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가 입멸한 후 100년경부터 교단내에 분열이 일어나 여러 부파로 나누어져 성립된 불교.
각 분파의 계기는 주로 교의(敎義)의 해석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원][k]소승이십부[c]小乘二十部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관련키워드]
○ [pt op tr]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부파불교(部派佛敎, 영어: early Buddhist schools)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다.[1][2]
부파불교는 시기적으로는 원시불교(原始佛敎, pre-sectarian Buddhism) 이후의 시기를 뜻하는데, 대승불교가 서력 기원 전후에 발생한 후에도 부파불교의 부파들 중에는 대승불교의 종파들과 함께 시대적으로 나란히 활동했던 부파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세친(316~396)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로 전향하였다. 그가 설일체유부의 논사였을 때 저술하였던 《아비달마구사론》은 설일체유부의 교학의 강요서인데, 그는 부파불교의 경량부의 학설 등을 이용하여 비판적으로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집대성하였다.
즉, 이 때까지도 부파불교의 부파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으며, 또한 세친의 시대보다 200여년 후의 인물인 현장(玄奘: 602~664)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 따르면 그가 인도로 유학을 갔을 때도 여전히 정량부(正量部, 산스크리트어: Saṃmitīya) 등의 부파불교의 부파들이 상당한 세력으로 존재하고 있었다.[3]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그의 제자들은 스승의 인격에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의 노력에 의지하라는 자등명(自燈明: 자신을 등불로 삼으라)과 남겨진 가르침(법)에 의지하라는 법등명(法燈明: 법을 등불로 삼으라)의 유훈에 따라 고타마 붓다가 남긴 교법을 결집하여 경장과 율장을 편찬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제자들은 그 교법(특히, 사성제)을 깊이 연구 해석하여 여러 경전들에 나오는 불교의 이론과 실천 양면을 망라하여 이들을 체계화한 방대한 논서(Abhidharma-sastra, 아비달마샤스트라)들을 작성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부파불교를 한편으로는 아비달마불교(阿毘達磨佛敎)라고도 한다.[4] 서력 기원 전후에 새로운 대승불교(大乘佛敎)가 일어나게 되자 대승불교도들은 그때까지의 부파불교를 소승불교(小乘佛敎)라고 폄하하여 칭하였다.[2]
목차
1 불교 전통 연표
2 역사
2.1 제1회 결집
2.2 제2회 결집과 근본 분열
2.3 부파의 성립과 지말 분열
3 부파불교의 부파들
3.1 남방불교의 설
3.1.1 상좌부 계통
3.1.2 대중부 계통
3.1.3 기타 계통
3.2 북방불교의 설
3.2.1 상좌부 계통
3.2.2 대중부 계통
4 부파불교의 성격
5 각주
6 참고 문헌
7 같이 보기
불교 전통 연표: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 v • d • e • h
○ 불교전통연표_위키백과.jpg
450 BCE 250 BCE /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인도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 그레코 불교 - 티베트 불교
-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한·중·일 -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 - 밀교 · 진언종
450 BCE 250 BCE /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범례: = 상좌부 불교 전통 = 대승불교 전통 = 밀교·금강승 전통
역사:
