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dhūta 또는 두다(杜多ㆍ杜茶)ㆍ두타(杜陀). 번역하여 두수(抖擻)ㆍ수치(修治)ㆍ세완(洗浣)ㆍ기제(棄除)ㆍ도태(淘汰). 번뇌의 티끌을 떨어 없애고, 의ㆍ식ㆍ주에 탐착하지 않으며, 청정하게 불도를 수행하는 것. 여기에 12종의 행(行)이 있다. ⇒<유사어>두수<참조어>두수(抖擻)ㆍ<유사어>수하좌<참조어>수하좌(樹下座)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Dhammananda Bhikkhuni [san-chn]
tāttaka 亦復然, 亦然 [san-eng]
iccāmi $ 범어 do I wiś [pali-chn]
ākāsânañcâyatana 空無邊處, 空無邊處定 [pal-eng]
kammasambhava $ 팔리어 adj.produced by karma. [Eng-Ch-Eng]
化生 (1) Born naturally, born from oneself. (2) That which is born through spontaneous generation. A sentient being suddenly appearing from nowhere, for example, the birth of a ghost. (3) In contrast to other types of birth, (i.e., from an egg, from a womb, from moisture) a species that is born suddenly without a specific origin. This refers especially to the intermediate stage after death, where beings are reborn as spirits, gods, hell-beings, etc. (upapa^duka-yoni). One of the four types of birth (四生). [Muller-jpn-Eng]
我空眞如 ガクウシンニョ emptiness of self as the ultimate reality [Glossary_of_Buddhism-Eng]
GOOD PLANES OF EXISTENCE☞ Syn: Good Destinies. See also: Six Planes of Existence; Three Evil Paths. “The states of gods, asuras, and humans are the three ‘good planes of existence.’ These beings are not subject to as much suffering as are 【book-page-306 307】 animals, hungry ghosts, and hell-dwellers. On the three good planes, one has a better opportunity to practice the Dharma; one cannot easily do so in the lower states.” Chan: 476 #0525
[fra-eng]
inflation $ 불어 inflation [chn_eng_soothil]
千佛 The thousand Buddhas. Each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kalpas has a thousand Buddhas; Śākyamuni is the "fourth" Buddha in the present kalp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菩薩但應如所敎住.」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가르쳐 준대로만 머물지니라.” [玄奘] 善現, 菩薩如是如不住相想應行布施. [義淨] (缺譯) 04-10 एवं हि सुभूते बोधिसत्त्वयानसंप्रस्थितेन दानं दातव्यं यथा न निमित्तसंज्ञायामपि प्रतितिष्ठेत्॥४॥ evaṁ hi subhūte bodhisattvayānasamprasthitena dānaṁ dātavyam yathā na nimittasaṁjñāyāmapi pratitiṣṭhet ||4|| 참으로 그렇게, 수보리여! 깨달음갖춘이의 수레로 길을 떠나는 이에 의해 주어져야 하는 베풂은 그처럼 형상산냐에도 머물러서는 안 된다.” ▼▷[evaṁ] ① evaṁ(ƺ.) → [그렇게] ▼[hi] ① hi(ƺ.) → [참으로] ② hi(ƺ. really, indeed, surely; for because; just, pray, do)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bodhisattvayānasamprasthitena] ① bodhisattva+yāna+samprasthitena([nj.→]ƾ.ins.) → ▼[깨달음갖춘이의 수레로 길을 떠나는 이에 의해]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nature character) < sat(nj. existing) + tva('state of') ② yāna(ƿ. going, moving, walking; a voyage, journey; marching against; a conveyance, vehicle, chariot) ② samprasthita(nj. set out on a journey, departed; advancing towards Buddhahood)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은] ▼[dātavyam] ① dātavyam(nj.→ƿ.nom.) → [주어져야 하는] ▼[yathā] ① yathā(ƺ.) → [그처럼] ▼[na] ① na(ƺ.) ▼[nimittasaṁjñāyāmapi] ① nimitta+saṁjñāyām(Ʒ.loc.) + api(ƺ.) → [형상산냐에、 또한] ▼[pratitiṣṭhet] ① pratitiṣṭhet(pot.Ⅲ.sg.) → [머물러서는 안 된다.]
●아난아, 이 선남자가 이 주문을 지닐 때에는, 가령 주문을 수지하기 전에 금계(禁戒)를 범했을지라도, 주문을 지닌 뒤에는 온갖 파계 죄는 가볍고 무거움을 가리지 않고 일시에 소멸하며, 비록 술을 마시고 오신채(五辛菜) 등 가지가지 부정(不淨)한 음식을 먹고 지냈을지라도, 일체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과 하늘과 신선과 귀신(鬼神)들은 그것을 잘못으로 여기지 않는다.
『백유경』에서 말하였다. “여우가 나무 밑에 있을 때 바람에 나무 가지가 부러져 그 등에 떨어졌다. 그는 곧 눈을 감고 그 나무를 보려고도 하지 않고 다른 데로 달아나 버렸다. 그래서 해가 저물어도 그 나무 밑으로 돌아오려 하지 않다가, 바람이 불어 그 나무 가지가 아래위로 흔들리는 것을 멀리서 보고는, 저를 부른다 생각하고 그 나무 밑으로 돌아왔다. 우치한 제자도 이와 같다. 한번 출가하여 스승을 가까이 하다가 조그만 꾸지람을 듣고 곧 다른 데로 달아난다. 그랬다가 뒤에 나쁜 벗을 만나 쉬지 않고 시달림을 받고는 비로소 옛날의 스승에게로 돌아온다. 이렇게 갔다 왔다 하는 것은 그 어리석음 때문이니라. 게송을 읊는다.
애욕의 그물은 마음의 어둠을 엮고 탐심의 우치는 지혜의 밝음을 등진다. 비록 슬기의 횃불에 비치어도 어리석음에 그대로 눈이 어둡다.
언제나 어리석어 깨닫지 못해 슬기의 종자가 싹을 내지 못하나니 높은 벗을 사모하지 않고서야 어떻게 이 정신을 깨우칠 수 있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