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enoir woman-in-a-straw-hat
Artist: Pierre-Auguste Renoi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ierre-Auguste_Renoir Title : woman-in-a-straw-hat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Begonia_blossoms_maleandfemale
English: A closeup of begonia blossoms, showing the dual, male and female blossoms. Author Freeke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Belmar-panorama
English: Panorama of Belmar, NJ from 9th Ave. and Ocean Ave., by fabioj 12-2005. Author Fabioj at English Wikipedia New Jersey is a state in the Mid-Atlantic region of th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Carn (Fowler) ,Mayo ,Ireland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선종(禪宗) 5가(家)의 하나. 중국의 6조 혜능(慧能)이 조계에 있으면서 법을 전하고, 그 6세손 양개(良价)가 동산(洞山)에서 도를 넓혔으므로 조동종이라 하였다고도 하며, 또 제2조 조산(曹山)과 제1조 동산의 이름으로써 종명을 삼았다고도 함. 이 종풍은 양개에서 일어나 12대 법손 천동여정(天童如淨)에 이르러 중국에서는 그 세력이 쇠퇴해짐. 일본에서는 도원(道元)이 여정에게 법을 받고 본국에 돌아간 후로 성행해짐.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 인간 세/ 대 세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보일시변 시 )( 화살 시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046▲ 申失央业永 ■ 신실앙업영 46 ( 거듭 신/ 아홉째 지지 신 )( 잃을 실 / 놓을 일 )( 가운데 앙 / 선명한 모양 영 )( 업 업 / 일, 직업 업 )(길 영/ 읊을 영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7th Dalai Lama [san-chn]
asa-va 阿娑嚩 [san-eng]
śrīḥ $ 범어 wealth [pali-chn]
sīmātiga 無所有 [pal-eng]
pabhangura $ 팔리어 adj.brittle; frail; perishable. [Eng-Ch-Eng]
wisdom 慧,智慧,般若,惠,菩提 [Muller-jpn-Eng]
求那毘地 グナビジ (person) Guṇavṛddhi [Glossary_of_Buddhism-Eng]
WORLD OF FORMLESSNESS☞ See also: Cosmology (Buddhist). 【book-page-870 871】 “Sometimes translated as the world of spirit. The third division of the Threefold world. It is called the world of formlessness because it has no shape or substance. Being a purely spiritual realm, it cannot strictly be said to be ‘above’ the world of form, though it is often shown that way on diagrams as a matter of logical sequence. It is said that one can attain the world of formlessness by meditation. This world has four realms, reached through progressively deeper meditation. They are: the realm where everything is non-substantial, the realm where there is only consciousness, the realm where nothing exists and the realm where there is neither thought nor no thought.” Sokk: 506 #0306
[fra-eng]
comprenant $ 불어 understanding [chn_eng_soothil]
陰藏 A retractable penis — one of the thirty-two marks of a Buddh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無法相亦無非法相. 법상(法相)도 없고 비법상(非法相)도 없기 때문이니라. [玄奘] 善現! 彼菩薩摩訶薩無法想轉、無非法想轉、無想轉亦無非想轉. [義淨] 彼諸菩薩非法想、非非法想、非想非無想. 06-11 नापि तेषां सुभूते बोधिसत्त्वानां महासत्त्वानां धर्मसंज्ञा प्रवर्तते। एवं नाधर्मसंज्ञा। नापि तेषां सुभूते संज्ञा नासंज्ञा प्रवर्तते। nāpi teṣāṁ subhūte bodhisattvānāṁ mahāsattvānāṁ dharmasaṁjñā pravartate | evaṁ nādharmasaṁjñā | nāpi teṣāṁ subhūte saṁjñā nāsaṁjñā pravartate | 또한 수보리여! 그들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의 경우 ‘법’에 대한 산냐가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며, 그렇게 ‘법이 아니다’에 대한 산냐가 (또한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수보리여! 그들에게 있어서 산냐나 산냐가 아닌 것이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nāpi] ① na(ƺ.) + api(ƺ.) → [또한] ▼[teṣāṁ] ① teṣāṁ(pn.ƾ.gen.pl.) → [그들]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bodhisattvānāṁ] ① bodhisattvānāṁ(ƾ.gen.pl.) → [깨달음갖춘이들의 경우] ▼[mahāsattvānāṁ] ① mahāsattvānām(nj.→ƾ.gen.pl.) → [위대함갖춘상태인] ▼[dharmasaṁjñā] ① dharma+saṁjñā(Ʒ.nom.) → [법에 대한 산냐가]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pravartate] ① pravartate(pres.Ⅲ.sg.) → [생겨나지 않는다. →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며,] ② pravṛt(1.Ʋ. to go forward, proceed; to arise, be produced; to happen, take place) ▼▷[evaṁ] ① evaṁ(ƺ.) → [그렇게] ② evaṁ(ƺ. thus, in this way, in a such manner) ▼[nādharmasaṁjñā] ① na(ƺ.) + a|dharma+saṁjñā(Ʒ.nom.) → [법이 아닌 것에 대한 산냐가 (+또한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nāpi] ① na(ƺ.) + api(ƺ.) → [또한] ▼[teṣāṁ] ① teṣāṁ(pn.ƾ.gen.pl.) → [그들의 → 그들에게 있어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aṁjñā] ① saṁjñā(Ʒ.nom.) → [산냐가]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nāsaṁjñā] ① na(ƺ.) + asaṁjñā(Ʒ.nom.) → [산냐가 아닌 것이] ▼[pravartate] ① pravartate(pres.Ⅲ.sg.) → [생겨나지 않는다. →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0 배꼽 벨리버튼belly button, 네이블navel,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16_214304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11) 간탐을 부리던 장자가 바다에 들어가자 그의 아내가 부처님께 명주를 보시하였는데, 뭇 장사꾼들이 다 죽었으나 그 장자만이 살아서 오다
옛날 어떤 사람이 크게 부자이면서도 인색하였다. 그의 부인은 법을 좋아하여 보시를 하고 싶었지만 감히 하지 못하였다. 남편이 바다로 나가려 하면서 먼저 마름쇠로써 집을 세 겹으로 둘러싸 놓아 부인이 그것에 걸려서 나올 수가 없게 되자, 일심으로 부처님을 생각하였더니 쇠빗장으로 막은 것들이 고니의 털로 변해 버렸다. 명주 한 필을 가져다 다른 사람에게 부쳐 부처님께 보시하였으며, 부처님께서는 받으시고 주원을 하셨다. 남편과 5백의 동료들은 함께 바다 안에 있다가 귀신에게 잡아먹혔으나, 여러 귀신들은 그 남편만을 남기면서 서로 말하였다. “이 사람의 아내가 부처님을 섬기므로 가까이할 수 없구나.” 그리하여 동료들은 다 죽고 혼자만 보물을 얻어 돌아와서 아내에게 물었다. ‘무슨 일을 하였는가?’ 아내가 자세히 그에게 말하자, 두 사람은 기뻐하면서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 모임을 마련하였고, 도를 얻었다. [『잡비유경(雜譬喩經)』 제1권에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