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258_T0515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int_Isaac's_Cathedral_in_SPB
English: Saint Isaac's Cathedral on Saint Isaac's Square in Saint Petersburg Author Florstein (WikiPhotoSpac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Dubrava ,Montenegro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054▲ 年老耂耒吏 ■ 년로로뢰리 54 ( 해 년( 연), / 아첨할 녕( 영) )( 늙을 로 / 노 )( 늙을로엄 로 / 노)(가래 뢰 /뇌 )( 벼슬아치 리 / 이, 관리 리. 이 )
002▲ 一丶凵犭冂 ■ 일주감견경 2 ( 하나 일 )( 점 주 )( 입 벌릴 감 )( 개사슴록변 견 / 개견( -犬) 부수( 部首)의 이체자( 異體字). )( 멀 경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Buddhism and psychology [san-chn]
tasminn eva kṣaṇe 一刹那間 [san-eng]
darśanāya $ 범어 for seeing [pali-chn]
sekhâsekha 學無學 [pal-eng]
kosinaaraka $ 팔리어 adj.belonging to Kusinaaraa. [Eng-Ch-Eng]
入住 (1) To enter and abide; the stages of entry and abiding. 〔俱舍論、 T 1558.29.47a29〕(2) To enter the stage of the ten abidings. 〔華嚴經、 T 279.9.〕 [Muller-jpn-Eng]
退沒 タイモツ fall down; fall away [Glossary_of_Buddhism-Eng]
NINE REALMS☞ See also: Ten Realms. “All realms in the cosmos, with the exception of the Buddha realms.” Tam: 343 #0958
[fra-eng]
stationnement $ 불어 parking [chn_eng_soothil]
龍河 Another name for the river Nairaṅjanā, cf. 尼.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得功德, 於我所供養諸佛功德, 百分不及一, 千萬億分乃至算數譬喩, 所不能及.」 얻는 공덕은 내가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에 일에도 미치지 못하 며 천분의 일, 만분에 일, 억분에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산수(算數)나 비유 (譬喩)로도 미칠 수 없느니라.” [玄奘] 善現, 我先福聚於此福聚, 百分計之所不能及, 如是千分、若百千分、若俱胝百千分、若俱胝那庾多百千分、若數分、若計分、若 算分、若喻分、若鄔波尼殺曇分, 亦不能及! [義淨] 所得功德, 以前功德比此功德百分不及一, 千萬億分、算分、勢分、比數分、因分、乃至譬喻, 亦不能及! 16-05 अस्य खलु पुनः सुभूते पुण्यस्कन्धस्यान्तिकादसौ पौर्वकः पुण्यस्कन्धः शततमीमपि कलां नोपैति, सहस्रतमीमपि शतसहस्रतमीमपि कोटिममिपि कोटिशततमीमपि कोटिशतसहस्रतमीमपि कोटिनियुतशतसहस्रतमीमपि। संख्यामपि कलामपि गणनामपि उपमामपि उपनिषदमपि यावदौपम्यमपि न क्षमते॥
asya khalu punaḥ subhūte puṇyaskandhasyāntikādasau paurvakaḥ puṇyaskandhaḥ śatatamīmapi kalāṁ nopaiti | sahasratamīmapi śatasahasratamīmapi | koṭitamīmapi koṭiśatasatamīmapi koṭiśatasahasratamīmapi koṭiniyutaśatasahasratamimapi | saṁkhyāmapi kalāmapi gaṇanāmapi upamāmapi upaniṣadamapi yāvadaupamyamapi na kṣamate | 수보리여! 참으로 이 공덕무더기의 경우에 가까이 것보다 저 예전의 공덕무더기는 백분의 일의 작은 만큼에도 미치지 못하며, 천분의 일에도、 십만분의 일에도、 천만분의 일에도、 십억분의 일에도、 일조분의 일에도、 백만조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셈도 열거도 계산도 비유도 유추도 나아가 비교조차 허용되지 않는다.” ▼▷[asya] ① asya(pn.ƾ.gen.) → [이] ② asya(pn.ƾƿ.gen.sg.) < idam(pn. this)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puṇyaskandhasyāntikādasau] ① puṇya+skandhasya(ƾ.gen.) + antikāt(nj.abl.) + asau(pn.ƾ.nom.) → [공덕무더기의 경우에、 가까이 것보다、 저] → 공덕무더기에 비하면 ② puṇya(ƿ. virtue, religious or moral merit; a virtuous or meritorious act; purity) ② skandha(ƾ. the five objects of sense; the five forms of mundane consciousness) ② antikāt(adv. near to, in the vicinity; near, closely, within in presence of; from near) < antika(nj. near, proximate; reaching to the end of, reaching to; lasting till, until) ② asau(pn.ƾƷ.nom.sg.) < adas(pn. that, a certain) ▼[paurvakaḥ] ① paurvakaḥ(nj.