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불교진리와실천

Buddhist cosmology 본문

불교용어연구

Buddhist cosmology

진리와 가치를 고루고루 2020. 4. 24. 00:28



®

sfxx--Buddhist cosmology 
삼천세계



위키백과,  스크랩 불기2564-04-24
>>>
http://buddhism007.tistory.com/16823
https://ko.wikipedia.org/wiki/불교의_우주론

불교의 우주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삼천세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교의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를 보여주는 부탄의 19세기 탕카(thangka)로, 가운데에 

수미산(須彌山)이 있다. 9산8해(九山八海)가 나타나 있다. 수미산9산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의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를 묘사한

  중국의 14세기 혁사(緙絲: 실크로 짠 태피스트리)





티베트 불교6도윤회도(六道輪廻圖, bhavacakra):
제1층, 즉 가운데의 축은 불선근 즉 3독을 나타낸다.
제2층은 을 나타낸다.
제3층은 6도를 나타낸다.
제4층은 12연기를 나타낸다.

윤회의 수레바퀴를 꽉 붙들고 있는 괴물은 

실체가 없는 것, 즉 무상···무아인 것에 대한 집착, 즉 근본무명을 나타낸다.

윤회의 수레바퀴 왼쪽 위에 있는 은 

6도윤회로부터 벗어난 상태, 즉 열반, 즉 깨달음을 나타낸다.

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즉 세계 또는 세간(世間)은 크게 


유정세간(有情世間) · 

기세간(器世間)의 

2종세간(二種世間)으로 나뉘거나,[1][2] 



보다 세분하여 

중생세간(衆生世間) · 

국토세간(國土世間) · 

5온세간(五蘊世間)의 3종세간(三種世間)으로 나뉜다.[3][4][5][6][7][8][9]



2종세간 가운데 유정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중생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스스로 지은 바 에 따라 그곳에 태어나 거주하는 유정들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2종세간 가운데 기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국토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유정들의 처소 즉 유정들이 태어나서 거주하는 거주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10] 




그리고 3종세간 가운데 5온세간은 

세계 또는 우주5온하다는 무아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관점 

즉 '깨달음에 들어가는[入法界]' [離世間]의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향4과 · 9지 · 10지 · 42현성 · 52위 등의 수행계위5온세간에 해당한다.[11][12]



2종세간3종세간의 각 세간들은 서로 긴밀히 관련되어 있는데, 

이 문서에서는 크게 기세간유정세간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기세간국토세간 즉 '유정들이 거주하는 처소'를 먼저 다루고, 

그 다음으로 유정세간중생세간 즉 '기세간에 거주하는 유정들'에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 기술한다. 



5온세간에 대해서는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5온 문서와 수행계위에 대한 여러 문서들로 대신한다.





기세간의 구조 · 형성 · 소멸 등에 대해서는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대루탄경(大樓炭經)》, 《기세경(起世經)》,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등의 경전과 

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논서들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의 대승불교의 논서들에서 설해지고 있는데, 

이들 경전들과 논서들에 따르면, 

우주 또는 법계는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말하며, 

하나의 3천대천세계는 한 명의 부처교화의 영역이기 때문에 

1불찰(一佛剎) · 1불국(一佛國) 또는 1불토(一佛土), 즉 하나의 불국토라고 한다.[13][14][15]




3천대천세계를 이루는 기본 구성 단위를 

1세계(一世界) · 1소세계(一小世界) ·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또는 1사천하(一四天下)라고 한다. 


1수미세계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의 중심 또는 근간이 되는 것이 

수미산(須彌山)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16] 


1사천하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인간도유정인간이 사는 네 개의 대륙이 있는 것에 근거한 명칭이다. 


즉, 1세계에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4방에 4대주(四大洲)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명칭이다.[17]

1수미세계는

풍륜(風輪: 바람) · 수륜(水輪: 물) · 금륜(金輪: 땅)의 3륜(三輪) 또는 여기에 공륜(空輪)을 더한 4륜(四輪)과 

9산8해(九山八海)와 

4대주(四大洲) 

그리고 욕계하늘[天]들인 6욕천과 

색계 · 무색계하늘들로 구성되는데, 


수미산9산 가운데 하나로, 

하나의 수미세계의 가장 중심에 있는 산이다. 



그리고, 나머지 여덟 산은 실제로는 산맥이다. 


'3륜 또는 4륜9산8해4대주6욕천색계 · 무색계하늘들을 포함한, 

1개의 태양과 1개의 이 있는 1수미세계1세계'가 

1000개 모여서 소천세계(小千世界)를 이루고, 

소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중천세계(中千世界)를 이루며, 

중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대천세계(大千世界)를 이룬다. 


이와 같이 천(千, 1000)이 3번 중첩되었다고 하여 대천세계를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도 하며 

또는 1대3천세계(一大三千世界) 

즉 하나의 대 3천세계라고도 한다.[17][18] 


또는 간단히 3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한다.[19] 

이러한 3천대천세계가 우주법계를 이룬다. 



따라서 엄밀히 계산하면 1수미세계가 10억 개 모인 것이 하나의 우주인데,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이것은 단지 표현상의 서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대천세계우주는 실제로는 1수미세계1세계가 

천백억(千百億 = 1000 × 100억) 개 즉 10조 개 모인 것이다. 


그리고 이 3천대천세계가 한 명의 부처

특히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교화의 영역, 

즉 1불찰 · 1불국 또는 1불토이다.[15][20][21][22] 


유정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할 때 

지혜우주의 전 영역, 즉 천백억 개의 세계 전체를 포괄한다.[23][24]



요약하자면, 기세간은 우주의 공간적인 구조와 생멸변천을 말한다. 


4륜(四輪) · 9산8해(九山八海) · 4대주(四大洲) · 지옥(地獄) · 방생아귀의 거주처 · 

· 6욕천(六欲天) · 

색계무색계의 천궁(天宮)과 그 유정 ·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등의 주제가 기세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우주3천대천세계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우주윤회를 설명하는 (成) · (住) · (壞) · (空)의 4겁(四劫) 역시 

기세간에 속하는 주제이다.[25]







이에 비해, 유정세간유정의 분류와 생멸변천을 말한다. 

3계(三界) · 6도(六道) · 7식주(七識住) · 9유정거(九有情居) · 25유(二十五有) · 4식주(四識住) · 4생(四生) 등의 

유정의 상태별 · 유형별 분류에 관련된 주제가 유정세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유정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유정윤회를 설명하는 12연기(十二緣起) 등의 연기설 역시 

유정세간에 속하는 주제이다.[25]


그리고, 《구사론》《대승아비달마집론》《천태사교의》 등의 부파불교대승불교의 논서들에 따르면, 

유정세간기세간, 즉 불교의 우주론은 

유정의 현실세계 또는 유정의 실제 모습으로서의 현재 상태를 밝히는 것으로 

4성제 가운데 고제(苦諦)에 해당한다.[26][27][28] 



달리 말하면, 불교의 우주론을 밝히는 것의 목적은 

4성제 가운데 고제(苦諦)를 명확히 알기 위해서이다.




목차

1경론별 설명1.1장아함경
1.2대루탄경
1.3기세경
1.4기세인본경
1.5구사론
1.6집론·잡집론
1.7천태사교의

2기세간2.1수미세계2.1.1욕계의 기세간2.1.1.14륜
2.1.1.29산8해와 7금산
2.1.1.34대주
2.1.1.46욕천

2.1.2색계의 기세간
2.1.3무색계의 기세간

2.2소천세계
2.3중천세계
2.4대천세계

3유정세간3.15취·6도
3.27식주
3.39유정거
3.425유

4참고 문헌
5각주

경론별 설명[원본 ■편집]
장아함경[원본 ■편집]



불교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가운데에 수미산(須彌山)이 있고 

수미산 꼭대기에 도리천(忉利天)이 있으며, 

도리천의 왕이 제석천환인(桓因)이다. 




풍륜 위에 수륜이 있고, 

수륜 위에 금륜이 있으며, 

금륜 위에 4대주(四大洲)와 9산8해(九山八海)가 있다. 

수미산9산 가운데 하나이다.




장아함경》은 후진(後秦: 384~417) 시대인 413년에 

불타야사(佛陀耶舍)와 축불념(竺佛念)이 한역초기불교 경전이다. 



장아함경》이 어느 부파가 전승한 경장인가에 대해서는 

대중부(大衆部)라는 설, 

화지부(化地部)라는 설, 

법장부(法藏部)라는 설의 3가지 설이 있으며, 

법장부 설은 현대학자들의 연구에 의한 설이다.[29][30]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1) 염부제주품(閻浮提洲品)〉의 시작 부분에서 

고타마 붓다비구들에게 아래 인용문과 같이 


우주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하고 있다. 



〈30. 세기경(世紀經)〉에서는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를 

1명의 부처교화 영역으로서의 세계라는 뜻에서 1불찰(一佛剎)이라고도 부르며, 

또는 중생변제(衆生邊際: 한자어 그대로는 '중생의 끝 간 데') 

즉 한 우주의 모든 중생이 그 우주의 범위 안에 존재한다는 뜻에서 

중생이 사는 경계[衆生邊際], 

또는 중생세계(衆生世界) 

즉 중생이 사는 세계라고도 부르고 있다.[31][32]


이 경전에서 고타마 붓다우주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설한 후,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풍륜(風輪: 바람) · 수륜(水輪: 물) · 금륜(金輪: 땅)의 3륜(三輪)과, 

9산8해(九山八海)와 

'4천하(四天下)라고도 불리는 4대주(四大洲)'를 받치고 있는 대지(大地) 즉 금륜과, 

9산(九山) 중 중앙에 있는 산으로
수미산왕(須彌山王: 수미산이 가장 높은 산이라는 뜻에서 王을 붙인 것)이라고도 불리는 수미산(須彌山)과, 

대해(大海) 즉 8해(八海)와, 

수미해(須彌海: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담수의 바다)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그런 후 욕계 · 색계 · 무색계하늘들을 열거하고 있다.



이 설법에 따르면, 천하(天下)는 

4대주(四大洲) 즉 4주(四洲) 가운데 어느 하나, 

즉, 인간 즉 '인간도유정'이 살고 있는 

동승신주(東勝身洲) · 

남섬부주(南贍部洲) · 

서우화주(西牛貨洲) · 

북구로주(北俱盧洲)의 네 대륙[洲] 가운데 어느 하나를 말한다.[33] 



그리고 수미산의 높이는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이 

8만 4천 유순(由旬) 즉 유선나(踰繕那)이고 

수미해 아래에 잠긴 부분이 역시 8만 4천 유선나이다. 


따라서 수미산의 총 높이는 16만 8천 유선나이며, 

이 수치는 또한, 수미산을 비롯한 9산8해4대주가 

그 위에 존재하는 [地] 즉 금륜(金輪) 

대지(大地)의 총 길이 또는 두께이다. 


한편, 《구사론》 제11권에 따르면, 

수미산의 총 높이는 16만 유선나로,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이 8만 유선나이고 

수미해 아래에 잠긴 부분이 8만 유선나이다.[34][35]






佛告諸比丘。如一日月周行四天下。光明所照。如是千世界。千世界中有千日月.千須彌山王.四千天下.四千大天下.四千海水.四千大海.四千龍.四千大龍.四千金翅鳥.四千大金翅鳥.四千惡道.四千大惡道.四千王.四千大王.七千大樹.八千大泥犁.十千大山.千閻羅王.千四天王.千忉利天千焰摩天.千兜率天.千化自在天.千他化自在天.千梵天。是爲小千世界。如一小千世界。爾所小千千世界。是爲中千世界。如一中千世界。爾所中千千世界。是爲三千大千世界。如是世界周匝成敗。眾生所居名一佛剎。

佛告比丘。今此大地深十六萬八千由旬。其邊無際。地止於水。水深三千三十由旬。其邊無際。水止於風。風深六千四十由旬。其邊無際。比丘。其大海水深八萬四千由旬。其邊無際。須彌山王入海水中八萬四千由旬。出海水上高八萬四千由旬。下根連地。多固地分。其山直上。無有阿曲。生種種樹。樹出眾香。香遍山林。多諸賢聖。大神妙天之所居止。其山下基純有金沙。其山四面有四埵出。高七百由旬。雜色間廁。七寶所成。四埵斜低。曲臨海上。
須彌山王有七寶階道。其下階道廣六十由旬。... 又須彌山王中級階道廣四十由旬。... 亦如下階。上級階道廣二十由旬。...亦如中階。
佛告比丘。其下階道有鬼神住。名曰伽樓羅足。其中階道有鬼神住。名曰持鬘。其上階道有鬼神住。名曰喜樂。其四捶高四萬二千由旬。四天大王所居宮殿。... 亦復如是。
須彌山頂有三十三天宮。...
過三十三天由旬一倍有焰摩天宮。過焰摩天宮由旬一倍有兜率天宮。過兜率天宮由旬一倍有化自在天宮。過化自在天宮由旬一倍有他化自在天宮。過他化自在天宮由旬一倍有梵加夷天宮。
於他化自在天.梵加夷天中間。有摩天宮。... 亦復如是。
過梵伽夷天宮由旬一倍有光音天宮。過光音天由旬一倍有遍淨天宮。過遍淨天由旬一倍有果實天宮。過果實天由旬一倍有無想天宮。過無想天由旬一倍有無造天宮。過無造天由旬一倍有無熱天宮。過無熱天由旬一倍有善見天宮。過善見天由旬一倍有大善見天宮。過大善見天由旬一倍有色究竟天宮。過色究竟天上有空處智天.識處智天.無所有處智天.有想無想處智天。
齊此名眾生邊際.眾生世界。一切眾生生.老.病.死.受陰.受有。齊此不過。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나의 4천하(四天下)를 두루 돌면서 광명을 비추고 있는 것과 같은 그런 세계(世界)가 천(千) 개나 있다. 

이 천 개의 세계는 천 개의 이 있고 

천 개의 수미산왕(須彌山王: 수미산이 가장 높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王자를 붙였음)과 

4천 개의 천하(天下)와 

4천 개의 대천하(大天下)가 있고, 

4천 개의 바닷물[海水]과 

4천 개의 큰 바다[大海]가 있으며, 

4천 무리의 (龍)과 

4천 마리의 큰 용[大龍]이 있으며, 

4천 무리의 금시조(金翅鳥)와 

4천 마리의 큰 금시조[大金翅鳥]가 있고, 

4천 개의 악도(惡道)와 

4천 개의 큰 악도[大惡道]가 있으며, 

4천의 (王)과 4천의 대왕(大王)이 있고, 


7천 그루의 큰 나무[大樹], 

8천 개의 큰 지옥[大泥犁], 

1만 개의 큰 산[大山], 천 명의 염라왕(閻羅王), 

천 명의 사천왕(四天王), 

천 개의 도리천(忉利天), 

천 개의 염마천(焰摩天), 

천 개의 도솔천(兜率天), 

천 개의 화자재천(化自在天), 

천 개의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천 개의 범천(梵天: 여기서는 색계의 모든 하늘의 통칭[36][37])이 있다. 

이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소천세계와 같은 그러한 세계가 천 개 있으면 이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하고, 

하나의 중천세계와 같은 그러한 세계가 천 개 있으면 이것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 한다. 


이와 같은 세계가 겹겹으로 둘러 있는데 생겼다 무너졌다 한다[如是世界周匝成敗]. 


중생들이 사는 곳을 1불찰(一佛刹)이라고 이름한다.”


[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풍륜[風] · 수륜[水] · 금륜[地]의 3륜과, 

대지 즉 금륜과, 대해 즉 8해와, 

9산의 한가운데에 있는 수미산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제 이 대지(大地: 금륜)의 깊이는 16만 8천(十六萬八千) 유순(由旬)이고, 

그 가장자리는 끝이 없으며, 

[地: 금륜]은 [水: 수륜]에 머물러 있다. 


의 깊이는 3천 3십(三千三十) 유순이요, 

그 변두리는 끝이 없으며, 

바람[風: 풍륜]에 의지해 있다. 

바람의 깊이는 6천 4십(六千四十) 유순이요, 

그 가장자리는 끝이 없다.


비구들아, 


큰 바닷물[大海水, 8해의 통칭]의 깊이는 8만 4천(八萬四千) 유순이고 

그 가장자리는 끝이 없다. 


수미산왕은 바닷물 속에 들어간 부분이 8만 4천(八萬四千) 유순이고, 

바닷물 위에 나온 부분도 그 높이가 8만 4천(八萬四千) 유순이며, 

밑부분은 [地, 금륜]에 닿아 있는데 대부분 단단한 지분(地分)으로 되어 있다. 

은 곧게 솟아올라 굽은 곳이 없다. 


그곳엔 온갖 나무들이 자라고 있고 

나무에서는 갖가지 향기를 내어 그 향기가 온 에 가득하다. 


거기에는 성현(聖賢: 한역 원어는 賢聖)들이 많으며 

매우 신령스럽고 묘한 하늘[天, 천인, 천중]들도 머물러 살고 있다.


의 밑부분에는 순수한 금모래가 있고, 

의 네 면에는 네 개의 봉우리[埵]가 솟아 있는데 

높이는 7백 유순으로 일곱 가지 보배[七寶]로 이루어졌으며, 

네 개의 봉우리는 비스듬히 굽어져 

바다[海, 수미해]에 닿아 있다.


[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욕계의 하늘[天]들에 대한 설명과 열거가 이어진다.]


수미산왕에는 '7보로 만들어진 층계로 된 길[七寶階道: 6욕천의 제1천인 4천왕천에 해당한다]'이 있는데 

아래 부분의 층계로 된 길[下階道]의 너비는 60유순이다. ...


수미산왕중턱에 있는 층계로 된 길[中級階道]의 너비는 40유순이고, ... 

모든 일들이 아래 층계로 된 길을 설명한 내용과 같다.


위에 있는 층계로 된 길[上級階道]은 그 너비가 20유순이고, ...

일들은 가운데에 있는 층계로 된 길을 설명한 내용과 같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그 아래 층계의 길[下階道]에는 

가루라(伽樓羅: 한역 원어는 伽樓羅足)라는 귀신(鬼神)이 살고 있고, 

가운데 층계 길[中階道]에는 지만(持鬘)이라는 귀신이 살고 있으며, 

위 층계 길[上階道]에는 희락(喜樂)이라는 귀신이 살고 있다. 


그곳에는 네 개의 봉우리[埵]가 솟아나 있는데 높이는 4만 2천 유순이다.


사천대왕(四天大王)이 살고 있는 궁전에는 ... 

일들은 역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의 제1천인 4천왕천에 대한 설명이다.]


수미산 꼭대기에는 삼십삼천(三十三天: 도리천, 6욕천의 제2천)의 궁전이 있다. ...
삼심삼천을 지나 또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염마천(焰摩天: 야마천, 6욕천의 제3천)의 궁전이 있고, 염마천의 궁전을 지나 또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도솔천(兜率天: 6욕천의 제4천)의 궁전이 있으며, 도솔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화자재천(化自在天: 화락천, 6욕천의 제5천)의 궁전이 있고, 화자재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욕천의 제6천)의 궁전이 있으며, 타화자재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범가이천(梵加夷天: 색계 초선천의 통칭[38])의 궁전이 있다.
타화자재천범가이천의 중간에 마천(魔天: 한역 원어는 摩天)의 궁전이 있는데 ...[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색계의 나머지 하늘[天]들에 대한 열거가 이어진다.]범가이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광음천(光音天: 여기서는 색계 2선천의 통칭)의 궁전이 있고, 광음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변정천(遍淨天: 여기서는 색계 3선천의 통칭)의 궁전이 있고, 변정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과실천(果實天: 여기서는 색계 4선천의 통칭)의 궁전이 있고, 과실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무상천(無想天)의 궁전이 있고, 무상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무조천(無造天: 무번천, 5정거천의 제1천)의 궁전이 있고, 무조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무열천(無熱天: 5정거천의 제2천)의 궁전이 있고, 무열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선견천(善見天: 5정거천의 제3천)의 궁전이 있고, 선견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대선견천(大善見天: 5정거천의 제4천)의 궁전이 있고, 대선견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색구경천(色究竟天: 5정거천의 제5천)의 궁전이 있다.[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무색계의 하늘[天]들에 대한 열거가 이어진다.]색구경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공처지천(空處智天: 공무변처천, 무색계의 제1천) · 식처지천(識處智天: 식무변처천, 무색계의 제2천) · 무소유처지천(無所有處智天: 무소유처천, 무색계의 제3천) · 유상무상처지천(有想無想處智天: 비상비비상처천, 무색계의 제4천)이 있다.이와 같은 것들을 통틀어 중생이 사는 경계[衆生邊際]요, 중생이 사는 세계[衆生世界]라고 이름한다. 일체 중생나고 · 병들고 · 늙고 · 죽고, (陰)을 받고 (有)를 받는 것이 모두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1) 염부제주품(閻浮提洲品)〉. 한문본 & 한글본
대루탄경[원본 ■편집]
대루탄경(大樓炭經)》은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의 이역본들 가운데 하나로, 서진(西晉: 265~317) 시대인 290~307년 사이에 법립(法立)과 법거(法炬)가 공역한 경전이다.[39][40][41]
대루탄경》 제1권 〈1. 염부리품(閻浮利品)〉의 시작 부분에서 고타마 붓다비구들에게 아래 인용문과 같이 우주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하고 있다. 《대루탄경》에서는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를 1불찰(一佛剎) 즉 1명의 부처교화 영역으로서의 세계라는 뜻에서 하나의 불찰이라고도 부르고 있다.[42][43]








佛言諸比丘如一日月。旋照四天下時。爾所四千天下世界。有千日月。有千須彌山王。有四千天下。四千大海水。四千大龍宮。四千大金翅鳥。四千惡道。四千大惡道。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萬種種大泥梨。是名爲一小千世界。如一千小世界。爾所小千千世界。是名爲中千世界。如一中千世界。爾所中千千世界。是名爲三千世界。悉燒成敗。是爲一佛剎。

佛言。比丘。是地深六百八十萬由旬。其邊無限。其地立水上。其水深四百六十萬由旬。其邊際無有限礙。大風持水。其風深二百三十萬由旬。其邊際無限。
比丘其大海深八百四十萬由旬。其邊際無崖底。比丘須彌山王入大海水。深八萬四千由旬。高亦八萬四千由旬。下狹上稍稍廣。上正平。種種合四類在上止。悉滿無空缺處。諸大尊神亦在上止。諸尊復尊大神。悉在上居止。忉利天宮。在須彌山上。過忉利天。上有焰天。過炎天。有兜率天。上過兜率天。有尼摩羅天。過尼摩羅天。上有波羅尼蜜和耶越致天。過是上有梵迦夷天。過是天上有魔天。其宮廣長二十四萬里。宮壁七重。欄楯七重。刀分七重。行樹七重。周匝皆以七寶。畫妙好。金銀水精琉璃馬瑙赤眞珠車磲。...
過魔天。上有梵迦夷天。過梵迦夷天。上有阿衞貨天。過是上有首皮斤天。過是有比呼破天。過是已有無人想天。過是已有阿和天。過是已有答和天。過是已有名須達稱天。過是已有須陀尸天。過是已有阿迦尼吒天。
過是已有天。名阿竭禪天。過是已有天。名識知。過是已有天。名阿因。過是已有天。名無有思想亦不無想。
乃至其上有人。生老病死。往還不復過其上數。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마치 하나의 사천하(四天下)를 두루 비출 때 그곳의 4천(千) 천하세계(天下世界)에는 1천 개의 이 있고, 1천의 수미산왕(須彌山王)이 있으며, 4천 개의 천하(天下)가 있고, 4천 개의 대해[大海水]가 있고, 4천 개의 대용궁(大龍宮)이 있고, 4천 개의 대금시조(大金翅鳥)가 있고, 4천 개의 악도(惡道)가 있고, 4천 개의 대악도(大惡道)가 있고, 7천 개의 갖가지 큰 나무[大樹]들이 있고, 8천 개의 갖가지 거대한 산[大山]이 있고, 1만 개의 갖가지 대니리(大泥梨: 대지옥)가 있으니, 이것을 하나의 소천세계(小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소천세계와 같이 그곳에 소천(小千)의 천 세계가 있으니, 이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중천세계처럼 그곳에 중천(中千)의 천 세계가 있으니, 이것을 삼천세계(三千世界)라고 한다. 이 삼천세계가 모두 불에 타서 이루어지거나 무너지나니[悉燒成敗], 이것을 하나의 불찰(一佛剎)이라고 한다.”[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풍륜[風] · 수륜[水] · 금륜[地]의 3륜과, 대지 즉 금륜과, 대해 즉 8해와, 9산의 한가운데에 있는 수미산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地: 금륜]의 깊이는 6백80만 유순이고 그 둘레는 한없으며, 이 [水: 수륜] 위에 서있다. 그 의 깊이는 4백60만 유순이고, 그 둘레는 한없고 걸림이 없다. 큰 바람[大風: 풍륜]이 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바람의 깊이는 2백30만 유순이며, 그 둘레는 한없다.
비구들이여, 그 대해(大海: 8해의 통칭)는 깊이가 8백40만 유순이고 그 둘레는 끝도 가도 보이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수미산왕대해[大海水]에 들어 있는데 깊이가 8만 4천 유순이요, 높이도 8만 4천 유순이다. 아래는 좁고 위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데, 위는 반듯하고 평평하여[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욕계의 하늘[天]들에 대한 설명과 열거가 이어진다.]'온갖 네 가지 생류[含四類: 한문 원문은 合四類]'가 위에서 살고 있으며[在上止], 모두 가득 차서 빈 곳이 없다. 여러 크고 높은 (神)들도 거기서 살고 있고[在上止], 높고 또 높은 들도 모두 다 위에서 살고 있다[在上居止].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의 제1천인 4천왕천에 대한 설명이다.]
도리천궁(忉利天宮: 6욕천의 제2천)은 수미산 위에 있고, 도리천(忉利天)을 지나서 위에는 염천(焰天: 야마천, 6욕천의 제3천)이 있고, 염천을 지나서 도솔천(兜率天: 6욕천의 제4천)이 있고, 도솔천을 지나서 위에는 니마라천(尼摩羅天: 화락천, 6욕천의 제5천)이 있고, 니마라천을 지나서 위에는 바라니밀화야월치천(波羅尼蜜和耶越致天: 타화자재천, 6욕천의 제6천)이 있고, 그것을 지나면 위에 범가이천(梵迦夷天: 색계 초선천의 통칭[38])이 있다.
이 하늘[즉, 6욕천의 제6천인 타화자재천]을 지나서 위에 마천(魔天)이 있는데, 그 궁전의 너비와 길이는 24만 리이다. 궁의 벽은 일곱 겹이고, 난간도 일곱 겹이며, 교로[交露]도 일곱 겹이다. 일곱 겹의 가로수가 줄지어 서 있고, 둘레는 모두 7보(七寶)인 (金) · (銀) · 수정(水精) · 유리(琉璃) · 마노(馬瑙) · 붉은 진주[赤眞珠]와 차거(車磲)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미묘하고 좋다. ...[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색계의 나머지 하늘[天]들에 대한 열거가 이어진다.]마천을 지나면 위에 범가이천(梵迦夷天: 색계 초선천의 통칭)이 있고, 범가이천을 지나면 위에 아위화천(阿衞貨天: 색계 2선천의 통칭)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수피근천(首皮斤天: 색계 3선천의 통칭)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비호파천(比呼破天: 색계 4선천의 통칭)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무인상천(無人想天: 무상천)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아화천(阿和天: 5정거천의 제1천인 무번천)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답화천(答和天: 5정거천의 제2천인 무열천)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수달칭천(須達稱天: : 5정거천의 제3천인 선현천 또는 선견천)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수타시천(須陀尸天: 5정거천의 제4천인 선견천 또는 대선견천)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5정거천의 제5천인 색구경천) 이 있고,[편집자주: 위의 설명에 이어서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무색계의 하늘[天]들에 대한 열거가 이어진다.]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그 이름은 아갈선천(阿竭禪天: 무색계 제1천인 공무변처천)이다.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식지(識知: 무색계 제2천인 식무변처천)라 하고,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아인(阿因: 무색계 제3천인 무소유처천)이라 하며,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무유사상역부무상(無有思想亦不無想: 무색계 제4천인 비상비비상처천)이라 한다.나아가 그 위로는[其上] 어떤 사람이라도 나고 늙고 병들고 죽고 가고 오되, 더 이상 그 수(數: 범주)를 넘지는 않는다.”
— 《대루탄경》 제1권 〈1. 염부리품(閻浮利品)〉. 한문본 & 한글본
기세경[원본 ■편집]
기세경(起世經)》은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의 이역본들 가운데 하나로, (隋: 581~618)나라 시대인 585~600년 사이에 사나굴다(闍那崛多)가 한역한 경전이다.[44][45]
기세경》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의 시작 부분에서 고타마 붓다비구들에게 아래 인용문과 같이 우주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하고 있다. 《기세경》에서는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를 1불찰토(一佛刹土) 즉 1명의 부처교화 영역으로서의 세계라는 뜻에서 한 부처님 세계[一佛刹土], 또는 완전한 깨달음을 아직 증득하지 못한 유정들로서는 참고 견뎌야 살아갈 수 있는 세계라는 뜻 등의 의미에서 사바세계(娑婆世界),[46][47] 또는 무외찰토(無畏刹土) 즉 완전한 깨달음증득한 자에게는 두려워 할 만한 것이 전혀 없는 세계라는 뜻에서 두려움 없는 국토[無畏刹土]라고도 부르고 있다.[48][49]







佛言。比丘。如一日月所行之處。照四天下。如是等類。四天世界。有千日月所照之處。此則名爲一千世界。諸比丘。千世界中。千月千日千須彌山王。四千小洲。四千大洲。四千小海。四千大海。四千龍種姓。四千大龍種姓。四千金翅鳥種姓。四千大金翅鳥種姓。四千惡道處種姓。四千大惡道處種姓。四千小王。四千大王。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十千種種大泥犁。千閻摩王。千閻浮洲。千瞿陀尼。千弗婆提。千鬱單越。千四天王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兜率陀天。千化樂天。千他化自在天。千摩羅天。千梵世天。諸比丘。於梵世中。有一梵王。威力最強。無能降伏。統攝千梵自在王領。云我能作能化能幻。云我如父。於諸事中。自作如是憍大語已。即生我慢。如來不爾。所以者何。一切世間。各隨業力。現起成立。諸比丘。此千世界。猶如周羅(周羅者隋言髻)。名小千世界。諸比丘。爾所周羅一千世界。是名第二中千世界。諸比丘。如此第二中千世界。以爲一數。復滿千界。是名三千大千世界。

諸比丘。此三千大千世界。同時成立。同時成已而復散壞。同時壞已而復還立。同時立已而得安住。如是世界。周遍燒已。名爲散壞。周遍起已。名爲成立。周遍住已。名爲安住。是爲無畏一佛剎土眾生所居。
諸比丘。今此大地。厚四十八萬由旬。周闊無量。如是大地。住於水上。水住風上。風依虛空。諸比丘。此大地下。所有水聚。厚六十萬由旬。周闊無量。彼水聚下。所有風聚。厚三十六萬由旬。周闊無量。諸比丘。
此大海水。最極深處。深八萬四千由旬。周闊無量。諸比丘。須彌山王。下入海水。八萬四千由旬。上出海水。亦八萬四千由旬。須彌山王。其底平正。下根連住大金輪上。諸比丘。須彌山王。在大海中。下狹上闊。漸漸寬大。端直不曲。大身牢固。佳妙殊特。最勝可觀。四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須彌山上。生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其香遠熏。遍滿諸山。多眾聖賢。最大威德。勝妙天神之所止住。諸比丘。須彌山王。上分有峰。四面挺出。曲臨海上。各高七百由旬。殊妙可愛。七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眞珠車磲瑪瑙之所莊挍。
諸比丘。須彌山下。別有三級。諸神住處。其最下級。縱廣正等。六十由旬。... 其第二級。縱廣正等。四十由旬。... 其最上級。縱廣正等。二十由旬。... 諸比丘。於下級中。有夜叉住。名曰缽手。第二級中。有夜叉住。名曰持鬘。於上級中。有夜叉住。名曰常醉。諸比丘。須彌山半。高四萬二千由旬。有四大天王所居宮殿。須彌山上。有三十三天宮殿。帝釋所居。三十三天已上一倍。有夜摩諸天所居宮殿。夜摩天上。又更一倍。有兜率陀天所居宮殿。兜率天上。又更一倍。有化樂諸天所居宮殿。化樂天上。又更一倍。有他化自在諸天宮殿。
他化天上。又更一倍。有梵身諸天所居宮殿。他化天上。梵身天下。於其中間。有摩羅波旬諸天宮殿。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間別有諸天宮殿所居之處名無想眾生。倍不麤上。有不惱天。倍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天。倍善現上。有阿迦尼吒諸天宮殿。
諸比丘。阿迦尼吒已上。更有諸天。名無邊空處。無邊識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此等皆名諸天住處。
諸比丘。如是處所。如是界分。眾生居住。是諸眾生。若來若去。若生若滅。邊際所極。此世界中。所有眾生。有生老死。墮在如是生道中住。至此不過。是名娑婆世界無畏剎土。諸餘十方一切世界。亦復如是。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비구들아, 하나의 이 다니면서 4천하(四天下)를 비추는 것처럼 이와 같은 4천하[四天世界]에 천 개의 해와 달이 있어 비추어지는 곳을 곧 1천 세계(一千世界: 1개의 천 세계)라고 한다.
비구들아, 천 세계(千世界) 중에는 천 개의 과 천 개의 와 천 개의 수미산왕과 4천 소주(小洲)와 4천 대주(大洲)와 4천 소해(小海)와 4천 대해(大海)가 있으며, 4천의 (龍) 종족과 4천의 큰 용[大龍] 종족과 4천의 금시조(金翅鳥) 종족과 4천의 큰 금시조[大金翅鳥] 종족과 4천의 나쁜 길 처소[惡道處]의 종족과 4천의 크게 나쁜 길 처소[大惡道處]의 종족과 4천의 소왕(小王), 4천의 대왕(大王), 7천의 갖가지 큰 나무[大樹], 8천의 갖가지 큰 산[大山]들과 10천의 갖가지 큰 니리(大泥犁: 대지옥)들, 그리고 천의 염마왕(閻摩王), 천의 염부주(閻浮洲), 천의 구타니(瞿陀尼), 천의 불바제(弗婆提), 천의 울단월(鬱單越)과 천의 사천왕천(四天王天), 천의 삼십삼천(三十三天), 천의 야마천(夜摩天), 천의 도솔타천(兜率陀天), 천의 화락천(化樂天), 천의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천의 마라천(摩羅天)과 천의 범세천(梵世天)이 있다.
비구들아, 범세(梵世) 안에 범왕(梵王)이 한 명 있는데 위력이 가장 강하여 항복시킬 이 없으며, 천의 범자재왕(梵自在王)의 영역을 모두 거느리면서 '나는 능히 짓고 능히 변화하고 능히 홀릴 수도 있다'고 말하고, '나는 아버지와 같은 이다'라고 말하며, '모든 일에서 가운데서 스스로 이렇게 교만하여 큰소리를 치며 아만(我慢)을 내지만 여래는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일체 세간은 저마다 의 힘을 따라 나타나 일어나고 성립되기 때문이다.
비구들아, 이 천 세계는 마치 주라(周羅)[주라(周羅)는 수(隋)나라 말로 계(髻: 상투, 묶은 머리)이다.]와 같은데, 소천세계(小千世界)라 한다.
비구들아, 그렇게 많은 주라의 1천 세계를 바로 제2의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한다.
비구들아, 이러한 제2의 중천세계를 하나의 수[一數]로 하여 다시 천(千)의 세계가 차면 이것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 한다.[편집자주: 다음은 우주의 성 · 주 · 괴 · 공의 4겁(四劫)에 대한 설명이다.]비구들아, 이 삼천대천세계는 동시에 성립되며[成立], 동시에 성립된 뒤에 다시 무너지며[散壞], 동시에 무너지고 난 뒤에 다시 도로 성립되며[還立], 동시에 성립되고 나서 편안히 머무르게[安住] 된다.
이와 같이 세계가 두루 다 타 버리면 무너졌다[散壞]고 하고, 두루 다 일어나면 성립되었다[成立] 하며, 두루 머무르면 편안히 머무른다[安住]라고 하니, 이것이 두려움 없는 한 부처님 세계[一佛刹土]의 중생들이 사는 곳이 된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공륜 · 풍륜 · 수륜 · 금륜의 4륜에 대한 설명이다.]비구들아, 지금 이 대지(大地: 금륜)는 두께가 48만 유순이고, 둘레는 넓이가 한이 없다. 이와 같은 대지[水: 수륜] 위에 머무르고, 바람[風: 풍륜] 위에 머무르고, 바람허공(虛空: 공륜)에 의지해 있다.
비구들아, 이 대지(大地: 금륜) 아래 있는 물 더미[水聚: 수륜]는 두께가 60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그 물 더미 아래 있는 바람 더미[風聚: 풍륜]는 두께가 36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8해와 수미산에 대한 설명이다.]비구들아, 이 큰 바닷물[大海水: 8해]은 가장 깊은 곳의 깊이가 8만 4천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은 아래로 바닷물[海水: 수미해]에 잠긴 것이 8만 4천 유순이고, 바닷물 위로 드러난 것이 또한 8만 4천 유순이다. 수미산왕은 그 바닥[底: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의 밑바닥, 즉 수미해에 접한 부분]이 평평하고 반듯하며 아래 뿌리[下根: 수미해에 잠긴 부분의 밑바닥]는 큰 금륜(金輪) 위에 연달아 머물러 있다. [편집자주: 이상은 수미산 전체가 수미해에 잠긴 부분과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는 설명이다.]
비구들아, 수미산왕대해(大海: 여기서는 8해 중 수미해) 속에 있는데[에서는, 즉, 수미해에 잠긴 부분은] 아래는 좁고 위는 넓어서 점점 커지고, 끝이 곧아서 굽지 않았으며, [편집자주: 이상은 수미산의 수미해에 잠긴 부분에 대한 설명이다.] 큰 몸[大身: 즉 수미산 전체]은 매우 단단하고, 아름답고 미묘하며 참으로 특이하여 가장 훌륭하며 볼 만한데, (金) · (銀) · 유리(琉璃) · 파리(頗梨)의 네 가지 보석[四寶]이 합해서 이루어졌다. [편집자주: 이상은 수미산 전체, 즉 수미해에 잠긴 부분과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 전체가 4가지 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설명이다.] 수미산 위에는[須彌山上: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 갖가지 나무가 자라나 있는데, 그 나무는 울창하여 온갖 향기를 내는데 그 향기는 멀리 풍겨서 모든 산에 두루 찬다. 또 성현(聖賢)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고, 최대의 위덕을 지닌 훌륭하고 묘한 천신(天神)들이 그곳에 살고 있다. [편집자주: 이상은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의 지표에 나무들이 자라고 있으며 또한 성현들과 천신들이 거주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의 윗부분[須彌山王 上分: 즉 수미산의 정상부]에 봉우리가 있는데 사면이 쑥 솟아났고 굽어져서 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으며, 각각의 높이는 7백 유순이다. 참으로 미묘하고 사랑스러우며, 일곱 가지의 보석[七寶]이 합해서 이루어졌으니, 즉, (金) · (銀) · 유리(琉璃) · 파리(頗梨) · 진주(眞珠) · 차거(車磲) · 마노(瑪瑙)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편집자주: 이상은 수미산의 정상부에 있는 높이 7백 유순의 네 봉우리에 대한 설명이다. 이로써 수미산의 물리적 구성에 대한 설명이 끝난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욕계의 하늘들 즉 6욕천에 대한 설명과 열거이다.]비구들아, 수미산 아래[須彌山下: 수미산의 하반부]에는 각각 세 등급이 있어 모든 들[諸神: 갖가지 신들]이 그곳에서 살고 있다.
그 중 제일 낮은 등급[最下級]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60유순이다. ...
둘째 등급[第二級]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40유순이고, ...
맨 위의 등급[最上級]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20유순인데, ...
비구들아, 맨 아래급[下級]에는 발수(鉢手)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제2급(第二級)에는 지만(持鬘)이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상급(上級)에는 상취(常醉)라는 야차가 살고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 중턱 높이 4만 2천 유순되는 사대천왕(四大天王)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으며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 중 제1천인 4천왕천에 대한 설명이며 또한 수미산의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의 하반부에 살고 있는 유정들에 대한 설명이다.], 수미산 위에는 삼십삼천(三十三天: 6욕천 중 제2천인 도리천)의 궁전이 있는데 제석(帝釋)이 살고 있다.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 중 제2천인 도리천 즉 33천에 대한 설명이며 또한 수미산의 정상부에 살고 있는 유정들에 대한 설명이다. 이로써 지거천(4천왕천과 도리천의 두 하늘)에 대한 설명이 끝난다.] 삼십삼천에서 한 갑절 올라가면 야마천(夜摩天: 6욕천 중 제3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야마천에서 위로 또 한 갑절 올라가면 도솔타천(兜率陀天: 6욕천 중 제4천)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도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화락천(化樂天: 6욕천 중 제5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화락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욕천 중 제6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 중 공거천, 즉 수미산 위의 공중에 있는 하늘들, 즉 4천왕천과 도리천을 제외한 네 하늘들에 대한 설명이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욕계의 마천(魔天)과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열거이다.]타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범신천(梵身天: 색계 초선천의 통칭[38])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타화천 위와 범신천 아래의 그 중간에는 마라파순천(魔羅波旬天: 마천)들의 궁전이 있고, 범신천을 갑절 오르면 광음천(光音天: 색계 2선천의 통칭)이 있고, 광음천을 갑절 오르면 변정천(遍淨天: 색계 3선천의 통칭)이 있고, 변정천을 갑절 오르면 광과천(廣果天: 색계 4선천의 통칭)이 있고 광과천을 갑절 오르면 불추천(不麤天: 5정거천의 제1천인 무번천)이 있다. 광과천 위와 불추천 아래의 그 중간에 따로 무상중생(無想衆生: 무상천)이라 이름하는 하늘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불추천을 갑절 오르면 불뇌천(不惱天: 5정거천의 제2천인 무열천)이 있고, 불뇌천을 갑절 오르면 선견천(善見天: 5정거천의 제3천)이 있고, 선견천을 갑절 오르면 선현천(善現天: 5정거천의 제4천)이 있고, 선현천을 갑절 오르면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5정거천의 제5천인 색구경천)들의 궁전이 있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무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열거이다.]비구들아, 아가니타천 위에 다시 여러 하늘이 있는데, 무변공처(無邊空處) · 무변식처(無邊識處) · 무소유처(無所有處) ·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라 하나니, 이들은 모두 하늘들이 살고 있는 곳의 이름이다.비구들아, 이와 같은 처소(處所)와 이와 같은 영역[界分]에 중생들이 살고 있는데, 이 모든 중생들은 오고 가기도 하며 났다가 없어지기도 하여 끝끝내 다하느니라. 이 세계(世界: 즉 1수미세계) 안의 모든 중생들은 나고 · 늙고 · 죽음이 있으며, 이와 같이 나는 길[生道] 가운데 떨어져 머무르며 여기에서 더 지나가지 못하니, 이것이 사바 세계(娑婆世界)요, 두려움 없는 국토[無畏刹土]이다.
나머지 모든 시방(十方)의 일체(一切) 세계(世界: 즉 3천대천세계의 다른 모든 1수미세계)들도 그와 같다.
— 《기세경》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한문본 & 한글본
기세인본경[원본 ■편집]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은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의 이역본들 가운데 하나로, (隋: 581~618)나라 시대인 605~617년 사이에 달마급다(達磨笈多)가 한역한 경전이다.[50]
기세인본경》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의 시작 부분에서 고타마 붓다비구들에게 아래 인용문과 같이 우주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하고 있다. 《기세인본경》에서는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를 무외일불찰토(無畏一佛剎土) 즉 무외일불의 세계 즉 두려움이 없는 상태[無畏]에 도달한 1명의 부처의 교화 영역으로서의 세계라는 뜻에서 두려움 없는 한 명의 부처님의 세계[無畏一佛剎土], 또는 완전한 깨달음을 아직 증득하지 못한 유정들로서는 참고 견뎌야 살아갈 수 있는 세계라는 뜻 등의 의미에서 사바세계(娑婆世界),[46][47] 또는 무외찰토(無畏刹土) 즉 완전한 깨달음증득한 자에게는 두려워 할 만한 것이 전혀 없는 세계라는 뜻에서 두려움 없는 세계[無畏刹土]라고도 부르고 있다.[51][52]














爾時佛告諸比丘言。諸比丘。如一日月所行之處。照四天下。爾所四天下世界。有千日月。諸比丘。此則名爲一千世界。諸比丘。千世界中。千月千日千須彌山王。四千小洲四千大洲。四千小海四千大海。四千龍種姓四千大龍種姓。四千金翅鳥種姓四千大金翅鳥種姓。四千惡道處種姓四千大惡道處種姓。四千小王四千大王。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十千種種大泥犁。千閻摩羅王。千閻浮洲。千瞿陀尼。千弗婆提。千鬱多囉究留。千四天王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兜率陀天。千化樂天。千他化自在天。千諸摩囉天。千梵世天。諸比丘。彼梵世中有一梵主。威力最強無能降者。統攝千梵自在王領。云我能作能化能幻。云我如父於諸事中自作。如是憍大語言。即生我慢。如來不然。所以者何。一切世間各隨業力現成此世。諸比丘。如此小千世界。猶如周羅(周羅者隋言髻也外國人頂上結少許長髮爲髻)。名千世界。諸比丘。爾所周羅一千世界。是名第二中千世界。諸比丘。如一第二中千世界。爾所中千一千世界。是名三千大千世界。

諸比丘。此三千大千世界。一時轉合。一時轉合已而還復散。一時轉散已而復還合。一時轉合已而安住。如是世界周匝轉燒。名爲敗壞。周匝轉合。名爲成就。周匝轉住。名爲安立。是爲無畏一佛剎土眾生所居。
諸比丘。此大地厚四十八萬由旬。邊廣無量。諸比丘。此之大地住於水上。水住風上。風依虛空。諸比丘。此大地下所有水聚。彼水聚厚六十萬由旬。邊廣無量。彼水聚下所有風聚。彼風聚厚三十六萬由旬。邊廣無量。
諸比丘。其大海水最甚深處。深八萬四千由旬。邊廣無量。諸比丘。其須彌山王。入海水中八萬四千由旬。出海水上亦八萬四千由旬。諸比丘。須彌山王。其底平正。下根連住大金輪上。諸比丘。其須彌山王。於大海中。下狹上廣。漸漸寬大。端直不曲。牢固大身。微妙最極。殊勝可觀。四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生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其香遠熏。遍滿諸山。多眾聖賢。最大威德勝妙天神之所住止。諸比丘。須彌山王。上分之中。四方有峰。其峰傍挺角出。各高七百由旬。微妙可喜。七寶所成。所謂金銀琉璃頗梨赤眞珠車磲馬瑙等之所莊嚴。曲臨海上。
諸比丘。其須彌山下有三級。諸神住處。其最下級。縱廣六十由旬。... 其中分級。縱廣四十由旬。... 其上分級。縱廣二十由旬。.... 諸比丘。須彌山半。四萬二千由旬中。有四大天王宮殿。諸比丘。須彌山上。有三十三諸天宮殿。帝釋所住。三十三天。向上一倍。有夜摩諸天宮殿住。其夜摩天。向上一倍。有兜率陀諸天宮殿住。其兜率天。向上一倍。有化樂諸天宮殿住。其化樂天。向上一倍。有他化自在諸天宮殿住。
其他化自在天。向上一倍。有梵身諸天宮殿住。其他化上梵身天下。於其中間。有魔波旬諸宮殿住。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間別有諸天宮住。名爲無想眾生所居。倍不麤上。有不惱天。倍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天。倍善現上。則是阿迦尼吒諸天宮殿。
諸比丘。阿迦尼吒上。更有諸天。名無邊虛空處天。無邊識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此等盡名諸天住處。
諸比丘。如是之處。如是界分。眾生所住。如是眾生。若來若去。若生若滅。邊際所極。是世界中。諸眾生輩。有生老死墮在。如是生道中住。至此不過。是故說言娑婆世界無畏剎土。自餘一切諸世界中。亦復如是。



