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유경
- 중아함경
- 대승기신론
- 묘법연화경
- 유마경
- 원각경
- 유마힐소설경
- 정법화경
- 마하승기율
- 방광반야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잡아함경
- 대지도론
- 증일아함경
- 장아함경
- Japan
- 유가사지론
- 마하반야바라밀경
- 아미타불
- 대방광불화엄경
- 가섭결경
- 수능엄경
- 무량의경
- 금강삼매경론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반야심경
- 종경록
- 마명
- 대반열반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2019/05 (65)
불교진리와실천
『보리자량론』 K0585 T1660 보리자량론 제2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보리자량론_K0585_T1660 핵심요약 ♣0585-002♧ 보리자량론 제2권_핵심 Gilbert Becaud - Hey Mon Frere 불기2563-05-03_보리자량론_002 Frank Michael (Collector Edition) - La Nostalgie De Toi Edith Piaf - Entre Saint-Ouen Et Clignancourt Jean - Louis Aubert - Les p..
『증일아함경』 K0649 T0125 증일아함경 제5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증일아함경_K0649_T0125 핵심요약 ♣0649-051♧ 증일아함경 제51권_핵심 Jacques Dutronc - Le Combat 불기2563-05-02_증일아함경_051 Gerard Lenorman - Je L'aimais Julien Clerc - Jouez Violons, Sonnez Cre Charles Aznavour - Still I Cling To You (Je Me Raccroche A ..
如是我聞. 一時, 薄伽梵在室羅筏, 住誓多林給孤獨園,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이와 같이 나에 의해 들렸다. 한 때, 박가범께서 실라벌에서 서다림의 급고독원에 머무실 때 큰 필추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 [義淨] 如是我聞. 一時, 薄伽梵在名稱大城戰勝林施孤獨園, 與大苾芻眾千二百五十人俱, 及大菩薩眾.01-01 evaṁ mayā śrutam | ekasmin samaye bhagavān śrāvastyāṁ viharati smajetavane'nāthapiṇḍadasyārāme mahatābhikṣusaṁghena sārddhamardhatrayodaśabhirbhikṣuśataiḥ saṁbahulaiśca bodhisattvairmahāsattvaiḥ | 이렇게 나에 의해 들렸다. 한 때 복덕갖춘분께서 싀..
【십이부경 [한문]十二部經 [범어]dvādaśāṅga-buddha-vacana [티벳]gsum rab yan lag bcu gnyis [영어]twelve divisions of expression in the buddhist canon】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십이부경 [한문]十二部經 또는 십이분경(十二分經)ㆍ십이분교(十二分敎). 부처님의 일대교설(敎說)을 그 경문의 성질과 형식으로 구분하여 12로 나눈 것. (1) 수다라(修多羅). 계경(●契經)ㆍ법본(法本)이라 번역, 산문체의 경전. (2) 기야(祇夜). 중송(重頌)ㆍ응송(●應頌)이라 번역, 산문체 경문의 뒤에, 그 내용을 운문(韻文)으로 노래한 것. (3) 수기(授●記). 경 중에 말한 뜻을 문답 해석하고, 또는 제자의 다음 세상에 날..
『대반열반경』 K1403 T0375 대반열반경 제1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대반열반경_K1403_T0375 핵심요약 ♣1403-014♧ 대반열반경 제14권_핵심 불기2563-05-01_대반열반경_014 Marc Lavoine - J'esp3Qre http://buddhism007.tistory.com/5528 ● [pt op tr] fr sfed--대반열반경_K1403_T0375.txt ☞대반열반경 제14권 ♣1403-014♧ 대반열반경 제14권 ○ [pt op tr] 판본비교다른..