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Ver. 250111250111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증일아함경
- 백유경
- 금강삼매경론
- 원각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정법화경
- 장아함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Japan
- 유가사지론
- 마하승기율
- 대방광불화엄경
- 마명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유마경
- 대지도론
- 가섭결경
- 잡아함경
- 묘법연화경
- 대반열반경
- 아미타불
- 방광반야경
- 중아함경
- 종경록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유마힐소설경
- 무량의경
Archives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불기2565-01-07_종경록-K1499-096 본문
『종경록』
K1499
T2016
제96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종경록』 ♣1499-096♧
제96권
❋본문
◎[개별논의]
○ 2018_1023_150429_can_ct8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9_1104_132809_nik_bw24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20_0910_131917_nik_bw24 속리산 법주사
○ 2020_0907_142103_nik_CT27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35430_nik_BW17 양산 통도사
○ 2019_0106_155740_can_bw4_s12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41826_can_bw0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9_1106_124102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211_134415_nik_CT38_s12 불암산 천보사
○ 2019_1104_101331_nik_exc 구례 화엄사
○ 2020_0910_120905_nik_CT28 속리산 법주사
○ 2019_1106_130651_can_AR35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8_170403_nik_CT27 합천 해인사 백련암
○ 2020_0904_132704_can_ct9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22614_can_bw24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20_1002_124542_can_AB23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211_133915_nik_CT28 불암산 천보사
○ 2019_1105_112435_nik_Ab31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24238_nik_bw24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4_112636_nik_bw24_s12 구례화엄사 구층암
○ 2019_1104_161642_can_Ab27 구례 쌍계부근
★2★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宗鏡錄卷第九十六 ...
K1499
종경록 제96권
연수 지음
송성수 번역
보살처태경(菩薩處胎經)에 이르되,
“마치 천원(泉源)이나 못이나 5하(河)의 물은 빨리 흐르고 저마다 이름이 있되
모두가 바다로 돌아가므로 본래는 이름이 없다.
또한 수미산(須彌山)이 우뚝 솟아서 움직이기 어렵되
여러 빛깔 지닌 새들이 그 산에 살게 되면
모두가 빛깔이 동일하게 되므로 본래는 빛깔이 없는 것처럼,
보살마하살이 중생을 교화하고
불국토(佛國土)를 깨끗이 하는 것도 역시 그와 같다.
중생이 심식(心識)에서 생각하는 바도 같지 않고 여러 가지 생각을 하되
모두로 하여금 해탈문(解脫門)에 이르게 하고,
무상정(無想定)에서 뜻이 소멸되므로
본래는 생각이 없어서 동일하게 해탈한다”고 했다.
십선업도경(十善業道經)에 이르되,
“그때,
세존이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모두 중생이 마음에서 생각함이 다르기 때문에 업(業)을 짓는 것도 다르다.
이 때문에 모든 갈래[趣]에 윤회함이 있느니라.
용왕아,
너는 이 모임과 큰 바다 속에서 형색과 종류가 저마다 다른 것을 보았느냐.
이와 같은 것들 모두는 마음으로 짓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 또 여기 대보살들의 아름다운 빛깔과 엄정한 것을 보라. ◂
모두가 착한 업과 복덕을 닦고 쌓아서 태어났느니라.
또 여러 하늘ㆍ용ㆍ8부중(部衆)들로서 큰 위세를 지닌 이들도 역시 착한 업과 복덕으로 인해서 나게 되었느니라.
지금 큰 바다 속의 모든 중생들은 형색들이 누추하고 혹은 크기도 하고 작기도 하지만,
모두가 자기 마음의 갖가지 생각에서 몸과 말과 뜻으로 여러 착하지 않은 업을 지은 탓이니라.
그러므로,
업을 따라 각자가 과보를 받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적조신변삼마지경(寂照神變三摩地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현호(賢護)에게 말씀하셨다.
‘적조신변삼마지란 온갖 법의 평등성지(平等性智)를 말하나니,
온갖 언설(言說)은 지혜를 현행하지 못하느니라.
나아가 마음의 지혜에 깨쳐 들어가면
마음의 제 성품에서 깨달음의 지혜를 능히 따르면서
이끌고 이끌지 아니하고 이끌어 내는 것 가운데서
선교(善巧)한 지혜를 이루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사자장엄왕보살청문경(師子莊嚴王菩薩請問經)에 이르되,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이와 같은 하나의 법은 마음을 따라 변하여 나타나는 것이니,
곧 여섯 가지 바라밀을 잘 구족하고 널리 설하여 중생을 교화하고
큰 이익을 위하면서 성불하기에 이르러야 하느니라’”고 하셨다.◂
‘이와 같은 하나의 법은 마음을 따라 변하여 나타나는 것이니,
곧 여섯 가지 바라밀을 잘 구족하고 널리 설하여 중생을 교화하고
큰 이익을 위하면서 성불하기에 이르러야 하느니라’”고 하셨다.◂
현겁정의경(賢劫定意經)에 이르되,
“만일 보살에게 평등삼매가 있으면
모든 감관이 구족하고 거룩한 지혜가 성취되나니,
이것을 한 마음[一心]이라고 한다”고 했다.
또 이르되
“선정에 있으면서 안팎에 집착하지 아니하면 역시 중간도 없나니,
이것을 한 마음이라고 한다”고 했다.
사리불다라니경(舍利弗陁羅尼經)에 이르되,
“한 마음으로 염불(念佛)만을 닦으면,
빛깔로써 여래를 보지도 아니하고 빛깔 없는 것으로써 여래를 보지도 아니하며,
몸매[相]로써도 보지 아니하고 잘 생김[好]으로써도 보지 아니한다.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으로써도 보지 아니하고
태어남으로써도 보지 아니하며
집안으로써도 보지 아니하고
성씨로써도 보지 아니하며 권속으로써도 보지 아니하느니라.
또한 제가 지은 것도 아니고 남이 짓는 것도 아니니,
만일 이렇게 할 수 있으면 염불이라고 하느니라”고 했다.
상주천자소문경(商主天子所問經)에 이르되,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마음을 청정하게 할 수 있습니까.” 대답했다.
‘천자여,
만일 모든 마음이 한 마음임을 알면,
이러한 보살은 마음이 청정하게 되었다 하느니라’”고 했다.
대승유전제유경(大乘流轉諸有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모든 법은 임시로 붙인 이름 뿐이어서
이름에 의지하여 성립했을 뿐이니
능전(能詮)인 언어를 여의게 되면
소전(所詮)도 있을 수 없는 것이다.
해석하여 보자.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법에는 이름이 있을 뿐이어서 이름으로 인하여 법이 성립된다.
또 이름은 언어에서 인하고
언어는 각관(覺觀)으로 인하며
각관의 마음이 일어나지 아니하면 주관ㆍ객관이 모두 다 ≺공≻해진다.
홍도광현정의경(弘道廣顯定意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또 세 가지의 일이 마음에서 생기느니라.
모든 법은 무상하되 그 마음으로부터 생기고,
모든 법은 모두가 괴롭되 역시 마음으로 말미암아 생기며,
모든 법은 ≺나≻가 없되 역시 마음으로부터 생기느니라.
또한 그 마음을 하나로 할 수 있으면
중생의 마음을 알게 되므로 행을 좇으면서 그를 교화하리니,
이것은 곧 마음의 힘이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아함경(阿含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나≻와 자기는 친한 것이지만
남과는 친하지 않는 것이니
지혜로운 이가 ≺나≻를 잘 조복하면
착한 갈래[善趣]에 나게 되느니라.
해석하여 보자.
그런 까닭에,
이르되 “천하에서 지극히 친한 것은 마음보다 더 지나간 것이 없다”고 했나니,
도(道)에 들어가는 참된 요로(要路)요 수행에서의 묘한 문[妙門]이라 할 것이다.
만일 잘 조복하게 되면 큰 과위[大果]에 빨리 오르게 된다.
그런 까닭에,
반야경(般若經)에 이르되,
“마음을 조복함이 장한 것이 되고,
마음을 조복하면 낙(樂)을 초래한다”고 했다.
잡장경(雜藏經)의 게송에도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마음은 능히 세간을 인도하고
마음은 능히 두루 섭수(攝受)하나니
이와 같은 마음은 하나의 법이라
모두가 자재하게 행을 따르느니라.
문수보살문법신경(文殊菩薩問法身經)에 이르되,
“마치 마니보(摩尼寶)로 지은 집에 네 개의 모퉁이가 있을 때
하나의 모퉁이에서 보아도 모든 모퉁이를 완전하게 다 본다고 함과 같나니,
그러므로 모든 본제(本際)를 보느니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만일 한 마음의 본제를 환히 안다면 무슨 법인들 통하지 않겠는가.
모든 법은 마음으로부터 생기는 바라 모두가 동일한 본제이다.
이 본제 안에 머무르면 하나하나가 원만해져서 눈을 들면 모두 그것이거니,
어찌 의사(意思)를 기다리겠는가.
