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대지도론
- 백유경
- 묘법연화경
- 종경록
- 아미타불
- 마하승기율
- 장아함경
- 유마힐소설경
- 유가사지론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수능엄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마명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
- 유마경
- 증일아함경
- 대반열반경
- 정법화경
- 잡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승기신론
- 금강삼매경론
- 방광반야경
- 중아함경
- 무량의경
- Japan
- 원각경
- 가섭결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불기2555-04-01_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_001 본문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
K0313
T1035
관세음보살주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_K0313_T1035 핵심요약
♣0313-001♧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
관세음보살주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원문번역문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
(千轉陁羅尼觀世音菩薩呪)
당(唐) 지통(智通) 한역
이중석 번역
■ 나모아 라다나 다라야야 나마 아리야 바로기뎨 새 바라야
那謨曷囉上跢娜怛囉耶余何反夜弋可反一娜麽莫我阿唎耶跋盧枳羝鑠上筏囉夜二
모디 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 가야 다냐타 사 예사예
菩提徒你反薩跢婆夜三莫訶薩跢婆夜四莫訶迦嚕妳奴綺反迦夜五跢姪他六闍上曳闍曳
사 야바혜 니 사 유다리 가 라가 라 마라마라 자라자라 기
七闍上夜婆醯上你八闍上揄跢唎上九迦上羅迦上羅十麽羅麽羅十一者羅者羅上十二綺
나 기나 사라 바 가라 마바라 나니몌 바가바디 사 하사라
拏上綺拏十三薩囉上皤符可反羯囉上摩跋囉上拏你迷十四薄伽跋底都你反娑上訶薩囉平
바가디 사라 바몯 따바로기뎨 자주 슈 로다라 아라 나
薄羯羝十五薩囉上皤菩上陁跋盧枳羝十六者芻上眼十七輸上嚕怛囉上耳十八揭囉上拏上
시하 바 가야 마누 비 슈다니 소 라 소 라
鼻十九是訶上皤舌二十迦夜身二十一末弩心二十二毗上輸達你二十三素上囉上素上囉上二十四
바라 소라바라 소라 사라 바몯 따아 디 사치 디사바하 다
鉢囉上素囉鉢囉上素囉上二十五薩囉上皤菩上陁阿上提徒你反瑟絺上羝娑婆訶二十六達
라 마타도아라 볘사 바하 아 바바 사 바바바 다라 마바
囉上麽陁覩揭囉上鞞娑上婆訶二十七阿上婆皤二十八娑上皤婆皤二十九達囉上摩皤三十
보다 니 예 사바하1)
蒱馱上尼奴移反曳三十一娑婆訶三十二
천전인(千轉印)과 관세음심인(觀世音心印)은 같다.
오직 발만 다르다.
집게손가락을 포함한 네 손가락을 반대로 교차하여 안으로 서로 누르고
왼쪽 엄지를 구부려 집게손가락 안에 넣는다.
오른쪽 엄지는 똑바로 펴며 안으로 구부리지 말고 양 팔은 서로 합친다.
양 다리는 정(丁)자 모양으로 하되
오른쪽 다리를 똑바로 세우고
왼쪽 무릎을 밖에서 구부리며
걸터앉은 자세로 몸을 왼쪽으로 튼다.
심인(心印)은 오른쪽 가슴 앞에 놓되
가슴에 대지는 말고
웃는 얼굴을 하여 머리를 오른쪽으로 향하게 한다.
수인(手印)은 관세음심인과 같으나
오직 몸과 다리를 놓는 법이 다르다.
■ 매월 보름날 목욕하고 깨끗한 방에서
손으로 심인을 결하고 주를 송하면
4중(重)죄나 5역(逆)의 죄를 멸한다.
이 인은 아지다굴다(阿地多崛多)스승이 번역했다.
천전(千轉:전륜성왕)이 이르기를
이 주를 송하면 악업이 소멸하며
일곱 번 송하면 5역죄가 멸하고
천 번을 채우면 없어지지 않는 죄가 없으며,
10만 번을 송하면 관세음의 여러 가지 장엄한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했다.
