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불교진리와실천

불설화수경-k0396-003 본문

카테고리 없음

불설화수경-k0396-003

선현 2025. 4. 23. 23:51



®


『불설화수경』


K0396
T0657

불설화수경 제3권/전체1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23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396_T0657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불설화수경』 ♣0396-003♧




불설화수경 제3권/전체1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무주 백련사
○2020_0909_143940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본문 ◎[개별논의]

★%★

『불설화수경』 ♣0396-003♧
불설화수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화수경 003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jzz1636
◈Lab value 201411181514


○ 2022_0411_153530_can_AR35_s12장안벚꽃길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shepherd-in-the-evening



○ 2020_0606_14003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Old_city_monuments,_Prizren



♥león-león-nicaragua
[위성정보4]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4/leon-leon-nicaragua.html
https://blog.daum.net/thebest007/623
■htmback--B-♥león-león-nicaragua_불기2565-04-21-Tis.htm

BON ENTENDEUR - Le Temps Est Bon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396-003.html#1636
sfed--불설화수경_K0396_T0657.txt ☞불설화수경 제3권/전체1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jzz1636
불기2569-04-23
θθ





■ 퀴즈


 또는 십종염처(十種念處). 보살이 지혜로써 항상 관념(觀念)하는 대경의 열 가지. 

(1) 신념처(身念處). 온몸에 아(我)가 없고, 부정(不淨)이 가득찬 것을 관하여, 몸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불선(不善)을 피함. 

(2) 수념처(受念處). 고(苦)를 낙(樂)이라 함과 같은 감각의 착오를 관하여, 애착을 내지 않으며, 또 성을 내지 않는 것. 

(3) 심념처(心念處). 마음이 무상(無常)ㆍ고(苦)ㆍ무아(無我)ㆍ부정(不淨)인 것을 상(常)ㆍ낙(樂)ㆍ아(我)ㆍ정(淨)하다고 고집하던 잘못됨을 관하여 이를 조복함. 

(4) 법념처(法念處). 여실하게 탐(貪)ㆍ진(瞋) 등의 악법을 관하여 이를 끊고 자비 등의 선법을 좋아함. 

(5) 경계념처(境界念處). 좋고 나쁜 대경이 모두 허망하여 실유(實有)가 아닌 모양을 관하여 탐착(貪着)과 진에(瞋恚)를 여의는 것. 

(6) 아란야념처(阿蘭若念處). 비구가 사는 아란야에 있으면서 무쟁행(無諍行)ㆍ적정행(寂靜行)을 닦아 도리에 맞게 수행함. 

(7) 도읍취락념처(都邑聚落念處). 촌락에 다니더라도 노름ㆍ술ㆍ노래ㆍ춤ㆍ창녀가 있는 곳에 접근하지 아니함. 

(8) 명문이양념처(名聞利養念處). 명문이양의 장소에 있어서는 그 가상(假相)임을 관하여 잠깐의 집착심도 일으키지 아니하며, 다른 중생과 함께 고통받는 이를 자양(資養)함. 

(9) 여래학문념처(如來學問念處). 3세 제불과 같이 오경(悟境)에 이르는 학문을 생각하여 청정심을 일으키며, 존경심을 내어 정근 노력(精勤努力)함. 

(10) 단제번뇌념처(斷諸煩惱念處). 온갖 번뇌가 생기는 인연을 구명하여, 이를 모두 끊는 것.

답 후보
● 십념처(十念處)
십사불상응법(十四不相應法)
십신(十信)

십여시(十如是)
십이연기(十二緣起)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십지(十地)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20441_nikon_BW25▾춘천_오봉산_청평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화수경_K0396_T0657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