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분별공덕론
K0973V029P0502c
분별공덕론 제4권
실역인명1)
이태승 번역
여래께서 4부가 각각 제일이라고 널리 말씀하신 까닭은 곧 장래의 말세 때문이다.
법을 남긴 사람 가운데는 4성(姓)의 외학(外學)인 범지와 4부의 제자가 있다.
서로 함께 시비하며 스스로를 칭하여 존(尊)으로 삼고,
다른 사람을 비하한다.
이와 같은 무리를 헤아려서는 안 된다.
그런 까닭에 미연에 예방하고자 하여 자족(自足)의 길을 연 것이다.
지금 구린(拘隣)을 제일로 삼은 것은,
그 석종(釋種)의 호족(豪族)인 까닭이며,
왕에게 편지를 보내고,
시종으로써 고생한 공에 보답한 것이다.
마땅히 제일로 와야 한다.
또 최초로 교화되어 법을 받아 능히 그보다 앞선 자가 없어 또한 제일이다.
잘 지도하여 성중(聖衆)을 길러 내 먼저 선래(善來)라는 칭호를 받은 까닭에 이것 또한 제일이다.
사람 가운데 추앙받는 자는 차가월(遮加越)을 최고로 삼고,
광명 가운데는 해를 최고로 삼으며,
성수(星宿) 가운데는 달을 최고로 삼으며,
수많은 강 가운데는 바다를 최고로 삼으며,
4천왕 가운데는 제두뢰(提頭賴)를 최고로 삼으며,
33천 가운데는 석제환(釋提桓)을 최고로 삼으며,
욕계 6천 가운데는 파순(波旬)을 최고로 삼으며,
색계 18천 가운데에는 정거(淨居)를 최고로 삼으며,
96부의 승(僧) 가운데에는 석승(釋僧)을 최고로 삼으며,
96종의 도 가운데에는 불도(佛道)를 최상으로 삼듯이 구린은 비구들 다섯 사람 가운데 최고이다.
그러므로 구린을 제일로 삼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우타이(優陀夷) 비구는 권도(勸導)하는 것이 최고이다.
비구들이 모두 권도하는 것이 최고라 하는 까닭은,
부처님께서 장차 본국으로 돌아가시려고 하실 때,
그를 먼저 보내어 신변(神變)을 나타내게 하여,
왕과 서로 응대하여 하나하나 이해시켜 제도 받은 사람을
헤아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까닭에 권도가 최고라고 칭하는 것이다.
K0973V029P0503a
마하담(摩訶曇) 비구는 이근(利根)으로 민첩하다.
다른 비구들은 모두 누(漏)가 다해 신통을 성취하지만,
이 비구는 누가 아직 다하지 않았음에도 신통을 성취하였다.
그러므로 제일이라 칭한다.
무릇 허공을 나는 자는 모두 신족(神足)에 의한다.
이 비구는 능히 허공을 가는 것을 땅을 밟는 것 같이 한다.
이것은 선주(善肘) 비구가 능한 바이다.
그러므로 제일이라 칭한다.
목련은 신족으로 침묵한 채로 이찰(異刹)에 간다.
바파(婆破) 비구의 신족은 허공을 능가하며,
소리는 멀리서나 가까이서나 울려 능히 외도를 조복시킨다.
그러므로 제일이라 칭한다.
우각(牛脚) 비구는 두 가지 것으로 인해 세간에 머물 수 없다.
무엇인가 하면,
이 비구의 다리가 소와 비슷한 것이며,
먹는 것이 곧 되새김질하는 것 같은 것이니,
이 두 가지로 인해 세간에 머물 수 없다.
만약 외도 범지가 그 되새김질하는 것을 본다면 소위 사문은 먹는 데 시절이 없다고 비방심을 일으킬 것이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상천(上天)에 보내시어 선법 강당에서 좌선으로 정에 들게 하셨다.
선각 비구는 항상 대중 스님들을 위해 천상에 이른다.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뒤,
가섭이 건추(揵椎)를 울려 대중 스님을 크게 모았다.
아나율에 명하여 누가 오지 않는가를 두루 관하도록 하였다.
아나율이 곧 세계를 관하여,
모두 왔지만 오직 교원(橋洹) 비구만이 지금 천상에 있는 것을 보았다.
곧 선각에게 명해 데리고 오도록 하였다.
선각은 33천에 이르러 선법 강당에서 멸진정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보았다.
손가락으로 건드려 깨워 말하였다.
“세존께서 열반하신 지 14일이 되었다.
가섭이 대중을 모으고,
나에게 그대를 세간의 대중이 있는 곳으로 데려오도록 명했다.”
교원이 대답하였다.
“세간은 이미 공하다.
내가 가서 무엇을 하겠는가?
세간에 돌아가지 않고 열반을 취하겠노라.”
K0973V029P0503b
곧 의발을 선각에게 맡기고 대중 스님들에게로 돌아가 열반에 들었다.
이 인연으로써 천상에 잘 머무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일이라 칭한다.
선승(善勝) 비구는 본래 귀족의 자제로 처음 태어났을 때 금으로 된 신발을 신은 채 태어나,
부모는 그것을 진귀하게 생각했다.
그를 위해 삼시전(三時殿)을 지어 기녀로 하여금 즐기게 하고 그 좌우를 떠나지 않도록 하였다.
여자가 자고 있을 때,
그 흰 이를 보고 ‘몸이 비록 아름답지만,
단지 뼈뿐이다’라고 생각하며 자세히 그 드러난 모습을 보자 몸이 떨리고 소름이 끼쳤다.
그리고 궁궐을 돌아보자 마치 무덤과 같았다.
놀라서 문으로 달려가자 두 신(神)이 맞이했다.
두 신에게 물었다.
“지금 이 재난을 맡아 구원해 줄 사람이 누구인가?”
두 신이 대답하였다.
“오직 세존만이 이 재난을 잘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어디에 계시는가?”
“기원정사 가까이에 계시니, 가서 여쭐 수 있습니다.”
그 빛을 찾아 부처님께 이르러 머리를 숙여 발에 예배하였다.
부처님께서 본심으로 그를 위해 묘법을 말해 주시자 곧 마음이 열려 번뇌가 사라졌고,
결(結)이 풀렸다.
이 인연으로 선승 비구는 나쁘게 드러난 것을 관하는 데 제일이다.
우류비가섭(優留毘迦葉)을 제일이라 칭하는 것은,
숙세 이래로 형제 세 사람이 항상 천 명의 제자를 데리고 있었는데,
지금 석가문불(釋迦文佛)의 세상을 만나 부처님께서 18변(變)으로 가섭의 천 명을 제도하시자,
부처님의 무리가 되어 네 가지로 공양하고, 이것으로 인해 흥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류비가섭은 능히 성중을 잘 외호하고 공양하는 것이 제일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강가섭(江迦葉)을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시는 데 일심으로 듣고 정신을 집중시켜 신(神)에 들어가 모든 결(結)을 다 없애며,
덕실(德實)이 안에 충만하여 뼈 속에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수(脂髓)가 밖으로 나오는 것이 땀이 나오는 것과 비슷하였다.
K0973V029P0503c
그러므로 심의(心意)가 적연하여 능히 모든 결을 항복시키는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마사(馬師) 비구는 부처님을 따라 수학하였다.
바야흐로 7일이 지나 곧 위의를 갖추었다.
비사리성에 들어가 걸식하고자 하였을 때,
성문 밖에서 우바제사(優波提2) 舍)를 만났다.
멀리에서 마사 비구의 위의가 단정한 것을 보고 마음속으로 기뻐하며 물었다.
“그대는 누구인가?”
“나는 사문이다.”
“그대는 스스로 아는 자인가,
스승이 있는가?”
“스승이 있다.”
“스승의 이름은 무엇이며,
어떤 설법을 하는가?”
“나의 스승은 석가문(釋迦文)이다.
천(天) 중의 천이며,
삼계의 극존(極尊)이다.
그 가르치는 바는 공무(空無)로써 주를 삼고,
마음을 쉬며, 근본에 달한다.
그래서 사문이라 한다.”
우바제사는 이 묘한 말을 듣고,
곧 도적(道迹)에 이르렀다.
우바제사는 동학(同學)과 본래 서원이 있었다.
먼저 감로를 얻은 자가 마땅히 서로 알려주는 것이었다.
곧 마사를 떠나 구율타(拘律陀)가 있는 곳에 이르렀다.
구율타는 우바제사의 안색이 평소와 다름을 보고 감로를 얻었는지를 궁금해 하며 물었다.
“감로를 얻었는가?”
“얻었다.”
“감로란 무엇인가?”
“감로란 제법의 공무(空無)에 도달하는 것이다.”
구율은 깊이 생각해 또 도적을 얻었다.
마사가 위의(威儀) 제일인 까닭은,
과거 500세에 원숭이였는데,
지금 사람이 되었어도 성격이 조급하고 분주했으나 출가 7일 만에 곧 본심을 바꾸었고,
배움이 처음에는 비록 얕았으나 가르침을 잘 선양했기 때문이다.
앞에서 보는 자로 하여금 얼굴을 기쁘게 하고 가르침에 이르게 했다.
위의로써 깨닫게 하는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
신자(身子)를 지혜 제일이라 칭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세존께서 또 말씀하셨다.