7일 가운데 처음 작법할 때에는
오직 우유죽ㆍ소(蘇)ㆍ락(酪)ㆍ흰 떡ㆍ쌀밥만 먹어야 하며
소금에 절인 채소를 먹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 하루는 먹지 않으며 보름날 밤은 배를 비운다.
불전에서 빠르게 주를 송하되 수효는 정하지 않는다.
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면
‘훌륭하다’는 소리가 나며 빛이 밝게 비친다.
다시 진주 등 보물을 주사(呪師)의 머리에 놓으면 곧 영험이 있음을 알게 된다.
관음을 보게 되면
일체의 좋은 소원이 이루어지며
또한 잘 때에 꿈에서 관음의 여러 가지 장엄을 보는 자는
일체의 좋은 일이 이루어지고 일체의 악업이 소멸하며,
다만 읽기만 하여도 죄를 없앨 수 있다.
동서(東西)로 가고자 할 때는
먼저 손에 일곱 번 주를 송하고
얼굴을 문지르면
이르는 곳마다 재난과 횡액이 없게 된다.
청정하게 법도에 맞추어 항상 송하고 그침이 없으면
제1지(第一地)2)를 얻게 된다.
만약 여인이 지송(持誦)하면 내세에 남자가 되며
다시는 여자의 몸을 거듭 받지 않는다.
먼저 단을 만들어 공양할 준비를 마친 다음 주를 송한다.
그 단은 4면의 길이를 각각 16주(肘) 정도로 하며 네 겹으로 구분한다.
원(院)의 모양은 바깥을 흰 색으로 하며 안은 네 가지 색으로 한다.
각각의 겹은 벽 모양으로 하니 곧 8겹이 된다.
합하여 5방색(方色)이 되고 4면에 문을 내는데
동서남북에 해당하며 한가운데의 한 겹에는 문을 내지 않는다.
큰 독 여덟 개와 항아리 네 개에 물을 가득 담고
잣나무 등의 나뭇가지를 꽂는다.
물독을 가운데에 놓고
흰 떡ㆍ맵쌀밥ㆍ우유ㆍ낙(酪)ㆍ소(蘇)ㆍ꿀ㆍ향ㆍ과일 등으로 공양하며
열여섯 개의 등을 켜고
4문 밖에는 열여섯 개의 쓰지 않은 화살을 꽂고
5색실을 그 위에 걸어 놓는다.
거다라(佉陁羅)나무 [자단목(紫壇木)이 이것이다.]
가지 네 개를 가져다
두 개는 손가락 다섯 개,
두 개는 손가락 여섯 개의 길이로 하여
단의 네 모퉁이에 박는다.
단 위에 수시로 꽃을 뿌리며
파가(頗伽)나무[구무자(拘無子) 작은 것이 이것이다.]를
각각 길이 1자씩 되도록 1,800개를 준비하고
질그릇이나 구리그릇에 우유와 소를 섞은 다음
이 나무에 발라 한 가지에 한 번씩 주를 송한 다음 불에 던진다.
거다라나무가 없을 때는 붉은 대추나무를 대신 써도 된다.
반드시 흰 색의 관음성자상(觀音聖者像)을 그리되
크기는 형편에 맞추어 그린다.
또 먼저 번역된 법에는 이렇게 말한다.
천 겁을 쌓아 온 업장(業障)도 한 번 염송하면 모두 소멸되며
천 분의 부처님께서 모은 선근(善根)을 얻으며
천 겁에 유전하는 생로병사의 경계를 버린다.
이 몸을 버리면 곧 천 명의 전륜성왕을 보게 되며
항상 10선(善)을 지니게 된다.
■ 만약 모든 부처님의 정토에 나려고 하거든
밤낮으로 각각 세 번씩 스물한 번을 송하여 만 21일이 되면
그 바라는 바 대로 되니,
즉 꿈속에서 금색의 부처나 보살의 형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상이 나타나면 정토에 태어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
위의 주와 효력은 모두 총지사(總持寺)의 지통(智通)스님이
범본(梵夲)에서 번역한 것이며
그 인법(印法)은 굴다(崛多) 스승이 번역한 것이다.