이 때 부처님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비구들이여, 한 이 운행하면서 사천하(四天下)를 비추는 것과 같이 이 사천하의 세계[四天下世界: 4천하가 속한 세계]에는 천(千)의 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이름하여 1천세계(一千世界: 하나의 천세계)라 한다. 비구들이여, 천세계(千世界) 가운데는 천(千)의 (月)과 천의 [日], 천의 수미산왕(須彌山王)과 4천의 소주(小洲)와 4천의 대주(大洲), 4천의 소해(小海)와 4천의 대해(大海), 4천의 종성(龍種姓)과 4천의 대용 종성, 4천의 금시조 종성(金翅鳥種姓)과 4천의 대금시조 종성, 4천의 악도처 종성(惡道處種姓)과 4천의 대악도처 종성, 4천의 소왕(小王)과 4천의 대왕(大王), 7천의 온갖 큰 나무[大樹]와 8천의 온갖 큰 산[大山], 십천(十千)의 가지가지 대니려(大泥犁: 대지옥), 천의 염마라왕(閻摩羅王), 천의 염부주(閻浮洲), 천의 구타니(瞿陀尼), 천의 불바제(弗婆提), 천의 울다라구류(鬱多囉究留), 천의 사천왕천(四天王天)과 천의 삼십삼천(三十三天), 천의 야마천(夜摩天), 천의 도솔타천(兜率陀天), 천의 화락천(化樂天), 천의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천의 모든 마라천(摩囉天), 천의 범세천(梵世天)이 있다.
비구들이여, 그 범세(梵世) 가운데는 한 범주(梵主)가 있는데 위력이 막강하여 항복하지 않는 자가 없다. 그는 천(千)의 범자재왕(梵自在王)의 영토를 통치하면서 ‘나는 능히 조화(造化)하고 환술(幻術)을 부린다. 나는 어버이와 같아 모든 일을 마음대로 조작한다’ 하며 거만하게 큰 소리를 치며 아만을 내지만 여래께서는 그렇지가 않다. 왜냐하면 모든 세간은 각각 업력에 따라서 이러한 세상[世]이 나타나고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모든 비구들이여, 이러한 소천세계(小千世界)는 마치 주라(周羅)[주라라 하는 것은 수(隋)나라 말로 상투이다. 다른 나라 사람의 정수리에 조금 긴 머리를 묶은 것이 상투이다.]와 같아서 이름을 천세계(千世界)라 한다. 모든 비구들이여, 이러한 주라 1천세계를 합한 것[爾所周羅一千世界: 이와 같은 주라의 1천 개의 세계, 즉 소천세계 1천 개가 모인 세계]으로 제이(第二)의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한다. 모든 비구들이여, 제일(第一)과 같이 제이(第二)의 중천세계에도 이러한 중천(中千) 1천세계[爾所中千一千世界: 이와 같은 중천의 1천 개의 세계, 즉 중천세계 1천 개가 모인 세계]가 있는데 이를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 한다.[편집자주: 다음은 우주의 성 · 주 · 괴 · 공의 4겁(四劫)에 대한 설명이다.]모든 비구들이여, 이 삼천대천세계는 일시에 합해지고, 일시에 합해졌다가는 다시 흩어지며, 일시에 흩어졌다가는 다시 합하게 되고 일시에 합하여져서는 안주(安住)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계가 둘러싸여 유전(流轉)하다가 타버리는 것[燒]을 패괴(敗壞)라고 하며, 둘러싸여 유전하다가 합해지는 것을 성취(成就)라고 하며, 둘러싸여 유전하다가 머무는 것을 안립(安立)이라 한다. 이것이 두려움 없는 부처님 세계[無畏一佛剎土: 한역 원문 그대로는 '무외일불의 세계', 즉 '두려움 없는 한 명의 부처님의 세계']의 중생이 사는 곳이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공륜 · 풍륜 · 수륜 · 금륜의 4륜에 대한 설명이다.]비구들이여, 이 대지(大地: 금륜)의 깊이는 48만 유순(由句)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비구들이여, 이 대지[水: 수륜] 위에 머무는데 바람[風: 풍륜] 위에 머물고, 바람허공(虛空: 공륜)에 의지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대지(大地: 금륜) 밑에는 이 모여 있는데[水聚: 수륜] 그 [水聚: 수륜]의 깊이는 60만 유순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그 [水聚] 아래에는 바람이 모여 있는데[風聚: 풍륜] 그 바람[風聚: 풍륜]의 두터움은 36만 유순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8해와 수미산에 대한 설명이다.]비구들이여, 그 대해(大海: 8해)의 물이 가장 깊은 곳은 8만 4천 유순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비구들이여, 그 수미산왕바닷물[海水: 수미해] 속으로 8만 4천 유순이나 들어갔고 물 위로 나온 것도 역시 8만 4천 유순이다.
비구들이여, 수미산왕은 그 밑이 평평하고 똑바른데 밑바닥은 대금륜(大金輪) 위에 이어져 있다. 비구들이여, 그 수미산왕큰 바다[大海: 여기서는 8해 중 수미해] 가운데[에 있는 부분은, 즉, 수미해에 잠긴 부분은] 아래는 좁고 위는 넓어 점점 넓어지고 커지며 곧게 솟아 굽지 않았다. 견고한 큰 몸은 미묘의 극치를 이루고 뛰어나 참으로 볼 만하다. (金) · (銀) · 유리(琉璃) · 파리(頗梨)의 네 가지 보물[四寶]로 이루어졌는데 온갖 종류의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지고, 가지가지의 향기가 멀리 풍기어 모든 산에 두루 가득하다. 많은 무리의 성현(聖賢)과 최대의 위엄과 덕이 빼어나고 영묘(靈抄)한 천신(天神)이 머물러 있는 곳이다.
비구들이여, 수미산왕의 윗부분 가운데는 사방에 봉우리가 있고 그 봉우리 곁에 각(角)이 솟았는데 높이가 각각 7백 유순이며 미묘하고 훌륭하다. 이른바 (金) · (銀) · 유리(琉璃) · 파리(頗梨) · 진주(眞珠) · 자거(車磲) · 마노(瑪瑙) 등의 7보(七寶)로 장엄되어 있고 비스듬히 굽어 바다에 임해 있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욕계의 하늘들 즉 6욕천에 대한 설명과 열거이다.]비구들이여, 그 수미산 아래[須彌山下: 수미산의 하반부]에는 세 층[級]이 있어 모든 들[諸神: 갖가지 신들]이 살고 있다.
가장 아래층은 세로와 너비가 60유순인데 ...
수미산[ 하반부]의 중간층은 세로와 너비가 40유순인데 ...
위층은 세로가 20유순인데, ...
비구들이여, 그 아래층에는 야차(夜又)가 살고 있는데 이름은 발수(鉢手)라 한다. 그 중간층에도 여러 야차가 있는데 이름을 지만(持鬘)이라 하고, 그 위층에도 여러 야차가 있는데 이름을 상취(常醉)라 한다.
비구들이여, 수미산 중턱 4만 2천 유순사대천왕의 궁전이 있다.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 중 제1천인 4천왕천에 대한 설명이며 또한 수미산의 수미해 위에 드러난 부분의 하반부에 대한 설명이다.] 비구들이여, 수미산 위에는 33개의 모든 하늘 궁전[天宮殿]이 있고 제석(帝釋)이 머물고 있다.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 중 제2천인 도리천 즉 33천에 대한 설명이며 또한 수미산의 정상부에 대한 설명이다. 이로써 지거천에 대한 설명이 끝난다.] 삼십삼천을 위로 한 배(倍)하여 야마(夜摩)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고, 그 야마천 위로 한 배하여 도솔타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으며, 그 도솔타천을 위로 한 배하여 화락(化樂)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고, 그 화락천을 위로 한 배하여 타화자재(他化自在)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으며, [편집자주: 이상은 6욕천 중 공거천에 대한 설명이다. 이로써 6욕천에 대한 설명이 끝난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욕계의 마천(魔天)과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열거이다.]그 타화자재천을 위로 한 배하여 범신(梵身)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는데, 그 타화자재천 위와 범신천(梵身天: 색계 초선천의 통칭)의 아래 중간에 마왕 파순[魔波旬]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다. 범신천을 위로 배하여 광음천(光音天: 색계 2선천의 통칭)이 있고, 광음천을 위로 배하여 변정천(遍淨天: 색계 3선천의 통칭)이 있으며, 변정천을 위로 배하여 광과천(廣果天: 색계 4선천의 통칭)이 있고, 광과천을 위로 배하여 불추천(不麤天: 5정거천의 제1천인 무번천)이 있으며, 광과천 위와 불추천 아래 사이에 따로 모든 하늘 궁전이 있는데 무상중생(無想衆生: 무상천)이 살고 있는 곳이라 한다.
불추천을 위로 배하여 불뇌천(不惱天: 5정거천의 제2천인 무열천)이 있고, 불뇌천을 위로 배하여 선견천(善見天: 5정거천의 제3천)이 있다. 선견천을 위로 배하여 선현천(善現天: 5정거천의 제4천)이 있고, 선현천을 위로 배하여 아가니타(阿迦尼吒: 5정거천의 제5천인 색구경천)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다.[편집자주: 다음은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무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열거이다.]비구들이여, 아가니타 위에 다시 모든 하늘이 있어 이름을 무변허공처천(無邊虛空處天) · 무변식처천(無邊識處天) ·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이라 하는데, 이들은 모든 하늘[天]의 주처(住處)를 모두 이름한 것이다.비구들이여, 이와 같은 처소[處]와 이와 같은 영역[界分]에 중생들이 살고 있다. 이러한 중생은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고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것이 끝이 없다. 이런 세계(世界: 즉 1수미세계) 가운데서 모든 중생들은 나고 늙고 죽는 데에 떨어져 이와 같이 나는 길[生道] 가운데에 머물고 여기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사바세계(娑婆世界)요, 두려움 없는 세계[無畏刹土]라 한다. 나머지 모든 세계(世界: 즉 3천대천세계의 다른 모든 1수미세계)도 역시 이와 같다.
— 《기세인본경》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한문본 & 한글본
구사론[원본 ■편집]
불교 용어 목록/온#욕, 육욕천#욕(欲)의 뜻, 욕탐, 5주지번뇌, 불교 용어 목록/삼#삼구, 색계 17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사론》은 총 9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총론에 해당하는 제1품과 제2품 그리고 무아론을 밝히는 마지막의 제9품을 제외한 나머지 6품은 모두 · · · 4성제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4성제고제(苦諦)에 해당하는 것이 제3품인 〈세간품(世間品)〉으로 불교의 우주론을 설명하고 있다. 권수로는 총 30권 중 제8권부터 제12권까지의 다섯 권에 해당한다.[27][28]
〈세간품〉은 크게 유정세간기세간으로 나뉘어 설명되고 있는데, 유정세간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3계(三界) · 5취(五趣) · 7식주(七識住) · 9유정거(九有情居) · 4식주(四識住) · 4생(四生) 등의 유정의 상태별 · 유형별 분류에 관련된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유정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즉 유정윤회3세양중인과(三世兩重因果)의 12연기(十二緣起)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 후 기세간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우주의 공간적인 구조인 3륜(三輪) · 9산8해(九山八海) · 4대주(四大洲) · 지옥(地獄) · 방생아귀의 거주처 · · 6욕천(六欲天) · 색계무색계의 천궁(天宮)과 그 유정 ·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또한 우주3천대천세계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즉 우주윤회(成) · (住) · (壞) · (空)의 4겁(四劫)으로 설명하고 있다.[25]
이 가운데 3천대천세계를 다루는 부분은 제11권으로, 세친소천세계(小千世界) · 중천세계(中千世界) · 대천세계(大千世界)에 대해 다음 인용문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역 원문 상의 명칭은 각각 소천계(小千界) · 중천계(中千界) · 대천계(大千界)이며, 또는 간략히 말하여 소천(小千) · 중천(中千) · 대천(大千)이다.[53][54]






齊何量說小中大千。頌曰。

  四大洲日月  蘇迷盧欲天
  梵世各一千  名一小千界
  此小千千倍  說名一中千
  此千倍大千  皆同一成壞
論曰。千四大洲乃至梵世。如是總說爲一小千。千倍小千名一中千界。千中千界總名一大千。如是大千同成同壞。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양을 소천 · 중천 · 대천 세계라고 설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4대주(四大洲)와
  소미로산욕계
  범세(梵世)가 각기 1천 개인 것을
  1소천세계[一小千界]라고 이름한다.
  이러한 소천세계[小千]의 천 배를
  설하여 중천세계[一中千]라고 이름하며
  이것의 천 배를 대천세계[大千]라고 하니
  이 모두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허물어진다.
논하여 말하겠다. 천 개의 4대주(四大洲)와 내지 범세(梵世), 이와 같은 것을 모두 설하여 1소천세계[一小千: 한 개의 소천세계]라 하고, 소천세계[小千]를 천 배한 것을 1중천세계[一中千界: 한 개의 중천세계]라고 하며, 천 개의 중천세계[中千界]를 모두 설하여 1대천세계[一大千: 한 개의 대천세계]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천세계[大千]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동시에 허물어진다[同成同壞].


— 《구사론》 제11권. 한문본 & 한글본
위 인용문에서 소미로산(蘇迷盧山)은 1수미세계의 근간이 되는 수미산의 음역어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범세(梵世, 산스크리트어: brahmaloka)는 범계(梵界) · 범색계(梵色界) · 범세계(梵世界) 또는 범세천(梵世天)이라고도 하는데, 범천(梵天: 브라흐마)이 지배하는 세계를 말한다.[36][37][55] 불교 우주론에서 범천(梵天)은 색계 초선천의 왕이다.[56][57] 이러한 이유로, 기세간의 측면에서 범천(梵天)은 색계 초선천을 구성하는 세 하늘범중천(梵衆天) · 범보천(梵輔天) · 대범천(大梵天)을 통칭하며, 또한 유정세간의 측면에서는 이들 세 하늘천중들을 통칭한다.[56][57] 이에 비해 범세(梵世)는 기세간만을 뜻하며, 따라서 기세간으로서의 색계 초선천을 통칭한다.
한편, 범세(梵世)의 산스크리트어 원어 브라흐마로카(brahmalok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경건한 천인들이 거주하는] 브라흐마세계 또는 하늘(world or heaven of Brahma, one of the supposed residences of pious spirits)' 또는 '청정한 세계'인데,[58][56] 후자의 경우 욕계(欲界, 산스크리트어: kāma-dhātu)의 (欲, 산스크리트어: kāma)을 떠난 것을 의미한다. 카마(kāma) 즉 욕계의 욕[欲]은, 《구사론》 제8권에 따르면, 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인 욕탐(欲貪) 즉 '욕계(貪)'을 뜻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식욕(食欲)과 음욕(婬欲)을 가리킨다.[59][60] 즉, 범(梵, 산스크리트어: brahma) 즉 브라흐마는 청정, 즉 맑고 깨끗함, 즉, 특히 식욕음욕을 떠난 것을 뜻한다.[37] 이러한 의미에서는, 색계식욕음욕으로 대표되는 욕계이 없는 청정한 세계식욕음욕을 떠난 청정한[梵] 천인[天]들이 거주하는 세계이므로, 범세색계 전체를 뜻하기도 한다.[36][37]
한편, 《구사론》 제8권을 비롯한 불교 우주론에 따르면, 무색계는 상하로 구분된 처소가 없으며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이숙생에 따른 뛰어남열등함의 차이에 따른 구분일 뿐이다.[61][62][63] 달리 말하면, 무색계유정의 상태가 무색계에 다다를 경지가 되기만 하면 언제나 갈 수 있는 정신적인 세계로, 유정이 존재하는 한 언제나 존재하는 세계이다. 말하자면, 욕계색계기세간으로 성립되어 있을 때만 갈 수 있는데 이에 비해 무색계무색계에 갈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한 상태이기만 하면 언제나 존재한다(즉, 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기세간의 성립[成: 이루어짐]과 괴멸[壞: 허물어짐] 즉 '유정이 거주하는 처소'의 성립과 괴멸을 논할 때는 욕계색계, 즉 '욕계9산8해4대주6욕천 등'과 범세(梵世: 색계의 처소들의 통칭)만을 언급한다.




집론·잡집론[원본 ■편집]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아래 인용문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성제 가운데 고제(苦諦)는 유정생과 생소의처(生所依處)를 말한다. 유정생(有情生)은 유정의 태어남 또는 유정의 삶의 유형으로 곧 유정세간(有情世間)을 말한다. 생소의처는 유정의 태어남 또는 삶의 활동근거가 되는 처소로 곧 기세간(器世間)을 말한다.[64][65]
또한, 《집론》과 《잡집론》에 따르면, 유정세간이나 기세간이나 모두 업번뇌(業煩惱, 산스크리트어: karma-kleśa[66])의 힘에 의해 생겨나고, 업번뇌증상력[增上]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총괄적으로 고제(苦諦)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고제에 속하지 않는 청정한 세계[清淨世界], 즉 업번뇌의 힘에 의해 생겨나지 않으며, 업번뇌증상력[增上]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닌 세계, 즉 오직 부처의 경지에 도달한 존재들만이 알 수 있는 불가사의(不可思議)한 무루의 세계가 있다.
이와 같이, 불교의 우주론을 밝히는 것, 즉, 유정세간기세간을 밝히는 것은 4성제 가운데 고제를 밝히는 것이다.



云何苦諦。謂有情生及生所依處。
何等有情生即有情世間。謂諸有情生在那落迦傍生餓鬼人天趣中。人謂東毘提訶。西瞿陀尼。南贍部洲。北俱盧洲。天謂四大王眾天三十三天。夜摩天睹史多天樂變化天他化自在天。梵眾天梵輔天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極光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無雲天福生天廣果天。無想有情天無煩天無熱天善現天善見天色究竟天。無邊空處天無邊識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何等生所依處即器世間。謂水輪依風輪。地輪依水輪。依此地輪有蘇迷盧山七金山四大洲八小洲內海外海。蘇迷盧山四外層級四大王眾天。三十三天所居處別。外輪圍山虛空宮殿。若夜摩天睹史多天化樂天他化自在天。及色界天所居處別。諸阿素洛所居處別。及諸那落迦所居處別。謂熱那落迦。寒那落迦。孤獨那落迦。及一分傍生餓鬼所居處別。乃至一日一月周遍流光所照方處名一世界。如是千世界中有千日千月千蘇迷盧山王千四大洲千四大王眾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睹史多天千樂變化天千他化自在天千梵世天。如是總名小千世界。千小千界總名第二中千世界。千中千界總名第三大千世界。如此三千大千世界。總有大輪圍山周匝圍繞。又此三千大千世界同壞同成。譬如天雨滴如車軸。無間無斷從空下注。如是東方無間無斷無量世界。或有將壞。或有將成。或有正壞或壞已住。或有正成或成已住。如於東方乃至一切十方亦爾。若有情世間若器世間。業煩惱力所生故。業煩惱增上所起故。總名苦諦。復有清淨世界。非苦諦攝。非業煩惱力所生故。非業煩惱增上所起故。然由大願清淨善根增上所引。此所生處不可思議。唯佛所覺。尚非得靜慮者靜慮境界。況尋思者。

[문] 고제(苦諦)란 무엇입니까?
[답] 유정생(有情生: 유정의 태어남)과 생소의처(生所依處: 태어남의 소의가 되는 처소, 즉 태어나서 사는 장소)를 말한다.[문] 어떠한 것이 유정생(有情生: 유정의 태어남) 즉 유정세간(有情世間)입니까?
[답] 온갖 유정나락가취(那落迦趣: 지옥도) · 방생취(傍生趣: 축생도) · 아귀취(餓鬼趣: 아귀도) · 인취(人趣: 인간도) · 천취(天趣: 천상도)에 '태어나서 사는 것[生在]'을 말한다.
인취[人]란 동비제하(東毘提詞) · 서구다니(西瞿陁尼) · 남섬부주(南贍部洲) · 북구로주(北俱盧洲)를 말한다.
천취[天]란 4대왕중천(四大王衆天) · 33천(三十三天) · 야마천(夜摩天) · 도사다천(睹史多天) · 낙변화천(樂變化天) ·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범중천(梵衆天) · 범보천(梵輔天) · 대범천(大梵天) · 소광천(少光天) · 무량광천(無量光天) · 극광정천(極光淨天) · 소정천(少淨天) · 무량정천(無量淨天) · 변정천(遍淨天) · 무운천(無雲天) · 복생천(福生天) · 광과천(廣果天) ·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현천(善現天) · 선견천(善見天) · 색구경천(色究竟天) · 무변공처천(無邊空處天) · 무변식처천(無邊識處天) ·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을 말한다.[문] 어떠한 것이 생소의처(生所依處: 태어남의 소의가 되는 처소, 즉 태어나서 사는 장소) 즉 기세간(器世間)입니까?
[답] 풍륜(風輪)과 풍륜에 의지하는 수륜(水輪) 그리고 수륜(水輪)에 의지하는 지륜(地輪) 등을 말한다. 이 지륜에 의지하여 소미로산(蘇迷盧山: 수미산) · 7금산(七金山) · 4대주(四大洲) · 8소주(八小洲) · 내해(內海) · 외해(外海)가 있다. 소미로산4외층급[四外層級]에는 4대왕중천이 거주하는 처소가 있다. 또한 33천이 거주하는 처소가 따로 있다. 그리고 바깥[外: 9산8해의 가장자리]에는 윤위산(輪圍山: 철위산)이 있고 [수미산 위의] 허공에도 궁전(宮殿)들이 있으니, 바로 야마천(夜摩天) · 도사다천(睹史多天) · 화락천(化樂天) ·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궁전이다. 또 색계천중[色界天]들이 거주하는 처소가 따로 있다. 모든 아소락(阿素洛: 아수라)이 거주하는 처소도 따로 있고, 또 모든 나락가(那落迦: 지옥에 태어난 유정)가 거주하는 처소도 따로 있으니 열나락가(熱那落迦: 8열지옥) · 한나락가(寒那落迦: 8한지옥) · 고독나락가(孤獨那落迎: 고독지옥)를 말한다. 아울러 일부분의 방생(傍生)과 아귀(餓鬼)가 거주하는 처소도 따로 있다. 이러한 모든 처소들을 비롯한[乃至] 하나의 , 하나의 이 두루 빛을 뿌려 비추는 방향과 처소를 통칭하여 1세계(一世界: 1개의 세계, 하나의 세계, 즉 1수미세계)라고 이름한다. 이와 같은 천 개의 세계[千世界: 천 개의 1세계] 속에는 천 개의 와 천 개의 과 천 개의 소미로산, 천 곳의 4대주, 천 곳의 4대왕중천, 천 곳의 33천, 천 곳의 야마천, 천 곳의 도사다천, 천 곳의 화락천, 천 곳의 타화자재천, 천 곳의 범세천(梵世天: 색계의 모든 처소의 통칭)이 있다. 이러한 것을 총괄해서 소천세계(小千世界)라 이름한다. 다시 천 개의 소천세계를 총괄해서 두 번째의 중천세계(中千世界)라고 이름한다. 천 개의 중천세계를 총괄해서 세 번째의 대천세계(大千世界)라고 이름한다.이와 같은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총괄하여 대윤위산(大輪圍山: 대철위산(大鐵圍山), 즉 1수미세계철위산처럼 3천대천세계 즉 우주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철위산)이 둘러싸고 있다[如此三千大千世界 總有大輪圍山周匝圍繞].
또 이 같은 3천대천세계는 동시에 무너지고 동시에 이루어진다[同壞同成]. 비유하자면 하늘에서 쏟아지는 빗방울이, 마치 물레방아[車軸]처럼, 끊임없이 공중에서 아래로 쏟아지는 것처럼, 동방(東方)에 끊임없이 무량한 세계[無間無斷無量世界]가 있다. 어떤 것은 무너지는 중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생기는 중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막 무너지려는 참이고, 어떤 것은 이미 없어 진 채로 남아 있기도 하고, 어떤 것은 생겨나는 참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이미 이루어진 채로 남아 있기도 하다. 동방의 경우처럼 모든 열 군데의 방향[十方]에서도 이와 같다.유정세간이나 기세간이나 모두 업번뇌(業煩惱)의 힘에 의해 생겨나고, 업번뇌증상력[增上]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총괄적으로 고제(苦諦)라고 이름한다. 다시 고제에 속하지 않는 청정한 세계[清淨世界]가 있으니, 이는 업번뇌의 힘에 의해서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고, 업번뇌증상력[增上]에 의해 일어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 청정세계(清淨世界)는 오직 커다란 원력청정한 선근[大願清淨善根]의 증상력[增上]에 의해서만 인기[引]된다. 이와 같은 소생처(所生處: 태어나는 처소)는 참으로 불가사의(不可思議)하기에 오직 부처[佛]만이 알 수 있다. 이것은 정려(靜慮: 선정)에 의해서 얻어지는 정려경계도 아니니, 하물며 심사(尋思)로써 어찌 알 수 있겠는가?
— 《대승아비달마집론》 제3권. 한문본 & 한글본
천태사교의[원본 ■편집]
고제, 25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승불교천태종의 논서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아래 인용문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성제 가운데 고제(苦諦)는 4주(四洲) · 4악취(四惡趣) · 6욕(六欲) · 범천(梵天) · 4선(四禪) · 4공처(四空處) · 무상천[無想] · 5나함(五那含)의 25유(言二十五有)를 말하며, 이들 전체는 곧 6도(六道)의 생사(生死) 즉 6도윤회이다.[26]
그리고 천태종의 교학에 따르면 '25유고제'는 장교(藏教)의 생멸4제(生滅四諦), 통교(通教)의 무생4제(無生四諦), 별교(別教)의 무량4제(無量四諦), 원교(圓教)의 무작4제(無作四諦) 가운데 장교생멸4제에 속하는 실유고제(實有苦諦: 실유하는 고제)이다. 생멸4제는 실생(實生) · 실멸(實滅)의 4제라는 뜻으로, 장교(藏教) 즉 부파불교(이 중에서도 특히 설일체유부)에서 고제 · 집제 · 도제실유의 생멸법 즉 유위법이라고 보며, 멸제실유의 멸법 즉 무위법이라고 보는 견해를 말한다.[67][68][69]











自下明化法四教。第一三藏教者。一修多羅藏(四阿含等經)二阿毘曇藏(俱舍婆沙等論)三毘尼藏(五部律)此之三藏名通大小。今取小乘三藏也。大智度論云。迦旃延子。自以聰明利根。於婆沙中明三藏義。不讀衍經。非大菩薩。又法華云。貪著小乘三藏學者。依此等文故。大師稱小乘爲三藏教。

此有三乘根性。初聲聞人依生滅四諦教。言四諦者。一苦諦。二十五有依正二報是。言二十五有者。四洲四惡趣六欲。并梵天四禪四空處無想五那含(四洲四趣成八。六欲天并梵王天成十五。四禪四空處成二十三。無想天及那含天成二十五)別則二十五有。總則六道生死。
一地獄道。梵語捺洛迦。又語泥黎。此飜苦具。而言地獄者。此處在地之下。故言地獄。謂八寒八熱等大獄。各有眷屬其類無數。其中受苦者。隨其作業各有輕重。經劫數等。其最重處。一日之中八萬四千生死。經劫無量。作上品五逆十惡者。感此道身。
二畜生道。亦云旁生。此道遍在諸處。披毛戴角。鱗甲羽毛。四足多足。有足無足。水陸空行。互相吞噉。受苦無窮。愚癡貪欲作中品五逆十惡者。感此道身。
三餓鬼道。梵語闍黎哆。此道亦遍諸趣。有福德者。作山林塚廟神。無福德者。居不淨處。不得飮食。常受鞭打填河塞海。受苦無量。諂誑心意作下品五逆十惡。感此道身。
四阿修羅道。此飜無酒。又無端正又無天。或在海岸海底宮殿嚴飾。常好鬥戰怕怖無極。在因之時懷猜忌心。雖行五常欲勝他故。作下品十善。感此道身。
五人道。四洲不同。謂東弗婆提(壽二百五十歲)南閻浮提(壽一百歲)西瞿耶尼(壽五百歲)北鬱單越(壽一千歲命無中夭。聖人不出其中。即八難之一)皆苦樂相間。在因之時行五常五戒。五常者。仁義禮智信。五戒者。不殺不盜不邪淫不妄語不飮酒。行中品十善。感此道身。
六天道。二十八天不同(欲界六天。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初欲界六天者。一四天王天(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自有三十三天。已上二天單修上品十善。得生其中)三夜摩天。四兜率天。五化樂天。六他化自在天(已上四天空居。修上品十善。兼坐未到定。得生其中)次色界十八天分爲四禪。初禪三天(梵眾梵輔大梵)二禪三天(少光無量光光音)三禪三天(少淨無量淨遍淨)四禪九天(無雲福生廣果。已上三天凡夫住處。修上品十善坐禪者得生其中。無想天外道所居。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已上五天第三果居處。上之九天離欲麤散。未出色籠故名色界。坐得禪定故得禪名)三無色界四天(空處識處無所有處非非想。已上四天只有四陰而無色蘊。故得名也)
上來所釋。從地獄至非非想天。雖然苦樂不同。未免生而復死死已還生。故名生死。此是藏教實有苦諦。

여기부터는 화법4교(化法四教)를 밝힌다. 첫 번째는 3장교(三藏教)로, 3장(三藏)은 첫째 수다라장(修多羅藏: 4아함 등), 둘째 아비담장(阿毘曇藏: 구사론 · 발지론[婆沙] 등), 셋째 비니장(毘尼藏: 5부율)을 말한다. 여기서 '3장(三藏)'이라는 명칭은 대승소승 모두에 통한다. 지금은 소승3장을 말한다. 《대지도론》에서는 "가전연자(迦旃延子)는 총명하고 근기가 예리하였는데 《발지론[婆沙]》에서 '3장'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대승경전[衍經]을 읽지 않았으며 대보살(大菩薩)이 아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법화경》에는 "소승3장탐착(貪著)하는 수행자[學者]"라는 표현이 있다. 이러한 진술들에 근거하여 천태지자대사[大師]는 소승3장교(三藏教)라고 칭하고 있다.3장교에는 3승(三乘)의 근기[根性]가 있다. 첫 번째는 성문[聲聞人]으로, 생멸4제(生滅四諦)의 가르침에 의지한다. 4제(四諦)란, 그 첫 번째는 고제(苦諦)로, 25유(二十五有)의 의보(依報) · 정보(正報)의 2보(二報)가 바로 고제이다. 25유4주(四洲) · 4악취(四惡趣) · 6욕(六欲)과 범천(梵天) · 4선(四禪) · 4공처(四空處) · 무상천[無想] · 5나함(五那含)을 말하는데(4주4취(四趣)를 합하여 8이 된다. 여기에 6욕천(六欲天)과 범왕천(梵王天)을 합하여 15가 된다. 여기에 4선4공처를 합하여 23이 된다. 여기에 무상천(無想天)과 나함천(那含天)을 합하여 25가 된다), 개별적으로 말하면 25유이고 총괄적으로 말하면 6도(六道)의 생사(生死)이다.[6도 가운데] 첫 번째는 지옥도(地獄道)이다. 산스크리트어로는 날락가(捺洛迦, 산스크리트어: naraka)라고 하며, 또한 니려(泥黎, 산스크리트어: niraya)라고도 한다. 번역하면 고구(苦具)를 뜻한다. 그런데 '지옥(地獄)'이라는 낱말에 대해 말하자면, 이 처소는 지하에 존재하기 때문에 지옥이라 한다. 지옥이란 이를테면 8한(八寒)과 8열(八熱)의 대지옥을 말한다. 각각의 대지옥에는 권속이 있으며 그 부류가 무수히 많다. 지옥에서 고통을 받는 것은 지은 바 에 따라 고통의 경중과 머무는 겁수에 차별이 있다. 그 중에 가장 무거운 고통을 받는 곳은 하루에 8만4천 번을 나고 죽으면서 무량겁을 지낸다. 상품(上品)의 5역죄[五逆]와 10악(十惡)을 지은 중생들이 이 도(道)에서 몸을 받는다.두 번째는 축생도(畜生道)인데 방생(旁生)이라고도 한다. 이 도(道)의 중생은 모든 처소에 두루 존재한다. 몸에 이 나 있거나 머리에 이 돋아 있으며, 비늘이 있거나 갑각이 있거나 깃털이 있거나 이 있으며, 4족이거나 다족이며, 다리가 있거나 없으며, 물 · 땅 혹은 공중을 다닌다. 서로 먹고 먹히는데 이러한 고통을 받는 것이 끝이 없다. 우치(愚癡)와 탐욕(貪欲)으로 중품(中品)의 5역죄10악을 지은 중생들이 이 도(道)에서 몸을 받는다.세 번째는 아귀도(餓鬼道)이다. 산스크리트어로는 도려치(闍黎哆, 산스크리트어: preta)라고 한다. 이 도(道)의 중생도 역시 모든 (趣)의 처소에 두루 존재한다. 복덕이 있는 아귀는 산림이나 무덤이나 사당의 신(神)이 되고 복덕이 없는 아귀는 더러운 처소[不淨處]에 거주하면서 음식을 얻지 못한다. 항상 채찍으로 맞으면서 강이나 바다를 메우는 일을 하는데 이러한 고통을 받는 것이 한량이 없다. (諂: 아곡, 은폐)과 (誑: 현혹, 기만)의 마음[心意]으로 하품(下品)의 5역죄10악을 지은 중생들이 이 도(道)에서 몸을 받는다.네 번째는 아수라도(阿修羅道)이다. 번역하여 무주(無酒)라고 하며 또한 무단정(無端正) 또는 무천(無天)이라고도 한다. [이 도(道)의 중생은] 해안이나 해저의 잘 장식된 궁전에 거주한다. 언제나 싸움과 전쟁을 좋아하여 겁박하고 위협하는 것이 끝이 없다. [아수라도에 태어나게 되게 된 것은] 원인을 짓는 때에 시기심(猜忌心)을 마음에 품었기 때문인데, 비록 5상(五常: 인의예지신)을 행할지라도 다른 이를 이기고자 욕구하기 때문이다. 하품(下品)의 10선(十善)을 지은 중생들이 이 도(道)에서 몸을 받는다.다섯 번째는 인간도[人道]이다. 4주(四洲)가 동일하지 않은데,
동불바제(東弗婆提, 즉 동승신주, 수명은 250년) ·남염부제(南閻浮提, 즉 남섬부주, 수명은 100년) ·서구야니(西瞿耶尼, 즉 서우화주, 수명은 500년) ·북울단월(北鬱單越, 즉 북구로주, 수명은 1000년이며 요절하는 경우가 없다. 이 대륙에서는 성인이 나오지 않는다. 즉, 8난(八難)[70][71] 가운데 하나이다)을 말한다.[인간도에 태어나게 되게 된 것은] 원인을 짓는 때에 5상5계(五常五戒)를 행하였기 때문이다. 5상(仁) · (義) · (禮) · (智) · (信)을 말하고 5계불살생[不殺] · 불투도[不盜] · 불사음(不邪淫) · 불망어(不妄語) · 불음주(不飮酒)를 말한다. 중품(中品)의 10선(十善)을 행한 중생들이 이 도(道)에서 몸을 받는다.여섯 번째는 천상도[天道]이다.
28천(二十八天)이 동일하지 않다(욕계6천, 색계18천, 무색계4천이 있다).
첫 번째의 욕계 6천(欲界六天)은
첫째 4천왕천(四天王天, 수미산의 중턱까지에 걸쳐[腹] 위치한다),둘째 도리천(忉利天, 수미산 꼭대기에 위치한다. 자체 안에 33천이 있다. 이상의 2천 즉 4천왕천도리천은 상품(上品)의 10선을 닦은 중생들이 이곳에 태어난다),셋째 야마천(夜摩天),넷째 도솔천(兜率天),다섯째 화락천(化樂天),여섯째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이다(이상의 4천은 공거천이다. 상품(上品)의 10선과 더불어 미도정(未到定, 즉 미지정[72])을 닦은 중생들이 이곳에 태어난다).두 번째의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은 4선(四禪)으로 나뉜다.
초선(初禪)에 3천(三天: 범중천(梵衆天) · 범보천(梵輔天) · 대범천(大梵天)),2선(二禪)에 3천(三天: 소광천(少光天) · 무량광천(無量光天) · 광음천(光音天)),3선(三禪)에 3천(三天: 소정천(少淨天) · 무량정천(無量淨天) · 변정천(遍淨天)),4선(四禪)에 9천(九天: 무운천(無雲天) · 복생천(福生天) · 광과천(廣果天)의 3천에는 범부가 거주하며, 상품(上品)의 10선선정을 닦은 중생들이 이곳이 태어난다. 무상천(無想天)에는 외도가 거주한다.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견천(善見天) · 선현천(善現天) · 색구경천(色究竟天)의 5천에는 제3과(第三果, 즉 불환과)를 획득한 중생이 거주한다. 이들 9천은 욕탐[欲]과 추중산란[麤散]은 떠났으나 (色)의 감옥[籠]을 아직 벗어나지 못하였기 때문에 색계라고 이름한다. 좌선하여 선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선(禪)'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이 있다.세 번째는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공처천(空處天) · 식처천(識處天) ·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 비비상천(非非想天)으로, 이상의 4천에는 오직 4음(四陰, 즉 5온에서 색온을 제외한 나머지 4온)만이 있기 때문에 무색온이며 따라서 무색계라고 이름한다)이다.위에서 해설한 지옥부터 비비상천까지는 비록 괴로움[苦]과 즐거움[樂]이 서로간에 동일하지는 않지만 [이것들 모두는] '태어나서 다시 죽고 그렇게 죽은 뒤에는 다시 태어나는 것'을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사(生死)라고 이름한다. 이것이 장교(藏教)의 실유고제(實有苦諦: 생멸4제에 속하는 실유하는 고제)이다.
— 《천태사교의》. 한문본 & 편집자 번역
기세간[원본 ■편집]

불교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가운데에 수미산(須彌山)이 있고 수미산 꼭대기에 도리천(忉利天)이 있으며, 도리천의 왕이 제석천환인(桓因)이다. 풍륜 위에 수륜이 있고, 수륜 위에 금륜이 있으며, 금륜 위에 4대주(四大洲)와 9산8해(九山八海)가 있다. 수미산9산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18세기 중국










수미세계[원본 ■편집]
욕계의 기세간[원본 ■편집]

4륜[원본 ■편집]

불교의 우주론에서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구성을 아래에서 위로의 계층적 순서를 따라 살펴보면, 공륜(空輪) 즉 허공풍륜(風輪, vayumaṇḍala)이 떠있고, 풍륜 위에 수륜(水輪, jalamaṇḍala)이 있고, 수륜 위에 금륜(金輪, kancanamaṇḍala)이 있는데, 이들 공륜 · 풍륜 · 수륜 · 금륜의 4가지 륜을 대지4륜(大地四輪) 또는 단순히 4륜(四輪)이라고 한다.[73][74] 다시, 금륜 위에 9산8해(九山八海)와 4대주(四大洲, cātur-mahā-dvīpa)가 있다.[75][76][77][78][79]
불교에 따르면, 유정들이 사는 기세간(器世間)은 성주괴공(成住壞空)의 4겁(四劫)을 반복하면서 변화한다. 즉, 우주의 변화는 한편으로는 정해진 기간을 가지고 시간적 규칙성과 생성 · 유지 · 파괴 · 소멸이라는 양태적 규칙성을 가지고 진행된다.[80][81] 즉, 우주의 운명은 예정되어 있으며 예측 가능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 기간 안에 이루어지는 생성 · 유지 · 파괴 · 소멸의 진행은 초자연적인 어떤 다른 힘이 아니라 우주 속에 존재하는 인간을 포함한 6도(六道)의 모든 유정들의 공업(共業)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우주의 운명이 예정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개별 유정들의 운명은 그 자신의 총체적인 에 따라 결정된다. 유정들이 사는 기세간(器世間)은 각각 20중겁괴겁(壞劫)과 공겁(空劫)을 거친 다음 온갖 유정들의 공업에 의해 다시 생성되는데, 그 생성의 최초의 단계는 우주의 구조의 가장 아래 또는 근본에 존재하는 허공공륜에 온갖 유정들의 업력이 작용하여 풍륜이 생겨나는 것이다.[78][79]
이렇게 생겨난 풍륜은 이 단어의 문자 그대로의 뜻인 '바람'이 뜻하는 의미와는 달리 아주 치밀하며 견고한 성질을 지닌다. 《구사론》에 따르면, 코끼리의 100배의 힘을 가진 신인 대낙건나(大諾健那, 大諾那力人, mahā-nagna)가 금강저(金剛杵, 金剛輪)를 들고 온힘을 다해 내려치더라도 금강저가 부서질지언정 풍륜은 아주 약간의 손상도 입지 않는다.[82] 그리고 풍륜은 그 면적이 무한하며 두께는 16억 유선나이다.[78][79]
다시, 모든 유정들의 공업(共業)이 작용하여 큰 구름과 비를 일으켜서는 수레바퀴 만한 물방울들을 풍륜 위에 뿌리고 쌓아서 수륜(水輪, jalama ala)을 형성한다. 물방울들을 풍륜 위에 쌓을 때 물방물이 흩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2가지 설이 있는데, 첫째는 유정들의 업력이 운용될 때 물방울이 흩어지지 않도록 움직인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풍륜에 이러한 작용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륜의 상부는 응결되어 금륜이 되는데, 금륜이 형성되기 전의 수륜의 총 두께는 11억 2만 유선나이다. 너비는 12억 3천 4백 5십 유선나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수륜의 둘레는 너비의 3배, 즉 36억 1만 3백 5십 유선나인데, 이 진술은 달리 말하면 수륜의 표면은 그 형태가 원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러한 추정에 따를 때 수륜의 입체적인 모습은 원통이다.[78][79][83]
다시, 모든 유정들의 공업(共業)이 또 다른 바람을 일으켜서 이것으로 수륜을 후려치면 그 상부가 응결하여 금륜(金輪, kancanama ala)이 된다. 금륜으로 변화된 부분 만큼 수륜의 두께는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금륜의 두께는 3억 2만 유선나가 되고, 수륜의 두께는 원래의 11억 2만 유선나에서 3억 2만 유선나가 감소하여 8억 유선나가 된다. 금륜의 너비와 둘레는 수륜과 동일하며, 각각 12억 3천 4백 5십 유선나와 36억 1만 3백 5십 유선나이다.[78][79] 금륜금성지륜(金性地輪: 쇠처럼 단단한 성질의 땅 바퀴) · 지륜(地輪) 또는 지계(地界)라고도 불린다. 금륜의 최하단을 금륜제(金輪際)라고 한다.[84]
4륜의 너비와 두께는 모든 경론에서 동일하지 않다. 서로 비교해보면 큰 차이가 있기도 한다.[85]
9산8해와 7금산[원본 ■편집]
9산(九山)은 1수미세계의 중심에 있는 수미산과 수미산을 환형으로 둘러싸고 있는 나머지 여덟 산맥을 통칭한다. 이들 중 수미산을 제1산이라고 하고 제9산 즉 가장 외곽의 산맥을 철위산(鐵圍山)이라고 하며, 수미산철위산을 제외한 나머지 일곱 산맥을 7금산(七金山) 또는 내산(內山)이라고 한다.
그리고 9산의 사이에 8개의 바다가 있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8해(八海)라고 한다. 제8해 즉 가장 외곽의 바다는 짠물 바다이며 나머지 일곱 바다는 유정들이 먹을 수 있는 담수의 바다인데, 이 담수를 달고 · 차고 · 부드럽고 · 가볍고 · 깨끗하고 · 냄새가 없고 · 마실 때 목이 상하는 일이 없고 · 마시고 나서 배탈나는 일이 없는 8가지 공덕을 갖추었다고 하여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 8공덕수(八功德水)라고 한다.
이들 아홉 산맥과 여덟 바다를 통칭하여 9산8해(九山八海)라고 하며, 모두 금륜 위에 형성되어 있다.
4대주[원본 ■편집]

6욕천[원본 ■편집]

색계의 기세간[원본 ■편집]
무색계의 기세간[원본 ■편집]
소천세계[원본 ■편집]
중천세계[원본 ■편집]
대천세계[원본 ■편집]
유정세간[원본 ■편집]
5취·6도[원본 ■편집]
7식주[원본 ■편집]
9유정거[원본 ■편집]
25유[원본 ■편집]

















