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Four Divine Abidings [san-chn]
aranyaka 在阿蘭若處 [san-eng]
śaucaṃ $ 범어 cleanliness [pali-chn]
vodāna 淸淨 [pal-eng]
pa.tikkuulataa $ 팔리어 f.reluctance; loathsomeness. [Eng-Ch-Eng]
十事非法 Ten immoral practices. These were found in the behavior of the monks of the Vajjiputtaka sect by Ya/sas, whose critique brought about the Second Buddhist Council. The ten kinds of behavior the Vajjis regarded to be pure are: (1) preserving salt in a horn 角鹽淨; (2) taking food when the shadow is beyond two fingers wide 二指淨; (3) after finishing one meal, going to another town for another meal 他聚落淨; (4) holding several confession ceremonies within the same monastic boundary 住處淨; (5) confirming a monastic act in an incomplete assembly 隨意淨; (6) carrying out an act improperly and justifying it by its habitual performance in this way 所習淨; (7) after eating, drinking unchurned milk that is somewhere between the states of milk and curd 生和合; (8) drinking unfermented wine 飲闍樓&FK-FB54;淨; (9) using a mat without a border 無緣坐具淨; and (10) accepting gold and silver 金銀淨. [Muller-jpn-Eng]
力波羅蜜菩薩 リキハラミツボサツ (name) Vīrya-pāramitā Bodhisattva [Glossary_of_Buddhism-Eng]
PARABLE: WOMAN WHO IS ABOVE WORRY AND CARE☞ “A laywoman once approached a well-known Elder Master and asked: ‘I have recited the Buddha’s name for some time now, but have not seen any sign of progress. Can you explain to me why this is so?’ The abbot said, ‘Reciting the Buddha’s name is not difficult; the difficulty lies in (1) perseverance. Perhaps you have not recited regularly and in a persevering manner.’ The laywoman replied, ‘You are entirely right. I am usually interrupted in my recitation and have not been persevering, because of family obligations. From now on, I will put aside all distractions and vow to keep reciting exactly as taught.’ Some time later, she returned and asked, ‘Since receiving your instructions last time, I have put aside all external distractions and recited the Buddha’s name regularly, every day. Why is it that I still do not see any results?’ The abbot replied, ‘Reciting the Buddha’s name is not difficult; the difficulty lies in perseverance. Persevering is not difficult; the difficulty lies in (2) being single-minded. Although, on the surface, you may have put all distractions aside, in your mind you still worry about possessions and property and are still attached to children and family. You have neither discarded worry nor eliminated the root of love-attachment. How can you achieve one-pointedness of mind and see Amitabha Buddha?’ Hearing this, the woman sighed aloud ‘That is so true, Master! Although I have seemingly abandoned all distractions, my mind is still preoccupied with them. From now on, I vow to disregard everything and recite the Buddha’s name singlemindedly.’ Thereupon she went home and, from that time on, each time her children or anyone else sought her advice or confided in her, she would invariably reply, ‘I want peace of mind, and do not wish to be bothered by anything.’ For this reason, everyone referred to her as ‘the woman who is above all worry and care.’ A few years later, she went to bow to the abbot at his temple, saying, ‘Thanks to your advice and teaching, I have now achieved one-pointedness of mind and have seen Amitabha Buddha. I have come to pay my respects and take leave of you, Abbot, because I will soon be reborn in the Pure Land.’ The laywoman in our story achieved liberation because she was enlightened to two principles: perseverance and single-mindedness. Thus, to be successful, the Pure Land practitioner should consider everything, from personal possessions and property to family and friends, to be illusory and phantom-like, coming together temporarily and then disintegrating. If we care about family and friends, we should ensure our own rebirth and liberation and then rescue them. This is true affection! Therefore, to recite the Buddha’s name effectively, we should not only ignore one hundred distractions, we should discard all distractions, be they one thousand or tens of thousands!” Tam: 229-230
[fra-eng]
atténuées $ 불어 attenuated [chn_eng_soothil]
持明藏 The canon of the dhāraṇīs; vidyādhara-piṭak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若胎生、若濕生、若化生, 若有色、若無色、若有想、若無想、若非有想・非無想, 我皆令入無餘涅槃, 而滅度之. 이른바 세상에 있는 온갖 중생으로서 난생(卵生)、태생(胎生)、습생(濕生)、 화생(化生)과 유색(有色)、무색(無色)、유상(有想)、무상(無想)、비유상(非有 想)、비무상(非無想)의 온갖 중생을 내가 모두 제도하여 무여열반(無餘涅槃) 에 들도록 하리라 하라. [玄奘] 所有諸有情, 有情攝所攝, 若卵生、若胎生、若濕生、若化生、若有色、若無色、若有想、若無想、若非有想非 無想, 乃至有情界施設所施設, 如是一切, 我當皆令於無餘依妙涅槃界而般涅槃; [義淨] 所有一切眾生之類, 若卵生、胎生、濕生、化生、若有色、無色、有想、無想、非有想非無想, 盡諸世界所有眾生, 如是一切, 我皆令入無餘涅槃而滅度之; 03-02 यावन्तः सुभूते सत्त्वाः सत्त्वधातौ सत्त्वसंग्रहेण संगृहीता अण्डजा वा जरायुजा वा संस्वेदजा वा औपपादुका वा रूपिणो वा अरूपिणो वा संज्ञिनो वा असंज्ञिनो वा नैवसंज्ञिनो नासंज्ञिनो वा, यावान् कश्चित्सत्त्वधातुः प्रज्ञप्यमानः प्रज्ञप्यते, ते च मया सर्वेऽनुपधिशेषे निर्वाणधातौ परिनिर्वापयितव्याः। yāvantaḥ subhūte sattvāḥ sattvadhātau sattvasaṁgraheṇa saṁgṛhītā aṇḍajā vā jarāyujā vā saṁsvedajā vā aupapādukā vā rūpiṇo vā arūpiṇo vā saṁjñino vā asaṁjñino vā naivasaṁjñino nāsaṁjñino vā | yāvan kaścitsattvadhātuḥprajñapyamānaḥ prajñapyate | te ca mayā sarve'nupadhiśeṣe nirvāṇadhātau parinirvāpayitavyāḥ | 수보리여! 알에서 태어난 것들이거나 태로 태어난 것들이거나 습기에서 태어난 것들이거나 化現하여 태어난 것들이거나, 형상이 있는 것들이거나 형상이 없는 것들이거나 인식작용이 있는 것들이거나 인식작용이 없는 것들이거나 결코 인식작용이 있는 것이 아닌 것들이거나 인식작용이 없는 것이 아닌 것들이거나, 중생들이 중생들의 세계에서 중생이라는 무리로 무리지어 있는 만큼, (또한) 알려지고 있는 어떤 중생들의 세계가 알려지는 만큼, (바로 그만큼) 모든 그들은 나에 의해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열반의 세계에서 완전한 열반에 들게 될 것이다( 라고). ▼▷[yāvantaḥ] ① yāvantaḥ(nj.