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065▲ 釆夆束豕辛 ■ 변봉속시신 65 ( 분별할 변 )( 끌 봉 / 두터울 방) (묶을 속/ 약속할 속 )( 돼지 시 )( 매울 신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Paracanonical texts (Theravada Buddhism) [san-chn]
idam evaṃ-bhāgīyam 如是等類 [san-eng]
niveśaya $ 범어 apply [pali-chn]
uṇhīsa-sīso 肉髻相 [pal-eng]
va.n.neti $ 팔리어 va.n.n + edescribes; explains; comments on; praises; extols. [Eng-Ch-Eng]
二行 (1) The 見行 and the 愛行. (2) The two manifestations of the hindrance of defilement 煩惱障 and the hindrance of what is known 所知障. (3) The 正行 and the 雜行. (4) The 我行 and the 我所業. 〔二障義、 HPC 1.790b〕 [Muller-jpn-Eng]
說四衆名德犯過戒 セツシシュミョウトクボンカカイ precept forbidding speaking of the faults of the four groups of renunciant practitioners [Glossary_of_Buddhism-Eng]
TAOISM☞ “Chinese religion founded by Lao Tzu and based on the Tao or ‘Way’ of nature.”
Taoist practitioners traditionally strive for immortality, which, in Buddhism, is a classic example of deluded attachment to the body.
[fra-eng]
bergère $ 불어 shepherdess [chn_eng_soothil]
己心法門 己心中所行法門 The method of the self-realization of truth, the intuitive method of meditation, 止觀 1.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一時, 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 한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 사람과 함께 계셨다. [玄奘] 一時, 薄伽梵在室羅筏, 住誓多林給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義淨] 一時, 薄伽梵在名稱大城戰勝林施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及大菩薩眾.
ekasmin samaye bhagavān śrāvastyāṁ viharati sma 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mahatābhikṣusaṁghena sārddham 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saṁbahulaiśca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 한 때 복덕갖춘분께서 싀라와스띠에 계실 때, 무의탁자들에게 음식을 주는 이의 동산인 제따숲에서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100인의 비구들로 이루어진 커다란 비구승가와 더불어, 그리고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 머무셨다. ▼▷[ekasmin] ① ekasmin(pn.nj.→ƾ.loc.) → [한] ② eka(pn.nj. one, single, alone, only) ▼[samaye] ① samaye(ƾ.loc.) → [때에]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bhagavān] ① bhagavān(ƾ.nom.)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 * + vat(possessive affix) < bhaga(ƾ. the sun; the moon; good fortune, luck, happy lot)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śrāvastyāṁ] ① śrāvastyāṁ(Ʒ.loc.) → [싀라와스띠에서] → 싀라와스띠에 계실 때 한 때 90만 가구가 살았다고 전해지는 '싀라와스띠'의 이름은 성인 싸왓타(Sāvatth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하며, 혹은 당시 무역중개의 거점으로서 무슨 물건이든지 모두 있다는 의미의 'sarvam[모든 것이] asti[있습니다]'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② śrāvastī(Ʒ. N. of a city north of the Ganges) ▼[viharati] ① viharati(pres.Ⅲ.sg.) → [머무신다] -|+sma|→ 머무셨다 ② vihṛ(1.ǁ. to take away, seize away; to remove, destroy; to let fall, shed) < vi(ƺ. separation, disjunction) + hṛ(1.dž. to take, carry, convey, lead; to carry off or away) ② vihāra(ƾ. removing, taking away; roaming or walking for pleasure; sport, play) ▼[sma] ① sma(ƺ.) → [(과거형성)] ② sma(ƺ. joined with a pres. tense or pres. participle to give them a past sense) ▼[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① jeta+vane(ƿ.loc.) + anātha+piṇḍa+dasya([nj.→]ƾ.gen.) + ārāme(nj.→ƾ.loc.) → [제따숲에、 무의탁자들에게 음식을 주는 이의、 동산인(←즐거움을 주는 곳인)] ② jeta([in comp.]) < jrtṛ(nj. victorious, triumphant; surpassing: ƾ. a conqueror, voctor) ② vana(ƿ. a forest, wood; residence, house) ② anātha(nj. helpless, poor, forlorn, parentless, orphan, widowed; without a protector) < nātha(ƾ. a lord, master, leader; a husband; a protector) ② piṇḍa(ƾƿ. a round mass, ball; a lump; a round lump of food; A ball or lump of rice offered to the Manes at obsequial ceremonies or Srāddhas) ② da(nj. giving, granting; destroying, removing) < dā(1.ǁ. to give, bestow, grant) ② ārāma(nj. pleasing, delightful: ƾ. delight, pleasure; a garden) < āram(1.ǁ. to delight in; to cease, stop [to speak]; to rest, take rest) < ā(ƺ.) + ram(1.