참고 문헌[원본 ■편집]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법립·법거 공역, 번역자 미상 (K.662, T.23). 《대루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2(29-756), T.2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장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7(17-815), T.1(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660, T.24). 《기세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0(19-263), T.24(1-31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49(14-493), T.1509(25-57).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Institute of Indology and Tamil Studies, Cologne University (www.sanskrit-lexicon.uni-koeln.de). |title=,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법립·법거 공역 (T.23). 《대루탄경(大樓炭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장아함경(長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1,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24). 《기세경(起世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4,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大智度論)》. 대정신수대장경. T25, No. 150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제관 록 (T.1931). 《천태사교의(天臺四教儀)》. 대정신수대장경. T46, No. 1931,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원본 ■편집]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2a21 - T25n1509_p0072a29. 노가비(路迦憊)
"復名「路迦憊」:「路迦」秦言「世」,「憊」名「知」——是名知世間。 問曰:云何知世間? 答曰: 知二種世間,一眾生,二非眾生。及如實相知世間、世間因、知世間滅、出世間道。 復次,知世間,非如世俗知,亦非外道知;知世間無常故苦,苦故無我。 復次,知世間相,非有常非無常,非有邊非無邊,非去非不去,如是相亦不著,清淨、常不壞相如虛空——是名知世間。"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제2권. p. 87 / 2698. 노가비(路迦憊)
"또한 노가비(路迦憊)154)라고도 한다. 노가(路迦)155)는 진나라에서는 세간[世]이라고 하고 비(憊)156)는 알다[知]라 하니, 이는 ‘세간을 아는 분’이 된다.
[문] 어떻게 세간을 아는가?
[답] 두 가지 세간을 아나니, 첫째는 중생이요 둘째는 비중생이다. 나아가 실상 그대로 세간과 세간의 원인을 알며, 세간의 멸과 출세간의 도를 안다.
‘세간을 안다’ 함은 세속의 알음알이 같은 것은 아니며, 또한 외도의 알음알이도 아니다. 세간은 무상한 까닭에 고이며, 고인 까닭에 무아라고 아는 것이다.
세간의 모습은 항상함도 아니고 무상함도 아니며, 끝이 있음도 아니고 끝이 없음도 아니며, 가는 것도 아니고 가지 않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모습에도 집착되지 않고 청정하여 항상 무너지지 않는 모습이 허공과 같다고 아는 것이다.
이것을 ‘세간을 안다’ 하는 것이다.
154) 범어로는 Lokavit. 여래 10호 가운데 하나이다. 의역해서 세간해(世間解)라고도 한다.
155) 범어로는 Loka. 세상을 뜻한다.
156) 범어로는 vit."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제47권. p. T25n1509_p0402a22 - T25n1509_p0402a24. 능조일체세간(能照一切世間)삼매
"能照一切世間三昧者,得是三昧故,能照三種世間;眾生世間,住處世間,五眾世間。"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제47권. p. 1689 / 2698. 능조일체세간(能照一切世間)삼매
"능조일체세간(能照一切世間)삼매란, 이 삼매를 얻은 까닭에 세 가지의 세간인 중생세간(衆生世間)과 주처세간(住處世間)과 5중세간(衆世間)을 잘 비추어 준다."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제70권. p. T25n1509_p0546b28 - T25n1509_p0546c11. 3종세간(三種世間)
"佛言:四種邪見,皆緣五眾,但於五眾謬計爲神。 「神及世間」者,世間有三種:一者、五眾世間,二者、眾生世間,三者、國土世間。 此中說二種世間:五眾世間、國土世間;眾生世間即是神。 於世間相中,亦有四種邪見。 問曰: 神從本已來無故應錯,世間是有,云何同神邪見? 答曰: 但破於世間起常無常相,不破世間。譬如無目人得蛇以爲瓔珞,有目人語是蛇,非是瓔珞。佛破世間常顛倒,不破世間。何以故?現見無常故。 亦不得言無無常,罪福不失故,因過去事有所作故。 常無常,二俱有過故;非常非無常,著世間過故。"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제70권. pp. 2344-2345 / 2698. 3종세간(三種世間)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시되 “네 가지 삿된 소견은 모두가 5중(衆)을 반연하며, 오직 5중에 대하여 잘못 헤아려 그것을 정신이라 할 뿐이다”고 하신다.
정신과 세간이라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세간에는 세 가지가 있나니, 첫째는 5중(衆) 세간이요, 둘째는 중생(衆生)세간이며, 셋째는 국토(國土)세간이다. 이 가운데 두 가지 세간을 말하나니, 5중세간과 국토세간이다. 중생세간은 곧 정신[神]이다. 세간의 모양 가운데서도 역시 네 가지의 삿된 소견[四種邪見]이 있다.
[문] 정신은 본래부터 없는 것이기 때문에 마땅히 착오가 있겠거니와 세간은 있는 것이거늘 어떻게 정신의 삿된 소견과 같을 수 있는가?
[답] 다만 세간에 대하여 일으키는 항상하다거나 무상하다는 모양을 파괴할 뿐이요 세간을 파괴하지는 않는 것이다. 비유하건대 마치 눈 없는 사람이 뱀을 얻으면 그것을 영락(瓔珞)이라 여기거니와 눈 있는 사람은 그것이 뱀이요 영락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부처님께서는 세간이 항상하다는 뒤바뀜[顚倒]을 깨뜨리는 것이요, 세간을 깨뜨리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재 무상함을 보기 때문에 무상함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거니와 죄와 복은 상실되지 않기 때문이요, 과거의 일로 인하여 지은 바가 있기 때문이다. 항상하다거나 무상하다는 이 두 가지에는 모두 허물이 있기 때문이요, 항상 있는 것도 아니요 무상한 것도 아니라 하는 데에는 세간을 집착하는 허물 때문이다."
星雲, "世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世間:  梵語 loka。音譯作路迦。即毀壞之義。又作 laukika,即世俗、凡俗之義。略稱世。指被煩惱纏縛之三界及有爲有漏諸法之一切現象。又因「世」有遷流之義,「間」爲間隔之義,故與「世界」一語同義,包含有情與國土(器世間)二者。此外,於佛性論卷二中,亦列舉世之三義,即:(一)對治,以可滅盡故。(二)不靜住,以念念生滅不住故。(三)有倒見,以虛妄故。
 關於世間之分類,有二種、三種之別。據俱舍論卷八等舉出二種,即:(一)有情世間,又作眾生世間、有情界。指一切有情眾生。(二)器世間,又作物器世間、器世界、器界、器。指有情居住之山河大地、國土等。又據大智度論卷七十等舉出三種,即:(一)眾生世間,又作假名世間。假名者,乃於十界、五陰等諸法上假立名字,各各不同。(二)五陰世間,又作五眾世間、五蘊世間。指由色、受、想、行、識等五陰所形成之世間。(三)國土世間,指器世間。即眾生所依之境界。另據華嚴經孔目章卷三等舉出三種,即:(一)器世間,指三千世界,此乃如來所化之境。(二)眾生世間,指如來所教化之機眾。(三)智正覺世間,指如來能化之智身。然據華嚴經探玄記卷十七所舉,五蘊世間與眾生世間同義。有情世間與器世間之分類係等於正報與依報之分類。而所謂「世間」,僅通用於迷界,「報」一語則通用於迷悟兩界。
 相對於含有世俗意味之「世間」而言,超越世間者,則稱出世間(出世),故於菩薩階位、智、禪定等立世間與出世間之別。例如,一般謂迷界之因果(苦集二諦)屬世間,悟界之因果(滅道二諦)屬出世間;入見道(初地)以前屬世間,見道以後屬出世間。於此,華嚴宗指出,修行者更須超越一般之出世間(三乘教之出世),故別立「出出世」(即出出世間)。
 此外,因明入正理論疏卷中本舉出非學世間、學者世間二種世間。大般涅槃經疏卷十八則舉出五陰、五欲等六種世間。〔雜阿含經卷九、舊華嚴經卷十夜摩天品、俱舍論卷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勝鬘寶窟卷下本、華嚴經探玄記卷一、卷三、異部宗輪論述記、大明三藏法數卷十八〕(參閱「世界」1517) p1524"
星雲, "三種世間".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三種世間:  指三種世界。又作三世間。(一)據大智度論卷七十載,世,隔別之義;間,間差之義。(一)眾生世間,即指五陰所成的一切眾生;爲能居之正報。又作假名世間,於十界、五陰等法之上,假立名字,各各不同,故稱假名世間。(二)國土世間,即器世間,指有情所居之國土,如山河大地等;爲所居之依報。(三)五蘊世間,又作五陰世間,五陰即色受想行識,十界五陰各有差別,故稱五陰世間;爲依正二報之通體。〔大智度論卷四十七、止觀輔行傳弘決卷五之三〕
 (二)據華嚴經孔目章卷三載:(一)器世間,指三千世界,乃釋迦如來所化導之境。器,容受依用之義,即容受眾生而爲眾生所依用之山河大地等。(二)眾生世間,謂五陰和合,眾共而生,間隔不同;乃釋迦如來所化之機眾。(三)智正覺世間,指以無漏智得正覺之智者,即正報中之佛;或指此等智者所依存之境,亦即超越三界輪迴之出世間。〔華嚴經疏卷三、華嚴經探玄記卷十四〕(參閱「出世間」1554)
 (三)爲印度數論學派所立之三種世間,即:(一)天上世間,指居於天界之諸天眾。(二)人間世間,指居於大地之人類。(三)獸道世間,指居於天地間之禽獸。此三種世間均由唯一之自性諦所生。〔金七十論卷上〕 p649"
佛門網, "三種世間".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三種世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v. 三世間.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五陰世間、眾生世間、國土世間。五陰世間就是吾人五陰合成的色身;眾生世間就是吾人身體以外有生命的一切眾生;國土世間就是吾人身體依之而住的山河大地。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三種世間===﹝出大智度論﹞
隔別名世,間差名間。謂十界假名、五陰、國土三種,一一差別不同,故名三種世間。(十界者,佛界、菩薩界、緣覺界、聲聞界、天界、人界、阿脩羅界、餓鬼界、畜生界、地獄界也。五陰即眾生身,以此身是色受想行識五陰所成故也。)
〔一、假名世間〕(亦名眾生世間。)假名者,於十界五陰實法上,假立名字,各各不同,是爲假名世間。(實法者,謂十界五陰皆實有也。假立名字者,謂十界名字,非實有也。既有十界五陰實法,即有十界眾生假名。且如人界中,各各有身,即各各有名字也。餘界亦然。)
〔二、五陰世間〕(亦名五眾世間。)五陰者,色受想行識也。十界五陰各各差別,故名五陰世間。(色即質礙之色,受即領納諸塵,想即思想,行即造作,識即分別善惡。以此五者,陰覆眞性,皆名爲陰。)
〔三、國土世間〕,國土者,即眾生所依之境界也。既有能依之身,即有所依之土。十界所依,各各差別,故名國土世間。
三種世間===﹝出華嚴經疏﹞
〔一、器世間〕,世界如器,名器世間。乃是釋迦如來所化之境,即三千世界也。(梵語釋迦,華言能仁。三千即小千、中千、大千也。)
〔二、眾生世間〕,謂五陰和合,眾共而生,間隔不同,故名眾生世間,即釋迦如來所化之機眾也。(五陰者,色陰、受陰、想陰、行陰、識陰也。)
〔三、智正覺世間〕,謂如來具大智慧,永離偏邪,深能覺了世間、出世間法,故名智正覺世間,即釋迦如來能化之智身也。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參見: 三世間】"
곽철환 2003, "기세간(器世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기세간(器世間): 세간은 변하면서 흘러가는 현상을 뜻함. 생물들이 거주하는 자연 환경, 곧 산하 대지.
동의어: 세기(世器), 외기, 기세계(器世界), 국토세간(國土世間)"
의상 조 T.1887A, p. T45n1887Ap0711a41(00) - T45n1887Ap0711b02(06). 3종세간(三種世間)
"將欲釋文。二門分別。一總釋印意。二別解印相。問何以故依印。答欲表釋迦如來教網所攝三種世間。從海印三昧。槃出現顯故。所謂三種世間。一器世間。二眾生世間。三智正覺世間。智正覺者。佛菩薩也。三種世間攝盡法故。不論餘者。廣義者。如華嚴經說。"
혜원 찬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4b08 - T44n1851_p0864b18. 세간해(世間解)
"世間解者。就德施名。然就德中境體合目。世間境也。解是體也。依如花嚴。世間有三。一眾生世間。二器世間。國土住處。三智正世間。二諦諸法。於此悉解。名世間解。依涅槃經。世間有五。一眾生世間。如來能知名世間解。二五陰世間。如來能知名世間解。此二眾生之差別也。三國土世間。如來能知名世間解。四五欲世間。如來能知於中不著。名世間解。五八法世間。如來能知不爲傾動。名世間解。此三器世之差別也。通彼智覺。世間之解義別有六。"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p. T01n0001_p0114b25 - T01n0001_p0114c08. 1불찰(一佛剎)
"佛告諸比丘。如一日月周行四天下。光明所照。如是千世界。千世界中有千日月.千須彌山王.四千天下.四千大天下.四千海水.四千大海.四千龍.四千大龍.四千金翅鳥.四千大金翅鳥.四千惡道.四千大惡道.四千王.四千大王.七千大樹.八千大泥犁.十千大山.千閻羅王.千四天王.千忉利天千焰摩天.千兜率天.千化自在天.千他化自在天.千梵天。是爲小千世界。如一小千世界。爾所小千千世界。是爲中千世界。如一中千世界。爾所中千千世界。是爲三千大千世界。如是世界周匝成敗。眾生所居名一佛剎。"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pp. 586-587 / 740. 1불찰(一佛剎)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나의 해와 달이 4천하(天下)를 두루 돌면서 광명을 비추고 있는 것과 같은 그런 세계가 천(千) 개나 있다. 이 천 개의 세계는 천 개의 해와 달이 있고 천 개의 수미산왕(須彌山王:수미산이 가장 높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王자를 붙였음)과 4천 개의 천하(天下)와 4천 개의 대천하(大天下)가 있고, 4천 개의 바닷물과 4천 개의 큰 바다가 있으며, 4천 마리의 용과 4천 마리의 큰 용이 있으며, 4천 마리의 금시조(金翅鳥)와 4천 마리의 큰 금시조가 있고, 4천 개의 악도(惡道)와 4천 개의 큰 악도가 있으며, 4천의 왕과 4천의 대왕이 있고, 7천 그루의 큰 나무, 8천 개의 큰 지옥, 1만 개의 큰 산, 천 명의 염라왕(閻羅王), 천 명의 사천왕(四天王), 천 개의 도리천, 천 개의 염마천(焰摩天), 천 개의 도솔천, 천 개의 화자재천(化自在天), 천 개의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천 개의 범천(梵天)이 있다. 이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소천세계와 같은 그러한 세계가 천 개 있으면 이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하고, 하나의 중천세계와 같은 그러한 세계가 천 개 있으면 이것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 한다. 이와 같은 세계가 겹겹으로 둘러 있는데 생겼다 무너졌다 한다. 중생들이 사는 곳을 1불찰(佛刹)3)이라고 이름한다.”
3) 범어로 buddha-ketra이고 불토(佛土) 또는 불국(佛國)이라고 한다. 한 부처님이 교화하는 세계의 범위를 1불찰이라고 한다."
이동:가 星雲, "三千大千世界".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三千大千世界:  梵語 tri-sāhasra-mahā-sāhasra-loka-dhātu,巴利語 ti-sahassī-mahā-sahassīloka-dhātavo。係爲古代印度人之宇宙觀。又作一大三千大千世界、一大三千世界、三千世界。謂以須彌山爲中心,周圍環繞四大洲及九山八海,稱爲一小世界,乃自色界之初禪天至大地底下之風輪,其間包括日、月、須彌山、四天王、三十三天、夜摩天、兜率天、樂變化天、他化自在天、梵世天等。此一小世界以一千爲集,而形成一個小千世界,一千個小千世界集成中千世界,一千個中千世界集成大千世界,此大千世界因由小、中、大三種千世界所集成,故稱三千大千世界。然據正確推定,所謂三千世界實則爲十億個小世界,而三千大千世界實爲千百億個世界,與一般泛稱無限世界、宇宙全體之模糊概念實有差距。又於佛典之宇宙觀中,三千世界乃一佛所教化之領域,故又稱一佛國。〔觀無量壽經卷十二、俱舍論卷十一、有部毘奈耶雜事卷二、往生要集卷八十四〕 p523"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65DTITLEA4TA4dA4jA4dA5ACC9 三千大千世界]". 2013년 6월 2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星雲, "須彌山". 2013년 6월 17일에 확인
"須彌山:  須彌,梵名 Sumeru,巴利名同。又作蘇迷盧山、須彌盧山、須彌留山、修迷樓山。略作彌樓山(梵 Meru)。意譯作妙高山、好光山、好高山、善高山、善積山、妙光山、安明由山。原爲印度神話中之山名,佛教之宇宙觀沿用之,謂其爲聳立於一小世界中央之高山。以此山爲中心,周圍有八山、八海環繞,而形成一世界(須彌世界)。
 佛教宇宙觀主張宇宙係由無數個世界所構成,一千個一世界稱爲一小千世界,一千個小千世界稱爲一中千世界,一千個中千世界爲一大千世界,合小千、中千、大千總稱爲三千大千世界,此即一佛之化境。每一世界最下層係一層氣,稱爲風輪;風輪之上爲一層水,稱爲水輪;水輪之上爲一層金,或謂硬石,稱爲金輪;金輪之上即爲山、海洋、大洲等所構成之大地;而須彌山即位於此世界之中央。
 據長阿含經卷十八閻浮提洲品記載,須彌山高出水面八萬四千由旬,水面之下亦深達八萬四千由旬。其山直上,無所曲折,山中香木繁茂,山四面四埵突出,有四大天王之宮殿,山基有純金沙。此山有上、中、下三級「七寶階道」,夾道兩旁有七重寶牆、七重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其間之門、牆、窗、欄、樹等,皆爲金、銀、水晶、琉璃等所成。花果繁盛,香風四起,無數之奇鳥,相和而鳴,諸鬼神住於其中。須彌山頂有三十三天宮,爲帝釋天所居住之處。
 據立世阿毘曇論卷二數量品記載,以須彌山爲中心,外圍有八大山、八大海順次環繞,整個世界之形相團圓,有如銅燭盤。須彌山周遭爲須彌海所環繞,高爲八萬由旬,深入水面下八萬由旬,基底呈四方形,周圍有三十二萬由旬,繼之爲八山,山與山之間,隔著七海。八山之山名順次爲:由乾陀(梵 Yugandhāra,巴 Yugandhara)、伊沙陀(梵 Īsādhara,巴 Īsadhara)、訶羅置(梵 Khadiraka,巴 Karavīka)、脩騰娑(梵 Sudarśana,巴 Sudassana)、阿沙干那(梵 Aśvakarna,巴 Assakanna)、毘那多(梵 Vinataka,巴同)、尼民陀(梵 Nimijdhara,巴 Nemindhara),鐵圍山(梵 Cakravāda,巴 Cakkavāla)。七海之前六海名稱,即隨其所環繞之山而得名。第七山外有鹹海,其外有鐵圍山。須彌四洲:弗婆提、瞿陀尼、閻浮提、鬱單越,各位於鹹海中之東西南北四方,吾等眾生即居住於南面之閻浮提洲。然關於八大山之名稱及順次,於長阿含經卷十八閻浮提洲品、大樓炭經卷五災變品之記載,略有不同。〔雜阿含經卷十六、長阿含經卷十九至卷二十二、正法念處經卷十八、大毘婆沙論卷六十九、大智度論卷九、瑜伽師地論卷二、俱舍論卷十一、卷十二、華嚴經疏卷十七〕(參閱「九山八海」 127) p5364"
이동:가 운허, "一大三千世界(일대삼천세계)".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一大三千世界(일대삼천세계): 불교 우주관에서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4방에 4대주(大洲)가 있고, 그 바깥 주위를 대철위산(大鐵圍山)이 둘러싸고 있다고 한다. 이것이 1세계 또는 1사천하(四天下)라 함. 사천하를 천개 합한 것을 1소천세계(小千世界), 소천세계를 천개 합한 것이 1중천세계(中千世界), 중천세계를 천개 합한 것이 1대천세계임. 1대천세계에는 소천ㆍ중천ㆍ대천의 3가지 천(千)이 있으므로 1대 3천세계, 또는 3천 대천세계라 함. ⇒삼천세계(三千世界)"
운허, "三千大天世界(삼천대천세계)".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三千大天世界(삼천대천세계): 일대삼천세계와 같음."
운허, "三千世界(삼천세계)".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三千世界(삼천세계): 【범】 Trisāhasramahāsāhasro-lokadhātu 소천세계(小千世界:四洲世界의 千倍)를 천개 합한 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하고, 중천세계를 천개 합한 것을 대천세계(大千世界)라 함. 이 일대천세계(一大千世界)를 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라 하며, 또 삼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함. ⇒일대삼천세계(一大三千世界)"
구글 CBETA 검색, "千百億".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千百億: CBETA T20 No. 1177A《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缽大教王經 ...
www.cbeta.org/result/normal/T20/1177a009.htm
是時毘盧遮那如來。 T20n1177Ap0767a24(05)║在一切諸佛千百億法界清淨海性
祕密三摩地。 T20n1177Ap0767a25(03)║如來顯現千百億微塵數蓮華海藏世界。 CBETA T32 No. 1669《大宗地玄文本論》卷10
www.cbeta.org/result/normal/T32/1669_010.htm
上并及下。 T32n1669_p0684c02(09)║第一變中增百億數次第漸轉。
T32n1669_p0684c03(14)║如偈如是三變中初各如次第十千百億數故。後九十九變
中。 CBETA T14 No. 442《十方千五百佛名經》卷1
www.cbeta.org/result/normal/T14/0442_001.htm
T14n0442_p0318a05(14)║ 一心敬禮者卻十二萬三千百億劫生死之罪。
T14n0442_p0318a06(00)║善寂月音王佛明德佛日月光王佛.
T14n0442_p0318a07(00)║ ... CBETA T20 No. 1177A《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缽大教王經 ...
www.cbeta.org/result/normal/T20/1177a005.htm
有佛名爲毘婆尸如來。 T20n1177Ap0751a01(07)║出世之時諸菩薩等學此教法
瑜伽祕密。如來說已。 T20n1177Ap0751a02(04)║忽然則有千百億世界金色佛剎。 CBETA T20 No. 1177A《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缽大教王經 ...
www.cbeta.org/result/normal/T20/1177a010.htm
T20n1177Ap0772c15(73)║起光明遍照千百億微塵世界佛剎淨土一切三世法界有
頂非想非非想天一切有情大梵諸天六欲天主帝釋諸天四王大神轉輪四聖王等百億閻
... CBETA X39 No. 700《梵網經菩薩戒初津》卷2
www.cbeta.org/result/normal/X39/0700_002.htm
千百億釋迦。從蓮華藏世界。 X39n0700_p0080c12 (03)║赫赫師子座起。各各辭退
。舉身放不可思議光。 X39n0700_p0080c13 (05)║光光皆化無量佛。一時以無量 ... CBETA X65 No. 1277《高峰龍泉院因師集賢語錄》卷14
www.cbeta.org/result/normal/X65/1277_014.htm
X65n1277_p0051a09 (06)║千百億身諸相管教具足。 X65n1277_p0051a10 (00)
║ 化粧廢寺佛疏. X65n1277_p0051a11 (00)║千百億化身剎剎塵塵俱爲佛事。 CBETA T20 No. 1177A《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缽大教王經 ...
www.cbeta.org/result/normal/T20/1177a007.htm
T20n1177Ap0757c29(14)║從三昧起放千百億金剛眞際實性三昧虛空光。 ...
T20n1177Ap0758a02(29)║光照千百億世界微塵數一切諸佛入金剛菩提眞如實際
三摩 ... CBETA T20 No. 1177A《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缽大教王經 ...
www.cbeta.org/result/normal/T20/1177a008.htm
T20n1177Ap0762c25(01)║現千百億世界海。 T20n1177Ap0762c26(11)║入一切
諸佛聖智金剛三摩地百寶蓮華海藏法性三昧。 T20n1177Ap0762c27(06)║世尊從 ... CBETA X38 No. 695《梵網經菩薩戒略疏》卷2
www.cbeta.org/result/normal/X38/0695_002.htm
於千百億世界說法。 ..... X38n0695_p0706a15 (00)║ 各坐菩提樹一時成佛道如是
千百億 ... X38n0695_p0706b23 (00)║ 千百億釋迦各接微塵眾俱來至我所 CBETA T32 No. 1688《密跡力士大權神王經偈頌》卷1
www.cbeta.org/result/normal/T32/1688_001.htm
T32n1688_p0781c20(00)║根本智佛示現千百億。 T32n1688_p0781c21(07)║
常住不滅佛住佛滅去。眾生祈禱立大誓願持。 T32n1688_p0781c22(05)║坐處安養
... CBETA T24 No. 1484《梵網經》卷2
www.cbeta.org/result/normal/T24/1484_002.htm
T24n1484_p1003b20(00)║爾時千花上佛千百億釋迦。 T24n1484_p1003b21(06)
║從蓮花藏世界赫赫師子座起。 T24n1484_p1003b22(11)║各各辭退舉身放 ... CBETA T40 No. 1813《梵網經菩薩戒本疏》卷1
www.cbeta.org/result/normal/T40/1813_001.htm
T40n1813_p0602b02(10)║千華千百億盧舍那爲本身。十重四十八輕釋迦文爲末化
。 T40n1813_p0602b03(04)║不可說法啟心地於毛端。不思議光舉身化於色頂。 CBETA T18 No. 899《清淨法身毘盧遮那心地法門成就一切陀羅尼三種 ...
www.cbeta.org/result/normal/T18/0899_001.htm
不復思惟心地妙法。輪迴惡趣。 T18n0899_p0777a08(00)║無有出期。如是眾生。云
何調伏。 T18n0899_p0777a09(00)║爾時毘盧遮那佛告言千百億釋迦牟尼佛。 CBETA T13 No. 412《地藏菩薩本願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3/0412_001.htm
吾亦分身千百億, T13n0412_p0779b16(02)║廣設方便。或有利根,聞即信受。或有
善果, T13n0412_p0779b17(02)║勤勸成就。或有暗鈍,久化方歸。或有業重, CBETA T48 No. 2023《緇門警訓》卷10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48/2023_010.htm
T48n2023_p1092c07(00)║稽首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 T48n2023_p1092c08(
05)║三祇修鍊萬行功圓。纖瑕去而法性凝清。 T48n2023_p1092c09(06)║片善具 ... CBETA X69 No. 1359《應菴曇華禪師語錄》卷4
www.cbeta.org/result/normal/X69/1359_004.htm
分身千百億。時時示時人。 X69n1359_p0519b13 (02)║時人俱不識。這老漢。四稜
榻地了也。 X69n1359_p0519b14 (08)║是汝諸人還識得也未。若識得。正是眼中添
... CBETA X71 No. 1415《穆菴文康禪師語錄》卷1
www.cbeta.org/result/normal/X71/1415_001.htm
僧問。龍華三會揭天開。露柱燈籠笑滿腮。 X71n1415_p0400c09 (02)║何翅化身千
百億。塵塵涌出玉樓臺。 X71n1415_p0400c10 (08)║如何是和尚爲人一句。師云。 CBETA X08 No. 239《華嚴經吞海集》卷1
www.cbeta.org/result/normal/X08/0239_001.htm
X08n0239_p0470c18 (01)║ 則一時具一切時。 X08n0239_p0470c19 (00)║ 佛在
。一小乘。丈六眞身。二始教。千百億化身。 X08n0239_p0470c20 (01)║ 三終教。 CBETA T20 No. 1177A《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缽大教王經 ...
www.cbeta.org/result/normal/T20/1177a001.htm
T20n1177Ap0725b16(11)║則告牟尼世尊及千釋迦千百億化釋迦言。
T20n1177Ap0725b17(11)║吾從往昔修持金剛祕密菩提法教者。
T20n1177Ap0725b18(13)║ ..."
운허, "毘盧蔗那(비로자나)".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毘盧蔗那(비로자나): 【범】 vairocana 비로사나(毘盧舍那)ㆍ비로절나(鞞嚧折那)ㆍ폐로자나(吠嚧蔗那)ㆍ로사나(盧舍那)ㆍ자나(蔗那)라고도 쓰며, 변일체처(遍一切處)ㆍ광명변조(光明遍照)라 번역. 변조(遍照)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진신(眞身)을 나타내는 칭호. 부처님의 신광(身光)ㆍ지광(智光)이 이사무애(理事無礙)의 법계에 두루 비추어 원명(圓明)한 것을 의미함. 이를 해석하는데 여러 종파의 뜻이 일정치 않다. 첫째, 법상종에서는 비로자나는 법성상주(法性常住)의 이신(理身)으로 무위법(無爲法)이라 하여, 로사나(盧舍那)와 다르다 한다. 로사나는 자비와 지혜를 구족한 색신화합(色身和合)의 세신(細身), 석가모니는 비지(悲智)의 화용(化用)인 시현색신(示現色身)의 추신(麤身)이니, 모두 유위법(有爲法)에 속한다고 한다. 이 셋을 차례로 자성(自性)ㆍ수용(受用)ㆍ변화(變化)의 3신(身)에 배당. 그리고 이 3신에는 완연히 구별을 두어 융통무애(融通無碍)하지 못하다고 한다. 둘째, 천태종에서는 비로자나ㆍ로사나ㆍ석가모니의 3신으로써 법신(法身)ㆍ보신(報身)ㆍ응신(應身)에 배당하면서도, 이 셋은 융즉무애(融卽無碍)하여 하나도 아니며, 다르지도 아니하다 한다. 결국 비로자나 등이 체(體)는 같으나, 이름만 다른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셋째, 화엄종에서는 십신구족(十身具足) 융삼세간(融三世間)의 법계신운(法界身雲)을 세우고, 법신ㆍ보신ㆍ응신의 말을 쓰지 아니하므로 비로자나ㆍ로사나ㆍ석가모니불을 그대로 비로자나불의 일대법신(一大法身)으로 각견(覺見)한다. 그러므로 비로자나ㆍ로사나ㆍ석가모니는 동일한 불신을 달리 일컬음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넷째, 진언종에서는 현교(顯敎)의 여러 종파의 말과 달라서 진언일가(眞言一家)의 심비유묘(深祕幽妙)한 불신관(佛身觀)에 의하여 비로자나는 대일법신(大日法身)이라고 해석함. ⇒변조자나(遍照蔗那)"
星雲, "毘盧遮那".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毘盧遮那:   (一)梵名 Vairocana。爲佛之報身或法身。又作毘樓遮那、毘盧折那、吠嚧遮那。略稱盧舍那、盧遮那、遮那。意譯遍一切處、遍照、光明遍照、大日遍照、淨滿、廣博嚴淨。據一切經音義卷二十一載(大五四‧四三四下):「毘盧遮那,案梵本毘字,(中略)此云種種也。毘盧遮那,云光明遍照也;言佛於身智,以種種光明,照眾生也。或曰毘,遍也;盧遮那,光照也;謂佛以身智無礙光明,遍照理事無礙法界也。」原爲太陽之意,象徵佛智之廣大無邊,乃歷經無量劫海之修習功德而得到之正覺。
 有關毘盧遮那佛,諸經之記載與各宗之解釋各異。舊譯華嚴經卷二盧舍那佛品謂,毘盧遮那佛修習無量劫海之功德,乃成正覺,住蓮華藏世界(佛報身之淨土),放大光明,照遍十方,毛孔現出化身之雲,演出無邊之契經海。梵網經卷上謂,毘盧遮那佛於百阿僧祇劫修行心地法門,成等正覺,住蓮花臺藏世界海,其臺周遍有千葉(即千世界),毘盧遮那佛化千身釋迦佛住千世界。於每一葉世界復有百億之須彌山、百億之日月、百億之四天下,及百億之菩薩釋迦坐百億之菩提樹下,宣說菩薩之心地法門。觀普賢菩薩行法經謂,釋迦牟尼名毘盧遮那遍一切處,成就常樂我淨之四波羅蜜,住於常寂光土。其中,舊華嚴經卷二、梵網經卷上所說之毘盧遮那佛爲報身佛,觀普賢菩薩行法經所說爲法身佛。法相宗立毘盧舍那、盧舍那、釋迦等三尊,稱毘盧舍那爲自性身,盧舍那爲受用身,釋迦爲變化身。十佛名之中,有「清淨法身毘盧遮那佛,圓滿報身盧舍那佛,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之稱。天臺宗亦立毘盧遮那、盧舍那、釋迦等三尊,然以之次第配爲法身佛、報身佛、應身佛。華嚴宗立十身具足融三世間之法界身雲,而謂此三尊乃同一佛身。在密教,毘盧遮那佛與大日如來同體,或爲大日如來之別名,乃理法身、智法身不二之體,有除暗遍明之義。〔舊華嚴經卷四如來名號品、華嚴經探玄記卷三、法華經文句卷九下、大日經疏卷一、卷十六、金剛頂經義訣卷上〕(參閱「大日如來」 767)
 (二)西藏早期譯經師。意譯遍照護、大光明。前藏尼木人。係桑耶寺建成後,贊普乞[口*栗]雙提贊(742~797)首度命藏人出家的七僧人之一。後被派往印度學密法,迎請印度僧無垢友、法稱等至桑耶寺傳法與譯經。〔王后遺教〕 p3858"
佛門網, "千百億化身".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千百億化身: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謂菩提樹下成道之佛身,即八相成道之佛也。梵網經說盧舍那佛坐千葉之蓮華臺,其千葉一一有百億之國(即三千大千世界也),其一一國各有一佛於成道菩提樹下而說法。經下曰:「我今盧舍那,方坐蓮華臺。周匝千華上,復現千釋迦。一華百億國,一國一釋迦。各坐菩提樹,一時成佛道。如是千百億,盧舍那本身。」"
佛門網, "千百億身".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千百億身: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Buddha Locana seated on a lotus of a thousand petals, each containing myriads of worlds in each world is, Śākyamuni seated under a bodhi tree, all such worlds attaining bodhi at the same instant."
이동:가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20-24 / 57. 《구사론》 〈3. 세간품〉의 목차
"[권제8]

