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대반열반경
- 유마힐소설경
- 정법화경
- 마하승기율
- 가섭결경
- 대방광불화엄경
- 금강삼매경론
- 수능엄경
- 대지도론
- 중아함경
- 반야심경
- Japan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원각경
- 방광반야경
- 유마경
- 잡아함경
- 장아함경
- 묘법연화경
- 아미타불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백유경
- 유가사지론
- 증일아함경
- 종경록
- 대승기신론
- 마명
- 마하반야바라밀경
- 무량의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2020/06 (40)
불교진리와실천
승가시국 [한문] [범어]산카샤(Sankassa) · 산카시아(Sankasia) · 산키사(Sankissa) 또는 산카시(Sankasy) 산카샤 위키백과, 스크랩 불기2564-06-07 (승가시국에서 넘어옴) 산카시아(Sankasia) · 산카샤(Sankassa) · 산키사(Sankissa) 또는 산카시(Sankasy)는 인도의 델리 동남쪽 파그나에서 11 km 떨어진 촌락이다. 불교 전통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가 어머니 마야부인을 위해 도리천에 올라가 법을 설하고 33천에 불법을 편 후 다시 세상으로 내려올 때 하강한 곳으로, 인간과 하늘 세계를 잇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장소이다. 일찍이 많은 승원과 대탑이 건립되어 불교 성지 순례자의 발길이 이어지던 곳으로 "아소카왕의 코끼리 도시"라 하기도 했다...
『증일아함경』 K0649 T0125 제28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증일아함경』 ♣0649-028♧ 용어풀이 ꊱ승가시국 ‡승가시국 ω승가시국 제28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증일아함경 제28권 동진 계빈 삼장 구담 승가제바 한역 김월운 번역 36. 청법품(聽法品) [ 1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 그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수시(隨時)로 설법을 들..
전의 [한문]轉依 [범어]āśraya-parāvṛtti [티벳]gnas gyur pa [영어]changing the basis 의지하고 있는 근거를 바꿈. 번뇌를 열반으로 전환함. 아뢰야식 속의 온갖 오염된 종자를 소멸하고 청정한 종자만으로 가득 채우는 것. 아뢰야식에 있는 번뇌장의 종자를 버리고 열반을 얻으며, 소지장의 종자를 버리고 보리를 얻는 것. 전(轉)은 버리거나 새로 얻음으로써 바꾸는 것, 의(依)는 의지하고 있는 근거로서 전의 대상. 버려야 할 대상은 번뇌장과 소지장이며, 새로 얻어야 할 대상은 열반과 보리이다.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전의[한문]轉依 전은 전사(轉捨)ㆍ전득(轉得)의 뜻, 의는 소의(所依), 곧 제8식. 제8식은 의타기(依他起)한 것으로, 원성실성(圓成實性)..
『불설불지경』 K0460 T0680 불지경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불설불지경』 ♣0460-001♧ 불지경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불설불지경(佛說佛地經) 대당(大唐) 현장(玄奘) 한역 김성구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박가범(薄伽梵)께서 가장 훌륭하게 빛나는 7보(寶)로 장엄된 곳에 머무시며 큰 광명을 놓아 끝없는 세계를 두루 비추셨다. 그러자 온 사방이 아름다운 장식으로 빽빽하게 들어차 있었는데, 그 화..
『소품반야바라밀경』 K0007 T0227 제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소품반야바라밀경』 ♣0007-007♧ 용어풀이 ꊱ아비발치 ‡아비발치 ω아비발치 제7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소품반야바라밀경 제7권 후진 구자국 삼장 구마라집 한역 ▸ 17. 심공덕품(深功德品)◂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참으로 드문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이 아비발치(아유월치)의 지위에 있는 보살은 큰 공덕을 성취합니다. 세존께서는..
육십이견 위키백과, 스크랩 한국위키 +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sixty-two-views-cf.html#sixty-two-views-cf -------------- 무상론 (8견)[■편집] 무상론(無想論)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생각이 없다는 견해 또는 이론'으로 이 생을 마치면 의식, 마음 또는 영혼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는 견해를 뜻한다. 즉, 의식의 지속 또는 상속이 없다는 견해를 뜻한다.[75][76] 무상론에는 무상론 초견부터 제8견까지 총 8가지 견해가 있다. 이 8가지 견해는 크게 2그룹으로 나뉜다.[77] 첫 번째 그룹은 이 생을 마친 뒤에 의식이 없는 존재가 되는데, 즉, 의식 또는 영혼은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이와 더불어 몸[色]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