마를 행하면 재보가 풍요하게 된다.
또 법이 있다.
다른 사람이 경애하고 환희케 하려면 진언의 구절 가운데 그 사람의 이름을 칭하라.
그러면 곧 환희하고 순순히 복종한다.
또 법이 있다.
옷이 없을 때 송하면 곧 옷을 얻는다.
또 법이 있다.
마음속에 구하는 것이 있을 때 송하면 모두 뜻대로 얻는다.
또 법이 있다.
다른 사람이 신체와 팔다리를 앓을 때 손에 스물한 번 가지하고 상처난 부분을 문질러주면 곧 낫는다.
또 법이 있다.
만약 학질과 두통을 앓을 때 손에 스물한 번 가지하고 문지르면 역시 낫는다.
또 법이 있다.
하나의 작은 단에 바르고 하나의 동(銅)으로 만든 그릇을 취하여 깨끗한 재를 가득 채우고 동자로 하여금 양 손으로 재가 든 그릇의 위에 얹게 하고 지송하는 자가 진언을 송하면 본존의 심부름꾼은 동자의 몸에 들어가 그 그릇이 돌면 곧 동자에게 말한다.
곧 스스로 3부(部)7)의 삼매야인(三昧耶印)을 결하고 3부의 진언을 송하며 곧 매끈한 돌을 가져다가 동자에게 주면 동자는 곧 땅 위에 과거와 미래의 일로서 길하고 흉하며 좋고 나쁘며 내지는 경론에서 잃거나 빠진 것과 잊은 것,
어려운 뜻과 진언과 인을 곧 알게 된다.
또 법이 있다.
양쪽 군대가 서로 대치할 때 자작나무 껍질에 이 다라니를 쓰고 장대 위에 걸어놓고 사람을 시켜서 손에 쥐고서 진언을 송하면 저 적진이 곧 깨어진다.
또 법이 있다.
만약 여인에게 아들딸이 없을 때 우황(牛黃)으로 자작나무 껍질 위에 이 진언을 써서 차고 다니면 오래지 않아 아들딸이 있을 것이다.
또 법이 있다.
여인이 남편한테서 사랑받지 못할 때에 하나의 새 병을 가져다가 물을 가득 채우고 병 속에 7보와 온갖 신령스러운 약과 다섯 가지 곡식과 흰 겨자를 넣고 비단으로 병의 목을 묶으며,
진언으로써 108번을 가지하고 여인으로 하여금 근본인을 결하고 정수리 위에 두게 한다.
이 물로써 관정하면 곧 총애하고 공경하며 귀중히 여김을 얻는다.
다만 공경하고 귀중할 뿐만 아니라 자식까지 얻게 되어 태 안에서 견고하게 있을 것이다.
또 법이 있다.
수행하는 자가 매번 염송할 때에 대인(大印)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며 탑에 인하는 것을 60만 번을 채우면 구하는 것이 곧 만족하게 되며,
관자재보살과 금강수보살과 다라보살(多羅菩薩)이 곧 몸을 나타내어 아수라궁전에서 왕이 되거나,
혹은 보살지를 얻으며,
혹은 장수하는 약을 얻고,
혹은 경애법을 얻어 성취하는 등 구하는 것이 뜻대로 된다.
또 법이 있다.
보리도량의 큰 제저(制底:
탑) 앞에서 이 다라니를 송하면 성스러운 스님들이 그와 함께 실지를 성취하심을 보며,
그와 함께 동행하며,
곧 그 성자의 대중과 같아진다.
또 법이 있다.
높은 산꼭대기에서 1구지(俱胝)를 염송하면 금강수보살이 560명의 사람을 거느리고 이 사람에게 와서 함께 아수라궁에 가는데 수명이 1겁이 되며 미륵보살(弥勒菩薩)을 볼 수 있고,
바른 법을 듣게 되며,
법을 듣고 나서는 보살지를 얻어 결코 뒤로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
또 법이 있다.
비보라산(毗補羅山)8) 또는 높은 산이라고만 칭하는 산 위에서 역시 사리탑과 상(像) 앞에서 염송하며,
능력껏 향과 꽃으로써 공양 올리며 걸식하며 생활하되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하고,
다라니 송하는 것을 30만 번 채우되 그 마지막 날에 하루 낮과 하룻밤을 먹지 않고,
공양을 배가하면 후야(後夜)에 이르러 곧 금강수보살을 보며,
수행하는 사람을 데리고 자신의 궁전으로 가게 되니 행자는 곧 아수라굴의 문을 보고 굴속에 들어가 천상의 묘한 감로를 먹게 되어 수명이 해와 달처럼 된다.
또 법이 있다.
세 갈래 길의 보배 계단이 하늘로부터 내려와 보탑에 처하나니 행자가 걸식하고 돌며 구지 번을 송하면 곧 무능승보살을 뵙고 원하는 대로 묘법을 말하며,
위없는 보리도를 보인다.
혹은 하리저모(訶利底母)가 이 사람을 데리고 자신의 궁 안으로 데려가 장수하는 약을 주나니 어린 아이처럼 되돌아가 단정하여 기쁘게 된다.
복장을 취하는 것을 대인이 허가하시며,
3보를 널리 이익하게 하여 일체 보살을 안위케 하고 그 바른 길을 보여 이에 보리도량에 이르게 된다.
또 법이 있다.
만약 사람이 선근을 심은 것이 없으면 보리의 종자도 없으므로 보리행을 닦을 수 없으나 겨우 한 번이라도 송하면 곧 보리법의 싹이 생기거든 하물며 언제나 송하고 받아지니는 것이겠는가.
■ 칠구지준제다라니염송의궤(七俱胝准提多羅尼念誦儀軌)
만약 이 다라니를 닦아 익혀서 성취를 구하고자 하면
먼저 반드시 목욕하고 깨끗한 옷을 입어야 한다.
도량을 장엄하고 본존을 안치하되 능력껏 한다.
그 도량법은 명당을 택하여
4주(肘)의 단을 만들되 깊이가 3주 되게 땅을 파서
기왓장과 좋지 않은 흙과 터럭이나 뼈나 재나 벌레 등의 종류를 제거하고,
좋고 깨끗한 흙으로 북돋아 평평하게 채운다.
파보아서 좋지 않은 흙이 없으면 그 흙으로써 메운다.
흙이 만약 뛰어나면 그 땅은 크게 상서로우며 속히 성취됨을 알아야 한다.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은 구마이를 가져다가
향수와 모래와 좋은 흙을 섞어서 진흙을 만들어
무능승보살(無能勝菩薩)의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 가지하고 난 다음 단에 바른다.
바르고 나서는 다시 다섯 가지 깨끗한 것을 섞는다.
다섯 가지 깨끗한 것이란
구마이의 즙과 소의 오줌과 낙(酪)과 젖과 소(酥)인데,
무능승보살의 진언으로써 108번을 가지하고
오른쪽으로 돌며 그 단에 두루 바른다.