“신자의 지혜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고자 한다면,
수미(須彌)를 벼루로 삼고,
4대의 바닷물을 먹물로 삼으며,
4천하의 죽목(竹木)을 붓으로 삼고,
K0973V029P0504a
가득 찬 사람을 서사(書師)로 삼아 신자의 지혜를 베끼려 해도 오히려 능히 다하지 못할 것인데,
하물며 범부의 5통(通)으로 능히 측량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지혜 제일이라 칭한다.
목련을 신족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세존 또한 증험이 있음을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옛날 3재(災)가 유행했을 때,
인민은 크게 굶주렸다.
목련은 마음으로 생각하였다.
‘이 땅 아래에는 옛적의 비옥한 땅이 있다.
지금 사람들이 굶주리니,
이 땅을 뒤집어 아래의 비옥한 땅을 취하여 사람에게 제공하여야 하겠다.’
그와 같이 생각해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금 4신족으로써 땅을 뒤집어 아래의 비옥한 땅을 취하여 사람의 목숨을 구하고자 합니다.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 하여도 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만두어라, 그만두어라.
목련아, 너의 신족으로는 능히 그와 같이 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그 중생은 한 손으로 벌레를 잡고, 한 손으로 땅을 판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하지 않는 게 좋겠다.
왜냐하면 후세의 비구 대부분은 신족이 없다.
가령 나중에 기근이 있을 때 국왕과 신민이 사문에게 땅을 바꾸도록 명하였는데 만약 불가능하다면,
사문이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
이 신족으로써 증명하는 까닭에 목련이 제일이라고 칭한다.
이십억이(二十億耳) 비구를 고행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옛날 점파국(占波國)에 대장자가 있었다.
한 아들이 태어났는데,
단정하고 뛰어났으며,
발바닥에 털이 나서 길이가 4치나 되었으며,
일찍이 땅을 밟아본 적이 없었다.
발바닥에 털이 생겨난 까닭은,
옛날 가섭불 때에 대장자가 되어 재보가 한이 없고,
대중 스님들을 위해 정사와 강당을 짓고,
백첩(白氎)으로 땅을 덮어 대중 스님들로 하여금 그 위를 밟게 했기 때문이다.
이 인연으로 인하여 발바닥에 털이 생겼다.
이십억이라고 하는 까닭은,
태어날 때 저절로 귀에 보주(寶珠)가 생겨났는데,
그 가치가 20억이 되는 까닭에
K0973V029P0504b
그와 같이 칭한 것이다.
그때 병사왕(甁沙王)이 그 기이함을 듣고,
보기를 원하여 데려오도록 명령했다.
15일간 마차를 타고 와서 마차에서 내리려고 하자마자 첩(氎)이 땅을 덮었다.
그런 뒤에 내려 왕의 처소에 이르렀다.
왕은 앉도록 명한 뒤 여러 가지 묻고 나서 비파를 잘 탄다는 이야기를 듣고,
즉시 비파를 타도록 명령하였다.
서로 즐거운 시간을 보낸 뒤에 함께 부처님의 처소에 이르렀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대중에게 널리 묘법을 말씀하시고 계셨다.
부처님을 보고 환희하여 머리를 숙여 발에 예배했다.
부처님께서 앉게 하시자,
법을 듣고 기뻐하여 곧 출가하고자 하였다.
부처님께서 그 출가의 뜻을 허락하시어 곧 사문이 되었다.
용맹 정진하며,
경행하는 데 나태함이 없었다.
피부가 연약하여 발바닥에 상처가 나고 찢겨 경행하는 곳에 피가 흘러 진창을 이루었다.
경행이 쌓여 오래되었지만,
누(漏)가 여전히 없어지지 않았다.
피곤하고 나태한 마음이 생겨 재가인[白衣] 으로 돌아가려 하였다.
“나는 집의 재산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
널리 복덕을 위하면 또 3악은 면할 수 있을 것이다.”
부처님께서 그 마음을 아시고 홀연히 땅에서 솟아나 그의 앞에 나타나 물었다.
“네가 본래 비파를 탈 때,
그 줄을 너무 팽팽하거나 느슨하게 하면 좋은 곡을 얻을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얻지 못합니다.”
“만약 줄을 완전히 느슨하게 하면 또 얻을 수 있겠느냐?”
“얻지 못합니다.”
“만약 느슨하지도 않고 팽팽하지도 않아 줄과 기러기발이 잘 상응하면 좋은 소리를 얻을 수 있겠느냐?”
“얻을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행도 또한 그와 같다.
급하지도 않고 느슨하지도 않아 그 중도의 적절함에 처하여 조화가 마땅한 자리를 얻으면 도를 성취할 수 있을 따름이다.”
부처님의 말씀을 사유하여 마음이 활짝 열려 깨치고 곧 나한을 이루었다.
이러한 인연으로써 고행 제일이라 칭하는 것이다.
아나율을 천안(天眼)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부처님께서 큰 모임에서 설법을 하실 때,
아나율이 자리에서 자고 있었다.
부처님께서 그 자는 것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K0973V029P0504c
“대저 잠자는 자는 마음과 뜻이 닫혀져 있는 것이니 죽은 자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아나율은 부끄러워하며 마음을 억누르고,
스스로 지금부터 다시는 자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자지 않은 것이 오래되어 눈이 실명되었다.
그 이유는 무릇 6식(食)이 있는데,
눈에는 2식이 있다.
첫째는 색을 보는 것이고,
둘째는 수면이다.
5정(情)에도 각기 2식이 있다.
식을 얻으면 6근이 온전한데,
눈이 면식(眠食)을 잃은 까닭에 안근(眼根)을 상실한 것이다.
부처님께서 기역(耆域)에게 명해 그것을 치료하도록 하니,
그가 말하였다.
“자지 않는 것은 치료할 수 없습니다.
이미 육안(肉眼)을 잃어버리면 다시는 볼 수 없습니다.”
500의 제자가 각기 흩어져 사람을 고용해 침을 놓았다.
어루만지며 옷을 더해 선(線)이 다하자 거듭 찔렀다.
가히 고용할 사람이 없어 좌우를 불러 말하였다.
“누군가 복을 구하고자 하는 자는 나를 위해 침을 놓아라.”
세존께서 홀연히 그 앞에 나타나 말했다.
“내가 너를 위해 놓으리라.”
그러자 물었다.
“당신은 누구십니까?”
“나는 부처이다.”
“부처님께서는 이미 복을 구족했는데 또 복을 구하고자 합니까?”
“복덕을 싫어할 수 있겠느냐?”
아나율이 사유하기를 ‘부처님께서도 오히려 복을 구하는데 하물며 범인(凡人)이랴’라고 하였다.
그리고 마음으로 결(結)을 느껴 빨리 부처님을 쳐다보았다.
지심(至心)으로 하였던 까닭에 홀연히 천안을 얻었다.
천안을 얻고 다시 거듭 사유하여 곧 나한을 얻었다.
무릇 나한에게는 모두 3안(眼)이 있는데,
육안(肉眼)ㆍ천안(天眼)ㆍ혜안(慧眼)이다.
아나율은 바로 2안을 가졌으니,
혜안과 천안이다.
3안으로 보는 자는 혼란스럽다.
육안과 천안이 공(功)을 다투며,
정밀한 것과 거친 것을 섞어서 관하는 까닭에 혼란스럽다고 한다.
아나율은 오로지 천안만을 사용해 대천세계를 관하며,
정밀한 것과 거친 것을 모두 보며,
형질과 다른 것 가운데 식(識)이 있고 없음을 모두 남김없이 구별한다.
천인이 보는 것에는 깨끗한 것[淨] 과 깨끗하지 않은 것[不淨] 이 있다.
매우 깨끗한 것을 관하는 자는 세계 가운데 모든 형류(形類)를 가진 것을 보는데,
식이 있고 없음과 모든 동요를 본다.
의심하여 이것을 벌레라고도 하고,
벌레가 아니라고도 한다.
깨끗하지 않은 것을 관하는 자는 쌀알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도 모두
K0973V029P0505a
벌레라고 말한다.
우열의 다름은 스스로 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안 제일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월(離越) 비구를 좌선하여 정에 드는 데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옛적에 바사닉왕이 청하여 좌선을 시켜 한 나무 아래에 있게 했다.
그때에 왕이 궁에 들어와 식사하기를 청하였다.
6년 동안 다른 나무에 돌아다니지 않았다.
바로 다른 나무로 옮기고자 하였지만,
수신(樹神)이 허락하지 않았다.
무엇으로써 증거를 삼는가 하면,
장차 옮기려고 할 때,
수신이 곧 꽃을 뿌려 공양하였는데,
이것으로써 증거를 삼고 그 허락하지 않음을 안다.
어떻게 그 뜻에 다른 생각이 없는 것을 아는가?
그때 구치라(拘絺羅)가 이월의 처소에 와서 말하였다.
“어찌하여 훌륭한 나무 아래에 앉지 않고,
이 마른 나무에 앉는가?”
대답하였다.
“그대를 4변(辯) 제일이라 하는 것은 능히 법의(法義)를 분별하고 사(辭)에 응하는 까닭이다.
모르겠구나,
마른 나무를 분별하는데 이것은 어떠한 변(辯)에서인가?
나는 이곳에 앉아 이미 6년이 지났지만 산 나무인지 마른 나무인지 분별하지 않는데 너는 오자마자 곧 분별하는가?”
