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종 열반의 하나. 소지장(所知障)을 끊고 얻는 진여. 지적(智的) 장애를 끊으면 생사와 열반의 차별이 없는 줄을 아는 깊은 지혜를 얻어, 생사라고 하여 싫어하지도 않고, 열반이라고 하여 기뻐하지도 않아서, 생사에도 열반에도 주(住)하지 않고, 항상 대비(大悲)ㆍ대지(大智)로 중생을 이롭게 하므로 무주(無住)라 하고, 이러한 이락(利樂)의 작용이 있으나 실체는 항상 적정(寂靜)하므로 열반이라 한다.
005▲ 匚卜匕冫厶 ■ 방복비빙사 5 ( 상자 방 )( 점 복/ 무 복, 짐바리 짐 )( 비수 비 )( 얼음 빙 )( 사사 사 / 아무 모 )
006▲ 十乂又二人 ■ 십예우이인 6 ( 열 십 )( 벨 예 / 징계할 애 )( 또 우 / 용서할 유 )( 두 이 )( 사람 인 )
재춘법한자
[fra-eng]
l'idéalisme $ 불어 the idealism [chn_eng_soothil]
地壇 A square altar used by the esoteric cult.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一時, 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 한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 사람과 함께 계셨다. [玄奘] 一時, 薄伽梵在室羅筏, 住誓多林給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義淨] 一時, 薄伽梵在名稱大城戰勝林施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及大菩薩眾.
ekasmin samaye bhagavān śrāvastyāṁ viharati sma 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mahatābhikṣusaṁghena sārddham 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saṁbahulaiśca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 한 때 복덕갖춘분께서 싀라와스띠에 계실 때, 무의탁자들에게 음식을 주는 이의 동산인 제따숲에서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100인의 비구들로 이루어진 커다란 비구승가와 더불어, 그리고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 머무셨다. ▼▷[ekasmin] ① ekasmin(pn.nj.→ƾ.loc.) → [한] ② eka(pn.nj. one, single, alone, only) ▼[samaye] ① samaye(ƾ.loc.) → [때에]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bhagavān] ① bhagavān(ƾ.nom.) → [복덕갖춘분께서] ② bhagavat(nj. glorious, illustrious: ƾ. a god, deity; of Buddha) < * + vat(possessive affix) < bhaga(ƾ. the sun; the moon; good fortune, luck, happy lot)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śrāvastyāṁ] ① śrāvastyāṁ(Ʒ.loc.) → [싀라와스띠에서] → 싀라와스띠에 계실 때 한 때 90만 가구가 살았다고 전해지는 '싀라와스띠'의 이름은 성인 싸왓타(Sāvatth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하며, 혹은 당시 무역중개의 거점으로서 무슨 물건이든지 모두 있다는 의미의 'sarvam[모든 것이] asti[있습니다]'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② śrāvastī(Ʒ. N. of a city north of the Ganges) ▼[viharati] ① viharati(pres.Ⅲ.sg.) → [머무신다] -|+sma|→ 머무셨다 ② vihṛ(1.ǁ. to take away, seize away; to remove, destroy; to let fall, shed) < vi(ƺ. separation, disjunction) + hṛ(1.dž. to take, carry, convey, lead; to carry off or away) ② vihāra(ƾ. removing, taking away; roaming or walking for pleasure; sport, play) ▼[sma] ① sma(ƺ.) → [(과거형성)] ② sma(ƺ. joined with a pres. tense or pres. participle to give them a past sense) ▼[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① jeta+vane(ƿ.loc.) + anātha+piṇḍa+dasya([nj.