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법 실상의 이치를 깨닫고, 비춰보는 부처님 지혜. 모든 부처님이 세간에 출현하는 까닭은 중생으로 하여금 이 불지견을 얻게 하기 위한 것. 이것을 얻게 함에는 개ㆍ시ㆍ오ㆍ입(開ㆍ示ㆍ悟ㆍ入)의 차례가 있음. 처음 10주(住)위(位)에서 1분(分)의 무명(無明)을 끊고, 조그만 지견을 얻는 것을 개불지견(開佛知見), 내지 10지(地)의 마지막 위에서 무명을 완전히 끊고 지견이 원명(圓明)한 것을 입불지견(入佛知見)이라 함.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Milarepa [san-chn]
vādya-bhāṇḍa 樂器, 鼓伎 [san-eng]
ādau $ 범어 First [pali-chn]
thokikā 寡 [pal-eng]
apasakkita $ 팔리어 pp. of apasakkatigone aside; moved. [Eng-Ch-Eng]
virtuous roots 善根 [Muller-jpn-Eng]
楊 ヨウ willow [Glossary_of_Buddhism-Eng]
WUMENKUAN☞ Syn: Mumonkan ( Jpn). See also: Blue Cliff Record; Ma-tsu Tao-i (709-788). “Chin. (Jpn. / Mumonkan), lit. the Gateless Gate; one of the two most important koan collections in Ch’an (Zen) literature, the other is the Pi-Yen-Lu. This collection of Koans compiled in China in the thirteenth century (1184-1260) is second only to the Pi-Yen-lu (Hekigan Roku) in importance.”
“The Wu-men-kuan was compiled by the Chinese Ch’an (Zen) master Wu-men Hui-k’ai. It is composed of forty-eight koans, which Wumen collected and arranged. He provided each koan with a short insightful commentary and with ‘praise’ and published the collection in 1229. The Wu-men-kuan begins with the renowned koan ‘Mu’ by which master Wu-men himself came to profound enlightenment. It is especially suitable as a koan that can help a practitioner to a first enlightenment experience. It is still given today to many beginners
on the Zen path as their first koan. Since the Wu-men-kuan’s most famous koan is used with beginners and since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the Wu-men-kuan is much plainer than the Pi-yen-lu, it is often considered less profound than the latter.”
“The text has also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West, having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 number of times by various individuals.”
[fra-eng]
zoulou $ 불어 Zulu [chn_eng_soothil]
畜生界 The animal kingdom.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則見如來.」 “온갖 겉모양은 모두가 허망하니, 모양이 모양 아닌 줄 알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玄奘] 善現! 乃至諸相具足, 皆是虛妄! 乃至非相具足, 皆非虛妄! 如是以相、非相應觀如來! [義淨] 妙生! 所有勝相, 皆是虛妄! 若無勝相, 即非虛妄! 是故應以勝相、無相觀於如來! 05-05 यावत्सुभूते लक्षणसंपत् तावन्मृषा, यावदलक्षणसंपत् तावन्न मृषेति हि लक्षणालक्षणतस्तथागतो द्रष्टव्यः॥५॥ yāvatsubhūte lakṣaṇasampat tāvanmṛṣā | yāvadalakṣaṇasampat tāvanna mṛṣeti hi lakṣaṇālakṣaṇatastathāgato draṣṭavyaḥ ||5|| “수보리여! 