만약 산의 돌 위에 건립하거나
혹은 누각에 있거나
혹은 배에 머물거나
일체의 현성이 득도한 곳이면
단지 다섯 가지 깨끗한 것으로써 바르고 닦는다.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앉아서
무능승인(無能勝印)을 결하고
땅에 앉아 진언을 일곱 번 송하여 단의 중심에 가지하고,
또 모든 약과 7보와 5곡을 각기 조금 취하여 파들어간 중심에서
깊이 1주 되는 부분에
모든 약과 7보 등을 놓는다.
다시 파낸 흙을 덮어서 평평하게 채우고
오른손으로 누르고
지천게(地天偈)를 세 번 송하며
지천신을 경각시키는 게송을 읊는다.
그대 천계를 직접 수호하는 자여.
모든 부처님 도사(導師)께서는
훌륭한 행을 수행하셨으니
정지바라밀(淨地波羅蜜)이라네.
마군의 무리를 쳐부수었으니
석사자(釋師子)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도다.
나도 또한 마군을 항복받고자
스스로 만다라를 그리노라.
지천(地天)진언을 송한다.
나막사만다몯다 남 필리 티 미예 사바 하9)
曩莫三漫多沒馱引南引畢哩二合體他以反微曳二合娑嚩二合賀
게송을 읊어 가지하고 난 다음에 단향으로써 아홉 개의 성위(聖位)에 바른다.
보름달처럼 새롭고 깨끗한 공양구를 사용하는데
금이나 은이나 숙동(熟銅)이나 상가(商佉:śaṅkha:法螺)의 법구(法具)나 옥석이나 사기그릇이나
나무 등의 새 그릇에 온갖 음식과 좋은 향과 꽃과 등불과 알가향수(閼伽香水)10)를 가득 채우고
능력껏 공양을 차린다.
재가거나 출가 보살로서 성취를 구하는 자는
도량에 들어갈 때마다
먼저 부처님께 예를 올리고 참회하며 수희하고 권청하며 발원하고 나서
자서수보리심계(自誓受菩提心戒) 진언을 송해야 한다.
옴모 디짇다모다바 나야미11)
唵沒引地止多母怛跛二合引娜野弭
보리심이란 온갖 아집(我執)을 떠나고 온ㆍ처ㆍ계(蘊ㆍ處ㆍ界)를 멀리 여의었으며,
능취(能取)와 소취(所取)를 떠나 법에서 평등하다.
자심은 본래 생겨남이 없으며
자성이 공한 까닭에
과거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보리심을 발하였으며
나도 또한 그러하다.
이것을 자서수보리심계라 이름한다.
한 번 송하여서 승의제(勝義諦)를 사유하면
한량없고 가없는 무위(無爲)의 공덕을 얻으며,
3업을 장엄하고 보리도량에 이르게 되니 그 복이 끊이지 않는다.
속히 일체의 업장을 멸하고 진언을 속히 성취하며,
본존이 현전하니 『화엄경』의 「입법계품(入法界品)」에서
자씨보살(慈氏菩薩)이 선재동자(善財童子)를 위하여
보리심을 말한 공덕과 같다.
자서수보리심계를 마치고 나서는
전가부좌든 반가부좌든 마음대로 앉아서
몸을 곧게 하고 눈을 감고 정인(定印)을 결하며,
허공 가운데에 준제불모(准提佛母)와 7구지의 부처가 빙 둘러 계셔서
허공에 가득한 것을 관상한다.
선정 가운데에서 모든 부처님과 준제불모께 예를 올린 다음에 향을 손에 바르고 계인(契印)을 결한다.
불부삼매야인(佛部三昧耶印)은 허심합장(虛心合掌)12)하고
두 집게손가락을 벌려 구부리고
두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아래 첫 번째 마디 옆에 붙이며,
두 엄지손가락을 각기 두 집게손가락의 밑 부분에 대면 곧 이루어진다.
마음으로 진언을 일곱 번 송하면서
여래의 32상(相)과 80종호(種好)를 관상하는데
상호가 분명하여 눈앞에 대한 듯 하게 해야 한다.
진언을 송한다.
옴다타 아도나바 바 야사바 하13)
唵怛他引孽都納婆二合嚩引野娑嚩二合引賀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곧 일체 여래를 경각시켜서 모두가 행자를 호념하고 가지하시며,
광명으로써 비추어 주시니 있던 죄장이 모두 사라지고,
수명이 길어지며 복과 혜가 증장할 것이다.
불부(佛部)의 성자의 대중이 옹호하고 환희하시며
세세생생에 모든 악취를 여의어
연꽃에 화생하고 속히 위없는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을 증득한다.
연화부삼마야인(蓮花部三麽耶印)
두 손으로 허심합장하고
두 집게손가락과 두 가운뎃손가락과 두 약손가락을 벌리며
연꽃 모양으로 구부려서 심장에 대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한다.
관자재보살의 상호가 구족한 것을 관상하며
정수리에서 오른쪽으로 흩뜨리며 진언을 송한다.
옴바나마 나바 바 야사바 하14)
唵跛娜謨二合引納婆二合嚩引野娑嚩二合引賀引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곧 관자재보살과 연화를 지닌 분들을 경각하게 된다.
일체의 보살이 광명으로 비추어 주면
있던 업장이 모두 사라지고
일체의 보살이 언제나 좋은 벗이 된다.
금강부삼마야인(金剛部三麽耶印)
왼손을 엎어서 밖으로 향하게 하고 오른손의 손바닥을 왼손의 등에 댄다.
좌우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서로 갈고리처럼 하여
금강저의 형상처럼 해서 심장에 댄다.
금강수보살을 관상하며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정수리에서 왼쪽으로 인을 흩으며 진언을 송한다.
옴바아로 나바 바 야사바 하15)
唵嚩日嚧二合納婆二合嚩引野娑嚩二合引賀引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곧 금강의 성스러운 모든 대중들을 경각시켜서 가지하고 옹호하시게 하므로
있던 죄장이 모두 사라지며,
일체의 고통이 절대로 몸에 붙지 않고 반드시 금강의 견고한 몸을 얻는다.
다음에 제2 근본인(根本印)을 결한다호신용(護身用)이다.
두 손을 밖으로 서로 깍지 끼고
두 집게손가락과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수직으로 세우면 곧 이루어진다.
불모심(佛母心)진언을 송하며
몸의 다섯 군데를 인하는데
이른바 이마,
다음에 오른쪽 어깨,
다음에 왼쪽 어깨,
다음에 심장,
다음에 목이며
정수리 위에서 흩으면서 진언을 송한다.
옴가마리미마리준니사바 하16)
唵迦麽黎尾麽黎准泥娑嚩二合引賀引
호신인을 결할 때에
대자심을 일으켜서 두루 6도(道)와 4생(生)을 반연하고
일체의 유정에게 큰 서원을 장엄하고
견고한 금강의 갑옷을 입혀서
속히 위없이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을 증득케 하겠다고 원한다.
다음에 지계궐인(地界橛印)을 결한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두 엄지손가락과 두 집게손가락을 두 새끼손가락을 세워서
각기 서로 붙인다.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갈고리처럼 구부리고
세 번 엄지손가락을 끌어당기면
지지인(指地印)이 이루어진다.
