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침(惛沈)이나 도거(掉擧)를 떠나 심신이 평온하게 안정된 상태.
[동]삼마발저(三摩鉢底) , 삼마발제(三摩鉢帝). 등지
정(定)의 다른 이름.
마음과 몸이 평등ㆍ안온하여지는 것을 등(等)이라 한다.
정(定)은 사람으로 하여금 이 등의 상태에 이르게 하므로 등지라 함.
【범】samādhi 삼마지(三摩地)ㆍ삼마제(三摩提)ㆍ삼매(三昧)라 음역.
◀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등지 등지[한문]等至[범어]samāpatti티벳]snyoms par ’jug pa[영어]equanimity
혼침(惛沈)이나 도거(掉擧)를 떠나 심신이 평온하게 안정된 상태. 삼매와 상통한 말. [동]삼마발저(三摩鉢底) , 삼마발제(三摩鉢帝).
등지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등지 [한문]等至 【범】samāpatti 삼마발저(三摩鉢底)라 음역. 정(定)의 다른 이름. 마음과 몸이 평등ㆍ안온하여지는 것을 등(等)이라 한다. 정(定)은 사람으로 하여금 이 등의 상태에 이르게 하므로 등지라 함.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등지 【等至】定的別名. 身心平等安祥叫做等, 以定力才能達至此種等的境界, 所以叫做等至. →4423 ● From 대만불광사전
삼마발저 【三摩鉢底】 p673-下≫ 梵語 samāpatti, 巴利語同. 音譯作三摩拔提, 三摩足我. 意譯 等至, 正受, 正定現前. 指由遠離惛沈, 掉擧等, 而使身心達於平等安和之境. 卽身心安和之狀態, 爲三摩地之進境. 依俱舍論卷二十八, 四靜慮及四無色定爲根本八等至, 其中四靜慮及下三無色定等七者, 各有味等至, 淨等至, 無漏等至三種, 有頂地則僅有味等至與淨等至. 有關三摩鉢底與三摩地(等持)之差別, 大毘婆沙論卷一六二中列擧數種說法, 有說等持以一物爲體, 等至以五蘊爲體. 有說等持爲一刹那, 等至則相續. 有說諸等持卽等至, 而等至非是等持, 如無想等至, 滅盡等至卽屬之. 有說亦有等持非是等至, 如不定心相應等持卽屬之. 又依俱舍論光記卷六所載, 三摩地通於定, 散及善, 惡, 無記等三性, 唯有心平等, 持心趣向於境, 故稱等持. 三摩鉢底則通於 有心定與無心定二種, 唯在定, 不通於散. 此外, 亦有說三摩鉢底卽禪定之異名者. 又梁譯攝大乘論釋卷十一中, 於三摩鉢底略擧 境, 衆類, 對治, 隨用, 隨引, 由事等六種體類差別. [瑜伽師地論卷十一, 十地經論卷五, 雜阿毘曇心論卷七, 俱舍論卷五, 成唯識論述記卷六本, 瑜伽論略纂卷一, 卷五](參閱「三昧」580, 「正受」1989)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等至 【術語】 定之別名。 梵名三摩鉢底, 在定中, 身心平等安和謂之等, 定能令至此平等位, 故名為等至。 是唯定而非散。 通於有心無心, 若有心定, 則其心離昏沈與掉舉而為平等, 謂之等, 以定力得至此等, 故謂之等至, 若無心定, 則約定中依身大種平等, 而名為等至。 外有等持等引之二、 見三昧條。 唯識述記六上曰: 「在定定數勢力令身心等有安和相。 至此等位名為等至。 (中略)三摩鉢底, 此云等至。 」見等持條。 ● From 法相辭典 等至 ★俱舍論二十八卷五頁雲: 已辯無色; 雲何等至? 頌曰: 此本等至八。 前七各有三。 謂 味、 淨、 無漏。 後味淨二種。 味謂愛相應。 淨謂世間善。 此即所味著。 無漏謂出世。 論曰: 此上所辨靜慮無色根本等至、 總有八種。 于中前七、 各具有三。 有頂等至、 唯有二種。 此地昧劣、 無無漏故。 初味等至, 謂愛相應。 愛能味著, 故名為味。 彼相應故, 此得味名。 淨等至名, 自世善定。 與無貪等諸白淨法相應起故; 此得淨名。 即味相應所味著境。 此無間滅, 彼味定生。 緣過去淨, 深生味著。 爾時雖名出所味定;于能味定, 得名為入。 無漏定者: 謂出世定。 愛不緣故;非所味著。 【參見:三昧】 【參見:等持】 ● From MW sam-āpatti f. coming together , meeting , encountering Kālid. ; accident , chance (see comp.) ; falling into any state or condition , getting , becoming (comp.) Yogas. ; assuming an original form , APrāt. ; completion , conclusion āpast. (v.l. < sam-āpti>) ; yielding , giving way (in < a-s->) ib. [1161,2] ; (with Buddhists) a subdivision of the fourth stage of abstract meditation (there are eight Samāpattis) MWB. 233 ; < -dṛishṭa> mfn. seen by chance Daś.