지혜로도 알 수가 없고 말로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금강의 보배 광[金剛寶藏]은 결함이 없다”고 한다.
상액경(像腋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갖가지가 허깨비라 진실이 없지만
범부인 사람들은 다르다고 보나니
이 가운데서는 다름이 없으므로
온갖 것이 동일한 모양이니라.
노모경(老姥經)에 이르되,
“눈으로 좋은 빛깔을 보는 이것이 곧 뜻[意]이요 뜻 이것이 곧 빛깔이다.
이 두 가지 것이 모두 ≺공≻하여서 아무 것도 없나니,
생기고 소멸함 또한 그와 같느니라”고 했다.
무소희망경(無所希望經)에 이르되,
“그때에 사리불이,
모인 여러 대중들의 마음에서 생각하는 것을 알고는 즉시 그 여러 비구들에게 말하였다.
’어진 이들이여,
무엇 때문에 ≺우리들의 몸은 지금 이후로는 부처님ㆍ세존이 안 계시게 된다.
때문에 외도[異學]를 좇아 가서 사문이 되겠도다≻라고 하십니까.‘
그때에 여러 비구들은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우리는 지금부터 6사(師)를 공경하고 섬기겠습니다.
온갖 돌아갈 바는 하나의 모양일 뿐이므로 6입(入)에 기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러 스승들을 보지 않겠으며 출가와 사문도 생각치 않겠습니다”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6입에 기대면서 차별을 삼으면 망녕되이 삿됨과 바름[邪正]이 분리될 것이요,
한 모양에 돌아가면서 근본을 삼으면 그와 내가 둘 다 없어지리니,
이렇게 이해하면 참된 출가라 할 것이다.
적조음소문경(寂調音所問經)에 이르되,
“적조음천자가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어떠한 여(如)가 더러움과 깨끗함이 평등합니까.’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공≻ㆍ모양 없음[無相]ㆍ소원 없음[無願]의 여니라.
무슨 까닭이냐 하면,
열반은 ≺공≻하기 때문이니라.
천자여,
마치 질그릇 속의 빈 것과 보배 그릇 속의 빈 것은 둘도 없고 구별이 없는 것과 같느니라.
그와 같아서 천자여,
더러움의 ≺공≻과 깨끗함의 ≺공≻은 모두가 동일한 ≺공≻이어서 둘도 없고 구별도 없느니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그릇이 비록 갖지는 아니하나 ≺공≻한 것은 본래 형상이 없으며,
더러움과 깨끗함은 비록 다르나 성품이야 어찌 다르겠는가.
이렇게 분명히 아는 이는 모양 없음의 문에 들어가
진공(眞空)을 단번에 깨치면서 수행과 증득함에 떨어지지 않으리라.
▸ 월장경(月藏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모든 법에는 둘이 없으며
길잡이[導師]는 미움과 사랑을 버린다
하나의 도(道)는 허공과 같나니
이것이 바로 부처의 경계니라.
또 게송에서 말했다.
모든 법을 분별하지도 아니하고
중생이 있다고 보지도 않으면서
모든 법이 하나의 모양뿐이면
부처의 경계를 보게 되느니라.◂
모든 법에는 둘이 없으며
길잡이[導師]는 미움과 사랑을 버린다
하나의 도(道)는 허공과 같나니
이것이 바로 부처의 경계니라.
또 게송에서 말했다.
모든 법을 분별하지도 아니하고
중생이 있다고 보지도 않으면서
모든 법이 하나의 모양뿐이면
부처의 경계를 보게 되느니라.◂
불어경(佛語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만일 처소의 말[處語]이 있으면 이것은 악마 왕의 말이요
이것은 악마 소견의 말이므로 부처님 말[佛語]이라 하지 않느니라.
선남자야,
만일 온갖 처소의 말이 없다면 이것을 부처님 말이라 하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온갖 처소의 말이 없다’란
바로 소증(所證)의 법이 없으므로 역시 능증(能證)의 지혜도 없나니,
이미 법이 없거늘 어찌 말할 만한 것이 있겠는가.
다만 유심(唯心)임을 알면 저절로 말이 없고 말이 없으면 이것이 참된 말이기 때문에
‘말할 만한 법이 없다’고 하며 이것을 법을 말함이라고 한다.
만일 처소에 집착하거나 말할 바가 있다면 모두가 본종(本宗)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법 성품[法性]을 보지 못하나니,
마치 “보신(報身)ㆍ화신(化身)은 참 부처님이 아니요 또한 법을 설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한 것과 같다.
잡장경(雜藏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마치 세간에 어진 의사 있어서
묘한 약으로 병을 구제하듯
모든 부처님 또한 그와 같아서
중생들을 위하여 유심임을 설하시네.
대승이취경(大乘理趣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온갖 함이 있는 법[有爲法]은
마치 건달바성(乾達婆城)과 같거늘
중생이 허망한 마음으로 취하나니
나타나나 실제로 있는 것 아니다.
▸ 모든 법은 인연으로 생긴 것도 아니고
인연이 없이도 생긴 것 아니며
허망한 분별에서 있게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유심임을 설하느니라.
무명인 망녕된 생각과 소견은
빛깔과 모양의 원인이니
장식(藏識)을 의지처로 삼아
인연 따라 뭇 형상 나타내느니라.
이것은 눈에 흐림이 있어서
망녕되이 공중의 꽃을 봄과 같나니
습기(習氣)는 마음을 흐리게 하고
이로부터 3유(有)가 나타나느니라.
안식(眼識)은 아뢰야(阿賴耶)의 식에 의지하여
갖가지 빛깔을 나타내는 것이니
마치 거울 속의 형상과 같아서
분별해도 바깥에 있지 아니하니라.
보는 것 모두가 자재하여서
항상함도 아니고 단절함도 아니니
아뢰야식에서 변하는 바를
세간에서 능히 나타내느니라.◂
인연이 없이도 생긴 것 아니며
허망한 분별에서 있게 되는 것이니
그러므로 유심임을 설하느니라.
무명인 망녕된 생각과 소견은
빛깔과 모양의 원인이니
장식(藏識)을 의지처로 삼아
인연 따라 뭇 형상 나타내느니라.
이것은 눈에 흐림이 있어서
망녕되이 공중의 꽃을 봄과 같나니
습기(習氣)는 마음을 흐리게 하고
이로부터 3유(有)가 나타나느니라.
안식(眼識)은 아뢰야(阿賴耶)의 식에 의지하여
갖가지 빛깔을 나타내는 것이니
마치 거울 속의 형상과 같아서
분별해도 바깥에 있지 아니하니라.
보는 것 모두가 자재하여서
항상함도 아니고 단절함도 아니니
아뢰야식에서 변하는 바를
세간에서 능히 나타내느니라.◂
법 성품[法性] 모두가 평등하여
온갖 법의 의지할바며
장식은 한결같아 끊이지 아니하고
말나(末那)는 ≺나≻를 헤아리느니라.
모여 일어나므로[集起] 마음이라 하고
헤아리는 성품[思量性]이라 뜻[意]이라 하며
요별(了別)하는 이치라 식이라 하나니
그러므로 유심임을 설하느니라.
마음 바깥의 모든 경계를
망녕되이 털 바퀴의 꽃[毛輪華]으로 보나니
집착한 것 진실로 모두 없는 것이니
이는 다 식심(識心)에서 변한 바니라.
빛깔은 빛깔의 공덕을 갖추되
모두가 아뢰야에 의지하나니
어리석은 범부는 망녕되이 분별하며
이것이 진실로 있다고 한다.
잠을 자고 흐리고 취하여 있으면서
가고 서고 그리고 앉고 누운 데서
업(業)과 그리고 사부 작용[士用]을 짓되
모두가 장식에 의지하여 일어난다.
유정(有情)과 그릇 세간[器世間]은
자유자재로 짓는 것 아니며
또한 신아(神我)가 짓는 것도 아니며
세간 성질의 작은 티끌도 아니다.
마치 나무 속의 불 성품이
있기는 하나 태우지는 못하다가
부싯돌로 인하여 비로소 불이 생겨
이로써 모든 어둠 깨뜨림과 같다.
차츰차츰 서로가 인연이 되고
아뢰야식은 의지처가 되어서
모든 식이 그로부터 생기게 되어
샘[漏]과 샘 없음을 일으키느니라.
마치 바다가 바람의 연(緣)을 만나
갖가지의 물결을 일으키듯이
눈앞의 작용으로 바뀌어가면서
끊어짐이 있는 때가 없게 되느니라.
장식의 바다 또한 그러하여서
경계의 바람에 동요하게 되며
항상 모든 식의 물결을 일으켜
끊임이 없는 때 또한 그러하니라.
타락을 한데 모아 휘젓기 전에는
그 소(酥)를 사람들이 보지 못하며
공력을 베풀지 아니하면
제호(醍醐)를 비로소 얻게 됨과 같다.
