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400_T205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632~682) 법상종의 시조. 중국 경조(京兆) 장안 사람. 속성은 울지(尉遲). 자는 홍도(洪道). 17세에 출가, 현장(玄奘)의 제자가 되어 광복사(廣福寺)에 있었다. 23세에 칙선(勅選)에 뽑혀 대승(大僧)이 되고,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현장에게 5천축어를 배웠다. 25세에 경론 번역에 참여, 『성유식론(成唯識論)』 등을 번역하였다. 현장에게 유식(唯識)ㆍ인명학(因明學)을 배우고, 오대산ㆍ태항산에서 지내다가 영순 1년 11월 자은사 역경원(譯經院)에서 나이 51세에 입적함. 세상에서 자은법사(慈恩法師)ㆍ대승기(大乘基)ㆍ영기(靈基)라 하고, 그 교를 자은교(慈恩敎)라 한다. 저서는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ㆍ『대승법원의림장(大乘法苑義林章)』ㆍ『섭대승론초(攝大乘論鈔)』 등 50부가 있다. 그때 사람들이 그를 “백본소주(百本䟽主)” “백본론사(百本論師)”라 불렀다. ⇒<유사어>자은<참조어>자은(慈恩)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1st Karmapa (Düsum Khyenpa) [san-chn]
pṛthagjana-avasthā 凡夫位, 異生位 [san-eng]
śaknomi $ 범어 am I able [pali-chn]
paṭiloma 逆觀 [pal-eng]
aatura $ 팔리어 adj.affected with; sick; deceased. [Eng-Ch-Eng]
TEN DIRECTIONS Ten Directions 十方 the ten directions of space, i.e. the eight points of the compass and the nadir and zenith. There is a Buddha in each direction. [Muller-jpn-Eng]
小乘十八部 ショウジョウジュウハチブ eighteen lesser vehicle schools [Glossary_of_Buddhism-Eng]
PALI☞ See also: Pali Canon. “Indian dialect (derived from Sanskrit) in which the canonical texts of the Theravada are composed.”
“The canonical language of Ceylonese Buddhists, believed to be very similar to the colloquial language spoken by Sakyamuni Buddha.”
[fra-eng]
articulai $ 불어 articulated [chn_eng_soothil]
向彼悔 pratideśanīya 波羅提提舍尼 sin to be confessed before the assembly.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不也,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佛於燃燈佛所, 無有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그렇지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기로는 부 처님이 연등불에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 없나이다.” [玄奘] 作是語已, 具壽善現白佛言: 「世尊, 如我解佛所說義者, 如來昔於然燈如來、應、正等覺所, 無有少法能證阿耨多羅三藐三菩提!」 [義淨] 妙生言: 「如來於然燈佛所, 無法可證而得菩提!」 17-06 एवमुक्ते आयुष्मान् सुभूतिर्भगवन्तमेतदवोचत्- यथाहं भगवतो भाषितस्यार्थमाजानामि, नास्ति स भगवन् कश्चिद्धर्मो यस्तथागतेन दीपंकरस्य तथागतस्यार्हतः सम्यक्संबुद्धस्यान्तिकादनुत्तरां सम्यक्संबोधिमभिसंबुद्धः।
evamukte āyuṣmān subhūtirbhagavantametadavocat | yathāhaṁ bhagavan bhagavato bhāṣitasyārthamājānāmi | nāsti sa bhagavan kaściddharmo yastathāgatena dīpaṁkarasya tathāgatasyārhataḥ samyaksambuddhasyāntikādanuttarāṁ samyaksambodhimabhisambuddhaḥ | 그렇게 말하였을 때 장로인 수보리는 복덕갖춘분에게 이렇게 말씀드렸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실 때 목적하신 것을 알아차린 바에 따르면, 복덕갖춘분이시여!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빛을밝히시며그렇게오신분의、 응당공양올려야될분의、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의 곁에서 위없는 바르고동등한깨달음을 철저히 깨달았다고 할 그 어떤 법도 없습니다.” ▼▷[evamukte] ① evam(ƺ.) + ukte(njp.