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samāpattināmāni [Mvyt: 1491]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samāpattināmāni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समापत्तिनामानि 中文 / Chinese: 等至 藏文 (Wylie) / Tibetan (Wylie): snyoms par 'jug pa'i ming la 藏文 / Tibetan: སྙོམས་པར་འཇུག་པའི་མིང་ལ་ From BUDDHDIC 等至 トウシ (term) samāpatti 삼마발저 ①-673■불광사전 hbfl--07_Sa_0728.TIF ================== 【동음이의어2-등지等持】 삼매[c] 三昧 samādhi 삼마지(三摩地)ㆍ삼마제(三摩提)ㆍ삼매(三昧)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등지[한문]等持 삼매의 원어인 사마디의 번역. ⇒ [원][k]삼매[c]三昧 [Kor]삼마지[Chn]三摩地[San]samādhi [mean]삼매의 원어인 사마디의 음역.[ref][k]삼매[c]三昧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등지 [한문]等持 【범】samādhi 삼마지(三摩地)ㆍ삼마제(三摩提)ㆍ삼매(三昧)라 음역. 정(定)의 다른 이름. 정을 닦으면 마음을 한 경계에 머물러 산란치 않게 함을 말함. 평등하게 유지하므로 등지라 한다. 삼마지 [한문]三摩地 【범】samādhi 정(定)이라 번역.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산란치 않게 하는 정신 작용. ((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From 한국위키 삼마지(三摩地, 산스크리트어: samādhi, 팔리어: samādhi, 산스크리트어: ekāgratā, 팔리어: ekaggatā, 영어: concentration, one-pointedness, unification, unification of mind)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2] 삼마지(三摩地)는 심일경성(心一境性)의 마음작용이다. 즉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즉 혼침(惛沈)과 도거(掉舉)를 멀리 떠난 상태에서 그것이 하나의 대상에 전념(專念, 專住)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달리 말하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한 곳에 모아 산란하지 않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한결같게 된다. 문자 그대로 번역하여 삼매(三昧) · 삼마제(三摩提) · 삼마제(三摩帝)라 하기도 하며, 의역하여 선정(禪定)[3] · 정(定) · 등지(等持) · 정정(正定) · 정의(定意) · 조직정(調直定) · 정심행처(正心行處)라 하기도 한다.[1][4][2][5] (참고: 삼매(三昧)) ● From 대만불광사전 삼마지 【三摩地】 p670-下≫ 梵語 samādhi, 巴利語同. 七十五法之一, 百法之一. 又作三昧, 三摩提, 三摩帝. 意譯爲等持, 正定, 定意, 調直定, 正心行處. 卽遠離惛沈掉擧, 心專住一境之精神作用. 三摩地之語義諸多, 若於說一切有部中, 爲十大地法之一, 與一切心, 心所法相應, 通於定, 散, 亦通於善, 惡, 無記之三性, 而無別體. 於經量部, 心之一境相續而轉, 稱爲三摩地. 行者住於三摩地, 觀想凝照, 智慧明朗, 卽能斷除一切煩惱而證得眞理. [大毘婆沙論卷一○四, 成實論卷十二定相品, 成唯識論卷五, 大乘義章卷十三](參閱「三昧」580)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등지 【等持】定的別名. 梵語三摩地, 華譯爲等持, 卽心安住於一境而平等維持之義. →4424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等持 【術語】 定之別名。 