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Ver. 250111250111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대지도론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원각경
- 장아함경
- 유마힐소설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가섭결경
- 마명
- 무량의경
- 종경록
- 묘법연화경
- 증일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마하승기율
- 백유경
- 유가사지론
- 대반열반경
- 아미타불
- 금강삼매경론
- 잡아함경
- Japan
- 방광반야경
- 중아함경
- 정법화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대승기신론
- 유마경
- 수능엄경
- 반야심경
Archives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ㅏ (1)
불교진리와실천
실담오십자문
【실담오십자문】 [한문]悉曇五十字門 실담 50자에 각각 특별한 뜻이 있다고 말함. 실담 [한문]悉曇 [범어]siddhaṃ [영어]modified sanskrit characters 싯담의 음역. 범자(梵字)를 가리킴. [동]실담(悉談) , 칠담(七曇) , 성취(成就) , 길상(吉祥).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실담 실담 [한문]悉曇 【범】siddhaṃ 성취(成就)ㆍ길상(吉祥)이라 번역. 인도의 문자인 범어(산스크리트). 넓은 뜻으로는 마다(摩多, 點劃이라 번역. 母音)ㆍ체문(體文, 父音)을 총칭. 좁은 뜻으로는 마다의 12운(韻)만 말함. 이 마다 12운은 모두 완전한 제소리가 있고, 또 점획으로서 체문의 여러 자모에 붙여, 여러 가지 소리를 구성하므로 성취의 뜻을 가진 실담이란 명칭으로 부..
불교용어연구
2020. 2. 12. 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