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Ver. 250111250111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중아함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유마힐소설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지도론
- 유마경
- 정법화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백유경
- 마명
- 대반열반경
- Japan
- 증일아함경
- 잡아함경
- 무량의경
- 종경록
- 마하승기율
- 방광반야경
- 유가사지론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묘법연화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대방광불화엄경
- 반야심경
- 장아함경
- 가섭결경
- 원각경
- 금강삼매경론
- 아미타불
Archives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번뇌_cf2 본문
위키백과 [번뇌]- [참고 문헌] 부분
위키백과 연구공부용 스크랩 불기2564-06-24
<참고>
DICT--번뇌
sfx--dict/번뇌.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6.txt ☞◆vhqe8059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ffliction.html
htmback--번뇌_불기2564-06-24-Tis.htm
[한글 위키백과 스크랩 1]
sfx--dict/번뇌_cf0.txt ☞
sfd8--기타_2556_06.txt ☞◆affliction-cf0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ffliction-cf0.html#affliction-cf0
htmback--번뇌_CF0_불기2556-06-29-tis.htm
[한글 위키백과 스크랩 2]
sfx--dict/번뇌_cf.txt ☞
sfd8--기타_2564_06.txt ☞◆affliction-cf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ffliction-cf.html#affliction-cf
htmback--번뇌_cf_불기2564-06-24-tis.htm
[한글 위키백과 스크랩3]
sfx--dict/번뇌_cf.txt ☞
sfd8--기타_2564_06.txt ☞◆affliction-cf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ffliction-cf.html#affliction-cf
htmback--번뇌_cf_불기2564-06-24-tis.htm
참고 문헌[■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2(26-1,27-1), T.1545(27-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 고려대장경연구소, "번뇌". 2016년 1월 8일에 확인
" 번뇌 煩惱:
ⓟkilesa
ⓣnyon mongs pa
ⓢkleśa
ⓔaffliction
1]망념(妄念). 심신을 괴롭히고 번거롭히는 정신 작용의 총칭. 탐·진·치라는 3독에 만(慢), 의(疑), 악견(惡見)을 추가한 6종을 근본번뇌라고 하고, 이로부터 파생된 것들을 수번뇌라고 한다. 번뇌를 표현하는 다른 말로는 개(蓋), 결(結), 계(繫), 구(垢), 누(漏), 박(縛), 사(使), 소해(燒害), 액(軛), 전(箭), 조림(稠林), 주올(株杌), 취(取), 폭류(瀑流) 등이 있다.
[동]혹(惑), 수면(隨眠)."
↑ DDB, "煩惱". 2016년 1월 8일에 확인
"煩惱 Readings
Pinyin: fánnǎo
Wade-Giles: fan-nao
Hangul: 번뇌
Korean MC: beonnoe
Korean MR: pŏnnoe
Katakana: ボンノウ
Hepburn: bonnō
phiền não
afflictions
Affective disorders, defilement(s); mental disturbances; emotional negativity (Skt. kleśa; saṃkleśa; Tib. nyon mongs pa, kun nas nyon mongs pa, Pāli kilesa). Also commonly rendered as 惑; transliterated as 吉隷捨. Evil afflictions, carnal desire. All of the thoughts, words, actions and emotions which arise and cease based on nescience and desire which keep human beings trapped in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and which result in suffering. Therefore, Buddhism teaches methods for attaining nirvāṇa/enlightenment as a means of eliminating the afflictions. Their quality, as described in the Yogâcāra system, is either unwholesome 不善, or obstructive without a determinable moral fruition 有覆無記.
Depending upon their specific function in a given situation, the Chinese term 煩惱 has a wide range of synonyms, including: propensities 隨眠 (anuśaya), mental disturbances 惑 (cognitive distortions), pollution 染, bindings 結, bindings and instigations 結使, fetters 縛, snares 纏, yokes 軛, raging currents 暴流, obscuration 蓋, knots 繫, predilections 使, filth 垢, stumps 株杌, burning pain 燒害, darts/arrows 箭, thicket 稠林 (a metaphor for the great number and density of the afflictions), fatigue 塵勞, objective filth 塵垢, adventitious taint 客塵, roots of strife 諍根. Also, afflictions are termed in their substance as defilements proper 正使, and when the substance of the afflictions have been extinguished, the remaining habitual tendencies are called "karmic impressions" 習氣. According to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倶舍論 all afflictions are produced based on the three factors of (1) causal power 因力 (previously functioning afflictions), (2) environmental power 境界力 (the appearance of objects according to desire) and (3) power of application 加行力 (incorrect mental orientation toward objects). According to the Prakaraṇa-abhidharma-āvatāra 入阿毘達磨論 on the other hand, afflictions can be produced based on environmental power alone.
Both Sarvâstivāda and Yogâcāra schematize the afflictions into the two main categories of primary (fundamental) 根本煩惱 and secondary (or derivative) 枝末煩惱 (枝末惑, 隨煩惱). The fundamental afflictions are the basic substance 體, and are usually expressed in Chinese with such terms as 本惑, 根本惑, or simply 煩惱, but in Sarvâstivāda are also called 隨眠 (underlying, latent tendencies). In Sautrāntika 經部 however the term 隨眠 is used to refer to the seed aspect 種子 of the afflictions, positing at the same time the distinction of afflictions in their manifest activity 現行, also called 纏 ("actively binding"); this usage of terminology was adopted by Yogâcāra.
The fundamental afflictions include the six of craving 貪, ill-will 瞋, delusion 癡 (or nescience 無明), pride 慢, doubt 疑 and [mistaken] views 見 (having the connotation of wrong views 邪見, 惡見), and so these are listed as the six afflictions 六煩惱 (or 六隨眠). [Mistaken] views are distinguished into the five kinds of view 五見 of identification 有身見, attachment to extremes 邊執見, non-Buddhist religious views 邪見, view of attachment to views 見取見, and incorrect attachment to precepts 戒禁取見. When these are added together with the other five afflictions of desire and so forth, they are termed the "ten afflictions" 十煩惱 (or 十隨眠, 十使). Among these, the first five (desire, etc.) do not have the basic character to seek and imagine, so their function is relatively slow and dull, and they are termed the "five dull facilitators" 五鈍使 (or 五惑). The five views, on the other hand, have the character of imagination and seeking, and so their function is relatively fast and sharp, thus the label "five sharp facilitators."
Additionally, the category of craving 貪 from among the basic six propensities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category of the craving of the desired realm 欲界, and another kind of craving that subsumes the two upper realms of form 色界 and formlessness 無色界. Thus the appellations of desire-craving 欲貪 and form-craving 有貪. With these two added to the initial set, they are called the seven propensities 七隨眠 (七使), or, when added to the ten propensities as three separate types (欲貪, 色貪, 無色貪) they are called the twelve propensities 十二隨眠 (or 十二使).
In Yogâcāra, among the ten basic afflictions, there are four that are directly derived from the view of self, and thus always arise together with the seventh consciousness 第七識. These are (1) self-delusion 我癡 (nescience of the principle of no-self, which leads to the next affliction—self-view). This is synonymous with the terms 愚癡 and 無明. (2) Self-view 我見 (or attachment to self 我執). The mistaken view of assuming and attaching to an unchanging, continuous self; also expressed with slightly different connotations as 有身見 (view of identify). (3) The conceit "I am" 我慢—the fundamental sense of pride that accompanies the mistaken perception of self and serves as the basis for the seven kinds of pride 七慢. (4) Attachment of self 我愛 (also expressed as 我貪, 貪愛, and 貪着)—the addiction to things that are pleasing to oneself. These are called the four afflictions 四煩惱 (or four fundamental afflictions 四根本煩惱, four mental disturbances 四惑). Also, since the three most fundamental afflictions of craving 貪, ill-will 瞋, and delusion 癡 are seen to be the source of all derivative afflictions, they are named with such terms as the three unwholesome roots 三不善根, three poisons 三毒, three stains 三垢, three fetters 三縛, etc. The secondary, or derivative afflictions 枝末煩惱 arise as variants, or as combinations of the fundamental afflictions, and are referred to by various terms such as 隨惑, 枝末惑, and 隨煩惱.
[resp. Charles Muller; source(s): YBh-Ind, JEBD, Yokoi]
(Skt. kliṣṭa, aṅgaṇa, ādhi, āśaya, āśrava, utkileśa, upakileśa, upakleśa, upadhi, kileśa, kilbiṣa, kleśa-kośa, kleśa-doṣa, kleśa-bandhana, kleśôpakleśa, tapasrāga, reṇu-kleśa, vikṣrpa, vyasana, saṃyojana, saṃkileśa, sāṃkileśika)
Reference:
Ahn, Sung-Doo Die Lehre von den Kleśas in der Yogâcārabhūmi Stuttgart Franz Steiner Verlag 2003
[resp. Charles Muller; source(s): Hirakawa]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993
Bulgyo sajeon, 216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1167a
Iwanami bukkyō jiten, 752
A Glossary of Zen Terms (Inagaki), 18, 146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20a/21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31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273c
Fo Guang Dictionary, 5515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794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4703a,1397c, (v.9-10)1008b,480a,552c,1092b
Bukkyō daijiten (Oda), 221-1-5*1638-1*1721-2-10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T30n1579_p0313a27 - T30n1579_p0313a29
"煩惱自性者。謂若法生時其相自然不寂靜起。由彼起故。不寂靜行相續而轉。是名略說煩惱自性。"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213 / 829
"번뇌(煩惱)의 자성(自性)3)이란 말하자면, 만약 법(法)이 생겨날 때 그 상(相)은 자연스러우면서도 적정(寂靜)하지 않게 일어나며 그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적정하지 않은 작용[行]이 상속(相續)하며 구른다. 이를 간략하게 말하여 번뇌(煩惱)의 자성(自性)이라고 한다.
3) 이하는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첫번째로 번뇌의 자성(自性)에 대해서 기술한다."
↑ 고려대장경연구소, "삼도 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 三道:
* ⓟ
* ⓣ
* ⓢ
* ⓔthe three path
[동]삼륜(三輪).
1]혹(惑)과 업(業)과 고(苦)의 3도. 인간이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가는 세 가지 양상. 즉 번뇌, 이 번뇌에 의해 일어나는 업, 이 업의 과보로서 나타나는 고통.
2]수행의 세 단계로서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3]불교를 성취하는 세 입장으로서 삼승(三乘). 연각승 또는 독각승, 보살승, 불승.
4]십업도(十業道) 중의 탐(貪), 진(瞋), 사견(邪見)."
↑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三道(삼도):
[2] 혹도(惑道)ㆍ업도(業道)ㆍ고도(苦道). 생사에 유전하는 인과의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혹도. 또는 번뇌도(煩惱道).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과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2) 업도.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 (3) 고도. 3계 6도의 과보를 받는 것. 이리하여 도(道)에 윤전(輪轉)의 뜻이 있다 함은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셋이 바퀴돌 듯 하여 끊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 능통(能通)의 뜻이 있다 함은 혹에서 업을, 업에서 고를 불러내어 전전 상통하여 생사를 되풀이 한다는 뜻. ⇒혹도(惑道)ㆍ혹업고(惑業苦)"
↑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삼도(三道):
② 중생이 미혹한 생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눈 것.
(1) 번뇌도(煩惱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
(2) 업도(業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으로 일으키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3) 고도(苦道).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을 일으킨 과보로 받는 괴로움."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p. T31n1613_p0853a06 - T31n1613_p0853a18. 사견(邪見)
"云何邪見。謂謗因果。或謗作用。或壞善事。染慧為性。謗因者。因謂業煩惱性。合有五支。煩惱有三種。謂無明愛取。業有二種謂行及有。有者。謂依阿賴耶識諸業種子此亦名業。如世尊說。阿難。若業能與未來果彼亦名有。如是等。此謗名為謗因。謗果者。果有七支。謂識名色六處觸受生老死。此謗為謗果。或復謗無善行惡行。名為謗因。謗無善行惡行果報。名為謗果。謗無此世他世。無父無母。無化生眾生。此謗為謗作用。謂從此世往他世作用。種子任持作用。結生相續作用等。謗無世間阿羅漢等。為壞善事。斷善根為業。不善根堅固所依為業。又生不善。不生善為業。"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pp. 11-12 / 24. 사견(邪見)
"무엇을 사견이라고 하는가? 인과를 비방하고, 혹은 작용(作用)을 비방하고, 흑은 선한 일을 파괴하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한다. 인(因)을 비방한다란 무슨 뜻인가? 인온 업의 번뇌성을 말한다. 합해서 다섯 가지가 있다.
번뇌에는 무명 · 애(愛) · 취(取)의 세 가지가 있다. 업에는 행(行) 및 유(有)의 두 가지가 있다. 유란 아뢰야식(阿賴耶識)에 의지하는 모든 업의 종자를 말한다. 이는 또한 업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
“아난아, 만약 업이 능히 미래의 과보를 제공한다면 그것은 또한 유라고도 말한다.……”
이를 비방하는 것을 인을 비방한다고 안다. 과보를 비방한다란 무슨 뜻인가? 과보는 식(識) · 명색(名色) · 6처(處) · 촉(觸) · 수(受) · 생(生) · 노사(老死)의 일곱 가지가 있다. 이를 비방함이 과보를 비방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이 없다고 하는 것은 인을 비방함이고, 선행과 악행의 과보가 없다고 비방하는 것은 과보를 비방함이다.
이 세상과 저 세상이 없고, 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없고, 화생(化生)으로 태어나는 중생도 없다고 비방한다. 이러한 비방은 작용을 비방하는 것이다. 이 세상으로부터 저 세상으로 왕생하는 작용, 종자를 지니고 있는 작용, 생을 맺어 상속하는 작용 등을 말한다. 세간과 아라한 등이 없다고 비방하는 것은 선한 일을 파괴함이다. 선근을 끊는 것을 행동양식으로 하고, 불선근(不善根)이 견고해지는 것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또한 불선을 낳고, 선을 낳지 않는 것을 행동양식으로 한다."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p.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신(信)
"云何信。謂於業果諸諦寶等。深正符順。心淨為性。於業者。謂福。非福。不動業。於果者。謂須陀洹。斯陀含。阿那含。阿羅漢果。於諦者。謂苦集滅道諦。於寶者。謂佛法僧寶。於如是業果等。極相符順。亦名清淨。及希求義。與欲所依為業。"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p. 7 / 24. 신(信)
"무엇을 믿음[信]이라고 하는가?
업 · 과보 · 모든 진리[諦] · 보배 등에 대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청정함을 성질로 삼는다. 업에 대하여 복(福) · 복이 아님(非福) · 부동업(不動業)을 말한다. 과보에 대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과보를 말한다. 진리에 대하여 괴로움의 진리[苦諦] · 집착의 진리[集諦] · 집착을 없애는 진리[滅諦] ·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道諦]이다. 보배에 대하여 불보(佛寶) · 법보(法寶) · 승보(僧寶)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업 ·과보 등에 대하여 지극히 맞게 따르는 것을 청정(淸淨)이라고 한다. 간절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 운허, "煩惱(번뇌)". 2016년 1월 8일에 확인
"煩惱(번뇌): 【범】Kleśa 길례사(吉隷舍)라 음역. 혹(惑)ㆍ수면(隨眠)ㆍ염(染)ㆍ누(漏)ㆍ결(結)ㆍ박(縛)ㆍ전(纒)ㆍ액(軛)ㆍ폭류(暴流)ㆍ사(使) 등이라고도 함. 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앞의 고와 낙에 미(迷)하여 탐욕ㆍ진심(瞋心)ㆍ우치(愚癡) 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 하는 정신 작용. 일체 번뇌의 근본이 되는 근본번뇌와 이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수번뇌가 있으며, 또 이것을 사사(邪師)ㆍ사설(邪說)ㆍ사사유(邪思惟)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분별기(分別起)의 번뇌와, 나면서부터 선천적으로 몸과 함께 있는 구생기(俱生起)의 번뇌가 있고, 또 사(事)에 대한 정의(情意)의 미(迷)인 수혹(修惑)과, 이(理)에 대한 지(智)의 미인 견혹(見惑)이 있으며, 혹은 세용(勢用)의 이둔(利鈍)에 나아가서 5리사(利使)ㆍ5둔사(鈍使)를 세우기도 하고, 혹은 3루(漏)ㆍ3박(縛)ㆍ3혹(惑)ㆍ4류(流)ㆍ4액(軛)ㆍ4취(取)ㆍ5상분결(上分結)ㆍ5하분결(下分結)ㆍ9결(結)ㆍ8전(纒) ㆍ10전ㆍ108번뇌ㆍ8만 4천번뇌 등으로도 나눔."
↑ Kilesa, aka: Klesha, Klesa, Kleśa; 11 Definition(s), Wisdom Library. 2016년 1월 8일에 확인.
"Kilesa,(and klesa) (from kilissati) 1.stain,soil,impurity,fig.affliction; in a moral sense,depravity,lust.Its occurrence in the Piṭakas is rare; in later works,very frequent,where it is approx.tantamount to our terms lower,or unregenerate nature,sinful desires,vices,passions. ...
Added: 14.Aug.2014 | Sutta: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 Kilissati, 2 Definition(s)), Wisdom Library. 2016년 1월 8일에 확인.
"Kilissati,(Sk.kliśyati=kliś or śliṣ to adhere,cp.P.kheḷa and silesuma or semha,Sk.śleṣma,slime.Same root as Gr.lei/mac snail; Ags.slīm slime.Another,specifically Pali,meaning is that of going bad,being vexed,with ref.to a heated state.This lies at the bottom of the Dhtp.(445) & Dhtm.(686) expln by upatāpe.) 1.to get wet,soiled or stained,to dirty oneself,be impure It.76 (of clothes,in the passing away of a deva); Th.1,954 (kilisissanti,for kilissanti); Ps.I,130.Kilisseyya Dh.158 (expld as nindaṃ labhati) to do wrong.Cp.pari°.(Page 216)
Added: 14.Aug.2014 | Sutta: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 원문에는 遍惱(변뇌: 두루 괴롭힘)라고 되어 있으나, 후대의 문헌들에서는 이것을 핍뇌(逼惱)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글의 다음 검색 페이지를 참조하시오: 煩亂遍惱身T28n1554_p0984a18║心相續。故名煩惱。此即隨眠, 煩亂遍惱身心相續。故名煩惱。此即隨眠
↑ 색건타라 조, 현장 한역 T.1554, 《입아비달마론》 제1권. p. T28n1554_p0984a17 - T28n1554_p0984a18
"煩亂遍惱身心相續。故名煩惱。此即隨眠。"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6. 번뇌(煩惱)
"勞亂之義。名曰煩惱。"
↑ "勞亂",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勞 일할 로,일할 노
1. 일하다 2. 힘들이다 3. 애쓰다 4. 지치다 5. 고달프다 6. 고단하다 7. 괴로워하다 8.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9. 수고롭다 10. 위로하다(慰勞--) 11. 치사하다 12. 수고 13. 노고 14. 공로(功勞)...
亂 어지러울 란,어지러울 난
1. 어지럽다 2. 어지럽히다, 손상시키다(損傷---) 3. 다스리다 4. 음란하다(淫亂--), 간음하다(姦淫--) 5. 무도하다(無道--), 포악하다(暴惡--) 6. (물을)건너다 7. 가득 차다, 널리 퍼지다 8. 난리(亂離),..."
↑ 원효 술 HPC 1.789c4, 《이장의》 "The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Yijang ui 二障義)" [HBJ 1.789c8, WSC 325 - HBJ 1.789c11, WSC 326]
"煩惱障者 貪瞋等惑煩勞爲性。適起現行煩亂身心 故名煩惱 。"
↑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 p. T26n1542_p0702a24 - T26n1542_p0702a28. 수면(隨眠)의 뜻
"隨眠是何義。答微細義是隨眠義。隨增義是隨眠義。隨逐義是隨眠義。隨縛義是隨眠義。如是隨眠。若未斷未遍知。由二事故隨增。謂所緣故相應故。如是隨增。於自界非他界。"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 p. 57 / 448. 수면(隨眠)의 뜻
"[문] 수면(隨眠)이란 무슨 뜻인가?
[답] 미세(微細)하다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요,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욱 더하게 한다[隨增]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며, 뒤 쫓아다닌다[隨逐]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요, 따라다니면서 속박한다[隨縛]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다.
이와 같은 수면을 만일 아직 끊지 못하고 아직 두루 알지 못했다면 두 가지 일로 말미암아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욱 더하게 하나니, 반연의 대상이[所緣] 되기 때문이요 상응[相應]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욱 더하게 하는 것은 자기 세계[自界]에서만 그렇게 하며 다른 세계[他界]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0권. p. T29n1558_p0108a17 - T29n1558_p0108b11. 수면(隨眠)의 뜻
"如是已辯隨眠并纏。經說為漏瀑流軛取。此隨眠等名有何義。頌曰。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論曰。根本煩惱現在前時行相難知故名微細。二隨增者。能於所緣及所相應增惛滯故。言隨逐者。謂能起得恒隨有情常為過患。不作加行為令彼生。或設劬勞為遮彼起而數現起故名隨縛。由如是義故名隨眠。稽留有情久住生死。或令流轉於生死中。從有頂天至無間獄。由彼相續於六瘡門泄過無窮故名為漏。極漂善品故名瀑流。和合有情故名為軛。能為依執故名為取。若善釋者應作是言。諸境界中流注相續泄過不絕故名為漏。如契經說。具壽當知。譬如挽船逆流而上。設大功用行尚為難。若放此船順流而去。雖捨功用行不為難。起善染心應知亦爾。准此經意。於境界中煩惱不絕說名為漏。若勢增上說名瀑流。謂諸有情若墜於彼。唯可隨順無能違逆。涌泛漂激難違拒故。於現行時非極增上說名為軛。但令有情與種種類苦和合故。或數現行故名為軛。執欲等故說名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0권. pp. 940-942 / 1397. 수면(隨眠)의 뜻
"이와 같이 수면과 아울러 전(纏)을 경에서 누·폭류·액·취라고 설한 것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면 등의 명칭에는 어떠한 뜻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미세, 두 가지에서의 수증
수축(隨逐)과 수박(隨縛)
머묾과 유전·표류·화합·집취
이것이 바로 수면 등의 뜻이다.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즉 10수면)가 현재전할 때 그 행상(行相)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微細)'라고 이름한다.76)
'두 가지에서의 수증'이란, 말하자면 [수면은] 능히 그것의 소연 및 그것에 상응하는 법과 뒤엉켜[惛滯] 증장하기 때문이다.
'수축'이라고 하는 말은, 이를테면 [수면의] 득(得)을 일으켜 항상 유정을 쫓아다니면서 과환(過患)이 되는 것을 말한다.
가행을 지어 그것(수면)을 생겨나지 않게 하더라도, 혹은 애써 노력하여 그것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지라도 자꾸자꾸 일어나기 때문에 '수박(隨縛)'이라고 한다. 곧 이와 같은 뜻으로 말미암아 수면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수면은] 유정을 생사(生死)에 체류시켜 오래 머물게[住] 하며, 혹은 유정천으로부터 무간지옥에 이르기까지 생사 중에 유전(流轉)시키는 것으로,77)그들의 상속은 육창문(六瘡門, 즉 6근을 말함)에서 끊임없이 번뇌를 누설하기 때문에 수면을 일컬어 '누(asrava)'라고 하였다. 또한 선품을 극심히 표탈(漂奪)시켜 버리기 때문에 '폭류(ogha)'라고 이름하였고, 유정을 [3계·5취·4생과] 화합시키기 때문에 '액(yoga)'이라고 이름하였으며, 능히 의지하여 집착하게 되기 때문에 '취(upadana)'라고 이름하였다.
그러나 만약 좋은 해석이 되려면 마땅히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할 것이다.78) 온갖 경계 중으로 상속(相續)을 흘러들게 하여 끊임없이 허물을 누설(漏泄)하기 때문에 '누'라고 이름한 것이니, 계경에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구수(具壽)는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비유하자면 배를 당기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으니, 설혹 크나큰 힘을 들이더라도 [거슬러 올라] 가는 것은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만약 이 배를 그대로 놓아두어 강물의 흐름에 따라 가게 하면 비록 힘을 들이지 않을지라도 [내려] 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심이나 염심을 일으키는 것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79) 즉 이 경의 뜻에 준하여 본다면, 경계 중에서 번뇌가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일컬어 '누'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만약 [수면의] 세력이 강력하게 될 때를 설하여 '폭류'라고 이름한다. 즉 모든 유정이 거기에 떨어질 경우 오로지 거기에 따라야 할 뿐 능히 어기거나 거역할 수 없으니, 솟구치거나 떠오르거나 떠내려가거나 물결치면 그것을 어기거나 거역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현행할 때 지극히 두드러지지 않은 수면을 설하여 '액'이라 이름하니, 다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여러 가지 종류의 괴로움과 화합하게 하기 때문에, 혹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에 '액'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은] 욕경(欲境) 따위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하여 '취'라고 이름한 것이다.80)
76) 수면의 원어 anu-saya의 anu를 미세[微, a u]의 뜻으로 이해하여 해석한 것이다.
77) '누'의 원어 a-srava는 a-sru(유출·유동하다)라는 동사의 파생어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유사한 as(앉다)의 사역어 asayati(머물게 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유전시키는 것'이라는 말은 a-sru의 사역어 asravayati(=asravayati)에 근거한 해석이다.
78) 이하 논주 자신의 해석이다.
79) 『잡아함경』 권제18 제493경(대정장2, p. 128중하) 참조. 즉 선법을 행하는 것은 크나큰 가행이 필요하다는 비유로서, 수면은 경계라는 강물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면서 허물을 누설하기 때문에 '누'라는 것이다
80) 5욕경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욕취이며, '견'에 집착하는 것은 견취, 계에 집착하는 것은 계금취, 아어에 집착하는 것은 아어취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제1권. pp. T31n1602_p0481c27 - T31n1602_p0482a02. 탐(貪)
"貪者。謂於五取蘊愛樂覆藏保著為體。或是俱生或分別起能障無貪為業。障得菩提資糧圓滿為業。損害自他為業。能趣惡道為業。增長貪欲為業。如經說諸有貪愛者為貪所伏蔽。"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제1권. p. 19 / 293. 탐(貪)
"탐(貪)103) 심소는 5취온(取薀)104)에 대해서 애착하거나 즐기거나 숨기거나 돌보거나 보존하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혹은 선천적으로 생겨나는 것[俱生起]이고, 혹은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分別起]이다. 능히 무탐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보리의 자량을 얻어서 원만해짐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으며, 자신과 남에게 손해끼치는 것을 업으로 삼고, 능히 악도(惡道)에 나아감을 업으로 삼으며, 탐욕을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탐애가 있는 모든 이는 탐욕에 항복되고 가리운 바가 된다”고 말한 것과 같다.
103) 이하 6가지 근본번뇌심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탐(貪, rāga) 심소는 ‘탐욕’ 즉 애착을 일으키는 심리작용이다. 특히 윤회하는 삶과 그 원인인 5취온(取蘊), 나아가 열반에 대해서까지 애착심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고통을 자초한다.
104) 취(取)는 번뇌의 이명(異名)이며, 번뇌는 온(蘊)을 낳으며, 또한 온마(蘊魔)라는 말도 있듯이 온은 번뇌를 낳으므로 온을 취온이라 한다. 그런데 5온(蘊)은 유루(有漏)와 무루(無漏)에 통하고, 5취온(取蘊)은 유루뿐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03 - T31n1602_p0482a05. 진(瞋)
"瞋者。謂於有情欲興損害為體。或是俱生或分別起能障無瞋為業。如前乃至增長瞋恚為業。如經說諸有瞋恚者為瞋所伏蔽。"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제1권. p. 20 / 293. 진(瞋)
"진(瞋)105) 심소는 유정에 대해서 손해끼침을 일으키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혹은 선천적으로 생겨나는 것이고, 혹은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다. 능히 무진(無瞋)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106) 성냄[瞋恚]을 증장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진에(瞋恚) 심소가 있는 모든 이는 성냄에 굴복되고 가리운 바가 된다”고 말한 것과 같다.
105) 진(瞋, dveṣa) 심소는 ‘성냄’ 즉 고통과 그 원인에 대해 증오심을 일으키는 심리작용이다. 이것은 몸과 마음을 열뇌(熱惱)하게 하여 갖가지 악업을 짓게 만든다.
106) 앞의 탐(貪)에 대한 설명에서 “보리의 자량을 얻어서 원만해짐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으며, 자신과 남에게 손해끼치는 것을 업으로 삼고, 능히 악도에 나아감을 업으로 삼으며”의 문장을 가리킨다. 이하 번뇌심소에 대한 설명에서 “여전내지(如前乃至)”는 이와 같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8b24 - T29n1558_p0098b29. 근본번뇌의 10가지 작용
"何故隨眠能為有本。以諸煩惱現起能為十種事故。一堅根本。二立相續。三治自田。四引等流。五發業有。六攝自具。七迷所緣。八導識流。九越善品。十廣縛義。令不能越自界地故。由此隨眠能為有本。故業因此有感有能。"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19권. pp. 853-854 / 1397. 근본번뇌의 10가지 작용
"어째서 수면이 능히 '유'의 근본이 된다고 하는 것인가?
모든 번뇌는 현기(現起)하면 능히 열 가지 사업[事]을 행하기 때문으로, 첫 번째는 근본(根本)을 견고하게 하며,1) 두 번째는 [번뇌의] 상속을 일으키며, 세 번째는 자신의 소의신[自田]이 번뇌를 일으키기에 적합하게 하며, 네 번째는 등류(等流)[인 수번뇌(隨煩惱)]를 인기하며, 다섯 번째 업유(業有) 즉 후유를 초래하는 업을 일으키며, 여섯 번째는 자구(自具)를 포섭하며,2) 일곱 번째 [정혜(正慧)를 손상시켜] 소연에 대해 미혹하게 하며, 여덟 번째 식(識)의 흐름을 인도하며,3) 아홉 번째는 선품(善品)을 어기게 하며, 열번째는 널리 속박하는 것이니, [유정을 속박하여] 자계·자지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즉 수면은 이러한 열 가지 사업으로 말미암아 능히 '유'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업은 이것에 의해 비로소 '유'를 초래할 공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1) 여기서 '근본'은 번뇌의 득(得)을 말한다. 즉 번뇌가 일어남으로 말미암아 번뇌의 득이 더욱더 견고해져 끊을래야 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2) 여기서 '자구'는 번뇌 자신의 자량이 되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를 말한다.
3) 식의 흐름에는 다음 생을 받을 때 부모에 대한 애념(愛念)을 일으키는 속생(續生)의 식과, 소연의 경계에 대해 촉(觸)을 일으키는 촉연(觸緣)의 식이 있다. 곧 번뇌는 후유의 소연에 대해 능히 속생의 식을 일으키며 소연에 대해 능히 염오식을 낳기 때문에 '식의 흐름을 인도한다'고 말한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b24 - T31n1605_p0676b27
"何等差別故。謂諸煩惱依種種義立種種門差別。所謂結縛隨眠隨煩惱纏暴流軛取繫蓋株杌垢燒害箭所有惡行漏匱熱惱諍熾然稠林拘礙等。"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5 / 159
"어떠한 것이 차별에 기인하기 때문입니까?
여러 번뇌가 온갖 이치에 의지하여 갖가지 문(門)의 차별을 세우는 것으로, 소위 결(結)ㆍ박(縛)ㆍ수면(隨眠)ㆍ수번뇌(隨煩惱)ㆍ전(纏)ㆍ폭류(瀑流)ㆍ액(軶:멍에)ㆍ취(取)ㆍ계(繫)ㆍ개(蓋)ㆍ주(柱)ㆍ올(杌)ㆍ구 (垢)ㆍ소(燒)ㆍ해(害)ㆍ전(箭)ㆍ소유악행(所有惡行)ㆍ누(漏)ㆍ궤(궤)ㆍ열(熱)ㆍ뇌(惱)ㆍ쟁(諍)ㆍ치연(熾然)ㆍ조림(稠林)ㆍ구애 (拘礙) 등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3b02 - T31n1606_p0723b05
"差別者。謂諸煩惱依種種義立種種門差別。所謂結縛隨眠隨煩惱纏瀑流軛取繫蓋株杌垢燒害箭所有惡行漏匱熱惱諍熾然稠林拘礙等。"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49 / 388
"무엇이 차별에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까? 여러 번뇌가 온갖 이치에 의지하여 갖가지 문(門)의 차별을 건립하는 것으로, 소위 결(結)ㆍ박(縛)ㆍ수면(隨眠)ㆍ수번뇌(隨煩惱)ㆍ전(纏)ㆍ폭류(瀑流)ㆍ액(軛:멍에)ㆍ취(取)ㆍ계(繫)ㆍ개(蓋)ㆍ주(株)ㆍ올()ㆍ구 (垢)ㆍ소(燒)ㆍ해(害)ㆍ전(箭)ㆍ소유악행(所有惡行)ㆍ누(漏)ㆍ궤(匱)ㆍ열(熱)ㆍ뇌(惱)ㆍ쟁(諍)ㆍ치연(熾然)ㆍ조림(稠林)ㆍ구애 (拘礙) 따위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1 - T44n1851_p0561b26. 번뇌의 다른 이름
" 二障義兩門分別(釋名第一 體相第二)第一釋名。所言障者。隨義不同。乃有多種。或名煩惱。或名為使。或名為結。或名為纏。或名為縛。或名為流。或名為枙。或名為取。或名為漏。或名為垢。或說為惑。或說為障。如是非一。"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9 - T30n1579_p0314c01. 개(蓋)
"覆真實義故名為蓋。"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개(蓋)
"진실(眞實)의 뜻을 덮기 때문에 개(蓋)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08 - T31n1605_p0677c10. 개(蓋)
"蓋有五種。謂貪欲蓋。瞋恚蓋。惛沈睡眠蓋。掉舉惡作蓋。疑蓋。能令善品不得顯了。是蓋義。謂於樂出家位覺邪行位止舉捨位。"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9 / 159. 개(蓋)
"개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욕탐개(欲貪蓋)ㆍ진에개(瞋恚蓋)ㆍ혼침수면개(昏沈睡眠蓋)ㆍ도거악작개(掉擧惡作蓋)ㆍ의개(疑蓋)ㆍ낙출가위(樂出家位)ㆍ각사행위(覺邪行位)ㆍ지거사위(止擧捨位)의 선품을 드러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개의 이치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27 - T31n1606_p0725a07. 개(蓋)
"蓋有五種。謂貪欲蓋瞋恚蓋惛沈睡眠蓋掉舉惡作蓋疑蓋。能令善品不得顯了是蓋義。覆蔽其心障諸善品令不轉故。問於何等位障諸善法答於樂出家位覺正行位止舉捨位。於樂出家時貪欲蓋為障。希求受用外境界門。於彼不欣樂故。於覺正行時瞋恚蓋為障。於所犯學處同梵行者正發覺時。由心瞋恚不正學故。於止舉兩位惛沈睡眠掉舉惡作蓋為障。如前所說。能引沈沒及散亂故。於捨位疑蓋為障。遠離決定不能捨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6-157 / 388. 개(蓋)
"‘개(蓋)’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욕탐개(欲貪蓋)ㆍ진에개(瞋恚蓋)ㆍ혼침수면개(惛沈睡眠蓋)ㆍ도거악작개(掉擧惡作蓋)ㆍ의개(疑蓋)이다.
[157 / 388] 쪽
선품(善品)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개(蓋)의 이치이다. 그 마음을 가려서 여러 선품을 장애하여 전변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어떠한 지위에서 여러 가지 선법을 장애하게 됩니까?
낙출가위(樂出家位)ㆍ각정행위(覺正行位)ㆍ지위(止位)ㆍ거위(擧位)ㆍ사위(捨位)이니, 즐거이 출가할 때에는 ‘탐욕개’가 장애가 되어 외부 경계의 문을 즐거이 구하여 수용함으로써, 그들이 출가를 즐거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른 행을 깨달을 때에는 ‘진에개’가 장애가 되니, 그 학처(學處)를 범한 것이 범행을 닦는 도반들에게 발각되는 때에도 도리어 마음속으로 진에를 일으켜 올바로 배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위’와 ‘거위’의 두 가지 지위에서는 ‘혼침수면개’와 ‘도거악작개’가 장애가 되는 것으로, 앞에서 해설한 그대로이다. ‘사위’에서는 ‘의개’가 장애가 되니 멀리 여의겠다고 결심했을지라도 이를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3 - T30n1579_p0314b24. 결(結)
"能和合苦故。名為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0 / 829. 결(結)
"능히 괴로움과 화합하기 때문에 결(結)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b28 - T31n1605_p0676c03. 결(結)
"結有幾種。云何結。何處結耶。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愛結者。謂三界貪愛結所繫故不厭三界。由不厭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5 / 159. 결(結)
"결(結)에는 몇 종류가 있습니까? 또 무엇이 결이고, 어느 처에 결이 있습니까?
결에는 아홉 종류가 있으니, 애결(愛結)ㆍ에결(恚結)ㆍ만결(慢結)ㆍ무명결(無明結)ㆍ견결(見結)ㆍ취결(取結)ㆍ의결(疑結)ㆍ질결(嫉結)ㆍ간결(慳結)이다.
애결이란 3계의 탐결에 계류받기 때문에 삼계를 싫어하여 떠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싫어하여 떠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해서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해서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3b06 - T31n1606_p0723b15. 결(結)
"問結有幾種。云何結。何處結耶。答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愛結者。謂三界貪愛。結所繫故不厭三界由不厭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當知此中宣說諸結若相若用若位辯結差別。且如愛結何等是結。謂三界貪是結自性。云何為結。謂有此者不厭三界。由此展轉不善現行善不現行。於何位結。謂於後世苦果生位。如是恚結等並如理應知。"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p. 149-150 / 388. 결(結)
"‘결’에는 몇 종류가 있습니까? 또 무엇이 결이고, 어느 처에 결이 있습니까?
결에는 아홉 종류가 있으니, 애결(愛結)ㆍ에결(恚結)ㆍ만결(慢結)ㆍ무명결(無明結)ㆍ견결(見結)ㆍ취결(取結)ㆍ의결(疑結)ㆍ질결(嫉結)ㆍ간결(慳結)이다.
‘애결’이란 삼계의 탐을 말하는 것이니, 그 결에 얽매이기 때문에 삼계를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하여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해서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한 여러 가지 ‘결’은 그 모양이나 쓰임새나 위치에서나 그 ‘결’을 논하는 차별이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애결(愛結)과 같은 것이라면 도대체 어떠한 것이 ‘결’입니까?
삼계의 결이 바로 자체적인 성품이다.
‘결’이란 무엇입니까?
이러한 것이 있기에 삼계를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같이 전전하는 것에 연유해서 불선법이 현행하게 되고 선법이 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지위에서 매이게 됩니까?
후세에서 고의 과보가 행해지는 지위이다. 이처럼 에결 따위도 역시 그 이치에 따라 숙지해야 한다."
↑ 이동:가 나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7 - T44n1851_p0561b28. 결(結)
"結集生死。目之為結。結縛眾生。亦名為結。"
↑ "結集",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結集 결집
①석가모니(釋迦牟尼)가 돌아간 뒤에 제자(弟子)들이 교조의 유훈을 모아 편집(編輯)한 일 ②한데 모이어 뭉침
結 맺을 결,상투 계
1. 맺다 2. 모으다 3. 묶다, 매다 4. 꾸미다, 짓다 5. 다지다, 단단히 하다 6. 엇걸리게 하다 7. 굽다, 구부러지다 8. 굽히다, 구부리다 9. 막다, 못하게 하다 10.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集 모을 집
1. 모으다 2. 모이다 3. 편안(便安)히 하다 4.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5. 가지런하다 6. 이루다"
↑ "結縛",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結縛 결박
몸을 자유(自由)롭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두 팔이나 다리를 묶음
結 맺을 결,상투 계
1. 맺다 2. 모으다 3. 묶다, 매다 4. 꾸미다, 짓다 5. 다지다, 단단히 하다 6. 엇걸리게 하다 7. 굽다, 구부러지다 8. 굽히다, 구부리다 9. 막다, 못하게 하다 10.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縛 얽을 박
1. 얽다 2. 동이다(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3. 묶다, 포박하다(捕縛--) 4. 매이다 5. 구속되다(拘束--) 6. 포승(捕繩) 7. 복토(伏兔: 차여(車輿)와 차축을 연결 고정하는 나무)"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9. 계(繫)
"難可解脫故名為繫。"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계(繫)
"해탈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繫)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02 - T31n1605_p0677c07. 계(繫)
"繫有四種。謂貪欲身繫。瞋恚身繫戒禁取身繫。此實執取身繫。以能障礙定意性身故名為繫。所以者何。能為四種心亂因故。謂由貪愛財物等因令心散亂。於鬥諍事不正行為因令心散亂。於難行戒禁苦惱為因令心散亂。不如正理推求境界為因令心散亂。"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9 / 159. 계(繫)
"계(繫)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탐욕신계(貪欲身繫)ㆍ진에신계(瞋恚身繫)ㆍ계금취신계(戒禁取身繫)ㆍ차실집취신계(此實執取身繫)이다. 정의(定意)를 장애하는 성품의 무리인 까닭에 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이 같은 네 가지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는 때문이다. 재물을 탐애하는 따위가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들고, 다투는 일이나 바르지 못한 행이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들고, 행하기 힘든 것을 계율로 단속받는 고뇌도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들고, 정리(正理)와 어긋나게 경계를 추구하는 것도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드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16 - T31n1606_p0724c26. 계(繫)
"繫有四種。謂貪欲身繫瞋恚身繫戒禁取身繫此實執取身繫。以能障礙定意性身故名為繫。所以者何。由此能障定心自性之身故名繫。非障色身。何以故。能為四種心亂因故。謂由貪愛財物等因令心散亂。於鬥諍事不正行。為因令心散亂。於難行戒禁苦惱為因令心散亂。不如正理推求境界為因令心散亂。由彼依止各別見故。於所知境不如正理種種推度妄生執著。謂唯此真餘並愚妄。由此為因令心散動。於何散動。謂於定心如實智見。"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6 / 388. 계(繫)
"‘계(繫)’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탐욕신계(貪欲身繫)ㆍ진에신계(瞋恚身繫)ㆍ계금취신계(戒禁取身繫)ㆍ차실집취신계(此實執取身繫)이다. 정의(定意)를 장애하는 성품의 무리인 까닭에 ‘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정심(定心)의 자체적인 성품을 능히 장애하는 무리인 까닭에 ‘계’라고 이름하는 것이니 이것은 색신(色身)을 장애하지 않는다.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이 같은 네 가지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기 때문이다. 재물을 탐애하는 따위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고, 다투는 일이나 바르지 못한 행이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고, 행하기 힘든 것을 계율로 단속받는 고뇌도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고, 정리(正理)와 어긋나게 경계를 추구하는 것도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는 것이다. 그들이 제각각 별도의 소견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그 소지경(所知境)에 대해 정리와 어긋나게 갖가지로 추측해서 허망한 집착이 생겨나는 것이다. 오직 이것만을 진실이라고 여기고 나머지의 것을 허망한 것이라 보기에 이로 인하여 마음을 산란하게 하는 인이 된다.
무엇을 산란하게 하는 것입니까?
바로 정심에서의 진실한 지견(知見)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1 - T30n1579_p0314c02. 구(垢)
"自性染污故名為垢。"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구(垢)
"자성(自性)이 염오(染汚)이기 때문에 구(垢)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15 - T31n1605_p0677c19. 구(垢)
"垢有三種。謂貪垢瞋垢癡垢由依止貪瞋癡故。毀犯如是尸羅學處。由此有智同梵行者。或於聚落或閑靜處。見已作如是言。此長老作如是事行如是行。為聚落刺點染不淨。說名為垢。"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구(垢)
"구(垢)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구(貪垢)ㆍ진구(瞋垢)ㆍ치구(癡垢)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해서 이 같은 시라(尸羅)의 학처(學處)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그 처소에 범행을 닦는 지혜로운 이가 함께 머무르다가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이 같은 범죄를 목격하고서 “이 장로가 이와 같은 일을 범했고 이와 같이 행하였습니다”라고 공표되는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법의를 부정하게 염색했거나 바느질한 일 따위를 구(垢)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14 - T31n1606_p0725a18. 구(垢)
"垢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毀犯如是尸羅學處。由此有智同梵行者。或於聚落或閑靜處見已。作如是言。此長老作如是事行如是行。為聚落刺點染不淨。說名為垢。以貪瞋癡能現犯戒不淨相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7-158 / 388. 구(垢)
"‘구(垢)’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구(貪垢)ㆍ진구(瞋垢)ㆍ치구(癡垢)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서 이 같은 시라(尸羅)의 학처(學處)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그 처소에 범행을 닦는 지혜로운 이가 함께 머무르다가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이 같은 범죄를 목격하고서 “이 장로께서 이와 같은 일을 저지르셨고 이와 같이 행하셨습니다”라고 공표하는 것이니,
[158 / 388] 쪽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그 비구가 부정하게 물들인 천으로 법복을 기워 입은 경우에, 이를 ‘구’라 이름하는 것이다.
탐ㆍ진ㆍ치가 현행하여 계율을 범하는 청정치 못한 모양이기 때문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3. 구(垢)
"染污淨心。說以為垢。"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10 - T30n1579_p0314c11. 구애(拘礙)
"能令眾生樂著種種妙欲塵故。能障證得出世法故名為拘礙。"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2 / 829. 구애(拘礙)
"중생들로 하여금 갖가지 묘한 욕진(欲塵)을 즐겨 집착하게 하고 출세법(出世法)을 증득하는 것을 능히 장애하기 때문에 구애(拘礙)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제4권. p. T31n1605_p0678a29 - T31n1605_p0678b03. 구애(拘礙)
"拘礙有三。謂貪拘礙瞋拘礙癡拘礙。由依止貪瞋癡故。顧戀身財無所覺了樂處憒鬧。得少善法便生厭足。由此不能修諸善法。故名拘礙。"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2 / 159. 구애(拘礙)
"구애(拘礙)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구애(貪拘礙)ㆍ진구애(瞋拘礙)ㆍ치구애(癡拘礙)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신체와 재물에 연연하여 깨닫는 바 없이 그 처(處)의 번잡함을 즐기기에 약간의 선법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바로 싫증내게 된다. 이로 인해서 모든 선법을 닦지 못하게 되기에 구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c12 - T31n1606_p0725c19. 구애(拘礙)
"拘礙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顧戀身財無所覺了樂處憒鬧。得少善法便生厭足。由此不能修諸善法故名拘礙。依貪瞋癡顧身財等。拘礙有情不得自在修諸善故。又此顧戀身等。即依五種心拘礙說。何等為五謂顧戀身顧戀諸欲樂相雜住。闕於隨順教誡教授。於諸善品得少為足。拘礙心故名心拘礙。"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1 / 388. 구애(拘礙)
"‘구애(拘礙)’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구애(貪拘礙)ㆍ진구애(瞋拘礙)ㆍ치구애(癡拘礙)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말미암는 까닭이다. 신체와 재물에 연연하여 깨닫는 것 없이 그 처(處)의 번잡함을 즐기기에, 약간의 선법을 얻었다 하더라도 바로 싫증내게 된다. 이로 인해서 모든 선법을 닦지 못하게 되므로 ‘구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것은 탐ㆍ진ㆍ치에 의지해서 몸과 재물 따위를 돌보는 것이니, 유정이 이에 구애되어 여러 선법을 자유로이 닦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이같이 신체 따위에 연연하는 것을 다섯 가지 마음의 구애에 의거해서 설명하게 된다. 어떠한 것이 그 다섯 가지인가 하면, 신체에 연연해 여러 가지 욕락(欲樂)의 모양에 섞이며 머무는 것에 연연하여 교계(敎誡)나 교수(敎授)에 순종하지 못하고, 여러 선품(善品)에 처할 때에, 그만 약간의 성취에도 만족해서 그 마음에 구애되기 때문에 이를 심구애(心拘礙)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T30n1579_p0314c27 - T30n1579_p0315a01. 구애(拘礙)
"拘礙者有五拘礙。一顧戀其身。二顧戀諸欲。三樂相雜住。四闕隨順教。五得微少善便生喜足。"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223 / 829. 구애(拘礙)
"구애(拘礙)란, 즉 5구애(拘礙)로서 첫째는 그 몸을 연연해[顧戀] 하는 것이요, 둘째는 여러 가지 욕구들을 연연해하는 것이요, 셋째는 즐겨 서로 섞여 머무르는 것이요, 넷째는 가르침[敎]에 수순하는 것이 없는 것이요, 다섯째는 조그마한 선(善)을 얻고도 곧 만족하게 기뻐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5 - T30n1579_p0314c06. 궤(匱)
"能令受用無有厭足故名為匱。"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궤(匱)
"수용(受用)하는 것에 만족함[厭足]이 있은 적이 없으면 궤(匱)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0 - T31n1605_p0678a12. 궤(匱)
"匱有三種。謂貪匱瞋匱癡匱。由依止貪瞋癡故。於有及資生具恒起追求無有厭足。常為貧乏眾苦所惱。是故名匱。"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궤(匱)
"궤(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궤(貪匱)ㆍ진궤(瞋匱)ㆍ치궤(癡匱)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유(有) 및 생필품을 추구하되 만족을 모르기에 언제나 가난한 중고에 고뇌하게 되므로 궤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15 - T31n1606_p0725b18. 궤(匱)
"匱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於有及資生具恒起追求無有厭足。常為貧乏眾苦所惱故。故名匱。以貪瞋癡能令身心恒乏短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9 / 388. 궤(匱)
"‘궤(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궤(貪匱)ㆍ진궤(瞋匱)ㆍ치궤(癡匱)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까닭이다. 유(有) 및 생필품을 추구하되 만족을 모르기에 언제나 모자란 것 같은 중고(衆苦)에 괴롭게 되기에 ‘궤’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탐ㆍ진ㆍ치로 인해 그 몸과 마음을 언제나 결핍된 상태에 놓이게 하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4. 근(根)
"不善所依故名為根。"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근(根)
"불선(不善)의 소의(所依)이므로 근(根)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7. 뇌(惱)
"能引衰損故名為惱。"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제8권. p. 221 / 829. 뇌(惱)
"능히 줄어듦[衰損]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뇌(惱)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6 - T31n1605_p0678a18. 뇌(惱)
"惱有三種。謂貪惱瞋惱癡惱。由依止貪瞋癡故。隨彼彼處愛樂耽著。彼若變壞便增愁歎。種種憂苦熱惱所觸。故名為惱。"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23 - T31n1606_p0725b27. 뇌(惱)
"惱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隨彼彼處愛樂耽著。彼若變壞便增愁歎。種種憂苦熱惱所觸。故名為惱。由於色等諸可樂事深愛著已。彼若變壞是諸有情。便為種種愁歎等苦所惱亂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0 / 388. 뇌(惱)
"‘뇌(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뇌(貪惱)ㆍ진뇌(瞋惱)ㆍ치뇌(癡惱)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기 때문이다. 그들이 처하는 곳에 따라 사랑스럽고 즐거운 것에 탐착하는 것이니 그러한 것들이 변하여 없어지면 바로 근심과 걱정이 늘어나 갖가지 근심과 괴로움의 번뇌에 접촉하는 까닭에 ‘뇌’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색 따위의 여러 가지 즐길 만한 일에 깊이 애착하다가 이러한 것들이 만약 변하여 없어지게 되면, 이들 여러 유정들이 바로 온갖 근심과 한탄 따위의 고뇌에 어지럽게 되는 까닭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5. 누(漏)
"流動其心故名為漏。"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누(漏)
"그 마음을 흘리고 흔들기 때문에 루(漏)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流動",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流動 유동:
①액체(液體) 등(等)이 흘러 움직임 ②이리저리 자꾸 옮기어 다님
流動性 유동성:
①액체(液體)와 같이 이리저리 흘러 움직이는 성질(性質) ②기업(企業)의 자산(資算) 또는 채권(債權)을 손실(損失) 없이 화폐(貨幣)로 바꾸거나 거둬 들일 수 있는 난이(難易)의 정도(程度)
流 흐를 류,흐를 유
1. 흐르다 2. 번져 퍼지다 3. 전하다(傳--) 4. 방랑하다(放浪--) 5. 떠돌다 6. 흐르게 하다 7. 흘리다 8. 내치다 9. 거침없다 10. 귀양 보내다 11. 흐름 12. 사회 계층 13. 갈래 14. 분파(分派)
動 움직일 동
1. 움직이다 2. 옮기다 3. 흔들리다 4. 동요하다(動搖--) 5. 떨리다 6. 느끼다 7. 감응하다(感應--) 8. 일하다 9. 변하다(變--) 10. 일어나다 11. 시작하다(始作--) 12. 나오다 13. 나타나다 14. 어지럽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06 - T31n1605_p0678a09. 누(漏)
"漏有三種。謂欲漏有漏無明漏。令心連注流散不絕。故名為漏。此復云何。依外門流注故立欲漏。依內門流注故立有漏。依彼二所依門流注故立無明漏。"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누(漏)
"누(漏)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욕루(欲漏)ㆍ유루(有漏)ㆍ무명루(無明漏)이다. 마음을 연달아 쏟아 흩트리되 끊어지지 않기에 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무엇 때문입니까?
외문(外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욕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내문(內門)에서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유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그 두 가지의 소의문(所依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무명루를 건립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10 - T31n1606_p0725b14. 누(漏)
"漏有三種。謂欲漏有漏無明漏。令心連注流散不絕故名為漏。此復云何。依外門流注故立欲漏。依內門流注故立有漏。依彼二所依門流注。故立無明漏。令心連注流散不絕是漏義。"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9 / 388. 누(漏)
"‘누(漏)’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욕루(欲漏)ㆍ유루(有漏)ㆍ무명루(無明漏)이다. 마음을 연달아 쏟아 산란시키되, 끊어지지 않기에 ‘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무엇 때문입니까?
외문(外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욕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내문(內門)에서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유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그 두 가지 소의문(所依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무명루’를 건립하는 것이다.
[釋] 마음을 연달아 쏟아내어 끊임없이 흩어지게 하는 것이 누의 뜻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2. 누(漏)
"流注不絕。其猶瘡漏。故名為漏。"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4 - T30n1579_p0314b25. 박(縛)
"令於善行不隨所欲故名為縛。"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박(縛)
"선행(善行)에 대하여 바라는 것[所欲]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박(縛)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a14 - T31n1605_p0677a17. 박(縛)
"縛有三種。謂貪縛瞋縛癡縛。由貪縛故縛諸有情令處壞苦。由瞋縛故縛諸有情令處苦苦。由癡縛故縛諸有情令處行苦。又依貪瞋癡故。於善加行不得自在。故名為縛。"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7 / 159. 박(縛)
"박(縛)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박(貪縛)ㆍ진박(瞋縛)ㆍ치박(癡縛)이다. 탐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괴고(壞苦)에 처하도록 묶어지고, 진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고고(苦苦)에 처하도록 묶어지고, 치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행고(行苦)에 처하도록 묶어진다. 또 탐박ㆍ진박ㆍ치박에 의지하는 까닭에 선법의 가행이 자유롭지 못하기에 이를 이름하여 박이라 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4a02 - T31n1606_p0724a09. 박(縛)
"縛有三種。謂貪縛瞋縛癡縛。由貪縛故縛諸眾生令處壞苦。由瞋縛故縛諸眾生令處苦苦。由癡縛故縛諸眾生令處行苦。由貪等縛縛處壞苦等者。以貪瞋癡於樂等受常隨眠故。又依貪瞋癡故。於善方便不得自在故名為縛。猶如外縛縛諸眾生。令於二事不得自在。一者不得隨意遊行。二者於所住處不得隨意所作。當知內法貪瞋癡縛亦復如是。"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52 / 388. 박(縛)
"‘박(縛)’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박(貪縛)ㆍ진박(瞋縛)ㆍ치박(癡縛)을 가리킨다. 탐박으로 말미암아 모든 유정이 괴고(壞苦)에 묶여지고, 진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고고(苦苦)에 묶여지고, 치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행고(行苦)에 묶여진다.
[釋] ‘탐 따위의 박에 연유해서 괴고 따위에 묶여진다는 것’이란, 탐ㆍ진ㆍ치로서 ‘낙(樂)’ 따위에 처한 수(受)는 언제나 수면(隨眠)이기 때문이다. 또 탐박ㆍ진박ㆍ치박에 의지하는 까닭에 선법의 가행(加行)이 자유롭지 못하기에 이를 이름하여 ‘박’이라 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여러 중생을 외부적으로 묶어 놓는 것과 같아서 두 가지 일에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첫 번째는 마음껏 돌아다니지 못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그 머무는 처소를 마음껏 정하지 못하는 것이다. 내법(內法)의 탐박ㆍ진박ㆍ치박 또한 이와 같음을 숙지해야 한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 T29n1563_p0906c22 - T29n1563_p0907a14. 3박(三縛)
"已辯。結縛云何。頌曰。
縛三由三受
論曰。以能繫縛。故立縛名。即是能遮趣離染義。結縛二相雖無差別。而依本母說縛有三。一者貪縛。二者瞋縛。三者癡縛。所餘諸結品類同故。攝在三中。謂五見疑同癡品類。慢慳二結貪品類同。嫉結同瞋。故皆三攝。又為顯示已見諦者餘所應作。故說三縛。通縛六識身。置生死獄故。又佛偏為覺慧劣者。顯麤相煩惱。故但說三縛。有餘師說。由隨三受勢力所引說縛有三。謂貪多分於自樂受所緣相應二種隨增。少分亦於不苦不樂。於自他苦及他樂捨。唯有一種所緣隨增。瞋亦多分於自苦受所緣相應二種隨增。少分亦於不苦不樂。於自他樂及他苦捨。唯有一種所緣隨增。癡亦多分於自捨受所緣相應二種隨增。少分亦於樂受苦受。於他一切受唯所緣隨增。是故世尊依多分理。說隨三受建立三縛。何類貪等遮趣離染。說名為縛。謂唯現行。若異此者皆成三故。則應畢竟遮趣離染。"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제27권. pp. 1142-1144 / 1762. 3박(三縛)
5) 3박(縛)
‘결’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박(縛)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박(縛)은 세 가지로, 3수(受)에 의한 것이다.
縛三由三受
논하여 말하겠다.
능히 계박하는 것이기 때문에 ‘박(縛)’이라는 명칭을 설정한 것으로, 이는 바로 능히 이염(離染)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다는 뜻이다.
‘결’ 과 ‘박’의 두 가지 상(相)은 [사실상] 어떠한 차별도 없지만, 본모(本母, matṛka, 논장의 일종)에 근거하여 ‘박’에 세 가지가 있다고 설한 것으로, 첫째는 탐박(貪縛)이며, 둘째는 진박(瞋縛)이며, 셋째는 치박(癡縛)이다. 그리고 그 밖의 온갖 ‘결’은 품류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중에 포섭된다. 즉 5견과 의결은 ‘치’와 품류가 동일하고, 만결과 간결의 두 가지는 ‘탐’과 품류가 동일하며, 질결은 ‘진’과 품류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 모두는 3박에 포섭되는 것이다.
또한 이미 진리를 관찰한 자(다시 말해 이미 견도위에 든 자)가 그 밖의 마땅히 지어야 할 바를 현시하기 위해 세 가지 ‘박’을 설한 것으로, 그것은 모두 6신식(身識)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 중에 가두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부처님께서는 지나치게 각혜(覺慧)가 열등한 자를 위해 거친 상의 번뇌를 나타내고자 하였기 때문에 단지 세 가지 ‘박’만을 설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유여사(有餘師)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 ‘박’은 3수(受)의 세력에 따라 인기되기 때문에 세 가지가 있다고 설한 것이다. 즉 탐박은 대부분 자상속(自相續)의 낙수(樂受)에서 소연과 상응의 두 종류로 수증하지만, 일부는 역시 자상속의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에서, 자 · 타상속의 고수에서, 그리고 타상속의 낙수와 사수(捨受)에서 오로지 소연의 한 종류로 수증하는 경우도 있다. 진박 역시 대부분 자상속의 고수(苦受)에서 소연과 상응의 두 종류로 수증하지만, 일부는 역시 자상속의 불고불락수에서, 자 ·타상속의 낙수와, 타상속의 고수와 사수에서 오로지 소연의 한 종류로 수증하는 경우도 있다. 치박도 역시 대부분 자상속의 사수(捨受)에서 소연과 상응의 두 종류로 수증하지만, 일부는 역시 자상속의 낙수와 고수에서, 타상속의 일체의 수(受)에서 오로지 소연수증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존께서는 대부분에 해당하는 이치에 근거하여 ‘3수에 따라 3박을 설정한다’고 설하였던 것이다.”60)
이염(離染)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 것을 설하여 ‘박’이라 이름한다고 하였는데, 어떠한 종류의 탐 등이 이염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 것인가?
이를테면 오로지 현행하는 [탐 등]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모든 이가 세 가지 박을 성취할 것이기 때문에, 필경 이염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될 것이다.
60) 즉 예외적인 경우도 없지 않지만, 대개의 경우 탐 · 진 · 치의 3박은 순서대로 자상속의 낙 · 고 · 사수에 따라 수증하기 때문에 ‘박’에 세 가지를 설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이 같은 유여사의 설은 『구사론』(제21권, 고려장27, p.607중;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1)상에서 정설로 언급되고 있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9. 박(縛)
"羈繫行人。故目為縛。"
↑ "羈繫",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羈 굴레 기,나그네 기
1. 굴레(마소의 머리에 씌워 고삐에 연결한 물건) 2. 말고삐(말굴레에 매어서 끄는 줄) 3. 나그네 4. 객지살이(客地--) 5. 북상투(아무렇게나 막 끌어 올려 짠 상투) 6. 구금하다(拘禁--), 억류하다(抑留
繫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6 - T44n1851_p0561b27. 사(使)
"隨逐繫縛。稱之為使。"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2. 상해(常害)
"常能為害故名為常害。"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상해(常害)
"언제나 해(害)를 끼치기 때문에 상해(常害)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隨逐繫縛",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隨 따를 수,게으를 타
1. 따르다 2. 추종하다(追從--) 3. 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4. 좇다, 추구하다(追求--) 5. 발 6. 발꿈치 7. 괘(卦)의 이름 8. 따라서 9. 즉시, 곧바로 a. 게으르다...
逐 쫓을 축,돼지 돈,급급한 모양 적
1. 쫓다, 쫓아내다 2. 뒤쫓다, 뒤따라가다 3. 도망가다(逃亡--) 4. 달리다 5. 구하다(求--), 찾다, 추구하다(追求--) 6. 다투다 7. 따르다 8. 방탕하다(放蕩--) 9. 하나하나, 차례대로(次例--) a. 돼지...
繫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縛 얽을 박
1. 얽다 2. 동이다(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3. 묶다, 포박하다(捕縛--) 4. 매이다 5. 구속되다(拘束--) 6. 포승(捕繩) 7. 복토(伏兔: 차여(車輿)와 차축을 연결 고정하는 나무)"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6 - T30n1579_p0314c07. 소(燒)
"能令所欲常有匱乏故名為燒。"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소(燒)
"바라는 것[所欲]에 항상 부족함[匱乏]이 있기 때문에 소(燒)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3 - T30n1579_p0314c04. 소유(所有)
"能攝依事故名所有。"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소유(所有)
"능히 의지하는 일[依事]을 거두기 때문에 소유(所有)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5 - T31n1605_p0677c27. 소유(所有)
"所有有三。謂貪所有瞋所有癡所有。由依止貪瞋癡故。積畜財物有怖有怨多住散亂。故名所有。"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소유(所有)
"소유(所有)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유(貪所有)ㆍ진소유(瞋所有)ㆍ치소유(癡所有)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까닭이다. 재물을 축적하느라 두려움이나 원한이 많아져 그 살아가는 것이 어지러운 까닭에 소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26 - T31n1606_p0725a28. 소유(所有)
"所有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積畜財物有怖有怨。多住散亂故名所有。由多積集所有資具恒與怖等共相應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 소유(所有)
"‘소유(所有)’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유(貪所有)ㆍ진소유(瞋所有)ㆍ치소유(癡所有)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기 때문이다. 재물을 축적하느라 두려움이나 원한이 많아져 그 살아가는 것이 어지러운 까닭에 ‘소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재물을 많이 모아서 자기 것으로 소유하기 때문에 언제나 두려움 따위와 상응하게 되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76-100권》제89권. p. T30n1579_p0804a11 - T30n1579_p0804a12. 소해(燒害)
"復次若貪瞋癡數數現行恒常流溢。燒惱身心極為衰損。說名燒害。"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0 - T31n1605_p0677c21. 소해(燒害)
"燒害有三。謂貪燒害瞋燒害癡燒害。由依止貪瞋癡故。長時數受生死燒惱。故名燒害。"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소해(燒害)
"소해(燒害)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해(貪燒害)ㆍ진소해(瞋燒害)ㆍ치소해(癡燒害)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생사의 소해를 받는 까닭에 소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19 - T31n1606_p0725a21. 소해(燒害)
"燒害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長時數受生死燒惱。故名燒害。由於無始生死流轉因貪瞋癡數被生死苦燒害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 소해(燒害)
"‘소해(燒害)’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해(貪燒害)ㆍ진소해(瞋燒害)ㆍ치소해(癡燒害)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생사에 불태워지는 해를 입은 까닭에 ‘소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5 - T30n1579_p0314b26. 수면(隨眠)
"一切世間增上種子之所隨逐故名隨眠。"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수면(隨眠)
"모든 세간의 증상(增上)의 종자(種子)가 따라 다니는 것이기 때문에 수면(隨眠)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9권. p. T30n1579_p0802b09 - T30n1579_p0802b16. 수면(隨眠)
"復次煩惱品所有麤重隨附依身。說名隨眠。能為種子生起一切煩惱纏故。當知此復建立七種。由未離欲品差別故。由已離欲品差別故。由二俱品差別故。由未離欲品差別故。建立欲貪瞋恚隨眠。由已離欲品差別故。建立有貪隨眠。由二俱品差別故。建立慢無明見疑隨眠。如是總攝一切煩惱。"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a18 - T31n1605_p0677a29. 수면(隨眠)
"隨眠有七。謂欲愛隨眠瞋恚隨眠有愛隨眠慢隨眠無明隨眠見隨眠疑隨眠。欲愛隨眠者。謂欲貪品麤重。瞋恚隨眠者。謂瞋恚品麤重。有愛隨眠者。謂色無色貪品麤重。慢隨眠者。謂慢品麤重。無明隨眠者。謂無明品麤重。見隨眠者。謂見品麤重。疑隨眠者。謂疑品麤重。若未離欲求者。由欲愛瞋恚隨眠之所隨增。未離有求者。由有愛隨眠之所隨增。未離邪梵行求者。由慢無明見。疑隨眠之所隨增。由彼眾生得少對治便生憍慢。愚於聖諦。虛妄計度外邪解脫解脫方便。於佛聖教正法毘柰耶中。猶豫疑惑。"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7 / 159. 수면(隨眠)
"수면에는 일곱 종류가 있으니, 욕애수면(欲愛隨眠)ㆍ진에수면(瞋恚隨眠)ㆍ유애수면(有愛隨眠)ㆍ만수면(慢隨眠)ㆍ무명수면(無明隨眠)ㆍ견수면(見隨眠)ㆍ의수면(疑隨眠)이 다. 욕애수면은 그 욕탐분(欲貪分)이 추중(麤重)한 것을 가리킨다. 진에수면은 그 진에품(瞋恚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수면은 만품(慢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무명수면은 무명품(無明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견수면은 견품(見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의수면은 의품(疑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약 욕구를 여의지 못하면 그 욕애와 진에에 연유된 수면이 증가되고, 유구(有求)를 여의지 못하면 유애에 연유된 수면이 증가하고, 삿된 것을 여의지 못하고 범행(梵行)을 추구하면 만ㆍ무명ㆍ견ㆍ의에 연유된 수면이 증가하게 된다. 중생이 약간의 대치도(對治道)를 성취하고 교만을 부려서 성제(聖諦)에 어리석으면서도 외도(外道)나 사도(邪道)의 해탈법이나 그 해탈의 방편을 허망하게 분별해내면, 마침내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르침인 정법과 비나야(毘奈耶) 가운데에서 머뭇거리면서 의혹하게 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4a10 - T31n1606_p0724a22. 수면(隨眠)
"隨眠有七種。謂欲愛隨眠瞋恚隨眠有愛隨眠慢隨眠無明隨眠見隨眠疑隨眠。欲愛隨眠者。謂欲貪品麤重。瞋恚隨眠者。謂瞋恚品麤重。有愛隨眠者。謂色無色貪品麤重。慢隨眠者。謂慢品麤重。無明隨眠者。謂無明品麤重。見隨眠者。謂見品麤重。疑隨眠者。謂疑品麤重。若未離欲求者由欲愛瞋恚隨眠之所隨眠。由依彼門此二增長故。未離有求者由有愛隨眠之所隨眠。未離邪梵行求者由慢無明見疑隨眠之所隨眠。由彼眾生得少對治。便生憍慢。愚於聖諦。虛妄計度外邪解脫解脫方便。隨其次第三見二取。如結中說。於佛聖教正法毘柰耶中。猶豫疑惑。"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53 / 388. 수면(隨眠)
"‘수면’에는 일곱 종류가 있으니, 욕애수면(欲愛隨眠)ㆍ진에수면(瞋恚隨眠)ㆍ유애수면(有愛隨眠)ㆍ만수면(慢隨眠)ㆍ무명수면(無明隨眠)ㆍ견수면(見隨眠)ㆍ의수면(疑隨眠)이다.