제3편 세간품(世間品)
Ⅰ. 유정세간과 기세간(器世間)
1. 3계(界)/363
2. 5취(趣)/373
3. 7식주(識住)/377
4. 9유정거(有情居)/383
5. 4식주(識住)/385
Ⅱ. 유정의 종류와 그 전생(轉生)
1. 4생(生)/388
2. 중유(中有)/392
3. 중유의 가실(假實) 논쟁/393
[권제9]
4. 중유의 형상과 4유(有)/405
5. 중유의 여러 특징 ― 9문(門)분별/409
6. 중유의 4종 입태(入胎)/417
7. 무아와 윤회상속/420
Ⅲ. 12연기(緣起)에 따른 윤회전생
1. 12지(支)의 3세(혹은 2세) 양중(兩重)의 인과/425
2. 12지의 본질/427
3. 연기에 대한 네 가지 해석과 분위연기(分位緣起)/430
4. 12연기를 오직 유정에만 적용시킨 이유/433
5. 3세양중의 인과의 조직
6. 연기법과 연이생법(緣已生法)/440
7. 세친의 12연기관/452
[권제10]
8. 특히 무명(無明)에 대하여/456
9. 명색(名色)에 대하여/461
10. 촉(觸)에 대하여
11. 수(受)에 대하여
a. '촉'과 '수'의 시간적 관계에 대한 논쟁/468
12. 그 밖의 다른 지(支)에 대해 설하지 않는 이유/482
13. 비유(譬喩)에 의한 혹·업·사의 관계/482
14. 4유(有)의 염·불염과 3계에서의 존재유무/485
Ⅳ. 유정의 지속·사멸과 세 가지 결정적 부류[定聚]
1. 유정의 지속[4有]과 4식(食)/484
a. 중유의 다섯 이명(異名)/489
2. 유정이 사멸할 때의 의식 등에 대하여/496
3. 생기·지속·사멸하는 유정의 세 가지 부류/500
[권제11]
Ⅴ. 기세간(器世間)의 구조 및 유정의 크기와 수명
1. 3계의 근본인 3륜(輪)/502
2. 9산(山)/504
3. 8해(海)/508
4. 4대주(大洲)/510
5. 남섬부주(南贍部洲)의 산하/513
6. 날락가(捺落迦,지옥)/513
7. 방생과 아귀의 주처(住處)/521
8. 해와 달/521
9. 제천(諸天)과 그 유정
(1) 묘고산(妙高山)의 4층급 ― 4대왕중천(大王中天)/525
(2) 삼십삼천(三十三天)/527
(1) 하천(下天) 유정의 상승/537
(1) 3천 대천세계/538
10. 유정의 신체적 크기/539
11. 유정의 수명의 길이
(1) 선취 유정의 수명/541
(2) 악취 유정의 수명/544
(3) 중간의 요절/546
[권제12]
Ⅵ. 공간과 시간의 단위 및 세계의 주기
1. 공간(色)과 시간의 단위
2. 성(成)·주(住)·괴(壞)·공(空)의 4겁/553
a. 수(數)의 단위 ― 60수/560
b. 보살이 불과(佛果)를 획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까닭/561
c. 부처와 독각이 출현하는 시기/563
d. 전륜왕이 출현하는 시기와 종류/566
e. 시방세계의 일불설(一佛說)과 다불설(多佛說)/568
3. 겁초(劫初)의 유정과 국왕의 옹립/573
4. 겁이 감소할 때의 크고 작은 세 재앙
a. 극미의 파괴와 관련된 유부와 승론(勝論)의 논쟁/580
1) 욕계/364
2) 색계/365
3) 무색계/366
4) 3계의 명의(名義)/368
5) 3계의 수(數)/371
6) 3계의 존재형태/372
1) 태내(胎內) 5위/422
1) 혹(惑)·업(業)·사(事)의 분별/434
2) 혹·업·사의 상생관계/436
1) 연기의 어의(語義)/446
1) 무명의 가실(假實) 논쟁/457
1) 6촉과 '촉'의 가실(假實) 논쟁/462
2) 유대촉(有對觸)과 증어촉(增語觸)/465
3) 8촉과 3촉/466
1) 6수와 신(身)·심수(心受)/467
2) 심수 ― 18의근행(意近行)/474
3) 18의근행의 계계(界繫)분별과 그 소연/476
4) 18의근행의 유루·무루, 성취·불성취 등에 대한 분별/479
1) 8중주(中洲)/511
1) 8열지옥(熱地獄)/514
2) 8날락가의 16증(增)/515
3) 옥졸에 대하여/518
4) 8한지옥(寒地獄)과 고지옥(孤地獄)/519
1) 낮과 밤의 길이의 변화/524
1) 지거천(地居天)
2) 4공거천(空居天)/531
3) 6욕천(欲天)의 행음상(行相)/532
4) 갖 태어난 천중(天衆)의 크기와 언어/533
5) 욕생(欲生)과 낙생(樂生)/534
6) 각 천(天) 사이의 거리/535
7) 온갖 천궁(天宮)의 너비/538
1) 공간과 시간과 말의 극소단위/548
2) 공간 즉 길이의 단위/549
3) 시간의 단위/551
1) 괴겁(壞劫)/554
2) 성겁(成劫)/557
3) 주겁(住劫)/558
4) 겁의 본질/559
1) 소삼재(小三災)/576
2) 대삼재(大三災)/579"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020 20-24 / 57]. 《구사론》 〈3. 세간품〉의 목차"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020 20-24 / 57]. 《구사론》 〈3. 세간품〉의 목차"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이동:가 제관 록 T.1931, p. T46n1931_p0776a05 - T46n1931_p0776b21. 고제와 25유
"自下明化法四教。第一三藏教者。一修多羅藏(四阿含等經)二阿毘曇藏(俱舍婆沙等論)三毘尼藏(五部律)此之三藏名通大小。今取小乘三藏也。大智度論云。迦旃延子。自以聰明利根。於婆沙中明三藏義。不讀衍經。非大菩薩。又法華云。貪著小乘三藏學者。依此等文故。大師稱小乘爲三藏教。此有三乘根性。初聲聞人依生滅四諦教。言四諦者。一苦諦。二十五有依正二報是。言二十五有者。四洲四惡趣六欲。并梵天四禪四空處無想五那含(四洲四趣成八。六欲天并梵王天成十五。四禪四空處成二十三。無想天及那含天成二十五)別則二十五有。總則六道生死。一地獄道。梵語捺洛迦。又語泥黎。此飜苦具。而言地獄者。此處在地之下。故言地獄。謂八寒八熱等大獄。各有眷屬其類無數。其中受苦者。隨其作業各有輕重。經劫數等。其最重處。一日之中八萬四千生死。經劫無量。作上品五逆十惡者。感此道身。二畜生道。亦云旁生。此道遍在諸處。披毛戴角。鱗甲羽毛。四足多足。有足無足。水陸空行。互相吞噉。受苦無窮。愚癡貪欲作中品五逆十惡者。感此道身。三餓鬼道。梵語闍黎哆。此道亦遍諸趣。有福德者。作山林塚廟神。無福德者。居不淨處。不得飮食。常受鞭打填河塞海。受苦無量。諂誑心意作下品五逆十惡。感此道身。四阿修羅道。此飜無酒。又無端正又無天。或在海岸海底宮殿嚴飾。常好鬥戰怕怖無極。在因之時懷猜忌心。雖行五常欲勝他故。作下品十善。感此道身。五人道。四洲不同。謂東弗婆提(壽二百五十歲)南閻浮提(壽一百歲)西瞿耶尼(壽五百歲)北鬱單越(壽一千歲命無中夭。聖人不出其中。即八難之一)皆苦樂相間。在因之時行五常五戒。五常者。仁義禮智信。五戒者。不殺不盜不邪淫不妄語不飮酒。行中品十善。感此道身。六天道。二十八天不同(欲界六天。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初欲界六天者。一四天王天(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自有三十三天。已上二天單修上品十善。得生其中)三夜摩天。四兜率天。五化樂天。六他化自在天(已上四天空居。修上品十善。兼坐未到定。得生其中)次色界十八天分爲四禪。初禪三天(梵眾梵輔大梵)二禪三天(少光無量光光音)三禪三天(少淨無量淨遍淨)四禪九天(無雲福生廣果。已上三天凡夫住處。修上品十善坐禪者得生其中。無想天外道所居。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已上五天第三果居處。上之九天離欲麤散。未出色籠故名色界。坐得禪定故得禪名)三無色界四天(空處識處無所有處非非想。已上四天只有四陰而無色蘊。故得名也)上來所釋。從地獄至非非想天。雖然苦樂不同。未免生而復死死已還生。故名生死。此是藏教實有苦諦。"
이동:가 운허, "阿毘達磨俱舍論(아비달마구사론)".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阿毘達磨俱舍論(아비달마구사론): 【범】 Abhidharmakośaśāstra. 30권. K-955, T-1558. 세친(世親: Vasubandhu) 지음.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51년 6월에서 654년 9월 사이에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구사론』이라 하고, 별칭으로 『대법장론』ㆍ『신역구사』라고도 한다. 이 논은소승 여러 부파 중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아비달마 논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이다. 『구사론』은 기본적으로는 아비달마 족신(足身)의 7론이나 『대비바사론』을 근거로 하면서도 이전의 논서와는 그 체계를 달리하는 법승(法勝)의 『아비담심론(阿毘曇心論)』과 이를 개량 증보한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및 법구(法救)의 『잡아비담심론(雜阿毘曇心論)』의 조직과 내용을 토대로 하여 작성된 논서이다. 이 논서의 조직은 『아비담심론』에 따라 철저하게 4성제를 기초로 한 것으로, 「계품(界品)」과 「근품(根品)」에서 제법의 본질과 작용을 밝힌 다음 「세간품(世間品)」과 「업품(業品)」「수면품(隨眠品)」에서 고(苦)의 실상과 그 원인과 조건이 되는 업과 번뇌를 밝히고, 다시 「현성품(賢聖品)」과 「지품(智品)」「정품(定品)」에서 고멸(苦滅)의 열반과 그 원인과 조건이 되는 지(智)와 선정(禪定)에 대해 논설하고 있는 것이다. 제1 「분별계품」에서는 만유의 근본이 되는 제법의 본질[體]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실천적 입장에서 유루법과 무루법을, 이론적 입장에서 유위법과 무위법을 분류한다. 그리고 다시 제법을 5온(蘊)ㆍ12처(處)ㆍ18계(界)로 분류 해석하고, 나아가 18계에 대해 유견(有見)ㆍ무견(無見), 유대(有對)ㆍ무대(無對), 선ㆍ불선ㆍ무기 등 여러 갈래로 그 특징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제2 「분별근품」에서는 만유를 차별 짓는 제법의 작용[用]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일체의 유정으로 하여금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뛰어난 힘[增上力]으로 ‘근(根)’이라 일컬어지는 22가지 존재를 분류하여 유루ㆍ무루 등의 온갖 갈래로 이것의 성질을 밝히고, 유정이 처한 온갖 상태에서 이것의 획득과 상실을 논설한 다음, 제법을 다시 색(色)ㆍ심(心)ㆍ심소(心所)ㆍ불상응행(不相應行)ㆍ무위(無爲)의 5위(位)로 나누어 불생(不生)의 무위를 제외한 4위의 구생(俱生) 관계와 그것들의 인과적 관계 즉 6인(因)ㆍ4연(緣)ㆍ5과(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3 「분별세간품」에서는 인연에 의해 조작된 결과로서의 현실세계[苦]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유정세간의 여러 다양한 형태를 밝히고, 그것의 윤회전생을 12인연의 삼세양중(三世兩重)의 인과로 설명한 다음 기세간(器世間) 즉 유정이 몸담고 있는 세계의 구조와, 나아가 일체 세간의 성(成)ㆍ주(住)ㆍ괴(壞)ㆍ공(空)의 과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는 바로 4제의 고제(苦諦)를 밝히는 장이다. 제4 「분별업품」에서는 차별의 현실 세계의 직접적 원인[因]이 되는 업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선ㆍ악의 표업과 무표업과 별해탈률의 즉 수계(受戒)에 대해 논설하고, 여러 경론에서 설한 온갖 업을 다양하게 분류하며, 나아가 선ㆍ악의 10업도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5 「분별수면품」에서는 현실 세계의 간접적 원인[緣], 즉 온갖 불선업의 근본원인이 되는 번뇌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98수면(隨眠)의 성질과 작용, 수면의 수증(隨增), 그리고 방론(傍論)으로 삼세실유에 관해 논설하고, 경에 설해진 여타의 번뇌에 대해 분류 해석한 다음 마지막으로 번뇌의 단멸과 이계(離繫)의 증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상의 두 품은 집제(集諦)를 밝히는 장이다. 제6 「분별현성품」에서는 번뇌소멸의 이상[滅]인 현자(賢者)와 성자(聖者)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4성제에 대해 설명하고, 성자의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는 3현위(賢位)ㆍ4선근위(善根位)와 그것의 수행법, 그리고 견도ㆍ수도ㆍ무학도와 그러한 상태에 이른 성자위, 이를테면 예류ㆍ일래ㆍ불환ㆍ아라한과의 단계를 논설한 다음, 마지막으로 경에서 설한 종합적 수행도로서 37보리분법(菩提分法)에 대해 밝히고 있다. 제7 「분별지품」에서는 이상 세계의 직접적 원인[因]이 되는 지(智)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먼저 번뇌의 단멸과 이계의 증득을 가능하게 하는 인(忍)과 지(智)에 대해 분별하고, 아울러 10지(智)의 상을 밝힌 다음 ‘지’에 의해 성취되는 불타의 18불공법(不共法)과 성자 등과도 공통되는 6통(通) 등의 법에 대해 밝히고 있다. 제8 「분별정품」에서는 이상 세계의 간접적 원인[緣], 즉 ‘지’를 획득하는 조건이 되는 선정에 대해 분별하고 있는데, 4정려ㆍ4무색정 등의 여러 선정과, 수정(修定)의 공덕으로서 4무량(無量)ㆍ8해탈ㆍ10변처(遍處)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두 품은 도제(道諦)를 밝히는 장이다. 제9 「파집아품」에서는 오로지 무아설에 입각한 법의 이론으로만 해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독자부(犢子部)의 보특가라(補特伽羅)와, 수론(數論, Sakhya)과 승론(勝論, Vaiśeika)의 자아에 대해 비판하고서 경량부가 설한 상속(相續)의 전변(轉變)과 차별(差別)로써 업(5온)의 인과상속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부처님의 입멸 후 성문(聲聞) 제자들의 관심은 불타의 교법을 어떻게 정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할 것인가 하는 점에 있었으며, 그 결과 생겨난 것이 아비달마 논장(論藏)이다. 부처님의 교법에 대한 정리 해석은 이미 경장(經藏) 안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부파 분열 이후 그것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마침내 경장 속에 포함시킬 수 없을 정도로 되었을 때 그것으로부터 독립하여 아비달마장(阿毘達磨藏)이라고 하는 불교성전의 새로운 장르가 성립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 부파의 경장과 율장은 부처님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전체적으로는 유사하지만, 논장의 경우는 그 내용을 완전히 달리하는데, 이로 인해 이 시기의 불교를 아비달마불교라고 한다. ⇒구사종(俱舍宗)"
이동:가 星雲, "阿毘達磨俱舍論".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阿毘達磨俱舍論:  梵名 Abhidharmakośa-śāstra。略稱俱舍論。意譯對法藏論、聰明論。乃部派佛教教理之集大成,大毘婆沙論之綱要書。西元四五○年世親菩薩(梵 Vasubandhu)所著。漢譯本有二,一爲陳天嘉四年(563),眞諦所譯之阿毘達磨俱舍釋論二十二卷,世稱舊俱舍;對之,唐永徽二年(651)玄奘所譯之三十卷,歷來爲法相宗之基本教本,則稱新俱舍。兩本均收於大正藏第二十九册。
 本論在印度、西藏、中國、日本均廣受研究,優良之注釋書亦多。要理解部派佛教,以及大乘佛教之基礎,則俱舍論之價值甚大。世親雖一面以說一切有部教學爲標準,然亦以批判態度介紹經量部與大眾部等學說,以「理長爲宗」之立場造俱舍論。又大乘經典及大乘論書以有部教學爲基礎,或爲破斥有部而作的佔多數。故此一以批判態度將繁雜之有部教學整理而成之俱舍論,乃廣受大小乘學者之珍視。本論之教理多採自大毘婆沙論,又本論之體系與教理之整理方法,傳說曾受法救所造雜阿毘曇心論之影響。
 本書基本反映當時流行於迦濕彌羅之有部關於世界、人生及修行之主要學說,竝吸收經量部之許多觀點。內容由界、根、世間、業、隨眠、賢聖、智、定等八品構成,另又附錄破我品,則成九品。其中:(一)界品與(二)根品,說明現實世界(物質與精神界)成立之要素「法」,竝說明有爲、無爲、五蘊、十二處、十八界、二十二根、六因四緣等名相。(三)世間品,說明地獄乃至天界之生物世界(有情世界)與物理世界(器世界),竝介紹印度之宇宙觀及地理說,此外,更解說十二緣起,說明輪迴之相狀,此即業感緣起論。(四)業品,說明輪迴之原因,竝細分業之種類。(五)隨眠品,敘述煩惱,將其分類爲六大煩惱、十隨眠、八十八使、百八煩惱,竝介紹過去、未來、現在等三世實有論,而加以破斥。世間、隨眠、業等三品係明示迷之世界(有漏),至於(六)賢聖品,則將悟入之階位分爲凡夫位之三賢、四善根,聖者位之四雙八輩,又說明悟入之觀法即四諦十六現觀。(七)智品,則是說明世俗智、法智、類智等十智爲獲得開悟之智慧,竝說明十八不共法。(八)定品,除說明產生聖智基礎之禪定外,復說明四禪、四無色定、三解脫門、四無量心等其他禪定。(九)破我品,則是站在無我之立場,以破斥犢子部之非即非離蘊我及勝論之我等,即明示無我之道理。
 如上所說,本論將廣博繁雜之毘婆沙教理技巧地整理爲八品,體系嚴整,論旨明徹,冠於諸論,爲有部教學之綱要書。蓋古來諸師論及本論之宗,或謂屬於有部,或爲二十部中之理長爲宗,或爲經部之別宗,或謂稟承依有部,意許取理長等諸異說。
 在我國,俱舍論譯出後即取代前此之毘曇宗。日本於奈良時代傳入俱舍論而成立俱舍宗之一派,且以俱舍論爲基礎之研學傳統延續至現代。在印度以及西藏佛教亦盛行研究此論。梵本已於西藏發現,然僅刊行偈頌(V.V. Gokhale: The Text of the Abhidharmakośakārikā of Vasubandhu, 1946),俱舍本論則在印度巴特那(Patna)出版(P. Pradhan: Abhidharmakośa-bhāsya of Vasubandhu, 1967)。偈頌與俱舍論均有西藏譯本,即:Chos-mvon-pahimdsod-kyi tshig lehur byas-pa(Abhidharmakośa-kārikā,北京版 115, pp. 115~127 與 Chos-mvon-pahi mdsod-kyi bśad-pa(Abhidharmakośa-bhāsya,北京版 115, pp. 127~283)。
 據傳在印度曾有德慧、世友、安慧、陳那、稱友、滿增(梵 Pūrnavardhana)、寂天(梵 Śamathadeva)等之注釋,現存者唯稱友所作。又有 U. Wogihara:Sphutārthā Abhidharmakośavyākhyā, 1~7(Tokyo, 1932~1936),此釋本亦有西藏譯本,頗受重視。即:Chos-mvon-pahi mdsod-kyi hgrel-bśad(Abhidharmakosa-tīkā,北京版 116, pp. 43~117),西藏譯除此外猶保存有滿增、寂天、陳那等之注釋。
 漢譯有安慧俱舍論實義疏之殘本五卷,敦煌本有此書(收於大正藏第二十九册),眞諦注舊俱舍之疏十六卷、義疏五十三卷等已逸失。注釋玄奘之譯著,有普光之俱舍論記三十卷及法寶之俱舍論疏三十卷,向來被視爲研究俱舍論之指南書。圓輝之俱舍論頌疏三十卷亦受珍視,此疏省略爭論部分,簡明地解釋有部之教理,故容易理解。近年日人旭雅撰冠導俱舍論一書亦常被利用;法宣著俱舍論講義十卷,對初學者極有助益。我國有演培之俱舍論頌講記一書。〔大唐西域記卷四、歷代三寶紀卷九、開元釋教錄卷七、卷八、阿毘達磨論の研究(木村泰賢)、小乘佛教思想論(木村泰賢著,演培譯)、俱舍論講義(舟橋一哉)、俱舍論の教義及び其發達(舟橋一哉)、俱舍論の原典解明(山口益、舟橋一哉)、Th. Stcherbatsky: The central conception of Buddhism and the meaning of the word“Dharma”, London, 1923; O. Rosenberg: Die Probleme der buddhistischen Philosophie, Heidelberg, 1924〕 p3644"
운허, "長阿含經((불설)장아함경)".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長阿含經((불설)장아함경): 【범】 Dīrghāgama(sūtra). 【팔】 Dīghanikāya. K-647, T-1. 후진(後秦)시대에 불타야사(佛陀耶舍, Buddhayaśas)와 축불념(竺佛念)이 413년에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다. 장아함(長阿含)ㆍ중아함(中阿含)ㆍ잡아함(雜阿含)ㆍ증일아함(增一阿含)의 4아함 가운데 하나로서, 팔리어 불전 중 『장부(長部)』 즉 디가니카야에 해당한다. 『장아함경』이 4분(分) 22권 30경을 수록하고 있는 반면에 『장부』는 3품 34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아함경(長阿含經)』은 다른 아함경에 비하여 비교적 분량이 많은 경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함(阿含)은 범어(梵語) 아가마(agama)의 음역(音譯)으로서 전(傳)ㆍ교(敎)ㆍ법귀(法歸)라는 뜻이며, 대승불교의 경전 성립 이후로는 소승불교의 총칭이 되었다. 남전장경에 의하면 그 제1 결집시(結集時) 법문을 외울 때 대가섭(大迦葉)의 물음에 대하여 아난이 대답한 것을 대중들이 외워서 이루어진 것을 5부(部; 北傳의 4아함)라 했다고 하는데, 현존하는 팔리어본 『장부(長部)』와 한역본 『장아함경』을 비교해 보면 원시불교 시대의 정치ㆍ사회ㆍ종교 내지 철학 사상을 배경으로 한 부처님의 해탈도(解脫道)가 경전의 중추를 이루고 있음으로 보아 『장부(長部)』와 『장아함경』 등의 5부ㆍ4아함의 성립기원은 불멸 후 100년경으로 보여진다. 이 원시경전의 하나는 세일론에 전파되어 비교적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긴 세월 동안에 부파적(部派的) 영향과 시대 사상의 영향을 받아 증광개변(增廣改變)되어 현존하는 팔리본 『장부(長部)』와 같은 형태로 발달되었고 이를 남전(南傳)이라 한다. 또 하나는 계빈(罽賓) 지방에 전해져 암송되어 유행하면서, 여기에 서북 인도 특유의 지리적 관계에서 부파의 영향 및 시대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발달하여 북방 논서(論書) 성립연대로 추정되는 A.D. 1, 2세기보다 이전인 서력 기원 전후에서 1세기의 후반에 이르는 동안 범어로 쓰여지고 구성 편찬되었는데, 이것이 『장아함경』의 원본이 되었다. 『장아함경』 중에 산견되는 미륵불(彌勒佛) 신앙과 염불사상(念佛思想), 탑사(塔寺) 공양의 공덕을 설한 사상적 형태는 해탈도(解脫道)의 교리에서 구제도(救濟道)의 신앙으로 나아간 것이며, 이를 드러내기 위하여 『장아함경』이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장아함경』은 내용상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 속하면서 다른 부파의 색채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전이다. 『장아함경』은 4분(分) 30경에서 열반ㆍ과거불ㆍ법상(法相)ㆍ4제(諦)ㆍ12인연(因緣) 등의 교리를 설한다. 제1분에서는 과거 7불(佛)과 부처님의 열반 등을 설명하고 있고, 제2분에서는 4성(姓)의 평등ㆍ미륵불의 출현ㆍ6방(方)에 대한 예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제3분에서는 외도 바라문의 삿된 견해를 타파하는 내용을 설하고 있고, 제4분에서는 남섬부주(南贍浮洲)ㆍ전륜성왕ㆍ지옥ㆍ아수라ㆍ4천왕(天王)ㆍ3재(災) 등을 설명한다."
星雲, "長阿含經".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長阿含經:  梵名 Dīrghāgama,巴利名 Dīgha-nikāya。音譯作地哩甘阿甘。又作長阿鋡經。凡二十二卷。後秦弘始十五年(413)佛陀耶舍與竺佛念共譯。收於大正藏第一册。爲北傳四阿含之一,係纂輯阿含經典中篇幅較長之經而成。關於長阿含名稱之由來,據四分律卷五十四、五分律卷三十、瑜伽師地論卷八十五等載,因係長經之總集,故有此名;薩婆多毘尼毘婆沙卷一載,破諸外道,是爲長阿含;分別功德論卷一則謂,長者,乃說久遠之事,意即歷劫而不絕。
 全經有四分,三十經,即:(一)第一分包括大本經、遊行經、典尊經、闍尼沙經等四經。(二)第二分包括小緣經、轉輪聖王修行經、弊宿經、散陀那經、眾集經、十上經、增一經、三聚經、大緣方便經、釋提桓因問經、阿[少/兔]夷經、善生經、清淨經、自歡喜經、大會經等十五經。(三)第三分包括阿摩晝經、梵動經、種德經、究羅檀頭經、堅固經、倮形梵志經、三明經、沙門果經、布吒婆樓經、露遮經等十經。(四)第四分則僅收世記經一經。其中,第一分收錄有關佛陀之本始及事蹟,第二分爲諸行之修習及佛說法之綱要,第三分收錄對外道異學之論難,第四分則記載世界之起源相狀等。
 於南傳五部中,長部(巴 Dīgha-nikāya)相當於本經。長部共有三品,三十四經,即:(一)戒蘊品,包括十三經。(二)大品,包括十經。(三)波梨品,包括十一經。然長阿含經第四分之世記經,則爲長部所無。又據日本學者南條文雄之英文三藏目錄所載,以巴利本之三十四經與漢譯之三十經相對照,則僅有漢譯之六經與巴利文之十經關係較明顯,其餘諸經則不一致。此外,近代日本學者如姊崎正治、赤沼智善等人亦從事漢巴阿含之對照研究而有類似看法。
 漢譯長阿含經之別生經,有七佛經一卷等,共計二十一種。此外,以巴利文書寫的南傳長部之原文,從西元一八九○年至一九一一年期間,先後之譯本有:(一)英國學者大衞斯(Rhys Davids)及卡本特(J.E. Carpenter)二人校訂出版之譯本。(二)大衞斯及其夫人之英譯本 Dialogues of the Buddha, 1909~1921。(三)德國學者紐曼(K.E. Neumann)之德譯本 Die Reden des Gotamo Buddhos, 1907~1918。(四)德國學者法蘭克(O.Franke)之德譯本 Das Buch der langen Texte des Buddhist Kanon, Leipzig, 1913(部分)。另長部中有五世紀錫蘭佛教大論師佛音(巴 Buddhaghosa)之注釋 Sumavgalavilāsinī,於西元一八八六年由大衞斯及卡本特二人出版。
 近時於我國新疆地方所發現之梵文本中,有相當於漢譯長阿含第九經眾集經(Savgīti-sutta),及巴利文長部第三十二經阿吒曩胝經(Ātānātiya-sutta)之斷片,霍諾爾(R. Hoernle)收集於其著作 Manuscript Remains of Buddhist Literaturefound in Eastern Turkestan, vol. I.中。又西藏大藏經中之 Hdus-pa chen-pohimdo 相當於長阿含第十九經大會經,Tshavs-pahi dra-bahi mdo 相當於長阿含第二十一經梵動經,Lcav-lo-can-gyi pho-bran-gi mdo 相當於長部第三十二經阿吒曩胝經。
 關於長阿含之傳承部屬,據法華經玄贊卷一本、華嚴經疏鈔玄談卷八等所舉,四阿含均爲大眾部所傳。然俱舍論稽古卷上則認爲係化地部所傳。又以日本學者宇井伯壽爲代表的現代學者,認爲係近於法藏部之部派所傳。〔撰集三藏及雜藏傳、歷代三寶紀卷八、開元釋教錄卷四、大藏經綱目指要錄卷六上、至元法寶勘同總錄卷六、閱藏知津卷二十九、漢巴對照長阿含研究概括(干潟龍祥,佛教學雜誌第三之六)、原始佛教聖典之集成(印順)〕(參閱「阿含」3617、「阿含經」3619) p3599"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1) 염부제주품(閻浮提洲品)〉. p. T01n0001_p0114b25 - T01n0001_p0115b13.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諦聽。諦聽。善思念之。當爲汝說。 佛告諸比丘。如一日月周行四天下。光明所照。如是千世界。千世界中有千日月.千須彌山王.四千天下.四千大天下.四千海水.四千大海.四千龍.四千大龍.四千金翅鳥.四千大金翅鳥.四千惡道.四千大惡道.四千王.四千大王.七千大樹.八千大泥犁.十千大山.千閻羅王.千四天王.千忉利天千焰摩天.千兜率天.千化自在天.千他化自在天.千梵天。是爲小千世界。如一小千世界。爾所小千千世界。是爲中千世界。如一中千世界。爾所中千千世界。是爲三千大千世界。如是世界周匝成敗。眾生所居名一佛剎。 佛告比丘。今此大地深十六萬八千由旬。其邊無際。地止於水。水深三千三十由旬。其邊無際。水止於風。風深六千四十由旬。其邊無際。比丘。其大海水深八萬四千由旬。其邊無際。須彌山王入海水中八萬四千由旬。出海水上高八萬四千由旬。下根連地。多固地分。其山直上。無有阿曲。生種種樹。樹出眾香。香遍山林。多諸賢聖。大神妙天之所居止。其山下基純有金沙。其山四面有四埵出。高七百由旬。雜色間廁。七寶所成。四埵斜低。曲臨海上。 須彌山王有七寶階道。其下階道廣六十由旬。挾道兩邊有七重寶牆.七重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金牆銀門。銀牆金門。水精牆琉璃門。琉璃牆水精門。赤珠牆馬瑙門。馬瑙牆赤珠門。車磲牆眾寶門。其欄楯者。金欄銀桄。銀欄金桄。水精欄琉璃桄。琉璃欄水精桄。赤珠欄馬瑙桄。馬瑙欄赤珠桄。車磲欄眾寶桄。其欄楯上有寶羅網。其金羅網下懸銀鈴。其銀羅網下懸金鈴。琉璃羅網懸水精鈴。水精羅網懸琉璃鈴。赤珠羅網懸馬瑙鈴。馬瑙羅網懸赤珠鈴。車磲羅網懸眾寶鈴。其金樹者金根金枝銀葉華實。其銀樹者銀根銀枝金葉華實。其水精樹水精根枝琉璃華葉。其琉璃樹琉璃根枝水精華葉。其赤珠樹赤珠根枝馬瑙華葉。其馬瑙樹者馬瑙根枝赤珠華葉。車磲樹者車磲根枝眾寶華葉。 其七重牆。牆有四門。門有欄楯。七重牆上皆有樓閣臺觀。周匝圍遶有園觀浴池。生眾寶華葉。寶樹行列。花果繁茂。香風四起。悅可人心。鳧鴈鴛鴦。異類奇鳥。無數千種。相和而鳴。又須彌山王中級階道廣四十由旬。挾道兩邊有七重寶牆.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七重。乃至無數眾鳥相和而鳴。亦如下階。上級階道廣二十由旬。挾道兩邊有七重寶牆.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七重。乃至無數眾鳥相和而鳴。亦如中階。 佛告比丘。其下階道有鬼神住。名曰伽樓羅足。其中階道有鬼神住。名曰持鬘。其上階道有鬼神住。名曰喜樂。其四捶高四萬二千由旬。四天大王所居宮殿。有七重寶城.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七重。諸寶鈴乃至無數眾鳥相和而鳴。亦復如是。須彌山頂有三十三天宮。寶城七重.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七重。乃至無數眾鳥相和而鳴。亦復如是。過三十三天由旬一倍有焰摩天宮。過焰摩天宮由旬一倍有兜率天宮。過兜率天宮由旬一倍有化自在天宮。過化自在天宮由旬一倍有他化自在天宮。過他化自在天宮由旬一倍有梵加夷天宮。 於他化自在天.梵加夷天中間。有摩天宮。縱廣六千由旬。宮牆七重.欄楯七重.羅網七重.行樹七重。乃至無數眾鳥相和而鳴。亦復如是。過梵伽夷天宮由旬一倍有光音天宮。過光音天由旬一倍有遍淨天宮。過遍淨天由旬一倍有果實天宮。過果實天由旬一倍有無想天宮。過無想天由旬一倍有無造天宮。過無造天由旬一倍有無熱天宮。過無熱天由旬一倍有善見天宮。過善見天由旬一倍有大善見天宮。過大善見天由旬一倍有色究竟天宮。過色究竟天上有空處智天.識處智天.無所有處智天.有想無想處智天。齊此名眾生邊際.眾生世界。一切眾生生.老.病.死.受陰.受有。齊此不過。"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1) 염부제주품(閻浮提洲品)〉. pp. 586-590 / 740.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나의 해와 달이 4천하(天下)를 두루 돌면서 광명을 비추고 있는 것과 같은 그런 세계가 천(千) 개나 있다. 이 천 개의 세계는 천 개의 해와 달이 있고 천 개의 수미산왕(須彌山王:수미산이 가장 높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王자를 붙였음)과 4천 개의 천하(天下)와 4천 개의 대천하(大天下)가 있고, 4천 개의 바닷물과 4천 개의 큰 바다가 있으며, 4천 마리의 용과 4천 마리의 큰 용이 있으며, 4천 마리의 금시조(金翅鳥)와 4천 마리의 큰 금시조가 있고, 4천 개의 악도(惡道)와 4천 개의 큰 악도가 있으며, 4천의 왕과 4천의 대왕이 있고, 7천 그루의 큰 나무, 8천 개의 큰 지옥, 1만 개의 큰 산, 천 명의 염라왕(閻羅王), 천 명의 사천왕(四天王), 천 개의 도리천, 천 개의 염마천(焰摩天), 천 개의 도솔천, 천 개의 화자재천(化自在天), 천 개의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천 개의 범천(梵天)이 있다. 이것을 소천 세계(小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소천세계와 같은 그러한 세계가 천 개 있으면 이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하고, 하나의 중천세계와 같은 그러한 세계가 천 개 있으면 이것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 한다. 이와 같은 세계가 겹겹으로 둘러 있는데 생겼다 무너졌다 한다. 중생들이 사는 곳을 1불찰(佛刹)3)이라고 이름한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제 이 대지의 깊이는 16만 8천 유순(由旬)4)이고, 그 가장자리는 끝이 없으며, 땅은 물에 머물러 있다. 물의 깊이는 3천 3십 유순이요, 그 변두리는 끝이 없으며, 물은 바람에 의지해 있다. 바람의 깊이는 6천 4십 유순이요, 그 가장자리는 끝이 없다.
비 구들아, 그 큰 바닷물의 깊이는 8만 4천 유순이고 그 가장자리는 끝이 없다. 수미산왕은 바닷물 속에 들어간 부분이 8만 4천 유순이고, 바닷물 위에 나온 부분도 그 높이가 8만 4천 유순이며, 밑부분은 땅에 닿아 있는데 대부분 단단한 지분(地分)으로 되어 있다. 그 산은 곧게 솟아올라 굽은 곳이 없다. 그곳엔 온갖 나무들이 자라고 있고 나무에서는 갖가지 향기를 내어 그 향기가 온 산에 가득하다. 거기에는 성현(聖賢)들이 많으며 매우 신령스럽고 묘한 하늘들도 머물러 살고 있다. 그 산의 밑부분에는 순수한 금모래가 있고, 그 산의 네 면에는 네 개의 봉우리[埵]5)가 솟아 있는데 높이는 7백 유순으로 일곱 가지 보배[寶]로 이루어졌으며, 네 개의 봉우리는 비스듬히 굽어져 바다에 닿아 있다.
또 수미산왕에는 7보로 만들어진 층계로 된 길이 있는데 아래 부분의 층계로 된 길의 너비는 60유순이다. 그 길의 양쪽에는 일곱 겹의 보배담장과 일곱 겹의 보배난간과 일곱 겹의 보배그물과 일곱 겹의 보배가로수가 있다. 금담장에는 은문, 은담장에는 금문, 수정담장에는 유리문, 유리담장에는 수정문, 붉은 구슬[赤珠] 담장에는 마노(馬瑙)문, 마노담장에는 붉은 구슬문, 자거(車��)담장에는 여러 가지 보배가 섞인 문이 있다. 그리고 난간을 살펴보면 금난간에는 은나무, 은난간에는 금나무, 수정난간에는 유리나무, 유리난간에는 수정나무, 붉은 구슬난간에는 마노나무, 마노난간에는 붉은 구슬나무, 자거난간에는 여러 가지 보배가 섞인 나무가 있다.
그 난간 위에는 보배 그물이 있는데, 금그물 밑에는 은방울을 달아 놓았고, 은그물 밑에는 금방울을 달아 놓았으며, 유리그물에는 수정방울을 달아 놓았고, 수정그물에는 유리방울을 달아 놓았으며, 붉은 구슬 그물에는 마노방울을 달아 놓았고, 마노그물에는 붉은 구슬방울을 달아 놓았으며, 자거그물에는 여러 가지 보배 방울을 달아 놓았다.
그 금나무에는 금뿌리에 금가지와 은잎ㆍ은꽃ㆍ은열매가 있고 은나무에는 은뿌리에 은가지와 금잎ㆍ금꽃ㆍ금열매가 있으며, 수정나무에는 수정뿌리와 수정가지에 유리꽃과 유리잎이고, 유리나무에는 유리뿌리와 유리가지에 수정꽃과 수정잎이다. 붉은 구슬나무에는 붉은 구슬뿌리와 붉은 구슬가지에 마노꽃과 마노잎이고 마노나무에는 마노뿌리와 마노가지에 붉은 구슬꽃과 잎이며, 자거나무에는 자거뿌리와 자거가지에 온갖 보배 꽃과 온갖 보배 잎이 있다.
그 일곱 겹 담장을 살펴보면 담장마다 네 개의 문이 있고 문에는 난간이 있다. 일곱 겹의 담장 위에는 모두 누각이 둘러있고 그 주위에는 동산숲과 목욕하는 연못이 있는데 온갖 보배 꽃이 피어 있고 잎이 돋아난 보배나무는 줄지어 서 있고 꽃과 열매가 무성하며, 향기로운 바람이 사방에서 일어나 사람들의 마음을 기쁘게 한다. 오리ㆍ기러기ㆍ원앙새 따위의 색다르고 기이한 수천 종의 새들은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고 있다.
또 수미산왕의 중턱에 있는 층계로 된 길의 너비는 40유순이고, 길 양 옆에는 일곱 겹의 보배담장과 일곱 겹의 보배난간, 일곱 겹의 보배그물, 일곱 겹의 보배가로수가 있고, 나아가 무수한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데까지의 모든 일들이 아래 층계로 된 길을 설명한 내용과 같다.
위에 있는 층계로 된 길은 그 너비가 20유순이고, 길 양 옆에는 일곱 겹의 보배담과 일곱 겹의 보배난간, 일곱 겹의 보배그물, 일곱 겹의 보배가로수가 있고, 나아가 무수한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데까지의 일들은 가운데에 있는 층계로 된 길을 설명한 내용과 같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그 아래 층계의 길에는 가루라(伽樓羅)라는 귀신이 살고 있고, 가운데 층계 길에는 지만(持鬘)이라는 귀신이 살고 있으며, 위 층계 길에는 희락(喜樂)이라는 귀신이 살고 있다. 그곳에는 네 개의 봉우리[埵]가 솟아나 있는데 높이는 4만 2천 유순이다.
사천대왕(四天大王)이 살고 있는 궁전에는 일곱 겹의 보배성과 일곱 겹의 보배난간, 일곱 겹의 보배그물, 일곱 겹의 보배가로수와 온갖 보배방울이 있고 나아가 무수한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데까지의 일들은 역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수미산 꼭대기에는 삼심삼천(三十三天)의 궁전이 있다. 이 궁전에는 일곱 겹의 보배성, 일곱 겹의 보배난간, 일곱 겹의 보배그물, 일곱 겹의 보배가로수가 있고 나아가 무수한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데까지의 일들은 역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삼심삼천을 지나 또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염마천(焰摩天)의 궁전이 있고, 염마천의 궁전을 지나 또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도솔천의 궁전이 있으며, 도솔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화자재천(化自在天)의 궁전이 있고, 화자재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궁전이 있으며, 타화자재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범가이천(梵加夷天:梵天)의 궁전6)이 있다.
타화자재천과 범가이천의 중간에 마천(魔天)의 궁전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6천 유순이고, 궁전 담장은 일곱 겹이고, 보배난간, 보배그물, 보배가로수도 역시 일곱 겹이고, 나아가 무수한 새들이 화답하여 지저귀는 데까지의 일들도 또한 그와 같다.
범가이천의 궁전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광음천(光音天)의 궁전이 있고, 광음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변정천(遍淨天)의 궁전이 있고, 변정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과실천(果實天)의 궁전이 있고, 과실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무상천(無想天)의 궁전이 있고, 무상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무조천(無造天)의 궁전이 있고, 무조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무열천(無熱天)의 궁전이 있고, 무열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선견천(善見天)의 궁전이 있고, 선견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대선견천(大善見天)의 궁전이 있고, 대선견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색구경천(色究竟天)의 궁전이 있다.
색구경천을 지나 그만한 거리의 곱절을 가면 공처지천(空處智天:空無邊處天)ㆍ식처지천(識處智天:識無邊處天)ㆍ무소유처지천(無所有處智天:無所有處天)ㆍ유상무상처지천(有想無想處智天:非想非非想處天)이 있다. 이와 같은 것들을 통틀어 중생이 사는 경계[衆生邊際]요, 중생이 사는 세계라고 이름한다. 일체 중생의 나고ㆍ병들고ㆍ늙고ㆍ죽고, 음(陰)을 받고 유(有)를 받는 것이 모두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3) 범어로 buddha-ketra이고 불토(佛土) 또는 불국(佛國)이라고 한다. 한 부처님이 교화하는 세계의 범위를 1불찰이라고 한다.
4) 인도의 거리 단위. 1유순은 우리 나라의 30~40리에 해당함.
5) 모양의 단단한 흙. 여기서는 보배로 이루어져 수미산 꼭대기에서 바다에 이르는 길고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6) Brahma kāyika-bhavana이고 정신(淨身)으로 한역한다. 색계 초선천(初禪天)의 통칭이다."
星雲, "四洲".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四洲:  梵語 catvāro dvīpāh,巴利語 cattāro dīpā。古代印度人之世界觀,謂於須彌山四方,七金山與大鐵圍山間之鹹海中,有四個大洲。又稱四大部洲、四大洲、四天下、須彌四洲、四洲形量。
 據大唐西域記卷一、俱舍論光記卷八等記載,四洲即:(一)東勝身洲(梵 Pūrva-videha),舊稱東弗婆提、東毘提訶,或東弗于逮。略稱勝身(梵 Videha,毘提訶)。以其身形殊勝,故稱勝身。地形如半月,人面亦如半月。(二)南贍部洲(梵 Jambu-dvīpa),舊稱南閻浮提。贍部(梵 jambu)原爲蒲桃樹之音譯,本洲即以此樹而得名。地形如車箱,人面亦然。(三)西牛貨洲(梵 Apara-godānīya),舊稱西瞿耶尼。以牛行貿易而得名。地形如滿月,人面亦然。(四)北俱盧洲(梵 Uttara-kuru),舊稱北鬱單越。俱盧,意謂勝處,以其地勝於上述三洲而得名。地形正方,猶如池沼,人面亦然。
 日、月、星辰圍繞於須彌山腹,普照四天下。又四大洲各有二中洲與五百小洲,四大洲及八中洲皆住人,二千小洲則或住人或不住人。北洲之果報最勝,樂多苦少,惟無佛出世,故爲八難之一。四洲各有特殊之三事:(一)南洲,住民勇猛強記而能造業行、能修梵行、有佛出其土,此三事勝於其他三洲及諸天。(二)東洲,其土極廣、極大、極妙。(三)西洲,多牛、多羊、多珠玉。(四)北洲,則無所繫屬、無有我所、壽命千歲。〔長阿含經卷十八閻浮提洲品、卷二十忉利天品、起世經卷一、新華嚴經卷十三、大智度論卷十、俱舍論卷十一、卷二十、法苑珠林卷二〕 p1731"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11권. p. T29n1558_p0057b27 - T29n1558_p0057c05. 9산(九山)
"如是變生金寶等已。復由業力引起別風。簡別寶等。攝令聚集成山成洲。分水甘鹹令別成立內海外海。如是九山住金輪上。入水量皆等八萬踰繕那。蘇迷盧山出水亦爾。餘八出水半半漸卑。謂初持雙出水四萬。乃至最後鐵輪圍山出水三百一十二半。如是九山一一廣量。各各與自出水量同。"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11권. pp. 507-508 / 1397. 9산(九山)
"이와 같은 금과 보배 등을 변화시켜 낳은 다음, 다시 업력에 의해 또 다른 바람을 일으켜 보배 등을 간별하여 끌어 모아 [아홉] 산을 이루었고, [네] 대륙[洲]을 성립시켰으며, 물은 단 것과 짠 것으로 나누어 내해(內海)와 외해(外海)로 별도로 성립시켰던 것이다.
이와 같은 아홉 산은 금륜 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물에 잠긴 부분의 수량은 모두 다 같이 8만 유선나이다. 그리고 소미로산의 경우 물 위로 나와 있는 부분 역시 그러하다.12) 그 밖의 다른 여덟 산의 경우 물 위로 나와 있는 부분은 [내산으로부터 외산에 이르면서] 점차 반반씩 감소하니, 이를테면 첫 번째 내산인 지쌍산이 물위로 나와 있는 부분은 4만 유선나이며, 나아가 최후인 철륜위산이 물위로 나와 있는 부분은 3백 12유선나 반이다.13) 그리고 이와 같은 9산 각각의 너비는 각기 물위로 나와 있는 자신의 높이의 양과 같다.
12) 따라서 묘고산왕은 밑의 금륜으로부터 위의 꼭대기에 이르기까지 총 16만 유선나가 된다.
13) 두 번째 내산인 지축산이 물위로 나와 있는 부분은 2만 유선나이고, 첨목산은 1만, 선견산은 5천, 마이산은 2천 5백, 상이산은 천 2백 50, 그리고 지산은 6백 25유선나이다."
이동:가 星雲, "梵世".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梵世:  梵語 brahmaloka,巴利語同。又作梵色界、梵世天、梵世界、梵界。指梵天所支配之世界。又「梵世」一詞亦可作爲色界諸天之總稱,蓋以此界之人已離淫欲之故,而古來於印度,離欲、清淨之行即稱爲梵行。〔佛藏經卷下〕 p4629"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174DTITLEB1EBA5 梵世]". 2013년 6월 2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이동:가 운허, "梵世界(범세계)".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梵世界(범세계): 【범】brahmaloka 청정한 세계란 뜻. 색계의 모든 하늘. 여기는 음욕을 여읜 범천이 있는 세계란 뜻."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A2B5E4B896rowno1 梵世界(범세계)]". 2013년 6월 2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A2B5E4B896rowno1 梵世界(범세계)]". 2013년 6월 2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이동:가 星雲, "梵眾天".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梵眾天:  梵名 Brahma-pārisadya-deva。音譯梵波梨沙天。又作梵身天。色界初禪天之第一天。以其乃大梵所有、所化、所領之天眾所住,故稱梵眾天。此天之天眾身長半由旬,壽命半劫。又梵身天,除指梵眾天外,於長阿含經卷二十亦將梵迦夷天(梵 Brahman-kāyika-deva)譯作梵身天,而爲色界初禪天之總稱。〔佛地論卷五、俱舍論卷八、卷十一、雜阿毘曇心論卷二〕(參閱「梵天」4627) p4638"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p. 585 / 740.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의 이역본
"불설장아함경 제18권
후진 홍시 연간에 불타야사ㆍ축불념 공역
[제4분] ①
30. 세기경(世紀經)1)
1) 염부제주품(閻浮提洲品)
1) 세기경은 『염부제주품』에서 『세본연품』까지 모두 12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역본으로는 서진(西晉) 시대 법립(法立)과 법거(法炬)가 공역한 『대루탄경(大樓炭經)』, 수(隋) 시대 사나굴다(闍那屈多) 등이 한역한 『기세경(起世經)』, 수 시대 달마급다(達摩笈多)가 한역한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이 있다."
운허, "大樓炭經(대루탄경)".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大樓炭經(대루탄경):
K-662, T-23. 서진(西晉)시대에 법립(法立)과 법거(法炬)가 290년에서 307년 사이에 낙양(洛陽)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루탄경』이라고 한다. 세계의 성립과 괴멸(壞滅)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루탄’(樓炭, Loka-upapatti)이란 말은 세계의 성립과 괴멸을 뜻한다. 『세기경』이나 그 밖의 이역본들이 모두 12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이 『대루탄경』에서는 제7 「고선사품(高善士品)」이 추가되어 모두 13품으로 되어 있으며, 제7품에 해당하는 다른 이역본은 없다. 『정법념처경(正法念處經)』이나 『입세아비담론(立世阿毘曇論)』 등은 이 경의 좀더 발전된 형태를 보여주는 경전들이다. 이역본으로 『기세경』ㆍ『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ㆍ『장아함경』의 제30 「세기경(世記經)」이 있다. ⇒『기세경(起世經)』ㆍ『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星雲, "大樓炭經".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大樓炭經:  略稱樓炭經。今收於大正藏第一册。內載須彌四洲之相狀、世界之成立及其破壞時期等。本經有四部同本異譯,其名稱及內容如次:(一)大樓炭經,六卷十三品(西晉法立、法炬共譯):(1)閻浮利品,(2)鬱單曰品,(3)轉輪王品,(4)泥梨品,(5)阿須倫品,(6)龍鳥品,(7)高善士品,(8)四天王品,(9)忉利天品,(10)戰鬥品,(11)小劫品,(12)災變品,(13)天地成品。
 (二)起世因本經,十卷十二品(隋代達摩笈多譯):(1)閻浮洲品,(2)鬱多羅究留洲品,(3)轉輪王品,(4)地獄品,(5)諸龍金翅鳥品,(6)阿修羅品,(7)四天王品,(8)三十三天品,(9)戰鬥品,(10)劫住品,(11)住世品,(12)最勝品。
 (三)起世經,十卷十二品(隋代闍那崛多譯):(1)閻浮洲品,(2)鬱單越洲品,(3)轉輪聖王品,(4)地獄品,(5)諸龍金翅鳥品,(6)阿修羅品,(7)四天王品,(8)三十三天品,(9)戰鬥品,(10)劫住品,(11)世住品,(12)最勝品。
 (四)長阿含卷十八以下五卷(東晉佛陀耶舍、竺佛念共譯):(1)閻浮提洲品,(2)鬱單曰品,(3)轉輪聖王品,(4)地獄品,(5)龍鳥品,(6)阿須倫品,(7)四天王品,(8)忉利天品,(9)三災品,(10)戰鬥品,(11)三中劫品,(12)世本緣品。〔開元釋教錄卷七、貞元新定釋教目錄卷十〕 p882"
법립·법거 공역 T.23, p. T01n0023_p0277a20 - T01n0023_p0277c16.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佛言諸比丘如一日月。旋照四天下時。爾所四千天下世界。有千日月。有千須彌山王。有四千天下。四千大海水。四千大龍宮。四千大金翅鳥。四千惡道。四千大惡道。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萬種種大泥梨。是名爲一小千世界。如一千小世界。爾所小千千世界。是名爲中千世界。如一中千世界。爾所中千千世界。是名爲三千世界。悉燒成敗。是爲一佛剎。佛言。比丘。是地深六百八十萬由旬。其邊無限。其地立水上。其水深四百六十萬由旬。其邊際無有限礙。大風持水。其風深二百三十萬由旬。其邊際無限。比丘其大海深八百四十萬由旬。其邊際無崖底。比丘須彌山王入大海水。深八萬四千由旬。高亦八萬四千由旬。下狹上稍稍廣。上正平。種種合四類在上止。悉滿無空缺處。諸大尊神亦在上止。諸尊復尊大神。悉在上居止。忉利天宮。在須彌山上。過忉利天。上有焰天。過炎天。有兜率天。上過兜率天。有尼摩羅天。過尼摩羅天。上有波羅尼蜜和耶越致天。過是上有梵迦夷天。過是天上有魔天。其宮廣長二十四萬里。宮壁七重。欄楯七重。刀分七重。行樹七重。周匝皆以七寶。畫妙好。金銀水精琉璃馬瑙赤眞珠車磲。金壁銀門。銀壁金門。琉璃壁水精門。水精壁琉璃門。赤眞珠壁馬瑙門。馬瑙壁赤眞珠門。車磲壁一切眾寶門。釆畫妙好。皆以七寶作之。金欄楯金柱[木*伏]銀桄。銀欄楯銀柱[木*伏]金桄。琉璃欄楯琉璃柱[木*伏]。水精欄楯水精柱[木*伏]琉璃桄。赤眞珠欄楯赤眞珠柱[木*伏]馬瑙桄。馬瑙欄楯馬瑙柱[木*伏]赤眞珠桄。車磲欄楯車磲柱[木*伏]一切妙寶作之。金刀分者銀垂。銀刀分者金垂。琉璃刀分者水精垂。水精刀分者琉璃垂。赤眞珠刀分者馬瑙垂。馬瑙刀分者赤眞珠垂。車磲刀分者一切寶垂。金樹金根金莖。銀枝葉花實。銀樹銀根銀莖。金枝葉華實。琉璃樹琉璃根莖。水精枝葉華實。水精樹水精根莖。琉璃枝葉華實。赤眞珠樹赤眞珠根。馬瑙莖枝葉華實。瑪瑙樹馬瑙根莖。赤眞珠枝葉華實。車磲樹車磲根莖。一切寶枝葉華實。彩畫殊好。皆以七寶。金銀琉璃水精赤眞珠車磲馬瑙。其門上有曲箱蓋。欄楯上有交露。樓觀下有園觀舍宅。浴地生華種種樹種種葉種種華種種實。出種種香。種種飛鳥。各各悲鳴。過魔天。上有梵迦夷天。過梵迦夷天。上有阿衞貨天。過是上有首皮斤天。過是有比呼破天。過是已有無人想天。過是已有阿和天。過是已有答和天。過是已有名須達稱天。過是已有須陀尸天。過是已有阿迦尼吒天。過是已有天。名阿竭禪天。過是已有天。名識知。過是已有天。名阿因。過是已有天。名無有思想亦不無想。乃至其上有人。生老病死。往還不復過其上數。"
법립·법거 공역, 번역자 미상 K.662, T.23, pp. 2-4 / 154.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마치 하나의 해와 달이 사천하(四天下)를 두루 비출 때 그곳의 4천(千) 천하세계에는 1천 개의 해와 달이 있고, 1천의 수미산왕(須彌山王)이 있으며, 4천 개의 천하가 있고, 4천 개의 대해가 있고, 4천 개의 대용궁(大龍宮)이 있고, 4천 개의 대금시조(大金翅鳥)가 있고, 4천 개의 악도(惡道)가 있고, 4천 개의 대악도(大惡道)가 있고, 7천 개의 갖가지 큰 나무들이 있고, 8천 개의 갖가지 거대한 산이 있고, 1만 개의 갖가지 대니리(大泥梨)가 있으니, 이것을 하나의 소천세계(小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소천세계와 같이 그곳에 소천(小千)의 천 세계가 있으니, 이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라고 한다. 하나의 중천세계처럼 그곳에 중천(中千)의 천 세계가 있으니, 이것을 삼천세계(三千世界)라고 한다. 이 삼천세계가 모두 불에 타서 이루어지거나 무너지나니, 이것을 하나의 불찰(佛刹)이라고 한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땅의 깊이는 6백80만 유순이고 그 둘레는 한없으며, 이 땅은 물 위에 서있다. 그 물의 깊이는 4백60만 유순이고, 그 둘레는 한없고 걸림이 없다. 큰 바람이 물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바람의 깊이는 2백30만 유순이며, 그 둘레는 한없다.
비구들이여, 그 대해는 깊이가 8백40만 유순이고 그 둘레는 끝도 가도 보이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수미산왕은 대해에 들어 있는데 깊이가 8만 4천 유순이요, 높이도 8만 4천 유순이다. 아래는 좁고 위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데, 위는 반듯하고 평평하여 온갖 네 가지 생류[含四類]가 위에서 살고 있으며, 모두 가득 차서 빈 곳이 없다.
여러 크고 높은 신(神)들도 거기서 살고 있고, 높고 또 높은 신들도 모두 다 위에서 살고 있다.
도리천궁(忉利天宮)은 수미산 위에 있고, 도리천을 지나서 위에는 염천(焰天)이 있고, 염천을 지나서 도솔천(兜率天)이 있고, 도솔천을 지나서 위에는 니마라천(尼摩羅天)이 있고, 니마라천을 지나서 위에는 바라니밀화야월치천(波羅尼蜜和耶越致天)이 있고, 그것을 지나면 위에 범가이천(梵迦夷天)이 있다.
이 하늘을 지나서 위에 마천(魔天)이 있는데, 그 궁전의 너비와 길이는 24만 리이다. 궁의 벽은 일곱 겹이고, 난간도 일곱 겹이며, 교로[交露]도 일곱 겹이다. 일곱 겹의 가로수가 줄지어 서 있고, 둘레는 모두 7보인 금·은· 수정·유리·마노·붉은 진주와 차거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미묘하고 좋다.
금으로 만들어진 벽에는 은으로 만든 문이 있고, 은의 벽에는 금 문이 있고, 유리 벽에는 수정 문이 있고, 수정 벽에는 유리 문이 있다. 붉은 진주 벽에는 마노 문이 있고, 마노 벽에는 붉은 진주의 문이 있으며, 차거의 벽에는 온갖 보배로 만들어진 문이 달려 있는데, 무늬와 그림이 미묘하고 보기 좋다.
모두가 7보로 만들어졌으니, 금 난간과 금 기둥과 들보에는 은 도리가 있고, 은 난간과 은 기둥과 들보에는 금 도리가 있으며, 유리 난간과 유리 기둥과 들보에는 수정 도리가 있고, 수정 난간과 수정 기둥과 들보에는 유리 도리가 있다. 붉은 진주 난간과 붉은 진주 기둥과 들보에는 마노 도리가 있고, 마노 난간과 마노 기둥과 들보에는 붉은 진주 도리가 있으며, 차거 난간과 차거 기둥과 들보에는 온갖 미묘한 보배의 도리가 만들어져 있다.
금교로에는 은이 드리워졌고, 은 교로에는 금이 드리워졌으며, 유리 교로에는 수정이 드리워졌고, 수정 교로에는 유리가 드리워졌고, 붉은 진주 교로에는 마노가 드리워졌고, 마노 교로에는 붉은 진주 교로가 드리워졌고, 차거 교로에는 온갖 보배가 드리워져 있다.
금 나무에는 금 뿌리와 금 줄기에 은으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고, 은 나무에는 은 뿌리와 은 줄기에 금으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다. 유리 나무에는 유리 뿌리와 유리 줄기에 수정으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고, 수정 나무에는 수정 뿌리와 수정 줄기에 유리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다. 붉은 진주 나무에는 붉은 진주 뿌리와 줄기에 마노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고, 마노 나무에는 마노 뿌리와 줄기에 붉은 진주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다. 차거 나무에는 차거 뿌리와 줄기에 온갖 보배로 이루어진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달려 있으니, 색깔과 그림이 아름답고 좋으며, 모두가 금·은·유리·수정·붉은 진주·차거와 마노의 7보로 이루어져 있다.
그 문 위에는 곡상개(曲箱蓋:자루가 굽은 일산)가 있고, 난간 위에는 교로가 있으며, 망루(望樓) 아래에는 동산과 큰 집이 있다. 목욕하는 못[浴池]에는 온갖 나무와 여러 가지 잎과 여러 가지 꽃과 여러 가지 열매가 자라나서 온갖 향기를 풍기고 있고, 여러 종류의 새들이 저마다 지저귀고 있다.
마천을 지나면 위에 범가이천(梵迦夷天)이 있고, 범가이천을 지나면 위에 아위화천(阿衞貨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수피근천(首皮斤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비호파천(比呼破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무인상천(無人想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아화천(阿和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위에 답화천(答和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수달칭천(須達稱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수타시천(須陀尸天)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아가니타천(阿迦尼天) 이 있고,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그 이름은 아갈선천(阿竭禪天)이다.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식지(識知)라 하고,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아인(阿因)이라 하며, 이것을 지나면 하늘이 있으니 무유사상역부무상(無有思想亦不無想)이라 한다. 나아가 그 위로는 어떤 사람이라도 나고 늙고 병들고 죽고 가고 오되, 더 이상 그 수(數:범주)를 넘지는 않는다.”"
운허, "起世經(기세경)".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起世經(기세경):
K-660, T-24. 수(隋)나라 때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585년에서 600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사바제성(舍婆提城) 가리라(迦利羅) 석실(石室)에 계실 적에 여러 비구에게 세계와 국토의 조직ㆍ기원ㆍ성립ㆍ파괴 등의 까닭과 그 과정을 말한 것이다. 섬부주품(贍部洲品)ㆍ울단월주품(鬱單越州品)ㆍ전륜성왕품(轉輪聖王品)ㆍ지옥품(地獄品)ㆍ제용금시조품(諸龍金翅鳥品)ㆍ아수라품(阿修羅品)ㆍ 4천왕품(天王品)ㆍ33천품(天品)ㆍ전투품(戰鬪品)ㆍ겁주품(劫住品)ㆍ세주품(世住品)ㆍ최승품(最勝品) 등 12품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은 『대루탄경(大樓炭經)』과 거의 유사하다. 이역본으로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ㆍ『대루탄경』과 『장아함경』의 제4분에 있는 「세기경(世記經)」이 있다. ⇒『대루탄경(大樓炭經)』"
星雲, "起世經".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起世經:  凡十卷。隋代闍那崛多譯。收於大正藏第一册。其內容敘述世界之組織、狀態、起源、成壞等過程。分閻浮洲品、鬱單越洲品、轉輪聖王品、地獄品、諸龍金翅鳥品、阿修羅品、四天王品、三十三天品、鬥戰品、劫住品、世住品、最勝品等十二品。本經共有六種譯本,然現存者僅四種,除本經外,餘三者爲起世因本經(隋代達磨笈多譯)、大樓炭經(西晉法立、法炬共譯)、長阿含經卷十八至卷二十二(東晉佛陀耶舍、竺佛念共譯)。〔出三藏記集卷二、大唐內典錄卷七、開元釋教錄卷二、卷四、卷七〕 p4322"
이동:가 운허, "沙婆(사바)".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沙婆(사바): 【범】 Sabhā 인토(忍土)ㆍ감이토(堪忍土)ㆍ인계(忍界)라 번역. 우리가 사는 이 세계. ⇒감인세계(堪忍世界)"
이동:가 운허, "堪忍世界(감인세계)".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堪忍世界(감인세계): 【범】 sahāloka-dhātu 사바(裟婆)ㆍ색하(索訶)라 음역. 우리들이 살고 있는 세계. 이 세계의 중생들은 10악(惡)을 참고 견디며, 또 이 국토에서 벗어나려는 생각이 없으므로 자연히 중생들 사이에서 참고 견디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는 뜻으로 하는 말. 또는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수고를 견디어 받는다는 뜻으로 감인세계라 함. ⇒사바(沙婆)"
사나굴다 한역 T.24,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 T01n0024_p0310b08 - T01n0024_p0311b06.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佛言。比丘。如一日月所行之處。照四天下。如是等類。四天世界。有千日月所照之處。此則名爲一千世界。諸比丘。千世界中。千月千日千須彌山王。四千小洲。四千大洲。四千小海。四千大海。四千龍種姓。四千大龍種姓。四千金翅鳥種姓。四千大金翅鳥種姓。四千惡道處種姓。四千大惡道處種姓。四千小王。四千大王。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十千種種大泥犁。千閻摩王。千閻浮洲。千瞿陀尼。千弗婆提。千鬱單越。千四天王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兜率陀天。千化樂天。千他化自在天。千摩羅天。千梵世天。諸比丘。於梵世中。有一梵王。威力最強。無能降伏。統攝千梵自在王領。云我能作能化能幻。云我如父。於諸事中。自作如是憍大語已。即生我慢。如來不爾。所以者何。一切世間。各隨業力。現起成立。諸比丘。此千世界。猶如周羅(周羅者隋言髻)。名小千世界。諸比丘。爾所周羅一千世界。是名第二中千世界。諸比丘。如此第二中千世界。以爲一數。復滿千界。是名三千大千世界。諸比丘。此三千大千世界。同時成立。同時成已而復散壞。同時壞已而復還立。同時立已而得安住。如是世界。周遍燒已。名爲散壞。周遍起已。名爲成立。周遍住已。名爲安住。是爲無畏一佛剎土眾生所居。諸比丘。今此大地。厚四十八萬由旬。周闊無量。如是大地。住於水上。水住風上。風依虛空。諸比丘。此大地下。所有水聚。厚六十萬由旬。周闊無量。彼水聚下。所有風聚。厚三十六萬由旬。周闊無量。諸比丘。此大海水。最極深處。深八萬四千由旬。周闊無量。諸比丘。須彌山王。下入海水。八萬四千由旬。上出海水。亦八萬四千由旬。須彌山王。其底平正。下根連住大金輪上。諸比丘。須彌山王。在大海中。下狹上闊。漸漸寬大。端直不曲。大身牢固。佳妙殊特。最勝可觀。四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須彌山上。生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其香遠熏。遍滿諸山。多眾聖賢。最大威德。勝妙天神之所止住。諸比丘。須彌山王。上分有峰。四面挺出。曲臨海上。各高七百由旬。殊妙可愛。七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眞珠車磲瑪瑙之所莊挍。諸比丘。須彌山下。別有三級。諸神住處。其最下級。縱廣正等。六十由旬。七重牆院。七重欄楯。七重鈴網。復有七重多羅行樹。周匝圍遶。端嚴可愛。其樹皆以金銀琉璃頗梨赤珠車磲瑪瑙七寶所成。一一牆院。各有四門。於一一門。有諸壘堞重閣輦軒卻敵樓櫓臺殿房廊苑園池沼。具足莊嚴。一一池中。竝出妙華。散眾香氣。有諸樹林。種種莖葉。種種花果悉皆具足。亦出種種殊妙香氣。復有諸鳥。各出妙音。鳴聲間雜。和雅清暢。其第二級。縱廣正等。四十由旬。七重牆院。七重欄楯。七重鈴網。多羅行樹亦有七重。周匝齊平。端嚴可愛。亦爲七寶。金銀琉璃頗梨赤珠車磲瑪瑙之所挍飾。所有莊嚴。門觀樓閣臺殿園池果樹眾鳥。皆悉具足。其最上級。縱廣正等。二十由旬。七重牆院。乃至諸鳥。各出妙音。莫不具足。諸比丘。於下級中。有夜叉住。名曰缽手。第二級中。有夜叉住。名曰持鬘。於上級中。有夜叉住。名曰常醉。諸比丘。須彌山半。高四萬二千由旬。有四大天王所居宮殿。須彌山上。有三十三天宮殿。帝釋所居。三十三天已上一倍。有夜摩諸天所居宮殿。夜摩天上。又更一倍。有兜率陀天所居宮殿。兜率天上。又更一倍。有化樂諸天所居宮殿。化樂天上。又更一倍。有他化自在諸天宮殿。他化天上。又更一倍。有梵身諸天所居宮殿。他化天上。梵身天下。於其中間。有摩羅波旬諸天宮殿。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間別有諸天宮殿所居之處名無想眾生。倍不麤上。有不惱天。倍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天。倍善現上。有阿迦尼吒諸天宮殿。諸比丘。阿迦尼吒已上。更有諸天。名無邊空處。無邊識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此等皆名諸天住處。諸比丘。如是處所。如是界分。眾生居住。是諸眾生。若來若去。若生若滅。邊際所極。此世界中。所有眾生。有生老死。墮在如是生道中住。至此不過。是名娑婆世界無畏剎土。諸餘十方一切世界。亦復如是。"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660, T.24,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p. 2-6 / 222.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비구들아, 하나의 해와 달이 다니면서 사천하를 비추는 것처럼 이와 같은 4천하에 천 개의 해와 달이 있어 비추어지는 곳을 곧 1천 세계라고 한다.
비구들아, 천 세계 중에는 천 개의 달과 천 개의 해와 천 개의 수미산왕과 4천 소주(小洲)와 4천 대주(大洲)와 4천 소해(小海)와 4천 대해(大海)가 있으며, 4천의 용 종족과 4천의 큰 용 종족과 4천의 금시조(金翅鳥) 종족과 4천의 큰 금시조 종족과 4천의 나쁜 길 처소[惡道處]의 종족과 4천의 크게 나쁜 길 처소의 종족과 4천의 소왕(小王), 4천의 대왕, 7천의 갖가지 큰 나무, 8천의 갖가지 큰 산들과 10천의 갖가지 큰 니리(泥犁 : 지옥)들, 그리고 천의 염마왕(閻摩王), 천의 염부주, 천의 구타니(瞿陀尼), 천의 불파제(弗婆提), 천의 울단월(鬱單越)과 천의 사천왕천, 천의 삼십삼천, 천의 야마천, 천의 도솔타천, 천의 화락천, 천의 타화자재천, 천의 마라천과 천의 범세천(梵世天)이 있다.
비구들아, 범세(梵世) 안에 범왕(梵王)이 한 명 있는데 위력이 가장 강하여 항복시킬 이 없으며, 천의 범자재왕(梵自在王)의 영역을 모두 거느리면서 '나는 능히 짓고 능히 변화하고 능히 홀릴 수도 있다'고 말하고, '나는 아버지와 같은 이다'라고 말하며, '모든 일에서 가운데서 스스로 이렇게 교만하여 큰소리를 치며 아만(我慢)을 내지만 여래는 그렇지 않다. 왜냐 하면 일체 세간은 저마다 업의 힘을 따라 나타나 일어나고 성립되기 때문이다.