왕이 궁에 들기를 청해 매일매일 공양하고,
모든 부인에게 각자 시중들도록 시켜 6년간 보시하도록 했다.
마땅히 보시할 때에 주인의 이름을 알지 못했다.
왕이 말하였다.
“6년간이나 청을 받았음에도 사람의 이름을 알지 못하니,
어떠한 정(定)이기에 이와 같은가?”
대답하였다.
“나는 나무 아래 앉아 오히려 나무가 죽었는지 살았는지도 모르는데,
하물며 사람의 이름을 알겠는가?”
선복(禪福)을 공양하고 그 덕이 지순(至淳)하니 왕이 원하는 바에 따라 가히 열반에 이를 것이다.
이는 복전이 훌륭한 까닭이다.
그러므로 선을 즐기는 데[樂禪]
제일이라 칭한다.
타라바마(他羅婆摩) 비구가 무리를 이끌어 재강(齋講)에 시립(施立)했다고 하는 것은,
부처님께서 승사(僧事)를 맡겨 각 부분을 합당하게 나눈 것이다.
계경(契經)은 계경 하나로,
비니(毘尼)는 비니 하나로,
대법(大法)은 대법 하나로,
좌선은
K0973V029P0505b
좌선 하나로,
고좌(高座)는 고좌 하나로,
걸식은 걸식 하나로,
교화는 교화 하나로,
일에 따라 범위를 나누고 각기 서로 따르게 했다.
만약 단월로서 와서 청하는 자가 있으면,
차례대로 보내어 높고 낮음을 묻지 않았다.
만약 개인적으로 청하는 자가 있으면,
이 예(例)에 있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단월이 다 청하고 났을 때,
육군(六群) 비구는 가난한 집에 차례가 돌아와 원한만 품고 돌아왔다.
부처님을 향해 원망하며 말하였다.
“마라(摩羅)에게 속았습니다.
자신은 좋은 곳을 받고,
저는 가난한 집에 보내졌습니다.
이것이 어찌 평등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마라에게 명하셨다.
“네가 실로 그러하였느냐?”
“아닙니다.”
그때 음식이 없이 햇볕이 내리쬐는 중에 소똥을 섞어 먹고 재(齋)에 임하였다.
육군의 말을 듣고 자명한 것이 없자,
곧 부처님 앞에서 이 똥오줌을 토했다.
육군은 부끄러워했고 두 사람은 결(結)과 누(漏)가 다함을 느꼈으며,
돌아가 재가인[白衣] 이 되었다.
두 사람은 얼굴에서 피가 흘러나와 목숨을 마쳐 아비지옥(阿鼻地獄)에 떨어졌다.
재강(齋講)이란 부중(部衆)을 재집(齋集)하여 소의(所宜)를 종습(綜習)한다.
능히 잘 권유하여 성취시키는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
소타라바(小陀羅婆)는 주로 방실(房室)에 서서 초제승(招提僧)을 일으키며,
함께 그 공(功)을 성취했다.
달리 특별히 칭하지는 않는다.
뇌타바라(賴吒婆羅) 비구를 호귀(豪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그는 왕의 종족으로,
사람됨이 총명하고 널리 사물에 통달하였고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좋아했다.
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오셔서 어리석은 이들을 개화한다는 것을 듣고,
곧 기원정사에 가서 법언(法言)을 들었다.
가르침을 듣고 신(神)에 들어 출가하고자 하였다.
돌아와 부모에게 말하였지만 부모가 허락하지 않자,
마음속으로 혼자 말하였다.
“일체 중생이 모두 부모인데,
어찌 두 사람만이 부모이겠는가?”
이와 같이 생각한 뒤에 곧 부처님의 처소에 가서 사문이 되기를 구했다.
부처님께서 물으셨다.
“부모가 허락을 했는가?”
“아닙니다.”
K0973V029P0505c
형이 국왕이었기에,
또 왕에게 말하여 도를 구하고자 하였으나,
왕 또한 허락하지 않았다.
마음속으로 생각하였다.
‘요컨대 방편을 세워 출가하여 도를 구하여야겠다.
부모님은 하나뿐인 아들이 눈앞에서 잠시라도 떠나기를 바라지 않을 것이다.’
의자 하나를 찾아 부모 앞에 앉아 먹지도 마시지도 않고 6일을 보냈다.
부모는 어찌할 줄 모르고 아들이 죽을까 두려웠다.
만약 아들이 죽는다면 죽은 아들을 어찌할 것인가?
마땅히 그를 놓아 주어 도를 구하도록 허락하리라.
아들에게 일러 말하였다.
“지금 너를 놓아 줄 터이니 도를 구하라.
하지만 마땅히 수일 내에 돌아와야 한다.”
부모가 허락하자 곧 부처님의 처소에 이르렀다.
부처님께서 물으셨다.
“너에게 허락하였느냐?”
“허락하였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곧 명해 말하였다.
“잘 왔도다,
비구여.”
손으로 그의 머리를 만지자,
머리칼이 저절로 떨어져,
머리를 깎은 지 7일이 된 사람과 같았다.
가사를 몸에 둘러 곧 사문이 되었다.
그를 위해 4제를 말해 주자 곧 나한이 되었다.
그것은 곧 근본의 요체였기 때문이다.
나아가 집으로 가서 옷을 입고 발우를 든 채 문에 서 있었다.
그때 노비가 쌀을 일어 쌀뜨물을 버리려고 하자 발우를 펴 음식을 찾았다.
노비가 머리를 들어 그를 보자 대가(大家)인 것을 알고 곧 들어가 말하였다.
“낭군(郞君)이 밖에 있습니다.”
부모가 기뻐하며 말했다.
“이 소식을 전한 너를 해방시켜 양인이 되게 하리라.”
나아가 맞이하여 음식을 준비했다.
그러나 아들은 말했다.
“해가 이미 넘어갔기 때문에 마땅히 먹어서는 안 됩니다.”
부모가 말했다.
“오늘 그렇다면 내일 일찍 오라.”
곧 거처로 돌아갔다.
돌아간 뒤에 부모는 모든 여자에게 약속하며 명하였다.
“아들이 내일 온다.
너희들은 잘 단장하고 예쁘게 꾸며 각자 기예를 마음껏 다하여 능히 아들로 하여금 재가인으로 돌아오도록 하라.
그러면 너희들에게 크게 좋을 것이다.”
또 창고 관리인에게 명령하여 모든 보물을 꺼내어 금은 7보를 각각 따로 모아 아들의 뜻이 속세에 다시 젖기를 바랐다.
다음날 식사 때가 되어 발우를 들고 들어와 의자에 나아가 앉았다.
모든 여자들이 교태를 부리고,
K0973V029P0506a
꽃과 향을 던지며,
옷을 흔들고 몸을 꼬았다.
바라(婆羅)가 말하였다.
“모든 자매여,
어찌 수고를 하는가?”
모든 여자들이 생각해 말하였다.
“우리들을 자매라고 한다면,
장차 돌아갈 리가 없다.”
부모에게 일러 말하였다.
“이 보물을 무엇에 쓰려고 합니까?
이것들은 단지 사람을 미혹케 할 뿐입니다.
이것으로 인해 재화(災禍)에 이르는데,
어찌 산과 연못에 버리지 않습니까?”
부모가 간하여 말하였다.
“도덕은 마음에 있는 것인데 어찌 반드시 출가하는가?
질다(質多) 장자는 또한 집에 있으면서 도를 얻었다.”
“집에 있으면서 누(漏)가 다했다는 것은 아직 듣지 못했습니다.
질다가 얻은 것은 단지 한 생에 국한된 것입니다.
어찌 부귀에 만족하겠습니까?”
또 호진미옥(豪珍美玉)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버리는 것이 주는 것과 같았다.
그 까닭에 출가(出家) 제일이라 칭한다.
가전연(迦旃延)이 그 뜻을 잘 분별한다고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장차 법을 찬술하려고 할 때 마음속으로 생각해 말하였다.
“인간은 시끄럽고 혼란해 한결같이 사유하지 못한다.”
그 까닭에 땅 속에서 7일간 숨은 뒤에 대법을 찬집해 마치고 나서 부처님께 바치니,
칭찬해 말하였다.
“훌륭하도다.”
성(聖)이 인가하는 바로 그것으로써 일장(一藏)을 삼는다.
이 뜻은 미묘하여,
외도를 항복시키는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
또 제일이라 칭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세존께서 석시국(釋翅國)에 이르러 한 나무 아래에서 지팡이를 잡고 앉아 있었다.
석종(釋種)이 모두 와서 부처님을 보았다.
“옛적 나와 너는 서로 누구보다도 좋아했다.
지금 뜻은 어떠하냐?”
대답하였다.
“뜻은 세간에 집착하지 않고,
세속에 물들지 않는다.”
범지가 말하였다.
“좋도다.”
이렇게 말한 뒤에 이해하고 떠나갔다.
그 뒤에 모든 비구들은 이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가전연에게 물었다.
“부처님께서는 당신을 변재절리(辯才折理) 해의(解義 제일)이라 칭하는데,
세존께서 범지에게 답한 불염불착(不染不著)이란 그 뜻이 무엇입니까?”
그때 가전연이 곧 그를 위해 해설하였다.
“비구는 마땅히 알아야 한다.