한 번 당기면서 진언을 한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준니니지라야사바 하17)
唵准你你枳邏野娑嚩二合引賀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고 지계(地界)를 가지하면
아래로 물의 경계[水際]에 이르기까지
금강좌와 같아지게 되어
천마와 모든 장애를 짓는 것들이 피해를 주지 못하여
공력을 조금만 더하더라도 속히 성취할 것이다.
지송자는 다음에 단의 중심에 여덟 잎의 큰 연화 위에 사자좌가 있고
자리 위에는 보배의 누각이 있다고 관상해야 한다.
온갖 영락과 비단과 깃발과 일산이 드리워지고
보배기둥이 줄지어 섰으며
훌륭한 천상의 옷이 걸렸으며 향기가 구름처럼 드리워졌고
널리 여러 가지 꽃들이 비처럼 내리니 천계의 만다라와 같다.
다만 공중에서 관상하면 곧 이루어진다.
이렇게 관하고 나서 이 게송을 읊어야 한다.
나의 공덕력과
여래의 가지력과
법계력(法界力)으로써
두루 공양 올리고 머무나이다.
이 게송을 읊고 나서 곧 대허공장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가가나삼바바바아라 호18)
唵誐誐曩三婆嚩嚩日囉二合斛引
이 진언을 송하여 가지하면
관상했던 공양구가 진실과 아무 다름이 없게 되니
모든 성자의 대중들이 받아서 쓰실 것이다.
다음에 보거로인(寶車輅印)을 결한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손바닥을 받들어 올리며,
두 집게손가락을 가로로 뉘어서 서로 마주대고,
두 엄지손가락은 각기 집게손가락의 밑 부분에 댄다.
7보의 거로(車輅)를 관상하는데,
불부(佛部)의 심부름꾼은
7보의 거로를 타고 공중으로 날아가서
색계의 정상인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19) 비로자나부처의 궁전에 이른다고 관상하며
진언을 일곱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도로도로훔20)
唵覩嚕覩嚕吽引
진언을 송하고 인을 결하여 가지하면
7보의 거로가 색계의 정상에 이르게 되며
준제불모와 8대보살이 모든 성자의 대중과 권속에 둘러싸여 7보의 거로에 오르실 것이다.
다음에 청거로인(請車輅印)을 결한다.
앞의 인에 준하되 엄지로써 몸에 향하게 하고
가운뎃손가락을 튀기면 곧 이루어지며,
진언을 일곱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막싣디리 야디미 카남 다타 아다 남 옴바아라 기 갈리사
曩莫悉底哩二合野地尾二合迦南一引怛他引孽多引南二唵縛日口朗二合擬伽以反羯哩灑
야사바 하21)
二合也娑嚩二合引賀
진언을 송하고 가지하면 성자의 대중들이
본토로부터 도량에 이르러 공중에 머무신다.
다음에 청본존인(請本尊印)을 결하면 거로로부터 도량에 내려오신다.
앞의 제1근본인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을 몸에 향하게 해서 본존을 부르고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주례준니예혜예 히바가바디 사바 하22)
唵者禮主禮准泥翳醯曳二合呬婆誐嚩底丁以反娑嚩二合引賀
다음에 장애짓는 것들을 제거하는 무능승보살인(無能勝菩薩印)을 결하라.
두 손에서 오른쪽이 왼쪽을 누르고 안으로 서로 깍지껴 권(拳)을 만들고 두 가운뎃손가락을 세우고 손가락 끝을 서로 합하면 곧 이루어진다.
몸을 왼쪽으로 3번 돌고서 ‘장애를 짓는 것들인 비나야가(毗那夜迦)와 온갖 악한 귀신들이 멀리 달아나 사라진다’고 생각하며,
성자의 대중들이 오셔서 본 삼마야를 범하지 않고 대비로써 머무시면서 가호하여 주시기를 원하라.
나막사만다몯다 남 옴호로호로뎐나리마 등기사바 하23)
曩莫三滿多勃馱引南引唵戶魯戶嚕戰拏里麽引蹬耆娑嚩二合引賀
다음에 장계인(牆界印)을 결한다.
앞의 지계인에 준하되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리고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펴서 오른쪽으로 세 번 돌린다.
심장에서 멀고 가까움에 따라 곧 금강의 견고한 성이 이루어진다.
모든 부처와 보살도 오히려 넘을 수 없거늘 하물며 모든 나머지 조복하기 어려운 자들인 비나야가와 독충과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가진 것들이 가까이 접근하겠는가.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준니니바라 가라야사바 하24)
唵准你儜鉢囉二合迦囉耶娑嚩二合引賀引
다음에 상방망계인(上方網界印)을 결한다.
앞의 장계인에 준하되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펼치고 오른쪽이 왼쪽을 누르며 중간마디를 서로 교차시키면 곧 이루어진다.
이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준니니반자라사바 하25)
唵准你儜半惹囉娑嚩二合引賀
진언을 송하고 인을 결하여 가지하면 곧 금강의 견고하고 부서지지 않는 그물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화원밀봉인(火院密縫印)을 결한다.
왼손으로 오른손등을 누르고 서로 겹치게 한 다음에 수직으로 두 엄지손가락을 세우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리며,
금강의 울타리 바깥에 금강의 불길이 둘러싸고 있다고 관상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아삼마기 니훔 바닥26)
唵阿三莽擬伽以反你吽引癹吒半音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밀봉(密縫)을 크게 결하여 보호하니 온갖 마군이 들어오지 못한다.
다음에 알가인(閼加印)을 결한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두 가운뎃손가락을 수직으로 세워 손가락 끝을 서로 붙인다.
두 집게손가락으로 두 가운뎃손가락의 등쪽에 대고 두 엄지손가락을 두 집게손가락의 밑 부분에 갖다 대면 곧 근본인이 이루어진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여 두 엄지손가락을 조금 구부려 손바닥 안에 넣으면 곧 알가인이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주례준니가감바라 디차바가바뎨 사바 하27)
唵者禮主禮准泥遏鉗鉢羅二合底蹉婆誐嚩底丁曳反娑嚩二合引賀引
행자가 성자의 대중을 아주 분명하게 사유하고 자신이 모든 부처님,
그리고 성자의 대중들의 발밑에 있으며,
손으로 7보의 알가기(閼伽器)를 지니고 향수를 채워서 성자의 대중들의 발을 씻는다고 관상한다.
알가향수를 바친 까닭으로 행자는 3업이 청정해지고 번뇌의 더러움을 씻으며 업장이 소멸된다.
다음에 연화좌인(蓮花座印)을 결한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몸을 향해 세우고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는 사자좌를 유출하여 모든 성자의 대중들께 봉헌하니 이 모든 성자의 대중들이 각기 모두 앉으신다고 생각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가마라사바 하28)
唵迦麽邏娑嚩二合引賀
좌인(座印)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여 성자의 대중들께 봉헌하면 행자는 10지(地)를 만족하게 되고 금강의 자리를 얻는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여 두 엄지손가락의 끝으로 두 가운뎃손가락의 중간마디에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자사바 하29)
唵者娑嚩二合引賀引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는 광명을 유출하는데 낱낱의 광명의 길에는 한량없는 7보로 된 현병(賢甁)30)이 있다고 관상한다.
