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마하승기율
- 대승기신론
- 반야심경
- 금강삼매경론
- 대지도론
- 가섭결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마명
- 증일아함경
- 정법화경
- 수능엄경
- 백유경
- 잡아함경
- 원각경
- 유마힐소설경
- Japan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대반열반경
- 종경록
- 방광반야경
- 유가사지론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방광불화엄경
- 유마경
- 묘법연화경
- 중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무량의경
- 장아함경
- 아미타불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도세품경_K0103_T0292_004 본문
『도세품경』
K0103
T0292
제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해제[있는경우]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도세품경_K0103_T0292 핵심요약
♣0103-004♧
『도세품경』
제4권
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원문번역문
도세품경
해제보기
도세품경 제4권
서진 축법호 한역
송성수 번역
■ 보지(普智)보살이 다시 보현(普賢)에게 물었다.
“무엇을 몸의 업[身業]라고 하고 무엇을 체(體)라고 하며,
무엇을 언사(言辭)라 하고 무엇을 입이 청정하다[口淨] 하며,
무엇을 잘 청정하다[善淸淨] 하며,
무엇을 수호하면서 잘 거두어 준다[所護而善攝] 하고
무엇을 보살의 닦을 바의 장훈(章訓)을 언제나 즐거이 중생 세계에 권한다 하며,
무엇을 보살의 평등한 마음[等心]이라 하고 무엇을 뜻을 일으킨다[發意] 하며,
무엇을 마음이 두루하다[心遍]고 합니까?
무엇을 모든 감관[根]이라 하고 무엇을 지성(志性)이라 하며,
무엇을 성품이 온화하다[性和] 하고 무엇을 때에 응한다[應時] 하며,
무엇을 믿음에 응한다[應信] 하고 무엇을 믿음으로 세계에 들어간다[信入世界] 하며,
무엇을 믿음으로 중생계에 들어간다[信入衆生界] 하고 무엇을 그곳에 머무른다[居止] 하며,
무엇을 일으킨다[興發]하고 무엇을 받들어 행한다[奉行] 합니까?
무엇을 성취(成就)한다 하고 무엇을 부처님 도법을 잃는다[失佛道法] 하며,
무엇을 고요하다[寂然]하고 무엇을 구경의 법[究竟法]이라 하며,
무엇을 부처님 법을 낸다[生佛法] 하고 무엇을 정사(正士)라 하며,
무엇을 길[路]이라 하고 무엇을 길이 한량없다[路無量] 하며,
무엇을 도의 업[道業]이라 하고 무엇을 도를 행한다[行道]고 합니까?
무엇을 도에 나아간다[進道]하고 무엇을 행한다[行]하며,
무엇을 손[手]이라 하고 무엇을 배[腹]라 하며,
무엇을 장(藏)이라 하고 무엇을 마음의 업[心業]이라 하며,
무엇을 덕의 갑옷[德鎧]이라 하고 무엇을 지팡이[杖]라 하며,
무엇을 머리[頭]라 하고 무엇을 눈[眼]이라 합니까?
무엇을 귀[耳]라 하고 무엇을 코[鼻]라 하며,
무엇을 혀[舌]라 하고 무엇을 몸[軀]이라 하며,
무엇을 기쁜 행[喜行]이라 하고 무엇을 가고 걷는다[行步] 하며,
무엇을 머무른다[處] 하고 무엇을 앉는다[坐] 하며,
무엇을 누워 잔다[臥寐] 하고 무엇을 방[室]이라 하며,
무엇을 머무른다[遊居] 합니까?”
보현보살이 대답하였다.
“잘 물었습니다.
자세히 듣고 잘 받으십시오.”
보지보살이 대답하였다.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보현이 말하였다.
■ “보살의 몸의 업[身業]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하나의 몸으로 부처님 세계에 두루 편재하기 때문에 몸의 업이라 하고,
일체 중생계의 문(門)을 나타내 보여 모든 생겨난 것[所生]과 함께 머무르며,
시방세계를 홀로 걷고,
또 모든 부처님의 도량으로 가서 설법하는 장소에 모이며,
한 손으로 삼천세계를 모두 덮어서 가릴 수 있고,
한 손바닥에다 모든 큰 철위산[大鐵圍山]과 금강(金剛)으로 이루어진 여러 산을 가져다 놓으며,
모든 부처님 국토가 몸속에 합쳐 있다가 다시 흩어져 없어지게 됨을 중생에게 보여 주고,
중생 세계를 하나의 몸에 받아들였다가 따로 떨어진 곳에다 숨겨 두며,
또 모든 중생에게 자기 몸이 깨쳐 있음을 나타내 보여 주고,
그로써 부처님 국토를 청정하게 장엄함을 성취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열 가지 몸의 업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이로 말미암아 위없는 부처님 업을 이루게 되어서 중생을 가르쳐 모두 다 도에 이를 수 있도록 합니다.
■ 보살의 몸[體]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체(體)로써 6도무극(度無極:6波羅蜜)을 능히 받들고 닦고,
4은(恩)을 능히 행하여 중생을 버리지 않으며,
더할 데 없는 가엾이 여기는 생각을 닦아 모든 중생들을 대신하여 자기 자신이 받고,
5음(陰)의 고된 짐을 짊어지면서도 고달파하지 않으며,
끝없이 자비스러운 몸으로 널리 일체를 보호하면서 구제를 얻게 하고,
공덕 있는 형상으로 모든 사람들이 받들어 우러를 수 있게 하면서 안락한 해탈을 이루게 하며,
거룩한 지혜의 일로 모든 부처님과 한 몸[體]이 되어 그로써 성취하게 되고,
모든 흉하고 위험한 법을 버리는 것이 바로 법신(法身)의 선권방편이라 하며,
온갖 나타내는 문의 신족 변화를 모두 나타내 보이면서 감동하게 하고,
보살의 몸은 도에 대해 자재하므로 곧 정각을 이루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열 가지의 몸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곧 여래ㆍ지진의 위없는 큰 지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보살의 언사(言辭)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말이 진실하면서 이 가르침으로 중생을 안온하게 하고,
맑고 온화한 말로 모든 중생들의 뜻을 즐겁게 하며,
거짓이 아닌 말로 사실 그대로를 말하고 지성스런 말을 펴고,
보살은 이와 같이 가령 꿈속에 있더라도 다른 말을 하지 않으며,
말한 것에 수순하면서 제석ㆍ범왕ㆍ사천왕도 속이지 않고,
깊고 묘하여 해됨이 없이 있는 그대로[自然]의 가르침을 나타내 보이며,
말한 것에 대해 뜻이 견고하여 모든 법을 널리 펴고,
연설한 것을 끝도 없이 겉으로 드러내며 일체의 말에 따라 깨우치고 교화하며,
사람이 짓는 대로 그 보응(報應)을 말하면서 본말(本末)을 보이고,
중생의 뜻을 관찰하여 경우에 따라 가르쳐 주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펴는 열 가지 언사입니다.
■ 보살이 아주 청정하게 되는[善淸淨]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기뻐하면서 여래의 음성을 들으려고 하니 이것이 바로 청정한 것이고,
보살이 일찍이 들었던 음성을 생각하고 살피는 것이며,
중생이 듣기 좋아하지 않는 것을 버리는 것이고,
나쁜 말을 버려서 남에게 하지 않고 오랜 옛적부터 입으로 지어온 허물 네 가지[四事]를 항상 멀리 여의는 것이며,
본래부터 기뻐하는 마음으로 여래를 찬탄하면서 대음(大音)을 크게 드날리는 것이고,
부처님께서 계신 신묘한 절[神寺]에 있을 때는 부처님의 덕을 노래로 찬탄하고 맑고 온화한 성품으로 모든 중생을 위하여 법을 전하여 베푸는 것이며,
존귀하고 신묘한 절에 있을 때는 모든 기악(妓樂)을 만들어 금(琴)과 쟁(箏)을 타고 피리를 불면서 부처님의 탑묘(塔廟)를 즐겁게 하는 것이고,
모든 부처님 세존을 친히 뵙고 경전을 듣는 것이며,
천복(天福)에 수순하며 모든 보살을 따르는 것이고,
만일 법사(法師)에게서 경전을 들으면 몸으로는 받들어 섬기고 마음으로 천상(天上)이라는 생각을 버리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교법을 연설하여 아주 청정하게 되는 열 가지의 일입니다.
■ 보살이 수호하면서 잘 거두어 주는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모든 천왕(天王)이 나타나서 같이 수호하고,
용왕과 귀신왕이 모두 출현하여 함께 지키며,
건달바와 아수라 등이 모두 함께 와서 받들고 공경하고,
가루라와 금시조왕(金翅鳥王)이 다 함께 와서 편안하게 해주며,
긴나라와 마후라가 등이 모두 귀의하여 우러르고,
또 하늘의 제석[天帝釋]과 시중드는 모든 하늘들이 함께 와서 보호하며,
범천왕이 모든 범천(梵天)들을 데리고 귀의하고,
모든 보살들이 다 함께 공경하고 염려하며,
모든 불퇴전의 일생보처(一生補處)가 다 함께 와서 친근해지고,
모든 여래 등께서 시방세계에 나투셔서 위신(威神)으로 보호하여 주시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옹호하여 잘 거두어 주는 열 가지의 일입니다.
■ 보살이 장훈(章訓)을 닦는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언제나 중생계를 즐겁도록 권하고,
또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부처님 국토를 교화하며,
또 근성[根]이 아주 영리한 이[通利]와 중간인 이[中間]와 열약한 이[弱劣者]에게 모두 능히 들어가고,
그 경계인 국토에 따라 청정하게 장엄하며,
온갖 애욕과 진로(塵勞)를 녹여 없애고,
모든 더러움을 멀리 여의며,
경계를 버리고 지성(志性)이 있는 곳을 보고,
맑고 온화한 성품이 조금씩 자라서 늘어나며,
널리 통달하여 모든 법계에 두루하고,
이로 인하여 속히 무위(無爲)에 가까워지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열 가지의 일입니다.