안(眼)은 색을 연하여 통(痛)을 일으키며,
통을 연하여 상(想)을 일으키며,
상을 연하여 내왕(來往)하며,
식을 일으켜 분별함으로써
K0973V029P0506b
염착심(染著心)을 일으킨다.
이에 염착에서 영원히 떠나야 한다.”
모든 비구는 이 말을 듣고 그 뜻이 분명해지는 것 같았다.
가전연은 모든 비구의 뜻이 명료하지 않은 것을 보고,
곧 비유를 인용해 말했다.
“여기에 한 사람이 있는데,
튼튼하고 단단한 것을 구하고자 하면서 도리어 근본을 버리고 지엽을 취한다면,
튼튼하고 단단한 것을 얻을 수 있겠는가?”
“얻지 못합니다.”
“그대들 또한 그와 같다.
부처님께서 여기에 계시는데 도리어 물으니,
어찌 본을 버리고 말을 취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모든 비구는 곧 부처님께 가서 가전연이 이해한 바를 물었다.
“이와 같은 것은 잘 모르겠지만,
이치에 상응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가전연이 말한 바와 같다.
그와 같고 다른 것은 없다.”
이런 인연으로써 또 제일이라 칭하는 것이다.
군두파탄(君頭波歎)을 셈하는 데[行籌]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무릇 셈한다는 것은 사람의 수를 기록하여 성실한지 아니한지를 아는 것이다.
만약 성실하면 그 주(籌)를 받아 곧 그 복을 받지만,
허망하게 받는 자는 죄가 쌓여 점점 커진다.
한어(漢語)로는 주라 하고,
인도 말[天竺] 로는 사라(舍羅)라고 한다.
사라는 또 괴진(壞盡)이라고도 하는데,
복은 곧 죄를 다하는 것이며,
죄는 곧 복을 다하는 것을 말한다.
어떻게 그러한 것을 아는가?
옛날에 아난빈지(阿難邠坻)의 여자가 니건국(尼揵國)에 가고자 하였을 때,
부처님께 괜찮은지 어떤지를 여쭈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그때를 알라.
가면 반드시 이익이 있을 것이다.”
여인은 도착하여 멀리서 부처님께 청하였다.
부처님은 그 뜻을 아시고 곧 말없이 받아들이셨다.
아난에게 명해 말하였다.
“내일 반드시 석마남(釋摩男)의 청을 받을 것이다.”
건치를 울려 대중을 모으고 신통을 행하여 사라(舍羅)를 했다.
그때 상좌 군두는 아직 신통을 얻지 못하여 행주(行籌)를 듣고 청하였다.
“스스로 비루하여 아직 신통을 얻지 못했습니다.
생각해보건대 몸은 여러 대중 가운데 수좌로 있지만,
늙은 여우가 자금산(紫金山)에 있는 것과 같습니다.
진퇴를 생각해 보면 바로 주(籌)를 받고자 해도 통례(通例)가 아닙니다.
받지 않더라도 상좌에 있는 것입니다.
8세의
K0973V029P0506c
사미가 오히려 신통을 얻었는데,
나이가 들었어도 얻은 바가 없습니다.
생각해보건대 이와 같습니다.
어찌 쓸모가 있겠습니까?”
결(結)을 느끼며 주를 받고,
다시 그것을 주는 사이에 확연히 누(漏)가 다하였다.
만약 허망으로써 주를 받는다면 사람 몸에 90만의 모공이 있다.
이것으로써 수를 삼고 받는 것이 없으며,
이와 같은 수가 곧 사람의 몸이다.
만약 정성으로써 받는다면,
곧 가히 누가 다했다는 증거이다.
이것으로써 상좌는 가히 증명을 삼는다.
또 상좌가 되는 까닭은 잘 설법함으로써 여러 사람을 적가(適可)시켜 대중들에게 추천되는 바인 까닭에 상좌가 된다.
이러한 인연으로써 상좌는 수주(受籌) 제일이라 칭한다.
빈두로(賓頭盧)를 능히 외도를 항복시키는 자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비사리성에 질다(質多) 장자가 있었는데,
매번 6사(師)가 스스로를 위대하다고 말하는 것을 근심했다.
가령 ‘구담 사문은 스스로를 존귀하다고 칭한다.
마땅히 그와 기(技)를 견주어야겠다.
만약 그가 하나를 나타내면 나는 둘을 나타내리라’라고 하여 이와 같이 점차로 더하여 32에 이르렀다.
그때 장자는 두루 내외에 청해 승을 공양한 뒤 큰 깃발을 꽂았는데,
높이가 4장 9척이나 되었다.
전단으로 된 발우를 위에 두고,
소리쳐 말하였다.
“손을 뻗어 발우를 잡을 수 있는 자가 곧 제일이다.”
그때 빈두로는 스스로 ‘이제 마땅히 신족을 나타내어 6사 등으로 하여금 말없이 항복케 하리라’고 생각하고,
또 ‘세존께서는 항상 모든 제자에게 신족을 나타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치신다.
만약 지금 나타내지 않는 자는 그가 영원히 죄를 얻을까 두려워하는 것이며,
만약 나타낸다면 아마도 거룩한 가르침을 위배하는 것일 것이다’라고 생각하며 줄곧 고개를 숙였다가 올렸다가 하였다.
그리고 곧 신족을 나타내어 손을 펴 이 전단의 발우를 잡았다.
뛰어올라 허공에서 성을 일곱 바퀴나 돌고,
다시 돌아와 자리에 앉았다.
모든 범지에게 일러 “너희들은 그 둘을 나타내 보라”라고 말했다.
그러자 6사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그때
K0973V029P0507a
반사(半師)라는 대귀장군(大鬼將軍)이 6사에게 말하였다.
“빨리 그 둘을 나타내라.”
그때 6사의 무리들은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러므로 이로써 빈두로가 외도를 항복시키는 데 가장 제일임을 안다고 말하는 것이다.
참(讖) 비구를 병을 돌보는 데[瞻病]
제일이라고 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그때 기타정사(祇陀精舍)에 어떤 비구가 심한 질병으로 위독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침상에 누워 있었기 때문에 등 아래에서는 벌레가 기어 나왔고,
온종일 괴로움을 견디지 못해 울부짖었다.
부처님과 모든 비구들은 곧 그 방으로 가서 이 비구가 이와 같이 위독한 것을 보고 물었다.
“너를 본 사람이 있는가?”
“없습니다.”
또 물었다.
“너는 이전에 모름지기 다른 병을 돌본 적이 있느냐?”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다른 병을 돌보지 않았는데,
어찌 사람이 돌봐주기를 바라는가?”
그때 여래께서는 승가리를 접어 몸소 손으로 문지르셨다.
그러자 씻은 듯이 완치되었다.
그때 제석천이 또한 와서 도왔다.
세존께서 병자를 바라보시자 이때 병든 비구는 세존의 은혜를 입고 완치되었다.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에게 이르셨다.
“지금 이후로 만약 병자가 있으면,
마땅히 서로 돌보아야 한다.”
그때 세존께서 돌아보시며 모든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항상 병을 잘 돌보는 자는 누구인가?
오직 참 비구만이 있다.
참 비구는 항상 다섯 가지 일로써 병자를 돌본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좋은 약을 분별하는 것이며,
게으르지 않고 일찍 일어나고 늦게 눕는 것이며,
항상 기쁘게 말하며 수면을 적게 하는 것이며,
법으로써 공양하고 음식을 탐욕하지 않는 것이며,
능히 맡아 병자를 위해 설법하는 것이다.
이것을 참 비구가 5법으로써 병자를 돌본다고 하는 것이다.
이로써 일찍이 병이 낫지 않은 자가 없었다.
왜냐하면 이 비구는 곧 전생에 500세 동안 의사가 되어 약을 잘 짓고,
소리를 듣고 얼굴을 관찰하여 병의 근원을 알았으며,
더불어 네 가지로써 병자를 돌보았기 때문이다.”
K0973V029P0507b
이러한 인연으로써 참 비구를 병을 돌보는 데 제일이라 한다.
붕기사(朋耆奢) 비구를 능히 게송을 짓는 데에 제일이라고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가 전생에 장자의 아들이었을 때,
그 사람됨이 나면서부터 재주가 있고 총명하여 사물을 대하면 게송으로 찬양했다.
나아가 유행할 때에,
한 기가(技家)의 여인을 만났다.
용모가 단정한 것이 세상에 드물었다.
그녀를 보고 마음이 동해 그녀를 취하고자 하여 집에 돌아와 부모에게 여쭈어 말하였다.
“부모님,
제가 장가 들 여자를 찾았습니다.”
부모는 기뻐하지 않았다.
“너는 족성자(族姓子)인데,
어떻게 뜻을 바꿔 선인의 가풍을 헐려고 하느냐?”
그 아들의 뜻이 굳세어 거듭 일러 말하였다.
“만약 허락하지 않는다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습니다.”
부모는 자식이 말하는 것을 보고,
“더 이상 막지 않겠다”라고 한 뒤,
곧 “너의 뜻을 따르겠다.
우리가 알 바 아니다”라고 말했다.
곧 사람을 보내 여인의 집안에 대해 물었다.
여인의 집안은 기예[技] 의 집안으로,
오직 기예를 우선으로 했다.
사신에게 말하기를 “그대의 재산을 탐하지 않겠다.
오직 능히 갖가지 기예를 겸비한 자로서 서로 어울리고자 한다고 전하여라”라고 했다.