하늘 가득히 묘한 향수가 있어서 일체의 성자의 대중들에게 쏟아 부어 목욕시킨다고 관상한다.
다시 공중에 한량없는 천상의 음악이 있어서 본존과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일체의 성자의 대중들에게 공양드린다고 관상한다.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행자는 머지않아 법운지(法雲地)를 증득할 것이다.
다음에 도향인(塗香印)을 결한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여 두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 집게손가락의 아랫마디에 바짝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례사바 하31)
唵禮娑嚩二合引賀引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는 광명이 유출되는데 낱낱의 광명의 길에는 구름과 바다처럼 한량없이 많은 천상의 묘한 바르는 향과 가루향이 있어서 본존과 모든 부처와 보살과 모든 성자의 대중들에게 공양드린다고 관상한다.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일체 여래의 계(戒)와 정(定)과 혜(慧)와 해탈(解脫)과 해탈지견향(解脫知見香)을 증득한다.
다음에 화인(花印)을 결한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여 두 엄지손가락을 왼손 집게손가락 아랫마디에 바짝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주사바 하32)
唵主娑嚩二合引賀引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는 광명이 유출되고 낱낱의 광명의 길에는 구름과 바다처럼 한량없이 많은 천계의 묘한 꽃이 있어서 본존과 모든 부처와 보살과 모든 성자의 대중들에게 공양드린다고 관상한다.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암송하면 반드시 대자삼마지(大慈三摩地)를 성취할 수 있어서 가없이 많은 중생들을 이롭고 즐겁게 하며 온갖 재난이 몸에 붙지 않는다.
다음에 소향인(燒香印)을 결한다.
근본인에 준하여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서 두 엄지손가락의 끝에 대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례사바 하33)
唵禮娑嚩二合賀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이 많은 광명을 유출하는데 낱낱의 광명의 길에는 구름과 바다처럼 한량없이 많은 천계의 오묘한 소향이 섞여서 생겨나며,
본존과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모든 성자의 대중들에게 공양드린다고 관상한다.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보변법계삼마지(普遍法界三摩地)를 성취하게 된다.
다음에 음식인(飮食印)을 결한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여 왼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두 엄지손가락의 끝에 대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준사바 하34)
唵准娑嚩二合引賀引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이 많은 광명이 유출되는데 낱낱의 광명의 길에는 한량없이 많은 천계의 묘한 갖가지 음식이 구름과 바다처럼 있어서 본존과 모든 부처와 보살과 모든 성자의 대중들에게 공양드린다고 관상하면,
법희선열식(法喜禪悅食)과 삼해탈최승미(三解脫最勝味)와 삼마지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등인(燈印)을 결한다.
앞의 근본인에 준하여 두 집게손가락으로 각기 두 엄지손가락의 끝에 대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을 세 번 송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니사바 하35)
奄泥娑嚩二合引賀
이 인으로부터 한량없이 많은 광명이 유출되는데 낱낱의 광명의 길에는 한량없이 많은 갖가지 7보 등촉이 구름과 바다처럼 있어서 본존과 모든 부처와 보살과 일체의 성자의 대중들에게 공양드린다고 관상하면,
반야바라밀의 광명과 5안(眼)의 청정을 얻을 것이다.
다음에 찬탄을 송하라.
아바다라자도라나 사 라다 사마 라리보구티바라 나마바나미히
阿嚩怛囉左覩囉娜二合舍引囉馱二合娑麽二合囉哩補句致鉢囉二合拏麽跛娜尾呬
뎨아자례다대사리소니조례싣쟈사준니사라 민디남 사바사마니사바
帝阿者禮怛齒來娑哩素你祖禮悉亭夜思准泥薩囉二合悶底南引娑嚩捨麽你娑嚩二合
한 뎨사바라 나볘다냐- 타 가사 라 나아뎨아미니다사다바
引罕引帝薩跛囉二合拏吠怛你也二合他引訖灑二合囉引拏蘖帝阿尾你多薩怛嚩二合
나마니바라 시나로 가다라 야 라타 가리라가다 라미 나슈
娜麽寧頁跛囉二合枲那路引迦怛囉二合野引囉他二合迦唎囉訖多二合引囉尾二合引那戍
비니파 다라 가라닥-사 니사보 타시톄 다바 진디다마라탐
引鼻寧頁播引怛囉二合迦囉鐸訖使二合寧頁娑普二合砧悉體二合怛嚩二合引進底多麽囉貪
사팀 이카야나니지 나니디사뎨 나바라 나바라 고무
二合去瑟砧二合李佉惹曩寧頁尒慈以反下同那你底薩帝知曳反曩跛囉二合曩跛囉二合庫舞
디새라시려야사다범뎨 라미염 자볘 다모 니모 이 바아
二合地曬囉始口黎野薩怛梵帝知曳反囉弭焰二合引惹閉去怛母二合寧頁帽引你你夷反嚩日
리 담기라다심 소라리보바바남바라 볘사야디아 리야 바로 기뎨
哩二合擔扌只邏馱淰二合素囉哩補婆嚩南跛囉二合吠捨野底阿引哩野二合嚩路引扌只帝
바싣쟈디나싱사한사다자바 다 나싣디 사다범 나나나자아
皤悉亭夜底諾僧捨閒薩多惹播引多半音呼多諾反曩悉底二合薩怛梵三合引曩那娜惹孽
디긴디니야 가디 비약 이디사가라바 바나 사니바가바디바치다마
底緊旨你也二合羯底二合毗藥二合壹底娑迦羅播引跛曩引舍寧頁婆誐嚩底跛耻多麽
다라 싣디가리보라야마나 라탐몌시나디나다범 사마 람가실자
引怛囉二合悉地迦哩布囉野麽努引囉貪冥枲娜底曩怛梵二合娑麽二合囕迦室子二合
다36)
多半音
다음에 본존다라니포자법(本尊陁羅尼布字法)을 말하겠다.
정수리부터 발에 이르기까지 낱낱의 진언자가 굴곡이 분명하며 광명을 유출하여 6도와 4생으로 윤회하는 유정을 비추며 깊이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내어 안락을 베푼다고 관상한다.
다라니의 아홉 글자를 사용하여 행자의 몸에 붙이면 곧 여래인(如來印)이 이루어지며 8대보살이 가지하신 몸이 된다.
만약 식재(息災)를 하거나 증익(增益)이나 항복(降伏)이나 경애(敬愛)를 하고자 할 때 네 종류의 법,
즉 백ㆍ황ㆍ흑ㆍ적에 따르면 실지를 성취한다.
곧 포자인(布字印)을 결한다.
두 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두 엄지손가락과 두 집게손가락과 두 새끼손가락을 서로 합하면 곧 이루어진다.