[釋] ‘욕애수면’은 그 욕탐분(欲貪分)이 추중(麤重)한 것을 가리킨다. ‘진에수면’은 그 진에품(瞋恚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유애수면’은 색계와 무색계의 탐품(貪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수면’은 만품(慢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무명수면’은 무명품(無明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견수면’은 견품(見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의수면’은 의품(疑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약 욕구(欲求)를 여의지 못하면 그 욕애(欲愛)와 진에로 말미암은 수면의 소수면(所隨眠)이 그 문에 의지해서 이 두 가지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유구(有求)를 여의지 못하면 유애(有愛)에 연유한 수면의 소수면이, 삿된 것을 여의지 못하고 범행(梵行)을 추구하게 되면, 만ㆍ무명ㆍ견ㆍ의에 연유한 수면의 소수면이 증가되게 된다. 그들 중생이 약간의 대치도(對治道)를 성취하는 것에 기인해서 교만을 부려서 성제(聖諦)를 알지 못하고 외도(外道)의 삿된 해탈법이나 그 해탈의 방편을 허망하게 분별한다면, 그 차례에 따라서 세 가지 ‘견’이나 두 가지 ‘취견’에 빠지게 된다. ‘결’에서 해설한 것처럼 마침내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르침인 정법과 비나야(毘奈耶) 가운데에서 머뭇거리면서 의혹하게 되는 것이다."
↑ 佛門網, "麤重". 2013년 6월 3일에 확인
"麤重: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二卷二頁云:又於諸自體中所有種子、若煩惱品所攝;名為麤重,亦名隨眠。若異熟品所攝、及餘無記品所攝;唯名麤重,不名隨眠。若信等善法品所攝種子,不名麤重,亦非隨眠。何以故?由此法生時,所依自體、唯有堪能;非不堪能。
二解 世親釋七卷十九頁云:謂煩惱障及所知障、無始時來,熏習種子,說名麤重。
三解 法蘊足論八卷十五頁云:云何麤重?謂身重性、心重性、身無堪任性、心無堪任性、身剛強性、心剛強性、身不調柔性、心不調柔性、總名麤重。
四解 成唯識論九卷十二頁云:二障種子,立麤重名。性無堪任,違細輕故。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uṣṭhulya, duṣṭhula*, audārika, ghana, kraurya, sthairya
頁數: P.4325-P.4328"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6. 수번뇌(隨煩惱)
"倒染心故名隨煩惱。"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수번뇌(隨煩惱)
"전도하는 물든 마음[染心]이기 때문에 수번뇌(隨煩惱)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T29n1558_p0109b08 - T29n1558_p0109b14. 수번뇌(隨煩惱)
"隨眠既已說。隨煩惱云何。頌曰。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論曰。此諸煩惱亦名隨煩惱。以皆隨心為惱亂事故。復有此餘異諸煩惱染污心所行蘊所攝。隨煩惱起故亦名隨煩惱。不名煩惱非根本故。廣列彼相如雜事中。後當略論纏煩惱垢攝者。"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제21권. pp. 952-953 / 1397. 수번뇌(隨煩惱)
"수면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수번뇌(隨煩惱)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번뇌는 이 밖의 나머지
염오한 심소의 행온(行蘊)이다.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온갖 번뇌(즉 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그것들은 모두 마음에 따라 뇌란(惱亂)하는 것이기 때문이다.27) 그러나 또한 이것과는 다른 온갖 번뇌로서 염오한 심소의 행온에 포섭되는 것이 있으니,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 역시 수번뇌(隨煩惱)라고 이름한다. 즉 이것은 근본번뇌가 아니기 때문에 '번뇌'라고는 이름하지 않는데, 그 상을 널리 열거할 경우 「잡사품(雜事品)」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28)
[이러한 수번뇌에 대해서는] 뒤에서 응당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시켜 간략히 논설하리라.
27) 즉 앞에서 밝힌 근본번뇌인 6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할 수 있다는 뜻. 그러나 이 경우는 마음에 따라 뇌란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며, 그 밖의 다른 번뇌는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다. 여기서의 수번뇌는 후자를 말한다. 곧 "능히 유정을 뇌란시키는 것을 번뇌라고 하기 때문에(能爲惱亂故名煩惱) 결·박·수면·수번뇌·전 등도 모두 번뇌이며, 근본번뇌(즉 수면)를 결·박 따위로 일컫기도 한다."(『현종론』 권제27, 앞의 책, p.227)
28) 『법온족론』 권제9 「잡사품」(한글대장경115, p.597). 여기서는 진(瞋)·치(癡)·분(忿) ·한(恨)·부(覆)·뇌(惱)·질(嫉)·간(慳)·광(誑)·첨(諂)·무참(無慚)·무괴(無愧)·만(慢)·과만(過慢)·만과만(慢過慢)·아 만(我慢)·증상만(增上慢)·비만(卑慢)·사만(慢邪)·교(憍)·방일(放逸)·오(傲)·분발(憤發)·교망(矯妄)·궤사(詭詐)·현상 (現相)·격마(激磨)·이리구리 (以利求利)·악욕(惡欲)·대욕(大欲)·현욕(顯欲)·불희족(不喜足)·불공경·기악언(起惡言)·낙악우(樂惡友)·불인(不忍)·탐기(耽嗜)·변탐기(遍耽嗜)·염탐(染貪)·비법탐(非法貪)·착탐(著貪)·악탐(惡貪)·유신견·유견 (有見)·무유견(無有見)·탐욕·진에·혼침·수면(睡眠)·도거(掉擧)·악작(惡作) ·의(疑)·몽궤(瞢憒)·불락(不樂)·빈신(頻申)·흠거(欠)·식부조성(食不調性)·심매열성(心昧劣性)·종종상(種種想)·부작의(不作意)·추중(麤重)·저돌(觝突)·도철 (饕餮, 음식을 탐하는 것)·불화연성(不和性)· 불조유성(不調柔性)·불순동류(不順同類)·욕심(欲尋)·에심(恚尋)·해심 (害尋)·친리심(親里尋)·국토심(國土尋)·생사심(生死尋)·능멸심(凌蔑尋)·가족심(假族尋)·수(愁)·탄(歎)·고(苦)·우(憂)·요 (擾)·뇌(惱)를 언급하고 있다. 즉 이 중에 한 가지라도 영원히 끊게 되면 불환을 획득한다는 경설로서 인용하고 있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 T29n1563_p0907a17 - T29n1563_p0907a29. 수번뇌(隨煩惱)
"隨眠既已說。隨煩惱云何。頌曰。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論曰。能為擾亂。故名煩惱。隨諸煩惱轉。得隨煩惱名。有古師言。若法不具滿煩惱相。名隨煩惱。如月不滿得隨月名然。諸隨眠名為煩惱。即此亦得隨煩惱名。以是圓滿煩惱品故。由此故說。即諸煩惱有結縛。隨眠隨煩惱纏義。所餘染污心所行蘊。隨煩惱起隨惱心故。得隨煩惱名。不得名煩惱。以闕圓滿煩惱相故隨煩惱名為目幾法。經種種說。故有眾多。謂憤發不忍及起惡言類。如世尊告婆羅門言。有二十一諸隨煩惱。能惱亂心。乃至廣說。後當略辯。"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p. 1144-1146 / 1762. 수번뇌(隨煩惱)
"7) 수번뇌(隨煩惱)
7-1) 총설
수면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수번뇌(隨煩惱)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번뇌는 이 밖의 나머지
염오한 심소의 행온(行蘊)이다.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논하여 말하겠다.
능히 유정을 어지럽히는 것[擾亂]이기 때문에 ‘번뇌’라고 이름하였는데, 바로 이 같은 온갖 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隨煩惱)’라고 하는 명칭을 얻게 된 것으로,62) 어떤 옛 논사[古師]는 “만약 원만한(완전한) 번뇌의 상을 갖추지 않은 법을 일컬어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달이 원만하지 않은 것을 ‘수월(隨月)’이라고 이름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였다.
그런데 온갖 수면을 일컬어 ‘번뇌’라고 하였지만, 이 역시 수번뇌라고 말할 수 있으니, 이는 바로 원만한 번뇌의 품류이기 때문으로,63) 바로 이 같은 사실에 따라 온갖 번뇌는 결(結) · 박(縛) · 수면 · 수번뇌 · 전(纏)의 뜻을 갖는다고 논설하였던 것이다.64) 그러나 이 밖의 다른 염오한 심소의 행온은 [이러한] 번뇌에 따라 일어나 마음을 어지럽히기 때문에 ‘수번뇌’라고만 이름할 뿐 ‘번뇌’라고는 이름하지 않으니, 원만한 번뇌의 상을 결여하였기 때문이다.
수번뇌라는 말은 몇 가지의 법을 근거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경에서는 여러 가지로 설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법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분발(憤發)하는 것과 참지 않는 것[不忍]과 험악한 말을 일으키는 것[起惡言]이 바로 그러한 것들로서,65) 세존께서 바라문에게 “스물한 가지의 온갖 수번뇌가 있어 능히 마음을 뇌란시킨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고 말한 바와 같다. 이에 대해서는 뒤(즉 ‘10纏’과 ‘6煩惱垢’)에서 마땅히 간략히 분별하리라.
61) 이는 결(結) · 박(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전(纏) 등 다섯 가지 번뇌의 이명(異名) 중 세 번째 수면에 관한 본송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미 본론 제25권에서 6수면ㆍ7수면ㆍ10수면ㆍ98수면으로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논의의 체재 상 다시 언급한 것이다.
62) 『구사론』(고려장27, p.607중;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2)에서는 본론과는 반대로 먼저 “이러한 온갖 번뇌(즉 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그것들은 모두 마음에 따라 뇌란(惱亂)되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한 후 계속하여 “또한 이것과는 다른 온갖 번뇌로서 염오한 심소의 행온에 포섭되는 것이 있으니,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 역시 수번뇌(隨煩惱)라고 이름한다. 즉 이것은 근본번뇌가 아니기 때문에 ‘번뇌’라고는 이름하지 않는다”고 논설하고 있다. 차주(次註) 참조.
63) 즉 앞에서 밝힌 근본번뇌인 6수면 내지 98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할 수 있다는 뜻. 그러나 이 경우는 마음에 따라 뇌란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며, 그 밖의 다른 번뇌는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다.
64) 본절(‘번뇌의 그 밖의 명칭’) ‘총론’ 참조."
↑ 佛門網, "隨煩惱". 2013년 5월 1일에 확인. 《유가사지론》의 수번뇌(隨煩惱)
"隨煩惱: suífánnăo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卷六頁云:倒染心故,名隨煩惱。
二解 瑜伽五十五卷十頁云:復次隨煩惱依處,當知略有九種。一、展轉共住,二、展轉相舉,三、利養,四、邪命,五、不敬尊師,六、不忍,七、毀增上戒,八、毀增上心,九、毀增上慧。復次隨煩惱自性云何?謂忿、恨、覆、惱、嫉、慳、誑、諂、憍、害、無慚、無愧、惛沈、掉舉、不信、懈怠、放逸、忘念、散亂、不正知、惡作、睡眠、尋、伺。如本地分,已廣宣說。如是等類,名隨煩惱自性。此中初二,依初依處而生。第三、第四、依第二。第五、第六、依第三。第七、第八、依第四。第九、依第五。第十、依第六。十一、十二、依第七。所餘十二,依後二依處而生。當知此中毀增上心。毀增上慧,由三門轉。一、由毀止相門,二、由毀舉相門,三、由毀捨相門。惛沈、睡眠、由初依處生。掉舉、惡作、由第二依處生。不信、乃至尋伺,由第三依處生。復次隨眠惱云何展轉相應?當知無慚、無愧、與一切不善相應。不信、懈怠、放逸、忘念、散亂、惡慧,與一切染汙心相應。睡眠、惡作、與一切善不善無記相應。所餘、當知互不相應。復次隨煩惱,幾世俗有?幾實物有?謂忿、恨、惱、嫉、害、是瞋分故;皆世俗有。慳、憍、掉舉、是貪分故;皆世俗有。覆、誑、諂、惛沈、睡眠、惡作、是癡分故;皆世俗有。無慚、無愧、不信、懈怠、是實物有。放逸、是假有。如前說。忘念、散亂、惡慧、是癡分故;一切皆是世俗有。尋伺二種,是發語言心加行分故,及慧分故;俱是假有。復次隨煩惱云何成軟中上品?當知如本煩惱說。如是隨煩惱,若事、若差別、若過失、若所治,隨其所應,皆如煩惱應知。
三解 瑜伽五十八卷六頁云:若有隨順如是煩惱,煩惱俱行,煩惱品類,名隨煩惱。
四解 瑜伽八十四卷十三頁云:又從煩惱生故,親近煩惱故,隨惱亂心,故名隨煩惱。除七隨眠,所餘一切染汙心法,皆隨煩惱。
五解 瑜伽八十九卷七頁云:復次隨煩惱者:謂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若忿、若恨、如是廣說諸雜穢事。當知此中能起一切不善法貪,名貪不善根。瞋、癡、亦爾。"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9권. p. T30n1579_p0802b17 - T30n1579_p0803b02. 수번뇌(隨煩惱)
"復次隨煩惱者。謂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若忿若恨。如是廣說諸雜穢事。當知此中能起一切不善法貪。名貪不善根。瞋癡亦爾。若瞋恚纏能令面貌慘裂奮發。說名為忿。內懷怨結故名為恨。隱藏眾惡故名為覆。染污驚惶故名熱惱。心懷染污不喜他榮故名為嫉。於資生具深懷鄙吝。故名為慳。為欺[言*罔]彼內懷異謀外現別相故。名為誑心。不正直。不明不顯。解行邪曲。故名為諂。於所作罪望己不羞故。名無慚。於所作罪望他不恥故。名無愧。於他下劣謂己為勝。或復於等謂己為等。令心高舉故名為慢。於等謂勝於勝謂等。令心高舉故名過慢。於勝謂勝令心高舉名慢過慢。妄觀諸行為我我所。令心高舉故名我慢。於其殊勝所證法中未得謂得。令心高舉。名增上慢。於多勝中謂己少劣。令心高舉。名下劣慢。實無其德謂己有德。令心高舉故名邪慢。心懷染污隨恃榮譽形相疏誕故。名為憍。於諸善品不樂勤修。於諸惡法心無防護故。名放逸。於諸尊重及以福田心不謙敬。說名為傲。若煩惱纏能令發起。執持刀仗鬥訟違諍故名憤。發心懷染污為顯己德假現威儀故。名為矯。心懷染污。為顯己德。或現親事。或行軟語故。名為詐。心懷染污欲有所求矯示形儀故。名現相。現行遮逼有所乞丐故。名研求。於所得利不生喜足。說獲他利更求勝利。是故說名以利求利。自現己德遠離謙恭。於可尊重而不尊重故。名不敬。於不順言性不堪忍故。名惡說。諸有朋疇引導令作非利益事。名為惡友。耽著財利顯不實德欲令他知故。名惡欲。於大人所欲求廣大利養恭敬故。名大欲。懷染污心顯不實德。欲令他知名自希欲。於罵反罵。名為不忍。於瞋反瞋。於打反打。於弄反弄。當知亦爾。於自諸欲深生貪愛。名為耽嗜。於他諸欲深生貪著。名遍耽嗜。於勝於劣隨其所應。當知亦爾。於諸境界深起耽著。說名為貪。於諸惡行深生耽著。名非法貪。於自父母等諸財寶不正受用。名為執著。於他委寄所有財物規欲抵拒故。名惡貪。妄觀諸行為我我所。或分別起或是俱生。說名為見。薩迦耶見為所依止。於諸行中發起常見。名為有見。發起斷見名無有見。當知五蓋如前定地已說。其相不如所欲。非時睡纏之所隨縛故。名[夢-夕+登]瞢。非處思慕說名不樂。麤重剛強心不調柔。舉身舒布故曰頻申。於所飲食不善通達。若過若減。是故名為食不知量。於所應作而便不作。非所應作而更反作。如所聞思修習法中。放逸為先不起功用。名不作意。於所緣境深生繫縛。猶如美睡隱翳其心。是故說名不應理。轉自輕蔑故。名心下劣。為性惱他故。名抵突。性好譏嫌故。名諀訿。欺誑師長尊重福田及同法者。名不純直。身語二業皆悉高疏其心剛勁又不清潔。名不和軟。於諸戒見軌則正命皆不同分。名不隨順。同分而轉心懷愛染。攀緣諸欲。起發意言。隨順隨轉。名欲尋思。心懷憎惡。於他攀緣不饒益相。起發意言。隨順隨轉。名恚尋思。心懷損惱。於他攀緣惱亂之相。起發意言。餘如前說。名害尋思。心懷染污。攀緣親戚起發意言。餘如前說。是故說名親里尋思。心懷染污。攀緣國土起發意言。餘如前說。是故說名國土尋思。心懷染污。攀緣自義推託遷延。後時望得起發意言。餘如前說。是故說名不死尋思。心懷染污。攀緣自他若劣若勝起發意言。餘如前說。是名輕蔑相應尋思。心懷染污。攀緣施主往還家勢。起發意言。隨順隨轉。是名家勢相應尋思。愁歎等事如前應知。"
↑ 이동:가 나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제4권. p. T31n1605_p0677b01 - T31n1605_p0677b08. 수번뇌(隨煩惱)
"隨煩惱者。謂所有諸煩惱皆是隨煩惱。有隨煩惱非煩惱。謂除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一切心所法。此復云何。謂除貪等六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忿等諸心所法。又貪瞋癡名隨煩惱。心所法由此隨煩惱隨惱於心。令不離染。令不解脫。令不斷障。故名隨煩惱。如世尊說。汝等長夜為貪瞋癡隨所惱亂心恒染污。"
↑ 이동:가 나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제4권. p. 78 / 159. 수번뇌(隨煩惱)
"수번뇌란 그 과보를 이루는 여러 가지 번뇌가 모든 수번뇌이다. 수번뇌는 번뇌는 아니지만 번뇌가 제거되고도 남아 있는 염오이기에 행온에 소속되는 모든 심소법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또 무엇입니까?
탐 따위의 여섯 가지 번뇌를 제외한 그 여타의 염오가 행온에 수렴된, 분(忿) 등의 여러 가지 심소법이다. 따라서 탐ㆍ진ㆍ치를 ‘수번뇌의 심소법’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번뇌로 인해서 그 시법이 따라서 고뇌하게 되는 것이다. 심법을 고뇌에 따르게 해서 그 염착을 여의지 못하게 되고 해탈하지 못하게 되고 장애를 끊지 못하게 되는 까닭에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이는 세존께서 “너희들이 긴긴밤을 탐ㆍ진ㆍ치에 고뇌받아 어지러웠으니, 그 마음이 항상 오염되었다”라고 말씀하신 그대로이다."
↑ 이동:가 나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b07 - T31n1606_p0724b13. 수번뇌(隨煩惱)
"隨煩惱者。謂所有諸煩惱皆是隨煩惱。有隨煩惱非煩惱。謂除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一切心法。此復云何。謂除貪等六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忿等諸心法。又貪瞋癡名隨煩惱心法。由此隨煩惱隨惱於心令不離染令不解脫令不斷障故。名隨煩惱。如世尊說。汝等長夜為貪瞋癡隨所惱亂心恒染污。"
↑ 이동:가 나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4 / 388. 수번뇌(隨煩惱)
"‘수번뇌(隨煩惱)’란 그 과보를 이루는 여러 가지 번뇌가 모두 수번뇌이다. 수번뇌는 번뇌는 아니지만 번뇌가 제거되고도 남아있는 염오(染汚)의 행온(行蘊)에 소속되는 모든 심소법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어떻게 설명됩니까?
탐 따위의 여섯 가지 번뇌를 제외한 그 나머지 염오의 행온에 소속되는 분(忿) 따위의 여러 가지 심소법이다. 따라서 탐ㆍ진ㆍ치를 수번뇌의 심소법이라 고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번뇌로 인해 심법이 고뇌에 따르게 되면, 그것에 물들어 집착함을 여의지 못해서 해탈하지 못하고 장애를 끊지 못하는 까닭에 ‘수번뇌’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는 세존께서 “너희들이 어두운 밤의 탐ㆍ진ㆍ치의 고뇌에 산란해져, 그 마음이 항상 오염되느니라”고 말씀하신 대로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4 - T30n1579_p0314c05. 악행(惡行)
"邪行自性故名惡行。"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악행(惡行)
"사행(邪行)이 자성(自性)이기 때문에 악행(惡行)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8 - T31n1605_p0678a05. 악행(惡行)
"惡行有三。謂貪惡行瞋惡行癡惡行。由依止貪瞋癡故。恒行身語意惡行。故名惡行。又即依此貪瞋癡門。廣生無量惡不善行故。建立三不善根。所以者何。以諸有情愛味世間所有為因行諸惡行。分別世間怨相為因行諸惡行。執著世間邪法為因行諸惡行。是故此貪瞋癡。亦名惡行。亦名不善根。"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80-81 / 159. 악행(惡行)
"악행(惡行)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악행(貪惡行)ㆍ진악행(瞋惡行)ㆍ치악행(癡惡行)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까닭이다. 언제나 신ㆍ어ㆍ의의 악행을 저지르는 까닭에 악행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또 이 같은 탐ㆍ진ㆍ치의 문에 의지하여 한량없는 악행과 불선한 행이 널리 생겨나는 까닭에, 세 가지 불선근(不善根)을 건립하게 되는 것이다.
[81 / 159] 쪽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모든 유정이 세간에서의 소유에 애착하는 것으로 인(因)을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고, 세간을 분별 내어 그 원상(怨相)으로 인을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같은 탐ㆍ진ㆍ치를 악행이라고도 이름하고 불선근이라고도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29 - T31n1606_p0725b09. 악행(惡行)
"惡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恒行身語意惡行。故名惡行。由貪瞋癡能引殺生等諸不善行故。又即依此貪瞋癡門。廣生無量惡不善行故。建立三不善根。所以者何。以諸有情愛味世間所有。為因行諸惡行。貪求財利行惡行故。[以]分別世間怨相。為因行諸惡行。由懷瞋恚不忍他過多行惡故。[以]執著世間邪法。為因行諸惡行。由懷愚癡起顛倒見。因祠祀等行諸惡故。是故此貪瞋癡亦名惡行。亦名不善根。"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8-159 / 388. 악행(惡行)
"‘악행(惡行)’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악행(貪惡行)ㆍ진악행(瞋惡行)ㆍ치악행(癡惡行)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까닭이다. 언제나 신(身)ㆍ어(語)ㆍ의(意)의 악행을 저지르는 까닭에 ‘악행’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탐ㆍ진ㆍ치로 말미암아 살생 따위의 여러 가지 어질지 못한 행위가 능히 유도되기 때문이다. 또 이 같은 탐ㆍ진ㆍ치의 문에 의지하여 한량없는 악행과 선하지 못한 행이 널리 생겨나는 까닭에, 세 가지 불선근(不善根)을 건립하게 되는 것이다.
[159 / 388] 쪽
왜냐하면 모든 유정이 세간에서의 소유에 애착해서 좋아하는 것을 인(因)으로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고, 세간을 분별하여 그 원상(怨相)을 인으로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우치(愚癡)를 마음속에 품고 있는 것으로 말미암아 전도된 소견을 일으켜 그들이 사사(祠祀)에 모여서 여러 가지 악을 행하게 되는 까닭이다. 그리하여 이 같은 탐ㆍ진ㆍ치를 ‘악행’이라고도 이름하고 ‘불선근(不善根)’이라고도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8. 액(軛)
"邪行方便故名為軛。"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액(軛)
"사행(邪行)의 방편(方便)이 되기 때문에 액(軛)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T29n1558_p0108a17 - T29n1558_p0108b11. 수면(隨眠)의 뜻
"如是已辯隨眠并纏。經說為漏瀑流軛取。此隨眠等名有何義。頌曰。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論曰。根本煩惱現在前時行相難知故名微細。二隨增者。能於所緣及所相應增惛滯故。言隨逐者。謂能起得恒隨有情常為過患。不作加行為令彼生。或設劬勞為遮彼起而數現起故名隨縛。由如是義故名隨眠。稽留有情久住生死。或令流轉於生死中。從有頂天至無間獄。由彼相續於六瘡門泄過無窮故名為漏。極漂善品故名瀑流。和合有情故名為軛。能為依執故名為取。若善釋者應作是言。諸境界中流注相續泄過不絕故名為漏。如契經說。具壽當知。譬如挽船逆流而上。設大功用行尚為難。若放此船順流而去。雖捨功用行不為難。起善染心應知亦爾。准此經意。於境界中煩惱不絕說名為漏。若勢增上說名瀑流。謂諸有情若墜於彼。唯可隨順無能違逆。涌泛漂激難違拒故。於現行時非極增上說名為軛。但令有情與種種類苦和合故。或數現行故名為軛。執欲等故說名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p. 940-942 / 1397. 수면(隨眠)의 뜻
"이와 같이 수면과 아울러 전(纏)을 경에서 누·폭류·액·취라고 설한 것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면 등의 명칭에는 어떠한 뜻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미세, 두 가지에서의 수증
수축(隨逐)과 수박(隨縛)
머묾과 유전·표류·화합·집취
이것이 바로 수면 등의 뜻이다.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즉 10수면)가 현재전할 때 그 행상(行相)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微細)'라고 이름한다.76)
'두 가지에서의 수증'이란, 말하자면 [수면은] 능히 그것의 소연 및 그것에 상응하는 법과 뒤엉켜[惛滯] 증장하기 때문이다.
'수축'이라고 하는 말은, 이를테면 [수면의] 득(得)을 일으켜 항상 유정을 쫓아다니면서 과환(過患)이 되는 것을 말한다.
가행을 지어 그것(수면)을 생겨나지 않게 하더라도, 혹은 애써 노력하여 그것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지라도 자꾸자꾸 일어나기 때문에 '수박(隨縛)'이라고 한다. 곧 이와 같은 뜻으로 말미암아 수면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수면은] 유정을 생사(生死)에 체류시켜 오래 머물게[住] 하며, 혹은 유정천으로부터 무간지옥에 이르기까지 생사 중에 유전(流轉)시키는 것으로,77)그들의 상속은 육창문(六瘡門, 즉 6근을 말함)에서 끊임없이 번뇌를 누설하기 때문에 수면을 일컬어 '누(asrava)'라고 하였다. 또한 선품을 극심히 표탈(漂奪)시켜 버리기 때문에 '폭류(ogha)'라고 이름하였고, 유정을 [3계·5취·4생과] 화합시키기 때문에 '액(yoga)'이라고 이름하였으며, 능히 의지하여 집착하게 되기 때문에 '취(upadana)'라고 이름하였다.
그러나 만약 좋은 해석이 되려면 마땅히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할 것이다.78) 온갖 경계 중으로 상속(相續)을 흘러들게 하여 끊임없이 허물을 누설(漏泄)하기 때문에 '누'라고 이름한 것이니, 계경에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구수(具壽)는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비유하자면 배를 당기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으니, 설혹 크나큰 힘을 들이더라도 [거슬러 올라] 가는 것은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만약 이 배를 그대로 놓아두어 강물의 흐름에 따라 가게 하면 비록 힘을 들이지 않을지라도 [내려] 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심이나 염심을 일으키는 것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79) 즉 이 경의 뜻에 준하여 본다면, 경계 중에서 번뇌가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일컬어 '누'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만약 [수면의] 세력이 강력하게 될 때를 설하여 '폭류'라고 이름한다. 즉 모든 유정이 거기에 떨어질 경우 오로지 거기에 따라야 할 뿐 능히 어기거나 거역할 수 없으니, 솟구치거나 떠오르거나 떠내려가거나 물결치면 그것을 어기거나 거역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현행할 때 지극히 두드러지지 않은 수면을 설하여 '액'이라 이름하니, 다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여러 가지 종류의 괴로움과 화합하게 하기 때문에, 혹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에 '액'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은] 욕경(欲境) 따위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하여 '취'라고 이름한 것이다.80)
76) 수면의 원어 anu-saya의 anu를 미세[微, a u]의 뜻으로 이해하여 해석한 것이다.
77) '누'의 원어 a-srava는 a-sru(유출·유동하다)라는 동사의 파생어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유사한 as(앉다)의 사역어 asayati(머물게 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유전시키는 것'이라는 말은 a-sru의 사역어 asravayati(=asravayati)에 근거한 해석이다.
78) 이하 논주 자신의 해석이다.
79) 『잡아함경』 권제18 제493경(대정장2, p. 128중하) 참조. 즉 선법을 행하는 것은 크나큰 가행이 필요하다는 비유로서, 수면은 경계라는 강물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면서 허물을 누설하기 때문에 '누'라는 것이다
80) 5욕경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욕취이며, '견'에 집착하는 것은 견취, 계에 집착하는 것은 계금취, 아어에 집착하는 것은 아어취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17 - T31n1605_p0677b19. 액(軛)
"軛有四種。謂欲軛有軛見軛無明軛。障礙離繫是軛義。違背清淨故。此亦隨其次第習三求者相應現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8 / 159. 액(軛)
"액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욕액(欲軶)ㆍ유액(有軶)ㆍ견액(見軶)ㆍ무명액(無明軶)이다. 그 이계(離繫)를 장애하는 것이 액의 이치이니, 청정함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이것도 역시 그 순서에 따라 세 가지의 구하는 것의 훈습이 상응하여 현행(現行)하게 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01 - T31n1606_p0724c03. 액(軛)
"軛有四種。謂欲軛有軛見軛無明軛。障礙離繫是軛義。違背清淨故。此亦隨其次第習三求者相應現行。"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5 / 388. 액(軛)
"‘액(軛)’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욕액(欲軛)ㆍ유액(有軛)ㆍ견액(見軛)ㆍ무명액(無明軛)이다. 그 속박을 여의는 데에 장애되는 것이 액의 이치이니, 청정함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이것도 역시 그 순서에 따라 세 가지 구하는 것의 훈습이 상응해서 현행(現行)하게 된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1. 액(枙)
"能令眾生為苦所枙。故名為枙"
↑ "枙軶",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枙 옹이 와,멍에 액
1. 옹이 a. 멍에(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속이나 억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액) b. (멍에를)메우다 (액) c. 구속하다(拘束--) (액) d. 속박하다(束縛--) (액)
軶 멍에 액
1. 멍에(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마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 2. (멍에를)메우다 3. 구속하다(拘束--) 4. 속박하다(束縛--)"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3 - T31n1605_p0678a15
"熱有三種。謂貪熱瞋熱癡熱。由依止貪瞋癡故。不如正理執著諸相執著隨好。由執著相及隨好故燒惱身心。故名為熱。"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열(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열(貪熱)ㆍ진열(瞋熱)ㆍ치열(癡熱)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정리에 의지하지 않고 여러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바에 집착하는 것이다.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바에 따르는 것에 연유하여 몸과 마음을 애태워서 괴롭히기에 열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19 - T31n1606_p0725b22
"熱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不如正理執著諸相執著隨好。由執著相及隨好故。燒惱身心。故名為熱。不如正理妄執相好燒身心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9 / 388
"‘열(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열(貪熱)ㆍ진열(瞋熱)ㆍ치열(癡熱)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까닭이다. 올바른 이치에 의지하지 않고 여러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것에 집착하는 것이다.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것을 따르는 것으로 말미암는 몸과 마음을 애태우는 고를 ‘열’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9 - T44n1851_p0561c01. 유(流)
"漂流行人。說之為流。"
↑ "漂流",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漂流 표류
①물에 떠서 흘러감 ②정처 없이 돌아다님
漂 떠다닐 표
1. 떠다니다, 떠내려가다 2. (물에)뜨다, 띄우다 3. 유랑하다(流浪--), 방랑하다(放浪--) 4. 나부끼다, 불다 5. (흔들어)움직이다 6. 서늘하다 7. 빨래하다 8. 표백하다(漂白--) 9. 빠르다, 신속하다(迅速--)..
流 흐를 류,흐를 유
1. 흐르다 2. 번져 퍼지다 3. 전하다(傳--) 4. 방랑하다(放浪--) 5. 떠돌다 6. 흐르게 하다 7. 흘리다 8. 내치다 9. 거침없다 10. 귀양 보내다 11. 흐름 12. 사회 계층 13. 갈래 14. 분파(分派)"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7 - T30n1579_p0314c08. 유쟁(有諍)
"能為鬥訟諍競之因故名有諍。"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유쟁(有諍)
"송사[鬪訟]와 다툼[諍競]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유쟁(有諍)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3 - T44n1851_p0561c04. 장(障)
"能礙聖道。說以為障。"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76-100권》 제84권. p. T30n1579_p0770b06 - T30n1579_p0770b07
"又能發起諸鬥訟等種種忿競故。名為諍。"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9 - T31n1605_p0678a21
"諍有三種。謂貪諍瞋諍癡諍。由依止貪瞋癡故。執持刀杖興諸戰諍種種鬥訟。是故貪等說名為諍"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61 / 159
"쟁(諍)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쟁(貪諍)ㆍ진쟁(瞋諍)ㆍ치쟁(癡諍)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칼과 창을 쥐고서 여러 전쟁이나 온갖 싸움을 일으키기에 탐 등을 쟁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28 - T31n1606_p0725c01
"諍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執持刀杖興諸戰諍種種鬥訟。是故貪等說名為諍。"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61 / 388
"‘쟁(諍)’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쟁(貪諍)ㆍ진쟁(瞋諍)ㆍ치쟁(癡諍)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까닭이다. 칼과 창을 쥐고서 여러 전쟁이나 온갖 투쟁을 일으키므로 탐 따위를 ‘쟁’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2 - T30n1579_p0314c03. 전(箭)
"不靜相故遠所隨故。"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전(箭)
"고요하지 않은 모습이면서 멀리서 따라오는 것이므로 전(箭)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2 - T31n1605_p0677c24. 전(箭)
"箭有三種。謂貪箭瞋箭癡箭。由依止貪瞋癡故。於有有具深起追求相續不絕。於佛法僧苦集滅道常生疑惑。故名為箭。"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전(箭)
"전(箭)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전(貪箭)ㆍ진전(瞋箭)ㆍ치전(癡箭)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유(有)에서 유가 깊이 일어나는 것을 추구해서 이를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불ㆍ법ㆍ승의 삼보와 고ㆍ집ㆍ멸ㆍ도의 4제에 늘 의혹을 내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22 - T31n1606_p0725a25. 전(箭)
"箭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於有有具深起追求相續不絕。於佛法僧苦集滅道常生疑惑。故名為箭。於諸有財三寶四諦。隨愛疑門能射傷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 전(箭)
"‘전(箭)’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전(貪箭)ㆍ진전(瞋箭)ㆍ치전(癡箭)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유(有)에서 유(有)가 깊이 일어나는 것을 추구해서 이를 끊어지지 않도록 상속하는 것이다. 불ㆍ법ㆍ승의 삼보와 고ㆍ집ㆍ멸ㆍ도의 사제에 늘 의혹을 내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삼보의 유재사제(有財四諦)에 처해서, 그 애의문(愛疑門)을 따르는 것은 화살을 쏘아 해치게 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6 - T30n1579_p0314b27. 전(纏)
"數起現行故名為纏。"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전(纏)
"자주 일어나 현행(現行)하기 때문에 전(纏)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9권. p. T30n1579_p0803b03 - T30n1579_p0803b11. 전(纏)
"復次一切煩惱皆有其纏。由現行者悉名纏故。然有八種諸隨煩惱。於四時中數數現行。是故唯立八種為纏。謂於修學增上戒時。無慚無愧數數現行能為障礙。若於修學增上心時。惛沈睡眠數數現行能為障礙。若於修學增上慧時。簡擇法故掉舉惡作數數現行能為障礙。若同法者展轉受用財及法時。嫉妒慳吝數數現行能為障礙。"
↑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 T29n1563_p0907b00 - T29n1563_p0907c05. 전(纏)
"纏煩惱垢攝者且應先辯。纏相云何。頌曰。
纏八無慚愧 嫉慳并悔眠
及掉舉惛沈 或十加忿覆
無慚慳掉舉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論曰。根本煩惱亦名為纏。經說欲貪纏為緣故。若異此者。貪等云何可得名為圓滿煩惱。然諸論者。離諸隨眠。就勝說纏。或八或十。謂品類足說有八纏。毘婆沙宗說纏有十。即於前八更加忿覆。如是十種。繫縛含識置生死獄。故名為纏。或十為因起諸惡行令拘惡趣。故名為纏。無慚無愧嫉慳并悔掉舉惛沈。如前已辯。令心昧略惛沈相應。不能持身是為眠相。眠雖亦有惛不相應。此唯辯纏。故作是說。於此頓說眠三相者。此三與眠義相順故。因自反損怨益而生。瞋恚為先心憤名忿。有餘師說。因處非處違逆而生。力能令心無顧而轉。乃至子上令心憤發說名為忿。隱藏自罪。說名為覆。罪謂可訶。即是毀犯尸羅軌則及諸淨命。隱藏即是匿罪欲因有餘釋言。捫拭名覆。謂內懷惡捫拭外邊。是欲令他不覺察義。前說若法從煩惱起。方可建立隨煩惱名。此中何法何煩惱起。無慚慳掉舉是貪等流。要貪為近因方得生故。無愧眠惛沈是無明等流。此與無明相極相鄰近故。嫉忿是瞋等流。由此相同瞋故。悔是疑等流。因猶豫生故。覆有說是貪等流。有說是無明等流。有說是俱等流。諸有知者因愛生故。諸無知者因癡生故即由此相故有說言。心著稱譽利養恭敬。不了惡行所招當果。是於自罪隱匿欲因。為愛無明二等流果。隨惱心法說名為覆。如是十種從煩惱生。是煩惱等流。故名隨煩惱。"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제27권. pp. 1146-1150 / 1762. 전(纏)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되는 것에 대해 바야흐로 먼저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다.
‘전’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참 · 무괴 ·
[1147 / 1762] 쪽
질(嫉) · 간(慳) · 회(悔) · 수면(睡眠),
그리고 도거 · 혼침이 바로 그것이다.
혹은 분(忿)과 부(覆)를 더한 열 가지이다.
纏八無慚愧 嫉慳幷悔眠
及掉擧惛沈 或十加忿覆
무참과 ‘간’과 도거는
모두 탐(貪)에서 생겨난 것이며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무명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다.
無慚慳掉擧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질’과 ‘분’은 진(瞋)으로부터 일어난 것이고
‘회’는 의(疑)에서, ‘부’에 대해서는 여러 쟁론이 있다.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를 역시 ‘전’이라고도 이름하니, 경에서 “욕탐의 전을 연(緣)으로 한다”고 설하였기 때문이다.66) 만약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어떻게 탐 등을 원만한 번뇌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런데 모든 논자(論者)들은 온갖 수면(즉 근본번뇌)을 떠나 [그 밖의] 수승한 것에 근거하여 ‘전(纏)’을 설하였는데, 어떤 이는 여기에 여덟 가지가 있다고 하고, 혹은 어떤 이는 열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즉 『품류족론』에서는 8전이 있다고 설하고 있지만,67) 비바사종(毘婆沙宗)에서는 ‘전’에 열 가
[1148 / 1762] 쪽
지가 있다고 설하고 있으니,68) 이를테면 앞의 여덟 가지에 다시 분(忿)과 부(覆)을 더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같은 열 가지 종류는 함식(含識, 유정을 말함)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에 가두기 때문에 ‘전’이라고 이름하였다. 혹은 이러한 열 가지가 원인이 되어 온갖 악행을 일으키며, 악취(惡趣)에 갇히게 되기 때문에 ‘전’이라고 이름하였다.
여기서 무참(無慚)과 무괴(無愧), 질(嫉)과 간(慳), 그리고 회(悔) · 도거(掉擧) ·혼침(惛沈)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분별한 바와 같다.69)
마음으로 하여금 흐리멍덩[昧略]하게 하고, 혼침과 상응하며, 능히 몸을 집지(執持)하지 못하게 하는 것, 이것이 바로 ‘면(眠)’ 즉 수면(睡眠)의 특상이다. 수면은 혼침과 상응하지 않는 경우도 역시 있지만,70) 여기서는 오로지 ‘전’[의 하나]로 분별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설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수면의 세 가지 상을 한꺼번에 설한 것은, 이러한 세 가지 특상과 수면의 뜻이 서로 부합하기 때문이다.71)
자신이나 친구의 손해와 원수의 이익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으로, 진에가 선행함으로써 마음이 분발(憤發)하게 되는 것을 ‘분(忿)’이라고 이름한다.72) 그
[1149 / 1762] 쪽
런데 유여사는 설하기를, “처(處)와 비처(非處) 즉 옳고 그름을 어기고 거역함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것으로,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되돌아보는 일이 없이 일어나게 하는 힘, 내지는 마음으로 하여금 분발(憤發)하게 하는 자상(子上, 의미불명)을 일컬어 ‘분’이라 한다”고 하였다.
자신의 죄를 감추려고 하는 것을 설하여 ‘부(覆)’라고 이름한다. 여기서 ‘죄’란 이를테면 꾸짖을 만한 것으로, 바로 시라(尸羅, 계율)와 궤칙(軌則), 그리고 온갖 청정한 명[淨命]을 허물고 범하는 것을 말하며, ‘감추려고 함’은 바로 죄를 은닉하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다. 그런데 유여사는 다시 해석하여 말하기를, “[있으면서도] 없는 체[捫拭]하는 것을 ‘부’라고 한다. 이를테면 안으로는 악을 품었으면서도 밖으로는 품지 않은 체하는 것을 말하니, 이는 바로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려 한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앞에서 “만약 법으로서 번뇌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라면, 바야흐로 수번뇌라는 명칭으로 설정할 수 있다”고 논설하였다.73) 그렇다면 이 중의 어떠한 법이 어떠한 번뇌로부터 일어나는 것인가?
무참과 ‘간(慳)’과 도거는 바로 탐(貪)의 등류(等流)이니, 요컨대 탐을 직접적인 원인[近因]으로 삼을 때 비로소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바로 무명의 등류이니, 이는 무명의 상과 지극히 서로 인접한 것이기 때문이다.
‘질(嫉)’과 ‘분(忿)’은 바로 진(瞋)의 등류이니, 이러한 법의 상은 ‘진’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회(悔)’는 바로 의(疑)의 등류이니, 유예(猶豫)에 의해 생겨나기 때문이다.
‘부(覆)’의 경우, 어떤 이는 바로 탐의 등류라고 설하였고, 어떤 이는 바로
[1150 / 1762] 쪽
무명의 등류라고 설하였으며, 어떤 이는 양자 모두의 등류라고 설하였으니, 지식이 있는 모든 이는 애(愛, 즉 탐)로 인해 그것을 낳기 때문이며, 무지한 자는 치(癡, 즉 무명)로 인해 그것을 낳기 때문이다.74) 바로 이 같은 상으로 말미암아 어떤 이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마음이 칭예(稱譽)와 이양(利養)과 공경(恭敬)에 집착하거나, 악행에 의해 초래되는 당래의 과보를 알지 못하는 것, 이것이 바로 자신의 죄를 은닉하려고 하는 원인으로, 이는 ‘애’와 무명 두 가지의 등류과이다. 이에 따라 마음을 어지럽히는 [이 같은 은닉의] 법을 설하여 ‘부’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처럼 열 가지 종류의 ‘전’은 모두 번뇌로부터 생겨나는 것으로, 번뇌의 등류이기 때문에 ‘수번뇌’라고 이름한 것이다.
65) 이 세 가지는 『법온족론』 제9권 「잡사품」(대정장26, p.494하; 한글대장경115, p.597)에 언급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진(瞋) · 치(癡) ·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무참(無慚) · 무괴(無愧) · 만(慢) · 과만 (過慢) · 만과만(慢過慢) · 아만(我慢) · 증상만(增上慢) · 비만(卑慢) ·사만(慢邪) · 교(憍) · 방일(放逸) · 오(傲) · 분발(憤發) · 교망(矯妄) · 궤사(詭詐) ·현상(現相) · 격마(激磨) · 이리구리(以利求利) · 악욕(惡欲) · 대욕(大欲) · 현욕(顯欲) · 불희족(不喜足) · 불공경 · 기악언 (起惡言) · 낙악우(樂惡友) · 불인(不忍) · 탐기(耽嗜) · 변탐기(遍耽嗜) · 염탐(染貪) · 비법탐(非法貪) · 착탐(著貪) ·악탐(惡貪) · 유신견 · 유견(有見) · 무유견(無有見) · 탐욕 · 진에 · 혼침 · 수면(睡眠) · 도거(掉擧) · 악작(惡作) · 의(疑) · 몽궤(瞢憒) · 불락(不樂) · 빈신(頻申) ·흠거(欠㰦) · 식부조성(食不調性) · 심매열성(心昧劣性) · 종종상(種種想) · 부작의(不作意) · 추중(麤重) · 저돌(觝突) · 도철(饕餮, 음식을 탐하는 것) · 불화연성(不和輭性) · 불조유성(不調柔性) · 불순동류(不順同類) · 욕심(欲尋) · 에심(恚尋) · 해심(害尋) · 친리심(親里尋) · 국토심(國土尋) · 생사심(生死尋) · 능멸심(凌蔑尋) · 가족심(假族尋) · 수(愁) · 탄(歎) · 고(苦) · 우(憂) · 요(擾) · 뇌(惱)가 언급되고 있다. 참고로 『구사론』(고려장27, p.67하)에서는 “수번뇌의 상을 널리 열거할 경우, 「잡사품(雜事品)」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고 하여 『법온족론』의 이 대목을 바로 인용하고 있다.
66) 『잡아함경』 제35권 제977경(대정장2, p.253상), ‘시바여, 다섯 가지 인(因)과 다섯 가지 연(緣)으로 인해 심법에 우고(憂苦)가 생기니, 이를테면 욕탐전을 인으로 하고 욕탐전을 연으로 하여 심법에 우고가 생기며…….’
67) 『품류족론』 제1권(대정장26, p.693하; 한글대장경117, p.23).
68) 『대비바사론』 제47권(대정장27, p.243하; 한글대장경119, p.508):제50권(대정장27, p.258하; 한글대장경119, p.579).
69) 무참과 무괴는 본론 제6권 ‘대불선지법’에서, ‘질’과 ‘간’은 ‘소번뇌지법’에서, ‘회’는 후회의 악작으로 ‘욕계 제 심소의 구생관계’(본론 제6권 주18 참조)에서, 도거와 혼침은 ‘대번뇌지법’에서 상술하였다. 다만 ‘질’과 ‘간’의 경우에는 그곳에서도 역시 수번뇌를 논설하면서 해석할 것이라고 하여 뒤로 미루고 있다. “‘질(嫉)’이란 타인의 온갖 흥하고 성한 일에 대해 마음으로 하여금 기뻐하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하며, ‘간(慳)’이란 재시(財施) · 법시(法施)의 교시(巧施, 타인에게 보시하여 이익을 주는 것)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인색하여 집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구사론』 제21권, 고려장27, p.607하;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4)
70) 이를테면 잠(수면)은 몽롱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상쾌한 것도 있다.
71) 참고로 『구사론』(앞의 책)에서는 세 가지 특상 중의 ‘혼침과 상응하며’를 제외한 두 가지 특상만을 언급하고 있다. 그것은 아마 반드시 혼침과 상응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前註 참조)
72) 6수면 중의 진(瞋)이 유정을 미워하여 해치려 하는 것이고, 6번뇌구 중의 해(害)가 핍박하고 응징하려는 것이라면, ‘분’은 이 같은 두 가지 이외의 분발심(憤發心) 즉 격분하는 것을 말한다. “진(瞋)과 해(害)를 제외한 것으로서, 유정과 비유정에 대해 마음으로 하여금 분발(憤發)하게 하는 것을 설하여 ‘분(忿)’이라고 이름한다.”(『구사론』 제21권, 고려장27, p.607하;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5)
73) 주62) 참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09 - T31n1605_p0677b12. 전(纏)
"纏有八種。謂惛沈睡眠掉舉惡作嫉慳無慚無愧。數數增盛纏繞於心故名為纏。謂隨修習止舉捨相。及彼所依梵行等所攝淨尸羅時。纏繞於心。"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2881 / 159. 전(纏)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혼침ㆍ수면ㆍ도거ㆍ악작ㆍ질ㆍ간ㆍ무참ㆍ무괴이다. 누차 왕성하게 마음을 휘감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지(止)를 수습하는 것에 의해서 그 버리는 모양을 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 아울러 그것의 소의(所依)가 되는 범행 따위에 수렴되는 청정한 시라(尸羅)를 행하는 때에도 마음을 휘감게 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b14 - T31n1606_p0724b23. 전(纏)
"纏有八種。謂惛沈睡眠掉舉惡作嫉慳無慚無愧數數增盛。纏繞於心故名纏。由此諸纏數數增盛纏繞一切觀行者心於修善品為障礙故。修善品者。謂隨修習止舉捨相及彼所依梵行等所攝淨尸羅時。此復云何。謂修止時惛沈睡眠為障。於內引沈沒故。修舉時掉舉惡作為障。於外引散亂故。修捨時嫉慳為障。由成就此於自他利吝妒門中數數搖動心故。修淨尸羅時無慚無愧為障。由具此二犯諸學處無羞恥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2881-155 / 388. 전(纏)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혼침(惛沈)ㆍ수면(隨眠)ㆍ도거(掉擧)ㆍ악작(惡作)ㆍ질(嫉)ㆍ간(慳)ㆍ무참(無慙)ㆍ무괴(無愧)이다. 누차 왕성하게 마음을 휘감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한다. 이 같은 여러 가지 전이 누차 왕성해져서 모든 관(觀)을 닦는 사람의 마음을 휘감는 까닭에 선품을 닦는 데에 장애가 되는 것이다.
[釋] ‘선품을 닦는 것’이란, 지(止)를 수습하는 것에 의해서 그 버리는 모양을 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 아울러 그것의 소의(所依)가 되는 범행(梵行) 따위에 수렴되는 청정한 시라(尸羅)를 행할 때에도 마음을 휘감게 되는 것이다.
이는 또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지 (止)를 닦을 때에 혼침과 도거가 장애가 된다는 것이니, 그 내신(內身)을 혼침으로 이끌어 가기 때문이다. 거(擧)를 닦을 때에 도거와 악작이 장애가 된다는 것이니, 외신을 산란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사(捨)를 닦을 때에 질과 간이 장애가 되나니, 그 성취에 연유해서 이것이 자타의 이익에 있어 인색과 질투의 문 가운데에서 누차 마음을 뒤흔들기 때문이다. 청정한 시라(尸羅)를 닦을 때에 무참과 무괴가 장애가 된다는 것이니, 이 같은 두 가지가 구족한 것으로 말미암아 여러 학계(學戒)를 범하고도 수치심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 이동:가 나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8 - T44n1851_p0561b29. 전(纏)
"能纏行人。目之為纏。又能纏心。亦名為纏。"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9 - T30n1579_p0314c10. 조림(稠林)
"種種自身大樹聚集故名稠林。"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2 / 829. 조림(稠林)
"갖가지 자기[自身]라고 하는 큰 나무들이 모여 있기[聚集] 때문에 조림(稠林)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25 - T31n1605_p0678a28. 조림(稠林)
"稠林有三。謂貪稠林瞋稠林癡稠林。由依止貪瞋癡故。於諸生死根本行中廣興染著。令諸有情感種種身流轉五趣。是故貪等說名稠林。"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2 / 159. 조림(稠林)
"조림(稠林)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조림(貪稠林)ㆍ진조림(瞋稠林)ㆍ치조림(癡稠林)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여러 생사에 근본하는 행 가운데 처해서 널리 염착을 일으켜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갖가지 신체를 감수케 하여 5취(趣)로 유전시키기에, 탐조림 등으로 해설해서 조림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c08 - T31n1606_p0725c11. 조림(稠林)
"稠林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於諸生死根本行中廣興染著。令諸有情感種種身流轉五趣。令諸有情處生死本行大樹稠林難可出離。是故貪等說名稠林。"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0 / 388. 조림(稠林)
"‘조림(稠林:울창한 숲)’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조림(貪稠林)ㆍ진조림(瞋稠林)ㆍ치조림(癡稠林)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말미암는 까닭이다. 여러 생사에 근본하는 행 가운데 처해서 널리 염착을 일으켜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갖가지 신체를 감수하게 해서 오취(五趣)로 유전시키는 것이다. 여러 유정들이 생사의 길을 가는 것이 마치 커다란 나무들이 밀집한 숲속에 처한 것처럼 여기서 벗어나기 힘든 까닭에 ‘조림’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1. 주올(株杌)
"壞善稼田故名株杌。"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주올(株杌)
"좋은 논밭을 파괴하기 때문에 주올(株杌)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佛門網, "株杌". 2016년 1월 6일에 확인
"株杌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卷六頁云:壤善稼田,故名株杌。
二解 瑜伽八十四卷十三頁云:又彼能令轉成上品相續起故,能令身心無堪能故;說為株杌。如舄鹵田,不任耕植。又處所別故,彼所生疑、有差別故;說五心株。貪等別故;說有三株。
三解 瑜伽八十九卷十二頁云:復次若貪瞋癡纏所纏故,或彼隨眠所隨眠故;心不調柔;心極愚昧;於得自義,能作衰損;故名株杌。
四解 雜集論七卷三頁云:株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先所串習為方便故;成貪等行。心不調順,無所堪能,難可解脫;令諸眾生、難斷此行。故名株杌。所以者何?對治道犁、難可破壞。約此義故,立為株杌。於無量生,串習貪等,以成其行;堅固難拔,猶株杌故。"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11 - T31n1605_p0677c14. 주올(株杌)
"株杌有三。謂貪株杌瞋株杌癡株杌。由依止貪瞋癡。先所串習為方便故。成貪等行心不調順。無所堪能難可解脫。令諸有情難斷此行。故名株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주올(株杌)
"주올(株)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주올(貪株杌)ㆍ진주올(瞋株杌)ㆍ치주올(癡株杌)이다. 이는 탐ㆍ진ㆍ치에 연유해서 예전에 익힌 것을 방편으로 삼기 때문이다. 탐 등으로 그 행을 삼기에 마음이 다스리지 못해서 감당할 만한 능력이 없어 해탈을 이루기 힘들게 된다.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이 같은 행을 끊기 힘들게 하는 까닭에 주올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08 - T31n1606_p0725a13. 주올(株杌)
"株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先所串習為方便故。成貪等行心不調順。無所堪能難可解脫。令諸眾生難斷此行故名株杌。所以者何。對治道犁難可破壞。約此義故立為株杌。於無量生串習貪等以成其行。堅固難拔猶株杌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7 / 388. 주올(株杌)
"‘주올(株杌:나무그루터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주올(貪株杌)ㆍ진주올(瞋株杌)ㆍ치주올(癡株杌)이다. 이는 탐ㆍ진ㆍ치에 인하여 예전에 익힌 것을 방편으로 삼기 때문이다. 탐 따위로 그 행을 하기에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법을 감당할 만한 능력이 없어 해탈을 이루기 힘들게 된다.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이같이 행을 끊기 힘들게 하는 까닭에 ‘주올’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釋] 왜냐하면 소위 대치도(對治道)의 쟁기가 이를 넘어뜨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같은 뜻에 비유해서 주올을 건립하게 되는 것이다. 무량한 생 가운데에서 탐 따위에 익숙해져 그 행을 이루어 왔기에 견고해 뽑아내기 힘든 것이 마치 주올과도 같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8 - T30n1579_p0314b29. 취(取)
"能取自身相續不絕故名為取。"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취(取)
"능히 자신을 취하여 끊임없이 상속(相續)하기 때문에 취(取)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20 - T31n1605_p0677c01. 취(取)
"取有四種。謂欲取見取戒禁取我語取。執取諍根執取後有。是取義所以者何。由貪著欲繫縛耽染為因。諸在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第一取。由貪著見繫縛耽染為因。諸出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後三取。六十二見趣。是見取。各別禁戒多分苦行。是戒禁取。彼所依止薩迦耶見。是我語取。由見取戒禁取。諸外道輩更相諍論。由我語取諸外道輩互無諍論。與正法者互有諍論。如是執著諍論根本。復能引取。後有苦異熟。故名為取。"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78-79 / 159. 취(取)
"취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금취(戒禁取)ㆍ아어취(我語取)이다. 쟁근(諍根)을 집취(執取)해서 그 후유(後有)를 집취하는 것이 취의 이치이다.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욕심에 탐착하는 계(繫)와 박(縛)에 연유해서 그 염착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을 모든 속인들이 서로 다투는 경우이니, 이같이 투쟁하는 근본은 바로 첫 번째의 욕취에 해당한다. 욕심에 탐착하는 계와 박에 연유해서 그 염착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은 모든 출가인들이 서로 다투는 경우이니, 이 같은 투쟁의 근본은 바로 나중의 세 가지 취에 해당한다. 예순두 가지의 견취(見取)는 견취에 해당하는 것이고, 제각각 별도의 계율로 금하는 바가 많아서 고행하는 것이 계금취이고, 또 그러한 것에 의지하는 살가야견이 아어취(我語取)이다. 그러므로 견취와 계금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이고, 아어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쟁론을 벌이지 않고 바로 정법과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집착이 바로 논쟁의 근본이다. 다시 능인취(能引取)가 있으니 후유(後有)의 고가 이숙되는 까닭에 취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04 - T31n1606_p0724c15. 취(取)
"取有四種。謂欲取見取戒禁取我語取。執取諍根執取後有是取義。所以者何。由貪著欲繫縛耽染為因。諸在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第一取。由貪著見繫縛耽染為因。諸出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後三取。六十二見趣是見取。各別禁戒多分苦行是戒禁取。彼所依止薩迦耶見是我語取。由見取戒禁取諸外道輩更相諍論。以於是處見不一故。由我語取諸外道輩互無諍論。於我有性皆同見故。然由此取諸外道等與正法者互有諍論。由彼不信有無我故。如是執著諍論根本。復能引取後有苦異熟故名為取。"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5-156 / 388. 취(取)
"‘취(取)’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금취(戒禁取)ㆍ아어취(我語取)이다. 쟁근(諍根)을 집취(執取)해서 그 후유(後有)를 집취하는 것이 취의 이치이다. 왜냐하면 욕심에 탐착하는 ‘계’와 ‘박’에 연유해서 그 물들어 집착함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은 모든 속인들이 서로 다투는 경우이니, 이같이 투쟁하는 근본은 바로 첫 번째의 ‘욕취’에 해당한다. 욕심에 탐착하는 ‘계’와 ‘박’에 연유해서 그 물들어 집착함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에서 모든 출가인들이 서로 다투게 될지니, 이 같은 투쟁의 근본은 바로 나중의 세 가지 ‘취’에 해당한다.
예순두 가지 견취(見取)는 ‘견취’에 해당하는 것이고, 제각각 별도의 계율로 금하는 것이 많아서 행하기 힘든 것이 ‘계금취’이고, 또 그러한 것에 의지하는 살가야견이 ‘아어취’이다. 그러므로 ‘견취’와 ‘계금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이니, 이 같은 견처에서 그 소견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아어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쟁론을 벌이지 않게 되니, 자아가 존재한다는 성품에 있어서 모두 그 소견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법(正法)과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은 그들이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집착이 바로 그 논쟁의 근본이다. 다시 능인취(能引取)가 있으니 후유(後有)의 고가 이숙(異熟)되는 까닭에 ‘취’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T29n1558_p0108a09 - T29n1558_p0108a12. 취(取)
"何緣無明不別立取。能取諸有故立取名。然諸無明非能取故。謂不了相說名無明。彼非能取。非猛利故。但可與餘合立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939 / 1397. 취(取)
"어떠한 이유에서 무명을 별도의 '취'로 건립하지 않는 것인가?
능히 온갖 존재에 [집착하여] 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취'라는 명칭을 건립한 것인데, 모든 무명은 능히 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알지 못하는 것을 설하여 '무명'이라 이름한 것으로, 그것은 지극히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능히 취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다만 다른 번뇌와 합쳐서 '취'로 건립할 수 있을 뿐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T29n1558_p0108a17 - T29n1558_p0108b11. 수면(隨眠)의 뜻: 취(取)
"如是已辯隨眠并纏。經說為漏瀑流軛取。此隨眠等名有何義。頌曰。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論曰。根本煩惱現在前時行相難知故名微細。二隨增者。能於所緣及所相應增惛滯故。言隨逐者。謂能起得恒隨有情常為過患。不作加行為令彼生。或設劬勞為遮彼起而數現起故名隨縛。由如是義故名隨眠。稽留有情久住生死。或令流轉於生死中。從有頂天至無間獄。由彼相續於六瘡門泄過無窮故名為漏。極漂善品故名瀑流。和合有情故名為軛。能為依執故名為取。若善釋者應作是言。諸境界中流注相續泄過不絕故名為漏。如契經說。具壽當知。譬如挽船逆流而上。設大功用行尚為難。若放此船順流而去。雖捨功用行不為難。起善染心應知亦爾。准此經意。於境界中煩惱不絕說名為漏。若勢增上說名瀑流。謂諸有情若墜於彼。唯可隨順無能違逆。涌泛漂激難違拒故。於現行時非極增上說名為軛。但令有情與種種類苦和合故。或數現行故名為軛。執欲等故說名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p. 940-942 / 1397. 수면(隨眠)의 뜻: 취(取)
"이와 같이 수면과 아울러 전(纏)을 경에서 누·폭류·액·취라고 설한 것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면 등의 명칭에는 어떠한 뜻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미세, 두 가지에서의 수증
수축(隨逐)과 수박(隨縛)
머묾과 유전·표류·화합·집취
이것이 바로 수면 등의 뜻이다.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즉 10수면)가 현재전할 때 그 행상(行相)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微細)'라고 이름한다.76)
'두 가지에서의 수증'이란, 말하자면 [수면은] 능히 그것의 소연 및 그것에 상응하는 법과 뒤엉켜[惛滯] 증장하기 때문이다.
'수축'이라고 하는 말은, 이를테면 [수면의] 득(得)을 일으켜 항상 유정을 쫓아다니면서 과환(過患)이 되는 것을 말한다.
가행을 지어 그것(수면)을 생겨나지 않게 하더라도, 혹은 애써 노력하여 그것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지라도 자꾸자꾸 일어나기 때문에 '수박(隨縛)'이라고 한다. 곧 이와 같은 뜻으로 말미암아 수면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수면은] 유정을 생사(生死)에 체류시켜 오래 머물게[住] 하며, 혹은 유정천으로부터 무간지옥에 이르기까지 생사 중에 유전(流轉)시키는 것으로,77)그들의 상속은 육창문(六瘡門, 즉 6근을 말함)에서 끊임없이 번뇌를 누설하기 때문에 수면을 일컬어 '누(asrava)'라고 하였다. 또한 선품을 극심히 표탈(漂奪)시켜 버리기 때문에 '폭류(ogha)'라고 이름하였고, 유정을 [3계·5취·4생과] 화합시키기 때문에 '액(yoga)'이라고 이름하였으며, 능히 의지하여 집착하게 되기 때문에 '취(upadana)'라고 이름하였다.
그러나 만약 좋은 해석이 되려면 마땅히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할 것이다.78) 온갖 경계 중으로 상속(相續)을 흘러들게 하여 끊임없이 허물을 누설(漏泄)하기 때문에 '누'라고 이름한 것이니, 계경에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구수(具壽)는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비유하자면 배를 당기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으니, 설혹 크나큰 힘을 들이더라도 [거슬러 올라] 가는 것은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만약 이 배를 그대로 놓아두어 강물의 흐름에 따라 가게 하면 비록 힘을 들이지 않을지라도 [내려] 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심이나 염심을 일으키는 것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79) 즉 이 경의 뜻에 준하여 본다면, 경계 중에서 번뇌가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일컬어 '누'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만약 [수면의] 세력이 강력하게 될 때를 설하여 '폭류'라고 이름한다. 즉 모든 유정이 거기에 떨어질 경우 오로지 거기에 따라야 할 뿐 능히 어기거나 거역할 수 없으니, 솟구치거나 떠오르거나 떠내려가거나 물결치면 그것을 어기거나 거역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현행할 때 지극히 두드러지지 않은 수면을 설하여 '액'이라 이름하니, 다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여러 가지 종류의 괴로움과 화합하게 하기 때문에, 혹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에 '액'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은] 욕경(欲境) 따위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하여 '취'라고 이름한 것이다.80)
76) 수면의 원어 anu-saya의 anu를 미세[微, a u]의 뜻으로 이해하여 해석한 것이다.
77) '누'의 원어 a-srava는 a-sru(유출·유동하다)라는 동사의 파생어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유사한 as(앉다)의 사역어 asayati(머물게 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유전시키는 것'이라는 말은 a-sru의 사역어 asravayati(=asravayati)에 근거한 해석이다.
78) 이하 논주 자신의 해석이다.