梵語舊稱三昧, 譯曰定, 新稱三摩地, 譯曰等持。 謂心住於一境平等維持也。 是通於定散二心也。 假使在於散心而心專注於一境即三摩地。 故譯為定者不可也。 唯識述記七上曰: 「等持者平等持心等, 但於境轉, 故名為等持。 故通定散。 (中略)三摩地, 此云等持。 」俱舍論二十八曰: 「等持者為定, 名異體同。 故契經說心定等定, 名正等持。 此亦名為心一境性。 」 ● From 法相辭典 等持 ★如九種心住中說。 ★二解 顯揚一卷四頁雲: 等持者: 謂于所觀境, 專住一緣為體;令心不散, 智依為業。 如經說: 諸令心住、 與等住、 安住、 近住、 及定住、 不亂不散、 攝寂止、 等持、 心住一緣性。 ★三解 俱舍論二十八卷六頁雲: 此中等持, 頌說為定。 等持與定, 名異體同。 故契經說心定等定、 名正等持。 此亦名為心一境性。 義如前釋。 ● From yusig 等持 定的別名, 意思是平等持心, 心住一境, 平等維持。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等持 Holding oneself in equanimity, a tr. of samādhi (समाधि), as also is 三等持, i.e. samādhi (समाधि)-equilibrium; also of samāpatti (समापत्ति), v. 三摩缽底 and 等至.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samādhiḥ [Mvyt: 1932]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samādhiḥ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समाधिः 中文 / Chinese: 精進 中文 / Chinese: 等持 藏文 (Wylie) / Tibetan (Wylie): ting nge 'dzin 藏文 / Tibetan: ཏིང་ངེ་འཛིན་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삼마지 【三摩地】又作 三昧․三摩提․三摩帝․三摩底․三麽地․三昧地等, 華譯爲定, 卽住心於一境而不散亂的意思. →794 From 法相辭典 三摩地 ★顯揚二卷六頁雲: 三摩地者: 謂已轉依者, 心住一境性。 ★二解 如三三摩地中說。 ★三解 瑜伽三卷七頁雲: 三摩地雲何?謂于所觀察事, 隨彼彼行, 審慮所依心一境性。 又雲: 三摩地作何業?謂智所依為業。 ★四解 瑜伽十一卷三頁雲: 三摩地者: 謂于所緣, 審正觀察, 心一境性。 ★五解 瑜伽五十五卷三頁雲: 三摩地雲何?謂于彼彼境界, 隨順趣向;為審慮依心一境性。 三摩地為何業?謂智所依為業。 ★六解 瑜伽六十三卷八頁雲: 問: 何因緣故, 說諸靜慮, 名三摩地?答: 于所知事同分所緣一切影像, 平等平等, 任持心故。 ★七解 五蘊論二頁雲: 雲何三摩地?謂于所觀事令心一境, 不散為性。 ★八解 廣五蘊論五頁雲: 雲何三摩地?謂于所觀事心一境性, 所觀事者, 謂五蘊等及無常苦空, 無我等心一境者。 是專注義與智所依為業, 由心定故, 如實了知。 ★九解 雜集論一卷十一頁雲: 三摩地者: 于所觀事, 令心專一, 為體;智所依止為業。 令心專一者: 于一境界, 令心不散故。 智所依者: 心處靜定, 知如實故。 ★十解 俱舍論四卷三頁雲: 三摩地, 謂心一境性。 ★十一解 界身足論上二頁雲: 三摩地雲何?謂心住、 等住、 現住、 近住、 不亂不散、 攝持、 寂止、 等持、 心一境性, 是名三摩地。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三摩地 【術語】 Samādhi, 舊稱三昧、 三摩提、 三摩帝、 三摩底;新稱三麼地、 三昧地;譯曰定、 等持、 正定、 一境性。 心念定止故云定, 離掉舉故云等, 心不散亂故云持, 見三昧條。 【參見:三昧】 ● From 三藏法數 三摩地 梵語三摩地, 華言等持, 又云正心行處。 謂眾生心行, 從無始來, 常曲不直, 能修此定, 心則端直, 安住一境而不動也。 ● From yusig 三摩地 梵語samadhi, 為七十五法之一, 百法之一。 又作三昧、 三摩提、 三摩地。 意譯為等持、 正定、 正心行處。 即遠離惛沉掉舉, 心耑住一境之精神作用。 三摩地的語義諸多, 若於說一切有部中, 為十大地法之一, 與一切心、 心所法相應, 通於定、 散, 亦通於善、 惡、 無記之三性, 而無別體。 見《成唯識論》卷五。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三摩地 (or 三摩提, 三摩帝, 三摩底) Samādhi; idem 三昧. ● From BUDDHDIC 三摩地 サンマジ absorption サマジ absorption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三摩地 Samadhi 三摩地 Sanskrit word for meditation. 