붕기는 그것을 전해 듣고 곧 기공(技工)에게 가서 갖가지 기예를 배웠다.
그리하여 몇 십일 지나지 않아 갖가지 기예를 겸비했다.
또다시 사람을 보내 말하였다.
“배워야 할 것을 겸비했다.
곧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허락하라.”
주인이 대답하였다.
“만약 기예를 겸비했다면 마땅히 왕의 시험에 나아가야 한다.”
그때가 마침 시절이라 왕은 많은 기예를 가진 사람들을 모아 널리 예술을 시험해 가장 뛰어난 자에게는 금 천 냥을 내렸다.
왕도 또한 이 여인의 묘함을 듣고 궁 안에 들이고자 하였다.
그 기법을 시험하고,
당(幢)에 오르는 것을 최고로 삼았다.
당을 세웠는데,
높이가 4장 9척이며,
그 아래에는 도검(刀劍)을 두었다.
칼날을 모두 위로 향하게 하였으며,
아주 좁은 공간에 발을 둘 수 있게 하였다.
그때 붕기는 당에 올랐다가 상공(上空)을 일곱 바퀴나 선회하고 땅에 내렸다.
왕은 여인을 잃을까 두려워 짐짓 보지 않는 척 했다.
사람들이 모두 묘하다고 말했지만,
왕은 말했다.
“보지 못했다.
참으로 묘하다면,
다시 한 번 그것을 해라.”
붕기는 생각해 말하였다.
K0973V029P0507c
“만약 왕의 말을 따르지 않는다면,
반드시 이 여인을 잃을 것이다.”
하나로 생각을 모으고자 하였다.
붕기는 죽음을 무릅쓰고 다시 올라가 당두(幢頭)에 이르렀다.
뒤돌아 여인의 얼굴을 보며 마음속으로 생각하였다.
‘어찌하여 이 여인은 앉아 있고,
나는 이런 곤경에 빠져 있는가?’
마음이 두려워지며,
몸은 떨리고 스스로 온전하지 않음을 걱정했다.
‘여인은 허망한데 무엇 때문에 이런 일을 하고 있나?’
부처님께서는 이 사람이 반드시 제도되어야 하고,
만약 구하지 않으면 마땅히 3도(塗)에 떨어질 것을 아시고,
목련에게 일러 말하였다.
“너는 신족으로써 그의 위급함을 구하라.”
목련은 가르침을 받들어 곧 가서 변화를 나타내 허공에서 결가부좌를 하고,
또 당 아래에 7보로 된 계단을 나타냈다.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았지만,
오직 붕기에게만 보였다.
서서히 계단을 일곱 바퀴 돈 뒤에 내려왔다.
신력에 의해 안은 편안했고,
밖은 위험했다.
왕과 많은 사람들은 아주 기이하게 생각했다.
왕은 손수 여인을 이끌어 붕기에게 가게 했다.
붕기는 말하였다.
“이 허망한 물건은 쓸모가 없습니다.
세상 사람을 속이며,
진실을 미혹케 합니다.
나라가 망하고 집이 파산하는 것도 그것에 의하지 않음이 없습니다.”
그리고 목련을 따라 부처님께 나아갔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잘 왔도다,
비구여.”
그리하여 붕기는 곧 사문이 되었고,
그를 위해 4제를 말하자 곧 응진(應眞)을 얻었다.
기쁜 감정을 말로 나타내고,
곧 게송을 지어 세존을 찬양하였다.
청정 15일에
오백 비구 모였네.
이미 모든 결사(結使)를 끊고
선인은 더 이상 배움을 받지 않네.
마치 전륜왕과 같이
여러 신하가 두루 감싸고
사해(四海)와 땅
다스리지 않는 곳 없네.
사람을 항복시키는 것도 이와 같이
도사는 위가 없고
장차 모든 성문을 보호하고
삼명(三明)으로 결성(結性)을 깨트리네.
일체 세존의 자식에게
티끌만큼의 더러움도 없고
이미 애욕의 그물을 없앴으며
지금 별 속의 달에게 예배를 올리네.
이러한 인연으로 붕기사는 게송을 잘 지어
K0973V029P0508a
여래 공덕을 찬양하는 데 제일이라 칭한다.
구치라(拘絺羅)를 4변(辯)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모든 성문은 4변을 반드시 구족하고 있지 않다.
더러 법변(法辯)은 있지만 의변(義辯)은 없으며,
더러 의변은 있지만 법변은 없고,
더러 응변(應辯)은 있지만 사변(辭辯)은 없고,
더러 사변은 있지만 응변은 없다.
구치라는 남김없이 이 4변을 모두 갖추었다.
사리불이나 가전연도 4변이 있지만 최고라고 칭하지 않는다.
신자는 스스로 지혜로써 으뜸을 삼으며,
가전연은 스스로 찬집(撰集)하는 것으로써 으뜸을 삼는다.
그 까닭에 각각 4변으로 칭하지 않는 것이다.
비록 4변이 있다 하더라도 구치라에 미치지 못한다.
구치라가 단지 한 구(句)의 뜻을 밝히는 데 7일이 걸려도 다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4변이야 어찌 헤아릴 수 있겠는가?
이러한 일로 4변 제일이라 한다.
난제(難提) 비구를 걸식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다른 비구들은 걸식을 하더라도 더러 계율을 구족하지 않으며,
더러 탐심이 있으며,
더러 좌우를 돌아보고 마음이 한결같지 않으며,
더러 추위와 더위를 피한다.
그러나 이 비구는 마땅히 걸식할 때에 일체 그러한 것이 없이 걸식하는 데 온 정신을 다하기 때문에 보시하는 자의 복이 매우 크다.
이제 그 까닭에 비유를 인용하여 그 대소를 견준다.
어떤 사람이 활 쏘는 법에 대해 물었다.
“어떤 사람은 100보 떨어진 곳에 걸린 털을 쏘고,
어떤 사람은 땅을 쏘아 먼지를 내는데 이 둘 중에 어느 것이 더 어려운가?”
“털을 쏘는 쪽이 더 어렵다.
비록 쏘더라도 땅에 떨어지지 않으니,
이것은 말로 다할 수 없다.”
만약 걸식하는 자에게 보시하고 또 만약 대중 스님들에게 보시한다면 어느 것이 더 위대한가?
진정으로 아련(阿練)에 보시하는 것은 비유 가운데 털을 쏘는 것과 같다.
보시하더라도 진실을 얻지 못하는 것은 허공을 쏘는 것과 같다.
그 일이 비록 어렵다 하더라도 득이 있고 실이 있다.
화살이 땅에 닿는다는 것은 대중 스님들에게 보시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털을 비록
K0973V029P0508b
열심히 쏘아도 비켜가는 것이 많다.
땅을 쏘는 것은 쉽다 하더라도 일찍이 땅을 잃은 적은 없다.
복전의 땅이 두터운 까닭에 증감이 없다.
아련은 정밀함과 거칠음이 있는 까닭에 득실이 있다.
난제는 정밀함을 얻은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
시라(施羅)를 일좌일식(一坐一食)이라 칭하는 까닭은,
이것은 두타(頭陀)의 일행을 말한다.
무릇 아련법은 혹은 걸식하고,
혹은 나무 밑에 앉고,
혹은 혼자서 머무는 것이다.
지금 이 일좌 일식이란 일찍 일어나서부터 정오에 이르기까지 만약 단월이 식사를 보시하면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한 곳에 앉아서 먹는 것이다.
만약 음식이 배부르지 않았고,
앉아서 움직이지 않았으면 식사를 더할 수 있다.
만약 일어났다면 다시 식사할 수 없다.
항상 한 곳에서 먹고 떠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라를 제일이라 칭한다.
금비라(金毘羅) 비구를 말하는 까닭은,
항상 일곱 집에 걸식을 가며 일곱 집을 넘기지 않기 때문이다.
왜 그런가 하면 일곱에 한정한다고 서원을 세웠기 때문이다.
걸식할 때에는 복으로써 중생을 제도하고자 하며,
한결같은 마음으로 도를 생각하며,
탐심의 생각이 없다.
만약 좋고 나쁜 것을 얻더라도 그것을 늘리거나 줄이지 않는다.
차례에 따라 걸식하며,
가난한 집과 부유한 집을 가리지 않는다.
만약 한 집,
두 집에서 음식을 얻었을 때,
보시하는 사람이 있어서 충분하면 곧 그치고,
부족하면 더 받는다.
만약 일곱 집에 이르렀어도 음식을 얻지 못하면,
다시 거처로 돌아와 사유하고 도를 닦으며,
내일 마땅히 어느 집에 가고 어느 집에는 가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는다.
일체 분별의 생각이 없는 까닭에 칠가사문(七家沙門)이라 부른다.
돌아와 곧 정좌(靜坐)하고 마음을 다스려 도에 머물게 한다.
따라서 금비라를 일곱 집에 걸식하는 데 제일이라 한다.
견뢰(堅牢) 비구는 항상 산이나 물가나 조용한 곳에 머무는 것으로써 행을 삼으며,
난제 비구는 항상 걸식하여 참고 견디는 것으로써 행을 삼으며,
K0973V029P0508c
금비라 비구는 일곱 집을 걸식하는 것으로써 행을 삼으며,
시라는 한 곳에서 식사하는 것으로써 행을 삼고 12두타에 각각 하나씩 행위를 하며,
부미(浮彌) 비구는 3의(衣)를 잘 지켜 식식(食息)을 떠나지 않는다.
