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불교진리와실천

십팔불공법 본문

불교용어연구

십팔불공법

진리와 가치를 고루고루 2020. 2. 15. 23:41



®



【십팔불공법
[한문]十八不共法
[범어]aṣṭādaśāveṇikā buddha-dharmāḥ
[티벳]sangs rgyas kyi chos ma 'dres pa bcu brgyad
[영어]eghteen dstinctive caracteristics of buddha】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4_170723_can_fix

★2★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추가참조









★1★







십팔불공법
[한문]十八不共法
[범어]aṣṭādaśāveṇikā buddha-dharmāḥ
[티벳]sangs rgyas kyi chos ma 'dres pa bcu brgyad
[영어]eghteen dstinctive caracteristics of buddha

십팔불공법 [한문]十八不共法 또는 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 부처님께만 있는 공덕으로서 2승이나 보살들에게는 공동(共同)하지 않는 열여덟 가지.
신 무실(身無失)ㆍ
구 무실(口無失)ㆍ
의 무실(意無失)ㆍ
무 이상(無異想)ㆍ
무부 정심(無不定心)ㆍ
무부지이 사(無不知已捨)ㆍ
욕 무감(欲無減)ㆍ
정진 무감(精進無減)ㆍ
염 무감(念無減)ㆍ
혜 무감(慧無減)ㆍ
해탈 무감(解脫無減)ㆍ
해탈지견 무감(解脫知見無減)ㆍ
일체 신업 수지혜행(一切身業隨智慧行)ㆍ
일체 구업 수지혜행(一切口業隨智慧行)ㆍ
일체 의업 수지혜행(一切意業隨智慧行)ㆍ
지혜지견 과거세 무애무장(智慧知見過去世無礙無障)ㆍ
지혜지견 미래세 무애무장(智慧知見未來世無礙無障)ㆍ
지혜지견 현재세 무애무장(智慧知見現在世無礙無障).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정의 부처만이 갖춘 십력·사무소외·삼념주·대비의 18가지 공덕을 뜻하는 불교용어. 십팔불공불법·십팔불불공법 개설 범어로는 aṣṭādaśa-āveṇika-buddha-dharma, 팔리어로는 aṭṭhārasa-āveṇika-buddha-dhamma이라 하며,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 십팔불불공법(十八佛不共法)이라 한역되었다. 초기불교에서 대승에 이르기까지 불타를 신체적 특징과 함께 정신적 공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십팔불공법은 정신적 특징을 설명하는 열여덟 가지이다.

내용 일반적으로 십력·사무소외·삼념주·대비를 내용으로 하는데, 초기경전에 산재되어 있던 덕목들이 부파불교 시대에 이르러 열여덟 가지로 정리된 것이다. 대승불교 이전과 이후로 내용에 차이가 있다. 1. 부파불교의 십팔불공법 십력은 불타가 갖춘 열 가지 힘을 말한다. ①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 도리와 도리가 아닌 것을 여실하게 아는 힘. ②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과거·현재·미래에 걸쳐 업보를 여실하게 아는 힘. ③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靜慮解脫等持等至智力): 여러 종류의 선정, 해탈삼매 등을 여실히 아는 힘. ④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중생들의 높고 낮은 근기(정신적인 수준이나 능력)를 여실하게 아는 힘. ⑤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 중생들의 온갖 종류의 의욕을 여실하게 아는 힘. ⑥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 다양한 요소 혹은 세계(世界)를 여실하게 아는 힘. ⑦변취행지력(遍趣行智力): 어떤 수행에 의해 어떤 도가 나가는가를 여실히 아는 힘. ⑧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중생의 전생을 여실히 아는 힘. ⑨사생지력(死生智力): 중생의 미래를 여실히 아는 힘. ⑩누진지력(漏盡智力): 일체의 번뇌[漏]가 다한 것을 여실히 아는 힘이다. 사무소외(四無所畏)는 불타가 네가지 점에 있어 두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①정등각무외(正等覺無畏): 모든 법에 대해 바르게 깨달았다는 데에 두려움이 없는 자신. ②누영진무외(漏永盡無畏): 모든 번뇌를 남김없이 소멸했다는 데에 두려움이 없는 자신. ③설장법무외(說障法無畏): 도를 이루는데 장애되는 것을 잘 설명하였다는 데에 두려움이 없는 자신. ④설출도무외(說出道無畏): 고를 완전히 멸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설명하였다는 데에 두려움이 없는 자신을 말한다. 삼념주(三念住)는 불타가 항상 바른 마음에 머물러 중생들의 어떤 태도에도 마음에 흔들림이 없음을 말한다. ①제일염주(第一念住): 중생이 붓다를 신봉해도 붓다는 환희심을 내지 않고 바른 마음과 바른 지혜에 안주함. ②제이염주(第二念住): 중생이 신봉하지 않아도 근심하지 않고 바른 마음과 바른 지혜에 안주함. ③제삼염주(第三念住): 어떤 중생은 신봉하고 어떤 중생은 신봉하지 않아도 기뻐하거나 근심하지 않고 바른 마음과 바른 지혜에 안주함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열여덟 번째는 대비(大悲)인데, 불타의 위대한 대비심은 중생의 괴로움을 불쌍히 여겨 구제하려는 마음이다. 불타는 삼계(三界)의 모든 중생에 이르기 때문에 대비라 한다.

