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마하반야바라밀경
- 마명
- 가섭결경
- 아미타불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원각경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
- 수능엄경
- 무량의경
- 증일아함경
- 유마경
- 정법화경
- 백유경
- 대승기신론
- 유가사지론
- 대반열반경
- 장아함경
- 묘법연화경
- 방광반야경
- 마하승기율
- 대반야바라밀다경
- 종경록
- 대지도론
- 중아함경
- 잡아함경
- Japan
- 유마힐소설경
- 금강삼매경론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전체 글 (3196)
불교진리와실천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 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 오온개공 도일체고액 ...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以無所得故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菩提薩埵 依般若波羅蜜多故 心無罣礙 無罣礙故 無有恐怖 ..
선남자야, 그 때의 허공왕을 다른 사람이라 보지 말아라.지금의 이 문수사리 동진 보살이 바로 그 사람이다. 동진 보살은 그 때에 허공왕이 되어 70만 아승기야 백천 긍가의 모래 수 같은 겁을 지나 처음으로 보리심을 내었고, 또 60긍가의 모래 수 같은 겁을 지나 무생법인을 얻었으며, 그 뒤로 10지(地)를 성취하고 10력(力)을 구족하였으며,또한 일체 여래의 자리를 채우고, 또한 일체 불법을 이루었으면서도한 번도 ‘나는 위없는 정등각을 증득하였다’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느니라. fr 대성문수사리보살불찰공덕장엄경X web http: //blog.paran.com/buddhism007/43330158
대반야바라밀다경_제60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제목 for pun tarika 수고하신 pun tarika 님을 위하여 관리자가 편곡한 곡을 올립니다. 즐거이 감상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12134 / 12134] 쪽 선용맹아, 만일 반야바라밀다의 심히 깊은 법문에서 한 구절만을 받아 지녀도 한량없는 공덕을 얻거늘 하물며 이 『대반야경』을 구족히 받아 지니고 거듭 읽고 쓰고 공양하고 퍼뜨리고 남에게 널리 연설하면 그가 얻는 복덕은 불가사의하느니라. 선용맹아, 오직 성품이 부드럽고 지극히 총명한 이라..
대반야바라밀다경-연구 제 2 분 401 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대반야바라바라밀다경 연구-0001 대반야바바라밀다경은 제 2분 부터 연구를 시작하기로 합니다.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Name=%B4%EB%B9%DD%BE%DF%B9%D9%B6%F3%B9%D0%B4%D9%B0%E6%5B401-500%5D&kyoungList=291- 이는 1분이 분량이 많고 2분과 내용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간추린 내용을 좋..

『잡아함경』K0650T0099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잡아함경』 ♣0650-001♧제1권 ★★★ 현재 페이지 분량이 많아 전체 내용이 올라가지 않습니다.전체분량은 블로거 사이트에 올려져 있습니다.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k0650-t0099-001-01.html 따라서 목차만 해당 페이지로 하이퍼링크 연결합니다.그리고 전체분량을 다음 사이트..
불교란 무엇인가? - 불교를 처음 접하는 분을 위한 간략한 불교소개 - == 목차 == 1. 모든 것은 영원하지 않다. [일체행무상(一切行無常)] 2. 나를 포함하여 모든 것에 영원불변하고 고정된 실체[아(我)]는 없다. [일체법무아(一切法無我)] *** [참고: 본문에서의 산스크리트 글자표기방식: 산스크리트어(범어) 및 팔리어의 일반적인 로마자표기방식은 컴퓨터 텍스트파일에서는 깨져 나오기 쉽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산스크리트 로마자 표기의 경우 일반적인 로마자표기방식과 함께 그 앞에 다음과 같은 별도 표기를 덧붙인다.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