■ 보살의 평등한 마음[等心]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평등한 마음의 총지(總持)로 모든 중생을 붙잡고 뭇 덕의 근본을 섭취하면서 빠뜨리지 않게 하는 것이고,
마음이 마치 강이나 바다와 같이 한량없어 모든 부처님 법의 끝없는 도와 지혜를 수순하는 것이며,
마음이 마치 수미산(須彌山)과 같고 그 덕이 뛰어나 중생의 온갖 선의 근본[善本]을 건립하는 것이고,
마음이 마치 명주(明珠)와 같아 모든 때의 더러움을 버리면서 뜻과 생각이 청정한 것이며,
마음이 마치 금강(金剛)과 같아서 모든 더러워진 법을 무너뜨리는 것이고,
마음이 마치 파괴될 수 없는 철위산(鐵圍山)과 같이 견고하여 어떤 악마나 외도ㆍ이학도 움직일 수 없는 것이며,
보살의 마음은 마치 연꽃과 같아서 삼계에 노닐면서도 영원히 집착한 바가 없는 것이고,
보살의 마음은 마치 영서화(靈瑞華:
우담바라)와 같아서 수없는 겁에도 보고 듣기 어려운 것이며,
마음은 마치 해의 광명과 같아서 허공에 노닐고 다니면서 온갖 어둠과 그늘과 장애와 어리석음의 어둠을 소멸시키는 것이고,
마음은 허공과 같아 온갖 중생의 무리를 불쌍히 여기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마음입니다.
■ 보살이 뜻을 일으키는[發意] 데에 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뜻을 일으켜 생각하기를 ‘나는 모든 중생을 기쁘게 해야겠다’고 하는 것이고,
‘모든 중생들의 진로(塵勞)와 애욕을 모두 소멸시켜 없애되 남아 있는 것이 영원히 없도록 해주어야겠다’고 하는 것이며,
스스로 생각하기를 ‘모든 가리고 막힌 재난을 끊어 자르고 모든 법에서 망설이지 않고 적연(寂然)한 데에 이르게 하리라’고 하는 것이고,
‘나는 온갖 중생의 괴로움과 5음(陰)을 깨끗이 하여 마땅히 악취(惡趣)와 8난(難)을 소멸시켜 주어야겠다’고 하는 것이며,
‘언제나 모든 곳에서 일체의 여래를 뵈면서 그 곁을 떠나지 않아야겠다’고 하는 것이고,
‘언제나 정진하면서 보살계(菩薩戒)를 배워 모든 부처님의 도를 이루어야겠다’고 하는 것이며,
‘중생의 모든 성취를 두루 보면서 도의 자취[道迹]에 들게 하리라’고 하는 것이고,
‘그 때문에 뜻을 일으켜 끝없는 법의 북[法鼓]을 알게 해야겠다’고 하는 것이며,
‘시방의 모든 부처님 국토에 두루하면서 사람들을 모두 섭수하리라’고 하는 것이고,
‘지성(志性)과 모든 근성[根]에 남음이 없게 하리라’ 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뜻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 보살이 뜻을 두루하는[意遍] 데에도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그 뜻이 두루하여 마치 허공과 같이 넓고 탁 트이고,
한량없는 모든 법계에 들어가서 일시에 모든 3세(世)에 두루하며,
모든 부처님께서 일으킬 바를 곧 두루 갖추면서 태(胎)에 들어가고 출생하며 나라를 버리고 왕을 버리면서 최정각을 이루시고,
대멸도(大滅度)는 모두 성스런 지혜로 말미암음을 나타내며,
중생계에 들어가서 뜻의 성품[意性]으로 모든 근성을 깨달아 알고,
성스런 광명으로 모든 법의 경토(境土)에 두루 이르러 맨 끝[邊際]이 없는 데까지 두루하며,
모든 요술의 그물[幻羅網]은 무엇으로 인해 생겨남이 없어 있는 그대로인 것에 대하여 뒤바뀜이 없는 데에 이르고,
헤아릴 수 없는 자기의 마음에도 걸림이 없고 다른 이에 대해서도 장애됨이 없게 하며,
광명과 지혜로 자재함을 얻고,
모든 부처님께서 출현하시면 그 계신 데에서 뜻을 일으켜 최정각을 나타내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뜻이 두루하는 열 가지입니다.
■ 보살의 모든 감관[根]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살들이 만일 부처님을 뵙게 되면 모든 감관으로 기뻐하고,
기쁨이 물러나지 않으면서 모든 부처님을 좋아하고 경전을 받들어 공경하여 통달하지 않음이 없으며,
보살은 모든 감관을 돌리지도 않고 막힘도 없고,
마음이 언제나 견고하게 머무르므로 그 수행을 버리게 할 수 있는 이가 없으며,
모든 감관이 미묘하면서 지도무극(智度無極:
지혜바라밀)을 환히 알고 분별하고,
모든 보살의 뜻은 나아가거나 물러남이 없고 중생을 권하여 가르치면서 뜻이 마치 금강과 같으며,
모든 법을 소멸하여 변화시키고 뭇 악(惡)을 파괴하며 그 광명이 굳고 강하면서 비추지 않음이 없고,
모든 여래의 빛나는 광명이 있는 데를 보면서 모든 감관이 괴이함이 없으며,
보살[開士]의 마음으로 여래의 몸을 분명히 알면서 합하여 하나의 몸이 되고,
보살의 뜻은 제한이 없는 데까지 이르러 여래의 열 가지 힘[力]에 들어가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감관입니다.
■ 보살의 지성(志性)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어떤 보살이라도 마음에는 언제나 집착함이 없고 세속을 탐하지 않고,
마음이 맑아 잡다하지 않으면서 성문이나 연각의 일을 생각하지 않으며,
또 보살의 지성은 유순함을 헤아리면서 항시 부처님 도에 뜻을 두고,
그 뜻의 맑고 온화함은 일체지(一切智)로 인하여 출생하며,
생각한 바 있는 일은 짝할 이가 없어서 뭇 악마와 모든 외도ㆍ이학을 항복받고,
뜻에 더러움이 없어 온갖 여래의 지혜 도량을 청정하게 장엄하면서 항시 잘 구제하고 섭수하며,
뜻의 본말은 들은 법과 같이하여 홀연히 잊는 일이 없고,
뜻은 있는 그대로여서 기대거나 집착함이 없고 태어나는 곳마다 좋아하거나 싫어함이 없으며,
뜻이 깊고 묘하여 미묘한 지혜에 두루 들어가게 되고,
생각한 뒤에는 믿고 알면서 모든 부처님 법을 이해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일의 지성입니다.
■ 보살의 성품이 온화한[性和]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살은 성품이 온화하고 뜻이 높고 뛰어난[尊豪] 데 있으면서 물러나지 않고,
온갖 덕과 착한 법을 쌓으면서 모든 부처님을 의심하지 않으며,
여래의 본말(本末)의 성행(性行)을 찬탄하고 전체를 다스리는 것[總攝]을 대사(大師)의 행으로 삼고,
듣고 나서 서원을 갖추고 생각을 정수리[頂相]에 두어 능히 두루하게 들어가며,
모든 부처님 법에 대하여 성품이 있는 그대로 청정하니 모든 부처님 법이 자신에 의함을 얻고,
뜻이 미묘하면서 여러 가지 법과 도의 문[道門]에 능히 들어가며,
보살은 우두머리라 모든 인연(因緣)을 초월하고,
도(道)에 대하여 마음대로 하면서 모든 삼매(三昧)와 정의(定意)와 정수(正受)를 장엄하고 변화하며,
뜻이 견고하게 머무르면서 전생[前世]에 서원한 바를 섭취하고,
중생을 교화하면서 잠시 동안도 쉬는 일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성품이 청정하고 온화한 열 가지입니다.
■ 보살이 때에 응하는[應時]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살은 보시를 하되 때에 맞게 하고 모든 것을 보시하되 바라는 바가 없고,
온갖 계율의 금(禁)한 덕의 한정[德限]을 받들고 청정하게 힘써 닦으며 받들어 행하되 때에 맞게 하면서 다른 사람을 멸시하지 않으니 중생을 위한 까닭이며,
모든 성냄과 싫증과 원한을 참고 나[吾我]와 다른 사람이라는 생각을 제거하고,
널리 닦아 정진하되 때에 따라 움직이지 않고 몸과 입을 수호하되 마음에 여러 가지 할 일을 잊거나 버림이 없으며,
선정 삼매로 모든 해탈문과 신통의 바른 것을 준수하면서 애욕과 진로의 권속을 버리지 않고,
만일 모든 도무극을 받들어 행할 때면 뭇 덕을 쌓으면서 게으르거나 버리는 일이 없으며,
대자비를 수행하면서 중생이 없음을 알면서 몸소 뭇 고통을 짊어지고,
5품(品) 응신(應身)으로 대애(大哀)를 버리지 않으면서 모든 법은 있는 그대로 고요한 줄 알며,
여래의 10력으로 그때마다 한없는 마땅함으로써 중생에게 나타내 보이면서 법륜(法輪)을 굴리되 일찍이 물러나는 생각이 없다 함을 환히 깨달아 알고,
다른 이의 뜻하는 성품을 보면서 그들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때에 응하는 열 가지의 일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부처님의 위없이 끝없는 큰 지혜를 체득하여 곧 능히 때에 응합니다.