비구들아, 이 천 세계는 마치 주라(周羅)[주라(周羅)는 수(隋)나라 말로 계(髻)이다.]와 같은데, 소천(小千)세계라 한다.
비구들아, 그렇게 많은 주라의 1천 세계를 바로 제2의 중천(中千)세계라 한다.
비구들아, 이러한 제2의 중천세계를 하나의 수[一數]로 하여 다시 천(千)의 세계가 차면 이것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 한다.
비구들아, 이 삼천대천세계는 동시에 성립되며, 동시에 성립된 뒤에 다시 무너지며, 동시에 무너지고 난 뒤에 다시 도로 성립되며, 동시에 성립되고 나서 편안히 머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세계가 두루 다 타 버리면 무너졌다[散壞]고 하고, 두루 다 일어나면 성립되었다[成立] 하며, 두루 머무르면 편안히 머무른다[安住]라고하니, 이것이 두려움 없는 한 부처님 세계[一佛刹土]의 중생들이 사는 곳이 된다.
비구들아, 지금 이 대지(大地)는 두께가 48만 유순이고, 둘레는 넓이가 한이 없다. 이와 같은 대지는 물 위에 머무르고, 물은 바람 위에 머무르고, 바람은 허공에 의지해 있다.
비구들아, 이 대지 아래 있는 물 더미는 두께가 60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그 물 더미 아래 있는 바람 더미는 두께가 36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비구들아, 이 큰 바닷물은 가장 깊은 곳의 깊이가 8만 4천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은 아래로 바닷물에 잠긴 것이 8만 4천 유순이고, 바닷물 위로 드러난 것이 또한 8만 4천 유순이다. 수미산왕은 그 바닥이 평평하고 반듯하며 아래 뿌리는 큰 금륜(金輪) 위에 연달아 머물러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은 대해 속에 있는데 아래는 좁고 위는 넓어서 점점 커지고, 끝이 곧아서 굽지 않았으며, 큰 몸은 매우 단단하고, 아름답고 미묘하며 참으로 특이하여 가장 훌륭하며 볼 만한데, 금·은·유리·파리(頗梨)의 네 가지 보석이 합해서 이루어졌다. 수미산 위에는 갖가지 나무가 자라나 있는데, 그 나무는 울창하여 온갖 향기를 내는데 그 향기는 멀리 풍겨서 모든 산에 두루 찬다. 또 성현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고, 최대의 위덕을 지닌 훌륭하고 묘한 천신들이 그곳에 살고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의 윗부분에 봉우리가 있는데 사면이 쑥 솟아났고 굽어져서 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으며, 각각의 높이는 7백 유순이다. 참으로 미묘하고 사랑스러우며, 일곱 가지의 보석이 합해서 이루어졌으니, 즉, 금·은·유리·파리·진주·차거(車)·마노(瑪瑙)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 아래에는 각각 세 등급이 있어 모든 신들이 그곳에서 살고 있다.
그 중 제일 낮은 등급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60유순이다. 일곱 겹의 담장과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있으며, 다시 일곱 겹으로 줄지어선 다라(多羅) 나무들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데, 단정하게 꾸며져 있어 사랑스럽다. 그 나무들은 모두 금·은·유리·파리·적주(赤珠)·차거·마노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하나의 담장에는 각각 네 개의 문이 있고, 하나하나의 문에는 여러 성가퀴[壘堞:성벽 위에 쌓은 나지막한 담]·누각(壘閣)·가마[輦]·수레[軒]·망루·돈대[臺殿 : 높이 흙을 돋은 일종의 둑]·곁채·초목과 동물을 기르는 동산[苑囿]과 못들이 있어서 빠짐없이 갖추어졌고 화려하게 꾸며졌다.
하나하나의 못에서는 미묘한 꽃들이 시샘하듯 피어나서 온갖 향기를 퍼뜨리며, 여러 나무숲에는 갖가지 줄기와 잎과 갖가지의 꽃과 과일이 빠짐없이 두루 갖추어져 있고, 또한 온갖 미묘하고 아름다운 향기를 풍기며, 다시 여러 새들이 있어서 각각 묘한 음성을 내며 우짖는 소리가 엇섞이고 있으니, 그 소리는 온화하며 맑고 유창하다.
그 둘째 등급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40유순이고, 일곱 겹의 담장과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있고, 줄지어 선 다라 나무들도 일곱 겹으로 둘레가 가지런하고 평평하며 단정하게 꾸며져서 사랑스러우며, 또한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으니 금·은·유리·파리·적주·차거와 마노로 장식되어 온통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문루와 누각과 돈대와 동산·못·과일 나무와 뭇 새들도 모두 고루 다 갖추어져 있다.
그 맨 위의 등급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20유순인데, 일곱 겹의 담장과 …… 뭇 새들이 각각 미묘한 음성을 내는 등 어느 것 하나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비구들아, 맨 아래급에는 발수(鉢手)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제2급에는 지만(持鬘)이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상급에는 상취(常醉)라는 야차가 살고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 중턱 높이 4만 2천 유순되는 곳에 사대천왕(四大天王)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으며, 수미산 위에는 삼십삼천의 궁전이 있는데 제석(帝釋)이 살고 있다. 삼십삼천에서 한 갑절 올라가면 야마천(夜摩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야마천에서 위로 또 한 갑절 올라가면 도솔타천(兜率陀天)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도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화락천(化樂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화락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타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범신천(梵身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타화천 위와 범신천 아래의 그 중간에는 마라파순천(魔羅波旬天)들의 궁전이 있고, 범신천을 갑절 오르면 광음천(光音天)이 있고, 광음천을 갑절 오르면 변정천(遍淨天)이 있고, 변정천을 갑절 오르면 광과천(廣果天)이 있고 광과천을 갑절 오르면 불추천(不麤天)이 있다. 광과천 위와 불추천 아래의 그 중간에 따로 무상중생(無想衆生)이라 이름하는 하늘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불추천을 갑절 오르면 불뇌천(不惱天)이 있고, 불뇌천을 갑절 오르면 선견천(善見天)이 있고, 선견천을 갑절 오르면 선현천(善現天)이 있고, 선현천을 갑절 오르면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들의 궁전이 있다.
비구들아, 아가니타천 위에 다시 여러 하늘이 있는데, 무변공처(無邊空處)·무변식처(無邊識處)·무소유처(無所有處)·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라 하나니, 이들은 모두 하늘들이 살고 있는 곳의 이름이다.
비구들아, 이와 같은 처소와 이와 같은 지경에 중생들이 살고 있는데, 이 모든 중생들은 오고 가기도 하며 났다가 없어지기도 하여 끝끝내 다하느니라. 이 세계 안의 모든 중생들은 나고·늙고·죽음이 있으며, 이와 같이 나는 길[生道] 가운데 떨어져 머무르며 여기에서 더 지나가지 못하니, 이것이 사바 세계요, 두려움 없는 국토[無畏刹土]이다.
나머지 모든 시방의 일체 세계들도 그와 같다."
운허, "起世因本經(기세인본경)". 2013년 6월 27일에 확인
"起世因本經(기세인본경):
K-661, T-25. 수(隋)나라 때 달마급다(達磨笈多, Dharmagupta)가 605년에서 617년 사이에 동도(東都)의 상림원(上林園)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기세경(起世經)』이라고 한다. 세계의 성립(成立)과 괴멸(壞滅)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모두 12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대루탄경(大樓炭經)』과 거의 일치한다. 이역본으로 『기세경』ㆍ『대루탄경』ㆍ『장아함경』의 제30 『세기경(世記經)』이 있다. ⇒『대루탄경(大樓炭經)』"
달마급다 한역 T.25,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 T01n0025_p0365b19 - T01n0025_p0366b17.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爾時佛告諸比丘言。諸比丘。如一日月所行之處。照四天下。爾所四天下世界。有千日月。諸比丘。此則名爲一千世界。諸比丘。千世界中。千月千日千須彌山王。四千小洲四千大洲。四千小海四千大海。四千龍種姓四千大龍種姓。四千金翅鳥種姓四千大金翅鳥種姓。四千惡道處種姓四千大惡道處種姓。四千小王四千大王。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十千種種大泥犁。千閻摩羅王。千閻浮洲。千瞿陀尼。千弗婆提。千鬱多囉究留。千四天王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兜率陀天。千化樂天。千他化自在天。千諸摩囉天。千梵世天。諸比丘。彼梵世中有一梵主。威力最強無能降者。統攝千梵自在王領。云我能作能化能幻。云我如父於諸事中自作。如是憍大語言。即生我慢。如來不然。所以者何。一切世間各隨業力現成此世。諸比丘。如此小千世界。猶如周羅(周羅者隋言髻也外國人頂上結少許長髮爲髻)。名千世界。諸比丘。爾所周羅一千世界。是名第二中千世界。諸比丘。如一第二中千世界。爾所中千一千世界。是名三千大千世界。諸比丘。此三千大千世界。一時轉合。一時轉合已而還復散。一時轉散已而復還合。一時轉合已而安住。如是世界周匝轉燒。名爲敗壞。周匝轉合。名爲成就。周匝轉住。名爲安立。是爲無畏一佛剎土眾生所居。諸比丘。此大地厚四十八萬由旬。邊廣無量。諸比丘。此之大地住於水上。水住風上。風依虛空。諸比丘。此大地下所有水聚。彼水聚厚六十萬由旬。邊廣無量。彼水聚下所有風聚。彼風聚厚三十六萬由旬。邊廣無量。諸比丘。其大海水最甚深處。深八萬四千由旬。邊廣無量。諸比丘。其須彌山王。入海水中八萬四千由旬。出海水上亦八萬四千由旬。諸比丘。須彌山王。其底平正。下根連住大金輪上。諸比丘。其須彌山王。於大海中。下狹上廣。漸漸寬大。端直不曲。牢固大身。微妙最極。殊勝可觀。四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生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其香遠熏。遍滿諸山。多眾聖賢。最大威德勝妙天神之所住止。諸比丘。須彌山王。上分之中。四方有峰。其峰傍挺角出。各高七百由旬。微妙可喜。七寶所成。所謂金銀琉璃頗梨赤眞珠車磲馬瑙等之所莊嚴。曲臨海上。諸比丘。其須彌山下有三級。諸神住處。其最下級。縱廣六十由旬。七重牆壁。七重欄楯。七重鈴網。復有七重多羅行樹。周匝圍遶。可喜端正。其樹皆以金銀琉璃頗梨赤眞珠車磲馬瑙等七寶所成。其諸牆壁各有四門。彼一一門有諸壘堞。具足莊嚴。重閣輩軒卻敵樓櫓臺殿房廊。樹林苑等。并諸池沼。池出妙華眾雜香氣。有種種樹種種莖葉種種華果。悉皆具足。亦出種種微妙諸香。復有諸鳥。各出妙音。鳴聲間雜。和雅清徹。其中分級。縱廣四十由旬。所有莊嚴七重牆壁。欄楯鈴網。多羅行樹。可喜齊平。周匝端正。亦爲七寶金銀琉璃頗梨赤眞珠車磲馬瑙等之所挍飾。門觀樓閣臺殿。園池果樹及以眾鳥。皆悉具足。其上分級。縱廣二十由旬。七重牆壁。乃至諸鳥。各出妙音。諸比丘。其下級中。有夜叉住。名曰缽手。其中級中。有諸夜叉。名曰持鬘。其上級中。有諸夜叉。名曰常醉。諸比丘。須彌山半。四萬二千由旬中。有四大天王宮殿。諸比丘。須彌山上。有三十三諸天宮殿。帝釋所住。三十三天。向上一倍。有夜摩諸天宮殿住。其夜摩天。向上一倍。有兜率陀諸天宮殿住。其兜率天。向上一倍。有化樂諸天宮殿住。其化樂天。向上一倍。有他化自在諸天宮殿住。其他化自在天。向上一倍。有梵身諸天宮殿住。其他化上梵身天下。於其中間。有魔波旬諸宮殿住。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間別有諸天宮住。名爲無想眾生所居。倍不麤上。有不惱天。倍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天。倍善現上。則是阿迦尼吒諸天宮殿。諸比丘。阿迦尼吒上。更有諸天。名無邊虛空處天。無邊識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此等盡名諸天住處。諸比丘。如是之處。如是界分。眾生所住。如是眾生。若來若去。若生若滅。邊際所極。是世界中。諸眾生輩。有生老死墮在。如是生道中住。至此不過。是故說言娑婆世界無畏剎土。自餘一切諸世界中。亦復如是。"
달마급다 한역, 김영률 번역 K.661, T.25,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p. 2-6 / 218.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이 때 부처님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비구들이여, 한 해와 달이 운행하면서 사천하(四天下)를 비추는 것과 같이 이 사천하의 세계에는 천(千)의 해와 달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이름하여 1천세계(千世界)라 한다. 비구들이여, 천세계(千世界) 가운데는 천(千)의 달(月)과 천의 해[日], 천의 수미산왕(須彌山王)과 4천의 소주(小洲)와 4천의 대주(大洲), 4천의 소해(小海)와 4천의 대해(大海), 4천의 용 종성(龍種姓)과 4천의 대용 종성, 4천의 금시조 종성(金翅鳥種姓)과 4천의 대금시조 종성, 4천의 악도처 종성(惡道處種姓)과 4천의 대악도처 종성, 4천의 소왕(小王)과 4천의 대왕, 7천의 온갖 큰 나무와 8천의 온갖 큰 산, 십천(十千)의 가지가지 대니려(大泥犁), 천의 염마라왕(閻摩羅王), 천의 염부주(閻浮洲), 천의 구타니(瞿陀尼), 천의 불바제(弗婆提), 천의 울다라구류(鬱多囉究留), 천의 사천왕천(四天王天)과 천의 삼십삼천(三十三天), 천의 야마천(夜摩天), 천의 도솔타천(兜率陀天), 천의 화락천(化樂天), 천의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천의 모든 마라천(摩囉天), 천의 범세천(梵世天)이 있다.
비구들이여, 그 범세(梵世) 가운데는 한 범주(梵主)가 있는데 위력이 막강하여 항복하지 않는 자가 없다. 그는 천의 범자재왕(梵自在王)의 영토를 통치하면서 ‘나는 능히 조화(造化)하고 환술(幻術)을 부린다. 나는 어버이와 같아 모든 일을 마음대로 조작한다’ 하며 거만하게 큰 소리를 치며 아만을 내지만 여래께서는 그렇지가 않다. 왜냐하면 모든 세간은 각각 업력에 따라서 이러한 세상이 나타나고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모든 비구들이여, 이러한 소천세계(小千世界)는 마치 주라(周羅)[주라라 하는 것은 수(隋)나라 말로 상투이다. 다른 나라 사람의 정수리에 조금 긴 머리를 묶은 것이 상투이다.]와 같아서 이름을 천세계(千世界)라 한다. 모든 비구들이여, 이러한 주라 1천세계를 합한 것으로 제이(第二)의 중천세계(中千世界)라 한다. 모든 비구들이여, 제일(第一)과 같이 제이(第二)의 중천세계에도 이러한 중천(中千) 1천세계가 있는데 이를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 한다.
모든 비구들이여, 이 삼천대천세계는 일시에 합해지고, 일시에 합해졌다가는 다시 흩어지며, 일시에 흩어졌다가는 다시 합하게 되고 일시에 합하여져서는 안주(安住)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계가 둘러싸여 유전(流轉)하다가 타버리는 것[燒]을 패괴(敗壞)라고 하며, 둘러싸여 유전하다가 합해지는 것을 성취(成就)라고 하며, 둘러싸여 유전하다가 머무는 것을 안립(安立)이라 한다. 이것이 두려움 없는[無畏] 부처님 세계[佛刹土]의 중생이 사는 곳이다.
비구들이여, 이 대지(大地)의 깊이는 48만 유순(由句)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비구들이여, 이 대지는 물 위에 머무는데 물은 바람 위에 머물고, 바람은 허공에 의지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대지 밑에는 물이 모여 있는데 그 물의 깊이는 60만 유순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그 물 아래에는 바람이 모여 있는데 그 바람의 두터움은 36만 유순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비구들이여, 그 대해(大海)의 물이 가장 깊은 곳은 8만 4천 유순이고 둘레와 너비는 한량이 없다.
비구들이여, 그 수미산왕은 바닷물 속으로 8만 4천 유순이나 들어갔고 물 위로 나온 것도 역시 8만 4천 유순이다.
비구들이여, 수미산왕은 그 밑이 평평하고 똑바른데 밑바닥은 대금륜(大金輪) 위에 이어져 있다. 비구들이여, 그 수미산왕은 큰 바다 가운데 아래는 좁고 위는 넓어 점점 넓어지고 커지며 곧게 솟아 굽지 않았다. 견고한 큰 몸은 미묘의 극치를 이루고 뛰어나 참으로 볼 만하다. 금·은·유리(琉璃)·파리(頗梨)의 네 가지 보물로 이루어졌는데 온갖 종류의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지고, 가지가지의 향기가 멀리 풍기어 모든 산에 두루 가득하다. 많은 무리의 성현(聖賢)과 최대의 위엄과 덕이 빼어나고 영묘(靈抄)한 천신(天神)이 머물러 있는 곳이다.
비구들이여, 수미산왕의 윗부분 가운데는 사방에 봉우리가 있고 그 봉우리 곁에 각(角)이 솟았는데 높이가 각각 7백 유순이며 미묘하고 훌륭하다. 이른바 금·은·유리·파리·적진주(赤眞珠)·자거(車磲)·마노(馬瑙) 등의 7보(寶)로 장엄되어 있고 비스듬히 굽어 바다에 임해 있다.
비구들이여, 그 수미산 아래에는 세 층[級]이 있어 모든 신들이 살고 있다. 가장 아래층은 세로와 너비가 60유순인데 일곱 겹의 장벽과 일곱 겹의 난간, 일곱 겹의 그물, 다시 일곱 겹의 다라항수(多羅行樹)가 주위를 빙 둘러 싸고 있어 아름답고 단정하다. 그 나무는 모두 금·은·유리·파리·적진주·자거·마노 등의 7보로 이루어졌다. 그 모든 장벽에는 각각 네 개의 문이 있고 그 하나하나의 문에는 모두 성가퀴[壘堞]가 있는데 장엄함을 구족했다. 중각(重閣)·연헌(輦軒)·각적(却敵)·누로(樓櫓)·대전(臺殿)·방랑(房廊)·수림원(樹林苑) 등과 아울러 여러 못이 있는데, 못에서는 묘한 꽃이 솟아나 온갖 향기를 풍기고 여러 가지 나무와 여러 가지 줄기와 잎과 여러 가지 꽃과 과일이 다 갖추어졌으며 역시 여러 가지 미묘한 향기를 내고 있다. 또한 갖가지 새가 있어서 묘한 소리[妙音]를 내는데 서로 섞이어 지저귀는 소리가 화합하여 청아(淸雅)하다.
수미산의 중간층은 세로와 너비가 40유순인데 장엄되어 있고, 일곱 겹의 장벽·난간·그물·다라항수(多羅行樹)가 참으로 아름답게 가지런하고 단정하게 둘러져 있으며, 역시 금·은·유리·파리·적진주·자거·마노 등의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문관(門觀)·누각·대전·동산·못·과일나무와 많은 새들이 다 구족되어 있다.
그 위층은 세로가 20유순인데, 일곱 겹의 장벽 나아가 많은 새들이 각기 묘음을 낸다.
비구들이여, 그 아래층에는 야차(夜又)가 살고 있는데 이름은 발수(鉢手)라 한다. 그 중간층에도 여러 야차가 있는데 이름을 지만(持鬘)이라 하고, 그 위층에도 여러 야차가 있는데 이름을 상취(常醉)라 한다.
비구들이여, 수미산 중턱 4만 2천 유순에 사대천왕의 궁전이 있다. 비구들이여, 수미산 위에는 33개의 모든 하늘 궁전[天宮殿]이 있고 제석(帝釋)이 머물고 있다. 삼십삼천을 위로 한 배(倍)하여 야마(夜摩)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고, 그 야마천 위로 한 배하여 도솔타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으며, 그 도솔타천을 위로 한 배하여 화락(化樂)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고, 그 화락천을 위로 한 배하여 타화자재(他化自在)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으며, 그 타화자재천을 위로 한 배하여 범신(梵身)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는데, 그 타화자재천 위와 범신천의 아래 중간에 마왕 파순[魔波旬]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다. 범신천을 위로 배하여 광음천(光音天)이 있고, 광음천을 위로 배하여 변정천(遍淨天)이 있으며, 변정천을 위로 배하여 광과천(廣果天)이 있고, 광과천을 위로 배하여 불추천(不麤天)이 있으며, 광과천 위와 불추천 아래 사이에 따로 모든 하늘 궁전이 있는데 무상중생(無想衆生)이 살고 있는 곳이라 한다.
불추천을 위로 배하여 불뇌천(不惱天)이 있고, 불뇌천을 위로 배하여 선견천(善見天)이 있다. 선견천을 위로 배하여 선현천(善現天)이 있고, 선현천을 위로 배하여 아가니타(阿迦尼吒)의 모든 하늘 궁전이 있다.
비구들이여, 아가니타 위에 다시 모든 하늘이 있어 이름을 무변허공처천(無邊虛空處天)·무변식처천(無邊識處天)·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이라 하는데, 이들은 모든 하늘의 주처(住處)를 모두 이름한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은 처소와 이와 같은 세계에 중생들이 살고 있다. 이러한 중생은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고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것이 끝이 없다. 이런 세계 가운데서 모든 중생들은 나고 늙고 죽는 데에 떨어져 이와 같이 나는 길[生道] 가운데에 머물고 여기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사바세계(娑婆世界)요, 두려움 없는 세계[無畏刹土]라 한다. 나머지 모든 세계도 역시 이와 같다."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11권. p. T29n1558_p0061a03 - T29n1558_p0061a12.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齊何量說小中大千。頌曰。
  四大洲日月  蘇迷盧欲天
  梵世各一千  名一小千界
  此小千千倍  說名一中千
  此千倍大千  皆同一成壞
論曰。千四大洲乃至梵世。如是總說爲一小千。千倍小千名一中千界。千中千界總名一大千。如是大千同成同壞。同成壞相後當廣辯。"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11권. pp. 538-539 / 1397.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양을 소천·중천·대천 세계라고 설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4대주(大洲)와 해와 달과
  소미로산과 욕계의 천과
  범세(梵世)가 각기 1천 개인 것을
  1소천세계라고 이름한다.
  四大洲日月 蘇迷盧欲天
  梵世各一千 名一小千界
  이러한 소천세계의 천 배를
  설하여 중천세계라고 이름하며
  이것의 천 배를 대천 세계라고 하니
  이 모두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허물어진다.
  此小千千倍 說名一中千
  此千倍大千 皆同一成壞
논하여 말하겠다. 천 개의 4대주와 내지 범세, 이와 같은 것을 모두 설하여 1소천세계라 하고, 소천세계를 천 배한 것을 1중천세계라고 하며, 천 개의 중천세계를 모두 설하여 1대천세계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천세계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동시에 허물어진다.
동시에 이루어지고 허물어진다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뒤(권제12)에서 마땅히 널리 분별하게 될 것이다."
佛門網, "梵世界".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梵世界: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梵世天,是色界諸天的總稱。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brahmaloka of the realm of form; also 梵世天."
이동:가 운허, "梵天(범천)".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梵天(범천):
[1] 【범】brahma-deva 바라하마천(婆羅賀麽天)이라고도 쓴다. 색계 초선천. 범은 맑고 깨끗하단 뜻. 이 하늘은 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하므로 범천이라 한다. 여기에 세 하늘이 있으니 범중천ㆍ범보천ㆍ대범천. 범천이라 통칭. 범천이라 할 때는 초선천의 주(主)인 범천왕을 가리킴.
[2] 범토 천축이란 뜻. 인도를 가리키는 말.
[3] 수험도(修驗道)에서 묘소(墓所)를 일컫는 말. 범천이 내려와서 성령(聖靈)을 수호한다는 뜻."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4ECB29Crowno3 梵天(범천)]". 2013년 6월 2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4ECB29Crowno3 梵天(범천)]". 2013년 6월 2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이동:가 星雲, "梵天". 2013년 6월 26일에 확인
"梵天:  梵名 Brahmā。音譯婆羅賀摩、沒羅含摩、梵摩。意譯清淨、離欲。印度思想將萬有之根源「梵」,豫以神格化,爲婆羅門教、印度教之創造神,與濕婆(Śiva)、毘濕奴(梵 Visnu)竝稱爲婆羅門教與印度教之三大神。據摩奴法典所載,梵天出自金胎(梵卵),原有五頭,其一頭傳爲濕婆所毀,餘四頭,具四手,分別持吠陀經典、蓮花、匙子,念珠或鉢。佛教將其列爲色界之初禪天。一般分爲三種,即梵眾天(梵 Brahma-pārisadya)、梵輔天(梵 Brahma-purohita)與大梵天(梵 Mahā-brahman),總稱爲梵天。其中,大梵天王統御梵眾之人民、梵輔之輔弼臣。
 又通常所稱之梵天大都指大梵天王,又稱梵王,名爲尸棄(梵 Śikhin)或世主(梵 Prajāpati)。印度古傳說中,爲劫初時從光音天下生,造作萬物,佛教中則以之與帝釋天同爲佛教之護法神。釋尊曾升忉利天爲母說法,下降此世時,梵王爲佛之右脅侍,持白拂;或謂是梵天與摩羅王相合者。大梵天王身長爲一由延半,壽命一劫半,其所住之宮殿,稱爲梵王宮。密教將其列爲十二天之一,守護上方。密教之梵天像四面四臂,右手持蓮花、數珠,左手執軍持,作唵字印,乘七鵝車,戴髮髻冠。又供養大梵天之修法,稱爲梵天供。〔大智度論卷十、大毘婆沙論卷九十八、大日經疏卷五、中論疏卷一末、大唐西域記卷四〕(參閱「大梵天」850) p4627"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183DTITLEB1EBA4D1 梵天]". 2013년 6월 2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brahmaloka".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brahmaloka: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brahmaloka m. (also pl.) the world or heaven of Brahma1 (a division of the universe and one of the supposed residences of pious spirits) AV. &c. &c.
2 (cap) brahmaloka m. the world of Brahman."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8권. p. T29n1558_p0041b29 - T29n1558_p0041c21. 욕계(欲界)의 욕(欲)
"此中欲言爲說何法略說段食婬所引貪。如經頌言。
  世諸妙境非眞欲  眞欲謂人分別貪
  妙境如本住世間  智者於中已除欲
邪命外道便詰尊者舍利子言。
  若世妙境非眞欲  說欲是人分別貪
  比丘應名受欲人  起惡分別尋思故
時舍利子反質彼言。
  若世妙境是眞欲  說欲非人分別貪
  汝師應名受欲人  恆觀可意妙色故
若法於彼三界現行。此法即說三界繫不。不爾。云何於中隨增三界貪者是三界繫。此中何法名三界貪。謂三界中各隨增者。今此所言同縛馬答。猶如有問縛馬者誰。答言馬主。即彼復問馬主是誰。答言縛者。如是二答皆不令解。今此所言不同彼答。謂於前說欲界諸處未離貪者貪名欲貪。此所隨增名欲界繫。於前所說色無色中隨其所應當知亦爾。或不定地貪名欲貪。此所隨增名欲界繫。諸靜慮地貪名色貪。此所隨增名色界繫。諸無色地貪名無色貪。此所隨增名爲無色界繫。"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8권. pp. 369-371 / 1397. 욕계(欲界)의 욕(欲)
"여기서 욕탐이라는 말은 어떠한 법을 설한 것인가?
간단히 말하면 그것은 단식(段食)과 음욕에 의해 인기된 탐(貪)이니, 계경의 게송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다.14)
  세간의 온갖 묘한 경계는 진실로 욕탐이 아니니
  진실의 욕탐은 사람들이 분별한 탐(貪)으로
  묘한 경계는 본성 그대로 세간에 머무를 뿐
  지자(智者)는 그것에 대한 욕탐을 이미 제거하였네.15)
그러자 사명외도(邪命外道)가 바로 존자(尊者) 사리자(舍利子)를 힐난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만약 세간의 묘한 경계가 진실로 욕탐이 아니며
  욕탐은 바로 사람들이 분별하는 탐이라고 한다면
  비구는 마땅히 욕탐을 향수하는 이라고 해야 할 것이니
  나쁜 분별의 심사(尋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16)
그 때 사리자가 그에게 다시 반문하여 말하였다.
  만약 세간의 묘한 경계가 바로 진실로 욕탐이며
  욕탐을 사람들이 분별하는 탐이 아니라고 한다면
  그대의 스승도 욕탐을 향수하는 이라고 해야 할 것이니
  항시 좋아하는 묘한 색을 관(觀)하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법이 그 같은 3계에 현행하게 되면 이러한 법을 바로 3계의 계(繫), 즉 3계에 종속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그렇지 않은 것인가?
그렇지 않다.
그렇다면 어떠한가?
[3계에 현행하는 법] 가운데 3계의 탐을 수증(隨增)하는 것이 바로 3계에 종속되는 법 즉 3계계(界繫)이다.17)
그렇다면 그 가운데 어떠한 법을 3계의 탐이라고 이름하는 것인가?
이를테면 3계 중에서 각기 수증된 것이다.
지 금 여기서 말한 바는 말을 묶는 이[縛]와 말[馬]에 대해 답하는 것과 같으니, 비유컨대 어떤 이가 '말을 묶는 이가 누구인가?' 라고 묻자 '말의 주인이다'고 답하여 말하고, 그가 '그렇다면 말의 주인은 누구인가?'라고 다시 묻자 '말을 묶는 자이다'고 답하여 말하는 것과 같다.18) 즉 이와 같은 두 가지 답은 모두 이해시킬 수 없는 것이다.
지금 여기서 말한 바는 그러한 답과 같지 않으니, 이를테면 앞에서 설한 욕계의 온갖 처소에서 아직 탐을 떠나지 않은 자의 탐을 '욕탐'이라 이름하며, 이러한 탐에 의해 수증되는 법을 일컬어 '욕계계'라고 하는 것이다. 앞에서 설한 색계와 무색계의 처소 중에서도 각기 상응하는 바에 따라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혹은 부정지(不定地, 즉 散地)에서의 탐을 '욕탐'이라 이름하며, 이것에 의해 수증되는 법을 일컬어 '욕계계'라고 한다. 또한 온갖 정려지(靜慮地, 즉 4정려)에서의 탐을 '색탐'이라 이름하며, 이것에 의해 수증되는 법을 일컬어 '색계계'라고 한다. 나아가 온갖 무색지(無色地, 즉 4무색정)에서의 탐을 '무색탐'이라 이름하며, 이것에 의해 수증되는 법을 일컬어 '무색계계'라고 한다.
14) 여기서 계경은 『잡아함경』 권제19(대정장2, p. 127중)과 동 권제28(p.199상). 이는 『대비바사론』 권제173(한글대장경124, p. 521)에도 인용되고 있다.
15) 즉 욕탐의 본질은 묘한 경계 즉 5경(境)에 있는 것이 아니라(외계는 욕탐과는 관계없이 항상 그 본성대로 머물 뿐이다) 인간의 내심 즉 분별에 따른 탐에 있다는 뜻이다.
16) 비구는 외면적으로는 단식(段食) 즉 음식과 음욕의 욕망을 떠나 청정행을 닦지만, 만약 욕망의 본질이 분별의 탐이라고 한다면 비구 중에도 내심 나쁜 분별을 일으키는 자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역시 욕망을 향수하는 이[受欲人]이라고 해야 한다는 뜻.
17) 이를테면 무루법과 같은 것은 비록 3계에서 일어날지라도 그것에 속박되지 않듯이 현행하는 것이 모두 그것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3계의 탐을 수증(隨增)하는 법을 계(繫) 즉, 종속되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욕탐에 의해 수증된 법을 욕계계라고 하며, 색탐과 무색탐에 의해 수증된 법을 색계·무색계 계라고 한다. 무루법은 당연히 어떠한 세계에도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불계(不繫)이다.
18) 즉 3계의 탐을 수증하는 법을 3계계라고 말하고, 다시 3계란 거기에서 각기 수증되는 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말과 말을 묶는 자의 비유처럼 순환모순이라는 뜻."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8권. p. T29n1558_p0041a25 - T29n1558_p0041b20.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
"無色界中都無有處。以無色法無有方所。過去未來無表無色不住方所。理決然故。但異熟生差別有四。一空無邊處。二識無邊處。三無所有處。四非想非非想處。如是四種名無色界。此四非由處有上下。但由生故勝劣有殊。復如何知彼無方處。謂於是處得彼定者。命終即於是處生故。復從彼沒生欲色時。即於是處中有起故。如有色界一切有情要依色身心等相續。於無色界受生有情。以何爲依心等相續。對法諸師說。彼心等依眾同分及與命根而得相續。若爾有色有情心等何不但依此二相續。有色界生此二劣故。無色此二因何故強。彼界二從勝定生故。由彼等至能伏色想。若爾於彼心等相續。但依勝定何用別依。又今應說。如有色界受生有情同分命根依色而轉。無色此二以何爲依。此二更互相依而轉。有色此二何不相依。有色界生此二劣故。無色此二因何故強。彼界此二種從勝定生故。前說彼定能伏色想。是則還同心相續難。或心心所唯互相依故。經部師說。無色界心等相續無別有依。謂若有因未離色愛引起心等。所引心等與色俱生。依色而轉。若因於色已得離愛。厭背色故。所引心等非色俱生不依色轉。"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8권. pp. 366-368 / 1397.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
"무색계 중에는 처소가 존재하지 않으니, 색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방처(方處)가 없는 것이다. 즉 무색의 법인 과거·미래법이나 무표와 무색의 법이 방소, 즉 구체적인 공간에 머물지 않는다는 것은 이치상 결정코 그러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숙생의 차별에 따라 네 가지가 있을 뿐으로, 첫 번째가 공무변처(空無邊處)이며, 두 번째가 식무변처(識無邊處)이며, 세 번째가 무소유처(無所有處)이며, 네 번째가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이다. 즉 이와 같은 네 가지를 무색계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이러한 네 가지는 처소상 위 아래에 있기 때문이 아니라 다만 [이숙]생으로 말미암아 뛰어나고 열등함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다시 그곳에 방처가 없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 것인가?
이 를테면 이러한 처소(욕계·색계)에서 그러한 정려(무색정)를 획득한 자가 명종(命終)하면 바로 이러한 처소에 태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그 곳으로부터 몰하여 욕계·색계에 태어날 때는 바로 이러한 처소(욕계·색계)에서 중유(中有)가 일어나기 때문이다.5)
이를테면 유색계의 일체의 유정과 같은 이는 요컨대 색신(色身)에 의지하여 심(心) 등이 상속하는데, 무색계에서 생을 받는 유정은 무엇을 근거로 하여 심 등이 상속하는 것인가?6)
대법(對法)의 여러 논사들은 설하기를, "그러한 처소에서의 심 등은 중동분(衆同分)과 아울러 명근(命根)에 의해 상속할 수 있다"고 하였다.7)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어찌하여 유색계 유정의 심 등도 다만 이러한 두 가지 법에 의지하여 상속하지 않는 것인가?
유색계의 생에서는 이 두 가지가 저열하기 때문이다.8)
무색계에서의 이러한 두 가지 법은 어째서 강성한 것인가?
그러한 무색계에서의 두 가지는 뛰어난 선정[勝定, 곧 무색정]으로부터 생겨났기 때문이니, 그러한 등지(等至)에 의해 능히 색상(色想)을 조복하기 때문이다.9)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그러한 무색계에서의 심 등의 상속은 다만 뛰어난 선정에 의지해야 할 것인데, 무엇 때문에 별도의 의지처가 필요할 것인가?
여기서 다시 마땅히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니, '예컨대 유색계에서 생을 받은 유정의 동분과 명근은 색에 의지하여 일어난다고 한다. 그렇다면 무색계에서의 이 두 가지는 무엇에 의지하여 일어나는 것인가?'
이 두 가지는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여 일어난다.
그렇다면 유색계의 이 두 가지는 어찌하여 서로 의지하지 않는 것인가?
유색계의 생에서는 이 두 가지가 저열하기 때문이다.
무색계에서의 이러한 두 가지는 어째서 강성한 것인가?
무색계에서의 두 가지는 뛰어난 선정으로부터 생겨났기 때문이라고 앞에서 설하지 않았던가? 즉 "그러한 계의 선정(즉 무색정)에 의해 능히 색상을 조복한다"고 하였다.
그렇다고 한다면 [무색계에서의] 심(心) 상속의 힐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혹은 심과 심소도 오로지 서로가 서로에 의지하여 [생겨난다고] 해야 할 것이다.10)
따라서 경부사(經部師)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무색계에서 심 등이 상속하는 데에는 별도의 근거가 없다. 즉 어떤 원인이 있어 아직 색의 애탐을 떠나지 않고서 심·심소 등을 인기한 경우라면 인기된 심·심소는 색과 구생하는 것으로, 색에 의지하여 일어난다. 그러나 만약 원인이 이미 색의 애탐을 떠났다면 색을 싫어하고 배반하였기 때문에 인기된 심 등은 색과 구생하지 않으며, 색에 의지하지 않고서 일어난다."11)
어떠한 까닭에서 욕(欲) 등의 3계라고 이름한 것인가?
능 히 자상(自相)을 갖기 때문에 '계(界)'라고 이름하였다. 혹은 이미 앞(권제1)에서 해석한 바와 같이 계는 '종족(種族)'의 뜻이다. 즉 욕탐[欲]이 소속된 세계를 설하여 욕계라고 이름하였으며, 색(色)이 소속된 세계를 설하여 색계라고 이름하였으니, 이를테면 후추음이라 하고, 금강환(金剛環)이라고 말하듯이 가운데 말을 생략해 버렸기 때문에 이같이 설하게 된 것이다.12) 그리고 그 세계 중에는 색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색계라고 이름하였다. 즉 여기서 말한 색이란 바로 변애(變?)의 뜻, 혹은 시현(示現)의 뜻으로, 그곳의 본질[體]이 색이 아니기에 '무색'이라 이름한 것이지만 그것이 단지 '색이 없다'는 사실만을 본성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13) 즉 무색[성]이 소속된 세계를 설하여 무색계라고 이름한 것이니, 가운데 말을 생략한 예는 앞에서 설한 바와 같다.
5) 욕계나 색계에서 무색정을 획득하고서 명종하면 무색계로 가지 않고 그곳에서 무색계에 태어나고, 또한 반대로 무색계에서 몰하면 욕계나 색계로 가 중유(中有)를 일으키는 것은 무색계에 방처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만약 무색계에 방처가 있다고 한다면 욕계·색계에서 무색정을 획득하고서 명종한 이는 무색계로 가 그곳에서 태어날 것이고 몰한 경우에도 그곳에서 중유를 일으켜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유(antarabhāva)란 사유(死有)에서 생유(生有)로 이어지는 중간적 존재로, 본권 말(末)과 권제9 초에 걸쳐 상세하게 논증 토론되고 있다.
6) 욕계·색계의 유정은 소의신에 의지하여 의식이나 목숨 등을 상속하지만 무색계에는 방처가 없기 때문 에 소의신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근거로하여 그러한 것을 유지 상속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이다.
7) 여기서 대법 즉 아비달마의 제 논사란 『대비바사론』에 나타난 정통 유부의 논사를 말한다.
8) 무색계의 중동분과 명근은 무색정에 의해 획득된 것이기 때문에 뛰어나지만, 유색계의 그것은 그 힘이 저열하기 때문에 심·심소는 다만 색신에 의지하여 상속한다는 것이다.
9) 무색정으로써 색상을 조복할 때 생겨난 중동분과 명근은 그렇지 못한 유색계의 그것보다 강성하다는 뜻 .
10) 만약 무색계의 중동분과 명근이 서로가 서로에 의지하여 일어나는 것이라고 한다면, 무색계의 심과 심 소도 역시 서로서로를 의지하여 일어나므로 별도로 중동분 등에 의지하여 상속한다고 설할 필요가 없다. 혹은 중동분과 명근이 뛰어난 선정에 의해 생겨났기 때문에 서로가 서로에 의지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심·심소도 역시 뛰어난 선정에 의해 생겨났기 때문에 서로가 의존하여 생겨난다고 할 수 있다는 논주 세친의 마무리 힐 난.
11) 중동분이나 명근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는 경량부논사들은 유색계의 심·심소의 경우 색의 애탐을 떠 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을 근거로하여 전기(轉起) 상속하지만, 색의 애탐을 떠난 무색계의 경우 그 자체로서 상속할 뿐 별도의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星雲, "無色界".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無色界:  梵語 ārūpya-dhātu,巴利語 arūpa-dhātu。又作無色天、無色行天。與欲界、色界共稱三界。即指超越物質之世界,厭離物質之色想而修四無色定者死後所生之天界。謂此界有情之生存,固無色法、場所,從而無空間高下之別,然由果報之勝劣差別,則分爲四階級,即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等四空處,故又稱四無色、四無色天、四無色處、四空天、四空、無色界諸天;若三界分爲九地,則此四界相當於後半之四地,而一一附加「地」字稱呼,例如「空無邊處地」等。復以其屬於天界,故有時亦一一附加「天」字,稱爲「空無邊處天」等。關於四天之壽命,各有異說,據大毘婆沙論卷八十四載,空無邊處有二萬劫,識無邊處四萬劫,無所有處六萬劫,非想非非想處八萬劫;長阿含經卷二十則依次爲一萬劫、二萬一千劫、四萬二千劫、八萬四千劫;依立世阿毘曇論卷七,則將四天各分上、中、下三品,由空無邊處下品之一萬七千五百大劫,至非想非非想處上品之八萬大劫,總有十二品之壽量差別。此外,非想非非想處天因位居世界(有情之生存)之最高位,故又稱有頂、有頂天。又無色界之有情均爲男身,但不具男根。〔業報差別經、法蘊足論卷十一、俱舍論卷八、卷十一、卷二十八、大毘婆沙論卷八十三、卷九十八、法苑珠林卷二、大乘法苑義林章卷五本〕(參閱「四無色定」1772) p5083"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제3권. p. T31n1605_p0674a04 - T31n1605_p0675a06. 고제(苦諦)
"云何決擇。略說決擇有四種。謂諦決擇法決擇得決擇論議決擇。云何諦決擇。謂四聖諦。苦諦集諦滅諦道諦。云何苦諦。謂有情生及生所依處。何等有情生即有情世間。謂諸有情生在那落迦傍生餓鬼人天趣中。人謂東毘提訶。西瞿陀尼。南贍部洲。北俱盧洲。天謂四大王眾天三十三天。夜摩天睹史多天樂變化天他化自在天。梵眾天梵輔天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極光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無雲天福生天廣果天。無想有情天無煩天無熱天善現天善見天色究竟天。無邊空處天無邊識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何等生所依處即器世間。謂水輪依風輪。地輪依水輪。依此地輪有蘇迷盧山七金山四大洲八小洲內海外海。蘇迷盧山四外層級四大王眾天。三十三天所居處別。外輪圍山虛空宮殿。若夜摩天睹史多天化樂天他化自在天。及色界天所居處別。諸阿素洛所居處別。及諸那落迦所居處別。謂熱那落迦。寒那落迦。孤獨那落迦。及一分傍生餓鬼所居處別。乃至一日一月周遍流光所照方處名一世界。如是千世界中有千日千月千蘇迷盧山王千四大洲千四大王眾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睹史多天千樂變化天千他化自在天千梵世天。如是總名小千世界。千小千界總名第二中千世界。千中千界總名第三大千世界。如此三千大千世界。總有大輪圍山周匝圍繞。又此三千大千世界同壞同成。譬如天雨滴如車軸。無間無斷從空下注。如是東方無間無斷無量世界。或有將壞。或有將成。或有正壞或壞已住。或有正成或成已住。如於東方乃至一切十方亦爾。若有情世間若器世間。業煩惱力所生故。業煩惱增上所起故。總名苦諦。復有清淨世界。非苦諦攝。非業煩惱力所生故。非業煩惱增上所起故。然由大願清淨善根增上所引。此所生處不可思議。唯佛所覺。尚非得靜慮者靜慮境界。況尋思者。復次苦相差別有八。謂生苦老苦病苦死苦怨憎會苦愛別離苦求不得苦。略攝一切五取蘊苦。生何因苦。眾苦所逼故。餘苦所依故。老何因苦。時分變壞苦故。病何因苦。大種變異苦故。死何因苦。受命變壞苦故。怨憎會何因苦。合會生苦故。愛別離何因苦。別離生苦故。求不得何因苦。所悕不果生苦故。略攝一切。五取蘊何因苦。麤重苦故。如是八種略攝爲六。謂逼迫苦轉變苦合會苦別離苦所悕不果苦麤重苦。如是六種廣開爲八。若六若八平等平等。如說三苦。此中八苦。爲三攝八八攝三耶。展轉相攝。所謂生苦老苦病苦死苦怨憎會苦。能顯苦苦。愛別離苦求不得苦。能顯壞苦。略攝一切五取蘊苦。能顯行苦。如說二苦。謂世俗諦苦。勝義諦苦。何者世俗諦苦。何者勝義諦苦。謂生苦乃至求不得苦。是世俗諦苦。略攝一切五取蘊苦。是勝義諦苦。云何苦諦共相。謂無常相苦相空相無我相。何等無常相。略有十二。謂非有相壞滅相變異相別離相現前相法爾相剎那相相續相病等相種種心行轉相資產興衰相器世成壞相。何等非有相。謂蘊界處於一切時我我所性常非有故。何等壞滅相。謂諸行生已即滅。暫有還無故。何等變異相。謂諸行異生由不相似相續轉故。何等別離相。謂於諸行失增上力。或他所攝執爲己有。何等現前相。謂正處無常由因隨逐今受無常故。何等法爾相。謂當來無常由因隨逐定當受故。何等剎那相。謂諸行剎那後必不住故。何等相續相。謂無始時來諸行生滅相續不斷故。何等病等相。謂四大時分受命變異故。何等種種心行轉相。謂於一時起有貪心。或於一時起離貪心。如是有瞋離瞋有癡離癡。若合若散若下若舉。若掉離掉。若不寂靜若寂靜。若定不定。如是等心行流轉故。何等資產興衰相。謂諸興善終歸衰變故。何等器世成壞相。謂火水風三種成壞有三災。頂謂第二第三第四靜慮。第四靜慮外宮殿等。雖無外災成壞。然彼諸天與宮殿等俱生俱滅說有成壞。復有三種中劫。所謂饑饉疫病刀兵。此小三災劫究竟位方乃出現。謂世界成已。一中劫初唯減。一中劫後唯增。十八中劫亦增亦減。二十中劫世界正壞。二十中劫世界壞已住。二十中劫世界正成。二十中劫世界成已住。合此八十中劫爲一大劫。由此劫數顯色無色界諸天壽量。如說以壽盡故福盡故業盡故。彼彼有情從彼彼處沒。"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제3권. pp. 62-67 / 159. 고제(苦諦)
"[문] 결택(決擇)이란 무엇입니까?
[답] 간략하게 설명하면 결택에는 네 종류가 있다. 제결택(諦決擇)ㆍ법결택(法決擇)ㆍ득결택(得決擇)ㆍ논의결택(論議決擇)을 가리킨다.
[문] 제결택이란 무엇입니까?
[답] 4성제(聖諦)를 가리키는 것으로 고제(苦諦)ㆍ집제(集諦)ㆍ멸제(滅諦)ㆍ도제(道諦)이다.
[문] 고제란 무엇입니까?
[답] 유정이 태어나는 자체와 태어나고자 의지하는 처소를 말한다.
[문] 어떠한 것이 유정이 태어나는 유정세간(有情世間)입니까?
[문] 모든 유정이 태어나는 나락가(奈落迦:지옥)ㆍ방생(傍生:축생)ㆍ아귀(餓鬼)ㆍ인간(人間)ㆍ천상(天上)의 취(趣)이다. 인간이란 동비제하(東毘提詞)ㆍ서구다니(西瞿陁尼)ㆍ남섬부주(南贍部洲)ㆍ북구로주(北俱盧洲)를 가리킨다.
천상이란 사대왕중천(四大王衆天)ㆍ삼십삼천(三十三天)ㆍ야마천(夜摩天)ㆍ도사다천(觀史陁天)ㆍ낙변화천(樂變化天)ㆍ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ㆍ범중천 (梵衆天)ㆍ범보천(梵輔天)ㆍ대범천(大梵天)ㆍ소광천(少光天)ㆍ무량광천(無量光天)ㆍ극광견전(極光見天)ㆍ소정천(少淨天)ㆍ무량정천(無量淨天)ㆍ변정천(遍淨天)ㆍ무운천(無雲天)ㆍ복생천(福生天)ㆍ광과천(廣果天)ㆍ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ㆍ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현천(善現天)ㆍ선견천(善見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ㆍ무변공처천(無邊空處天)ㆍ무변식처천(無邊識處天)ㆍ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ㆍ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이다.
[문] 어떠한 것이 태어나는 것에 의지가 되는 처소, 즉 기세간(器世間)입니까?
[답] 수륜(水輪)은 풍륜(風輪)에 의지하고, 지륜(地輪)은 수륜(水輪)에 의지하는 바를 가리킨다. 이 같은 지륜에 의지하여 소미로산(蘇迷盧山:수미산)ㆍ칠금산(七金山)ㆍ사대주(四大洲)ㆍ팔소주(八小洲)ㆍ내해(內海)ㆍ외해(外海)가 있다. 소미로산의 사방 바깥층에는 단계적으로 사대왕중천과 삼십삼천이 거주하는 처소가 따로 있고, 다시 외륜(外輪) 위의 허공에도 천궁(天宮)들이 있으니, 바로 야마천ㆍ도사다천ㆍ화락천ㆍ타화자재천이다. 또 색계천이 거주하는 처소는 따로 있다. 모든 아소락(阿素洛:阿修羅)이 거주하는 처소도 따로 있고, 또 모든 나락가가 거주하는 처소도 따로 있으니 열나락가(熱那落迦:熱地獄)ㆍ한나락가(寒那落迦:寒地獄)ㆍ고독나락가(孤獨那落迎)를 가리킨다. 아울러 일부분의 방생과 아귀가 거주하는 처소도 따로 있다. 이렇게 하나의 해, 하나의 달이 주변으로 빛을 뿌려 그 비춰지는 방향과 처소를 하나의 세계라고 이름한다. 이와 같은 천 개의 세계 속에는 천 개의 해와 천 개의 달과 천 개의 소미로산, 천 곳의 사대주, 천 곳의 사대왕중천, 천 곳의 삼십삼천, 천 곳의 야마천, 천 곳의 도사다천, 천 곳의 화락천, 천 곳의 타화자재천, 천 곳의 범세천(控世天)이 있다. 이러한 것을 총괄해서 소천세계(小千世界)라 이름한다. 다시 천 개의 소천세계를 총괄해서 세 번째로 중천세계(中千世界)라고 이름한다. 천 개의 중천세계를 총괄해서 두 번째로 대천세계(大千世界)라고 이름한다. 이와 같은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함께 존재하는 그 바깥 태두리[大輪]를 철위산(鐵圍山)이 둘러싸고 있다.
또 이 같은 삼천대천세계는 동시에 무너지고 동시에 이루어진다. 비유하자면 하늘에서 쏟아지는 빗방울이 마치 물레방아같이 끊임없이 공중에서 아래로 쏟아지는 것처럼, 동방에도 끊임없이 무량한 세계가 있다. 어떤 것은 무너지는 중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생기는 중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막 무너지려는 참이고, 어떤 것은 이미 없어 진 채로 남아 있기도 하고, 어떤 것은 생겨나는 참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이미 이루어진 채로 남아 있기도 하다. 동방의 경우처럼 모든 열 군데의 방향도 이와 같다.
유정세간이나 기세간이나 모두 업번뇌(業煩惱)의 세력에서 생겨나고, 업번뇌의 증상에서 일어나기에 총괄적으로 고제라고 이름한다. 다시 고제에 수렴되지 않는 청정한 세계가 있으니, 이는 업번뇌의 세력에서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고, 업번뇌가 늘어나는 것에 의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오직 커다란 원력에 비롯해서 그 청정한 선근이 증상되어 인도받게 된다. 이와 같이 태어나는 처소는 참으로 불가사의하기에 오직 부처님만이 아시게 된다. 이것은 정려(靜慮)에 의해서 얻어지는 정려의 경계도 아니니, 하물며 심사(尋思)로서 어찌 알 수 있겠는가? 다시 고의 모양에 대한 차별에도 여덟 종류가 있다.
생고(生苦)ㆍ노고(老苦)ㆍ병고(病苦)ㆍ사고(死苦)ㆍ원증회고(怨憎會苦)ㆍ애별리고(愛別離苦)ㆍ구부득고(求不得苦)이다. 간략하게 이 같은 일체의 고를 수렴하게 되면 바로 5취온의 고가 된다.
[문] 태어난다는 것이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답] 화합된 고[聚苦]에 핍박받기 때문이며, 그 밖의 다른 고에 의지받기 때문이다.
[문] 늙는다는 것이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답] 그 시분이 변화하여 없어지는 고통 때문이다.
[문] 병든다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답] 대종(大種)이 변화하여 달라지는 고통 때문이다.
[문] 죽는다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답] 그 목숨이 변화하여 없어지는 고통을 받기 때문이다.
[문] 원수를 만난다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 고통이 됩니까?
[답] 서로 만나게 되면 고통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문] 좋아하는 것과의 이별이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답] 이별에서 고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문] 얻지 못하는 것이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답] 바라더라도 과보가 없다는 고가 생기기 때문이다.
[문] 간략하게 이 같은 일체의 고를 수렴하는 5취온은 어떤 이유에서 고가 됩니까?
[문] 추중(麤重)하는 고통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여덟 가지의 고를 간략하게 수렴하면 여섯 가지의 고가 있으니, 즉 핍박고(逼迫苦)ㆍ전변고(轉變苦)ㆍ합회고(合會苦)ㆍ별리고(別離苦)ㆍ소희불과고(所悕不果苦)ㆍ추중고(麤重苦)이다. 이 같은 여섯 가지의 고를 확대하면 여덟 가지의 고가 성립하지만 여섯 가지나 여덟 가지나 평등하다. 그 평등한 것이 3고(苦)를 설명했던 것처럼, 이러한 가운데 여덟 가지 고가 있다.
[문] 3고가 8고를 수렴합니까? 아니면 8고가 3고를 수렴하게 됩니까?
[답] 전전하여 그 모양을 수렴하는 것이니, 소위 생고(生苦)ㆍ노고(老苦)ㆍ병고(病苦)ㆍ사고(死苦)ㆍ원증회고는 고고(苦苦)를 드러내는 것이고, 애별리고ㆍ구부득고는 괴고(壞苦)를 드러내는 것이다. 일체의 5취온고를 간략하게 수렴하면 모두 행고(行苦)를 드러내는 것이니, 앞서의 두 가지고, 즉 세속제고(世倚諦苦)와 승의제고(勝義諦苦)와 동일하다.
[문] 어떠한 것이 세속제고이고, 어떠한 것이 승의제고입니까?
[답] 생고에서 구부득고까지가 세속제고이다. 이 같은 일체의 고를 간략하게 수렴하는 5취온의 고가 바로 승의제고이다.
[문] ‘고제의 공한 모양’이란 무엇입니까?
[답] 무상상(無常相)ㆍ고상(苦相)ㆍ공상(空相)ㆍ무아상(無我相)이다.
[문] 어떠한 것이 무상상입니까?
[답] 대략 열두 종류가 있다. 바로 비유상(警喩相)ㆍ괴멸상(壞滅相)ㆍ변이상(變異相)ㆍ별리상(別離相)ㆍ현전상(現前相)ㆍ법이상(法爾相)ㆍ찰나상(刹那相)ㆍ상속상(相續相)ㆍ 병등상(病等相)ㆍ종종심행전상(種種心行轉相)ㆍ자산흥쇠상(資産興衰相)ㆍ기세성괴상(器世成壞相)이다.
[문] 어떠한 것이 비유상입니까?
[답] 일체의 시분에 처해서 아(我)와 아소(我所)의 성품이 언제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괴멸상입니까?
[답] 제행(諸行)이 생기자마자 없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잠깐 존재하고서 다시 없어지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변이상입니까?
[답] 제행이 이생(已生)하는 것이니, 그 비슷하지 않은 모양을 상속하는 것에 연유해서 유전되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별리상입니까?
[문] 제행이 증상하는 세력을 앓은 것이거나, 또는 다른 것에 귀속되었어도 여전히 내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이다.
[문] 어떠한 것이 현전상입니까?
[답] 바로 무상함에 처해서 그 인(因)이 가까워짐에 연유하여 지금 무상함을 받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법이상입니까?
[답] 장차 무상이 다가오는 것이니, 그 인이 가까워짐에 연유해서 반드시 받게 되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찰나상입니까?
[답] 제행은 그 머무는 찰나 이후에는 반드시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상속상입니까?
[답] 무시(無始)의 시분 이래로 제행이 생기고 멸하는 것이 부단히 상속되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평등상입니까?
[답] 4대가 시분에 따라 그 목숨을 받아서 변화하여 달라지기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종종심행전상입니까?
[답] 동일한 시분에 탐심이 일어나거나 또는 동일한 시분에 탐심을 여의는 것을 가리킨다. 이같이 노여움과 노여움을 여의는 것이 있게 되고 어리석음과 어리석음을 여의는 것이 있게 된다, 만약 만나게 되면 흩어지고, 만약 내려가면 올라가고, 만약 쳐들면 쳐드는 것을 여의게 되고, 만약 조용하다면 조용하지 못하게 되고, 만약 안정되면 안정하지 못하는, 이러한 것들이 바로 심행(心行)이 유전하는 것이다.
[문] 어떠한 것이 자산흥쇠상입니까?
[답] 홍하는 것은 모두가 망하는 변화 때문이다.
[문] 어떠한 것이 기세성괴상입니까?
[답] 화(火)ㆍ수(水)ㆍ풍(風)의 세 종류가 이루어졌다가 무너지는 것에서 삼재(三災)가 있게 된다. 위로는 제2정려ㆍ제3정려ㆍ제4정려까지를 말한다. 제4정려 이상의 천궁 따위는 비록 이루어졌다가 무너지는 외부의 재앙은 없으나, 모든 천상의 궁전 등도 함께 생겨나고 함께 없어지는 것이기에 ‘이루어졌다가 무너진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다시 세 종류의 중겁(中劫)이 있으니, 이른바 기근(飢饉)ㆍ역병(疫病:전염병)ㆍ도병(刀兵: 전쟁)이다. 이 같은 소삼재겁(小三災劫)의 구경위(究竟位)가 방위적으로 출현하는 것을 세계가 이루어졌다고 말한다. 1중겁(中劫)의 초기에는 수명이 감소하기만 하고, 1중겁의 후기에는 수명이 늘어나기만 한다. 이와 같이 18중겁은 그 수명이 늘어나고 감소되는 것이 반복된다. 20중겁이 되면 세계가 바로 무너지기 시작하고, 20중겁 동안 세계가 무너지기 시작하며, 20중겁 동안 세계가 무너진 채로 남아 있으며, 20중겁 동안 세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20중겁 동안 세계가 이루어진 채로 남아 있다. 이것을 모두 합한 80중겁이 l대겁(大劫)이 된다. 이 같은 겁수(劫數)에 인연해서 색계와 무색계의 모든 천상의 수명이 나타나게 된다. 또 이미 해설한 것처럼 그 수명이 다하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고, 복이 다하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고, 업이 다하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에, 그러한 곳들에 있는 유정들이 그러한 처소에서 마침내 사라지게 된다."
佛門網, "業煩惱". 2013년 6월 29일에 확인
"業煩惱: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karma-kleśa.
頁數: P.1790-1792"
운허, "生滅四諦(생멸사제)". 2013년 7월 4일에 확인
"生滅四諦(생멸사제): 4종 4제의 1. 천태종에서 『열반경』 「성행품」에 말한 바에 의하여 4제(諦)를 세워 4교(敎)에 배대하였는데, 이것은 미(迷)와 오(悟)의 인과를 고ㆍ집ㆍ멸ㆍ도의 4로 하고 진실한 생멸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니, 3장교(藏敎)의 말을 가리킴."
星雲, "生滅四諦". 2013년 7월 4일에 확인
"生滅四諦:  爲天臺宗智顗所立四種四諦之一。此係三藏教之說,主張因緣生滅之實有;認爲苦、集、道三諦依因緣而爲實有之生滅,滅諦亦可視爲實有之滅法。亦即指立於實生實滅上之四諦。即:(一)苦諦,苦,逼迫之義;有三苦、八苦等。即觀色、心等諸法之無常逼迫,而知生死實苦。(二)集諦,即觀煩惱惑業實能招集生死之苦。(三)滅諦,即觀涅槃之理,而將生死之諸苦歸於寂滅。(四)道諦,即觀戒、定、慧之道,而斷盡惑業,生起正智,以證入涅槃。〔法華經玄義卷二下、天臺四教儀集註卷上、卷下〕(參閱「四諦」1840) p2070"
星雲, "四諦". 2013년 7월 4일에 확인
"四諦:  又天臺宗智顗大師依勝鬘經、涅槃經之說,別立淺深不同之四種四諦,與藏、通、別、圓四教相配當:(一)生滅四諦,爲藏教所說,就有爲生滅之事,而觀四諦之因果爲實有生、滅。(二)無生四諦,又作無生滅四諦。爲通教所說,就因緣諸法即空無生,而觀四諦迷悟之因果,均是空無而無生滅。(三)無量四諦,爲別教所說,就界內界外恆沙無量差別,而觀一切現象皆由因緣生,具有無量之差別,因而四諦亦有無量之相。(四)無作四諦,圓教所說,就迷悟之當體即實相,而觀迷與悟之對立矛盾即非矛盾,而皆爲實相。"
운허, "三塗八難(삼도팔난)". 2013년 7월 14일에 확인
"三塗八難(삼도팔난): 화도(火塗:지옥)ㆍ혈도(血塗:축생)ㆍ도도(刀塗:아귀)의 3도와 부처님을 만나지 못하고, 정법을 듣지 못하는, 여덟 가지의 난(難). 곧 재지옥난(在地獄難)ㆍ재축생난(在畜生難)ㆍ재아귀난(在餓鬼難)ㆍ재장수천난(在長壽天難)ㆍ재북울단월주난(在北鬱單越洲難)ㆍ농맹음아(聾盲瘖瘂)ㆍ세지변총(世智辯聰)ㆍ불전불후(佛前佛後). 처음 셋은 고통이 너무 심해서 법을 들을 수 없고, 다음 둘은 낙이 너무 많아서 법을 듣지 못하고, 세지변종은 세상 지혜가 너무 수승한 탓으로 분주하여 법을 듣지 못한다 함."
星雲, "八難". 2013년 7월 14일에 확인
"八難:  (一)梵語 astāv aksanāh,巴利語 atthakkhanā。指不得遇佛、不聞正法之八種障難。又作八難處、八難解法、八無暇、八不閑、八非時、八惡、八不聞時節。據長阿含卷九「十上經」、中阿含卷二十九「八難經」等載,八難即:(一)在地獄難,眾生因惡業所感,墮於地獄,長夜冥冥而受苦無間,不得見佛聞法。(二)在餓鬼難,餓鬼有三種:(1)業最重之餓鬼,長劫不聞漿水之名。(2)業次重之餓鬼,唯在人間伺求蕩滌膿血糞穢。(3)業輕之餓鬼,時或一飽,加以刀杖驅逼,填河塞海,受苦無量。(三)在畜生難,畜生種類不一,亦各隨因受報,或爲人畜養,或居山海等處,常受鞭打殺害,或互相吞噉,受苦無窮。(四)在長壽天難,此天以五百劫爲壽,即色界第四禪中之無想天。無想者,以其心想不行,如冰魚蟄蟲,外道修行多生其處,而障於見佛聞法。(五)在邊地之鬱單越難,鬱單越,譯爲勝處,生此處者,其人壽千歲,命無中夭,貪著享樂而不受教化,是以聖人不出其中,不得見佛聞法。(六)盲聾瘖瘂難,此等人雖生中國(指古印度中部摩竭陀國一帶),而業障深重,盲聾瘖瘂,諸根不具,雖值佛出世,而不能見佛聞法。(七)世智辯聰難,謂雖聰利,唯務耽習外道經書,不信出世正法。(八)生在佛前佛後難,謂由業重緣薄,生在佛前佛後,不得見佛聞法。
 據增一阿含經卷十六載,奉持八關齋法,可對治此八難。另據成實論卷二,則以四輪來對治八難,即:(一)住善處,可生中國。(二)依善人,可生值佛世。(三)自發正願,可具正見。(四)宿植善根,可諸根完具。〔大智度論卷十三、大乘義章卷八、維摩經卷下香積佛品〕
 (二)指行受戒、自恣等之時,若有八難事來,則聽許略說自恣。八難即:王難、賊難、火難、水難、病難、人難、非人難、毒蟲難。〔四分律卷三十四、卷三十八〕 p318"
운허, "未至定(미지정)". 2013년 7월 14일에 확인
"未至定(미지정): 또는 미도정(未到定). 4선정(禪定) 중에서 초선(初禪)의 정(定)을 얻기 위한 전위(前位)의 방편정(方便定)을 말한다. 다른 정의 방편은 근분정(近分定)이라 하지만, 초선의 방편은 아직 근분정에 이르지 못한 정이므로 특히 미지정이라 한다."
운허, "空輪(공륜)".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星雲, "大地四輪".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星雲, "四洲".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星雲, "九山八海".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佛門網, "四大洲".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이동:가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제11권. p. T29n1558_p0057a01 - T29n1558_p0057b01.
이동:가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제11권. pp. 502-504 / 1397.
운허, "四劫(사겁)".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星雲, "四劫".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佛門網, "[1]". 2015년 1월 11일에 확인.
星雲, "水輪". 2015년 1월 24일에 확인.
星雲, "金輪". 2015년 1월 24일에 확인.
星雲, "水輪". 2015년 1월 25일에 확인.