【參照: Meditation and】Contemplation. 삼마지 ①-670■불광사전 hbfl--07_Sa_0729.TIF ===================== 【동음이의어-3 등지 登地】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등지 [한문]登地 【범】bhūmyākramana 또는 진지(鎭地). 보살 수행의 지위 점차 중에서 10지(地)의 자리에 오르는 것을 말함. 이 자리에 오르면 벌써 1분의 진여를 증득하여, 영원히 3계의 미(迷)한 경계에 돌아오지 않고, 점차로 나아가 불과(佛果)에 도달하는 것이므로, 그 이하의 보살에 대하여 분별하는 것. ● From 대만불광사전 등지【登地】 p5166-上≫ 梵語 bhūmyākramaṇa. 卽天台宗所說依菩薩行而登入初地之階位. 大乘菩薩之修行階位有十信․十住․十行․十迴向․十地․等覺․妙覺等五十二位 ; 其中, 登上初地之階位, 稱爲登地, 須經過一大阿僧祇劫之修行 ; 十地之間, 自初地至第十地之終則須經過二大阿僧祇劫之修行. 初地, 又稱歡喜地, 天台宗認爲別敎菩薩一登歡喜地, 卽開始斷除部分煩惱, 求證部分眞如之理, 永不退還三界之迷境, 漸次昇進而至佛果. 然在圓敎菩薩而言, 則因其「十住位」卽相當於別敎之「十地位」, 故圓敎菩薩一旦登入「初住」之位, 卽已去除部分之煩惱而證法性眞理.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등지 【登地】登上菩薩十地之位. 要達到登地須經過一大阿僧祇劫的修行. →4400 등지 ⑥-5166■불광사전 hbfl--03_Da_0335.TIF ========================== 【동음이의어4- 등지等智】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등지 【等智】十智之一. 見十智條. →4425 ========================== 【동음이의어5- 등지等地】 ● From Korean Dic
등지 등ː지(等地)[의존명사]땅 이름 뒤에 쓰이어, 앞에 말한 ‘그러한 곳들’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대전·대구·부산 등지로 여행을 떠나다.
● From Kor-Eng Dictionary
등지 [等地] (and) like places.ㆍ 서울·부산 ~ Seoul, Pusan and like[other] cities.
============================ 【동음이의어6- 등지鄧芝】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등지(鄧芝, 178년[1] ~ 251년)는 중국 삼국시대의 촉나라의 장수이다. 자는 백묘(伯苗)이고 의양군 신야현 출신이며, 후한의 공신 등우(鄧禹)의 후손이다.[2] ..
■ '등지'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등지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등지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등지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등지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등지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등지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samāpatt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등지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등지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등지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접기 ◀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범】Middha 심소(心所)의 이름.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마음을 암매(闇昧)케 하는 정신 작용. 의식이 깊이 잠자는 것을 수(睡), 5식(識)이 캄캄하여 작용하지 않는 것을 면(眠)이라 함.