■ 제1회 결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1회 결집입니다.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다음 해에 마하가섭의 주재로 왕사성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제1회 결집이 열렸다. 아난(阿難)이 경(經)을 독송하고 우바리(優婆離)가 율(律)을 송출(誦出)하여, 원시불교의 기본 경전과 계율이 확립되었다. 아난이 독송한 경은 후대에 《아함경(阿含經)》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 대중부의 전승에 따르면, 제1회의 칠엽굴(七葉窟)에서의 결집에 참여하지 못한 여러 승려들은 부루나(富樓那)의 주재로 굴외결집(窟外結集)이라는 것을 열어 이의를 제기하였는데, 이와 같이 불교 교단의 밑바닥에서는 신구의 두 경향이 대립하였다.[6]
굴외결집에 의해 형성된 경전을 잡경(雜藏)이라 하였으며, 이 가운데는 대승 불교 경전의 전신(前身)이 된 《방광경(方廣經)》이 있었다. 제1회 결집 자체가 열린 적이 없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7][8]
■ 제2회 결집과 근본 분열: 이 부분의 본문은 제2회 결집입니다.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약 100년이 지나게 되자 계율에 대해 새로운 견해를 주장하는 비구들이 있어 논쟁이 일어났다.[9] 스리랑카의 편년체 역사서이자 남방불교의 자료인 《도사(島史 · Dipavamsa)》와 《대사(大史 · Mahavamsa》에 따르면, 동부 비구 승단에 속한 와지족의 비구가 계율에 대한 새로운 열 가지 안("십사 · 十事")을 승인해 줄 것과 이에 따라 계율을 수정할 것을 주장하였다.[10]
이에 인도 서부 마유라(摩偷羅)국의 비구였던 야사(耶舍)는 인도 동부와 서부의 700명의 장로(長老: 상좌 · 上座라고도 함)를 초청하여 바이샬리(Vaisali · 비사리 · 毗舍離)에서 제2회 결집을 열어 주로 율장(律藏)을 편집하고 교단의 통제에 힘을 기울였다.[11]
제2회 결집은 칠백결집 또는 비사리 결집이라고도 한다. 제2회 결집에서 동부 비구 승단이 주장하는, 계율에 대한 열 가지 새로운 견해("십사 · 十事")가 잘못된 것이라는 결정이 내려졌다. 이것을 십사비법(十事非法)이라 부른다.
제2회 결집 당시에는 분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남방불교에 대한 자료인《도사(島史 · Dipavamsa)》 등에 따르면, 그 후에 제2회 결집의 결정에 불복한 진보적인 동부 승단의 비구들이 1만명의 다수인을 모아 독자적인 결집을 열어 계율을 수정하였다. 이를 대결집(大結集)이라 부르는데 이들은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로부터 이탈하여 대중부(大衆部)를 형성하였다.[11] 이와 같이 불교 교단은 계율에 대한 의견 차이에서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 산스크리트어: स्थविरवाद Sthaviravāda 스타비라바다, 팔리어: Theravāda 테라바다)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 산스크리트어: महासांघिक Mahāsāṃghika 마하상기카)의 둘로 분열되었다.
이를 근본 분열(根本分裂) 또는 근본이부 분열(根本二部分裂)이라 하며 상좌부와 대중부를 근본이부(根本二部)라 한다.[6]
근본 분열을 계기로 인도 불교는 부파불교의 시대로 들어가게 되었다.[10] 한편, 근본 분열의 발생 계기에 대해서, 북방불교의 자료에서는 위에 기술된 남방불교의 내용과는 달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현대의 학자들은 남방불교의 자료가 사실인 것으로 보고 있다.[10]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을 포함한 북방불교의 자료들에 따르면, 불멸(佛滅) 후 100년경 아소카왕의 치세 때, 마하데바(Mahadeva · 대천 · 大天)라는 진보파 비구가 교의에 관한 다섯 가지의 새로운 안을 주장하며 그것을 승인해 줄 것을 교단에 요구하였는데, 이 다섯 가지 안을 대천오사(大天五事)라 한다. 대천오사에 찬성하는 진보파의 대중부(大衆部)와 이에 반대하는 보수파의 상좌부(上座部)로 양분되었다.[9][10]
■ 부파의 성립과 지말 분열:
