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782_T0553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보살이 수행할 때 들어가는 삼매의 수. 수능엄ㆍ보인ㆍ사자희ㆍ묘월ㆍ월당상ㆍ출제법ㆍ관정ㆍ필법성ㆍ필당상ㆍ금강ㆍ팔법인ㆍ삼매왕안립ㆍ방광ㆍ역진ㆍ고출ㆍ필입변재ㆍ석명자ㆍ관방ㆍ다라니인ㆍ무광ㆍ섭제법계ㆍ변부허ㆍ금강륜ㆍ보단ㆍ능조ㆍ불구ㆍ무소ㆍ무심ㆍ정등ㆍ무변명ㆍ능작명ㆍ보조명ㆍ견정제ㆍ무구명ㆍ환희ㆍ전광ㆍ무진ㆍ위덕ㆍ이진ㆍ부동ㆍ불퇴ㆍ일등ㆍ월정ㆍ정명ㆍ능작명ㆍ작행ㆍ지상ㆍ여금강ㆍ심주ㆍ보명ㆍ안립ㆍ보취ㆍ묘법인ㆍ법등ㆍ단희ㆍ도법정ㆍ능산ㆍ분별제법구ㆍ자등상ㆍ이자ㆍ단연ㆍ불괴ㆍ무종상ㆍ무처행ㆍ이몽매ㆍ무거ㆍ불변이ㆍ도연ㆍ집제공덕ㆍ무심ㆍ묘정화ㆍ각의ㆍ무량변ㆍ무등등ㆍ도제법ㆍ분별제법ㆍ산의ㆍ무주처ㆍ일장엄ㆍ생행ㆍ일행ㆍ불일행ㆍ묘행ㆍ달일체유적산ㆍ입명어ㆍ이음성자어ㆍ연거ㆍ정상ㆍ파상ㆍ일체종묘족ㆍ일불희고락ㆍ무진상ㆍ다라니ㆍ섭제사정ㆍ멸증애ㆍ역순ㆍ정광ㆍ견고ㆍ만월정광ㆍ대장엄ㆍ능조일체세간ㆍ삼매등ㆍ섭일체유쟁무쟁ㆍ불락일체주처ㆍ여주정ㆍ괴신쇠ㆍ괴어여허공ㆍ이착허공불염삼매.
답 후보
● 백팔삼매(百八三昧)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범중천(梵衆天)
법계관(法界觀)
법공양(法供養)
법멸(法滅)
법문(法文)
◀접기
■ 음악
Marie-Paule Belle - La Solitude
Francis Lai - La Babysitter
Mireille Mathieu - Una Canzone (Stanotte Sentirai Una Canzone)
Marie Laforet - J'ai Le Coeur Gros Du Temps Present
Jean-Louis Murat - Gel Et Rosee
Nilda Fernandez - Ou Tu Habites
Edith Piaf - Autumn Leave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34▲ 艸卄丑夬巴 ■ 초입축쾌파 34 ( 풀 초 )( 스물 입) ( 소 축 / 추할 추, 수갑 추 )( 터놓을 쾌/ 쾌괘 쾌, 깍지 결 ) ( 꼬리 파/ 바랄 파)
047▲ 玉瓦凹用右 ■ 옥와요용우 47 ( 구슬 옥 ) ( 기와 와 ) ( 오목할 요, / 오목할 압 ) ( 쓸 용 ) ( 오른쪽 우/ 도울 우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
[san-chn]
dhātuṃ prakṛtiṃ ca 根性
[san-eng]
parāyaṇaḥ $ 범어
being so destined
[pali-chn]
paññêndriya 慧根
[pal-eng]
nibandhitvaa $ 팔리어 abs. of nibandhatihaving bound; having urged; having importuned.
[Eng-Ch-Eng]
勝義皆空宗 The superior teaching that all is emptiness.
[Muller-jpn-Eng]
法華一實 ホッケイチジツ (title) single truth of the Lotus Sutra
[Glossary_of_Buddhism-Eng]
DHAMMA PALI ☞
See: Dharma.
【book-page-184 185】
[fra-eng]
échangeur $ 불어 exchanger
[chn_eng_soothil]
巴連弗 Pataliputra, v. 波吒釐.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若心有住, 卽爲非住. 是故佛說菩薩, 心不應住色布施.
