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류 전체보기 (309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금강삼매경론
- Japan
- 대승기신론
- 종경록
- 백유경
- 가섭결경
- 대반열반경
- 유가사지론
- 유마힐소설경
- 묘법연화경
- 증일아함경
- 마하승기율
- 잡아함경
- 아미타불
- 장아함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마명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정법화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원각경
- 수능엄경
- 중아함경
- 대지도론
- 반야심경
- 무량의경
- 유마경
- 방광반야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방광불화엄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보리 본문
보리
[한문]菩提
[팔리]bodhi
[범어]bodhi
[티벳]byang chub
[영어]enlightenment
보디의 음역.
정각(正覺)의 지혜.
불(佛), 연각(緣覺), 성문(聲聞) 등이 각각 그 능력에 따라 얻은 깨달음의 지혜.
그 중에서도 특히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아뇩다라 삼막 삼보리’라고 하는데,
이는 더할 나위 없는 최상 최고의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불교에서는 보리를 얻는 것은 삶을 완성하는 것이며,
더 이상 태어나지 않고 윤회의 흐름을 끊는 것이며,
일체지(一切智)를 얻어서 열반의 기쁨에 젖는 것이라 한다.
[동]각(覺) , 지(智) , 지(知) , 도(道) , 불지(佛智).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보리
[한문]菩提
【범】Bodhi 도(道)ㆍ지(智)ㆍ각(覺)이라 번역.
2종이 있다.
(1) 불교 최고의 이상(理想)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
(2)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곧 불과에 이르는 길을 말함.
⇒도도(道)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보리
보제는 다음을 가리킨다.
보제(菩提)는 불교의 근본이념 가운데 하나이다.
보리(菩提)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수행자가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참다운 지혜[1][2]
· 깨달음 또는 앎의 경지를 일컫는 단어 bodhi(बोधि)에서 나왔다.[3][4]
이는 깨어나다,
알게 되다,
알리다,
알다,
혹은 이해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어근 budh로부터 형성된 추상 명사로,[5]
팔리어 동사 bujjhati나 산스크리트어 동사 bodhati 및 budhyate 등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보제(菩提)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보리는 고타마 붓다와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나한들이 얻었다고 하는 깨달음,
또는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과정을 일컫는다.[3]
이는 우주의 참 모습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보리를 얻은 뒤에는 윤회의 고리에서 벗어난다고 가르친다.
(해탈 참고.)
같이 보기
반야(지혜, 혜)
해탈
택법
택멸
열반
유식유가행파
전의
2전의묘과
참고 문헌
《성유식론》.
《佛學辭典(불학사전)》.
《성유식론(成唯識論)》.
각주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제9권.
p.
T31n1585_p0048c09 - T31n1585_p0048c11.
소지장(所知障)
"所知障者。
謂執遍計所執實法薩迦耶見而為上首見疑無明愛恚慢等。
覆所知境無顛倒性能障菩提名所知障。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9권.
pp.
483-484 / 583.
소지장(所知障)
"소지장51)이란 변계소집인 실법으로 집착하는 아견을 첫째로 하는 악견(惡見) · 의(疑) · 무명 · 탐 · 진(瞋) · 만(慢) 등이다.52)
인식의 대상53)과 전도됨이 없는 본성54)을 덮어서 능히 깨달음을 장애하는 것을 소지장이라고 이름한다.
51) 소지장(所知障)의 자체를 드러낸다.
탐욕 · 성냄 · 어리석음 등의 번뇌가 인식 대상[所知]의 참다운 모습[法空]을 그대로 알지 못하게 하므로 이들 번뇌를 소지장(所知障)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참다운 지혜가 발현하는 것을 장애하는 점에서 지장(智障) · 지장(菩提障)이라고도 한다.
이에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分別起]과 선천적으로 일어나는 것[俱生起]이 있다.
52) 소지장(所知障)의 수(數)도 번뇌장과 같다.
그것은 번뇌장이 일어날 때에는 반드시 소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번뇌장은 두드러진[麤]
것으로서 많은 품류(品類)가 있어서 알기 쉽기 때문에 2승(乘)도 역시 단멸한다.
다만 이것은 불선(不善)이고 유부무기성(有覆無記性)이므로 앞에서 숫자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소지장은 미세한 것으로서 품류가 많지 않아서 매우 알기 어렵기 때문에 오직 보살만이 단멸한다.
53) 인식의 대상[所知境]이란,
유위법과 무위법의 대상을 말한다.
54) 진여(眞如)를 말한다."
운허, "菩提(보리)". 2013년 5월 9일에 확인
"菩提(보리): 【범】Bodhi 도(道)ㆍ지(智)ㆍ각(覺)이라 번역.
2종이 있다.
(1) 불교 최고의 이상(理想)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
(2)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곧 불과에 이르는 길을 말함.
⇒도(道)"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
菩提(보리)]".
곽철환 2003, "보리(菩提)".
2013년 5월 9일에 확인
"보리(菩提):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bodhi의 음사.
각(覺)·지(智)·도(道)라고 번역.
모든 집착을 끊은 깨달음의 지혜.
지혜로써 무명(無明)을 소멸시킨 깨달음의 경지.
분별이 끊어진 깨달음의 상태.
모든 현상의 본질을 꿰뚫은 깨달음의 지혜."
佛門網, "bodhi". 2013년 5월 9일에 확인
"bodhi:出處: Buddhist Dictionary,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by NYANATILOKA MAHATHERA
解釋: bodhi (From verbal root budhi, to awaken, to understand): awakenment,
enlightenment,
supreme knowledge.
"(Through Bodhi) one awakens From the slumber or stupor (inflicted upon the mind) by the defilements (kilesa,
q.v.) and comprehends the Four Noble Truths (sacca,
q.v.)" (Com. to M. 10).出處: Pali-English Dictionary, TW Rhys Davids, William Stede,解釋: Bodhi1 (f.) [fr. budh,
cp. Vedic bodhin -- manas having an attentive mind; RV v.75, 5; viii.82, 18]
(supreme) knowledge,
enlightenment,
the knowledge possessed by a Buddha (see also sambodhi & sammā -- sambodhi) M i.356; ii.95=D iii.237 (saddho hoti,
saddahati Tathāgatassa bodhiŋ); D iii.159 (anuttaraŋ pappoti bodhiŋ),
165 (id.); S i.103,
196; v.197 sq.; A ii.66; VbhA 310 (def.).
Bodhi consists of 7 elements called bojjhangā or sambojjhangā,
and is attained by the accomplishment of the perfections called bodhi -- pācanā dhammā (see under cpds.
& cp.
bodhi -- pakkhiya -- dhammā)."
●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bodhi [번역 by 네이버웨일번역기]
불교의 깨달음
영어로 'enlightenment [계몽]'이란 추상 명사인 보디어(/bodididi/;산스크리트어:ध ि ि ि;팔리:보디),
부처의 지식이나 지혜,
또는 깨어 있는 지성을 서양에서 번역한 말이다[1].
말의 뿌리 budh-는 " 깨어나다"라는 뜻이고
그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각성"에 가깝다.
불교라는 용어는 다른 인도 철학과 전통에도 사용되지만,
불교의 맥락에서 가장 일반적인 사용법입니다.
계몽이라는 용어는 막스 뮐러의 19세기 번역본을 통해
서양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그것은 초월적인 진리나 현실에 대한 일반적인 통찰력의 서양적인 함축을 가지고 있다.
Enlightenment in Buddhism
(Redirected from Bodhi)
Buddhist texts[show]
Practices[show]
Nirvāṇa[show]
Traditions[show]
Buddhism by country[show]
Outline
P religion world.svg Religion portal vte
The English term enlightenment is the western translation of the abstract noun bodhi, (/ˈboʊdi/; Sanskrit: बोधि; Pali: bodhi),
the knowledge or wisdom, or awakened intellect, of a Buddha.[1]
The verbal root budh- means "to awaken," and its literal meaning is closer to "awakening."
Although the term buddhi is also used in other Indian philosophies and traditions,
its most common usage is in the context of Buddhism.
The term "enlightenment" was popularised in the Western world through the 19th century translations of Max Müller.
It has the western connotation of general insight into transcendental truth or reality.
The term is also being used to translate several other Buddhist terms and concepts,
which are used to denote (initial) insight (prajna (Sanskrit),
wu (Chinese),
kensho and satori(Japanese));[2][3] knowledge (vidhya); the "blowing out" (Nirvana) of disturbing emotions and desires and the subsequent freedom or release (vimutti); and the attainment of supreme Buddhahood (samyak sam bodhi),
as exemplified by Gautama Buddha.
What exactly constituted the Buddha's awakening is unknown.
It may probably have involved the knowledge that liberation was attained by the combination of mindfulness and dhyāna,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rising and ceasing of craving.
The relation between dhyana and insight is a core problem in the study of Buddhism,
and is one of the fundamentals of Buddhist practice.
In the western world the concept of (spiritual) enlightenment has taken on a romantic meaning.
It has become synonymous with self-realization and the true self and false self,
being regarded as a substantial essence being covered over by social conditioning.[4]
Contents
1 Etymology
2 Translation
3 Related terms
3.1 Insight
3.1.1 Bodhi
3.1.2 Prajna
3.1.3 Wu
3.1.4 Kensho and satori
3.2 Knowledge
3.3 Freedom
3.4 Nirvana
4 Buddha's awakening
4.1 Buddhahood
4.2 The awakening of the Buddha
4.2.1 Canonical accounts
4.2.2 Critical assessment
5 Understanding of bodhi and Buddhahood
5.1 Early Buddhism
5.2 Theravada
5.3 Mahayana
5.3.1 Buddha-nature
5.3.2 Harmonisation of the various terms and meanings in Vajrayana Buddhism
6 Western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6.1 Enlightenment as "Aufklärung"
6.2 Awakening
6.3 Romanticism and transcendentalism
6.4 Enlightenment and experience
7 Bodhi Day
8 See also
9 Notes
10 References
11 Web references
12 Sources
13 Further reading
14 External links
Etymology
Bodhi,
Sanskrit बोधि,[8] "awakening,"[9] "perfect knowledge,"[8] "perfect knowledge or wisdom (by which a man becomes a बुद्ध [Buddha[10]] or जिन [jina,
arahant; "victorious," "victor"[11]],
the illuminated or enlightened intellect (of a Buddha or जिन)."