■ 보살이 믿고 아는[信解] 데에 다시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미묘함을 믿으면서 언제나 옳은 것을 따르고,
말로 하기 어려운 덕의 근본으로 헤아릴 수 없는 여러 가지 청정한 행을 돈독하게 하며,
중생들의 셀 수 없는 마음을 좋고도 넓게 보면서 적연한 믿음을 짓고,
깊고 오묘하고 끝없는 법문(法門)에 들어가 청정함을 좋아하면서 크고 넓은 마음을 일으키며,
모든 부처님을 애경(愛敬)하려고 열 가지 힘을 건립하기 때문에 겸양과 공손함이 견줄 데 없으면서 뭇 악마와 그 관속들을 항복하고,
마지막까지 좋은 업(業)으로 평등하게 보응(報應)하며,
근문(近門)을 두터이 하면서 그 기뻐하는 바에 따라 나타내 보이고,
받을 것을 받으면서 모든 부처님의 수결(授決:
수기)을 체득하려 하며,
신족이 자재하면서 뜻대로 좋아하고,
부처님 도를 얻으려 하면 곧 정각을 이루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믿고 이해하는 열 가지의 일입니다.
■ 보살이 믿음으로 세계에 들어가는[信入世界] 데에 또한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모든 부처님 국토를 믿으면서 하나의 세계에 들어가고,
하나의 세계가 모든 부처님 국토에 들어가며,
한 송이의 연꽃이 대천세계[大千界]와 같다고 믿고,
한 분 여래의 몸이 그 위의 시방세계의 부처님 국토에 두루 앉아 계시며,
모든 것은 허공과 같이 있는 그대로[自然]이고 온갖 세계는 두루 다 장엄함을 알면서 믿고,
그 안으로 시방세계가 두루하게 들어가고 보살의 몸은 그 안에서 능히 두루 미침을 믿으며,
시방의 국토가 하나의 발자국에 건립된다는 것을 믿고,
온갖 세계가 한 사람의 몸에 들어가서 스스로 퍼져 있으며,
모든 부처님의 경토(境土)는 여래수(如來樹)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도량에 두루 미치고,
하나의 음성으로 시방세계에 고하면 온갖 중생들이 듣고 마음으로 기뻐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믿음으로 세계에 들어가는 열 가지의 일입니다.
여기에 능히 머무르면 여래의 한량없는 경토(境土)에 두루 들어갑니다.
■ 보살이 중생의 경계에 들어가는[入衆生境界]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온갖 몸의 형상은 있는 그대로여서 몸이 없고 모든 중생의 경계는 곧 하나의 몸[一身]이고,
자자(自恣)의 강당(講堂)은 들어가야 할 처소로 믿으면 모든 중생들은 곧 그 때문에 한 보살의 배[腹]로 들어갈 수 있으며,
뭇 사람의 경계는 모든 제석ㆍ범왕과 사천왕의 형체와 모습을 받아들이고,
중생계가 여래의 몸에 들어가는 것을 믿으며,
시방의 사람과 기어 다니고 숨을 쉬는 사람과 만물의 토지는 한 사람의 몸에 들어가고,
모든 중생은 한 불법의 품류[一佛法品]에 처해 있으면서 중생의 경계를 나타내며,
성문이나 연각의 모습이나 형상을 나타내면서도 생각[想念]은 영원히 없고,
시방세계에서 보살의 장엄과 공훈을 나타내며,
모든 중생의 경계에서 여래의 색상(色像)과 상호(相好)의 여러 가지 몸을 나타내 보이고,
위의와 예절로써 여러 사람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중생의 경계에 들어가는 열 가지 일입니다.
■ 보살이 머무르는[居止]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살이 뜻을 일으키면 곧바로 그곳이 머무르는 곳이고,
모든 덕의 근본을 닦으면 뭇 악(惡)이 쉬게 되며,
중생을 깨우치고 교화하면서 때에 따라 인도하고 지시하고,
언제나 모든 부처님을 뵙고 뭇 성인들을 떠나지 않으며,
태어나는 곳마다 곧 청정한 세계에 처하게 되고,
도의 행[道行]을 받들어 닦으면서 바르고 참됨을 어기지 않으며,
항상 바른 서원을 품으면서 삿된 맹세[邪誓]를 따르지 않고,
다 함께 6도무극(度無極)을 따르고 닦으며,
오로지 평등한 도법(道法)을 힘써 사유하고,
노닐고 머무르는 곳마다 모든 부처님을 만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머무르는 곳[宿止處]의 열 가지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모든 진로를 빠뜨림이 없이 버리면서 여래의 한량없는 지혜의 처소를 체득하니,
이것이 바로 머무를 곳입니다.
■ 보살이 일어나고 일으키는[興發] 데에 열 가지가 있으니,
보살은 이로써 모든 생기는 행[起行]을 끊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중생계가 일어나면 그들을 교화하고 제도하여 구경(究竟)에 이르게 하고,
세계가 일어나면 더러움을 제거시켜 언제나 장엄하게 하며,
여래께서 출현하면 보살의 행을 체득하고,
뭇 덕의 근본을 일으켜 상호(相好)를 쌓으면서 부처님의 공훈을 익히며,
크게 가엾이 여기는 생각을 일으켜 중생의 고뇌와 5음(陰)이 치성하는 쇠약[衰]을 녹여 없애고,
크게 가엾이 여기는 생각을 일으켜 중생을 권유하여 세우면서 일체지와 모든 도무극에 안주하게 하고 보살의 장엄한 행을 모아 쌓으며,
선권방편을 일으켜 널리 일체를 위하면서 도덕(道德)의 문을 나타내고,
도의 뜻을 일으켜 그 마음이 헤아릴 수 없이 너그러우며,
요점을 취하여 말한다면 모든 법으로 보살이 일으키고,
변화를 나타내야 할 데에 있을 때는 신통으로 알고 통달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일으키는 열 가지입니다.
■ 보살이 받들어 행하는[奉行]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항상 스스로 모든 도무극을 생각하고,
금계(禁戒)를 받들어 닦으면서 번뇌[缺漏]가 없으며,
성스런 지혜를 좇고 받들면서 사견(邪見)을 따르지 않고,
예의를 순종하면서 예절을 잃지 않으며,
도법(道法)을 좇고 숭앙하면서 사견을 따르지 않고,
시품(時品)의 차례를 따르면서 높은 절개를 거스르지 않으며,
때에 맞추어 나타내 보이면서 도의 가르침[道敎]을 범하지 않고,
행과 뜻을 가까이하여 가르침에 싫증을 내지 않으며,
정각을 받들어 닦으면서 소승(小乘)을 따르지 않고,
성스런 행을 따르고 받들면서 법륜(法輪)을 굴리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받들어 행하는 열 가지 일입니다.
■ 보살이 성취하는[成就]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언제나 돈독한 믿음을 품고서 착한 벗을 받들고 공경하고,
부처님 법을 이루고서 은근하게 좋아하며,
여래께서 설하신 것에 대해 비방하는 일이 없고 정전(正典)의 가르침에 그 마음이 한량없고,
끝없는 데[無際] 있으면서 덕의 근본을 권하고 도우며,
여래의 경계를 체득하면서 제한 없이 믿고 좋아하며 의심하지 않고,
시방세계에 두루 노닐며 들어가서 부처님 법을 이루게 되며,
또 법계에서 동요할 수도 없고 마음이 태산과 같고,
악마의 경계를 움직여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하여 스스로 항복하게 하며,
항상 모든 부처님의 경계를 알면서 중생을 가르치고,
여래ㆍ지진의 열 가지 지혜와 힘을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성취하는 열 가지 일입니다.
■ 보살이 부처님의 도법(道法)을 잃게 되는 데에 열 가지가 있으니,
언제나 멀리 여의어야 합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스스로 교만하여 친한 벗을 가벼이 여기고,
부처님의 도법을 잃고 생사의 곤궁과 고뇌를 두려워하며,
뭇 행을 근심하고 싫어하면서 보살의 마음을 거스르고,
천하에 돌아다니고 머무르는 일을 고달파하며,
행이 고정되어 바른 정[正定]에 거스르면서 평등한 자취[等跡]를 잃고,
덕의 근본을 짓고는 자기가 지었다고 말하며,
바른 법에 대해 질투하고 비방하고,
모든 보살의 행을 숨기고 덮어 감추며,
성문이나 연각의 법을 좋아하면서 크게 실천함[弘履]을 미워하고,
보살의 큰 법을 널리 펴기를 기뻐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도법을 잃는 열 가지이며,
언제나 이것을 멀리 여의어야 비로소 보살의 위없는 성현(聖賢)에 들게 됩니다.
■ 보살이 고요한[寂然]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언제나 부지런히 지(智)도무극을 닦으면서 중생을 관찰하여 모든 뒤바뀜[顚倒]을 없애고,
모든 사견과 속박을 제도 해탈하고 일찍이 모든 망상을 내는 일이 없으며,
집착하고 탐하면서 허망한 생각을 하는 이를 교화하고,
행은 삼계를 초월하여 시방세계를 두루 돌아다니고 그 안에서 노닐고 다니면서 중생을 교화하고 변화시키며,
모든 진로를 탐하고 방일(放逸)을 익히는 이에게는 애욕의 법을 여의게 하고,
크게 가엾이 여기는 생각을 일으켜 모든 중생을 불쌍히 여기며,
모든 세계를 움직여 처음과 끝이 있음을 나타내면서 그들을 위하여 수행을 밝히고,
세속의 법에 노닐면서도 집착함이 없으며,
또 때에 따라 그 안의 가르침에 들어가서 부처님 도를 모두 보고,
큰 행[大行]을 끊지 않고 본래의 원[本願]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고요한 것이어서 성현이 세간을 제도하고 중생을 거두어 보호하며 모든 성문이나 연각의 업(業)을 초월하는 것입니다.
