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대반야바라밀다경
- 종경록
- 증일아함경
- 수능엄경
- 장아함경
- 유가사지론
- 유마경
- 정법화경
- 묘법연화경
- 무량의경
- 유마힐소설경
- 마하승기율
- 금강삼매경론
- 마명
- 원각경
- 아미타불
- 가섭결경
- 방광반야경
- Japan
- 대방광불화엄경
- 대지도론
- 마하반야바라밀경
- 백유경
- 반야심경
- 중아함경
- 잡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승기신론
- 대반열반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전체 글 (3129)
불교진리와실천
sfxx--수행자의-덕목.txt.htx sfxx--수행자의-덕목.txt http://buddhism007.tistory.com/3547 ● 이하 글은 단상_조각글 내용을 주제별로 '편집중'인 상태의 글입니다. >>> 경전을 많이 보는 입장에서는 경전 첫부분을 가볍게 대하기 쉬운데 알고보면 이 첫부분이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게 된다. 수행을 통해서 어떤 상태가 되어야 하고 또 불국토를 여행할 때 그리고 다른 국토의 부처님을 만나 뵐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능하면 다른 부분은 못 외어도 이 첫부분은 다 외어야 한다고 보는데 쉽지는 않다. 게송을 외우고 제목을 외운 다음 제목에 이 내용을 다 붙여 넣는 작업이 또 이뤄져야 하는데 주의할 점은 재미없다고 여길 때는 ..
sfxx--무한카드의-현실적사용과-무량행문.txt.htx sfxx--무한카드의-현실적사용과-무량행문.txt http://buddhism007.tistory.com/3556 ● 이하 글은 단상_조각글 내용을 주제별로 '편집중'인 상태의 글입니다. >>> 자신이 대하는 현실만이 표준이고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만 유일한 가치표준인 것처럼 생각하고 살기 쉽다. 사람은 남녀로 구분되어 살아가는데 그렇지 않은 생명체도 많다. 최근에 바퀴벌레들은 암컷 세마리가 모여서 자식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고 하는 보고가 있는데 남녀 양성이 있는 생명체들 대부분은 여성이 자식을 생산하고 양육하는 것이 보통인데 스타워즈에 나오는 레아 공주의 경우는 남성이 양육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남미의 타조형태 비슷한 새인 레아는 40 여일동안..
sfxx--인과판단의-오류3.txt.htx sfxx--인과판단의-오류3.txt http://buddhism007.tistory.com/3475 ● 이하 글은 단상_조각글 내용을 주제별로 '편집중'인 상태의 글입니다. >>> 눈으로 척 보아서 얻는 모습이 진실된 모습이라고 생각하는 일반적인 입장이 많다. 그 전도몽상을 치유해주기가 상당히 어려운데 그렇게 감관을 통해 곧바로 얻는 내용을 인명론에서 현량이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앞과 같이 자신이 척 보고 난 다음 눈을 감아도 무언가가 얻어지는 잔상이 있다면 그것은 또 무엇이라고 해야 하는가. 자신이 어떤 추리나 관념분별을 행해서 얻는 내용도 아닌데 그러나 그 직전에 감각해 얻은 모습도 아니다. 여하튼 이런 내용을 놓고 자신이 진실한 모습을 얻었다고 주장하는 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ZYgr/btq4O9l4nXL/kPPAke496g8Ft5JacUKI51/img.jpg)
『증일아함경』 K0649 T0125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증일아함경』 ♣0649-001♧ 제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4_175049_can_bw24 구례 지리산 연곡사 ○ 2019_1104_100704_can_fix 구례 화엄사 ○ 2019_0106_161921_nik_..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RyzI/btq4RNQhMQ0/TwlOdzudorKZpD938uGUA1/img.jpg)
『해심밀경』 K0154 T0676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해심밀경』 ♣0154-001♧ 제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4_161634_can_CT33 ○ 2020_1114_162206_can_ar30 ○ 2020_1114_153236_can_bw4_s12 ○ 2020_111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Oj7y/btq4OssoBDO/7sQfm0kvRF7B0bv7FzXaJ0/img.jpg)
『불설아미타경』 K0192 T0366 아미타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아미타경』 ♣0192-001♧ 아미타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4_121433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00704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8_1024_14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