79) 『잡아함경』 권제18 제493경(대정장2, p. 128중하) 참조. 즉 선법을 행하는 것은 크나큰 가행이 필요하다는 비유로서, 수면은 경계라는 강물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면서 허물을 누설하기 때문에 '누'라는 것이다
80) 5욕경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욕취이며, '견'에 집착하는 것은 견취, 계에 집착하는 것은 계금취, 아어에 집착하는 것은 아어취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1 - T44n1851_p0561c02. 취(取)
"取執境界。說以為取。"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9. 치연(熾然)
"如大熱病故名熾然。"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p. 221-222 / 829. 치연(熾然)
"큰 세력이 있는 병(病)이기 때문에 치연(熾然)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22 - T31n1605_p0678a24. 치연(熾然)
"熾然有三。謂貪熾然瞋熾然癡熾然。由依止貪瞋癡故。為非法貪大火所燒。不平等貪大火所燒。及為邪法大火所燒。故名熾然。"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치연(熾然)
"치연(熾然)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치연(貪熾然)ㆍ진치연(瞋熾然)ㆍ치치연(癡熾然)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비법하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고, 평등하지 않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다. 또 삿된 법의 거센 불길에도 태워지는 것이기에 치연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c02 - T31n1606_p0725c07. 치연(熾然)
"熾然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為非法貪大火所燒。非法貪者。謂隨貪著不善業道。又為不平等貪大火所燒。不平等貪者。謂非法非理貪求境界。又為邪法大火所燒。邪法者。謂諸外道惡說法律。以非法貪等能發身心熾然大火。如火熾然故名熾然。"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0 / 388. 치연(熾然)
"‘치연(熾然:거센 불길)’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치연(貪熾然)ㆍ진치연(瞋熾然)ㆍ치치연(癡熾然)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말미암은 까닭이다. 법답지 않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다.
‘법 답지 않은 탐욕’이란 불선업도(不善業道)에 탐착하여 이에 따르는 것을 가리킨다. 또 평등하지 않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다. ‘평등하지 않은 탐욕’이란, 법이 아니고 이치에 어긋나게 경계를 탐내는 것이다. 또 삿된 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기도 하다. ‘삿된 법’이란, 여러 외도가 설교하는 사악한 율법을 말하는 것이다. 법이 아닌 탐 따위가 능히 몸과 마음을 거센 불길에 태워지게 하기에 그 불길이 타오르는 것을 빗대어 ‘치연’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7 - T30n1579_p0314b28. 폭류(暴流)
"深難渡故。順流漂故故名暴流。"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폭류(暴流)
"건너기 매우 어렵고 흐름에 따라서 떠내려가기 때문에 폭류(暴流)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13 - T31n1605_p0677b19. 폭류(暴流)
"暴流有四。謂欲暴流有暴流見暴流無明暴流。隨流漂鼓是暴流義。隨順雜染故。初是習欲求者。第二是習有求者。後二是習邪梵行求者。能依所依相應道理故。軛有四種。謂欲軛有軛見軛無明軛。障礙離繫是軛義。違背清淨故。此亦隨其次第習三求者相應現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8 / 159. 폭류(暴流)
"폭류(瀑流)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욕폭류(欲瀑流)ㆍ유폭류(有瀑流)ㆍ견폭류(見瀑流)ㆍ무명폭류(無明瀑流)이다. 그 흐르는 것이 세차게 울리는 것이 폭류의 이치이니, 잡염에 따르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욕폭류는 이 같은 욕구를 훈습(薰習)하게 되고, 두 번째의 유폭류의 유구(有求)를 훈습하게 되고, 그 밖의 두 가지는 삿된 것의 훈습으로 범행을 구하는 것이니, 능의(能依)와 소의(所依)가 상응하는 도리이기 때문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b24 - T31n1606_p0724b29. 폭류(瀑流)
"暴流有四。謂欲暴流有暴流見暴流無明暴流。隨流漂鼓是暴流義。隨順雜染故。初是習欲求者。第二是習有求者。後二是習邪梵行求者。能依所依相應道理故。見暴流是能依。無明暴流為所依。由有愚癡顛倒推求解脫及方便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5 / 388. 폭류(瀑流)
"‘폭류(瀑流)’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욕폭류(欲瀑流)ㆍ유폭류(有瀑流)ㆍ견폭류(見瀑流)ㆍ무명폭류(無明瀑流)이다. 그 흐르는 것이 세차게 울리는 것이 폭류의 이치이니, 잡염(雜染)에 따르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욕폭류’는 이 같은 욕구를 훈습(薰習)하는 것이고, 두 번째의 ‘유폭류’는 유구(有求)를 훈습하는 것이고, 나머지 다른 두 가지는 삿된 것의 훈습을 빌미로 범행을 추구하는 것이니, 능의(能依)와 소의(所依)가 상응하는 도리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견폭류는 능의에 해당하고 무명폭류는 소의에 해당하는 것이니, 어리석은 마음에 전도되어 해탈 및 그 방편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3. 혹(惑)
"能惑所緣。故稱為惑。"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8 - T30n1579_p0314c09. 화(火)
"燒所積集諸善根薪故名為火"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화(火)
"모은 바[積集] 선근(善根)인 땔나무[薪]들을 태우기 때문에 화(火)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이동:가 나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T30n1579_p0313b01 - T30n1579_p0314a02
"煩惱分別者。或立一種。謂由煩惱雜染義故。或分二種。謂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三種。謂欲繫色繫無色繫。或分四種。謂欲繫記無記。色繫無記。無色繫無記。或分五種。謂見苦所斷。見集所斷。見滅所斷。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六種。謂貪恚慢無明見疑。或分七種。謂七種隨眠。一欲貪隨眠。二瞋恚隨眠。三有貪隨眠。四慢隨眠。五無明隨眠。六見隨眠。七疑隨眠。或分八種。謂貪恚慢無明疑見及二種取。或分九種。謂九結。一愛結。二恚結。三慢結。四無明結。五見結。六取結。七疑結。八嫉結。九慳結。或分十種。一薩迦耶見。二邊執見。三邪見。四見取。五戒禁取。六貪。七恚。八慢。九無明。十疑。或分一百二十八煩惱。謂即上十煩惱。由迷執十二種諦建立。應知。何等名為十二種諦。謂欲界苦諦集諦。色界苦諦集諦。無色界苦諦集諦。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無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此中於欲界苦集諦。及於欲界增上滅道諦。具有十煩惱迷執。於色界苦集諦。及於彼增上滅道諦。除瞋有餘煩惱迷執。如於色界。於無色界亦爾。於欲界對治修中。有六煩惱迷執。謂除邪見見取戒禁取疑。於色界對治修中。有五煩惱迷執。謂於上六中除瞋。如於色界對治修中。於無色對治修中亦爾。如迷執。障礙亦爾。薩迦耶見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等隨觀執五種取蘊。若分別不分別染污慧為體。邊執見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執五取蘊為我性已等隨觀執為斷為常。若分別若不分別染污慧為體。邪見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撥因撥果或撥作用。壞真實事。唯用分別染污慧為體。見取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以薩迦耶見邊執見邪見及所依所緣所因俱有相應等法。比方他見等隨觀執為最為上勝妙第一。唯用分別染污慧為體。戒禁取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即於彼見。彼見隨行。若戒若禁。及所依所緣。所因。俱有相應等法。等隨觀執為清淨。為解脫為出離。唯用分別染污慧為體。貪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外及內可愛境界。若分別不分別。染著為體。恚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外及內非愛境界。若分別不分別。憎恚為體。慢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外及內高下勝劣。若分別不分別。高舉為體。無明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所知事若分別不分別。染污無知為體。疑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即於所知事。唯用分別異覺為體。"
↑ 이동:가 나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p. 213-217 / 829
"번뇌(煩惱)의 분별(分別)4)이 란 혹은 한 가지를 세우기도 하니, 말하자면 번뇌가 잡염(雜染)의 뜻이기 때문이다. 혹은 견도소단(見道所斷)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두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욕계(欲繫)와 색계(色繫)와 무색계(無色繫)의 세 가지로 나누기도 하며, 혹은 욕계(欲繫)의 기(記) 무기(無記)와 색계(色繫)의 무기(無記)와 무색계의 무기(無記)의 네 가지로 나누기도 하며, 혹은 견고소단(見苦所斷)과 견집소단(見集所斷)과 견멸소단(見滅所斷)과 견도소단(見道所斷)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다섯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탐(貪) 에(恚) 만(慢) 무명(無明) 견(見) 의(疑)의 여섯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일곱 가지 수면(隨眠)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욕탐수면(欲貪隨眠)이며, 둘째는 진에수면(瞋恚隨眠)이며, 셋째는 유탐수면(有貪隨眠)이며, 넷째는 만수면(慢隨眠)이며, 다섯째는 무명수면(無明隨眠)이며, 여섯째는 견수면(見隨眠)이며, 일곱째는 의수면(疑隨眠)이다.
[214 / 829] 쪽
혹은 탐(貪) 에(恚) 만(慢) 무명(無明) 의(疑) 견(見) 및 두 가지 취(取)5)의 여덟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9결(結)로서 아홉 가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애결(愛結)이며, 둘째는 에결(恚結)이며, 셋째는 만결(慢結)이며, 넷째는 무명결(無明結)이며, 다섯째는 견결(見結)이고, 여섯째는 취결(取結)이며, 일곱째는 의결(疑結)이며, 여덟째는 질결(嫉結)이며, 아홉째는 간결(慳結)이다.
혹 은 열 가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이며, 둘째는 변집견(邊執見)이며, 셋째는 사견(邪見)이며, 넷째는 견취(見取)이며, 다섯째는 계금취(戒禁取)이고, 여섯째는 탐(貪)이며, 일곱째는 에(恚)이며, 여덟째는 만(慢)이며, 아홉째는 무명(無明)이며, 열째는 의(疑)이다. 혹은 1백 스물 여덟 가지의 번뇌6)로 나누기도 하니, 말하자면 위의 열 가지 번뇌가 열 두 가지의 진리[諦]7)를 미혹하게 집착하기[迷執] 때문에 건립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엇을 열 두 가지 진리[諦]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욕계(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색계(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무색계(無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욕계(欲界)의 증상(增上)8)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9)와 그것의 변지(遍智)에서 드러난 바[所顯]10)인 멸제(滅諦) 도제(道諦)11)와 색계(色界)의 증상(增上) 그것
[215 / 829] 쪽
의 변지(遍智)의 과(果)와 그것의 변지(遍智)가 드러난 바[所顯]인 멸제(滅諦) 도제(道諦)와 무색계(無色界)의 증상(增上) 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와 그것의 변지(遍智)가 드러난 바인 멸제(滅諦) 도제(道諦)이다. 이 가운데 욕계(欲界)의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그리고 욕계(欲界)의 증상(增上)의 멸제(滅諦)와 도제(道諦)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며, 색계(色界)의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및 그것의 증상(增上)의 멸제(滅諦)와 도제(道諦)에는 진(瞋)을 제외한 그 나머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며, 색계(色界)에서와 같이 무색계(無色界)에서도 또한 그러하다.
욕계(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에서도 여섯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니, 말하자면 사견(邪見)과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와 의(疑)가 제외된다. 색계(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에서도 다섯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니, 말하자면 위의 여섯 가지 가운데 진(瞋)이 제외된다. 색계의 대치의 닦음[對治修]과 같이 무색계(無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 또한 그러하며, 미혹된 집착과 같이 장애(勝障) 또한 그러하다.
살가야견(薩迦耶見)12)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13)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14) 그리고 멋대로[任運]15)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5취온(取蘊)을 동등히[等]하여 따르며[隨] 관찰[觀]하고 집착하는 것[執]이다. 또한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16)의 염오(染汚)의 혜(慧)를 체(體)로 삼는다.
변집견(邊執見)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
[216 / 829] 쪽
(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5취온(取蘊)을 집착하여 '나의 성품[我性]'이라고 하고 나서 동등히 하여 따르며 관찰하고 집착해서 단(斷)이라고도 하고 상(常)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또한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를 체(體)로 삼는다.
사견(邪見)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인과(因果)를 없다'고 하고 혹은 '작용(作用)을 없다'고 하고 진실의 현상[事]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오직 분별(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만을 체(體)로 삼는다.
견취(見取)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살가야견(薩迦耶見) 변집견(邊執見) 사견(邪見) 소의(所依) 소연(所緣) 소인(所因) 구유(俱有) 상응(相應) 등의 법(法)으로 다른 견해[他見]를 비방(比方)하고 동등히 하여 따르며 관찰하고 집착하여 최고[最]로 삼고 으뜸[上]으로 삼으며 제일의 승묘[勝妙第一]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분별(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만을 체(體)로 삼는다.
계금취(戒禁取)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곧 그것의 견해와 그것의 견해에 따라서 행하는 계율[戒] 금기[禁] 소의(所依) 소연(所緣) 소인(所因) 구유(俱有) 상응(相應) 등의 법에 대해서 동등히 하여 따르며 관찰하고 집착하여 청정(淸淨)이라 하고 해탈(解脫)이라 하며 출리(出離)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분별(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만을 체(體)로 삼는다.
탐(貪)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안팎의 좋아하는 경계[可愛境界]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염착(染著)을 체(體)로 삼는 것이다.
에(恚)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고 정법(正法)이
[217 / 829] 쪽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안팎의 좋아하지 않는 경계[非愛境界]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증에(憎恚)를 체(體)로 삼는 것이다.
만(慢)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안팎의 높고 낮음[高下]과 뛰어나고 열등함[勝劣]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고거(高擧)17)를 체(體)로 삼는 것이다.
무명(無明)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알아야 할 대상[所知事]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염오(染汚)의 무지(無知)를 체(體)로 삼는 것이다.
의(疑)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곧 알아야 할 대상[所知事]에 대하여 오직 분별(分別)의 이각(異覺)18)만을 체(體)로 삼는 것이다.
4) 이하는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두번째로 번뇌의 분별(分別)에 대해서 기술한다.
5)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를 말한다.
6) 욕계(欲界)의 4제(諦)에 각각 열 가지 번뇌(煩惱)가 있어서 도합 40번뇌가 있고,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8제(諦)에 각각 진(瞋)을 제외한 아홉 가지 번뇌가 있어서 도합 72번뇌가 있는데, 이를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煩惱)라고 한다. 또한 욕계(欲界)에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며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 각각 진(瞋)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어서 도합 16번뇌가 있는데, 이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번뇌(煩惱)라고 한다. 이러한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 102가지와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번뇌 16가지를 합하면 모두 128번뇌가 된다.
7)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각각에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4제(諦)가 딸려서 열 두 가지가 된다.
8) 멸제(滅諦)와 도제(道諦)는 모두 고제(苦諦)와 집제(集諦)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증상(增上)이라고 이름한다.
9) 멸제(滅諦)를 말하며 멸제(滅諦)는 도제(道諦)의 변지(遍智)에서 증득한 과(果)이기 때문이다.
10) 도제(道諦)의 체(體)를 말한다.
11) 멸제(滅諦)는 위에서 말한 변지(遍智)의 과(果)를 의미하고 도제(道諦)는 위에서 말한 변지(遍智)의 드러난 바[所顯]를 말한다.
12) 범어(梵語) Satk ya-d i의 의역(意譯)이다.
13) 범부(凡夫)를 말한다.
14) 살가야견(薩迦耶見)에는 분별기(分別起)와 구생기(俱生起)의 두 가지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분별기(分別起)의 3연(緣)에 대해서 설한다. 그 중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란 삿된 스승[邪師]을 말하고,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듣는 것이란 삿된 가르침[邪敎]을 말하고, 이치에 맞지 않는[不如理] 작의(作意)란 삿된 사유[邪思惟]를 말한다.
15) 살가야견(薩迦耶見)의 분별기(分別起)와 구생기(俱生起)의 연(緣)을 말한다.
16) 임운구생(任運俱生)을 말한다.
17) 마음을 높이 들어올려 으쓱대는 것을 말한다.
18) 의(疑)는 구하여 찾기[求覓] 때문에 각(覺)이라고도 하지만 혜(慧)와는 구별되기 때문에 이각(異覺)이라고 한다."
↑ 운허, "二障(이장)". 2013년 5월 2일에 확인
"二障(이장): 혹장(惑障)을 두 가지로 나눈 것. (1) 『구사론(俱舍論)』에는 번뇌장(煩惱障)과 해탈장(解脫障). (2) 『유식론(唯識論)』에는 번뇌장과 소지장(所知障). (3) 『원각경(圓覺經)』에는 이장(理障)과 사장(事障). (4) 『금강반야바라밀경론(金剛般若波羅密經論)』에는 번뇌장과 삼매장(三昧障). (5) 내장(內障)과 외장(外障)."
↑ 星雲, "二障". 2013년 5월 2일에 확인
"二障: 又作二礙。(一)煩惱障與所知障。係瑜伽行派與法相宗對貪、瞋、癡等諸惑,就其能障礙成就佛果之作用所作之分類。(一)煩惱障,由我執(人我見)而生,以貪瞋癡等一切諸惑,發業潤生,煩擾有情之身心,使在三界五趣之生死中,而障涅槃之果,故稱煩惱障。(二)所知障,由法執(法我見)而生,以貪瞋癡等諸惑為愚癡迷闇,其用能障菩提妙智,使不能了知諸法之事相及實性,故稱所知障,又作智障。離此二障,則稱二離。〔成唯識論卷九〕
(二)煩惱障與解脫障。(一)煩惱障同上所述,乃障無漏慧之生起。(二)解脫障,又作不染無知定障、定障、俱解脫障。解脫者,滅盡定之異名,因障聖者入滅盡定之法,故稱解脫障,其體為不染污無知之一種。〔俱舍論卷二十五、俱舍論光記卷二十五、俱舍論頌疏卷十二〕
(三)理障與事障。(一)理障,謂邪見等之理惑障正知見者,相當於所知障。(二)事障,謂貪等之事惑相續生死而障涅槃者,相當於煩惱障。〔圓覺經卷下〕
(四)內障與外障。(一)內障,即三毒,為令眾生內心生起煩惱之障。(二)外障,即七難,為外界所加之障礙。〔阿娑縛抄卷一八七〕 p241"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 제9권. p. T31n1585_p0048c06 - T31n1585_p0048c09. 번뇌장(煩惱障)
"煩惱障者。謂執遍計所執實我薩迦耶見而為上首百二十八根本煩惱。及彼等流諸隨煩惱。此皆擾惱有情身心能障涅槃名煩惱障。"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제9권. p. 483 / 583. 번뇌장(煩惱障)
"번뇌장49)이란 변계소집인 실아로 집착하는 아견[薩迦耶見]을 첫째로 하는 128가지50) 근본번뇌 및 그것의 등류인 모든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이것이 모두 유정의 몸과 마음을 어지럽게 괴롭혀서 능히 열반을 장애함을 번뇌장이라고 이름한다.
49) 다음에 번뇌장과 소지장의 두 가지 장애를 자세히 해설한다. 먼저 번뇌장의 자체를 드러낸다[第一出體]. 번뇌장(煩惱障)은 5취온(取蘊)에 대해서 실아(實我)라고 집착하는 번뇌를 말한다. 이에 128가지 근본번뇌와 스무 가지 수번뇌가 속한다. 이것은 유정의 몸과 마음을 어지럽게 괴롭혀서 열반을 장애하고, 생사에 유전케 하므로 번뇌장이라고 이름한다.
50) 견혹(見惑)이 욕계에서 마흔 가지, 색계와 무색계에서 각각 서른여섯 가지씩 있으며, 수혹(修惑)이 열여섯 가지를 합한 것이다."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 제9권. p. T31n1585_p0048c09 - T31n1585_p0048c11. 소지장(所知障)
"所知障者。謂執遍計所執實法薩迦耶見而為上首見疑無明愛恚慢等。覆所知境無顛倒性能障菩提名所知障。"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제9권. pp. 483-484 / 583. 소지장(所知障)
"소지장51)이란 변계소집인 실법으로 집착하는 아견을 첫째로 하는 악견(惡見) · 의(疑) · 무명 · 탐 · 진(瞋) · 만(慢) 등이다.52) 인식의 대상53)과 전도됨이 없는 본성54)을 덮어서 능히 깨달음을 장애하는 것을 소지장이라고 이름한다.
51) 소지장(所知障)의 자체를 드러낸다. 탐욕 · 성냄 · 어리석음 등의 번뇌가 인식 대상[所知]의 참다운 모습[法空]을 그대로 알지 못하게 하므로 이들 번뇌를 소지장(所知障)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참다운 지혜가 발현하는 것을 장애하는 점에서 지장(智障) · 보리장(菩提障)이라고도 한다. 이에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分別起]과 선천적으로 일어나는 것[俱生起]이 있다.
52) 소지장(所知障)의 수(數)도 번뇌장과 같다. 그것은 번뇌장이 일어날 때에는 반드시 소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번뇌장은 두드러진[麤] 것으로서 많은 품류(品類)가 있어서 알기 쉽기 때문에 2승(乘)도 역시 단멸한다. 다만 이것은 불선(不善)이고 유부무기성(有覆無記性)이므로 앞에서 숫자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소지장은 미세한 것으로서 품류가 많지 않아서 매우 알기 어렵기 때문에 오직 보살만이 단멸한다.
53) 인식의 대상[所知境]이란, 유위법과 무위법의 대상을 말한다.
54) 진여(眞如)를 말한다."
↑ 곽철환 2003, "오주지(五住地)". 2013년 5월 3일에 확인
"오주지(五住地): 온갖 번뇌의 근본이 되는 다섯 가지 번뇌.
(1) 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 욕계·색계·무색계의 견혹(見惑). 이것은 견도(見道)에 들어갈 때 일시에 끊으므로 견일처(見一處)라고 함.
(2) 욕애주지(欲愛住地). 욕계의 수혹(修惑), 곧 탐(貪)·진(瞋)·치(癡)·만(慢).
(3) 색애주지(色愛住地). 색계의 수혹(修惑), 곧 탐(貪)·치(癡)·만(慢).
(4) 유애주지(有愛住地). 무색계의 수혹(修惑), 곧 탐(貪)·치(癡)·만(慢).
(5) 무명주지(無明住地). 욕계·색계·무색계의 무명."
↑ 佛門網, "五住地惑". 2013년 5월 3일에 확인
"五住地惑: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五種住地之惑。又作五住地煩惱。即見、思、無明之煩惱有見一處住地、欲愛住地、色愛住地、有愛住地、無明住地等五種區別,稱為五住地惑。出於勝鬘經。此五種惑為一切煩惱之所依所住,又能生煩惱,故稱住地。大乘義章卷五本釋之:(一)見一處住地,即身見等三界之見惑,入見道時,併斷於一處。(二)欲愛住地,即欲界煩惱中,除見、無明,而著於外之五欲(色、聲、香、味、觸)之煩惱。(三)色愛住地,即色界之煩惱中,除見、無明,捨外之五欲而著於一己色身之煩惱。(四)有愛住地,即無色界之煩惱中,除見、無明,捨離色貪而愛著己身之煩惱。(五)無明住地,即三界一切之無明。無明為癡闇之心,其體無慧明,是為一切煩惱之根本。
五住地惑中,唯識家主張前四種住地惑為煩惱障之種子,後一種為所知障之種子。天台宗則以見一處住地為見惑,第二、三、四為三界之思惑,總稱為界內見思之惑,二乘人斷之而出三界。第五之無明住地即界外之惑,就此立四十二品之別,經四十二位斷盡之,離二種生死,得證大涅槃。〔菩薩瓔珞本業經卷下、成唯識論卷八、成唯識論述記卷九末、勝鬘經述記卷下、法華經玄義卷五上、法華文句記卷二下、天台四教儀集註卷下、大乘法苑義林章卷二末〕
頁數: p1091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五住地惑===﹝出華嚴經隨疏演義鈔﹞ 五住者,謂三界見惑為一住,三界思惑分為三住,根本無明為一住,共成五住也。由此五惑,能令眾生住著生死,故名住地也。(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根本無明者,能生見、思二惑,故名根本也。)
〔一、一切見住地惑〕,一切見者,即三界分別見惑也。謂諸眾生,由意根對法塵,分別起諸邪見,住著三界,故名一切見住地惑。
〔二、欲愛住地惑〕,欲愛者,即欲界思惑也。謂諸眾生,由五根對五塵境,起貪愛心,而於欲界住著生死,故名欲愛住地惑。(五根者,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也。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三、色愛住地惑〕,色愛者,即色界思惑也。謂諸眾生不了此惑,住著色界禪定,不能出離,故名色愛住地惑。
〔四、有愛住地惑〕,有愛者,即無色界思惑也。謂諸眾生不了此惑,住於禪定,不能出離,故名有愛住地惑。
〔五、無明住地惑〕,無明者,即根本無明惑也。謂聲聞、緣覺未了此惑,沉滯真空,即住方便土;大乘菩薩方能除斷,由餘惑未盡,住實報土。故名無明住地惑。(方便土者,謂修方便道,斷見、思惑,即聲聞、緣覺所居之土也。實報土者,稱實感報故也;謂菩薩斷惑相有未盡者,居此土也。)
頁數: 出華嚴經隨疏演義鈔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又名五住地煩惱。【參見: 五住地】##【圖像: T0028.JPG 刪減】"
↑ 星雲, "三惑". 2013년 5월 5일에 확인
"三惑: (一)又作三障。天台宗就界內、界外之惑所分之見思、塵沙、無明等三惑。(一)見思惑,見惑與思惑之並稱。見惑,乃意根對法塵所起之諸邪見。即迷於推度三世道理之煩惱;思惑,乃眼耳鼻舌身五根,貪愛色聲香味觸五塵,而起之想著。即迷於現在事理之煩惱。此見思惑為聲聞、緣覺、菩薩三乘所共斷,故稱通惑。由此招感三界之生死,故為界內之惑,須以空觀對治之。(二)塵沙惑,迷於界內外恆沙塵數之法所起之惑障,稱為塵沙惑。菩薩斷除見思惑後,易著於空觀,而未能進一步了知眾生之塵沙惑,及對治教化之方法,故此惑又稱著空惑,能妨礙菩薩出假利生,化度眾生。又此惑為菩薩所斷,故又稱別惑,通於界內外,須以假觀破之。(三)無明惑,於一切法無所明了,故稱無明。即迷於中道第一義諦之煩惱。此惑乃業識之種子、煩惱之根本,聲聞、緣覺不知其名,屬界外之惑,唯在大乘菩薩,定慧雙修,萬行具足,方斷此惑,故又稱別惑。須以中觀破之。
若論斷位,則別圓二教不同。依別教之說,十信位能伏住見思惑,初住能斷除見惑,七住能斷盡思惑,八、九、十住能斷除界內之塵沙惑,十行斷界外之塵沙惑,十迴向能伏住無明惑,初地以後至妙覺位能斷除十二品之無明惑。依圓教之說,五品弟子位能伏住五住地之煩惱,十信中之初信位能斷除見惑,七信位能斷盡思惑,八、九、十信能斷除界內外之塵沙惑,初住以後至妙覺位能斷除四十二品之無明惑。實則三惑原係一惑之粗細分,惑體無別,其粗者稱為見思,細者稱為無明,介於其間者稱為塵沙,是故,所謂斷捨,當無前後異時之別。又若以三惑對配二障,則見思惑相當於煩惱障,塵沙惑、無明惑相當於所知障。〔摩訶止觀卷四上、卷六上、法華經玄義卷五上、法華玄義釋籤卷三下、卷四下、止觀輔行傳弘決卷六之三、卷七之四、四教義卷一、四念處卷四〕
(二)為三毒之異稱,即貪欲、瞋恚、愚癡等三種根本之迷惑。 p624"
↑ 곽철환 2003, "삼혹(三惑)". 2013년 5월 5일에 확인
"삼혹(三惑): 천태종에서 설하는 세 가지 번뇌.
(1) 견사혹(見思惑). 이치를 알지 못함으로써 일어나는 견혹(見惑)과 대상에 집착함으로써 일어나는 사혹(思惑).
(2) 진사혹(塵沙惑). 진사는 많음을 비유함. 한량없는 차별 현상을 알지 못하여 중생을 구제하는 데 장애가 되는 번뇌.
(3) 무명혹(無明惑). 모든 번뇌의 근본으로서, 차별을 떠난 본성을 알지 못하여 일어나는 지극히 미세한 번뇌. 이 가운데 견사혹은 성문·연각·보살이 함께 끊는 번뇌이므로 통혹(通惑), 진사혹과 무명혹은 오직 보살만이 끊는 번뇌이므로 별혹(別惑)이라 함."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三惑(삼혹)". 2016년 1월 14일에 확인
"三惑(삼혹):
견사혹(見思惑)ㆍ진사혹(塵沙惑)ㆍ무명혹(無明惑). 삼장(三障)이라고도 함. (1) 견사혹. 견도(見道)와 수도(修道)에서 끊는 견혹(見惑)ㆍ수혹(修惑). 견혹은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여서 일어나는 번뇌. 수혹은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여서 일어나는 번뇌. (2) 진사혹. 진사는 많음을 비유한 것. 보살이 중생을 교화할 때에 마음이 어둑컴컴하여 무량무수한 법문을 알아 자유자재하게 구제하지 못하는 것을 말함이니, 다만 혹체(惑體)가 수없다는 뜻만이 아니고, 알지 못하는 법문이 많다는 뜻으로 이름한 것이니, 체(體)는 한 열혜(劣慧). (3) 무명혹ㆍ장중도혹(障中道惑)이라고도 하니, 미(迷)의 근본을 이루어 지혜의 밝음이 없는 번뇌. 이 3혹 중 앞의 하나는 성문ㆍ연각ㆍ보살이 함께 끊을 수 있는 것이므로 통혹(通惑)이라 하고, 뒤의 둘은 보살만이 끊는 것이므로 별혹(別惑)이라 한다. 또 앞에 하나는 3계 안의 이(理)ㆍ사(事)를 미(迷)하여 3계의 생사를 받으므로 계내혹(界內惑)이라 하고, 뒤에 둘은 3계 안의 사람은 물론이고, 3계 밖에도 있는 번뇌이므로 계외혹(界外惑)이라 함."
↑ 운허, "百八煩惱(백팔번뇌)". 2013년 5월 31일에 확인
"百八煩惱(백팔번뇌): 백팔결(百八結)이라고도 함.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이란 말. 2종이 있음. 첫째, 6근(根)으로 6진(塵)을 대할 때 저마다 호(好)ㆍ오(惡)ㆍ평등(平等)의 세 가지가 서로 같지 않아서 18번뇌를 일으키고, 또 고ㆍ락ㆍ사(苦ㆍ樂ㆍ捨)의 3수(受)가 있어 18번뇌를 내니, 모두 합하여 36종. 또 이를 3세(世)에 배(配)하여 108번뇌가 됨. 둘째, 3계(界)의 견혹(見惑) 88사(使)에 3계의 수혹(修惑) 10혹과 무참(無慚)ㆍ무괴(無傀)ㆍ혼침(昏沈)ㆍ악작(惡作)ㆍ뇌(惱)ㆍ질(嫉)ㆍ도회(掉悔)ㆍ수면(睡眠)ㆍ분(忿)ㆍ부(覆)의 10전(纒)을 더한 것. ⇒백팔결(百八結)"
↑ 星雲, "百八煩惱". 2013년 5월 31일에 확인
"百八煩惱: 謂眾生之煩惱有一百零八種。又作百八結業,以煩惱能生種種惡業之故。關於其內容有多種異說:(一)據大智度論卷七、大乘義章卷六等載,百八煩惱指十纏與九十八結。十纏,即無慚、無愧、嫉、慳、悔、眠、掉舉、惛沈、忿、覆等;九十八結,即三界之八十八見惑與十修惑。(二)據明度五十校計經(大方等大集經卷五十九)、止觀輔行傳弘決卷五之五(會本)等載,眼、耳、鼻等六根以色、聲、香等六塵之境為對象時,各有好、惡、平(非好非惡)三種分別,合為十八種,又一一各有染、淨之分,合為三十六種。復配以過去、未來、現在三世,合為一百零八種煩惱。(三)據止觀輔行傳弘決卷五之五載,六根各有苦、樂、捨等三受,合為十八種;六根復各有好、惡、平三種,合為十八種,總共三十六種;再配以過去、未來、現在三世,合為一百零八種煩惱。
此外,寺院朝夕撞鐘一百零八下,意指消除一百零八種煩惱。又隨百八煩惱之數而有百八念誦、百八珠數、百八三昧、百八尊等。〔木槵子經、大智度論卷三十六、卷六十八、釋氏要覽卷中〕 p2487"
↑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 제8권. p. T25n1509_p0110a26 - T25n1509_p0110b09. 108번뇌(百八煩惱)
"「纏」者,十纏:瞋纏、覆罪纏、睡纏、眠纏、戲纏、掉纏、無慚纏、無愧纏、慳纏、嫉纏。 復次,一切煩惱結繞心故,盡名為「纏」。 「煩惱」者,能令心煩,能作惱故,名為「煩惱」。煩惱有二種:內著,外著——內著者,五見、疑、慢等;外著者,婬、瞋等;無明內外共。 復有二種結:一、屬愛;二、屬見。 復有三種:屬婬,屬瞋,屬癡。 是名煩惱。 纏者,有人言「十纏」,有人言「五百纏」。 煩惱名一切結使:結有九結,使有七,合為九十八結。 如《迦旃延子阿毘曇》義中說:十纏,九十八結,為百八煩惱。 《犢子兒阿毘曇》中結使亦同;纏有五百。 如是諸煩惱,菩薩能種種方便自斷,亦能巧方便斷他人諸煩惱。"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제8권. pp. 288-289 / 2698. 108번뇌(百八煩惱)
"얽매임[纏]이라 함은 열 가지 얽매임[十纏]을 말한다. 곧 성냄의 얽매임 · 죄를 숨김의 얽매임 · 졸음의 얽매임 · 잠의 얽매임 · 희롱의 얽매임 · 들뜸의 얽매임 · 제 부끄러움 없음의 얽매임 · 남부끄러움 없음의 얽매임 · 인색함의 얽매임 · 질투의 얽매임이다.
또한 일체의 번뇌는 마음을 얽어매는 까닭에 모두 일컬어 얽매임이라 한다.
번뇌라 함은 능히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기 때문에 번뇌라 한다.
번뇌에 두 가지가 있으니, 내적인 집착[內著]과 외적인 집착[外著]이다. 내적인 집착이란 다섯 가지 견해[五見]와 의심과 교만 등이요, 외적인 집착이란 음욕 ·성냄 등이다.
무명은 안팎에 동시에 속한다.
다시 두 가지 결(結)이 있으니, 첫째는 애욕에 속하는 것이요, 둘째는 견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세 가지가 있으니, 음욕에 속하는 것과 성냄에 속하는 것과 어리석음에 속하는 것이다.
이것을 번뇌라고 한다.
얽매임[纏]이라 했는데,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열 가지 얽매임이 있다”고 하며,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5백 가지 얽매임이 있다”고 한다.
번뇌를 일체의 결사(結使)라 하는데, 결에는 아홉 가지가 있고, 사에는 일곱 가지가 있어 합치면 98결(結)이 된다.
가전연자 아비담에 말하기를 “10전(纏)과 98결(結)이 합해 108번뇌가 된다. 독자아(犢子兒)14)의 아비담 가운데에서는 결과 사는 같은 것으로 5백의 얽매임[纏]이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모든 번뇌를 보살은 능히 갖가지 방편으로 스스로 끊으며, 또한 교묘한 방편으로써 다른 사람의 번뇌들도 끊게 한다.
14) 범어로는 Vātsīputra. 독자부(Vajiputtiyā)를 가리킨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 제6권. p. T44n1851_p0586b07 - T44n1851_p0586c02. 108번뇌(百八煩惱)
"第六門中。就前十使。辨明九十八使等義。於中有五。一分十使為九十八使。二就九十八使明十一遍。三就九十八使明九上緣。四就九十八明十八無漏緣使。五就九十八辨明百八諸煩惱義。初言分十為九十八者。依如毘曇。彼前十使界行種別為九十八。界謂三界。行謂五行。四諦修道名為五也。種謂十種。將彼十使。隨行分別。有三十六。苦下有十。集下有七。所謂邪見見取及疑貪瞋癡慢。滅下有七。與集相似。道下有八。謂前七上加一戒取。修道有四。貪瞋癡慢。此等增減。廣如上釋。此三十六。隨界分別為九十八。欲界地中具三十六。色界地中有三十一。謂五行下。各除一瞋。餘者具有。無色亦爾。有三十一。是故通合有九十八。毘曇如是。成實論中。但言十使為九十八。不列名字。然彼宗中。十使煩惱。俱迷四諦。並通三界。不知若為作九十八。人家相傳釋有兩種。一言十使在於九地。始從欲界乃至非想。即為九十。修道四使已起未起。離之為八。通前合有九十八使。何故修惑不隨地別。以非發業招生惑故。第二說者。十使煩惱迷於四諦。即為四十。通修道中四使煩惱有四十四。各有已起未起之別。為八十八。通本十使為九十八。既非經論。難輒依信。辨相如是(此一門竟)。"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三細(삼세)".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三細(삼세):
무명업상(無明業相)ㆍ능견상(能見相)ㆍ경계상(境界相). 『대승기신론』에서는 일심진여(一心眞如)를 우주의 근본으로 하고, 여기에서 일체 현상을 내는 것을 무명(無明)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이 무명을 근본불각(根本不覺)ㆍ지말불각(枝末不覺)으로 나눈다. (1) 무명업상. 진여가 무명에 의하여 차별적 현상을 내게 되는 첫걸음으로서, 아직 주관ㆍ객관이 갈라지기 전의 상태. (2) 능견상. 무명업상이 주관ㆍ객관으로 갈라져 대립된 때에, 그 주관적 방면을 말함. (3) 경계상. 능견상인 주관의 앞에 나타나는 객관적 대상의 경계. 진여 본성에 계합하지 않는 허망한 상태를 말함."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六麤(육추)".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六麤(육추):
진여(眞如)가 근본무명(根本無明)의 망심에 의하여 처음으로 기동(起動)을 내는 시초를 무명업상(無明業相)이라 하고, 이에 따라 일방으로 주관적 심작용 능견상(能見相)과, 다른 방면으로 이에 대한 객관적 대상인 경계상이 생기고, 이로부터 더욱 미망(迷妄)의 모양이 생기게 되었음. 이 미망의 모양을 자세하게 밝힌 것이 6추. (1) 지상(智相). 주관적 심작용인 능견상이 객관적 대상인 경계상을 반연하되, 그 실성(實性)을 알지 못하고, 마음 밖에 다른 존재인 줄로 잘못 집착하고 시비 선악의 판단을 내려 사랑하고 미워하는 생각에 사로잡히는 모양. (2) 상속상(相續相). 이 사랑하고 미워하는 망념이 상속하면서 좋은 것에는 즐거워하는 느낌을 일으키고, 미운 것에는 걱정하는 생각을 일으켜 그치지 않고 상속하는 모양. (3) 집취상(執取相). 전상(前相)에 대한 즐겁고 걱정되는 느낌이 단순한 주관적 감정인 줄을 알지 못하고, 객관의 경계인 줄로만 믿어 대경에 깊이 집착하는 모양. (4) 계명자상(計名字相). 우리가 대경의 선악을 분별할 뿐만 아니라, 다시 이름을 붙이고, 그 이름에 집착하여 모든 번뇌를 내는 모양. (5) 기업상(起業相). 이름에 집착하게 되면 반드시 행위가 따르는 것. 이 집착하는 생각으로 짓는 언어와 동작을 기업상이라 함. (6) 업계고상(業繫苦相). 언어 동작으로 지은 모든 업인(業因)에 속박되어 반드시 받게 되는 미(迷)의 고과(苦果). ⇒망경계훈습(妄境界熏習)"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細六粗".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三細六粗:
語出大乘起信論。根本無明起動真如,現出生滅流轉之妄法(迷之現象),其相狀有三細與六粗(九相)之別。細者,無心王與心所之分,其相微細難測;粗者,心王與心所相應,其作用之相粗顯。
三細即:(1)無明業相,略稱業相。指從真起妄的初動之相。即由根本無明起動真如之最初狀態,乃枝末無明中之第一相,此相尚未能區別主客之狀態。(2)能見相,又稱見相。指見初動之相。又稱轉相。依初動業識,轉成能見之相。此係依前述無明業相所起而認識對象之心(主觀)。(3)境界相,又稱現相、境相。由前轉相,而妄現境界之相。蓋能見相既起,則同時妄現此認識對象(客觀)。
六粗即:(1)智相,依境界相妄起分別染淨,於淨境則愛,於染境則不愛,稱為智相。(2)相續相,依智相分別,於愛境則生樂,於不愛境則生苦;覺心起念,相應不斷,稱為相續相。(3)執取相,依前之相續相,緣念苦樂等境,心起執著,稱為執取相。(4)計名字相,依前之執取相,分別假名言說之相,稱為計名字相。(5)起業相,依前之計名字相,執取生著,造種種業,稱為起業相。(6)業繫苦相,繫於善惡諸業,有生死逼迫之苦,不得自在,稱為業繫苦相。
依此,若由細相進入粗相,即由不相應心之阿賴耶識位進入相應心之六識位,迷之世界乃隨之展開。是故,若欲抵達悟境,須由粗相向細相邁入。凡夫之境界為粗中之粗(六粗後四相)、菩薩之境界為粗中之細(六粗前二相)及細中之粗(三細後二相)、佛之境界則是細中之細(無明業相)。此外,若以三細六粗配五意,則三細依序配業識、轉識、現識,智相配智識,相續相配相續識。若以之配六染心,則三細依序配根本業不相應染、能見心不相應染、不斷相應染,執取相及計名字相配執相應染。若以之配四相,則業相配生相,能見、境界、智、相續等相配住相,執取、計名字等相配異相,起業相配滅相。〔釋摩訶衍論卷四、大乘起信論義疏卷上之下、起信論疏卷上、大乘起信論義記卷中本〕p834"
↑ 佛門網, "[1]".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三細六麤: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起信論所明。三細者,根本無明相也。六麤者,枝末無明之相也。【參見: 三細條】與【參見: 】"
↑ 星雲, "不善根".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不善根: 梵語 akuśala-mūla。三界諸煩惱之中,欲界五部有三種不善之根,即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此三煩惱,其性唯不善,能生起、資養一切不善之法,故稱不善根。據大毘婆沙論卷一一二載,三煩惱具有五義,故獨立為不善根。五義即:(一)通於五部,(二)遍在六識,(三)是隨眠性,(四)能起粗惡之身業、語業,(五)作斷善根牢強加行。〔增一阿含經卷十三、俱舍論卷十六、大毘婆沙論卷四十七、入阿毘達磨論卷上、順正理論卷四十一〕"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 제6권. p. T31n1585_p0030a21 - T31n1585_p0030a23. 불선근(不善根)
"以貪瞋癡六識相應。正煩惱攝起惡勝故立不善根。斷彼必由通別對治。通唯善慧。別即三根。"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제6권. p. 291 / 583. 불선근(不善根)
"탐 · 진 · 치 심소는 6식과 상응하고, 바로 번뇌에 포함되며, 악을 일으키는 것이 뛰어나기 때문에 불선근(不善根)으로 건립한다. 그것을 단멸하려면 반드시 공통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의 다스림에 의한다. 공통적이라는 것은 오직 선(善)의 혜(慧)이다. 개별적인 것이라는 것은 세 가지 근(根)48)이다.
48)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무치(無癡)의 심소를 말한다."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T.125, 《증일아함경》 제20권 〈28. 성문품(聲聞品)〉. T02n0125_p0653c11 - T02n0125_p0654a09. 성문4과(聲聞四果)
" (七) 聞如是。 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世尊告諸比丘。有四種之人出現於世。云何為四。有似黃藍花沙門。有似邠陀利華沙門。有似柔軟沙門。於柔軟中柔軟沙門。 彼云何名為似黃藍花沙門。或有一人。斷三結使。成須陀洹不退轉法。必至涅槃。極遲。經七死七生。或復家家.一種。猶如黃藍之花朝取暮長。此比丘亦復如是。三結使盡。成須陀洹。不退轉法必至涅槃。極遲。至七死七生。若求方便勇猛意者。家家.一種便成道跡。是謂名為黃藍花沙門。 彼云何名為邠陀利花沙門。或有一人。三結使盡。婬.怒.癡薄。成斯陀含。來至此世盡於苦際。若小遲者。來至此世盡於苦際。若勇猛者。即於此間盡於苦際。猶如邠陀利花。晨朝剖花。向暮萎死。是謂邠陀利花沙門。 彼云何柔軟沙門。或有一人斷五下分結。成阿那含。即於彼般涅槃。不來此世。是謂柔軟沙門。 彼云何柔軟中柔軟沙門。或有一人有漏盡。成無漏心解脫.智慧解脫。於現法中自身作證而自遊戲。生死已盡。梵行已立。所作已辦。更不復受胎。如實知之。是謂柔軟中柔軟沙門。 是謂。比丘。有此四人出現於世。是故。諸比丘。當求方便。於柔軟中作柔軟沙門。如是。諸比丘。當作是學。 爾時。諸比丘聞佛所說。歡喜奉行。
修陀修摩均 賓頭塵.翳.手
鹿頭.廣演義 後樂.柔軟經"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K.649, T.125, 《증일아함경》 제20권 〈28. 성문품(聲聞品)〉. 547-548 / 1393. 성문4과(聲聞四果)
"[ 7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상에는 네 종류의 사람이 출현(出現)한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의 사람인가? 황람(黃藍)꽃과 같은 사문이 있고, 빈다리(邠陀利)꽃과 같은 사문이 있으며,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 있고 부드럽고도 연약한 가운데 더욱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 있다.
저 어떤 이가 황람꽃과 같은 사문인가? 혹 어떤 사람은 3결사(結使)를 끊고 수다원을 이루어 물러나지 않는 법에서 반드시 열반에 이르되 지극히 더뎌서 일곱 번 죽고 일곱 번 태어나야 한다. 혹은 가가(家家)10)의 일종(一種)으로서, 비유하면 마치 황람꽃을 아침에 꺾으면 저녁에 자라나는 것처럼, 그 비구도 그와 같아서 3결사가 이미 다 끊어지고 수다원을 이루어 물러나지 않는 법에서 반드시 열반에 이르되 지극히 더뎌서 일곱 번 죽고 일곱 번 태어나야 한다. 그러나 만일 용맹스러운 마음으로 방편을 구하는 사람이라면 가가의 일종으로서 곧 도적(道跡)을 이루게 된다. 이것을 일러 황람꽃과 같은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이를 빈다리꽃과 같은 사문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3결사가 이미 다 끊고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엷어져서, 사다함을 이루어 이 세상에 한번 와서야 괴로움의 끝을 벗어난다. 그러나 만일 조금 더딘 이라면 이 세상에 와서 괴로움의 끝을 벗어나지만, 만일 용맹스러운 이라면 곧 거기에서 괴로움의 끝을 완전히 벗어난다. 비유하면 마치 빈다리꽃을 아침에 꺾으면 저물어서 시들어지는 것과 같다. 이것을 일러 빈다리꽃과 같은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어떤 이를 부드러운 사문이라 하는가? 어떤 사람은 5하분결(下分結)를 끊고 아나함을 이루어 거기에서 바로 열반에 들어 이 세상에 오지 않는다. 이것을 부드러운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이를 부드럽고 연약한 중에서도 더욱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번뇌가 다 끊어지고 번뇌가 없음을 이룩하게 되어, 심해탈(心解脫)하고 혜해탈(慧解脫)하여, 현재 세상에서 직접 진리를 증득하고는 스스로 즐겁게 노닌다. 그리하여 나고 죽음이 이미 다하였고 범행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을 이미 다 마쳐 다시는 태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 이것을 일러 부드럽고도 연약한 중에서도 더욱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아, 이를 일러 이러한 네 종류의 사람이 세상에 있다고 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방편을 구해 부드럽고 연약한 중에 부드럽고도 연약한 사문이 되도록 해야 하느니라.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수타(修陀)와 수마균(修摩均)과
빈두로(賓頭盧)·가리움[翳]·손[手]과
녹두(鹿頭)와 이치를 자세히 연설함과
뒤에 즐거움과 부드럽고 연약한 경을 설하셨다.
10) 팔리어로는 kola kola라고 한다. 생(生)을 받아 태어나는 곳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이 사람은 욕계(欲界) 9품 사혹(思惑) 중에 혹 3·4품을 끊어 혹은 하늘 중 3·2가(家)에 생을 받거나, 혹은 인간 세상 3·2가에서 생을 받아 태어나 비로소 제2의 사다함(斯陀含)을 증득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 제57권. p. T25n1509_p0465a06 - T25n1509_p0465b01. 성문4과
"「憍尸迦!於汝意云何?閻浮提幾所人得三十七品、三解脫門、八解脫、九次第定、四無礙智、六神通?閻浮提幾所人斷三結故,得須陀洹道?幾所人斷三結,亦婬瞋癡薄故,得斯陀含道?幾所人斷五下分結,得阿那含道?幾所人斷五上分結,得阿羅漢?閻浮提幾所人求辟支佛?幾所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釋提桓因白佛言:「世尊!閻浮提中少所人得三十七品,乃至少所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佛告釋提桓因:「如是!如是!憍尸迦!少所人信佛不壞,信法不壞,信僧不壞;少所人於佛無疑,於法無疑,於僧無疑;少所人於佛決了,於法決了,於僧決了。憍尸迦!亦少所人得三十七品、三解脫門、八解脫、九次第定、四無礙智、六神通。憍尸迦!亦少所人斷三結得須陀洹,斷三結亦婬瞋癡薄得斯陀含,斷五下分結得阿那含,斷五上分結得阿羅漢,少所人求辟支佛。於是中亦少所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於發心中亦少所人行菩薩道。 「何以故?是眾生前世不見佛,不聞法,不供養比丘僧;不布施,不持戒,不忍辱,不精進,不禪定,無智慧;不聞內空、外空乃至無法有法空;亦不聞、不修四念處乃至十八不共法;亦不聞、不修諸三昧門、諸陀羅尼門;亦不聞、不修一切智、一切種智。"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제57권. pp. 1980-1981 / 2698. 성문4과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교시가야,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염부제에서 몇 사람이나 37품(品)과 3해탈문(解脫門)과 8해탈(解脫)과 9차제정(次第定)과 4무애지(無礙智)와 6신통(神通)을 얻더냐?
염부제에서 몇 사람이나 3결(結)을 끊어 수다원(須陀洹)의 도(道)를 얻고, 몇 사람이나 3결을 끊어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얇아진 결과로 사다함(斯陀含)의 도를 얻으며, 몇 사람이나 5하분결(下分結)을 끊어 아나함(阿那含)의 도를 얻고, 몇 사람이나 5상분결(上分結)을 끊어 아라한(阿羅漢)이 되더냐?
염부제에서 몇 사람이나 벽지불을 구하고 몇 사람이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더냐?”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염부제 안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37품을 얻으며,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킵니다.”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교시가야,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부처님을 믿고 무너뜨리지 않으며, 가르침을 믿고 무너뜨리지 않으며, 승가를 믿고 무너뜨리지 않느니라.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부처님에 대하여 의심함이 없고 가르침에 대하여 의심함이 없으며, 승가에 대하여 의심함이 없느니라.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부처님에 대하여 확실히 알고 가르침에 대하여 확실히 알며 승가에 대하여 확실히 아느니라.
교시가야,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사람들만이 37품과 3해탈문과 8해탈과 9차제정과 4무애지와 6신통을 얻느니라.
교시가야,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사람들만이 3결을 끊으면서 수다원이 되고, 3결을 끊고 또한 음욕에 성냄과 어리석음이 얇아져서 사다함이 되며, 5하분결을 끊어 아나함이 되고, 5상분결을 끊어 아라한이 되느니라.
많지 않은 사람들만이 벽지불을 구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더 적은 사람들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며, 그 마음을 내는 이 가운데에서도 더 적은 사람들만이 보살의 도를 행하느니라. 왜냐하면 이 중생들은 전생에 부처님을 뵙지 못하고 가르침을 듣지 못했으며 비구승에게 공양하지 못했기 때문이니라.
또한 보시하지 않고 계율을 지니지 않았으며, 인욕하지 않고 정진하지 않았으며, 선정을 닦지 않고 지혜가 없었기 때문이니라. 내공ㆍ외공에서 무법유법공까지를 듣지 않고, 또한 4념처에서 18불공법까지를 듣지도 않고 닦지도 않았으며, 또한 모든 삼매문과 모든 다라니문을 듣지도 않고 닦지도 않았으며, 또한 일체지와 일체종지를 듣지도 않고 닦지도 않았기 때문이니라."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T29n1558_p0109c04 - T29n1558_p0109c08. 번뇌구(煩惱垢)와 그 근본번뇌
"餘煩惱垢其相云何。頌曰。
煩惱垢六惱 害恨諂誑憍
誑憍從貪生 害恨從瞋起
惱從見取起 諂從諸見生"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955-956 / 1397. 번뇌구(煩惱垢)와 그 근본번뇌
"그 밖의 [수번뇌인] 번뇌구(煩惱垢)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번뇌구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뇌(惱)·
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가 바로 그것이다.
煩惱垢六惱 害恨諂誑憍
'광'과 '교'는 탐에서 생겨난 것이고
'해'와 '한'은 진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며
'뇌'는 견취로부터 일어나고
'첨'은 온갖 견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誑憍從貪生 害恨從瞋起
惱從見取起 諂從諸見生"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T29n1558_p0109b13 - T29n1558_p0109b23. 수번뇌: 8전 또는 10전
"後當略論纏煩惱垢攝者。且應先辯。纏相云何。頌曰。
纏八無慚愧 嫉慳并悔眠
及掉舉惛沈 或十加忿覆
無慚慳掉舉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論曰。根本煩惱亦名為纏。經說欲貪纏為緣故。然品類足說有八纏。毘婆沙宗說纏有十。謂於前八更加忿覆。"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p. 953-954 / 1397. 수번뇌: 8전 또는 10전
"[이러한 수번뇌에 대해서는] 뒤에서 응당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시켜 간략히 논설하리라.
바야흐로 먼저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니, '전'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참·무괴·
질(嫉)·간(慳)·회(悔)·수면(睡眠)
그리고 도거·혼침이 바로 그것이다.
혹은 분(忿)과 부(覆)를 더한 열 가지이다.29)
纏八無慚愧 嫉慳幷悔眠
及掉擧惛沈 或十加忿覆
무참과 간과 도거는
모두 탐에서 생겨난 것이며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무명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다.
無慚慳掉擧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질과 분은 진(瞋)에서 일어난 것이고
회는 의(疑)로부터, '부'에 대해서는 여러 쟁론이 있다.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를 역시 '전'이라고도 이름하니, 경에서 "욕탐의 전을 연(緣)으로 한다"고 설하였기 때문이다.30)
그런데 『품류족론』에서는 8전이 있다고 설하였지만 비바사종(毘婆沙宗)에서는 '전'에 열 가지가 있다고 설하고 있으니,31) 이를테면 앞의 여덟 가지에 다시 분(忿)과 부(覆)를 더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29) 이 같은 열 가지는 유정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에 가두기 때문에 이름하여 '전'이라고 하였다. 혹은 이러한 열 가지가 원인이 되어 온갖 악행을 일으키며, 악취로 잡아 가두기 때문에 이름하여 '전'이라고 하였다.(『현종론』 권제27, 앞의 책, p.225)
30) 『잡아함경』 권제35 제977경(대정장2, p.253상), '시바여, 다섯 가지 인(因)과 다섯 가지 연(緣)으로 인해 심법에 우고(憂苦)가 생기니, 이를테면 욕탐전을 인으로 하고 욕탐전을 연으로 하여 심법에 우고가 생기며…….'
31) 『품류족론』 권제1(한글대장경117, p.23). 『대비바사론』 권제47(한글대장경119, p.508) ; 권제50(동 p.579)."
↑ 佛門網, "十纏". 2013년 5월 15일에 확인
"十纏: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十種纏縛眾生之煩惱。乃附隨貪等根本煩惱而起,與染污心相應而造種種惡行,因其纏縛有情令不得出離生死,故謂之纏。即:(一)無慚,於諸功德及有德者無敬崇,卻忌難之,而不自知恥。(二)無愧,於罪為他人所見而不知恥。(三)嫉,於他人諸興盛事心生不喜。(四)慳,吝於惠施世間資財或出世間法財。(五)悔,追悔於所作之過惡中而令心不安。(六)眠,令心昏懵而無力省察。(七)掉舉,令心不寂靜,無法成就諸禪觀。(八)惛沈,神識昏鈍,於善法身心無力堪住。(九)忿,於違己意之境,則發恚怒而忘失正念。(十)覆,即覆藏自己之罪過。品類足論卷一僅立八纏;大毘婆沙論卷四十七至卷五十又加忿、覆二纏,明示十纏。〔俱舍論卷二十一、大智度論卷七〕
頁數: p504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十種的煩惱。纏就是煩惱的別名,因煩惱能纏縛眾生的身心,使不得出生死和證涅槃。十纏就是無慚、無愧、嫉、慳、悔、睡眠、掉舉、昏沉、瞋忿、覆。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śa paryavasthānāni.
頁數: p.368 - p.369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如八纏中說。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有十種之妄惑,纏縛眾生,不使出生死,不使證涅槃,故名十纏:一無慚、二無愧、三嫉、四慳、五悔、六睡眠、七掉舉、八昏沈、九瞋忿十覆也。見智度論七,俱舍論二十一。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纏者,縛也。謂一切眾生,被此十法纏縛,不能出離生死之苦,證得涅槃之樂也。(梵語涅槃,華言滅度。)
〔一、無慚〕,慚即慚天。謂人於屏處作諸過惡,不自慚恥也。
〔二、無愧〕,愧即愧人。謂於人所見處為諸過非,不知羞愧也。
〔三、嫉〕,嫉者,妒也。謂見他人榮富,心生妒忌也。
〔四、慳〕,慳者,吝也。謂人於世間貲財及出世間法財,不肯惠施也。
〔五、悔〕,悔者,恨也。謂所作之過,蒂(音帝)芥胸臆,不能自安也。(蒂芥者,謂剌鞭也。)
〔六、睡眠〕,睡眠者,謂人昏懵不惺,常樂睡眠,無所省察也。
〔七、掉舉〕,掉舉者,搖動也。謂心念動搖,不能攝伏,於諸禪觀無由成就也。
〔八、昏沉〕,昏沉者,昏鈍沉墜也。謂神識昏鈍,懵然無知,不加精進之功,遂致沉墜苦海也。
〔九、瞋忿〕,嗔忿者,恚怒也。謂人於違情之境,不順己意,便發恚怒,而忘失正念也。
〔十、覆〕,覆者,藏也。謂隱藏所作過惡,惟恐人知,不能悔過而遷善也。
頁數: 出翻譯名義"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本惑". 2016년 2월 4일에 확인
"本惑:
與「隨惑」相對稱。為感得迷果之根本煩惱,即諸惑之體。又作根本惑、根本煩惱。有貪、瞋、癡、慢、疑、惡見等六種,其中,惡見可分為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見,合為十種煩惱。另有以本惑分為見、修二惑;分別配於三界,有見惑八十八使、修惑十種,共合為九十八種。(參閱「見思惑」3779、「根本煩惱」5210)p2487"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8b18 - T29n1558_p0098b24. 업과 유와 근본번뇌
"前言世別皆由業生。業由隨眠方得生長。離隨眠業無感有能。所以者何。隨眠有幾。頌曰。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
論曰。由此隨眠是諸有本故業離此無感有能。"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19권. p. 853 / 1397. 업과 유와 근본번뇌
"앞(권제13 초)에서 세간의 차별은 모두 업으로 말미암아 생겨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업은 수면(隨眠, anusaya)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생장할 수 있으며, 수면을 떠난 업은 유(有, 욕계·색계·무색의 3유)를 초래할 만한 공능을 갖지 않는다.
그 까닭은 무엇이며, 수면에는 몇 가지가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면은 모든 '유(有)'의 근본으로,
이것의 차별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이를테면 탐(貪)·진(瞋)과, 역시 만(慢)·
무명(無明)·견(見), 그리고 의(疑)이다.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수면은 바로 모든 '유'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떠난 업은 유를 초래할 만한 어떠한 공능(功能)도 갖지 못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p. T31n1614_p0855b29 - T31n1614_p0855c02. 번뇌심소(煩惱心所)
"四煩惱六者。一貪二嗔。三慢四無明。五疑六不正見。"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1b15 - T31n1585_p0031b19. 번뇌심소(煩惱心所)
"煩惱心所其相云何。頌曰。
12煩惱謂貪瞋 癡慢疑惡見
論曰。此貪等六性是根本煩惱攝故。得煩惱名。"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6권. p. 305 / 583. 번뇌심소(煩惱心所)
"번뇌심소의 양상은 어떠한가? 게송(『삼십송』의 제12)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번뇌심소는 탐(貪)·진(瞋)·
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이다.124)
논하여 말한다. 이 탐 등 여섯 가지는 체성이 근본번뇌에 포함되기 때문에 번뇌심소라고 이름한다.
124) 번뇌심소 여섯 가지를 밝힌다. 모든 번뇌의 근간인 근본번뇌를 일으키는 심소이다."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根本煩惱". 2016년 2월 4일에 확인
"根本煩惱:
梵語 mūla-kleśa。又作本惑、根本惑。略稱作煩惱。與「隨煩惱」對稱。指諸惑之體可分為貪、瞋、癡、慢、見、疑等六種根本之煩惱。其中,見復分為五,稱為五利使;其他之五煩惱則稱為五鈍使。兩者合之,即為十隨眠。此外亦有八十八使或九十八使之分類。反之,枝末煩惱乃從屬於根本煩惱,具有染污心之作用(染污之心所),又稱隨煩惱、隨惑。
俱舍宗主張枝末煩惱共有十九種,乃大煩惱地法中之放逸、懈怠、不信、昏沉、掉舉(癡除外);大不善地法之無慚、無愧;小煩惱地法之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等。唯識宗則在十九種中除去不定地法(二),而在大煩惱地法加入失念、散亂、不正知(三);以上共為二十種,稱二十隨煩惱。復次,大煩惱地法又稱大隨煩惱(大隨惑)、大不善地法稱中隨煩惱(中隨惑)、小煩惱地法稱小隨煩惱(小隨惑)。〔俱舍論卷十九、卷二十、成唯識論卷六、瑜伽師地論卷六十六〕(參閱「見惑」3781、「煩惱」6940)p5210"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隨煩惱". 2016년 2월 4일에 확인
"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1)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2)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1)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沉、掉舉。(2)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3)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1)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2)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3)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沉、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p7963"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a29 - T31n1605_p0676b02. 수(數)
"何等數故。謂或六或十六。謂貪瞋慢無明疑。見十謂前五見又分五。謂薩迦耶見邊執見邪見見取戒禁取。"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73-74 / 159. 수(數)
"어떠한 것이 중생수(衆生數)에 기인하기 때문입니까?
[74 / 159] 쪽
여섯 가지와 열 가지를 가리킨다. 여섯 가지는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ㆍ의(疑)ㆍ견(見)을 말하고, 열 가지는 앞에서의 다섯 가지와 견을 다시 다섯 가지 살가야견(薩迦耶見)ㆍ변집견(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으로 말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2c16 - T31n1606_p0722c18. 수(數)
"數者。謂或六或十。六謂貪瞋慢無明疑見。十謂前五見。又分五謂薩迦耶見。邊執見邪見見取戒禁取。"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47 / 388. 수(數)
"무엇이 중생수에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까?
여섯 가지와 열 가지를 가리킨다. 여섯 가지는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ㆍ의(疑)ㆍ견(見)을 말하고, 열 가지는 앞에서의 다섯 가지와 다시 견에서의 다섯 가지 살가야견(薩迦耶見)ㆍ변집견(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을 말한다."
↑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삼도(三道):
① 성문이나 보살의 세 가지 수행 단계.
(1) 견도(見道).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見惑)을 끊는 단계.
(2) 수도(修道). 견도에서 사제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을 끊은 후, 다시 수행을 되풀이하여 수혹(修惑)을 끊는 단계.
(3) 무학도(無學道). 모든 번뇌를 끊어 더 닦을 것이 없는 아라한(阿羅漢)의 경지.
② 중생이 미혹한 생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눈 것.
(1) 번뇌도(煩惱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
(2) 업도(業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으로 일으키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3) 고도(苦道).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을 일으킨 과보로 받는 괴로움."
↑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三道(삼도):
[1] 견도(見道)ㆍ수도(修道)ㆍ무학도(無學道).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과정의 3계단. (1) 견도. 온갖 지적(智的)인 미혹(迷惑)에서 벗어나는 지위. (2) 수도. 온갖 정(情)ㆍ의(意)적 방면의 번뇌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수행을 하는 기간. (3) 무학도. 수행을 완료하여 배울 것이 없는 지위.
[2] 혹도(惑道)ㆍ업도(業道)ㆍ고도(苦道). 생사에 유전하는 인과의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혹도. 또는 번뇌도(煩惱道).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과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2) 업도.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 (3) 고도. 3계 6도의 과보를 받는 것. 이리하여 도(道)에 윤전(輪轉)의 뜻이 있다 함은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셋이 바퀴돌 듯 하여 끊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 능통(能通)의 뜻이 있다 함은 혹에서 업을, 업에서 고를 불러내어 전전 상통하여 생사를 되풀이 한다는 뜻. ⇒혹도(惑道)ㆍ혹업고(惑業苦)"
↑ 星雲,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三道: (一)又作三聚。指惑道、業道、苦道;此三者為生死流轉之因果。(一)惑道,又作煩惱道,迷惑惱亂諸法事理之妄心。(二)業道,由妄心所發,乃身口意三業所作。(三)苦道,以惑業為因,招感三界六道之果。道有能通之意,此三者乃由惑起業,由業感苦,於苦復更起惑,輾轉相通,生死不絕,故稱三道;或以輪轉之義,三者輪轉不絕,故亦作三道。金光明玄義卷上以十二因緣配當三道,而謂過去之無明、現在之愛、取等三支為煩惱道,過去之行、現在之有等二支為業道,現在之識、名色、六入、觸、受,及未來之生、老死等七支為苦道。又天台宗就分段、方便、實報等三報而各說三道之別,即以見思之惑為煩惱道,煩惱潤業名為業道,招感界內之生為苦道,此係分段三道;以塵沙惑為煩惱道,無漏之業名為業道,變易生死為苦道,此係方便三道;以無明惑為煩惱道,非漏非無漏之業為業道,彼土變易為苦道,此係實報三道。另據天台圓教之說,三道與法身、般若、解脫等三德,及真性、觀照、資成等三軌,彼此融通,圓妙自在,而共成三千三諦圓具之妙法。〔俱舍論卷九、雜阿毘曇心論卷八、瑜伽師地論卷九十三、華嚴經探玄記卷十三、法華玄義卷五下〕
(二)聲聞、菩薩道位之三階次第,即見道、修道、無學道。(一)見道(梵 darśana-mārga),又作見地。即初見諦理而斷除見惑之階位。(二)修道(梵 bhāvanā-mārga),又作修地、分別地。即數數修習而斷除修惑之階位。(三)無學道(梵 aśaiksa-mārga),又作無學地。即斷盡諸惑,解脫繫縛之階位。其中,前二道亦稱有學道,見道唯無漏,修道通有漏、無漏。若以此三者配當四向四果,則見道為預流向,修道為後三向及預流、一來、不還三果,無學道即阿羅漢果。若以之配唯識五位,則依序為通達位、修習位、究竟位。若以之配十地,則依序為初地、第二地至第九地、第十地及佛地。〔俱舍論卷二十一、卷二十五、彰所知論卷下、大乘義章卷十、華嚴五教章卷三〕(參閱「五位」1087、「四向四果」1683)
(三)十地經論卷十所立之證道、助道、不住道。(一)證道,謂證悟實性之理。「證」有「知得契會」之義;心冥實性,無有分別,契會平等,故稱為證。(二)助道,謂六度等資助之行。「助」有「扶佐資順」之義;扶助諸度等行,而資順菩提,故稱為助。(三)不住道,謂方便、智慧並立,不偏不倚。「不住」有「離著」之義;巧慧雙修,不凝滯於任何一處而遊行在,故稱不住。〔大乘義章卷十〕 p644"
↑ DDB,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三道:
Pronunciations: [py] sāndào [wg] san-tao [hg] 삼도 [mc] samdo [mr] samdo [kk] サンドウ [hb] sandō [qn] tam đạo
Basic Meaning: three holy paths
Senses:
# (i.e. paths where practice is based on enlightenment) of the Yogâcāra school: the path of seeing (or insight) 見道; the path of cultivation 修道 and the path of no further training 無學道 (Skt. triṣu mārgeṣu, mārga-traya). 〔瑜伽論 T 1579.30.435b〕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
# The three evil destinies; see 三惡道. [Charles Muller]
# Defilement, the delusion from which defilement is generated and the karma which is generated from defilement. Called the three paths all have to tread; 輪廻三道, 三輪, i.e.
