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한문]慚 [팔리]hirimana [범어]hrī [티벳]ngo tsha shes pa [영어]disgrace 수치. 자신이 불완전함을 부끄럽게 생각함. 자기가 저지른 잘못에 대해 반성하여 부끄러워 하는 마음. 부끄러워하는 심리 작용.[opp]반}무참(無慚). ⇒[원][k]참괴[c]慚愧 참[한문]懺 참회의 줄임말. ⇒[원][k]참회[c]懺悔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심왕(心王)에 따라 일어나는 정신작용의 하나. 『유식론』에서는 11선심소(善心所)의 하나. 『구사론』에서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 스스로 반성한 결과 자신이 범한 죄를 부끄러워하는 마음.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이것은 하(賀 ha)ㆍ라(囉 ra)ㆍ이(伊 ī)ㆍ악(惡 aḥ)의 네 글자를 합하여 된 것이니,
하는 인업(因業)의 뜻으로 탐욕(貪欲)에,
라는 화대(火大)로 진에(瞋恚)에,
이는 자재의 뜻으로 우치(愚癡)에,
악은 열반의 뜻으로 자성청정(自性淸淨)에 각각 해당함.((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From KANJIDIC2(한문일어사전)
慚
can2
cham
참
ザン
はじ
はじ.る
feel ashamed
● From English Wikipedia
Translations of hri
Englishself-respect,
conscientiousness,
sense of shame,
dignity
Sanskritह्री (hrī)
Paliहिरि (hiri)
Chinese慚(T) / 惭(S)
Japanese慚 (rōmaji: zan)
Korean참 (RR: cham)
Tibetanངོ་ཚ་ཤེས་པ།
(Wylie: ngo tsha shes pa; THL: ngo tsa shepa)
Glossary of Buddhism
Hrīḥ in Siddhaṃ.
Hri (Sanskrit: ह्री, hrī; Pali: हिरि) is a Buddhist term translated as "self-respect" or "conscientiousness".
It is defined as the attitude of taking earnest care with regard to one's actions and refraining from non-virtuous actions.[1][2] It is one of the virtuous mental factors within the Abhidharma teachings.
The Abhidharma-samuccaya states:
"What is hri?
It is to avoid what is objectionable as far as I see it and its function is to provide a basis for refraining from non-virtuous actions."
[1]Contents
1 Pali Canon
2 Mahayana
3 In the commentaries
4 The goddess
5 Alternative Translations
6 See also
7 Notes
8 References
9 External links
Pali Canon[edit]
There are two suttas in the Pali Canon that bear the title "Hiri Sutta."
Both of these texts focus on the issue of moral shame.
The first sutta (SN 1.18) is a short dialogue between the Buddha and a deity on the nature of conscience.[3]
The second sutta (Sn 2.3) is a question and answer dialogue between the Buddha and an ascetic regarding the nature of true friendship.[4]
Mahayana[edit]
The Abhidharmakośabhāsya lists hrī among the ten virtuous mental factors (daśa kuśalamahābhῡmikā dharma; 大善地法).
The Yogācāra tradition recognizes it as one of the eleven wholesome mental factors (ekādaśa-kuśala; 十一善).
The former text stat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rī and apatrāpya is that the former is dominated by one's own understanding of morality.
The latter by contrast,
is empowered by one's sense of embarrassment.
In the commentaries[edit]
The Pali Paṭṭhāna lists hiri among the twenty-five obhana cetasikas or "beautiful mental factors."
Hiri often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patrāpya (Pali: ottappa),
or moral dread.
These two are responsible for encouraging a person to avoid performing evil actions.
Together they are known as lokapāla or "guardians of the world".
The Puggalapaññatti states:
"To be ashamed of what one ought to be ashamed of,
to be ashamed of performing evil and unwholesome things: this is called moral shame (hiri).
To be in dread of what one ought to be in dread of,
to be in dread of performing evil and unwholesome things: this is called moral dread (ottappa)."
[5]
The goddess[edit]
Hirī or Hiridevī is the name of a goddess and one of Śakra's daughters.
Her name is sometimes translated as "Honour".
She appears in several texts,
including the Sudhābhojana Jātaka[6] and the Mañjarī Jātaka[7] of the Mahāvastu.
It is also the name of a yaksha that may be invoked in the Āṭānāṭiya Sutta.
Alternative Translations[edit]
self-respect - Herbert Guenther,
Dzigar Kongtrul Rinpoche,
Rangjung Yeshe Wiki
conscientiousness - Erik Pema Kunsang
moral self-dignity - Alexander Berzin
sense of shame - Rangjung Yeshe Wiki
dignity
See also[edit]
Apatrāpya
Mental factors (Buddhism)
Notes[edit]
^ a b Guenther (1975), Kindle Locations 524-526.
^ Kunsang (2004), p. 24.
^ Bhikkhu Sujato. "18. Conscience". SuttaCentral. Retrieved 24 October 2019.