근본이부의 분열이 가져온 분열의 기운은 교리상의 견해, 지도자간의 대립, 지리적 조건 등으로 인하여 더욱 심화되어 붓다의 입멸 후 약 200년 뒤에는 대중부 계통으로부터, 그리고 그 뒤에 이어서 상좌부 계통으로부터 교단의 파생적인 분열이 촉진되었다.[12] 이에 따라 서력 기원을 전후하는 시기에는 총 18-20개 정도의 부파가 형성되었다.[13]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등의 북방불교의 자료에 따르면, 근본분열 후 약 200년 동안에 걸쳐 상좌부와 대중부 모두에서 부파적 분열이 거듭되어 총 18부로 나뉘었는데 이것을 지말분열(枝末分裂)이라 한다.[6] 근본분열에 의한 근본이부와 지말분열에 의한 18부를 합하여 총 20부의 부파를 소승20부(小乘二十部)라 한다.[6] 그 후 기원 전후에 새로운 대승불교(大乘佛敎)가 일어나게 되자 대승불교도들은 그때까지의 부파불교를 소승불교(小乘佛敎)라고 폄하하여 칭하였다.[2] 부파불교의 부파들:
부파불교 시대의 여러 갈래로 분열하는 모습과 파의 이름 그리고 분파의 수에 관하여는 여러 설이 있다.[12] 대표적인 것으로는 남방불교의 설과 북방불교의 설이 있다. 스리랑카의 편년체 역사서인 《도사(島史, 팔리어: Dīpavamsa)》와 《대사(大史, 팔리어: Mahāvaṃsa)》에 기록된 남방불교의 설에 따르면 총 18부파로 분열되었다. 이에 비해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등의 북방불교의 설에 따르면 총 20부파로 분열되었으며, 이 계통에서는 소승20부(小乘二十部)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설을 비교해보면 부파의 수도 다를 뿐만 아니라 어느 부파가 모체가 되어 분열되었는가에 대해서도 그 내용이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학자들은 두 설을 종합하고 다른 자료들을 보충하여 이들 두 전통적인 견해와는 다른 견해를 제출하기도 한다. 부파 발생의 주된 원인은 계율의 해석에 관한 학설 상의 차이에 있었지만, 학설보다는 지도적 장로(長老)를 중심으로 한 체제가 달랐거나 지리적으로 너무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부파를 형성하는 일도 생겼다. 북방불교의 설에 따르면 대표적 부파로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 설산부(雪山部) · 독자부(犢子部) · 화지부(化地部) · 음광부(飮光部) · 경량부(經量部) 등이 존재하였다.[13] 남방불교의 설:
스리랑카의 편년체 역사서인 《도사》와 《대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총 18부파로 분열되었다.[14][15]
▪ ▪ 일설부(一說部, Ekavyāvahārika) - 제1차 분열: 불멸 후 200년 초
▪ ▪ 설출세부(說出世部, Lokottaravāda) - 제1차 분열: 불멸 후 200년 초
▪ ▪ 계윤부(鷄胤部, Gokulika) - 제1차 분열: 불멸 후 200년 초
▪ ▪ 다문부(多聞部, Bahuśrutīya) - 제2차 분열: 불멸 후 200년 중
▪ ▪ 설가부(說假部, Prajñaptivāda) - 제3차 분열: 불멸 후 200년 중
▪ ▪ 제다산부(制多山部, Caitika) - 제4차 분열: 불멸 후 200년 말
▪ ▪ 서산주부(西山住部, Aparaśaila) - 제4차 분열: 불멸 후 200년 말
▪ ▪ 북산주부(北山住部, Uttaraśaila) - 제4차 분열: 불멸 후 200년 말
■ 부파불교의 성격:
부파불교 시대 동안, 각 부파는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정리 · 분류하고, 각기 독자적인 "경(經)"과 "율(律)"을 전하였다. 또한 이와 동시에 경과 율을 해석 · 연구하여 조직 체계화하는 학문을 발달시켰는데 이것을 아비달마(阿毘達磨: 對法 · 대법)라 하여 논(論)이라 불렀다. 이를 통해 부파불교는 불교 교의의 확립이라는 점에서 큰 공적을 남기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교의의 번잡화(煩雜化)와 불교의 학문화(學問化)는 불교가 종교로서의 생명을 잃게 하고 신앙을 고갈시켰으며, 새로운 불교개혁운동인 대승불교를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다.[2]
■ 각주:
★[1]
"원시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0년 12월 20일에 확인.