[1]
It is an abstract noun,
formed from the verbal root *budh-,[9] Sanskrit बुध,[10][12] "to awaken,
to know,"[9] "to wake,
wake up,
be awake,"[12] "to recover consciousness (after a swoon),"[12] "to observe,
heed,
attend to."
[12]
It corresponds to the verbs bujjhati (Pāli) and bodhati,
बोदति,
"become or be aware of,
perceive,
learn,
know,
understand,
awake"[13] or budhyate (Sanskrit).
The feminine Sanskrit noun of *budh- is बुद्धि,
buddhi,
"prescience,
intuition,
perception,
point of view."
[10]
Translation
Robert S.
Cohen notes that the majority of English books on Buddhism use the term "enlightenment" to translate the term bodhi.[14] The root budh,
from which both bodhi and Buddha are derived,
means "to wake up" or "to recover consciousness".[14] Cohen notes that bodhi is not the result of an illumination,
but of a path of realization,
or coming to understanding.[14] The term "enlightenment" is event-oriented,
whereas the term "awakening" is process-oriented.[14] The western use of the term "enlighten" has Christian roots,
as in Calvin's "It is God alone who enlightens our minds to perceive his truths".[15]
Early 19th century bodhi was translated as "intelligence".[15] The term "enlighten" was first being used in 1835,
in an English translation of a French article,[16] while the first recorded use of the term 'enlightenment' is credited (by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to th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February,
1836).
In 1857 The Times used the term "the Enlightened" for the Buddha in a short article,
which was reprinted the following year by Max Müller.[17] Thereafter,
the use of the term subsided,
but reappeared with the publication of Max Müller's Chips from a german Workshop,
which included a reprint from the Times-article.
The book was translated in 1969 into German,
using the term "der Erleuchtete".[18] Max Müller was an essentialist,
who believed in a natural religion,
and saw religion as an inherent capacity of human beings.[19] "Enlightenment" was a means to capture natural religious truths,
as distinguished from mere mythology.[20][note 1]
By the mid-1870s it had become commonplace to call the Buddha "enlightened",
and by the end of the 1880s the terms "enlightened" and "enlightenment" dominated the English literature.[17]
Related terms
Insight
Bodhi
Bodhi (Sanskrit,
Pāli),
from the verbal root budd,
"to awaken",
"to understand",[21] means literally "to have woken up and understood".[22] According to Johannes Bronkhorst,[23] Tillman Vetter,[24] and K.R.
Norman,[25] bodhi was at first not specified.
K.R.
Norman:
It is not at all clear what gaining bodhi means.
We are accustomed to the translation "enlightenment" for bodhi,
but this is misleading ...
It is not clear what the buddha was awakened to,
or at what particular point the awakening came.[26]
According to Norman,
bodhi may basically have meant the knowledge that nibbana was attained,[27][28] due to the practice of dhyana.[25][24] Originally only "prajna" may have been mentioned,[23] and Tillman Vetter even concludes that originally dhyana itself was deemed liberating,
with the stilling of pleasure of pain in the fourth jhana,
not the gaining of some perfect wisdom or insight.[24] Gombrich also argues that the emphasis on insight is a later development.[29]
In Theravada Buddhism,
bodhi refers to the realisation of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and becoming an Arahant.[22] In Theravada Buddhism,
bodhi is equal to supreme insight,
and the realis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which leads to deliverance.[22] According to Nyanatiloka,
(Through Bodhi) one awakens from the slumber or stupor (inflicted upon the mind) by the defilements (kilesa,
q.v.) and comprehends the Four Noble Truths (sacca,
q.v.).[21]
This equation of bodhi with the four noble truths is a later development,
in response to developments within Indian religious thought,
where "liberating insight" was deemed essential for liberation.[23][24] The four noble truths as the liberating insight of the Buddha eventually were superseded by Pratītyasamutpāda,
the twelvefold chain of causation,
and still later by anatta,
the emptiness of the self.[23]
In Mahayana Buddhism,
bodhi is equal to prajna,
insight into the Buddha-nature,
sunyata and tathatā.[30] This is equal to the realisation of the non-duality of absolute and relative.[30]
Prajna
Main article: Prajñā (Buddhism)
In Theravada Buddhism pannā (Pali) means "understanding",
"wisdom",
"insight".[31] "Insight" is equivalent to vipassana',
insight into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namely anicca,
dukkha and anatta.[31] Insight leads to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and Nirvana.[31]
In Mahayana Buddhism Prajna (Sanskrit) means "insight" or "wisdom",
and entails insight into sunyata.
The attainment of this insight is often seen as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32][need quotation to verify]
Wu
wu is the Chinese term for initial insight.[3]
Kensho and satori
Kensho and Satori are Japanese terms used in Zen traditions.
Kensho means "seeing into one's true nature."
Ken means "seeing",
sho means "nature",
"essence",[33] c.q Buddha-nature.
Satori (Japanese)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 with kensho,
but refers to the experience of kensho.[33] The Rinzai tradition sees kensho as essential to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but considers further practice essential to attain Buddhahood.
East-Asian (Chinese) Buddhism emphasizes insight into Buddha-nature.
This term is derived from Indian tathagata-garbha thought,
"the womb of the thus-gone" (the Buddha),
the inherent potential of every sentient being to become a Buddha.
This idea was integrated with the Yogacara-idea of the ālaya vijñāna,
and further developed in Chinese Buddhism,
which integrated Indian Buddhism with native Chinese thought.
Buddha-nature came to mean both the potential of awakening and the whole of reality,
a dynamic interpenetration of absolute and relative.
In this awakening it is realized that observer and observed are not distinct entities,
but mutually co-dependent.[34][35]
Knowledge
The term vidhya is being used in contrast to avidhya,
ignorance or the lack of knowledge,
which binds us to samsara.
The Mahasaccaka Sutta[note 2] describes the three knowledges which the Buddha attained:[36][37][38]
Insight into his past lives
Insight into the workings of Karma and Reincarnation
Insight into the Four Noble Truths
According to Bronkhorst,
the first two knowledges are later additions,
while insight into the four truths represents a later development,
in response to concurring religious traditions,
in which "liberating insight" came to be stressed over the practice of dhyana.[23]
Freedom
Vimutti,
also called moksha,
means "freedom",[39] "release",[39][note 3] "deliverance".[40] Sometimes a distinction is being made between ceto-vimutti,
"liberation of the mind",
and panna-vimutti,
"liberation by understanding".[41] The Buddhist tradition recognises two kinds of ceto-vimutti,
one temporarily and one permanent,
the last being equivalent to panna-vimutti.[41][note 4]
Yogacara uses the term āśraya parāvŗtti,
"revolution of the basis",[43]
...
a sudden revulsion,
turning,
or re-turning of the ālaya vijñāna back into its original state of purity [...] the Mind returns to its original condition of non-attachment,
non-discrimination and non-duality".[44]
Nirvana
Nirvana is the "blowing out" of disturbing emotions,
which is the same as liberation.[web 1] The usage of the term "enlightenment" to translate "nirvana" was popularized in the 19th century,
due,
in part,
to the efforts of Max Muller,
who used the term consistently in his translations.[45]
Buddha's awakening
Buddhahood
Three types of buddha are recognized:[46]
Arhat (Pali: arahant),
those who reach Nirvana by following the teachings of the Buddha.[46] Sometimes the term Śrāvakabuddha (Pali: sāvakabuddha) is used to designate this kind of awakened person;[citation needed]
Pratyekabuddhas (Pali: paccekabuddha),
those who reach Nirvana through self-realisation,
without the aid of spiritual guides and teachers,
but don't teach the Dharma;[46]
Samyaksambuddha (Pali: samma sambuddha),
often simply referred to as Buddha,
one who has reached Nirvana by his own efforts and wisdom and teaches it skillfully to others.[46]
Siddhartha Gautama,
known as the Buddha,
is said to have achieved full awakening,
known as samyaksaṃbodhi (Sanskrit; Pāli: sammāsaṃbodhi),
"perfect Buddhahood",
or anuttarā-samyak-saṃbodhi,
"highest perfect awakening".[47]
The term buddha has acquired somewhat different meanings in the various Buddhist traditions.
An equivalent term for Buddha is Tathāgata,
"the thus-gone".
The way to Buddhahood is somewhat differently understood in the various buddhist traditions.
The awakening of the Buddha
Canonical accounts
In the suttapitaka,
the Buddhist canon as preserved in the Theravada tradition,
a couple of texts can be found in which the Buddha's attainment of liberation forms part of the narrative.[48][49][note 5]
The Ariyapariyesana Sutta (Majjhima Nikaya 26) describes how the Buddha was dissatisfied with the teachings of Alara Kalama and Uddaka Ramaputta,
wandered further through Magadhan country,
and then found "an agreeable piece of ground" which served for striving.
The sutra then only says that he attained Nibbana.[50]
In the Vanapattha Sutta (Majjhima Nikaya 17)[51] the Buddha describes life in the jungle,
and the attainment of awakening.
The Mahasaccaka Sutta (Majjhima Nikaya 36) describes his ascetic practices,
which he abandoned.
There-after he remembered a spontaneous state of jhana,
and set out for jhana-practice.
Both suttras narrate how,
after destroying the disturbances of the mind,
and attaining concentration of the mind,
he attained three knowledges (vidhya):[36][37][38]
Insight into his past lives
Insight into the workings of Karma and Reincarnation
Insight into the Four Noble Truths
Insight into the Four Noble Truths is here called awakening.[37] The monk (bhikkhu) has "...attained the unattained supreme security from bondage."
[52] Awakening is also described as synonymous with Nirvana,
the extinction of the passions whereby suffering is ended and no more rebirths take place.[53] The insight arises that this liberation is certain: "Knowledge arose in me,
and insight: my freedom is certain,
this is my last birth,
now there is no rebirth."
[53]
Critical assessment
Schmithausen[note 6] notes that the men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s constituting "liberating insight",
which is attained after mastering the Rupa Jhanas,
is a later addition to texts such as Majjhima Nikaya 36.[54][23][24] Bronkhorst notices that
...the accounts which include the Four Noble Truths had a completely different conception of the process of liberation than the one which includes the Four Dhyanas and the destruction of the intoxicants.[55]
It calls in question the reliability of these accounts,
and the relation between dhyana and insight,
which is a core problem in the study of early Buddhism.[24][23][29] Originally the term prajna may have been used,
which came to be replaced by the four truths in those texts where "liberating insight" was preceded by the four jhanas.[56] Bronkhorst also notices that the conception of what exactly this "liberating insight" was developed throughout time.