煩惱道; 惑道; the path of misery, illusion, mortality;
業道 the path of works, action, or doing, productive of karma;
苦道 the resultant path of suffering. As ever recurring they are called the three wheels. [Charles Muller]
# The paths of the three vehicles 三乘.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1015
Bukkyō jiten (Ui) 371
Bulgyo sajeon 397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405b
Iwanami bukkyō jiten 325
Bukkyōgo daijiten (Nakamura) 483d, 1289b
Fo Guang Dictionary 644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026
Bukkyō daijiten (Oda) 646-3, 1680-2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79"
↑ 고려대장경연구소,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삼도 三道:
* ⓟ
* ⓣ
* ⓢ
* ⓔthe three path
[동]삼륜(三輪).
1]혹(惑)과 업(業)과 고(苦)의 3도. 인간이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가는 세 가지 양상. 즉 번뇌, 이 번뇌에 의해 일어나는 업, 이 업의 과보로서 나타나는 고통.
2]수행의 세 단계로서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3]불교를 성취하는 세 입장으로서 삼승(三乘). 연각승 또는 독각승, 보살승, 불승.
4]십업도(十業道) 중의 탐(貪), 진(瞋), 사견(邪見)."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理".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理:
「迷事」之對稱。又稱迷理惑。指見惑。即迷於四諦等真理之煩惱。(參閱「見惑」3781、「修惑」5100)p547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事".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事:
「迷理」之對稱。又稱迷事惑。指修惑。即迷於五塵等事相之煩惱。〔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卷一上〕(參閱「見惑」3781、「修惑」5100)p5469"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理無明".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理無明:
即見惑。乃迷於二諦之理,謂不了第一義諦,迷於諸法緣生本空無我之理,故執為實我。紫柏尊者全集卷十二(卍續一二六‧四二三下):「普光明智中,本無古今凡聖身心,即此不了,名之迷理無明。」(參閱「見惑」3781、「無明」6415)p547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事無明".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事無明:
即是思惑。小乘俱舍宗以執迷於現象事物之迷事惑為「修惑」。俱舍論卷二十五(大二九‧一二九下)載:貪、瞋、癡、慢及無明等四煩惱,對色、聲、香、味、觸等境,生起染著、憎背、高舉及不了之行相轉,由於這種修惑遍起於三界九地,迷事難斷,故闇昧事理,也不通達真理。大乘唯識宗則以「迷事無明」為十五種無明之一,認為是與生俱來的先天煩惱,因為有見思之煩惱,故障蔽生死之事而不能出離,遂成「迷事無明」。〔俱舍論卷二十〕(參閱「迷事」5469、「無明」 6415)p5469"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惑". 2016년 2월 5일에 확인
"見惑:
見道所斷惑(梵 darśana-mārga-prahātavyānuśaya)之略稱。又作見煩惱、見障、見一處住地。指在見道時所斷滅之惑。修道時所斷滅之惑,則稱修惑(或思惑)。俱舍宗以執迷於四諦理之迷理惑為見惑,執迷於現象事物之迷事惑為修惑。唯識宗以見惑為後天之煩惱,稱為分別起,係因邪師或邪教等誘導,而於心上生起者;修惑為與生俱來,而自然產生之先天性煩惱,稱為俱生起(表一)。此外,以見思二惑為空觀能斷之煩惱,故天台宗立此二惑,而與塵沙惑、無明惑並稱三惑。其中,見思惑因對三界內之事物而起,能招感三界之生死(即迷的生存),故稱界內惑。並以其共通三乘所斷之煩惱,故亦稱通惑。
(1)據小乘俱舍宗,見惑凡八十八種,稱為見惑八十八使(表二)。即見道所滅之根本煩惱有五利使(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五鈍使(貪、瞋、癡、慢、疑)等十惑。於見道觀三界之各四諦,其所斷之見惑各各不同,即於欲界苦諦所斷有十使;集、滅二諦所斷各有七使(除五利使中之身見、邊見、戒禁取見);道諦所斷有八使(除五利使中之身見、邊見),共斷三十二使。於色界、無色界各四諦所斷皆如欲界,然各諦之下又除瞋使,故各斷二十八使。色界、無色界共計斷五十六使,故三界共計斷八十八使。復次,十惑中,小乘以貪、瞋、癡、慢四者通於見修二道所斷,疑與五見,則唯為見所斷,說修惑有八十一種,稱為修惑八十一品(表三)。即修道時所滅之根本煩惱計有十種,在欲界有貪、瞋、癡、慢,在色界、無色界各有貪、癡、慢。若以此十種配合九地,更依煩惱之強弱來分,則由上上品至下下品九種,共為八十一品。見惑八十八使與十種修惑,合稱九十八隨眠。
(2)大乘唯識宗以十惑中之貪、瞋、癡、慢、身見、邊見六者通於見修二道所斷,其餘四者唯為見所斷,而說見惑有一一二種,即欲界之四諦下各有貪、瞋、癡、慢、疑、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十惑,共為四十惑;色界、無色界各四諦下各除瞋,而為九惑,合為七十二惑,故三界合計一一二惑。修惑有十六種,即於欲界有貪、瞋、癡、慢、身見、邊見等六惑;色界、無色界則各除瞋而為五惑,合為十惑,三界合計十六惑。見思二種,總計共有一二八根本煩惱(表四)。〔俱舍論卷十九、成唯識論卷六、雜阿毘曇心論卷四、瑜伽師地論卷八十六、阿毘達磨順正理論卷六十五、成唯識論述記卷六下、成唯識論了義燈卷五末、摩訶止觀卷五下、俱舍論光記卷十九〕(參閱「九十八隨眠」205、「見道」3784、「修惑」5100)p3781"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見惑(견혹)". 2016년 2월 5일에 확인
"見惑(견혹):
↔수혹(修惑). 견번뇌(見煩惱)ㆍ견장(見障)이라고도 함. 견도위(見道位)에서 4제(諦)의 이치를 볼 때에 끓는 번뇌, 곧 진리가 밝혀지지 않은 미(迷). 그 자체에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ㆍ탐(貪)ㆍ진(瞋)ㆍ치(癡)ㆍ만(慢)ㆍ의(疑) 등 10종이 있음. 그러나 3계(界)에서 각기 4제(諦)를 관찰하여 끓는 번뇌는 각제(各諦)에서 제각기 다르므로 모두 88사(使)의 견혹이 된다. 욕계에는 고제(苦諦) 아래 10사(使), 집제(集諦)ㆍ멸제(滅諦) 아래 각 7사(使), 도제(道諦) 아래 8사, 도합 32사가 있고, 색계ㆍ무색계에는 각기 욕계의 32사에서 4사를 제하고 28사, 도합 56사가 있으므로 앞에 32사와 합하여 88사가 된다. ⇒견도소단(見道所斷)"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三斷:
斷,乃斷縛離繫而得證之義。三斷指:(一)(1)見所斷(梵 darśana-heya),即於見道之位所斷之法。又作見道所斷之法、見斷。(2)修所斷(梵 bhāvanā-heya),即於修道之位所斷之法。又作修道所斷之法、修斷。(3)非所斷(梵 a-heya), 即非見道、修道之位所斷之法。又作非所斷之法、非斷。
大、小二乘對三斷之解釋略有出入,茲就小乘之觀點而論,據俱舍論卷二、品類足論卷二等所舉,三斷指:(1)見所斷,謂聲聞初果之人,斷惑見理,稱為見道;因其斷除八十八隨眠,及與之俱有之法與隨行之得,故稱見所斷。(2)修所斷,謂聲聞第二果、第三果之人,修真斷惑,稱為修道;因其斷除十五界(十色界及五識界),及其餘之有漏法(八十一品之惑),及與之俱有之法與隨行之得,故稱修所斷。(3)非所斷,謂聲聞第四果之人,三界煩惱皆已斷竟,證得無漏果,而無惑可斷;亦即有為、無為一切之無漏法,稱為非所斷。又十八界中,意根界、法境界、意識界等三界通於三斷,其餘之十五界唯限於修所斷。
次就大乘之觀點而論,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四、瑜伽師地論卷六十六等所舉,三斷指:(1)見所斷,即分別所起之染污之見、疑、見處、疑處,及於見等所起之邪行、煩惱、隨煩惱,及見等所發之身語意業,與一切惡趣等之蘊、界、處,是為見所斷。(2)修所斷,即得見道之後,與見所斷不同之諸有漏法;亦即斷除分別所起之染污之見等以外,其餘之諸有漏法,是為修所斷。(3)非所斷,即諸無漏法;亦即以出世聖道之無為法,證得無學位,而於無學身中之清淨自性所發之身、語業,是為非所斷。又十八界中之七心界,及色、聲、法三界通於三斷,其餘之八界則唯有見、修二斷。〔大毘婆沙論卷五十一、卷五十二、順正理論卷六、成唯識論卷五、俱舍論光記卷二〕
(二)就所斷之法的性質,而將斷分為自性斷、不生斷、緣縛斷三種。據宗鏡錄卷七十六所舉,即:(1)自性斷,謂於智慧起時,煩惱闇障之自性應斷。(2)不生斷,謂證得初地法空之時,能令三塗惡道之苦果永不更生。(3)緣縛斷,謂斷除心中之惑,而於外塵境不起貪、瞋之心,雖緣於境,而不染著,是為緣縛斷。三斷之中,自性、不生二者任運能斷,其皆由緣縛一斷,則能令三界之因果不生。
此外,成唯識論了義燈卷五末,於三斷之外加上相應斷,稱為四斷。〔成唯識論卷八、大明三藏法數卷十〕(參閱「四斷」2363)p915"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分別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分別起:
梵語 parikalpasamutthita。即一切煩惱中,由邪教、邪師、邪思惟等所引起者。為「俱生起」之對稱。十根本煩惱中,疑、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四者均屬之。分別起易斷,故於見道中,證得生法二空之真如時,得頓斷之。〔成唯識論卷一、卷二、卷六、顯揚聖教論卷六、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四〕(參閱「俱生起」5077) p1712"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俱生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俱生起:
梵語 sahaja。略作俱生。與「分別起」對稱。煩惱(心之迷惑)生起時有二種型態,故大別煩惱為二,即:(1)俱生起,與生俱來之先天性煩惱。(2)分別起,因邪教、邪師等外部勢力,或自己不當之推理分別所起之後天性煩惱。後者之性質強烈,但容易斷除,而前者性質微細,反而極難斷。斷有次第,分別起之惑當為佛道實踐第一階段之見道所斷,故稱見惑。俱生起之惑為第二階段之修道斷除,故稱修惑。又我執,亦分俱生我執、分別我執二種。〔成唯識論卷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七、成唯識論述記卷一末、卷二末〕p5077"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c04 - T31n1605_p0678c14. 중(眾)
"何等眾故。謂二眾煩惱。一見所斷眾。二修所斷眾。見所斷眾復有四種。一見苦所斷眾。二見集所斷眾。三見滅所斷眾。四見道所斷眾。欲界見苦所斷具十煩惱。如見苦所斷見集滅道所斷亦爾。色界見苦等四種所斷。各九煩惱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見所斷煩惱眾。總有一百一十二煩惱。欲界修所斷有六煩惱。謂俱生薩迦耶見邊執見。及貪瞋慢無明。色界修所斷有五煩惱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修所斷煩惱眾。總有十六煩惱。"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83-84 / 159. 중(眾)
"어떠한 것이 중(衆)입니까?
두 가지 중번뇌(衆煩惱)가 있으니 첫째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둘째는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에는 다시 네 종류가 있으니, 첫 번째는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두 번째는 견도의 집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세 번째는 견도의 멸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네 번째는 견도의 도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욕계에서 고제의 인견(忍見)으로 끊어지는 것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가 있다. 고제의 인견에서 끊어지는 경우처럼 집제ㆍ멸제ㆍ도제에서 끊어지는 바도 이와 같다. 색계에서 고제의 인견 등의 네 가지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각각 아홉 가지 번뇌가 있으니, 진은 여기서 제외된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하여 백열두 가지의 번뇌가 있다.
[84 / 159] 쪽
욕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니, 구생(俱生)의 살가야견과 변집견 및 탐ㆍ진ㆍ만ㆍ무명이다. 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진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이같이 수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해서 열여섯 가지의 번뇌가 있게 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6b29 - T31n1606_p0726c25. 중(眾)
"眾云何。謂二眾煩惱。見道所斷眾。修道所斷眾。欲界見苦所斷具十煩惱。如見苦所斷見集滅道所斷亦爾。若迷此起邪行即見此所斷。問若緣此為境即迷此起邪行耶。答不必爾。緣無漏為境。煩惱唯於有漏事隨增故。若是處是彼因緣及所依處。彼迷此起邪行。是見苦所斷如見苦所斷見集滅道所斷亦爾。隨其所應色界見四種所斷。各有九煩惱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見道所斷煩惱眾。總有一百一十二。欲界修所斷有六煩惱。謂俱生薩迦耶見邊執見。及貪瞋慢無明。何等名為修所斷。俱生薩迦耶見。謂聖弟子雖見道已生。而依止此故我慢現行。如經言。長老馱索迦當知。我於五取蘊不見我我所。然於五取蘊有我慢我欲我隨眠。未永斷未遍知未滅未吐。猶如乳母有垢膩衣。雖以鹵土等水浣濯極令離垢。若未香熏臭氣隨轉。復以種種香物熏坌臭氣方盡。如是佛聖弟子。雖以見道永斷分別身見之垢。若未以修道熏習相續。無始串習虛妄執著習氣所引不分別事我見隨轉。復以隨道熏習相續彼方永滅。俱生邊執見者。謂斷見所攝。由此見故於涅槃界其心退轉生大怖畏。謂我我今者何所在耶。貪等煩惱修道所斷者。謂除見品所攝。色界修道所斷有五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修道所斷煩惱總有十六。"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65-166 / 388. 중(眾)
"어떠한 것이 ‘중(衆)’입니까?
두 가지 중번뇌(衆煩惱)가 있으니 첫 번째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두 번째는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에는 다시 네 종류가 있으니, 첫 번째는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두 번째는 견도의 집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세 번째는 견도의 멸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네 번째는 견도의 도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욕계에 처해서 고제의 인견(忍見)으로 끊어지는 것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가 있다. 고제의 인견에서 끊어지는 경우처럼 집제ㆍ멸제ㆍ도제에서 끊어지는 것도 이와 같다. 만약 이것에 미혹해서 삿된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바로 견도에서 끊어지게 된다.
만약 이와 같은 것을 인연하여 경계로 삼게 되면, 바로 이것에 미혹해서 삿된 행위를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무루(無漏)를 인연하여 경계를 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번뇌는 오직 유루의 사물에 있어서만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 같은 처소에 있어서 그러한 것의 인연 및 그 소의처에서 그들이 이것에 미혹해서 삿된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것이다.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경우처럼, 집제ㆍ멸제ㆍ도제에서 끊어지는 것도 이처럼 그 상응하는 것에 따르는 것이다. 욕계에서 고제의 인견 따위의 네 가지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각각 아홉 가지 번뇌가 있으나 진(瞋)은 여기서 제외된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하여 백열두 가지의 번뇌가 있다. 욕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니, 구생(俱生)의 살가야견과 변집견 및 탐ㆍ진ㆍ만ㆍ무명이다.
어떠한 것을 이름하여 ‘수도에서 끊어지는 구생의 살가야견’이라 합니까?
성제자(聖弟子)가 비록 견도(見道)에 이생(已生)하였어도 이것에 의지하는 까닭에 아만(我慢)이 현행(現行)하게 될 것이니, 경전에서 “장로 타색가(駄索迦)여, 숙지하라. 내가 5취온에 있어서 아(我)와 아소(我所)를 발견하지 못했으나, 5취온에는 아만ㆍ아욕(我欲)ㆍ아수면(我隨眠)이 남아 있어서 영원히 끊지 못하고 두루하게 알지 못하고 소멸하지 못하고 토해내지 못한 것이,
[166 / 388] 쪽
마치 유모가 입고 있는 젖내 나는 옷을, 비록 비누나 물 따위로 세탁하여 그때를 벗겨내더라도, 냄새가 배어 있어 그 역한 냄새가 바뀌지 않는 것과 같아서 반드시 갖가지 향료로 훈증해야 역한 냄새가 없어지는 것과 같으니라”고 말씀하신 그대로이다. 이와 같이 부처님의 성제자도 비록 견도로써 유신견(有身見)의 때를 길이 끊었다고 분별하더라도, 만약 수도의 훈습이 상속되지 않는다면, 무시이래로 익혀온 허망한 집착의 습기에 상속되어야만 이러한 것이 영원히 소멸되게 된다.
[釋] ‘구생의 변집견’이란, 단견(斷見)에 소속되는 것이다. 이 같은 견에 연유하여 열반계(涅槃界)에 처했을 때 그 마음이 물러나서 커다란 공포를 일으켜 “아아(我我)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라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탐 따위의 번뇌가 수도에 의해 끊어진다는 것’이란, 견품(見品)에 소속되는 것을 제외한 것이다. 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진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이같이 수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해서 열여섯 가지의 번뇌가 있게 된다."
↑ 佛門網, "內著煩惱". 2016년 2월 19일에 확인
"內著煩惱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身見、邊見等諸煩惱,於內心不了而起執著,故名內著煩惱。(身見者,謂眾生妄執色受想行識之五陰為自身也。邊見者,妄於身見中,或執為斷,或執為常,各執一邊,名邊見也。)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參見: 煩惱】。"
↑ 佛門網, "外著煩惱". 2016년 2월 19일에 확인
"外著煩惱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貪瞋癡等煩惱,於外境不了而起貪蓍,故名外著煩惱。"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須陀洹".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須陀洹:
梵語 srota-āpanna,巴利語 sotāpanna。為聲聞乘四果中最初之聖果。又稱初果。即斷盡「見惑」之聖者所得之果位。全稱須陀般那。又作須氀多阿半那、窣路陀阿鉢囊、窣路多阿半那。舊譯作入流、至流、逆流。新譯作預流。入流,意指初入聖者之流;逆流,謂斷三界之見惑已,方違逆生死之流。又初證聖果者,預入聖道之法流,故稱預流。須陀洹分因果二位,自入「見道」初心至第十五心之間,為趣向須陀洹果之因位,稱須陀洹向;「見道」之終,即第十六心之位,而對於前之向位則稱須陀洹果,為聲聞乘四聖位中之正果初位。又依五教章通路記卷五十,將預流果之人分為三類,即:(1)現般預流,乃三界「修惑」皆斷盡,得「無學果」證般涅槃者。此屬利根之機。(2)現進預流,由進修而斷欲界「修惑」之前六品乃至九品,證「一來果」,並證「不還果」者。屬中根之機。(3)受生預流,指於一、二生或七返人天往來受生者。屬於根器較鈍者。〔增一阿含經卷二十、大毘婆沙論卷四十六、俱舍論卷二十三、瑜伽師地論卷二十六、華嚴五教章卷三〕(參閱「四向四果」2188、「預流果」 7170)p6745"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結".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結". 2013년 5월 30일에 확인
"三結: 梵語 trīni sajyojanāni,巴利語 tīni sajyojanāni。又作初果三結。結,即見惑,眾生由此見惑結縛,不能出離生死。聲聞之人斷盡此惑,即證初果須陀洹,故稱初果三結。即:(一)有身見結(梵 satkāyadrsti-sajyojana),謂眾生於五陰等法中,妄計為身,強立主宰,恒起我見。此乃三三摩地近障法中之空近障,亦為六十二見趣之根本。因諸見趣為餘煩惱之根本,餘煩惱為業之本,諸業又為異熟果之本;依異熟果,則一切善、不善、無記法皆得生長,故當斷之。(二)戒禁取結(梵 śīlavrataparāmarśa-sajyojana),指行邪戒。乃三三摩地近障法中之無願近障,如外道之人,於非戒中謬以為戒,如持雞戒、狗戒等。(三)疑結(梵 vicikitsā-sajyojana),即懷疑正理,迷心背理,不能深信正法。乃三三摩地近障法中之無相近障。以上三結為見惑中之最甚者,故為見惑之總稱,能斷此三結,則證預流果,得不墮法,定趣菩提。〔增一阿含經卷十六、大毘婆沙論卷四十六、大乘義章卷五末〕 p631"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삼결(三結)". 2013년 5월 30일에 확인
"삼결(三結): 견도(見道)에서 끊는 세 가지 번뇌.
(1) 유신견결(有身見結). 오온(五蘊)의 일시적 화합에 지나지 않는 신체에 불변하는 자아가 있고, 또 오온은 자아의 소유라는 그릇된 견해.
(2) 계금취결(戒禁取結).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번뇌.
(3) 의결(疑結). 바른 이치를 의심하는 번뇌. 이 세 가지 번뇌를 끊으면 수다원(須陀洹)의 경지에 이른다고 함.
동의어: 삼박결(三縛結)
↑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三結". 2013년 5월 30일에 확인
"三結: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ties: (a) 見結 , the tie of false views, e.g. of a permanent ego; (b) 戒取結 of discipline; (c) 疑結 of doubt. The three are also parts of見惑 used for it.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生死流轉的三種關鍵束縛,即「身見(另譯作『薩迦耶見、有身見、身見、我見、身邪結』,執著『永恆、不變、獨存、自在、能主宰』的『真我』)、戒禁取(另譯作『戒盜結』,誓守禁戒與禁忌)、疑(疑結,對正法的疑惑)」,為證得須陀洹果者必須斷除者,《根有律》又譯為「斷三分結」。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十七卷九頁云:又於三品,由三種門,為障礙故;當知建立三結差別。謂未發趣故;雖已發趣,邪成立故;於正法中,不正行故。即在家品,處惡說法毘奈耶中;而出家品,處善說法毘奈耶品。
二解 大毗婆沙論四十六卷五頁云:有三結。謂有身見結,戒禁取結,疑結。問:此三結,以何為自性?答:以二十一事為自性。謂有身見結,三界見苦所斷,有三事。戒禁取結,三界見苦道所斷,有六事。疑結、三界見苦集滅道所斷,有十二事。此二十一事,是三結自性我物相分自體本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結?結是何義?答:繫縛義,是結義。合苦義,是結義。雜毒義,是結義。此中繫縛義是結義者。謂結即是繫。云何知然?如契經說:尊者執大藏往尊者舍利子所,問言:大德。為眼結色,色結眼耶?乃至意法,為問亦爾。舍利子言:眼不結色,色不結眼。此中欲貪,說名能結。乃至意法,亦復如是。如黑白牛,同一靷繫。若有問言:為黑繫白,白繫黑耶?應正答言:黑不繫白,白不繫黑。此中有靷,說名能繫。由此故知結即是繫。合苦義是結義者:謂欲界結,令欲界有情,與欲界苦合;非樂。色界結,令色界有情,與色界苦合;非樂。無色界結,令無色界有情,與無色界苦合;非樂。雜毒義,是結義者:謂勝妙生及有漏定。如無量解脫勝處遍處等,以雜煩惱故;聖者厭離。如雜毒食,雖復美妙;智者遠之。如彼卷五頁至十二頁廣說。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得預流果人所斷之三種煩惱。【參見: 結】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kleśa-traya, tri-saṃyojana, trīṇi…saṃyojanāni
頁數: p6"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斯陀含".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斯陀含:
梵語 sakṛd-āgāmin,巴利語 sakad-āgāmin。又作沙羯利陀伽彌。意譯作一來、一往來。係沙門四果之第二。又分為斯陀含向與斯陀含果,即預流果(初果)之聖者進而更斷除欲界一品至五品之修惑,稱為斯陀含向,或一來果向;若更斷除欲界第六品之修惑,尚須由天上至人間一度受生,方可般涅槃,至此以後,不再受生,稱為斯陀含果,或一來果。以其僅餘下品之貪瞋癡,故又稱薄貪瞋癡、薄地。
增一阿含經卷二十(大二‧六五三下):「云何名為邠陀利花沙門?或有一人,三結使盡,婬怒癡薄,成斯陀含果,來至此世,盡於苦際;若小遲者,來至此世,盡於苦際;若勇猛者,即於此間盡於苦際,猶如邠陀利花,晨朝剖花,向暮萎死,是謂邠陀利花沙門。」準此,可知同是一來果之聖者亦可細別為二:(1) 其修行之功勇猛迅捷者,稱為邠陀利花沙門。(2)修行之功較為遲緩鈍下者,稱為一來,即經中所謂之「小遲者」。又據北本大般涅槃經卷十載,得斯陀含果者未來過六萬劫,當得證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無上正等正覺),此即所謂「五果迴心」之說。〔雜阿含經卷四十一、卷四十七、中阿含卷八阿修羅經、卷九瞻波經、卷二十一說處經、卷四十七瞿曇彌經、大毘婆沙論卷五十三、俱舍論卷二十四、順正理論卷六十四〕(參閱「五果迴心」1467、「四向四果」 2188)p627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阿那含".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阿那含:
梵語 anāgāmin。舊譯作阿那伽彌、阿那伽迷。略稱那含。意譯不還、不來、不來相。乃聲聞四果中第三果之聖者。彼等已斷盡欲界九品之惑,不再還來欲界受生。此階位之聖者中,若九品之惑全部斷盡,則稱阿那含果;若斷除七品或八品,則稱阿那含向;若斷除七、八品,而所餘之一、二品尚須對治成無漏之根,更須一度受生至欲界,稱為一間(梵 ekavīcika)。又於阿那含果中,復有五種不還、七種不還、九種不還等別。〔中阿含經卷三伽藍經、大智度論卷三十二、大乘義章卷十一、慧苑音義卷上〕(參閱「五種不還」1541)p459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五下分結".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五下分結: 梵語 pañca-āvarabhāgīya-sajyojanāni。指順益下分界之五種結惑。乃對五上分結而立五下分結。全稱五順下分結。略稱五下結、五下。即三界中之下分界(欲界)之五種結惑,繫縛眾生,令其不得超脫其界。五下分結即:(一)欲貪,於順情境上生起貪著之心而無有厭足。(二)瞋恚,於違情境上生起瞋恨之心而不自已。(三)有身見,於名(心)、色(色身)、五陰、十二入、十八界等妄計為身,執著我見。(四)戒禁取見,取執非理無道之邪戒。(五)疑,迷心乖理,狐疑不決,由此疑惑而迷真逐妄,背覺合塵。
欲界眾生由於上述之欲貪與瞋恚二結,遂不得超離欲界,若有能超離者,由有身見等後三結,終亦還下於欲界,故偏立此五種,稱為順下分結。五順下分結以三十一事為自性,所謂欲貪與瞋恚各為欲界五部之所斷,故有十事;有身見為三界見苦所斷,故有三事;戒禁取見為三界各見苦、見道所斷,故有六事;疑為三界各四部之所斷,故有十二事,總成三十一事。〔雜阿含經卷三十二、俱舍論卷二十一、大毘婆沙論卷四十九、順正理論卷五十四、大乘義章卷五末〕(參閱「五部」1154) p1055"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8c23 - T29n1558_p0109a19. 5순하분결(五順下分結)
"佛於餘處依差別門。即以結聲說有五種。頌曰。
又五順下分 由二不超欲
由三復還下 攝門根故三
或不欲發趣 迷道及疑道
能障趣解脫 故唯說斷三
論曰。何等為五。謂有身見戒禁取疑欲貪瞋恚。何緣此五名順下分。此五順益下分界故。謂唯欲界得下分名。此五於彼能為順益。由後二種不能超欲界。設有能超由前三還下。如守獄卒防邏人故。有餘師說。言下分者。謂下有情即諸異生。及下界即欲界。前三能障超下有情。後二能令不超下界。故五皆得順下分名。諸得預流六煩惱斷。何緣但說斷三結耶。理實應言斷六煩惱。攝門根故但說斷三。謂所斷中類有三種。唯一通二通四部故。說斷三種攝彼三門。又所斷中三隨三轉。謂邊執見隨身見轉。見取隨戒取轉。邪見隨疑轉。說斷三種攝彼三根。故說斷三已說斷六。有作是釋。凡趣異方有三種障。一不欲發。二迷正道。依邪道故。三疑正道。趣解脫者亦有如斯相似三障。謂由身見怖畏解脫不欲發趣。由戒禁取依執邪道迷失正路。由疑於道深懷猶預。佛顯預流永斷如是趣解脫障故說斷三。"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1권. pp. 947-950 / 1397. 5순하분결(五順下分結)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또 다른 곳에서 차별문(差別門)에 근거하여 '결'이라고 하는 말에는 다섯 가지 종류의 번뇌가 있다고 설하신다.13)
게송으로 말하겠다.
또한 5순하분결(順下分結)이라는 것이 있는데
두 가지에 의해 욕계를 초월하지 못하고
세 가지에 의해 다시 하계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갈래[門]와 근본[根]에 포섭되기 때문에 세 가지이다.
又五順下分 由二不超欲
由三復還下 攝門根故三
혹은 다른 곳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고
도에 미혹하고 아울러 도에 대한 의심이
해탈로 나아가는 것을 능히 장애하니
그래서 오로지 세 가지를 끊으라고 설한 것이다.
或不欲發趣 迷道及疑道
能障趣解脫 故唯說斷三
논하여 말하겠다. 무엇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가?
이를테면 유신견과 계금취와 의(疑)와 욕탐(欲貪)과 진에(瞋恚)가 바로 그것이다.
어떠한 연유에서 이러한 다섯 가지를 '순하분'이라 이름한 것인가?
이 러한 다섯 가지는 하분(下分)의 세계에 수순하여 증익[順益]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오로지 욕계만이 '하분'이라는 명칭을 획득하는데, 이러한 다섯 가지는 그 같은 욕계에서만 능히 수순하여 증익하는 것이다. 즉 [이생은 비록 성법을 획득하였을지라도] 뒤의 두 가지 종류(욕탐과 진에)로 말미암아 능히 욕계를 초월하지 못하며, 설혹 능히 초월하는 경우가 있을지라도 앞의 세 가지(유신견·계금취·의)로 말미암아 다시 되돌아오니, 마치 감옥을 지키는 옥졸과 순라꾼과 같기 때문이다.14)
그런데 유여사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하분이라는 말은 이를테면 하계의 유정 즉 온갖 이생과 하계 즉 욕계를 말하는데, 앞의 세 가지는 하계의 유정을 초월하는 것을 능히 장애하며, 뒤의 두 가지는 그들로 하여금 능히 하계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이 다섯 가지는 모두 '순하분'이라는 명칭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15)
예류과를 획득한 모든 이는 여섯 가지 번뇌를 끊는데, 어떠한 연유에서 다만 3결만을 끊었다고 설하고 있는 것인가?16)
이치상으로는 실로 마땅히 여섯 가지 번뇌를 끊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나 [세존께서는] 갈래[門]와 근본[根]에 포섭시켰기 때문에 단지 세 가지만을 끊었다고 설한 것이다. 이를테면 [견]소단의 번뇌에는 세 종류의 유형이 있으니, 오로지 1부(部)에 의해 끊어지는 것과 2부에 통하는 것과 4부에 통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종류만을 끊었다고 설하면 그러한 세 갈래를 포섭하게 되는 것이다.17) 또한 [견]소단 중의 세 가지는 세 가지에 따라 일어나니, 이를테면 변집견은 유신견에 따라 일어나고, 견취는 계금취에 따라 일어나고, 사견은 의(疑)에 따라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 가지 종류를 끊은 것에 대해서만 설하면 그러한 세 근본을 포섭하게 되는 것이다.18) 따라서 이러한 세 가지 근본을 끊었다고만 설하면 이미 여섯 가지 번뇌를 끊었다고 설한 것이 되는 것이다.
그 런데 어떤 이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다른 지방으로 나아가는 자에게는 세 가지의 장애가 있다. 첫째는 출발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며, 둘째는 올바른 길[正道]에 미혹하여 삿된 도[邪道]에 의지하는 것이며, 셋째는 올바른 길을 의심하는 것이다.19) 이와 마찬가지로 해탈로 나아가는 자에게도 이와 서로 유사한 세 가지의 장애가 있으니, 이를테면 유신견으로 말미암아 해탈을 두려워하여 그곳으로 나아가려고 하지 않는 것이며,20) 계금취로 말미암아 사도(邪道)에 의지하여 올바른 길을 잃어버리는 것이며, 의(疑)로 말미암아 도에 대해 깊은 의혹을 품는 것을 말한다. 즉 부처님께서는, 예류(預流)는 이처럼 해탈로 나아갈 때의 장애를 영원히 끊었다고 하는 사실을 나타내고자 하셨기 때문에 세 가지 번뇌(유신견·계금취·의)만을 끊었다고 설하신 것이다."
13) 『중아함경』 권제56 『오하분결경(五下分結經)』(대정장1, p.77상) ; 『장아함경』 권제8 『중집경』(동 p.51하).
14) 욕탐과 진에는 마치 감옥을 지키는 옥졸과도 같으니, 그들의 단속으로 말미암아 감옥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신견 등의 세 가지는 순라꾼과 같으니, 설사 어떤 방편으로 욕계의 감옥을 벗어났다 하더라도 그 같은 세 순라꾼에게 붙잡혀 다시 감옥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15) 이 유여사설은 이설(異說)이지만 중현의 『현종론』 권제27(한글대장경201, p.218)에서는 유부 정설로 논설되고 있다. 즉 그는 하분(下分)을 욕계와 욕계의 유정으로 해석하여 욕탐 등은 전자를, 유신견 등은 후자를 능히 떠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분결'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16) 예류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견혹인 5견과 의(疑)의 여섯 가지 근본번뇌를 끊지 않으면 안 되는데, 예컨대 『잡아함경』 권제29 제797경(대정장2, p.205하)에서는 유신·계금취·의의 3결을 끊음으로써 예류과가 될 수 있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물음이다.
17) 여섯 가지 근본번뇌 중에서 유신견과 변집견은 오로지 견고소단이고, 계금취는 견고·견도소단이며, 의와 견취·사견은 견4제소단이기 때문에 오로지 유신·계금·의의 3결을 설하게 되면 앞의 세 갈래[門]의 모든 번뇌를 포섭하게 된다는 뜻.
18) 즉 변집견은 유신견에, 견취는 계금취에, 사견은 의에 의해 생겨나기 때문에 생기의 근본이 되는 능생의 3결만 끊으면 소생의 세 가지도 끊어지게 된다는 뜻.
19) 이를테면 첫 번째는 이곳과 다른 지방의 공덕(좋은 점)과 과실(나쁜 점)을 알았기 때문에 마음을 거두어 가려고 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두 번째는 비록 다른 지방으로 출발하고자 하였을지라도 잘못된 길[邪道]로 들어 그곳에 이르지 못하는 것을 말하며, 세 번째는 두 길에 사람이 모두 다니는 것을 보고 이 길이 그곳으로 나아가는 바른 길인지, 바른 길이 아닌지 도무지 알지 못해 마음에 의혹을 품는 것을 말한다.
20) 집아(執我)의 유신견으로 인해 열반을 단멸로 여겨 두려워하기 때문에 그곳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 것이다. 즉 집아를 공덕이라 여기고, 그것의 단멸을 과실로 여기는 것을 말한다."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阿羅漢".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阿羅漢:
梵語 arhat,巴利語 arahant。為聲聞四果之一,如來十號之一。又作阿盧漢、阿羅訶、阿囉呵、阿黎呵、遏囉曷帝。略稱羅漢、囉呵。意譯應、應供、應真、殺賊、不生、無生、無學、真人。指斷盡三界見、思之惑,證得盡智,而堪受世間大供養之聖者。此果位通於大、小二乘,然一般皆作狹義之解釋,專指小乘佛教中所得之最高果位而言。若廣義言之,則泛指大、小乘佛教中之最高果位。
據成唯識論卷三載,阿羅漢通攝三乘之無學果位,故為佛之異名,亦即如來十號之一。另據俱舍論卷二十四舉出,阿羅漢乃聲聞四果(四沙門果)之一,為小乘之極果。可分為二種,即:(1)阿羅漢向,指尚在修行階段,而趨向於阿羅漢果者。(2)阿羅漢果,指斷盡一切煩惱,得盡智而受世間大供養之聖者。證入此果位者,四智圓融無礙而無法可學,故稱無學、無學果、無學位;若再完成無學正見乃至無學正定之八聖道,以及無學解脫、無學正智等十種無漏法,則稱為十無學支。
關於阿羅漢之語義,據大智度論卷三、大乘義章卷十七本、翻譯名義集卷一、卷二等舉出殺賊、不生、應供三義,稱為阿羅漢三義,為自古以來最常見之說。即:(1)殺賊,賊,指見、思之惑。阿羅漢能斷除三界見、思之惑,故稱殺賊。(2)不生,即無生。阿羅漢證入涅槃,而不復受生於三界中,故稱不生。(3)應供,阿羅漢得漏盡,斷除一切煩惱,應受人天之供養,故稱應供。梵語 arhan,為梵語 arhat(阿羅漢)之單數主格,意譯受供養、受尊敬,故上述三義中,以應供一義較為適切。此外,慧遠於大乘義章卷二十末亦以應化一切眾生、斷盡諸惑等四義解釋阿羅漢。又善見律毘婆沙卷四則舉出打壞三界車輻、遠離一切惡業、無覆藏等五種阿羅漢之釋義。
另就阿羅漢之種類而論,聲聞四果中之阿羅漢,依其根性利鈍之差別,可分為六種。據雜阿毘曇心論卷五、俱舍論卷二十五等所舉,即:(1)退法阿羅漢,又作退相阿羅漢,指遭遇小惡緣即容易退失所得之果位者。(2)思法阿羅漢,又作死相阿羅漢,指由於憂懼退失果位而思自害者。(3)護法阿羅漢,又作守相阿羅漢,指能守護而不致退失果位者。(4)安住法阿羅漢,又作住相阿羅漢,指不退亦不進,而安住於果位者。(5)堪達法阿羅漢,又作可進相阿羅漢,指能迅速精進,而達於不動法者。(6)不動法阿羅漢,又作不壞相阿羅漢,指永不退失所得之法者。
上述六種阿羅漢中,前五種為鈍根者,故得時解脫或時愛心解脫,而後者係屬利根者,故得不時解脫或不動心解脫。詳言之,倘若能遇善因緣而得入定之解脫,稱為時解脫;隨時可入定,而無須等待某種特定因緣之解脫,稱為不時解脫。又善護自己所得之阿羅漢果,並解脫煩惱者,稱為時愛心解脫;不再由於煩惱而退失果位之解脫者,稱為不動心解脫。此外,不動法阿羅漢以其利根之形成,又分為兩種,即:(1)本來生就不動種性者,稱為不退法阿羅漢、不退相阿羅漢。(2)由精進修行而達不動法者,稱為不動法阿羅漢。此二者合上述之五者共為七種阿羅漢。若再加緣覺、佛,則總稱九種阿羅漢,又稱為九無學。
另據中阿含經卷三十、成實論卷一等所舉,以慧解脫、俱解脫取代緣覺、佛,而形成另一種九無學。其中,藉智慧力以解脫煩惱之阿羅漢,稱為慧解脫阿羅漢。若得滅盡定,而於心、智慧兩方面悉皆解脫之阿羅漢,則稱俱解脫阿羅漢。此二者再加無疑解脫阿羅漢(在俱解脫中通達一切文義,而得四無礙解者),則成三種阿羅漢。〔佛本行集經卷三十四、卷四十二、北本涅槃經卷十八、彌勒上生經、大乘阿毘達磨集論卷十四、甘露味論卷上、大毘婆沙論卷九十四、法華義記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末、法華義疏卷一、大日經疏卷一、翻梵語卷一、玄應音義卷八〕(參閱「九無學」234、「六種性」1695、「四向四果」 2188)p4663"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五上分結".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五上分結: 梵語 pañcaūrdhvabhāgīya-sajyojanāni。指順益上分界之五種結惑。全稱五順上分結。略稱五上結、五上。結,繫縛、煩惱之義。於三界中之上下二界各有五種結。五上分結即上分界之色界與無色界之五種結惑,繫縛眾生,令其不得超離其界。五上分結即:(一)色貪,貪著色界五妙欲之煩惱。(二)無色貪,貪著無色界禪定境界之煩惱。(三)掉舉,上二界眾生心念掉動而退失禪定之煩惱。(四)慢,上二界眾生恃自凌他憍慢之煩惱。(五)無明,上二界眾生耽著禪定,而於真性無所明了之煩惱。
此五結以聖者身中之上界修所斷之八事為自性,所謂色貪即色界修所斷愛為一事,無色貪即無色界修所斷愛為一事,掉舉即二界各修所斷掉舉為二事,慢即二界各修所斷慢為二事,無明即二界各修所斷無明為二事,總計八事。又此五上分結唯限於修所斷,不通於見所斷,因見所斷結令人墮下,故不立為順上分結。〔長阿含卷八眾集經、俱舍論卷二十一、大毘婆沙論卷四十九、阿毘達磨發智論卷三、成實論卷十〕(參閱「五下分結」1055) p1055"
↑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49권. p. T27n1545_p0253b23 - T27n1545_p0254c18.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有五順上分結。謂色貪順上分結無色貪順上分結。掉舉順上分結。慢順上分結。無明順上分結。問此五順上分結以何為自性。答以八事為自性謂色貪即色界修所斷愛為一事。無色貪即無色界修所斷愛為一事。掉舉慢無明即色無色界各修所斷掉舉慢無明為六事。由此五順上分結以八事為自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順上分結。順上分結是何義答令趣上義。令向上義。令上生相續義。是順上分結義。問若趣上等義是順上分結義者。順上分結應非瀑流。墜溺等是瀑流義故。答瀑流義異順上分義。謂依界地立順上分。彼令有情趣上生故。依解脫道立為瀑流。雖生有頂而令有情沈沒生死不至解脫及聖道故。問何故色界無色界貪各別立為順上分結。餘三二界合立一耶。答餘三亦應依界別立。而不爾者當知有餘。復次欲令所說義易解故以種種語種種文說。復次世尊欲現二門二略二階二蹬二明二炬二文二影。如愛依界別立二結。掉舉慢無明亦應各立二。如掉舉等二界合立愛亦應爾。如是便應順上分結。或八或四為現二門乃至二影互相顯照故作是說。復次愛令界別地別部別愛能增長一切煩惱。愛有愛處所說多過故依界別立為二結。掉舉等三無如是事故。上二界合立為一。問何故唯修所斷立為順上分結。答令趣上生名順上分。見所斷結亦令墮下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上人所行名順上分。上人是聖非諸異生。見所斷結唯異生起故不立為順上分結。於聖者中唯不還者所起諸結立順上分。問因論生論何故預流及一來者所起諸結非順上分。答順上分者。謂趣上生預流一來所起諸結亦令生下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若越度界亦得果者彼所起結立順上分。預流一來雖復得果非越度界故。彼所起非順上分。復次若越度界亦斷不善煩惱盡者。所起諸結立順上分。順流一來二事俱闕故。所起結非順上分。復次若越度界順下分結亦斷盡者。彼所起結名順上分。預流一來二事俱闕故。所起結非順上分。復次順上分結與順下分所依各異。若身中起順上分結彼必不起順下分結。若身中起順下分結彼必不起順上分結。預流一來身中容起順下分結故。必不起順上分結。復次若不復起似異生業。彼所起結立順上分。預流一來猶復現起似異生業故所起結非順上分。云何彼起似異生業。謂樂著雜綵塗飾香花受畜金銀珍玩寶物驅役作使猶行捶罰。亦與男女同處一床摩觸屍骸。生細滑想。又無慚恥行非梵行。此等名為似異生業。復次若有不復生於血滴。增羯吒私。入於母胎生熟二藏中間住者彼所起結名順上分。預流一來容有此事故。所起結非順上分。如彼契經說。質怛羅居士告諸親友。汝等當知。我定不復生於血滴增羯吒私。入於母胎生熟二藏中間止住。我已永斷五順下分不復還退受欲界生。尊者妙音亦作是說。解脫貪欲瞋恚結者。我說解脫入母胎事。問順上分中。掉舉自性為是結不。設爾何失。若是結者。品類足說當云何通。如說云何結法。謂九結。云何非結法。謂除九結諸餘法。若非結者此經所說當云何通。如說。云何五順上分結。謂色貪無色貪掉舉慢無明。答應言是結。問品類足說當云何通。答外國諸師所誦異此。謂彼誦言云何結法。謂九結及順上分結中掉舉。云何非結法。謂除九結及順上分結中掉舉諸餘法。問迦濕彌羅國諸師何故不如彼誦。答此亦應如彼誦而不誦者有別意趣。以彼掉舉是結非結不決定故。謂掉舉性少分是結。即上二界者。少分非結即欲界者。或有是結即聖所起者。或有非結即異生起者。有位是結即已離欲染聖者所起。有位非結即未離欲染聖者所起。問何故掉舉上二界者是結。欲界者非結耶。答以欲界非定界。非修地。非離染地。無勝定慧。能覺掉舉為擾亂事故不立結。色無色界是定界。是修地。是離染地。有勝定慧。能覺掉舉為擾亂事故立為結。如近村邑雖發大聲亦不為患。阿練若處雖發小聲亦以為患。復次欲界多有非法煩惱。如忿恨等覆障掉舉令不明了故不立結。色無色界無多如此非法煩惱覆障掉舉。彼明了故立之為結。如近村邑惡行苾芻雖多不覺。阿練若處惡行苾芻雖少易覺。問惛沈掉舉俱通三界。俱遍六識。俱通五部。並與一切染污心俱。何緣掉舉立順上分。非惛沈耶。答以彼掉舉為過猛利過重過多故佛立為順上分結。亦由此故立十煩惱大地法中。又由此故外國所誦品類足說云何結法。謂九結及順上分結中掉舉。又由此故雜蘊已說云何不共無明隨眠云何不共掉舉纏。又由此故施設論說異生欲貪隨眠起時有五法起。一欲貪隨眠。二欲貪隨眠。隨生有誦欲貪隨眠增益。三無明隨眠。四無明隨眠。隨生有誦無明隨眠增益。五掉舉。惛沈不爾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以掉舉纏行相明利所作捷速。擾亂五支四支定慧故。佛立為順上分結惛沈行相闇昧遲鈍與定相似能隨順定故惛沈者能速發定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惛沈既是無明等流。無明復是順上分結。覆障惛沈令不明了。是故惛沈非順上分。問上界亦有諂誑憍三。何不立為順上分結。答諸煩惱垢麤動易息繫縛用劣。故不立在諸結聚中即由此義。脅尊者言。佛知諸法性相勢用。堪立結者便立為結。若不爾者則不立之故不應責。尊者妙音亦作是說諂誑憍等麤動易息。不順結義故不立結。一切隨眠纏中少分可立為結。"
↑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49권. pp. 1292-1297 / 1338.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論] 5순상분결(順上分結)이 있다. 색탐(色貪)의 순상분결ㆍ무색탐(無色貪)의 순상분결ㆍ도거(掉擧)의 순상분결ㆍ만(慢)의 순상분결ㆍ무명(無明)의 순상분결이다.
[문] 이 5순상분결은 무엇으로써 자성을 삼는가?
[답] 여덟 가지 일로써 자성을 삼는다. 색탐에서는 곧 색계(色界)의 수도에서 끊어야 할 애(愛)에서 한 가지 일을 삼고, 무색탐에서는 곧 무색계(無色界)의 수도에서 끊어야 할 애에서 한 가지 일을 삼으며, 도거와 만과 무명에서는 곧 색계와 무색계에서 각각 수도에서 끊어야 할 도거와 만과 무명에서 여섯 가지 일을 삼는다. 이로 말미암아 5순상분결은 여덟 가지 일로써 자성을 삼는다.
이미 자성을 말했으므로 이제는 그 까닭을 말하겠다.
[문] 무엇 때문에 순상분결(順上分結)이라 하는가? 순상분결이란 무슨 뜻인가?
[답] 위로 나아가게 한다[趣上]는 뜻이요 위를 향하게 한다[向上]는 뜻이며 위에 나서 상속하게 한다[上生相續]는 뜻이니 이것이 순상분결의 뜻이다.
[문] 만일 위로 나아가게 한다는 등의 뜻이 순상분결의 뜻이라면 순상분결은 폭류(瀑流)가 아니어야 하니 떨어져 빠진다[墜溺]는 등이 폭류의 뜻이기 때문이다.
[답] 폭류의 뜻은 순상분(順上分)의 뜻과는 다르다. 계(界)ㆍ지(地)에 의거하여 순상분을 세우는 것이니 그것은 유정으로 하여금 상생(上生)에 나아가게 하기 때문이며, 해탈도(解脫道)에 의거하여 폭류를 세우는 것이니 비록 유정(有頂)에 난다 해도 유정으로 하여금 생사에 침몰하게 하고 해탈과 성도(聖道)에 이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문] 무엇 때문에 색계와 무색계의 탐은 각각 따로따로 순상분결을 세우면서도 나머지 세 가지는 두 세계를 합쳐서 하나로 세우는가?
[답] 나머지 세 가지도 세계에 의거하여 따로 세워야 하는데도 그렇지 않은 것은 그 밖의 다른 것이 있는 줄 알아야 한다.
또 말한 뜻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갖가지 말과 갖가지 문자로써 말하는 것이다.
또 세존께서는 두 가지 문[二門]과 두 가지 길[二略]과 두 가지 섬돌[二階]과 두 가지 층계[二蹬]와 두 가지 광명[二明]과 두 가지 횃불[二炬]과 두 가지 무늬[二文]와 두 가지 그림자[二影]를 나타내려고 하신 것이다. 마치 애(愛)를 따로 2결(結)을 세우는 것처럼 도거와 만과 무명도 각각 두 가지로 세워야 하며 마치 도거 등은 두 세계를 합쳐서 세우는 것처럼 애도 그러해야 한다. 이와 같이 곧 순상분결은 여덟 가지가 되기도 하고, 혹은 네 가지가 되기도 하는 것이니 두 가지 문과 나아가 두 가지 그림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서로서로 밝게 비추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다.
또 애(愛)는 계별(界別)ㆍ지별(地別)ㆍ부별(部別)의 애로 하여금 온갖 번뇌를 키우고 자라게 하며 애는 애처(愛處)에서 말한 많은 허물이 있기 때문에 세계에 의하여 따로 2결을 세우지만 도거 등 세 가지에는 이러한 일이 없기 때문에 위의 두 세계를 합쳐서 하나로 세운다.
[문] 무엇 때문에 오직 수도에서만 끊어야 할 것으로 순상분결을 세우는가?
[답] 상생(上生)에 나아가게 하는 것을 순상분이라 하고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결(結)은 아래로 떨어지게 하기 때문에 순상분결을 세우지 않는다.
또 상인(上人)이 행할 것을 순상분이라 한다. 상인이란 성자로 모든 이생이 아니다.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결은 오직 이생만이 일으키기 때문에 순상분결을 세우지 않으며 성자 중에서는 오직 불환자(不還者)가 일으키는 모든 결만을 순상분으로 세우는 것이다.
[문] 논(論)으로 인하여 논을 내는구료. 무엇 때문에 예류(預流)와 일래(一來)가 일으키는 모든 결은 순상분이 아닌가?
[답] 순상분이란 상생에 나아가게 하는 것이지만 예류와 일래가 일으키는 모든 결은 또한 아래에 태어나게 하기 때문에 순상분결을 세우지 않는다.
또 만일 세계를 초월하고 또한 과(果)를 얻는다면 그가 일으키는 결을 순상분으로 세우겠지만 예류와 일래는 비록 과는 얻는다 해도 세계를 초월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또 만일 세계를 초월하고 또한 불선(不善)의 번뇌를 끊어 다한 이면 일으키는 모든 결은 순상분으로 세우겠지만 예류와 일래는 두 가지 일을 다 같이 궐(闕)하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또 만일 세계를 초월하고 순하분결(順下分結)도 끊고 다한 이면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라 하겠지만 예류와 일래에는 두 가지 일이 다 같이 궐하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또 순상분결과 순하분결은 소의(所依)가 각각 다르다. 만일 몸속에서 순상분결을 일으키면 그는 반드시 순하분결을 일으키지 않으며, 만일 몸속에서 순하분결을 일으키면 그는 반드시 순상분결을 일으키지 않는데 예류와 일래의 몸속에서는 순하분결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순상분결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만일 다시 이생(異生)과 유사한 업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으로 세우지만 예류와 일래는 오히려 다시 이생과 유사한 업을 나타내고 일으키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어떻게 그들은 이생과 유사한 업을 일으키는가? 여러 가지 색채를 즐겨 집착하고 향과 꽃을 바르고 장식하며, 금ㆍ은을 받아 저장하고 보물을 진귀하게 여기며 하인을 몰아 부리며 오히려 때리고 벌을 준다. 또한 남녀가 하나의 평상에 같이 있으면서 신체를 어루만지며 부드럽고 매끄럽다[細滑]는 생각을 내고 또 부끄러워함이 없이 범행(梵行)이 아닌 일을 한다. 이런 것들을 이생과 유사한 업이라 한다.
또 만일 다시 정혈(精血:血適)에서 생겨 갈타사(羯吒私)9)를 더하고 어머니 태(胎)에 들어가 생장(生臧)ㆍ숙장(熟臧)10)의 두 중간에 머무르게 하지 않는 이면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라 하지만 예류와 일래에는 이런 일을 용납함이 있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마치 저 계경에서 “질달라(質怛羅) 거사(居士)가 모든 친우들에게 말하였다.
‘그 대들은 아셔야 합니다. 나는 반드시 다시는 정혈에서 생겨 갈타사를 더하고 모태(母胎)에 들어가 생장ㆍ숙장의 두 중간에 머물러 있게 하지 않으며 나는 이미 5순하분결을 영원히 끊었으므로 다시는 도로 물러나서 욕계의 생(生)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다.
묘음 존자도 “탐욕과 진에의 결을 해탈한 이면 나는 모태에 드는 일을 해탈했다고 하리라”고 말씀하셨다.
[문] 순상분 중에서 도거의 자성은 결(結)인가? 가령 그렇다면 어떤 허물이 있는가? 만일 결이라 한다면 『품류족론(品類足論)』의 말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거기에 “어떤 것이 결의 법인가? 9결이다. 어떤 것이 결의 법이 아닌가? 9결을 제외한 모든 그 밖의 법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다. 만일 결이 아니라 하면 이 경에서 말씀하신 것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이 경에서 “어떤 것이 5순상분결인가? 색탐과 무색탐과 도거와 만과 무명이다”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다.
[답] 결이라고 말해야 한다.
[문] 『품류족론』의 말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답] 외국(外國)의 논사들이 독송[誦]하고 있는 것은 이것과 다르다. 그들은 “어떤 것이 결의 법인가? 9결과 순상분결 중의 도거이다. 어떤 것이 결의 법이 아닌가? 9결과 순상분결 중의 도거를 제외한 모든 그 밖의 법이다”라고 독송한다.
[문]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의 모든 논사들은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이 독송하지 않는가?
[답] 여기서도 그와 같이 독송해야 하는데도 그렇게 독송하지 않는 것은 따로 의취(意趣)가 있어서이니 저 도거가 결인지 결이 아닌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거 성품의 일부분은 곧 결이니 위의 두 세계의 것이며 일부분은 결이 아니니 곧 욕계의 것이다. 혹 어떤 것은 결이며 곧 성자가 일으키는 것이요 혹 어떤 것은 결이 아니며 곧 이생이 일으키는 것이며 어떤 지위에서는 결이며 곧 이미 욕염(欲染)을 여읜 성자가 일으키는 것이요, 어떤 지위에서는 결이 아니며 곧 아직 욕염을 여의지 못한 성자가 일으키는 것이다.
[문] 무엇 때문에 도거는 위의 두 세계에서는 결인데 욕계에서는 결이 아닌가?
[답] 욕계는 정계(定界)가 아니고 수지(修地)가 아니며 이염지(離染地)가 아니어서 수승한 정혜(定慧)로 도거가 요란(擾亂)시키는 일이 됨을 깨달을 수가 없기 때문에 결을 세우지 않지만 색계와 무색계는 정계요 수지이며 이염지이여서 수승한 정혜로 도거가 요란시키는 일을 됨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에 결을 세운다. 마치 촌읍(村邑) 가까운 데서 비록 큰 소리를 지른다 해도 역시 탓할 거리가 되지 않지만 아련야 처소에서는 비록 작은 소리를 낸다 해도 탓할 거리가 되는 것과 같다.
또 욕계에서는 많은 그릇된 법의 번뇌로서 분(忿)ㆍ한(恨) 등과 같은 것이 있어서 도거를 막고 가리어 명료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결을 세우지 않지만 색계와 무색계에는 많은 이와 같은 그릇된 법의 번뇌로서 도거를 막고 가리는 것이 없어 명료하기 때문에 결을 세운다. 마치 촌읍 근처에서 악행을 하는 비구가 비록 많다 하더라도 깨닫지 못하나 아련야 처소에서는 하는 악행이 비록 적다하더라도 쉬이 알게 되는 것과 같다.
[문] 혼침과 도거는 다 같이 삼계(三界)에 통하고 다 같이 6식(識)에 두루하며 다 같이 5부(部)에 통하고 아울러 온갖 염오의 마음[染汚心]과 함께하는데 무슨 연유로 도거는 순상분을 세우면서 혼침은 그렇지 못한 것인가?
[답] 그 도거는 허물이 사납고 허물이 중하고 허물이 많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세워 순상분결을 삼으신 것이다. 또한 이로 말미암아 10번뇌대지법(煩惱大地法) 가운데 두었고 또 이로 말미암아 외국(外國)에서 독송하고 있는 『품류족론』에서 “어떤 것이 결의 법인가? 9결과 순상분결 중의 도거이다”라고 말한 것이며 또 이로 말미암아 잡온(雜蘊)에서 이미 “어떤 것이 불공무명(不共無明)의 수면인가? 어떤 것이 불공도거(不共掉擧)의 전(纏)인가?”라고 물은 것이다.
또 이로 말미암아 『시설론(施設論)』에서 “이생이 욕탐수면(欲貪隨眠)을 일으킬 때에는 다섯 가지 법이 일어난다. 첫째는 욕탐수면이요, 둘째는 욕탐수면에 따라 나는 것[隨生]이며,[어떤 송에서는 욕탐수면의 증익(增益)이라고 한다.] 셋째는 무명수면(無明隨眠)이요, 넷째는 무명수면에 따라 나는 것이며,[어떤 송에서는 무명수면의 증익이라고 한다.] 다섯째는 도거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지만 혼침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순상분결로 세우지 않는다.
또 도거 전(纏)의 행상(行相)은 분명하고 예리하면서 짓는 것이 민첩하고 빠르며 5지(支) 4지(支)의 정혜(定慧)를 요란시키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순상분결을 세우셨다. 혼침의 행상은 어둡고 더디고 무뎌서 선정과 비슷하고 선정을 수순하기 때문에 혼침한 이는 빨리 선정을 일으키기 때문에 순상분결로 세우지 않는다.
또 혼침은 이미 무명의 등류(等流)이며 무명은 또 순상분결이어서 혼침을 막고 가리어 명료하지 않게 하는 것이니 이 때문에 혼침은 순상분이 아니다.
[문] 상계(上界)에도 첨(諂)과 광(誑)과 교(憍)의 세 가지가 있는데 어째서 순상분결로 세우지 않는가?
[답] 모든 번뇌구(煩惱垢)는 거칠게 움직이면서 그치기가 쉽고 계박의 작용이 하열하기 때문에 모든 결 무더기[結聚] 안에 세우지 않는다.
곧 이런 뜻으로 말미암아 협(脅) 존자(尊者)는 “부처님께서는 모든 법의 성(性)ㆍ상(相)ㆍ세용(勢用)을 아시므로 결을 세울 만한 것이면 세우셨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것이면 세우지 않으신 것이니 그러므로 책하지 말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묘음 존자는 “첨ㆍ광ㆍ교 등은 거칠게 움직이면서 그치기가 쉽고 결의 뜻에 수순하지 않기 때문에 결을 세우지 않는 것이며 온갖 수면ㆍ전 중에서 일부분의 세울 수 있는 것으로 결을 삼았다”라고 말씀하셨다.
9) 갈타사는 탐애(貪愛) 또는 혈관(血鑵)으로 번역한다.
10) 생장ㆍ숙장의 두 중간이라 함은 생장(生臧:胃)과 숙장(熟臧:大腸)의 중간이니 자궁(子宮)을 말한다. 곧 불환(不還)은 욕탐(欲貪)과 진에(瞋恚)를 끊었기 때문에 태 속에서 나는[胎生] 일이 없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a19 - T29n1558_p0109a24.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佛於餘經如順下分。說順上分亦有五種。頌曰。
順上分亦五 色無色二貪
掉舉慢無明 令不超上故
論曰。如是五種若未斷時。能令有情不超上界。順益上界故名順上分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1권. p. 950 / 1397.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부처님께서는 또 다른 경에서 "순하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순상분(順上分)에도 역시 다섯 가지 종류가 있다"고 설하셨다.21)
게송으로 말하겠다.
순상분에도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니,
색계·무색계의 두 가지 탐과
도거·만·무명이 바로 그것으로,
상계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順上分亦五 色無色二貪
掉擧慢無明 令不超上故
논하여 말하겠다.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종류는, 만약 그것을 끊지 못하였을 때 유정으로 하여금 능히 상계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니, 상계에 수순하여 증익[順益]하는 번뇌이기 때문에 '순상분결'이라고 이름하였다.22)
21) 『장아함경』 권제8 「중집경」(대정장1, p.51중).
22) 5순상분결은 오로지 수소단의 번뇌로서 유정을 색계·무색계에 계박시켜 해탈하지 못하게 하는 색탐·무색탐·도거·만·무명결을 말한다. 도거·만·무명도 상 2계의 결이므로 사실상 순상분결은 여덟 가지이다. 그럼에도 탐만을 계(界)에 따라 둘로 나눈 것은 그것의 과실이 특히 크기 때문이다."
↑ 정준기 1993, 57-59쪽.
↑ 星雲, "賴耶三位". 2013년 4월 6일에 확인
"賴耶三位: 由「因位」到「果位」,將第八阿賴耶識之變化分為三段以說明之,稱為賴耶三位。此係唯識宗之說。即:(一)我愛執藏現行位,為七地以前之菩薩、二乘之有學位,與一切凡夫等,自無始以來的第八識之位;於此位時,第八識係由第七末那識執有實我實法而成。(二)善惡業果位,乃第八阿賴耶識善惡業之果報相繼生起之位;此為八地以上至十地之菩薩、二乘之有餘依位,乃至全部我愛執藏現行位的第八識之位。於此位中,第八識稱為毘播迦(梵 vipāka),亦即異熟識。(三)相續執持位,即相續執持種子之位;於此位中,第八識稱為阿陀那(梵 ādāna),亦即執持識。謂自無始以來至佛果之盡未來際,在因位時執持善、惡、無記,與漏、無漏之種子,在果位時執持無漏最善之種子,能生起現行諸法。七地以前之菩薩及凡夫等之第八識兼具此三位,八地以上菩薩之第八識具有後二位,達於佛果後,其第八識僅具最後一位。通常將第八識稱為阿賴耶識時,主要係凸顯我愛執藏之過失及眾生第八識之自相。〔成唯識論述記卷二末〕(參閱「阿賴耶識」3676) p6313"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2권. p. 80 / 583. 뇌야삼위(賴耶三位)
"이 식의 자상은 분위(分位)가 많지만 장식(藏識)이라 이름하는 것은, 첫 번째 지위이면서 과실이 크기 때문에 이에 비중을 두어 이름한 것이다.87)
87) 뇌야삼위(賴耶三位) 중에서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의 제8식을 장식(藏識), 즉 아뢰야식이라고 부르는 까닭을 말한다. 뇌야삼위는 수행기간[因位]에서 불과(佛果)의 지위[果位]에 이르는 사이에 제8식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세 가지로 나눈 것으로서, 이외에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가 있다. 아애집장현행위는 제7식이 제8식의 견분을 인식대상[所緣]으로 하여,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실제적 주체[我, ātman]로 착각하여 집착하는 기간이다. 범부로부터 보살은 제7지[遠行地]까지, 2승(乘)은 유학의 성자까지의 제8식을 아뢰야식이라고 이름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물론 선악업과위[異熟識]와 상속집지위[阿陀那識]도 병행하지만, 아애집장현행의 뜻이 가장 강하고 그 과실이 크므로 아뢰야식이라고 부른다. 제8지[不動地] 이상의 보살과 2승의 무학위(아라한)에서는 순(純)무루종자가 상속해서 아집을 영원히 일으키지 않으므로, 제8식에 대해서 아뢰야식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 운허, "我愛執藏現行位(아애집장현행위)". 2013년 4월 6일에 확인
"我愛執藏現行位(아애집장현행위): 뢰야 삼위(賴耶三位:아애집장현행위ㆍ선악업과위ㆍ상속집지위)의 하나. 제7식에게 나라고 집착되는 자리. 끝없는 범부로부터, 보살이면 제7지까지, 2승이면 유학(有學)의 성자(聖者)까지의 제8식. 이 위(位)는 아애집이 현행되는 자리이므로 이런 이름이 있음. 이 위의 제8식을 아뢰야식이라 함."
↑ "組合",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組合(조합): 組 짤 조 合 합할 합/쪽문 합, 홉 홉
①민법(民法) 상(上) 두 사람 이상(以上)이 출자(出資)하여 공동(共同) 사업(事業)을 경영(經營)하는 계약(契約). 단체성(團體性)은 가지나 법인(法人)격을 갖지 않는 것이 보통(普通) ②특별법(特別法) 상(上) 각종(各種)의 공동(共同) 목적(目的)의 수행(遂行)을 위(爲)해 특정(特定) 자격(資格) 있는 사람들에 의(依)해 조직(組織)된 사단법인(社團法人)의 하나 ③몇 개 속에서 정(定)한 수를 뽑아서 모은 수 ④여럿을 모아서 합(合)하여 한 덩어리가 되게 함"
↑ "조작(操作)", 《네이버 국어사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조작(操作):
1. 기계 따위를 일정한 방식에 따라 다루어 움직임.
2. 작업 따위를 잘 처리하여 행함."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法處所攝色".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1)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2)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3)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4)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5)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p4283"
분류: 번뇌
불교 사상
불교 용어
불교 교의
○ [pt op tr]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2(26-1,27-1), T.1545(27-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 고려대장경연구소, "번뇌". 2016년 1월 8일에 확인
" 번뇌 煩惱:
ⓟkilesa
ⓣnyon mongs pa
ⓢkleśa
ⓔaffliction
1]망념(妄念). 심신을 괴롭히고 번거롭히는 정신 작용의 총칭. 탐·진·치라는 3독에 만(慢), 의(疑), 악견(惡見)을 추가한 6종을 근본번뇌라고 하고, 이로부터 파생된 것들을 수번뇌라고 한다. 번뇌를 표현하는 다른 말로는 개(蓋), 결(結), 계(繫), 구(垢), 누(漏), 박(縛), 사(使), 소해(燒害), 액(軛), 전(箭), 조림(稠林), 주올(株杌), 취(取), 폭류(瀑流) 등이 있다.