다른 번역본에는 이렇게 말한다.
수지(受持)하는 법은 돌바향(突婆香)과 그 싹 5근,
1자 길이의 닥나무 천 개와 소(蘇)에 천 번 주를 송하고 그것을 태우는데 소를 나무줄기와 향에 바르고 각각 한 번씩 주를 송하며 태운다.
미리 5월이나 6월에 쇠똥을 그늘에 말리고 돌바향수와 섞어 단을 만드는데 2주 크기의 원으로 한다.
단 위에는 여러 가지 꽃과 향을 놓으며 겨울에 꽃이 없으면 꽃을 새겨서 단에 놓고 훈륙향(薰陸香)을 태운다.
주사(呪師)는 동쪽을 향하여 앉아 1,000번을 송하면 법이 이루어진다.
아직 주가 효험이 없으면 이것을 써서 물에 스물한 번이나 일곱 번 주를 송하고 마신다.
주수(呪水)로는 도량과 불당을 깨끗이 하고 몸을 씻는다.
버들가지에 주를 송하여 병을 물리치고 물에 주를 송하여 병을 고치기도 하는데 각각 스물한 번씩 송한다.
만약 일생 동안 매일 세 차례를 송하되 한 차례에 스물한 번씩 송하면 죄가 소멸된다.
이 주는 불가사의하여 모든 것에 다 쓸 수 있다.
------------
1 namo ratnatrayāya namo āryāvalokiteśvaraya bodhisatvaya mahā- satvaya mahākāruṇikāya tad yathā oṃ jaya jaya mahājaye jayābahini jayodtari kala kala mala mala cala cala kṣinkṣin sarvakarma aba- rana nime sarvaś ca jñana adhiṣṭhite svāhā.
namo bhagatisaha- srabarte sarvabuddha avalokiti cakṣuśrotraghāṇajihvā kayamano- bijñana biśodhani svāhā phuru phuru suru suru phurā phurā braphurā phurā sarvabuddha adhiṣṭhite svāhā dharmadhātugarbhe svāhā abhavasvabhāva sarvadharma ababodhani svāhā.
2 보살의 수행단계인 52위 가운데 10지의 첫 단계.
환희지(歡喜地)를 말한다.
○ [pt op tr]
◈Lab value 불기2555/04/01 |
댓글내용 |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3520#1376
sfed--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_K0313_T1035.txt ☞관세음보살주 sfd8--불교단상_2555_04.txt ☞◆viso1376 불기2555-04-01 θθ |
■ 퀴즈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
3신(身)의 하나. 2종이 있음.(1) 자수용신(自受用身). 다른 보살이 보고 들을 수 없는 불신으로서, 자기가 얻은 법락(法樂)을 자기만이 즐겨 하는 몸.
(2) 타수용신(他受用身). 10지(地)의 초지(初地) 이상의 보살이 볼 수 있고, 자기가 받는 법락을 다른 보살에게도 주는 불신.
이를 법신ㆍ응신ㆍ화신의 3종신에 배당하여
자수용신을 법신,
타수용신을 응신이라 하며,
또 법신ㆍ보신ㆍ응신에 배당하여
앞의 것을 보신,
뒤의 것을 응신이라 함.
또는 2신을 모두 보신이라 하는 등 여러 학설이 있음.
답 후보
수용신(受用身)
수호단(隨護斷)
숙명지통(宿命智通)
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순세외도(順世外道)
습마물임마래(什麽物恁麽來)
승가리(僧伽梨)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04gfl--mun_단상_2011_0401.txt
http://idealsociety007.tistory.com/113
mun_단상_2011_0401~~30
'과거조각글백업이전대상-256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기2555-05-01_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_001 (0) | 2017.09.01 |
---|---|
불기2555-04-01_천전대명다라니경_001 (0) | 2017.08.31 |
불기2555-03-17_청정비니방광경_001 (0) | 2017.08.29 |
불기2555-03-10_심희유경_001 (0) | 2017.08.29 |
불기2555-03-07_아미타고음성왕다라니경_001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