아뢰야가 망녕되이 훈습(熏習)한지라
여래장(如來藏)을 숨기고 가리웠나니
닦아 익히어 순숙하게 된 때는
바른 지혜가 명료하여지느니라.
모든 식이 인연 따라 굴러가므로
본각(本覺)의 마음을 보지 않나니
자각의 지혜[自覺智]가 앞에 나타나면
진성(眞性)이 항상하여 동요하지 않느니라.
보우경(寶雨經)에 이르되,
“보살은 어떻게 심념처(心念處)를 수행하는가 하면,
선남자야,
보살은 생각하기를 ‘마음이란 실로 무상하거늘 항상한 것이라고 집착하고,
실로 이것은 고통이거늘 즐거운 것이라고 집착하며,
본래 ≺나≻가 없거늘 ≺나≻라고 집착하고,
본래 깨끗하지 않거늘 깨끗한 것이라고 집착하면서
그 마음을 가벼이 움직이며 잠시도 정지한 때가 없다.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잡염(雜染)에서 근본이 되어서
착한 길[善道]을 파괴하여 없애고
나쁜 갈래 문[惡趣門]을 열어
3독(毒)과 수번뇌(隨煩惱) 등을 생장시켜 그 인연을 지으면서 주인을 삼고 길잡이로 삼는다.
또,
청정하거나 청정하지 않는 업(業)을 쌓아서 신속하게 헤맴은
마치 불바퀴[火輪]를 돌리는 것과 같고
말을 달리는 것과 같고
불이 태우는 것과 같고
물이 불어나는 것과 같다.
모든 경계를 두루 앎은 마치 세간에서 채색을 써서 그린 그림과 같다‘고 하나니,
보살이 이렇게 마음을 관찰할 때에
곧 자재함을 얻으며
자재함을 얻고 나면 모든 법안에서 역시 걸림이 없으리니,
이것을 보살이 심념처를 잘 수행한다고 하느니라”고 했다.
지지경(持地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지세(持世)여,
무엇이 보살마하살로서 마음을 닦고 마음을 관한다고 하느냐 하면,
보살마하살이 마음의 생기고 소멸하고 머무르고 달라지고 하는 모양을 관하되,
이렇게 관할 때에 생각하기를,
≺이 마음은 어디서 온 데도 없고 가도 닿는 데가 없다.
다만 식(識)이 반연하는 모양 때문에 생기되 본체가 없어서 일정한 법으로써 얻을 만한 것이 하나도 없다.
이 마음은 과거와 미래와 현재도 아니며,
이 마음은 식의 반연 때문에 기억으로부터 일어난다.
이 마음은 안에도 있지 않고 바깥에도 있지 않고 양 중간에도 있지 아니하며,
이 마음은 하나의 나거나 일어나는 모양도 없으며,
이 마음은 성품도 없고 정해짐도 없고 생기는 것도 없고 생기는 것이 여러 가지 업을 일으키게 함도 없기 때문에 마음이라고 한다.
식의 여러 가지 반연 때문에 마음이라 하고,
순간순간마다 생멸이 상속하면서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마음이라 한다.
다만 중생으로 하여금 마음의 반연하는 모습을 통달하게 하기 때문에
마음 속에는 마음이라는 모습이 없으며,
이 마음은 본래부터 나지도 않고 일어나지도 아니하여
그 성품은 언제나 청정하지만 객진번뇌(客塵煩惱)로 물이 들기 때문에 분별이 있다.
마음은 마음을 알지 못하고 마음을 보지도 못한다.
왜냐 하면,
이 마음은 ≺공≻한 성품이기 때문이니,
≺공≻하기 때문에 본체는 아무 것도 없다.
이 마음은 일정한 법이 없나니
일정한 법으로서 얻을 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며,
이 마음은 법으로서 합하거나 흩어지는 것이 없으며,
▸ 이 마음은
전제(前際)도 얻을 수 없고
후제(後際)도 얻을 수 없고
중제(中際)도 얻을 수 없으며,
이 마음은 형상이 없고 볼 수 있는 이가 없어서
마음은 스스로 보지도 못하고 제 성품을 알지도 못한다. ◂
전제(前際)도 얻을 수 없고
후제(後際)도 얻을 수 없고
중제(中際)도 얻을 수 없으며,
이 마음은 형상이 없고 볼 수 있는 이가 없어서
마음은 스스로 보지도 못하고 제 성품을 알지도 못한다. ◂
다만 범부가 뒤바뀌게 상응(相應)할 뿐이요 허망하게 식을 반연한 모양 때문에 일어나며,
이 마음은 ≺공≻하고 ≺나≻ 없고 내 것이 없고
무상하고 견고함이 없으며 변하여 달라지지 않는 모양이 없다≻고 하나니,
이렇게 생각하면 심념처를 닦는 것이 되느니라.
이 사람이 그때에 이 마음은 이것이다 아니다 하는 마음을 분별하지도 아니하고
다만 마음은 생김이 없음의 모양을 잘 알고
이 마음은 생김이 없는 성품임을 통달한다.
왜냐 하면,
마음은 결정된 성품이 없고 결정한 모양도 없기 때문이니라.
지혜로운 이는 이 마음이 생김도 없고 모양도 없음을 통달한다.
그때에는 사실대로 마음의 모임과 없어지는 모양을 관하게 되나니,
이렇게 관할 때에는
마음의 모이는 모양이거나 없어지는 모양을 얻지도 못하며,
다시는 마음의 소멸함과 소멸하지 아니함을 분별하지 않으면서
마음의 참되고 청정한 모양을 얻을 수 있느니라.
모든 보살이 이 청정한 마음으로는 객진(客塵)에게 괴롭힘을 당하지 아니한다.
왜냐 하면,
모든 보살이 마음의 청정한 모양을 보고 알며
또한 중생의 마음이 청정함을 알고 생각하기를
≺마음이 때가 꼈기 때문에 중생이 때가 끼고 마음이 깨끗하기 때문에 중생이 깨끗하다≻고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각할 적에,
마음의 때 낀 모양을 얻지도 못하고 마음의 깨끗한 모양을 얻지도 못하면서 다만 이 마음이 항상 청정한 모양임을 알뿐이니라.
지세야,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음을 닦고 마음을 관하는 것이 이와 같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보망경(寶網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 넓고 두루한 모든 불국토는
법왕(法王)으로서의 경계이며
석가 사자요 인간에서 높으신 이
한 터럭 광명으로 비추는 바니라.◂
법왕(法王)으로서의 경계이며
석가 사자요 인간에서 높으신 이
한 터럭 광명으로 비추는 바니라.◂
해석하여 보자.
한량없고 그지없는 부처님들의 국토들도 한 터럭 끝의 마음자리에서 벗어나지 않나니,
지혜로 환히 통달한 이라 그 때문에 ‘광명으로 비추는 바’라고 한다.
십주경(十住經)에 이르되,
“금강장(金剛藏)보살은,
이 보살에게 3천대천세계의 모든 중생들이
일시에 문난(問難)하거나 한량없고 그지없는 음성으로 차별되게 문난하여도,
이 보살은 한 생각 동안에 이와 같은 문난을 보두 받아 들이고
한 음성만으로써 모두 이해하게 한다”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한 음성만으로써 이해하게 한다’는 것은 만법은 마음을 좇는지라 어느 의심인들 풀리지 않겠으며,
마음에 의지하여 보이는 바라 무슨 법인들 원융하지 않겠는가.
불법의 정화(精華)를 얻은 것이요 인천(人天)의 안목(眼目)을 여는 것이라 하겠다.
광박엄정경(廣博嚴淨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자재하신 세간의 길잡이께선
설명할 수 없는 데서 말씀하시고
≺공≻ 가운데서 맺음[結]을 짓되
≺공≻에 즉(卽)하면서 그를 푸시느니라.
해석하여 보자.
마음이 존재하면 곧 맺히고 마음이 ≺공≻하면 곧 풀리나니,
만일 마음에 없다면 맺힘도 없고 풀림도 없다.
그러므로,
수능엄경(首楞嚴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보화(寶華) 수건이 원래는 하나이지만 내가 여섯 번 맺었으므로 여섯 매듭이란 이름이 있게 되었다.
네가 자세히 살펴보라.
수건 자체는 같건마는 맺음으로 인하여 다르게 된 것이니라.
어떻게 생각하느냐.
첫 번 맺은 것을 첫 매듭이라 하고 이리하여 여섯째 매듭이 생겼으니,
네가 이제 이 여섯째 매듭을 가져서 첫 매듭이라 할 수 있겠느냐.’
‘할 수 없나이다.
세존이시여,
여섯 매듭을 그냥 두고는 여섯째 매듭이 첫 매듭이 될 수 없나이다.
제가 여러 생을 두고두고 아무리 변명한다 한들
어떻게 이 여섯 매듭의 이름을 바꿀 수 있겠나이까.’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그러니라.