■ 보살이 구경의 법[究竟法]을 얻는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태어날 때 땅에 떨어지자마자 저절로 여래의 권속이 되고,
모든 부처님 경계를 충분히 통달하게 되며,
모든 보살의 업을 얻고 성취하고,
모든 도무극을 두루 갖추며,
모든 부처님의 종성(種姓)을 일으켜 충만시키고,
여래의 부류[儔類]를 뛰어넘어 체득하며,
언제나 모든 부처님의 10력(力)을 건립하게 되고,
영원히 여래의 대도(大道)를 통달하게 되며,
모든 부처님은 전부 하나의 법신(法身)인 줄 알고,
여래ㆍ지진의 행에는 둘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구경의 법입니다.
■ 보살이 모든 부처님의 법을 내는[生諸佛法]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일심으로 귀의하여 착한 벗을 받들고 모든 부처님 법을 일으켜 하나의 덕의 근본에 이르고,
부처님 법을 믿고 좋아하면 곧 도의 흔적[道跡]이 생겨 뜻을 일으키는 동안에 모든 여래의 행을 모두 변화하여 나타내며,
덕으로써 끝없는 큰 서원을 품고 광대한 마음을 내고,
덕의 근본을 좋아하여 지은 대로 세우되 끝내 잊거나 싫증내는 일이 없으며,
헤아릴 수 없는 겁 동안 쌓아온 행은 장차 오는 세상에서 끝없이 많이 섭수하고,
한량없는 부처님 국토에 살고 있으면서 중생을 깨우쳐 교화하되 언제나 시절(時節)을 따르며,
보살행을 일으켜 끊임없이 이행하고 언제나 크게 가엾이 여기는 생각을 내어 한량없는 마음[無量心]을 나타내고,
한 뜻[一意]을 일으킬 때에는 널리 허공을 보고 이로써 아주 미묘한 큰 행[大行]을 뛰어넘어 그 속으로 들어가며,
지극히 참된 서원을 내면서 본래의 뜻을 잃지 않고 여래의 모든 가르침을 받들어 지니고,
중생을 밝게 비추어 도의 마음을 일으킴으로써 뭇 덕의 법을 갖추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일으키는 열 가지 도의 법입니다.
■ 보살을 정사(正士)라고 부르는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살은 부처님의 지혜를 분명히 알아 하나의 법신[一法身]이 되기 때문에 개사(開士:
보살)라 하고,
대승(大乘)에 견고하게 머무르기 때문에 대사(大士)라 하며,
뛰어난 법을 받들어 행하기 때문에 존인(尊人)이라 하고,
미묘한 법을 깨달아 이루기 때문에 성사(聖士)라 하며,
수승한 지혜에 들기 때문에 초사(超士)라 하고,
사람들에게 정진하기를 권유하기 때문에 상인(上人)이라 하며,
뛰어나고 수승한 법을 널리 펴기 때문에 무상(無上)이라 하고,
열 가지 힘과 지혜를 구족하게 알기 때문에 역사(力士)라 하며,
온갖 어둠과 그늘을 제거하기 때문에 둘도 없고 짝할 이 없는 필사[無雙無儔匹士]라 하고,
자기로 인해 마음에 부처님 도를 이루기 때문에 무사의(無思議)라 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을 정사라고 부르는 열 가지 명호입니다.
■ 보살이 가는 길[行路]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모든 보살 대중은 일승의 길[一乘路]과 함께 하나이니 일(一)은 견줄 이가 없어서이며 일심(一心)을 버리지 않아서입니다.
보살에게는 지혜(智慧)와 선권(善權)의 행이 있으니,
두 가지 성품의 길[性路]이기 때문입니다.
또 세 가지의 길[路]이 있으니 공한 행[空行]과 무상(無相)의 근본을 닦아 원제(元際)가 없으며 무원(無願)에 의지하지 않고 삼계(界)에 노닐면서도 더러워지지 않습니다.
또 네 가지의 길이 있으니,
개사(開士)의 행을 닦아 다함이 없는 업을 강설하고 일체의 공덕을 권하고 도우며 여래께 이마 조아리고 받들어 공경하되 게으르지 않고 성스런 지혜를 권하여 도우면서 도의 가르침을 널리 폅니다.
다섯 가지 근을 증장하는 길[增五根路]이 있습니다.
신근(信根)을 잘 건립하고 큰 정진으로 모든 행에서 물러나지 않으며 한마음에 머무르면서 산란하지 않고 잘 깨달아 환히 알면서 정의(定意)를 따르며 언제나 지혜의 행을 분명히 깨달아 압니다.
여섯 가지 신통[六通]에 대한 일을 닦는 것을 길로 삼습니다.
천안(天眼)으로는 모든 색과 형상을 보고 모든 세계에 있는 중생들이 태어나는 자와 죽는 자가 있음을 보며,
천이(天耳)로는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경전을 듣고는 곧 받아 지니며,
다른 중생들을 잘 분별하면서 스스로 자기 마음을 보고 또 다른 이의 마음을 보아서 본말(本末)의 여러 가지 생각이 헤아릴 수 없이 많으며,
모두 자기로 인해 생겼으며,
지나간 세상의 수없는 겁 동안에 지었던 덕의 근본을 기억하여 나아가고 이익됨을 다 알며,
큰 신족을 얻어서 중생의 근본과 교화해야 할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변화를 나타내고 바른 법으로써 중생을 가르치며,
지혜로 모든 번뇌[漏]를 다 없애고 스스로 본제(本際)를 보아 보살이 일으키고 세워야 할 행을 끊지 않습니다.
일곱 가지 생각[七思念]을 행하는 것을 보살의 길로 삼습니다.
언제나 부처님을 생각하는 것이니,
중생을 인도하는 이는 다함이 없이 모든 구(句)를 보면서 곧 받아 지니고 다른 이에게 권하고 교화하여 부처님께 귀의하게 합니다.
경법(經法)을 생각하는 것이니 여래ㆍ지진께서는 하나의 도량에서 움직이거나 옮겨가지 않고 모든 부처님과 대중이 모인 데 계시면서 설법을 하시되,
그 음성은 시방에 통하며 모든 중생들의 마음과 근성이 있는 곳을 알면서 깨우치고 교화합니다.
뜻으로 수없이 많은 보살들이 물러나지 않음을 생각하고 지혜[數]를 여의지 않음을 보며 중생을 모든 보살의 몸이라고 봅니다.
언제나 보시[施與]를 생각하는 것이니 모든 보살은 보시를 하며,
그 마음을 평등하게 다스리고 크게 보시할 것을 생각하면서 덕이 더욱 자라게 합니다.
언제나 금계(禁戒)를 생각하니,
보살의 마음을 버리지 않고 모든 덕의 근본으로써 모든 중생에게 베풉니다.
언제나 모든 하늘[諸天]을 생각하니 보살은 도솔천[兜術天]에 일생보처(一生補處)로 태어나 굶주리듯 덕을 생각합니다.
언제나 중생을 생각하니 큰 선권의 지혜[權慧]로 중생을 교화할 때에 하지 못하거나 버리는 일이 없습니다.
여덟 가지의 바른 길[八正路]입니다.
정견(正見)을 받들면서 사견을 버리고 모든 허망한 생각과 탐하고 구하는 일을 버리며 모든 통혜(通慧)와 도와 덕의 종성(種姓)을 생각하는 것이며,
입으로 짓는 네 가지 허물[口四過]을 버리고 성현의 종성을 닦으면서 바른 말[正語]을 널리 전하는 것이며,
몸으로 행하여 중생을 위하여 베풀고 여러 사람들을 가르치되 쉬거나 버리지 않으면서 바른 계율[正律]을 버리지 않는 것이며,
바른 행위[正業]란 한적하고 고요한 곳에 오래 머무르며 만족할 줄 알고 그 도와 덕을 닦으면서 예절과 위의에 머무르는 것이며,
바른 법[正法]에 머무르되 어떤 과실도 없는 것이며,
모든 보살은 바른 방편[正方便]으로 같은 부모에서 나온 형제처럼 권속을 대하게 되고 손감이 없으면서 여래의 열 가지 힘과 행을 좇고 닦는 것이며,
그 바른 뜻[正意]이란 들은 음성을 모두 다 지니고 시방의 모든 부처님 세계를 널리 보는 것이며,
정의(定意)가 어지러워지면서 그 바른 선정[正定]을 닦는 모든 보살들은 불가사의로써 해탈문을 삼는데,
총명한 까닭에 하나의 정의로써 수없는 정(定)에 두루하고 본래의 정수(正受:
삼매)에 두루하여 정을 일찍이 버리지 않아 보살의 길이 됩니다.
욕계(欲界)의 위험한 자취를 여의고 강설해야 할 법을 입으로 널리 강설하며 온갖 것에 막힘이 없이 생각한 바와 뭇 생각의 집착을 연설하면서 중생을 깨우쳐 교화하며,
온갖 지혜에 들어가 희구하는 생각을 버리고 여러 가지 탐애(貪愛)를 버리며 언제나 모든 여래를 뵙고 싶어 하며 기뻐하는 마음을 버린 적이 없고,
세속의 고락(苦樂)의 업을 버리며 보살과 성현이 세간을 제도함을 나타내 보이고 영원히 도의 지혜에 안주하면서 항상함이 없음을 닦아 알며,
무색정(無色定)의 마음으로 욕계에 태어나거나 색계에 있으면서도 처음부터 동하거나 옮아가지 않고 그로써 모든 생각과 음성을 제도하며 보살의 행을 바르게 받아들이면서 수고롭게 여기지 않습니다.