옴(唵 ) 자를 정수리에 두고 엄지손가락으로 머리 위에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두 눈을 가진 동자(童子)가 위에 있다고 관상한다.
자(者 ) 자는 다시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쪽과 왼쪽 눈 위에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례(禮 ) 자는 목 위에 두고 엄지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주(主 ) 자를 심장에 두고 엄지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례(禮 ) 자를 양 어깨에 두고 엄지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준(准 ) 자를 배꼽 위에 두고 엄지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니(泥 ) 자를 양 넓적다리 위에 두고 새끼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사바(娑嚩二合 ) 자를 양 정강이에 두고 새끼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하(賀 ) 자를 양 발바닥에 두고 새끼손가락으로 댄다고 관상한다.
진언을 베풀고 인을 결하여 가지하면
행자의 몸은 곧 준제불모신이 되어
온갖 업장을 없애고 한량없이 많은 복덕과 길상을 쌓아 모으게 되며,
그 몸은 금강의 부서지지 않는 몸이 된다.
만약 언제나 관행에 집중한다면 일체의 실지를 모두 눈앞에 보게 되며,
빠르게 위없이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을 증득할 것이다.
다음에 근본인을 결하고 근본진언을 일곱 번을 송하며 정수리 위에서 인을 푼다.
곧 108번의 보리 열매 염주알을 취하여 법대로 꿰고서
곧 도향으로 그 염주 위에 바르고 두 손바닥으로 염주를 받들어서 심장에 대며
진언 일곱 번을 송하고 염주를 가지한다.
진언을 송한다.
옴미로 자나 마라사바 하37)
唵尾嚧引遮那引麽羅娑嚩二合引賀引
가지하여 정수리에 인 채로 마음과 몸으로 이러한 원을 지으며 말한다.
‘제가 지금 송하고자 하오니 오직 바라건대 본존과 모든 부처님과 보살께서는 가지하시고 호념하소서.
원컨대 속히 수희하심을 얻어 구하는 실지가 원만하여지이다.’
그런 다음에 왼손의 약손가락과 엄지손가락으로 염주를 잡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으로 염주를 굴리며
손은 설법상(說法相)38)처럼 한다.
심장에 대고서 염주를 굴리며 송한다.
그 소리는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게 하며,
마음을 한결같이 집중하여 다른 일이 없게 한다.
자신이 본존의 상호구족한 몸과 같다고 관하며,
또 몸 앞의 단 가운데 칠구지불모와 권속이 둘러싸고 있으며,
아주 분명하게 서로 마주앉아 있는 것을 관상한다.
사바하(娑嚩二合賀)자를 칭할 때마다 동시에 염주를 한 알 굴리는데,
혹 108번이나 혹은 1,080번이나 염송의 횟수를 언제나 정해야 한다.
만약 108번을 못 채우면 곧 실지에 요구되는 횟수가 불충분하게 되는 것이다.
염송을 마치고 나서 염주를 손에 두르고 정수리에 이며 발원하는데 이와 같은 원을 말한다.
‘제가 염송하는 공덕과 일체의 중생이 닦은 진언으로써 상ㆍ중ㆍ하의 실지가 속히 성취되기를 바라나이다.’
염주는 상자 안에 두어라.
곧 정인(定印)을 결하고 몸을 바로 세워서 눈을 감고 맑은 마음으로 정에 든다.
마음과 몸 안에 둥근 광명이 보름달처럼 밝고 깨끗한 광명을 내면 대정진을 일으켜서 결정코 증득한 것이다.
만약 게으르지 않고 오로지 몰두한다면 반드시 본원의 청정한 마음을 본다.
둥근 광명 가운데에 옴 자를 관상하며 나머지 여덟 글자는 오른쪽으로 돌려서 둥근 광명의 위에 배치한다.
정 가운데에서 반드시 진언의 글자를 분명히 보아 흩어지거나 움직이지 않으면 정을 얻으며,
곧 반야바라밀과 상응하며,
곧 둥근 광명의 월륜을 그린다.
다음에 자모(字母) 종자(種子)의 뜻을 사유해야 한다.
옴(唵 )자문이란 3신(身)의 뜻이며 또한 일체법이 본래 생겨남이 없다는 뜻이다.
자(者 )자문이란 일체법이 생겨남도 없고 사라짐도 없다는 뜻이다.
례(禮 )자문이란 일체법의 모습은 얻을 수 없다는 뜻이다.
주(主 )자문이란 일체법은 생겨나거나 사라짐이 없다는 뜻이다.
례(禮 )자문이란 일체법은 더러움이 없다는 뜻이다.
준(准 )자문이란 일체법은 평등하게 깨달을 것도 없다는 뜻이다.
니(泥 )자문이란 일체법은 취하고 버릴 것이 없다는 뜻이다.
사바(娑嚩二合 )자문이란 일체법이 평등하여 말할 것도 없다는 뜻이다.
하(賀 )자문이란 일체법이 말미암음이 없다는 뜻이다.
일체법은 본래 생겨남이 없으므로 곧 불생불멸(不生不滅)이 되느니라.
불생불멸을 말미암는 까닭으로 곧 모습을 얻을 수가 없느니라.
모습을 얻을 수 없는 까닭으로 곧 생겨남과 멸함이 없느니라.
생겨나고 멸함이 없는 까닭으로 곧 더러움도 없느니라.
더러움이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게 깨달을 것도 없느니라.
평등하게 깨달을 것이 없는 까닭으로 취하고 버릴 것도 없느니라.
취하고 버릴 것이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여 말로 말할 수 없느니라.
평등하여 말로 설할 수 없는 까닭으로 곧 원인도 없고 결과도 없어 반야와 상응하여 얻을 것이 없으며
방편으로써 승의의 진실에 들어간즉 법계의 진여를 증득하니
이로써 삼마지를 삼나니 송하기를 마치고 나서는 근본인을 결해야 한다.
다음에 조욕인(澡浴印)을 결하며,
다음에 5공양인(供養印)을 결한다.
다음에 찬탄을 송하고 알가를 바친다.
다음에 아삼마의니인(阿三麽擬儞二合印)을 결하고 왼쪽으로 한 바퀴 돌려 결계를 푼다.
다음에 보거로인(寶車輅印)을 결하고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향하여
가운뎃손가락의 끝을 튀기면 성자(聖者)를 봉송하여 본궁에 돌아가시게 한다.
봉송진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니아차아차바가바디사바 바바남보나라 가마나야사바
唵者禮主禮准泥孽車孽車婆誐嚩底娑嚩二合婆嚩南布娜囉引誐麽那野娑嚩二合
하39)
引賀
다음에 3부의 삼마야인을 결하고
각기 진언을 한 번 송하여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데
앞에서처럼 참회하고 수희하며 권청하고 발원하여 위없는 깨달음에 회향한다.
뜻대로 경행(經行)하며 대승경전인 『화엄경』과 『대반야경』 등을 전독(轉讀)하고
탑과 상에 인하고 사리를 씻으며
오른쪽으로 돌면서 6념(念)을 생각하고,
이 복을 스스로 실지를 구하는 데에 돌린다.
