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량심 [한문]四無量心 [범어]catur-apramāṇa [티벳]tshad med pa bzhi [영어]the four immeasurable minds
사무량심
[한문]四無量心 【범】catvāri-apramāṇacittāni 한없는 중생을 어여삐 여기는 마음의 네 가지. (1) 자무량심(慈無量心), maitrī-apramāṇa-citta 무진(無瞋)을 체(體)로 하고 한량없는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마음. 처음은 자기가 받는 낙(樂)을 남도 받게 하기로 뜻 두고, 먼저 친한 이부터 시작하여 널이 일체 중생에게까지 미치게 하는 것.
(2) 비무량심(悲無量心), karuṇā. 무진(無瞋)을 체(體)로 하여, 남의 고통을 벗겨 주려는 마음. 처음은 친한 이의 고통을 벗겨주기로 하고, 점차로 확대하여 다른 이에게까지 미치는 것.
(3) 희무량심(喜無量心), muditā. 희수(喜受)를 체로 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을 여의고, 낙을 얻어 희열(喜悅)케 하려는 마음. 처음은 친한 이부터 시작하여 점점 다른 이에게 미치는 것은 위와 같다.
(4) 사무량심(捨無量心), upekṣā. 무탐(無貪)을 체로 하여 중생을 평등하게 보다 원(怨)ㆍ친(親)의 구별을 두지 않으려는 마음. 처음은 자기에게 아무런 관계가 없는 이에 대하여 일으키고, 점차로 친한 이와 미운 이에게 평등한 마음을 일으키는 것. 무량이란 것은 무량한 중생을 상대(相對)로 하며, 또 무량한 복과(福果)를 얻으므로 이렇게 이름 함.
⇒사무량심(捨無量心)
-- 동음이의어
[한문]捨無量心 4무량심의 하나. ⇒사무량심(四無量心)ㆍ자무량심(慈無量心)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사무량심 [한문]四無量心 [범어]catur-apramāṇa [티벳]tshad med pa bzhi [영어]the four immeasurable minds
자(慈), 비(悲), 희(喜), 사(捨) 등 네 가지의 한량없는 마음. [동]사등(四等) , 사범행(四梵行).[abr]약}사무량(四無量).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사무량심 【四無量心】 慈無量心․ 悲無量心․ 喜無量心․ 捨無量心.
● From BUDDHDIC
四無量心 シムリョウシン
(term) four immeasurable minds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四無量心 Four Unlimited Mind 四無量心 The mind of Bodhisattva: 1. Kindness 2. Compassion 3. Delight 4. Renunciation
The 'four immeasurable minds.' The immeasurable mind of love (maitri 慈無量), compassion (karuna 悲無量), sympathetic joy (mudita 喜無量) and impartiality (upeks!a 舍無量). They are four kinds of meditation to give bliss to, and to take away the suffering of sentient beings (catva^ri-aprama^na^na). Four minds of immeasurable concern for others.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四無量心 catvāri apramāṇāni (चत्वारि अप्रमाणानि); the four immeasurables, or infinite Buddha-states of mind, also styled 四等 the four equalities, or universals, and 四梵行 noble acts or characteristics; i. e. four of the twelve 禪 dhyāna (ध्यान)s: 慈無量心 boundless kindness, maitrī (मैत्री), or bestowing of joy or happiness; 悲無量心 boundless pity, karuṇā (करुणा), to save
● From suffering; 喜無量心 boundless joy, muditā (मुदिता), on seeing others rescued
● From suffering; 捨無量心 limitless indifference, upekṣā (उपेक्षा), i. e. rising above these emotions, or giving up all things, e.g. distinctions of friend and enemy, love and hate, etc. The esoteric sect has a special definition of its own, connecting each of the four with 普賢; 虛空藏; 觀自在; or 虛空庫.
● From ChinEng-Buddhist
四無量心 catvāri apramāṇāni; the four immeasurables, or infinite Buddha-states of mind, also styled 四等 the four equalities, or universals, and 四梵行 noble acts or characteristics; i. e. four of the twelve 禪 dhyānas: 慈無量心 boundless kindness, maitrī, or bestowing of joy or happiness; 悲無量心 boundless pity, karuṇā, to save
● From suffering; 喜無量心 boundless joy, muditā, on seeing others rescued
● From suffering; 捨無量心 limitless indifference, upekṣā, i.e. rising above these emotions, or giving up all things, e.g. distinctions of friend and enemy, love and hate, etc. The esoteric sect has a special definition of its own, connecting each of the four with 普賢; 虛 空 藏; 觀自在; or 盧 空 庫. [Soothill]
The 'four immeasurable minds.' The immeasurable mind of love (maitri 慈無量), compassion (karuna 悲無量), sympathetic joy (mudita 喜無量) and impartiality (upekṣa 舍無量). They are four kinds of meditation to give bliss to, and to take away the suffering of sentient beings (catvāri-apramānāna). Four minds of immeasurable concern for others. [EngBuddhist]
자비희사의 마음을 이해하려면 현실에서 현명한 어머니가 자식을 향해 갖는 마음을 살피면 쉽다.