만일 여래의 10력(力)을 능히 사유하면 불자(佛子)로서 그 힘을 일으키고 없애는 보살의 길이 됩니다.
언제나 도리에 계합함이 있고[有處] 도리에 계합함이 없는 것[無處]과 한이 있고[有限] 한이 없는 것[無限]을 분명히 알고 모든 중생의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보응(報應)과 죄복(罪福)이 나아갈 바를 보며,
모든 신식(神識)과 근(根)들을 알면서 똑똑히 분별하고 마음의 근본을 살피면서 그를 위하여 설법해 주며 여러 가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몸이 각각 다름을 분별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뛰어난 서원은 뜻이 중간에 있기도 하고 혹은 아래[下志]에 있기도 하며 그 끝이 없음을 알아 그들을 위하여 법을 널리 펴되,
온갖 세계의 국토에 있는 모든 중생과 3세에 있는 헤아릴 수 없는 겁의 모든 보살의 몸이 그 안에 두루합니다.
여래ㆍ지진에게는 상념(想念)이 없음을 나타내면서도 모든 보살행을 거스르거나 버리지 않고 모든 선정의 뜻과 한마음의 정수(正受)로 진로와 진에(瞋恚)가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을 관찰하며,
무엇으로 인하여 생기는지를 알면서 보살의 문에 머무르고 모든 사람들의 죽고 태어나면서 나아가는 것을 보고 그들을 위하여 본말(本末)을 말해 주며,
3세(世)의 많은 생각과 모든 기억을 알아 한 세상[一世]으로 들어가고 모든 사람들의 진로와 장애와 지성(志性)의 맺히고 푸는[結解] 것을 환히 알아 다 없어지게 하면서 보살이 일으키고 드러내는 행을 버리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열 가지의 길이니,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모두 여래의 위없는 권도(權道)를 체득합니다.
보살이 가는 길[行路]은 한량없고 도(道)도 한없는 데에 이르며 도를 수행하는 데도 무수하고 청정하여 헤아릴 수 없습니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보살이 행하는 도는 한량없기 때문이니,
이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허공은 헤아릴 수 없음을 관찰하고,
법계의 중간은 멀고도 깊어서 헤아릴 수 없으며,
중생의 종류도 매우 많아서 다할 수 없고,
세계는 끝이 없기 때문에 한이 없다고 하며,
모든 나쁜 생각[惡思想]도 바닥이 없고,
온갖 사람의 말도 역시 바닥도 끝도 없으며,
여래의 몸도 견주어서 대어 볼 수 없고,
모든 부처님께서 연설하신 음성과 가르침[言敎]도 역시 다할 수 없으며,
여래의 도력(道力)도 궁구할 수 있는 이가 없고,
일체지와 밝은 지혜와 성스런 근원에 도달하는 데도 역시 끝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한량없는 길입니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마치 허공이 한량없듯이 도를 닦는 데도 한량없어서 역시 그와 같이 해야 하기 때문이며,
마치 법계가 깊고도 또 깊은 것처럼 도의 뜻이 한량없음을 받드는 것도 역시 그와 같기 때문이며,
마치 중생계가 매우 많아서 다함이 없는 것처럼 보살이 도의 다함없음을 받드는 것도 역시 이와 같기 때문입니다.
마치 세계가 맨 끝이 없는 것처럼 도에 나아감도 역시 그와 같기 때문이며,
마치 나쁜 생각은 헤아리거나 말로 할 수 없는 것처럼 도를 따르면서 사람을 교화하는 것도 역시 그와 같기 때문이며,
마치 사람들의 말은 끝이 없는 것처럼 그 합친 도(道)도 그와 같기 때문이며,
마치 여래의 행은 비교하여 볼 수 없고 온갖 중생들에게는 두 개의 국토[國]가 없으면서 생각하는 것도 두루한 것처럼 도의 행에도 역시 그와 같기 때문입니다.
마치 부처님의 음성과 언교는 다할 수 있는 이가 없는 것처럼 도를 닦는 데도 역시 그와 같아서 한마디의 말로 모든 법계의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기 때문이며,
마치 여래의 힘은 다할 수 있는 이가 없는 것처럼 여래의 힘에 나아가면서 도를 닦는 데도 역시 그러하기 때문이며,
마치 일체지는 헤아릴 수 있는 이가 없는 것처럼 보살이 덕을 쌓으면서 도를 닦는 데도 역시 그러하기 때문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가는 길이 한량없는 것입니다.
■ 보살의 길을 가는[行路]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행(行)하고 행하지 않는 것과 응하고 응하지 않는 것이 없고,
그 몸과 입과 마음은 이르는 데가 없으므로 들어 올릴 것도 없고 내릴 것도 없으며,
그 지혜는 본래부터 청정하기 때문에 받들고 받들지 않는 것과 닦고 닦지 않은 것이 없는 것입니다.
있는 그대로인[自然] 것에 들어가되 모든 것은 마치 요술과 같고 꿈ㆍ그림자ㆍ메아리ㆍ파초ㆍ번갯불ㆍ아지랑이와 물속의 달과 같다는 것을 안 뒤에는 어느 것도 의지하거나 구하는 것이 없으며,
삼계의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을 통달하여 어느 것에도 머무는 것이 없고,
생각과 소견으로 인하여 세 가지[三處]가 있으므로 덕을 쌓아 그 행이 거칠지 않고 마음에 아무것도 두지 않아 볼 수도 없으며,
말도 없고 가르침도 없으므로 모든 법에 대하여 머묾을 여의고 법계를 받들고 닦아 무너짐이 없고,
알고 관찰하면서 모든 법에 들어가되 여래의 진제(眞諦)와 본제(本際)를 잃지 않으며,
이 참된 이치[眞諦]가 허공의 끝까지 두루하여 보살의 지혜와 행의 힘과 업에 들어가며 여래의 10력(力)과 4무소외(無所畏)와 일체지(一切智)를 갈무리하는 데에 게으르지 않고,
모든 평등함을 살피고 모든 법을 관찰하면서 다른 생각에 몰두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도를 행하는[行道] 열 가지 일입니다.
■ 보살이 도를 행하면서 청정하게 장엄하는[行道嚴淨]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불자여,
보살은 욕계에 있더라도 동요하거나 옮겨가지 않고 홀연히 색계에 있더라도 그 형상과 행이
일심(一心)과 해탈문과 정의(定意)와 정수(正受)에 있으면서 태어나는 곳마다 방일함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첫 번째 청정한 길[淨路]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은 눈으로 성문승(聲聞乘)을 보면 지혜로 제도하되 그 길에 떨어지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두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은 연각승(緣覺乘)을 보거나 알면 환히 깨달으면서 때에 따라 크게 가엾이 여김을 일으켜 모든 힘과 서원을 체득하면서
게으르거나 버리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세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대사가 많은 군중과 권속에게 에워싸이거나 모든 하늘과 사람들이 청정하고 단정한 모습으로
백천의 악기를 울리거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옥녀(玉女)들이 청아한 소리로 거문고와 비파를 뜯으며 큰 수레를 타고 모여들 때,
보살은 그 안에 있더라도 선정ㆍ해탈문과 삼매ㆍ정수(正受)로 도(道)에 어긋남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네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은 온갖 중생들이 노래하고 춤추고 희롱할 때는 중생들이 하는 대로 함께 하되 항상 한결같은 마음으로 하며
보살의 정의(定意)는 처음부터 산란해지는 법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다섯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은 이미 세속의 법을 건넜는지라 모든 업(業)에 있어서 어느 것에도 집착함이 없고 제도한 도[度道]를 버리지 않으면서 중생을 구제하고 거두어 주니,
이것이 바로 여섯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은 도(道)에 머무르며 성스런 지혜를 드러내기 위하여 바른 도에 들어가서 모든 사견을 넘어서며 중생이 삿된 길에 있더라도 그들을 가르쳐서 구제될 수 있도록 힘쓰며 삿된 길로는 티끌만큼도 나아가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일곱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대사는 몸과 입과 뜻에 결함이나 또는 계율을 지키지 않음도 없으며 여래의 청정한 금계를 기르고
모든 범부나 어리석은 무리들을 위하여 청정한 행을 나타내고 악계(惡戒)를 가르쳐서
그들로 하여금 모든 청정한 복을 두루 구족하게 하며,
보살이 경유할 바는 모두 지옥ㆍ아귀ㆍ축생을 제외한 세 가지 선한 길[三善路]에 들어서야 하나 견디기 힘든 곳[不閑]이나 재난이 있고 궁핍한 곳에 나누어서 머무는 곳마다 중생 구제에 힘쓰며 비록 그 가운데 머물러 있더라도 그들과는 섞이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여덟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이 하는 일은 남에게 기울거나 우러르지 않으며 부처님 법에 대하여 막힘없는 변재[無礙辯]를 체득하고
널리 모든 부처님을 관하여 법의 지혜로운 광명을 얻으며,
모든 여래께서는 평등하여 어떤 모양이나 부류도 아래로 보지 않으시고 모든 부처님은 모두 하나의 법신(法身)이며
모든 부처님께서 이로움으로 인도하는 것은 일체를 위하기 때문이며,
법문을 두루 비추어 모든 승(乘)에 평등하게 머무르며 모든 부처님께서 머물고 계신 데가 눈앞에 있어도
사람들은 모두 감당할 수 없어서 중생의 얼굴과 손에서 그 형상의 흠을 보게 되며,
일찍이 한 번도 없었던 일[未曾有]이 생기면 그들을 위하여 널리 평등하게 하며 법을 구하기를 잊은 적이 없고 스승을 만나면
어디서 오셨든지 받아들이고 공경하면서 다 함께 일어나서 맞이하며 의심으로 인하여 거스름이 생기면 그것을 반연하여 받아들이는 것인데,
이러한 수행법은 중생에게 있으니 그 까닭은 선권방편이기 때문입니다.