답 후보
● 수면(睡眠)
수소인색(受所引色)
수심결(修心訣)
수용토(受用土)
수타라(首陀羅)
수혹(修惑)
숙명통(宿命通)
■ 음악
La Fouine feat Ixzo - Crick Crick
Gilbert Becaud - Le Bateau Miracle
Claude Dubois - Infidele
Eddi Marney - Que Sera,Sera
Marie-Paule Belle - Sans Bagages
Michel Berger - Y'a Vraiment Qu'l'amour Qui Vaille La Peine
Frank Alamo - Da Doo Ron Ron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Kitaro Nishida
[san-chn]
buddha-darśana 見佛, 見諸佛
[san-eng]
ā+yā $ 범어 to come
[pali-chn]
sammā-vācā 正語
[pal-eng]
sotaapatti $ 팔리어 f.entering upon the Noble Path.
[Eng-Ch-Eng]
Sutra of the Explication of the Underlying Meaning 解深密經
[Muller-jpn-Eng]
自利利他 ジリリタ benefiting oneself and others
[Glossary_of_Buddhism-Eng]
SHANDAO☞ See: Shan-tao (613-681).
[fra-eng]
florin $ 불어 guilder, gulden
■ 암산퀴즈
943* 665
57794 / 407
■ 다라니퀴즈
자비주 63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3 번째는?
63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약왕(藥王)을 지닌 곳간이니, 항상 이 다라니로 중생의 병을 치료하는 까닭이니라. ● 사바하 娑婆訶<六十三>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3 가마라 바 迦摩羅<引>婆<六十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63일째]
보살여시대자비 $ 063▲那麼怛羅那麼怛羅為 一 ● 奚麼怛羅, ○□□□□,利,普,入,見 □□□□□□□, 利益一切諸世間, 普現其身不可說, 入諸佛剎不可說, □□□□□□□, 이익일체제세간, 보현기신불가설, 입제불찰불가설, 보살이 이와 같은 큰 자비로써 저 모든 세간들을 이익케 하며 그 몸 두루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모든 세계 들어감을 말할 수 없고
[64째]
견제보살불가설 $ 064▲奚麼怛羅奚麼怛羅為 一 ● 鞞麼怛羅, ○□□□□,發,請,敷,現 □□□□□□□, 發生智慧不可說, 請問正法不可說, 敷揚佛教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청문정법불가설, 부양불교불가설, 여러 보살 보는 일을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묻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불교를 널리 폄도 말할 수 없어 065□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K0944_T1544.txt★ ∴≪A아비달마발지론≫_≪K0944≫_≪T1544≫
법수_암기방안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4 척골(尺骨)[자뼈]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27095
142
○ 2019_1004_171909_can_ab34
○ 2019_1004_164610_can_ct7
○ 2019_1004_161743_can_ab43
○ 2019_1004_171920_can_ct19
○ 2019_1004_160911_can_ar38
○ 2019_1004_180422_nik_ar47
○ 2019_1004_161743_can_ar47_1
○ 2019_1004_141612_can_ct18
○ 2019_1004_141212_can_ct18
○ 2019_1004_155250_nik_bw2
○ 2019_1004_152410_nik_bw26
○ 2019_1004_132508_nik_ar12
○ 2019_1004_154439_can_ar45
○ 2019_1004_143430_nik_ar45
○ 2019_1004_143022_can_CT38
○ 2019_1004_132821_can_BW25
○ 2019_1004_132508_nik_bw24
○ 2019_1004_175544_nik_BW21
○ 2019_1004_152352_nik_CT27
● [pt op tr] fr
◀접기
◀접기
[관련키워드]
등지,等至,samāpatti,snyomspar’jugpa,영어equanimity,삼마발저三摩鉢底,삼마발제三摩鉢帝,samāpatti,三摩拔提,,三摩足我,等至,,正受,,正定現前,定, 【2】등지等持,삼매c三昧samādhi삼마지三摩地,삼마제三摩提,삼매三,concentration
[링크용타이틀]
등지,삼마발저,삼마발제,/삼매,삼마제,삼매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등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12218
sfx--dict/등지.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3.txt ☞◆vqog7450
불기2565-03-0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26501127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equanimity.html
htmback--등지_불기2565-03-05-Tis.htm
● [pt op tr] fr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