여섯 매듭이 같지 아니하나
근본 원인을 따져 보면 한 수건으로 되었지마는,
그 매듭을 섞이게 할 수는 없느니라.
너의 여섯 감관[六根]도 그와 같아서
결국에는 같은 것 가운데서 다른 것을 내었느니라.
아난아,
네가 이것을 혐오하여 여섯 매듭이 성립되지 아니하고,
하나가 되기를 원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
‘그러니라.
여섯 매듭이 같지 아니하나
근본 원인을 따져 보면 한 수건으로 되었지마는,
그 매듭을 섞이게 할 수는 없느니라.
너의 여섯 감관[六根]도 그와 같아서
결국에는 같은 것 가운데서 다른 것을 내었느니라.
아난아,
네가 이것을 혐오하여 여섯 매듭이 성립되지 아니하고,
하나가 되기를 원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
아난이 아뢰었다.
‘이 매듭들이 그냥 있사오면 시비가 왕성하게 일어나,
그 중에서 자연히 이 매듭은 저 매듭이 아니고 저 매듭은 이 매듭이 아니라 할 것이니,
여래께서 모두 풀어서 매듭이 생기지 않게 하면 이것 저것이 없어져서 하나라 할 것도 없겠거늘,
여섯이 어찌 성립되오리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여섯이 풀리면 하나까지 없어진다는 것도 그와 같느니라.
네가 끝없는 때로부터 심성(心性)이 광란(狂亂)한 탓으로 지견(知見)이 허망하게 생기고,
허망한 것이 나서 쉬지 아니하면 견(見)을 피로케 하여 티끌[塵]을 일으켰나니,
마치 눈동자를 고달프게 하면 잔잔하고 정밀하게 밝은 데서 미친 꽃이 까닭없이 어지럽게 생기는 것과 같나니,
온갖 세간의 산ㆍ강ㆍ대지(大地)와 생사ㆍ열반이 모두 미치듯 고달픔에서 생기는 뒤바뀐 꽃 모양이니라.’
아난이 아뢰었다.
‘이 미치듯 고달픔이 매듭과 같다하오면,
어떻게 풀어 없애오리까.’
여래께서 매듭 맺은 수건을 손에 드시고,
왼쪽으로 당기면서 아난에게 물었다.
‘이렇게 하면 풀 수 있겠느냐.’
‘못하나이다,
세존이시여.’
다시 오른쪽으로 당기면서 또 아난에게 물었다.
‘이렇게 하면 풀 수 있겠느냐.’
‘못하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지금 왼쪽으로 당기고 오른쪽으로 당기어서 풀지 못하였으니,
네가 방편을 내어라.
어떻게 하면 풀겠느냐.’
아난이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매듭 복판에서 풀어야 풀리겠나이다.’
▸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맺힌 것을 풀려면 매듭 복판에서 풀어야 하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그러하니라.
맺힌 것을 풀려면 매듭 복판에서 풀어야 하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왼쪽 오른쪽으로 당긴 것은 있고 없음의 두 소견에 견준 것이요,
매듭의 복판에서란 중도(中道)를 바로 밝힌 것이다.
그런 까닭에,
진공(眞空)에 어두워서 있다 없다 하는 망정이 일어났고,
감관과 대경에 집착해서 하나다 여럿이다 하는 이치가 생겼나니,
진실로 자기 마음을 알면 해탈과 속박이 다 함께 없어진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더러움과 깨끗함과 해탈과 속박이 모두 자기 마음을 좇는 것이니,
마음이 더럽기 때문에 소견이 더럽고 마음이 깨끗하기 때문에 소견이 깨끗하며
마음이 속박되었기 때문에 소견이 속박되고 마음이 해탈했기 때문에 소견이 해탈되나니,
만일 마음에 없다면 무엇이 더럽고 무엇이 깨끗하겠는가.
마치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에 이르되,
“그때,
모임 가운데에 마계행불오(魔界行不汚)라는 한 보살이 있었는데,
악마의 궁전에 나타나서 악마에게 말했다.
‘그대는 어찌 듣지 않았는가.
부처님이 설하신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는
한량없는 중생들이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므로 그대의 경계보다 뛰어났으며,
또한 모두가 다시 다른 사람들을 제도하므로 그대의 경계보다 뛰어났느니라.
악마가 대답했다.
‘나는 부처님이 설한 수능엄삼매라는 이름만 들어도,
두 소과 두 발과 목의 다섯 가지에 속박을 당하므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또 악마에게 물었다.
‘누가 그대를 속박하는가.’
악마가 대답했다.
‘내가 아까 마음을 내어 ,가서 듣고 받는 것을 무너뜨리고 어지럽히겠다’고 하였더니,
수능엄삼매라는 것에 이내 다섯 가지로 속박을 당했으며,
내가 아까 다시 생각하기를 ≺모든 불ㆍ보살은 큰 위덕이 있어서 무너뜨리거나 어지럽히기가 어렵다.
내가 만일 가게 된다면 행여 자신이 파괴 당하리니,
이 궁전에 그대로 있는 것이 낫겠다≻고 하자마자,
이내 다섯 가지의 속박에서 해탈하게 되었습니다.’
보살이 대답했다.
‘그와 같아서,
온갖 범부들은 기억과 분별에서 뒤바뀌게 모양을 취하는지라 이 때문에 속박이 있고,
생각을 움직여 쓸모 없이 의론하는지라 이 때문에 속박이 있으며,
보고 듣고 깨닫고 아는지라 이 때문에 속박이 있나니,
이 안에는 실로 속박하는 것이나 해탈하는 것이 없느니라.
왜냐 하면,
모든 법에는 속박이 없나니 본래 해탈이기 때문이요
모든 법에는 해탈이 없나니 본래 속박이 없기 때문이니,
언제나 해탈의 모양이라 어리석음이 없느니라.
여래는 이 법문으로 법을 설하시나니,
만일 어떤 중생이 이 이치를 알고 해탈하기를 구하면서 부지런한 마음으로 정진하면,
모든 속박에서 해탈하게 되느니라’”고 했다.
보협경(寶篋經)에 이르되,
“문수사리가 대덕 사리불에게 말했다.
‘마치 항하 모래만큼 많은 겁 동안 화재로 훨훨 태운다 해도
끝내 허공을 태우지 못하는 것과 같아서,
사리불이여,
낱낱 중생이 항하 모래만큼 많은 겁 동안 역죄(逆罪)와 착하지 않은 업을 짓는다 해도
그 심성(心性)은 끝내 더럽힐 수 없느니라’”고 했다.
대허공장보살소문경(大虛空藏菩薩所問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허공은 생김과 소멸을 여의고
법계(法界)는 가거나 오는 것이 없나니
모든 물질은 허공에서 나타나고
모든 법은 마음에 의지하여 머무른다.
허공에는 물질이나 물질 아닌 것이 없듯
심성도 또한 그러한 것이며
허공은 가정하여 붙인 이름뿐이요
마음ㆍ뜻ㆍ식도 그와 같느니라.
암제차녀경(菴提遮女經)의 게송은 다음과 같다.
나 비록 방 안에 들어있다 하더라도
세존이 눈앞에 나타남 같지만
그대는 아라한이라 일컬으면서
언제나 따르지만 보지 못하느니라.
풀이하여 말하였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순간순간마다 석가가 세간에 출현하고 걸음걸음마다 미륵이 내려와 함께 하나니,
제 업(業)으로 막는 바람에 얼굴을 대하여도 보지 못하며
10지(地)도 오히려 얇은 비단에 막혔거늘 2승(乘)이 알 수 있겠는가.
수호국주다라니경(守護國主陁羅尼經)에 이르되,
“그때,
세존이 일체법자재왕(一切法自在王)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이 깊은 삼매는 보리심으로써 그 원인을 삼고
대자비로써 근본을 삼으며
방편으로 닦아 익히는 위없는 보리로써 마지막[究竟]을 삼느니라.
선남자야,
이 안에서 어느 것을 보리라 하느냐 하면,
선남자야,
보리를 알고자 하면 자기 마음을 알아야 하느니라.
만일 자기 마음을 알면 이내 보리를 아느니라.
왜냐 하면,
마음과 보리는 진실한 모습이라
마지막까지 추구하여도 모두 없을 수 없으며 허공과 같기 때문이니라.
보리의 모양은 곧 허공의 모양이라
이 때문에 보리는 증득할 객체의 모양도 없고 증득하는 주체의 모양도 없으며
주체와 객체가 계합되는 모양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보리는 필경에 모든 모양이 없기 때문이니라.
선남자야,
온갖 법은 곧 허공의 모양이라 이 때문에 보리는 마침내 모양이 없느니라.’
그때,
일체법자재왕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이 보리가 허공과 같다면
일체지(一切智) 자체는 무엇으로 구하여야 하고,
어떻게 증득해야 보리가 앞에 나타나며,
일체지지(一切智智)는 어디서 생겨야 하나이까.’