마음이 머무는 데가 있으면 머무름이 아니니 그러므로 여래는 ‘보살은 마음
을 빛에 머무르고서 보시하지 말아야 한다.’ 하였느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諸有所住, 則為非住! 是故如來說:
ࡔ諸菩薩應無所住而行布施, 不應住色、聲、香、味、觸、法而行布施.ࡕ
[義淨] 何以故? 若有所住, 即為非住! 是故佛說: ࡔ菩薩應無所住而行布施.ࡕ
14-15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त्प्रतिष्ठितं तदेवाप्रतिष्ठितम्।
तस्मादेव तथागतो भाषते-अप्रतिष्ठितेन बोधिसत्त्वेन दानं दातव्यम्।
न रूपशब्दगन्धरसस्पर्शधर्मप्रतिष्ठितेन दानं दातव्यम्॥
tatkasya hetoḥ | yatpratiṣṭhitaṁ tadevāpratiṣṭhitam | tasmādeva tathāgato
bhāṣate | apratiṣṭhitena bodhisattvena dānaṁ dātavyam | na
rūpa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apratiṣṭhitena dānaṁ dātavyam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머문다는 것은 머물지 않는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렇게오신분께서 머묾이 없는 깨달음갖춘이에 의해 베풂이 주어져야 하며, 형색과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에 머물지 않음으로 베풂이 주어져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yatpratiṣṭhitaṁ] ① yat(pn.ƿ.nom.) + pratiṣṭhitaṁ([nj.→]ƿ.nom.) → [(어떠한)
그것은、 머문다는 것은]
▼[tadevāpratiṣṭhitam] ① tat(pn.ƿ.nom.) + eva(ƺ.) + apratiṣṭhitam([nj.→]ƿ.nom.) →
▼[그것은、 바로、 머물지 않는다는 것이다. → ~것이기 때문이다.]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tasmādeva] ① tasmāt(ƺ.) + eva(ƺ.) → [그러므로、 오직]
② tasmāt(ƺ. from that, on that account, therefore)
▼[tathāgato] ① tathāgataḥ(ƾ.nom.) → [그렇게오신분께서]
▼[bhāṣate] ① bhāṣate(pres.Ⅲ.sg.) → [말씀하셨다.]
② bhāṣ(1.Ʋ. to say, speak, utter; to speak to, address; to tell, announce)
▼▷[apratiṣṭhitena] ① apratiṣṭhitena(nj.→ƾ.ins.) → [(+법에 마음이) 머묾이 없는]
② pratiṣṭhita(p.p. set up, erected; fixed, established; placed, situated; installed)
▼[bodhisattvena] ① bodhisattvena(ƾ.ins.) → [깨달음갖춘이에 의해]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이]
② dāna(ƿ. giving, granting, teaching; delivering, handing over; a gift, donation)
▼[dātavyam] ① dātavyam(njp.→ƿ.nom.) → [주어져야 한다.]
② dātavya(nj.) < * + tavya(pot.pass.p.) < dā(1.ǁ. to give, bestow, grant)
▼▷[na] ① na(ƺ.)
▼[rūpa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apratiṣṭhitena] ①
rūpa+śabda+gandha+rasa+spraṣṭavya+dharma+pratiṣṭhitena([nj.→]ƿ.ins.) → [형색、
소리、 냄새、 맛、 감촉、 법에 머물지 않음으로 → ~ 머물지 않음을 통해]
▼[dānaṁ] ① dānaṁ(ƿ.nom.) → [베풂이]
▼[dātavyam] ① dātavyam(njp.→ƿ.nom.) → [주어져야 한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12일째]
일미진처무변제 $ 112▲阿僧祇轉阿僧祇轉為 一 ● 無量, ○□□□□,無,十,剎,一
□□□□□□□, 無量諸剎普來入,
十方差別不可說, 剎海分布不可說。
□□□□□□□, 무량제찰보래입,
십방차별불가설, 찰해분포불가설。
一微塵處無邊際,
한 티끌 있는 곳이 끝단 데 없어
한량없는 세계가 다 들어오니
시방의 차별함을 말할 수 없고
세계해의 분포(分布)도 말할 수 없어
[113째]
일일찰중유여래 $ 113▲無量無量為 一 ● 無量轉, ○□□□□,壽,諸,甚,神
□□□□□□□, 壽命劫數不可說,
諸佛所行不可說, 甚深妙法不可說,
□□□□□□□, 수명겁수불가설,
제불소행불가설, 심심묘법불가설,
一一剎中有如來,
하나하나 세계마다 계시는 여래
수명이 몇 겁인지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행하심도 말할 수 없고
깊고 깊은 묘한 법 말할 수 없어
●K0728_T0113.txt★ ∴≪A불설난제석경≫_≪K0728≫_≪T0113≫
●K0782_T0553.txt★ ∴≪A불설내녀기역인연경≫_≪K0782≫_≪T0553≫
●K1011_T0610.txt★ ∴≪A불설내신관장구경≫_≪K1011≫_≪T0610≫
■ 암산퀴즈
789* 298
281946 / 34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 번째는?
