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U Dhammaloka [san-chn]
niścikīrṣu 求 [san-eng]
svacakṣuṣā $ 범어 your own eyes [pali-chn]
vitthambhana 持 [pal-eng]
lokantara $ 팔리어 nt.a different world; the space between the worlds. [Eng-Ch-Eng]
勤 (1) To endeavor, strive, work. (virya) (2) Diligent, industrious, willing to toil. [Muller-jpn-Eng]
香境 コウコウ (term) odor [Glossary_of_Buddhism-Eng]
TRANSLATION / BUDDHIST TEXTS☞ (I) Famous Translators in Mahayana See: 1. An-Shi-Kao; 2. Bodhiruci; 3. Kumarajiva; 4. Hsuan-Tsang. (II) Problems /Opportunities “For an average person to reach an acceptable proficiency as a translator, some twenty years of intensive study and meditation would constitute a bare minimum.” Doboom: 25 “A Buddhist translator looks at the scriptures as medicine to cure the mental diseases of humans, not as a work of mainly historical and philological interest that has its place in the field of knowledge like every other subject. The Buddha himself compared the Dharma to medicine quite frequently. When such a translator chooses the texts he likes to work on, he is inclined to take those texts in the first place that are most needed as a foundation for the path to liberation. His decision does not depend on the curriculum of a university or financial considerations.” Doboom: 230 “Professor Griffiths’ point about the responsibilities of a Buddhologist is that one should contextualize the text, both within the tradition it comes out of, and within the corpus of writings of the author. I think that he is quite right. We are translating not only into the language of the West but into the culture of the West, and in so doing we are bound by the conventions and expectations of that culture. Western culture (and I use this term with reservation, since it now dominates far more than simply the West) has become an historical one; we see the world in historical terms and we need context. Further, in translating into English, we are bound by the scholarly standards of Western culture. [Buddhists] may not have written their texts with footnotes, with explanations of technical terms and unclear referents, with reference to the Sanskrit of a passage even where available, but we, in translating into the idiom of our culture, must.” “As for concluding procedures [after a translation is completed], generally I try to pass the final manuscript around to a few fellow translators for their appraisal; and then try to have a few literati friends who know little or nothing about… Buddhism read through the material, to see if it works as literature in the unreal world of the urban concrete jungle.” Note: “The restriction to one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is sometimes more useful for the spiritual progress of the practitioner than the mixing of various traditions in one work. Furthermore, a translator who is a practicing Buddhist considers his spiritual experience derived from his faithful practice in prayer, meditation and debate as an important condition to complete his understanding of the texts.”
73 너희들 대중과 범왕과 제석과 사천왕과 천용과 귀신들은 다 마땅히 공경하여 가벼이 생각하는 마음과 오만한 마음을 내지말며 항상 모름지기 이 보살께 공양하고 명호를 부르고 마음으로 생각[稱念]하며 예찬(禮讚)하면 무량한 복을 얻고 무량한 죄를 멸하며 목숨이 마치면 극락세계인 아미타불(阿彌陀佛) 국토에 가 태어나게 되리라." ● 사바하 娑婆訶<七十三>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제목 : 그때에 발제가 고요한 곳의 나무 밑에 홀로 앉아서 생각하다가 밤이 지난 뒤에 높은 소리로 외쳤다.
“매우 즐겁구나. 매우 즐겁구나.” 그 가까이 있는 비구들이 듣고 생각하였다. ‘이 발제 비구는 본래 속세에 있을 때에 항상 5욕을 즐기다가 그것을 버리고 집을 떠나 도를 닦는데, 이제 고요한 곳의 나무 밑과 무덤 사이에 있으면서 밤이 지난 뒤에 스스로 외치기를 ≺매우 즐겁다. 매우 즐겁다≻ 하는구나. 이 발제 비구는 본래 집에 있을 때에 5욕을 마음껏 즐기던 것을 생각하면서 매우 즐겁다고 외치는 것이 아닐까?’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다음날 아침에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모두 여쭈었다. 부처님께서는 한 비구에게 분부하셨다. “너는 빨리 발제 비구를 불러 오너라.” 그 비구가 분부를 받고, 곧 발제 비구를 부르러 가서 말했다. “부처님께서 그대를 부르시오.” 그때에 발제 비구가 곧 부처님께 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으니, 부처님께서는 아시면서도 짐짓 물으셨다. “발제야, 어찌 하였느냐? 참으로 고요한 곳의 무덤 사이와 나무 밑에 있다가 한밤중에 매우 즐겁다고 외쳤느냐?” 발제가 대답하였다. “진실로 그러하옵니다.” “발제야, 너는 어떤 이치를 보았기에 매우 즐겁다고 외쳤느냐?” “제가 본래 집에 있을 때에는 안팎을 항상 칼과 몽둥이로 호위하였사온데 이와 같이 호위하여도 오히려 두려움이 있었사오니, 밖에서 도적들이 와서 저의 목숨을 빼앗을까 두려워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제가 고요한 곳의 무덤 사이와 나무 밑에 있으면서 이와 같이 즐거운 것은 밤중이 되어도 두려움이 없고 몸의 터럭도 일어서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이시여, 저는 벗어나는 즐거움을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매우 즐겁다고 스스로 외쳤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말이다. 착한 남자야, 그것이 네가 마땅히 할 바로서 믿음으로 집을 떠나, 청정한 행을 즐기는 것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