부처님이 일체법자재왕 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일체지 자체는 마음에서 구하여야 하고,
일체지지와 보리는 마음으로부터 생기느니라.
왜냐 하면,
마음의 참 성품은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니라.
선남자야,
이 마음의 성품은 안에 있지도 않고 바깥에 있지도 않으며 중간에 있지도 않느니라.
선남자야,
모든 여래께서 설하신 이 마음의 모양은,
청색도 아니고 황색도 아니며 적색도 아니고 백색도 아니며 홍색도 아니고 자색도 아니며 또한 금색도 아니며
긴 것도 아니고 짧은 것도 아니며
둥근 것도 아니고 모난 것도 아니다.
밝은 것도 아니고 어둔 것도 아니며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니며
남자ㆍ여자가 아닌 것도 아니고
또한 이것은 남자이기도 하고 여자이기도 한 것도 아니니라.
선남자야,
이 마음은 욕계(欲界)의 성품도 아니고 색계(色界)의 성품도 아니고 무색계(無色界)의 성품도 아니다.
하늘ㆍ용도 아니고 야차도 아니며 건달바도 아니고 아수라도 아니며
가루라도 아니고 긴나라도 아니며 마후라가나
사람인 듯 아닌 듯한 따위의 온갖 같은 무리들도 아니니라.
이 마음은 눈에 머무르지도 않고
또한 귀ㆍ코ㆍ혀ㆍ몸ㆍ뜻에도 머무르지 아니하며,
세 세상 안에서도 볼 수 없느니라.
왜냐 하면,
이 마음은 허공의 모양과 같기 때문이니라.
이런 이치 때문에 온갖 크고 작은 분별을 여의느니라.
왜냐 하면,
이 허공의 성품 그대로가 심성이기 때문이니,
마치 그 심성이 곧 보리의 성품과 같고,
보리의 성품이 곧 다라니(陁羅尼)의 성품이니라.
선남자야,
그러므로 이 마음ㆍ허공ㆍ보리ㆍ다라니 성품들은 둘도 없고 둘로 나눔도 없으며 구별도 없고 끊어짐도 없나니,
이러한 모두는 다 대자대비로써 근본을 삼으며 방편바라밀(方便波羅蜜)로써 섭수하는 바니라.
선남자야,
그러므로 알아야 하느니라.
내가 지금 이 보살들이 있는 대중들 가운데서 이러한 법을 설하는 것은,
청정하고 넓고 큰 보리심을 위해서이며 모두로 하여금 자기 마음을 환히 알게 하기 위해서이니라.
그러므로,
일체자재왕아,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보리의 진실한 성품을 알고자 하면 자기 마음을 알아야 하느니라.
마치 그 마음 성품이 곧 보리 성품과 같거늘 어떻게 마음 성품을 환히 알 수 있는가.
이 마음 성품은 온갖 모양에서 형상이거나 나타난 것이거나,
5음(陰)ㆍ6입(入)ㆍ12처(處)ㆍ18계(界) 등의 법에 이르기까지의 것을 관찰하고 추구하여도 마침내 얻을 수 없느니라.
선남자야,
만일 모든 보살이 이렇게 분명히 알면 곧 첫째가는 청정한 법 광명 문을 성취하게 되느니라.
이 문에 머무르고 나면 저절로 이 불가사의한 일체지지인 모든 부처님을 경계의 깊은 삼매를 얻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문수반야경(文殊般若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문수사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과거에 얼마의 처소에서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였는가.’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저와 모든 부처님은 마치 허깨비의 모양과 같으므로
공양을 한 이나 받은 이를 보지 못하였나이다.’
부처님이 문수사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지금 불승(佛乘)에 머무르지 않을 수 있는가.’
문수사리가 말했다.
‘저의 생각과 같아서는 하나의 법도 보지 아니하거늘 어찌 불승에 머무를 수 있겠나이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문수사리여,
그대는 불승을 얻지 않았는가.’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불승이란 이름이 있을 뿐이어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볼 수도 없거늘,
제가 어떻게 얻겠나이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문수여,
그대는 걸림없는 지혜[無礙智]를 얻었는가.’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제가 곧 걸림이 없거늘,
어떻게 걸림없는 것으로써 걸림없음을 얻겠나이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그대는 도량(道場)에 앉아 있는가.’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모든 여래께서도 도량에 앉지 않으시거늘,
제가 이제 어떻게 혼자만 도량에 앉아 있겠나이까.
왜냐 하면,
현재 보이는 모든 법이 실제(實際)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옵니다’”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만일 한 마음의 실제를 분명히 알면 온갖 것에서 얻을 바가 없으며,
얻을 바 없는 가운데서 그지없는 불사(佛事)를 이룩하는 것이니,
일과 일 안에서 모두가 실제를 어기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이렇게 이해한다면 반드시 도량에 앉아 있지 않다거나 도량에 앉아 있다거나 할 것이 없나니,
도량에 앉아 있을 적에 그것이 도량에 앉지 않는 것이다.
왜냐 하면,
도량 등은 실제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대품경(大品經)에 이르되,
“만일 온갖 법에 머무른다면 반야바라밀에 머무르지 않나니,
온갖 법에 머무르지 않아야 비로소 반야바라밀에 머무르는 것이다”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만일 법에 머무른다면 반야를 보지 못하며,
만일 반야에 머무른다면 법을 보지 못하나니,
법에는 모양이 있고 반야에는 모양이 없는지라
있고 없음은 상반된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
또 모양이 있는 법을 여의고서 따로 모양이 없는 반야를 세우는 것도 아니며
모양이 곧 모양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반야이기 때문이다.
경에 이르되,
“물질은 그지없기 때문에 반야도 그지없다”고 했고,
또 이르되,
“만일 반야를 배우려면 온갖 법을 배워야 하느니라.
왜냐 하면,
무릇 반야란 것은 바로 머무름이 없다는 이치이기 때문이다”고 했다.
마음을 일으키면 이것이 곧 주착함(住著)이요,
만일 온갖 법에 주착하지 않는다면 이것이 곧 반야이기 때문에
“만일 반야를 배우려면 온갖 법을 배워야 한다.”고 했다.
설령 반야에 머무른다 해도 역시 어둠과 어리석음이 되나니,
온갖 것에 모두 머무름이 없기만 하면 반야 아님이 없으리라.
금강장다라니경(金剛藏陁羅尼經)에 이르되,
“문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 하나의 법에서라도 보살행이 있으면 벌써 온갖 다라니의 모든 법문에 들어갈 수 있나이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한 글자[一字]의 법문이 있으면 보살은 벌써 천만 글자의 법문을 말하게 된 것이며,
그리고 이 한 글자 법문 또한 말로는 다할 수 없어서 모든 법은 벌써 한 글자 법문에 들어 있는 것이니라’고 하셨다.
전녀신경(轉女身經)에 이르되,
“만일 모든 법에서 차별을 보지 않으면 이는 곧 반드시 중생을 성취시킬 수 있다”고 했고,
또 이르되 “만일 모든 법이 다 해탈된 모양인 줄 알면 이야말로 마지막 해탈이라고 한다”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마음에 집착하여 경계를 삼으면 눈으로 보는 것마다 진로(塵勞)이지만,
경계 이것이 마음임을 알면 해탈 아님이 없다.
그런 까닭에,
2승은 인공(人空)만을 증득한지라 인아(人我)의 허망한 것만을 여의고서 해탈이라 하나니,
아직 법공(法空)의 온갖 해탈을 얻지 못한 것은 마음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치 입능가경(入楞伽經)의 게송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것과 같다.
모든 법에는 법 자체가 없어서
이는 마음일 뿐이라고 설명하나니
자기의 마음을 보지 못한 데서
분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출요경(出曜經)에 이르되,
“몸은 계율의 갑옷을 입었으되 마음에 지혜의 칼이 없다면 번뇌의 우두머리를 파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만일 마음을 관하여 묘한 지혜가 성취되지 않는다면 무명의 근본을 끊을 수가 없다.
그런 까닭에,
수능엄경(首楞嚴經)에서 말했다.
계율 갖고 하는 일 이 몸 단속뿐
몸 아니면 단속할 것 없는 것이니
원래가 온갖 것에 두루 않거늘
어떻게 원통(圓通)함을 얻사오리까.
정법화경(正法華經)에 이르되,
“첫째가는 큰 도[大道]는 둘의 주장[兩正]이 없느니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뜻하면 하나에 돌아가야 하므로 만법의 종(宗)이 되는 것이니,
마치 나라에는 두 임금이 없고 집에는 두 주인이 없는 것과 같다.
만일 이것을 여의고 따로 구할 바가 있다면 두 개의 도(道)를 이루게 된다.
마치 보살행방편경(菩薩行方便經)에 이르되,
“무릇 법을 구한다는 것은 온갖 모든 법을 구하지 않는 것이라고 이름한다”고 했다.