Ʋ. to be pleased or delighted, rejoice, be gratified; to rejoice at) ▼[mahatābhikṣusaṁghena] ① mahatā(nj.→ƾ.ins.) + bhikṣu+saṁghena(ƾ.ins.) → ▼[커다란、 비구승가로] → 비구승가와 더불어 ② mahat(nj. great, strong, powerful; ample, abundant; long, extended)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 bhikṣ(1.Ʋ. to ask, beg or ask for; to beg; to ask without obtaining)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② saṁgha(ƾ. coming together, joining; meeting, union; touch, contact) ▼[sārddham] ① sārddham(ƺ.) → [(더불어)] dehalidīpanyāya(통로에 밝힌 등불) : 한 가지 항목이 의미상 양쪽에 영향을 미치는 것 : 비구승가와 더불어(sārddham), 그리고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sārddham)… ② sārddham(ƺ. together with, with, in company with [w/ins.]) ▼[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① ardha+trayodaśabhiḥ(nj.→ƿ.ins.pl.) + bhikṣu+śataiḥ(ƿnp.ins.pl.) →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비구 100인들로 이루어진] →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100인의 비구들로 이루어진 (-0.5+13) x 100 = 1,250 1의 절반이 부족한 13인(nj.) 비구 100인들 → ~13곱인 비구 100인들 : 숫자가 숫자를 형용해줄 때는 '형용'이 곧 '곱절'을 의미한다. artha가 숫자 앞에 놓이면 뒤 숫자의 절반을 나타내거나(śatam[100]→arthaśatam[50]), 또는 뒤 숫자에서 0.5가 모자람을 가리킨다(tṛtīyam[ƿ. the 3rd]→arthatṛtīyam[ƿ. two and a half]). 1250명의 비구는 <過去現在因果經>에 의하면, 녹야원에서 첫 설법을 전해 제도한 다섯 비구, 야사(Yasa)와 그의 친구 50인, 가섭 3형제와 그 제자들 1천명, 사리불과 목련존자 및 그 제자 200인으로서 도합 1255인을 가리킨다. ② ardha(nj. half, forming a half: ƾ. a place, region: ƾƿ. a half, half portion) ② trayodaśa(num.nj.pl. thirteenth) < trayas(num.nj.pl. three) + daśan(num.nj.pl. ten)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② śata(ƿ. a hundred) ▼[saṁbahulaiśca] ① saṁbahulaiḥ(nj.→ƾ.ins.pl.) + ca(ƺ.) → [그리고、 많은] ② saṁbahula(nj. very much or many, very numerous, plentiful, abundant) ② ca(ƺ. and, both, also, moreover)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① bodhisattvaiḥ(ƾ.ins.pl.) + mahāsattvaiḥ(nj.→ƾ.ins.pl.) →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 위대함갖춘상태인.]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 sat(nj. being, existing, existent; real, essential, true; good, virtuous; venerable, respectable) + tva('state of') ② mahāsattva(nj. noble; very strong or powerful: ƾ. a large animal) < mahat(nj. great) è 내 몫을 공양 받을 만한 자격을 갖춘 이가 갖추어야 할 6가지 덕목 □ '자격을 갖춘 이(bhaga)'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여섯 가지를 들고 있으며, 그렇게 여섯 가 지의 덕목이 갖추어진 위대한 이를 '바가완(bhagavan)'이라 일컫는다. ○ samagrasya aiśvaryasya dharmasya yaśasaḥ śriyaḥ jñānavairāgyayoḥ caiva ṣaṇṇām bhaga itīraṇā | → [절대적 귄위 및 무집착 등의 여섯 가지를 갖춘 이의 경우 '위대한 이'라는 이름을 가진다.] 아이싀와르야 ・ aiśvarya(ƿ. supremacy, sovereignty; power; dominion) - 絶對的權能 다르마 ・ dharma(ƾ. law; usage, practice, duty; justice; virtue, morality, religion) - 法 야샤스 ・ yaśas(nj. lovely, worthy; honoured: ƿ. fame, reputation, glory; favour) - 名譽 싀리 ・ śrī(Ʒ. wealth, prosperity; royalty, majesty; the goddess of wealth) - 富貴 즈냐나 ・ jñāna(ƿ. cognizance, knowing; knowledge, learning; consciousness) - 智識 와이라갸 ・ vairāgya(ƿ. absence of worldly desires or passions) - 無執着(내려놓음) ・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아난아, 만일 모든 세계의 여러 국토에 있는 중생들이 그 나라에서 나는 자작나무 껍질[樺皮]이나 패엽(貝葉)이나 종이나 흰 천[白疊]에 이 주문을 쓰고 베껴서 향주머니에 넣어 두거나, 이 사람의 마음이 어두워서 외울 수 없을 경우,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집안에 써둔다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의 일생 동안에는 온갖 독이 해칠 수 없느니라.
제목 : 사리불아, 이 유월세계로부터 동쪽으로 2천 1억 불찰을 지나면 성왕(星王)이란 세계가 있다.**
그 나라의 부처님의 명호는 수왕(樹王) 여래ㆍ지진ㆍ등정각ㆍ명행성위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사ㆍ도법어ㆍ천인사이며 호는 중우이니, 셀 수 없이 많은 사람을 제도하신다. 누구든 수왕여래의 명호를 듣고서 기쁜 마음으로 믿고 즐거워하며 받들어 외운다면, 그들은 마땅히 모든 법락(法樂)을 얻을 것이며, 모든 마병(魔兵)들을 쳐부수고 그들의 그물을 찢어 버릴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 경을 업신여기고 비방하고 서로 조롱하면 6만 년 동안 승가(僧迦)지옥에서 그 죗값을 받을 것이다.또 ‘나는 이 경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면 7만 년 동안 항상 아귀(餓鬼)로 지내면서 음식과 물과 곡식의 이름조차 듣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