^ Ṭhānissaro Bhikkhu. "2:3 Shame". dhammatalks.org. Retrieved 24 October 2019.
^ "Hiri Ottappa; 2 Definition(s)". Wisdom Library. 6 June 2010. Retrieved 24 October 2019.
^ H.T. Francis (1905). "The Jataka, Vol. V: No. 535.: Sudhābhojana-Jātaka".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Retrieved 24 October 2019.
^ Jones, J. J. (1949). "Chapter IV - Mañjarī-jātaka". The Mahavastu. London: Luzac.
References[edit]
Guenther, Herbert V. & Leslie S. Kawamura (1975), Mind in Buddhist Psychology: A Translation of Ye-shes rgyal-mtshan's "The Necklace of Clear Understanding". Dharma Publishing. Kindle Edition.
Kunsang, Erik Pema (translator) (2004). Gateway to Knowledge, Vol. 1. North Atlantic Books.
● From Korean Dic
참 참ː(斬)[명사]
1.[하다형 타동사]·의 준말.
2.<참형(斬刑)>의 준말.
참【예】참과 거짓.
2.바른 답. 정답. 맞음.
1.일을 하다가 쉬는 짬. 한자를 빌려 ‘站’으로 적기도 함.
1.《어미 ‘-ㄴ(은)·-던’ 뒤에 쓰이어》 ‘때·계제’의 뜻을 나타냄.
2.《어미 ‘-ㄴ(은)·-ㄹ(을)’ 뒤에 쓰이어》 무엇을 할 ‘예정’이나 ‘셈’의 뜻을 나타냄.
참(懺)[명사][하다형 타동사]<참회(懺悔)>의 준말.
참ː(站)[명사]조선 시대에, 역로(驛路)에 마련되어 있던 숙박 시설. 참―[접두사]
㉠‘진짜’·‘진실’을 나타냄.
【예】참뜻./참말.
㉡품질 따위가 ‘썩 좋음’을 나타냄.
【예】참먹./참숯.
2.《주로 동식물 이름 앞에 붙어》 ‘개-·돌-’ 따위에 상대됨을 나타냄.
【예】참나리./참개구리./참깨.
참 □[명사]참.
【예】□ 진:眞(類合下18).
진리(眞理, 영어: truth)이란, 현실이나 사실에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것, 또는 보편적·불변적으로 알맞은 것을 뜻한다. 참, 진실 등으로도 불린다. 진리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여 철학, 논리학, 수학에서 다양한 개념으로 쓰인다.
논리학에서는 명제가 정해진 사유의 법칙에 맞아 오류(거짓)가 없는 정당한 명제를 일컫는다.
목차
1 철학
2 불교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문헌
철학:
진리는 철학, 특히 서양 철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왔다.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하며, 진리의 상대주의 주장하였다. 프로타고라스에 대항하여 플라톤은 현상은 현상 밖에 있는 불변하는 이데아를 본으로 한다는 이데아론을 주창하기에 이른다. 특히, 회의주의에 대항하여 의심할 수 없는 명제를 찾기 위하여, 데카르트는 분명하지 아니한 것들을 소거하여 가장 확실한 진리를 찾아 나서려고 하였고, 결국 ‘사고하는 나’ 가 가장 확실하다고 하여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말을 남겼다.
진화론의 등장으로 불변하는 진리에 대한 회의가 만연하게 되었으며, 미국에서는 고정된 진리는 없으며 유용한 것이 진리라는 실용주의가 발흥하였고, 독일의 철학자 니체는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기에 이른다. 논리학이나 형이상학에서 진리란 논리적 공리, 추론법칙, 구조 따위에 어긋나지 않는 정당한 사고를 말한다.
진리가 무엇인가,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는 이론을 진리론이라 하며 수학, 철학, 언어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논의가 있다. 수리 논리학에서, 구문론적으로는 정해진 추론규칙에 따라 올바르게 증명한 명제를 참이라고 하며, 의미론적으로는 정해진 논리적 구조 안에서 충족가능한(이치에 맞는) 명제를 참이라 한다. 괴델의 완전성 정리는 술어 논리에서는 이러한 양측의 진리론이 서로 일치한다는 내용의 정리이다.
불교: 이 부분의 본문은 불교 용어 목록/지 § 진리, 4성제, 및 이와 사입니다.
불교에서 진리는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 제(諦)라고 하는데 진실한 도리(道理) 또는 결코 변하지 않는 사실(事實)을 뜻하며,[1][2] 《대승광오온론》 등에 따르면 고제 · 집제 · 멸제 · 도제의 4성제(四聖諦)를 말한다.[3][4][5][6]
English: Taken from the beach near Glassillaun, County Mayo, Ireland, looking east across a narrow headland that divides Killary Bay Little and Killary Harbour. This is a glaciated landscape, and Killary Author Kevin Danks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永保寺(えいほうじ)(岐阜県多治見市) ,Japan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