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유가사지론
- 중아함경
- 대승기신론
- 무량의경
- 아미타불
- 마하반야바라밀경
- 마명
- 금강삼매경론
- 반야심경
- 정법화경
- 증일아함경
- 묘법연화경
- 방광반야경
- 잡아함경
- 종경록
- 유마경
- 대반열반경
- 장아함경
- 유마힐소설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지도론
- 수능엄경
- 원각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방광불화엄경
- Japan
- 백유경
- 마하승기율
- 가섭결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2019/04/25 (3)
불교진리와실천
【부루나 [한문]富樓那 [팔리]puṇṇa [범어]pūrṇa [티벳]gang po [영어]purna】 ❋추가참조 ◎[개별논의]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 富婁那로도 적는다. 가비라성 부근의 바라문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정반왕의 국사(國師)의 아들로서 석가모니와 나이가 같았다. 부처님이 성도한 소식을 듣고서 친구들과 함께 찾아가 귀의하였다. 득도한 후, 각지를 떠돌며 포교에 전념했다. 교묘한 언변으로 교화하는 일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하여 설법제일(說法第一)이라고 불렸다. [동]만원자(滿願子) , 만자자(滿慈子) , 만축자(滿祝子). [원]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부루나 [한문]富樓那 【범】Pūrna 구족하게는 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ㆍ..
『정법화경』 K0117 T0263 정법화경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정법화경_K0117_T0263 핵심요약 ♣0117-001♧ 정법화경 제1권_핵심 불기2563-04-25_정법화경_001 LOUANE - Jour 1 http://buddhism007.tistory.com/5514#1466 ● [pt op tr] fr sfed--정법화경_K0117_T0263.txt ☞정법화경 제1권 ♣0117-001♧ 정법화경 제1권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Grego..
일체지 [한문] 一切智[범어] sarvajñatā[티벳] thams cad mkhyen pa nyid[영어] perfect knowledge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일체지 [한문] 一切智 【범】sarvajña 【팔】Sabbaññū 3지(智)의 하나. 일체 제법의 총상(總相)을 개괄적으로 아는 지혜. 천태(天台)에서는 성문ㆍ연각(緣覺)의 지혜라 하고, 구사에서는 부처님의 지혜라 함. ○ [pt op tr]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일체지일체지[한문] 一切智[범어] sarvajñatā[티벳] thams cad mkhyen pa nyid[영어] perfect knowledge3지(智)의 하나. 내외(內外)의 모든 법상(法相)과 언교(言敎)를 통달하여 얻은 지혜. 천태종(天台宗)에서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