다음에 식재(息災)ㆍ증익(增益)ㆍ경애(敬愛)ㆍ조복(調伏)의 4법을 말한다.
■ 선지가법(扇底迦法:śāntika, 息災)이란
죄를 멸하고 장애를 돌리며 재해를 없애는 것이다.
귀신들린 질병과 족쇄에 묶이는 것과 전염병과 국난과 홍수와 가뭄과 벌레가 곡식을 먹어치우며,
5성(星)40)이 침범하여 본래의 수명을 위협하는 번뇌들을 모두 다 없애며 해탈케 한다.
이것을 식재법이라 이름한다.
이 법을 행할 때에는 흰 옷을 입고
얼굴을 북쪽으로 향하며 다리를 교차시키고
무릎을 세워 길상좌(吉祥坐)를 한다.
흰색의 본존을 관하고 음식과 과자와 향과 꽃과 등불 등을 공양 올리는데
모두 다 백색으로 한다.
초하루부터 여드렛날에 이르기까지 매일 세 때에 송하고 밤에는 호마를 행한다.
식재의 진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니 선디구로사바 하41)
唵者禮主禮准泥令某甲若爲他人念誦稱彼名字扇底矩嚕娑嚩二合引賀
■ 포슬치가법(布瑟置二合迦法:puṣṭika, 增益)이란
수명이 길어짐과 관가의 명예와 복장(伏藏)과 부귀와 풍요나 총명과 지혜를 구하거나,
듣고 지녀서 잊지 않는 약법을 성취하고자 하거나 금강저 등을 성취하는 것이다.
사자나 코끼리나 말 종류를 만들어 진언을 가지하면 세 가지 현상이 나타나는데,
상ㆍ중ㆍ하에 따라서 구하는 바 결과를 얻는다.
실지는 자세하게 말한 것과 같다.
지명선(持明仙)을 구하고자 아수라굴(阿蘇囉窟)에 들어가거나
온갖 8부(部)의 귀신굴에 들어가고자 하는 자는 모두 들어가게 될 것이며,
신통의 지위를 증득할 것이다.
두 가지 종류의 자량을 원만하게 구하며
빠르게 위없는 보리를 이룬다.
이것을 증익법이라 이름한다.
이 법을 행할 때에는
몸에 황색의 옷을 입고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여 결가부좌를 하며
본존을 관하는데 역시 황색이다.
공양하는 향과 꽃과 음식과 과자와 등불 등도 모두 황색이다.
여드레에서부터 보름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세 때에 송하고 밤에는 호마를 행한다.
진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니 보사미 구로사바 하42)
唵者禮主禮准泥令某甲布瑟微二合矩嚕娑嚩二合賀
■ 벌시가라나법(伐施迦羅拏法:Vaśīkaraṇa, 敬愛)이란
바라보는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환희심을 내게 하는 것으로,
남자거나 여자거나 천룡8부나 야차녀를 섭복하여 구소(鉤召)하거나 귀신을 섭복하며,
모든 원수들이 요익하지 않은 일을 하는 것을 모두 마음을 환희하도록 돌리며,
모든 부처께서 호념하고 가지하시는 것이다.
이것을 섭소경애법(攝召敬愛法)이라 이름한다.
이 법을 행하는 자는
몸에 붉은 옷을 입고 얼굴은 서쪽을 향하며 두 무릎과 다리를 세우는데,
이것을 보현좌(普賢坐)라 한다.
관하는 본존과 공양하는 향과 꽃과 음식과 과자와 등불 등은 모두 적색으로 한다.
16일부터 23일까지 날마다 세 때에 염송하며 밤에 호마를 행한다.
섭소진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니 바시구로사바 하43)
唵者禮主禮准泥令某甲嚩試矩嚕娑嚩二合賀引
■ 아비자로가법(阿毗遮嚕迦法:abhicāraka, 調伏)이란
5무간죄(無間罪)를 범하거나 방등대승을 비방하거나 불성을 없애려 하거나
군주를 배신하며 정법을 어지럽히는 이와 같은 사람에게
깊이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내어서 항복법을 행하는 것이다.
당나귀 똥이나 낙타의 똥이나 불에 태운 시체의 재로 단을 바르는 데에 쓴다.
이 법을 행할 때에 몸에 검은 옷이나 청색의 옷을 입으며,
얼굴은 남쪽을 향하며 왼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 위에 올려놓는 준거좌(蹲踞坐)를 한다.
관하는 본존에는,
검은색이며 냄새가 없고 향기로운 검은 색 또는 청색의 꽃을 취하여 공양 올린다.
공양하는 음식과 향과 꽃과 과자와 등불 등은 모두 검은색이나 청색으로 한다.
23일부터 마지막 날까지 정오와 한밤중의 두 때에 염송하며 밤에 호마를 행한다.
진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니 바라 남가다야훔바닥44)
吽者禮主禮准泥令某甲跛囉二合喃伽多野吽癹吒
■ 다음에 준니불모화상법(准泥佛母畵像法)을 말한다.
자르지 않은 흰 무명을 취하여
터럭을 버린 자가 깨끗한 벽의 그림족자에서 먼저 단에 바르고
알가와 음식으로 능력껏 공양해야 한다.
그리는 사람은 응당 8계재(戒齋)를 받아야 하며 그리는 상을 깨끗하게 해야 한다.
그 채색을 하는데 겉에 아교를 발라서는 안 된다.
새 그릇에 색을 섞어서 준제불모상을 그려야 한다.
몸은 황백색으로 하고 결가부좌하며 자리 위에는 연꽃이 있다.
몸에는 둥근 광명을 두르고 가벼운 옷을 입은 것이 10바라밀 보살의 옷과 같으며,
위와 아래를 모두 흰색으로 한다.
다시 천계의 옷을 입었는데 모서리마다 영락을 달고 머리에는 관을 썼다.
팔에는 모두 팔찌를 차고 단(檀)과 혜(慧)45)에도 보배반지를 꼈다.
그 상의 얼굴에는 세 개의 눈이 있으며 열여덟 개의 팔이 있는데,
위의 두 손은 설법상(說法相)46)을 하고 오른쪽의 두 번째 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하였으며,
세 번째의 손에는 검을 잡고,
네 번째의 손에는 보만(寶鬘)을 들었으며,
다섯 번째 손의 손바닥에는 연과(緣菓)를 잡았으며 여섯 번째의 손에는 도끼를 들었고,
일곱 번째의 손에는 갈고리를 집었으며,
여덟 번째의 손에는 금강저를 쥐고,
아홉 번째의 손에는 염주를 쥐었다.
왼쪽의 두 번째 손은 여의보당(如意寶幢)을 들고,
세 번째의 손으로는 활짝 핀 붉은 연화를 들고,
네 번째의 손에는 군지(軍持)를 쥐고,
다섯 번째의 손에는 밧줄을 쥐었으며,
여섯 번째의 손에는 윤(輪)을 들고,
일곱 번째의 손에는 상거(商佉)를 쥐고,
여덟 번째의 손에는 현병(賢甁)을 들고
아홉 번째의 손의 손바닥으로는 『반야경』 범본이 들어 있는 상자를 들고 있다.
