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Second Buddhist council [san-chn]
bhraṣṭa-smṛtika 失念 [san-eng]
kumbha $ 범어 ṭhe Zodiacal sign of Aquarius [pali-chn]
saṃseda-ja 濕生 [pal-eng]
vossagga $ 팔리어 m.donation; relinquishing; giving up. [Eng-Ch-Eng]
VISVABHADRA BODHISATTVA Visvabhadra Bodhisattva 普賢菩薩 As one of the Four Great Bodhisattva, he is the one with the highest conduct. Visvabhadra, also known as Samantabhadra, means universal worthy. He is the lord of the fundamental law, the dhyana ( taking precepts) and the practice of all Buddhas. Visvabhadra, the guardian of law, is often placed on the right of Shakyamuni, while Manjusri, the guardian of wisdom, is the left. He always rides on a white elephant, is the patron of the Lotus Sutra, and its devotees, and has close connection with Hua-yen Sutra. He has Ten Great King Vows, which give an excellent guideline to all Buddhists to practice and cultivate the Buddha Way. [Muller-jpn-Eng]
忍俊不禁 ニンシュンフキン to be unhandleable [Glossary_of_Buddhism-Eng]
FAHSIEN☞ See also: Hsuan-Tsang. “A Chinese monk of the Eastern Chin dynasty (4th-5th c. A.D.). In 399 he left China for India, finally arriving there after six years of hard travel. After studying Sanskrit and obtaining many Sanskrit texts of the Tripitaka (Buddhist canon), he returned to China by sea in 414. After his return he not only translated these texts but also wrote a record of his travels. He died when either eighty-two or eightysix years old.” Yoko: 203 #0790
[fra-eng]
andouille $ 불어 sausage [chn_eng_soothil]
含中教 A Tiantai term for the 通教 which was midway between or interrelated with Hīnayāna and Mahāyān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 見如來不?」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몸매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玄奘] 佛告善現: 於汝意云何, 可以諸相具足觀如來不? [義淨] 妙生! 於汝意云何, 可以具足勝相觀如來不? 05-01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 लक्षणसंपदा तथागतो द्रष्टव्यः ? tatkiṁ manyase subhūte lakṣaṇasampadā tathāgato draṣṭavyaḥ |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보리여! ‘(32가지) 모습이 갖추어졌다고 하여 그렇게오신분으로 보아야 한다.’(라고 생각하느냐)?” ▼▷[tatkiṁ] ① tat(pn.ƿ.acc.) + kiṁ(ƺ.) → [이것을、 어떻게] ② tat(pn.ƿ.nom.acc.sg.) < tad(pn. that, he, it, she) ② kiṁ(ƺ. a particle meaning 'why' 'wherefore') ▼[manyase] ① manyase(pres.Ⅱ.sg.) → [생각하는가?] ② man(4.8.Ʋ. to think, believe; to consider, regard, look upon)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lakṣaṇasampadā] ① lakṣaṇa+sampadā(Ʒ.ins.) → [‘(+32가지) 모습의 갖추어짐으로] ① 三十二相을 갖추었다고 하여 如來로 볼[→간주할] 수 있다. ② 三十二相을 통해 如來를 볼 수 있다. ③ 三十二相을 갖추었기 때문에 如來가 보여야 한다. (= 三十二相을 갖추지 못했으면 如來가 아니라고 해야 한다. 卽, 如來는 특정相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 당연한데, 특정相을 갖추지 않았더라도 여래는 여래이므로 相을 기준으로 여래를 판별해서는 안 된다.) ≒ 사리가 나왔기 때문에 그를 참된 수행자로 보아야 한다.(= 사리가 나오지 않았으면 참된 수행자가 아니라고 해야 한다. 卽, 참된 수행자는 사리의 유무와 관계없으므로, 사리가 나오지 않았더라도 참된 수행자는 참된 수행자이므로 사리를 기준으로 수행자의 참됨을 판별해서는 안 된다.) ʱ [중심어가 앞단어인 후방복합어] : ‘(32가지로) 갖추어진 모습으로…’ → 如來는 32가지로 갖추어진 모습 때문에 여래가 보이는 것이다. → 32가지로 갖추어진 모습 때문에 여래로 볼 수 있다. ʲ [중심어가 뒷단어인 후방복합어] : ‘(32가지) 모습의 갖추어짐으로…’ → 如來는 三十二相을 갖춤으로써 보여질 수 있다. → 三十二相을 갖추었다고 하여 如來로 볼 수 있다. ② lakṣaṇa(ƿ. a mark, token, sign; a symptom [of a disease]; an attribute, a quality) ② sampad(Ʒ. wealth, riches; prosperity; good fortune; success, fulfillment, accomplishment) < sampad(4.Ʋ. to turn out well; to be completed; to arise; to obtain, attain to) ▼[tathāgato] ① tathāgataḥ(ƾ.nom.) → [그렇게오신분은] ② tathāgata(nj.ƾ.) < tathā(ƺ. in that manner, so, thus) + āgata(p.p. come, arrived; occurred, happened; obtained, got) < āgam(1.ǁ. to come) ▼[draṣṭavyaḥ] ① draṣṭavyaḥ(njp.→ƾ.nom.) → [드러나 보여야 한다.’(라고)?] 32가지 모습의 갖추어짐으로[ins.] 그렇게오신분이 드러나 보여야 한다. → 32가지 모습이 갖추어졌기 때문에[caus.] 그렇게오신분이 드러나 보여야 한다. → 32가지 모습이 갖추어졌기 때문에 그렇게오신분으로 보아야(=간주해야) 한다. ② draṣṭavya(pot.pass.p. to be seen, visible; perceptible; fit to be seen,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