47 좋은 말씀은 흐리고 악한 맛을 능히 맑히며
앙구지다비, 盎矩之多毘<四十七>
ango-citta avi,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30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chindayāmi kilayāmi//
231 다드바가 ◐怛怛嚩伽<上>嚕茶<金翅鳥王二百三十一>◑Tat vā garuḍa
232 가리참미댜 ◐訖哩耽微地也<二百三十二>◑kritāṃ vidyāṃ
233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三>◑chindayāmi kilayāmi//
234 마하가라 ◐摩訶迦囉<大黑天神二百三十四>◑Mahāㆍkāla
235 마다라가나가리 탐미댜 ◐摩怛囉伽拏訖哩<離枳><反上>耽微地也<二百三十五>◑mātriㆍgaṇaㆍkritāṃ vidyāṃ
236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六>◑chindayāmi kilayāmi//
237 가바리가 ◐迦波哩迦<髑髏外道二百三十七>◑Kāpālika
238 가리탐미댜 ◐訖哩耽微地也<二百三十八>◑kritāṃ vidyāṃ
239 진타야미기라야미 ◐嗔陁夜彌枳囉夜彌<二百三十九>◑chindayāmi kilayāmi//
●금강보살장왕(金剛菩薩藏王)들이 정교한 마음으로 가만히 빠르게
저 결정한 사람의 신비한 식[神識]을 일깨우면,
이 사람은 즉시 마음에 팔만사천항하사겁(八萬四千恒河沙劫)의 일을 기억하여
두루 분명히 알고 아무 의혹이 없게 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4
위대한 석자(釋子)께 귀의합니다.
南無大釋子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35122
822
법수_암기방안
23 엄지 (THUMB)
112 [elbow] 팔꿉
113 [radius] 노뼈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4 작은창자 【소장】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22_203134 :
대장경 내 게송
결과가 원인과 비슷하다는 주장은 옳지 않네.
출전:
한글대장경 K0578_T1566
반야등론석(般若燈論釋) 게본용수보살.
석론분별명보살.
당 바라파밀다라역
般若燈論釋 【偈本龍樹菩薩.
釋論分別明菩薩.
唐 波羅頗蜜多羅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한쪽 다리 틀어 비틀기 [Jathara Parivarttan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6-화
♡丈六寺じょうろくじ徳島県徳島市 Japan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구글맵2]
[설명 1]
https://ja.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5:51 【丈六寺】じょうろくじを散歩。丈六せせらぎロード カラフルな錦鯉が用水路に泳いでいます。丈六寺の歴史と血天井
https://youtu.be [동영상 2]
[예술작품감상]
en.wikipedia.org/wiki/Jean_Arp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9_1106_123120_nikon_bw0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20_0908_171333_nikon_ar45▾합천 해인사 백련암
○2020_0911_111629_canon_ar45▾제천 의림지 대도사
○2020_0911_112157_canon_ab4▾제천 의림지 대도사
○2020_0911_122757_nikon_BW27▾제천 의림지 대도사
○2020_0908_173303_nikon_BW25▾합천 길상암
○2020_1017_152426_canon_CT33▾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3429_canon_ar47▾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3533_canon_ct8▾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4939_canon_ar41▾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34030_canon_CT33_s12▾공주 계룡산 갑사
○2020_1114_135835_canon_Ar12▾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61143_canon_ct36▾삼각산 도선사
○2015_0505_172224_canon_ar38▾전주_완산_정혜사
○2021_0928_112542_nikon_bw24_pc▾인제_설악산_백담사
○2021_1004_132208_nikon_ct21_s12▾산청_지리산_대원사
○2022_1028_151333_nikon_CT33▾서울_구룡산_능인선원
○2021_1006_094735_nikon_ab41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 [pt op tr] fr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