→ƿ.abso.loc.) → [그렇게、 말해졌을 때] ▼[āyuṣmān] ① āyuṣmān(nj.→ƾ.nom.) → [장로인] ▼[subhūtirbhagavantametadavocat] ① subhūtiḥ(ƾ.nom.) + bhagavantam(ƾ.acc.) + etad(ƺ.) + avocat(aaor.Ⅲ.sg.) → [수보리는、 복덕갖춘분에게、 이렇게、 말씀드렸다.] ▼▷[yathāhaṁ] ① yathā(ƺ.) + aham(pn.Ⅰ.nom.) → [(~함에 따라) 제가] ② yathā(ƺ. in which manner or way, according as, as it is or was; as, as like)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bhagavato] ① bhagavataḥ(ƾ.abso.gen.)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bhāṣitasyārthamājānāmi] ① bhāṣitasya(njp.→ƾ.abso.gen.) + artham(ƾ.acc.) + ājānāmi(pres.Ⅰ.sg.) → [말씀하실 때、 목적을、 압니다.(→아는 바에 따르면,)]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② artha(ƾ. aim, purpose; cause, motive; matter, work; property, money) ② ājñā(9.ǁ. to know, understand, learn, obtain information, ascertain, notice) ▼▷[nāsti] ① nāsti(ƺ.) → [없습니다] ② nāsti(ƺ. 'it is not', nonexistence) ▼[sa] ① saḥ(ƾ.nom.) → [그]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이] ▼[yastathāgatena] ① yaḥ(pn.ƾ.nom.) + tathāgatena(ƾ.ins.) → [(어떠한) 그,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dīpaṁkarasya] ① dīpaṁkarasya(nj.→ƾ.gen.) → [빛을밝히시며] ▼[tathāgatasyārhataḥ] ① tathāgatasya(ƾ.gen.) + arhataḥ(ƾ.gen.) → [그렇게오신분의、 응당공양올려야될분의] ▼[samyaksambuddhasyāntikādanuttarāṁ] ① samyaksambuddhasya(ƾ.gen.) + antikāt(nj.abl.) + anuttarāṁ(nj.→Ʒ.acc.)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의、 곁으로부터、 위없는] ② antika(nj. near, proximate; reaching to the end of, reaching to; lasting till, until) ② anuttara(nj. principal, chief; best, excellent; without a reply, silent, unable to answer) ▼[samyaksambodhimabhisambuddhaḥ] ① samyaksambodhim(Ʒ.acc.) + abhisambuddhaḥ(nj.→ƾ.nom.) → [바르고동등한깨달음을、 철저히 깨달았다고 할.] ② samyaksambodhi(Ʒ.) < samyak(ƺ. rightly) + sam(ƺ. with) + bodhi(ƾ. enlightenment) ② abhisambuddha(p.p.) < abhi(ƺ. towards, into, over, upon) + sambuddha(p.p. wellunderstood; very wise or prudent; wide awake)
070 바라등 의 라 ◐鉢羅登<登甑反>擬<擬異><反>囉<七十>◑pratyaṅgirā// 071 사바보다가라 하가라니 ◐薩嚩部多揭囉<二合>訶迦囉尼<一切神衆作罰七十一>◑Sarva bhūtaㆍnigrahaㆍkarani 072 바라미 댜 체 다 니 ◐波囉微<入>地也<二合>掣<車曳反>陁<輕呼>你<能斷他呪七十二>◑paraㆍvidyāㆍchedani 073 아가 라 밀 투 ◐阿哥<引>囉<輕呼>微哩<入二合>駐<撗死七十三>◑akālaㆍmrityu 074 바리다라야 나가리 ◐波唎怛囉耶<引>那揭唎<救取七十四>◑paritrāyaṇaㆍkarī 075 살바반타나목 사나가리 ◐薩嚩畔陁那乞叉那迦唎<一切縛禁解脫七十五>◑sarvaㆍbandhañaㆍmokshanaㆍkarī// 076 살바도스타 ◐薩嚩突瑟咤<二合除一切惡七十六上>◑sarava dushṭe 077 도사바나니바라니 ◐突莎般那你縛囉尼<惡夢七十七>◑duḥsvapnaㆍnivāraṇi 078 자도라 싣디남 ◐者都囉<引>室底喃<八萬四千衆神><七十八>◑caturㆍaśītīnāṃ 079 가라하사하사라 남 ◐揭囉訶娑訶娑囉<引>喃<七十九>◑grahaㆍsahasrānāṃ
●이른 바 지옥의 괴로움, 아귀의 괴로움, 축생의 괴로움, 눈 먼 괴로움, 귀 먹은 괴로움, 벙어리의 괴로움, 원망하고 미워하는 사람끼리 서로 만나는 괴로움, 사랑하는 사람끼리 서로 헤어지는 괴로움, 아무리 원해도 얻지 못하는 괴로움, 다섯 쌓임이 치성한 괴로움, 크고 작은 횡액의 괴로움들을 동시에 해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