[동]혹(惑), 수면(隨眠)."
↑ DDB, "煩惱". 2016년 1월 8일에 확인
"煩惱 Readings
Pinyin: fánnǎo
Wade-Giles: fan-nao
Hangul: 번뇌
Korean MC: beonnoe
Korean MR: pŏnnoe
Katakana: ボンノウ
Hepburn: bonnō
phiền não
afflictions
Affective disorders, defilement(s); mental disturbances; emotional negativity (Skt. kleśa; saṃkleśa; Tib. nyon mongs pa, kun nas nyon mongs pa, Pāli kilesa). Also commonly rendered as 惑; transliterated as 吉隷捨. Evil afflictions, carnal desire. All of the thoughts, words, actions and emotions which arise and cease based on nescience and desire which keep human beings trapped in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and which result in suffering. Therefore, Buddhism teaches methods for attaining nirvāṇa/enlightenment as a means of eliminating the afflictions. Their quality, as described in the Yogâcāra system, is either unwholesome 不善, or obstructive without a determinable moral fruition 有覆無記.
Depending upon their specific function in a given situation, the Chinese term 煩惱 has a wide range of synonyms, including: propensities 隨眠 (anuśaya), mental disturbances 惑 (cognitive distortions), pollution 染, bindings 結, bindings and instigations 結使, fetters 縛, snares 纏, yokes 軛, raging currents 暴流, obscuration 蓋, knots 繫, predilections 使, filth 垢, stumps 株杌, burning pain 燒害, darts/arrows 箭, thicket 稠林 (a metaphor for the great number and density of the afflictions), fatigue 塵勞, objective filth 塵垢, adventitious taint 客塵, roots of strife 諍根. Also, afflictions are termed in their substance as defilements proper 正使, and when the substance of the afflictions have been extinguished, the remaining habitual tendencies are called "karmic impressions" 習氣. According to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倶舍論 all afflictions are produced based on the three factors of (1) causal power 因力 (previously functioning afflictions), (2) environmental power 境界力 (the appearance of objects according to desire) and (3) power of application 加行力 (incorrect mental orientation toward objects). According to the Prakaraṇa-abhidharma-āvatāra 入阿毘達磨論 on the other hand, afflictions can be produced based on environmental power alone.
Both Sarvâstivāda and Yogâcāra schematize the afflictions into the two main categories of primary (fundamental) 根本煩惱 and secondary (or derivative) 枝末煩惱 (枝末惑, 隨煩惱). The fundamental afflictions are the basic substance 體, and are usually expressed in Chinese with such terms as 本惑, 根本惑, or simply 煩惱, but in Sarvâstivāda are also called 隨眠 (underlying, latent tendencies). In Sautrāntika 經部 however the term 隨眠 is used to refer to the seed aspect 種子 of the afflictions, positing at the same time the distinction of afflictions in their manifest activity 現行, also called 纏 ("actively binding"); this usage of terminology was adopted by Yogâcāra.
The fundamental afflictions include the six of craving 貪, ill-will 瞋, delusion 癡 (or nescience 無明), pride 慢, doubt 疑 and [mistaken] views 見 (having the connotation of wrong views 邪見, 惡見), and so these are listed as the six afflictions 六煩惱 (or 六隨眠). [Mistaken] views are distinguished into the five kinds of view 五見 of identification 有身見, attachment to extremes 邊執見, non-Buddhist religious views 邪見, view of attachment to views 見取見, and incorrect attachment to precepts 戒禁取見. When these are added together with the other five afflictions of desire and so forth, they are termed the "ten afflictions" 十煩惱 (or 十隨眠, 十使). Among these, the first five (desire, etc.) do not have the basic character to seek and imagine, so their function is relatively slow and dull, and they are termed the "five dull facilitators" 五鈍使 (or 五惑). The five views, on the other hand, have the character of imagination and seeking, and so their function is relatively fast and sharp, thus the label "five sharp facilitators."
Additionally, the category of craving 貪 from among the basic six propensities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category of the craving of the desired realm 欲界, and another kind of craving that subsumes the two upper realms of form 色界 and formlessness 無色界. Thus the appellations of desire-craving 欲貪 and form-craving 有貪. With these two added to the initial set, they are called the seven propensities 七隨眠 (七使), or, when added to the ten propensities as three separate types (欲貪, 色貪, 無色貪) they are called the twelve propensities 十二隨眠 (or 十二使).
In Yogâcāra, among the ten basic afflictions, there are four that are directly derived from the view of self, and thus always arise together with the seventh consciousness 第七識. These are (1) self-delusion 我癡 (nescience of the principle of no-self, which leads to the next affliction—self-view). This is synonymous with the terms 愚癡 and 無明. (2) Self-view 我見 (or attachment to self 我執). The mistaken view of assuming and attaching to an unchanging, continuous self; also expressed with slightly different connotations as 有身見 (view of identify). (3) The conceit "I am" 我慢—the fundamental sense of pride that accompanies the mistaken perception of self and serves as the basis for the seven kinds of pride 七慢. (4) Attachment of self 我愛 (also expressed as 我貪, 貪愛, and 貪着)—the addiction to things that are pleasing to oneself. These are called the four afflictions 四煩惱 (or four fundamental afflictions 四根本煩惱, four mental disturbances 四惑). Also, since the three most fundamental afflictions of craving 貪, ill-will 瞋, and delusion 癡 are seen to be the source of all derivative afflictions, they are named with such terms as the three unwholesome roots 三不善根, three poisons 三毒, three stains 三垢, three fetters 三縛, etc. The secondary, or derivative afflictions 枝末煩惱 arise as variants, or as combinations of the fundamental afflictions, and are referred to by various terms such as 隨惑, 枝末惑, and 隨煩惱.
[resp. Charles Muller; source(s): YBh-Ind, JEBD, Yokoi]
(Skt. kliṣṭa, aṅgaṇa, ādhi, āśaya, āśrava, utkileśa, upakileśa, upakleśa, upadhi, kileśa, kilbiṣa, kleśa-kośa, kleśa-doṣa, kleśa-bandhana, kleśôpakleśa, tapasrāga, reṇu-kleśa, vikṣrpa, vyasana, saṃyojana, saṃkileśa, sāṃkileśika)
Reference:
Ahn, Sung-Doo Die Lehre von den Kleśas in der Yogâcārabhūmi Stuttgart Franz Steiner Verlag 2003
[resp. Charles Muller; source(s): Hirakawa]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993
Bulgyo sajeon, 216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1167a
Iwanami bukkyō jiten, 752
A Glossary of Zen Terms (Inagaki), 18, 146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20a/21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31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273c
Fo Guang Dictionary, 5515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794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4703a,1397c, (v.9-10)1008b,480a,552c,1092b
Bukkyō daijiten (Oda), 221-1-5*1638-1*1721-2-10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T30n1579_p0313a27 - T30n1579_p0313a29
"煩惱自性者。謂若法生時其相自然不寂靜起。由彼起故。不寂靜行相續而轉。是名略說煩惱自性。"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213 / 829
"번뇌(煩惱)의 자성(自性)3)이란 말하자면, 만약 법(法)이 생겨날 때 그 상(相)은 자연스러우면서도 적정(寂靜)하지 않게 일어나며 그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적정하지 않은 작용[行]이 상속(相續)하며 구른다. 이를 간략하게 말하여 번뇌(煩惱)의 자성(自性)이라고 한다.
3) 이하는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첫번째로 번뇌의 자성(自性)에 대해서 기술한다."
↑ 고려대장경연구소, "삼도 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삼도 三道:
* ⓟ
* ⓣ
* ⓢ
* ⓔthe three path
[동]삼륜(三輪).
1]혹(惑)과 업(業)과 고(苦)의 3도. 인간이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가는 세 가지 양상. 즉 번뇌, 이 번뇌에 의해 일어나는 업, 이 업의 과보로서 나타나는 고통.
2]수행의 세 단계로서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3]불교를 성취하는 세 입장으로서 삼승(三乘). 연각승 또는 독각승, 보살승, 불승.
4]십업도(十業道) 중의 탐(貪), 진(瞋), 사견(邪見)."
↑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三道(삼도):
[2] 혹도(惑道)ㆍ업도(業道)ㆍ고도(苦道). 생사에 유전하는 인과의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혹도. 또는 번뇌도(煩惱道).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과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2) 업도.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 (3) 고도. 3계 6도의 과보를 받는 것. 이리하여 도(道)에 윤전(輪轉)의 뜻이 있다 함은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셋이 바퀴돌 듯 하여 끊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 능통(能通)의 뜻이 있다 함은 혹에서 업을, 업에서 고를 불러내어 전전 상통하여 생사를 되풀이 한다는 뜻. ⇒혹도(惑道)ㆍ혹업고(惑業苦)"
↑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6일에 확인. 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
"삼도(三道):
② 중생이 미혹한 생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눈 것.
(1) 번뇌도(煩惱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
(2) 업도(業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으로 일으키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3) 고도(苦道).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을 일으킨 과보로 받는 괴로움."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p. T31n1613_p0853a06 - T31n1613_p0853a18. 사견(邪見)
"云何邪見。謂謗因果。或謗作用。或壞善事。染慧為性。謗因者。因謂業煩惱性。合有五支。煩惱有三種。謂無明愛取。業有二種謂行及有。有者。謂依阿賴耶識諸業種子此亦名業。如世尊說。阿難。若業能與未來果彼亦名有。如是等。此謗名為謗因。謗果者。果有七支。謂識名色六處觸受生老死。此謗為謗果。或復謗無善行惡行。名為謗因。謗無善行惡行果報。名為謗果。謗無此世他世。無父無母。無化生眾生。此謗為謗作用。謂從此世往他世作用。種子任持作用。結生相續作用等。謗無世間阿羅漢等。為壞善事。斷善根為業。不善根堅固所依為業。又生不善。不生善為業。"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pp. 11-12 / 24. 사견(邪見)
"무엇을 사견이라고 하는가? 인과를 비방하고, 혹은 작용(作用)을 비방하고, 흑은 선한 일을 파괴하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한다. 인(因)을 비방한다란 무슨 뜻인가? 인온 업의 번뇌성을 말한다. 합해서 다섯 가지가 있다.
번뇌에는 무명 · 애(愛) · 취(取)의 세 가지가 있다. 업에는 행(行) 및 유(有)의 두 가지가 있다. 유란 아뢰야식(阿賴耶識)에 의지하는 모든 업의 종자를 말한다. 이는 또한 업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
“아난아, 만약 업이 능히 미래의 과보를 제공한다면 그것은 또한 유라고도 말한다.……”
이를 비방하는 것을 인을 비방한다고 안다. 과보를 비방한다란 무슨 뜻인가? 과보는 식(識) · 명색(名色) · 6처(處) · 촉(觸) · 수(受) · 생(生) · 노사(老死)의 일곱 가지가 있다. 이를 비방함이 과보를 비방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이 없다고 하는 것은 인을 비방함이고, 선행과 악행의 과보가 없다고 비방하는 것은 과보를 비방함이다.
이 세상과 저 세상이 없고, 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없고, 화생(化生)으로 태어나는 중생도 없다고 비방한다. 이러한 비방은 작용을 비방하는 것이다. 이 세상으로부터 저 세상으로 왕생하는 작용, 종자를 지니고 있는 작용, 생을 맺어 상속하는 작용 등을 말한다. 세간과 아라한 등이 없다고 비방하는 것은 선한 일을 파괴함이다. 선근을 끊는 것을 행동양식으로 하고, 불선근(不善根)이 견고해지는 것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또한 불선을 낳고, 선을 낳지 않는 것을 행동양식으로 한다."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p.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신(信)
"云何信。謂於業果諸諦寶等。深正符順。心淨為性。於業者。謂福。非福。不動業。於果者。謂須陀洹。斯陀含。阿那含。阿羅漢果。於諦者。謂苦集滅道諦。於寶者。謂佛法僧寶。於如是業果等。極相符順。亦名清淨。及希求義。與欲所依為業。"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p. 7 / 24. 신(信)
"무엇을 믿음[信]이라고 하는가?
업 · 과보 · 모든 진리[諦] · 보배 등에 대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청정함을 성질로 삼는다. 업에 대하여 복(福) · 복이 아님(非福) · 부동업(不動業)을 말한다. 과보에 대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과보를 말한다. 진리에 대하여 괴로움의 진리[苦諦] · 집착의 진리[集諦] · 집착을 없애는 진리[滅諦] ·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道諦]이다. 보배에 대하여 불보(佛寶) · 법보(法寶) · 승보(僧寶)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업 ·과보 등에 대하여 지극히 맞게 따르는 것을 청정(淸淨)이라고 한다. 간절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 운허, "煩惱(번뇌)". 2016년 1월 8일에 확인
"煩惱(번뇌): 【범】Kleśa 길례사(吉隷舍)라 음역. 혹(惑)ㆍ수면(隨眠)ㆍ염(染)ㆍ누(漏)ㆍ결(結)ㆍ박(縛)ㆍ전(纒)ㆍ액(軛)ㆍ폭류(暴流)ㆍ사(使) 등이라고도 함. 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앞의 고와 낙에 미(迷)하여 탐욕ㆍ진심(瞋心)ㆍ우치(愚癡) 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 하는 정신 작용. 일체 번뇌의 근본이 되는 근본번뇌와 이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수번뇌가 있으며, 또 이것을 사사(邪師)ㆍ사설(邪說)ㆍ사사유(邪思惟)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분별기(分別起)의 번뇌와, 나면서부터 선천적으로 몸과 함께 있는 구생기(俱生起)의 번뇌가 있고, 또 사(事)에 대한 정의(情意)의 미(迷)인 수혹(修惑)과, 이(理)에 대한 지(智)의 미인 견혹(見惑)이 있으며, 혹은 세용(勢用)의 이둔(利鈍)에 나아가서 5리사(利使)ㆍ5둔사(鈍使)를 세우기도 하고, 혹은 3루(漏)ㆍ3박(縛)ㆍ3혹(惑)ㆍ4류(流)ㆍ4액(軛)ㆍ4취(取)ㆍ5상분결(上分結)ㆍ5하분결(下分結)ㆍ9결(結)ㆍ8전(纒) ㆍ10전ㆍ108번뇌ㆍ8만 4천번뇌 등으로도 나눔."
↑ Kilesa, aka: Klesha, Klesa, Kleśa; 11 Definition(s), Wisdom Library. 2016년 1월 8일에 확인.
"Kilesa,(and klesa) (from kilissati) 1.stain,soil,impurity,fig.affliction; in a moral sense,depravity,lust.Its occurrence in the Piṭakas is rare; in later works,very frequent,where it is approx.tantamount to our terms lower,or unregenerate nature,sinful desires,vices,passions. ...
Added: 14.Aug.2014 | Sutta: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 Kilissati, 2 Definition(s)), Wisdom Library. 2016년 1월 8일에 확인.
"Kilissati,(Sk.kliśyati=kliś or śliṣ to adhere,cp.P.kheḷa and silesuma or semha,Sk.śleṣma,slime.Same root as Gr.lei/mac snail; Ags.slīm slime.Another,specifically Pali,meaning is that of going bad,being vexed,with ref.to a heated state.This lies at the bottom of the Dhtp.(445) & Dhtm.(686) expln by upatāpe.) 1.to get wet,soiled or stained,to dirty oneself,be impure It.76 (of clothes,in the passing away of a deva); Th.1,954 (kilisissanti,for kilissanti); Ps.I,130.Kilisseyya Dh.158 (expld as nindaṃ labhati) to do wrong.Cp.pari°.(Page 216)
Added: 14.Aug.2014 | Sutta: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 원문에는 遍惱(변뇌: 두루 괴롭힘)라고 되어 있으나, 후대의 문헌들에서는 이것을 핍뇌(逼惱)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글의 다음 검색 페이지를 참조하시오: 煩亂遍惱身T28n1554_p0984a18║心相續。故名煩惱。此即隨眠, 煩亂遍惱身心相續。故名煩惱。此即隨眠
↑ 색건타라 조, 현장 한역 T.1554, 《입아비달마론》 제1권. p. T28n1554_p0984a17 - T28n1554_p0984a18
"煩亂遍惱身心相續。故名煩惱。此即隨眠。"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6. 번뇌(煩惱)
"勞亂之義。名曰煩惱。"
↑ "勞亂",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勞 일할 로,일할 노
1. 일하다 2. 힘들이다 3. 애쓰다 4. 지치다 5. 고달프다 6. 고단하다 7. 괴로워하다 8.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9. 수고롭다 10. 위로하다(慰勞--) 11. 치사하다 12. 수고 13. 노고 14. 공로(功勞)...
亂 어지러울 란,어지러울 난
1. 어지럽다 2. 어지럽히다, 손상시키다(損傷---) 3. 다스리다 4. 음란하다(淫亂--), 간음하다(姦淫--) 5. 무도하다(無道--), 포악하다(暴惡--) 6. (물을)건너다 7. 가득 차다, 널리 퍼지다 8. 난리(亂離),..."
↑ 원효 술 HPC 1.789c4, 《이장의》 "The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Yijang ui 二障義)" [HBJ 1.789c8, WSC 325 - HBJ 1.789c11, WSC 326]
"煩惱障者 貪瞋等惑煩勞爲性。適起現行煩亂身心 故名煩惱 。"
↑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 p. T26n1542_p0702a24 - T26n1542_p0702a28. 수면(隨眠)의 뜻
"隨眠是何義。答微細義是隨眠義。隨增義是隨眠義。隨逐義是隨眠義。隨縛義是隨眠義。如是隨眠。若未斷未遍知。由二事故隨增。謂所緣故相應故。如是隨增。於自界非他界。"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 p. 57 / 448. 수면(隨眠)의 뜻
"[문] 수면(隨眠)이란 무슨 뜻인가?
[답] 미세(微細)하다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요,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욱 더하게 한다[隨增]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며, 뒤 쫓아다닌다[隨逐]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요, 따라다니면서 속박한다[隨縛]는 뜻이 수면이란 뜻이다.
이와 같은 수면을 만일 아직 끊지 못하고 아직 두루 알지 못했다면 두 가지 일로 말미암아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욱 더하게 하나니, 반연의 대상이[所緣] 되기 때문이요 상응[相應]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욱 더하게 하는 것은 자기 세계[自界]에서만 그렇게 하며 다른 세계[他界]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0권. p. T29n1558_p0108a17 - T29n1558_p0108b11. 수면(隨眠)의 뜻
"如是已辯隨眠并纏。經說為漏瀑流軛取。此隨眠等名有何義。頌曰。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論曰。根本煩惱現在前時行相難知故名微細。二隨增者。能於所緣及所相應增惛滯故。言隨逐者。謂能起得恒隨有情常為過患。不作加行為令彼生。或設劬勞為遮彼起而數現起故名隨縛。由如是義故名隨眠。稽留有情久住生死。或令流轉於生死中。從有頂天至無間獄。由彼相續於六瘡門泄過無窮故名為漏。極漂善品故名瀑流。和合有情故名為軛。能為依執故名為取。若善釋者應作是言。諸境界中流注相續泄過不絕故名為漏。如契經說。具壽當知。譬如挽船逆流而上。設大功用行尚為難。若放此船順流而去。雖捨功用行不為難。起善染心應知亦爾。准此經意。於境界中煩惱不絕說名為漏。若勢增上說名瀑流。謂諸有情若墜於彼。唯可隨順無能違逆。涌泛漂激難違拒故。於現行時非極增上說名為軛。但令有情與種種類苦和合故。或數現行故名為軛。執欲等故說名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0권. pp. 940-942 / 1397. 수면(隨眠)의 뜻
"이와 같이 수면과 아울러 전(纏)을 경에서 누·폭류·액·취라고 설한 것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면 등의 명칭에는 어떠한 뜻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미세, 두 가지에서의 수증
수축(隨逐)과 수박(隨縛)
머묾과 유전·표류·화합·집취
이것이 바로 수면 등의 뜻이다.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즉 10수면)가 현재전할 때 그 행상(行相)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微細)'라고 이름한다.76)
'두 가지에서의 수증'이란, 말하자면 [수면은] 능히 그것의 소연 및 그것에 상응하는 법과 뒤엉켜[惛滯] 증장하기 때문이다.
'수축'이라고 하는 말은, 이를테면 [수면의] 득(得)을 일으켜 항상 유정을 쫓아다니면서 과환(過患)이 되는 것을 말한다.
가행을 지어 그것(수면)을 생겨나지 않게 하더라도, 혹은 애써 노력하여 그것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지라도 자꾸자꾸 일어나기 때문에 '수박(隨縛)'이라고 한다. 곧 이와 같은 뜻으로 말미암아 수면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수면은] 유정을 생사(生死)에 체류시켜 오래 머물게[住] 하며, 혹은 유정천으로부터 무간지옥에 이르기까지 생사 중에 유전(流轉)시키는 것으로,77)그들의 상속은 육창문(六瘡門, 즉 6근을 말함)에서 끊임없이 번뇌를 누설하기 때문에 수면을 일컬어 '누(asrava)'라고 하였다. 또한 선품을 극심히 표탈(漂奪)시켜 버리기 때문에 '폭류(ogha)'라고 이름하였고, 유정을 [3계·5취·4생과] 화합시키기 때문에 '액(yoga)'이라고 이름하였으며, 능히 의지하여 집착하게 되기 때문에 '취(upadana)'라고 이름하였다.
그러나 만약 좋은 해석이 되려면 마땅히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할 것이다.78) 온갖 경계 중으로 상속(相續)을 흘러들게 하여 끊임없이 허물을 누설(漏泄)하기 때문에 '누'라고 이름한 것이니, 계경에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구수(具壽)는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비유하자면 배를 당기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으니, 설혹 크나큰 힘을 들이더라도 [거슬러 올라] 가는 것은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만약 이 배를 그대로 놓아두어 강물의 흐름에 따라 가게 하면 비록 힘을 들이지 않을지라도 [내려] 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심이나 염심을 일으키는 것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79) 즉 이 경의 뜻에 준하여 본다면, 경계 중에서 번뇌가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일컬어 '누'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만약 [수면의] 세력이 강력하게 될 때를 설하여 '폭류'라고 이름한다. 즉 모든 유정이 거기에 떨어질 경우 오로지 거기에 따라야 할 뿐 능히 어기거나 거역할 수 없으니, 솟구치거나 떠오르거나 떠내려가거나 물결치면 그것을 어기거나 거역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현행할 때 지극히 두드러지지 않은 수면을 설하여 '액'이라 이름하니, 다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여러 가지 종류의 괴로움과 화합하게 하기 때문에, 혹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에 '액'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은] 욕경(欲境) 따위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하여 '취'라고 이름한 것이다.80)
76) 수면의 원어 anu-saya의 anu를 미세[微, a u]의 뜻으로 이해하여 해석한 것이다.
77) '누'의 원어 a-srava는 a-sru(유출·유동하다)라는 동사의 파생어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유사한 as(앉다)의 사역어 asayati(머물게 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유전시키는 것'이라는 말은 a-sru의 사역어 asravayati(=asravayati)에 근거한 해석이다.
78) 이하 논주 자신의 해석이다.
79) 『잡아함경』 권제18 제493경(대정장2, p. 128중하) 참조. 즉 선법을 행하는 것은 크나큰 가행이 필요하다는 비유로서, 수면은 경계라는 강물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면서 허물을 누설하기 때문에 '누'라는 것이다
80) 5욕경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욕취이며, '견'에 집착하는 것은 견취, 계에 집착하는 것은 계금취, 아어에 집착하는 것은 아어취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제1권. pp. T31n1602_p0481c27 - T31n1602_p0482a02. 탐(貪)
"貪者。謂於五取蘊愛樂覆藏保著為體。或是俱生或分別起能障無貪為業。障得菩提資糧圓滿為業。損害自他為業。能趣惡道為業。增長貪欲為業。如經說諸有貪愛者為貪所伏蔽。"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제1권. p. 19 / 293. 탐(貪)
"탐(貪)103) 심소는 5취온(取薀)104)에 대해서 애착하거나 즐기거나 숨기거나 돌보거나 보존하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혹은 선천적으로 생겨나는 것[俱生起]이고, 혹은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分別起]이다. 능히 무탐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보리의 자량을 얻어서 원만해짐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으며, 자신과 남에게 손해끼치는 것을 업으로 삼고, 능히 악도(惡道)에 나아감을 업으로 삼으며, 탐욕을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탐애가 있는 모든 이는 탐욕에 항복되고 가리운 바가 된다”고 말한 것과 같다.
103) 이하 6가지 근본번뇌심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탐(貪, rāga) 심소는 ‘탐욕’ 즉 애착을 일으키는 심리작용이다. 특히 윤회하는 삶과 그 원인인 5취온(取蘊), 나아가 열반에 대해서까지 애착심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고통을 자초한다.
104) 취(取)는 번뇌의 이명(異名)이며, 번뇌는 온(蘊)을 낳으며, 또한 온마(蘊魔)라는 말도 있듯이 온은 번뇌를 낳으므로 온을 취온이라 한다. 그런데 5온(蘊)은 유루(有漏)와 무루(無漏)에 통하고, 5취온(取蘊)은 유루뿐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03 - T31n1602_p0482a05. 진(瞋)
"瞋者。謂於有情欲興損害為體。或是俱生或分別起能障無瞋為業。如前乃至增長瞋恚為業。如經說諸有瞋恚者為瞋所伏蔽。"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제1권. p. 20 / 293. 진(瞋)
"진(瞋)105) 심소는 유정에 대해서 손해끼침을 일으키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혹은 선천적으로 생겨나는 것이고, 혹은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다. 능히 무진(無瞋)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106) 성냄[瞋恚]을 증장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진에(瞋恚) 심소가 있는 모든 이는 성냄에 굴복되고 가리운 바가 된다”고 말한 것과 같다.
105) 진(瞋, dveṣa) 심소는 ‘성냄’ 즉 고통과 그 원인에 대해 증오심을 일으키는 심리작용이다. 이것은 몸과 마음을 열뇌(熱惱)하게 하여 갖가지 악업을 짓게 만든다.
106) 앞의 탐(貪)에 대한 설명에서 “보리의 자량을 얻어서 원만해짐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으며, 자신과 남에게 손해끼치는 것을 업으로 삼고, 능히 악도에 나아감을 업으로 삼으며”의 문장을 가리킨다. 이하 번뇌심소에 대한 설명에서 “여전내지(如前乃至)”는 이와 같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8b24 - T29n1558_p0098b29. 근본번뇌의 10가지 작용
"何故隨眠能為有本。以諸煩惱現起能為十種事故。一堅根本。二立相續。三治自田。四引等流。五發業有。六攝自具。七迷所緣。八導識流。九越善品。十廣縛義。令不能越自界地故。由此隨眠能為有本。故業因此有感有能。"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19권. pp. 853-854 / 1397. 근본번뇌의 10가지 작용
"어째서 수면이 능히 '유'의 근본이 된다고 하는 것인가?
모든 번뇌는 현기(現起)하면 능히 열 가지 사업[事]을 행하기 때문으로, 첫 번째는 근본(根本)을 견고하게 하며,1) 두 번째는 [번뇌의] 상속을 일으키며, 세 번째는 자신의 소의신[自田]이 번뇌를 일으키기에 적합하게 하며, 네 번째는 등류(等流)[인 수번뇌(隨煩惱)]를 인기하며, 다섯 번째 업유(業有) 즉 후유를 초래하는 업을 일으키며, 여섯 번째는 자구(自具)를 포섭하며,2) 일곱 번째 [정혜(正慧)를 손상시켜] 소연에 대해 미혹하게 하며, 여덟 번째 식(識)의 흐름을 인도하며,3) 아홉 번째는 선품(善品)을 어기게 하며, 열번째는 널리 속박하는 것이니, [유정을 속박하여] 자계·자지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즉 수면은 이러한 열 가지 사업으로 말미암아 능히 '유'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업은 이것에 의해 비로소 '유'를 초래할 공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1) 여기서 '근본'은 번뇌의 득(得)을 말한다. 즉 번뇌가 일어남으로 말미암아 번뇌의 득이 더욱더 견고해져 끊을래야 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2) 여기서 '자구'는 번뇌 자신의 자량이 되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를 말한다.
3) 식의 흐름에는 다음 생을 받을 때 부모에 대한 애념(愛念)을 일으키는 속생(續生)의 식과, 소연의 경계에 대해 촉(觸)을 일으키는 촉연(觸緣)의 식이 있다. 곧 번뇌는 후유의 소연에 대해 능히 속생의 식을 일으키며 소연에 대해 능히 염오식을 낳기 때문에 '식의 흐름을 인도한다'고 말한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b24 - T31n1605_p0676b27
"何等差別故。謂諸煩惱依種種義立種種門差別。所謂結縛隨眠隨煩惱纏暴流軛取繫蓋株杌垢燒害箭所有惡行漏匱熱惱諍熾然稠林拘礙等。"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5 / 159
"어떠한 것이 차별에 기인하기 때문입니까?
여러 번뇌가 온갖 이치에 의지하여 갖가지 문(門)의 차별을 세우는 것으로, 소위 결(結)ㆍ박(縛)ㆍ수면(隨眠)ㆍ수번뇌(隨煩惱)ㆍ전(纏)ㆍ폭류(瀑流)ㆍ액(軶:멍에)ㆍ취(取)ㆍ계(繫)ㆍ개(蓋)ㆍ주(柱)ㆍ올(杌)ㆍ구 (垢)ㆍ소(燒)ㆍ해(害)ㆍ전(箭)ㆍ소유악행(所有惡行)ㆍ누(漏)ㆍ궤(궤)ㆍ열(熱)ㆍ뇌(惱)ㆍ쟁(諍)ㆍ치연(熾然)ㆍ조림(稠林)ㆍ구애 (拘礙) 등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3b02 - T31n1606_p0723b05
"差別者。謂諸煩惱依種種義立種種門差別。所謂結縛隨眠隨煩惱纏瀑流軛取繫蓋株杌垢燒害箭所有惡行漏匱熱惱諍熾然稠林拘礙等。"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49 / 388
"무엇이 차별에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까? 여러 번뇌가 온갖 이치에 의지하여 갖가지 문(門)의 차별을 건립하는 것으로, 소위 결(結)ㆍ박(縛)ㆍ수면(隨眠)ㆍ수번뇌(隨煩惱)ㆍ전(纏)ㆍ폭류(瀑流)ㆍ액(軛:멍에)ㆍ취(取)ㆍ계(繫)ㆍ개(蓋)ㆍ주(株)ㆍ올()ㆍ구 (垢)ㆍ소(燒)ㆍ해(害)ㆍ전(箭)ㆍ소유악행(所有惡行)ㆍ누(漏)ㆍ궤(匱)ㆍ열(熱)ㆍ뇌(惱)ㆍ쟁(諍)ㆍ치연(熾然)ㆍ조림(稠林)ㆍ구애 (拘礙) 따위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1 - T44n1851_p0561b26. 번뇌의 다른 이름
" 二障義兩門分別(釋名第一 體相第二)第一釋名。所言障者。隨義不同。乃有多種。或名煩惱。或名為使。或名為結。或名為纏。或名為縛。或名為流。或名為枙。或名為取。或名為漏。或名為垢。或說為惑。或說為障。如是非一。"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9 - T30n1579_p0314c01. 개(蓋)
"覆真實義故名為蓋。"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개(蓋)
"진실(眞實)의 뜻을 덮기 때문에 개(蓋)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08 - T31n1605_p0677c10. 개(蓋)
"蓋有五種。謂貪欲蓋。瞋恚蓋。惛沈睡眠蓋。掉舉惡作蓋。疑蓋。能令善品不得顯了。是蓋義。謂於樂出家位覺邪行位止舉捨位。"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9 / 159. 개(蓋)
"개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욕탐개(欲貪蓋)ㆍ진에개(瞋恚蓋)ㆍ혼침수면개(昏沈睡眠蓋)ㆍ도거악작개(掉擧惡作蓋)ㆍ의개(疑蓋)ㆍ낙출가위(樂出家位)ㆍ각사행위(覺邪行位)ㆍ지거사위(止擧捨位)의 선품을 드러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개의 이치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27 - T31n1606_p0725a07. 개(蓋)
"蓋有五種。謂貪欲蓋瞋恚蓋惛沈睡眠蓋掉舉惡作蓋疑蓋。能令善品不得顯了是蓋義。覆蔽其心障諸善品令不轉故。問於何等位障諸善法答於樂出家位覺正行位止舉捨位。於樂出家時貪欲蓋為障。希求受用外境界門。於彼不欣樂故。於覺正行時瞋恚蓋為障。於所犯學處同梵行者正發覺時。由心瞋恚不正學故。於止舉兩位惛沈睡眠掉舉惡作蓋為障。如前所說。能引沈沒及散亂故。於捨位疑蓋為障。遠離決定不能捨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6-157 / 388. 개(蓋)
"‘개(蓋)’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욕탐개(欲貪蓋)ㆍ진에개(瞋恚蓋)ㆍ혼침수면개(惛沈睡眠蓋)ㆍ도거악작개(掉擧惡作蓋)ㆍ의개(疑蓋)이다.
[157 / 388] 쪽
선품(善品)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개(蓋)의 이치이다. 그 마음을 가려서 여러 선품을 장애하여 전변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어떠한 지위에서 여러 가지 선법을 장애하게 됩니까?
낙출가위(樂出家位)ㆍ각정행위(覺正行位)ㆍ지위(止位)ㆍ거위(擧位)ㆍ사위(捨位)이니, 즐거이 출가할 때에는 ‘탐욕개’가 장애가 되어 외부 경계의 문을 즐거이 구하여 수용함으로써, 그들이 출가를 즐거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른 행을 깨달을 때에는 ‘진에개’가 장애가 되니, 그 학처(學處)를 범한 것이 범행을 닦는 도반들에게 발각되는 때에도 도리어 마음속으로 진에를 일으켜 올바로 배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위’와 ‘거위’의 두 가지 지위에서는 ‘혼침수면개’와 ‘도거악작개’가 장애가 되는 것으로, 앞에서 해설한 그대로이다. ‘사위’에서는 ‘의개’가 장애가 되니 멀리 여의겠다고 결심했을지라도 이를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3 - T30n1579_p0314b24. 결(結)
"能和合苦故。名為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0 / 829. 결(結)
"능히 괴로움과 화합하기 때문에 결(結)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b28 - T31n1605_p0676c03. 결(結)
"結有幾種。云何結。何處結耶。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愛結者。謂三界貪愛結所繫故不厭三界。由不厭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5 / 159. 결(結)
"결(結)에는 몇 종류가 있습니까? 또 무엇이 결이고, 어느 처에 결이 있습니까?
결에는 아홉 종류가 있으니, 애결(愛結)ㆍ에결(恚結)ㆍ만결(慢結)ㆍ무명결(無明結)ㆍ견결(見結)ㆍ취결(取結)ㆍ의결(疑結)ㆍ질결(嫉結)ㆍ간결(慳結)이다.
애결이란 3계의 탐결에 계류받기 때문에 삼계를 싫어하여 떠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싫어하여 떠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해서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해서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3b06 - T31n1606_p0723b15. 결(結)
"問結有幾種。云何結。何處結耶。答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愛結者。謂三界貪愛。結所繫故不厭三界由不厭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當知此中宣說諸結若相若用若位辯結差別。且如愛結何等是結。謂三界貪是結自性。云何為結。謂有此者不厭三界。由此展轉不善現行善不現行。於何位結。謂於後世苦果生位。如是恚結等並如理應知。"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p. 149-150 / 388. 결(結)
"‘결’에는 몇 종류가 있습니까? 또 무엇이 결이고, 어느 처에 결이 있습니까?
결에는 아홉 종류가 있으니, 애결(愛結)ㆍ에결(恚結)ㆍ만결(慢結)ㆍ무명결(無明結)ㆍ견결(見結)ㆍ취결(取結)ㆍ의결(疑結)ㆍ질결(嫉結)ㆍ간결(慳結)이다.
‘애결’이란 삼계의 탐을 말하는 것이니, 그 결에 얽매이기 때문에 삼계를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하여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해서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한 여러 가지 ‘결’은 그 모양이나 쓰임새나 위치에서나 그 ‘결’을 논하는 차별이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애결(愛結)과 같은 것이라면 도대체 어떠한 것이 ‘결’입니까?
삼계의 결이 바로 자체적인 성품이다.
‘결’이란 무엇입니까?
이러한 것이 있기에 삼계를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같이 전전하는 것에 연유해서 불선법이 현행하게 되고 선법이 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지위에서 매이게 됩니까?
후세에서 고의 과보가 행해지는 지위이다. 이처럼 에결 따위도 역시 그 이치에 따라 숙지해야 한다."
↑ 이동:가 나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7 - T44n1851_p0561b28. 결(結)
"結集生死。目之為結。結縛眾生。亦名為結。"
↑ "結集",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結集 결집
①석가모니(釋迦牟尼)가 돌아간 뒤에 제자(弟子)들이 교조의 유훈을 모아 편집(編輯)한 일 ②한데 모이어 뭉침
結 맺을 결,상투 계
1. 맺다 2. 모으다 3. 묶다, 매다 4. 꾸미다, 짓다 5. 다지다, 단단히 하다 6. 엇걸리게 하다 7. 굽다, 구부러지다 8. 굽히다, 구부리다 9. 막다, 못하게 하다 10.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集 모을 집
1. 모으다 2. 모이다 3. 편안(便安)히 하다 4.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5. 가지런하다 6. 이루다"
↑ "結縛",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結縛 결박
몸을 자유(自由)롭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두 팔이나 다리를 묶음
結 맺을 결,상투 계
1. 맺다 2. 모으다 3. 묶다, 매다 4. 꾸미다, 짓다 5. 다지다, 단단히 하다 6. 엇걸리게 하다 7. 굽다, 구부러지다 8. 굽히다, 구부리다 9. 막다, 못하게 하다 10.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縛 얽을 박
1. 얽다 2. 동이다(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3. 묶다, 포박하다(捕縛--) 4. 매이다 5. 구속되다(拘束--) 6. 포승(捕繩) 7. 복토(伏兔: 차여(車輿)와 차축을 연결 고정하는 나무)"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9. 계(繫)
"難可解脫故名為繫。"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계(繫)
"해탈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繫)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02 - T31n1605_p0677c07. 계(繫)
"繫有四種。謂貪欲身繫。瞋恚身繫戒禁取身繫。此實執取身繫。以能障礙定意性身故名為繫。所以者何。能為四種心亂因故。謂由貪愛財物等因令心散亂。於鬥諍事不正行為因令心散亂。於難行戒禁苦惱為因令心散亂。不如正理推求境界為因令心散亂。"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9 / 159. 계(繫)
"계(繫)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탐욕신계(貪欲身繫)ㆍ진에신계(瞋恚身繫)ㆍ계금취신계(戒禁取身繫)ㆍ차실집취신계(此實執取身繫)이다. 정의(定意)를 장애하는 성품의 무리인 까닭에 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이 같은 네 가지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는 때문이다. 재물을 탐애하는 따위가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들고, 다투는 일이나 바르지 못한 행이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들고, 행하기 힘든 것을 계율로 단속받는 고뇌도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들고, 정리(正理)와 어긋나게 경계를 추구하는 것도 인이 되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드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16 - T31n1606_p0724c26. 계(繫)
"繫有四種。謂貪欲身繫瞋恚身繫戒禁取身繫此實執取身繫。以能障礙定意性身故名為繫。所以者何。由此能障定心自性之身故名繫。非障色身。何以故。能為四種心亂因故。謂由貪愛財物等因令心散亂。於鬥諍事不正行。為因令心散亂。於難行戒禁苦惱為因令心散亂。不如正理推求境界為因令心散亂。由彼依止各別見故。於所知境不如正理種種推度妄生執著。謂唯此真餘並愚妄。由此為因令心散動。於何散動。謂於定心如實智見。"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6 / 388. 계(繫)
"‘계(繫)’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탐욕신계(貪欲身繫)ㆍ진에신계(瞋恚身繫)ㆍ계금취신계(戒禁取身繫)ㆍ차실집취신계(此實執取身繫)이다. 정의(定意)를 장애하는 성품의 무리인 까닭에 ‘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정심(定心)의 자체적인 성품을 능히 장애하는 무리인 까닭에 ‘계’라고 이름하는 것이니 이것은 색신(色身)을 장애하지 않는다.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이 같은 네 가지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기 때문이다. 재물을 탐애하는 따위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고, 다투는 일이나 바르지 못한 행이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고, 행하기 힘든 것을 계율로 단속받는 고뇌도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고, 정리(正理)와 어긋나게 경계를 추구하는 것도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인이 되는 것이다. 그들이 제각각 별도의 소견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그 소지경(所知境)에 대해 정리와 어긋나게 갖가지로 추측해서 허망한 집착이 생겨나는 것이다. 오직 이것만을 진실이라고 여기고 나머지의 것을 허망한 것이라 보기에 이로 인하여 마음을 산란하게 하는 인이 된다.
무엇을 산란하게 하는 것입니까?
바로 정심에서의 진실한 지견(知見)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1 - T30n1579_p0314c02. 구(垢)
"自性染污故名為垢。"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구(垢)
"자성(自性)이 염오(染汚)이기 때문에 구(垢)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15 - T31n1605_p0677c19. 구(垢)
"垢有三種。謂貪垢瞋垢癡垢由依止貪瞋癡故。毀犯如是尸羅學處。由此有智同梵行者。或於聚落或閑靜處。見已作如是言。此長老作如是事行如是行。為聚落刺點染不淨。說名為垢。"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구(垢)
"구(垢)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구(貪垢)ㆍ진구(瞋垢)ㆍ치구(癡垢)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해서 이 같은 시라(尸羅)의 학처(學處)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그 처소에 범행을 닦는 지혜로운 이가 함께 머무르다가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이 같은 범죄를 목격하고서 “이 장로가 이와 같은 일을 범했고 이와 같이 행하였습니다”라고 공표되는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법의를 부정하게 염색했거나 바느질한 일 따위를 구(垢)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14 - T31n1606_p0725a18. 구(垢)
"垢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毀犯如是尸羅學處。由此有智同梵行者。或於聚落或閑靜處見已。作如是言。此長老作如是事行如是行。為聚落刺點染不淨。說名為垢。以貪瞋癡能現犯戒不淨相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7-158 / 388. 구(垢)
"‘구(垢)’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구(貪垢)ㆍ진구(瞋垢)ㆍ치구(癡垢)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서 이 같은 시라(尸羅)의 학처(學處)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그 처소에 범행을 닦는 지혜로운 이가 함께 머무르다가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이 같은 범죄를 목격하고서 “이 장로께서 이와 같은 일을 저지르셨고 이와 같이 행하셨습니다”라고 공표하는 것이니,
[158 / 388] 쪽
마을이나 외진 곳에서 그 비구가 부정하게 물들인 천으로 법복을 기워 입은 경우에, 이를 ‘구’라 이름하는 것이다.
탐ㆍ진ㆍ치가 현행하여 계율을 범하는 청정치 못한 모양이기 때문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3. 구(垢)
"染污淨心。說以為垢。"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10 - T30n1579_p0314c11. 구애(拘礙)
"能令眾生樂著種種妙欲塵故。能障證得出世法故名為拘礙。"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2 / 829. 구애(拘礙)
"중생들로 하여금 갖가지 묘한 욕진(欲塵)을 즐겨 집착하게 하고 출세법(出世法)을 증득하는 것을 능히 장애하기 때문에 구애(拘礙)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제4권. p. T31n1605_p0678a29 - T31n1605_p0678b03. 구애(拘礙)
"拘礙有三。謂貪拘礙瞋拘礙癡拘礙。由依止貪瞋癡故。顧戀身財無所覺了樂處憒鬧。得少善法便生厭足。由此不能修諸善法。故名拘礙。"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2 / 159. 구애(拘礙)
"구애(拘礙)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구애(貪拘礙)ㆍ진구애(瞋拘礙)ㆍ치구애(癡拘礙)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신체와 재물에 연연하여 깨닫는 바 없이 그 처(處)의 번잡함을 즐기기에 약간의 선법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바로 싫증내게 된다. 이로 인해서 모든 선법을 닦지 못하게 되기에 구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c12 - T31n1606_p0725c19. 구애(拘礙)
"拘礙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顧戀身財無所覺了樂處憒鬧。得少善法便生厭足。由此不能修諸善法故名拘礙。依貪瞋癡顧身財等。拘礙有情不得自在修諸善故。又此顧戀身等。即依五種心拘礙說。何等為五謂顧戀身顧戀諸欲樂相雜住。闕於隨順教誡教授。於諸善品得少為足。拘礙心故名心拘礙。"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1 / 388. 구애(拘礙)
"‘구애(拘礙)’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구애(貪拘礙)ㆍ진구애(瞋拘礙)ㆍ치구애(癡拘礙)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말미암는 까닭이다. 신체와 재물에 연연하여 깨닫는 것 없이 그 처(處)의 번잡함을 즐기기에, 약간의 선법을 얻었다 하더라도 바로 싫증내게 된다. 이로 인해서 모든 선법을 닦지 못하게 되므로 ‘구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것은 탐ㆍ진ㆍ치에 의지해서 몸과 재물 따위를 돌보는 것이니, 유정이 이에 구애되어 여러 선법을 자유로이 닦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이같이 신체 따위에 연연하는 것을 다섯 가지 마음의 구애에 의거해서 설명하게 된다. 어떠한 것이 그 다섯 가지인가 하면, 신체에 연연해 여러 가지 욕락(欲樂)의 모양에 섞이며 머무는 것에 연연하여 교계(敎誡)나 교수(敎授)에 순종하지 못하고, 여러 선품(善品)에 처할 때에, 그만 약간의 성취에도 만족해서 그 마음에 구애되기 때문에 이를 심구애(心拘礙)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T30n1579_p0314c27 - T30n1579_p0315a01. 구애(拘礙)
"拘礙者有五拘礙。一顧戀其身。二顧戀諸欲。三樂相雜住。四闕隨順教。五得微少善便生喜足。"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223 / 829. 구애(拘礙)
"구애(拘礙)란, 즉 5구애(拘礙)로서 첫째는 그 몸을 연연해[顧戀] 하는 것이요, 둘째는 여러 가지 욕구들을 연연해하는 것이요, 셋째는 즐겨 서로 섞여 머무르는 것이요, 넷째는 가르침[敎]에 수순하는 것이 없는 것이요, 다섯째는 조그마한 선(善)을 얻고도 곧 만족하게 기뻐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5 - T30n1579_p0314c06. 궤(匱)
"能令受用無有厭足故名為匱。"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궤(匱)
"수용(受用)하는 것에 만족함[厭足]이 있은 적이 없으면 궤(匱)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0 - T31n1605_p0678a12. 궤(匱)
"匱有三種。謂貪匱瞋匱癡匱。由依止貪瞋癡故。於有及資生具恒起追求無有厭足。常為貧乏眾苦所惱。是故名匱。"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궤(匱)
"궤(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궤(貪匱)ㆍ진궤(瞋匱)ㆍ치궤(癡匱)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유(有) 및 생필품을 추구하되 만족을 모르기에 언제나 가난한 중고에 고뇌하게 되므로 궤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15 - T31n1606_p0725b18. 궤(匱)
"匱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於有及資生具恒起追求無有厭足。常為貧乏眾苦所惱故。故名匱。以貪瞋癡能令身心恒乏短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9 / 388. 궤(匱)
"‘궤(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궤(貪匱)ㆍ진궤(瞋匱)ㆍ치궤(癡匱)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까닭이다. 유(有) 및 생필품을 추구하되 만족을 모르기에 언제나 모자란 것 같은 중고(衆苦)에 괴롭게 되기에 ‘궤’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탐ㆍ진ㆍ치로 인해 그 몸과 마음을 언제나 결핍된 상태에 놓이게 하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4. 근(根)
"不善所依故名為根。"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근(根)
"불선(不善)의 소의(所依)이므로 근(根)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7. 뇌(惱)
"能引衰損故名為惱。"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제8권. p. 221 / 829. 뇌(惱)
"능히 줄어듦[衰損]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뇌(惱)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6 - T31n1605_p0678a18. 뇌(惱)
"惱有三種。謂貪惱瞋惱癡惱。由依止貪瞋癡故。隨彼彼處愛樂耽著。彼若變壞便增愁歎。種種憂苦熱惱所觸。故名為惱。"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23 - T31n1606_p0725b27. 뇌(惱)
"惱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隨彼彼處愛樂耽著。彼若變壞便增愁歎。種種憂苦熱惱所觸。故名為惱。由於色等諸可樂事深愛著已。彼若變壞是諸有情。便為種種愁歎等苦所惱亂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0 / 388. 뇌(惱)
"‘뇌(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뇌(貪惱)ㆍ진뇌(瞋惱)ㆍ치뇌(癡惱)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기 때문이다. 그들이 처하는 곳에 따라 사랑스럽고 즐거운 것에 탐착하는 것이니 그러한 것들이 변하여 없어지면 바로 근심과 걱정이 늘어나 갖가지 근심과 괴로움의 번뇌에 접촉하는 까닭에 ‘뇌’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색 따위의 여러 가지 즐길 만한 일에 깊이 애착하다가 이러한 것들이 만약 변하여 없어지게 되면, 이들 여러 유정들이 바로 온갖 근심과 한탄 따위의 고뇌에 어지럽게 되는 까닭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5. 누(漏)
"流動其心故名為漏。"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누(漏)
"그 마음을 흘리고 흔들기 때문에 루(漏)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流動",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流動 유동:
①액체(液體) 등(等)이 흘러 움직임 ②이리저리 자꾸 옮기어 다님
流動性 유동성:
①액체(液體)와 같이 이리저리 흘러 움직이는 성질(性質) ②기업(企業)의 자산(資算) 또는 채권(債權)을 손실(損失) 없이 화폐(貨幣)로 바꾸거나 거둬 들일 수 있는 난이(難易)의 정도(程度)
流 흐를 류,흐를 유
1. 흐르다 2. 번져 퍼지다 3. 전하다(傳--) 4. 방랑하다(放浪--) 5. 떠돌다 6. 흐르게 하다 7. 흘리다 8. 내치다 9. 거침없다 10. 귀양 보내다 11. 흐름 12. 사회 계층 13. 갈래 14. 분파(分派)
動 움직일 동
1. 움직이다 2. 옮기다 3. 흔들리다 4. 동요하다(動搖--) 5. 떨리다 6. 느끼다 7. 감응하다(感應--) 8. 일하다 9. 변하다(變--) 10. 일어나다 11. 시작하다(始作--) 12. 나오다 13. 나타나다 14. 어지럽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06 - T31n1605_p0678a09. 누(漏)
"漏有三種。謂欲漏有漏無明漏。令心連注流散不絕。故名為漏。此復云何。依外門流注故立欲漏。依內門流注故立有漏。依彼二所依門流注故立無明漏。"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누(漏)
"누(漏)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욕루(欲漏)ㆍ유루(有漏)ㆍ무명루(無明漏)이다. 마음을 연달아 쏟아 흩트리되 끊어지지 않기에 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무엇 때문입니까?
외문(外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욕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내문(內門)에서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유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그 두 가지의 소의문(所依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무명루를 건립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10 - T31n1606_p0725b14. 누(漏)
"漏有三種。謂欲漏有漏無明漏。令心連注流散不絕故名為漏。此復云何。依外門流注故立欲漏。依內門流注故立有漏。依彼二所依門流注。故立無明漏。令心連注流散不絕是漏義。"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9 / 388. 누(漏)
"‘누(漏)’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욕루(欲漏)ㆍ유루(有漏)ㆍ무명루(無明漏)이다. 마음을 연달아 쏟아 산란시키되, 끊어지지 않기에 ‘누’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무엇 때문입니까?
외문(外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욕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내문(內門)에서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유루’를 건립하는 것이고, 그 두 가지 소의문(所依門)에 의지하여 쏟아져 내리는 까닭에 ‘무명루’를 건립하는 것이다.
[釋] 마음을 연달아 쏟아내어 끊임없이 흩어지게 하는 것이 누의 뜻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2. 누(漏)
"流注不絕。其猶瘡漏。故名為漏。"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4 - T30n1579_p0314b25. 박(縛)
"令於善行不隨所欲故名為縛。"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박(縛)
"선행(善行)에 대하여 바라는 것[所欲]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박(縛)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a14 - T31n1605_p0677a17. 박(縛)
"縛有三種。謂貪縛瞋縛癡縛。由貪縛故縛諸有情令處壞苦。由瞋縛故縛諸有情令處苦苦。由癡縛故縛諸有情令處行苦。又依貪瞋癡故。於善加行不得自在。故名為縛。"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7 / 159. 박(縛)
"박(縛)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박(貪縛)ㆍ진박(瞋縛)ㆍ치박(癡縛)이다. 탐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괴고(壞苦)에 처하도록 묶어지고, 진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고고(苦苦)에 처하도록 묶어지고, 치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행고(行苦)에 처하도록 묶어진다. 또 탐박ㆍ진박ㆍ치박에 의지하는 까닭에 선법의 가행이 자유롭지 못하기에 이를 이름하여 박이라 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4a02 - T31n1606_p0724a09. 박(縛)
"縛有三種。謂貪縛瞋縛癡縛。由貪縛故縛諸眾生令處壞苦。由瞋縛故縛諸眾生令處苦苦。由癡縛故縛諸眾生令處行苦。由貪等縛縛處壞苦等者。以貪瞋癡於樂等受常隨眠故。又依貪瞋癡故。於善方便不得自在故名為縛。猶如外縛縛諸眾生。令於二事不得自在。一者不得隨意遊行。二者於所住處不得隨意所作。當知內法貪瞋癡縛亦復如是。"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52 / 388. 박(縛)
"‘박(縛)’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박(貪縛)ㆍ진박(瞋縛)ㆍ치박(癡縛)을 가리킨다. 탐박으로 말미암아 모든 유정이 괴고(壞苦)에 묶여지고, 진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고고(苦苦)에 묶여지고, 치박에 연유해서 모든 유정이 행고(行苦)에 묶여진다.
[釋] ‘탐 따위의 박에 연유해서 괴고 따위에 묶여진다는 것’이란, 탐ㆍ진ㆍ치로서 ‘낙(樂)’ 따위에 처한 수(受)는 언제나 수면(隨眠)이기 때문이다. 또 탐박ㆍ진박ㆍ치박에 의지하는 까닭에 선법의 가행(加行)이 자유롭지 못하기에 이를 이름하여 ‘박’이라 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여러 중생을 외부적으로 묶어 놓는 것과 같아서 두 가지 일에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첫 번째는 마음껏 돌아다니지 못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그 머무는 처소를 마음껏 정하지 못하는 것이다. 내법(內法)의 탐박ㆍ진박ㆍ치박 또한 이와 같음을 숙지해야 한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 T29n1563_p0906c22 - T29n1563_p0907a14. 3박(三縛)
"已辯。結縛云何。頌曰。
縛三由三受
論曰。以能繫縛。故立縛名。即是能遮趣離染義。結縛二相雖無差別。而依本母說縛有三。一者貪縛。二者瞋縛。三者癡縛。所餘諸結品類同故。攝在三中。謂五見疑同癡品類。慢慳二結貪品類同。嫉結同瞋。故皆三攝。又為顯示已見諦者餘所應作。故說三縛。通縛六識身。置生死獄故。又佛偏為覺慧劣者。顯麤相煩惱。故但說三縛。有餘師說。由隨三受勢力所引說縛有三。謂貪多分於自樂受所緣相應二種隨增。少分亦於不苦不樂。於自他苦及他樂捨。唯有一種所緣隨增。瞋亦多分於自苦受所緣相應二種隨增。少分亦於不苦不樂。於自他樂及他苦捨。唯有一種所緣隨增。癡亦多分於自捨受所緣相應二種隨增。少分亦於樂受苦受。於他一切受唯所緣隨增。是故世尊依多分理。說隨三受建立三縛。何類貪等遮趣離染。說名為縛。謂唯現行。若異此者皆成三故。則應畢竟遮趣離染。"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제27권. pp. 1142-1144 / 1762. 3박(三縛)
5) 3박(縛)
‘결’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박(縛)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박(縛)은 세 가지로, 3수(受)에 의한 것이다.
縛三由三受
논하여 말하겠다.
능히 계박하는 것이기 때문에 ‘박(縛)’이라는 명칭을 설정한 것으로, 이는 바로 능히 이염(離染)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다는 뜻이다.
‘결’ 과 ‘박’의 두 가지 상(相)은 [사실상] 어떠한 차별도 없지만, 본모(本母, matṛka, 논장의 일종)에 근거하여 ‘박’에 세 가지가 있다고 설한 것으로, 첫째는 탐박(貪縛)이며, 둘째는 진박(瞋縛)이며, 셋째는 치박(癡縛)이다. 그리고 그 밖의 온갖 ‘결’은 품류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중에 포섭된다. 즉 5견과 의결은 ‘치’와 품류가 동일하고, 만결과 간결의 두 가지는 ‘탐’과 품류가 동일하며, 질결은 ‘진’과 품류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 모두는 3박에 포섭되는 것이다.
또한 이미 진리를 관찰한 자(다시 말해 이미 견도위에 든 자)가 그 밖의 마땅히 지어야 할 바를 현시하기 위해 세 가지 ‘박’을 설한 것으로, 그것은 모두 6신식(身識)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 중에 가두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부처님께서는 지나치게 각혜(覺慧)가 열등한 자를 위해 거친 상의 번뇌를 나타내고자 하였기 때문에 단지 세 가지 ‘박’만을 설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유여사(有餘師)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 ‘박’은 3수(受)의 세력에 따라 인기되기 때문에 세 가지가 있다고 설한 것이다. 즉 탐박은 대부분 자상속(自相續)의 낙수(樂受)에서 소연과 상응의 두 종류로 수증하지만, 일부는 역시 자상속의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에서, 자 · 타상속의 고수에서, 그리고 타상속의 낙수와 사수(捨受)에서 오로지 소연의 한 종류로 수증하는 경우도 있다. 진박 역시 대부분 자상속의 고수(苦受)에서 소연과 상응의 두 종류로 수증하지만, 일부는 역시 자상속의 불고불락수에서, 자 ·타상속의 낙수와, 타상속의 고수와 사수에서 오로지 소연의 한 종류로 수증하는 경우도 있다. 치박도 역시 대부분 자상속의 사수(捨受)에서 소연과 상응의 두 종류로 수증하지만, 일부는 역시 자상속의 낙수와 고수에서, 타상속의 일체의 수(受)에서 오로지 소연수증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존께서는 대부분에 해당하는 이치에 근거하여 ‘3수에 따라 3박을 설정한다’고 설하였던 것이다.”60)
이염(離染)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 것을 설하여 ‘박’이라 이름한다고 하였는데, 어떠한 종류의 탐 등이 이염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 것인가?
이를테면 오로지 현행하는 [탐 등]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모든 이가 세 가지 박을 성취할 것이기 때문에, 필경 이염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될 것이다.
60) 즉 예외적인 경우도 없지 않지만, 대개의 경우 탐 · 진 · 치의 3박은 순서대로 자상속의 낙 · 고 · 사수에 따라 수증하기 때문에 ‘박’에 세 가지를 설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이 같은 유여사의 설은 『구사론』(제21권, 고려장27, p.607중;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1)상에서 정설로 언급되고 있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9. 박(縛)
"羈繫行人。故目為縛。"
↑ "羈繫",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羈 굴레 기,나그네 기
1. 굴레(마소의 머리에 씌워 고삐에 연결한 물건) 2. 말고삐(말굴레에 매어서 끄는 줄) 3. 나그네 4. 객지살이(客地--) 5. 북상투(아무렇게나 막 끌어 올려 짠 상투) 6. 구금하다(拘禁--), 억류하다(抑留
繫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6 - T44n1851_p0561b27. 사(使)
"隨逐繫縛。稱之為使。"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2. 상해(常害)
"常能為害故名為常害。"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상해(常害)
"언제나 해(害)를 끼치기 때문에 상해(常害)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隨逐繫縛",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隨 따를 수,게으를 타
1. 따르다 2. 추종하다(追從--) 3. 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4. 좇다, 추구하다(追求--) 5. 발 6. 발꿈치 7. 괘(卦)의 이름 8. 따라서 9. 즉시, 곧바로 a. 게으르다...
逐 쫓을 축,돼지 돈,급급한 모양 적
1. 쫓다, 쫓아내다 2. 뒤쫓다, 뒤따라가다 3. 도망가다(逃亡--) 4. 달리다 5. 구하다(求--), 찾다, 추구하다(追求--) 6. 다투다 7. 따르다 8. 방탕하다(放蕩--) 9. 하나하나, 차례대로(次例--) a. 돼지...
繫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縛 얽을 박
1. 얽다 2. 동이다(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3. 묶다, 포박하다(捕縛--) 4. 매이다 5. 구속되다(拘束--) 6. 포승(捕繩) 7. 복토(伏兔: 차여(車輿)와 차축을 연결 고정하는 나무)"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6 - T30n1579_p0314c07. 소(燒)
"能令所欲常有匱乏故名為燒。"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소(燒)
"바라는 것[所欲]에 항상 부족함[匱乏]이 있기 때문에 소(燒)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3 - T30n1579_p0314c04. 소유(所有)
"能攝依事故名所有。"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소유(所有)
"능히 의지하는 일[依事]을 거두기 때문에 소유(所有)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5 - T31n1605_p0677c27. 소유(所有)
"所有有三。謂貪所有瞋所有癡所有。由依止貪瞋癡故。積畜財物有怖有怨多住散亂。故名所有。"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소유(所有)
"소유(所有)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유(貪所有)ㆍ진소유(瞋所有)ㆍ치소유(癡所有)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까닭이다. 재물을 축적하느라 두려움이나 원한이 많아져 그 살아가는 것이 어지러운 까닭에 소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26 - T31n1606_p0725a28. 소유(所有)
"所有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積畜財物有怖有怨。多住散亂故名所有。由多積集所有資具恒與怖等共相應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 소유(所有)
"‘소유(所有)’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유(貪所有)ㆍ진소유(瞋所有)ㆍ치소유(癡所有)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기 때문이다. 재물을 축적하느라 두려움이나 원한이 많아져 그 살아가는 것이 어지러운 까닭에 ‘소유’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재물을 많이 모아서 자기 것으로 소유하기 때문에 언제나 두려움 따위와 상응하게 되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76-100권》제89권. p. T30n1579_p0804a11 - T30n1579_p0804a12. 소해(燒害)
"復次若貪瞋癡數數現行恒常流溢。燒惱身心極為衰損。說名燒害。"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0 - T31n1605_p0677c21. 소해(燒害)
"燒害有三。謂貪燒害瞋燒害癡燒害。由依止貪瞋癡故。長時數受生死燒惱。故名燒害。"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소해(燒害)
"소해(燒害)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해(貪燒害)ㆍ진소해(瞋燒害)ㆍ치소해(癡燒害)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생사의 소해를 받는 까닭에 소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19 - T31n1606_p0725a21. 소해(燒害)
"燒害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長時數受生死燒惱。故名燒害。由於無始生死流轉因貪瞋癡數被生死苦燒害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 소해(燒害)
"‘소해(燒害)’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소해(貪燒害)ㆍ진소해(瞋燒害)ㆍ치소해(癡燒害)를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생사에 불태워지는 해를 입은 까닭에 ‘소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5 - T30n1579_p0314b26. 수면(隨眠)
"一切世間增上種子之所隨逐故名隨眠。"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수면(隨眠)
"모든 세간의 증상(增上)의 종자(種子)가 따라 다니는 것이기 때문에 수면(隨眠)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9권. p. T30n1579_p0802b09 - T30n1579_p0802b16. 수면(隨眠)
"復次煩惱品所有麤重隨附依身。說名隨眠。能為種子生起一切煩惱纏故。當知此復建立七種。由未離欲品差別故。由已離欲品差別故。由二俱品差別故。由未離欲品差別故。建立欲貪瞋恚隨眠。由已離欲品差別故。建立有貪隨眠。由二俱品差別故。建立慢無明見疑隨眠。如是總攝一切煩惱。"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a18 - T31n1605_p0677a29. 수면(隨眠)
"隨眠有七。謂欲愛隨眠瞋恚隨眠有愛隨眠慢隨眠無明隨眠見隨眠疑隨眠。欲愛隨眠者。謂欲貪品麤重。瞋恚隨眠者。謂瞋恚品麤重。有愛隨眠者。謂色無色貪品麤重。慢隨眠者。謂慢品麤重。無明隨眠者。謂無明品麤重。見隨眠者。謂見品麤重。疑隨眠者。謂疑品麤重。若未離欲求者。由欲愛瞋恚隨眠之所隨增。未離有求者。由有愛隨眠之所隨增。未離邪梵行求者。由慢無明見。疑隨眠之所隨增。由彼眾生得少對治便生憍慢。愚於聖諦。虛妄計度外邪解脫解脫方便。於佛聖教正法毘柰耶中。猶豫疑惑。"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7 / 159. 수면(隨眠)
"수면에는 일곱 종류가 있으니, 욕애수면(欲愛隨眠)ㆍ진에수면(瞋恚隨眠)ㆍ유애수면(有愛隨眠)ㆍ만수면(慢隨眠)ㆍ무명수면(無明隨眠)ㆍ견수면(見隨眠)ㆍ의수면(疑隨眠)이 다. 욕애수면은 그 욕탐분(欲貪分)이 추중(麤重)한 것을 가리킨다. 진에수면은 그 진에품(瞋恚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수면은 만품(慢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무명수면은 무명품(無明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견수면은 견품(見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의수면은 의품(疑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약 욕구를 여의지 못하면 그 욕애와 진에에 연유된 수면이 증가되고, 유구(有求)를 여의지 못하면 유애에 연유된 수면이 증가하고, 삿된 것을 여의지 못하고 범행(梵行)을 추구하면 만ㆍ무명ㆍ견ㆍ의에 연유된 수면이 증가하게 된다. 중생이 약간의 대치도(對治道)를 성취하고 교만을 부려서 성제(聖諦)에 어리석으면서도 외도(外道)나 사도(邪道)의 해탈법이나 그 해탈의 방편을 허망하게 분별해내면, 마침내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르침인 정법과 비나야(毘奈耶) 가운데에서 머뭇거리면서 의혹하게 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4a10 - T31n1606_p0724a22. 수면(隨眠)
"隨眠有七種。謂欲愛隨眠瞋恚隨眠有愛隨眠慢隨眠無明隨眠見隨眠疑隨眠。欲愛隨眠者。謂欲貪品麤重。瞋恚隨眠者。謂瞋恚品麤重。有愛隨眠者。謂色無色貪品麤重。慢隨眠者。謂慢品麤重。無明隨眠者。謂無明品麤重。見隨眠者。謂見品麤重。疑隨眠者。謂疑品麤重。若未離欲求者由欲愛瞋恚隨眠之所隨眠。由依彼門此二增長故。未離有求者由有愛隨眠之所隨眠。未離邪梵行求者由慢無明見疑隨眠之所隨眠。由彼眾生得少對治。便生憍慢。愚於聖諦。虛妄計度外邪解脫解脫方便。隨其次第三見二取。如結中說。於佛聖教正法毘柰耶中。猶豫疑惑。"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53 / 388. 수면(隨眠)
"‘수면’에는 일곱 종류가 있으니, 욕애수면(欲愛隨眠)ㆍ진에수면(瞋恚隨眠)ㆍ유애수면(有愛隨眠)ㆍ만수면(慢隨眠)ㆍ무명수면(無明隨眠)ㆍ견수면(見隨眠)ㆍ의수면(疑隨眠)이다.