→ƾ.nom.pl.) → [(어떤) 만큼인] 「어떤 만큼인 중생들이 ~ 무리지어 있다(+면)」 + 「그들은 해탈~」 → 「중생들이 무리지어 있다면 바로 그만큼 그들은 해탈~」 → 「중생들이 무리지어 있는 만큼 바로 그만큼 그들은 해탈~」 ② yāvat(nj. as great, as much, as long; as many as, so much as: ƺ. as far as, up to, till)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sattvāḥ] ① sattvāḥ(ƾ.nom.pl.) → [존재들은 → 중생들은] sat(존재)tva(상태) → 존재하는 상태를 지닌 것 → 衆生 : ① 존재하는 상태, 즉 살아있는 상태를 지닌 것. 곧 ‘살아있는 것’ ② 존재하고 있는 상태, 즉 해탈하여 存在라는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 곧 ‘해탈하지 못한 것[衆生]’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character; consciousness, mind, sense) ▼[sattvadhātau] ① sattva+dhātau(ƾ.loc.) → [존재들의 세계에서 → 중생의 세계에서] ② dhātu(ƾ. a constituent or essential part, an ingredient; an element; a part, portion) ▼[sattvasaṁgraheṇa] ① sattva+saṁgraheṇa(ƾ.ins.) → [존재들의 무리로 → 중생의 무리들로 → 중생이라는 무리들로] ② saṁgraha(ƾ. seizing, grasping, taking; clenching the fist; reception; guarding, protection) ▼[saṁgṛhītā] ① saṁgṛhītāḥ(njp.→ƾ.nom.pl.) → [무리지어 있다] ② saṁgṛhīta(nj. gathered, collected; grasped, seized; restrained, governed) ▼[aṇḍajā] ① aṇḍajāḥ(nj.→ƾ.nom.pl.) → [알에서 태어나는] ② aṇḍaja(nj. born from an egg) < aṇḍa(ƾƿ. the testicles; the scrotum; an egg) + ja(nj. born from) < jan(4.Ʋ. to be born) ▼[vā] ① vā(ƺ.) → [또는] ② vā(ƺ. or, either, or else) ▼[jarāyujā] ① jarāyujāḥ(nj.→ƾ.nom.pl.) → [태로 태어나는] ② jarāyuja(nj. born from the womb, viviparous) < jarāyu(ƿ. the slough or castoff skin of a serpent; the outer skin of the embryo; the uterus, womb) ▼[vā] ① vā(ƺ.) → [또는] ▼[saṁsvedajā] ① saṁsvedajāḥ(nj.→ƾ.nom.pl.) → [습기에서 태어나는] ② saṁsvedaja(nj. born from the moisture) < saṁ(ƺ. with) + sveda(ƾ. sweat, perspiration; heat, warmth; vapour) < * + a < svid(4.ǁ. to sweat, perspire) ▼[vā] ① vā(ƺ.) → [또는] ▼[aupapādukā] ① aupapādukāḥ(nj.→ƾ.nom.pl.) → [스스로 태어나는 → 化現하여 태어나는] ② aupapāduka(nj. selfproduced) < upapāduka(nj. selfproduced: ƾ. a superhuman being, God) < upapad(4.Ʋ. to reach, come to, approach; to be got or obtained; to take place, occur) < upa(ƺ. toward, near to) + pad(10.Ʋ. to go or move: 4.Ʋ. to go to) ▼[vā] ① vā(ƺ.) → [또는] ▼[rūpiṇo] ① rūpiṇaḥ(nj.→ƾ.nom.pl.) → [형상이 있는] ② rūpin(nj. appearing like; embodied, incarnate; beautiful) < * + in <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vā] ① vā(ƺ.) → [또는] ▼[arūpiṇo] ① arūpiṇaḥ(nj.→ƾ.nom.pl.) → [형상이 없는] ② arūpin(nj. shapeless, formless) ▼[vā] ① vā(ƺ.) → [또는] ▼[saṁjñino] ① saṁjñinaḥ(nj.→ƾ.nom.pl.) → [인식작용이 있는] ② saṁjñin(nj. named; that which receives a name) < * + in(possessive) <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vā] ① vā(ƺ.) → [또는] ▼[asaṁjñino] ① asaṁjñinaḥ(nj.