연꽃 아래에는 연못을 그리는데 연못 가운데에는
난타용왕(難陁龍王)과 오파난타용왕(塢波難陁龍王)47)이 있으며,
연화좌를 놓았는데 왼쪽에는 손에 향로를 쥐고서 성자를 우러러 보는 모습의 지송하는 자와,
준제불모께서 지송하는 자를 아끼시고 연민하시어 눈을 아래로 해서 내려다보시는 것을 그린다.
위에는 두 정거천자(淨居天子)를 그리되
하나는 구소다천자(俱素陁天子)라 이름하는데
손에 화만을 들고 아래를 향하여 공중으로부터 와서 성자에 공양 올린다.
상을 그리고 나서 능력껏 승려의 차례대로 일곱 승려를 청하여 공양올리고
광명주(光明呪)를 열어 찬탄해 주실 것을 원한다.
상의 아래에는 법신연기(法身緣起)의 게송을 써 놓고
상을 정실(精室)로 옮겨다가 비밀공양을 올린다.
비단으로 상을 덮고서 염송할 때에는 덮은 비단을 벗긴다.
우러러 예를 올리고 공양하며 염송을 마치면
비단을 가져다가 씌워서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게 한다.
왜냐하면 스승으로부터 받은 의궤화상법을
만약 다른 사람에게 주어서 상이 드러나면
마귀가 짬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비밀하게 해야 한다.
--------------
1 천(天)과 용(龍) 등 8부(部)를 말함.
원래는 신들을 기원하는 신화적(神話的) 존재인 8종의 명칭이다.
불교에서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장(神將)들,
즉 천(天)ㆍ용(龍)ㆍ야차(夜叉)ㆍ건달바(乾闥婆)ㆍ아수라(阿修羅)ㆍ가루라(迦樓羅)ㆍ긴나라(緊那羅)ㆍ마후라가(摩睺羅伽)의 칭호이다.
이 가운데서 천(天)과 용(龍)이 으뜸이므로 특히 천룡8부라 한다.
2 namaḥ saptānāṃ samyaksaṃbuddha koṭīnāṃ tad yathā oṃ cale cule cunde svāhā.
3 현(賢, bhadra)과 성(聖, ārya)의 병칭.
현(賢)은 선화(善和)의 뜻으로 견도(見道)이전의 마음을 조복하며 악을 떠난 사람을 가리킨다.
성(聖)은 바른 이치와 계합하였다는 뜻으로 진리를 보고 증득하여 중생의 성품을 버린 사람을 가리킨다.
말하자면 범부의 성품을 버리고 무루지를 개발하여 이치를 증득하고 번뇌를 끊어서 견도 이후의 위에 속한다.
요점을 말하면 유루지(有漏智)로써 선근을 닦는 자를 현자(賢者)라 하고 무루지로 바른 이치를 증득한 자를 성자(聖者)라 한다.
4 범어로 sumanas.
관목(灌木)으로 황백색의 꽃이 피는 향기가 아주 좋은 꽃.
호희(好喜)ㆍ호의(好意)ㆍ선섭의(善攝意)라고도 번역한다.
소마나화에서 짠 향기로운 기름을 소유(蘇油)라 한다.
5 범어로 homa.
화로(火爐) 가운데에 불을 피우고 공물(供物)을 태워 본존에게 공양올리는 밀교의 수법(修法).
호마(護摩)는 호마(護魔)라고도 하며 분소(焚燒)ㆍ화제사법(火祭祀法)이라 번역한다.
원래 인도의 바라문교의 화신(火神) Agni에 공양 바쳐 악마를 제거하고,
복을 구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화제(火祭)를 불교에 도입한 것이라고 하며 특히 밀교에서 성행하였다.
밀교에 와서는 지혜의 불로 미혹의 장작을 태운다는 의미를 가지며,
나무 등을 태우고 그 불로 일체의 악업을 태워 없앤다고 한다.
부동명왕이나 애염명왕(愛染明王) 등을 본존으로 하고 그 앞에 의칙(儀則)에 기초한 화로의 호마단을 설치하고 규정된 호마목(護摩木)을 태우며,
가운데에 곡물 등의 공물을 던져서 본존에 공양 바치고,
재난을 없애며[息災],
행복을 늘리고[增益],
악을 굴복시키는[降伏] 것을 기원한다.
또한 입단(入壇) 수법(受法)의 관정 때에도 수행한다.
호마작법에는 실제로 호마단으로 행해지는 외(外)호마,
또는 사(事)호마가 있고,
화단(火壇)을 향하지 않고,
자신을 단(壇)으로 삼아 부처님의 지혜의 불로써 내심(內心)의 번뇌나 업을 태우는 것을 상징하는 내(內)호마,
또는 이(理)호마가 있다.
6 범어 Ḍākinī.
의역하여 공행모(空行母),
또는 나길녕(拏吉寧)⋅나길니(拏吉尼)⋅나지이(拏枳儞)⋅다기니(荼耆尼)⋅다지니(荼枳尼)⋅다길이(荼吉儞)⋅타기니(陀祇尼)⋅타지니(咤枳尼)라 음역한다.
야차의 일종으로 사람의 피와 간을 먹는 신이다.
다길니천(茶吉尼天)이라 음역한다.
원래는 칼리(Kālī)여신의 시자(侍者)였지만,
칼리여신이 시바의 시자,
혹은 처(妻)로 된 뒤에는 시바의 시자로도 된 여신이다.
사람의 죽음을 6개월 이전에 미리 아는 능력이 주어졌지만 살해하지 않고 죽기를 기다려,
죽은 뒤에 그 육체나 심장을 먹으며,
그 피를 마신다고 한다.
7 3종의 부(部)라는 뜻.
대표적인 3부조직으로 불부(佛部),
연화부(蓮華部),
금강부(金剛部)의 3부를 들 수 있다.
불부는 불의 집단,
연화부는 관세음보살의 집단,
금강부는 금강수의 집단을 의미한다.
이들 각부는 구심점이 되는 부주(部主)를 중심으로 하여 집단을 구성하고 부주는 부족의 장이 되어 부족원을 통솔하며 각각의 서원을 취합하여 만다라 전체의 성격에 맞도록 활동한다.
8 범어로 vipula.
큰 산이라는 뜻으로 중인도 마갈타국 왕사성 동쪽에 있는 산인데,
지금은 비파루시의 남쪽 라쟈기르(Rajgir) 부근이다.
제바(提婆)가 입정(入定)했던 석굴 등의 탑 터가 남쪽 벼랑에 남아 있다.
9 namaḥ samantabuddhānaṃ pṛtibhya svāhā.
10 argha.
수(水),
또는 공덕수(功德水)⋅알가향수(閼伽香水)⋅무탁(無濁)⋅기(器)라 번역한다.