[釋] ‘욕애수면’은 그 욕탐분(欲貪分)이 추중(麤重)한 것을 가리킨다. ‘진에수면’은 그 진에품(瞋恚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유애수면’은 색계와 무색계의 탐품(貪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수면’은 만품(慢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무명수면’은 무명품(無明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견수면’은 견품(見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의수면’은 의품(疑品)이 추중한 것을 가리킨다. 만약 욕구(欲求)를 여의지 못하면 그 욕애(欲愛)와 진에로 말미암은 수면의 소수면(所隨眠)이 그 문에 의지해서 이 두 가지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유구(有求)를 여의지 못하면 유애(有愛)에 연유한 수면의 소수면이, 삿된 것을 여의지 못하고 범행(梵行)을 추구하게 되면, 만ㆍ무명ㆍ견ㆍ의에 연유한 수면의 소수면이 증가되게 된다. 그들 중생이 약간의 대치도(對治道)를 성취하는 것에 기인해서 교만을 부려서 성제(聖諦)를 알지 못하고 외도(外道)의 삿된 해탈법이나 그 해탈의 방편을 허망하게 분별한다면, 그 차례에 따라서 세 가지 ‘견’이나 두 가지 ‘취견’에 빠지게 된다. ‘결’에서 해설한 것처럼 마침내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르침인 정법과 비나야(毘奈耶) 가운데에서 머뭇거리면서 의혹하게 되는 것이다."
↑ 佛門網, "麤重". 2013년 6월 3일에 확인
"麤重: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二卷二頁云:又於諸自體中所有種子、若煩惱品所攝;名為麤重,亦名隨眠。若異熟品所攝、及餘無記品所攝;唯名麤重,不名隨眠。若信等善法品所攝種子,不名麤重,亦非隨眠。何以故?由此法生時,所依自體、唯有堪能;非不堪能。
二解 世親釋七卷十九頁云:謂煩惱障及所知障、無始時來,熏習種子,說名麤重。
三解 法蘊足論八卷十五頁云:云何麤重?謂身重性、心重性、身無堪任性、心無堪任性、身剛強性、心剛強性、身不調柔性、心不調柔性、總名麤重。
四解 成唯識論九卷十二頁云:二障種子,立麤重名。性無堪任,違細輕故。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uṣṭhulya, duṣṭhula*, audārika, ghana, kraurya, sthairya
頁數: P.4325-P.4328"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6. 수번뇌(隨煩惱)
"倒染心故名隨煩惱。"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수번뇌(隨煩惱)
"전도하는 물든 마음[染心]이기 때문에 수번뇌(隨煩惱)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T29n1558_p0109b08 - T29n1558_p0109b14. 수번뇌(隨煩惱)
"隨眠既已說。隨煩惱云何。頌曰。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論曰。此諸煩惱亦名隨煩惱。以皆隨心為惱亂事故。復有此餘異諸煩惱染污心所行蘊所攝。隨煩惱起故亦名隨煩惱。不名煩惱非根本故。廣列彼相如雜事中。後當略論纏煩惱垢攝者。"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제21권. pp. 952-953 / 1397. 수번뇌(隨煩惱)
"수면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수번뇌(隨煩惱)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번뇌는 이 밖의 나머지
염오한 심소의 행온(行蘊)이다.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온갖 번뇌(즉 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그것들은 모두 마음에 따라 뇌란(惱亂)하는 것이기 때문이다.27) 그러나 또한 이것과는 다른 온갖 번뇌로서 염오한 심소의 행온에 포섭되는 것이 있으니,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 역시 수번뇌(隨煩惱)라고 이름한다. 즉 이것은 근본번뇌가 아니기 때문에 '번뇌'라고는 이름하지 않는데, 그 상을 널리 열거할 경우 「잡사품(雜事品)」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28)
[이러한 수번뇌에 대해서는] 뒤에서 응당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시켜 간략히 논설하리라.
27) 즉 앞에서 밝힌 근본번뇌인 6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할 수 있다는 뜻. 그러나 이 경우는 마음에 따라 뇌란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며, 그 밖의 다른 번뇌는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다. 여기서의 수번뇌는 후자를 말한다. 곧 "능히 유정을 뇌란시키는 것을 번뇌라고 하기 때문에(能爲惱亂故名煩惱) 결·박·수면·수번뇌·전 등도 모두 번뇌이며, 근본번뇌(즉 수면)를 결·박 따위로 일컫기도 한다."(『현종론』 권제27, 앞의 책, p.227)
28) 『법온족론』 권제9 「잡사품」(한글대장경115, p.597). 여기서는 진(瞋)·치(癡)·분(忿) ·한(恨)·부(覆)·뇌(惱)·질(嫉)·간(慳)·광(誑)·첨(諂)·무참(無慚)·무괴(無愧)·만(慢)·과만(過慢)·만과만(慢過慢)·아 만(我慢)·증상만(增上慢)·비만(卑慢)·사만(慢邪)·교(憍)·방일(放逸)·오(傲)·분발(憤發)·교망(矯妄)·궤사(詭詐)·현상 (現相)·격마(激磨)·이리구리 (以利求利)·악욕(惡欲)·대욕(大欲)·현욕(顯欲)·불희족(不喜足)·불공경·기악언(起惡言)·낙악우(樂惡友)·불인(不忍)·탐기(耽嗜)·변탐기(遍耽嗜)·염탐(染貪)·비법탐(非法貪)·착탐(著貪)·악탐(惡貪)·유신견·유견 (有見)·무유견(無有見)·탐욕·진에·혼침·수면(睡眠)·도거(掉擧)·악작(惡作) ·의(疑)·몽궤(瞢憒)·불락(不樂)·빈신(頻申)·흠거(欠)·식부조성(食不調性)·심매열성(心昧劣性)·종종상(種種想)·부작의(不作意)·추중(麤重)·저돌(觝突)·도철 (饕餮, 음식을 탐하는 것)·불화연성(不和性)· 불조유성(不調柔性)·불순동류(不順同類)·욕심(欲尋)·에심(恚尋)·해심 (害尋)·친리심(親里尋)·국토심(國土尋)·생사심(生死尋)·능멸심(凌蔑尋)·가족심(假族尋)·수(愁)·탄(歎)·고(苦)·우(憂)·요 (擾)·뇌(惱)를 언급하고 있다. 즉 이 중에 한 가지라도 영원히 끊게 되면 불환을 획득한다는 경설로서 인용하고 있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 T29n1563_p0907a17 - T29n1563_p0907a29. 수번뇌(隨煩惱)
"隨眠既已說。隨煩惱云何。頌曰。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論曰。能為擾亂。故名煩惱。隨諸煩惱轉。得隨煩惱名。有古師言。若法不具滿煩惱相。名隨煩惱。如月不滿得隨月名然。諸隨眠名為煩惱。即此亦得隨煩惱名。以是圓滿煩惱品故。由此故說。即諸煩惱有結縛。隨眠隨煩惱纏義。所餘染污心所行蘊。隨煩惱起隨惱心故。得隨煩惱名。不得名煩惱。以闕圓滿煩惱相故隨煩惱名為目幾法。經種種說。故有眾多。謂憤發不忍及起惡言類。如世尊告婆羅門言。有二十一諸隨煩惱。能惱亂心。乃至廣說。後當略辯。"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p. 1144-1146 / 1762. 수번뇌(隨煩惱)
"7) 수번뇌(隨煩惱)
7-1) 총설
수면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수번뇌(隨煩惱)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번뇌는 이 밖의 나머지
염오한 심소의 행온(行蘊)이다.
隨煩惱此餘 染心所行蘊
논하여 말하겠다.
능히 유정을 어지럽히는 것[擾亂]이기 때문에 ‘번뇌’라고 이름하였는데, 바로 이 같은 온갖 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隨煩惱)’라고 하는 명칭을 얻게 된 것으로,62) 어떤 옛 논사[古師]는 “만약 원만한(완전한) 번뇌의 상을 갖추지 않은 법을 일컬어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달이 원만하지 않은 것을 ‘수월(隨月)’이라고 이름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였다.
그런데 온갖 수면을 일컬어 ‘번뇌’라고 하였지만, 이 역시 수번뇌라고 말할 수 있으니, 이는 바로 원만한 번뇌의 품류이기 때문으로,63) 바로 이 같은 사실에 따라 온갖 번뇌는 결(結) · 박(縛) · 수면 · 수번뇌 · 전(纏)의 뜻을 갖는다고 논설하였던 것이다.64) 그러나 이 밖의 다른 염오한 심소의 행온은 [이러한] 번뇌에 따라 일어나 마음을 어지럽히기 때문에 ‘수번뇌’라고만 이름할 뿐 ‘번뇌’라고는 이름하지 않으니, 원만한 번뇌의 상을 결여하였기 때문이다.
수번뇌라는 말은 몇 가지의 법을 근거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경에서는 여러 가지로 설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법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분발(憤發)하는 것과 참지 않는 것[不忍]과 험악한 말을 일으키는 것[起惡言]이 바로 그러한 것들로서,65) 세존께서 바라문에게 “스물한 가지의 온갖 수번뇌가 있어 능히 마음을 뇌란시킨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고 말한 바와 같다. 이에 대해서는 뒤(즉 ‘10纏’과 ‘6煩惱垢’)에서 마땅히 간략히 분별하리라.
61) 이는 결(結) · 박(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전(纏) 등 다섯 가지 번뇌의 이명(異名) 중 세 번째 수면에 관한 본송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미 본론 제25권에서 6수면ㆍ7수면ㆍ10수면ㆍ98수면으로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논의의 체재 상 다시 언급한 것이다.
62) 『구사론』(고려장27, p.607중;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2)에서는 본론과는 반대로 먼저 “이러한 온갖 번뇌(즉 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그것들은 모두 마음에 따라 뇌란(惱亂)되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한 후 계속하여 “또한 이것과는 다른 온갖 번뇌로서 염오한 심소의 행온에 포섭되는 것이 있으니,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 역시 수번뇌(隨煩惱)라고 이름한다. 즉 이것은 근본번뇌가 아니기 때문에 ‘번뇌’라고는 이름하지 않는다”고 논설하고 있다. 차주(次註) 참조.
63) 즉 앞에서 밝힌 근본번뇌인 6수면 내지 98수면도 역시 수번뇌라고 이름할 수 있다는 뜻. 그러나 이 경우는 마음에 따라 뇌란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며, 그 밖의 다른 번뇌는 근본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번뇌’이다.
64) 본절(‘번뇌의 그 밖의 명칭’) ‘총론’ 참조."
↑ 佛門網, "隨煩惱". 2013년 5월 1일에 확인. 《유가사지론》의 수번뇌(隨煩惱)
"隨煩惱: suífánnăo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卷六頁云:倒染心故,名隨煩惱。
二解 瑜伽五十五卷十頁云:復次隨煩惱依處,當知略有九種。一、展轉共住,二、展轉相舉,三、利養,四、邪命,五、不敬尊師,六、不忍,七、毀增上戒,八、毀增上心,九、毀增上慧。復次隨煩惱自性云何?謂忿、恨、覆、惱、嫉、慳、誑、諂、憍、害、無慚、無愧、惛沈、掉舉、不信、懈怠、放逸、忘念、散亂、不正知、惡作、睡眠、尋、伺。如本地分,已廣宣說。如是等類,名隨煩惱自性。此中初二,依初依處而生。第三、第四、依第二。第五、第六、依第三。第七、第八、依第四。第九、依第五。第十、依第六。十一、十二、依第七。所餘十二,依後二依處而生。當知此中毀增上心。毀增上慧,由三門轉。一、由毀止相門,二、由毀舉相門,三、由毀捨相門。惛沈、睡眠、由初依處生。掉舉、惡作、由第二依處生。不信、乃至尋伺,由第三依處生。復次隨眠惱云何展轉相應?當知無慚、無愧、與一切不善相應。不信、懈怠、放逸、忘念、散亂、惡慧,與一切染汙心相應。睡眠、惡作、與一切善不善無記相應。所餘、當知互不相應。復次隨煩惱,幾世俗有?幾實物有?謂忿、恨、惱、嫉、害、是瞋分故;皆世俗有。慳、憍、掉舉、是貪分故;皆世俗有。覆、誑、諂、惛沈、睡眠、惡作、是癡分故;皆世俗有。無慚、無愧、不信、懈怠、是實物有。放逸、是假有。如前說。忘念、散亂、惡慧、是癡分故;一切皆是世俗有。尋伺二種,是發語言心加行分故,及慧分故;俱是假有。復次隨煩惱云何成軟中上品?當知如本煩惱說。如是隨煩惱,若事、若差別、若過失、若所治,隨其所應,皆如煩惱應知。
三解 瑜伽五十八卷六頁云:若有隨順如是煩惱,煩惱俱行,煩惱品類,名隨煩惱。
四解 瑜伽八十四卷十三頁云:又從煩惱生故,親近煩惱故,隨惱亂心,故名隨煩惱。除七隨眠,所餘一切染汙心法,皆隨煩惱。
五解 瑜伽八十九卷七頁云:復次隨煩惱者:謂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若忿、若恨、如是廣說諸雜穢事。當知此中能起一切不善法貪,名貪不善根。瞋、癡、亦爾。"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9권. p. T30n1579_p0802b17 - T30n1579_p0803b02. 수번뇌(隨煩惱)
"復次隨煩惱者。謂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若忿若恨。如是廣說諸雜穢事。當知此中能起一切不善法貪。名貪不善根。瞋癡亦爾。若瞋恚纏能令面貌慘裂奮發。說名為忿。內懷怨結故名為恨。隱藏眾惡故名為覆。染污驚惶故名熱惱。心懷染污不喜他榮故名為嫉。於資生具深懷鄙吝。故名為慳。為欺[言*罔]彼內懷異謀外現別相故。名為誑心。不正直。不明不顯。解行邪曲。故名為諂。於所作罪望己不羞故。名無慚。於所作罪望他不恥故。名無愧。於他下劣謂己為勝。或復於等謂己為等。令心高舉故名為慢。於等謂勝於勝謂等。令心高舉故名過慢。於勝謂勝令心高舉名慢過慢。妄觀諸行為我我所。令心高舉故名我慢。於其殊勝所證法中未得謂得。令心高舉。名增上慢。於多勝中謂己少劣。令心高舉。名下劣慢。實無其德謂己有德。令心高舉故名邪慢。心懷染污隨恃榮譽形相疏誕故。名為憍。於諸善品不樂勤修。於諸惡法心無防護故。名放逸。於諸尊重及以福田心不謙敬。說名為傲。若煩惱纏能令發起。執持刀仗鬥訟違諍故名憤。發心懷染污為顯己德假現威儀故。名為矯。心懷染污。為顯己德。或現親事。或行軟語故。名為詐。心懷染污欲有所求矯示形儀故。名現相。現行遮逼有所乞丐故。名研求。於所得利不生喜足。說獲他利更求勝利。是故說名以利求利。自現己德遠離謙恭。於可尊重而不尊重故。名不敬。於不順言性不堪忍故。名惡說。諸有朋疇引導令作非利益事。名為惡友。耽著財利顯不實德欲令他知故。名惡欲。於大人所欲求廣大利養恭敬故。名大欲。懷染污心顯不實德。欲令他知名自希欲。於罵反罵。名為不忍。於瞋反瞋。於打反打。於弄反弄。當知亦爾。於自諸欲深生貪愛。名為耽嗜。於他諸欲深生貪著。名遍耽嗜。於勝於劣隨其所應。當知亦爾。於諸境界深起耽著。說名為貪。於諸惡行深生耽著。名非法貪。於自父母等諸財寶不正受用。名為執著。於他委寄所有財物規欲抵拒故。名惡貪。妄觀諸行為我我所。或分別起或是俱生。說名為見。薩迦耶見為所依止。於諸行中發起常見。名為有見。發起斷見名無有見。當知五蓋如前定地已說。其相不如所欲。非時睡纏之所隨縛故。名[夢-夕+登]瞢。非處思慕說名不樂。麤重剛強心不調柔。舉身舒布故曰頻申。於所飲食不善通達。若過若減。是故名為食不知量。於所應作而便不作。非所應作而更反作。如所聞思修習法中。放逸為先不起功用。名不作意。於所緣境深生繫縛。猶如美睡隱翳其心。是故說名不應理。轉自輕蔑故。名心下劣。為性惱他故。名抵突。性好譏嫌故。名諀訿。欺誑師長尊重福田及同法者。名不純直。身語二業皆悉高疏其心剛勁又不清潔。名不和軟。於諸戒見軌則正命皆不同分。名不隨順。同分而轉心懷愛染。攀緣諸欲。起發意言。隨順隨轉。名欲尋思。心懷憎惡。於他攀緣不饒益相。起發意言。隨順隨轉。名恚尋思。心懷損惱。於他攀緣惱亂之相。起發意言。餘如前說。名害尋思。心懷染污。攀緣親戚起發意言。餘如前說。是故說名親里尋思。心懷染污。攀緣國土起發意言。餘如前說。是故說名國土尋思。心懷染污。攀緣自義推託遷延。後時望得起發意言。餘如前說。是故說名不死尋思。心懷染污。攀緣自他若劣若勝起發意言。餘如前說。是名輕蔑相應尋思。心懷染污。攀緣施主往還家勢。起發意言。隨順隨轉。是名家勢相應尋思。愁歎等事如前應知。"
↑ 이동:가 나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제4권. p. T31n1605_p0677b01 - T31n1605_p0677b08. 수번뇌(隨煩惱)
"隨煩惱者。謂所有諸煩惱皆是隨煩惱。有隨煩惱非煩惱。謂除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一切心所法。此復云何。謂除貪等六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忿等諸心所法。又貪瞋癡名隨煩惱。心所法由此隨煩惱隨惱於心。令不離染。令不解脫。令不斷障。故名隨煩惱。如世尊說。汝等長夜為貪瞋癡隨所惱亂心恒染污。"
↑ 이동:가 나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제4권. p. 78 / 159. 수번뇌(隨煩惱)
"수번뇌란 그 과보를 이루는 여러 가지 번뇌가 모든 수번뇌이다. 수번뇌는 번뇌는 아니지만 번뇌가 제거되고도 남아 있는 염오이기에 행온에 소속되는 모든 심소법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또 무엇입니까?
탐 따위의 여섯 가지 번뇌를 제외한 그 여타의 염오가 행온에 수렴된, 분(忿) 등의 여러 가지 심소법이다. 따라서 탐ㆍ진ㆍ치를 ‘수번뇌의 심소법’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번뇌로 인해서 그 시법이 따라서 고뇌하게 되는 것이다. 심법을 고뇌에 따르게 해서 그 염착을 여의지 못하게 되고 해탈하지 못하게 되고 장애를 끊지 못하게 되는 까닭에 수번뇌라고 이름하니, 이는 세존께서 “너희들이 긴긴밤을 탐ㆍ진ㆍ치에 고뇌받아 어지러웠으니, 그 마음이 항상 오염되었다”라고 말씀하신 그대로이다."
↑ 이동:가 나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b07 - T31n1606_p0724b13. 수번뇌(隨煩惱)
"隨煩惱者。謂所有諸煩惱皆是隨煩惱。有隨煩惱非煩惱。謂除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一切心法。此復云何。謂除貪等六煩惱。所餘染污行蘊所攝忿等諸心法。又貪瞋癡名隨煩惱心法。由此隨煩惱隨惱於心令不離染令不解脫令不斷障故。名隨煩惱。如世尊說。汝等長夜為貪瞋癡隨所惱亂心恒染污。"
↑ 이동:가 나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4 / 388. 수번뇌(隨煩惱)
"‘수번뇌(隨煩惱)’란 그 과보를 이루는 여러 가지 번뇌가 모두 수번뇌이다. 수번뇌는 번뇌는 아니지만 번뇌가 제거되고도 남아있는 염오(染汚)의 행온(行蘊)에 소속되는 모든 심소법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은 어떻게 설명됩니까?
탐 따위의 여섯 가지 번뇌를 제외한 그 나머지 염오의 행온에 소속되는 분(忿) 따위의 여러 가지 심소법이다. 따라서 탐ㆍ진ㆍ치를 수번뇌의 심소법이라 고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번뇌로 인해 심법이 고뇌에 따르게 되면, 그것에 물들어 집착함을 여의지 못해서 해탈하지 못하고 장애를 끊지 못하는 까닭에 ‘수번뇌’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는 세존께서 “너희들이 어두운 밤의 탐ㆍ진ㆍ치의 고뇌에 산란해져, 그 마음이 항상 오염되느니라”고 말씀하신 대로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4 - T30n1579_p0314c05. 악행(惡行)
"邪行自性故名惡行。"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악행(惡行)
"사행(邪行)이 자성(自性)이기 때문에 악행(惡行)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8 - T31n1605_p0678a05. 악행(惡行)
"惡行有三。謂貪惡行瞋惡行癡惡行。由依止貪瞋癡故。恒行身語意惡行。故名惡行。又即依此貪瞋癡門。廣生無量惡不善行故。建立三不善根。所以者何。以諸有情愛味世間所有為因行諸惡行。分別世間怨相為因行諸惡行。執著世間邪法為因行諸惡行。是故此貪瞋癡。亦名惡行。亦名不善根。"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80-81 / 159. 악행(惡行)
"악행(惡行)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악행(貪惡行)ㆍ진악행(瞋惡行)ㆍ치악행(癡惡行)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까닭이다. 언제나 신ㆍ어ㆍ의의 악행을 저지르는 까닭에 악행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또 이 같은 탐ㆍ진ㆍ치의 문에 의지하여 한량없는 악행과 불선한 행이 널리 생겨나는 까닭에, 세 가지 불선근(不善根)을 건립하게 되는 것이다.
[81 / 159] 쪽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모든 유정이 세간에서의 소유에 애착하는 것으로 인(因)을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고, 세간을 분별 내어 그 원상(怨相)으로 인을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같은 탐ㆍ진ㆍ치를 악행이라고도 이름하고 불선근이라고도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29 - T31n1606_p0725b09. 악행(惡行)
"惡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恒行身語意惡行。故名惡行。由貪瞋癡能引殺生等諸不善行故。又即依此貪瞋癡門。廣生無量惡不善行故。建立三不善根。所以者何。以諸有情愛味世間所有。為因行諸惡行。貪求財利行惡行故。[以]分別世間怨相。為因行諸惡行。由懷瞋恚不忍他過多行惡故。[以]執著世間邪法。為因行諸惡行。由懷愚癡起顛倒見。因祠祀等行諸惡故。是故此貪瞋癡亦名惡行。亦名不善根。"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8-159 / 388. 악행(惡行)
"‘악행(惡行)’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악행(貪惡行)ㆍ진악행(瞋惡行)ㆍ치악행(癡惡行)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까닭이다. 언제나 신(身)ㆍ어(語)ㆍ의(意)의 악행을 저지르는 까닭에 ‘악행’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탐ㆍ진ㆍ치로 말미암아 살생 따위의 여러 가지 어질지 못한 행위가 능히 유도되기 때문이다. 또 이 같은 탐ㆍ진ㆍ치의 문에 의지하여 한량없는 악행과 선하지 못한 행이 널리 생겨나는 까닭에, 세 가지 불선근(不善根)을 건립하게 되는 것이다.
[159 / 388] 쪽
왜냐하면 모든 유정이 세간에서의 소유에 애착해서 좋아하는 것을 인(因)으로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고, 세간을 분별하여 그 원상(怨相)을 인으로 삼아 온갖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우치(愚癡)를 마음속에 품고 있는 것으로 말미암아 전도된 소견을 일으켜 그들이 사사(祠祀)에 모여서 여러 가지 악을 행하게 되는 까닭이다. 그리하여 이 같은 탐ㆍ진ㆍ치를 ‘악행’이라고도 이름하고 ‘불선근(不善根)’이라고도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8. 액(軛)
"邪行方便故名為軛。"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액(軛)
"사행(邪行)의 방편(方便)이 되기 때문에 액(軛)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T29n1558_p0108a17 - T29n1558_p0108b11. 수면(隨眠)의 뜻
"如是已辯隨眠并纏。經說為漏瀑流軛取。此隨眠等名有何義。頌曰。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論曰。根本煩惱現在前時行相難知故名微細。二隨增者。能於所緣及所相應增惛滯故。言隨逐者。謂能起得恒隨有情常為過患。不作加行為令彼生。或設劬勞為遮彼起而數現起故名隨縛。由如是義故名隨眠。稽留有情久住生死。或令流轉於生死中。從有頂天至無間獄。由彼相續於六瘡門泄過無窮故名為漏。極漂善品故名瀑流。和合有情故名為軛。能為依執故名為取。若善釋者應作是言。諸境界中流注相續泄過不絕故名為漏。如契經說。具壽當知。譬如挽船逆流而上。設大功用行尚為難。若放此船順流而去。雖捨功用行不為難。起善染心應知亦爾。准此經意。於境界中煩惱不絕說名為漏。若勢增上說名瀑流。謂諸有情若墜於彼。唯可隨順無能違逆。涌泛漂激難違拒故。於現行時非極增上說名為軛。但令有情與種種類苦和合故。或數現行故名為軛。執欲等故說名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p. 940-942 / 1397. 수면(隨眠)의 뜻
"이와 같이 수면과 아울러 전(纏)을 경에서 누·폭류·액·취라고 설한 것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면 등의 명칭에는 어떠한 뜻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미세, 두 가지에서의 수증
수축(隨逐)과 수박(隨縛)
머묾과 유전·표류·화합·집취
이것이 바로 수면 등의 뜻이다.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즉 10수면)가 현재전할 때 그 행상(行相)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微細)'라고 이름한다.76)
'두 가지에서의 수증'이란, 말하자면 [수면은] 능히 그것의 소연 및 그것에 상응하는 법과 뒤엉켜[惛滯] 증장하기 때문이다.
'수축'이라고 하는 말은, 이를테면 [수면의] 득(得)을 일으켜 항상 유정을 쫓아다니면서 과환(過患)이 되는 것을 말한다.
가행을 지어 그것(수면)을 생겨나지 않게 하더라도, 혹은 애써 노력하여 그것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지라도 자꾸자꾸 일어나기 때문에 '수박(隨縛)'이라고 한다. 곧 이와 같은 뜻으로 말미암아 수면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수면은] 유정을 생사(生死)에 체류시켜 오래 머물게[住] 하며, 혹은 유정천으로부터 무간지옥에 이르기까지 생사 중에 유전(流轉)시키는 것으로,77)그들의 상속은 육창문(六瘡門, 즉 6근을 말함)에서 끊임없이 번뇌를 누설하기 때문에 수면을 일컬어 '누(asrava)'라고 하였다. 또한 선품을 극심히 표탈(漂奪)시켜 버리기 때문에 '폭류(ogha)'라고 이름하였고, 유정을 [3계·5취·4생과] 화합시키기 때문에 '액(yoga)'이라고 이름하였으며, 능히 의지하여 집착하게 되기 때문에 '취(upadana)'라고 이름하였다.
그러나 만약 좋은 해석이 되려면 마땅히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할 것이다.78) 온갖 경계 중으로 상속(相續)을 흘러들게 하여 끊임없이 허물을 누설(漏泄)하기 때문에 '누'라고 이름한 것이니, 계경에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구수(具壽)는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비유하자면 배를 당기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으니, 설혹 크나큰 힘을 들이더라도 [거슬러 올라] 가는 것은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만약 이 배를 그대로 놓아두어 강물의 흐름에 따라 가게 하면 비록 힘을 들이지 않을지라도 [내려] 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심이나 염심을 일으키는 것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79) 즉 이 경의 뜻에 준하여 본다면, 경계 중에서 번뇌가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일컬어 '누'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만약 [수면의] 세력이 강력하게 될 때를 설하여 '폭류'라고 이름한다. 즉 모든 유정이 거기에 떨어질 경우 오로지 거기에 따라야 할 뿐 능히 어기거나 거역할 수 없으니, 솟구치거나 떠오르거나 떠내려가거나 물결치면 그것을 어기거나 거역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현행할 때 지극히 두드러지지 않은 수면을 설하여 '액'이라 이름하니, 다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여러 가지 종류의 괴로움과 화합하게 하기 때문에, 혹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에 '액'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은] 욕경(欲境) 따위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하여 '취'라고 이름한 것이다.80)
76) 수면의 원어 anu-saya의 anu를 미세[微, a u]의 뜻으로 이해하여 해석한 것이다.
77) '누'의 원어 a-srava는 a-sru(유출·유동하다)라는 동사의 파생어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유사한 as(앉다)의 사역어 asayati(머물게 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유전시키는 것'이라는 말은 a-sru의 사역어 asravayati(=asravayati)에 근거한 해석이다.
78) 이하 논주 자신의 해석이다.
79) 『잡아함경』 권제18 제493경(대정장2, p. 128중하) 참조. 즉 선법을 행하는 것은 크나큰 가행이 필요하다는 비유로서, 수면은 경계라는 강물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면서 허물을 누설하기 때문에 '누'라는 것이다
80) 5욕경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욕취이며, '견'에 집착하는 것은 견취, 계에 집착하는 것은 계금취, 아어에 집착하는 것은 아어취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17 - T31n1605_p0677b19. 액(軛)
"軛有四種。謂欲軛有軛見軛無明軛。障礙離繫是軛義。違背清淨故。此亦隨其次第習三求者相應現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8 / 159. 액(軛)
"액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욕액(欲軶)ㆍ유액(有軶)ㆍ견액(見軶)ㆍ무명액(無明軶)이다. 그 이계(離繫)를 장애하는 것이 액의 이치이니, 청정함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이것도 역시 그 순서에 따라 세 가지의 구하는 것의 훈습이 상응하여 현행(現行)하게 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01 - T31n1606_p0724c03. 액(軛)
"軛有四種。謂欲軛有軛見軛無明軛。障礙離繫是軛義。違背清淨故。此亦隨其次第習三求者相應現行。"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5 / 388. 액(軛)
"‘액(軛)’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욕액(欲軛)ㆍ유액(有軛)ㆍ견액(見軛)ㆍ무명액(無明軛)이다. 그 속박을 여의는 데에 장애되는 것이 액의 이치이니, 청정함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이것도 역시 그 순서에 따라 세 가지 구하는 것의 훈습이 상응해서 현행(現行)하게 된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1. 액(枙)
"能令眾生為苦所枙。故名為枙"
↑ "枙軶",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枙 옹이 와,멍에 액
1. 옹이 a. 멍에(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속이나 억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액) b. (멍에를)메우다 (액) c. 구속하다(拘束--) (액) d. 속박하다(束縛--) (액)
軶 멍에 액
1. 멍에(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마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 2. (멍에를)메우다 3. 구속하다(拘束--) 4. 속박하다(束縛--)"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3 - T31n1605_p0678a15
"熱有三種。謂貪熱瞋熱癡熱。由依止貪瞋癡故。不如正理執著諸相執著隨好。由執著相及隨好故燒惱身心。故名為熱。"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열(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열(貪熱)ㆍ진열(瞋熱)ㆍ치열(癡熱)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정리에 의지하지 않고 여러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바에 집착하는 것이다.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바에 따르는 것에 연유하여 몸과 마음을 애태워서 괴롭히기에 열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19 - T31n1606_p0725b22
"熱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不如正理執著諸相執著隨好。由執著相及隨好故。燒惱身心。故名為熱。不如正理妄執相好燒身心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9 / 388
"‘열(熱)’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열(貪熱)ㆍ진열(瞋熱)ㆍ치열(癡熱)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까닭이다. 올바른 이치에 의지하지 않고 여러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것에 집착하는 것이다. 모양에 집착하거나 그 좋아하는 것을 따르는 것으로 말미암는 몸과 마음을 애태우는 고를 ‘열’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9 - T44n1851_p0561c01. 유(流)
"漂流行人。說之為流。"
↑ "漂流",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9일에 확인.
"漂流 표류
①물에 떠서 흘러감 ②정처 없이 돌아다님
漂 떠다닐 표
1. 떠다니다, 떠내려가다 2. (물에)뜨다, 띄우다 3. 유랑하다(流浪--), 방랑하다(放浪--) 4. 나부끼다, 불다 5. (흔들어)움직이다 6. 서늘하다 7. 빨래하다 8. 표백하다(漂白--) 9. 빠르다, 신속하다(迅速--)..
流 흐를 류,흐를 유
1. 흐르다 2. 번져 퍼지다 3. 전하다(傳--) 4. 방랑하다(放浪--) 5. 떠돌다 6. 흐르게 하다 7. 흘리다 8. 내치다 9. 거침없다 10. 귀양 보내다 11. 흐름 12. 사회 계층 13. 갈래 14. 분파(分派)"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7 - T30n1579_p0314c08. 유쟁(有諍)
"能為鬥訟諍競之因故名有諍。"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유쟁(有諍)
"송사[鬪訟]와 다툼[諍競]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유쟁(有諍)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3 - T44n1851_p0561c04. 장(障)
"能礙聖道。說以為障。"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76-100권》 제84권. p. T30n1579_p0770b06 - T30n1579_p0770b07
"又能發起諸鬥訟等種種忿競故。名為諍。"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19 - T31n1605_p0678a21
"諍有三種。謂貪諍瞋諍癡諍。由依止貪瞋癡故。執持刀杖興諸戰諍種種鬥訟。是故貪等說名為諍"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61 / 159
"쟁(諍)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쟁(貪諍)ㆍ진쟁(瞋諍)ㆍ치쟁(癡諍)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칼과 창을 쥐고서 여러 전쟁이나 온갖 싸움을 일으키기에 탐 등을 쟁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b28 - T31n1606_p0725c01
"諍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執持刀杖興諸戰諍種種鬥訟。是故貪等說名為諍。"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61 / 388
"‘쟁(諍)’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쟁(貪諍)ㆍ진쟁(瞋諍)ㆍ치쟁(癡諍)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까닭이다. 칼과 창을 쥐고서 여러 전쟁이나 온갖 투쟁을 일으키므로 탐 따위를 ‘쟁’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2 - T30n1579_p0314c03. 전(箭)
"不靜相故遠所隨故。"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전(箭)
"고요하지 않은 모습이면서 멀리서 따라오는 것이므로 전(箭)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2 - T31n1605_p0677c24. 전(箭)
"箭有三種。謂貪箭瞋箭癡箭。由依止貪瞋癡故。於有有具深起追求相續不絕。於佛法僧苦集滅道常生疑惑。故名為箭。"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전(箭)
"전(箭)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전(貪箭)ㆍ진전(瞋箭)ㆍ치전(癡箭)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유(有)에서 유가 깊이 일어나는 것을 추구해서 이를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불ㆍ법ㆍ승의 삼보와 고ㆍ집ㆍ멸ㆍ도의 4제에 늘 의혹을 내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22 - T31n1606_p0725a25. 전(箭)
"箭有三種。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於有有具深起追求相續不絕。於佛法僧苦集滅道常生疑惑。故名為箭。於諸有財三寶四諦。隨愛疑門能射傷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 전(箭)
"‘전(箭)’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탐전(貪箭)ㆍ진전(瞋箭)ㆍ치전(癡箭)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유(有)에서 유(有)가 깊이 일어나는 것을 추구해서 이를 끊어지지 않도록 상속하는 것이다. 불ㆍ법ㆍ승의 삼보와 고ㆍ집ㆍ멸ㆍ도의 사제에 늘 의혹을 내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삼보의 유재사제(有財四諦)에 처해서, 그 애의문(愛疑門)을 따르는 것은 화살을 쏘아 해치게 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6 - T30n1579_p0314b27. 전(纏)
"數起現行故名為纏。"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전(纏)
"자주 일어나 현행(現行)하기 때문에 전(纏)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9권. p. T30n1579_p0803b03 - T30n1579_p0803b11. 전(纏)
"復次一切煩惱皆有其纏。由現行者悉名纏故。然有八種諸隨煩惱。於四時中數數現行。是故唯立八種為纏。謂於修學增上戒時。無慚無愧數數現行能為障礙。若於修學增上心時。惛沈睡眠數數現行能為障礙。若於修學增上慧時。簡擇法故掉舉惡作數數現行能為障礙。若同法者展轉受用財及法時。嫉妒慳吝數數現行能為障礙。"
↑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 p. T29n1563_p0907b00 - T29n1563_p0907c05. 전(纏)
"纏煩惱垢攝者且應先辯。纏相云何。頌曰。
纏八無慚愧 嫉慳并悔眠
及掉舉惛沈 或十加忿覆
無慚慳掉舉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論曰。根本煩惱亦名為纏。經說欲貪纏為緣故。若異此者。貪等云何可得名為圓滿煩惱。然諸論者。離諸隨眠。就勝說纏。或八或十。謂品類足說有八纏。毘婆沙宗說纏有十。即於前八更加忿覆。如是十種。繫縛含識置生死獄。故名為纏。或十為因起諸惡行令拘惡趣。故名為纏。無慚無愧嫉慳并悔掉舉惛沈。如前已辯。令心昧略惛沈相應。不能持身是為眠相。眠雖亦有惛不相應。此唯辯纏。故作是說。於此頓說眠三相者。此三與眠義相順故。因自反損怨益而生。瞋恚為先心憤名忿。有餘師說。因處非處違逆而生。力能令心無顧而轉。乃至子上令心憤發說名為忿。隱藏自罪。說名為覆。罪謂可訶。即是毀犯尸羅軌則及諸淨命。隱藏即是匿罪欲因有餘釋言。捫拭名覆。謂內懷惡捫拭外邊。是欲令他不覺察義。前說若法從煩惱起。方可建立隨煩惱名。此中何法何煩惱起。無慚慳掉舉是貪等流。要貪為近因方得生故。無愧眠惛沈是無明等流。此與無明相極相鄰近故。嫉忿是瞋等流。由此相同瞋故。悔是疑等流。因猶豫生故。覆有說是貪等流。有說是無明等流。有說是俱等流。諸有知者因愛生故。諸無知者因癡生故即由此相故有說言。心著稱譽利養恭敬。不了惡行所招當果。是於自罪隱匿欲因。為愛無明二等流果。隨惱心法說名為覆。如是十種從煩惱生。是煩惱等流。故名隨煩惱。"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제27권. pp. 1146-1150 / 1762. 전(纏)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되는 것에 대해 바야흐로 먼저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다.
‘전’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참 · 무괴 ·
[1147 / 1762] 쪽
질(嫉) · 간(慳) · 회(悔) · 수면(睡眠),
그리고 도거 · 혼침이 바로 그것이다.
혹은 분(忿)과 부(覆)를 더한 열 가지이다.
纏八無慚愧 嫉慳幷悔眠
及掉擧惛沈 或十加忿覆
무참과 ‘간’과 도거는
모두 탐(貪)에서 생겨난 것이며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무명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다.
無慚慳掉擧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질’과 ‘분’은 진(瞋)으로부터 일어난 것이고
‘회’는 의(疑)에서, ‘부’에 대해서는 여러 쟁론이 있다.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를 역시 ‘전’이라고도 이름하니, 경에서 “욕탐의 전을 연(緣)으로 한다”고 설하였기 때문이다.66) 만약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어떻게 탐 등을 원만한 번뇌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런데 모든 논자(論者)들은 온갖 수면(즉 근본번뇌)을 떠나 [그 밖의] 수승한 것에 근거하여 ‘전(纏)’을 설하였는데, 어떤 이는 여기에 여덟 가지가 있다고 하고, 혹은 어떤 이는 열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즉 『품류족론』에서는 8전이 있다고 설하고 있지만,67) 비바사종(毘婆沙宗)에서는 ‘전’에 열 가
[1148 / 1762] 쪽
지가 있다고 설하고 있으니,68) 이를테면 앞의 여덟 가지에 다시 분(忿)과 부(覆)을 더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같은 열 가지 종류는 함식(含識, 유정을 말함)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에 가두기 때문에 ‘전’이라고 이름하였다. 혹은 이러한 열 가지가 원인이 되어 온갖 악행을 일으키며, 악취(惡趣)에 갇히게 되기 때문에 ‘전’이라고 이름하였다.
여기서 무참(無慚)과 무괴(無愧), 질(嫉)과 간(慳), 그리고 회(悔) · 도거(掉擧) ·혼침(惛沈)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분별한 바와 같다.69)
마음으로 하여금 흐리멍덩[昧略]하게 하고, 혼침과 상응하며, 능히 몸을 집지(執持)하지 못하게 하는 것, 이것이 바로 ‘면(眠)’ 즉 수면(睡眠)의 특상이다. 수면은 혼침과 상응하지 않는 경우도 역시 있지만,70) 여기서는 오로지 ‘전’[의 하나]로 분별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설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수면의 세 가지 상을 한꺼번에 설한 것은, 이러한 세 가지 특상과 수면의 뜻이 서로 부합하기 때문이다.71)
자신이나 친구의 손해와 원수의 이익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으로, 진에가 선행함으로써 마음이 분발(憤發)하게 되는 것을 ‘분(忿)’이라고 이름한다.72) 그
[1149 / 1762] 쪽
런데 유여사는 설하기를, “처(處)와 비처(非處) 즉 옳고 그름을 어기고 거역함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것으로,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되돌아보는 일이 없이 일어나게 하는 힘, 내지는 마음으로 하여금 분발(憤發)하게 하는 자상(子上, 의미불명)을 일컬어 ‘분’이라 한다”고 하였다.
자신의 죄를 감추려고 하는 것을 설하여 ‘부(覆)’라고 이름한다. 여기서 ‘죄’란 이를테면 꾸짖을 만한 것으로, 바로 시라(尸羅, 계율)와 궤칙(軌則), 그리고 온갖 청정한 명[淨命]을 허물고 범하는 것을 말하며, ‘감추려고 함’은 바로 죄를 은닉하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다. 그런데 유여사는 다시 해석하여 말하기를, “[있으면서도] 없는 체[捫拭]하는 것을 ‘부’라고 한다. 이를테면 안으로는 악을 품었으면서도 밖으로는 품지 않은 체하는 것을 말하니, 이는 바로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려 한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앞에서 “만약 법으로서 번뇌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라면, 바야흐로 수번뇌라는 명칭으로 설정할 수 있다”고 논설하였다.73) 그렇다면 이 중의 어떠한 법이 어떠한 번뇌로부터 일어나는 것인가?
무참과 ‘간(慳)’과 도거는 바로 탐(貪)의 등류(等流)이니, 요컨대 탐을 직접적인 원인[近因]으로 삼을 때 비로소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바로 무명의 등류이니, 이는 무명의 상과 지극히 서로 인접한 것이기 때문이다.
‘질(嫉)’과 ‘분(忿)’은 바로 진(瞋)의 등류이니, 이러한 법의 상은 ‘진’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회(悔)’는 바로 의(疑)의 등류이니, 유예(猶豫)에 의해 생겨나기 때문이다.
‘부(覆)’의 경우, 어떤 이는 바로 탐의 등류라고 설하였고, 어떤 이는 바로
[1150 / 1762] 쪽
무명의 등류라고 설하였으며, 어떤 이는 양자 모두의 등류라고 설하였으니, 지식이 있는 모든 이는 애(愛, 즉 탐)로 인해 그것을 낳기 때문이며, 무지한 자는 치(癡, 즉 무명)로 인해 그것을 낳기 때문이다.74) 바로 이 같은 상으로 말미암아 어떤 이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마음이 칭예(稱譽)와 이양(利養)과 공경(恭敬)에 집착하거나, 악행에 의해 초래되는 당래의 과보를 알지 못하는 것, 이것이 바로 자신의 죄를 은닉하려고 하는 원인으로, 이는 ‘애’와 무명 두 가지의 등류과이다. 이에 따라 마음을 어지럽히는 [이 같은 은닉의] 법을 설하여 ‘부’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처럼 열 가지 종류의 ‘전’은 모두 번뇌로부터 생겨나는 것으로, 번뇌의 등류이기 때문에 ‘수번뇌’라고 이름한 것이다.
65) 이 세 가지는 『법온족론』 제9권 「잡사품」(대정장26, p.494하; 한글대장경115, p.597)에 언급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진(瞋) · 치(癡) ·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무참(無慚) · 무괴(無愧) · 만(慢) · 과만 (過慢) · 만과만(慢過慢) · 아만(我慢) · 증상만(增上慢) · 비만(卑慢) ·사만(慢邪) · 교(憍) · 방일(放逸) · 오(傲) · 분발(憤發) · 교망(矯妄) · 궤사(詭詐) ·현상(現相) · 격마(激磨) · 이리구리(以利求利) · 악욕(惡欲) · 대욕(大欲) · 현욕(顯欲) · 불희족(不喜足) · 불공경 · 기악언 (起惡言) · 낙악우(樂惡友) · 불인(不忍) · 탐기(耽嗜) · 변탐기(遍耽嗜) · 염탐(染貪) · 비법탐(非法貪) · 착탐(著貪) ·악탐(惡貪) · 유신견 · 유견(有見) · 무유견(無有見) · 탐욕 · 진에 · 혼침 · 수면(睡眠) · 도거(掉擧) · 악작(惡作) · 의(疑) · 몽궤(瞢憒) · 불락(不樂) · 빈신(頻申) ·흠거(欠㰦) · 식부조성(食不調性) · 심매열성(心昧劣性) · 종종상(種種想) · 부작의(不作意) · 추중(麤重) · 저돌(觝突) · 도철(饕餮, 음식을 탐하는 것) · 불화연성(不和輭性) · 불조유성(不調柔性) · 불순동류(不順同類) · 욕심(欲尋) · 에심(恚尋) · 해심(害尋) · 친리심(親里尋) · 국토심(國土尋) · 생사심(生死尋) · 능멸심(凌蔑尋) · 가족심(假族尋) · 수(愁) · 탄(歎) · 고(苦) · 우(憂) · 요(擾) · 뇌(惱)가 언급되고 있다. 참고로 『구사론』(고려장27, p.67하)에서는 “수번뇌의 상을 널리 열거할 경우, 「잡사품(雜事品)」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고 하여 『법온족론』의 이 대목을 바로 인용하고 있다.
66) 『잡아함경』 제35권 제977경(대정장2, p.253상), ‘시바여, 다섯 가지 인(因)과 다섯 가지 연(緣)으로 인해 심법에 우고(憂苦)가 생기니, 이를테면 욕탐전을 인으로 하고 욕탐전을 연으로 하여 심법에 우고가 생기며…….’
67) 『품류족론』 제1권(대정장26, p.693하; 한글대장경117, p.23).
68) 『대비바사론』 제47권(대정장27, p.243하; 한글대장경119, p.508):제50권(대정장27, p.258하; 한글대장경119, p.579).
69) 무참과 무괴는 본론 제6권 ‘대불선지법’에서, ‘질’과 ‘간’은 ‘소번뇌지법’에서, ‘회’는 후회의 악작으로 ‘욕계 제 심소의 구생관계’(본론 제6권 주18 참조)에서, 도거와 혼침은 ‘대번뇌지법’에서 상술하였다. 다만 ‘질’과 ‘간’의 경우에는 그곳에서도 역시 수번뇌를 논설하면서 해석할 것이라고 하여 뒤로 미루고 있다. “‘질(嫉)’이란 타인의 온갖 흥하고 성한 일에 대해 마음으로 하여금 기뻐하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하며, ‘간(慳)’이란 재시(財施) · 법시(法施)의 교시(巧施, 타인에게 보시하여 이익을 주는 것)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인색하여 집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구사론』 제21권, 고려장27, p.607하;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4)
70) 이를테면 잠(수면)은 몽롱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상쾌한 것도 있다.
71) 참고로 『구사론』(앞의 책)에서는 세 가지 특상 중의 ‘혼침과 상응하며’를 제외한 두 가지 특상만을 언급하고 있다. 그것은 아마 반드시 혼침과 상응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前註 참조)
72) 6수면 중의 진(瞋)이 유정을 미워하여 해치려 하는 것이고, 6번뇌구 중의 해(害)가 핍박하고 응징하려는 것이라면, ‘분’은 이 같은 두 가지 이외의 분발심(憤發心) 즉 격분하는 것을 말한다. “진(瞋)과 해(害)를 제외한 것으로서, 유정과 비유정에 대해 마음으로 하여금 분발(憤發)하게 하는 것을 설하여 ‘분(忿)’이라고 이름한다.”(『구사론』 제21권, 고려장27, p.607하; 대정장29, p.109중; 권오민 역, p.955)
73) 주62) 참조."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09 - T31n1605_p0677b12. 전(纏)
"纏有八種。謂惛沈睡眠掉舉惡作嫉慳無慚無愧。數數增盛纏繞於心故名為纏。謂隨修習止舉捨相。及彼所依梵行等所攝淨尸羅時。纏繞於心。"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2881 / 159. 전(纏)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혼침ㆍ수면ㆍ도거ㆍ악작ㆍ질ㆍ간ㆍ무참ㆍ무괴이다. 누차 왕성하게 마음을 휘감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지(止)를 수습하는 것에 의해서 그 버리는 모양을 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 아울러 그것의 소의(所依)가 되는 범행 따위에 수렴되는 청정한 시라(尸羅)를 행하는 때에도 마음을 휘감게 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b14 - T31n1606_p0724b23. 전(纏)
"纏有八種。謂惛沈睡眠掉舉惡作嫉慳無慚無愧數數增盛。纏繞於心故名纏。由此諸纏數數增盛纏繞一切觀行者心於修善品為障礙故。修善品者。謂隨修習止舉捨相及彼所依梵行等所攝淨尸羅時。此復云何。謂修止時惛沈睡眠為障。於內引沈沒故。修舉時掉舉惡作為障。於外引散亂故。修捨時嫉慳為障。由成就此於自他利吝妒門中數數搖動心故。修淨尸羅時無慚無愧為障。由具此二犯諸學處無羞恥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2881-155 / 388. 전(纏)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혼침(惛沈)ㆍ수면(隨眠)ㆍ도거(掉擧)ㆍ악작(惡作)ㆍ질(嫉)ㆍ간(慳)ㆍ무참(無慙)ㆍ무괴(無愧)이다. 누차 왕성하게 마음을 휘감는 까닭에 ‘전’이라 이름한다. 이 같은 여러 가지 전이 누차 왕성해져서 모든 관(觀)을 닦는 사람의 마음을 휘감는 까닭에 선품을 닦는 데에 장애가 되는 것이다.
[釋] ‘선품을 닦는 것’이란, 지(止)를 수습하는 것에 의해서 그 버리는 모양을 일으키는 것을 가리킨다. 아울러 그것의 소의(所依)가 되는 범행(梵行) 따위에 수렴되는 청정한 시라(尸羅)를 행할 때에도 마음을 휘감게 되는 것이다.
이는 또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지 (止)를 닦을 때에 혼침과 도거가 장애가 된다는 것이니, 그 내신(內身)을 혼침으로 이끌어 가기 때문이다. 거(擧)를 닦을 때에 도거와 악작이 장애가 된다는 것이니, 외신을 산란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사(捨)를 닦을 때에 질과 간이 장애가 되나니, 그 성취에 연유해서 이것이 자타의 이익에 있어 인색과 질투의 문 가운데에서 누차 마음을 뒤흔들기 때문이다. 청정한 시라(尸羅)를 닦을 때에 무참과 무괴가 장애가 된다는 것이니, 이 같은 두 가지가 구족한 것으로 말미암아 여러 학계(學戒)를 범하고도 수치심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 이동:가 나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b28 - T44n1851_p0561b29. 전(纏)
"能纏行人。目之為纏。又能纏心。亦名為纏。"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9 - T30n1579_p0314c10. 조림(稠林)
"種種自身大樹聚集故名稠林。"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2 / 829. 조림(稠林)
"갖가지 자기[自身]라고 하는 큰 나무들이 모여 있기[聚集] 때문에 조림(稠林)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25 - T31n1605_p0678a28. 조림(稠林)
"稠林有三。謂貪稠林瞋稠林癡稠林。由依止貪瞋癡故。於諸生死根本行中廣興染著。令諸有情感種種身流轉五趣。是故貪等說名稠林。"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2 / 159. 조림(稠林)
"조림(稠林)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조림(貪稠林)ㆍ진조림(瞋稠林)ㆍ치조림(癡稠林)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여러 생사에 근본하는 행 가운데 처해서 널리 염착을 일으켜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갖가지 신체를 감수케 하여 5취(趣)로 유전시키기에, 탐조림 등으로 해설해서 조림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c08 - T31n1606_p0725c11. 조림(稠林)
"稠林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於諸生死根本行中廣興染著。令諸有情感種種身流轉五趣。令諸有情處生死本行大樹稠林難可出離。是故貪等說名稠林。"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0 / 388. 조림(稠林)
"‘조림(稠林:울창한 숲)’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조림(貪稠林)ㆍ진조림(瞋稠林)ㆍ치조림(癡稠林)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말미암는 까닭이다. 여러 생사에 근본하는 행 가운데 처해서 널리 염착을 일으켜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갖가지 신체를 감수하게 해서 오취(五趣)로 유전시키는 것이다. 여러 유정들이 생사의 길을 가는 것이 마치 커다란 나무들이 밀집한 숲속에 처한 것처럼 여기서 벗어나기 힘든 까닭에 ‘조림’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1. 주올(株杌)
"壞善稼田故名株杌。"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주올(株杌)
"좋은 논밭을 파괴하기 때문에 주올(株杌)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佛門網, "株杌". 2016년 1월 6일에 확인
"株杌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卷六頁云:壤善稼田,故名株杌。
二解 瑜伽八十四卷十三頁云:又彼能令轉成上品相續起故,能令身心無堪能故;說為株杌。如舄鹵田,不任耕植。又處所別故,彼所生疑、有差別故;說五心株。貪等別故;說有三株。
三解 瑜伽八十九卷十二頁云:復次若貪瞋癡纏所纏故,或彼隨眠所隨眠故;心不調柔;心極愚昧;於得自義,能作衰損;故名株杌。
四解 雜集論七卷三頁云:株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先所串習為方便故;成貪等行。心不調順,無所堪能,難可解脫;令諸眾生、難斷此行。故名株杌。所以者何?對治道犁、難可破壞。約此義故,立為株杌。於無量生,串習貪等,以成其行;堅固難拔,猶株杌故。"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11 - T31n1605_p0677c14. 주올(株杌)
"株杌有三。謂貪株杌瞋株杌癡株杌。由依止貪瞋癡。先所串習為方便故。成貪等行心不調順。無所堪能難可解脫。令諸有情難斷此行。故名株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주올(株杌)
"주올(株)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주올(貪株杌)ㆍ진주올(瞋株杌)ㆍ치주올(癡株杌)이다. 이는 탐ㆍ진ㆍ치에 연유해서 예전에 익힌 것을 방편으로 삼기 때문이다. 탐 등으로 그 행을 삼기에 마음이 다스리지 못해서 감당할 만한 능력이 없어 해탈을 이루기 힘들게 된다.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이 같은 행을 끊기 힘들게 하는 까닭에 주올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08 - T31n1606_p0725a13. 주올(株杌)
"株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先所串習為方便故。成貪等行心不調順。無所堪能難可解脫。令諸眾生難斷此行故名株杌。所以者何。對治道犁難可破壞。約此義故立為株杌。於無量生串習貪等以成其行。堅固難拔猶株杌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7 / 388. 주올(株杌)
"‘주올(株杌:나무그루터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주올(貪株杌)ㆍ진주올(瞋株杌)ㆍ치주올(癡株杌)이다. 이는 탐ㆍ진ㆍ치에 인하여 예전에 익힌 것을 방편으로 삼기 때문이다. 탐 따위로 그 행을 하기에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법을 감당할 만한 능력이 없어 해탈을 이루기 힘들게 된다.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이같이 행을 끊기 힘들게 하는 까닭에 ‘주올’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釋] 왜냐하면 소위 대치도(對治道)의 쟁기가 이를 넘어뜨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같은 뜻에 비유해서 주올을 건립하게 되는 것이다. 무량한 생 가운데에서 탐 따위에 익숙해져 그 행을 이루어 왔기에 견고해 뽑아내기 힘든 것이 마치 주올과도 같기 때문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8 - T30n1579_p0314b29. 취(取)
"能取自身相續不絕故名為取。"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취(取)
"능히 자신을 취하여 끊임없이 상속(相續)하기 때문에 취(取)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20 - T31n1605_p0677c01. 취(取)
"取有四種。謂欲取見取戒禁取我語取。執取諍根執取後有。是取義所以者何。由貪著欲繫縛耽染為因。諸在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第一取。由貪著見繫縛耽染為因。諸出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後三取。六十二見趣。是見取。各別禁戒多分苦行。是戒禁取。彼所依止薩迦耶見。是我語取。由見取戒禁取。諸外道輩更相諍論。由我語取諸外道輩互無諍論。與正法者互有諍論。如是執著諍論根本。復能引取。後有苦異熟。故名為取。"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78-79 / 159. 취(取)
"취에는 네 종류가 있으니,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금취(戒禁取)ㆍ아어취(我語取)이다. 쟁근(諍根)을 집취(執取)해서 그 후유(後有)를 집취하는 것이 취의 이치이다.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욕심에 탐착하는 계(繫)와 박(縛)에 연유해서 그 염착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을 모든 속인들이 서로 다투는 경우이니, 이같이 투쟁하는 근본은 바로 첫 번째의 욕취에 해당한다. 욕심에 탐착하는 계와 박에 연유해서 그 염착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은 모든 출가인들이 서로 다투는 경우이니, 이 같은 투쟁의 근본은 바로 나중의 세 가지 취에 해당한다. 예순두 가지의 견취(見取)는 견취에 해당하는 것이고, 제각각 별도의 계율로 금하는 바가 많아서 고행하는 것이 계금취이고, 또 그러한 것에 의지하는 살가야견이 아어취(我語取)이다. 그러므로 견취와 계금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이고, 아어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쟁론을 벌이지 않고 바로 정법과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집착이 바로 논쟁의 근본이다. 다시 능인취(能引取)가 있으니 후유(後有)의 고가 이숙되는 까닭에 취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c04 - T31n1606_p0724c15. 취(取)
"取有四種。謂欲取見取戒禁取我語取。執取諍根執取後有是取義。所以者何。由貪著欲繫縛耽染為因。諸在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第一取。由貪著見繫縛耽染為因。諸出家者更相鬥諍。此諍根本是後三取。六十二見趣是見取。各別禁戒多分苦行是戒禁取。彼所依止薩迦耶見是我語取。由見取戒禁取諸外道輩更相諍論。以於是處見不一故。由我語取諸外道輩互無諍論。於我有性皆同見故。然由此取諸外道等與正法者互有諍論。由彼不信有無我故。如是執著諍論根本。復能引取後有苦異熟故名為取。"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55-156 / 388. 취(取)
"‘취(取)’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금취(戒禁取)ㆍ아어취(我語取)이다. 쟁근(諍根)을 집취(執取)해서 그 후유(後有)를 집취하는 것이 취의 이치이다. 왜냐하면 욕심에 탐착하는 ‘계’와 ‘박’에 연유해서 그 물들어 집착함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은 모든 속인들이 서로 다투는 경우이니, 이같이 투쟁하는 근본은 바로 첫 번째의 ‘욕취’에 해당한다. 욕심에 탐착하는 ‘계’와 ‘박’에 연유해서 그 물들어 집착함을 탐닉하는 것으로 인을 삼는 것에서 모든 출가인들이 서로 다투게 될지니, 이 같은 투쟁의 근본은 바로 나중의 세 가지 ‘취’에 해당한다.
예순두 가지 견취(見取)는 ‘견취’에 해당하는 것이고, 제각각 별도의 계율로 금하는 것이 많아서 행하기 힘든 것이 ‘계금취’이고, 또 그러한 것에 의지하는 살가야견이 ‘아어취’이다. 그러므로 ‘견취’와 ‘계금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이니, 이 같은 견처에서 그 소견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아어취’로 인해서 여러 외도의 무리들끼리 서로 쟁론을 벌이지 않게 되니, 자아가 존재한다는 성품에 있어서 모두 그 소견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법(正法)과 논쟁을 벌이게 되는 것은 그들이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집착이 바로 그 논쟁의 근본이다. 다시 능인취(能引取)가 있으니 후유(後有)의 고가 이숙(異熟)되는 까닭에 ‘취’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T29n1558_p0108a09 - T29n1558_p0108a12. 취(取)
"何緣無明不別立取。能取諸有故立取名。然諸無明非能取故。謂不了相說名無明。彼非能取。非猛利故。但可與餘合立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939 / 1397. 취(取)
"어떠한 이유에서 무명을 별도의 '취'로 건립하지 않는 것인가?
능히 온갖 존재에 [집착하여] 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취'라는 명칭을 건립한 것인데, 모든 무명은 능히 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알지 못하는 것을 설하여 '무명'이라 이름한 것으로, 그것은 지극히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능히 취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다만 다른 번뇌와 합쳐서 '취'로 건립할 수 있을 뿐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 T29n1558_p0108a17 - T29n1558_p0108b11. 수면(隨眠)의 뜻: 취(取)
"如是已辯隨眠并纏。經說為漏瀑流軛取。此隨眠等名有何義。頌曰。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論曰。根本煩惱現在前時行相難知故名微細。二隨增者。能於所緣及所相應增惛滯故。言隨逐者。謂能起得恒隨有情常為過患。不作加行為令彼生。或設劬勞為遮彼起而數現起故名隨縛。由如是義故名隨眠。稽留有情久住生死。或令流轉於生死中。從有頂天至無間獄。由彼相續於六瘡門泄過無窮故名為漏。極漂善品故名瀑流。和合有情故名為軛。能為依執故名為取。若善釋者應作是言。諸境界中流注相續泄過不絕故名為漏。如契經說。具壽當知。譬如挽船逆流而上。設大功用行尚為難。若放此船順流而去。雖捨功用行不為難。起善染心應知亦爾。准此經意。於境界中煩惱不絕說名為漏。若勢增上說名瀑流。謂諸有情若墜於彼。唯可隨順無能違逆。涌泛漂激難違拒故。於現行時非極增上說名為軛。但令有情與種種類苦和合故。或數現行故名為軛。執欲等故說名為取。"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0권. pp. 940-942 / 1397. 수면(隨眠)의 뜻: 취(取)
"이와 같이 수면과 아울러 전(纏)을 경에서 누·폭류·액·취라고 설한 것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면 등의 명칭에는 어떠한 뜻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미세, 두 가지에서의 수증
수축(隨逐)과 수박(隨縛)
머묾과 유전·표류·화합·집취
이것이 바로 수면 등의 뜻이다.
微細二隨增 隨逐與隨縛
住流漂合執 是隨眠等義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즉 10수면)가 현재전할 때 그 행상(行相)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微細)'라고 이름한다.76)
'두 가지에서의 수증'이란, 말하자면 [수면은] 능히 그것의 소연 및 그것에 상응하는 법과 뒤엉켜[惛滯] 증장하기 때문이다.
'수축'이라고 하는 말은, 이를테면 [수면의] 득(得)을 일으켜 항상 유정을 쫓아다니면서 과환(過患)이 되는 것을 말한다.
가행을 지어 그것(수면)을 생겨나지 않게 하더라도, 혹은 애써 노력하여 그것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지라도 자꾸자꾸 일어나기 때문에 '수박(隨縛)'이라고 한다. 곧 이와 같은 뜻으로 말미암아 수면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수면은] 유정을 생사(生死)에 체류시켜 오래 머물게[住] 하며, 혹은 유정천으로부터 무간지옥에 이르기까지 생사 중에 유전(流轉)시키는 것으로,77)그들의 상속은 육창문(六瘡門, 즉 6근을 말함)에서 끊임없이 번뇌를 누설하기 때문에 수면을 일컬어 '누(asrava)'라고 하였다. 또한 선품을 극심히 표탈(漂奪)시켜 버리기 때문에 '폭류(ogha)'라고 이름하였고, 유정을 [3계·5취·4생과] 화합시키기 때문에 '액(yoga)'이라고 이름하였으며, 능히 의지하여 집착하게 되기 때문에 '취(upadana)'라고 이름하였다.
그러나 만약 좋은 해석이 되려면 마땅히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할 것이다.78) 온갖 경계 중으로 상속(相續)을 흘러들게 하여 끊임없이 허물을 누설(漏泄)하기 때문에 '누'라고 이름한 것이니, 계경에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구수(具壽)는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비유하자면 배를 당기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으니, 설혹 크나큰 힘을 들이더라도 [거슬러 올라] 가는 것은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만약 이 배를 그대로 놓아두어 강물의 흐름에 따라 가게 하면 비록 힘을 들이지 않을지라도 [내려] 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심이나 염심을 일으키는 것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79) 즉 이 경의 뜻에 준하여 본다면, 경계 중에서 번뇌가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일컬어 '누'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만약 [수면의] 세력이 강력하게 될 때를 설하여 '폭류'라고 이름한다. 즉 모든 유정이 거기에 떨어질 경우 오로지 거기에 따라야 할 뿐 능히 어기거나 거역할 수 없으니, 솟구치거나 떠오르거나 떠내려가거나 물결치면 그것을 어기거나 거역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현행할 때 지극히 두드러지지 않은 수면을 설하여 '액'이라 이름하니, 다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여러 가지 종류의 괴로움과 화합하게 하기 때문에, 혹은 자주자주 현행하기 때문에 '액'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은] 욕경(欲境) 따위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하여 '취'라고 이름한 것이다.80)
76) 수면의 원어 anu-saya의 anu를 미세[微, a u]의 뜻으로 이해하여 해석한 것이다.
77) '누'의 원어 a-srava는 a-sru(유출·유동하다)라는 동사의 파생어이지만, 여기서는 이와 유사한 as(앉다)의 사역어 asayati(머물게 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또한 '유전시키는 것'이라는 말은 a-sru의 사역어 asravayati(=asravayati)에 근거한 해석이다.
78) 이하 논주 자신의 해석이다.
79) 『잡아함경』 권제18 제493경(대정장2, p. 128중하) 참조. 즉 선법을 행하는 것은 크나큰 가행이 필요하다는 비유로서, 수면은 경계라는 강물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면서 허물을 누설하기 때문에 '누'라는 것이다
80) 5욕경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욕취이며, '견'에 집착하는 것은 견취, 계에 집착하는 것은 계금취, 아어에 집착하는 것은 아어취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1 - T44n1851_p0561c02. 취(取)
"取執境界。說以為取。"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9. 치연(熾然)
"如大熱病故名熾然。"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p. 221-222 / 829. 치연(熾然)
"큰 세력이 있는 병(病)이기 때문에 치연(熾然)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a22 - T31n1605_p0678a24. 치연(熾然)
"熾然有三。謂貪熾然瞋熾然癡熾然。由依止貪瞋癡故。為非法貪大火所燒。不平等貪大火所燒。及為邪法大火所燒。故名熾然。"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1 / 159. 치연(熾然)
"치연(熾然)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치연(貪熾然)ㆍ진치연(瞋熾然)ㆍ치치연(癡熾然)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이다. 비법하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고, 평등하지 않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다. 또 삿된 법의 거센 불길에도 태워지는 것이기에 치연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c02 - T31n1606_p0725c07. 치연(熾然)
"熾然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為非法貪大火所燒。非法貪者。謂隨貪著不善業道。又為不平等貪大火所燒。不平等貪者。謂非法非理貪求境界。又為邪法大火所燒。邪法者。謂諸外道惡說法律。以非法貪等能發身心熾然大火。如火熾然故名熾然。"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60 / 388. 치연(熾然)
"‘치연(熾然:거센 불길)’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탐치연(貪熾然)ㆍ진치연(瞋熾然)ㆍ치치연(癡熾然)을 가리킨다. 탐ㆍ진ㆍ치에 의지하는 것에 말미암은 까닭이다. 법답지 않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다.