→]ƾ.gen.) + ārāme(nj.→ƾ.loc.) → [제따숲에、 무의탁자들에게 음식을 주는 이의、 동산인(←즐거움을 주는 곳인)] ② jeta([in comp.]) < jrtṛ(nj. victorious, triumphant; surpassing: ƾ. a conqueror, voctor) ② vana(ƿ. a forest, wood; residence, house) ② anātha(nj. helpless, poor, forlorn, parentless, orphan, widowed; without a protector) < nātha(ƾ. a lord, master, leader; a husband; a protector) ② piṇḍa(ƾƿ. a round mass, ball; a lump; a round lump of food; A ball or lump of rice offered to the Manes at obsequial ceremonies or Srāddhas) ② da(nj. giving, granting; destroying, removing) < dā(1.ǁ. to give, bestow, grant) ② ārāma(nj. pleasing, delightful: ƾ. delight, pleasure; a garden) < āram(1.ǁ. to delight in; to cease, stop [to speak]; to rest, take rest) < ā(ƺ.) + ram(1.Ʋ. to be pleased or delighted, rejoice, be gratified; to rejoice at) ▼[mahatābhikṣusaṁghena] ① mahatā(nj.→ƾ.ins.) + bhikṣu+saṁghena(ƾ.ins.) → ▼[커다란、 비구승가로] → 비구승가와 더불어 ② mahat(nj. great, strong, powerful; ample, abundant; long, extended)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 bhikṣ(1.Ʋ. to ask, beg or ask for; to beg; to ask without obtaining) < bhaj(1.dž. to share, distribute, divide; to obtain for oneself, share in; to accept, receive) ② saṁgha(ƾ. coming together, joining; meeting, union; touch, contact) ▼[sārddham] ① sārddham(ƺ.) → [(더불어)] dehalidīpanyāya(통로에 밝힌 등불) : 한 가지 항목이 의미상 양쪽에 영향을 미치는 것 : 비구승가와 더불어(sārddham), 그리고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sārddham)… ② sārddham(ƺ. together with, with, in company with [w/ins.]) ▼[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① ardha+trayodaśabhiḥ(nj.→ƿ.ins.pl.) + bhikṣu+śataiḥ(ƿnp.ins.pl.) →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비구 100인들로 이루어진] → (하나의) 절반이 부족한 13의 곱절인 100인의 비구들로 이루어진 (-0.5+13) x 100 = 1,250 1의 절반이 부족한 13인(nj.) 비구 100인들 → ~13곱인 비구 100인들 : 숫자가 숫자를 형용해줄 때는 '형용'이 곧 '곱절'을 의미한다. artha가 숫자 앞에 놓이면 뒤 숫자의 절반을 나타내거나(śatam[100]→arthaśatam[50]), 또는 뒤 숫자에서 0.5가 모자람을 가리킨다(tṛtīyam[ƿ. the 3rd]→arthatṛtīyam[ƿ. two and a half]). 1250명의 비구는 <過去現在因果經>에 의하면, 녹야원에서 첫 설법을 전해 제도한 다섯 비구, 야사(Yasa)와 그의 친구 50인, 가섭 3형제와 그 제자들 1천명, 사리불과 목련존자 및 그 제자 200인으로서 도합 1255인을 가리킨다. ② ardha(nj. half, forming a half: ƾ. a place, region: ƾƿ. a half, half portion) ② trayodaśa(num.nj.pl. thirteenth) < trayas(num.nj.pl. three) + daśan(num.nj.pl. ten) ② bhikṣu(ƾ. a beggar, mendicant in general; a religious mendicant; a Buddhist mendicant) ② śata(ƿ. a hundred) ▼[saṁbahulaiśca] ① saṁbahulaiḥ(nj.→ƾ.ins.pl.) + ca(ƺ.) → [그리고、 많은] ② saṁbahula(nj. very much or many, very numerous, plentiful, abundant) ② ca(ƺ. and, both, also, moreover)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① bodhisattvaiḥ(ƾ.ins.pl.) + mahāsattvaiḥ(nj.