또 이르되 “만일 구한 바가 있다면 사자후(師子吼)할 수가 없지만,
구한 바가 없으면 사자후할 수 있느니라”고 함과 같다.
해석하여 보자.
열반경(涅槃經)에 이르되,
“사자후란 결정코 ‘모든 중생에게 모두 불성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니라’고 했나니,
만일 자기 마음에 불성이 완전히 갖추어져 있음을 안다면 성품 밖에서 어찌 법이 있어서 구해야 되겠는가.
나선경(那先經)에 이르되,
“왕이 나선에게 물었다.
‘어떤 것이 그 마음을 하나로 한 것이라 합니까.’ 나선이 말했다.
‘모든 선(善)에 유독 한 마음[一心]이란 것이 있어서 가장 첫째가는 것입니다.’ ‘그 마음을 하나로 한다는 것은 모든 선이 다 그를 따르는 것입니까.’ 나선이 말했다.
‘마치 누각의 섬돌에는 의지할 바가 있어야 하듯이,
모든 선도(善道)라는 것도 다 한 마음에 귀착하는 것입니다.” 고 했다.
잡장경(雜藏經)에 이르되,
“사왕(闍王)이 보배옷을 문수사리 보살에게 보시하였더니 문수는 갑자기 자리 위에서 몸을 숨기며 보이지 아니했다.
이렇게 하여 차츰차츰 모든 보살과 성문들에게 보시하였더니 역시 다 그러하였고 자기가 옷을 입혔더니 역시 몸이 보이지 아니했다.
이로 인하여 도를 깨쳤느니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무릇 조사와 부처님이 교법을 일으키는 이유는 모두 몸과 마음의 두 집착을 깨뜨림에 있지 아니함이 없다.
그러므로,
금강경(金剛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몸이 아니라고 말씀한 이것을 큰 몸이라고 하나이다”고 했다.
보장론(寶藏論)에 이르되,
“맑고 공허한 이치는 결국에 몸이 없으며 마음 또한 그와 같나니,
만일 자기와 남의 몸과 마음이 다 같이 얻을 수 없음을 곧장 깨친다면 마음 밖에는 법이 없으므로 온갖 경계가 다 ≺공≻하여져서 곧 사왕(闍王)이 깨친 바와 같게 된다”고 했다.
무량의경(無量義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대장엄(大莊嚴)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하나의 법문이 있어서 보살로 하여금 보리를 빨리 얻을 수 있게 하느니라.’ ‘세존이시여,
그 법문은 이름이 무엇이며,
그 이치는 어떠한 것이옵니까.’ ‘선남자야,
이 한 법문의 이름이 무량의(無量義)이니,
보살이 무량의를 닦고 배우고자 하면 온갖 모든 법을 자세히 살펴야 하느니라.
본래부터 성품과 모양이 ≺공≻하고 고요하여 큰 것도 없고 작은 것도 없으며 생김도 없고 소멸함도 없다.
머무른 것도 아니고 움직인 것도 아니며 나아가지도 않고 물러서지도 않나니,
마치 허공에는 두 가지 법이 없는 것과 같거늘 중생들이 허망하게 이것이다 그것이다 얻었다 잃었다 하고 멋대로 헤아리느니라”고 하셨다.
해석하여 보자.
‘이 한 법문의 이름이 무량의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것이 한 마음의 문이어서 한량없는 이치를 내는 것이니,
제 성품을 지키지 않고 인연 따라 모든 법을 이루며 바로 인연을 따를 적에도 역시 제 성품을 잃지 아니한다.
중생이 분명하게 모르기 때문에 일어나고 움직이는 인연만을 따르면서 적멸의 성품을 보지 못하나니,
때문에 모든 법에서 “있다ㆍ없다 그것이다ㆍ이것이다 얻었다ㆍ잃었다”고 멋대로 헤아리는 것이다.
여래시교승군왕경(如來示敎勝軍王經)에 이르되,
“대왕이여,
알아야 합니다.
마치 남자거나 혹은 여인들이 그 꿈속에서 보았던 사랑할 만한 동산 숲이거나 사랑할 만한 산골짜기거나 사랑할 만한 나라ㆍ읍과 그 밖의 다른 종류들을 그 꿈에서 깨어난 뒤에는 보았던 것이 모두 없게 된 것처럼,
대왕이여,
나라의 운수나 몸과 생명이 거짓이고 덧없어서 온갖 모두가 꿈에서 보았던 것과 같습니다”고 했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꿈속의 경계와 깨었을 적의 경계는 마음만으로 보는 것이요 다른 것이 없다.
세간 사람들은 꿈의 경계만이 허망한 것으로 믿고 낮에 본 경계는 진실한 것이라고 집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가엾이 여기셔서 비유로 말씀하여 알게 한 것이니,
믿는 바의 거짓을 가져서 믿는 바의 진실을 깨뜨리고 믿는 바의 진실로 하여금 믿는 바의 거짓과 같게 한다면 단번에 법공(法空)을 깨치면서 모두가 종경(宗鏡)으로 들어가리라.
입법계체성경(入法體性經)에 이르되,
“그때,
장로 사리불이 자기가 있던 데서부터 나와 문수사리 동자가 있는 데로 나아갔으나 문수사리가 보이지 않으므로 곧바로 부처님 처소로 되돌아와서 부처님과는 따로 문 밖에 서 있었다.
이때,
세존께서 문수사리 동자에게 말씀하셨다.
‘문수사리여,
이 사리불 비구가 지금 문 밖에 있으면서 법을 들으려고 하니,
그대는 들어오게 하라.’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 사리불의 끝[際]이 법계의 끝이니,
세존이시여,
이 두 끝이 안에 있나이까,
바깥에 있나이까,
또는 중간의 두 군데에 있나이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아니니라.’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실제(實際)라고 말한 것은 역시 실제가 아니옵니다.
이러한 끝은 끝이 아니어서,
안에도 없고 바깥에도 없으며 오지도 않았고 가지도 않았나이다.
세존이시여,
장로 사리불의 실제는 그것이 곧 실제요,
사리불의 법계는 바로 그것이 법계이옵니다.
세존이시여,
그리고 이 법계는 나옴도 없고 들어감도 없으며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나이다.
그 장로 사리불이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들어가야 하나이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문수사리여,
만일 내가 안에 있으면서 여러 성문들과 함께 말을 하는데 그대는 바깥에 있으면서 들어오기를 허락하지 않는다면,
그대의 뜻에 어찌 괴로운 생각을 내지 않겠는가.’
문수사리가 말하였다.
‘그렇지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면,
세존께서 무릇 설법하신 바는 법계를 여의지 않았으므로,
여래의 설법 이것이 곧 법계요 법계 이것이 곧 여래계(如來界)며 설법계(說法界)가 법계와 같으므로 언설계(言說界)는 둘도 없고 구별도 없나니,
온갖 이름하는 것 말하는 것의 이들 모두가 법계를 여의지 않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이런 이치 때문에 저는 괴로워하지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제가 항하 모래만큼 많은 겁 동안 오지 않다가 세존께서 설법하신 곳에 이르렀다 해도
저는 그때에 좋아하지를 않겠사오며 또한 근심하거나 괴로워하지도 않겠나이다.
왜냐 하면,
만일 둘이 있다면 곧 근심과 괴로움을 낼 것이나 법계에는 둘이 없기 때문에 괴로움이 없나이다’”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그러므로 안과 바깥은 끝이 없고 진리와 세속은 하나의 근원이다.
종경(宗經) 안에 들어가면 기쁨과 슬픔이 가슴속에 차지 아니하고,
둘이 없는 곳에 머무르면 미움과 사랑이 뜻의 밭[情田]에 걸리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가지도 않고 오지도 않으므로 부처님을 뵙는다 한들 그 생각에서 옮겨온 것이 아니고,
가까움도 아니고 멀음도 아니므로 법을 듣는다 한들 털끝에서 어찌 초월하겠는가.
문수의 마음을 얻어야 비로소 법이 그렇다함을 알 것이요,
중생의 소견을 일으키면 저절로 망정의 티끌에 막힐 것이다.
심밀해탈경(深密解脫經)에 이르되,
“모든 부처님ㆍ여래는 깨달음과 깨달을 바를 잘하시어
두 행(行)을 여의면서 모양 없는 곳[無相處]에 이르고
모든 부처님의 행을 행하여 모든 여래의 온갖 평등함을 얻어서
장애 없는 곳으로 가는 데에 이르고
온갖 물러나지 않는 법 바퀴에 이르며 항복할 수 없는 경계와 불가사의한 자체에 이르고
온갖 3세의 평등함에 이른다.
온갖 모든 세계의 몸에 두루 이르러서
모든 법의 의심이 없는 곳에 이르고 온갖 마지막 지혜의 행에 이르며,
모두 법지(法智)의 장애 없는 경계에 이르러서
온갖 분별이 없는 몸을 얻고 온갖 보살들이 질문하는 지혜에 능히 대답한다.