‘법 답지 않은 탐욕’이란 불선업도(不善業道)에 탐착하여 이에 따르는 것을 가리킨다. 또 평등하지 않기에 탐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다. ‘평등하지 않은 탐욕’이란, 법이 아니고 이치에 어긋나게 경계를 탐내는 것이다. 또 삿된 법의 거센 불길에 태워지는 것이기도 하다. ‘삿된 법’이란, 여러 외도가 설교하는 사악한 율법을 말하는 것이다. 법이 아닌 탐 따위가 능히 몸과 마음을 거센 불길에 태워지게 하기에 그 불길이 타오르는 것을 빗대어 ‘치연’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b27 - T30n1579_p0314b28. 폭류(暴流)
"深難渡故。順流漂故故名暴流。"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폭류(暴流)
"건너기 매우 어렵고 흐름에 따라서 떠내려가기 때문에 폭류(暴流)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b13 - T31n1605_p0677b19. 폭류(暴流)
"暴流有四。謂欲暴流有暴流見暴流無明暴流。隨流漂鼓是暴流義。隨順雜染故。初是習欲求者。第二是習有求者。後二是習邪梵行求者。能依所依相應道理故。軛有四種。謂欲軛有軛見軛無明軛。障礙離繫是軛義。違背清淨故。此亦隨其次第習三求者相應現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8 / 159. 폭류(暴流)
"폭류(瀑流)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욕폭류(欲瀑流)ㆍ유폭류(有瀑流)ㆍ견폭류(見瀑流)ㆍ무명폭류(無明瀑流)이다. 그 흐르는 것이 세차게 울리는 것이 폭류의 이치이니, 잡염에 따르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욕폭류는 이 같은 욕구를 훈습(薰習)하게 되고, 두 번째의 유폭류의 유구(有求)를 훈습하게 되고, 그 밖의 두 가지는 삿된 것의 훈습으로 범행을 구하는 것이니, 능의(能依)와 소의(所依)가 상응하는 도리이기 때문이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4b24 - T31n1606_p0724b29. 폭류(瀑流)
"暴流有四。謂欲暴流有暴流見暴流無明暴流。隨流漂鼓是暴流義。隨順雜染故。初是習欲求者。第二是習有求者。後二是習邪梵行求者。能依所依相應道理故。見暴流是能依。無明暴流為所依。由有愚癡顛倒推求解脫及方便故。"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5 / 388. 폭류(瀑流)
"‘폭류(瀑流)’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욕폭류(欲瀑流)ㆍ유폭류(有瀑流)ㆍ견폭류(見瀑流)ㆍ무명폭류(無明瀑流)이다. 그 흐르는 것이 세차게 울리는 것이 폭류의 이치이니, 잡염(雜染)에 따르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욕폭류’는 이 같은 욕구를 훈습(薰習)하는 것이고, 두 번째의 ‘유폭류’는 유구(有求)를 훈습하는 것이고, 나머지 다른 두 가지는 삿된 것의 훈습을 빌미로 범행을 추구하는 것이니, 능의(能依)와 소의(所依)가 상응하는 도리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견폭류는 능의에 해당하고 무명폭류는 소의에 해당하는 것이니, 어리석은 마음에 전도되어 해탈 및 그 방편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제5권. p. T44n1851_p0561c03. 혹(惑)
"能惑所緣。故稱為惑。"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T30n1579_p0314c08 - T30n1579_p0314c09. 화(火)
"燒所積集諸善根薪故名為火"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제8권. p. 221 / 829. 화(火)
"모은 바[積集] 선근(善根)인 땔나무[薪]들을 태우기 때문에 화(火)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 이동:가 나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 T30n1579_p0313b01 - T30n1579_p0314a02
"煩惱分別者。或立一種。謂由煩惱雜染義故。或分二種。謂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三種。謂欲繫色繫無色繫。或分四種。謂欲繫記無記。色繫無記。無色繫無記。或分五種。謂見苦所斷。見集所斷。見滅所斷。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六種。謂貪恚慢無明見疑。或分七種。謂七種隨眠。一欲貪隨眠。二瞋恚隨眠。三有貪隨眠。四慢隨眠。五無明隨眠。六見隨眠。七疑隨眠。或分八種。謂貪恚慢無明疑見及二種取。或分九種。謂九結。一愛結。二恚結。三慢結。四無明結。五見結。六取結。七疑結。八嫉結。九慳結。或分十種。一薩迦耶見。二邊執見。三邪見。四見取。五戒禁取。六貪。七恚。八慢。九無明。十疑。或分一百二十八煩惱。謂即上十煩惱。由迷執十二種諦建立。應知。何等名為十二種諦。謂欲界苦諦集諦。色界苦諦集諦。無色界苦諦集諦。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無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此中於欲界苦集諦。及於欲界增上滅道諦。具有十煩惱迷執。於色界苦集諦。及於彼增上滅道諦。除瞋有餘煩惱迷執。如於色界。於無色界亦爾。於欲界對治修中。有六煩惱迷執。謂除邪見見取戒禁取疑。於色界對治修中。有五煩惱迷執。謂於上六中除瞋。如於色界對治修中。於無色對治修中亦爾。如迷執。障礙亦爾。薩迦耶見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等隨觀執五種取蘊。若分別不分別染污慧為體。邊執見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執五取蘊為我性已等隨觀執為斷為常。若分別若不分別染污慧為體。邪見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撥因撥果或撥作用。壞真實事。唯用分別染污慧為體。見取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以薩迦耶見邊執見邪見及所依所緣所因俱有相應等法。比方他見等隨觀執為最為上勝妙第一。唯用分別染污慧為體。戒禁取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即於彼見。彼見隨行。若戒若禁。及所依所緣。所因。俱有相應等法。等隨觀執為清淨。為解脫為出離。唯用分別染污慧為體。貪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外及內可愛境界。若分別不分別。染著為體。恚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外及內非愛境界。若分別不分別。憎恚為體。慢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外及內高下勝劣。若分別不分別。高舉為體。無明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及由任運失念故。於所知事若分別不分別。染污無知為體。疑者。謂由親近不善丈夫聞非正法不如理作意故。即於所知事。唯用分別異覺為體。"
↑ 이동:가 나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1-24권》 제8권. pp. 213-217 / 829
"번뇌(煩惱)의 분별(分別)4)이 란 혹은 한 가지를 세우기도 하니, 말하자면 번뇌가 잡염(雜染)의 뜻이기 때문이다. 혹은 견도소단(見道所斷)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두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욕계(欲繫)와 색계(色繫)와 무색계(無色繫)의 세 가지로 나누기도 하며, 혹은 욕계(欲繫)의 기(記) 무기(無記)와 색계(色繫)의 무기(無記)와 무색계의 무기(無記)의 네 가지로 나누기도 하며, 혹은 견고소단(見苦所斷)과 견집소단(見集所斷)과 견멸소단(見滅所斷)과 견도소단(見道所斷)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다섯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탐(貪) 에(恚) 만(慢) 무명(無明) 견(見) 의(疑)의 여섯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일곱 가지 수면(隨眠)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욕탐수면(欲貪隨眠)이며, 둘째는 진에수면(瞋恚隨眠)이며, 셋째는 유탐수면(有貪隨眠)이며, 넷째는 만수면(慢隨眠)이며, 다섯째는 무명수면(無明隨眠)이며, 여섯째는 견수면(見隨眠)이며, 일곱째는 의수면(疑隨眠)이다.
[214 / 829] 쪽
혹은 탐(貪) 에(恚) 만(慢) 무명(無明) 의(疑) 견(見) 및 두 가지 취(取)5)의 여덟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9결(結)로서 아홉 가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애결(愛結)이며, 둘째는 에결(恚結)이며, 셋째는 만결(慢結)이며, 넷째는 무명결(無明結)이며, 다섯째는 견결(見結)이고, 여섯째는 취결(取結)이며, 일곱째는 의결(疑結)이며, 여덟째는 질결(嫉結)이며, 아홉째는 간결(慳結)이다.
혹 은 열 가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이며, 둘째는 변집견(邊執見)이며, 셋째는 사견(邪見)이며, 넷째는 견취(見取)이며, 다섯째는 계금취(戒禁取)이고, 여섯째는 탐(貪)이며, 일곱째는 에(恚)이며, 여덟째는 만(慢)이며, 아홉째는 무명(無明)이며, 열째는 의(疑)이다. 혹은 1백 스물 여덟 가지의 번뇌6)로 나누기도 하니, 말하자면 위의 열 가지 번뇌가 열 두 가지의 진리[諦]7)를 미혹하게 집착하기[迷執] 때문에 건립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엇을 열 두 가지 진리[諦]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욕계(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색계(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무색계(無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욕계(欲界)의 증상(增上)8)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9)와 그것의 변지(遍智)에서 드러난 바[所顯]10)인 멸제(滅諦) 도제(道諦)11)와 색계(色界)의 증상(增上) 그것
[215 / 829] 쪽
의 변지(遍智)의 과(果)와 그것의 변지(遍智)가 드러난 바[所顯]인 멸제(滅諦) 도제(道諦)와 무색계(無色界)의 증상(增上) 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와 그것의 변지(遍智)가 드러난 바인 멸제(滅諦) 도제(道諦)이다. 이 가운데 욕계(欲界)의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그리고 욕계(欲界)의 증상(增上)의 멸제(滅諦)와 도제(道諦)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며, 색계(色界)의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및 그것의 증상(增上)의 멸제(滅諦)와 도제(道諦)에는 진(瞋)을 제외한 그 나머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며, 색계(色界)에서와 같이 무색계(無色界)에서도 또한 그러하다.
욕계(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에서도 여섯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니, 말하자면 사견(邪見)과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와 의(疑)가 제외된다. 색계(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에서도 다섯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니, 말하자면 위의 여섯 가지 가운데 진(瞋)이 제외된다. 색계의 대치의 닦음[對治修]과 같이 무색계(無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 또한 그러하며, 미혹된 집착과 같이 장애(勝障) 또한 그러하다.
살가야견(薩迦耶見)12)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13)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14) 그리고 멋대로[任運]15)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5취온(取蘊)을 동등히[等]하여 따르며[隨] 관찰[觀]하고 집착하는 것[執]이다. 또한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16)의 염오(染汚)의 혜(慧)를 체(體)로 삼는다.
변집견(邊執見)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
[216 / 829] 쪽
(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5취온(取蘊)을 집착하여 '나의 성품[我性]'이라고 하고 나서 동등히 하여 따르며 관찰하고 집착해서 단(斷)이라고도 하고 상(常)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또한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를 체(體)로 삼는다.
사견(邪見)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인과(因果)를 없다'고 하고 혹은 '작용(作用)을 없다'고 하고 진실의 현상[事]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오직 분별(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만을 체(體)로 삼는다.
견취(見取)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살가야견(薩迦耶見) 변집견(邊執見) 사견(邪見) 소의(所依) 소연(所緣) 소인(所因) 구유(俱有) 상응(相應) 등의 법(法)으로 다른 견해[他見]를 비방(比方)하고 동등히 하여 따르며 관찰하고 집착하여 최고[最]로 삼고 으뜸[上]으로 삼으며 제일의 승묘[勝妙第一]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분별(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만을 체(體)로 삼는다.
계금취(戒禁取)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곧 그것의 견해와 그것의 견해에 따라서 행하는 계율[戒] 금기[禁] 소의(所依) 소연(所緣) 소인(所因) 구유(俱有) 상응(相應) 등의 법에 대해서 동등히 하여 따르며 관찰하고 집착하여 청정(淸淨)이라 하고 해탈(解脫)이라 하며 출리(出離)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분별(分別)의 염오(染汚)의 혜(慧)만을 체(體)로 삼는다.
탐(貪)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안팎의 좋아하는 경계[可愛境界]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염착(染著)을 체(體)로 삼는 것이다.
에(恚)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고 정법(正法)이
[217 / 829] 쪽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안팎의 좋아하지 않는 경계[非愛境界]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증에(憎恚)를 체(體)로 삼는 것이다.
만(慢)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안팎의 높고 낮음[高下]과 뛰어나고 열등함[勝劣]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고거(高擧)17)를 체(體)로 삼는 것이다.
무명(無明)이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그리고 멋대로[任運] 실념(失念)하기 때문에 알아야 할 대상[所知事]에 대하여 분별(分別)과 무분별(無分別)의 염오(染汚)의 무지(無知)를 체(體)로 삼는 것이다.
의(疑)란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를 가까이[親近] 하여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들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작의[不如理作意]에 의하기 때문에 곧 알아야 할 대상[所知事]에 대하여 오직 분별(分別)의 이각(異覺)18)만을 체(體)로 삼는 것이다.
4) 이하는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두번째로 번뇌의 분별(分別)에 대해서 기술한다.
5)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를 말한다.
6) 욕계(欲界)의 4제(諦)에 각각 열 가지 번뇌(煩惱)가 있어서 도합 40번뇌가 있고,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8제(諦)에 각각 진(瞋)을 제외한 아홉 가지 번뇌가 있어서 도합 72번뇌가 있는데, 이를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煩惱)라고 한다. 또한 욕계(欲界)에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며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 각각 진(瞋)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어서 도합 16번뇌가 있는데, 이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번뇌(煩惱)라고 한다. 이러한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 102가지와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번뇌 16가지를 합하면 모두 128번뇌가 된다.
7)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각각에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4제(諦)가 딸려서 열 두 가지가 된다.
8) 멸제(滅諦)와 도제(道諦)는 모두 고제(苦諦)와 집제(集諦)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증상(增上)이라고 이름한다.
9) 멸제(滅諦)를 말하며 멸제(滅諦)는 도제(道諦)의 변지(遍智)에서 증득한 과(果)이기 때문이다.
10) 도제(道諦)의 체(體)를 말한다.
11) 멸제(滅諦)는 위에서 말한 변지(遍智)의 과(果)를 의미하고 도제(道諦)는 위에서 말한 변지(遍智)의 드러난 바[所顯]를 말한다.
12) 범어(梵語) Satk ya-d i의 의역(意譯)이다.
13) 범부(凡夫)를 말한다.
14) 살가야견(薩迦耶見)에는 분별기(分別起)와 구생기(俱生起)의 두 가지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분별기(分別起)의 3연(緣)에 대해서 설한다. 그 중 불선(不善)의 장부(丈夫)란 삿된 스승[邪師]을 말하고, 정법(正法)이 아닌 것을 듣는 것이란 삿된 가르침[邪敎]을 말하고, 이치에 맞지 않는[不如理] 작의(作意)란 삿된 사유[邪思惟]를 말한다.
15) 살가야견(薩迦耶見)의 분별기(分別起)와 구생기(俱生起)의 연(緣)을 말한다.
16) 임운구생(任運俱生)을 말한다.
17) 마음을 높이 들어올려 으쓱대는 것을 말한다.
18) 의(疑)는 구하여 찾기[求覓] 때문에 각(覺)이라고도 하지만 혜(慧)와는 구별되기 때문에 이각(異覺)이라고 한다."
↑ 운허, "二障(이장)". 2013년 5월 2일에 확인
"二障(이장): 혹장(惑障)을 두 가지로 나눈 것. (1) 『구사론(俱舍論)』에는 번뇌장(煩惱障)과 해탈장(解脫障). (2) 『유식론(唯識論)』에는 번뇌장과 소지장(所知障). (3) 『원각경(圓覺經)』에는 이장(理障)과 사장(事障). (4) 『금강반야바라밀경론(金剛般若波羅密經論)』에는 번뇌장과 삼매장(三昧障). (5) 내장(內障)과 외장(外障)."
↑ 星雲, "二障". 2013년 5월 2일에 확인
"二障: 又作二礙。(一)煩惱障與所知障。係瑜伽行派與法相宗對貪、瞋、癡等諸惑,就其能障礙成就佛果之作用所作之分類。(一)煩惱障,由我執(人我見)而生,以貪瞋癡等一切諸惑,發業潤生,煩擾有情之身心,使在三界五趣之生死中,而障涅槃之果,故稱煩惱障。(二)所知障,由法執(法我見)而生,以貪瞋癡等諸惑為愚癡迷闇,其用能障菩提妙智,使不能了知諸法之事相及實性,故稱所知障,又作智障。離此二障,則稱二離。〔成唯識論卷九〕
(二)煩惱障與解脫障。(一)煩惱障同上所述,乃障無漏慧之生起。(二)解脫障,又作不染無知定障、定障、俱解脫障。解脫者,滅盡定之異名,因障聖者入滅盡定之法,故稱解脫障,其體為不染污無知之一種。〔俱舍論卷二十五、俱舍論光記卷二十五、俱舍論頌疏卷十二〕
(三)理障與事障。(一)理障,謂邪見等之理惑障正知見者,相當於所知障。(二)事障,謂貪等之事惑相續生死而障涅槃者,相當於煩惱障。〔圓覺經卷下〕
(四)內障與外障。(一)內障,即三毒,為令眾生內心生起煩惱之障。(二)外障,即七難,為外界所加之障礙。〔阿娑縛抄卷一八七〕 p241"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 제9권. p. T31n1585_p0048c06 - T31n1585_p0048c09. 번뇌장(煩惱障)
"煩惱障者。謂執遍計所執實我薩迦耶見而為上首百二十八根本煩惱。及彼等流諸隨煩惱。此皆擾惱有情身心能障涅槃名煩惱障。"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제9권. p. 483 / 583. 번뇌장(煩惱障)
"번뇌장49)이란 변계소집인 실아로 집착하는 아견[薩迦耶見]을 첫째로 하는 128가지50) 근본번뇌 및 그것의 등류인 모든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이것이 모두 유정의 몸과 마음을 어지럽게 괴롭혀서 능히 열반을 장애함을 번뇌장이라고 이름한다.
49) 다음에 번뇌장과 소지장의 두 가지 장애를 자세히 해설한다. 먼저 번뇌장의 자체를 드러낸다[第一出體]. 번뇌장(煩惱障)은 5취온(取蘊)에 대해서 실아(實我)라고 집착하는 번뇌를 말한다. 이에 128가지 근본번뇌와 스무 가지 수번뇌가 속한다. 이것은 유정의 몸과 마음을 어지럽게 괴롭혀서 열반을 장애하고, 생사에 유전케 하므로 번뇌장이라고 이름한다.
50) 견혹(見惑)이 욕계에서 마흔 가지, 색계와 무색계에서 각각 서른여섯 가지씩 있으며, 수혹(修惑)이 열여섯 가지를 합한 것이다."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 제9권. p. T31n1585_p0048c09 - T31n1585_p0048c11. 소지장(所知障)
"所知障者。謂執遍計所執實法薩迦耶見而為上首見疑無明愛恚慢等。覆所知境無顛倒性能障菩提名所知障。"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제9권. pp. 483-484 / 583. 소지장(所知障)
"소지장51)이란 변계소집인 실법으로 집착하는 아견을 첫째로 하는 악견(惡見) · 의(疑) · 무명 · 탐 · 진(瞋) · 만(慢) 등이다.52) 인식의 대상53)과 전도됨이 없는 본성54)을 덮어서 능히 깨달음을 장애하는 것을 소지장이라고 이름한다.
51) 소지장(所知障)의 자체를 드러낸다. 탐욕 · 성냄 · 어리석음 등의 번뇌가 인식 대상[所知]의 참다운 모습[法空]을 그대로 알지 못하게 하므로 이들 번뇌를 소지장(所知障)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참다운 지혜가 발현하는 것을 장애하는 점에서 지장(智障) · 보리장(菩提障)이라고도 한다. 이에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分別起]과 선천적으로 일어나는 것[俱生起]이 있다.
52) 소지장(所知障)의 수(數)도 번뇌장과 같다. 그것은 번뇌장이 일어날 때에는 반드시 소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번뇌장은 두드러진[麤] 것으로서 많은 품류(品類)가 있어서 알기 쉽기 때문에 2승(乘)도 역시 단멸한다. 다만 이것은 불선(不善)이고 유부무기성(有覆無記性)이므로 앞에서 숫자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소지장은 미세한 것으로서 품류가 많지 않아서 매우 알기 어렵기 때문에 오직 보살만이 단멸한다.
53) 인식의 대상[所知境]이란, 유위법과 무위법의 대상을 말한다.
54) 진여(眞如)를 말한다."
↑ 곽철환 2003, "오주지(五住地)". 2013년 5월 3일에 확인
"오주지(五住地): 온갖 번뇌의 근본이 되는 다섯 가지 번뇌.
(1) 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 욕계·색계·무색계의 견혹(見惑). 이것은 견도(見道)에 들어갈 때 일시에 끊으므로 견일처(見一處)라고 함.
(2) 욕애주지(欲愛住地). 욕계의 수혹(修惑), 곧 탐(貪)·진(瞋)·치(癡)·만(慢).
(3) 색애주지(色愛住地). 색계의 수혹(修惑), 곧 탐(貪)·치(癡)·만(慢).
(4) 유애주지(有愛住地). 무색계의 수혹(修惑), 곧 탐(貪)·치(癡)·만(慢).
(5) 무명주지(無明住地). 욕계·색계·무색계의 무명."
↑ 佛門網, "五住地惑". 2013년 5월 3일에 확인
"五住地惑: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五種住地之惑。又作五住地煩惱。即見、思、無明之煩惱有見一處住地、欲愛住地、色愛住地、有愛住地、無明住地等五種區別,稱為五住地惑。出於勝鬘經。此五種惑為一切煩惱之所依所住,又能生煩惱,故稱住地。大乘義章卷五本釋之:(一)見一處住地,即身見等三界之見惑,入見道時,併斷於一處。(二)欲愛住地,即欲界煩惱中,除見、無明,而著於外之五欲(色、聲、香、味、觸)之煩惱。(三)色愛住地,即色界之煩惱中,除見、無明,捨外之五欲而著於一己色身之煩惱。(四)有愛住地,即無色界之煩惱中,除見、無明,捨離色貪而愛著己身之煩惱。(五)無明住地,即三界一切之無明。無明為癡闇之心,其體無慧明,是為一切煩惱之根本。
五住地惑中,唯識家主張前四種住地惑為煩惱障之種子,後一種為所知障之種子。天台宗則以見一處住地為見惑,第二、三、四為三界之思惑,總稱為界內見思之惑,二乘人斷之而出三界。第五之無明住地即界外之惑,就此立四十二品之別,經四十二位斷盡之,離二種生死,得證大涅槃。〔菩薩瓔珞本業經卷下、成唯識論卷八、成唯識論述記卷九末、勝鬘經述記卷下、法華經玄義卷五上、法華文句記卷二下、天台四教儀集註卷下、大乘法苑義林章卷二末〕
頁數: p1091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五住地惑===﹝出華嚴經隨疏演義鈔﹞ 五住者,謂三界見惑為一住,三界思惑分為三住,根本無明為一住,共成五住也。由此五惑,能令眾生住著生死,故名住地也。(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根本無明者,能生見、思二惑,故名根本也。)
〔一、一切見住地惑〕,一切見者,即三界分別見惑也。謂諸眾生,由意根對法塵,分別起諸邪見,住著三界,故名一切見住地惑。
〔二、欲愛住地惑〕,欲愛者,即欲界思惑也。謂諸眾生,由五根對五塵境,起貪愛心,而於欲界住著生死,故名欲愛住地惑。(五根者,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也。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三、色愛住地惑〕,色愛者,即色界思惑也。謂諸眾生不了此惑,住著色界禪定,不能出離,故名色愛住地惑。
〔四、有愛住地惑〕,有愛者,即無色界思惑也。謂諸眾生不了此惑,住於禪定,不能出離,故名有愛住地惑。
〔五、無明住地惑〕,無明者,即根本無明惑也。謂聲聞、緣覺未了此惑,沉滯真空,即住方便土;大乘菩薩方能除斷,由餘惑未盡,住實報土。故名無明住地惑。(方便土者,謂修方便道,斷見、思惑,即聲聞、緣覺所居之土也。實報土者,稱實感報故也;謂菩薩斷惑相有未盡者,居此土也。)
頁數: 出華嚴經隨疏演義鈔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又名五住地煩惱。【參見: 五住地】##【圖像: T0028.JPG 刪減】"
↑ 星雲, "三惑". 2013년 5월 5일에 확인
"三惑: (一)又作三障。天台宗就界內、界外之惑所分之見思、塵沙、無明等三惑。(一)見思惑,見惑與思惑之並稱。見惑,乃意根對法塵所起之諸邪見。即迷於推度三世道理之煩惱;思惑,乃眼耳鼻舌身五根,貪愛色聲香味觸五塵,而起之想著。即迷於現在事理之煩惱。此見思惑為聲聞、緣覺、菩薩三乘所共斷,故稱通惑。由此招感三界之生死,故為界內之惑,須以空觀對治之。(二)塵沙惑,迷於界內外恆沙塵數之法所起之惑障,稱為塵沙惑。菩薩斷除見思惑後,易著於空觀,而未能進一步了知眾生之塵沙惑,及對治教化之方法,故此惑又稱著空惑,能妨礙菩薩出假利生,化度眾生。又此惑為菩薩所斷,故又稱別惑,通於界內外,須以假觀破之。(三)無明惑,於一切法無所明了,故稱無明。即迷於中道第一義諦之煩惱。此惑乃業識之種子、煩惱之根本,聲聞、緣覺不知其名,屬界外之惑,唯在大乘菩薩,定慧雙修,萬行具足,方斷此惑,故又稱別惑。須以中觀破之。
若論斷位,則別圓二教不同。依別教之說,十信位能伏住見思惑,初住能斷除見惑,七住能斷盡思惑,八、九、十住能斷除界內之塵沙惑,十行斷界外之塵沙惑,十迴向能伏住無明惑,初地以後至妙覺位能斷除十二品之無明惑。依圓教之說,五品弟子位能伏住五住地之煩惱,十信中之初信位能斷除見惑,七信位能斷盡思惑,八、九、十信能斷除界內外之塵沙惑,初住以後至妙覺位能斷除四十二品之無明惑。實則三惑原係一惑之粗細分,惑體無別,其粗者稱為見思,細者稱為無明,介於其間者稱為塵沙,是故,所謂斷捨,當無前後異時之別。又若以三惑對配二障,則見思惑相當於煩惱障,塵沙惑、無明惑相當於所知障。〔摩訶止觀卷四上、卷六上、法華經玄義卷五上、法華玄義釋籤卷三下、卷四下、止觀輔行傳弘決卷六之三、卷七之四、四教義卷一、四念處卷四〕
(二)為三毒之異稱,即貪欲、瞋恚、愚癡等三種根本之迷惑。 p624"
↑ 곽철환 2003, "삼혹(三惑)". 2013년 5월 5일에 확인
"삼혹(三惑): 천태종에서 설하는 세 가지 번뇌.
(1) 견사혹(見思惑). 이치를 알지 못함으로써 일어나는 견혹(見惑)과 대상에 집착함으로써 일어나는 사혹(思惑).
(2) 진사혹(塵沙惑). 진사는 많음을 비유함. 한량없는 차별 현상을 알지 못하여 중생을 구제하는 데 장애가 되는 번뇌.
(3) 무명혹(無明惑). 모든 번뇌의 근본으로서, 차별을 떠난 본성을 알지 못하여 일어나는 지극히 미세한 번뇌. 이 가운데 견사혹은 성문·연각·보살이 함께 끊는 번뇌이므로 통혹(通惑), 진사혹과 무명혹은 오직 보살만이 끊는 번뇌이므로 별혹(別惑)이라 함."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三惑(삼혹)". 2016년 1월 14일에 확인
"三惑(삼혹):
견사혹(見思惑)ㆍ진사혹(塵沙惑)ㆍ무명혹(無明惑). 삼장(三障)이라고도 함. (1) 견사혹. 견도(見道)와 수도(修道)에서 끊는 견혹(見惑)ㆍ수혹(修惑). 견혹은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여서 일어나는 번뇌. 수혹은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여서 일어나는 번뇌. (2) 진사혹. 진사는 많음을 비유한 것. 보살이 중생을 교화할 때에 마음이 어둑컴컴하여 무량무수한 법문을 알아 자유자재하게 구제하지 못하는 것을 말함이니, 다만 혹체(惑體)가 수없다는 뜻만이 아니고, 알지 못하는 법문이 많다는 뜻으로 이름한 것이니, 체(體)는 한 열혜(劣慧). (3) 무명혹ㆍ장중도혹(障中道惑)이라고도 하니, 미(迷)의 근본을 이루어 지혜의 밝음이 없는 번뇌. 이 3혹 중 앞의 하나는 성문ㆍ연각ㆍ보살이 함께 끊을 수 있는 것이므로 통혹(通惑)이라 하고, 뒤의 둘은 보살만이 끊는 것이므로 별혹(別惑)이라 한다. 또 앞에 하나는 3계 안의 이(理)ㆍ사(事)를 미(迷)하여 3계의 생사를 받으므로 계내혹(界內惑)이라 하고, 뒤에 둘은 3계 안의 사람은 물론이고, 3계 밖에도 있는 번뇌이므로 계외혹(界外惑)이라 함."
↑ 운허, "百八煩惱(백팔번뇌)". 2013년 5월 31일에 확인
"百八煩惱(백팔번뇌): 백팔결(百八結)이라고도 함.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이란 말. 2종이 있음. 첫째, 6근(根)으로 6진(塵)을 대할 때 저마다 호(好)ㆍ오(惡)ㆍ평등(平等)의 세 가지가 서로 같지 않아서 18번뇌를 일으키고, 또 고ㆍ락ㆍ사(苦ㆍ樂ㆍ捨)의 3수(受)가 있어 18번뇌를 내니, 모두 합하여 36종. 또 이를 3세(世)에 배(配)하여 108번뇌가 됨. 둘째, 3계(界)의 견혹(見惑) 88사(使)에 3계의 수혹(修惑) 10혹과 무참(無慚)ㆍ무괴(無傀)ㆍ혼침(昏沈)ㆍ악작(惡作)ㆍ뇌(惱)ㆍ질(嫉)ㆍ도회(掉悔)ㆍ수면(睡眠)ㆍ분(忿)ㆍ부(覆)의 10전(纒)을 더한 것. ⇒백팔결(百八結)"
↑ 星雲, "百八煩惱". 2013년 5월 31일에 확인
"百八煩惱: 謂眾生之煩惱有一百零八種。又作百八結業,以煩惱能生種種惡業之故。關於其內容有多種異說:(一)據大智度論卷七、大乘義章卷六等載,百八煩惱指十纏與九十八結。十纏,即無慚、無愧、嫉、慳、悔、眠、掉舉、惛沈、忿、覆等;九十八結,即三界之八十八見惑與十修惑。(二)據明度五十校計經(大方等大集經卷五十九)、止觀輔行傳弘決卷五之五(會本)等載,眼、耳、鼻等六根以色、聲、香等六塵之境為對象時,各有好、惡、平(非好非惡)三種分別,合為十八種,又一一各有染、淨之分,合為三十六種。復配以過去、未來、現在三世,合為一百零八種煩惱。(三)據止觀輔行傳弘決卷五之五載,六根各有苦、樂、捨等三受,合為十八種;六根復各有好、惡、平三種,合為十八種,總共三十六種;再配以過去、未來、現在三世,合為一百零八種煩惱。
此外,寺院朝夕撞鐘一百零八下,意指消除一百零八種煩惱。又隨百八煩惱之數而有百八念誦、百八珠數、百八三昧、百八尊等。〔木槵子經、大智度論卷三十六、卷六十八、釋氏要覽卷中〕 p2487"
↑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 제8권. p. T25n1509_p0110a26 - T25n1509_p0110b09. 108번뇌(百八煩惱)
"「纏」者,十纏:瞋纏、覆罪纏、睡纏、眠纏、戲纏、掉纏、無慚纏、無愧纏、慳纏、嫉纏。 復次,一切煩惱結繞心故,盡名為「纏」。 「煩惱」者,能令心煩,能作惱故,名為「煩惱」。煩惱有二種:內著,外著——內著者,五見、疑、慢等;外著者,婬、瞋等;無明內外共。 復有二種結:一、屬愛;二、屬見。 復有三種:屬婬,屬瞋,屬癡。 是名煩惱。 纏者,有人言「十纏」,有人言「五百纏」。 煩惱名一切結使:結有九結,使有七,合為九十八結。 如《迦旃延子阿毘曇》義中說:十纏,九十八結,為百八煩惱。 《犢子兒阿毘曇》中結使亦同;纏有五百。 如是諸煩惱,菩薩能種種方便自斷,亦能巧方便斷他人諸煩惱。"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제8권. pp. 288-289 / 2698. 108번뇌(百八煩惱)
"얽매임[纏]이라 함은 열 가지 얽매임[十纏]을 말한다. 곧 성냄의 얽매임 · 죄를 숨김의 얽매임 · 졸음의 얽매임 · 잠의 얽매임 · 희롱의 얽매임 · 들뜸의 얽매임 · 제 부끄러움 없음의 얽매임 · 남부끄러움 없음의 얽매임 · 인색함의 얽매임 · 질투의 얽매임이다.
또한 일체의 번뇌는 마음을 얽어매는 까닭에 모두 일컬어 얽매임이라 한다.
번뇌라 함은 능히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기 때문에 번뇌라 한다.
번뇌에 두 가지가 있으니, 내적인 집착[內著]과 외적인 집착[外著]이다. 내적인 집착이란 다섯 가지 견해[五見]와 의심과 교만 등이요, 외적인 집착이란 음욕 ·성냄 등이다.
무명은 안팎에 동시에 속한다.
다시 두 가지 결(結)이 있으니, 첫째는 애욕에 속하는 것이요, 둘째는 견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세 가지가 있으니, 음욕에 속하는 것과 성냄에 속하는 것과 어리석음에 속하는 것이다.
이것을 번뇌라고 한다.
얽매임[纏]이라 했는데,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열 가지 얽매임이 있다”고 하며,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5백 가지 얽매임이 있다”고 한다.
번뇌를 일체의 결사(結使)라 하는데, 결에는 아홉 가지가 있고, 사에는 일곱 가지가 있어 합치면 98결(結)이 된다.
가전연자 아비담에 말하기를 “10전(纏)과 98결(結)이 합해 108번뇌가 된다. 독자아(犢子兒)14)의 아비담 가운데에서는 결과 사는 같은 것으로 5백의 얽매임[纏]이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모든 번뇌를 보살은 능히 갖가지 방편으로 스스로 끊으며, 또한 교묘한 방편으로써 다른 사람의 번뇌들도 끊게 한다.
14) 범어로는 Vātsīputra. 독자부(Vajiputtiyā)를 가리킨다."
↑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 제6권. p. T44n1851_p0586b07 - T44n1851_p0586c02. 108번뇌(百八煩惱)
"第六門中。就前十使。辨明九十八使等義。於中有五。一分十使為九十八使。二就九十八使明十一遍。三就九十八使明九上緣。四就九十八明十八無漏緣使。五就九十八辨明百八諸煩惱義。初言分十為九十八者。依如毘曇。彼前十使界行種別為九十八。界謂三界。行謂五行。四諦修道名為五也。種謂十種。將彼十使。隨行分別。有三十六。苦下有十。集下有七。所謂邪見見取及疑貪瞋癡慢。滅下有七。與集相似。道下有八。謂前七上加一戒取。修道有四。貪瞋癡慢。此等增減。廣如上釋。此三十六。隨界分別為九十八。欲界地中具三十六。色界地中有三十一。謂五行下。各除一瞋。餘者具有。無色亦爾。有三十一。是故通合有九十八。毘曇如是。成實論中。但言十使為九十八。不列名字。然彼宗中。十使煩惱。俱迷四諦。並通三界。不知若為作九十八。人家相傳釋有兩種。一言十使在於九地。始從欲界乃至非想。即為九十。修道四使已起未起。離之為八。通前合有九十八使。何故修惑不隨地別。以非發業招生惑故。第二說者。十使煩惱迷於四諦。即為四十。通修道中四使煩惱有四十四。各有已起未起之別。為八十八。通本十使為九十八。既非經論。難輒依信。辨相如是(此一門竟)。"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三細(삼세)".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三細(삼세):
무명업상(無明業相)ㆍ능견상(能見相)ㆍ경계상(境界相). 『대승기신론』에서는 일심진여(一心眞如)를 우주의 근본으로 하고, 여기에서 일체 현상을 내는 것을 무명(無明)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이 무명을 근본불각(根本不覺)ㆍ지말불각(枝末不覺)으로 나눈다. (1) 무명업상. 진여가 무명에 의하여 차별적 현상을 내게 되는 첫걸음으로서, 아직 주관ㆍ객관이 갈라지기 전의 상태. (2) 능견상. 무명업상이 주관ㆍ객관으로 갈라져 대립된 때에, 그 주관적 방면을 말함. (3) 경계상. 능견상인 주관의 앞에 나타나는 객관적 대상의 경계. 진여 본성에 계합하지 않는 허망한 상태를 말함."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六麤(육추)".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六麤(육추):
진여(眞如)가 근본무명(根本無明)의 망심에 의하여 처음으로 기동(起動)을 내는 시초를 무명업상(無明業相)이라 하고, 이에 따라 일방으로 주관적 심작용 능견상(能見相)과, 다른 방면으로 이에 대한 객관적 대상인 경계상이 생기고, 이로부터 더욱 미망(迷妄)의 모양이 생기게 되었음. 이 미망의 모양을 자세하게 밝힌 것이 6추. (1) 지상(智相). 주관적 심작용인 능견상이 객관적 대상인 경계상을 반연하되, 그 실성(實性)을 알지 못하고, 마음 밖에 다른 존재인 줄로 잘못 집착하고 시비 선악의 판단을 내려 사랑하고 미워하는 생각에 사로잡히는 모양. (2) 상속상(相續相). 이 사랑하고 미워하는 망념이 상속하면서 좋은 것에는 즐거워하는 느낌을 일으키고, 미운 것에는 걱정하는 생각을 일으켜 그치지 않고 상속하는 모양. (3) 집취상(執取相). 전상(前相)에 대한 즐겁고 걱정되는 느낌이 단순한 주관적 감정인 줄을 알지 못하고, 객관의 경계인 줄로만 믿어 대경에 깊이 집착하는 모양. (4) 계명자상(計名字相). 우리가 대경의 선악을 분별할 뿐만 아니라, 다시 이름을 붙이고, 그 이름에 집착하여 모든 번뇌를 내는 모양. (5) 기업상(起業相). 이름에 집착하게 되면 반드시 행위가 따르는 것. 이 집착하는 생각으로 짓는 언어와 동작을 기업상이라 함. (6) 업계고상(業繫苦相). 언어 동작으로 지은 모든 업인(業因)에 속박되어 반드시 받게 되는 미(迷)의 고과(苦果). ⇒망경계훈습(妄境界熏習)"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細六粗".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三細六粗:
語出大乘起信論。根本無明起動真如,現出生滅流轉之妄法(迷之現象),其相狀有三細與六粗(九相)之別。細者,無心王與心所之分,其相微細難測;粗者,心王與心所相應,其作用之相粗顯。
三細即:(1)無明業相,略稱業相。指從真起妄的初動之相。即由根本無明起動真如之最初狀態,乃枝末無明中之第一相,此相尚未能區別主客之狀態。(2)能見相,又稱見相。指見初動之相。又稱轉相。依初動業識,轉成能見之相。此係依前述無明業相所起而認識對象之心(主觀)。(3)境界相,又稱現相、境相。由前轉相,而妄現境界之相。蓋能見相既起,則同時妄現此認識對象(客觀)。
六粗即:(1)智相,依境界相妄起分別染淨,於淨境則愛,於染境則不愛,稱為智相。(2)相續相,依智相分別,於愛境則生樂,於不愛境則生苦;覺心起念,相應不斷,稱為相續相。(3)執取相,依前之相續相,緣念苦樂等境,心起執著,稱為執取相。(4)計名字相,依前之執取相,分別假名言說之相,稱為計名字相。(5)起業相,依前之計名字相,執取生著,造種種業,稱為起業相。(6)業繫苦相,繫於善惡諸業,有生死逼迫之苦,不得自在,稱為業繫苦相。
依此,若由細相進入粗相,即由不相應心之阿賴耶識位進入相應心之六識位,迷之世界乃隨之展開。是故,若欲抵達悟境,須由粗相向細相邁入。凡夫之境界為粗中之粗(六粗後四相)、菩薩之境界為粗中之細(六粗前二相)及細中之粗(三細後二相)、佛之境界則是細中之細(無明業相)。此外,若以三細六粗配五意,則三細依序配業識、轉識、現識,智相配智識,相續相配相續識。若以之配六染心,則三細依序配根本業不相應染、能見心不相應染、不斷相應染,執取相及計名字相配執相應染。若以之配四相,則業相配生相,能見、境界、智、相續等相配住相,執取、計名字等相配異相,起業相配滅相。〔釋摩訶衍論卷四、大乘起信論義疏卷上之下、起信論疏卷上、大乘起信論義記卷中本〕p834"
↑ 佛門網, "[1]". 2016년 1월 15일에 확인
"三細六麤: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起信論所明。三細者,根本無明相也。六麤者,枝末無明之相也。【參見: 三細條】與【參見: 】"
↑ 星雲, "不善根".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不善根: 梵語 akuśala-mūla。三界諸煩惱之中,欲界五部有三種不善之根,即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此三煩惱,其性唯不善,能生起、資養一切不善之法,故稱不善根。據大毘婆沙論卷一一二載,三煩惱具有五義,故獨立為不善根。五義即:(一)通於五部,(二)遍在六識,(三)是隨眠性,(四)能起粗惡之身業、語業,(五)作斷善根牢強加行。〔增一阿含經卷十三、俱舍論卷十六、大毘婆沙論卷四十七、入阿毘達磨論卷上、順正理論卷四十一〕"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 제6권. p. T31n1585_p0030a21 - T31n1585_p0030a23. 불선근(不善根)
"以貪瞋癡六識相應。正煩惱攝起惡勝故立不善根。斷彼必由通別對治。通唯善慧。別即三根。"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제6권. p. 291 / 583. 불선근(不善根)
"탐 · 진 · 치 심소는 6식과 상응하고, 바로 번뇌에 포함되며, 악을 일으키는 것이 뛰어나기 때문에 불선근(不善根)으로 건립한다. 그것을 단멸하려면 반드시 공통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의 다스림에 의한다. 공통적이라는 것은 오직 선(善)의 혜(慧)이다. 개별적인 것이라는 것은 세 가지 근(根)48)이다.
48)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무치(無癡)의 심소를 말한다."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T.125, 《증일아함경》 제20권 〈28. 성문품(聲聞品)〉. T02n0125_p0653c11 - T02n0125_p0654a09. 성문4과(聲聞四果)
" (七) 聞如是。 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世尊告諸比丘。有四種之人出現於世。云何為四。有似黃藍花沙門。有似邠陀利華沙門。有似柔軟沙門。於柔軟中柔軟沙門。 彼云何名為似黃藍花沙門。或有一人。斷三結使。成須陀洹不退轉法。必至涅槃。極遲。經七死七生。或復家家.一種。猶如黃藍之花朝取暮長。此比丘亦復如是。三結使盡。成須陀洹。不退轉法必至涅槃。極遲。至七死七生。若求方便勇猛意者。家家.一種便成道跡。是謂名為黃藍花沙門。 彼云何名為邠陀利花沙門。或有一人。三結使盡。婬.怒.癡薄。成斯陀含。來至此世盡於苦際。若小遲者。來至此世盡於苦際。若勇猛者。即於此間盡於苦際。猶如邠陀利花。晨朝剖花。向暮萎死。是謂邠陀利花沙門。 彼云何柔軟沙門。或有一人斷五下分結。成阿那含。即於彼般涅槃。不來此世。是謂柔軟沙門。 彼云何柔軟中柔軟沙門。或有一人有漏盡。成無漏心解脫.智慧解脫。於現法中自身作證而自遊戲。生死已盡。梵行已立。所作已辦。更不復受胎。如實知之。是謂柔軟中柔軟沙門。 是謂。比丘。有此四人出現於世。是故。諸比丘。當求方便。於柔軟中作柔軟沙門。如是。諸比丘。當作是學。 爾時。諸比丘聞佛所說。歡喜奉行。
修陀修摩均 賓頭塵.翳.手
鹿頭.廣演義 後樂.柔軟經"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K.649, T.125, 《증일아함경》 제20권 〈28. 성문품(聲聞品)〉. 547-548 / 1393. 성문4과(聲聞四果)
"[ 7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상에는 네 종류의 사람이 출현(出現)한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의 사람인가? 황람(黃藍)꽃과 같은 사문이 있고, 빈다리(邠陀利)꽃과 같은 사문이 있으며,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 있고 부드럽고도 연약한 가운데 더욱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 있다.
저 어떤 이가 황람꽃과 같은 사문인가? 혹 어떤 사람은 3결사(結使)를 끊고 수다원을 이루어 물러나지 않는 법에서 반드시 열반에 이르되 지극히 더뎌서 일곱 번 죽고 일곱 번 태어나야 한다. 혹은 가가(家家)10)의 일종(一種)으로서, 비유하면 마치 황람꽃을 아침에 꺾으면 저녁에 자라나는 것처럼, 그 비구도 그와 같아서 3결사가 이미 다 끊어지고 수다원을 이루어 물러나지 않는 법에서 반드시 열반에 이르되 지극히 더뎌서 일곱 번 죽고 일곱 번 태어나야 한다. 그러나 만일 용맹스러운 마음으로 방편을 구하는 사람이라면 가가의 일종으로서 곧 도적(道跡)을 이루게 된다. 이것을 일러 황람꽃과 같은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이를 빈다리꽃과 같은 사문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3결사가 이미 다 끊고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엷어져서, 사다함을 이루어 이 세상에 한번 와서야 괴로움의 끝을 벗어난다. 그러나 만일 조금 더딘 이라면 이 세상에 와서 괴로움의 끝을 벗어나지만, 만일 용맹스러운 이라면 곧 거기에서 괴로움의 끝을 완전히 벗어난다. 비유하면 마치 빈다리꽃을 아침에 꺾으면 저물어서 시들어지는 것과 같다. 이것을 일러 빈다리꽃과 같은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어떤 이를 부드러운 사문이라 하는가? 어떤 사람은 5하분결(下分結)를 끊고 아나함을 이루어 거기에서 바로 열반에 들어 이 세상에 오지 않는다. 이것을 부드러운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이를 부드럽고 연약한 중에서도 더욱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번뇌가 다 끊어지고 번뇌가 없음을 이룩하게 되어, 심해탈(心解脫)하고 혜해탈(慧解脫)하여, 현재 세상에서 직접 진리를 증득하고는 스스로 즐겁게 노닌다. 그리하여 나고 죽음이 이미 다하였고 범행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을 이미 다 마쳐 다시는 태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안다. 이것을 일러 부드럽고도 연약한 중에서도 더욱 부드럽고 연약한 사문이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아, 이를 일러 이러한 네 종류의 사람이 세상에 있다고 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방편을 구해 부드럽고 연약한 중에 부드럽고도 연약한 사문이 되도록 해야 하느니라.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수타(修陀)와 수마균(修摩均)과
빈두로(賓頭盧)·가리움[翳]·손[手]과
녹두(鹿頭)와 이치를 자세히 연설함과
뒤에 즐거움과 부드럽고 연약한 경을 설하셨다.
10) 팔리어로는 kola kola라고 한다. 생(生)을 받아 태어나는 곳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이 사람은 욕계(欲界) 9품 사혹(思惑) 중에 혹 3·4품을 끊어 혹은 하늘 중 3·2가(家)에 생을 받거나, 혹은 인간 세상 3·2가에서 생을 받아 태어나 비로소 제2의 사다함(斯陀含)을 증득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 제57권. p. T25n1509_p0465a06 - T25n1509_p0465b01. 성문4과
"「憍尸迦!於汝意云何?閻浮提幾所人得三十七品、三解脫門、八解脫、九次第定、四無礙智、六神通?閻浮提幾所人斷三結故,得須陀洹道?幾所人斷三結,亦婬瞋癡薄故,得斯陀含道?幾所人斷五下分結,得阿那含道?幾所人斷五上分結,得阿羅漢?閻浮提幾所人求辟支佛?幾所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釋提桓因白佛言:「世尊!閻浮提中少所人得三十七品,乃至少所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佛告釋提桓因:「如是!如是!憍尸迦!少所人信佛不壞,信法不壞,信僧不壞;少所人於佛無疑,於法無疑,於僧無疑;少所人於佛決了,於法決了,於僧決了。憍尸迦!亦少所人得三十七品、三解脫門、八解脫、九次第定、四無礙智、六神通。憍尸迦!亦少所人斷三結得須陀洹,斷三結亦婬瞋癡薄得斯陀含,斷五下分結得阿那含,斷五上分結得阿羅漢,少所人求辟支佛。於是中亦少所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於發心中亦少所人行菩薩道。 「何以故?是眾生前世不見佛,不聞法,不供養比丘僧;不布施,不持戒,不忍辱,不精進,不禪定,無智慧;不聞內空、外空乃至無法有法空;亦不聞、不修四念處乃至十八不共法;亦不聞、不修諸三昧門、諸陀羅尼門;亦不聞、不修一切智、一切種智。"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제57권. pp. 1980-1981 / 2698. 성문4과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교시가야,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염부제에서 몇 사람이나 37품(品)과 3해탈문(解脫門)과 8해탈(解脫)과 9차제정(次第定)과 4무애지(無礙智)와 6신통(神通)을 얻더냐?
염부제에서 몇 사람이나 3결(結)을 끊어 수다원(須陀洹)의 도(道)를 얻고, 몇 사람이나 3결을 끊어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얇아진 결과로 사다함(斯陀含)의 도를 얻으며, 몇 사람이나 5하분결(下分結)을 끊어 아나함(阿那含)의 도를 얻고, 몇 사람이나 5상분결(上分結)을 끊어 아라한(阿羅漢)이 되더냐?
염부제에서 몇 사람이나 벽지불을 구하고 몇 사람이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더냐?”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염부제 안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37품을 얻으며,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킵니다.”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교시가야,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부처님을 믿고 무너뜨리지 않으며, 가르침을 믿고 무너뜨리지 않으며, 승가를 믿고 무너뜨리지 않느니라.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부처님에 대하여 의심함이 없고 가르침에 대하여 의심함이 없으며, 승가에 대하여 의심함이 없느니라. 얼마 되지 않는 사람만이 부처님에 대하여 확실히 알고 가르침에 대하여 확실히 알며 승가에 대하여 확실히 아느니라.
교시가야,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사람들만이 37품과 3해탈문과 8해탈과 9차제정과 4무애지와 6신통을 얻느니라.
교시가야,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사람들만이 3결을 끊으면서 수다원이 되고, 3결을 끊고 또한 음욕에 성냄과 어리석음이 얇아져서 사다함이 되며, 5하분결을 끊어 아나함이 되고, 5상분결을 끊어 아라한이 되느니라.
많지 않은 사람들만이 벽지불을 구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더 적은 사람들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며, 그 마음을 내는 이 가운데에서도 더 적은 사람들만이 보살의 도를 행하느니라. 왜냐하면 이 중생들은 전생에 부처님을 뵙지 못하고 가르침을 듣지 못했으며 비구승에게 공양하지 못했기 때문이니라.
또한 보시하지 않고 계율을 지니지 않았으며, 인욕하지 않고 정진하지 않았으며, 선정을 닦지 않고 지혜가 없었기 때문이니라. 내공ㆍ외공에서 무법유법공까지를 듣지 않고, 또한 4념처에서 18불공법까지를 듣지도 않고 닦지도 않았으며, 또한 모든 삼매문과 모든 다라니문을 듣지도 않고 닦지도 않았으며, 또한 일체지와 일체종지를 듣지도 않고 닦지도 않았기 때문이니라."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T29n1558_p0109c04 - T29n1558_p0109c08. 번뇌구(煩惱垢)와 그 근본번뇌
"餘煩惱垢其相云何。頌曰。
煩惱垢六惱 害恨諂誑憍
誑憍從貪生 害恨從瞋起
惱從見取起 諂從諸見生"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955-956 / 1397. 번뇌구(煩惱垢)와 그 근본번뇌
"그 밖의 [수번뇌인] 번뇌구(煩惱垢)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번뇌구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뇌(惱)·
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가 바로 그것이다.
煩惱垢六惱 害恨諂誑憍
'광'과 '교'는 탐에서 생겨난 것이고
'해'와 '한'은 진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며
'뇌'는 견취로부터 일어나고
'첨'은 온갖 견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誑憍從貪生 害恨從瞋起
惱從見取起 諂從諸見生"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 T29n1558_p0109b13 - T29n1558_p0109b23. 수번뇌: 8전 또는 10전
"後當略論纏煩惱垢攝者。且應先辯。纏相云何。頌曰。
纏八無慚愧 嫉慳并悔眠
及掉舉惛沈 或十加忿覆
無慚慳掉舉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論曰。根本煩惱亦名為纏。經說欲貪纏為緣故。然品類足說有八纏。毘婆沙宗說纏有十。謂於前八更加忿覆。"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pp. 953-954 / 1397. 수번뇌: 8전 또는 10전
"[이러한 수번뇌에 대해서는] 뒤에서 응당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시켜 간략히 논설하리라.
바야흐로 먼저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니, '전'의 상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전(纏)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참·무괴·
질(嫉)·간(慳)·회(悔)·수면(睡眠)
그리고 도거·혼침이 바로 그것이다.
혹은 분(忿)과 부(覆)를 더한 열 가지이다.29)
纏八無慚愧 嫉慳幷悔眠
及掉擧惛沈 或十加忿覆
무참과 간과 도거는
모두 탐에서 생겨난 것이며
무괴와 수면과 혼침은
무명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다.
無慚慳掉擧 皆從貪所生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질과 분은 진(瞋)에서 일어난 것이고
회는 의(疑)로부터, '부'에 대해서는 여러 쟁론이 있다.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논하여 말하겠다. 근본번뇌를 역시 '전'이라고도 이름하니, 경에서 "욕탐의 전을 연(緣)으로 한다"고 설하였기 때문이다.30)
그런데 『품류족론』에서는 8전이 있다고 설하였지만 비바사종(毘婆沙宗)에서는 '전'에 열 가지가 있다고 설하고 있으니,31) 이를테면 앞의 여덟 가지에 다시 분(忿)과 부(覆)를 더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29) 이 같은 열 가지는 유정을 계박하여 생사의 감옥에 가두기 때문에 이름하여 '전'이라고 하였다. 혹은 이러한 열 가지가 원인이 되어 온갖 악행을 일으키며, 악취로 잡아 가두기 때문에 이름하여 '전'이라고 하였다.(『현종론』 권제27, 앞의 책, p.225)
30) 『잡아함경』 권제35 제977경(대정장2, p.253상), '시바여, 다섯 가지 인(因)과 다섯 가지 연(緣)으로 인해 심법에 우고(憂苦)가 생기니, 이를테면 욕탐전을 인으로 하고 욕탐전을 연으로 하여 심법에 우고가 생기며…….'
31) 『품류족론』 권제1(한글대장경117, p.23). 『대비바사론』 권제47(한글대장경119, p.508) ; 권제50(동 p.579)."
↑ 佛門網, "十纏". 2013년 5월 15일에 확인
"十纏: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十種纏縛眾生之煩惱。乃附隨貪等根本煩惱而起,與染污心相應而造種種惡行,因其纏縛有情令不得出離生死,故謂之纏。即:(一)無慚,於諸功德及有德者無敬崇,卻忌難之,而不自知恥。(二)無愧,於罪為他人所見而不知恥。(三)嫉,於他人諸興盛事心生不喜。(四)慳,吝於惠施世間資財或出世間法財。(五)悔,追悔於所作之過惡中而令心不安。(六)眠,令心昏懵而無力省察。(七)掉舉,令心不寂靜,無法成就諸禪觀。(八)惛沈,神識昏鈍,於善法身心無力堪住。(九)忿,於違己意之境,則發恚怒而忘失正念。(十)覆,即覆藏自己之罪過。品類足論卷一僅立八纏;大毘婆沙論卷四十七至卷五十又加忿、覆二纏,明示十纏。〔俱舍論卷二十一、大智度論卷七〕
頁數: p504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十種的煩惱。纏就是煩惱的別名,因煩惱能纏縛眾生的身心,使不得出生死和證涅槃。十纏就是無慚、無愧、嫉、慳、悔、睡眠、掉舉、昏沉、瞋忿、覆。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śa paryavasthānāni.
頁數: p.368 - p.369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如八纏中說。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有十種之妄惑,纏縛眾生,不使出生死,不使證涅槃,故名十纏:一無慚、二無愧、三嫉、四慳、五悔、六睡眠、七掉舉、八昏沈、九瞋忿十覆也。見智度論七,俱舍論二十一。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纏者,縛也。謂一切眾生,被此十法纏縛,不能出離生死之苦,證得涅槃之樂也。(梵語涅槃,華言滅度。)
〔一、無慚〕,慚即慚天。謂人於屏處作諸過惡,不自慚恥也。
〔二、無愧〕,愧即愧人。謂於人所見處為諸過非,不知羞愧也。
〔三、嫉〕,嫉者,妒也。謂見他人榮富,心生妒忌也。
〔四、慳〕,慳者,吝也。謂人於世間貲財及出世間法財,不肯惠施也。
〔五、悔〕,悔者,恨也。謂所作之過,蒂(音帝)芥胸臆,不能自安也。(蒂芥者,謂剌鞭也。)
〔六、睡眠〕,睡眠者,謂人昏懵不惺,常樂睡眠,無所省察也。
〔七、掉舉〕,掉舉者,搖動也。謂心念動搖,不能攝伏,於諸禪觀無由成就也。
〔八、昏沉〕,昏沉者,昏鈍沉墜也。謂神識昏鈍,懵然無知,不加精進之功,遂致沉墜苦海也。
〔九、瞋忿〕,嗔忿者,恚怒也。謂人於違情之境,不順己意,便發恚怒,而忘失正念也。
〔十、覆〕,覆者,藏也。謂隱藏所作過惡,惟恐人知,不能悔過而遷善也。
頁數: 出翻譯名義"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本惑". 2016년 2월 4일에 확인
"本惑:
與「隨惑」相對稱。為感得迷果之根本煩惱,即諸惑之體。又作根本惑、根本煩惱。有貪、瞋、癡、慢、疑、惡見等六種,其中,惡見可分為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見,合為十種煩惱。另有以本惑分為見、修二惑;分別配於三界,有見惑八十八使、修惑十種,共合為九十八種。(參閱「見思惑」3779、「根本煩惱」5210)p2487"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8b18 - T29n1558_p0098b24. 업과 유와 근본번뇌
"前言世別皆由業生。業由隨眠方得生長。離隨眠業無感有能。所以者何。隨眠有幾。頌曰。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
論曰。由此隨眠是諸有本故業離此無感有能。"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19권. p. 853 / 1397. 업과 유와 근본번뇌
"앞(권제13 초)에서 세간의 차별은 모두 업으로 말미암아 생겨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업은 수면(隨眠, anusaya)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생장할 수 있으며, 수면을 떠난 업은 유(有, 욕계·색계·무색의 3유)를 초래할 만한 공능을 갖지 않는다.
그 까닭은 무엇이며, 수면에는 몇 가지가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면은 모든 '유(有)'의 근본으로,
이것의 차별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이를테면 탐(貪)·진(瞋)과, 역시 만(慢)·
무명(無明)·견(見), 그리고 의(疑)이다.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수면은 바로 모든 '유'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떠난 업은 유를 초래할 만한 어떠한 공능(功能)도 갖지 못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p. T31n1614_p0855b29 - T31n1614_p0855c02. 번뇌심소(煩惱心所)
"四煩惱六者。一貪二嗔。三慢四無明。五疑六不正見。"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1b15 - T31n1585_p0031b19. 번뇌심소(煩惱心所)
"煩惱心所其相云何。頌曰。
12煩惱謂貪瞋 癡慢疑惡見
論曰。此貪等六性是根本煩惱攝故。得煩惱名。"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6권. p. 305 / 583. 번뇌심소(煩惱心所)
"번뇌심소의 양상은 어떠한가? 게송(『삼십송』의 제12)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번뇌심소는 탐(貪)·진(瞋)·
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이다.124)
논하여 말한다. 이 탐 등 여섯 가지는 체성이 근본번뇌에 포함되기 때문에 번뇌심소라고 이름한다.
124) 번뇌심소 여섯 가지를 밝힌다. 모든 번뇌의 근간인 근본번뇌를 일으키는 심소이다."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根本煩惱". 2016년 2월 4일에 확인
"根本煩惱:
梵語 mūla-kleśa。又作本惑、根本惑。略稱作煩惱。與「隨煩惱」對稱。指諸惑之體可分為貪、瞋、癡、慢、見、疑等六種根本之煩惱。其中,見復分為五,稱為五利使;其他之五煩惱則稱為五鈍使。兩者合之,即為十隨眠。此外亦有八十八使或九十八使之分類。反之,枝末煩惱乃從屬於根本煩惱,具有染污心之作用(染污之心所),又稱隨煩惱、隨惑。
俱舍宗主張枝末煩惱共有十九種,乃大煩惱地法中之放逸、懈怠、不信、昏沉、掉舉(癡除外);大不善地法之無慚、無愧;小煩惱地法之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等。唯識宗則在十九種中除去不定地法(二),而在大煩惱地法加入失念、散亂、不正知(三);以上共為二十種,稱二十隨煩惱。復次,大煩惱地法又稱大隨煩惱(大隨惑)、大不善地法稱中隨煩惱(中隨惑)、小煩惱地法稱小隨煩惱(小隨惑)。〔俱舍論卷十九、卷二十、成唯識論卷六、瑜伽師地論卷六十六〕(參閱「見惑」3781、「煩惱」6940)p5210"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隨煩惱". 2016년 2월 4일에 확인
"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1)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2)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1)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沉、掉舉。(2)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3)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1)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2)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3)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沉、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p7963"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a29 - T31n1605_p0676b02. 수(數)
"何等數故。謂或六或十六。謂貪瞋慢無明疑。見十謂前五見又分五。謂薩迦耶見邊執見邪見見取戒禁取。"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73-74 / 159. 수(數)
"어떠한 것이 중생수(衆生數)에 기인하기 때문입니까?
[74 / 159] 쪽
여섯 가지와 열 가지를 가리킨다. 여섯 가지는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ㆍ의(疑)ㆍ견(見)을 말하고, 열 가지는 앞에서의 다섯 가지와 견을 다시 다섯 가지 살가야견(薩迦耶見)ㆍ변집견(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으로 말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2c16 - T31n1606_p0722c18. 수(數)
"數者。謂或六或十。六謂貪瞋慢無明疑見。十謂前五見。又分五謂薩迦耶見。邊執見邪見見取戒禁取。"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47 / 388. 수(數)
"무엇이 중생수에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까?
여섯 가지와 열 가지를 가리킨다. 여섯 가지는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ㆍ의(疑)ㆍ견(見)을 말하고, 열 가지는 앞에서의 다섯 가지와 다시 견에서의 다섯 가지 살가야견(薩迦耶見)ㆍ변집견(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을 말한다."
↑ 곽철환 2003, "삼도(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삼도(三道):
① 성문이나 보살의 세 가지 수행 단계.
(1) 견도(見道).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見惑)을 끊는 단계.
(2) 수도(修道). 견도에서 사제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을 끊은 후, 다시 수행을 되풀이하여 수혹(修惑)을 끊는 단계.
(3) 무학도(無學道). 모든 번뇌를 끊어 더 닦을 것이 없는 아라한(阿羅漢)의 경지.
② 중생이 미혹한 생존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과정을 세 부분으로 나눈 것.
(1) 번뇌도(煩惱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
(2) 업도(業道). 이치와 현상에 대한 미혹으로 일으키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3) 고도(苦道).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을 일으킨 과보로 받는 괴로움."
↑ 운허, "三道(삼도)".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三道(삼도):
[1] 견도(見道)ㆍ수도(修道)ㆍ무학도(無學道).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과정의 3계단. (1) 견도. 온갖 지적(智的)인 미혹(迷惑)에서 벗어나는 지위. (2) 수도. 온갖 정(情)ㆍ의(意)적 방면의 번뇌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수행을 하는 기간. (3) 무학도. 수행을 완료하여 배울 것이 없는 지위.
[2] 혹도(惑道)ㆍ업도(業道)ㆍ고도(苦道). 생사에 유전하는 인과의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혹도. 또는 번뇌도(煩惱道). 우주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과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2) 업도.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 (3) 고도. 3계 6도의 과보를 받는 것. 이리하여 도(道)에 윤전(輪轉)의 뜻이 있다 함은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셋이 바퀴돌 듯 하여 끊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 능통(能通)의 뜻이 있다 함은 혹에서 업을, 업에서 고를 불러내어 전전 상통하여 생사를 되풀이 한다는 뜻. ⇒혹도(惑道)ㆍ혹업고(惑業苦)"
↑ 星雲,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三道: (一)又作三聚。指惑道、業道、苦道;此三者為生死流轉之因果。(一)惑道,又作煩惱道,迷惑惱亂諸法事理之妄心。(二)業道,由妄心所發,乃身口意三業所作。(三)苦道,以惑業為因,招感三界六道之果。道有能通之意,此三者乃由惑起業,由業感苦,於苦復更起惑,輾轉相通,生死不絕,故稱三道;或以輪轉之義,三者輪轉不絕,故亦作三道。金光明玄義卷上以十二因緣配當三道,而謂過去之無明、現在之愛、取等三支為煩惱道,過去之行、現在之有等二支為業道,現在之識、名色、六入、觸、受,及未來之生、老死等七支為苦道。又天台宗就分段、方便、實報等三報而各說三道之別,即以見思之惑為煩惱道,煩惱潤業名為業道,招感界內之生為苦道,此係分段三道;以塵沙惑為煩惱道,無漏之業名為業道,變易生死為苦道,此係方便三道;以無明惑為煩惱道,非漏非無漏之業為業道,彼土變易為苦道,此係實報三道。另據天台圓教之說,三道與法身、般若、解脫等三德,及真性、觀照、資成等三軌,彼此融通,圓妙自在,而共成三千三諦圓具之妙法。〔俱舍論卷九、雜阿毘曇心論卷八、瑜伽師地論卷九十三、華嚴經探玄記卷十三、法華玄義卷五下〕
(二)聲聞、菩薩道位之三階次第,即見道、修道、無學道。(一)見道(梵 darśana-mārga),又作見地。即初見諦理而斷除見惑之階位。(二)修道(梵 bhāvanā-mārga),又作修地、分別地。即數數修習而斷除修惑之階位。(三)無學道(梵 aśaiksa-mārga),又作無學地。即斷盡諸惑,解脫繫縛之階位。其中,前二道亦稱有學道,見道唯無漏,修道通有漏、無漏。若以此三者配當四向四果,則見道為預流向,修道為後三向及預流、一來、不還三果,無學道即阿羅漢果。若以之配唯識五位,則依序為通達位、修習位、究竟位。若以之配十地,則依序為初地、第二地至第九地、第十地及佛地。〔俱舍論卷二十一、卷二十五、彰所知論卷下、大乘義章卷十、華嚴五教章卷三〕(參閱「五位」1087、「四向四果」1683)
(三)十地經論卷十所立之證道、助道、不住道。(一)證道,謂證悟實性之理。「證」有「知得契會」之義;心冥實性,無有分別,契會平等,故稱為證。(二)助道,謂六度等資助之行。「助」有「扶佐資順」之義;扶助諸度等行,而資順菩提,故稱為助。(三)不住道,謂方便、智慧並立,不偏不倚。「不住」有「離著」之義;巧慧雙修,不凝滯於任何一處而遊行在,故稱不住。〔大乘義章卷十〕 p644"
↑ DDB,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三道:
Pronunciations: [py] sāndào [wg] san-tao [hg] 삼도 [mc] samdo [mr] samdo [kk] サンドウ [hb] sandō [qn] tam đạo
Basic Meaning: three holy paths
Senses:
# (i.e. paths where practice is based on enlightenment) of the Yogâcāra school: the path of seeing (or insight) 見道; the path of cultivation 修道 and the path of no further training 無學道 (Skt. triṣu mārgeṣu, mārga-traya). 〔瑜伽論 T 1579.30.435b〕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
# The three evil destinies; see 三惡道. [Charles Muller]
# Defilement, the delusion from which defilement is generated and the karma which is generated from defilement. Called the three paths all have to tread; 輪廻三道, 三輪, i.e.