보살은 개사(開士)로서의 참된 이치[眞諦]를 도업(道業)에 머무르면서 곧 방편으로써 나아가 중생으로 하여금
계율의 가르침을 따르게 하고 권도(權道)를 나타내면서 저마다 처소를 얻게 하는 행을 하니,
이것이 바로 아홉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또 불자여,
보살은 뭇 덕의 근본을 모아 보살의 최상의 미묘한 법을 체득하고 여래의 아유안(阿惟顔:不退轉)의 행을 널리 갖추며
온갖 법의 존귀한 도무극(度無極)으로 한량없는 더러움을 여읜[離垢] 법관(法冠)을 쓰고
바른 비단으로 띠를 삼으며 시방세계에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여래의 몸을 나타내어 손감 없이 건립한 법륜(法輪)을 굴리고
그 몸은 온갖 부처님 국토에 모두 두루하며,
모든 법에 노닐면서 삼계를 홀로 걷고 피안(彼岸)을 건너 모든 보살이 자재함을 얻게 하고 시방의 국토에 태어나서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께서 나타내 보인 것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모두 한 부처님 세계에 있게 하며,
모든 보살행을 거스르거나 잃지 않고 도와 지혜에 미혹되지 않으며,
개사(開士)의 덕의 근원을 거스르거나 물러나지도 않고 보살의 자취를 밟아 되돌아오지 않습니다.
대사(大士)의 행을 하되 게으르거나 포기하지 않고,
또한 정사(正士)로서 여쭙고 받는 것을 끊지 않으며,
또 선권방편을 버리지 않으면서 성인의 업을 폐기하지 않고 보살이 행해야 할 세력을 어기지 않으며,
위험한 재해를 다른 이에게 보태주지 않고 성사(聖士)가 세워야 할 바른 행을 멀리 하지 않습니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하는 보살은 속히 위없이 바르고 참된 도를 얻기 때문이니,
이러한 보살은 행에 집착하는 바가 없고 일체지(一切智)를 관하며 여래의 몸의 모습[體像]에는 모양이 없다는 것을 밝혀 압니다.
이것이 바로 열 번째 청정한 길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여래의 위없는 큰 도를 속히 이루는 것입니다.
불자야,
■ 보살이 받들어 행하는[奉行]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뛰어난 금계(禁戒)와 대원(大願)을 닦아 점차로 빠짐없이 갖추고,
정진하는 행으로 모든 도품의 뜻[道品義]을 품고 물러나지 않으며,
신통을 좇는 행으로 여러 사람들의 뜻을 따르면서 저마다 기뻐하게 하고,
신족을 닦는 행으로 널리 시방의 모든 부처님 국토에 들어가서 하나의 세계로 합치되 동요하는 이가 없으며,
뜻으로 맑고 온화함을 받들어 뛰어나고 묘한 데로 들어가고 서원이 견고하면서 하는 일마다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고,
설령 받아도 수승함을 감추고서 높은 스승의 명을 모두 어기지도 않고 경전 듣기를 바라면서 행하되 싫증을 내거나 게으르지 않으며,
모든 부처님께서 널리 펴신 법을 받들어 닦으면서 수고로이 여기지 않고,
법의 성스런 성품을 숭앙하면서 온갖 대중이 모인 도량에 노닐며,
용감하여 겁이 많거나 허약함이 없고 끝없는 큰 행의 청정한 데에 나아가고,
모든 것은 생겨남이 없는 줄 아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열 가지의 행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시방의 온갖 부처님 국토에 널리 노니는 데에 장애됨이 없습니다.
■ 보살의 손[手]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이를테면 믿음이 돈독한 손이니 여래의 가르침을 믿고 한결같은 뜻으로 믿고 좋아하되 다함이 없는 것이고,
손으로 모든 부처님ㆍ정각께 공양하며 큰 덕을 더욱더 쌓되 게으르지 않는 것이며,
놓고 버리기 위한 손이니 구하는 것을 모두 얻어서 기쁘게 하고 서원이 충만하여 ‘장하다’라는 말로 찬탄하는 것이고,
먼저 문안을 하는 손이니 오른쪽 손바닥을 펴는 것이며,
견문을 넓히는 좋은 손이니 온갖 망설임과 맺힌 의심을 끊어 없애 삼계가 고요한 것이고,
크게 노닐면서 벗어나는 손이나 애욕은 항상한 것이 아니어서 마땅히 큰 손으로써 중생계를 교화하면서 베풀어 주어야 하는 것이며,
편안한 땅에 머무는 손이니 4류(流)와 도무극의 팔로 안의 갈무리[內藏]를 모두 섭취하여 평등한 행(行)을 받드는 것이고,
스승이 없는 법[無師法]을 위하여 모두 중생을 교화하면서 해치려는 마음을 일으킴이 없음을 깨달아 아는 것이며,
경전을 강설하고 세속과 세간을 제도하는 법을 분명히 아는 손이니 몸과 마음의 모든 재앙과 질병을 제거하는 것이고,
지혜의 보배 손이니 진로를 소멸하여 한량없는 법의 광명이 빛남을 나타내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손입니다.
이 도의 손[道手]으로써 일체를 널리 덮어 주는 것입니다.
■ 보살의 배[腹]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이를테면 지성(志性)의 배이니 생각이 맑고 온화하고,
질박함과 정직을 갈무리함[藏]이니 아첨이 없으며,
거짓으로 꾸밈을 생각하지 않고 어떤 것도 받아들이지 않아 인연의 경계[因緣界]가 없고,
존재하는 모든 업(業)을 좋아하지 않고 모든 진로를 버리며,
지혜로써 태(胎)를 삼아 그 마음이 청정하면서 흠이 없고,
관(觀)으로 모든 밥[食]을 끊고 참된 이치의 법[眞諦法]을 생각하며,
만물을 없는 것이라 살피면서 12인연의 일을 환히 깨달아 알고,
모든 생사의 업을 분별하는 것은 지성(志性)이 부드러우면서 순숙하기 때문이며,
온갖 치우친 사견을 제거함이 보살의 배가 되고,
널리 중생으로 하여금 부처님 도의 장[佛道藏]에 들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배입니다.
■ 보살에게는 또 열 가지의 장(藏)이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끊어지지 않게 하고 보살행에 머물러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며 방일함이 없음으로써 그로 말미암아 생겨나서 법의 가르침을 치성하게 나타냅니다.
보살의 태(胎)로서 끝없는 지혜에 머무르고 출세간(出世間)을 나타내면서 성인 대중을 좇고 받듭니다.
보살의 태(胎)로서 불퇴전(不退轉)에 머무르면서 법륜을 굴리니 반드시 착한 법이 중생에게 남아 있게 합니다.
보살의 태를 위하여 때에 따라 머물되 도의 절도[道節]를 잃지 않고 중생이 결단하여 알지 못한 곳이 있으면 마지막까지 깨우쳐 교화합니다.
보살의 태로서 보응(報應)을 세워 저마다 제도되게 하여 끊어짐이 없게 하며,
중생이 사견(邪見)의 지위에 있게 되면 크게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킵니다.
보살의 태로서 미래의 끝이 없는 광명을 왕성하게 일으키고 여래의 10력으로 보응을 받들어 닦아 완전히 갖추어지게 합니다.
보살의 태로서 뭇 악마에게 항복받고 견줄 데 없는 덕의 근본으로 크게 두려움이 없이 사자후를 외칩니다.
곧 보살의 태로서 한곳에 머물러 중생을 기쁘게 하고 다른 의심이 없게 하여 모든 부처님의 열여덟 가지 법을 체득하게 합니다.
보살의 태로서 성스런 지혜로 모든 중생을 인도하고 이익되게 하며 온갖 중생을 위해 모든 부처님의 법이 있는 시방의 국토에서 부처님 도를 권하고 돕습니다.
보살의 태로서 차별이나 특수함이 없이 태어나서 하나의 지혜[一慧]에 들어갑니다.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태(胎)입니다.
■ 보살의 마음의 업[心業]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생각할 수 있는 업으로 모든 것을 지어 곧 성취하되 마음에 겁을 내지 않고,
공덕을 쌓아 상호(相好)를 익히며,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크게 행보(行步)하여 온갖 악마의 권속을 항복시키고,
그때마다 가엾이 여기면서 모든 진로와 애욕을 녹여 없애 불퇴전을 닦고 또 크게 가엾이 여기는 행에서 물러나지 않으며,
부처님의 도량이 본래부터 청정하고 밝게 빛난 데에 이르렀으나 마음은 이른 바가 없고,
의지할 것도 없음을 알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중생 속에 들어가 그들이 좋아하는 데에 따라 교화시키며,
큰 범행(梵行)을 닦아 모든 부처님의 법에 들어가서 그 밖의 다른 도(道)는 좋아하지 않으면서 중생을 구제하고,
공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통달하여 모든 사견을 버리되 삼계를 버리지 않으며,
모든 장엄을 일으켜 금강계(金剛界)가 되어 견고하면서 파괴됨이 없고,
설령 모든 것이 악마가 된다 하여도 보살은 터럭 하나 동요하지 않고 덕행을 일으키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열 가지의 가엾이 여김[愍]입니다.
