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Ver. 250111250111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마하반야바라밀경
- 대승기신론
- 유마힐소설경
- 가섭결경
- 대반열반경
- 백유경
- 잡아함경
- 장아함경
- 아미타불
- 마명
- 종경록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반야바라밀다경
- 유마경
- 대방광불화엄경
- 원각경
- 유가사지론
- 묘법연화경
- 금강삼매경론
- Japan
- 증일아함경
- 마하승기율
- 수능엄경
- 정법화경
- 방광반야경
- 대지도론
- 중아함경
- 무량의경
Archives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발자저제야참모파타(鉢刺底帝夜參牟播陀) (1)
불교진리와실천
연기
연기 [한문]緣起 [팔리]paṭicca-samuppāda [범어]pratītya-samutpāda [티벳]rten cing 'bel par 'byung ba [영어]a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 [1]연(緣)하여 일어남. 다른 것에 의존하여 일어남. 어떤 조건에 따라 일어남. 다른 것과의 관계가 조건(緣)이 되어 생기(生起)하는 것. 모든 현상은 무수한 원인이나 조건이 서로 만나고 관련되어 성립해 있는 것이므로, 독립하여 스스로 존재하는 것은 없고, 조건이나 원인이 없다면 결과도 없다는 이치가 연기이다. 연기하고 있다는 사실 이외의 고정적인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설이다. 후세에는 연기의 관념을 업감연기(業感緣起), 뇌야연기(賴耶緣起), 연기진여(眞如緣起)..
불교용어연구
2020. 2. 20. 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