Whereas originally it may not have been specified,
later on the four truths served as such,
to be superseded by pratityasamutpada,
and still later,
in the Hinayana schools,
by the doctrine of the non-existence of a substantial self or person.[57] And Schmithausen notices that still other descriptions of this "liberating insight" exist in the Buddhist canon:
"that the five Skandhas are impermanent,
disagreeable,
and neither the Self nor belonging to oneself";[note 7] "the contemplation of the arising and disappearance (udayabbaya) of the five Skandhas";[note 8] "the realisation of the Skandhas as empty (rittaka),
vain (tucchaka) and without any pith or substance (asaraka).[note 9][58]
An example of this substitution,
and its consequences,
is Majjhima Nikaya 36:42–43,
which gives an account of the awakening of the Buddha.[59]
Understanding of bodhi and Buddhahood
The term bodhi acquired a variety of meanings and connotations during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s in the various schools.
Early Buddhism
Main article: Early Buddhism
In early Buddhism,
bodhi carried a meaning synonymous to nirvana,
using only some different metaphors to describe the insight,
which implied the extinction of lobha (greed),
dosa (hate) and moha (delusion).
Theravada
See also: Non-reactive and lucid awareness
In Theravada Buddhism,
bodhi and nirvana carry the same meaning,
that of being freed from greed,
hate and delusion.
In Theravada Buddhism,
bodhi refers to the realisation of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and becoming an Arahant.[22] In Theravada Buddhism,
bodhi is equal to supreme insight,
the realis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which leads to deliverance.[22] Reaching full awakening is equivalent in meaning to reaching Nirvāṇa.[web 2] Attaining Nirvāṇa is the ultimate goal of Theravada and other śrāvaka traditions.[web 3] It involves the abandonment of the ten fetters and the cessation of dukkha or suffering.
Full awakening is reached in four stages.
According to Nyanatiloka,
(Through Bodhi) one awakens from the slumber or stupor (inflicted upon the mind) by the defilements (kilesa,
q.v.) and comprehends the Four Noble Truths (sacca,
q.v.).[21]
Since the 1980s,
western Theravada-oriented teachers have started to question the primacy of insight.
According to Thanissaro Bhikkhu,
jhana and vipassana (insight) form an integrated practice.[60] Polak and Arbel,
following scholars like Vetter and Bronkhorst,
argue that right effort,
c.q.
the four right efforts (sense restraint,
preventing the arising of unwholesome states,
and the generation of wholesome states),
mindfulness,
and dhyana form an integrated practice,
in which dhyana is the actualisation of insight,
leading to an awakened awareness which is "non-reactive and lucid."
[61][62]
Mahayana
Main article: Mahayana
In Mahayana-thought,
bodhi is the realisation of the inseparability of samsara and nirvana,
and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63] It is similar to prajna,
to realizing the Buddha-nature,
realizing sunyata and realizing suchness.[63] In time,
the Buddha's awakening came to be understood as an immediate full awakening and liberation,
instead of the insight into and certainty about the way to follow to reach enlightenment.
However,
in some Zen traditions this perfection came to be relativized again; according to one contemporary Zen master,
"Shakyamuni buddha and Bodhidharma are still practicing."
[64]
Mahayana discerns three forms of awakened beings:[65]
Arahat – Liberation for oneself;[note 10]
Bodhisattva – Liberation for living beings;
Full Buddhahood.
Within the various Mahayana-schools exist various further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63] In Mahāyāna Buddhism the Bodhisattva is the ideal.
The ultimate goal is not only of one's own liberation in Buddhahood,
but the liberation of all living beings.
But Mahayana Buddhism also developed a cosmology with a wide range of buddhas and bodhisattvas,
who assist humans on their way to liberation.
Nichiren Buddhism regards Buddhahood as a state of perfect freedom,
in which one is awakened to the eternal and ultimate truth that is the reality of all things.
This supreme state of life is characterized by boundless wisdom and infinite compassion.
The Lotus Sutra reveals that Buddhahood is a potential in the lives of all beings.[66]
Buddha-nature
In the Tathagatagarbha and Buddha-nature doctrines bodhi becomes equivalent to the universal,
natural and pure state of the mind:
Bodhi is the final goal of a Bodhisattva's career [...] Bodhi is pure universal and immediate knowledge,
which extends over all time,
all universes,
all beings and elements,
conditioned and unconditioned.
It is absolute and identical with Reality and thus it is Tathata.
Bodhi is immaculate and non-conceptual,
and it,
being not an outer object,
cannot be understood by discursive thought.
It has neither beginning,
nor middle nor end and it is indivisible.
It is non-dual (advayam) [...] The only possible way to comprehend it is through samadhi by the yogin.[67]
According to these doctrines bodhi is always there within one's mind,
but requires the defilements to be removed.
This vision is expounded in texts such as the Shurangama Sutra and the Uttaratantra.
In Shingon Buddhism,
the state of Bodhi is also seen as naturally inherent in the mind.
It is the mind's natural and pure state,
where no distinction is being made between a perceiving subject and perceived objects.
This is also the understanding of Bodhi found in Yogacara Buddhism.
To achieve this vision of non-duality,
it is necessary to recognise one's own mind:
...
it means that you are to know the inherent natural state of the mind by eliminating the split into a perceiving subject and perceived objects which normally occurs in the world and is wrongly thought to be real.
This also corresponds to the Yogacara definition ...
that emptiness (sunyata) is the absence of this imaginary split[68]
Harmonisation of the various terms and meanings in Vajrayana Buddhism
During the development of Mahayana Buddhism the various strands of thought on Bodhi were continuously being elaborated.
Attempts were made to harmonize the various terms.
The Vajrayana Buddhist commentator Buddhaguhya treats various terms as synonyms:
For example,
he defines emptiness (sunyata) as suchness (tathata) and says that suchness is the intrinsic nature (svabhava) of the mind which is Enlightenment (bodhi-citta).
Moreover,
he frequently uses the terms suchness (tathata) and Suchness-Awareness (tathata-jnana) interchangeably.
But since Awareness (jnana) is non-dual,
Suchness-Awareness is not so much the Awareness of Suchness,
but the Awareness which is Suchness.
In other words,
the term Suchness-Awareness is functionally equivalent to Enlightenment.
Finally,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this Suchness-Awareness or Perfect Enlightenment is Mahavairocana [the Primal Buddha,
uncreated and forever existent].
In other words,
the mind in its intrinsic nature is Mahavairocana,
whom one "becomes" (or vice versa) when one is perfectly enlightened.[68]
Western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See also: Buddhist modernism,
Transcendentalism,
and Perennial philosophy
In the western world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has taken on a romantic meaning.[4][5][6][7] It has become synonymous with self-realization and the true self,
being regarded as a substantial essence being covered over by social conditioning.[4][5][6][7]
Enlightenment as "Aufklärung"
The use of the western word enlightenment is based on the supposed resemblance of bodhi with Aufklärung,
the independent use of reason to gain insight into the true nature of our world.
In fact there are more resemblances with Romanticism than with the Enlightenment: the emphasis on feeling,
on intuitive insight,
on a true essence beyond the world of appearances.[69]
Awakening
The equivalent term "awakening" has also been used in a Christian context,
namely the Great Awakenings,
several periods of religious revival in American religious history.
Historians and theologians identify three or four waves of increased religious enthusiasm occurring between the early 18th century and the late 19th century.
Each of these "Great Awakenings" was characterized by widespread revivals led by evangelical Protestant ministers,
a sharp increase of interest in religion,
a profound sense of conviction and redemption on the part of those affected,
an increase in evangelical church membership,
and the formation of new religious movements and denominations.
Romanticism and transcendentalism
The romantic idea of enlightenment as insight into a timeless,
transcendent reality has been popularized especially by D.T.
Suzuki.[web 4][web 5] Further popularization was due to the writings of Heinrich Dumoulin.[70][71][web 6] Dumoulin viewed metaphysics as the expression of a transcendent truth,
which according to him was expressed by Mahayana Buddhism,
but not by the pragmatic analysis of the oldest Buddhism,
which emphasizes anatta.[72] This romantic vision is also recognizable in the works of Ken Wilber.[73]
In the oldest Buddhism this essentialism is not recognizable.[74][web 7] According to critics it doesn't really contribute to a real insight into Buddhism:[web 8]
...most of them labour under the old cliché that the goal of Buddhist psychological analysis is to reveal the hidden mysteries in the human mind and thereby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transcendental state of consciousness beyond the reach of linguistic expression.[75]
Enlightenment and experience
A common reference in western culture is the notion of "enlightenment experience".
This notion can be traced back to William James,
who used the term "religious experience" in his book,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76] Wayne Proudfoot traces the roots of the notion of "religious experience" further back to the German theologian 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
who argued that religion is based on a feeling of the infinite.
Schleiermacher used the notion of "religious experience" to defend religion against the growing scientific and secular critique.
It was popularised by the Transcendentalists,
and exported to Asia via missionaries.[77] Transcendentalism developed as a reaction against 18th Century rationalism,
John Locke's philosophy of Sensualism,
and the predestinationism of New England Calvinism.
It is fundamentally a variety of diverse sources such as Hindu texts like the Vedas,
the Upanishads and the Bhagavad Gita,[78] various religions,
and German idealism.[79]
It was adopted by many scholars of religion,
of which William James was the most influential.[80][note 11]
The notion of "experience" has been criticised.[5][84][85] Robert Sharf points out that "experience" is a typical western term,
which has found its way into Asian religiosity via western influences.[5][note 12]
The notion of "experience" introduces a false notion of duality between "experiencer" and "experienced",
whereas the essence of kensho is the realisation of the "non-duality" of observer and observed.[87][88] "Pure experience" does not exist; all experience is mediated by intellectual and cognitive activity.[89][90] The specific teachings and practices of a specific tradition may even determine what "experience" someone has,
which means that this "experience" is not the proof of the teaching,
but a result of the teaching.[91] A pure consciousness without concepts,
reached by "cleaning the doors of perception" as per romantic poet William Blake[note 13],
would,
according to Mohr,
be an overwhelming chaos of sensory input without coherence.[93]
Bodhi Day
Sakyamuni's awakening is celebrated on Bodhi Day.
