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the-roman-antiquities-t-4-plate-lv-vista-of-some-of-the-great-parts-of-the-first-order-of-the.jpg!HD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the-roman-antiquities-t-4-plate-lv-vista-of-some-of-the-great-parts-of-the-first-order-of-the.jpg!HD Info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448px-Guanyin_Statue_in_the_Summer_Palace
https://en.wikipedia.org/wiki/File:Guanyin_Statue_in_the_Summer_Palace.JPG English: A statue of Guanyin inside the Tower of Buddhist Essence in the Summer Palace (Beijing, China). Cast in 1574 AD, 5 meters tall. Author Tojan76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Mahindarama Buddhist Temple (Theravada), George Town, Penang, 말레이시아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Kesariya [san-chn]
aṣṭā-viṃśat 二十八 [san-eng]
nṛ $ 범어 man [pali-chn]
ghaṭikā 鍵瓷 [pal-eng]
vanagahana $ 팔리어 nt.a jungle thicket. [Eng-Ch-Eng]
wisdom of unrestricted activity 成所作智 [Muller-jpn-Eng]
姓 ショウ family\n(term) gotra [Glossary_of_Buddhism-Eng]
YOGACARA SCHOOL☞ Syn: Mind-Only School; Consciousness School; Hosso School. See also: Fa-Hsiang School. “One of the two major Mahayana schools in India, along with the Madhyamika school. Maitreya Boddhisattva is often regarded as the founder of the Yogacara (Consciousness-Only) school. He reportedly inspired a one-hundred-fascicle treatise which explained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Thereafter,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was further developed by Maitreya’s disciples Asanga and Vasubandhu in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This school upholds the concept that all phenomena arise from the vijnana or consciousness and that the basis of all functions of consciousness is the alayavijnana or alaya-consciousness. It is said that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constituted the mainstream of Buddhist study in the Nalanda Monastery.” Sokk: 47-48 “The name of a Buddhist school, founded probably in the fourth century by the brothers Asang and Vasubandhu. It advocates the doctrine of Mind Only (all dharmas are projections of one own mind); hence everything in the external world is merely an illusion.” Chan: 485-486 #0308
아버지 무(武)는 집안이 본디 부유하고 번성하였다. 묘상은 일찍부터 경의 가르침을 익혔는데, 15세에 태자사인(太子舍人)으로 있는 북쪽 땅의 황보달(皇甫達)에게 시집갔으나 달(達)이 상(喪)을 치를 때 예를 잃었으므로, 묘상이 이를 싫어해 이혼하여 인연을 끊고 출가하기를 청하니 아버지도 함께 좇았다.
부지런히 닦고 푸성귀만 먹으며 마음이 삼장[慧藏] 가운데 노닐고 법상(法相)에 밝게 통달하였다. 홍농 북악 음림(蔭林)의 서쪽 들에 머물렀는데, 따르는 무리들이 몹시 많았으니 기쁜 뜻으로 조용하고 침착하였다. 그곳에 머무른 20여 년 동안 힘껏 고행에 정진하면 할수록 더욱 도타워졌다. 매양 설법으로 사람을 제도할 때 듣는 이들이 뜻을 오로지할 수 없을까 항상 두려워했는데, 때로는 울면서 가르칠 정도였다. 이 때문에 가르친 바가 모두에게 널리 이익이 될 수 있었다.
진(晋) 영화(永和, 345~356) 연간에 홍농 태수가 7일간 재(齋) 올리기를 청하였다. 재를 올리는 자리에서 상석에 자리한 어떤 신도가 자문하여 불법을 듣기를 청했는데 말 속에 불손한 기운이 깔려 있었다. 묘상이 얼굴색을 바로 하여 말했다.
“그대는 오만할 뿐만 아니라 나라의 책임자에게도 너무나 경솔하군요. 어찌 무례함으로써 인간 세상을 벗어날 수 있겠습니까?”
곧 병을 핑계 삼아 물러나오니 당시의 승려와 속인들이 모두 다 탄복하였다.
그 뒤에 병으로 여러 날 누워 있다가 편안하게 임종을 맞이했는데 제자들을 둘러보며 말을 남겼다.
“궁핍한 자와 영달한 자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나면 반드시 죽는 법이다. 오늘 작별을 하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