→ƾ.nom.pl.) → [인식작용이 없는] ② asaṁjñin(nj.) < * + in(possessive) < asaṁjña(nj. insensible) | asaṁjñā(Ʒ. disunion, disagreement, discord) ▼[vā] ① vā(ƺ.) → [또는] ▼[naivasaṁjñino] ① na+eva+saṁjñinaḥ(nj.→ƾ.nom.pl.) → [결코 인식작용이 있는 것이 아닌] 나열된 항목의 하나로서 'sattvāḥ'의 형용사가 되기 위해서는 복합어야 되어야 한다.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nāsaṁjñino] ① na+asaṁjñinaḥ(nj.→ƾ.nom.pl.) → [인식작용이 없는 것이 아닌] 결코 인식작용이 있는 것도 아니요 인식작용이 없는 것도 아닌 것들이거나. ▼[vā] ① vā(ƺ.) → [또는.] ▼▷[yāvan] ① yāvan(nj.→ƾ.nom.) → [(어떤) 만큼인] 「어떤 만큼인 어떠한 세계가 알려지게 된다 (+하더라도)」 + 「그들은 해탈~」 → 「어떠한 세계가 열려지게 된다 하더라도 바로 그만큼 그들은 해탈~」 ② yāvat(nj. as much/many as; as great, as large; all, whole) ▼[kaścitsattvadhātuḥprajñapyamānaḥ] ① kaścit(pn.ƾ.nom.) + sattva+dhātuḥ(ƾ.nom.) + prajñapyamānaḥ(nj.→ƾ.nom.) → [어떤、 중생들의 세계가、 알려지고 있는]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character; consciousness, mind, sense) ② dhātu(ƾ. a constituent or essential part, an ingredient; an element; a part, portion) ② prajñapyamāna(caus.pres.p.) < prajñā(9.dž. to know, know about) ▼[prajñapyate] ① prajñapyate(caus.pres.Ⅲ.sg.) → [알려지다 → 알려지더라도] ② prajñā(9.dž. to know, know about; to be aware of, find out; to discern, distinguish) ▼▷[te] ① te(pn.ƾ.nom.pl.) → [그들은] ② te(pn.ƾ.nom.pl.|ƿ.nom.acc.du.|Ʒ.nom.acc.du.) < tad(pn. that, he, it, she) ▼[ca] ① ca(ƺ.) → [또한] ② ca(ƺ. and, both, also, moreover)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sarve'nupadhiśeṣe] ① sarve(nj.→ƾ.nom.pl.) + anupadhiśeṣe(nj.→ƾ.loc.) → [모든、 기초가 남아있지 않은 → 모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② sarva(pn.nj. whole, entire, all, every) ② anupadhiśeṣa(nj.) < an(not) + upadhi(ƾ. fraud, dishonesty; suppression of the truth; terror, threat; foundation [with the Buddhists]) + śeṣa(nj. remaining) ▼[nirvāṇadhātau] ① nirvāṇa+dhātau(ƾ.loc.) → [불이 꺼진 세계에서 → 열반의 세계에서] ② nirvāṇa(p.p. blown out; lost; dead: ƿ. extinction; vanishing from sight; dissolution, death) < nirvā(2.ǁ. to blow; to be cooled; to blow out) + na(kṛt) < nis(ƺ. out, away) + vā(2.ǁ. to blow; to go, move; to strike, hurt) ② dhātu(ƾ. a constituent or essential part, an ingredient; an element; a part, portion) ▼[parinirvāpayitavyāḥ] ① parinirvāpayitavyāḥ(njp.→ƾ.nom.pl.) → [완전히 불이 꺼지도록 되어 질 것이다. → 완전한 열반에 들게 될 것이다.] ‘~ 그들은 나에 의해 완전한 열반에 들것이다.’라는 인식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② parinirvāpayitavya(nj.) < pari(ƺ. very, excessively) + nirvā(2.ǁ. to blow; to be cooled; to blow out) + payi(caus.) + tavya(pot.[→fut.]pass.p.)
●아난아, 만일 모든 세계의 여러 국토에 있는 중생들이 그 나라에서 나는 자작나무 껍질[樺皮]이나 패엽(貝葉)이나 종이나 흰 천[白疊]에 이 주문을 쓰고 베껴서 향주머니에 넣어 두거나, 이 사람의 마음이 어두워서 외울 수 없을 경우,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집안에 써둔다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의 일생 동안에는 온갖 독이 해칠 수 없느니라.