In Sri Lanka and Japan different days are used for this celebration.
According to the Theravada tradition in Sri Lanka,
Sakyamuni reached Buddhahood at the full moon in May.
This is celebrated at Wesak Poya,
the full moon in May,
as Sambuddhatva jayanthi (also known as Sambuddha jayanthi).[web 9] The Zen tradition claims the Buddha reached his decisive insight on 8 December.
This is celebrated in Zen monasteries with a very intensive eight-day session of Rōhatsu.
● See also
Notes
See also Lourens Peter van den Bosch, Theosophy or Pantheism? Friedrich Max Müller's Gifford Lectures on Natural Religion: "The three principal themes of his Gifford lectures on natural religion were the discovery of God, the discovery of the soul, and the discovery of the oneness of God and soul in the great religions of the world."
Majjhima Nikaya chapter 36
See Encyclopedia.com, Vimutti
According to Gombrich, this distinction is artificial, and due to later, too literal, interpretations of the suttas.[42]
See Majjhima Nikaya chapter 4, 12, 26 & 36
In his often-cited article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Majjhima Nikaya 26
Anguttara Nikaya II.45 (PTS)
Samyutta Nikaya III.140–142 (PTS)
This also includes Pratyekabuddha, but is not being mentioned by Fischer-Schreiber et al.
James also gives descriptions of conversion experiences. The Christian model of dramatic conversions, based on the role-model of Paul's conversion, may also have served as a model for western interpretations and expectations regarding "enlightenment", similar to Protestant influences on Theravada Buddhism, as described by Carrithers:
It rests upon the notion of the primacy of religious experiences, preferably spectacular ones, as the origin and legitimation of religious action. But this presupposition has a natural home, not in Buddhism, but in Christian and especially Protetstant Christian movements which prescribe a radical conversion.[81]
See Sekida for an example of this influence of William James and Christian conversion stories, mentioning Luther[82] and St. Paul.[83] See also McMahan for the influence of Christian thought on Buddhism.[7]
Robert Sharf:
[T]he role of experie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has been greatly exaggerated in contemporary scholarship. Both historical and ethnographic evidence suggests that the privileging of experience may well be traced to certain twentieth-century reform movements, notably those that urge a return to zazen or vipassana meditation, and these reforms were profoundly influenced by religious developments in the west [...] While some adepts may indeed experience "altered states" in the course of their training, critical analysis shows that such states do not constitute the reference point for the elaborate Buddhist discourse pertaining to the "path".[86]
William Blake: "If the doors of perception were cleansed every thing would appear to man as it is, infinite. For man has closed himself up, till he sees all things thru' narrow chinks of his cavern."[92]
References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bodhi
Fischer-Schreiber 2008, p. 5051, lemma "bodhi".
Gimello 2004.
Carrette & King 2005.
Sharf 1995b.
Sharf 2000.
McMahan 2008.
Sanskrit Dictionary for Spoken Sanskrit, bodhi
Buswell 2004, p. 50.
Sanskrit Dictionary for Spoken Sanskrit, budh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jina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budh
Sanskrit Dictionary for Spoken Sanskrit, bodhati
Cohen 2006, p. 1.
Cohen 2006, p. 2.
Cohen 2006, pp. 2–3.
Cohen 2006, p. 3.
Cohen 2006, p. 9.
Cohen 2006, p. 4.
Cohen 2006, pp. 6–7.
Nyanatiloka 1980, p. 40.
Schreiber-Fischer 2008, p. 50.
Bronkhorst 1993.
Vetter 1988.
Norman 1997, p. 29.
Norman, K. R. (2005). Buddhist Forum Volume V: Philological Approach to Buddhism. Routledge. p. 25. ISBN 978-1-135-75154-8.
Norman 1997, p. 30.
Vetter 1988, p. xxix, xxxi.
Gombrich 1997.
Schreiber-Fischer 2008, p. 51.
Nyanatiloka 1980, p. 150.
Fischer-Schreiber 2008, p. 281.
Kapleau 1989.
Lusthaus 1998.
Lai 2003.
Bikkhu Nanamoli 1995, pp. 340–342.
Warder 2000, pp. 47–48.
Snelling 1987, p. 27.
Bowker 1997.
Nyanatiloka 1980, p. 239.
Gombrich 2005, p. 147.
Gombrich 2005, pp. 147–148.
Park 1983, pp. 126–132.
Park 1983, p. 127.
Scott 2009, p. 8.
Snelling 1987, p. 81.
Mäll 2005, p. 83.
Warder 2000, pp. 45–50.
Faure 1991
Bikkhu Nanamoli 1995, p. 259.
Bhikkhu Nanamoli 1995.
Bhikkhu Nanamoli 1996, p. 199.
Warder 2000, p. 49.
Schmithausen 1981.
Bronkhorst 1993, p. 110.
Bronkhorst 1993, p. 108.
Bronkhorst 1993, pp. 100–101.
Bronkhorst 1993, p. 101.
Bronkhorst 1993, pp. 102–103.
Quli 2008.
Polak 2011.
Arbel 2017.
Fischer-Schreiber 2008, p. 51.
Harris 2004, p. 103.
Schreiber 2008, p. 51.
"Buddhahood – Dictionary of Buddhism – Nichiren Buddhism Library". www.nichirenlibrary.org.
Sebastian 2005, p. 274.
Hodge 2003, pp. 31–32.
Wright 2000, pp. 181–183.
Dumoulin 2005a.
Dumoulin 2005b.
Dumonlin 2000.
Wilber 1996.
Warder 2000, p. 116-124.
Kalupahana 1992a, p. xi.
Hori 1999, p. 47.
King 2002.
Versluis 2001, p. 3.
Hart 1995.
Sharf 2000, p. 271.
Carrithers 1983, p. 18.
Sekida 1985, pp. 196–197.
Sekida 1985, p. 251.
Mohr 2000, pp. 282–286.
Low 2006, p. 12.
Sharf & 1995-C, p. 1.
Hori 1994, p. 30.
Samy 1998, p. 82.
Mohr 2000, p. 282.
Samy 1998, pp. 80–82.
Samy 1998, p. 80.
Quote DB
Mohr 2000, p. 284.
Web references
Dr. Alexander Berzin, Nirvana and enlightenment
Kusala Bhikshu (3/2008), Buddhist Enlightenment vs NirvanaAs of September 2010
"David Loy (2010),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As of September 2010
Robert H. Sharf, Whose Zen? Zen Nationalism Revisited
Hu Shih: Ch'an (Zen) Buddhism in China. Its History and Method
Critical introduction by John McRae to the reprint of Dumoulin's A history of Zen
Nanzan Institute: Pruning the bodhi Tree
David Chapman: Effing the ineffable
Vesak full moon poya day
Sources
Arbel, Keren (2017), Early Buddhist Meditation: The Four Jhanas as the Actualization of Insight, Routledge
Batchelor, Stephen (1998), Buddhism Without Beliefs: A Contemporary Guide to Awakening
Bhikkhu Nanamoli; Bhikkhu Bodhi (1995),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Bowker, John (2007),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ronkhorst, Johannes (1993),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Buswell, Robert E. JR; Gimello, Robert M. (editors) (1994), Paths to Liberation. The Marga and its Transformations in Buddhist Thought,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Buswell, Robert, ed. (2004),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Carrette, Jeremy; King, Richard (2005), Selling Spirituality: The Silent Takeover of Religion (PDF), Routledge, ISBN 0203494873
Carrithers, Michael (1983), The Forest Monks of Sri Lanka: an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study, New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Cohen, Robert S. (2006), Beyond Enlightenment: Buddhism, Religion, Modernity, Routledge
Cousins, L. S. (1996), "The origins of insight meditation", in Skorupski, T. (ed.), The Buddhist Forum IV, seminar papers 1994–1996 (PDF), London, UK: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pp. 35–58
Dumoulin, Heinrich (2000), A History of Zen Buddhism,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Dumoulin, Heinrich (2005),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Faure, Bernard (1991), The Rhetoric of Immediacy. A Cultural Critique of Chan/Zen Buddhism,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2963-6
Fischer-Schreiber, Ingrid; Ehrhard, Franz-Karl; diener, Michael S. (2008), Lexicon Boeddhisme. Wijsbegeerte, religie, psychologie, mystiek, cultuur an literatuur, Asoka
Gregory, Peter N. (1991),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8193
Gimello, Robert M. (2004), "Bodhi", in Buswell, Robert E. (ed.),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Gombrich, Richard F. (1997), How Buddhism Began. The Conditioned Genesis of the Early Teachings,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Gombrich, Richard (2005), Kindness and compassion as a means to Nirvana. In: Paul Williams (ed.), "Buddhism: The early Buddhist schools and doctrinal history; Theravāda doctrine, Volume 2", Taylor & Francis
Peter N. Gregory (1991),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8193
Harris, Ishwar C. (2004), The Laughing Buddha of Tofukuji: The Life of Zen Master Keido Fukushim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62-4
Hart, James D. (ed) (1995), Transcendentalism. In: The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Harvey, Peter (1995),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odge, Stephen (2003), The Maha-Vairocana-Abhisambodhi Tantra, With Buddhaguya's Commentary, London: RoutledgeCurzon
Hori, Victor Sogen (1994),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Zen Rinzai Monastery. I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Vol.20, No. 1, (Winter, 1994), 5–35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July 2018, retrieved 28 October 2012
Kalupahana, David J. (1992),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Delhi: ri Satguru Publications
Kalupahana, David J. (1992),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King, Richard (2002), Orientalism and Religion: Post-Colonial Theory, India and "The Mystic East", Routledge
Lai, Whalen (2003), Buddhism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In Antonio S. Cua (ed.):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PDF), New York: Routled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November 2014
Lusthaus, Dan (1998), Buddhist Philosophy, Chinese. In: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Index, Taylor & Francis
Low, Albert (2006), Hakuin on Kensho. The Four Ways of Knowing, Boston & London: Shambhala
Mäll, Linnart (2005), Studies in the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and other essay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20293.