■ 보살이 덕의 갑옷[德鎧]을 입는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대자비의 갑옷[大慈鎧]을 입고 사람들을 도우며 보호하고,
끝없이 가엾이 여기는 마음[無極哀]을 닦으면서 뭇 괴로움을 참으며,
서원의 갑옷[誓願鎧]에 뜻을 두면서 일체의 방편을 충분히 펴고,
덕의 갑옷[德鎧]을 입도록 권하여 도우면서 모든 부처님의 청정한 행을 가까이 받들며,
공덕의 갑옷[功德鎧]을 일으켜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그 은혜를 입게 하고,
모든 도무극으로 중생들을 모두 제도하며,
성스런 지혜의 갑옷[聖慧鎧]으로 온갖 진로와 애욕을 녹여 없애고,
선권방편으로 뭇 덕의 근본을 심고 넓은 문[普門]으로 인도하면서 이롭게 하며,
일체지의 마음으로 안온하여 산란하지 않고 그 뜻에 변함이 없고,
한결같은 뜻으로 덕의 갑옷을 입고 마음에 법의 생각[法念]을 품고 잊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덕의 갑옷을 입고 뭇 악마를 항복받는 열 가지입니다.
■ 보살의 지팡이[杖]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시의 지팡이[布施杖]로 모든 간탐을 해치고,
금계의 업을 닦아 온갖 악(惡)을 범하는 일을 무너뜨려 없애며,
법의 지팡이[法杖]로 허망한 생각을 버리도록 권하고,
지혜로 중생의 진로와 애욕을 끊으며,
바른 업의 지팡이[正業杖]로 온갖 밝지 못한 생각을 멀리 여의고,
선권의 지팡이[善權杖]로 널리 자신의 음욕ㆍ성냄ㆍ어리석음의 어지러움을 나타내며,
보살은 모두 법의 지팡이로 중생의 온갖 애욕과 더러움의 문을 소멸하고,
생사(生死)에 있더라도 곧 지혜의 힘으로 더러운 행[穢行]을 끊어 주면서 교화하며,
하나의 법의 지팡이를 강설하여 모든 의지함[依倚]을 파괴하고,
온갖 지혜의 문으로 모든 거꾸로 가는 지게문[反逆戶]을 없애 버리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갖고 있는 열 가지 지팡이입니다.
■ 보살의 머리[頭]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아만이 없음[無慢]을 머리로 삼으니 천상이나 세간에서는 그 정수리를 볼 수 없어서이고,
스승[師長]에게 머리 조아리고 부모[二親]에게 효순하니 천상이나 세간에 대해 모두 무릎 꿇고 예배해서이며,
훌륭하고 미묘한 머리이니 삼천대천세계에서 머리에 이고 우러르지 않음이 없어서이고,
뭇 덕의 근본으로 으뜸가는 머리이니 삼계의 중생이 다 함께 와서 귀명함에서이며,
모든 중생을 대신하여 무거운 짐을 짊어지는 것을 베게로 삼는 머리이니 언제나 머리를 들어 올려 시방을 두루 살펴봄에서이고,
다른 이를 가벼이 여기지 않는 머리이니 짓는 바와 닦아 배움이 여러 사람보다 뛰어남에서이며,
지도무극(智度無極)의 머리이니 정수리에 법왕(法王)이 있어서이고,
권도방편의 머리이니 중생의 평등한 행을 널리 나타냄에서이며,
사람을 교화하는 머리이니 중생에게 정진하기를 권유하면서 두루 편안하게 함에서이고,
모든 여래의 법에 대한 가르침[法敎]을 닦는 머리이니 언제나 삼보를 받들면서 끊어지지 않게 함에서입니다.
이것이 바로 보살에게 있는 열 가지의 머리입니다.
■ 보살의 눈[眼]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육안(肉眼)으로 모든 빛깔을 모두 보고,
또 천안(天眼)으로 중생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바를 널리 보며,
지혜의 눈[智慧眼]으로 뭇 사람의 근성을 관하고,
또 법의 눈[法眼]으로 모든 법이 귀착하는 곳을 보며,
부처님ㆍ정각의 눈[佛正覺眼]으로 여래의 모든 열 가지 힘을 다 보고,
거룩한 지혜의 눈[聖慧眼]으로 모든 그릇된 법을 없애는 일을 보며,
광명의 눈[光明眼]으로 부처님의 거룩한 빛을 펴서 널리 비추는 것을 보고,
인도하고 이롭게 하는 눈[導利眼]으로 뽐내면서 스스로 잘난 체 함을 버리며,
무위의 눈[無爲眼]으로 막힘이 없이 보고,
일체지의 눈[一切智眼]으로 시방의 온갖 법문을 널리 보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눈입니다.
■ 보살의 귀[耳]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덕을 찬탄하는 것을 들으면서 모든 번뇌[結]와 집착을 끊는 것과,
만일 훼방함을 들으면 받은 것이 모두 제거되는 것과,
만일 성문이나 연각의 일을 들으면 기뻐하지도 않고 또 구하려 하지도 않는 것과,
만일 보살행을 찬탄함을 들으면 기쁨이 한량없으면서 지옥ㆍ아귀ㆍ축생의 길을 막으며 가령 빈궁하거나 8난(難)의 재난에 든 이가 있으면 그를 위하여 크게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과,
천상이나 인간 안의 안락한 곳에 태어나는 것에 대해 들으면 모두 덧없음을 알면서 마음속으로 대도(大道)를 그리워하는 것과,
만일 찬탄하는 모든 부처님의 공훈을 들으면 더욱더 정진하면서 이런 업을 완전하게 갖추는 것과,
만일 또 모든 도무극과 4은(恩)과 보살의 법장(法藏)을 듣게 되면 모든 것에 대해 힘써 닦고 모두 통달하여 이 일을 빠짐없이 갖추는 것이다.
불자여,
모든 보살들은 시방세계의 모든 부처님께서 선설하신 이치[義理]의 업을 알아야 하며,
개사(開士)들은 이것을 들으면 알아들을 수 있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며,
또 보살은 귀로 법을 듣고는 모든 것이 다 평등하여 하나로 정해진 것이며,
처음 뜻을 일으켜서부터 도량에 이르러 불수(佛樹) 아래 앉아 부처님이 되기까지 중생을 교화하면서 일찍이 게으르거나 그만두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귀입니다.
■ 보살의 코[鼻]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설령 좋은 향기를 맡는다 하여도 즐겁다고 알지 않는 것과,
또는 더러운 악취를 접해도 싫어하지 않는 것과,
향기와 악취를 평등하게 관찰하면서 다르게 여기지 않는 것과,
모든 향기와 악취는 다 있는 바가 없다고 권하는 것과,
의복ㆍ침구ㆍ예절의 향기와 악취며 음욕ㆍ성냄ㆍ어리석음의 일도 모두 평등한 마음으로 중생에게 들어가 크게 갈무리[大藏]되어 있는 것과,
수목의 뭇 향내도 다 함께 관찰하면서 향기는 없는 줄 아는 것과,
아래로는 무택지옥[無擇獄]으로부터 상계(上界)의 삼십삼천이 다하기까지 그 안에 있는 이름 있는 향기에 모두 집착함이 없으면서 그 본말(本末)을 연설하는 것과,
성문(聲聞)ㆍ계금(戒禁)ㆍ박문(博聞)ㆍ보시ㆍ지혜ㆍ도법(道法)의 향에 대해 듣고는 일체지를 생각하면서 마음에 일찍이 변하는 일이 없는 것과,
설령 모든 보살행을 받들게 되어도 지혜로 여래의 평등한 지위를 닦는 것과,
만일 여래 경계에 있는 지혜의 향을 갖추면 보살의 훌륭하고 묘한 도의 향이 끊어지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청정한 향입니다.
■ 보살의 혀[舌]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입으로 그지없는 중생의 행을 연설하고,
한량없는 모든 경전의 가르침을 널리 펴며,
한이 없는 모든 부처님의 공훈을 찬탄하고,
끝없는 멸도(滅度)와 변재를 노래하고 찬탄하며,
가없는 대승의 업을 찬송하고 연설하고,
입으로 하는 언사는 시방의 허공에 두루하며,
큰 광명은 모든 부처님 국토를 비추고,
입으로 연설한 말을 모두 중생으로 하여금 저마다 이해할 수 있게 하며,
그 말과 함께 입으로 편 것을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다 함께 찬탄하고,
온갖 악마와 바깥의 원수나 적과 진로(塵勞)와 생사는 모두 저절로 제거되어 고요한 무위(無爲)에 이르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말을 하는 입과 혀입니다.
■ 보살의 몸[軀]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이를테면 사람 몸을 받았으면 곧 사람의 말로 깨우쳐 교화하고,
또한 모든 사람 아닌 형상[非人形]과 지옥ㆍ아귀ㆍ축생도 가르치고 인도하여 계율의 가르침[律敎]을 따르면서 하늘의 몸[天身]으로 태어나게 하며,
또 모든 하늘의 형상과 욕계에 다니는 하늘 사람과 무색천(無色天)도 가르쳐 주고,
배울 것이 있는[有學] 이면 곧 학지(學地)로써 권유하여 나아가게 하며,
배울 것이 없는[無學] 이의 몸에 대해서는 그들을 위하여 아라한의 집착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연각의 몸에 있으면 그들을 위하여 연각이 받들어야 할 계율로 인도하고,
보살의 형상에 있으면 곧 그들을 위하여 대승의 업을 나타내 보이며,
여래ㆍ지진은 그 지혜가 한이 없는지라 때에 따라 말하고 나타내고,
스스로 높은 체 뽐내는 이를 보면 선권방편으로 일어나게 하며,
법신(法身)에는 번뇌가 없어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고,
모든 몸을 널리 나타내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몸입니다.
