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79_T027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044▲ 司史疒生石 ■ 사사상생석 44 ( 맡을 사 )(사기 사 )( 병들어 기댈 상 / 병들어 기댈 녁 / 역 )( 날 생 )( 돌 석/ 섬 석 )
057▲ 戌囟臣羊亦 ■ 술신신양역 57 ( 개 술 / 열한째 지지 술) --CF-- 戍 수자리 수 ( 정수리 신 ) --CF-- 囱 창 창, 바쁠 총(신하 신 )( 양 양 / 상서( 祥瑞)롭다 배회( 徘徊)하다 양 )(또 역 / 클 혁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Kensho [san-chn]
yogôdvahana 濟, 給濟, 與 [san-eng]
vādayati $ 범어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pali-chn]
musā-vāda 妄語 [pal-eng]
gopetu $ 팔리어 m.protector. [Eng-Ch-Eng]
四法界 The four dharmadha^tus, or four realms of reality as explicated by the masters of the Huayan school: (1) shi fajie 事法界 the realm of individual phenomena; (2) li fajie 理法界 the realm of the one principle (/su^nyata^); (3) lishi wuai fajie 理事無礙法界 the realm of non-obstruction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a; (4) shishi wuai fajie 事事無礙法界 the realm of non-obstruction between phenomena. [Muller-jpn-Eng]
石榴 ジャクロ pomegranate [Glossary_of_Buddhism-Eng]
ALAYA VIJNANA☞ See: Alaya Consciousness.
[fra-eng]
l'ando $ 불어 the ando [chn_eng_soothil]
記別 記莂; 授別 To record and differentiate, the Buddha's foretelling of the future of his disciples to Buddhahood, and to their respective Buddha-kalpas Buddha-realms, titles, etc.; see the 記別經 and 和伽羅那 Vyākaraṇa, predictions, one of the twelve divisions of the Cano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以要言之, 是經有不可思議不可稱量無邊功德! 수보리야, 중요한 뜻만을 들어서 말하건대 이 경에는 말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측량할 수도 없는 많은 공덕이 있다. [玄奘] 复次, 善现, 如是法门不可思议、不可称量! 应当希冀不可思议所感异熟! [義淨] 妙生, 是经有不可思议、不可称量无边功德! 15-03 अपि तु खलु पुनः सुभूते अचिन्त्योऽतुल्योऽयं धर्मपर्यायः। api tu khalu punaḥ subhūte acintyo'tulyo'yam dharmaparyāyaḥ | “그런데 참으로 또한, 수보리여! 이 법문은 생각되어질 수 없으며 비교되어질 수 없다. ▼▷[api] ① api(ƺ.) → [또] ▼[tu] ① tu(ƺ.) → [그런데]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cintyo'tulyo'yam] ① acintyaḥ(njp.→ƾ.nom.) + atulyaḥ(njp.→ƾ.nom.) + ayam(pn.ƾ.nom.) → [생각되어질 수 없으며、 비교되어질 수 없다、 이] ② cintya(pass.pot.p.) < * + ya(pass.pot.p.) < cint(10.ǁ. to think, have a thought or idea) ② tulya(nj. equal to, similar) < tul(1.ǁ.|10.dž. to weigh, measure; to compare, equal) ▼[dharmaparyāyaḥ] ① dharma+paryāyaḥ(ƾ.nom.) → [법문은.]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