2. 대승불교의 십팔불공법 ①신무실(身無失): 몸으로 짓는 행위에 오실(誤失-잘못과 실수)이 없음. ★★ ②구무실(口無失): 말에 오실이 없음. ③염무실(念無失): 생각에 오실이 없음. ④무이상(無異想): 일체중생을 차별하지 않음.
⑤무부정심(無不定心): 항상 선정에 들어 있어 산란하지 않음.
⑥무불지이사심(無不知已捨心): 알지 못함이 없고 난 뒤에 일체를 버림 ★★
( 無不知己捨, 佛於一切諸法皆悉照知而方捨。無有了知一法而不捨者, 是名無不知機己捨。 불학대사전 참조) ⑦욕무감(欲無減):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이 줄어들지 않음. ⑧정진무감(精進無減):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이 줄어들지 않음. ⑨염무감(念無減): 기억하는 힘이 줄어들지 않음. ⑩혜무감(慧無減): 지혜가 줄어들지 않음.
⑪해탈무감(解脫無減): 해탈이 줄어들지 않음. ⑫해탈지견무감(解脫知見無感): 일체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했다는 지견이 줄어들지 않음. ⑬일체신업 수지혜행(一切身業隨智慧行): 모든 신업(身業)은 지혜가 수반함. ⑭일체구업 수지혜행(一切口業隨智慧行): 모든 구업은 지혜가 수반함. ⑮일체의업 수지혜행(一切意業隨智慧行): 모든 의업은 지혜가 수반함.
⑯지혜지과거세무애무장(智慧知過去世無碍無障): 지혜로써 과거의 일을 모두 통달하여 하등의 장애도 없음. ⑰지혜지미래세무애무장(智慧知未來世無碍無障): 지혜로써 미래의 일을 모두 통달하여 하등의 장애도 없음. ⑱지혜지현재세무애무장(智慧知現在世無碍無障): 지혜로써 현재의 일을 모두 통달하여 하등의 장애도 없음. 의의와 평가

『아함경』이나 『니까야(Nikāya)』에 나타난 여러 불타의 정신적 공덕이
후대 논서인 『대비바사론(大毘婆娑論)』 등에서 십팔불공법이라는 용어로 정리되었다.
대승의 경우는 『대지도론(大智度論)』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내용을 달리하고 있다. 대승이 내용을 달리하는 이유는 대승 이전의 십팔불공법이
불타뿐만이 아니라 아라한에게도 통하는 바가 있으므로
엄격하게 불타만이 갖춘 것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승불교권인 동아시아에서는
대승보다는 대승 이전의 십팔불공법이 많이 알려졌다. 이는 『대비바사론』이나 『구사론(俱舍論)』 등의 논서가
많이 연구된 이유일 것이다. 참고문헌 『대비바사론(大毘婆娑論)』 『구사론(俱舍論)』 『대지도론(大智度論)』 『순정리론(順正理論)』
출처 제공처 정보 ● fr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 [네이버 지식백과] 십팔불공법 [十八不共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른 페이지에서 붙이기]---

