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portrait-of-the-conductor-and-composer-otto-klemperer.jpg!HD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portrait-of-the-conductor-and-composer-otto-klemperer.jpg!HD Info
Kinkaku at Kinkakuji (Rokuonji), a Buddhist temple in Kyoto, Japan.
● [pt op tr] fr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Luanda_Skyline_-_Angola_2015
The Fortaleza de Sao Miguel (1576) watches over the south end of the bay at Luanda, Angola. Author David Stanley from Nanaimo, Canada Camera location 8° 48′ 28.96″ S, 13° 13′ 24.65″ 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Terrigal, New South Wales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4) 제여래선(諸如來禪)
① 불지(佛地)에 들어간다. 그리고 스스로 깨닫는 바른 지혜의 세 가지 즐거움에 머무른다.
② 그리고 중생을 위하여 불가사의한 일을 행한다.
이를 제여래선(諸如來禪)이라 한다.**
3) 반연진여선(攀緣眞如禪)
① 진여(眞如)를 소연(所緣)으로 하는 선이다.
② 만약 무아(無我)에 둘이 있다고 분별하면 이는 허망한 잘못된 분별이다.
따라서 이런 사정을 여실하게 관한다.
그래서 그런 생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런 경우 이를 진여를 반연하는 선이라고 한다.**
2) 관찰의선(觀察義禪)
① 자상(自相)과 공상(共相)과 인무아(人無我)를 깨닫는다.
그리고 다시 법무아를 관한다.
그리고 모든 지(地)의 모양과 뜻을 따라 관찰한다.
이를 관찰의선(觀察義禪)이라 한다.**
② 이는 인법이무아(人法二無我)를 깨닫는 입장에서 닦는 선을 말한다.
1) 우부소행선(愚夫所行禪)
① 성문ㆍ연각ㆍ외도 수행자의 선정을 말한다.
② 자신의 몸이 무상(無常)ㆍ고(苦)ㆍ무아(無我)ㆍ부정(不淨)함을 관한다.
그래서 무상멸정(無想滅定)에 도달함을 선정수행의 목표로 한다.
이는 인무아(人無我)라는 입장에서 닦는 선을 말한다.
7진여의 하나. 6도(度) 등의 행을 말함.
이것은 모두 진여의 이체(理體)를 의지하여 세운 행이므로 정행 진여라 함. →칠진여
답 후보
● 정행진여(正行眞如)
제삼시교(第三時敎)
제이결집(第二結集)
제일의제(第一義諦)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Buddhist monasticism [san-chn]
niścarati 普聞, 演暢 [san-eng]
rājā $ 범어 a ruler, king [pali-chn]
jivhā-viññāna 舌識 [pal-eng]
ruccati $ 팔리어 ruc + yafinds delight in; likes. [Eng-Ch-Eng]
beneficial service 鐃益行 [Muller-jpn-Eng]
八萬四千法蘊 ハチマンシセンホウウン eighty-four thousand teachings or lessons credited to the Buddha as a cure of all sufferings [Glossary_of_Buddhism-Eng]
GANDHARA AFGHANISTAN ☞ Syn: Ghandhara. “Region in the far northwest of India (now southern Afghanistan) notable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doctrines of Buddhist Mahayana and Buddhist art. Famous for its style of sculpture, which was a blend of ancient Indian modified by Graeco-Roman styles of Asia Minor. Its period was 100-300 A.D. Ancient Indian Buddhist art did not depict the figure of the Buddha but symbolized his presence. Gandhara art depicts the Buddha’s figure, the whole life history of the Buddha being given. Under Kusana kings (Kaniska) i.e., during approximately the first three centuries A.D., this area was one of a flourishing and vigorous Buddhist culture with many monastic centres of learning. During the 2nd century A.D. and after, Gandhara was an area which nourished Buddhist missionary expansion northwards and eastwards into China. The multi-storied pagoda which Emperor Kaniska built at Peshawar (Pakistan), was regarded as one of the wonders of the world at the time.” Thai: 497-498 #1635
20 만약 모든 여인이 여자의 몸을 싫어해서 남자 몸을 얻으려고 대비심 다라니(大悲心陀羅尼)를 외우고 지녀도 만약 남자 몸을 이루지 못한다면 나는 맹서코 정각을 이루지 않겠습니다. 다만 조금이라도 의심을 내는 자는 반드시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 노가제 盧迦帝<二十> lo ka te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