혹은 말하기를 “3의를 짓는 것은 법륜을 세 번 굴리는 까닭이다”라고 한다.
혹은 3세(世)라고 하고,
혹은 3시(時)라고 하는 까닭에 3의를 설치한다고 한다.
곧 겨울에는 두꺼운 것을 입고,
여름에는 가벼운 것,
봄ㆍ가을에는 중간의 것을 입는 것은 이 3시 때문인 까닭이며,
곧 3의를 갖추는 것이다.
두꺼운 것은 5조(條)이며,
중간 것은 7조,
가벼운 것은 15조이다.
만약 아주 추울 때에는 3의를 껴입어 추위를 막는다.
혹은 말하기를 “모기나 등에 때문에 3의를 설치한다”라고 한다.
이러한 인연 때문에 항상 지참하고 잊지 않는다.
따라서 제일이라고 한다.
바차(婆差) 비구를 노좌(露坐)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본래 집에 있었을 때는 집으로 인해 항상 근심이 생겼지만,
출가하여 도를 구하고 나서는 항상 밖에 나와 앉았다.
만약 방에 들어가면 숨이 막히는 듯 괴로워했다.
마치 손으로 입을 막는 것 같았다.
따라서 항상 밖에 나와 앉아 사유하고 도를 닦았다.
그런 뒤에는 신체가 공기와 조화하여 숨이 잘 통하고,
도를 행하는 데 장애가 없었다.
이러한 인연으로 바차를 노좌(露坐) 제일이라 칭한다.
호의이월(狐疑離越)을 항상 나무 아래에 있다고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범부지(凡夫地)에 있으면서 선정을 구하고자 하여 나무 아래 머물러 뜻을 헤아리며 그럼으로써 박결(縛結)을 없앴다.
다른 비구들 또한 나무 아래에서 좌선을 하지만 그렇게 칭하지 않는 이유는 한 번 듣고 오로지 전념하여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비구는 한 번 부처님의 가르침을 들으면 곧 능히 이행해 뜻을 한결같이 하고 버리지 않았다.
6년이 되어 결(結)이 다했다.
앞의 이월은 선정을 즐기며,
행하고 멈춤이 다르지 않으며,
즐겨 그 일을 배우는 데 뛰어난 까닭에 각기 제일이라 칭한다.
타다색(陀多索) 비구를 공(空)을 즐기는 데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K0973V029P0509a
방에 들어가면 내공(內空)을 알고,
밖으로 나오면 외공을 안다.
내공은 식(識)에 비유되고,
외공은 신(身)에 비유된다.
방에 들어가면 식공(識空)에 통달하고,
밖으로 나가면 신공(身空)을 알아 이미 내외의 공을 통달했다.
모든 법도 이와 같다.
이 비구는 공(空)의 가르침을 말하는 것을 듣고 마음속으로 생각하지만,
방에 들어가면 공을 보고 곧 신식(身識)을 통달한다.
다른 비구들은 결(結)이 다한 뒤에 공을 통달한다.
공은 마음으로 잡기 어렵다.
그가 먼저 얻은 것을 귀히 여기는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
니바(尼婆) 비구를 5납(納)에 있어 뛰어나다고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몸의 더러운 것 36가지를 관하여 가히 탐하거나 귀하게 여기는 것이 없었다.
이 몸은 천하고 싫은 것인 까닭에 이 몸의 더러운 것을 천하게 생각해 스스로 막았다.
혹은 설하여 말하기를,
“무릇 옷에 가히 친근한 자가 있으며,
친근하지 않은 자가 있다.
누가 가히 친근한 자인가 하면,
나쁜 옷을 입고 사람을 부끄럽게 하고 스스로도 부끄러워하는 것,
이것이 가히 친근한 것이다.
좋은 옷을 입고 사람으로 하여금 스스로 허황되게 하는 것,
이것은 가히 친근하지 못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해진 옷을 입어 행을 돕기 위해 5납을 입었다.
이 비구는 능히 내외의 상(相)을 잘 견주는 까닭에 제일이라 칭한다.
우다라(優多羅) 비구를 항상 무덤 사이에서 즐기는 자라고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아난의 제자이다.
선사(先師)가 도를 얻고 마음으로 생각해 말하였다.
“이 몸은 항상 변하여 어느 곳에서나 바뀌지 않는 곳이 없다.
천상에 있을 때 의복은 자연스러웠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사람 가운데 있을 때에는 전륜왕이 되어 7보가 따랐지만,
또한 없어졌다.
혹은 축생으로 있을 때는 항상 풀과 멧대추나무 열매를 먹었지만,
또한 지나갔다.
만약 아귀로 있었으면 녹은 쇠를 음식으로 먹었을 것이다.
혹은 지옥에 있었으면 도검(刀劍)으로 고통을 받겠지만,
이 모든 죄의 형상은 모두 지나갔다.
지금 사람 몸을 얻어 이것들을 모두 마치고 고금에 귀한 바 이것들을 모두 버린다.
환영과 같은 것으로 하나도 가히 탐할 것이 없다.
K0973V029P0509b
모두 버려야 한다.”
곧 무덤 사이에 머물렀다.
또 생각해 말하였다.
“실로 나무 아래나 산,
물가에 머물고자 하는 것은 모든 중생이 탐하는 바이고,
오직 무덤 사이에 있는 것은 사람이 즐기지 않는 바이니,
이로써 그곳에 머문다.
무덤 사이에서 즐기는 것은 오직 귀신뿐이며,
더불어 여우나 까마귀 등의 무리가 있다.
마땅히 자삼매(慈三昧)에 들어감으로써 그 부류를 제도하여야 한다.”
이러한 까닭에 또 무덤 사이에 머물렀다.
이러한 인연으로 항상 무덤 사이에 머물고 사람들 사이에는 처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일이라 한다.
노혜녕(盧醯甯) 비구를 항상 풀 자리에 앉는 데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항상 풀 자리에 앉아 애심(愛心)을 없앴다.
무엇이 애를 없애는 것인가?
비록 금상옥침(金床玉枕)이라 하더라도 일체 애착이 없는 것이다.
혹은 또 말한다.
“만약 묘한 자리[妙座] 를 보시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또한 풀 자리를 보시하는 것과 다름이 없는 것이다.
애심이 이미 다했으므로 모든 결(結)도 다했다.
곧 손으로 풀을 집고 풀을 향해 예를 올린다.”
또 어떤 사람이 물어 말하였다.
“어찌하여 풀을 향해 예를 올리느냐?”
“나는 이 풀로 인해 허황된 마음이 없어졌다.
도를 얻는 것도 이것에 의한다.
곧 이것은 나의 스승이다.
따라서 향하여 예배할 뿐이다.
500의 원숭이가 천상에 태어났으며,
또 천의 문다라화(文陀羅花)로 죽은 시체에 뿌렸다.
시체로 인해 천에 태어났으며,
그런 까닭에 와서 꽃을 뿌린 것이다.”
무릇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한다.
이러한 인연으로 풀 자리에 앉는 것이 제일이라 칭한다.
우겸마(優鉗摩) 비구를,
사람에게 말하지 않고 땅을 보고서 가는 데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항상 입이 아파 그것을 고치고자 하였다.
스스로 생각하여 말하였다.
“실로 이 입에 의해 천인 가운데 태어나며,
3도의 지옥에서 신음하고,
5도에 빠져 고통이 한량없다.
나는 지금 마땅히 모백태자(慕魄太子)와 같이 맹세하여 결코 말하지 않으리라.
4과(過)와 3앙(殃)이 어디에서 생기겠는가?”
곧 말하지 않고 오로지 보며
K0973V029P0509c
행했다.
부처님은 그 능력을 기특하게 여겨 매번 모든 비구에게 그 덕을 칭찬했다.
아난에게 일러 말하였다.
“이 비구와 같이 마땅히 식록(識錄)이 있고,
그럼으로써 와서 기록하여야 한다.”
이 인연으로써 제일이라 칭한다.
일심(一心) 비구를 삼매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옛적에 정을 배워 거칠음[麤] 을 닦아 정밀함[精] 에 이르렀다.
지금 정공(定功)이 이미 확립되어 행하는 것이 유진(遊塵)과 같았다.
앉더라도 생각을 잊었으며,
생각을 잊어도 이치에 족하였다.
비유하자면,
마치 어떤 사람이 백 가지 맛의 음식을 먹어 그 뜻이 충족되어 다시 먹을 생각이 없는 것과 같다.
비록 다시 걸어가고,
나아가고,
멈추더라도 대개 감(感)한 후에 응하고 아뢴 후에 행동할 따름이었다.
정에 의거해 말을 한 까닭에 앉고 일어나고 걸으며 삼매에 드는 데 제일이라 한다.
담마류지(曇摩留支)를 멀리 유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데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에는 연유가 있다.
부처님께서 세상에 계실 때에 한 장자가 있어 이름을 담마류지라 했다.
부처님 처소에 와서 예배하고 나서 서로 말을 나눴다.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담마류지여,
헤어지고 나서 아주 오랜만에 서로 보는구나.”
어떤 사람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상합니다.
어찌하여 헤어져서 오랜만에 왔다고 말을 하십니까?
세존께서 답하셨다.
“너는 그것이 알고 싶으냐?”