Mohr, Michel (2000), Emerging from Nonduality. Koan Practice in the Rinzai Tradition since Hakuin. In: steven Heine & Dale S. Wright (eds.)(2000),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Norman, K.R. (1992), The Four Noble Truths. In: "Collected Papers", vol 2:210–223, Pali Text Society, 2003
Nyanatiloka (1980), Buddhist Dictionary.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Fourth Revised edition,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Park, Sung-bae (1983), Buddhist Faith and Sudden Enlightenment, SUNY Press
Polak, Grzegorz (2011), Reexamining Jhana: Towards a Critical Reconstruction of Early Buddhist Soteriology, UMCS
Quli, Natalie (2008), "Multiple Buddhist Modernisms: Jhana in Convert Theravada" (PDF), Pacific World 10:225–249
Samy, AMA (1998), Waarom kwam Bodhidharma naar het Westen? De ontmoeting van Zen met het Westen, Asoka: Asoka
Schmithausen, Lambert (1981),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In: Studien zum Jainismus und Buddhismus (Gedenkschrift für Ludwig Alsdorf), hrsg. von Klaus Bruhn und Albrecht Wezler, Wiesbaden 1981, 199-250
Scott, Rachelle M. (2009), Nirvana for sale? Buddhism, Wealth, and the Dhammakaya Temple in Contemporary Thailand, SUNY Press
Sebastian, C.D. (2005), Metaphysics and Mysticism in Mahayana Buddhism,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Sekida, Katsuki (1985),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New York, Tokyo: Weatherhill
Sharf, Robert H. (1995), "Buddhist Modernism and the Rhetoric of Meditative Experience" (PDF), NUMEN, 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April 2019, retrieved 26 October 2012
Sharf, Robert H. (2000), "The Rhetoric of Experience and the Study of Religion" (PDF),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7 (11–12): 267–28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May 2013, retrieved 28 October 2012
Snelling, John (1987), The Buddhist handbook. A Complete Guide to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 London: Century Paperbacks
Versluis, Arthur (2001), The Esoteric Origins of the American Renaissance, Oxford University Press
Vetter, Tilmann (1988),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BRILL
Walsh (translator), Maurice (1995), The Long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Digha Nikaya, Boston: Wisdom publications
Warder, A.K. (2000), Indian Buddhism,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Williams, Paul (2000),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Routledge
Wright, Dale S. (2000), Philosophical Meditations on Zen Buddh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ynne, Alexander (2007), The Origin of Buddhist Meditation (PDF), Routledge
Yen, Chan Master Sheng (2006), (missing title), Boston & London: Shambhala
Further reading
General
Gimello, Robert M. (2004), "Bodhi", in Buswell, Robert E. (ed.),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Earliest Buddhism
Vetter, Tilmann (1988),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BRILL
Bronkhorst, Johannes (1993),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Wynne, Alexander (2007), The Origin of Buddhist Meditation (PDF), Routledge
Theravada
Shankman (2008), The Experience of Samadhi
Keren Arbel (2017), Early Buddhist Meditation, Taylor & Francis
Zen
McRae, John (2003), Seeing Through Zen. Encounter, Transformation, and Genealogy in Chinese Chan Buddhism,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ISBN 9780520237988
External links
Pali Text Society: Occurrences of the term 'enlightenment'
Joan Sutherland, What is enlightenment?, Buddhadharma February 16, 2013
Barbara O'Brien, What is Enlightenment?
>>>
The term is also being used to translate several other Buddhist terms and concepts, which are used to denote (initial) insight (prajna (Sanskrit), wu (Chinese), kensho and satori(Japanese));[2][3] knowledge (vidhya); the "blowing out" (Nirvana) of disturbing emotions and desires and the subsequent freedom or release (vimutti); and the attainment of supreme Buddhahood (samyak sam bodhi), as exemplified by Gautama Buddha. What exactly constituted the Buddha's awakening is unknown. It may probably have involved the knowledge that liberation was attained by the combination of mindfulness and dhyāna,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rising and ceasing of craving. The relation between dhyana and insight is a core problem in the study of Buddhism, and is one of the fundamentals of Buddhist practice. In the western world the concept of (spiritual) enlightenment has taken on a romantic meaning. It has become synonymous with self-realization and the true self and false self, being regarded as a substantial essence being covered over by social conditionin
이 용어는 또한(초기)통찰력(산스크리트),
우우어(중국어),
켄소와 사토리(일본어),
[2][3]지식(비르디야),
불안한 감정과 욕망의 "분출"(Nirvana),
후속적인 자유나 해방(vimutti)과 수프로의 달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몇가지 다른 불교 용어와 개념을 번역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부처님의 본보기가 되는 나의 부처님.
정확히 무엇이 부처님의 자각을 일으켰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아마도 그것은 열망의 발생과 중단에 대한 이해에 적용된,
명상과 도나의 조합에 의해 해방이 달성되었다는 지식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도야나와 통찰력의 관계는 불교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이며,
불교 실천의 기본 중 하나이다.
서양에서는 깨달음의 개념이 낭만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것은 자기 실현,
진정한 자아와 거짓의 자아와 동의어가 되었으며,
사회적 조건에 의해 덮어 지고 있는 본질로 간주되고 있다[4
어원
보르디, 산스크리트어 बोधि,[8]
"각성,"[9]"완벽한 지식 또는 지혜,""[8]완전한 지식 또는 지혜","완전한 지식 또는 지혜","승리[10],"승리","승리[11]","승리",
조명 받거나 계몽된 지성"[1].
그것은 어원이,budh-, [9]산스크리트어 ब ध,[10][12]" 깨어 있다, 깨어 있다, 깨어 있다, 깨어 있다,"[12],[9]"의식을 회복하기 위해",[12]"관찰하고,
주의하고, 돌보기 위해"로 구성된 추상 명사이다[12].
이는 동사인 하지(팔리)와 보하티,
보드라티(보드라티),"인식하거나 인식하고, 배우고, 알고, 이해하고, 깨어 있다"[13]또는 범어(산스크리트어)와 일치한다.
,budh-의 여성 산스크리트 명사는 ब द ् ्, buddhi,"prescience, in직관, 지각, 관점"이다[10].
로버트 S 코헨 씨는 불교에 관한 대부분의 영어책들이 "깨달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보디(bodhi)라는 용어를 번역한다고 말합니다[14].
보르디와 부처가 모두 파생된 뿌리 부시는 " 깨어나다"또는"의식을 회복하다"를 의미한다[14].
코헨 씨는 보디가 조명의 결과가 아니라 깨달음의 경로 또는 이해의 과정이라고 말합니다[14].
"깨달음"이라는 용어는 사건 지향적인 것이고"각성"이라는 용어는 과정 지향적인 것이다[14].
"계몽하다"라는 용어의 서양식 사용은 기독교적 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캘빈의 "신만이 그의 진실을 인식하도록 우리 마음을 일깨우는 유일한 존재"이다[15].
19세기 초 Bodhi는 "지능"으로 번역되었다[15].
계몽이라는 용어는 1835년 프랑스 기사를 영어로 번역한 것으로 처음 사용되[16]었고,'계몽'이라는 용어의 최초 기록은 아시아 벵골 협회 저널에(1836년 2월)사용되었다.
1857년에 타임지는 부처를 위해"환영 받는 자"라는 용어를 짧은 기사로 사용했고,
그 다음 해에 맥스 뮐러가 다시 인쇄했다[17].
그 후,
용어의 사용은 진정되었지만,
독일 워크숍의 맥스 뮐러의 칩 출판과 함께 다시 나타났는데,
이 책에는 타임지의 전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책은 1969년에 "derErleuchtete"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독일어로 번역되었다[18].
막스 뮐러는 자연 종교를 믿는 실존 주의자였으며 종교를 인간의 타고난 능력으로 보았다[19].
"계몽주의"는 단순한 신화와 구별되는 자연적인 종교적 진실을 담아내는 수단이었다[20][note 1].
1870년대 중반에 부처를 "계몽된 "이라고 부르는 것이 보편화되었고
188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계몽된 "과 "계몽된 "이라는 용어가 영국 문학을 지배했다[17].
관련 용어
시야에 보이는,
보이는 곳에서
보리수
보디어(산스크리트어,
팔리)는 언어의 뿌리에서 "이해하기 위해"는 문자 [21]그대로" 일어나 이해한 것"을 의미합니다[22].
요하네스 브론 코스트[23],
틸먼 베터,
[24]칼 노먼에 따르면 [25]보디보디는 처음에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보디를 얻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혀 분명하지 않다.
우리는 보디의 "계몽"이라는 번역에 익숙해 있지만,
이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당나귀이 무엇을 깨달았는지,
혹은 언제 깨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26].
노먼의 말에 따르면 보디는 기본적으로 다야나의 관습 때문에 니바나가 얻어진 지식을 의미하는 것일 수 [27][28]있다고 합니다[25][24].
원래는 "프라즈나"만 언급되었을 수도 있고[23],
틸먼 베터는 심지어 도야나 자체가 자유롭게 느껴진다고 결론을 내리기도 했는데,
4번째 콰나르에서는 고통의 기쁨의 끈이 완벽한 지혜나 통찰력을 얻는 것이 아니었다[24].
곰브리치는 또한 통찰력에 대한 강조는 나중의 발전이라고 주장한다[29].
Theravada불교에서 Bodhi는 깨달음의 4단계를 실현하고 Arahant가 되는 것을 가리킨다[22].
Theravada불교에서 Bodhi는 최고의 통찰력,
그리고 구출로 이어지는 네가지 고귀한 진리의 실현과 같다[22].
니아나틸로카에 따르면
(뇌신경을 통해)타락한 자들에 의해 잠이나 혼수 상태에서 깨어나 네 귀족 나무들을 이해한다[21].
이러한 4가지 고귀한 진리를 가진 보디 방정식은 인도의 종교적 사상 내의 발전에 대응하여 나중에 발전한 것인데,
자유로운 통찰력이 해방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23][24].
부처의 자유로운 통찰력으로서의 네가지 고귀한 진리는 결국 12배나 되는 인과 사슬인 프라티 타마무타다로 대체되었고,
그 후에도 여전히 자아의 공허함인 아나타로 대체되었다[23].
마하야나 불교에서 보디는 프라즈나,
부처님에 대한 통찰력과 같습니다[30].
이것은 절대 및 상대의 비평등도의 실현과 같다[30].
Prajna
주요 기사:프라주나(불교)
Theravada불교에서 Pannis는 "이해","지혜","통찰"을 의미한다[31].
인사이트는 아니카 듀카와 아나타 등 3개의 존재를 파악하는 비파사나(vipassana)와 같다[31].
통찰력은 계몽과 열반의 네 단계로 이끈다[31].