두 행이 없는 저 언덕에 이르고
모든 부처님의 차별 없는 해탈지(解脫智)에 이르며 그지없고 중간 없는 3매(昧)의 경계에 이르나니,
넓고 크기가 법계와 같고 마지막이 됨은 허공과 같아서 미래 세상의 끝까지 다하느니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무릇 모든 법의 의심 없는 곳에 친히 이르러서 마음을 깨쳐야 비로소 알고,
온갖 경계의 모양 없는 문을 단번에 비추어서 성품을 보아야 비로소 아나니,
이야말로 여래가 행하는 곳이요
대각(大覺)께서 아실 바이기 때문에
‘넓고 크기 법계와 같고 마지막이 됨은 허공과 같아서
시작도 없고 끝도 없이 미래 세상의 끝까지 다한다’고 했다.
금강왕보살비밀염송의궤경(金剛王菩薩秘密念誦儀軌經)에 이르되,
“몸을 단정히 하고 똑바로 앉아서 생각하기를,
‘모든 법은 자기 마음으로부터 일어나므로 본래 아무 것도 없다’”고 했다.
미륵성불경(彌勒成佛經)의 게송에서 말했다.
오랫동안 중생의 고통을 생각하며
구제하려 하였으나 해탈됨이 없더니
오늘에야 보리를 증득하고 보니
탁 틔어서 아무 것도 없구나.
해석하여 보자.
심식(心識)이 생각생각마다 반연하여 대경에 속박되고 자재함을 얻지 못하는 이것이 곧 중생의 고통이다.
만일 대경이 ≺공≻하여 속박이 없음을 분명히 알면 안의 번뇌가 생기지 아니하고
한 마음을 깨달아 알면 감관과 대경이 모두 고요하여져서 곧 성품이 ≺공≻한 법계에 들고 모양 없는 보리를 증득하게 된다.
그런 까닭에,
법화삼매경(法華三昧經)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집착이 없고 의지한 바 없으며
누(累) 없으면 마음이 고요히 사라져서
본래 성품은 허공과 같아지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위없는 도라 한다.
또 법화경(法華經)에 이르되,
“모든 부처님은 이것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
모든 부처님은 이것에서 법 바퀴를 굴리며,
모든 부처님은 이것에서 열반을 하신다”고 했다.
그러므로 모든 부처님이 8상(相)으로 도를 이루시는 것과
보살이 4섭(攝)으로 중생을 제도하면서
자기도 이익되게 하고 남도 이익되게 하는 것이
모두 다 이 본 성품의 ≺공≻ 가운데서 이룩되는 것이다.
잡장경(雜藏經)에 이르되,
“비유하면 마치 두 개의 나무가 서로 마찰되면 저절로 불이 생겨서 도리어 그 나무를 태우되
그 불은 바람으로부터 나오지도 않았고 물로부터 나오지도 않았고 땅으로부터 나오지도 않은 것처럼,
네 가지 악마[四魔]라는 것도 역시 그와 같아서
모두가 마음으로부터 생기는 것이요 밖으로부터 오지 아니한다.
▸ 마치 그림 그리는 이가 형상을 그리면서
손을 따라 크고 작게 만들되
비록 인과 연이 화합하여 채색도 있고
화판도 있고 붓도 있다 하더라도
그림 그리는 이가 그리지 아니하면 형상이 이루어질 수 없듯이,
네 가지 악마도 그와 같아서 마음이 이미 견고하게 되면 일어나는 바가 없느니라“고 했다.◂
손을 따라 크고 작게 만들되
비록 인과 연이 화합하여 채색도 있고
화판도 있고 붓도 있다 하더라도
그림 그리는 이가 그리지 아니하면 형상이 이루어질 수 없듯이,
네 가지 악마도 그와 같아서 마음이 이미 견고하게 되면 일어나는 바가 없느니라“고 했다.◂
해석하여 보자.
그러므로 한 마음이 동요하지 아니하면 법이 앞에 나타나지 아니하는데 마치 그림 그리는 이가 그리지 않으면 형상이 없는 것과 같나니,
때문에 한 마음이 동요하지 아니하면 큰 공덕이 있게 된다.
마치 법구경(法句經)에 이르되,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선지식(善知識)이란 큰 공덕이 있어서
너희들로 하여금 탐냄ㆍ성냄ㆍ어리석음과 삿된 소견이며
다섯 가지 덮개[五蓋]ㆍ다서 가지 욕심[五欲] 등의 뭇 진로(塵勞) 가운데서
불법을 건립하여 한 마음이 일어나지 않게 하므로 큰 공덕이 있느니라.
마치 어떤 사람이 견고한 배를 가지고 큰 바다를 건너는 것처럼,
몸과 마음이 동요되지 않아야 저 언덕에 이르느니라’고 하셨다.”고 했다.
○ [pt op tr]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Gerard Lenorman - Shy'm - Les Jours Heureux.lrc
● 생사 즉 열반과 열반즉 생사의 관계
속박과 해탈, 해탈과 속박의 관계
★1★
◆vzpc9678
◈Lab value 불기2565/01/07 |
○ 2016_1008_131131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the-nereids-by-francesco-albani ○ 2018_0418_182944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torm-seam-boat-off-a-harbour-s-mouth-making-signals-in-shallow-water-and-going-by-the-lead ♡Tanzhe Temple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Description English: An entrance into the Tanzhe Temple of Beijing Date 24 August 2007 Source Beijing-1429 Author Cygnus78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Emmanuel Moire - Je Fais De Toi Mon Essentiel ♥단상♥지상최고의 직업- 수행응급구호치유사 요즘 인턴연구원의 진로 문제를 살피고 있다. 그래서 2020 년도 미국 최고 직업군을 살펴 보았다. https://money.usnews.com/careers/best-jobs/rankings/the-100-best-jobs 여기에서는 년봉이나 직업 스트레스 정도를 함께 고려해서 순위가 정해지는 듯 하다. 그런데 노래를 듣다보니 도와주어서는 결코 성취할 수 없다고 하는 듯 하다. 결국 본인 판단에 맡겨야 할 듯 하다. 수행응급구호치유사라는 직업이 있다. 수행을 행하면서 수행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도움을 주는 일을 한다. 참고로 화엄경 입법계품에 이런 직업군에 대해 일반적인 안내가 되어 있다. 재택근무까지도 가능하다. 년봉은 대략 조단위다. 훨씬 초과한다. 특히 면허증이 없이도 가능하다. 조금 더 장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년봉을 비교 계산하면 다른 직업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위 사이트의 미국 최고 직업군에 소개된 년봉액과 비교한다고 하자. 어느 직업도 생명 신체 감가상각비용액 자체를 초과하지 못한다. 생명 신체 감가상각비용액은 반복소개하는 감이 있다, 그래도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반복소개해야 한다. 한 개인이 사업을 포함해 어떤 활동을 하던 생명 신체 감가상각비용액이 발생한다. 어떤 사업이던 비용을 넘는 수익이 발생해야 이익 계산을 할 수 있다. 이익 = 수익 - 비용 누구나 활동을 하는데 고정자산과 유동자산이 필요하다. 이 가운데 일정기간이 지나면 가치가 0 이 되는 자산이 있다. 이 경우는 감가상각비용을 회계에 반영해주어야 한다. 부동산이나 현금을 기준으로 해서 이들은 10 년간 두었다고 해도 그대로다. 그런데 기계나 건물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자동차를 예를 드는 것이 쉽다. 1억원으로 자동차를 구입해 사업을 했다고 하자. 10 년 후에는 이 자동차가 0 의 가치가 된다. 그래서 10 년간 자동차로 사업을 해서 1 억원의 수익을 얻었다면 이익이 0 가 된다. 이런 형태의 자산은 감가상각비용을 계산해 미리 반영해주어야 한다. 자동차가 폐차장에 들어가기 직전까지도 굴러갈 수 있다. 그래서 폐차되기 직전까지도 이 감가상각비용은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곤란하다. 그런데 어떤 활동을 하던 사람의 신체나 생명이 소모된다. 100 년이 지나지 않아서 0 의 상태가 된다. 그래서 이에 대한 감가상각비용을 계산해 반영해주어야 한다. 한 개인의 생명, 신체 > 우주전체의 가치 > 전 세계 국가 자산의 가치 > 1 국의 1 년 예산액의 가치 > 한국 2020 년 예산액 500 조 이렇게 부등호로 일단 환산할 수 있다. 최근 모 전자회사의 시가총액이 500 조를 넘었다는 보고를 받았다. 그런데 위 금액은 부등호를 통해 환산 처리된 금액임을 주의해야 한다. 세상에 자신의 생명의 가치가 전자회사 하나의 가치 밖애 안된다고 여기는 이는 드물다. 그래서 부등호에 주의해야 한다. 이는 아무리 못해도 그 보다는 가치가 높다는 의미다. 그런 가운데 이 가치가 자신의 사망으로 일반적으로 0 가 된다. 그 이후도 사정이 마찬가지다. 상속을 통해 다른 이가 재산을 상속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그 상속인도 사정이 마찬가지다. 또 그와 별개로 그 자신은 생사과정에서 이런 자산을 계속 보유할 도리가 없다. 그래서 이런 회계를 반영해서 수익을 얻는 활동을 해야 한다. 미국 최고 직업군에 소개된 내용을 검토해보면 여기에 해당하는 직군이 희박하다. 