>>>


































영문 위키백과 [ with 파파고 번역 불기2564-04-24]

https://en.wikipedia.org/wiki/Buddhist_cosmology#Form_Realm_(Rūpadhātu)



















불교의 우주론
무료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서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왓 아룬의 탑은 불교 양식을 모방한 것으로 건축되었다


불교의 우주론은 불경논평에 따른 우주의 모양과 진화에 대한 묘사이다.
그것은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우주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적 우주론은 '세계'의 존재를 4개의 분리된 순간으로 나누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식적인 분리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공간 우주론은 수직적 우주론, 다양한 존재의 평면, 그들의 몸, 특징, 음식, 수명, 미 그리고 수평적 우주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세계 시스템의 분포는 겉보기에 "세계"의 무한한 층으로 보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 주기의 존재는 부처님에 의해 잘 증명되었다[1][2].
역사적인 부처(부처)는 아이온의 존재를 언급하면서(1세기에 한번씩 비단 천으로 닦아 1×11마일의 거대한 바위를 침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비유함)동시[3]에 인간의 여명과 같은 과거의 사건에 대한 그의 지식을 심화시켰다. 거칠고 성별이 다양한 형태, [4]특정 시점에 한개 이상의 태양의 존재, 그[5]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그의 능력, 그리고 그의 [6]제자들의(만약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이 비행기들 중 어느 곳에서도 다시 태어날 수 있는 능력[7].
내용물

1소개
2우주론2.1수직 우주론2. 1. 1무형식 영역(Ārūpyāāā ु ु ))2. 1. 1. 1아루파 부미(아루파카라 브라 말로 카스 또는 임마테리알로 폴리스 브라마 렐스)

2. 1. 2양식 영역(라우 파드하 투투)2. 1. 2. 1순수한 아모드
2. 1. 2. 2비아냥 빚을 갚는 세상
2. 1. 2. 3슈바하크 츠나 세계
2. 1. 2. 4Ābhbh worlds worlds
2. 1. 2. 5브라흐

2. 1. 3욕망의 영역(카마다투의 영역)2. 1. 3. 1이런
2. 1. 3. 2수메루의 세계
2. 1. 3. 3지구의 세계
2. 1. 3. 4헬스(나라카스)2. 1. 3. 4. 1차가운 나라카스
2. 1. 3. 4. 2뜨거운 나라카스


2. 1. 4지구의 기초

2.2사하스라 우주론2. 2. 1마하 칼파


3시간 우주론3.1비바르타칼파
3.2비바르타시야카팔파3. 2. 1제1호 안타라칼파
3. 2. 2두번째 남극점

3.3윤회
3.4윤회
3.5기타 장애물

4마하야나의 경치
5참고 항목
6참조
7추가적인 읽기

소개[■편집]
테라바다마하야나 전통에서 아비하르마에 대한 논평과 작품들에서 제시되는 자기 중심적인 불교 우주론은 불교 교리와 비나야 전통에서 발견되는 우주론적 논평들의 분석과 조화의 최종 산물이다. 우주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사람은 없지만, 어떤 면에서는 부처가 다른 세계와 상태를 묘사하고, 다른 면에서는 우주의 기원과 파괴를 묘사한다. 이러한 자료를 하나의 포괄적인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것은 불교 역사의 초기에 이루어졌음에 틀림 없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테라 바바야바다 전통에서 기술된 시스템은, 몇몇 사소한 명명 규칙의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마하야나 불교인들에 의해 보존된 사르바티바티바다 전통과 동의하기 때문이다[8].
불교의 우주론적 묘사로 제시된 세계의 사진은 우주의 모양을 문자 그대로 묘사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그것은 고대 인도에서 이미 알려진 천문학적인 자료와 모순되고 일관성이 없다. [8]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be a description of how ordinary humans perceive their world; rather, it is the universe as seen through the divyacakṣus दिव्यचक्षुः (Pāli: dibbacakkhu दिब्बचक्खु), the "divine eye" by which a Buddha or an arhat who has cultivated this faculty can perceive all of the other worlds and the beings arising (being born) a 그들의 내면에서 떠나고( 죽어 가고), 그들이 어떤 상태로 다시 태어났는지, 어떤 상태로 다시 태어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우주론은 상징적이거나 우화적인 의미로 해석되었다.
불교의 우주론은 두가지 관련된 종류로 나뉠 수 있습니다:우주 속의 다양한 세계의 배열을 묘사하는 우주론과 어떻게 그러한 세계들이 존재하게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죽게 되는지를 묘사하는 시간적 우주론입니다.
우주론[■편집]
우주 우주론은 우주에 포함된 다양하고 많은 세계들을 보여 준다. 우주론은 또한 두개의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수직적인(또는 cakrava;Devanagari:चक ड ड)우주론은 수직적인 패턴으로 세계의 배열을 묘사합니다. 어떤 것은 더 높고 어떤 것은 더 낮습니다. 대조적으로, 수평적 우주론은 이러한 수직적 세계의 그룹을 수천, 수백만 또는 수십억으로 묘사한다.
수직 우주론[■편집]
"수직 우주론에서 우주는 많은 세계로 존재합니다.(용어, Devanagari:: ोः)"어떤 사람은 "planes/realms"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다음 층으로 쌓아 올립니다. 각각의 세계는 정신 상태 또는 존재 상태에 해당한다[9]. 그러나 세상은 그것을 구성하는 존재들만큼 장소가 아니다. 그것은 그것을 구성는 존재들에 의해 유지되고 만약 세상의 존재들이 모두 죽거나 사라진다면, 세상 또한 사라진다. 마찬가지로, 세상은 첫번째 존재가 태어날 때 존재하게 된다. 신체적인 분리는 정신적 상태의 차이만큼 중요하지 않다;인간과 동물들은 비록 부분적으로 같은 물리적 환경을 공유하지만, 그들의 마음이 그러한 환경에 다르게 인식하고 반응하기 때문에 여전히 다른 세계에 속해 있다.
수직적 우주론은 존재하는 31개의 면과 비행기를 세개의 영역으로 나누거나, 각각 다른 형태의 사고 방식에 상응하는, dhtus로 나누어 진다. 이 세개의 영역(트리 다투)은 Āpy피adhā, ,papaāātututu, 16왕국, 그리고 카마다 투투(15왕국은 15개의 왕국이다. 어떤 경우에는, 카마다투의 신들이 인간과 다르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notwithstanding Āpyā와 류파드하투에서 태어난 모든 존재들은 카마다쿠라의 신들과 함께 비공식적으로 "신"또는"신"으로 분류된다. 데바는 인간보다 장수하고 전반적으로 더 행복한 상태에 사는 것을 의미하는 부정확한 용어이다. 그들의 대부분은 인간 세계와 거의 또는 전혀 관계가 없고, 인간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신"들이 아니다. 카마드하투의 가장 낮은 신들만이 많은 다신교 종교에서 묘사된 신들과 일치한다.
"brahmmm;Devanagari:ब ् ् ा ा"이라는 용어는 상위 deva중 하나의 일반적인 용어로 둘 다 사용됩니다. In itsbroadest sense , it can refer to any of the inhabitants of the Ārūpyadhātu and the Rūpadhātu . In more restricted senses, it can refer to an inhabitant of one of the eleven lower worlds of the Rūpadhātu, or in its narrowest sense, to the three lowest worlds of the Rūpadhātu (Plane of Brahma's retinue) A large number of devas use the name "Brahmā", e.g. Brahmā Sahampati ब्रह्मा सहम्पत्ति, Brahmā Sanatkumāra ब्रह्मा सनत्कुमारः, Baka Brahmā बक ब रह ा 등 그들이 어느 세계에 속해 있는지가 항상 명확하지는 않지만, 항상 그 세계는 라우 파다투의 세계 중 하나임에 틀림 없다. 아야카나 수타에 따르면, 달마 행자를 세상에 가르치기 위해 부처에게 간청하는 브람 라마 사함 마티는 사우드 항이에 살고 있다고 한다.

불교의 세계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


무형식 영역(Ārūpyāāā ु ु ))[■편집]
Ārūpyad or or or or or or界界 ;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Burmese 버마:BurmeseBurmesepyံံ ပဗဗ ုံံ ; ; ;; 태국:서식 없는 땅은 모양이나 위치를 가지고 있지 않고, 그에 따라서 그 왕국은 위치도 없기 때문에, 순수한 물리적 우주론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영역은 전생에 강바나의 네 형태가 없는 네가지 형태가 없는 유산을 얻어 지금은 그 성과의 좋은 업의 결실을 누리고 있는(비프카)이들에게 속해 있습니다. 하지만 보디사는 아르파히드나(āpypy)에 도달했을 때 조차도 neverrū피아드(Āpypy)에서 태어나지 않는다.
4가지 종류의 arūpadhignas에 해당하는 4가지 종류의 Ārūpyada가 있습니다.
아루파 부미(아루파카라 브라 말로 카스 또는 임마테리알로 폴리스 브라마 렐스)[■편집]
Naivasaṃjñānāsaṃjñāyatana नैवसंज्ञानासंज्ञायतन or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नेवसञ्ञानासञ्ञायतन (Tib: 'du shes med 'du shes med min; Jpn: 非有想非無想処; Burmese: နေဝသညာ နာသညာယတန; Thai: เนวสญฺญานาสญฺญายตน or ไนวสํชญานาสํชญายตน ) "Sphere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이 영역에서 형식 없는 존재들은 단순히 지각의 부정을 넘어서, 그들이 "지각"에 관여하지 않지만 완전히 의식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이것은 부처의 원래 스승들 중 두번째인 우드라카 라마푸트라가 도달한 구체인데, 그들은 그것을 깨달음과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인류의 총 수명-84,000 MahaKalpa(MahaKalpa=4AsankyaKalpa). 이 왕국은 무의존 면(Ākicanyyatana)위에 5,580,000개의 요자나스(1Yojana=16마일)를 두고 있다.
Ākiṃcanyāyatana आकिंचन्यायतना or Ākiñcaññāyatana आकिञ्चञ्ञायतन (Tib: ci yang med; Chinese: 无所有处/無所有處; Jpn: 無所有処 mu sho u sho; Burmese: အာကိဉ္စညာယတန; Thai: อากิญฺจญฺญายตน or อากิํจนฺยายตน; Devanagari: /) "Sphere of Nothingness" (literally "lacking anything"). 이 구체에서 형체 없는 존재들은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에 잠겨 살고 있다. 이것은 매우 미묘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지각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이것은 부처의 스승 중 첫번째 스승인 항이 카를라마에 의해 도달된 구였습니다. 그는 그것을 깨달음과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인류의 총 수명-60,000MahaKalpa. 이 왕국은 5,580,000명의 요아나를 무한 의식의 평면 위에 두고 있다.
Vijñānānantyāyatana विज्ञानानन्त्यायतन or Viññāṇānañcāyatana विञ्ञाणानञ्चायतन or more commonly the contracted form Viññāṇañcāyatana (Tib: rnam shes mtha' yas; Chinese: 识无边处/識無邊處; Jpn: 識無辺処 shiki mu hen jo; Burmese: ဝိညာဏဉ္စာယတန; Thai: วิญญาณานญฺจายตน or วิชญานานนฺตยายตน) "Sphere of Infinite Consciousness". 구체에서 형체 없는 존재들은 그들의 의식에 대한 명상을 무한히 널리 퍼져 있다. 인류의 총 수명–40,000MahaKalpa. 이 왕국은 5,580,000 요아나를 무한한 공간의 평면 위에 위치한다.
Ākāśānantyāyatana अाकाशानन्त्यायतन or Ākāsānañcāyatana आकासानञ्चायतन (Tib: nam mkha' mtha' yas; Chinese: 空无边处/空無邊處;Jpn: 空無辺処 kū mu hen jo; Burmese: အာကာသာနဉ္စာယတန; Thai: อากาสานญฺจายตน or อากาศานนฺตยายตน) "Sphere of Infinite Space". 이 구체에서 무형식 존재는 공간이나 연장에 대한 명상을 무한히 널리 하고 있다. 인류의 총 수명–20,000MahaKalpa. 이 왕국은 5,580,000의 요아나가 순수한 아카니타 브라 하마 로카–최고의 평면 위에 위치한다.










양식 영역(라우 파드하 투투)[■편집]
The Rūpadhātu रूपधातुः (Pāli: Rūpaloka रूपलोक; Tib: gzugs kyi khams; Chinese: 色界; Jpn: 色界 Shiki-kai; Burmese: ရူပဗြဟ္မာဘုံ; Thai: รูปโลก / รูปธาตุ) or "Form realm" is, as the name implies, the first of the physical realms; its inhabitants all have a location and bodies of a sort, though those bodies are composed of a subtle substance which is of it 카마다투 거주자들에게 보이지 않는 자신의 모습을 말이죠. 야나바사부바 수타에 따르면, 브라흐마가 그들을 보기 위해서는 "그로서 형태"라고 가정해야 합니다. 불교 서적에는 17~22개의 '후파다투'가 있는데, 가장 흔한 말은 18개이다[10].
형태 영역의 존재들은 쾌락과 고통의 극한의 대상도 아니고, 감각을 만족시키는 것들에 대한 욕망의 지배를 받지도 않습니다. 카마다투의 존재처럼 말이죠. 형태 영역의 몸은 성적인 구별이 없다.
Ārū피다의 존재들처럼, 라우 파다투 거주자들은 도나스에 상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경우, 그것은 4개의 낮은 도나 또는 이력서의 도(र प ् न)이다. 그러나, 이들 4개의 항이에 해당하는 4개의 광범위한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각 등급은 4개의 Dhy와 5개의 ShuddhaEssasadevas로 세분화되어 총 17개의 등급을 차지한다(Therava전통은 한개의 가장 높은 Dhi로 간주한다). 16세 이상의
라파다투는 물리적으로 위에 쌓여 있는 일련의 평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평면들은 하나의 아래로 내려갈 때 이전 것의 절반 크기로 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이것은 Devas가 더 높은 비행기들 위에 물리적으로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Sahasra우주론에 대한 부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비행기들은 낮은 비행기들보다 더 넓다. 이러한 비행기의 높이는 매우 불확실한 길이의 측정치인 요아나로 표현되지만, 때때로 사람의 높이의 약 4,000배로 간주되며, 따라서 약 7.31 km(4.54마일)입니다.





순수한 아모드[■편집]
The Śuddhāvāsa शुद्धावास (Pāli: Suddhāvāsa सुद्धावास; Tib: gnas gtsang ma; Chinese: 净居天/凈居天; Thai: สุทฺธาวสฺสภูมิ) worlds, or "Pure Abodes", are distinct from the other worlds of the Rūpadhātu in that they do not house beings who have been born there through ordinary merit or meditative attainments, but only those Anāgāmins ("Non-returners") who ar e는 이미 아라트 후드로 가는 길에 있으며, 낮은 곳에서 다시 태어나지 않고도 승자의 세계에서 직접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성마 데바는 불교의 수호자[11]이다. 사우드사 데바는 사두 사지 바깥에서는 결코 다시 태어나지 않기 때문에, 보살은 궁극적으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야 하기 때문에 이 세상에서 태어난 적이 없다.
부처의 가르침 때문에 낮은 면에서 솟아 오르기 때문에 부처님이 나타나지 않으면 아주 오랫동안 비어 있을 수 있어요. 하지만 하층 세계와는 달리 사우드강은 자연 재해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다. 사리는 부처의 출현을 예언하고, 브라만으로 가장하여 인간에게 부처를 알아볼 수 있는 표시를 보여 줍니다. 그들은 또한 그의 최후의 삶에서 보살이 그의 포기로 이끌 네가지 징조를 볼 수 있도록 했다.
5개의 승마리는 다음과 같다.
Akaniṣhahahaor or or or, Akaniṭhahahahahaठ ठha ( ( ((태국:นิา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세계의 "동등한 계급"(문자 그대로:가장 어린 사람은 없음). 모든 후파다투 세계 중에서 가장 높은 곳은 종종 우주의 가장 극단적인 것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의 시아크라는 결국 그곳에서 태어날 것이다. Akaniṣha에서의 수명은 16,000킬로이다. 삼사 세 영역의 통치자 마헤스바라(시바)가 이곳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12]. 이 세상의 높이는 지구 위에 있는 167,772,160 요아나입니다[13].
수다르 샤나 수다시아(태국::ทัี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깨끗한 눈을 가진 "devas는 Akaniṣha세계와 유사하고 친근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이 세상의 높이는 지구 위에 83,886,080 요아나입니다.
수담이나 수다사 산수유(태국어: 아름다운 devas)의 세계는 다섯 종류의 아구(anngmins)의 재탄생의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41,943,040 요아나이다.
아타파(Atapaअप)또는 아타파(Atappaअपาา)–"trouble"devas(trouble)의 세계, 하위권의 회사가 원하는 회사. 이 세상의 높이는 지구 위에 있는 20,971,520 요아나입니다.
아브하 드 까스나 아비 하 우프-"추락하지 않는 "사막의 세계, 아마도 새로 태어난 아나가민들의 가장 흔한 목적지일 것입니다. 많은 이들이 이 세상에서 직접 획득하지만, 어떤 이들은 세상을 떠나, 그들이 마침내 Akani/ṣha세계에 다시 태어날 때까지 계속해서 상위의 순수한 Abode세계에서 다시 태어난다. 이것들은 "흐름이 올라가는 것들"이라고 불리는 파리우들은 "흐름이 올라가는 것들"이라고 불린다. 아바 차의 수명은 1,000캄파이다. 이 세상의 높이는 지구 위에 있는 10,485,760 요아나입니다.



비아냥 빚을 갚는 세상[■편집]
B2Hatphala세계의 devas의 정신적 상태(Chn:四九天天/四天;Jpn:四九天天;Tai:เหหปปฺฺป天天าาาา)는 네번째 Dhy와 일치하며, 침착함(upekṣā)으로 특징 지어진다. B2Hatphalla세계는 다리 끝에서 바람에 의한 우주 파괴의 상한을 형성합니다, 즉, 그들은 그러한 파괴를 면합니다.
아사냐스 타타 아사누스 크루스타(산스크리트어: Asaṃjñasattva असंज्ञसत्त्व; Thai: อสัญฺญสัตฺตา or อสํชญสตฺวา) (Vibhajyavāda tradition only) – "Unconscious beings", devas who have attained a high dhyāna (similar to that of the Formless Realm), and, wishing to avoid the perils of perception, have achieved a state of non-perception in which they endure for a time. 하지만 잠시 후에 지각이 다시 생기고 그것들은 더 낮은 상태로 떨어진다.
B1Hafatphalaaृ ् or or or 또는 Vehapphalaह ह ह ्लल ( (.(Tib:brasbuche;Tai:วหหor or or or or or or or 또는 พฺฺหฺา ) ))–Devas" 훌륭한 과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수명은 500킬로입니다. (비바야바다 전통) 여기서 다시 태어난 무가족들도 있어요 이 세상의 높이는 지구 위에 있는 5,242,880 요아나이다.
전통적인 Sarva/Prasava전통에 한해;Tib:bsodnamsSkyes; 태국어:"공적의 자손"인 devas의 세계. 이 세상의 높이는 지구 위의 2,621,440 요아나이다.
아나브라카(사르바스티바다 전통에만 해당되고, 티브:스프린 의대 태국어로 "구름 한점 없는 "사막의 세계.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1,310,720 요아나입니다.



슈바하크 츠나 세계[■편집]
슈바하크 츠나 세계의 devas의 정신 상태는 세번째 Dhi와 일치하고, 조용한 기쁨(sukha)으로 특징 지어지다. 이 디바들은 일정한 빛을 발하는 몸을 가지고 있다. 시부악골은 마그마 끝에 물에 의한 우주 파괴의 상한을 형성합니다, 즉, 물의 홍수는 그들에게 도달할 만큼 충분히 높게 상승하지 않습니다.
Śubhakṛtsna श ु भक ृ त ् स ् न or Subhakiṇṇa / Subhakiṇha स ु भक ि ण ् ण / स ु भक ि ण ् ह ( Tib : dge rgyas ; 태국어:"완전한 아름다움"의 세계. 비바자야바다의 전통에 따르면 그들의 수명은 64마칼파입니다. 64도란 바람에 의한 우주의 파괴 사이의 간격으로, 시부하 츠나 세계를 포함한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의 655,360 요아나이다.
아프라마샤 우샤 우엉 바위, 아파미 카스바 아파미 아파미(Tib:체하드 의학) 태국어:"무한한 아름다움"의 세계. 그들의 수명은 32개의 항입니다. 그들은 "믿음, 미덕, 배움, 고결함, 지혜"를 가지고 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327,680 요아나이다.
ParettaSiubha또는 Parittasubhaप ि ि त त भ भ भ ( ( ( (.(Tib::e Chung;Tai:: ปิิิิฺต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제한된 아름다움의 devas의 세계. 그들의 수명은 16도입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163,840 요아나입니다.




Ābhbh worlds worlds[■편집]
The mental state of the devas of the Ābhāsvara आभास्वर worlds (Chn/Jpn: 二禅三天; Thai: อาภัสสราภูมิ/อาภาสวราธาตุ) corresponds to the second dhyāna, and is characterized by delight (prīti) as well as joy (sukha); the Ābhāsvara devas are said to shout aloud in their joy, crying aho sukham! ("Oh joy!"). 이 devas는 번개처럼 번쩍이는 빛을 발산하는 몸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비슷한 몸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Ābhbh worlds 세계는 항이 끝에 있는 불에 의한 우주 파괴의 상한을 형성합니다. 즉, 불의 기둥이 그것들에 도달할 만큼 충분히 높이 솟아 있지 않습니다. 세계가 파괴된 후, 비바르타칼라가 시작될 때, 세계는 Ābhbhbhbh worlds 세계에서 다시 태어난 존재에 의해 처음으로 채워진다.
Ābhbhbhbhर or or or or 또는 or or or or or (र (;. 태국어:" 화려함을 가진 "타락의 세계 ābhbhbhbhbhde de의 수명은 8lifespan lifespan lifespan lifespan is is(기타:22āāāas)이다. 8단락은ā issvsvsvara world를 포함하는 물에 의한 우주의 파괴 사이의 간격이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81,920 요아나입니다.
아프라마바(orāप भ भ)나 아파마바(Apā med med med med med med med)의 세계. 그들이 명상하는 무한한 빛의 devas의 세계. 그들의 수명은 4킬로입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40,960 요아나입니다.
Parettabhbhी or or or or or or or.(Tib:'chung;Tai:ปิตฺา or or or or or.'한정된 빛'의 devas의 세계. 그들의 수명은 2킬로입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20,480 요아나입니다.