‡십팔불공법 [관련단어]



법수_암기방안



● 대승-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
신무실(●身無失),
구무실(●口無失),
의무실(●意無失), - 염무실(念無失),
무이상(●無異想),
무부정심(無不●定心),

무부지이사(無不知已●捨), - 무부지사심(無不知捨心),
욕무감(●欲無減), - 욕무멸(欲無滅),
정진무감(精●進無減), - 정진무멸(精進無滅),
염무감(●念無減),- 염무멸(念無滅),
혜무감(●慧無減), - 혜무멸(慧無滅),

해탈무감(●解脫無減), - 해탈무멸(解脫無滅),
해탈지견무감(解脫知●見無減), - 해탈지견무멸(解脫知見無滅),
일체신업수지혜행(●一切身業隨智慧行),
일체구업수지혜행(一切●口業隨智慧行),
일체의업수지혜행(一切●意業隨智慧行),

지혜지견 과거세 무애무장●(智慧知見過去世無礙無障), - 지혜지과거세무애(智慧知過去世無礙),
지혜지견 미래세 무애무장(智慧知見●未來世無礙無障), - 지혜지미래세무애(智慧知未來世無礙),
지혜지견 현재세 무애무장(智慧知見●現在世無礙無障). - 지혜지현재세무애(智慧知現在世無礙)


● 부파불교의 18불공법


①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
②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③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靜慮解脫等持等至智力)
④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⑤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
⑥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
⑦변취행지력(●遍趣行智力)
⑧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⑨사생지력(●死生智力)
⑩누진지력(●漏盡智力)

사무소외(四無所畏)
① 일체지(●一切智) 무소외- 정등각무외(正等覺無畏)

② 누진(●漏盡) 무소외, - 누영진무외(漏永盡無畏):
③ 설장도(●說障道) 무소외, - 설장법무외(說障法無畏):
④ 설진고도(說盡苦●道) 무소외 - 설출도무외(說出道無畏):

삼념주(三念住)
①제일염주(●第一念住):
②제이염주(第●二念住):
③제삼염주(第●三念住):

열여덟 번째는 대비(大●悲)

>>>

대승18불공법 => 신구의무정 / 사욕진념혜 / 해견일구의 / 지미현
대승18불공법 => 身口意無定 / 捨欲進念慧 / 解見一口意 / 智未現

부파불교의 18불공법 => 10력 +4 무소외 + 3념주 + 대비
부파불교의 18불공법 => 처업정근종 / 계변숙사누 / 일누설도제 / 이삼비
부파불교의 18불공법 => 處業靜根種 / 界遍宿死漏 / 一漏說道第 / 二三悲


>>>







◆vkyr1679


◈Lab value 불기2564/03/19/목/07:21


○ 2019_1004_155223_can_ar14.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ohn Singer Sargent-on-the-verandah-ironbound-island-maine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odore_Roosevelt_by_John_Singer_Sargent,_1903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ountain_Peak,_Alaska_(1999)



♥Pampliega ,Spai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arie Laforet - Dis A Mathieu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2/eghteen-dstinctive-caracteristics.html#1679
sfx--dict/십팔불공법.txt
sfd8--불교용어dic_2567_02.txt ☞◆vkyr1679
불기2564-03-19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십팔불공법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불교용어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발치  (0) 2020.02.16
십현육상  (0) 2020.02.15
십주  (0) 2020.02.15
실지  (0) 2020.02.12
실담오십자문  (0) 2020.02.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