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Ver. 250111250111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대승기신론
- 증일아함경
- 중아함경
- 마하승기율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장아함경
- 무량의경
- 금강삼매경론
- 백유경
- 대반열반경
- 수능엄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가섭결경
- 유마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Japan
- 묘법연화경
- 종경록
- 대지도론
- 대방광불화엄경
- 반야심경
- 정법화경
- 원각경
- 유가사지론
- 유마힐소설경
- 마명
- 방광반야경
- 잡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아미타불
Archives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사종도四種道 (1)
불교진리와실천
삼무성론
삼무성론 [한문]三無性論 2권. K-622, T-1617.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 Paramārtha)가 557년에서 569년 사이에 제지사(制旨寺)에서 번역하였다. 호법(護法)의 신유식설 이전의 고(古)유식설에 의거하여 삼성 삼무성설(三性三無性說)을 설명한 논서이다. 그 내용은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의 「성무성품」과 동일하며, 게송을 제외한 석론(釋論) 부분에 대한 이역이다. 인공(人空)을 설하는 것은 잘못된 법을 깨뜨리기 위함이고, 법공(法空)을 설하는 것은 올바른 법을 세우기 위함인데, 법공을 드러내기 위하여 제법의 무자성을 설한다. 일체의 모든 법은 3성(性)을 벗어나지 않는데, 그것은 분별성(分別性)ㆍ의타성(依他性)ㆍ진실성(眞實性)이다. 이 3성에 따라서 3무성(無性)을 설하는데, 분별..
불교용어연구
2020. 10. 5.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