일반적으로 어머니는 어떤 댓가를 바라지 않고 자신이 자식이 최상의 상태가 되기를 바란다.
4 무량심은 이와 비슷하다. 그래서 4 무량심을 이해하려면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런데 이와 다르다. 그래서 잘 구별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어머니가 자신의 자식을 좋은 학교에 입학시키기를 원한다. 그래서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노력을 했다. 이것이 현실에서 보는 범죄와 그 성격이 같다. 현실의 범죄나 사건 사고도 알고보면 이런 어머니의 마음 상태에서 비롯된다.
대부분의 어머니가 자식을 최상의 상태가 되는 것을 바란다. 물론 자신의 자식을 최상의 상태가 되기를 바라는 것 자체가 나쁘지는 않다. 그런데 이 마음이 내 자식'만' 최상이 되기를 바라는 형태가 되면 문제가 된다. 좋음을 자신이외에 베풀려는 그 마음이 범위를 제한하여 '오직' 자신의 자식'만' 그렇게 되기를 바라며 임하는 것이 문제다. 그러면 그 범위 밖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사회의 온갖 비난을 그로 인해 받게끔 된다.
4 무량심은 위와 같이 현명한 어머니가 자식을 향해 갖는 마음과 비슷하다. 그러나 그런 마음이 향하는 방향을 제한과 차별을 두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현명한' 어머니가 자식에 대해 갖는 사랑의 마음을 무량한 중생을 향해 갖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4 무량심가운데 자, 비, 희, 사의 상호 구분이 또 필요하다. 사전 풀이를 보면 조금 혼동이 온다.
좋음(+)을 베푸는 것과 나쁨(-)을 덜어주는 것은 알고보면 같은 성격이다. 그래서 사전 풀이대로 이해하면 자, 비, 희, 사가 서로 엇비슷한 내용이 된다. 그래서 서로 구분이 안 되고 엇비슷한 내용을 중복해 나열한 것으로 된다. 그런데 경전이나 논서를 살펴봐도 이들 각 내용이 명확하게 구분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면서 매번 4 항목이 나열된다.
그래서 독자적으로 이렇게 한번 생각해보게 된다.
처음의 자(慈)의 항목을 좋음(+)을 베푸는 것과 나쁨(-)을 덜어주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고 일단 가정한다. 그래서 현실에서 그렇게 할 수 있을 때는 이와 같이 임하면 된다.
그런데 그렇게 하고 싶어도 그렇게 할 수 없는 상태도 있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자식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다. 또는 어머니가 힘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좋음(+)을 베푸는 것과 나쁨(-)을 덜어주고 싶으나 행하지 못한다.
그래서 그렇게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어떤 안타까운 상태에 처한 이와 공감하면서 같이 슬퍼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비(悲)'라고 칭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이가 매우 바람직한 상태에 이른 경우 단순히 이를 따라 기뻐하는 것을 '희(喜)'라고 칭할 수 있다.
이는 희를 '수희' 라는 단어와 같은 의미로 해석하는 방식이 된다.
이렇게 구분하면 조금 달리 구분이 된다. 그리고 이런 비(悲)와 희의 마음은 각 경우에 이와 반대의 마음을 갖는 경우와 구분된다.
그리고 아무런 관심을 갖지 않는 경우와도 구분된다.
이런 마음을 갖고 임하면 결국 기회가 되면 앞의 자(慈)의 행위를 행하는 바탕이 된다.
그래서 이후 좋음(+)을 베푸는 것과 나쁨(-)을 덜어주는 행위로 나아가게 하는 동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세상에는 가치가 없는 경우도 있다. 한편 당사자마다 이해관계가 엇갈려 희비가 엇갈리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그런 경우 어느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차별없이 평등하게 대해야 할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한 동네에서 편을 갈라 축구나 야구시합을 하는 경우와 같다.
'사(捨)'는 이런 경우에 분별을 떠나 차별없이 평등하게 대하고 관심을 두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고 본다.
다만 이런 해석은 자비희사를 서로 구분해보자는 입장에서 해보는 가설적 해석이다. 위와 같이 해석을 취하면 사전에서 제시되는 희와 비는 모두 자에 포함된다. 즐거움이나 이익을 적극적으로 주는 경우나, 또는 단순히 손해와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나, 모두 자에 포함시킨다.
그런데 이와 비슷한 내용이 어떤 경전이나 논서에서도 나오면 이런 주장이 좀 입지가 견고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정이 그렇지는 않다. 그래서 아직 혼자 가설적으로 해보는 생각이다. 그래서 좀더 경전과 논서를 살피면서 연구해볼 항목이다.
그런데 위에 나열한 내용 자체는 수행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위에 나열한 각 내용이 어떤 항목에 해당하는가는 부차적인 문제다. 그래서 각 내용이 어느 항목에 해당하던 수행자는 그와 관계없이 각 내용을 잘 실천 성취해야 한다.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undown_at_Eastland_Ranch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undown_at_Eastland_Ranch.JPG English: View of Landers near sundown. Author Jessie Eastland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