■ 보살은 열 가지 뜻의 행[意行]이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본디 전생[宿命]의 온갖 행한 바와 뭇 덕의 근본을 기억하고,
그 뜻을 건립하여 언제나 요긴한 뜻[要義]을 받들며,
마음으로 받아들여 언제나 부처님 도에 뜻을 두고,
마지막 근원에 이르기까지 중생의 몸을 가엾이 여기며,
생각에 번거로움이 없으면서 뭇 진로를 끊고,
그 뜻이 밝게 빛나면서 객진(客塵)과는 함께 어울리지 않으며,
생각에 선행(善行)을 선택하여 그것을 살피면서 그때마다 범하지 않고,
죄와 복을 자세히 관하면서 재앙이나 허물을 짓지 않으며,
모든 덕의 근본을 생각하고 모든 감관이 고요하게 안정되어 방일하지 않도록 제지하고,
그 뜻이 담박(澹泊)하여 부처님의 정의(定意)를 구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뜻의 행입니다.
■ 보살이 가고 걷는[行步]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법회(法會)에 나가기를 좋아하여 경의 뜻을 듣고 받아들이며 소리 없는 경지에 나아가되 또한 가려지거나 덮이지 않고,
음욕ㆍ성냄ㆍ어리석음과 두려움을 품지 않으면서 마음을 언제나 한곳에 모으며,
법을 강설함은 모두 중생을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욕계(欲界)에 이르러서도 중생을 깨우쳐 교화하고,
만일 색계(色界)나 무색계(無色界)에 이르면 형상의 정의[像定意]로 찾아 곧 되돌아오며,
널리 다섯 가지 도(道)에 나타나서 중생을 가르치고 타이르고,
신통의 지혜로써 모든 부처님 국토에 두루하여 모든 여래를 뵙고 머리 조아려 문안드리며,
노닐고 거니는 데서는 모두 법시(法施)를 행하고 이로 말미암아 큰 지혜를 얻고,
열반[泥洹]에 들었음을 나타내면서도 생사를 끊지 않으며,
법을 갖추고서 돌아다니면서 제도하고,
모든 부처님 모든 보살의 행을 일찍이 쉬거나 그만두는 일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노닐며 다니는[遊行] 열 가지의 일입니다.
보살이 여기에 머무르면 놀거나 놀지 않는 것도 없고 이로 인하여 널리 모든 여래의 행에 이르러 홀로 시방을 벗어납니다.
■ 보살이 머무르는 곳[處]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살의 마음에 머물러 있으면서 일찍이 잊어버리는 일이 없고,
도무극에 머물러 수행할 바의 업에 만족해하지 않으며,
법의 많은 수[法衆]를 모으면서 지혜를 통달하며 한적한 곳에 머무르면서 큰 선정에 이르러 일체지(一切智)를 수순하고,
덕으로 그치고 만족할 줄 알고 성현의 고요한 데 머무르면서 생각이 없으며,
또한 희망함도 없고,
법을 받들어 행하는 곳에서 바른 뜻을 멀리하지 않으며,
여래께 예배하고 귀의하면서 모든 부처님ㆍ정각의 위의와 예절을 완전히 갖추고,
신통의 처소에서 벗어나 빠짐없이 큰 지혜를 갖추며,
법인(法忍)을 체득한 이는 줄 바의 지혜가 원만하면서 도량(道場)의 처소에 앉고,
힘[力]과 두려움 없음[無畏]에 이르러 모든 부처님의 법이 충만한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머무르는 열 가지 곳입니다.
■ 보살이 앉는[坐]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복이 전륜왕(轉輪王)에 이를 수 있는 자리이며,
열 가지의 덕[十德]을 닦으면서 천상(天上)을 잃지 않고,
세간 사람이 있는 곳에서는 사천왕이 되며,
부처님의 높은 법을 모든 천하에 줌으로써 하늘의 제석[天帝]이 되어 뭇 사람들을 뛰어넘고,
범천(梵天)은 자재하게 다른 이의 마음을 섭취하고 또한 자기로 말미암아 얻으려 하며,
사자좌(師子座)에 이르러 법의 많은 수[法衆]를 일으켜 밝히고,
바른 법 자리[正法座]를 얻어 총지(總持)의 힘을 체득하며,
널리 모든 것을 비추면서 뜻이 굳고 강하고 바른 원[正願]을 세워서 시방에 두루 통달하지 않음이 없고,
크게 인자한 자리[大慈座]로 성을 내어 번뇌를 품은 이에게 기쁜 얼굴이 되게 하며,
크게 가엾이 여기는 자리[大哀座]로 모든 고뇌를 참으면서 근심거리로 여기지 않고,
금강의 자리[金剛座]에 앉아 뭇 악마와 모든 외적(外敵)을 항복받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열 가지의 자리입니다.
■ 보살이 누워 자는[臥寐]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이를테면 머무름이 고요하여 몸과 마음이 담박(澹泊)하고,
홀로 거처한 데 묵으면서 뜻[義]을 수순하여 사유하며,
그 시기를 잃지 않으면서 바른 선정[正定]에 머무르고,
몸과 마음이 고요하고 잠잠하면서 범천(梵天)에 거처하며,
자기 자신과 다른 이를 기쁘게 하면서 그 업을 잘 닦으면서 후세(後世)에 대하여 뜨거운 번뇌를 품지 않고,
평등한 행에 뜻을 두어 성[瞋恚]을 내지 않으며,
도의 행[道行]에 머무르면서 착한 벗에 대해 잘 알고,
미묘한 거처에 잘 머물면서 덕의 근본을 권하고 도우며,
모두 이치의 근원을 얻고서 구경에 이르도록 하고 도의 가르침[道敎]을 성취하고,
재업(財業)이 이롭지 못한 것은 바로 전생에 닦은 덕행인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누워 자는 열 가지의 일입니다.
■ 보살의 방[室]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끝없는 인자한 방[慈室]에서 마음에 중생을 평등하게 여기고,
크게 가엾이 여기는[大哀] 행으로 아직 배우지 못한 이를 가벼이 여기지 않으며,
아주 기쁘게[大喜] 하는 행으로 모든 기쁘지 않은 일을 제거하고,
온화하고 기뻐하는 얼굴빛으로 크게 보호하는[大護] 곳에서 행하며,
유위(有爲)와 무소유(無所有)에 평등하면서 모든 도무극(度無極)의 도심(道心)을 우두머리로 삼고,
공한 행[空行]을 두루 갖추면서 때에 따름을 환히 깨달아 알며,
무상(無相)의 행을 위하여 적멸(寂滅)에 머무르지 않고,
무원(無願)의 행을 위하여 내는 바가 지성스러우며,
뜻이 안온하고 자상한 행으로 빠짐없이 인욕을 갖추고,
모든 법의 행에 평등하면서 수결(受決:
授記)을 체득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일의 방입니다.
■ 보살이 머무르는[遊居] 데에 열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그 뜻을 머무르게 하여 네 가지 의지(意止)를 갖추고,
행을 머무르게 하여 법이 나아갈 바를 환히 알며,
그 뜻을 오직 모든 부처님만을 좋아하는 데에 두고,
모든 도무극으로 온갖 지혜를 갖추며,
네 가지 은혜[恩]의 행을 닦으면서 중생을 교화하고,
생사(生死)에 머물러 덕의 근본을 일으키며,
뭇 사람이 모인 데서 모든 시끄러움을 익히지 않고 그들의 좋아하는 바에 따라 제도하고 해탈시키고,
신통의 행을 나타내어 중생을 깨우치고 뛰어난 근성[根]으로 선권방편을 알며,
지(智)도무극으로 대중을 위하여 설법하고 도량에 머물면서 모든 통혜(通慧)를 통달하고,
보살행을 갖추어 행하면서 끊어지게 않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머무르는 열 가지 일입니다.”
이 말을 연설할 때에 삼천대천세계가 크게 진동하였고,
시방의 보살들이 모두 와서 찬탄하고 노래하였고,
머리에 이고 온 수미산(須彌山) 만큼의 하늘 꽃들을 모두 부처님 위에 뿌리고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모든 하늘[天]ㆍ용(龍)ㆍ신(神)도 모두 와서 받들어 공경하였고,
공후(箜篌)와 악기는 치지 않아도 저절로 울렸으며,
여인들의 귀고리ㆍ반지도 저절로 소리를 내었고,
날짐승ㆍ길짐승도 모두 함께 울었으며,
눈먼 이는 보게 되었고,
귀머거리는 듣게 되었으며,
절름발이는 뛰어다녔고,
곱사등이는 반듯하게 펴졌다.
미치광이는 정신이 들었으며,
병약한 이는 건강하게 되었고,
병든 이들은 낫게 되었으므로 모인 대중들은 다 함께 뛰며 매우 기뻐하고 축하하였다.
전생에 지은 녹(祿)이 두터웠으므로 이런 광명에 이르게 되었으며,
헤아릴 수 없는 사람들이 무생(無生)의 법인을 얻고 큰 도의 뜻을 일으켜 공덕이 모두 성취되었다.
○ [pt op tr]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Lab value 불기2563/10/24 |
댓글내용 |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11259#9285 sfed--도세품경_K0103_T0292.txt ☞제4권 sfd8--불교경율논코너sp_2563_10.txt ☞◆vkpd9285 불기2563-10-24 θθ |
'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세품경_K0103_T0292_002 (0) | 2019.10.24 |
---|---|
도세품경_K0103_T0292_003 (0) | 2019.10.24 |
도세품경_K0103_T0292_005 (0) | 2019.10.24 |
도세품경_K0103_T0292_006 (0) | 2019.10.24 |
아차말보살경_K0070_T0403_001 (0) | 2019.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