"원시불교: 原始佛敎 불교는 불타(佛陀:
Buddha)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하면서 그것이 계승·전파되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시대와 더불어 발전하여 온 것이다.
인도에서 발생하여 아시아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퍼져나간 불교를 모두 똑같은 한가지의 것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각기 다른 특색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불타가 도(道)를 깨닫고 전도를 시작한 때로부터 그의 입적(入寂) 후 제자들이 그의 가르침을 정리하여 성립된 불교를 일반적으로 원시불교라 한다.
그 기간은 불타의 제자들 사이에 분파가 생겨날 때까지의 약 2,300년간을 말하는데 북방불교와 남방불교의 자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원시불교의 특색은 불타의 가르침이 직접화법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으나 실은 제자들에 의하여 구전(口傳)된 것이 불타의 입적 후 정리된 것으로 그 확실성의 한계점을 긋기는 어려운 것이다.
불타 및 그의 직제자(直弟子) 시대의 불교를 근본불교(根本佛敎)라 하고 그 후의 것을 협의의 원시불교라 하는 설도 있다."
★[2]
가 나 다 라 "소승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
"소승불교: 小乘佛敎 석존(釋尊)이 멸한 뒤 100년경,
불교 교단은 계율에 대한 의견 차이에서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의 둘로 분열되고(근본분열),
그 후 약 200년 동안에 걸쳐 분열을 거듭하여 18부로 나뉘어(枝末分裂) 근본2부(根本二部)를 포함해서 20부가 되었다 한다.
이것이 부파(部派)불교라는 것인데,
그 후 기원 전후에 새로운 대승불교가 일어나게 되자 지금까지의 부파불교를 소승불교(小乘佛敎)라고 폄칭(貶稱)하게 되었다.
이 부파시대의 불교는 각 부파마다 석존의 가르침을 정리·분류하고,
각기 독자적인 '경(經)'과 '율(律)'을 전함과 동시에 이들을 해석·연구하여 조직 체계화하는 학문이 발달하였다.
이것을 아비달마(阿毘達磨:
對法)라 하여 논(論)이라 불렀다.
소승불교는 이처럼 교의의 확립이라는 점에서 큰 공적을 남겼는데,
교의의 번잡화(煩雜化)는 불교의 종교로서의 생명을 잃게 하고 신앙을 고갈시켰으며,
새로운 불교개혁운동(대승불교)을 초래하는 결과가 되었다.
"
★[3]
The distinguished Buddhologist Étienne Lamotte, using the writings of the Chinese traveler Xuanzang, asserted that the Saṃmitīya were in all likelihood the most populous non-Mahāyāna sect in India, comprising double the number of the next largest sect (Lamotte, Etienne. 《History of Indian Buddhism》. 1988. pg 539-544), although scholar L. S. Cousins revised his estimate down to a quarter of all non-Mahāyāna monks, still the largest overall ("Person and the Self." Buddhism: Critical Concepts in Religious Studies, Vol. 2, pgs 84-101). The Saṃmitīya sect seems to have been particularly strong in the Sindh, where one scholar estimates 350 Buddhist monasteries were Saṃmitīya of a total of 450 (《Religion and Society in Arab Sind》 by Maclean, Derryl. Brill: Leiden 1989. pg 154). This area was rapidly Islamized in the wake of the Arab conquest (《Religion and Society in Arab Sind》 by Maclean, Derryl. Brill: Leiden 1989). The end of the Saṃmitīya sect appears to coincide with the overall decline of Buddhism in India.
★[4]
권오민 (2000). "아비달마불교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론", 《한국불교학》 제27집.
p. 129.
★[5]
"제1결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
"제1결집: 第一結集 불타의 설법은 주로 구화(口話)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불타가 입적하게 되자 그의 가르침의 내용이 올바르게 후대에 전해질 것인가가 의심스러워졌다.
