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불교진리와실천

무명 본문

불교용어연구

무명

진리와 가치를 고루고루 2020. 1. 6. 10:33



®

무명
[한문]無明
[팔리]avijjā
[범어]avidyā
[티벳]ma rig pa
[영어]ignorance

인간의 근본적인 무지로서 가장 근본적인 번뇌. 
원시 불교의 경전에서는
4제의 도리에 대한 무지, 
5온이나 12처 등이 무상임을 바르게 알지 못하는 것. 

12인연의 첫째로서 고(苦)를 초래하는 원인. 

여기서 무명은 과거의 번뇌로 간주되고, 
그것이 현재의 고통 상태를 낳는 근본적인 원인을 이루고 있다고 간주된다. 

탐,진,치의 3독(毒) 중에서는 치(癡)에 들어맞는 것으로서 
4제나 연기 등 불교의 도리를 알지 못하는 지적인 번뇌.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는
심소법(心所法)의 대번뇌지법에 포함되고, 
유식 계통의 번뇌설에서는 근본적인 6종의 번뇌에 포함된다. 

번뇌와 무명의 관계에 따라 상응(相應) 무명과 불공(不共) 무명이 있다. 
다른 근본 번뇌와 상응하여 함께 일어나는 것이 상응 무명, 
다른 번뇌와는 무관하게 홀로 발생하여 진리의 이해를 방해하는 것이 불공 무명이다. 

승만경에서 설하는 무명주지(無明住地)의 번뇌는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시초도 없는 번뇌로서 무지의 근원이다. 

대승기신론에서 무명은 마음의 본성에 대한 미망으로서 불각(不覺)이라고 불린다. 
즉 마음의 본성에 상응하지 않고 홀연히 여러 가지 번뇌를 일으키는 것이며, 
이로부터 발생한 번뇌를 지말(枝末) 무명이라고 한다.

[동]치(癡) , 불각(不覺).[opp]반}명(明).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pt op tr]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tistory.com/5710


■ 본 페이지 ID 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무명
http://buddhism007.tistory.com/12349
sfx--dict/무명.txt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다른 페이지에서 붙이기]---

‡무명



Edith Piaf - Marie-Trottoir

Frederic Recrosio - Quand Elle Tonne

Gilbert Becaud - L'indiference

Dani - J'veux Que Tu Reviennes







Lab value 불기2564/01/06/월/11:33



무명은 어리석음이다. 
이것이 한 생명 주체에게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그 주체가 대하는 새계가 생사 생멸이 있는 생사고통의 세계인가. 
아니면 그런 것을 떠난 니르바나의 상태인가가 달라진다. 

본 바탕은 변함이 없고 차별이 없고 생멸 생사를 얻을 수 없다.
그런데 한 주체가 극심한 생사고통을 겪고 생멸이 있다고 여기면서 세상에 임하는 것은 
무명이 근본원인이다. 
이것이 제거되면 그 반대로 일체가 니르바나임을 스스로 파악하고 
니르바나의 상태로 임하게 된다. 

왜 무명 어리석음을 가지면 생멸이 있다고 하게 되는가를 
쉽게 이해하려면 
비닐마술의 사정을 보면 쉽다. 

하나의 비닐에 세모가 그려져 있고 
또 다른 비닐에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다. 
이것을 겹쳐 놓으면 안이 세모인 도너츠 모양이 보이게 된다. 

이 상황에서 자신이 대하는 비닐에는 그런 도너츠모양은 본래 얻을 수 없다고 
잘 파악하고 이해하면 어리석은 것이 아니다. 
그런데 어리석은 이는 그 사정을 그렇게 이해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 비닐에 그런 도너츠가 있다고 여기면서 
매 순간 임하게 된다. 

그런 바탕에서 업을 행하여 
각 비닐 내용이 바뀌어도 역시 앞과 마찬가지 상태로 대하게 된다. 

비유처럼 각 현실 영역에는 생멸이나 생사고통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그 사정을 올바로 관하지 못한 입장에서 현실을 대하면 
생멸이나 생사고통이 그처럼 생생하고 명료하게 현실에 있다고 여기면서 
대하게 된다. 

따라서 그렇게 잘못 여기게 하는 무명 어리석음에 바탕하면 
일체 현실은 생사고통과 관련된다. 

그런데 그런 무명 어리석음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또 그렇지 않다. 

그래서 이것이 생멸 생사고통과 니르바나 상태의 경계점이 된다. 


더 쉽게 비유하면, 
원판에 여러 색을 그려 놓고 돌리면 엉뚱한 모습이 보일 때 
어리석은 이는 그런 내용이 거기에 있따고 여기는 현상과 비슷하다. 

그렇게 어리석은 이가 그런 것이 있다고 여기면서 
그에 바탕해서 온갖 것을 행하고 
그런 상태에서 생사고통을 극심하게 겪는 세계가 바로 욕계다. 
그리고 근본 무명이 제거되지 않으면 이런 욕계의 생사고통을 벗어나지 못한다. 
따라서 욕계 색계무색계 3 계는 결국 이런 순환의 바탕에 있기에 
생사고통을 받는 세계에 넓게 포함된다. 






































































◆vckk2299

◈Lab value 불기2564/01/06/월/11:00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two-women-at-a-couch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Fotky_květů_(06)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essellated_Pavement_Sunrise_Landscape



♡쌍봉사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3926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12349#2299
sfx--dict/무명.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1.txt ☞◆vckk2299
불기2564-01-06
θθ


 



'불교용어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표색  (0) 2020.01.08
무색계계근본번뇌  (0) 2020.01.07
칠재  (0) 2020.01.05
뢰야삼위  (0) 2020.01.04
뢰야삼상  (0) 2020.01.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