“알고 싶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옛날 아승기겁 때에 세상에 한 부처님이 계셨는데 이름을 정광(定光)이라 하였다.
나는 그때 범지로서 이름은 초술(超述)이라 하였다.
그때 정광불이 성에 들어오시고자 하였는데,
나는 중간에서 서로 만났다.
부처님의 광명의 모습이 빛나는 것을 보고 곧 탄식해 말하기를 ‘세존의 빛나는 모습은 밝기가 일월보다 낫다.
세존의 덕은 곧 그 둘보다도 뛰어나다.
세존은 마음이 인자한 부모보다도 뛰어나다.
생각건대 형영(形影)으로서 그에게 바칠 것이 없다.
지금이 바로 그때이다.
복전양미(福田良美)에 가히 뿌리를 심어야 한다’ 하고서 그 땅에 진흙이 있는 것을 보고 부처님의 발이 더럽혀지는 것을 걱정해 곧 머리를 풀어
K0973V029P0510a
진흙 위에 펼쳐,
부처님께서 밟고 지나가게 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의 용맹함이 이와 같다.
곧 나중의 아승기겁에 너는 마땅히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문이라 할 것이다.’
그때 그 옆에 한 범지가 있어 곧 성 내는 마음을 일으켜 말했다.
‘이 사람은 축생과 다르지 않다.
다른 사람의 머리칼을 밟고 그 위를 지나간다.’
그로부터 아승기겁에 걸쳐 항상 축생 가운데 태어났다.
또 큰 바다에서는 마갈어(魔竭魚)가 되어,
신장은 7천 유연(由延)이었다.
그때 500의 장사꾼[賈客] 이 있어,
배를 타고 바다에 들어가 보물을 캤다.
그때 이 대어를 만나 배가 흔들리고 장차 그 입으로 들어가려 하였다.
500인은 두려워 각기 외쳐댔다.
그때 가객의 주인이 여러 사람에게 말하였다.
‘지금 세상에 부처님이 계셔 석가문이라 합니다.
위험한 곳에 빠진 사람을 제도하시는데,
이만 한 위험은 없습니다.
우리들은 그 이름을 불러 이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합시다.’
곧 일제히 그 이름을 불렀다.
고기는 부처님의 이름을 듣고 본식(本識)이 아직 남아 있어 곧 스스로 생각하였다.
‘석가문부처님께서 이미 세상에 나셨는데,
내 몸이 어찌 고기 가운데 있는가?’
곧 다시 물속으로 들어갔다.
500의 가객은 안온하게 돌아왔다.
그때 고기는 몸의 반을 모래 위에 내놓고,
먹지도 마시지도 않고 14일을 보내 목숨을 마쳐 장자의 집에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을 담마류지라 하고,
지금 와서 나와 서로 만난 것이다.
이것으로써 그것을 아주 오래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류지는 이 본말을 듣고 곧 바닷가로 향해 시신을 찾았다.
바닷가에 대어의 뼈가 있었지만,
껍질과 살은 다 없어졌다.
곧 옆구리 뼈 부근에 가서 생각하였다.
‘이것은 나의 시신이다.’
곧 꽃을 시신 위에 뿌리고,
나아가 그 옛일을 생각하는데,
홀연히 도를 이루었다.
이 인연으로써 원유(遠遊) 제일이라 칭한다.
가거(迦渠) 비구는 대중을 모아 설법을 하는 데 제일이라고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K0973V029P0510b
이 비구는 말하는 음성이 낭랑하게 울려 가까운 이에게도 멀리 있는 이에게도 잘 들렸다.
따라서 그 음성을 듣기 위해 무수한 대중이 모이고,
곧 그들을 위해 법의 심오한 뜻을 말하기를 “그대들은 마땅히 알아야 한다.
여래가 세상에 나와도 가히 만나기 어렵고,
4제의 감로도 듣기 어렵다.
모든 사람은 때에 이르러 마땅히 진제(眞諦)를 사유하여,
열두 가지 결박을 없애고 가히 열반을 얻어야 한다”라고 했다.
이 비구는 항상 부처님의 교화를 넓혔고,
이로써 항상 교화되지 않은 지역에서 가르쳤다.
이러한 인연으로 대중을 모아 법을 말하는 음성 제일이라 칭한다.
바구라(婆拘羅)를 수명이 최장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옛적에 6만의 부처님을 공양하고,
모든 부처님의 처소에서 항상 자비의 마음을 닦고,
날아다니는 벌레나 기어 다니는 벌레 등 형체와 생명을 지닌 부류에 항상 자민(慈愍)의 생각을 가져 추호도 죽이려는 생각을 갖지 않았다.
이러한 자비의 복으로 인해 지금 그 과보를 얻었다.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나와 같이 오늘 피부와 몸이 청정하여 나에 못지않은 것이 연꽃에 흙탕물이 묻지 않은 것과 같다.
나이 80이지만,
바구라가 160살의 장수를 누린 것만 못하다.
여래는 세상에 따라 중생을 기쁘게 하고자 한다.
그 다름을 나타내지 않는 까닭에 수명이 80이다.
바구라는 숙세의 자심(慈心)의 복을 받은 까닭에 수명이 배가 되는 과보를 받은 것이다.”
또 물었다.
“오직 자비의 마음으로써 이와 같은 수명을 얻었습니까?
아니면 또 다른 것이 있습니까?”
“있다.
옛적에 비바시여래가 세상에 출현하였을 때,
16만 8천의 비구가 유행ㆍ교화하였다.
그때 한 장자가 밝은 데 머물며 굳게 닦고 품성이 성실하며 음주를 좋아하지 않았다.
어느 세절회(歲節會)에 서로 조금씩 권면하여,
조금이지만 술 먹은 자가 많았다.
문득 술김에 세존에게 가서 예배하고 여쭙고 나서 곧 부처님과 모든 제자에게 말했다.
‘원컨대 저의
K0973V029P0510c
90일간의 청을 받으소서.
질병에 걸린 비구는 모두 제 집에 와서 약을 받으십시오.
그리고 필요한 물건도 모두 와서 가져가십시오.’
이렇게 말하고 나서 집으로 돌아와 집사람에게 당부하였다.
‘나는 이미 부처님과 모든 제자를 청하였고 4사(事)를 공양할 것이니 모두 마땅히 잘 준비하여야 한다.’
당부하고 나서 곧 수면에 들어 한참 잔 뒤 다시 깨어나니,
그 부인이 일러 말하였다.
‘당신은 아까 엄중하게 공양을 준비하라 당부하더니만 지금은 가만히 있으니,
어찌 그러합니까?’
장자가 놀라 말하였다.
‘내가 아까 무슨 말을 했는가?’
부인이 말하였다.
‘당신이 잠들지 않았을 때,
말한 것이 없습니까?’
‘어떤 말을 했는지 생각나지 않소.’
부인이 말하였다.
‘당신은 앞서 나는 부처님과 모든 제자를 청해 90일간 부족한 것을 공양한다고 말하지 않았습니까?’
장자는 생각하였다.
‘술이 사람을 잘못하게 하여 이러한 상태에 이르렀으니,
부끄럽구나.
곧 마땅히 청해야겠다.’
다음날 날이 밝아 방에 향을 피우고 멀리서 세존을 청했다.
한 비구가 와서 약을 구했다.
장자가 물었다.
‘어디가 아픕니까?’
‘머리가 아픕니다.’
장자가 말하였다.
‘이것은 가슴 속의 물이 올라와 그 머리를 공격하여 머리가 아픈 것입니다.’
그런 뒤 가리륵과(呵梨勒果)를 하나 주면서,
이 약만 먹으면 이 질환을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비구가 약을 먹자 아픔이 사라져 병은 곧 치유되었다.
이 복의 과보로 인해 91겁에 아직 병환이 없었다.
장자의 집에 태어나 나이가 80에 이르러 출가하여 도를 배워 80년이 지났다.
도속(道俗)을 합쳐 160이었다.
재가에 있을 때,
소에서 떨어져 두통이 있었지만 곧 치유되었다.
그로부터 항상 질환이 없고,
이러한 까닭에 바구라는 장수 제일이다.”
백 년의 수명에 더욱이 60을 더하는 것은 이 사람의 5탁(濁) 수명이 가장 기특(奇特)한 것이다.
그것은 비유하면 냄새 나고 더러운 가운데서
K0973V029P0511a
생겨난 연꽃과 같다.
아난이 바구라에게 물었다.
“어찌하여 사람을 위해 법을 말하지 않는가?
4변(辯)이 없고,
지혜가 없기 때문에 설법을 하지 않는 것인가?”
바구라가 답하였다.
“제가 4변과 첩질(捷疾)의 지혜에서 부족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단지 스스로 정(靜)을 즐겨 시끄러운 것을 좋아하지 않는 까닭에 설법하지 않는 것입니다.”
아난이 말하였다.
“바구라 장수(長壽)여,
어찌하여 3방(方)에 태어나지 않는가?”
바구라가 답하였다.
“모든 부처님께서 태어나지 않는 이유는 그곳의 사람은 교화하기 어려운 까닭입니다.
이곳 사람은 이근(利根)이 첩질하고,
극악 용맹하여 도를 취하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이러한 까닭에 옛적의 모든 부처님은 이곳에서 태어나며,
바구라도 마땅히 이곳에서 도를 이룹니다.