브라흐[■편집]
주요 기사:브라마(불교)
브라함조의 정신 상태는 제1의 도와 일치하고, 관찰(비타르카)과 반사(비르카라), 기쁨(프루티), 즐거움(수카)으로 특징 지어진다. 브라함 세계는 우주의 다른 하위 세계들과 함께 마그마 끝의 불에 의해 파괴된다.
샤브라흐마(( ा ((Tib:ChhangsPaenPon;ChenJpnnDa:Daibonten; Thai: มหาพรหฺมฺา) – the world of "Great Brahmā", believed by many to be the creator of the world, and having as his titles "Brahmā, Great Brahmā, the Conqueror, the Unconquered, the All-Seeing, All-Powerful, the Lord, the Maker and Creator, the Ruler, Appointer and Orderer, Father of All That Have Been and Shall Be." 브라마자야 수타(DNA1)에 따르면, 마하라 브라함 카는 자신의 장점이 고갈되어 하위 세계에 떨어져 혼자 브라만(Ābhbh)속에 태어나 자신의 존재를 망각한 채 스스로 존재했다고 상상한다. 그러한 높은 신 조차도 그 자신보다 높은 세상에 대한 본질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주목하라. 마하브라함은 키가 1요아바나이다. 1234His lifespan variously said to be 1 kalpa (Vibhajyavāda tradition) or 1 ​⁄ kalpas long (Sarvāstivāda tradition), although it would seem that it could be no longer than ​⁄ of a mahākalpa, i.e., all of the mahākalpa except for the Saṃvartasthāyikalpa, because that is the total length of time between the rebuilding of the lower world and its destruct 이 경우"kalpa"가 어떤 기간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10,240 요아나입니다.
Brahmapurohita ब ् रह ् मप ु र ो ह ि त ( Tib : tshangs ' khor ; Thai : พรหฺมปุโรหิตา ) – the " Ministers of Brahmā " are beings , also originally from the Ābhāsvara worlds , that are born as companions to Mahābrahmā after he has spent some time alone . 그들은 친구들에 대한 욕망에 뒤이어 생겨나기 때문에, 그들은 스스로를 그들의 창조자라고 믿고, 그들도 마찬가지로 그가 그들의 창조자이자 주인이라고 믿는다. 그들은 키가 1yojana이고 그들의 수명은 Kalpa혹은 전체 kalpa라고 다양하게 말해집니다. 만약 그들이 나중에 하위 세계에서 다시 태어나고, 그들의 마지막 삶의 일부를 떠올리게 된다면, 그들은 밝혀진 진리로서 창조자로서 브라함마의 교리를 가르친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5,120 요아나이다.
Brahmapāriṣadya ब्रह्मपारिषद्य or Brahmapārisajja ब्रह्मपारिसज्ज (Tib: tshangs ris; Thai: พรหฺมปริสัชชา or พรหฺมปาริษัตยา) – the "Councilors of Brahmā" or the devas "belonging to the assembly of Brahmā". 브라마카이카라 불리기도 하지만, 이 이름은 브라만*의 거주자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브라마 세상의 모든 거주자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키가 반쯤 되는 요자나이고 그들의 수명은 캄파(비바자 야바다 전통)또는 카프바(사르바스티바다 전통)의 ⁄라고 다양하게 말해진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2,560 요아나이다.




욕망의 영역(카마다투의 영역)[■편집]
주요 기사: 욕망의 영역
The beings born in the Kāmadhātu कामधातु (Pāli: Kāmaloka कामलोक; Tib: 'dod pa'i khams; Chn/Jpn: 欲界 Yoku-kai; Thai: กามภูมิ) differ in degree of happiness, but they are all, other than Anagamis, Arhats and Buddhas, under the domination of Māra and are bound by sensual desire, which causes them suffering.
이런[■편집]
다음의 네개의 세계는 각각 80,000의 요아나 광장으로 경계가 정해진 평면으로, 수메루 산 정상 위로 공중에 떠 있다. 비록 devas가 살고 있는 모든 세상들이 때때로"천국"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서양적 의미에서 그 용어는 아래에 열거된 네개의 세계에 가장 잘 적용된다.
Parinirmita-vaśavartin परिनिर्मितवशवर्ती or Paranimmita-vasavatti परनिम्मितवसवत्ति (Tib: gzhan 'phrul dbang byed; Chn/Jpn: 他化自在天 Takejizai-ten; Burmese: ပရနိမ္မိတဝသဝတ္တီ; Thai: ปรนิมมิตวสวัตฺติ or ปริเนรมิตวศวรติน) – The heaven of devas "with power over (others') creations". 이러한 욕망은 스스로 원하는 즐거운 형태를 만들어 내지 못하지만, 그들의 욕망은 그들의 호의를 바라는 다른 타락한 사람들의 행동으로 충족된다. 이 세상의 지배자는 Vashavartin이라고 불리는데, 그는 자신의 세계의 다른 타락한 사람들보다 더 긴 삶, 더 큰 아름다움, 더 큰 힘과 행복 그리고 더 유쾌한 감각적 대상을 가지고 있다. 이 세상은 또한 마라라고 불리는 데바푸트라의 집이기도 합니다. 그는 관능적인 쾌락에 사로잡혀 카마다투의 모든 존재를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마오리족은 가끔 바샤바르틴이라고도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이 세상의 두 거주자들은 다른 존재이다. 이 세상의 존재들은 높이가 4,500피트이고 9,216,000,000년 동안 살고 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1,280 요아나이다.
Nirmāṇarati निर्माणरति or Nimmānaratī निम्माणरती (Tib: phrul dga; Chn: 化乐天/化樂天; Jpn: 化楽天 Keraku-ten; Burmese: နိမ္မာနရတိ; Thai: นิมมานรติ or นิรมาณรติ)– The world of devas "delighting in their creations". 이 세상의 타락한 자들은 자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어떤 모습이라도 보일 수 있다. 세상의 군주는 수니르미타라고 불린다. 그의 아내는 부처님의 용승의 우두머리였던 비사카의 부활이다. 이 세상의 존재들은 3,750피트이고 203만 4천년을 삽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640yoyana입니다.
Tuṣitaत ष or or 또는 Tusitaत ु स स त त त world. 이 세상은 인간의 세계에서 다시 태어나기 전에 보살이 살고 있는 세상으로 가장 잘 알려 져 있다. 수천년 전까지만 해도 세상의 보살은 사다르타로 다시 태어난 사베타케 투투였고, 그는 사다르타로 부처가 되었고, 그 이후로 보살은 아지타로 다시 태어나 미륵 부처가 될 거예요. 이 보살은 투즈니타에서 가장 앞서 있는 보살이지만, 이 세상의 통치자는 산투수 이티타라고 불리는 또 다른 이슬이다. 이 세상의 존재들은 높이가 3,000피트이고 576,000,000,000년을 삽니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의 320기종이다.
야마쿠야는 세상의 튤립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가장 낮은 천국이기 때문에 " 싸우지 않는 천국"이라고 가끔 불립니다. 이 사막들은 아무 어려움 없이 공중에 떠 있다. 그것의 통치자는 다바수야마이다. 어떤 사람들에 따르면, 그의 아내는 부처님의 시대에 자비로운 라자그하의 창인 시리마가 다시 태어난 것이다. 이 세상의 존재들은 높이가 2,250피트이고 144,000,000,000년을 산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에 있는 160요아나이다.




수메루의 세계[■편집]
주요 기사: 수미산
슈메루에 장착된 세계적인 산은 세계의 중심에서 발생하는 이상한 모양의 봉우리로 태양과 달 주위를 돈다. 그것의 기지는 넓은 바다에 있고, 그것은 작은 산맥들과 대양들의 몇몇 고리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아래에 나열된 세개의 세계는 모두 수메루에 있습니다:태야성 윤회가 절정기에 살고 있고, 카지카키야카 디바는 그 경사지에 살고 있고, 아수라는 그 아래에 있는 바다에서 삽니다. 수메루와 그 주변의 바다와 산은 이러한 신들의 고향일 뿐만 아니라, 인간 세계에 거의 침범하지 않는 유명한 신화의 존재들의 거대한 집합이다.
Trāyastriṃśa त्रायस्त्रिंश or Tāvatiṃsa तावतिंस (Tib: sum cu rtsa gsum pa; Chn/Jpn: 忉利天/三十三天 Tōri-ten; တာဝတိံသာ; Thai: ดาวดึงส์, ไตรตรึงศ์, ตาวติํสา or ตฺรายสฺตฺริศ) – The world "of the Thirty-three (devas)" is a wide flat space on the top of Mount Sumeru, filled with the gardens and palaces of the devas. 그것의 지배자는 시아코로 dena, शक ् द े व म " " " " ""시아크라, devas의 군주"이다. 33명의 악마 이외에도, 많은 다른 악마와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이곳에 살고 있는데, 여기에는 디바들의 수행원들과 많은 천상의 풍요의 여신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세상의 존재는 1,500피트(460m)이며 36,000,000년(사르바스티바다 전통의 3/4을 살고 있고 3000만년을 산다. 이 세상의 키는 지구 위의 80요아나이다.
Cāturmahārājikakāyika चातुर्महाराजिककायिक or Cātummahārājika चातुम्महाराजिक (Tib: rgyal chen bzhi; Chn:四天王天; Jpn: 四大王衆天 Shidaiōshu-ten; စတုမဟာရာဇ်; Thai: จาตุมฺมหาราชิกา or จาตุรมหาราชิกกายิกา) – The world "of the Four Great Kings" is found on the lower slopes of Mount Sumeru, though some of its inhabitants live in the air around the mountain. 그 지배자들은 그 이름의 네명의 위대한 왕들인 비루 우자카, 다스타라우라는 이름의 왕과 그들의 지도자인 바이샤바카이다. 태양과 달을 인도하는 디바들은 또한 세계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고, 4대 왕의 후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컴바야스 대왕, 간다르바스 , 네명의 왕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상의 존재들은 높이가 750피트이고 900만년 혹은 9만년 동안 산다. 이 세상의 높이는 해수면에서부터 지구 위의 40요아나에 이른다.
Asuraअस ु र र र(Tib:lha mane;Chen/n;阿修 As As As As Asra;Burma:အသသ As As ာ ာ ာ ;, 태국:อุุายยย)–Asuras의 세계는 깊은 바다의 많은 부분이 있는 산의 기슭에 있는 공간입니다. 이곳은 아수라스의 원래 집이 아니라 그들이 이전에 살았던 트라야스트린시아에서 그들이 술에 취해 던진 후 그들이 발견한 장소입니다. 아수라스는 항상 수메루 산 정상에서 잃어버린 왕국을 되찾기 위해 싸우지만, 4대 왕의 경계를 무너뜨릴 수는 없다. 아수라스는 많은 그룹으로 나뉘어 져 있고, 한명의 통치자가 없지만, 그들의 지도자들 중에는 베마시트린의 통치자와 라후가 있다.



지구의 세계[■편집]
Manuṣyalokaम मल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버마:ု ု ဿ ; ; ; ; ; ; ; ; ; ;;태국:สสสิ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 – – 지구의 표면에 살고 있는 인간과 인간의 세계입니다. 성수메루를 상징하는 산 줄기는 전 세계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대한 바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바다는 차례로 세계의 수평 한계를 나타내는 둥근 산 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바다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섬들이 있는 4개의 대륙이 있습니다. 바다의 거대함으로 인해, 그들은 보통의 범선으로는 서로 연락할 수 없지만, 과거에는, 운하의 왕들이 통치했을 때, 수송 기관의 왕인 Cakrarata라고 불리는 보물을 통해 대륙 간의 의사 소통이 가능했다. 대륙 간의 공기를 마시다 4개 대륙은 다음과 같습니다.Jambudbepaजम द or or or or or or or or or or प ( ( ( ( ( ( ( ( ( ( (. 버마;္ ဗ En En En En En En En ပ ပ south south south south Thai. 태국:พููปปปป) ) south ) south south south south. 그것은 수레처럼 생겼거나, 남쪽을 향하고 있는 뾰족한 삼각형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것은 범위에 있어서 1만 요아나 혹은 6,000요아바나의 둘레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겨우 3.5요아바나의 길이의 남해안을 더할 수 있다. 이 대륙은 대륙의 중앙에서 자라는 100개의 요아나 키의 거대한 잠부 나무에서 이름을 따왔다. 모든 대륙에는 이 거대한 나무들 중 하나가 있다. 모든 불상은 잠부르비파에 나타난다. 이곳 사람들은 키가 5에서 6피트이고 그들의 수명은 10년에서 10140년 사이에 다양하다.
Pūrvavideha पूर्वविदेह or Pubbavideha पुब्बविदेह (Burmese: ပုဗ္ဗဝိဒေဟ; Thai: ปุพพวิเทหทีป or บูรพวิเทหทวีป) is located in the east, and is shaped like a semicircle with the flat side pointing westward (i.e., towards Sumeru). 그것은 정도로 7천 요아나 혹은 평평한 면이 2,000요아바나 길이인 6,350 요아나의 둘레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의 나무는 아카시아 나무, 또는 알비지아 레벡(수호다이 전통) 이곳 사람들은 키가 약 12피트이고 700년 동안 삽니다. 그들의 주된 일은 재료를 교환하고 사는 것이다.
Aparagodānīya अपरगोदानीय or Aparagoyāna अपरगोयान (Burnese: အပရဂေါယာန; Thai: อปรโคยานทวีป or อปรโคทานียทวีป) is located in the west, and is shaped like a circle with a circumference of about 7,500 yojanas (Sarvāstivāda tradition). 이 대륙의 나무는 거대한 카담바 나무이다. 이 대륙의 사람들은 집에서 살지 않고 땅에서 잠을 잔다. 그들의 주요 교통 수단은 블록 카트이다. 그들은 키가 약 24피트이고 500년 동안 삽니다.
우타라쿠루(Burman;located square isရကက ု ု ; ;;Tai:ุตกุรทวปปปปป).)는 북쪽에 위치해 있고 정사각형처럼 생겼다. 그것의 둘레는 8,000의 요아나이고, 각 면에 2,000의 요아나이다. 이 대륙의 나무는 캄파보카 나무 또는 카파르카 나무로 불리는데, 그 이유는 이 나무가 전체 캄파를 지탱하기 때문입니다. 우타라쿠루 주민들은 공기 중에 도시들을 지었다. 그들은 엄청나게 부유하며, 음식 자체가 성장함에 따라 생계를 위해 노동할 필요가 없고, 사유 재산이 없다고 한다. 그들은 키가 약 15미터이고 1,000년 동안 살고 있으며, 그들은 바이시라 바드 하에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Tiryagyoni-loka तिर्यग्योनिलोक or Tiracchāna-yoni तिरच्छानयोनि (Tib: dud 'gro; Chn/Jpn: 畜生 chikushō; Burmese: တိရစ္ဆာန်ဘုံ; Thai: เดรัจฉานภูมิ or ติรยคฺโยนิโลก) – This world comprises all members of the animal kingdom that are capable of feeling suffering, regardless of size.
Pretaloka는 인간과 매우 다르게 인식하고 있지만, 주로 지구상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사막과 황무지에서 산다.



헬스(나라카스)[■편집]
주요 기사:나라카(불교)
Narakaन orक or 또는 Nirayaन र र baययय;버마;ငရ ဲ ဲ ဲ;Tai:กกก)ก ) ))는 가장 큰 고통의 세계 중 하나에 주어진 이름으로, 보통"지옥"이나 "연옥"으로 번역된다.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존재는 그의 업보로 인해 이 세계들 중 하나에서 태어나고, 그의 업보가 완전한 결과를 얻을 때까지 유한한 시간 동안 그곳에 살고 있고, 그 후에 그는 아직 무너지지 않은 더 이른 카르마의 결과로 상위 세계들 중 하나에서 다시 태어날 것이다. 지옥에 있는 인간의 정신 상태는 인간의 극심한 공포와 무력한 고뇌의 상태에 해당한다.
물리적으로 나라카는 지구의 잠부다비파 아래로 확장된 일련의 층으로 생각된다. 이 나라카스들을 세고 그들의 고통을 열거하기 위한 몇가지 계획들이 있다. 더 흔한 것 중 하나는 여덟개의 차가운 나라카스와 여덟개의 뜨거운 나라카스이다.



차가운 나라카스[■편집]
아르부다 우츠나와-"물집"나라카
니라르부다(Nirarbudaन ि ररर ् ्)-"물집이 터지다"나라카
아타카 주– 떨고 있는 나라카 주
하하바 크루프-라멘탈의 나라카
채터링 이빨의 나라카라는 이름의 후후바
우탈라 우츠나카–피부가 푸른 연꽃이 되는 모습
파드마 पद म –– 갈라진 피부의 나라카
마하파드마 섬– 얼어붙은 시체들의 나라카 섬
이 나라카스의 일생은 그 이전의 것보다 20배나 길다.



뜨거운 나라카스[■편집]
사니바(버마어:သ ဉ ္ ိ း း ; ; ;, 태국어:ญชชีมาาน) ) ) ) ) ) ))–"부활"Naraka.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162x1010년이다.
칼라수트라 카라스트라 나라카(버마어:က ဠသ ု တ ် ; ; ; ;;태국어:กฬสตกกกกกก / / / / / / / / ) ) ) ) ) ) ) ) ) ) ) ) ) ) ) ) ) – ) thread thread thread thread Na Na Na Na Na ) ) ).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129610년이다10.
윤회 사상(버마어:–င္ တ င ; ;, 태국어:งฆากกกor or or or, 또는 สํฆต ) ) ))–"분쇄하는 "나라카.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10,36810×10년이다.
RauravaHiravavaर / / / / //ीववव ;, 태국:รรววม) ) ) ) )."비명을 지르는 "Naraka.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82,94410×10년이다.
마하라 우라바 마리야바 마라바(Mahaurava)는(버마:BurmeseBurmese :ာ ရ ု ု ဝ ; ;, 태국:มาาโรรุุววว ) ) ) ) ) ) ) ) ))--" 위대한 "나라카입니다.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663,552×1010년이다.
샤파나 타파나(버마어:BurmeseBurmese : ဲ ;;태국어:ปนหา) ) ) ))–"가열"나라카.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5,308,41610년이다.
샤타파나 카라카(버마어:: ာ တ ာန ; ; ; ;, 태국어:ามา) ) ) ) ) ) ) ))-" 대단한 난방"Naraka.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42,467,32810×10년이다.
애비시ciव ी ि(버마::ဝ ီ စ ိ င င; 태국어:"중단 없는 "Naraka입니다. 이 나라카에서의 삶은 339,738,62410년 x10년이다.




지구의 기초[■편집]
지구의 모든 구조물인 수메루와 나머지는 해수면 위에 있는 수메루의 높이와 같은 8만 요아나의 깊이까지 아래로 뻗어 있다. 아래에는 스메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단단한 물질인 "황금의 대지"층이 있다. 이것은 32만 요아나의 깊이이고 해수면 아래로 40만 요아나까지 확장된다. 차례로 황금 지구의 층은 해수면 아래로 8,400,000 요아나로 내려가는 물의 층 위에 놓여 있다. 수면 아래에는 "바람의 원"이 있는데, 이것은 16,000,000 요아나의 깊이와 범위가 훨씬 넓어서 1,000개의 다른 세계를 지탱한다. 요자나스는 약 13km(8mi)정도 된다.



사하스라 우주론[■편집]
사하스라는 "1,000"을 의미합니다. 지각하지도 않고 지각하지도 않는 평면에서(Nevasanna-ananna-siatana)niraya까지,"간격이 없는 "이라는 의미의 Avy-ici–단일 세계 시스템인 Cakkavaava를 구성하고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단어는 불확실[14]하다. 현대에서는 그것을 '우주'또는'태양계'라고 부를 것이다.
1천개의 태양계가 모여 있는 것은 "1,000배의 작은 세계 시스템"이라고 불립니다. 아니면 작은 아이들의 코미스트이거나.
1,000배의 세계 시스템 모음(1,000제곱)은 " 제2차 세계 시스템의 수천배"(dvishaassimarzhimalokadhatu)입니다. 아니면 보통의 디칠리오콘이거나요
천개의 세계 시스템으로 구성된 가장 큰 그룹은 "Tisahassimahasassilokadhatu"라고 불린다. 아니면 위대한 삼두 정치요.
타타가타는, 만약 그가 그렇게 원한다면, 그의 목소리가 거대한 삼경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삼색조를 빛으로 덮어서 그렇게 합니다. 그 때 세계 시스템의 거주자들은 이 빛을 인지할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그의 목소리를 그 왕국 전체로 확장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15].



마하 칼파[■편집]
Kalpa라는 단어는 '순간'을 의미한다. 마하 캄파는 4개의 순간으로 구성되는데, 그 중 첫번째는 창작이다. 창조의 순간은 "용기"의 창조와 더 높은 계급에서 더 거친 형태의 존재로의 존재의 하강으로 구성된다. 창조의 나머지 순간 동안, 세상은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이 시점에 존재하는 인간은 그들의 수명에 제한이 없다. 두번째 순간은 지속되는 순간입니다. 이 순간의 시작은 지옥에 들어가는 지각이 있는 최초의 존재(니라야), 존재하지 않거나 이 순간 이전에 비어 있던 지옥과 질산염에 의해 의미됩니다. 그 기간은 20번의 "중간"순간들로 구성되는데, 이 순간들은 인간의 수명이 80,000년에서 10년으로 떨어지는 드라마로 펼쳐지고 다시 8만으로 돌아온다. 이들"중간"순간들 사이의 간격은 다양한 인간들이 서로를 알지 못하거나 인식하지 못하고 서로를 죽이고, 어떤 사람들은 숨어 버리는 "7일 간의 정화"입니다. 이 숙청의 끝에, 그들은 세상을 숨기고 다시 채우는 것에서 나올 것이다. 이 제거 후에, 수명은 80,000으로 증가할 것이고, 최고점에 도달하고 하강할 것이며, 그 때 이 제거는 다시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제거 및 반복 주기는 '순간'기간 내에 약 18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첫번째"중간"순간은 80,000의 하강–두번째 중간 순간은 상승 및 하강으로 구성되며, 마지막 순간은 상승으로만 구성된다.
'순간'이 붕괴의 순간이 되고 나면, 그 지옥은 점차 사라질 것이며, 모든 공동체의 존재도 사라질 것이다. 존재들은 왕국으로 모일 것이고, 불의 파괴는 일어날 것이며,' 빛나는 '신들의 영역과 그 이상의 영역으로부터 모든 것을 보호할 것이다.
'불'에 의한 이러한 파괴 중 7개가 지나면 물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고,'유쾌한 '신의 영역과 그 위에 있는 모든 것이 저장된다.
화재와 물에 의한 64건의 파괴, 즉 화재에 의한 56건의 파괴, 그리고 물에 의한 7건의 파괴가 발생한 후에, 이것은 '생산적인 '파괴의 영역 아래에 있는 모든 것을 제거한다. 순수한 아보드는 절대로 파괴되지 않는다. 비록 부처님의 모습이 없다면, 이 왕국들은 오랫동안 비어 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대단히 긴 수명을 가지고 있다.
형태가 없기 때문에 그 형태 없는 왕국은 결코 파괴되지 않는다. 지구가 아닌 불, 물, 바람에 의해 파괴되는 이유는 지구가 '용기'이기 때문이다.
붕괴의 순간 이후 이 특정한 세계 체제는 오랫동안 해체된 채로 남아 있고, 이것은 "공허한 순간"이라고 불리지만, 더 정확한 용어는 "해체의 상태"가 될 것이다. 이전에 이 왕국에 거주했던 생명체들은 다른 세계의 시스템으로 이주할 것이며, 그들의 여행이 이곳으로 다시 온다면 아마도 돌아올 것이다[16][17].



시간 우주론[■편집]
불교의 일시적 우주론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나고 소멸되는지를 묘사한다. 다른 인도 우주론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시간의 무한한 범위를 가정하고 순환한다. 이것은 동일한 이벤트가 각 사이클과 동일한 형태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낮과 밤 또는 여름과 겨울의 사이클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자연 이벤트가 계속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 측정의 기본 단위는 항이나 "GreatEon"입니다. 태국어:มหัป or or 또는หกั ; ; ;;Devanagari:ाल प / / /.) 인간의 시대에 이 시간의 길이가 정확히 정의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매우 길고, 더 길지는 않더라도 수십억년 안에 측정될 것을 의미한다.
항이 하나는 4개의 캄파 또는"영겁"으로 나뉘어 지는데, 이것들은 각각 캄파 기간 동안 우주의 진화 단계에 의해 다른 것들과 구별됩니다. 다음과 같은 네개의 캄파가 있습니다.
비바르타칼파(Vivartakalpa)의 '진화의 신(Eon)'–이 Kalpa동안 우주는 존재하게 됩니다.
"진화의 시작"–이 캄파 기간 동안 우주는 여전히 안정된 상태로 존재한다.
윤회 사상은 세상을 분열시킨다.
윤회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는 삶-이 칼이 있는 동안 우주는 공허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Each one of these kalpas is divided into twenty antarakalpas अन ् तरकल ् प ( Pāli : antarakappa अन ् तरकप ् प ; Chn/Jpn : 中劫 , " inside eons " ; 태국어:각각 길이가 거의 같습니다. 윤회 사상의 경우, 이 구분은 단지 명목에 지나지 않는다. 하나의 남극에서 다음으로 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세개의 캄파스의 경우, 그것은 Kalpa내의 내부 순환을 나타낸다.




비바르타칼파[■편집]
비바르타칼파는 원시 바람의 발생과 함께 시작하는데, 이 바람은 마지막 항이 끝날 때 파괴된 우주의 구조물을 세우는 과정을 시작한다. 파괴의 정도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진화의 본질은 또한 다양할 수 있지만, 그것은 항상 더 높은 세계에서 더 낮은 세계로 태어나는 존재의 형태를 취한다. 죽은deceasedbhbhbhbhbhbhbh의 부활이 되는 마하브라함의 예는 이것의 한 예로서, 모든 세상이 브라 말로 카와 나라카로 채워질 때까지 비바르타칼파 전역에 걸쳐 계속된다. 비바르타칼파 기간에는 최초의 인간이 등장한다. 그들은 현재의 인간과 같지는 않지만, 그들 자신의 빛으로 빛나고 있으며, 기계적 도움 없이 공기를 통해 오랜 시간을 살 수 있고, 생계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존재이다. 그들은 현재의 인간보다 더 낮은 종류의 신과 같다[18].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은 신체적 영양에 대한 감각을 얻게 되고, 그것을 섭취함에 따라, 그들의 몸은 점점 더 무거워지고, 빛을 발하는 능력을 잃고, 그들의 외모에 차이를 얻기 시작하고, 그들의 수명은 줄어듭니다. 그들은 두개의 성으로 구분되고 성적으로 활발하게 행동하기 시작한다. 탐욕, 절도, 폭력이 그들 사이에서 발생하고, 그들은 사회적 구분과 정부를 세우고, 그들을 다스릴 왕을 선출합니다." 위대한 지명자"라고 불리는 왕을 말입니다. 그들 중 일부는 지금까지 존재하는 동물의 살을 사냥하고 먹기 시작한다[19].




비바르타시야카팔파[■편집]
제1호 안타라칼파[■편집]
비바르타시야카파는 첫번째 존재가 나라카에서 태어날 때부터 시작되어 전 우주를 존재로 채운다. 이 어른의 첫번째 반항아 기간 동안, 인간의 수명은 방대하지만 지정되지 않은 기간에서 100년 미만의 현대적인 수명으로 감소한다. 남극점의 초기에 사람들은 여전히 일반적으로 행복하다. 그들은 보편[clarification needed]적 군주 혹은"바퀴를 돌아가는 왕"의 통치 하에 살고 있습니다. 마하스다사나 수타(DNS.17)는 카크라바인 왕 마하수다사나(산스크리트어: 33만 6천년을 산 마수다르 샤나). 카카바트-무한나다 수타(DN.26)는 카바바르트족(산스크리트어: 그와 8만년 이상의 수명을 가진 그의 다섯명의 후손들이다. 이 족장들의 일곱번째 말은 그의 조상들의 전통과 단절되어, 특정한 나이에 그의 지위를 포기하고, 그의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을 거부하고, 그들의 삶에 들어갔다. 그의 잇따른 실정으로 빈곤이 증가했고, 빈곤의 결과로 절도가 시작되었으며, 절도의 결과로 사형이 내려졌으며, 이러한 삶에 대한 경멸의 결과로 살인과 다른 범죄들이 만연해 졌다.
이제 인간의 수명은 8만년에서 100년으로 빠르게 감소했고, 명백히 각 세대와 함께 반으로 감소했으며, 각 세대가 거짓말, 탐욕, 증오, 성 행위, 노인에 대한 무례함과 같은 다른 범죄와 악을 증가시켰다. During this period, according to the Mahāpadāna-sutta (DN.14) three of the four Buddhas of this antarakalpa lived: Krakucchanda Buddha क्रकुच्छन्दः (Pāli: Kakusandha ककुन्ध), at the time when the lifespan was 40,000 years; Kanakamuni कनकमुनिः Buddha (Pāli: Konāgamana कोनागमन) when the lifespan was 30,000 years; and Kāśyapa काश्यपः Buddha (Pāli: Ka 수명이 2만년 이었을 때.
우리의 현재의 시간은 80세까지 산 생을 마감하는 생을 100년 미만으로 하고 있는 이 비바르타스타이 카이칼파의 첫번째 안타라칼파의 끝으로 간주된다.
나머지 말라리아 환자들은 비참해 질것으로 예상된다:수명은 계속해서 감소할 것이고, 과거의 모든 나쁜 경향들은 파괴력에서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사람들은 10년 이상 살지 못할 것이고, 다섯살에 결혼할 것이다. 음식은 형편없고 맛이 없을 것이다. 도덕성의 어떠한 형태도 인정되지 않을 것이다. 가장 경멸하고 증오하는 사람들이 통치자가 될 것이다. 근친 상간이 만연할 것이다. 사람들 간의 증오, 심지어 같은 가족의 구성원들까지, 사람들이 사냥꾼들처럼 서로를 생각할 때까지 증가할 것이다[20].
결국 큰 전쟁이 뒤따를 것이고, 가장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사람들은 그들의 손에 칼을 든 채로 서로를 죽이러 나갈 것이다. 전쟁이 격렬해 지는 동안 덜 공격적인 사람들은 숲과 다른 비밀 장소에 숨을 것이다. 이 전쟁은 첫번째 남극점의 끝을 나타낸다[21].



두번째 남극점[■편집]
전쟁이 끝날 무렵, 생존자들은 은신처에서 나와 그들의 나쁜 습관을 후회할 것이다. 그들이 선한 일을 하기 시작함에 따라, 그들의 수명은 늘어나고, 인류의 건강과 복지도 함께 증가할 것이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 10년의 수명을 가진 사람들의 후손들은 80,000년 동안 살게 될 것이고, 그 때는 Saṅkhaश ख라고 불리는 수송 부대의 왕이 될 것이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현재의 투베이타 천국에 있는 보살은 내려와서 아지타 대왕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그는 브라마마의 삶에 들어서서 부처로서 완벽한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그리고 미륵(미륵불)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질 것이다.
미륵의 시대가 지나면, 세계는 다시 악화될 것이고, 수명은 8만년에서 10년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할 것이고, 각각의 아타라칼파는 파괴적인 전쟁에 의해 다음과 분리될 것이고, 그 전쟁은 높은 문명과 도덕의 정점을 이룬다. 19번째 안타라칼파 이후에, 수명은 8만으로 늘어날 것이고, 그 후에는 줄어들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바바르타스타세야의 수명은 끝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윤회[■편집]
윤회는 나라카에서 태어나는 것이 멈출 때 시작된다. 이러한 출생의 중단은 수직적 우주론의 역순으로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프레타스는 더 이상 태어나지 않고 동물, 인간 등이 탄생하지 않습니다.
브라말로카 행성까지 주민이 없으면 거대한 화재가 세상의 물리적 구조 전체를 소모한다. 그것은bh worldsbh 아래의 모든 세계를 태운다. 그것들이 파괴될 때, 윤회가 시작된다.



윤회[■편집]
윤회 사상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 왜냐하면 그 윤회 사상 아래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원시 시대의 바람이 불기 시작하여 다시 세계의 구조물을 형성하면서 끝난다.
기타 장애물[■편집]
불에 의한 파괴는 윤회의 끝에 일어나는 정상적인 유형의 파괴이다. 하지만 매 8일마다 일곱번이나 불에 의해 파괴된 후에, 물에 의한 파괴가 있습니다. 이것은 브라흐마 세계 뿐만 아니라 Ābhbhbh worlds worlds 세계를 제거하기 때문에 더욱 파괴적이다.
64가 될 때마다, 불에 의한 여섯개의 파괴와 물에 의한 일곱개의 파괴 후에, 바람에 의한 파괴가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파괴적이다, 그것은 또한 시보 하크 츠나 세계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더 높은 세상은 절대 무너지지 않는다.



마하야나의 경치[■편집]
마하야나 불교는 우주론을 위와 같이 받아들인다[22][23]. 약간의 차이가 있는 우주론은 5장의 "아바담 삼경"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참고 항목[■편집]
불교와 진화론
불교의 우주론(Theravada)
대답할 수 없는 14가지 질문
힌두 우주론
불교 관련 기사 목록
잔 우주론
종교적 우주론
세속 불교





참조[■편집]
^ Authors, Various. "Aṅguttara Nikāya 007. Mahavagga – The greater section". Mettanet - Lanka. Retrieved 7 May2015. Having developed loving kindness for seven years, he did not come to this world for seven forward and backward world cycles.
^ Authors, Various (2011). Collected Wheel Publications Volume XIV: Numbers 198–215.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I did not return to this world for seven aeons of world-contraction and world-expansion.
^ Nyanatiloka. "kappa". Tipitaka (Drei-Korb), der Pali Kanon des Theravāda-Buddhismus. Retrieved 7 May 2015.
^ Tan, Piya. "Aggañña Sutta" (PDF). The Dharmafar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7-10-31. Retrieved 7 May 2015. Then the female developed female organs,87 and the male developed male organs.
^ Tan, Piya. "Satta Suriya Sutta" (PDF). The Dharmafarers. Retrieved 27 May 2016. There comes a time, bhikshus, after a long time, a seventh sun appears.
^ Authors, Various. "Aṅguttara Nikāya 3. Tika Nipāta 8. Anandavaggo". Mettanet – Lanka. Retrieved 27 May 2016. Here Ānanda, the Thus Gone One pervades the three thousandfold and the great thousandfold world system with an effulgent light, so that those sentient beings see it, then the Thus Gone One makes a sound. In this manner an announcement is made to the three thousandfold and the great thousandfold world system if he desires.
^ Tan, Piya. "Saleyyaka Sutta" (PDF). The Dharmafarers. Retrieved 7 May 2015. I would arise in fellowship with the gods of boundless radiance (appaman’abha deva)!’
^위로 바로ab: Gethin, Rupert (1998). The Foundations of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Chapter 5. ISBN 0-19-289223-1.
^ "Buddhist cosmology – The Zen Universe". The Zen Universe. 2016-11-01. Retrieved 2018-10-24.
^ 佛教于岸世界 – – – – –.
^ 수잔 엘바움 조톨라는 "디바스의 선생님"입니다. 휠 출판 번호 414.416(Kandy:불교 출판 협회, 1997)기사 링크를 클릭하면 2013년 2월 4일 웨이 백 머신에서 Insight자료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 무자비한 동정심:로버트 N. 린로테의 초기 인도-티베탄 이스토릭 불교 미술의 고통스러운 가치[1]
^ "Saturn | planet".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06-08.
^ Jayatilleke, K.N. "Facets of Buddhist Thought".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Retrieved 7 May 2015. The early Buddhist texts too do not state that the Major World-System is all there is, in the universe, for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world is finite or infinite (ananto) in extent is left unanswered (avyakata). The later commentarial tradition however goes a step further. One of the synonyms for a “world-system” or loka-dhātu is cakkavāḷa, a word of uncertain etymology meaning a “wheel’, “circle” or “sphere.”
^ Authors, Various. "Aṅguttara Nikāya 3. Tika Nipāta 8. Anandavaggo". Mettanet – Lanka. Retrieved 7 May 2015.
^ Kloetzli, Randy (1983). Buddhist Cosmology: From Single World System to Pure Land : Science and Theology in the Images of Motion and Light. Motilal Banarsidass. The divisions of cosmic time outlined in the Kosa are predictably elaborate
^ Thera, Ñanamoli; Bodhi, Bhikkhu. "Maha-sihanada Sutta: The Great Discourse on the Lion's Roar". Access to Insight. Retrieved 7 May 2015.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a realm in the round that I have not already [82] passed through in this long journey, except for the gods of the Pure Abodes;
^ 제10-11절, 수타 27절(아가냐 수타)
^ 디와니카야, 27번 수타(아가냐 수타), 12~26번 구역
^ 제19절부터 제20절까지, 수타 26절.
^ 제21장, 제26장, 제2장.
^ 佛教的宇宙觀
^ 蓮花轉生–3界娘子

추가적인 읽기[■편집]
Robert E. Buswell Jr.; Donald S. Lopez J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48058. Retrieved 22 June 2015.
Buswell, Robert E., ed. (2004). Encyclopedia of Buddhism (Cosmology). Macmillan Reference US. pp. 183–187. ISBN 0-02-865718-7.
Trainor, Kevin (2004).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73987. Retrieved 22 June 2015.
Buddhist Cosmology (PDF). Dhammakaya Open University.



범주:불교의 우주론
종교적 우주론





>>>


Buddhist cosmolog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is article uncritically uses texts from within a religion or faith system without referring to secondary sources that critically analyze them.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references to reliable secondary sources, with multiple points of view. (December 2013)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Part of a series on
Buddhism
Dharma Wheel.svg
History[show]
DharmaConcepts
[show]
Buddhist texts[show]
Practices[show]
Nirvāṇa[show]
Traditions[show]
Buddhism by country[show]
Outline
P religion world.svg Religion portal
vte
Wat Arun's pagodas were built and located to simulate the Buddhist Cosmology
Buddhist cosmology is the description of the shape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according to the Buddhist scriptures and commentaries.
It consists of temporal and spatial cosmology: the temporal cosmology being the division of the existence of a 'world' into four discrete moments (the creation, duration, dissolution, and state of being dissolved; this does not seem to be a canonical division, however). The spatial cosmology consists of a vertical cosmology, the various planes of beings, their bodies, characteristics, food, lifespan, beauty and a horizontal cosmology, the distribution of these world-systems into an "apparently" infinite sheet of “worlds”. The existence of world-periods (moments, kalpas), is well attested to by the Buddha.[1][2]
The historical Buddha (Gautama Buddha) made references to the existence of aeons (the duration of which he describes using a metaphor of the time taken to erode a huge rock measuring 1x1x1 mile by brushing it with a silk cloth, once every century),[3] and simultaneously intimates his knowledge of past events, such as the dawn of human beings in their coarse and gender-split forms,[4] the existence of more than one sun at certain points in time,[5] and his ability to convey his voice vast distances,[6] as well as the ability of his disciples (who if they fare accordingly) to be reborn in any one of these planes (should they so choose).[7]


Contents
1 Introduction
2 Spatial cosmology
2.1 Vertical cosmology
2.1.1 Formless Realm (Ārūpyadhātu आरूपधातु)
2.1.1.1 Arupa Bhumi (Arupachara Brahmalokas or Immaterial/Formless Brahma Realms)
2.1.2 Form Realm (Rūpadhātu)
2.1.2.1 Pure Abodes
2.1.2.2 Bṛhatphala worlds बृहत्फल
2.1.2.3 Śubhakṛtsna worlds
2.1.2.4 Ābhāsvara worlds
2.1.2.5 Brahmā worlds
2.1.3 Desire Realm (Kāmadhātu कामधातु)
2.1.3.1 Heavens
2.1.3.2 Worlds of Sumeru
2.1.3.3 Earthly realms
2.1.3.4 Hells (Narakas)
2.1.3.4.1 Cold Narakas
2.1.3.4.2 Hot Narakas
2.1.4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2.2 Sahasra cosmology
2.2.1 Maha Kalpa
3 Temporal cosmology
3.1 Vivartakalpa
3.2 Vivartasthāyikalpa
3.2.1 First antarakalpa
3.2.2 Second antarakalpa
3.3 Saṃvartakalpa
3.4 Saṃvartasthāyikalpa
3.5 Other destructions
4 Mahayana views
5 See also
6 References
7 Further reading





 Introduction
The self-consistent Buddhist cosmology, which is presented in commentaries and works of Abhidharma in both Theravāda and Mahāyāna traditions, is the end-product of an analysis and reconciliation of cosmological comments found in the Buddhist sūtra and vinaya traditions. No single sūtra sets ou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universe, but in several sūtras the Buddha describes other worlds and states of being, and other sūtras describe the origin and destruction of the universe. The synthesis of these data into a single comprehensive system must have taken place early in the history of Buddhism, as the system described in the Pāli Vibhajyavāda tradition (represented by today's Theravādins) agrees, despite some minor inconsistencies of nomenclature, with the Sarvāstivāda tradition which is preserved by Mahāyāna Buddhists.[8]
The picture of the world presented in Buddhist cosmological descriptions cannot be taken as a literal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universe. It is inconsistent, and cannot be made consistent, with astronomical data that were already known in ancient India.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be a description of how ordinary humans perceive their world;[8] rather, it is the universe as seen through the divyacakṣus दिव्यचक्षुः (Pāli: dibbacakkhu दिब्बचक्खु), the "divine eye" by which a Buddha or an arhat who has cultivated this faculty can perceive all of the other worlds and the beings arising (being born) and passing away (dying) within them, and can tell from what state they have been reborn and into what state they will be reborn. The cosmology has also been interpreted in a symbolical or allegorical sense (for Mahayana teaching see Ten spiritual realms).
Buddhist cosmology can be divided into two related kinds: spatial cosmology, which describes the arrangement of the various worlds within the universe; and temporal cosmology, which describes how those worlds come into existence, and how they pass away.
Spatial cosmology
Spatial cosmology displays the various, multitude of worlds embedded in the universe. Spatial cosmology can also be divided into two branches. The vertical (or cakravāḍa; Devanagari: चक्रवाड) cosmology describes the arrangement of worlds in a vertical pattern, some being higher and some lower. By contrast, the horizontal (sahasra) cosmology describes the grouping of these vertical worlds into sets of thousands, millions or billions.




 Vertical cosmology
"In the vertical cosmology, the universe exists of many worlds (lokāḥ; Devanagari: लोकाः) – one might say "planes/realms" – stacked one upon the next in layers. Each world corresponds to a mental state or a state of being".[9] A world is not, however, a location so much as it is the beings which compose it; it is sustained by their karma and if the beings in a world all die or disappear, the world disappears too. Likewise, a world comes into existence when the first being is born into it. The physical separation is not so important as the difference in mental state; humans and animals, though they partially share the same physical environments, still belong to different worlds because their minds perceive and react to those environments differently.
The vertical cosmology is divided into thirty-one planes of existence and the planes into three realms, or dhātus, each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type of mentality. These three realms (Tridhātu) are the Ārūpyadhātu (4 Realms), the Rūpadhātu (16 Realms), and the Kāmadhātu (15 Realms). In some instances all of the beings born in the Ārūpyadhātu and the Rūpadhātu are informally classified as "gods" or "deities" (devāḥ), along with the gods of the Kāmadhātu,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deities of the Kāmadhātu differ more from those of the Ārūpyadhātu than they do from huma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deva is an imprecise term referring to any being living in a longer-lived and generally more blissful state than humans. Most of them are not "gods" in the common sense of the term, having little or no concern with the human world and rarely if ever interacting with it; only the lowest deities of the Kāmadhātu correspond to the gods described in many polytheistic religions.
The term "brahmā; Devanagari: ब्रह्मा" is used both as a name and as a generic term for one of the higher devas. In its broadest sense, it can refer to any of the inhabitants of the Ārūpyadhātu and the Rūpadhātu. In more restricted senses, it can refer to an inhabitant of one of the eleven lower worlds of the Rūpadhātu, or in its narrowest sense, to the three lowest worlds of the Rūpadhātu (Plane of Brahma's retinue) A large number of devas use the name "Brahmā", e.g. Brahmā Sahampati ब्रह्मा सहम्पत्ति, Brahmā Sanatkumāra ब्रह्मा सनत्कुमारः, Baka Brahmā बकब्रह्मा, etc. It is not always clear which world they belong to, although it must always be one of the worlds of the Rūpadhātu. According to the Ayacana Sutta, Brahmā Sahampati, who begs the Buddha to teach Dhamma to the world, resides in the Śuddhāvāsa world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Buddhist Universe



 Formless Realm (Ārūpyadhātu आरूपधातु)
The Ārūpyadhātu (Sanskrit) or Arūpaloka (Pāli) (Tib: gzugs med pa'i khams; Chinese: 无色界/無色界;Jpn: 無色界 Mushiki-kai; Burmese: အရူပဗြဟ္မာဘုံ;Thai: อารูปยธาตุ/ อรูปโลก; Devanagari: आरूप्यधातु / अरूपलोक) or "Formless realm" would have no place in a purely physical cosmology, as none of the beings inhabiting it has either shape or location; and correspondingly, the realm has no location either. This realm belongs to those devas who attained and remained in the Four Formless Absorptions (catuḥ-samāpatti चतुःसमापत्ति) of the arūpadhyānas in a previous life, and now enjoys the fruits (vipāka) of the good karma of that accomplishment. Bodhisattvas, however, are never born in the Ārūpyadhātu even when they have attained the arūpadhyānas.
There are four types of Ārūpyadhātu devas, corresponding to the four types of arūpadhyānas:
Arupa Bhumi (Arupachara Brahmalokas or Immaterial/Formless Brahma Realms)
Naivasaṃjñānāsaṃjñāyatana नैवसंज्ञानासंज्ञायतन or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नेवसञ्ञानासञ्ञायतन (Tib: 'du shes med 'du shes med min; Jpn: 非有想非無想処; Burmese: နေဝသညာ နာသညာယတန; Thai: เนวสญฺญานาสญฺญายตน or ไนวสํชญานาสํชญายตน ) "Sphere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In this sphere the formless beings have gone beyond a mere negation of perception and have attained a liminal state where they do not engage in "perception" (saṃjñā, recognition of particulars by their marks) but are not wholly unconscious. This was the sphere reached by Udraka Rāmaputra (Pāli: Uddaka Rāmaputta), the second of the Buddha's original teachers, who considered it equivalent to enlightenment. Total life span on this realm in human years - 84,000 Maha Kalpa (Maha Kalpa = 4 Asankya Kalpa). This realm is placed 5,580,000 Yojanas ( 1 Yojana = 16 Miles) above the Plane of Nothingness (Ākiṃcanyāyatana).
Ākiṃcanyāyatana आकिंचन्यायतना or Ākiñcaññāyatana आकिञ्चञ्ञायतन (Tib: ci yang med; Chinese: 无所有处/無所有處; Jpn: 無所有処 mu sho u sho; Burmese: အာကိဉ္စညာယတန; Thai: อากิญฺจญฺญายตน or อากิํจนฺยายตน; Devanagari: /) "Sphere of Nothingness" (literally "lacking anything"). In this sphere formless beings dwell contemplating upon the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 This is considered a form of perception, though a very subtle one. This was the sphere reached by Ārāḍa Kālāma (Pāli: Āḷāra Kālāma), the first of the Buddha's original teachers; he considered it to be equivalent to enlightenment. Total life span on this realm in human years – 60,000 Maha Kalpa. This realm is placed 5,580,000 yojanas above the Plane of Infinite Consciousness(Vijñānānantyāyatana).
Vijñānānantyāyatana विज्ञानानन्त्यायतन or Viññāṇānañcāyatana विञ्ञाणानञ्चायतन or more commonly the contracted form Viññāṇañcāyatana (Tib: rnam shes mtha' yas; Chinese: 识无边处/識無邊處; Jpn: 識無辺処 shiki mu hen jo; Burmese: ဝိညာဏဉ္စာယတန; Thai: วิญญาณานญฺจายตน or วิชญานานนฺตยายตน) "Sphere of Infinite Consciousness". In this sphere formless beings dwell meditating on their consciousness (vijñāna) as infinitely pervasive. Total life span on this realm in human years – 40,000 Maha Kalpa. This realm is placed 5,580,000 yojanas above the Plane of Infinite Space (Ākāśānantyāyatana)
Ākāśānantyāyatana अाकाशानन्त्यायतन or Ākāsānañcāyatana आकासानञ्चायतन (Tib: nam mkha' mtha' yas; Chinese: 空无边处/空無邊處;Jpn: 空無辺処 kū mu hen jo; Burmese: အာကာသာနဉ္စာယတန; Thai: อากาสานญฺจายตน or อากาศานนฺตยายตน) "Sphere of Infinite Space". In this sphere formless beings dwell meditating upon space or extension (ākāśa) as infinitely pervasive. Total life span on this realm in human years – 20,000 Maha Kalpa. This realm is placed 5,580,000 yojanas above the Akanita Brahma Loka – Highest plane of pure abodes.