법총은 속성이 진씨(陳氏)이며 소주(蘇州) 상락사(常樂寺)에 주석하였다. 처음에는 책을 등에 지고 강의하는 곳을 돌아다니며 참예(參詣)하여 듣는 대로 모두 깨우치기는 하였지만, 그것은 그가 본래 품었던 뜻이 아니었다. 그의 뜻은 식언(息言:말하지 않는 것)의 경지에 있었다. 그러나 말이란 이치를 추궁하는 도구이니 모름지기 책을 널리 보아야 할 필요가 있으나, 말에 집착하여 이를 근본으로 삼지 말아서 헛되이 세월을 보내는 일은 없어야 한다. 마치 재[灰]로 때[垢]를 제거하자면 재 또한 반드시 청정해야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후 금릉(金陵) 섭산(攝山)의 서하사(西霞寺)로 가서 그곳의 뛰어난 경치와 승단 대중들의 청정과 위엄을 돌아보았는데, 한번 보자 발심하여 그곳에서 그들을 따르려는 마음을 세우고 머리를 풀었다. 그때 어진 벗을 만나 그의 말대로 하여 미혹의 세계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드디어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을 독송하여 오래지 않아서 곧 그 종지에 통달하게 되었다. 이후 그곳으로부터 다시 회계산(會稽山)으로 가서 일음(一音) 혜민(慧敏) 법사의 강의를 듣고 스스로 마음에 얻는 것이 있어서 확연히 번뇌가 없어졌다. 정관(貞觀) 15년에는 항주(抗州)와 소주(蘇州) 등의 고을로 돌아가서 대중들을 모아 이끄니 그 가르침을 받는 자가 3백여 명에 달하였다. 이때부터 『화엄경』과 『열반경』에 대한 강의를 20여 차례 이상 끊임없이 이어 나갔다. 정관 19년에는 가흥현(嘉興縣)의 고왕신(高王神)이 그에게 축원을 내려보내어 이르기를 “나를 위해 법총 법사를 초청하여 보살계를 받게 하여 달라”라고 하기에 그의 말대로 보살계를 내려주었다. 그러자 다시 축원을 내려보내기를 “이제부터는 앞으로 술과 고기와 다섯 가지 매운 음식을 일체 다 끊겠다. 후에 만약 복을 기원하는 경우에는 여러 스님들을 청하여 사당에서 재를 마련하고 행도하도록 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정관 21년에는 해염현(海鹽縣) 파양산(鄱陽山)에서 부군신(府君神)을 위한 제사를 지낼 때 축원을 내리기를 “나를 위해 법총 법사를 초청하여 『열반경』을 강의하게 하라”고 하니, 도속들은 깃발과 꽃을 쭉 벌려 세우고 법총을 받들어 맞이하였다. 그래서 마침내 그곳에 가서 강의를 하게 되었는데, 강의가 몇 장 남지 않았을 때 다시 축원을 내려 이르기를 “법사의 강의를 듣고 법의 가르침을 받아 지니게 되었다. 불도를 잘 알지 못할 때에는 장애로 인하여 고뇌가 많았는데 법문을 들으면서부터 몸의 비늘껍질 속에서 미세한 벌레들이 괴로움을 먹어버려 이제는 가볍게 위로 오를 수 있게 되었다. 도속들은 나를 위하여 정중히 법사에게 『대품반야경』을 한 차례 두루 강의하도록 청을 드려주시오”라고 하였다. 이에 그는 곧 신의 말을 어기지 않았다. 현경(顯慶) 원년 겨울에 제자들에게 말하길 “나는 오래지 않아 업보로 얻은 몸을 버리게 되니 모든 새들에게 보시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그는 항상 강론하기를 멈추지 않았는데, 그후 어느 날 고좌(高坐)에 앉아 강의를 하다가 홀연히 진미(塵尾:佛子, 먼지떨이)가 땅에 떨어지더니 생을 마쳤는데, 그때 그의 나이는 71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