알가정(閼伽井)으로부터 떠온 물에 밀(樒)⋅향말(香末)을 넣은 물을 알가수(閼伽水)라고 부르며,
관정용(灌頂用)⋅수법용(修法用)의 알가수를 알가정으로부터 퍼올리는 것이 ‘알가작법(閼伽作法)’이다.
밀교수법에 있어서 6종공양의 하나로서 물을 본존에 바치는데 손님을 영접할 때 발 씻을 물을 내드리는 인도의 풍습으로부터 온 것이다.
전공양(前供養)의 알가는 본지로부터 청래(請來)한 본존의 발 씻는 물을 관하고,
후공양(後供養)의 알가는 치주(馳走) 후의 입을 헹구는 물이라고 관한다.
11 oṃ bodhicittapāda pādyame.
12 열 손가락을 맞대게 하고 양 손바닥 내부를 약간 비게 하는 연꽃 모양의 합장이다.
13 oṃ tathāgatodbhavaye svāhā.
14 oṃ padmodbhavabaye svāhā.
15 oṃ vajrodbhavaye svāhā.
16 oṃ kamali bimali cunti svāhā.
17 oṃ cunnini cilaye svāhā.
18 oṃ gagana sambhavavajra ho.
19 범어 Akaniṣṭha.
색구경천(色究竟天)이라 번역한다.
색은 만법,
구경은 최상의 뜻이기 때문에,
만법의 가장 수승한 장소이다.
삼계 가운데에서 색계18천의 최정상에 있는 천인 색구경천으로 대일여래가 금강살타에게 『금강정경』을 설하신 장소를 말한다.
20 oṃ dhuru dhuru hūṃ.
21 namas traiya dipikana tathāgātanāṃ oṃ vajraṃ enyākarṣaya svā- hā.
22 oṃ cali culi cunti ehy ahe bhagavati svāhā.
23 namaḥ samantabuddhanaṃ oṃ sulu hulu candrimataṅgi svāhā.
24 oṃ cuntiniprakaraya svāhā.
25 oṃ cundinivajra svāhā.
26 oṃ asamaini hūṃ phaṭ.
27 oṃ cali culi cundi agaṃ pratīccha bhagavati svāhā.
28 oṃ kamala svāhā.
29 oṃ jaḥ svāhā.
30 범어 kalaśa.
보배로 만든 병으로 법구의 하나.
현병(賢甁)⋅덕병(德甁)⋅여의병(如意甁)이라고도 하며,
용도에 따라서 알가병(閼伽甁)⋅관정병(灌頂甁)이 있다.
5보(寶)⋅5곡(穀)⋅5약(藥)⋅5향(香)의 20가지를 넣어서 정토에 가득하게 한다는 향수병으로 입구에는 보배꽃과 묘한 꽃을 꽂아서 막고,
손잡이 부분에는 비단 등으로 장엄한다.
31 oṃ li svāhā.
32 oṃ ṭu svāhā.
33 oṃ li svāhā.
34 oṃ cun svāhā.
35 oṃ ṇi svāhā.
36 avadāra cadurnapratha smarali bhukuṭi praṇamapana bihedi aca- li trasarisuni curisitisya cundi saramuntināṃ bāvaśamani sarva- haṃ tispharanāṃbhyaḥ tad yathā kṣiśaranagati abini dasa daba namanipraya nalokatraya lathakarirakṣita labiyuṃnasubinipatra kalanakṣiśini sphuṭaṃ siddhi davacintidha maladhaṃ praśṭaṃlik kacanaṃ nisati praśṭaṃlik kacanaṃ niminā nisatinaṃ prakhu- triraśik kariyastvaṃ rañjabyada muni muni vajridan carada- miyaṃ suraribupavanaṃ prapiśayati ayaṃriy avalokiti pahitidica- saṅśayaṃ sadadaca bādadanaṃ sidhiṭabiti ciṃ cinyasatvanān nanasibaktibhyoḥ iti sakara pabanaśani bhagavati pakṣi dharma darasiddhikali prayamanuradhamiṣṭi tatinaṃtavaṃ smaraṃ kaś- cita bhagavati cunti dharaṇisatu trasamapāta.
37 oṃ bairocanamala svāhā.
38 전법륜인(轉法輪印)을 가리킨다.
39 oṃ cali culi cunti biṣṭa biṣṭa bhagavati bhava bhavanāṃ punara- kamanaye svāhā.
40 다섯 개의 별이란 뜻으로 5집(執)이라고도 한다.
즉 ⑴세성(歲星)은 목요(木曜)로써 5행(行) 중 목(木)의 정기이며 동방 창제(蒼帝)의 아들이다.
⑵형혹성(熒惑星)은 화요(火曜)로서 화(火)의 정기이며 남방 적제(赤帝)의 아들이다.
⑶진성(鎭星)은 토요(土曜)로써 토(土)의 정기이며 중앙 황제(黃帝)의 아들이다.
⑷태백성(太白星)은 금요(金曜)로써 금(金)의 정기이며 서방 백제(白帝)의 아들이다.
⑸진성(辰星)은 수요(水曜)로써 수(水)의 정기이며 북방 흑제(黑帝)의 아들이다.
이 5성이 하늘을 한 바퀴 돌 때에 늦고 빠름이 다르다.
태백성과 진성은 각기 1년이 걸리고,
형혹성은 2년,
세성은 12년,
진성은 29년 반이 걸린다.
이러한 별들에 따라 길흉이 다르다.
41 oṃ cali culi cunti śantiṃ kuru svāhā.
42 oṃ cali culi cunti puṣṭiṃ kuru svāhā.
43 oṃ cali culi cunti vaśaṃ kuru svāhā.
44 hūṃ cali culi cunti pranankataye hūṃ phaṭ.
45 양 손의 새끼손가락을 말한다.
46 전법륜인(轉法輪印)을 가리킨다.
47 8대용왕(大龍王) 가운데 두 용왕이다.
난타(難陁)와 오파난타(塢波難陁)는 형제로서,
머리에 일곱 용두(龍頭)가 있는 호법(護法)의 용신(龍神)이다.
○ [pt op tr]
◈Lab value 불기2555/05/01 |
댓글내용 |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3527#1201
sfed--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_K1338_T1076.txt ☞준제 sfd8--불교단상_2555_05.txt ☞◆vcsz1201 불기2555-05-01 θθ |
■ 퀴즈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
답 후보
견도(見道)
경론석(經論釋)
경탑(經塔)
계(繫)
계내사교(界內事敎)
계외별혹(界外別惑)
계정(戒定)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http://idealsociety007.tistory.com/112
mun_단상_2011_0501~~0630
'과거조각글백업이전대상-256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기2555-09-01_여래시교승군왕경_001 (0) | 2017.09.04 |
---|---|
불기2555-07-01_칠불찬패가타_001 (0) | 2017.09.03 |
불기2555-04-01_천전대명다라니경_001 (0) | 2017.08.31 |
불기2555-04-01_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_001 (0) | 2017.08.31 |
불기2555-03-17_청정비니방광경_001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