 Form Realm (Rūpadhātu)
The Rūpadhātu रूपधातुः (Pāli: Rūpaloka रूपलोक; Tib: gzugs kyi khams; Chinese: 色界; Jpn: 色界 Shiki-kai; Burmese: ရူပဗြဟ္မာဘုံ; Thai: รูปโลก / รูปธาตุ) or "Form realm" is, as the name implies, the first of the physical realms; its inhabitants all have a location and bodies of a sort, though those bodies are composed of a subtle substance which is of itself invisible to the inhabitants of the Kāmadhātu. According to the Janavasabha Sutta, when a brahma (a being from the Brahma-world of the Rūpadhātu) wishes to visit a deva of the Trāyastriṃśa heaven (in the Kāmadhātu), he has to assume a "grosser form" in order to be visible to them. There are 17–22 Rūpadhātu in Buddhism texts, the most common saying is 18.[10]
The beings of the Form realm are not subject to the extremes of pleasure and pain, or governed by desires for things pleasing to the senses, as the beings of the Kāmadhātu are. The bodies of Form realm beings do not have sexual distinctions.
Like the beings of the Ārūpyadhātu, the dwellers in the Rūpadhātu have minds corresponding to the dhyānas (Pāli: jhānas). In their case it is the four lower dhyānas or rūpadhyānas (रुपध्यान). However, although the beings of the Rūpadhātu can be divided into four broad grades corresponding to these four dhyānas, each of them is subdivided into further grades, three for each of the four dhyānas and five for the Śuddhāvāsa devas, for a total of seventeen grades (the Theravāda tradition counts one less grade in the highest dhyāna for a total of sixteen).
Physically, the Rūpadhātu consists of a series of plane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each one in a series of steps half the size of the previous one as one descends. In part,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devas are also thought of as physically larger on the higher planes. The highest planes are also broader in extent than the ones lower down, as discussed in the section on Sahasra cosmology. The height of these planes is expressed in yojanas, a measurement of very uncertain length, but sometimes taken to be about 4,000 times the height of a man, and so approximately 4.54 miles (7.31 km).



 Pure Abodes

 The Śuddhāvāsa शुद्धावास (Pāli: Suddhāvāsa सुद्धावास; Tib: gnas gtsang ma; Chinese: 净居天/凈居天; Thai: สุทฺธาวสฺสภูมิ) worlds, or "Pure Abodes", are distinct from the other worlds of the Rūpadhātu in that they do not house beings who have been born there through ordinary merit or meditative attainments, but only those Anāgāmins ("Non-returners") who are already on the path to Arhat-hood and who will attain enlightenment directly from the Śuddhāvāsa worlds without being reborn in a lower plane. Every Śuddhāvāsa deva is therefore a protector of Buddhism. (Brahma Sahampati, who appealed to the newly enlightened Buddha to teach, was an Anagami under the previous Buddha[11]). Because a Śuddhāvāsa deva will never be reborn outside the Śuddhāvāsa worlds, no Bodhisattva is ever born in these worlds, as a Bodhisattva must ultimately be reborn as a human being.
Since these devas rise from lower planes only due to the teaching of a Buddha, they can remain empty for very long periods if no Buddha arises. However, unlike the lower worlds, the Śuddhāvāsa worlds are never destroyed by natural catastrophe. The Śuddhāvāsa devas predict the coming of a Buddha and, taking the guise of Brahmins, reveal to human beings the signs by which a Buddha can be recognized. They also ensure that a Bodhisattva in his last life will see the four signs that will lead to his renunciation.



 The five Śuddhāvāsa worlds are:
Akaniṣṭha अकनिष्ठ or Akaniṭṭha अकनिठ्ठ (Thai: อกนิฏฺฐา or อกนิษฐา)– World of devas "equal in rank" (literally: having no one as the youngest). The highest of all the Rūpadhātu worlds, it is often used to refer to the highest extreme of the universe. The current Śakra will eventually be born there. The duration of life in Akaniṣṭha is 16,000 kalpas (Vibhajyavāda tradition). Mahesvara (Shiva) the ruler of the three realms of samsara is said to dwell here.[12]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67,772,160 yojanas above the Earth (approximately the distance of Saturn from Earth).[13]
Sudarśana सुदर्शन or Sudassī सुदस्सी (Thai: สุทัสสี or สุทารฺศฺน)– The "clear-seeing" devas live in a world similar to and friendly with the Akaniṣṭha world. The height of this world is 83,886,080 yojanas above the Earth (approximately the distance of Jupiter from Earth).
Sudṛśa सुदृश or Sudassa सुदस्स (Thai: สุทัสสา or สุทรรศา)– The world of the "beautiful" devas are said to be the place of rebirth for five kinds of anāgāmin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41,943,040 yojanas above the Earth.
Atapa अतप or Atappa अतप्प (Thai: อตัปปา or อตปา) – The world of the "untroubled" devas, whose company those of lower realms wish for. The height of this world is 20,971,520 yojanas above the Earth (approximately the distance of Sun from Earth).
Avṛha अवृह or Aviha अविह (Thai: อวิหา or อวรรหา) – The world of the "not falling" devas, perhaps the most common destination for reborn Anāgāmins. Many achieve arhatship directly in this world, but some pass away and are reborn in sequentially higher worlds of the Pure Abodes until they are at last reborn in the Akaniṣṭha world. These are called in Pāli uddhaṃsotas, "those whose stream goes upward". The duration of life in Avṛha is 1,000 kalpas (Vibhajya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0,485,760 yojanas above the Earth (approximately the distance of Mars from Earth).



 Bṛhatphala worlds बृहत्फल
The mental state of the devas of the Bṛhatphala worlds (Chn: 四禅九天/四禪九天; Jpn: 四禅九天; Thai: เวหปฺปผลา) corresponds to the fourth dhyāna, and is characterized by equanimity (upekṣā). The Bṛhatphala worlds form the upper limit to the destruction of the universe by wind at the end of a mahākalpa (see Temporal cosmology below), that is, they are spared such destruction.
Asaññasatta असञ्ञसत्त (Sanskrit: Asaṃjñasattva असंज्ञसत्त्व; Thai: อสัญฺญสัตฺตา or อสํชญสตฺวา) (Vibhajyavāda tradition only) – "Unconscious beings", devas who have attained a high dhyāna (similar to that of the Formless Realm), and, wishing to avoid the perils of perception, have achieved a state of non-perception in which they endure for a time. After a while, however, perception arises again and they fall into a lower state.
Bṛhatphala बृहत्फल or Vehapphala वेहप्फल (Tib: 'bras bu che; Thai: เวหัปปผลา or พรฺหตฺผลา) – Devas "having great fruit". Their lifespan is 500 mahākalpas. (Vibhajyavāda tradition). Some Anāgāmins are reborn here. The height of this world is 5,242,880 yojanas above the Earth.(approximately the distance of Venus from Earth)
Puṇyaprasava पुण्यप्रसव (Sarvāstivāda tradition only; Tib: bsod nams skyes; Thai: ปณฺยปรัสวา) – The world of the devas who are the "offspring of merit". The height of this world is 2,621,440 yojanas above the Earth.
Anabhraka अनभ्रक (Sarvāstivāda tradition only; Tib: sprin med; Thai อนภร๎กา) – The world of the "cloudless" deva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310,720 yojanas above the Earth.




 Śubhakṛtsna worlds
The mental state of the devas of the Śubhakṛtsna worlds (Chn/Jpn: 三禅三天; Devanagari: शुभकृत्स्न; Thai: ศุภกฤตฺสนาภูมิ) corresponds to the third dhyāna, and is characterized by a quiet joy (sukha). These devas have bodies that radiate a steady light. The Śubhakṛtsna worlds form the upper limit to the destruction of the universe by water at the end of a mahākalpa (see Temporal cosmology below), that is, the flood of water does not rise high enough to reach them.
Śubhakṛtsna शुभकृत्स्न or Subhakiṇṇa / Subhakiṇha सुभकिण्ण/सुभकिण्ह (Tib: dge rgyas; Thai: สุภกิณหา or ศุภกฤตฺสนา) – The world of devas of "total beauty". Their lifespan is 64 mahākalpas (some sources: 4 mahākalpas) according to the Vibhajyavāda tradition. 64 mahākalpas is the interval between destructions of the universe by wind, including the Śubhakṛtsna world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655,360 yojanas above the Earth.
Apramāṇaśubha अप्रमाणशुभ or Appamāṇasubha अप्पमाणसुभ (Tib: tshad med dge; Thai: อัปปมาณสุภา or อัปรมาณศุภา) – The world of devas of "limitless beauty". Their lifespan is 32 mahākalpas (Vibhajyavāda tradition). They possess "faith, virtue, learning, munificence and wisdom". The height of this world is 327,680 yojanas above the Earth.
Parīttaśubha परीत्तशुभ or Parittasubha परित्तसुभ (Tib: dge chung; Thai: ปริตฺตสุภา or ปรีตฺตศุภา) – The world of devas of "limited beauty". Their lifespan is 16 mahākalpa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63,840 yojanas above the Earth.




 Ābhāsvara worlds
The mental state of the devas of the Ābhāsvara आभास्वर worlds (Chn/Jpn: 二禅三天; Thai: อาภัสสราภูมิ/อาภาสวราธาตุ) corresponds to the second dhyāna, and is characterized by delight (prīti) as well as joy (sukha); the Ābhāsvara devas are said to shout aloud in their joy, crying aho sukham! ("Oh joy!"). These devas have bodies that emit flashing rays of light like lightning. They are said to have similar bodies (to each other) but diverse perceptions.
The Ābhāsvara worlds form the upper limit to the destruction of the universe by fire at the end of a mahākalpa (see Temporal cosmology below), that is, the column of fire does not rise high enough to reach them.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at the beginning of the vivartakalpa, the worlds are first populated by beings reborn from the Ābhāsvara worlds.
Ābhāsvara आभास्वर or Ābhassara' आभस्सर (Tib: 'od gsal; Thai: อาภัสสรา or อาภาสวรา) – The world of devas "possessing splendor". The lifespan of the Ābhāsvara devas is 8 mahākalpas (others: 2 mahākalpas). Eight mahākalpas is the interval between destructions of the universe by water, which includes the Ābhāsvara world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81,920 yojanas above the Earth.
Apramāṇābha अप्रमाणाभ or Appamāṇābha अप्पमाणाभ (Tib: tshad med 'od; Thai: อัปปมาณาภา or อัปรมาณาภา) – The world of devas of "limitless light", a concept on which they meditate. Their lifespan is 4 mahākalpa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40,960 yojanas above the Earth.
Parīttābha परीत्ताभ or Parittābha परित्ताभ (Tib: 'od chung; Thai: ปริตฺตาภา or ปรีตตาภา) – The world of devas of "limited light". Their lifespan is 2 mahākalpas. The height of this world is 20,480 yojanas above the Earth.



Brahmā worlds
Main article: Brahma (Buddhism)
The mental state of the devas of the Brahmā worlds (Chn/Jpn: 初禅三天; Thai: พรหมภูมิ) corresponds to the first dhyāna, and is characterized by observation (vitarka) and reflection (vicāra) as well as delight (prīti) and joy (sukha). The Brahmā worlds, together with the other lower worlds of the universe, are destroyed by fire at the end of a mahākalpa (see Temporal cosmology below).
Mahābrahmā महाब्रह्मा (Tib: tshangs pa chen po; Chn/Jpn: 大梵天 Daibonten; Thai: มหาพรหฺมฺา) – the world of "Great Brahmā", believed by many to be the creator of the world, and having as his titles "Brahmā, Great Brahmā, the Conqueror, the Unconquered, the All-Seeing, All-Powerful, the Lord, the Maker and Creator, the Ruler, Appointer and Orderer, Father of All That Have Been and Shall Be." According to the Brahmajāla Sutta (DN.1), a Mahābrahmā is a being from the Ābhāsvara worlds who falls into a lower world through exhaustion of his merits and is reborn alone in the Brahma-world; forgetting his former existence, he imagines himself to have come into existence without cause. Note that even such a high-ranking deity has no intrinsic knowledge of the worlds above his own. Mahābrahmā is 1 ​1⁄2 yojanas tall. His lifespan variously said to be 1 kalpa (Vibhajyavāda tradition) or 1 ​1⁄2 kalpas long (Sarvāstivāda tradition), although it would seem that it could be no longer than ​3⁄4 of a mahākalpa, i.e., all of the mahākalpa except for the Saṃvartasthāyikalpa, because that is the total length of time between the rebuilding of the lower world and its destruction. It is unclear what period of time "kalpa" refers to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0,240 yojanas above the Earth.
Brahmapurohita ब्रह्मपुरोहित (Tib: tshangs 'khor; Thai: พรหฺมปุโรหิตา) – the "Ministers of Brahmā" are beings, also originally from the Ābhāsvara worlds, that are born as companions to Mahābrahmā after he has spent some time alone. Since they arise subsequent to his thought of a desire for companions, he believes himself to be their creator, and they likewise believe him to be their creator and lord. They are 1 yojana in height and their lifespan is variously said to be ​1⁄2 of a kalpa (Vibhajyavāda tradition) or a whole kalpa (Sarvāstivāda tradition). If they are later reborn in a lower world, and come to recall some part of their last existence, they teach the doctrine of Brahmā as creator as a revealed truth. The height of this world is 5,120 yojanas above the Earth.
Brahmapāriṣadya ब्रह्मपारिषद्य or Brahmapārisajja ब्रह्मपारिसज्ज (Tib: tshangs ris; Thai: พรหฺมปริสัชชา or พรหฺมปาริษัตยา) – the "Councilors of Brahmā" or the devas "belonging to the assembly of Brahmā". They are also called Brahmakāyika, but this name can be used for any of the inhabitants of the Brahma-worlds. They are half a yojana in height and their lifespan is variously said to be ​1⁄3 of a kalpa (Vibhajyavāda tradition) or ​1⁄2 of a kalpa (Sarvāsti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2,560 yojanas above the Earth.




 Desire Realm (Kāmadhātu कामधातु)
Main article: Desire realm
The beings born in the Kāmadhātu कामधातु (Pāli: Kāmaloka कामलोक; Tib: 'dod pa'i khams; Chn/Jpn: 欲界 Yoku-kai; Thai: กามภูมิ) differ in degree of happiness, but they are all, other than Anagamis, Arhats and Buddhas, under the domination of Māra and are bound by sensual desire, which causes them suffering.
Heavens
The following four worlds are bounded planes, each 80,000 yojanas square, which float in the air above the top of Mount Sumeru. Although all of the worlds inhabited by devas (that is, all the worlds down to the Cāturmahārājikakāyika world and sometimes including the Asuras) are sometimes called "heavens", in the western sense of the word the term best applies to the four worlds listed below:
Parinirmita-vaśavartin परिनिर्मितवशवर्ती or Paranimmita-vasavatti परनिम्मितवसवत्ति (Tib: gzhan 'phrul dbang byed; Chn/Jpn: 他化自在天 Takejizai-ten; Burmese: ပရနိမ္မိတဝသဝတ္တီ; Thai: ปรนิมมิตวสวัตฺติ or ปริเนรมิตวศวรติน) – The heaven of devas "with power over (others') creations". These devas do not create pleasing forms that they desire for themselves, but their desires are fulfilled by the acts of other devas who wish for their favor. The ruler of this world is called Vaśavartin (Pāli: Vasavatti), who has longer life, greater beauty, more power and happiness and more delightful sense-objects than the other devas of his world. This world is also the home of the devaputra (being of divine race) called Māra, who endeavors to keep all beings of the Kāmadhātu in the grip of sensual pleasures. Māra is also sometimes called Vaśavartin, but in general these two dwellers of this world are kept distinct. The beings of this world are 4,500 feet (1,400 m) tall and live for 9,216,000,000 years (Sarvāsti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280 yojanas above the Earth.
Nirmāṇarati निर्माणरति or Nimmānaratī निम्माणरती (Tib: phrul dga; Chn: 化乐天/化樂天; Jpn: 化楽天 Keraku-ten; Burmese: နိမ္မာနရတိ; Thai: นิมมานรติ or นิรมาณรติ)– The world of devas "delighting in their creations". The devas of this world are capable of making any appearance to please themselves. The lord of this world is called Sunirmita (Pāli: Sunimmita); his wife is the rebirth of Visākhā, formerly the chief of the upāsikās (female lay devotees) of the Buddha. The beings of this world are 3,750 feet (1,140 m) tall and live for 2,304,000,000 years (Sarvāsti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640 yojanas above the Earth.
Tuṣita तुषित or Tusita तुसित (Tib: dga' ldan; Chn/Jpn: 兜率天 Tosotsu-ten; Burmese: တုသိတာ; Thai: ดุสิต, ตุสิตา or ตุษิตา ) – The world of the "joyful" devas. This world is best known for being the world in which a Bodhisattva lives before being reborn in the world of humans. Until a few thousand years ago, the Bodhisattva of this world was Śvetaketu (Pāli: Setaketu), who was reborn as Siddhārtha, who would become the Buddha Śākyamuni; since then the Bodhisattva has been Nātha (or Nāthadeva) who will be reborn as Ajita and will become the Buddha Maitreya (Pāli Metteyya). While this Bodhisattva is the foremost of the dwellers in Tuṣita, the ruler of this world is another deva called Santuṣita (Pāli: Santusita). The beings of this world are 3,000 feet (910 m) tall and live for 576,000,000 years (Sarvāsti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320 yojanas above the Earth.
Yāma याम (Tib: 'thab bral; Chn/Jpn: 夜摩天 Yama-ten; Burmese: ယာမာ; Thai: ยามา) – Sometimes called the "heaven without fighting", because it is the lowest of the heavens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tumults of the earthly world. These devas live in the air, free of all difficulties. Its ruler is the deva Suyāma; according to some, his wife is the rebirth of Sirimā, a courtesan of Rājagṛha in the Buddha's time who was generous to the monks. The beings of this world are 2,250 feet (690 m) tall and live for 144,000,000 years (Sarvāsti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160 yojanas above the Earth.




 Worlds of Sumeru
Main article: Sumeru
The world-mountain of Sumeru सुमेरु (Sineru सिनेरु; Thai: เขาพระสุเมรุ, สิเนรุบรรพต) is an immense, strangely shaped peak which arises in the center of the world, and around which the Sun and Moon revolve. Its base rests in a vast ocean, and it is surrounded by several rings of lesser mountain ranges and oceans. The three worlds listed below are all located on, or around, Sumeru: the Trāyastriṃśa devas live on its peak, the Cāturmahārājikakāyika devas live on its slopes, and the Asuras live in the ocean at its base. Sumeru and its surrounding oceans and mountains are the home not just of these deities, but also vast assemblies of beings of popular mythology who only rarely intrude on the human world.
Trāyastriṃśa त्रायस्त्रिंश or Tāvatiṃsa तावतिंस (Tib: sum cu rtsa gsum pa; Chn/Jpn: 忉利天/三十三天 Tōri-ten; တာဝတိံသာ; Thai: ดาวดึงส์, ไตรตรึงศ์, ตาวติํสา or ตฺรายสฺตฺริศ) – The world "of the Thirty-three (devas)" is a wide flat space on the top of Mount Sumeru, filled with the gardens and palaces of the devas. Its ruler is Śakro devānām indra, शक्रो देवानामिन्द्रः ”Śakra, lord of the devas". Besides the eponymous Thirty-three devas, many other devas and supernatural beings dwell here, including the attendants of the devas and many heavenly courtesans (es or nymphs). The beings of this world are 1,500 feet (460 m) tall and live for 36,000,000 years (Sarvāstivāda tradition) or 3/4 of a yojana tall and live for 30,000,000 years (Vibhajya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80 yojanas above the Earth.
Cāturmahārājikakāyika चातुर्महाराजिककायिक or Cātummahārājika चातुम्महाराजिक (Tib: rgyal chen bzhi; Chn:四天王天; Jpn: 四大王衆天 Shidaiōshu-ten; စတုမဟာရာဇ်; Thai: จาตุมฺมหาราชิกา or จาตุรมหาราชิกกายิกา) – The world "of the Four Great Kings" is found on the lower slopes of Mount Sumeru, though some of its inhabitants live in the air around the mountain. Its rulers are the four Great Kings of the name, Virūḍhaka विरूढकः, Dhṛtarāṣṭra धृतराष्ट्रः, Virūpākṣa विरूपाक्षः, and their leader Vaiśravaṇa वैश्रवणः. The devas who guide the Sun and Moon are also considered part of this world, as are the retinues of the four kings, composed of Kumbhāṇḍas कुम्भाण्ड (dwarfs), Gandharvas गन्धर्व (fairies), Nāgas नाग (dragons) and Yakṣas यक्ष (goblins). The beings of this world are 750 feet (230 m) tall and live for 9,000,000 years (Sarvāstivāda tradition) or 90,000 years (Vibhajyavāda tradition). The height of this world is from sea level up to 40 yojanas above the Earth.

 Asura असुर (Tib: lha ma yin; Chn/Jpn: 阿修羅 Ashura; Burmese: အသူရာ; Thai: อสุรกาย) – The world of the Asuras is the space at the foot of Mount Sumeru, much of which is a deep ocean. It is not the Asuras' original home, but the place they found themselves after they were hurled, drunken, from Trāyastriṃśa where they had formerly lived. The Asuras are always fighting to regain their lost kingdom on the top of Mount Sumeru, but are unable to break the guard of the Four Great Kings. The Asuras are divided into many groups, and have no single ruler, but among their leaders are Vemacitrin वेमचित्री (Pāli: Vepacitti वेपचित्ती) and Rāhu.
Earthly realms

 Manuṣyaloka मनुष्यलोक (Tib: mi; Chn/Jpn: 人 nin; Burmese: မနုဿဘုံ; Thai: มนุสสภูมิ or มนุษยโลก) – This is the world of humans and human-like beings who liv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e mountain-rings that engird Sumeru are surrounded by a vast ocean, which fills most of the world. The ocean is in turn surrounded by a circular mountain wall called Cakravāḍa चक्रवाड (Pāli: Cakkavāḷa चक्कवाळ ; Thai: จักรวาล or จกฺกวาฬ) which marks the horizontal limit of the world. In this ocean there are four continents which are, relatively speaking, small islands in it. Because of the immenseness of the ocean, they cannot be reached from each other by ordinary sailing vessels, although in the past, when the cakravartin kings ruled,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inents was possible by means of the treasure called the cakraratna (Pāli cakkaratana’’’), which a cakravartin king and his retinue could use to fly through the air between the continents. The four continents are:


 Jambudvīpa जम्वुद्वीप or Jambudīpa जम्बुदीप (Chn/Jpn: 閻浮提 Enbudai; Burmese; ဇမ္ဗုဒီပ; Thai: ชมพูทวีป) is located in the south and is the dwelling of ordinary human beings. It is said to be shaped "like a cart", or rather a blunt-nosed triangle with the point facing south. (This description probably echoes the shape of the coastline of southern India.) It is 10,000 yojanas in extent (Vibhajyavāda tradition) or has a perimeter of 6,000 yojanas (Sarvāstivāda tradition) to which can be added the southern coast of only 3.5 yojanas' length. The continent takes its name from a giant Jambu tree (Syzygium cumini), 100 yojanas tall, which grows in the middle of the continent. Every continent has one of these giant trees. All Buddhas appear in Jambudvīpa. The people here are five to six feet tall and their length of life varies between 10 and about 10140 years (Asankya Aayu).


 Pūrvavideha पूर्वविदेह or Pubbavideha पुब्बविदेह (Burmese: ပုဗ္ဗဝိဒေဟ; Thai: ปุพพวิเทหทีป or บูรพวิเทหทวีป) is located in the east, and is shaped like a semicircle with the flat side pointing westward (i.e., towards Sumeru). It is 7,000 yojanas in extent (Vibhajyavāda tradition) or has a perimeter of 6,350 yojanas of which the flat side is 2,000 yojanas long (Sarvāstivāda tradition). Its tree is the acacia, or Albizia lebbeck (Sukhōthai tradition). The people here are about 12 feet (3.7 m) tall and they live for 700 years. Their main work is trading and buying materials.


 Aparagodānīya अपरगोदानीय or Aparagoyāna अपरगोयान (Burnese: အပရဂေါယာန; Thai: อปรโคยานทวีป or อปรโคทานียทวีป) is located in the west, and is shaped like a circle with a circumference of about 7,500 yojanas (Sarvāstivāda tradition). The tree of this continent is a giant Kadamba tree (Anthocephalus chinensis). The human inhabitants of this continent do not live in houses but sleep on the ground. Their main transportation is Bullock cart. They are about 24 feet (7.3 m) tall and they live for 500 years.
Uttarakuru उत्तरकुरु (Burmese; ဥတ္တရကုရု; Thai: อุตรกุรุทวีป) is located in the north, and is shaped like a square. It has a perimeter of 8,000 yojanas, being 2,000 yojanas on each side. This continent's tree is called a kalpavṛkṣa कल्पवृक्ष (Pāli: kapparukkha कप्परुक्ख) or kalpa-tree, because it lasts for the entire kalpa. The inhabitants of Uttarakuru have cities built in the air. They are said to be extraordinarily wealthy, not needing to labor for a living – as their food grows by itself – and having no private property. They are about 48 feet (15 m) tall and live for 1,000 years, and they are under the protection of Vaiśravaṇa.
Tiryagyoni-loka तिर्यग्योनिलोक or Tiracchāna-yoni तिरच्छानयोनि (Tib: dud 'gro; Chn/Jpn: 畜生 chikushō; Burmese: တိရစ္ဆာန်ဘုံ; Thai: เดรัจฉานภูมิ or ติรยคฺโยนิโลก) – This world comprises all members of the animal kingdom that are capable of feeling suffering, regardless of size.


 Pretaloka प्रेतलोक or Petaloka पेतलोक (Tib: yi dwags; Burmese: ပြိတ္တာ; Thai: เปรตภูมิ or เปตฺตโลก) – The pretas, or "hungry ghosts", are mostly dwellers on earth, though due to their mental state they perceive it very differently from humans. They live for the most part in deserts and wastelands.
Hells (Narakas)
Main article: Naraka (Buddhism)


 Naraka नरक or Niraya निरय (Tib: dmyal ba; Burmese; ငရဲ; Thai: นรก) is the name given to one of the worlds of greatest suffering, usually translated into English as "hell" or "purgatory". As with the other realms, a being is born into one of these worlds as a result of his karma, and resides there for a finite length of time until his karma has achieved its full result, after which he will be reborn in one of the higher worlds as the result of an earlier karma that had not yet ripened. The mentality of a being in the hells corresponds to states of extreme fear and helpless anguish in humans.
Physically, Naraka is thought of as a series of layers extending below Jambudvīpa into the earth. There are several schemes for counting these Narakas and enumerating their torments. One of the more common is that of the Eight Cold Narakas and Eight Hot Narakas.


 Cold Narakas
Arbuda अर्बुद – the "blister" Naraka
Nirarbuda निरर्बुद – the "burst blister" Naraka
Ataṭa अतट – the Naraka of shivering
Hahava हहव – the Naraka of lamentation
Huhuva हुहुव – the Naraka of chattering teeth
Utpala उत्पल – the Naraka of skin becoming blue as a blue lotus
Padma पद्म – the Naraka of cracking skin
Mahāpadma महापद्म – the Naraka of total frozen bodies falling apart
Each lifetime in these Narakas is twenty times the length of the one before it.



 Hot Narakas
Sañjīva सञ्जीव (Burmese: သိဉ္ဇိုး ငရဲ; Thai: สัญชีวมหานรก) – the "reviving"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162×1010 years long.
Kālasūtra कालसूत्र (Burmese: ကာဠသုတ် ငရဲ; Thai: กาฬสุตตมหานรก/กาลสูตร) – the "black thread"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1296×1010 years long.
Saṃghāta संघात (Burmese: သင်္ဃာတ ငရဲ; Thai: สังฆาฏมหานรก or สํฆาต) – the "crushing"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10,368×1010 years long.
Raurava/Rīrava रौरव/रीरव (Burmese: ရောရုဝ ငရဲ; Thai: โรรุวมหานรก) – the "screaming"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82,944×1010 years long.
Mahāraurava/Mahārīrava महारौरव/महारीरव (Burmese: မဟာရောရုဝ ငရဲ; Thai: มหาโรรุวมหานรก) – the "great screaming"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663,552×1010 years long.
Tāpana/Tapana तापन/तपन (Burmese: တာပန ငရဲ; Thai: ตาปนมหานรก) – the "heating"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5,308,416×1010 years long.
Mahātāpana महातापन (Burmese: မဟာတာပန ငရဲ; Thai: มหาตาปนมหานรก) – the "great heating"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42,467,328×1010 years long.
Avīci अवीचि (Burmese: အဝီစိ ငရဲ;Thai: อเวจีมหานรก/อวิจี) – the "uninterrupted" Naraka. Life in this Naraka is 339,738,624×1010 years long.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All of the structures of the earth, Sumeru and the rest, extend downward to a depth of 80,000 yojanas below sea level – the same as the height of Sumeru above sea level. Below this is a layer of "golden earth", a substance compact and firm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Sumeru. It is 320,000 yojanas in depth and so extends to 400,000 yojanas below sea level. The layer of golden earth in turn rests upon a layer of water, which is 8,000,000 yojanas in depth, going down to 8,400,000 yojanas below sea level. Below the layer of water is a "circle of wind", which is 16,000,000 yojanas in depth and also much broader in extent, supporting 1,000 different worlds upon it. Yojanas are equivalent to about 13 km (8 mi).
Sahasra cosmology
Sahasra means "one thousand". All of the planes, from the plane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nevasanna-asanna-ayatana) down to the Avīci – the "without interval") niraya – constitutes the single world-system, cakkavāḷa (intimating something circular, a "wheel", but the etymology is uncertain[14]), described above. In modern parlance it would be called a 'universe', or 'solar system'.
A collection of one thousand solar systems are called a "thousandfold minor world-system" (culanika lokadhatu). Or small chiliocosm.
A collection of 1,000 times 1,000 world-systems (one thousand squared) is a "thousandfold to the second power middling world-system" (dvisahassi majjhima lokadhatu). Or medium dichiliocosm.
The largest grouping, which consists of one thousand cubed world-systems, is called the "tisahassi mahasassi lokadhatu". Or great trichiliocosm.
The Tathagata, if he so wished, could effect his voice throughout a great trichiliocosm. He does so by suffusing the trichiliocosm with his radiance, at which point the inhabitants of those world-system will perceive this light, and then proceeds to extend his voice throughout that realm.[15]



 Maha Kalpa
The word kalpa, means 'moment'. A maha kalpa consists of four moments (kalpa), the first of which is creation. The creation moment consists of the creation of the "receptacle", and the descent of beings from higher realms into more coarse forms of existence. During the rest of the creation moment, the world is populated. Human beings who exist at this point have no limit on their lifespan. The second moment is the duration moment, the start of this moment is signified by the first sentient being to enter hell (niraya), the hells and nirayas not existing or being empty prior to this moment. The duration moment consists of twenty "intermediate" moments (antarakappas), which unfold in a drama of the human lifespan descending from 80,000 years to 10, and then back up to 80,000 again. The interval between 2 of these "intermediate" moments is the "seven day purge", in which a variety of humans will kill each other (not knowing or recognizing each other), some humans will go into hiding. At the end of this purge, they will emerge from hiding and repopulate the world. After this purge, the lifespan will increase to 80,000, reach its peak and descend, at which point the purge will happen again.
Within the duration 'moment', this purge and repeat cycle seems to happen around 18 times, the first "intermediate" moment consisting only of the descent from 80,000 – the second intermediate moment consisting of a rise and descent, and the last consisting only of an ascent.
After the duration 'moment' is the dissolution moment, the hells will gradually be emptied, as well as all coarser forms of existence. The beings will flock to the form realms (rupa dhatu), a destruction of fire occurs, sparing everything from the realms of the 'radiant' gods and above (abha deva).
After 7 of these destructions by 'fire', a destruction by water occurs, and everything from the realms of the 'pleasant' gods and above is spared (subha deva).
After 64 of these destructions by fire and water, that is – 56 destructions by fire, and 7 by water – a destruction by wind occurs, this eliminates everything below the realms of the 'fruitful' devas (vehapphala devas, literally of "great fruit"). The pure abodes (suddhavasa, meaning something like pure, unmixed, similar to the connotation of "pure bred German shepherd"), are never destroyed. Although without the appearance of a Buddha, these realms may remain empty for a long time. The inhabitants of these realms have exceedingly long life spans.
The formless realms are never destroyed because they do not consist of form (rupa). The reason the world is destroyed by fire, water and wind, and not earth is because earth is the 'receptacle'.
After the dissolution moment, this particular world system remains dissolved for a long time, this is called the 'empty' moment, but the more accurate term would be "the state of being dissolved". The beings that inhabited this realm formerly will migrate to other world systems, and perhaps return if their journeys lead here again.[16][17]
Temporal cosmology
Buddhist temporal cosmology describes how the universe comes into being and is dissolved. Like other Indian cosmologies, it assumes an infinite span of time and is cyclical. This does not mean that the same events occur in identical form with each cycle, but merely that, as with the cycles of day and night or summer and winter, certain natural events occur over and over to give some structure to time.
The basic unit of time measurement is the mahākalpa or "Great Eon" (Chn/Jpn: 大劫 daigō; Thai: มหากัปป์ or มหากัลป์; Devanagari: महाकल्प / महाकप्प). The length of this time in human years is never defined exactly, but it is meant to be very long, to be measured in billions of years if not longer.
A mahākalpa is divided into four kalpas or "eons" (Chn/Jpn: 劫 kō; Thai: กัป; अन्तरकल्प), each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by the stage of evolution of the universe during that kalpa. The four kalpas are:
Vivartakalpa विवर्तकल्प "Eon of evolution" – during this kalpa the universe comes into existence.
Vivartasthāyikalpa विवर्तस्थायिकल्प "Eon of evolution-duration" – during this kalpa the universe remains in existence in a steady state.
Saṃvartakalpa संवर्तकल्प "Eon of dissolution" – during this kalpa the universe dissolves.
Saṃvartasthāyikalpa संवर्तस्थायिकल्प "Eon of dissolution-duration" – during this kalpa the universe remains in a state of emptiness.
Each one of these kalpas is divided into twenty antarakalpas अन्तरकल्प (Pāli: antarakappa अन्तरकप्प; Chn/Jpn: 中劫, "inside eons"; Thai: อันตรกัป) each of about the same length. For the Saṃvartasthāyikalpa this division is merely nominal, as nothing changes from one antarakalpa to the next; but for the other three kalpas it marks an interior cycle within the kalpa.



 Vivartakalpa
The Vivartakalpa begins with the arising of the primordial wind, which begins the process of building up the structures of the universe that had been destroyed at the end of the last mahākalpa. As the extent of the destruction can vary, the nature of this evolution can vary as well, but it always takes the form of beings from a higher world being born into a lower world. The example of a Mahābrahmā being the rebirth of a deceased Ābhāsvara deva is just one instance of this, which continues throughout the Vivartakalpa until all the worlds are filled from the Brahmaloka down to Naraka. During the Vivartakalpa the first humans appear; they are not like present-day humans, but are beings shining in their own light, capable of moving through the air without mechanical aid, living for a very long time, and not requiring sustenance; they are more like a type of lower deity than present-day humans are.[18]
Over time, they acquire a taste for physical nutriment, and as they consume it, their bodies become heavier and more like human bodies; they lose their ability to shine, and begin to acquire differences in their appearance, and their length of life decreases. They differentiate into two sexes and begin to become sexually active. Then greed, theft and violence arise among them, and they establish social distinctions and government and elect a king to rule them, called Mahāsammata। महासम्मत, "the great appointed one". Some of them begin to hunt and eat the flesh of animals, which have by now come into existence.[19]
Vivartasthāyikalpa



 First antarakalpa
The Vivartasthāyikalpa begins when the first being is born into Naraka, thus filling the entire universe with beings. During the first antarakalpa of this eon, the duration of human lives declines from a vast but unspecified number of years (but at least several tens of thousands of years) toward the modern lifespan of less than 100 years. At the beginning of the antarakalpa, people are still generally happy. They live under the rule of a universal monarch or "wheel-turning king" (Sanskrit: cakravartin चक्रवर्ति; Jpn: 転輪聖王 Tenrin Jō-ō; Thai: พระเจ้าจักรพรรดิ), who conquer[clarification needed]. The Mahāsudassana-sutta (DN.17) tells of the life of a cakravartin king, Mahāsudassana (Sanskrit: Mahāsudarśana) who lived for 336,000 years. The Cakkavatti-sīhanāda-sutta (DN.26) tells of a later dynasty of cakravartins, Daḷhanemi (Sanskrit: Dṛḍhanemi) and five of his descendants, who had a lifespan of over 80,000 years. The seventh of this line of cakravartins broke with the traditions of his forefathers, refusing to abdicate his position at a certain age, pass the throne on to his son, and enter the life of a śramaṇa श्रमण. As a result of his subsequent misrule, poverty increased; as a result of poverty, theft began; as a result of theft, capital punishment was instituted; and as a result of this contempt for life, murders and other crimes became rampant.
The human lifespan now quickly decreased from 80,000 to 100 years, apparently decreasing by about half with each generation (this is perhaps not to be taken literally), while with each generation other crimes and evils increased: lying, greed, hatred, sexual misconduct, disrespect for elders. During this period, according to the Mahāpadāna-sutta (DN.14) three of the four Buddhas of this antarakalpa lived: Krakucchanda Buddha क्रकुच्छन्दः (Pāli: Kakusandha ककुन्ध), at the time when the lifespan was 40,000 years; Kanakamuni कनकमुनिः Buddha (Pāli: Konāgamana कोनागमन) when the lifespan was 30,000 years; and Kāśyapa काश्यपः Buddha (Pāli: Kassapa कस्सप) when the lifespan was 20,000 years.
Our present time is taken to be toward the end of the first antarakalpa of this Vivartasthāyikalpa, when the lifespan is less than 100 years, after the life of Śākyamuni शाक्यमुनिः Buddha (Pāli: Sakyamuni ), who lived to the age of 80.
The remainder of the antarakalpa is prophesied to be miserable: lifespans will continue to decrease, and all the evil tendencies of the past will reach their ultimate in destructiveness. People will live no longer than ten years, and will marry at five; foods will be poor and tasteless; no form of morality will be acknowledged. The most contemptuous and hateful people will become the rulers. Incest will be rampant. Hatred between people, even members of the same family, will grow until people think of each other as hunters do of their prey.[20]
Eventually a great war will ensue, in which the most hostile and aggressive will arm themselves with swords in their hands and go out to kill each other. The less aggressive will hide in forests and other secret places while the war rages. This war marks the end of the first antarakalpa.[21]



 Second antarakalpa
At the end of the war, the survivors will emerge from their hiding places and repent their evil habits. As they begin to do good, their lifespan increases, and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human race will also increase with it. After a long time, the descendants of those with a 10-year lifespan will live for 80,000 years, and at that time there will be a cakravartin king named Saṅkha शंख. During his reign, the current bodhisattva in the Tuṣita heaven will descend and be reborn under the name of Ajita अजित. He will enter the life of a śramaṇa and will gain perfect enlightenment as a Buddha; and he will then be known by the name of Maitreya (मैत्रेयः, Pāli: Metteyya मेत्तेय्य).
After Maitreya's time, the world will again worsen, and the lifespan will gradually decrease from 80,000 years to 10 years again, each antarakalpa being separated from the next by devastating war, with peaks of high civilization and morality in the middle. After the 19th antarakalpa, the lifespan will increase to 80,000 and then not decrease, because the Vivartasthāyikalpa will have come to an end.
Saṃvartakalpa
The Saṃvartakalpa begins when beings cease to be born in Naraka. This cessation of birth then proceeds in reverse order up the vertical cosmology, i.e., pretas then cease to be born, then animals, then humans, and so on up to the realms of the deities.
When these worlds as far as the Brahmaloka are devoid of inhabitants, a great fire consumes the entire physical structure of the world. It burns all the worlds below the Ābhāsvara worlds. When they are destroyed, the Saṃvartasthāyikalpa begins.
Saṃvartasthāyikalpa
There is nothing to say about the Saṃvartasthāyikalpa, since nothing happens in it below the Ābhāsvara worlds. It ends when the primordial wind begins to blow and build the structure of the worlds up again.
Other destructions
The destruction by fire is the normal type of destruction that occurs at the end of the Saṃvartakalpa. But every eighth mahākalpa, after seven destructions by fire, there is a destruction by water. This is more devastating, as it eliminates not just the Brahma worlds but also the Ābhāsvara worlds.
Every sixty-fourth mahākalpa, after fifty six destructions by fire and seven destructions by water, there is a destruction by wind. This is the most devastating of all, as it also destroys the Śubhakṛtsna worlds. The higher worlds are never destroyed.
Mahayana views
Mahayana Buddhism accepts the cosmology as above.[22][23] A cosmology with some difference is further explained in Chapter 5 of the Avatamsaka Sutra.




 See also
Buddhism and evolution
Buddhist cosmology (Theravada)
Fourteen unanswerable questions
Hindu cosmology
Index of Buddhism-related articles
Jain cosmology
Religious cosmology
Secular Buddhism



 References
Authors, Various. "Aṅguttara Nikāya 007. Mahavagga – The greater section". Mettanet - Lanka. Retrieved 7 May 2015. Having developed loving kindness for seven years, he did not come to this world for seven forward and backward world cycles.
Authors, Various (2011). Collected Wheel Publications Volume XIV: Numbers 198–215.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I did not return to this world for seven aeons of world-contraction and world-expansion.
Nyanatiloka. "kappa". Tipitaka (Drei-Korb), der Pali Kanon des Theravāda-Buddhismus. Retrieved 7 May 2015.
Tan, Piya. "Aggañña Sutta" (PDF). The Dharmafar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7-10-31. Retrieved 7 May 2015. Then the female developed female organs,87 and the male developed male organs.
Tan, Piya. "Satta Suriya Sutta" (PDF). The Dharmafarers. Retrieved 27 May 2016. There comes a time, bhikshus, after a long time, a seventh sun appears.
Authors, Various. "Aṅguttara Nikāya 3. Tika Nipāta 8. Anandavaggo". Mettanet – Lanka. Retrieved 27 May 2016. Here Ānanda, the Thus Gone One pervades the three thousandfold and the great thousandfold world system with an effulgent light, so that those sentient beings see it, then the Thus Gone One makes a sound. In this manner an announcement is made to the three thousandfold and the great thousandfold world system if he desires.
Tan, Piya. "Saleyyaka Sutta" (PDF). The Dharmafarers. Retrieved 7 May 2015. I would arise in fellowship with the gods of boundless radiance (appaman’abha deva)!’
Gethin, Rupert (1998). The Foundations of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Chapter 5. ISBN 0-19-289223-1.
"Buddhist cosmology – The Zen Universe". The Zen Universe. 2016-11-01. Retrieved 2018-10-24.
佛教对于彼岸世界的想像及其对中土的影响 – 王青
Susan Elbaum Jootla "Teacher of the Devas": The Wheel Publication No. 414/416 (Kandy: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97) article link at Access to Insight Archived February 4, 2013, at the Wayback Machine
Ruthless Compassion: Wrathful Deities in Early Indo–Tibetan Esoteric Buddhist Art by Robert N. Linrothe, Pg.180 [1]
"Saturn | planet".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06-08.
Jayatilleke, K.N. "Facets of Buddhist Thought".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Retrieved 7 May 2015. The early Buddhist texts too do not state that the Major World-System is all there is, in the universe, for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world is finite or infinite (ananto) in extent is left unanswered (avyakata). The later commentarial tradition however goes a step further. One of the synonyms for a “world-system” or loka-dhātu is cakkavāḷa, a word of uncertain etymology meaning a “wheel’, “circle” or “sphere.”
Authors, Various. "Aṅguttara Nikāya 3. Tika Nipāta 8. Anandavaggo". Mettanet – Lanka. Retrieved 7 May 2015.
Kloetzli, Randy (1983). Buddhist Cosmology: From Single World System to Pure Land : Science and Theology in the Images of Motion and Light. Motilal Banarsidass. The divisions of cosmic time outlined in the Kosa are predictably elaborate
Thera, Ñanamoli; Bodhi, Bhikkhu. "Maha-sihanada Sutta: The Great Discourse on the Lion's Roar". Access to Insight. Retrieved 7 May 2015.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a realm in the round that I have not already [82] passed through in this long journey, except for the gods of the Pure Abodes;
Dīghanikāya, Sutta 27 (Aggañña Sutta), sections 10–11.
Dīghanikāya, Sutta 27 (Aggañña Sutta), sections 12–26.
Dīghanikāya, Sutta 26 (Cakkavattisīhanādasutta), sections 19–20.
Dīghanikāya, Sutta 26 (Cakkavattisīhanādasutta), sections 21.
佛教的宇宙觀
蓮花轉生–3界娘子
Further reading
Robert E. Buswell Jr.; Donald S. Lopez J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48058. Retrieved 22 June 2015.
Buswell, Robert E., ed. (2004). Encyclopedia of Buddhism (Cosmology). Macmillan Reference US. pp. 183–187. ISBN 0-02-865718-7.
Trainor, Kevin (2004).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73987. Retrieved 22 June 2015.
Buddhist Cosmology (PDF). Dhammakaya Open University.
vte
Topics in Buddhism
Categories: Buddhist cosmologyReligious cosmologies






● Buddhist_cosmology [문서정보] 페이지 키워드

○ [pt op tr]




'불교용어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계  (0) 2020.04.24
색계-2  (0) 2020.04.24
만다라  (0) 2020.04.22
능파  (0) 2020.04.21
Glossary_of_Buddhism-Eng  (0) 2020.04.1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