모습을 갖추었다고 하는 바로 그 만큼 헛된 것이며, 모습을 갖추지 못했다고 하는 바로 그만큼 헛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참으로 그렇게오신분은 모습인 것과 모습 아닌 것을 통해 드러나 보일 수 있다.” ▼▷[yāvatsubhūte] ① yāvat(ƺ.) + subhūte(ƾ.voc.) → [(~하는 만큼)、 수보리여!] ② yāvat(ƺ. as far as, for, up to, till; as long as, while, by the time) ▼[lakṣaṇasampat] ① lakṣaṇa+sampat(Ʒ.nom.) → [모습의 갖춰짐은] → 모습을 갖추었다는 만큼 ② lakṣaṇa(ƿ. a mark, token, sign; a symptom [of a disease]; an attribute, a quality) ② sampad(Ʒ. wealth, riches; prosperity; good fortune; success, fulfillment, accomplishment) ▼[tāvanmṛṣā] ① tāvat(ƺ.) + mṛṣā(ƺ.) → [바로 그만큼、 헛된 것이다.] → 헛된 것이며, ② tāvat(ƺ. first; on one's part, in the meanwhile; just, now) ② mṛṣā(ƺ. falsely, wrongly, untruly; in vain, uselessly) < mṛṣ(1.ǁ. to sprinkle | 1.dž. to bear, endure; to sprinkle | 4.10.dž. to suffer, bear; to allow, permit; to forget, neglect) 누가 ‘어떤 모습을 이 만큼 갖추었다.’라고 말한다면 바로 그렇게 말한 만큼 그것은 헛된 것이며, 누가 ‘어떤 모습을 이 만큼 갖추지 못했다.’라고 말한다면 바로 그렇게 말한 만큼 그것은 참된 것. → 긍정의 인식(들뜸에서 생성-虛)은 부정하고, 부정의 인식(고뇌에서 생성-實)은 긍정한다. ▼▷[yāvadalakṣaṇasampat] ① yāvat(ƺ.) + alakṣaṇa+sampat(Ʒ.nom.) → [(~하는 만큼)、 모습 아님의 갖추어짐은] → 모습을 갖추지 않았다는 만큼 ▼[tāvanna] ① tāvat(ƺ.) + na(ƺ.) → [바로 그만큼、 (否定)] ▼[mṛṣeti] ① mṛṣā(Ʒ.nom.) + iti(ƺ.) → [헛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② iti(ƺ. in this manner, since, so, thus) ▼[hi] ① hi(ƺ.) → [참으로] ② hi(ƺ. really, indeed, surely; for because; just, pray, do) ▼[lakṣaṇālakṣaṇatastathāgato] ① lakṣaṇa+alakṣaṇataḥ(ƿ.abl.) + tathāgataḥ(ƾ.nom.) → ▼[모습임과 모습 아님으로부터(→~아님을 통해)、 그렇게오신분은] lakṣaṇa+alakṣaṇa+taḥ(ƿ.abl.sg.) : '모습임'과 '모습아님'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群集雙方복합어(samāhāradvandva samāsa) - 구성물이 비록 몇 개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하나처럼 움직여야 제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복합어로서, 항상 중성단수(ƿ.sg.)를 취한다. 모든 명사에 tas(=taḥ)가 suffix로 첨가될 경우 그 명사는 abl.격이 형성된다. ② lakṣaṇa(ƿ. a mark, token, sign; a symptom [of a disease]; an attribute, a quality) ▼[draṣṭavyaḥ] ① draṣṭavyaḥ(njp.→ƾ.nom.) → [드러나 보일 수 있다.] ② draṣṭavya(pot.pass.p. to be seen, visible; perceptible; fit to be seen, investigated)
옛날 어떤 두 어린아이가 강에 들어가 놀다가 물 밑에서 털 한 줌을 얻었다. 한 아이가 말하였다. “이것은 선인(仙人)의 수염이다.” 또 다른 아이가 말하였다. “이것은 큰 곰의 털이다.” 그때 그 강가에 어떤 선인(仙人)이 살고 있었다. 이 두 어린아이는 서로 다투다가 할 수 없이 그 선인에게 가서 의심나는 것을 판결해 달라고 하였다. 그 선인은 곧 쌀과 깨를 입 안에 넣고 씹다가 손바닥에 뱉어 놓고 아이들에게 말하였다. “내 손바닥에 놓인 것은 공작의 똥과 비슷하다.” 선인은 남의 물음에는 대답하지 않았으므로 그것을 안 사람들은 모두 비웃었다.
세상의 어리석은 사람들도 이와 같아서 설법할 때에도 실없이 모든 법을 설명하면서 정작 바른 이치는 대답해주지 않는 것이 비유하면 저 선인이 묻는 말에는 대답하지 않아 여러 사람의 비웃음을 받은 것과 같다. 근거 없는 실없는 빈 말도 그와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