→ƾ.nom.) → [예전의] ② paurvaka(nj. relating to the past; relating to the east, eastern; coming in succession) ▼[puṇyaskandhaḥ] ① puṇya+skandhaḥ(ƾ.nom.) → [공덕무더기는] ▼[śatatamīmapi] ① śatatamīm(nj.→Ʒ.acc.) + api(ƺ.) → [백분의 일、 또한] ② śatatama(nj. onehundredth) < śata(ƿ. a hundred) ▼[kalāṁ] ① kalāṁ(Ʒ.acc.) → [작은 만큼에] → 백분의 일의 작은 만큼도 ② kalā(Ʒ. a small part of anything; any practical art, any mechanical or fine art) ▼[nopaiti] ① na(ƺ.) + upaiti(pres.Ⅲ.sg.) → [미치지 못한다.] ② upe(2.ǁ. to go or come or step near; to join; admit, acknowledge) < upa + i(2.ǁ.) ▼▷[sahasratamīmapi] ① sahasratamīm(nj.→Ʒ.acc.) + api(ƺ.) → [천분의 일인 (+작은 만큼)에도] ② sahasratama(nj. onethousandth) < sahasra(ƿ. a thousand; a large number) ▼[śatasahasratamīmapi] ① śata+sahasratamīm(nj.→Ʒ.acc.) + api(ƺ.) → [십만분의 일에도] ▼▷[koṭitamīmapi] ① koṭitamīm(nj.→Ʒ.acc.) + api(ƺ.) → [천만분의 일에도] ② koṭitama(nj. onetenmillionth) < koṭi(ƾ. ten millions, a crore) koṭi : 천만, 억, 만억, 백천, 십만, 京 → 俱胝 ▼[koṭiśatasatamīmapi] ① koṭi+śatasatamīm(nj.→Ʒ.acc.) + api(ƺ.) → [십억분의 일에도] ▼[koṭiśatasahasratamīmapi] ① koṭi+śatasahasratamīm(nj.→Ʒ.acc.) + api(ƺ.) → ▼[일조분의 일에도 → 십만 구지분의 일에도] ▼[koṭiniyutaśatasahasratamimapi] ① koṭi+niyuta+śatasahasratamīm(nj.→Ʒ.acc.) + api(ƺ.) → [백만조분의 일에도 → 십만 구지 니유타분의 일에도] ② niyuta(ƿ. a million; a hundred thousand; ten thousand crores or 100 Ayutas) ▼▷[saṁkhyāmapi] ① saṁkhyām(Ʒ.acc.) + api(ƺ.) → [셈도] ② saṁkhyā(Ʒ. enumeration, reckoning, calculation; a number; a numeral; sum) ▼[kalāmapi] ① kalām(Ʒ.acc.) + api(ƺ.) → [열거도] ② kalā(Ʒ. a small part of anything; any practical art; enumeration) ▼[gaṇanāmapi] ① gaṇanām(nj.→Ʒ.acc.) + api(ƺ.) → [계산도] ② gaṇana(ƿ. counting, calculation; adding, enumerating; considering, supposing) ▼[upamāmapi] ① upamām(Ʒ.acc.) + api(ƺ.) → [비유도] ② upamā(Ʒ. resemblance, similarity, equality; simile, comparison) ▼[upaniṣadamapi] ① upaniṣadam(Ʒ.acc.) + api(ƺ.) → [유추도] ② upaniṣad(Ʒ. an esoteric or secret doctrine; true knowledge; a religious observance) ▼[yāvadaupamyamapi] ① yāvat(ƺ.) + aupamyam(nj.→Ʒ.acc.) + api(ƺ.) → [나아가、 비교도] ② yāvat(ƺ. as far as, for, up to, till; as long as, while, by the time) ② aupamya(ƿ. comparison, resemblance, analogy) ▼[na] ① na(ƺ.) ▼[kṣamate] ① kṣamate(pres.Ⅲ.sg.) → [허용되지 않는다.] ② kṣam(1.Ʋ.4.ǁ. to permit, allow, suffer; to pardon, forgive; to be patient or quiet, wait)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3 밥통 【위】
6 쇄골 【쇄골】
2 염통 【심장】
24 집게(INDEX finger~검지 식지)
132 knee 무릎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15_003819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어떤 스님이 물었다.
“어찌하여야 의심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 그러자 선사가 양쪽으로 손을 뻗고는 학인學人에게 ‘다시 물으면 대답을 해주리라’ 하였다. 이에 학인이 다시 묻자, 선사가 허벅지를 드러내고 앉았다. 학인이 절을 하니, 선사가 말했다. “그대는 어떻게 알고 있는가?” 학인이 대답했다. “오늘은 동풍이 불었습니다.” 이에 선사가 말했다. “그대의 그런 말은 사람들의 견해를 안정시키지 못한다. 그대는 옛 성인이 나타난 이래로 어떤 말씀이 장경長慶의 것과 같다고 여기는가? 그대가 만일 말할 수 있다면 그대에게 화두가 있음을 인정하리라.” “한 가지조차 확실히 알지 못하는데도 허물없는 일을 할 수 있습니까?” 선사가 대답했다. “그대가 이미 나에게 물었으니, 나도 그대에게 물으리라.” 스님이 말했다. “그렇다면 화상께서 저에게 물으신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이에 선사가 말했다. “나는 그대의 근본을 잘 알고 있으니, 그대 역시 정반성定半星164)을 잘못 알지 말라.” 그리고는 선사가 앞의 말을 대신 말해 주었다. “그저 ‘진중珍重’이라 했어야 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