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31_T031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atsushika-Hokusai-sketch-of-daruma
Artist: Katsushika-Hokusa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Hokusai Title : sketch-of-daruma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osa_fax07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osa_fax07.jpg rosa Author Zanchetta Fabio (faxstaff) ● [pt op tr] fr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Barcelona_SMaria_del_Pi
Català: Església de Santa Maria del Pi, Barcelona, Espanya. This is a photo of a monument indexed in the Spanish heritage register of Bienes de Interés Cultural under the reference RI-51-0000422. Author Cruccon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Dawson Creek ,British Columbia Canad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Dipankara [san-chn]
rakṣâvaraṇaguptiṃ kariṣyati 將接 [san-eng]
bhūtabhṛt.h $ 범어 the maintainer of all living entities [pali-chn]
yathāsabhāvapaṭivedha 如達 [pal-eng]
nidaana.m $ 팔리어 adv.(in cpds.), by means of; in consequence of. [Eng-Ch-Eng]
了因 The "awareness-cause;" (jn~a^paka-hetu). An awareness, which produces its result--such as enlightenment; as opposed to generative cause (shengyin 生因). (2) The reasons for an opposing theory. (3) Understanding, initial awareness. [Muller-jpn-Eng]
化生八相 ケショウハッソウ eight phases of the Buddha's life [Glossary_of_Buddhism-Eng]
KOTI☞ A number defined as 10 million. #2148
[fra-eng]
abîmai $ 불어 spoiled [chn_eng_soothil]
提婆 deva. Explained by 天 celestial; also by 梵天人 inhabitants of the brahmalokas, or by 天神 celestial spirits. General designation of the gods of Brahmanism, and of all the inhabitants of devalokas who are subject to metempsychosis. Also 提波; 提和; 提桓. Used also for Devadatta, inf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離一切諸相, 卽名諸佛.」 그 까닭을 말하오면 온갖 상을 여읜 이를 부처라 하기 때문입니다.” [玄奘] 何以故? 諸佛世尊, 離一切想.」 作是語已, 爾時, 世尊告具壽善現言: [義淨] 所以者何? 諸佛世尊, 離諸想故.」 14-07 तत्कस्य हेतोः ? सर्वसंज्ञापगता हि बुद्ध भगवन्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깨달은님들과 복덕갖춘분들은 참으로 모든 산냐를 여의었기 때문입니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하오면?] ▼▷[sarvasaṁjñāpagatā] ① sarva+saṁjñā+apagatāḥ(njp.→ƾ.nom.pl.) → [모든 산냐를 여의었습니다(→여의었기 때문입니다)] ② sarva(pn.nj. whole, entire, all, every)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② apagata(p.p. gone away, departed, passed away, gone off, being remote; dead, deceased) ▼[hi] ① hi(ƺ.) → [참으로] ▼[buddhā] ① buddhāḥ(ƾ.nom.pl.) → [깨달은님들은] ▼[bhagavantaḥ] ① bhagavantaḥ(nj.→ƾ.nom.pl.) → [복덕갖추신.] è 이 법문을 체득한 이가 곧 복덕을 갖춘 채 깨달음을 얻은 이다.[1404~1407] ʱ 順觀 ① 末世에 이 법문을 배우고 가르칠 이는 최고로 경이로운 이들이며,[14-04] 그러한 그들에겐 어떠한 산냐도 또한 산냐 아닌 것도 일어나지 않는다.[14-05] ② [왜 일어나지 않는가?] '아뜨만에 대한 산냐'라고 한 것은 더 이상 '산냐'가 아니기 때문이다.[14-06] ③ [왜 산냐가 아닌가?] 복덕을 갖춘 채 깨달음을 얻은 이는 모든 '산냐'를 여의었기 때문이다.[14-07] ʲ 逆觀 ① 복덕을 갖춘 채 깨달음을 얻은 이는 모든 '산냐'를 여의었다. ② [그래서…] '아뜨만에 대한 산냐'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더 이상 '산냐'가 아니다. ③ [그래서…] 그들이 산냐나 산냐 아님을 일으키지 않는 까닭은 末世에 이 법문을 배워서 가르칠 수 있는 '최고로 경이로운 이'이기 때문이다. ʳ 結論 : 末世에 이 법문을 배워서 가르칠 수 있는 '최고로 경이로운 자'는 어떠한 산냐나 산 냐 아님도 일으키지 않기에 비록 어떤 산냐라고 말하더라도 그것은 이미 그들에겐 산냐가 아니므로 그들은 이미 모든 산냐를 여읜 붓다이자 세존인 셈이다. ʴ 問題 ① 명제 : 이 법문을 온전히 익혀서 남을 가르칠 수 있다면 어떠한 산냐도 여읜 자가 되는 셈이므로 그가 곧 붓다요 세존이다. ② 문제 : 어떤 법문이기에 그것을 완벽히 체득하면 어떠한 산냐도 여읠 수 있다는 것인가? ③ 해답 : ‘대지티끌/티끌、세계영역/영역、참되다는산냐’라는 법문… 相對의 상태에 머물지 않고 相對를 온전히 떠난 絶對의 상태에 들어설 수 있을 때 모든 산냐를 여의었다 할 수 있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