→ƾ.ins.pl.) → [깨달음갖춘이들과 더불어、 위대함갖춘상태인.]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 sat(nj. being, existing, existent; real, essential, true; good, virtuous; venerable, respectable) + tva('state of') ② mahāsattva(nj. noble; very strong or powerful: ƾ. a large animal) < mahat(nj. great) è 내 몫을 공양 받을 만한 자격을 갖춘 이가 갖추어야 할 6가지 덕목 □ '자격을 갖춘 이(bhaga)'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여섯 가지를 들고 있으며, 그렇게 여섯 가 지의 덕목이 갖추어진 위대한 이를 '바가완(bhagavan)'이라 일컫는다. ○ samagrasya aiśvaryasya dharmasya yaśasaḥ śriyaḥ jñānavairāgyayoḥ caiva ṣaṇṇām bhaga itīraṇā | → [절대적 귄위 및 무집착 등의 여섯 가지를 갖춘 이의 경우 '위대한 이'라는 이름을 가진다.] 아이싀와르야 ・ aiśvarya(ƿ. supremacy, sovereignty; power; dominion) - 絶對的權能 다르마 ・ dharma(ƾ. law; usage, practice, duty; justice; virtue, morality, religion) - 法 야샤스 ・ yaśas(nj. lovely, worthy; honoured: ƿ. fame, reputation, glory; favour) - 名譽 싀리 ・ śrī(Ʒ. wealth, prosperity; royalty, majesty; the goddess of wealth) - 富貴 즈냐나 ・ jñāna(ƿ. cognizance, knowing; knowledge, learning; consciousness) - 智識 와이라갸 ・ vairāgya(ƿ. absence of worldly desires or passions) - 無執着(내려놓음) ・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변의는 속성이 마씨(馬氏)이며 패주(貝州) 청하(淸河) 사람이다. 그는 젊어서 출가하였는데, 마음을 고요한 곳에 두고 세상일에는 관심이 적었다. 품은 뜻은 크고 두터웠으며 남들과 잘 사귀어 오래 지나도 독실하게 공경하였고 언행에서 발끈 성내는 일이 없었으며, 세차게 넘쳐흐르는 물과 같은 원대한 도량을 가졌다. 처음에는 유 논사(猷論師)에게 귀의하여 『잡심론(雜心論)』을 배우고 글 뜻을 꿰뚫었다. 나이가 20세가 되자 곧 강설하게 되었으며 법에 의거하여 도(道)를 전하였고 의심과 까다로운 질문에 대하여서는 종횡무진하며 묻는 대로 분석해 주었는데, 하나도 의심할 여지가 없게 하였다. 당시 담산(曇散)이라는 사문이 있었는데, 그는 이해가 옛사람을 초월하여 당시 명망이 아주 높았다. 그는 변의가 논을 가르친다는 소식을 듣고 그와 견주어보려고 곧 찾아갔다. 그는 열 번쯤 말을 주고받고는 더 이어댈 말이 없게 되었다. 그러자 변의가 말하였다. “이치는 형세로 보아 다 끝나지 않았는데, 왜 마저 논하지 않소?” 담산이 말하였다. “내가 그대에게 어려운 문제를 제기한 것이 열 가지를 넘기지 못하였는데 그대는 지금 형세가 다하지 않았다고 대답하니, 안다고 한들 무엇을 더 말하겠소?”이렇게 되어 양하(兩河) 사람들은 경탄을 하며 최고라고 칭찬을 하였다. 제나라의 운명이 말기에 이르고 주나라 도진(道津)을 잃게 되자 그는 남쪽으로 가다가 건업(建業)에 이르러 소론(小論)을 널리 전파하였는데, 그 명성이 점차 퍼져 다시 중토(中土)에 소문이 자자해졌다. 그후 수나라 양제는 명성 높은 대덕들을 뽑아 일엄사(日嚴寺)에 머무르게 하였는데, 변의의 학문과 공덕이 현저하다고 하여 곧 그를 관보(關輔)1) 로 가게 하였다. 그리고 그에게 이치를 묻고 의심을 풀어나가니, 그는 하루도 자리를 비우는 적이 없었다. 수도의 뛰어난 대덕들인 담공(曇恭)ㆍ도무(道撫)ㆍ색(賾)ㆍ정(淨) 등은 모두 경문을 듣고 묻고 의논하며 그 심오한 뜻을 탐구하였으나 모두 그가 지닌 이치를 다 알지 못하였다. 후에 세상에 밝은 시대가 오자 사원에는 고명한 승려들이 많아져 한 곳에서 다섯 강의를 하면서 항상 법륜(法輪)을 굴리게 되었다. 변의는 이들 모두를 두루 관찰하고 그것들을 절충하여 이론을 폈으며, 자신을 감추고 겸손하게 면전에서 잘못을 들추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반드시 기연에 응하면 업적[緖]을 떨어뜨릴 사람들에 대하여서는 조용히 사양하니 그들은 어찌할 수 없어 물러갔다. 그는 사람들의 면전에서 추켜올리거나 깎아내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대의 대덕들도 자신을 낮추고 일을 처리하는 그의 기질을 공경하였다. 