이에 불타의 교법(敎法)을 옳게 파악해 놓지 않으면 사이비 설법이 세상에 나돌아 결국에는 정법정률(正法正律)이 없어지게 될 것임을 두려워한 마하가섭은 불타의 입멸 이듬해의 우계(雨季)에 왕사성 밖의 칠엽굴(七葉窟)에 500명의 비구를 모아놓고 불타의 가르침에 대한 결집(結集)을 거행하였다.
결집이라 함은 여러 사람이 모여서 각자가 이해하고 파악한 불타의 가르침으로서 다시 교단이 확인하는 일이다.
이것은 불타가 남긴 가르침의 산일(散逸)을 막고 교단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었다.
(영어) Hoiberg, Dale; Indu Ramchandani. "Early Buddhist schools" entry in 《Students' Britannica India》, p. 264. Popular Prakashan, 2000. ISBN 0-85229-760-2.
★[8]
(영어) Williams, 《Mahayana Buddhism》, Routledge, 1989, p. 6.
★[9]
가 나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T49n2031_p0015a17(00) - T49n2031_p0015a25(00).
2008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如是傳聞。
佛薄伽梵般涅槃後。
百有餘年去聖時淹。
如日久沒。
摩竭陀國俱蘇摩城王號無憂。
統攝贍部。
感一白蓋。
化洽人神。
是時佛法大眾初破。
謂因四眾共議大天五事不同。
分為兩部。
一大眾部。
二上座部。
四眾者何。
一龍象眾。
二邊鄙眾。
三多聞眾。
四大德眾。
其五事者。
如彼頌言。
餘所誘無知 猶豫他令入
道因聲故起 是名真佛教 다음 글자 무시됨: ‘세우보살 조,
현장 역’ (도움말)
★[10]
가 나 다 라 마 "인도불교의 부파와 학파 - 소승20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
“小乘二十部 북방불교의 자료들에 의하면 불멸(佛滅) 후 100년 아쇼카왕 치세 때,
마하데바(Mahadeva:
大天)라고 하는 진보파 비구가 교의에 관한 5개조의 신설(新說)을 제창하고 그 승인을 교단에 구했을 때에,
또한 남방불교의 자료인 실론의 <도사(島史)>나 <대왕통사(大王統史)>에서는 와지족의 비구가,
계율에 대한 십사(十事)의 신설(十事非法)을 주창했기 때문에(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후자가 승인되고 있다) 불교교단이 신설에 찬성하는 진보파의 대중부(大衆部)와 이에 반대하는 보수파의 상좌부(上座部)로 양분되었다.
이것이 근본분열(根本分裂)이며,
이를 계기로 부파불교의 시대로 들어간다.
근본2부(根本二部) 중,
우선 대중부(大衆部)에서 200년 만에 일설부(一說部)·설출세부(說出世部)·계윤부(鷄胤部)의 3부가 갈라져 나왔고,
이어 다문부(多聞部)·설가부(說假部)가 갈라졌다.
제200년 말에는 제다산부(制多山部)·서산주부(西山住部)·북산주부(北山住部)가 나뉘면서 대중부는 불멸 후 200년 말에는 본말(本末) 합쳐서 9부(九部)가 되었다.
한편,
상좌부(上座部) 측은 근본분열 후 쫓기어 히말라야 지방으로 옮겨갔는데 불멸 후 300년 초에 2개로 분열하여 설일체유부(說一體有部)와 설산부(雪山部)가 되고,
40 용과 귀신이 모든 독한 종기병을 퍼뜨려 종기와 부스름, 고름이 나서 아픔을 참기 어려울 때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고 독한 종기에 세 번 침을 뱉으면 종기는 입을 따라 사라지게 되며 ● 불라사야 佛囉舍那<四十> p ra śa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화의사교(化儀四敎). 천태종에서 석존 일대의 교설을 교화하는 법, 곧 교리의 내용에 의하여 4종으로 분류한 것. 장교ㆍ통교ㆍ별교ㆍ원교. ⇒<유사어>장통별원<참조어>장통별원(藏通別圓)ㆍ<유사어>천태사교<참조어>천태사교(天台四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