그래서 3방에 태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만원자(滿願子)를 설법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세 가지가 있어 제일이라 칭하는 것이다.
다른 비구들도 또한 법을 말하지만 세 가지 특기할 만한 것이 없는 까닭에 제일이라 말하지 않는다.
만원자가 설법할 때에는 먼저 변재로서 묘음(妙音)을 낸다.
그리하여 중생으로 하여금 환희케 하고 모두가 우러러 보게 된다.
다음에 고초(苦楚)의 말로 그 마음을 강렬히 책하여 몸을 떨리고 두렵게 하며 또 구제하기 어려운 생각을 갖게 한다.
끝으로 밝은 지혜인 공무(空無)의 가르침으로,
듣는 자가 번뇌를 벗어나고 깨달음의 지혜를 배양하게 한다.
세존께서 법을 펴실 때 처음과 중간과 끝이 모두 좋은 것과 같이 만원자도 그와 같다.
세 가지가 모두 좋다.
스스로 여래를 버리고 그에 앞설 수 있는 자는 없다.
신자는 스스로 처음부터 중간에 이르기까지 반드시 한 사람을 제도해 도적에 이르게 하리라고 맹세했다.
목련 비구 또한 사람을 제도하기를 맹세해,
4향 가운데 한 단계를 더 나아간 뒤에 식사를 했다.
나머지 비구들도 사람을 제도한다.
그렇지만 만원자에 비하면 백의 하나에도 미치지 못한다.
만원자는 성도에서 열반에 이르기까지
K0973V029P0511b
9만 9천 명을 제도했다.
성문 가운데 사람을 제도하는 것이 가장 많았다.
그런 까닭에 설법제일이라 칭한다.
우바리(優波離)를 지율(持律) 제일이라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옛날 부처님께서 본국에 돌아오셨을 때 부왕의 청을 받았다.
따르는 비구는 마음이 세밀했지만 얼굴에 드러내지 않았다.
그때 왕은 석종 호족의 자제들이 출가하여 비구가 되어 세존을 따라 모시기를 원하여,
곧 모든 석가족에게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렸다.
“그 형제가 두 명 있는 자는 모두 마땅히 한 명은 출가하여 도를 구하라.
만약 명령에 따르지 않는 자는 엄중히 벌하리라.”
그때 석가종의 한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을 면왕(面王)이라 하였다.
석가종 가운데 키가 가장 컸다.
차례에 따라 먼저 머리를 깎아야 했다.
그때 부처님께서 우바리에게 명하여 머리를 깎도록 하시면서 거듭 일러 말씀하셨다.
“이 여러 석가종은 쾌락에 빠져 몸이 연약하니 너는 천천히 가볍게 손을 대어 머리를 깎아라.”
우바리는 곧 손을 몹시 가볍게 하여 붙이지 않았다.
그때 우바리는 또 칼날을 반대로 하여 등 쪽으로 사용하였다.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또 칼의 배 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 말씀하셨다.
“칼을 정수리로부터 깎아 내려가서는 안 된다.”
500제자는 모두 다 이와 같았다.
부처님께서는 우바리에게 “잘 왔다,
비구여”라고 말씀하셨고,
그리하여 곧 사문이 되었으며 부처님께서 계를 주어 아라한이 되었다.
다음에 500석가종의 아들에게 계를 주고,
우바리가 상좌가 되었다.
손으로 500인의 머리를 만져 제자를 삼았다.
계를 받고 나서 다음에 우바리에게 예를 올리고자 하였다.
석가족의 제자는 본래부터 호사함에 빠져 능히 무릎을 꿇지 못했다.
덧붙여 각각의 자제는 말했다.
“이 사람은 우리 집 종인데,
어떠한 연유로 그에게 예배해야 하는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법에는 귀천이 없으며,
먼저 도달한 자가 형이 되며,
나중 된 자는 아우가 된다.
힘써 받들어 그침이 없어야 하며,
뜻을 다스리는 것으로 예를 삼아야 한다.”
그때 천지가 크게 움직이며,
K0973V029P0511c
모든 천들이 위에서 찬양하며 말하였다.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오늘 모든 석종의 교만함을 항복시켰다.
이 뜻은 어려운 것을 이긴 까닭에 땅이 움직인 것이다.”
마땅히 500의 석종이 도를 구할 때,
또한 9만 9천 명이 출가하여 도를 구했다.
우바리는 부처님으로부터 계를 받은 이래 추호도 계를 범한 적이 없었다.
이 인연으로써 제일이라 칭한다.
단지 이것 외에 다른 것이 있는가?
기원정사 북쪽에 한 비구가 있었다.
병을 얻어 6년이 지나도 낫지 않았다.
그때 우바리는 그 비구에게 가서 물었다.
“어디가 아픈가?
만약 필요한 것이 있으면 곧 말하라.”
“내가 필요한 것은 말할 수 없다.”
“너는 어떠한 물건을 필요로 하는가?
만약에 여기에 없다면 마땅히 사방에서 구할 것이며,
세간에 없는 것이라면 천상에서 그것을 구하겠다.”
“내가 구하고자 하는 바는 사위성 가운데 있다.
부처님의 가르침과 어긋나는 까닭에 말할 수 없다.”
“말만 하는 것은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나는 오직 술을 생각할 뿐이다.
다섯 되의 술을 먹을 수 있다면 병은 곧 나을 것이다.”
“잠시 기다려라.
내가 너를 위해 부처님께 여쭈어 보리라.”
가서 부처님께 물었다.
“비구의 병에 모름지기 술이 약이 되는 것이라면,
술을 먹을 수 있는 것입니까?”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제정한 법은 병자를 없애는 것이다.”
우바리는 곧 술을 구해 주어 병을 치료하였고,
거듭 법을 말해 주어 아라한을 얻게 했다.
부처님께서는 우바리를 칭찬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너는 곧 여래에게 이 일을 묻고 병든 비구로 하여금 병을 낫게 하고 도를 얻게 했다.
이 비구가 만약 제도되지 않았다면,
후에 마땅히 3도에 떨어져 그곳에서 가히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너는 곧 장래 비구를 위하여 금법을 말해 가볍고 무거움을 알게 하고 위험에서 벗어나게 하라.
너는 진정 지율자이며,
율장을 너에게 부촉하니,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라.
이 장(藏)은 모든 장 가운데 가장
K0973V029P0512a
안에 있는 것이다.
사미나 재가인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인연으로 또한 제일이라 칭한 것이다.
바가리(婆迦利) 비구가 신해탈(信解脫)을 얻었다고 칭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비구는 오랫동안 병상에 누워 6년이 지났다.
그를 본 모든 사람이 그를 버리고 떠나갔다.
비구는 스스로 생각하였다.
‘병을 앓은 지 오래되었다.
보는 것도 지치고,
몹시 싫어할 것이다.
또 여래도 애민을 보이지 않는다.
마땅히 자해(自害)하여 고통을 없애야겠다.’
곧 칼을 찾아,
칼을 향해 말하였다.
“마땅히 나를 죽이고,
또한 번뇌도 끊어주겠는가?”
말을 마치고 나서 칼로 목을 찔렀다.
바로 목구멍 반쯤에 이르러 이미 누(漏)가 다하였다.
머리가 끊어지는 데 이르러서는 열반을 취했다.
그때 대지가 진동하였고,
파순(波旬)은 그것을 느꼈다.
파순은 생각하였다.
‘어떠한 징조로 이렇게 진동하는가?’
곧 천안으로 관해 비구가 스스로 자해한 것을 보았다.
그 형신(形神)이 간 곳을 알고자 두루 여러 천을 보았지만 그 신(神)은 보이지 않았다.
또 인간 세계를 보았지만 보이지 않았다.
또 3악도 속을 보았지만 보이지 않았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여러 비구와 함께 그를 화장[耶旬] 하려고 하였다.
시신에서 불이 오르는 것을 보고 파순은 불을 놓아 비구의 신을 찾았지만,
도대체 있는 곳을 알지 못했다.
찾고자 한 까닭은 나아간 곳을 알아 파괴하여 성취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여러 비구는 곧 그를 화장하였다.
부처님께서는 이 비구가 신해탈을 얻은 것을 찬탄하였다.
어떤 이가 물었다.
“무릇 지극한 신념을 가진 자는 목숨을 자연에 맡기며,
오히려 막대기도 잡지 않는데,
어찌 스스로를 방어하겠습니까?
그런데 하물며 스스로를 해치겠습니까?”
답해 말하였다.
“신념으로 칼을 잡은 까닭은 칼이 지혜의 검이 되며,
모든 결(結)을 끊고자 하기 때문이다.
몸은 곧 결의 근본이다.
근본을 부르면 지말이 따르듯,
몸을 끊으면 곧 결이 없어진다.
이로써 칼을 잡은 자는 방해받는 것이 없다.
믿음의 칼을 잡아 의심의 나무를 끊기 때문이다.”
K0973V029P0512b
아래 구절에서 말하는 ‘뜻에는 유예(猶豫)가 없고,
신해탈로부터 무애해탈(無礙解脫)에 이른다’라는 것은 둔(鈍)을 이(利)로 바꾸는 것이다.
이러한 뜻인 까닭에 신해탈 제일이라 칭하는 것이다.
--- 1 역자에 대한 후한(後漢) 시대의 기록이 붙어 있다.
2 고려대장경 판에는 ‘지(坻)’로 되어 있다.
● [pt op tr] fr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