이리하여 그의 명성이 이전보다 더 퍼졌다. 인수(仁壽) 2년에 수나라의 한왕 양량이 멀리에 있는 지념 법사를 맞아들여 왕실을 빛내었는데, 이것은 한왕이 그의 지혜와 슬기를 자랑하려고 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선림사(禪林寺)에서 처음으로 법회를 소집하고 3보(輔)의 고명하고 지혜가 있는 승려들도 모두 강의를 그만두고 다 같이 스승으로 모시게 하였다. 이때 변의도 그 모임에 참가하였는데, 그의 청아한 설교를 듣고 마음속에 막혔던 문제를 가지고 사흘 동안 계속 글로 적어서 물어보자 모두 말문이 막혀 대답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지념이 법좌에서 말하였다. “앞에서 물어본 것은 나도 매일반으로 의문되는 것이다. 청하건대 내가 아랫자리에서 도리어 그 뜻을 물으려고 한다.” 변의가 자기의 덕망을 숨긴 것은 세상에 종지[宗]를 같이할 사람이 드물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의 지혜가 생각할 사이 없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수도의 모든 승려들이 정신을 가다듬어 듣고 전하게 되었다. 그가 나타내거나 숨기는 것은 모두 이런 방식이었다. 수양제가 이전에 태자궁에 있을 때 헌후(獻后)가 세상을 떠나자 일엄사(日嚴寺)의 대덕 40여 명을 불렀는데, 모두가 온 나라의 종사(宗師)들이었으며 그 시대의 특출한 인재들이었다. 그들은 변의와 상대하여 현묘한 이치를 드날렸는데, 이것은 충분히 황제의 마음을 만족시킬 만하였다. 사문 도악(道岳)은 한평생 『구사론』을 종지로 삼았는데, 더 이상 스승에게서 배울 것이 없고, 그의 깨달음을 따를 자가 없었다. 그러나 의심되고 의논할 것이 있으면 모두 변의에게 가지고 가서 해결하고는 하였다. 도악은 늘 “내가 논을 널리 퍼뜨리는 데서 변의가 아니면 누가 그 강령을 떨쳐 주겠는가” 하고 칭찬하였다. 때문에 그의 명망이 아름답게 퍼졌고 뛰어난 승려들의 칭찬을 받았던 것이다. 당시 지구(智矩)ㆍ길장(吉藏)ㆍ혜승(慧乘) 등 사문 30여 명이 있었는데 모두가 양제(煬帝)의 흠모를 받으며 일엄사에 함께 머무르고 있었다. 그들은 변의에게 『잡심론(雜心論)』에 대하여 연설해 줄 것을 청하였다. 변의는 두루 생각해보고 경쟁하려는 것이 아닌 것을 알고는 곧 맨 앞자리에 나가 그 승려들에게 문장만을 따르지 않고 요강의 세부를 제시하여 오묘한 바탕을 다 나타내며 깊은 극치까지 이야기하니, 모두가 시간이 지난 것도 깨닫지 못하였다. 그가 그 시대의 현인들에게 존경 받은 것은 대체로 이러하였다. 그는 대업 2년에 자기가 머무르던 절에서 생을 마쳤는데, 그때 그의 나이는 66세로, 수도 교외의 남쪽에서 장사지냈다. 동궁사인(東宮舍人) 정정(鄭頲)이 그를 위하여 비문을 지어 칭송하였다. 처음 변의는 인수 2년에 칙명을 받들고 본주(本州)의 보융사(寶融寺)에 사리를 보냈는데, 그것이 주의 소재지에 도착하자 갑자기 밝은 빛이 뿜어 나왔다. 그 사원의 승려인 지요(智耀)는 이에 앞서 아홉 과[分]의 사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을 가지고 도량에 들어가면서 세어보니 그것이 불어나 12과가 되었다. 그것은 또 밝은 빛을 뿌렸는데, 사람들의 인연과 생각에 따라 색이 서로 달라서 푸른색, 분홍색, 자주색, 흰색 등으로 동시에 다르게 보였다. 혹은 부처님의 모습이나 승려들의 형상이 겹치면서 빛을 뿌렸다. 이렇게 전후하여 빛을 뿌린 것이 하루에도 몇 차례나 되었다. 곧 탑에 넣으려는 저녁이 되자 또 터[基]에서 황자색의 기운이 땅으로부터 넉 자의 높이까지 치솟았으며, 평평하게 메운 다음날 밤에는 또 큰 빛을 뿌렸는데, 그 빛은 위로는 은하수에 닿고 아래로는 성읍(城邑)까지 비쳤다. 온 고을 사람들이 머리 위에 받들고 상서로운 징조라고 기뻐하였다. 인수 4년 늦은 봄에 변의는 또 황제의 칙명을 받들고 여주(廬州)의 독산(獨山) 양정사(梁靜寺)에 사리탑을 세웠다. 처음에 관리와 함께 사리를 안치할 땅을 찾아다니다가 이 산에 이르자 문득 큰 사슴이 산에서 뛰어내려와 변의를 맞이하고 껑충껑충 뛰며 왔다 갔다 하면서도 도무지 무서워하는 기색이 없었다. 그곳은 높고 앞이 트였지만 아쉬운 것은 물이 적어 대중이 많으면 물을 공급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여기에 본래 한 샘이 있었는데 이것은 승찬(僧粲) 선사가 향을 태우며 물을 구한 것으로 하여 터진 샘이었다. 승찬 선사가 죽은 후 샘이 마른 지 여러 해가 되었는데 사리를 안치하려고 하자 하룻밤 사이에 말랐던 샘물이 다시 솟아났다. 그리하여 도인들과 속인들이 모두가 기뻐하며 경축하였다. 자리를 잡아 기단을 세우자 여러 번 큰 빛이 뿜어 나왔는데 불과 같기도 하고 번개 와 같기도 한 빛이 도량을 돌고는 성을 두루 비추니 관리들과 백성들이 함께 보고 다 같이 보기드믄 일이라고 감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