그런데 수행 응급구호치유사는 사정이 다르다. 장점을 간단히 요약해 나열해보자. ○ 생사의 고통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생사과정에서 최소 500 조원을 초과하는 감가상각비용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매 경우 500조를 초과하는 기대 수익이 계속 증가하게 된다. ○ 면허자격이 따로 필요없다. 보리심을 장착하고 활동을 시작하면 된다. 참고 ‡보리심 ○ 활동분야가 무량하다. 자신의 적성에 맞추어 무량하게 활동할 수 있다. => 이를 무량행문이라고 칭한다. ○ 따라서 직업의 스트레스나 활동 비용이 마이너스다. 이 분야 활동 특성이나 활동 모토가 '유희 자재 신통'으로 요약되어 칭해지는 사정이다. 현재 미국인기직종을 보면 대부분 의료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그 특성이 3D 산업특성[difficult - dangerous - dirty]을 그대로 갖는다. 자격을 취득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위험하다. 경쟁도 심하다. 근무환경이 문제가 많다. 최근 유행하는 바이러스를 놓고 보면 이 사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같은 의료분야라고 해도 수행 응급구호치유사는 성격이 다르다. 특성이 ESC 라고 요약된다. 그 특성이 Easy -Safe -clean 하다. 예를 들어 환자의 치유를 하는 경우에도 사정이 같다. 약사여래님 다라니를 외우고 기도해서 불치병을 치유해내는 것이 그런 예다. ○ 한편 이미 인기있는 분야에 들어가도 수익이 전혀 줄지 않는다. 오히려 증가한다. 이른바 무진등 이론이다. 등불에서 다른 등에 불을 붙인다고 해서 불이 줄어들지 않는다. 오히려 더 밝아진다. ○ 전직이 자유롭다. 예를 들어 관자재보살님의 활동이 마음에 든다고 하자. 그러면 관자재보살님 분신 사바하..이렇게 념하고 곧바로 활동하면 된다. 그러다가 지장보살님의 활동이 마음에 든다고 하자. 그러면 지장보살님 분신 사바하..이렇게 념하고 곧바로 활동하면 된다. 일반의 경우는 기존 업종 근무자로부터 견제를 받기 쉽다. 또는 탈퇴 이전이 어렵다. 그런데 이 경우는 다르다. 양 부분에서 모두 권장받는다. 그리고 각 경우마다 기존 활동선배로부터 물심양면에서 무량한 보호와 도움을 받게 된다. 이런 현상을 가피라고 칭한다. 참조: ꊱ가피 ‡가피 이 정도만 소개해도 그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불퇴전 단계 이상에 이르면 10 억 세계에서 인턴활동을 할 수있다. 그리고 이후에는 천왕이나 전륜성왕 위를 오가면서 활동을 하게 된다. 한편 우주내 각 불국토를 자유롭게 방문해 수행을 이어가는 특전도 있다. 그래서 대단히 좋은 직업이다. 이전에도 인턴연구원들에게 권유했었다. 그런데 매번 거부당했다. 또 다른 특전도 있다. 무한화폐 무한카드 발급권을 갖는다. 참고로 무한카드는 다음과 같다. 사용기간이 무량하므로 시간조정카드도 함께 발급된다. ○ 210338028.jpg 참고로 『종경록』에서 지지경(持地經)의 다음 부분을 소개한다. ▸ 이 마음은 전제(前際)도 얻을 수 없고 후제(後際)도 얻을 수 없고 중제(中際)도 얻을 수 없으며, 이 마음은 형상이 없고 볼 수 있는 이가 없어서 마음은 스스로 보지도 못하고 제 성품을 알지도 못한다. ◂ 이것이 한 주체의 시공간 이동과정에 그대로 적용된다. ○ 무한카드 사용방안 소개 이를 통해서 무량한 수익을 자동관리할 수 있다. 특히 (약칭)수행치유사는 무한카드를 주변인에게 자유롭게 무상 발급해줄 수 있다. 다만 의식주관련 분야에 결제가 안 된다. 그래서 무익한 것이 아닌가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123 층 빌딩을 예로 들어 설명하게 된다. 123 층 빌딩을 자신의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와 무한카드로 보유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해보면 이해가 쉽다. 123 층 빌딩을 소유하고 등기를 했다고 하자. 이 때는 이 빌딩을 처분해 현금으로 환가할 수도 있다. 또는 저당을 설정해 대출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런 경우는 현금으로 보유하거나, 이것으로 또 다른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 그 경우는 또 다른 123 층의 순환이다. 결국 무한카드 경우는 이 하나만 놓고 각 경우에 적용하면 된다. 그래서 그냥 보유한다고 하자. 이 123 층 빌딩 각곳이 비어질 수 있다. 그렇다해도 자신은 이 곳에서 의식주를 해결하지는 못한다. 그런데 그렇지 않다고 하자. 임차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임차 수익이 발생한다. 그 경우 또 앞 경우와 마찬가지다. 재 투자를 하거나 현금을 보유해야 한다. 이 경우도 또 다른 123 층의 순환이다. 그런데 이 상태들을 놓고 무한카드 보유자와 비교하면 훨씬 무한카드가 낫다. 우선 관리가 자동으로 된다. 일일히 관리 업무를 행할 필요가 없다. 무한카드의 특징이다. 그런데 일반 명의 등기자와의 차이는 다음이다. 일반 명기 등기 소유의 경우는 생사과정에서 소유가 단절된다. 그런데 이와 달리 (약칭)수행치유사는 그렇지 않다. 이를 전문용어로 일반의 분단생사과정과 변역생사과정의 차이라고 칭한다. 그런데 왜 그 사정이 그런가를 이해해야 한다. 오늘 살피는 『종경록』 내용도 이와 관련된다. 물론 대장경 경전 전반이 이와 관련된다. 그 사정이 왜 그렇게 차이가 발생하는가를 이들 경전을 통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금강경』에서는 수행 치유사의 활동을 간단히 요약해 제시한다. 본래 중생을 본래 하나도 얻을 수 없다.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에 임해 무량한 중생을 제도한다. 또 이를 위해 상에 머물지 않고 무량하게 보시를 한다. 그런데 보시하는 이나 받는 이 보시하는 물건 보시하는 행위를 본래 얻을 수 없다. 그런 가운데 상에 머물지 않고 무량하게 보시한다. 그러면 무량한 복덕을 무량겁에 걸쳐 얻게 된다. 그러나 또 수행 치유사는 결코 복덕에 탐착하지 않는다. 본래 얻을 수도 없고 무량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량하게 얻어도 끝내 중생제도를 위해 모두 다 사용하는 것이 그 취지이고 목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형태로 간단히 압축해 소개하고 있다,. 참고로 기존 직업활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수행치유사로 활동하기 위해 굳이 전업하거나 퇴직할 필요가 없다. 따로 면허취득할 필요도 없다. 이것도 수행치유사의 특징이다. 그리고 무량행문이 의미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단순히 그 상태에서 보리심을 일으키고 중생제도의 서원을 장착해 기존 활동에 임하면 된다. 보리심이 장착되고 그 이후 보리심을 바탕으로 세상을 대한다. 그리고 사홍서원을 바탕으로 세상을 대한다. 그런 가운데 활동에 임하면 된다. 너무 간단하다. 그런데 정작 보리심을 일으켜 활동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경전에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2565-01-07-k1499-096.html#9678 sfed--종경록_K1499_T2016.txt ☞제96권 sfd8--불교단상_2565_01.txt ☞◆vzpc9678 불기2565-01-07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동분(同分). 근(根)ㆍ경(境)ㆍ식(識) 셋이 화합하지 않아 각각 자기의 업작(業作)을 짓지 않는 것. 동분은 아니나 동분과 종류가 일부분 같으므로 피동분이라 함. ⇒<유사어>동분<참조어>동분(同分)
답 후보
● 피동분(彼同分)
하상품(下上品)
학무학(學無學)
항마(降魔)
해(害)
해탈신(解脫身)
행상(行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종경록_K1499_T201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편집중-단상 > 1●예약중[경전링크+글상자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기2565-01-09_불설바라문자명종애념불리경-K0703-001 (0) | 2021.01.09 |
---|---|
불기2565-01-08_중아함경-K0648-013 (0) | 2021.01.08 |
불기2565-01-06_대방광불화엄경-K1262-034 (0) | 2021.01.06 |
불기2565-01-05_대보적경-K0022-089 (0) | 2021.01.05 |
불기2565-01-04_신화엄경론-K1263-008 (0) | 2021.01.0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