마하야나 불교에서는 산스크리트어는 "통찰력"또는"지혜"를 의미하며,
순야타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찰력의 달성은 종종"깨달음"의 달성으로 여겨진다[32][need quotation to verify].
Wu
우변은 초기 통찰력을 뜻하는 중국어이다[3].
겐쇼와 사토리
켄소와 사토리는 선종류에서 사용되는 일본어이다.
켄지는 "본성을 들여다보는 것"을 의미해요 켄 이 말하는 " 보는 것","자연","본질","[33]c.K.Buddha-nature"를 의미합니다.
사토리(일본어)는 켄쇼와 자주 교류하지만 켄세이의 경험을 가리킨다[33].
린자이의 전통은 켄소가 버드 후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지만,
버드 후드를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동 아시아 불교는 불교에 대한 통찰력을 강조한다.
이 용어는 모든 지각 있는 사람이 부처가 될 수 있는 내재적인 잠재력인 "부처의 자궁"이라는 인도의 태타가들의 생각에서 유래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idealaya vijana의 Yogacara-idea와 통합되었고,
중국 불교에서 더 발전되었고,
그것은 인도 불교와 중국 고유의 생각을 통합했다.
부처님은 각성의 가능성과 현실의 전체,
절대적이고 상대적인 것의 역동적인 통합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 자각 운동에서 관찰자와 관찰자는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 상호 의존적인 실체임을 깨닫는다[34][35].
지식.
비드야라는 용어는 우리를 윤회의 굴레에 묶어 주는 아비야,
무지함 또는 무지함과 대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하사카카 수타[note 2]는 부처가 얻은 세가지 지식을 설명합니다[36][37][38].
그의 과거 삶에 대한 통찰력
카르마와 환생의 작용에 대한 통찰력
네가지 귀족 전통에 대한 통찰력
브론크 허스트에 따르면,
처음의 두가지 지식은 나중에 추가되는 반면,
네가지 진실에 대한 통찰력은 Dhyana의 관행에 대해"자유로운 통찰력"이 강조되었던 종교적 전통을 화합시킨 것에 대한 반응으로,
나중의 발전을 나타낸다[23].
자유
"moksha"라고도 불리는 비무티는 "자유",[39]"해방",[39][note 3]"구제"을 의미합니다[40].
때때로'마음의 해방'과 '이해에 의한 해방'을 구분하고 있다[41].
불교 전통은 두가지 종류의 cetomutti를 인식하는데,
하나는 일시적이고 하나는 영구적이며,
마지막은 panna-vimutti와 같다[41][note 4].
요가카라는 "기초의 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43].
...
놀라게 하거나,
돌아서게 하거나,
아니면 다시 원래의 순수함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
마음은 비차별적이고,
비차별적이고,
비차별적인 상태로 돌아간다.[44]"
Nirvana
소돔은 해방과 같은 불안한 감정을 발산하는 것이다[web 1].
이 용어를 지속적으로 번역한 맥스 뮐러의 노력 덕분에 19세기에 "깨달음"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45].
부처님의 자각
부다후드
세가지 유형의 Buddha가 인식됩니다[46].
아르하트는 부처의 가르침을 따라 소돔에 도착하는 사람들이다[46].
때때로 이런 종류의 깨어 있는 사람을 지정하기 위해 시르바카부다(Pali:Sivakabuddha)라는 용어가 사용된다[citation needed].
Pratyekabuddhas(Pali:Paccahddhas)는 영적인 가이드와 선생님의 도움 없이 스스로 현실화하여 소돔에 도착하는 사람들이지만,
달아르마를 가르치지는 않는다[46].
흔히 부처라고 불리는 삼각삼부다(팔마 삼부다)는 자신의 노력과 지혜로 열반에 이르러 다른 사람들에게 솜씨 있게 가르친다[46].
부처로 알려진 싯다르타 가우타마는 사마카사부비,"완벽한 부처님"혹은"최고의 완벽한 깨달음"으로 알려진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47].
불교의 다양한 전통에서 불교 용어는 다소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부처를 일컫는 동등한 말은 "thusgone"이라는 타타가타이다.
부처님으로 가는 길은 다양한 불교 전통에서 다소 다르게 이해된다.
부처의 자각
일반 계정
테라바다 전통에 보존되어 있는 불교 경전인 수타피타카에는 부처의 해방 달성이 이야기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몇개의 문헌이 있다[48][49][note 5].
아리야파리야 수타(마치마 니카야 26)는 부처가 알라 라마와 우다카 라마푸타의 가르침에 불만을 품고 마가단 지방을 더 돌아다녀 본 뒤,
노력하는데 도움이 되는 "마음에 드는 땅"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경전은 그가 니바나를 얻었다고만 말한다[50].
바나파타 수타(마자히마 니카야 17)[51]에서 부처는 정글에서의 삶과 깨달음의 달성을 묘사하고 있다.
마하사카카 수타(마차히마 니카야 36)는 그가 포기한 금욕 생활을 묘사하고 있다.
그 후에 그는 자발적인 상태인 stateana를 기억했고,jhana-연습을 시작했다.
두마리의 수트라는 모두 정신의 혼란을 없애고 정신의 집중을 얻은 후에 어떻게 세가지 지식을 얻었는지를 말한다[36][37][38].
그의 과거 삶에 대한 통찰력
카르마와 환생의 작용에 대한 통찰력
네가지 귀족 전통에 대한 통찰력
네개의 귀족들에 대한 통찰력은 여기서 각성이라고 불린다[37].
그 수도사는 "...속박으로부터 구속되지 않은 최고의 안전을 얻었다"고 말했다[52].
각성은 또한 고통이 끝나고 더 이상의 부활이 일어나지 않는 열정의 소멸인 열반의 동의어로 설명된다[53].
이러한 해방에 대한 통찰은 다음과 같습니다:"지식은 내게 생겼고,
통찰력은:나의 자유는 확실하고,
이것은 나의 마지막 탄생이고,
이제 부활은 없다.[53]"
비판적 평가
[note 6]슈미타우젠 박사는 루파 자자의 명인을 거쳐 얻은 자유로운 통찰력을 구성하는 4가지 고귀한 진리에 대한 언급은 마자히마 니카야 36등의 본문에 추가된 것이라고 지적했다[54][23][24].
Bronkhorst는 다음과 같이 인식한다.
...네명의 귀족들을 포함한 설명들은 네명의 다야나와 그 선동자들의 파괴를 포함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해방의 과정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55].
그것은 이러한 설명들의 신뢰성,
그리고 초기 불교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인 Dhyana와 통찰력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24][23][29].
원래는 프라즈나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자유로운 통찰"이 네개의 아바나에 의해 선행되었던 교과서들의 네개의 진실에 의해 대체되었다[56].
또한 Bronkhorst는 이러한 "자유로운 통찰력"에 대한 개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발되었다고 본다.
반면에 원래,
나중에 4가지 진실이 제공되는 것에 명시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나중에,
pratityasamutpada로 대체될 수도 있고,
히나야나 학교에서는 실질적인 자아나 개인의 존재에 대한 불확성의 원칙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57].
슈미타우젠 박사는 이"자유로운 통찰"에 대한 다른 묘사들이 불교 경전에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다섯개의 스칸다스가 영구적이고,
불쾌하며,
자기 자신에 속하지도 않는다"[note 7],"다섯개의 스칸다스의 발생과 소멸(우다야바야)",[note 8]"스칸다가 빈(리타카),
공허함(투카카)으로 현실화되고,
중과성(아사카)이 없는(아사카(아사카[note 9][58])
이러한 대체와 그 결과를 보여 주는 예로,
마차마 니카야 36시 42분 43초가 있는데,
이것은 부처의 자각을 설명해 준다[59].
보디·버드 후드의 이해
보디라는 용어는 여러 학교에서 불교 사상이 발전하는 동안 다양한 의미와 함축을 얻었다.
초기 불교
주요 기사:초기 불교
초기 불교에서 보디는 일종의 다른 은유를 사용해서 통찰력을 묘사하고 있을 뿐이며,
이는 lobha(탐욕),
dosa(증오),
moha(망상)의 소멸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소승 불교
참고 항목:비반응적이고 명쾌한 인식
테라바다 불교에서 보디와 열반은 탐욕,
증오,
망상에서 해방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Theravada불교에서 Bodhi는 깨달음의 4단계를 실현하고 Arahant가 되는 것을 가리킨다[22].
Theravada불교에서 Bodhi는 최고의 통찰력,
즉 네가지 고귀한 진리를 실현하는 것과 같으며,
이것은 구출로 이어진다[22].
완전히 자각한다는 것은 니르바야에 도달한다는 뜻이다[web 2].
니르바다를 공격하는 것은 테라바다와 다른 항이의 궁극적인 목표이다[web 3].
그것은 10개의 족쇄를 벗는 것과 두카하 또는 고통의 중단을 포함한다.
본격적인 자각은 4단계에 도달한다.
니아나틸로카에 따르면
(뇌신경을 통해)타락한 자들에 의해 잠이나 혼수 상태에서 깨어나 네 귀족 나무들을 이해한다[21].
1980년대 이후로,
서부 테라바다 지향적인 교사들은 통찰력의 우위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타니사로 바이쿠에 따르면,
jhana와 vipassana는 통합된 관습을 형성한다[60].
Polak과 Arbel은 Vetter와 Bronkhorst와 같은 학자들을 따라 올바른 노력을 c.4개의 올바른 노력을 하고,
해로운 상태와 건전한 상태의 생성으로 야기되는 것을 예방하고,
마음의 집중력을 가지고,
Dhyana가 이끌어 내는 통찰력을 일깨우는 통합된 관행을 형성한다고 주장한다.
"비반응적이고 명쾌한 "areness" [62][61]"
대승 불교
주요 기사: 대승 불교
Mahayana-thought에서 Bodhi는 윤회와 열반의 극복과 주체와 개체의 통합의 실현이다[63].
이것은 프라즈나,
부처님을 실현하는 것,
순야타를 실현하는 것,
그리고 겸손함을 실현하는 것과 비슷하다[63].
시간이 지나자,
부처의 자각은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통찰과 확신 대신에 즉시 완전한 깨달음과 해방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어떤 선종의 전통에서는 이러한 완벽함이 다시 재현되기도 했다;한 현대 선종의 한 명인에 따르면,"부처님과 보살님은 아직도 수련을 하고 있다[64].