煩惱道; 惑道; the path of misery, illusion, mortality;
業道 the path of works, action, or doing, productive of karma;
苦道 the resultant path of suffering. As ever recurring they are called the three wheels. [Charles Muller]
# The paths of the three vehicles 三乘.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1015
Bukkyō jiten (Ui) 371
Bulgyo sajeon 397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405b
Iwanami bukkyō jiten 325
Bukkyōgo daijiten (Nakamura) 483d, 1289b
Fo Guang Dictionary 644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026
Bukkyō daijiten (Oda) 646-3, 1680-2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79"
↑ 고려대장경연구소, "三道".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삼도 三道:
* ⓟ
* ⓣ
* ⓢ
* ⓔthe three path
[동]삼륜(三輪).
1]혹(惑)과 업(業)과 고(苦)의 3도. 인간이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가는 세 가지 양상. 즉 번뇌, 이 번뇌에 의해 일어나는 업, 이 업의 과보로서 나타나는 고통.
2]수행의 세 단계로서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3]불교를 성취하는 세 입장으로서 삼승(三乘). 연각승 또는 독각승, 보살승, 불승.
4]십업도(十業道) 중의 탐(貪), 진(瞋), 사견(邪見)."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理".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理:
「迷事」之對稱。又稱迷理惑。指見惑。即迷於四諦等真理之煩惱。(參閱「見惑」3781、「修惑」5100)p547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事".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事:
「迷理」之對稱。又稱迷事惑。指修惑。即迷於五塵等事相之煩惱。〔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卷一上〕(參閱「見惑」3781、「修惑」5100)p5469"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理無明".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理無明:
即見惑。乃迷於二諦之理,謂不了第一義諦,迷於諸法緣生本空無我之理,故執為實我。紫柏尊者全集卷十二(卍續一二六‧四二三下):「普光明智中,本無古今凡聖身心,即此不了,名之迷理無明。」(參閱「見惑」3781、「無明」6415)p547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迷事無明". 2016년 2월 6일에 확인
"迷事無明:
即是思惑。小乘俱舍宗以執迷於現象事物之迷事惑為「修惑」。俱舍論卷二十五(大二九‧一二九下)載:貪、瞋、癡、慢及無明等四煩惱,對色、聲、香、味、觸等境,生起染著、憎背、高舉及不了之行相轉,由於這種修惑遍起於三界九地,迷事難斷,故闇昧事理,也不通達真理。大乘唯識宗則以「迷事無明」為十五種無明之一,認為是與生俱來的先天煩惱,因為有見思之煩惱,故障蔽生死之事而不能出離,遂成「迷事無明」。〔俱舍論卷二十〕(參閱「迷事」5469、「無明」 6415)p5469"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見惑". 2016년 2월 5일에 확인
"見惑:
見道所斷惑(梵 darśana-mārga-prahātavyānuśaya)之略稱。又作見煩惱、見障、見一處住地。指在見道時所斷滅之惑。修道時所斷滅之惑,則稱修惑(或思惑)。俱舍宗以執迷於四諦理之迷理惑為見惑,執迷於現象事物之迷事惑為修惑。唯識宗以見惑為後天之煩惱,稱為分別起,係因邪師或邪教等誘導,而於心上生起者;修惑為與生俱來,而自然產生之先天性煩惱,稱為俱生起(表一)。此外,以見思二惑為空觀能斷之煩惱,故天台宗立此二惑,而與塵沙惑、無明惑並稱三惑。其中,見思惑因對三界內之事物而起,能招感三界之生死(即迷的生存),故稱界內惑。並以其共通三乘所斷之煩惱,故亦稱通惑。
(1)據小乘俱舍宗,見惑凡八十八種,稱為見惑八十八使(表二)。即見道所滅之根本煩惱有五利使(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五鈍使(貪、瞋、癡、慢、疑)等十惑。於見道觀三界之各四諦,其所斷之見惑各各不同,即於欲界苦諦所斷有十使;集、滅二諦所斷各有七使(除五利使中之身見、邊見、戒禁取見);道諦所斷有八使(除五利使中之身見、邊見),共斷三十二使。於色界、無色界各四諦所斷皆如欲界,然各諦之下又除瞋使,故各斷二十八使。色界、無色界共計斷五十六使,故三界共計斷八十八使。復次,十惑中,小乘以貪、瞋、癡、慢四者通於見修二道所斷,疑與五見,則唯為見所斷,說修惑有八十一種,稱為修惑八十一品(表三)。即修道時所滅之根本煩惱計有十種,在欲界有貪、瞋、癡、慢,在色界、無色界各有貪、癡、慢。若以此十種配合九地,更依煩惱之強弱來分,則由上上品至下下品九種,共為八十一品。見惑八十八使與十種修惑,合稱九十八隨眠。
(2)大乘唯識宗以十惑中之貪、瞋、癡、慢、身見、邊見六者通於見修二道所斷,其餘四者唯為見所斷,而說見惑有一一二種,即欲界之四諦下各有貪、瞋、癡、慢、疑、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十惑,共為四十惑;色界、無色界各四諦下各除瞋,而為九惑,合為七十二惑,故三界合計一一二惑。修惑有十六種,即於欲界有貪、瞋、癡、慢、身見、邊見等六惑;色界、無色界則各除瞋而為五惑,合為十惑,三界合計十六惑。見思二種,總計共有一二八根本煩惱(表四)。〔俱舍論卷十九、成唯識論卷六、雜阿毘曇心論卷四、瑜伽師地論卷八十六、阿毘達磨順正理論卷六十五、成唯識論述記卷六下、成唯識論了義燈卷五末、摩訶止觀卷五下、俱舍論光記卷十九〕(參閱「九十八隨眠」205、「見道」3784、「修惑」5100)p3781"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불교 사전》, "見惑(견혹)". 2016년 2월 5일에 확인
"見惑(견혹):
↔수혹(修惑). 견번뇌(見煩惱)ㆍ견장(見障)이라고도 함. 견도위(見道位)에서 4제(諦)의 이치를 볼 때에 끓는 번뇌, 곧 진리가 밝혀지지 않은 미(迷). 그 자체에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ㆍ탐(貪)ㆍ진(瞋)ㆍ치(癡)ㆍ만(慢)ㆍ의(疑) 등 10종이 있음. 그러나 3계(界)에서 각기 4제(諦)를 관찰하여 끓는 번뇌는 각제(各諦)에서 제각기 다르므로 모두 88사(使)의 견혹이 된다. 욕계에는 고제(苦諦) 아래 10사(使), 집제(集諦)ㆍ멸제(滅諦) 아래 각 7사(使), 도제(道諦) 아래 8사, 도합 32사가 있고, 색계ㆍ무색계에는 각기 욕계의 32사에서 4사를 제하고 28사, 도합 56사가 있으므로 앞에 32사와 합하여 88사가 된다. ⇒견도소단(見道所斷)"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三斷:
斷,乃斷縛離繫而得證之義。三斷指:(一)(1)見所斷(梵 darśana-heya),即於見道之位所斷之法。又作見道所斷之法、見斷。(2)修所斷(梵 bhāvanā-heya),即於修道之位所斷之法。又作修道所斷之法、修斷。(3)非所斷(梵 a-heya), 即非見道、修道之位所斷之法。又作非所斷之法、非斷。
大、小二乘對三斷之解釋略有出入,茲就小乘之觀點而論,據俱舍論卷二、品類足論卷二等所舉,三斷指:(1)見所斷,謂聲聞初果之人,斷惑見理,稱為見道;因其斷除八十八隨眠,及與之俱有之法與隨行之得,故稱見所斷。(2)修所斷,謂聲聞第二果、第三果之人,修真斷惑,稱為修道;因其斷除十五界(十色界及五識界),及其餘之有漏法(八十一品之惑),及與之俱有之法與隨行之得,故稱修所斷。(3)非所斷,謂聲聞第四果之人,三界煩惱皆已斷竟,證得無漏果,而無惑可斷;亦即有為、無為一切之無漏法,稱為非所斷。又十八界中,意根界、法境界、意識界等三界通於三斷,其餘之十五界唯限於修所斷。
次就大乘之觀點而論,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四、瑜伽師地論卷六十六等所舉,三斷指:(1)見所斷,即分別所起之染污之見、疑、見處、疑處,及於見等所起之邪行、煩惱、隨煩惱,及見等所發之身語意業,與一切惡趣等之蘊、界、處,是為見所斷。(2)修所斷,即得見道之後,與見所斷不同之諸有漏法;亦即斷除分別所起之染污之見等以外,其餘之諸有漏法,是為修所斷。(3)非所斷,即諸無漏法;亦即以出世聖道之無為法,證得無學位,而於無學身中之清淨自性所發之身、語業,是為非所斷。又十八界中之七心界,及色、聲、法三界通於三斷,其餘之八界則唯有見、修二斷。〔大毘婆沙論卷五十一、卷五十二、順正理論卷六、成唯識論卷五、俱舍論光記卷二〕
(二)就所斷之法的性質,而將斷分為自性斷、不生斷、緣縛斷三種。據宗鏡錄卷七十六所舉,即:(1)自性斷,謂於智慧起時,煩惱闇障之自性應斷。(2)不生斷,謂證得初地法空之時,能令三塗惡道之苦果永不更生。(3)緣縛斷,謂斷除心中之惑,而於外塵境不起貪、瞋之心,雖緣於境,而不染著,是為緣縛斷。三斷之中,自性、不生二者任運能斷,其皆由緣縛一斷,則能令三界之因果不生。
此外,成唯識論了義燈卷五末,於三斷之外加上相應斷,稱為四斷。〔成唯識論卷八、大明三藏法數卷十〕(參閱「四斷」2363)p915"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分別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分別起:
梵語 parikalpasamutthita。即一切煩惱中,由邪教、邪師、邪思惟等所引起者。為「俱生起」之對稱。十根本煩惱中,疑、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四者均屬之。分別起易斷,故於見道中,證得生法二空之真如時,得頓斷之。〔成唯識論卷一、卷二、卷六、顯揚聖教論卷六、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四〕(參閱「俱生起」5077) p1712"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俱生起". 2016년 2월 6일에 확인
"俱生起:
梵語 sahaja。略作俱生。與「分別起」對稱。煩惱(心之迷惑)生起時有二種型態,故大別煩惱為二,即:(1)俱生起,與生俱來之先天性煩惱。(2)分別起,因邪教、邪師等外部勢力,或自己不當之推理分別所起之後天性煩惱。後者之性質強烈,但容易斷除,而前者性質微細,反而極難斷。斷有次第,分別起之惑當為佛道實踐第一階段之見道所斷,故稱見惑。俱生起之惑為第二階段之修道斷除,故稱修惑。又我執,亦分俱生我執、分別我執二種。〔成唯識論卷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七、成唯識論述記卷一末、卷二末〕p5077"
↑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8c04 - T31n1605_p0678c14. 중(眾)
"何等眾故。謂二眾煩惱。一見所斷眾。二修所斷眾。見所斷眾復有四種。一見苦所斷眾。二見集所斷眾。三見滅所斷眾。四見道所斷眾。欲界見苦所斷具十煩惱。如見苦所斷見集滅道所斷亦爾。色界見苦等四種所斷。各九煩惱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見所斷煩惱眾。總有一百一十二煩惱。欲界修所斷有六煩惱。謂俱生薩迦耶見邊執見。及貪瞋慢無明。色界修所斷有五煩惱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修所斷煩惱眾。總有十六煩惱。"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p. 83-84 / 159. 중(眾)
"어떠한 것이 중(衆)입니까?
두 가지 중번뇌(衆煩惱)가 있으니 첫째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둘째는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에는 다시 네 종류가 있으니, 첫 번째는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두 번째는 견도의 집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세 번째는 견도의 멸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네 번째는 견도의 도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욕계에서 고제의 인견(忍見)으로 끊어지는 것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가 있다. 고제의 인견에서 끊어지는 경우처럼 집제ㆍ멸제ㆍ도제에서 끊어지는 바도 이와 같다. 색계에서 고제의 인견 등의 네 가지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각각 아홉 가지 번뇌가 있으니, 진은 여기서 제외된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하여 백열두 가지의 번뇌가 있다.
[84 / 159] 쪽
욕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니, 구생(俱生)의 살가야견과 변집견 및 탐ㆍ진ㆍ만ㆍ무명이다. 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진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이같이 수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해서 열여섯 가지의 번뇌가 있게 된다."
↑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6b29 - T31n1606_p0726c25. 중(眾)
"眾云何。謂二眾煩惱。見道所斷眾。修道所斷眾。欲界見苦所斷具十煩惱。如見苦所斷見集滅道所斷亦爾。若迷此起邪行即見此所斷。問若緣此為境即迷此起邪行耶。答不必爾。緣無漏為境。煩惱唯於有漏事隨增故。若是處是彼因緣及所依處。彼迷此起邪行。是見苦所斷如見苦所斷見集滅道所斷亦爾。隨其所應色界見四種所斷。各有九煩惱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見道所斷煩惱眾。總有一百一十二。欲界修所斷有六煩惱。謂俱生薩迦耶見邊執見。及貪瞋慢無明。何等名為修所斷。俱生薩迦耶見。謂聖弟子雖見道已生。而依止此故我慢現行。如經言。長老馱索迦當知。我於五取蘊不見我我所。然於五取蘊有我慢我欲我隨眠。未永斷未遍知未滅未吐。猶如乳母有垢膩衣。雖以鹵土等水浣濯極令離垢。若未香熏臭氣隨轉。復以種種香物熏坌臭氣方盡。如是佛聖弟子。雖以見道永斷分別身見之垢。若未以修道熏習相續。無始串習虛妄執著習氣所引不分別事我見隨轉。復以隨道熏習相續彼方永滅。俱生邊執見者。謂斷見所攝。由此見故於涅槃界其心退轉生大怖畏。謂我我今者何所在耶。貪等煩惱修道所斷者。謂除見品所攝。色界修道所斷有五除瞋。如色界無色界亦爾。如是修道所斷煩惱總有十六。"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p. 165-166 / 388. 중(眾)
"어떠한 것이 ‘중(衆)’입니까?
두 가지 중번뇌(衆煩惱)가 있으니 첫 번째는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두 번째는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에는 다시 네 종류가 있으니, 첫 번째는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두 번째는 견도의 집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세 번째는 견도의 멸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고, 네 번째는 견도의 도제에서 끊어지는 중번뇌이다. 욕계에 처해서 고제의 인견(忍見)으로 끊어지는 것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가 있다. 고제의 인견에서 끊어지는 경우처럼 집제ㆍ멸제ㆍ도제에서 끊어지는 것도 이와 같다. 만약 이것에 미혹해서 삿된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바로 견도에서 끊어지게 된다.
만약 이와 같은 것을 인연하여 경계로 삼게 되면, 바로 이것에 미혹해서 삿된 행위를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무루(無漏)를 인연하여 경계를 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번뇌는 오직 유루의 사물에 있어서만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 같은 처소에 있어서 그러한 것의 인연 및 그 소의처에서 그들이 이것에 미혹해서 삿된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것이다. 견도의 고제에서 끊어지는 경우처럼, 집제ㆍ멸제ㆍ도제에서 끊어지는 것도 이처럼 그 상응하는 것에 따르는 것이다. 욕계에서 고제의 인견 따위의 네 가지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각각 아홉 가지 번뇌가 있으나 진(瞋)은 여기서 제외된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견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하여 백열두 가지의 번뇌가 있다. 욕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니, 구생(俱生)의 살가야견과 변집견 및 탐ㆍ진ㆍ만ㆍ무명이다.
어떠한 것을 이름하여 ‘수도에서 끊어지는 구생의 살가야견’이라 합니까?
성제자(聖弟子)가 비록 견도(見道)에 이생(已生)하였어도 이것에 의지하는 까닭에 아만(我慢)이 현행(現行)하게 될 것이니, 경전에서 “장로 타색가(駄索迦)여, 숙지하라. 내가 5취온에 있어서 아(我)와 아소(我所)를 발견하지 못했으나, 5취온에는 아만ㆍ아욕(我欲)ㆍ아수면(我隨眠)이 남아 있어서 영원히 끊지 못하고 두루하게 알지 못하고 소멸하지 못하고 토해내지 못한 것이,
[166 / 388] 쪽
마치 유모가 입고 있는 젖내 나는 옷을, 비록 비누나 물 따위로 세탁하여 그때를 벗겨내더라도, 냄새가 배어 있어 그 역한 냄새가 바뀌지 않는 것과 같아서 반드시 갖가지 향료로 훈증해야 역한 냄새가 없어지는 것과 같으니라”고 말씀하신 그대로이다. 이와 같이 부처님의 성제자도 비록 견도로써 유신견(有身見)의 때를 길이 끊었다고 분별하더라도, 만약 수도의 훈습이 상속되지 않는다면, 무시이래로 익혀온 허망한 집착의 습기에 상속되어야만 이러한 것이 영원히 소멸되게 된다.
[釋] ‘구생의 변집견’이란, 단견(斷見)에 소속되는 것이다. 이 같은 견에 연유하여 열반계(涅槃界)에 처했을 때 그 마음이 물러나서 커다란 공포를 일으켜 “아아(我我)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라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탐 따위의 번뇌가 수도에 의해 끊어진다는 것’이란, 견품(見品)에 소속되는 것을 제외한 것이다. 색계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것에는 진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다. 색계의 경우처럼 무색계의 경우도 이와 같다. 이같이 수도에서 끊어지는 중번뇌는 총괄해서 열여섯 가지의 번뇌가 있게 된다."
↑ 佛門網, "內著煩惱". 2016년 2월 19일에 확인
"內著煩惱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身見、邊見等諸煩惱,於內心不了而起執著,故名內著煩惱。(身見者,謂眾生妄執色受想行識之五陰為自身也。邊見者,妄於身見中,或執為斷,或執為常,各執一邊,名邊見也。)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參見: 煩惱】。"
↑ 佛門網, "外著煩惱". 2016년 2월 19일에 확인
"外著煩惱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貪瞋癡等煩惱,於外境不了而起貪蓍,故名外著煩惱。"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須陀洹".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須陀洹:
梵語 srota-āpanna,巴利語 sotāpanna。為聲聞乘四果中最初之聖果。又稱初果。即斷盡「見惑」之聖者所得之果位。全稱須陀般那。又作須氀多阿半那、窣路陀阿鉢囊、窣路多阿半那。舊譯作入流、至流、逆流。新譯作預流。入流,意指初入聖者之流;逆流,謂斷三界之見惑已,方違逆生死之流。又初證聖果者,預入聖道之法流,故稱預流。須陀洹分因果二位,自入「見道」初心至第十五心之間,為趣向須陀洹果之因位,稱須陀洹向;「見道」之終,即第十六心之位,而對於前之向位則稱須陀洹果,為聲聞乘四聖位中之正果初位。又依五教章通路記卷五十,將預流果之人分為三類,即:(1)現般預流,乃三界「修惑」皆斷盡,得「無學果」證般涅槃者。此屬利根之機。(2)現進預流,由進修而斷欲界「修惑」之前六品乃至九品,證「一來果」,並證「不還果」者。屬中根之機。(3)受生預流,指於一、二生或七返人天往來受生者。屬於根器較鈍者。〔增一阿含經卷二十、大毘婆沙論卷四十六、俱舍論卷二十三、瑜伽師地論卷二十六、華嚴五教章卷三〕(參閱「四向四果」2188、「預流果」 7170)p6745"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結".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三結". 2013년 5월 30일에 확인
"三結: 梵語 trīni sajyojanāni,巴利語 tīni sajyojanāni。又作初果三結。結,即見惑,眾生由此見惑結縛,不能出離生死。聲聞之人斷盡此惑,即證初果須陀洹,故稱初果三結。即:(一)有身見結(梵 satkāyadrsti-sajyojana),謂眾生於五陰等法中,妄計為身,強立主宰,恒起我見。此乃三三摩地近障法中之空近障,亦為六十二見趣之根本。因諸見趣為餘煩惱之根本,餘煩惱為業之本,諸業又為異熟果之本;依異熟果,則一切善、不善、無記法皆得生長,故當斷之。(二)戒禁取結(梵 śīlavrataparāmarśa-sajyojana),指行邪戒。乃三三摩地近障法中之無願近障,如外道之人,於非戒中謬以為戒,如持雞戒、狗戒等。(三)疑結(梵 vicikitsā-sajyojana),即懷疑正理,迷心背理,不能深信正法。乃三三摩地近障法中之無相近障。以上三結為見惑中之最甚者,故為見惑之總稱,能斷此三結,則證預流果,得不墮法,定趣菩提。〔增一阿含經卷十六、大毘婆沙論卷四十六、大乘義章卷五末〕 p631"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삼결(三結)". 2013년 5월 30일에 확인
"삼결(三結): 견도(見道)에서 끊는 세 가지 번뇌.
(1) 유신견결(有身見結). 오온(五蘊)의 일시적 화합에 지나지 않는 신체에 불변하는 자아가 있고, 또 오온은 자아의 소유라는 그릇된 견해.
(2) 계금취결(戒禁取結).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번뇌.
(3) 의결(疑結). 바른 이치를 의심하는 번뇌. 이 세 가지 번뇌를 끊으면 수다원(須陀洹)의 경지에 이른다고 함.
동의어: 삼박결(三縛結)
↑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三結". 2013년 5월 30일에 확인
"三結: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ties: (a) 見結 , the tie of false views, e.g. of a permanent ego; (b) 戒取結 of discipline; (c) 疑結 of doubt. The three are also parts of見惑 used for it.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生死流轉的三種關鍵束縛,即「身見(另譯作『薩迦耶見、有身見、身見、我見、身邪結』,執著『永恆、不變、獨存、自在、能主宰』的『真我』)、戒禁取(另譯作『戒盜結』,誓守禁戒與禁忌)、疑(疑結,對正法的疑惑)」,為證得須陀洹果者必須斷除者,《根有律》又譯為「斷三分結」。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十七卷九頁云:又於三品,由三種門,為障礙故;當知建立三結差別。謂未發趣故;雖已發趣,邪成立故;於正法中,不正行故。即在家品,處惡說法毘奈耶中;而出家品,處善說法毘奈耶品。
二解 大毗婆沙論四十六卷五頁云:有三結。謂有身見結,戒禁取結,疑結。問:此三結,以何為自性?答:以二十一事為自性。謂有身見結,三界見苦所斷,有三事。戒禁取結,三界見苦道所斷,有六事。疑結、三界見苦集滅道所斷,有十二事。此二十一事,是三結自性我物相分自體本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結?結是何義?答:繫縛義,是結義。合苦義,是結義。雜毒義,是結義。此中繫縛義是結義者。謂結即是繫。云何知然?如契經說:尊者執大藏往尊者舍利子所,問言:大德。為眼結色,色結眼耶?乃至意法,為問亦爾。舍利子言:眼不結色,色不結眼。此中欲貪,說名能結。乃至意法,亦復如是。如黑白牛,同一靷繫。若有問言:為黑繫白,白繫黑耶?應正答言:黑不繫白,白不繫黑。此中有靷,說名能繫。由此故知結即是繫。合苦義是結義者:謂欲界結,令欲界有情,與欲界苦合;非樂。色界結,令色界有情,與色界苦合;非樂。無色界結,令無色界有情,與無色界苦合;非樂。雜毒義,是結義者:謂勝妙生及有漏定。如無量解脫勝處遍處等,以雜煩惱故;聖者厭離。如雜毒食,雖復美妙;智者遠之。如彼卷五頁至十二頁廣說。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得預流果人所斷之三種煩惱。【參見: 結】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kleśa-traya, tri-saṃyojana, trīṇi…saṃyojanāni
頁數: p6"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斯陀含".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斯陀含:
梵語 sakṛd-āgāmin,巴利語 sakad-āgāmin。又作沙羯利陀伽彌。意譯作一來、一往來。係沙門四果之第二。又分為斯陀含向與斯陀含果,即預流果(初果)之聖者進而更斷除欲界一品至五品之修惑,稱為斯陀含向,或一來果向;若更斷除欲界第六品之修惑,尚須由天上至人間一度受生,方可般涅槃,至此以後,不再受生,稱為斯陀含果,或一來果。以其僅餘下品之貪瞋癡,故又稱薄貪瞋癡、薄地。
增一阿含經卷二十(大二‧六五三下):「云何名為邠陀利花沙門?或有一人,三結使盡,婬怒癡薄,成斯陀含果,來至此世,盡於苦際;若小遲者,來至此世,盡於苦際;若勇猛者,即於此間盡於苦際,猶如邠陀利花,晨朝剖花,向暮萎死,是謂邠陀利花沙門。」準此,可知同是一來果之聖者亦可細別為二:(1) 其修行之功勇猛迅捷者,稱為邠陀利花沙門。(2)修行之功較為遲緩鈍下者,稱為一來,即經中所謂之「小遲者」。又據北本大般涅槃經卷十載,得斯陀含果者未來過六萬劫,當得證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無上正等正覺),此即所謂「五果迴心」之說。〔雜阿含經卷四十一、卷四十七、中阿含卷八阿修羅經、卷九瞻波經、卷二十一說處經、卷四十七瞿曇彌經、大毘婆沙論卷五十三、俱舍論卷二十四、順正理論卷六十四〕(參閱「五果迴心」1467、「四向四果」 2188)p627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阿那含".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阿那含:
梵語 anāgāmin。舊譯作阿那伽彌、阿那伽迷。略稱那含。意譯不還、不來、不來相。乃聲聞四果中第三果之聖者。彼等已斷盡欲界九品之惑,不再還來欲界受生。此階位之聖者中,若九品之惑全部斷盡,則稱阿那含果;若斷除七品或八品,則稱阿那含向;若斷除七、八品,而所餘之一、二品尚須對治成無漏之根,更須一度受生至欲界,稱為一間(梵 ekavīcika)。又於阿那含果中,復有五種不還、七種不還、九種不還等別。〔中阿含經卷三伽藍經、大智度論卷三十二、大乘義章卷十一、慧苑音義卷上〕(參閱「五種不還」1541)p4591"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五下分結".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五下分結: 梵語 pañca-āvarabhāgīya-sajyojanāni。指順益下分界之五種結惑。乃對五上分結而立五下分結。全稱五順下分結。略稱五下結、五下。即三界中之下分界(欲界)之五種結惑,繫縛眾生,令其不得超脫其界。五下分結即:(一)欲貪,於順情境上生起貪著之心而無有厭足。(二)瞋恚,於違情境上生起瞋恨之心而不自已。(三)有身見,於名(心)、色(色身)、五陰、十二入、十八界等妄計為身,執著我見。(四)戒禁取見,取執非理無道之邪戒。(五)疑,迷心乖理,狐疑不決,由此疑惑而迷真逐妄,背覺合塵。
欲界眾生由於上述之欲貪與瞋恚二結,遂不得超離欲界,若有能超離者,由有身見等後三結,終亦還下於欲界,故偏立此五種,稱為順下分結。五順下分結以三十一事為自性,所謂欲貪與瞋恚各為欲界五部之所斷,故有十事;有身見為三界見苦所斷,故有三事;戒禁取見為三界各見苦、見道所斷,故有六事;疑為三界各四部之所斷,故有十二事,總成三十一事。〔雜阿含經卷三十二、俱舍論卷二十一、大毘婆沙論卷四十九、順正理論卷五十四、大乘義章卷五末〕(參閱「五部」1154) p1055"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8c23 - T29n1558_p0109a19. 5순하분결(五順下分結)
"佛於餘處依差別門。即以結聲說有五種。頌曰。
又五順下分 由二不超欲
由三復還下 攝門根故三
或不欲發趣 迷道及疑道
能障趣解脫 故唯說斷三
論曰。何等為五。謂有身見戒禁取疑欲貪瞋恚。何緣此五名順下分。此五順益下分界故。謂唯欲界得下分名。此五於彼能為順益。由後二種不能超欲界。設有能超由前三還下。如守獄卒防邏人故。有餘師說。言下分者。謂下有情即諸異生。及下界即欲界。前三能障超下有情。後二能令不超下界。故五皆得順下分名。諸得預流六煩惱斷。何緣但說斷三結耶。理實應言斷六煩惱。攝門根故但說斷三。謂所斷中類有三種。唯一通二通四部故。說斷三種攝彼三門。又所斷中三隨三轉。謂邊執見隨身見轉。見取隨戒取轉。邪見隨疑轉。說斷三種攝彼三根。故說斷三已說斷六。有作是釋。凡趣異方有三種障。一不欲發。二迷正道。依邪道故。三疑正道。趣解脫者亦有如斯相似三障。謂由身見怖畏解脫不欲發趣。由戒禁取依執邪道迷失正路。由疑於道深懷猶預。佛顯預流永斷如是趣解脫障故說斷三。"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1권. pp. 947-950 / 1397. 5순하분결(五順下分結)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또 다른 곳에서 차별문(差別門)에 근거하여 '결'이라고 하는 말에는 다섯 가지 종류의 번뇌가 있다고 설하신다.13)
게송으로 말하겠다.
또한 5순하분결(順下分結)이라는 것이 있는데
두 가지에 의해 욕계를 초월하지 못하고
세 가지에 의해 다시 하계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갈래[門]와 근본[根]에 포섭되기 때문에 세 가지이다.
又五順下分 由二不超欲
由三復還下 攝門根故三
혹은 다른 곳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고
도에 미혹하고 아울러 도에 대한 의심이
해탈로 나아가는 것을 능히 장애하니
그래서 오로지 세 가지를 끊으라고 설한 것이다.
或不欲發趣 迷道及疑道
能障趣解脫 故唯說斷三
논하여 말하겠다. 무엇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가?
이를테면 유신견과 계금취와 의(疑)와 욕탐(欲貪)과 진에(瞋恚)가 바로 그것이다.
어떠한 연유에서 이러한 다섯 가지를 '순하분'이라 이름한 것인가?
이 러한 다섯 가지는 하분(下分)의 세계에 수순하여 증익[順益]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오로지 욕계만이 '하분'이라는 명칭을 획득하는데, 이러한 다섯 가지는 그 같은 욕계에서만 능히 수순하여 증익하는 것이다. 즉 [이생은 비록 성법을 획득하였을지라도] 뒤의 두 가지 종류(욕탐과 진에)로 말미암아 능히 욕계를 초월하지 못하며, 설혹 능히 초월하는 경우가 있을지라도 앞의 세 가지(유신견·계금취·의)로 말미암아 다시 되돌아오니, 마치 감옥을 지키는 옥졸과 순라꾼과 같기 때문이다.14)
그런데 유여사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하분이라는 말은 이를테면 하계의 유정 즉 온갖 이생과 하계 즉 욕계를 말하는데, 앞의 세 가지는 하계의 유정을 초월하는 것을 능히 장애하며, 뒤의 두 가지는 그들로 하여금 능히 하계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이 다섯 가지는 모두 '순하분'이라는 명칭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15)
예류과를 획득한 모든 이는 여섯 가지 번뇌를 끊는데, 어떠한 연유에서 다만 3결만을 끊었다고 설하고 있는 것인가?16)
이치상으로는 실로 마땅히 여섯 가지 번뇌를 끊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나 [세존께서는] 갈래[門]와 근본[根]에 포섭시켰기 때문에 단지 세 가지만을 끊었다고 설한 것이다. 이를테면 [견]소단의 번뇌에는 세 종류의 유형이 있으니, 오로지 1부(部)에 의해 끊어지는 것과 2부에 통하는 것과 4부에 통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종류만을 끊었다고 설하면 그러한 세 갈래를 포섭하게 되는 것이다.17) 또한 [견]소단 중의 세 가지는 세 가지에 따라 일어나니, 이를테면 변집견은 유신견에 따라 일어나고, 견취는 계금취에 따라 일어나고, 사견은 의(疑)에 따라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 가지 종류를 끊은 것에 대해서만 설하면 그러한 세 근본을 포섭하게 되는 것이다.18) 따라서 이러한 세 가지 근본을 끊었다고만 설하면 이미 여섯 가지 번뇌를 끊었다고 설한 것이 되는 것이다.
그 런데 어떤 이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다른 지방으로 나아가는 자에게는 세 가지의 장애가 있다. 첫째는 출발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며, 둘째는 올바른 길[正道]에 미혹하여 삿된 도[邪道]에 의지하는 것이며, 셋째는 올바른 길을 의심하는 것이다.19) 이와 마찬가지로 해탈로 나아가는 자에게도 이와 서로 유사한 세 가지의 장애가 있으니, 이를테면 유신견으로 말미암아 해탈을 두려워하여 그곳으로 나아가려고 하지 않는 것이며,20) 계금취로 말미암아 사도(邪道)에 의지하여 올바른 길을 잃어버리는 것이며, 의(疑)로 말미암아 도에 대해 깊은 의혹을 품는 것을 말한다. 즉 부처님께서는, 예류(預流)는 이처럼 해탈로 나아갈 때의 장애를 영원히 끊었다고 하는 사실을 나타내고자 하셨기 때문에 세 가지 번뇌(유신견·계금취·의)만을 끊었다고 설하신 것이다."
13) 『중아함경』 권제56 『오하분결경(五下分結經)』(대정장1, p.77상) ; 『장아함경』 권제8 『중집경』(동 p.51하).
14) 욕탐과 진에는 마치 감옥을 지키는 옥졸과도 같으니, 그들의 단속으로 말미암아 감옥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신견 등의 세 가지는 순라꾼과 같으니, 설사 어떤 방편으로 욕계의 감옥을 벗어났다 하더라도 그 같은 세 순라꾼에게 붙잡혀 다시 감옥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15) 이 유여사설은 이설(異說)이지만 중현의 『현종론』 권제27(한글대장경201, p.218)에서는 유부 정설로 논설되고 있다. 즉 그는 하분(下分)을 욕계와 욕계의 유정으로 해석하여 욕탐 등은 전자를, 유신견 등은 후자를 능히 떠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분결'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16) 예류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견혹인 5견과 의(疑)의 여섯 가지 근본번뇌를 끊지 않으면 안 되는데, 예컨대 『잡아함경』 권제29 제797경(대정장2, p.205하)에서는 유신·계금취·의의 3결을 끊음으로써 예류과가 될 수 있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물음이다.
17) 여섯 가지 근본번뇌 중에서 유신견과 변집견은 오로지 견고소단이고, 계금취는 견고·견도소단이며, 의와 견취·사견은 견4제소단이기 때문에 오로지 유신·계금·의의 3결을 설하게 되면 앞의 세 갈래[門]의 모든 번뇌를 포섭하게 된다는 뜻.
18) 즉 변집견은 유신견에, 견취는 계금취에, 사견은 의에 의해 생겨나기 때문에 생기의 근본이 되는 능생의 3결만 끊으면 소생의 세 가지도 끊어지게 된다는 뜻.
19) 이를테면 첫 번째는 이곳과 다른 지방의 공덕(좋은 점)과 과실(나쁜 점)을 알았기 때문에 마음을 거두어 가려고 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두 번째는 비록 다른 지방으로 출발하고자 하였을지라도 잘못된 길[邪道]로 들어 그곳에 이르지 못하는 것을 말하며, 세 번째는 두 길에 사람이 모두 다니는 것을 보고 이 길이 그곳으로 나아가는 바른 길인지, 바른 길이 아닌지 도무지 알지 못해 마음에 의혹을 품는 것을 말한다.
20) 집아(執我)의 유신견으로 인해 열반을 단멸로 여겨 두려워하기 때문에 그곳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 것이다. 즉 집아를 공덕이라 여기고, 그것의 단멸을 과실로 여기는 것을 말한다."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阿羅漢".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阿羅漢:
梵語 arhat,巴利語 arahant。為聲聞四果之一,如來十號之一。又作阿盧漢、阿羅訶、阿囉呵、阿黎呵、遏囉曷帝。略稱羅漢、囉呵。意譯應、應供、應真、殺賊、不生、無生、無學、真人。指斷盡三界見、思之惑,證得盡智,而堪受世間大供養之聖者。此果位通於大、小二乘,然一般皆作狹義之解釋,專指小乘佛教中所得之最高果位而言。若廣義言之,則泛指大、小乘佛教中之最高果位。
據成唯識論卷三載,阿羅漢通攝三乘之無學果位,故為佛之異名,亦即如來十號之一。另據俱舍論卷二十四舉出,阿羅漢乃聲聞四果(四沙門果)之一,為小乘之極果。可分為二種,即:(1)阿羅漢向,指尚在修行階段,而趨向於阿羅漢果者。(2)阿羅漢果,指斷盡一切煩惱,得盡智而受世間大供養之聖者。證入此果位者,四智圓融無礙而無法可學,故稱無學、無學果、無學位;若再完成無學正見乃至無學正定之八聖道,以及無學解脫、無學正智等十種無漏法,則稱為十無學支。
關於阿羅漢之語義,據大智度論卷三、大乘義章卷十七本、翻譯名義集卷一、卷二等舉出殺賊、不生、應供三義,稱為阿羅漢三義,為自古以來最常見之說。即:(1)殺賊,賊,指見、思之惑。阿羅漢能斷除三界見、思之惑,故稱殺賊。(2)不生,即無生。阿羅漢證入涅槃,而不復受生於三界中,故稱不生。(3)應供,阿羅漢得漏盡,斷除一切煩惱,應受人天之供養,故稱應供。梵語 arhan,為梵語 arhat(阿羅漢)之單數主格,意譯受供養、受尊敬,故上述三義中,以應供一義較為適切。此外,慧遠於大乘義章卷二十末亦以應化一切眾生、斷盡諸惑等四義解釋阿羅漢。又善見律毘婆沙卷四則舉出打壞三界車輻、遠離一切惡業、無覆藏等五種阿羅漢之釋義。
另就阿羅漢之種類而論,聲聞四果中之阿羅漢,依其根性利鈍之差別,可分為六種。據雜阿毘曇心論卷五、俱舍論卷二十五等所舉,即:(1)退法阿羅漢,又作退相阿羅漢,指遭遇小惡緣即容易退失所得之果位者。(2)思法阿羅漢,又作死相阿羅漢,指由於憂懼退失果位而思自害者。(3)護法阿羅漢,又作守相阿羅漢,指能守護而不致退失果位者。(4)安住法阿羅漢,又作住相阿羅漢,指不退亦不進,而安住於果位者。(5)堪達法阿羅漢,又作可進相阿羅漢,指能迅速精進,而達於不動法者。(6)不動法阿羅漢,又作不壞相阿羅漢,指永不退失所得之法者。
上述六種阿羅漢中,前五種為鈍根者,故得時解脫或時愛心解脫,而後者係屬利根者,故得不時解脫或不動心解脫。詳言之,倘若能遇善因緣而得入定之解脫,稱為時解脫;隨時可入定,而無須等待某種特定因緣之解脫,稱為不時解脫。又善護自己所得之阿羅漢果,並解脫煩惱者,稱為時愛心解脫;不再由於煩惱而退失果位之解脫者,稱為不動心解脫。此外,不動法阿羅漢以其利根之形成,又分為兩種,即:(1)本來生就不動種性者,稱為不退法阿羅漢、不退相阿羅漢。(2)由精進修行而達不動法者,稱為不動法阿羅漢。此二者合上述之五者共為七種阿羅漢。若再加緣覺、佛,則總稱九種阿羅漢,又稱為九無學。
另據中阿含經卷三十、成實論卷一等所舉,以慧解脫、俱解脫取代緣覺、佛,而形成另一種九無學。其中,藉智慧力以解脫煩惱之阿羅漢,稱為慧解脫阿羅漢。若得滅盡定,而於心、智慧兩方面悉皆解脫之阿羅漢,則稱俱解脫阿羅漢。此二者再加無疑解脫阿羅漢(在俱解脫中通達一切文義,而得四無礙解者),則成三種阿羅漢。〔佛本行集經卷三十四、卷四十二、北本涅槃經卷十八、彌勒上生經、大乘阿毘達磨集論卷十四、甘露味論卷上、大毘婆沙論卷九十四、法華義記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末、法華義疏卷一、大日經疏卷一、翻梵語卷一、玄應音義卷八〕(參閱「九無學」234、「六種性」1695、「四向四果」 2188)p4663"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五上分結".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五上分結: 梵語 pañcaūrdhvabhāgīya-sajyojanāni。指順益上分界之五種結惑。全稱五順上分結。略稱五上結、五上。結,繫縛、煩惱之義。於三界中之上下二界各有五種結。五上分結即上分界之色界與無色界之五種結惑,繫縛眾生,令其不得超離其界。五上分結即:(一)色貪,貪著色界五妙欲之煩惱。(二)無色貪,貪著無色界禪定境界之煩惱。(三)掉舉,上二界眾生心念掉動而退失禪定之煩惱。(四)慢,上二界眾生恃自凌他憍慢之煩惱。(五)無明,上二界眾生耽著禪定,而於真性無所明了之煩惱。
此五結以聖者身中之上界修所斷之八事為自性,所謂色貪即色界修所斷愛為一事,無色貪即無色界修所斷愛為一事,掉舉即二界各修所斷掉舉為二事,慢即二界各修所斷慢為二事,無明即二界各修所斷無明為二事,總計八事。又此五上分結唯限於修所斷,不通於見所斷,因見所斷結令人墮下,故不立為順上分結。〔長阿含卷八眾集經、俱舍論卷二十一、大毘婆沙論卷四十九、阿毘達磨發智論卷三、成實論卷十〕(參閱「五下分結」1055) p1055"
↑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49권. p. T27n1545_p0253b23 - T27n1545_p0254c18.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有五順上分結。謂色貪順上分結無色貪順上分結。掉舉順上分結。慢順上分結。無明順上分結。問此五順上分結以何為自性。答以八事為自性謂色貪即色界修所斷愛為一事。無色貪即無色界修所斷愛為一事。掉舉慢無明即色無色界各修所斷掉舉慢無明為六事。由此五順上分結以八事為自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順上分結。順上分結是何義答令趣上義。令向上義。令上生相續義。是順上分結義。問若趣上等義是順上分結義者。順上分結應非瀑流。墜溺等是瀑流義故。答瀑流義異順上分義。謂依界地立順上分。彼令有情趣上生故。依解脫道立為瀑流。雖生有頂而令有情沈沒生死不至解脫及聖道故。問何故色界無色界貪各別立為順上分結。餘三二界合立一耶。答餘三亦應依界別立。而不爾者當知有餘。復次欲令所說義易解故以種種語種種文說。復次世尊欲現二門二略二階二蹬二明二炬二文二影。如愛依界別立二結。掉舉慢無明亦應各立二。如掉舉等二界合立愛亦應爾。如是便應順上分結。或八或四為現二門乃至二影互相顯照故作是說。復次愛令界別地別部別愛能增長一切煩惱。愛有愛處所說多過故依界別立為二結。掉舉等三無如是事故。上二界合立為一。問何故唯修所斷立為順上分結。答令趣上生名順上分。見所斷結亦令墮下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上人所行名順上分。上人是聖非諸異生。見所斷結唯異生起故不立為順上分結。於聖者中唯不還者所起諸結立順上分。問因論生論何故預流及一來者所起諸結非順上分。答順上分者。謂趣上生預流一來所起諸結亦令生下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若越度界亦得果者彼所起結立順上分。預流一來雖復得果非越度界故。彼所起非順上分。復次若越度界亦斷不善煩惱盡者。所起諸結立順上分。順流一來二事俱闕故。所起結非順上分。復次若越度界順下分結亦斷盡者。彼所起結名順上分。預流一來二事俱闕故。所起結非順上分。復次順上分結與順下分所依各異。若身中起順上分結彼必不起順下分結。若身中起順下分結彼必不起順上分結。預流一來身中容起順下分結故。必不起順上分結。復次若不復起似異生業。彼所起結立順上分。預流一來猶復現起似異生業故所起結非順上分。云何彼起似異生業。謂樂著雜綵塗飾香花受畜金銀珍玩寶物驅役作使猶行捶罰。亦與男女同處一床摩觸屍骸。生細滑想。又無慚恥行非梵行。此等名為似異生業。復次若有不復生於血滴。增羯吒私。入於母胎生熟二藏中間住者彼所起結名順上分。預流一來容有此事故。所起結非順上分。如彼契經說。質怛羅居士告諸親友。汝等當知。我定不復生於血滴增羯吒私。入於母胎生熟二藏中間止住。我已永斷五順下分不復還退受欲界生。尊者妙音亦作是說。解脫貪欲瞋恚結者。我說解脫入母胎事。問順上分中。掉舉自性為是結不。設爾何失。若是結者。品類足說當云何通。如說云何結法。謂九結。云何非結法。謂除九結諸餘法。若非結者此經所說當云何通。如說。云何五順上分結。謂色貪無色貪掉舉慢無明。答應言是結。問品類足說當云何通。答外國諸師所誦異此。謂彼誦言云何結法。謂九結及順上分結中掉舉。云何非結法。謂除九結及順上分結中掉舉諸餘法。問迦濕彌羅國諸師何故不如彼誦。答此亦應如彼誦而不誦者有別意趣。以彼掉舉是結非結不決定故。謂掉舉性少分是結。即上二界者。少分非結即欲界者。或有是結即聖所起者。或有非結即異生起者。有位是結即已離欲染聖者所起。有位非結即未離欲染聖者所起。問何故掉舉上二界者是結。欲界者非結耶。答以欲界非定界。非修地。非離染地。無勝定慧。能覺掉舉為擾亂事故不立結。色無色界是定界。是修地。是離染地。有勝定慧。能覺掉舉為擾亂事故立為結。如近村邑雖發大聲亦不為患。阿練若處雖發小聲亦以為患。復次欲界多有非法煩惱。如忿恨等覆障掉舉令不明了故不立結。色無色界無多如此非法煩惱覆障掉舉。彼明了故立之為結。如近村邑惡行苾芻雖多不覺。阿練若處惡行苾芻雖少易覺。問惛沈掉舉俱通三界。俱遍六識。俱通五部。並與一切染污心俱。何緣掉舉立順上分。非惛沈耶。答以彼掉舉為過猛利過重過多故佛立為順上分結。亦由此故立十煩惱大地法中。又由此故外國所誦品類足說云何結法。謂九結及順上分結中掉舉。又由此故雜蘊已說云何不共無明隨眠云何不共掉舉纏。又由此故施設論說異生欲貪隨眠起時有五法起。一欲貪隨眠。二欲貪隨眠。隨生有誦欲貪隨眠增益。三無明隨眠。四無明隨眠。隨生有誦無明隨眠增益。五掉舉。惛沈不爾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以掉舉纏行相明利所作捷速。擾亂五支四支定慧故。佛立為順上分結惛沈行相闇昧遲鈍與定相似能隨順定故惛沈者能速發定故不立為順上分結。復次惛沈既是無明等流。無明復是順上分結。覆障惛沈令不明了。是故惛沈非順上分。問上界亦有諂誑憍三。何不立為順上分結。答諸煩惱垢麤動易息繫縛用劣。故不立在諸結聚中即由此義。脅尊者言。佛知諸法性相勢用。堪立結者便立為結。若不爾者則不立之故不應責。尊者妙音亦作是說諂誑憍等麤動易息。不順結義故不立結。一切隨眠纏中少分可立為結。"
↑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49권. pp. 1292-1297 / 1338.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論] 5순상분결(順上分結)이 있다. 색탐(色貪)의 순상분결ㆍ무색탐(無色貪)의 순상분결ㆍ도거(掉擧)의 순상분결ㆍ만(慢)의 순상분결ㆍ무명(無明)의 순상분결이다.
[문] 이 5순상분결은 무엇으로써 자성을 삼는가?
[답] 여덟 가지 일로써 자성을 삼는다. 색탐에서는 곧 색계(色界)의 수도에서 끊어야 할 애(愛)에서 한 가지 일을 삼고, 무색탐에서는 곧 무색계(無色界)의 수도에서 끊어야 할 애에서 한 가지 일을 삼으며, 도거와 만과 무명에서는 곧 색계와 무색계에서 각각 수도에서 끊어야 할 도거와 만과 무명에서 여섯 가지 일을 삼는다. 이로 말미암아 5순상분결은 여덟 가지 일로써 자성을 삼는다.
이미 자성을 말했으므로 이제는 그 까닭을 말하겠다.
[문] 무엇 때문에 순상분결(順上分結)이라 하는가? 순상분결이란 무슨 뜻인가?
[답] 위로 나아가게 한다[趣上]는 뜻이요 위를 향하게 한다[向上]는 뜻이며 위에 나서 상속하게 한다[上生相續]는 뜻이니 이것이 순상분결의 뜻이다.
[문] 만일 위로 나아가게 한다는 등의 뜻이 순상분결의 뜻이라면 순상분결은 폭류(瀑流)가 아니어야 하니 떨어져 빠진다[墜溺]는 등이 폭류의 뜻이기 때문이다.
[답] 폭류의 뜻은 순상분(順上分)의 뜻과는 다르다. 계(界)ㆍ지(地)에 의거하여 순상분을 세우는 것이니 그것은 유정으로 하여금 상생(上生)에 나아가게 하기 때문이며, 해탈도(解脫道)에 의거하여 폭류를 세우는 것이니 비록 유정(有頂)에 난다 해도 유정으로 하여금 생사에 침몰하게 하고 해탈과 성도(聖道)에 이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문] 무엇 때문에 색계와 무색계의 탐은 각각 따로따로 순상분결을 세우면서도 나머지 세 가지는 두 세계를 합쳐서 하나로 세우는가?
[답] 나머지 세 가지도 세계에 의거하여 따로 세워야 하는데도 그렇지 않은 것은 그 밖의 다른 것이 있는 줄 알아야 한다.
또 말한 뜻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갖가지 말과 갖가지 문자로써 말하는 것이다.
또 세존께서는 두 가지 문[二門]과 두 가지 길[二略]과 두 가지 섬돌[二階]과 두 가지 층계[二蹬]와 두 가지 광명[二明]과 두 가지 횃불[二炬]과 두 가지 무늬[二文]와 두 가지 그림자[二影]를 나타내려고 하신 것이다. 마치 애(愛)를 따로 2결(結)을 세우는 것처럼 도거와 만과 무명도 각각 두 가지로 세워야 하며 마치 도거 등은 두 세계를 합쳐서 세우는 것처럼 애도 그러해야 한다. 이와 같이 곧 순상분결은 여덟 가지가 되기도 하고, 혹은 네 가지가 되기도 하는 것이니 두 가지 문과 나아가 두 가지 그림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서로서로 밝게 비추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다.
또 애(愛)는 계별(界別)ㆍ지별(地別)ㆍ부별(部別)의 애로 하여금 온갖 번뇌를 키우고 자라게 하며 애는 애처(愛處)에서 말한 많은 허물이 있기 때문에 세계에 의하여 따로 2결을 세우지만 도거 등 세 가지에는 이러한 일이 없기 때문에 위의 두 세계를 합쳐서 하나로 세운다.
[문] 무엇 때문에 오직 수도에서만 끊어야 할 것으로 순상분결을 세우는가?
[답] 상생(上生)에 나아가게 하는 것을 순상분이라 하고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결(結)은 아래로 떨어지게 하기 때문에 순상분결을 세우지 않는다.
또 상인(上人)이 행할 것을 순상분이라 한다. 상인이란 성자로 모든 이생이 아니다.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결은 오직 이생만이 일으키기 때문에 순상분결을 세우지 않으며 성자 중에서는 오직 불환자(不還者)가 일으키는 모든 결만을 순상분으로 세우는 것이다.
[문] 논(論)으로 인하여 논을 내는구료. 무엇 때문에 예류(預流)와 일래(一來)가 일으키는 모든 결은 순상분이 아닌가?
[답] 순상분이란 상생에 나아가게 하는 것이지만 예류와 일래가 일으키는 모든 결은 또한 아래에 태어나게 하기 때문에 순상분결을 세우지 않는다.
또 만일 세계를 초월하고 또한 과(果)를 얻는다면 그가 일으키는 결을 순상분으로 세우겠지만 예류와 일래는 비록 과는 얻는다 해도 세계를 초월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또 만일 세계를 초월하고 또한 불선(不善)의 번뇌를 끊어 다한 이면 일으키는 모든 결은 순상분으로 세우겠지만 예류와 일래는 두 가지 일을 다 같이 궐(闕)하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또 만일 세계를 초월하고 순하분결(順下分結)도 끊고 다한 이면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라 하겠지만 예류와 일래에는 두 가지 일이 다 같이 궐하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또 순상분결과 순하분결은 소의(所依)가 각각 다르다. 만일 몸속에서 순상분결을 일으키면 그는 반드시 순하분결을 일으키지 않으며, 만일 몸속에서 순하분결을 일으키면 그는 반드시 순상분결을 일으키지 않는데 예류와 일래의 몸속에서는 순하분결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순상분결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만일 다시 이생(異生)과 유사한 업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으로 세우지만 예류와 일래는 오히려 다시 이생과 유사한 업을 나타내고 일으키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어떻게 그들은 이생과 유사한 업을 일으키는가? 여러 가지 색채를 즐겨 집착하고 향과 꽃을 바르고 장식하며, 금ㆍ은을 받아 저장하고 보물을 진귀하게 여기며 하인을 몰아 부리며 오히려 때리고 벌을 준다. 또한 남녀가 하나의 평상에 같이 있으면서 신체를 어루만지며 부드럽고 매끄럽다[細滑]는 생각을 내고 또 부끄러워함이 없이 범행(梵行)이 아닌 일을 한다. 이런 것들을 이생과 유사한 업이라 한다.
또 만일 다시 정혈(精血:血適)에서 생겨 갈타사(羯吒私)9)를 더하고 어머니 태(胎)에 들어가 생장(生臧)ㆍ숙장(熟臧)10)의 두 중간에 머무르게 하지 않는 이면 그가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라 하지만 예류와 일래에는 이런 일을 용납함이 있기 때문에 일으킨 결은 순상분이 아니다.
마치 저 계경에서 “질달라(質怛羅) 거사(居士)가 모든 친우들에게 말하였다.
‘그 대들은 아셔야 합니다. 나는 반드시 다시는 정혈에서 생겨 갈타사를 더하고 모태(母胎)에 들어가 생장ㆍ숙장의 두 중간에 머물러 있게 하지 않으며 나는 이미 5순하분결을 영원히 끊었으므로 다시는 도로 물러나서 욕계의 생(生)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다.
묘음 존자도 “탐욕과 진에의 결을 해탈한 이면 나는 모태에 드는 일을 해탈했다고 하리라”고 말씀하셨다.
[문] 순상분 중에서 도거의 자성은 결(結)인가? 가령 그렇다면 어떤 허물이 있는가? 만일 결이라 한다면 『품류족론(品類足論)』의 말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거기에 “어떤 것이 결의 법인가? 9결이다. 어떤 것이 결의 법이 아닌가? 9결을 제외한 모든 그 밖의 법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다. 만일 결이 아니라 하면 이 경에서 말씀하신 것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이 경에서 “어떤 것이 5순상분결인가? 색탐과 무색탐과 도거와 만과 무명이다”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다.
[답] 결이라고 말해야 한다.
[문] 『품류족론』의 말을 어떻게 회통해야 하는가?
[답] 외국(外國)의 논사들이 독송[誦]하고 있는 것은 이것과 다르다. 그들은 “어떤 것이 결의 법인가? 9결과 순상분결 중의 도거이다. 어떤 것이 결의 법이 아닌가? 9결과 순상분결 중의 도거를 제외한 모든 그 밖의 법이다”라고 독송한다.
[문]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의 모든 논사들은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이 독송하지 않는가?
[답] 여기서도 그와 같이 독송해야 하는데도 그렇게 독송하지 않는 것은 따로 의취(意趣)가 있어서이니 저 도거가 결인지 결이 아닌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거 성품의 일부분은 곧 결이니 위의 두 세계의 것이며 일부분은 결이 아니니 곧 욕계의 것이다. 혹 어떤 것은 결이며 곧 성자가 일으키는 것이요 혹 어떤 것은 결이 아니며 곧 이생이 일으키는 것이며 어떤 지위에서는 결이며 곧 이미 욕염(欲染)을 여읜 성자가 일으키는 것이요, 어떤 지위에서는 결이 아니며 곧 아직 욕염을 여의지 못한 성자가 일으키는 것이다.
[문] 무엇 때문에 도거는 위의 두 세계에서는 결인데 욕계에서는 결이 아닌가?
[답] 욕계는 정계(定界)가 아니고 수지(修地)가 아니며 이염지(離染地)가 아니어서 수승한 정혜(定慧)로 도거가 요란(擾亂)시키는 일이 됨을 깨달을 수가 없기 때문에 결을 세우지 않지만 색계와 무색계는 정계요 수지이며 이염지이여서 수승한 정혜로 도거가 요란시키는 일을 됨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에 결을 세운다. 마치 촌읍(村邑) 가까운 데서 비록 큰 소리를 지른다 해도 역시 탓할 거리가 되지 않지만 아련야 처소에서는 비록 작은 소리를 낸다 해도 탓할 거리가 되는 것과 같다.
또 욕계에서는 많은 그릇된 법의 번뇌로서 분(忿)ㆍ한(恨) 등과 같은 것이 있어서 도거를 막고 가리어 명료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결을 세우지 않지만 색계와 무색계에는 많은 이와 같은 그릇된 법의 번뇌로서 도거를 막고 가리는 것이 없어 명료하기 때문에 결을 세운다. 마치 촌읍 근처에서 악행을 하는 비구가 비록 많다 하더라도 깨닫지 못하나 아련야 처소에서는 하는 악행이 비록 적다하더라도 쉬이 알게 되는 것과 같다.
[문] 혼침과 도거는 다 같이 삼계(三界)에 통하고 다 같이 6식(識)에 두루하며 다 같이 5부(部)에 통하고 아울러 온갖 염오의 마음[染汚心]과 함께하는데 무슨 연유로 도거는 순상분을 세우면서 혼침은 그렇지 못한 것인가?
[답] 그 도거는 허물이 사납고 허물이 중하고 허물이 많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세워 순상분결을 삼으신 것이다. 또한 이로 말미암아 10번뇌대지법(煩惱大地法) 가운데 두었고 또 이로 말미암아 외국(外國)에서 독송하고 있는 『품류족론』에서 “어떤 것이 결의 법인가? 9결과 순상분결 중의 도거이다”라고 말한 것이며 또 이로 말미암아 잡온(雜蘊)에서 이미 “어떤 것이 불공무명(不共無明)의 수면인가? 어떤 것이 불공도거(不共掉擧)의 전(纏)인가?”라고 물은 것이다.
또 이로 말미암아 『시설론(施設論)』에서 “이생이 욕탐수면(欲貪隨眠)을 일으킬 때에는 다섯 가지 법이 일어난다. 첫째는 욕탐수면이요, 둘째는 욕탐수면에 따라 나는 것[隨生]이며,[어떤 송에서는 욕탐수면의 증익(增益)이라고 한다.] 셋째는 무명수면(無明隨眠)이요, 넷째는 무명수면에 따라 나는 것이며,[어떤 송에서는 무명수면의 증익이라고 한다.] 다섯째는 도거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지만 혼침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순상분결로 세우지 않는다.
또 도거 전(纏)의 행상(行相)은 분명하고 예리하면서 짓는 것이 민첩하고 빠르며 5지(支) 4지(支)의 정혜(定慧)를 요란시키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순상분결을 세우셨다. 혼침의 행상은 어둡고 더디고 무뎌서 선정과 비슷하고 선정을 수순하기 때문에 혼침한 이는 빨리 선정을 일으키기 때문에 순상분결로 세우지 않는다.
또 혼침은 이미 무명의 등류(等流)이며 무명은 또 순상분결이어서 혼침을 막고 가리어 명료하지 않게 하는 것이니 이 때문에 혼침은 순상분이 아니다.
[문] 상계(上界)에도 첨(諂)과 광(誑)과 교(憍)의 세 가지가 있는데 어째서 순상분결로 세우지 않는가?
[답] 모든 번뇌구(煩惱垢)는 거칠게 움직이면서 그치기가 쉽고 계박의 작용이 하열하기 때문에 모든 결 무더기[結聚] 안에 세우지 않는다.
곧 이런 뜻으로 말미암아 협(脅) 존자(尊者)는 “부처님께서는 모든 법의 성(性)ㆍ상(相)ㆍ세용(勢用)을 아시므로 결을 세울 만한 것이면 세우셨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것이면 세우지 않으신 것이니 그러므로 책하지 말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묘음 존자는 “첨ㆍ광ㆍ교 등은 거칠게 움직이면서 그치기가 쉽고 결의 뜻에 수순하지 않기 때문에 결을 세우지 않는 것이며 온갖 수면ㆍ전 중에서 일부분의 세울 수 있는 것으로 결을 삼았다”라고 말씀하셨다.
9) 갈타사는 탐애(貪愛) 또는 혈관(血鑵)으로 번역한다.
10) 생장ㆍ숙장의 두 중간이라 함은 생장(生臧:胃)과 숙장(熟臧:大腸)의 중간이니 자궁(子宮)을 말한다. 곧 불환(不還)은 욕탐(欲貪)과 진에(瞋恚)를 끊었기 때문에 태 속에서 나는[胎生] 일이 없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a19 - T29n1558_p0109a24.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佛於餘經如順下分。說順上分亦有五種。頌曰。
順上分亦五 色無色二貪
掉舉慢無明 令不超上故
論曰。如是五種若未斷時。能令有情不超上界。順益上界故名順上分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1권. p. 950 / 1397. 5순상분결(五順上分結)
"부처님께서는 또 다른 경에서 "순하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순상분(順上分)에도 역시 다섯 가지 종류가 있다"고 설하셨다.21)
게송으로 말하겠다.
순상분에도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니,
색계·무색계의 두 가지 탐과
도거·만·무명이 바로 그것으로,
상계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順上分亦五 色無色二貪
掉擧慢無明 令不超上故
논하여 말하겠다.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종류는, 만약 그것을 끊지 못하였을 때 유정으로 하여금 능히 상계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니, 상계에 수순하여 증익[順益]하는 번뇌이기 때문에 '순상분결'이라고 이름하였다.22)
21) 『장아함경』 권제8 「중집경」(대정장1, p.51중).
22) 5순상분결은 오로지 수소단의 번뇌로서 유정을 색계·무색계에 계박시켜 해탈하지 못하게 하는 색탐·무색탐·도거·만·무명결을 말한다. 도거·만·무명도 상 2계의 결이므로 사실상 순상분결은 여덟 가지이다. 그럼에도 탐만을 계(界)에 따라 둘로 나눈 것은 그것의 과실이 특히 크기 때문이다."
↑ 정준기 1993, 57-59쪽.
↑ 星雲, "賴耶三位". 2013년 4월 6일에 확인
"賴耶三位: 由「因位」到「果位」,將第八阿賴耶識之變化分為三段以說明之,稱為賴耶三位。此係唯識宗之說。即:(一)我愛執藏現行位,為七地以前之菩薩、二乘之有學位,與一切凡夫等,自無始以來的第八識之位;於此位時,第八識係由第七末那識執有實我實法而成。(二)善惡業果位,乃第八阿賴耶識善惡業之果報相繼生起之位;此為八地以上至十地之菩薩、二乘之有餘依位,乃至全部我愛執藏現行位的第八識之位。於此位中,第八識稱為毘播迦(梵 vipāka),亦即異熟識。(三)相續執持位,即相續執持種子之位;於此位中,第八識稱為阿陀那(梵 ādāna),亦即執持識。謂自無始以來至佛果之盡未來際,在因位時執持善、惡、無記,與漏、無漏之種子,在果位時執持無漏最善之種子,能生起現行諸法。七地以前之菩薩及凡夫等之第八識兼具此三位,八地以上菩薩之第八識具有後二位,達於佛果後,其第八識僅具最後一位。通常將第八識稱為阿賴耶識時,主要係凸顯我愛執藏之過失及眾生第八識之自相。〔成唯識論述記卷二末〕(參閱「阿賴耶識」3676) p6313"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2권. p. 80 / 583. 뇌야삼위(賴耶三位)
"이 식의 자상은 분위(分位)가 많지만 장식(藏識)이라 이름하는 것은, 첫 번째 지위이면서 과실이 크기 때문에 이에 비중을 두어 이름한 것이다.87)
87) 뇌야삼위(賴耶三位) 중에서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의 제8식을 장식(藏識), 즉 아뢰야식이라고 부르는 까닭을 말한다. 뇌야삼위는 수행기간[因位]에서 불과(佛果)의 지위[果位]에 이르는 사이에 제8식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세 가지로 나눈 것으로서, 이외에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가 있다. 아애집장현행위는 제7식이 제8식의 견분을 인식대상[所緣]으로 하여,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실제적 주체[我, ātman]로 착각하여 집착하는 기간이다. 범부로부터 보살은 제7지[遠行地]까지, 2승(乘)은 유학의 성자까지의 제8식을 아뢰야식이라고 이름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물론 선악업과위[異熟識]와 상속집지위[阿陀那識]도 병행하지만, 아애집장현행의 뜻이 가장 강하고 그 과실이 크므로 아뢰야식이라고 부른다. 제8지[不動地] 이상의 보살과 2승의 무학위(아라한)에서는 순(純)무루종자가 상속해서 아집을 영원히 일으키지 않으므로, 제8식에 대해서 아뢰야식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 운허, "我愛執藏現行位(아애집장현행위)". 2013년 4월 6일에 확인
"我愛執藏現行位(아애집장현행위): 뢰야 삼위(賴耶三位:아애집장현행위ㆍ선악업과위ㆍ상속집지위)의 하나. 제7식에게 나라고 집착되는 자리. 끝없는 범부로부터, 보살이면 제7지까지, 2승이면 유학(有學)의 성자(聖者)까지의 제8식. 이 위(位)는 아애집이 현행되는 자리이므로 이런 이름이 있음. 이 위의 제8식을 아뢰야식이라 함."
↑ "組合",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組合(조합): 組 짤 조 合 합할 합/쪽문 합, 홉 홉
①민법(民法) 상(上) 두 사람 이상(以上)이 출자(出資)하여 공동(共同) 사업(事業)을 경영(經營)하는 계약(契約). 단체성(團體性)은 가지나 법인(法人)격을 갖지 않는 것이 보통(普通) ②특별법(特別法) 상(上) 각종(各種)의 공동(共同) 목적(目的)의 수행(遂行)을 위(爲)해 특정(特定) 자격(資格) 있는 사람들에 의(依)해 조직(組織)된 사단법인(社團法人)의 하나 ③몇 개 속에서 정(定)한 수를 뽑아서 모은 수 ④여럿을 모아서 합(合)하여 한 덩어리가 되게 함"
↑ "조작(操作)", 《네이버 국어사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조작(操作):
1. 기계 따위를 일정한 방식에 따라 다루어 움직임.
2. 작업 따위를 잘 처리하여 행함."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法處所攝色". 2016년 2월 21일에 확인
"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1)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2)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3)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4)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5)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p4283"
펼치기v t e 불교 |
---|
펼치기v t e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 |
---|
펼치기v t e 오위백법五位百法 |
---|
전거 통제 | NDL: 00560855 |
---|
분류: 번뇌
불교 사상
불교 용어
불교 교의
○ [pt op tr]
● 번뇌_cf [문서정보] 페이지 키워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