마하야나는 깨어난 존재의 세가지 형태를 이야기한다[65].
Arahat-자신을 위한 해방[note 10];
보살- 살아 있는 존재를 위한 해방;
완전한 버디 후드.
다양한 마하야나 학교 안에는 다양한 추가적인 설명과 해석이 존재한다[63].
마하야나 불교에서는 보살이 가장 이상적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부처님의 독립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해방이다.
하지만 마하야나 불교는 또한 자유를 향한 인간의 길을 돕는 다양한 종류의 불교와 붉은 머리를 가진 우주론을 발전시켰다.
Nichiren불교는 Buddhahood를 모든 것의 현실인 영원하고 궁극적인 진리에 깨어 있는 완벽한 자유의 상태로 여긴다.
이 최상의 삶의 상태는 무한한 지혜와 무한한 연민으로 특징 지어진다.
이 책은 모든 생명체의 잠재력을 보여 주고 있다[66].
부처
태타가타 가르와 부처님의 교리에서 보디는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우며,
순수한 마음의 상태와 동등하게 됩니다.
보디는 보살의 생애의 마지막 목표입니다.
보디는 순수한 보편적이고 즉각적인 지식으로 모든 우주와 모든 생명체와 구성 요소들을 조건부로 조건부로 다루지 않습니다.
그것은 절대적이고 현실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것은 Tathata이다.
보디는 완벽하고 개념이 없으며 외부의 물체가 아니기 때문에 산만한 생각으로 이해할 수 없다.
그것은 시작도 중간도 끝도 없고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것은 비극이 아니다[...]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Yogin에 의한 Samadhi를 통해서이다[67].
이러한 교리들에 따르면 보디는 항상 마음 속에 있지만,
결함들을 제거할 것을 요구한다.
이 비전은 천가경과 우타라탄트라 등의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신곤 불교에서는 보디의 상태가 자연스럽게 마음 속에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것은 인지하는 주제와 지각하는 물체 사이에서 구분되는 것이 없는 자연스러운 순수한 상태이다.
이것은 또한 요가카라 불교에서 발견된 보디의 이해입니다.
이러한 비평등도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인지적 대상과 인지적 대상으로 분리된 것을 제거함으로써 마음의 본질적인 자연 상태를 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 생각되는 사물을 인지함으로써 마음의 본질을 알 수 있다.
요가카라의 정의와 일치합니다 공허함(순냐타)은 가상의 분열이 없는 것[68]입니다
금강 역사의 다양한 용어와 의미의 조화
마하야나 불교가 발전하는 동안 보디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이 계속해서 구체화되고 있었다.
다양한 용어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금강 역사의 불교 평론가인 Buddhaguhya는 다양한 용어들을 동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공허함(순야타)을 고상함(tathata)으로 정의하고,
고상함은 계몽이라는 마음의 본질적인 본성(svabhava)이라고 말합니다.
게다가,
그는 종종 수줍음(tathata)이라는 용어와 수크니스 인식(tathata-aana)이라는 용어를 서로 바꿔 사용한다.
하지만 인식(anana)이 비관련적이기 때문에,
기술-인식은 조심성에 대한 인식이라기보다는 조심성에 대한 인식입니다.
다시 말해,'기계 의식'이라는 용어는 기능적으로 계몽주의와 같은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부처에 대한 자각이나 완벽한 깨달음이 마하바이로카나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그 본성의 본질은 마하바이로나이다.
그는 사람이 완벽하게 깨달음을 얻으면" 되는 "사람이 된다(또는 그 반대가 된다[68].
서양의 계몽에 대한 이해
다음 항목도 참조: 불교의 모더니즘,
초절론,
페레니얼 철학
서양에서는 깨달음의 개념이 낭만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4][5][6][7].
그것은 자기 실현과 진정한 자아와 동의어가 되었으며,
사회적 조건에 의해 덮어 지고 있는 실질적인 본질로 간주되고 있다[4][5][6][7].
오프프플레롱 역의 계몽주의
계몽이라는 서양 단어의 사용은 보디와 Aucklarrrung의 유사성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 세계의 진정한 본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이성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실,
계몽 운동보다는 낭만 주의와 더 많은 유사점들이 있습니다.
감정,
직관적 통찰력,
외모 세계를 넘어선 진정한 본질에 중점을 두는 것입니다[69].
우스꽝스러워
이와 동등한 용어인 "각성"은 미국의 종교 역사에서 몇번의 종교적 부흥 기간인 기독교적 맥락에서도 사용되어 왔다.
역사가들과 신학자들은 18세기 초와 19세기 후반 사이에 발생한 종교적 열광의 3,4개의 물결을 확인한다.
이러한 각각의 " 위대한 각성"은 복음 주의 개신교 목사들이 주도하는 폭넓은 활동,
종교에 대한 관심의 급격한 증가,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확신과 구원의 깊은 느낌,
복음 주의 교회 회원의 증가,
그리고 새로운 종교 운동과 종파의 형성으로 특징 지어졌습니다.
낭만 주의와 초월 주의
시간을 초월하고 초월적인 현실에 대한 통찰력으로서 계몽에 대한 로맨틱한 생각은 특히 D에 의해 대중화되어 왔다.
T.
스즈키[web 4][web 5].
더 대중화된 것은 하인리히 뒤무린의 글 때문이었다[70][71][web 6].
듀몰린은 형이상학을 마하야나 불교에 의해 표현된 초월적인 진리의 표현으로 보았으나,
아나타를 강조하는 가장 오래된 불교의 실용적인 분석으로는 표현되지 않았다[72].
이 로맨틱한 시각은 켄 윌버의 작품에서도 알아볼 수 있다[73].
가장 오래된 불교에서는 이러한 본질 주의를 인식할 수 없다[74][web 7].
비평가들에 따르면,
그것은 실제로 불교에 대한 진정한 통찰력에 기여하지 않는다[web 8].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교 심리학적 분석의 목적이 인간의 마음 속에 숨겨진 미스터리를 드러내는 것이며 이를 통해 언어적 표현의 범위를 넘어서는 초월적인 의식의 상태를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진부한 진부한 표현 속에서 일한다[75].
계몽과 경험
서양 문화에서 흔히 언급되는 것은 "깨달음의 경험"의 개념이다.
이러한 생각은 윌리엄 제임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윌리엄 제임스는 그의 책"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 "종교적 경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76].
웨인 프루 우드는 "종교적 경험"이라는 개념의 뿌리를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종교는 무한한 감정을 바탕으로 한다고 주장하는 독일의 신학자 프리드리히 슐레이어 마허(1768-1834)가 주장한 것이다.
슐레이어 마허는 종교를 과학적이고 세속적인 비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종교적 경험"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그것은 초월 주의자들에 의해 보급되었고,
선교사들을 통해 아시아로 수출되었다[77].
초월 주의는 18세기 합리 주의,
존 로크의 감각 주의 철학,
그리고 뉴 잉글랜드 칼비니즘의 권위에 대한 반발로 발전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베다스,
우와니샤,
바가바드 기타,
다양[78]한 종교,
독일 이상주의와 같은 힌두교 서적들과 같은 다양한 출처들이다[79].
그것은 많은 종교 학자들에 의해 채택되었는데,
그 중에서 윌리엄 제임스가 가장 영향력이 있었다[80][note 11].
"경험"이라는 개념은 비판 받아 왔다[5][84][85].
로버트 샤프 씨는 "경험"은 전형적인 서구 용어로 서구의 영향력을 통해 아시아의 종교 의식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지적합니다[5][note 12].
경험의 개념은 경험자와 경험자 사이의 이중성의 잘못된 개념을 도입하는 반면,
켄소의 본질은 관찰자와 관찰된 "비평등성"의 실현이다[87][88].
"순수한 경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모든 경험은 지적이고 인지적인 활동에 의해 조정됩니다[89][90].
특정한 전통의 구체적인 가르침과 실천은 심지어 누군가가 어떤"경험"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이"경험"이 가르침의 증거가 아니라 가르침의 결과라는 것을 의미합니다[91].
모르 교수에 따르[note 13]면,
로맨틱한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에 따르면,
개념 없는 순수한 의식은 일관성 없는 감각 입력의 엄청난 혼돈이 될 것이라고 한다[93].
보디 데이
Sakyamuni의 각성은 Bodhi의 날에 기념된다.
스리랑카와 일본에서는 이 기념식에 다른 날들이 사용된다.
스리랑카의 Theravada전통에 따르면,
Sakyamuni는 5월 보름달에 있는 Buddhahood에 도달했다.
이것은 5월 보름달인 WesakPoya에서 SambuddhatvaJayanthi로 기념된다[web 9].
선종의 전통은 부처가 12월 8일에 결정적인 통찰력을 얻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8일 간의 매우 집중적인 로하쓰 세션과 함께 선 수도원에서 거행된다.
참고 항목
불교와 심리학
불교 철학
계몽주의(정신적)
Hongaku
일루미네이션 주의
Subitism
지혜는.
● From 대만불광사전
보리
【菩提】 p5198-中≫
<一>梵語 bodhi,
巴利語同.
意譯覺․
智․
知․
道.
廣義而言,
乃斷絶世間煩惱而成就涅槃之智慧.
卽佛․
緣覺․
聲聞各於其果所得之覺智.
此三種菩提中,
以佛之菩提爲無上究竟,
故稱阿耨多羅三藐三菩提,
譯作無上正等正覺․
無上正遍智․
無上正眞道․
無上菩提.
有關佛之菩提,
據大智度論卷五十三載,
有五種 : (一)發心菩提,
謂十信菩薩發心求菩提,
其心則爲至菩提果之因.
(二)伏心菩提,
謂十住․
十行․
十回向等階位之菩薩行諸波羅蜜,
制伏煩惱,
降伏其心.
(三)明心菩提,
謂登地菩薩了悟諸法實相畢竟淸淨,
卽所謂般若波羅蜜相.
(四)出到菩提,
謂第八不動地․
第九善慧地․
第十法雲地等三階位之菩薩,
於般若波羅蜜中得方便力,
亦不執著般若波羅蜜,
滅除繫縛之煩惱,
出離三界,
到薩婆若(一切智),
故稱出到菩提.
(五)無上菩提,
謂等覺妙覺證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卽佛果之覺智.
以上合稱五種菩提.
又法華經論卷下於佛之法․
報․
應三身,
立法佛菩提(法身菩提)․
報佛菩提(報身菩提)與應佛菩提(應身菩提)等三種菩提.
大乘義章卷十八區分無上菩提爲方便菩提與性淨菩提兩種.
此外,
三菩提亦爲天台宗之十種三法之一,
卽 : (一)實相菩提,
又作
無上菩提.
悟實相理之眞性菩提.
(二)實智菩提,
又作
淸淨菩提.
悟契合理之智慧.
(三)方便菩提,
又作
究竟菩提.
悟自在敎化衆生之作用.
上之三者與法身․
般若․
解脫三德無別.
據往生淨土論載,
遠離 : (一)執著自我,
(二)不欲令一切衆生得安穩,
(三)僅求自己之利益等三種與菩提門相違之法.
稱爲三遠離心或三種離菩提障.
同書又列擧三淸淨心 : (一)不爲自己求安樂(無染淸淨心),
(二)除衆生苦而令其安樂(安淸淨心),
(三)令衆生赴菩提而豫其永遠之樂(樂淸淨心).
是爲三種隨順菩提門法之心.
以上皆須依賴智慧․
慈悲․
方便等三門始可令遠離或生起.
又求無上菩提之大乘修行者,
稱作菩提薩埵,
略稱菩薩.
求無上菩提之心,
稱作無上菩提心․
無上道意或菩提心.
順趣菩提三十七種之行品,
稱菩提分法.
佛成道之處所,
稱爲菩提道場․
菩提場,
其道場樹稱菩提樹.
祈祖先等成佛,
而修冥福,
稱爲增上菩提.
結講念佛,
廣祈衆生增進佛道,
稱爲菩提講.
檀那所屬之寺院,
稱爲菩提寺․
菩提所.
[菩薩地持經卷三無上菩提品․
大品般若經卷二十二․
菩提心經卷一․
舊華嚴經卷三十八․
卷五十二․
新華嚴經卷七十․
維摩經卷上․
大寶積經卷一․
卷二十七․
大智度論卷四十四․
成唯識論卷一]
<二>卽唐代時來華之菩提僊那.
(參閱「菩提僊那」5205)
보제
【普濟】 p5003-中≫
(1179~1253)宋代僧.
四明奉化人,
俗姓張.
號大川.
少卽沈厚,
探繹佛書.
年十九,
就香林院文憲剃度受戒,
修持戒律.
未久,
赴赤城,
學天台性具之理,
覺其非超生死之捷徑,
乃志於禪,
參見天童無用,
一意打坐,
不出僧堂.
後往參浙翁如琰,
言下相契,
遂依止之.
後如琰移居四明天童山,
師亦隨住,
主管經藏.
時丞相史忠獻王,
欽仰師之德風,
延請住大慈報國寺,
後移住臨安淨慈光孝寺,
更住景德靈隱寺.
居二年,
乃撰五燈會元二十卷.
後得疾,
請退而不獲允許.
臨終,
誡厚葬,
命遺骨投江.
南宋理宗寶祐元年正月十八日示寂,
世壽七十五.
弟子七十餘人.
有大川普濟禪師語錄一卷行世.
[靈隱大川禪師行狀․
續傳燈錄卷三十五․
五燈嚴統卷二十二]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菩提
【術語】 Bodhi,
舊譯為道,
新譯為覺。
道者通義,
覺者覺悟之義。
然所通所覺之境,
有事理之二法,
理者涅槃,
斷煩惱障而證涅槃之一切智,
是通三乘之菩提也,
事者一切有為之諸法,
斷所知障而知諸法之一切種智,
是唯佛之菩提也,
佛之菩提,
通於此二者,
故謂之大菩提。
智度論四曰:
「菩提名諸佛道。
」同四十四曰:
「菩提,
秦言無上智慧。
」注維摩經曰:
「肇曰:
道之極者,
稱曰菩提,
秦無言以譯之。
菩提者,
蓋是正覺無相之真智乎。
」止觀一曰:
「菩提者,
天竺音也,
此方稱道。
」大乘義章十八曰:
「菩提胡語,
此翻名道。
果德圓通,
名之為道。
」安樂集上曰:
「菩提者,
乃是無上佛道之名也。
」唯識述記一本曰:
「梵云菩提,
此翻為覺。
覺法性故,
古云菩提道者非也。
」
● From 三藏法數
菩提
梵語菩提,
華言道。
即諸佛所得清淨究竟之理也。
以其無滅無生,
不變不遷,
是為常住果。
● From yusig
菩提
梵語bodhi,
意譯覺、
智、
知、
道。
廣義而言,
乃斷絕世間煩惱而成就涅槃的之智慧。
即佛、
緣覺、
聲聞各於其果所得的覺智。
此三種菩提中,
以佛之菩提為無上究竟,
故稱阿耨多羅三藐三菩提,
譯作無上正等正覺、
無上正遍智、
無上正真道、
無上菩提。
《大智度論》卷四曰:
‘菩提名諸佛道’。
卷四十四曰:
‘菩提,
秦言無上智慧。
’這是照見法性――真如的最高真理的智慧。
⑥-5198■불광사전
hbfl--06_Ba_0537.TIF
● From engkordict
菩提
[명사]〈불교〉 보리(범 bodhi).
정각(正覺).
菩提心; 불과(佛果)를 얻을 수 있도록 기원하는 마음
● From BUDDHDIC
菩提
ボダイ
(term) enlightenment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보제
【菩提】華譯爲覺,
是指能覺法性的智慧說的,
也就是漏盡人的智慧.
→4448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菩提
bodhi (बोधि);
From budh (बुध्); knowledge,
understanding; perfect wisdom; the illuminated or enlightened mind; anciently intp.
by 道,
later by 覺 to be aware,
perceive; for saṃbodhi (सṃबोधि) v.
三.
● From 法相辭典
菩提
★瑜伽三十八卷一頁雲:
雲何菩提?謂略說、
二斷二智、
是名菩提。
二斷者:
一、
煩惱障斷。
二、
所知障斷。
二智者:
一、
煩惱障斷故;畢竟離垢、
一切煩惱不隨縛智。
二、
所知障斷故;于一切所知、
無礙無障智。
● From English Wiktionary
Contents
1 Chinese
1.1 Etymology
1.2 Pronunciation
1.3 Noun
1.3.1 Derived terms
2 Japanese
2.1 Etymology
2.2 Pronunciation
2.3 Noun
2.3.1 Derived terms
2.3.2 Idioms
2.3.3 Descendants
2.3.4 See also
2.4 Proper noun
2.5 Compounds
2.6 References
Chinese:
phonetic
simp.
and trad.
(菩提)
菩提
Etymology:
Borrowed From Sanskrit बोधि (bodhi).
菩提
(Buddhism) bodhi,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at finally ends the cycle of death and rebirth and leads to nirvana
Short for 菩提樹/菩提树 (pútíshù, “bodhi tree”).
Short for 菩提子 (pútízǐ, “bodhi seeds; bodhi beads”).
Derived terms:
三藐三菩提 (sānmiǎo sānpútí)
提子 (tízi)
菩提子 (pútízǐ)
菩提樹/菩提树 (pútíshù)
菩提正道菩薩戒論/菩提正道菩萨戒论
菩提流志
菩提流支
菩提迦耶
菩提道次第廣論/菩提道次第广论
菩提道燈論/菩提道灯论 (Pútí Dào Dēng Lùn)
菩提達摩/菩提达摩
葡提子
Japanese:
[동음이의어]
보리
학명 Hordeum vulgare
보리(영어:barley)는 벼목 벼과 보리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식물이다.
쌀보리와 구분해 겉보리로 부르기도 한다.
맥주의 재료이다.
보리는 서기전 7000년에 이미 야생종이 재배되었다고 하며,
서기전 3000년경부터는 아프리카 고대 왕조의 유적에서 육조종이 발견되고 있다.
목차
1 생태
2 분류
3 용도
4 성분
5 사진
6 외부 링크
생태:
줄기 속은 비어 있고,
높이는 1m 정도로 자란다.
일반적으로 가을에 심어 다음해 봄에 수확한다.
원줄기는 속이 비고 원주형이며 마디가 높고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선상 피침형으로 너비 10-15mm이다.
꽃은 4, 5월에 핀다.
분류:
보리는 열매껍질이 씨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느냐,
쉽게 떨어지느냐에 따라 크게
껍질보리(겉보리)와 쌀보리로 구분한다.
겉보리가 추위에 더 잘 견딘다.
겉보리는 주로 영남에서,
쌀보리는 주로 호남에서 많이 재배된다.
또 열매에 줄이 두 개 있는 두줄보리와
여섯 개 있는 여섯줄보리 등으로 구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5-6세기 것으로 보이는 여섯줄보리의 일종인 껍질보리가
경기도 여주군에서 출토된 바 있어,
오래전에 중국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쌀보리는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여겨지는데
껍질보리에 비해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하다.
보리는 춘·추파성 및 내한성의 정도에 따라 겨울보리가 대부분이고
봄보리는 겨울이 지나치게 추워서 겨울보리의 재배가 어려운 경기 북부,
강원도 및 중부 산간지대의 일부에서 재배한다.
겉보리
쌀보리
용도:
질 좋은 보리는 낟알을 싹틔운 다음 말려서 맥아로 만든다.
맥아는 맥주, 위스키, 고추장, 엿기름, 식혜 등의 중요한 재료이다.
성분:
다른 맥류와 비교해 볼 때 보리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칼슘·인·철분 등의 무기질과 바이타민B (비타민B)가 풍부하다.
Encyclopædia Britannica 11 번째판 (1910–1911년)은 보리의 성분을 에른스트 폰 비브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보리'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100.daum.net/search/entry?q=보리
네이버백과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보리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보리
네이버한자 http://hanja.naver.com/search?query=보리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보리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보리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bodh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보리
네이버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보리
다음 http://search.daum.net/search?w=tot&q=보리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tistory.com/5710
■ 본 페이지 ID 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보리
http://buddhism007.tistory.com/12671
sfx--dict/보리.txt
----[다른 페이지에서 붙이기]---
‡보리
◈Lab value 불기2564/01/13/월/01:54 |
Artist: louis-comfort-tiffany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vekinja_(12).jpg
English: The Millennium Children's Park in Galway,
댓글내용 |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12671#1542
sfx--dict/보리.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1.txt ☞◆vbli1542 불기2564-01-13 θθ |
보조
03fl-nirvana\r106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